Firefighting Corporation Standard Specification
Firefighting Corporation Standard Specification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본 ‘소방공사 표준시방서’의 발간시점(‘19.07.31)을
기준으로 이미 시행중인 설계용역 및 공사에 대해
서는 본 표준시방서를 적용하지 않으며, 발주기관의
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종전의 기준 등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목 차
01000 총칙 ················································································································ 1
01010 일반공통사항 ·········································································································· 3
01020 가설공사 ················································································································ 20
01030 토공사 ···················································································································· 22
01040 소방기계 배관공사 ······························································································ 25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 ······························································································ 55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 ······························································································ 63
01010 일반공통사항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가. 이 표준시방서는 소방시설공사에 관한 표준을 정한 것으로 대한민국 내에서 수행되는
소방시설공사에 적용한다.
나. 설계도면, 공사시방서, 전문시방서, 현장설명서 및 질의응답서에 기재된 사항 이외에는
이 표준시방서에 의하되, 이 기준 중 당해 공사에 관계없는 사항은 이를 적용하지 않는다.
다. 이 표준시방서에 기재된 것 이외의 건축, 토목, 기계설비, 전기설비 및 통신설비 분야에
관한 사항은 국토교통부 제정 KCS 41 00 00(건축공사표준시방서), KCS 11 00 00(지반
공사표준시방서) 및 KCS 31 00 00(설비공사표준시방서)에 따른다.
라. 이 표준시방서의 내용 중 선택적 사항으로서 그 지정이 필요한 것은 해당 공사시방서
에서 정하도록 한다.
1.2 참조표준
1.2.1 관련 법규
1) 수급인은 공사와 관련된 모든 법령, 조례 및 규칙, 기타 기준 등을 준수한다.
2) 이 표준시방서에 포함한 설계도서의 내용이 관련 법규의 규정과 상호 모순되는 경우
(소방시설공사 중에 관련 법규가 변경되고 변경된 규정을 따라야 할 경우를 포함한다.)
에는 관련 법규의 규정을 우선하여 준수한다.
3) 관련 법규는 최근에 고시된 내용을 우선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이 표준시방서에 인용 및 소방시설공사 중 참고하여야할 법규는 다음과 같다.
⦁「소방기본법」
⦁「소방시설공사업법」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위험물안전관리법」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초고층 및 지하연계 복합건축물 재난관리에 관한 특별법」
⦁「소방산업의 진흥에 관한 법률」
⦁「산업표준화법」
⦁「건축법」
⦁「주택법」
⦁「건설기술준진흥법」
⦁「건설산업기본법」
⦁「근로기준법」
- 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산업안전보건법」
⦁「고압가스안전관리법」
⦁「공중위생관리법」
⦁「대기환경보전법」
⦁「물환경보전법」
⦁「소음·진동관리법」
⦁「수도법」
⦁「전기사업법」
⦁「정보통신공사업법」
⦁「소방용품의 품질관리 등에 관한 규칙」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1.2.2 관련 기준
1) 이 표준시방서에 참조된 표준은 국내법에 기준한 한국산업표준 등을 적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단,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기 및 재료 등에 대한 국내
표준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 예외적으로 해외 표준 등을 참조할 수 있다.
2) 상기 1)에 있어 예외적으로 인용되는 해외 표준은 국내 표준이 제정되는 즉시 이를
국내 표준으로 대체한다.
3) 이 표준시방서에 인용 및 소방시설공사 중에 참고하여야할 기준은 다음과 같다.
⦁「국가화재안전기준」
⦁ 한국산업표준(KS)
⦁ 단체표준
⦁ 소방시설의 내진설계 기준
⦁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 성능인증의 대상이 되는 소방용품의 품목에 관한 고시
⦁ 내화구조의 인증 및 관리기준
⦁ 전기설비 기술기준
⦁ 건축전기설비 설계기준
⦁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
⦁ 소화설비규정(보험개발원 제정)
1.3 용어의 정의
1.3.1 감리자 등
“감리자”란 「소방시설공사업법」에 의해 소방공사감리업에 등록한 감리업자로서 해당
소방공사감리를 도급 받은 자를 말한다.
“감리원”이란 소방공사감리업자에 소속된 소방기술자로서 해당 소방시설공사를 감리
하는 사람을 말한다.
- 4 -
01010 일반공통사항
1.3.2 검토
수급인이 수행하는 중요 사항과 소방공사와 관련한 발주자의 요구사항에 대하여 수급인
제출서류, 현장실정 등 그 내용을 감독원 또는 감리원이 숙지하고 경험과 기술을 바탕
으로 하여 타당성 여부를 파악하는 것을 말한다.
1.3.3 경미한 변경
공사시공에 있어서 현장에서의 마감상태, 작업 상태 등으로 인하여 기기 및 재료의
설치위치 또는 공법을 다소 변경하는 등 관련법규정 및 계약금액 변경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고 감리자의 승인이 필요하지 않으며, 협의에 의해 결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수급인이 그 비용을 부담하는 경우를 말한다.
1.3.4 공사계약문서
계약서, 설계도서, 공사입찰유의서, 공사계약일반조건, 공사계약특수조건 및 산출내역서로
구성되며 상호보완의 효력을 가진다. 다만, 산출내역서는 이 조건에서 규정하는 계약
금액의 조정 및 기성부분에 대한 대가의 지급 시에 적용할 기준으로서 계약문서의 효력을
가진다.
1.3.5 공사시방서 등
“공사시방서”란 표준시방서 및 전문시방서를 기본으로 하여 설계자가 작성한 것으로서,
해당 공사의 특수성ㆍ지역여건ㆍ공사방법 등을 고려하여 기본설계 및 실시설계도면에
구체적으로 표시할 수 없는 내용과 공사수행을 위한 시공 방법, 자재의 성능ㆍ규격
및 공법, 품질시험 및 검사 등 품질관리, 안전관리, 환경관리 등에 관한 사항을 기술한
시공 기준을 말한다.
“표준시방서”란 소방시설물의 안전 및 공사시행의 적정성과 품질확보 등을 위하여
소방시설별로 정한 표준적인 시공기준으로서, 전문시방서 작성 또는 설계 등의 용역자가
공사시방서를 작성하는 경우에 활용하기 위한 시공기준을 말한다.
“전문시방서”란 소방시설별 표준시방서를 기본으로 하여 특정한 공사의 시공 또는
공사시방서의 작성에 활용하기 위하여 발주자가 작성한 종합적인 시공기준을 말한다.
1.3.6 공인시험기관
「국가표준기본법」에 의거한 기술표준원에서 운영하고 있는 “시험 및 검사기관 인정
제도”에 따른 “한국인정기구”에서 인정한 시험기관을 말한다.
1.3.7 발주자
「소방시설공사업법」에 의한 소방시설공사를 수급인에게 도급하는 자를 말한다. 다만,
수급인으로서 도급받은 소방시설공사의 일부를 「소방시설공사업법」에 의한 하도급
하는 자는 제외한다.
- 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1.3.8 산업표준 등
“산업표준”이란 광공업품의 종류, 형상, 품질, 생산방법, 시험·검사·측정방법 및 산업활동과
관련된 서비스의 제공방법·절차 등을 통일하고, 단순화하기 위한 기준을 말한다.
“한국산업표준(KS: Korean Industrial Standards)”은 「산업표준화법」에 의거하여
산업표준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국가기술표준원장 및 소관부처의 장이 고시함으로써
확정되는 국가표준으로서 약칭하여 KS라 표시한다.
“단체표준”이란 한국산업표준(KS)이 없는 경우에 한하여 단체표준을 제정할 수 있고
제품의 품질고도화, 생산효율 향상, 기술혁신을 기하여, 단순공정화 및 소비의 합리화를
통하여 산업경쟁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 기술에 관한 기준이다.
1.3.9 설계도서
설계도면, 시방서, 현장설명서, 질의응답서 및 수량이 표시된 내역서를 말한다.
1.3.10 수급인
발주자로부터 「소방시설공사업법」에 의한 소방공사를 도급 받은 소방시설공사업자를
말한다.
1.3.11 승인
수급인 또는 수급인의 대리인(이하 현장대리인이라 한다)이 발의한 사항을 감리원이
서면으로 동의하는 것을 말한다.
1.3.12 시공상세도
소방공사의 진행단계별로 작성하여 현장에 종사하는 기능공 및 기술직원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시공 시의 유의사항 등을 표기한 도면을 말한다.
1.3.13 시공자
「소방시설공사업법」에 의해 소방공사를 도급 받은 소방시설공사업자를 말하며, 같은
법에 의해 하도급 받은 시공업자를 포함한다.
1.3.14 입회
감리원이 현장에 임석하여 시공 상황을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1.3.15 적합
표시한 규격, 규정, 방법 및 시방과 그 항목 중의 어느 쪽이든 상이한 점이 있지만
실질적으로 합격과 차이가 없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것을 말한다.
1.3.16 조정
시공 또는 감리업무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발주자, 수급인, 감리자가 사전에 충분한
검토와 협의를 통해 관련자 모두가 동의하는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1.3.17 지시
발주자의 발의에 의해 감리자가 수급인에게 소관업무에 관한 방침, 기준, 계획 등을
알려주고 실시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 6 -
01010 일반공통사항
1.3.18 확인
시공자가 공사를 공사계약 문서에 명시 된대로 실시하고 있는지 여부 또는 지시, 조정,
승인, 검사 이후 실행한 결과에 대하여 감리원이 원래의 의도와 규정대로 시행되었는지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
1.3.19 현장대리인
「소방시설공사업법」에 의거하여 소방시설공사업자가 소방시설공사의 책임시공 및
기술관리를 위하여 해당 공사에 배치한 소방시설공사업자 소속의 소방기술자를 말한다.
1.4 해석
표준시방서(또는 공사시방서)에서 사용된 용어의 해석은 아래 순서에 따른다.
가. 계약문서(표준시방서 또는 공사계약서 포함)
나.「소방시설공사업법」,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령」, 「소방시설공사업법 시행규칙」
다. 그 외의 「소방관련 법규」
라. 기타 「건설 관련 법규」
마. 국어사전
1.6 법령 및 규칙의 준수
가. 수급인은 공사와 관련된 모든 법률, 시행령, 시행규칙, 훈령 및 예규, 조례 및 규칙 등
(이하 「소방관련법규」)을 준수한다.
나. 수급인은 표준시방서(또는 공사시방서)의 내용이 「소방관련법규」와 상호 모순될 경우
(소방시설공사 중에 「소방관련법규」가 변경되고 변경된 규정에 따라야 할 경우를 포
함한다.)에는 「소방관련법규」를 우선하여 준수한다.
- 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1.7 수급인의 기본 의무
가. 수급인은 계약에 따라 공사를 성실하게 이행해야 하며, 하자가 발생할 경우 「소방관련
법규」 및 계약문서에 따라 성실하게 보수 한다.
나. 수급인은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감리자의 업무수행에 적극적인 자세로 협조한다.
1.8 현장 확인 및 설계도서 검토
가. 수급인은 공사 착수 전에 설계도서를 면밀히 검토하고, 설계도서의 오류, 누락 등으로
공사가 잘못되거나 공사기간이 지연되는 일이 없도록 한다.
나. 설계도서를 검토하고 아래와 같은 경우가 있으면 수급인의 현장대리인은 검토의견서를
첨부하여 감리원에게 통지하고 감리원의 해석 또는 지시를 받은 후 공사를 시행한다.
1) 설계도서의 내용이 현장 조건과 일치하는지 여부
2) 설계도서대로 시공할 수 있는지 여부
3) 그 밖에 시공과 관련된 사항
4) 하자발생이 우려되는 경우
5) 설계변경 사유 및 계약기간연장 사유가 있는 경우
6) 품질향상이나 공사비 절감을 기할 수 있는 경우
다. 수급인이 감리자에게 통지하지 않았거나 감리자의 해석 또는 지시를 받기 전에 임의로
수행한 공사는 기성량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또한 수급인이 임의로 시행한 공사에 대해
감리자의 원상복구나 시정 지시가 있는 경우 수급인은 수급인 부담으로 즉시 이행 한다.
1.9 의의(疑義)
설계도서의 내용이 상이하거나 누락, 오기 되었을 경우 또는 의문이나 이의가 있을
때에는 감리원과 협의하여야 하며, 견해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는 감리원의 지시에
따른다.
1.10 별도 계약과의 조정
별도 계약의 관계공사에 대해서는 당해 공사의 관계자와 협의하고, 공사 진행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1.11 수급인의 책무
수급인은 공사계약문서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현장작업, 시공방법에 대하여 책임을
지고 신의와 성실의 원칙에 입각하여 시공하고, 정해진 기간 내에 완성하여야 하며,
감리자로 부터 재시공, 공사 중지명령, 기타 필요한 조치에 대한 지시를 받을 때에는
이에 응한다.
- 8 -
01010 일반공통사항
2. 공사 관리
2.1 공사수행 일반
가. 수급인은 모든 공사를 관련법규, 조례 등을 준수하여 시공하고, 공사시공에 필요한
관공서 및 기타 기관에 제출하여야 할 서류 및 수속 등은 수급인 부담으로 시행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되, 감리자와 협의하여 이행한다.
나. 수급인은 계약문서(표준시방서 또는 공사시방서 포함)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이라도
구조상 또는 외관상 당연히 시공을 요하는 부분은 감리자와 협의하여 이행한다.
다. 감리자는 관계 법규 및 계약문서에 의하여 자재 등의 품질 및 시공이 적정하지 못하
다고 인정되는 경우에는 재시공 등의 지시를 할 수 있으며, 수급인은 이에 따른다.
2.2 현장대리인의 배치
가. 수급인은 공사착수 전에 소방시설(기계/전기 분야)의 공사규모 및 특성에 적합한 기술과
경험이 있는 유자격 기술자를 지명하여 경력을 표시한 문서(경력증명서, 자격증사본,
현장대리인계 및 기타서류 등)를 감리자에게 제출하여 승인을 받는다.
나. 수급인은 작업량에 따라 감리자가 요청하는 현장대리인 보조원에 대해 승인을 받는다.
보조원에 대한 제출서류는 현장대리인에 준하고, 현장대리인이 공사 관리 또는 기술상의
관리에 부적당하다고 인정될 경우 감리자는 교체를 요구할 수 있고 수급인은 그에
따른다.
다. 현장대리인의 현장배치는 소방관계법규를 따른다.
라. 현장대리인 및 현장대리인 보조원은 공사 진행 및 기타 일체의 공사사항에 대하여
수급인의 책임과 의무를 대행하는 것으로 본다.
2.3 공사협의 및 조정
2.3.1 협의 및 조정
수급인은 해당 공사와 관련된 다른 공사 수급인들과 마찰을 방지하고 전체 공사가
계획대로 완성될 수 있게 협력하고 최선의 방안을 도출한 후에 공사를 시행한다. 이를
위해 관련 공사와의 접속부위 적합성, 공사 시공한계, 시공순서, 공사 착수시기, 공사
진행 속도, 공사 준비, 공사물 보호, 가시설물 등의 적합성에 대해 모든 공사 관련자
들과 면밀히 협의하고 조정하여 공사전체의 진행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 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3.5 종합 공정관리에 협조
수급인은 착공부터 준공까지 토목, 건축, 기계, 전기, 통신, 조경, 급배수, 도시가스,
전기통신관로 공사 등은 물론 타 행정기관 등과의 협조, 관련 공사 전체의 원활한
추진을 위해 감리자가 요구하는 종합 공정관리 계획 및 운영에 적극 협조한다.
2.4 공사 현장 관리
가. 공사현장의 관리는 「근로관련법규」, 「안전관련법규」, 「환경관련법규 및 기타 관련
법규」에 따라 이행한다.
나. 수급인은 관계자, 근로자 및 일반인의 출입을 감독하고, 근로자의 풍기단속, 위생관리,
화재, 도난, 소음, 인명피해, 위험물 취급에 대한 책임을 지며, 특히 안전사고 방지에
유의한다.
다. 현장 내에는 안전관리자를 두어 안전사고에 대한 교육 및 예방업무를 담당토록 한다.
라. 공사현장은 항상 깨끗하게 청소, 정돈되고, 기기 및 재료는 적합한 방법으로 보호한다.
마. 공사현장의 모든 기기 및 재료, 기계기구 등은 정리정돈, 점검, 정비 및 청소를 행하고
현장 내를 청결하게 유지한다.
바. 공사현장에는 공사계약문서, 관계법규, 한국산업표준, 설계도서, 공사예정공정표, 시공
계획서 등의 공사에 필요한 제반 도서를 비치한다.
사. 승인이나 검수되지 않은 기기 및 재료나 불합격 및 불량품은 즉시 현장에서 반출 한다.
2.5 안전보건관리
가. 모든 공사는 「산업안전보건법」 및 국토교통부 제정 KSC 10 10 25(안전 및 보건관리
표준시방서)에 의거하여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기준을 준수하며, 산업재해 발생의 방지에
노력한다.
나. 공사현장의 안전, 보건을 유지하기 위하여 안전보건관리체제를 구성하며, 안전 보건
규정을 작성하고 준수한다.
다. 수급인은 계상된 안전관리비는 공사현장의 재해방지 및 근로자의 보건관리에 사용하며,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여서는 아니 된다.
- 10 -
01010 일반공통사항
2.6 공사보고
수급인은 공사의 진도, 근로자의 취업상태, 기기 및 재료의 반입 및 출고, 각종검사
및 기타 필요한 사항을 기재한 공사 일일보고서와 월말보고서를 작성 제출하여
감리원의 승인을 받으며, 그 밖에 감리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서류를 지체 없이
제출한다.
2.8 응급조처
사고, 재해 또는 공해가 발생하거나 발생의 우려가 있고 긴급을 요하는 경우에는
신속하게 조치하고 그 경위를 감리원에게 보고한다.
2.9 보양
가. 인접한 건축물 및 공작물에 대해서 보양을 필요로 할 때에는 공사시작 전에 적절한
방법으로 보양한다.
나. 기존부분, 시공완료부분, 미사용 기기 및 재료 등이 오염 또는 손상될 우려가 있을
때에는 적절한 방법으로 보양한다.
2.10 발생재료의 처리
가. 발생재료 중 계약조건에 의해 인도하도록 정해진 것은 지정된 장소에 정돈하고
서류를 첨부하여 감리원에게 제출한다. 다만, 불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것은 공사계약서
및 관계법규 등에 따라 적절히 처분한다.
나. 공사시공 상 지장이 되는 장해물은 감리원과 협의하여 처리한다.
2.11 뒷정리
공사완료 시는 가설물 등을 신속하게 철거하고 청소 및 뒷정리를 한다.
- 1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 기기 및 재료
3.1 기기 및 재료
가. 모든 기기 및 재료는 한국산업표준(KS) 또는 단체표준(이하 산업표준이라 한다)의 신품을
사용하며 산업표준이 없는 품목은 품질이 양호하고 설계도서의 요구에 충족된 것을
사용한다.
나. 사용되는 모든 기기 및 재료는 한국산업표준인증 증명서(KS제품에 한함), 시방서, 취급
설명서, 카탈로그, 견본 등의 기술자료를 구비하여 제출하고 감리원의 승인을 받는다.
다. 설계도서에 기기 및 재료의 품질이 명시되지 않은 경우, 그 품질은 설비전반의 균형을
고려하여 감리원의 승인을 받는다.
라. 기기 및 재료는 원칙적으로 「소방용품의 품질관리 등에 관한 규칙」, 「산업표준화법」
또는 「공산품 품질관리법」등의 규정에 적합한 표준품 이상으로 한다.
마. 검사는 전수검사, 추출검사, 견본검사 등에 의하며, 검사받은 기기 및 재료는 감리원이
지시하는 규격으로 분류 및 정리하여 보관한다.
바. 검사에 불합격한 기기 및 재료는 즉시 공사장 밖으로 반출하며, 부득이한 경우에는
감리원에게 그 사유를 명시하고, 반출예정일과 반출방법 등의 반출계획서를 제출하여
승인을 받는다.
3.2 기기 및 재료의 관리
가. 검사와 시험에 합격한 기기 및 재료는 감리원이 지시한 장소에 정리하여 보관하고
불합격품은 지체 없이 공사장 밖으로 반출한다.
나. 수급인이 발주자로부터 인수받은 기기 및 재료는 오손, 파손, 변질, 분실 등의 방지를
위하여 수급인 부담으로 철저히 보안대책을 수립한다.
다. 수급인은 시공도중 또는 공사가 완료된 부분의 기구류 및 공작물이 오손, 파손, 변질,
분실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철저한 보안대책을 수립한다.
- 12 -
01010 일반공통사항
4. 제출물
4.1 기기 및 재료 승인 신청서
사용되는 모든 기기 및 재료는 한국산업표준인증 증명서(KS제품에 한함), 시방서,
품질보증서, 취급설명서, 카탈로그, 견본 등의 기술자료를 구비하여 감리원에게 제출
하여 승인을 받는다.
4.2 공정표
가. 수급인은 공사 착수 전에 착공신고서와 공정표 및 공정별 세부공정 예정표를 제출하여
감리원의 승인을 받는다. 공정표는 실제작업 요소를 구분하여 공종 상호간 선행 작업,
동시작업, 완료 후 작업이 구분될 수 있도록 작성한다.
나. 공정표에 변경이 발생한 경우에는 변경공정표를 지체 없이 작성하고 감독원 또는
감리원의 승인을 받는다.
다. 별도 계약 공사와의 협의가 필요 할 때는 감리원의 지시를 받아 조정한다.
4.3 시공계획서
가. 수급인은 공사의 공정별로 기기 및 재료, 공법, 자재운반, 장비사용,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정한 시공계획서를 작성하여 공사착수 전에 감리원의 승인을 받는다.
나. 공사시공 중 특히 중량물의 반입, 설치 등 위험을 수반하는 공사에 대한 시공계획서는
그 공사방법, 사용 장비의 제원 및 주의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명시한다.
다. 공사 진도, 근로자근무상황, 기기 및 자재 입⋅출고, 각종 검사 등 필요한 사항을
기재한 일일 보고서와 주간, 월간 보고서 등을 제출한다.
라. 시공계획서에 관계기관의 인·허가, 검사 및 시험 계획을 반영하여 충분한 검토와
협의를 거친 후 공사를 한다.
- 1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4.5 공사보고서
공사에 관한 진척사항, 작업내용, 기기 및 재료의 반입과 시공내용, 기후조건 등 기타
감리원이 필요하다고 지시한 사항에 대해서는 정해진 기간내에 보고서를 제출한다.
5. 시공
5.1 일반사항
가. 공사는 설계도서에 표시된 제반설비가 그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할 수 있도록 설계도서,
공정표, 시공계획서, 제작도 등에 따라 시공한다. 다만,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감리원과
협의한다.
나. 설계도서(해당 공사시방서 포함)에 나타난 기능을 완전히 발휘하도록 수급인은 충분한
검토 후에 시공하여야 하며, 기능에 관계되는 경미한 누락, 오기에 대해서는 무상으로
시공한다.
다. 도면 내 표기되지 않은 부분 또는 시공이 어려운 부분은 반드시 시공도를 작성하고
관련자와 협의 후 감리원의 승인을 받아 시공한다.
라. 설계도의 오차, 누락 등이 있는 경우라도 전체적인 설비 기능을 보증하기 위해서
감리원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추가 또는 변경시공을 명할 수 있으며, 수급인은
이에 응하여야 하며, 경미한 변경인 경우에는 수급인 부담으로 한다. 다만, 계약금액
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관련 규정과 계약조건에 따라 협의·조정한다.
- 14 -
01010 일반공통사항
5.2 시공 전 협의
가. 공사로 인하여 각종 시설물 또는 개인재산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감리원에게 즉시 보고 후 수급인 책임 하에 조치한다.
나. 공사중 민원으로 인해 관련공사에 지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며, 만약 민원이
발생할 경우에는 수급인 책임 하에 해결한다.
다. 배관의 신축 및 팽창으로 인해 건축물 손상방지와 배관 손상방지를 위해 설치하는
배관용 슬리브는 수급인이 사전 검토하고 관련공사 관계인과 협의하여 공사시행에
차질이 없도록 한다.
5.3 시공에 대한 시험 및 검사
가. 시공에 대한 시험은 해당 공사시방서에 명시되었거나 필요한 단계에서 반드시 감리원의
입회하에 실시하고, 그 결과 보고서를 감리원에게 제출한다.
나. 시공에 대한 검사는 해당 공사시방서에 명시되었거나 필요한 단계 또는 감리원이
지정한 공정에 도달한 경우에는 감리원의 검사를 받는다.
다. 수중 또는 지하에 매설, 은폐되는 곳 또는 기능상 특수하게 사용되는 기기 및 재료의
조립, 설치 기타 준공 후 외부로부터 검사할 수 없는 공작물 등은 감리원의 입회하에
시공하고, 시공 상태를 기록하여 반드시 사진을 첨부한 시공결과물을 제출한다.
라. 시공 후 검사가 불가능하거나 곤란한 공사 또는 여러 개의 자재를 조립, 설치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감리원의 검사를 받아 시공한다.
마. 공사가 완료되었다고 인정될 경우 소방시설 준공을 위한 종합시험 및 성능시험을
실시하며 감리원의 입회를 요청한다.
5.4 기록
가. 협의 및 지시사항에 대해서는 경과 내용을 기록하고 정리한다.
나. 시험 및 검사에 대해서는 결과를 기록 하고 정리한다.
다. 공정의 주요부분 등에서 매입, 매설 및 은폐 등으로 완성 시에 확인이 불가능한
부분은 공사사진을 첨부하여 정리한다.
라. 감리원의 지시가 있는 때에는 그 기록 또는 사진을 제출한다.
5.5 공사 중 변경
5.5.1 설계변경
가. 설계변경은 원칙적으로 계약조건에 준하여 반드시 감리원의 검토를 받은 후 발주자의
승인을 받아 실시한다.
나. 수급인은 설계변경 요청 시 변경 전후의 시공도면, 시방서, 내역서 및 기타 감리원이
요구하는 서류를 제출한다.
- 1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5.5.2 경미한 변경
가. 공사 중 현장사정 또는 기타 사유로 인하여 기기 및 재료의 설치위치, 설치공법, 배관
및 덕트 등의 위치 등을 변경하고자 할 때에는 그 사유를 감리원에게 제출하고 감리원의
승인을 받아 시공하되 이에 수반되는 경비는 수급인 부담으로 한다.
나. 수급인은 설계에 명기되지 아니한 것이라도 경미한 공사와 사소한 변경, 또는 기능상
꼭 필요한 부분의 공사에 대하여는 감리원의 요구에 의해 시공하며, 이에 수반되는
경비는 수급인 부담으로 한다.
5.6 타 공사와의 관련
- 16 -
01010 일반공통사항
5.6.3 공종간 공사 구분
공 사 구 분
주공정 세부 공사 항목 비고
토목 건축 소방 전기
6. 각종 신고 및 인허가
6.1 공정관리
감리자는 발주자와 수급인 사이에 계약된 준공일까지 관계기관의 제반 인․허가
필증을 받을 수 있도록 공정관리를 한다.
- 1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6.2 대관청 수속
가. 수급인은 공사 착수 전에 관계법규에 의해 발주자 및 감리자와 협의하여, 허가 또는
신고를 필한다.
나. 수급인은 공사를 위한 허가수속 또는 신고사항과 소방시설물 준공 후 시설물관리에
필요한 허가수속 및 신고사항 일체를 지체 없이 이행하며, 그 진행 사항을 수시로
감리원에게 보고 한다.
다. 상기 가, 나 항의 허가수속 또는 신고에 필요한 일체의 비용은 수급인 부담으로 한다.
라. 허가수속 완료 후 관공서 또는 기타 기관에서 발행된 인⋅허가 서류 일체는 감리원
에게 제출 한다.
마. 신고 또는 인·허가 시 제출서류
수급인이 인허가시 관할소방서에 제출하는 서류는 소방관련 법규에 의하며, 제출 전에
발주자 및 감리자의 확인을 받는다.
6.3 완공검사
수급인은 감리원 입회하에 다음의 시험 및 검사를 수행하고 해당기관의 완공검사를
받는다.
가. 소방시설의 외관 및 정돈상태의 확인
나. 소방시설의 작동시험
다. 소방시설이 설계도서에 나타내는 용량 및 성능을 갖고,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고 설비가 주위환경에 장애를 주지 않도록 한다.
라. 종합시험 및 성능시험은 감리원 및 수급인이 합동으로 실시하되 불합리한 사항이
발견될 시는 완료 시까지 수회 실시한다.
마. 종합시험 및 성능시험 방법은 「소방시설 자체점검사항 등에 관한 고시」 서식의
소방시설 성능시험 조사표에 따라 실시한다.
7. 준공 및 공사인도
7.1 준공도서
가. 수급인은 준공도서를 1부를 제출하여 감리원의 검토를 받아 미비된 사항을 보완하고 감리
자의 승인을 득한 후 요구하는 부수의 출력물과 파일을 발주자 및 감리자에게 제출한다.
나. 준공도서의 작성요령은 원칙적으로 공사용 설계도서의 작성 기준에 준한다.
다. 수급인은 소방공사 준공용 도서(도면, 시방서, 내역서 등), 종합시험 및 성능시험 결과
표, 사용설명서, 사진 등 소방준공을 위한 자료를 감리원이 요청할 시 즉시 제출한다.
- 18 -
01010 일반공통사항
7.2 사후처리
가. 수급인은 준공후의 설비 운영관리에 필요한 유지관리지침서 및 보수점검용 공구
일람표를 작성하여 감리원에게 제출한다.
나. 유지관리지침서에는 아래 사항을 포함한다.
1) 운전 전 점검사항
2) 운전 방법
3) 정비 및 보수 방법
4) 보전관리 방법
5) 기타 유지관리에 필요한 사항
7.3 준공
가. 수급인은 종합 시운전 결과 이상이 없고, 준공도서 및 행정서류가 완료된 경우 공사
감리자에게 준공신청을 요청한다.
나. 수급인은 감리자의 대관업무에 필요, 요구사항은 적극 협조한다.
다. 수급인은 준공 후 30일 이내 실시하는 관할 소방서의 소방점검에 적극 협조한다.
라. 관할 소방서의 소방점검이 완료되고, 기능 및 성능에 지장이 없다고 판단될 때에는
이를 완전준공으로 본다.
7.4 공사 인도
완공검사 후 운전교육을 실시하고, 다음에 표시한 관계 도서를 감리자에게 제출하고
소방시설을 인수인계 한다.
가. 완공검사 필증
나. 준공도서
다. 공사 사진첩
라. 관공서 등의 인·허가서류 및 검사필증
마. 성능시험성적서 및 검사증
바. 사용설명서 및 유지관리지침서
사. 공구류 및 기타 예비품
- 1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01020 가설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기준은 시설물 및 건축물의 소방공사의 가설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이 시방서에 명시되지 않는 사항은 다음의 기준을 적용한다.
가. KCS 21 20 05(국토교통부 재정 가설공사 표준시방서)
나. 한국산업표준(KS)
1) KS F 8002 강관 비계용 부재
2) KS F 8003 강관틀 비계용 부재 및 부속철물
2. 기기 및 재료
1.2 참고 기준에 의함
3. 시공
3.1 가설건물
가. 소방시설공사현장의 안전관리, 시공관리 상 필요한 울타리, 가설사무실 등을 설치한다.
나. 화기를 사용하는 장소에는 불연재료의 울타리를 설치하는 등 방화에 대비하여 필요한
조치를 강구한다.
다. 기기 및 재료창고는 그 품질 및 기능이 손상되지 않고 도난을 방지하는 구조로 한다.
또한, 도료, 유류, 기타 인화성 재료는 건축물 및 재료창고에서 격리된 장소에 보관하며
특히 방화상 안전한 조처를 강구하고 각 출입문에는 시건장치를 하고 출입구 인근과
내부에 소화기구를 설치한다.
라. 가설건물은 공사가 완공되면 즉시 철거한다.
3.2 비계
가. 공사용 비계는 공사의 종류, 규모, 장소 및 공기 등에 따라 적절한 재료 및 구조의
것으로 국토교통부 표준시방서 KCS 21 60 00을 따른다.
나. 비계는 KS F 8002 및 KS F 8003에 따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3 작업용 통로
소방시설공사를 위한 작업용 통로는 기기 및 재료의 반입 등에 용이함과 동시에
안전하게 설치하며 필요에 따라 보수 및 보강을 한다.
- 20 -
01020 가설공사
3.4 안전시설
가. 공사 중에는 추락, 낙하방지 등의 안전에 필요한 시설물을 설치하여 공사의 진행에
지장이 없도록 하며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나. 주변의 통행인 등에 영향이 없도록 조치하고 고압선 등이 있을 경우 절연조치 등을
강구한다.
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국토교통부 표준시방서 KSC 21 70 00을 따른다.
3.5 임시소방시설
「화재예방, 소방시설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공사현장에 임시
소방시설을 설치하고 공사기간 동안 유지관리하며, 소방시설공사 완공 시에는 철거
한다.
3.8 인접물 보호
인접한 건물과 공작물에 대한 보호 조처가 필요할 때에는 공사 진행에 지장이 없도록
이행한다.
- 2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01030 토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기준은 시설물 및 건축물의 소방공사 중 지하매설배관 등의 토공사에 적용한다.
1.2 참조표준
이 시방서에 명시되지 않는 사항은 국토교통부 제정 KCS 11 00 00(국토교통부 재정
지반공사 표준시방서) 중 토공사 표준시방서(KSC 11 20 00)에 의한다.
2. 시공
2.1 흙파기
가. 지중매설물은 사전에 충분히 조사하여 급수관, 가스관 및 지중배선 등이 흙파기 작업시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필요에 따라 응급조처를 행하고, 감독원 또는 감리원 및
다른 설비 관계자와 협의하여 처리한다.
나. 흙파기는 주변의 상황, 토질 및 지하수의 상태 등에 적합한 공법으로서 토사가 붕괴
하지 않도록 적절한 경사를 주거나 흙막이를 설치한다.
다. 바닥 면이 고르도록 흙파기를 하고, 지중배관을 위한 흙파기는 기울기 등을 정확히
유지하고 흙파기를 한 바닥을 잘 다진다.
라. 바닥 면을 손상케 할 우려가 있는 우수, 침입수 및 용수에 대해서는 적절한 조치를
강구한다.
마. 흙파기를 한 부근에 붕괴 또는 파손의 우려가 있는 공작물 등이 있는 경우는 특히
작업에 주의하고 손상을 입혀서는 아니 된다.
바. 동절기의 흙파기는 바닥지반의 표면이 동결되지 않도록 한다.
사. 지중에 매설하는 소화배관이 조경 식재 지역과 중복되지 않도록 하고, 흙파기로 인
하여 수목의 뿌리를 훼손하지 않도록 한다.
2.2 다지기
- 22 -
01030 토공사
2.2.2 자갈 다지기
가. 자갈의 크기는 45㎜ 이내의 자갈 또는 부순 돌로 한다.
나. 부순 돌은 풀이나 초목뿌리, 목재, 기타 유기물질을 포함하지 않고 흙 및 점토 5% 이하 ,
모래 30% 정도, 자갈의 입도 2㎜ 이상 50㎜ 이하의 것이 적당히 혼합된 것으로 한다.
다. 바닥 면에 자갈을 소정의 두께로 깔고 램머 및 소일콤팩터 등으로 밑면이 흐트러지지
않을 정도로 다진다.
2.3 되메우기
가. 관의 수압시험 및 방식 처리 등이 끝난 후에 배관류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한다.
나. 되메우기 흙에 석재, 벽돌, 목재 및 유기물 등이 섞이지 않은 양질의 흙을 사용하고
충분히 다져야 하며 토질에 따라 돋우기를 한다.
다. 성토의 재료는 양질의 흙을 사용하고 다짐공구는 또는 롤러를 이용하여 균일한
상태로 단단히 다진다.
라. 피복관이나 방식처리를 하여 표면 손상이 우려되는 배관을 매설하는 경우에는 배관의
아래 20cm, 위 30cm 를 양질의 모래로 채운 후 다짐을 하여 감독원 또는 감리원의
검측을 받은 후 흙으로 되메운다.
마. 되메우기 및 성토에는 동결된 흙을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바. 되메우기를 할 때에는 지하에 소화배관이 매설되었음을 나타내는 경고테이프를 설치
한다. 매설배관에는 외경에 10㎝를 더한 폭 이상으로 소화배관을 매립하였다는 사실이
나타나도록 규격의 보호포를 배관의 정상부로부터 30㎝이상 떨어진 배관의 직상부에
설치하고, 지면에는 배관의 매설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식을 한다.
사. 매설 소화배관의 설치기준은 다음 시공상세도에 준한다.
- 2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배관상단 30cm 이상
되메우기 및 포장 층
양질의 모래
배관위 모래포설 층
배관 배관 하단 20cm 이상(모래 포설 층)
그림 1 시공상세도
2.4 잔토처리
잔토는 공사장 내에 지정된 장소가 있는 경우 이외에는 장외로 운반하여 적절히
처리한다.
- 24 -
01040 소방기계 배관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아래의 소방시설공사에서 공통으로 사용되는 배관공사에 적용한다.
가. 옥내소화전설비
나. 스프링클러설비
다. 포소화설비
라. 옥외소화전설비
마. 상수도 소화용수설비
바. 연결송수관설비
사. 연결살수설비
아. 연소방지설비
1.2 용어정의
사용압력 : 배관의 최고사용압력은 펌프의 체절압력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따라서
펌프의 기동 시 배관위치별 최고 상승압력(펌프의 체절압력을 기준으로 산정)과 정지
시 정수두 압력 중 높은 것을 적용한다.
1.3 관련시방
이 장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다음 시방서의 해당 사항을 따른다.
01010 일반공통사항
1.4 참조표준
다음의 법규 및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4.1 관련 법규
01010 일반공통사항의 관련 법규 참조
1.4.2 관련 기준
01010 일반공통사항의 관련 기준 참조. 다만, 다음에 인용된 한국산업표준(KS),
단체 표준 및 기술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한다.
가. 한국산업표준(KS)
1) KS B 0222 관용 테이퍼 나사
2) KS B 0233 강제볼트 작은나사의 기계적 성질
3) KS B 0816 침투탐상 시험방법 및 침투 지시모양의 분류
4) KS B 0855 심용접 이음의 시험방법
- 2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 26 -
01040 소방기계 배관공사
42) KS D 3552 철선
43) KS D 3562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44) KS D 3576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45) KS D 3583 배관용 아크용접 탄소강강관
46) KS D 3595 일반 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47) KS D 3698 냉간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강대
48) KS D 3701 스프링 강재
49) KS D 3705 열간 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강대
50) KS D 4308 덕타일 주철 이형관
51) KS D 4311 덕타일 주철관
52) KS D 5301 이음매 없는 구리 및 구리합금 관
53) KS D 5506 인청동 및 양백의 판 및 띠
54) KS D 6704 땜납
55) KS D 7004 연강용 피복 아크 용접봉
56) KS D 8050 인동땜납
57) KS D 8304 전기 아연 도금
58) KS D 8308 용융 아연 도금
59) KS D 8319 은 경납땜 용가재
60) KS F 2803 보온 보랭 공사의 시공 표준
61) KS F 4901 아스팔트 펠트
62) KS L 9102 인조 광물섬유 단열재
63) KS M 3414 냉·온수 설비용 플라스틱배관계-염소화 폴리염화비닐(PVC-C)관
64) KS M 3404 일반용 경질 폴리염화비닐관
65) KS M 3862 발포 폴리에틸렌 보온재
66) KS M 5000 도료 및 관련원료의 시험방법
67) KS M 6020 유성도료
68) KS M 6030 방청도료
69) KS M 6070 분체 도료
70) KS M 6518 가황고무 물리시험방법
71) KS M 6613 수도용 고무
72) KS M 6962 고무발포 단열재
73) KS M ISO 3126 플라스틱 배관계-플라스틱 배관구성품-치수측정
74) KS M ISO 4097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 평가방법
75) KS M ISO 9772 발포플라스틱-소형 화염에 의한 수평 연소성의 측정
나. 단체표준
1) SPS-KWWA-D119-B1545-5455 구리 및 구리합금강 플레어 관이음쇠
2) SPS-KFCA-D4301-0515 회 주철품
- 2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1.5 제출물
다음에 언급한 것 외의 사항은 "01010 일반공통사항 4.제출물"에 따른다.
1.5.1 기기 및 재료의 승인
소방시설공사에 사용하고자 하는 모든 기기 및 재료는 자료를 제출하여 감독원 또는
감리원의 승인을 받은 후 사용한다.
1.5.2 견본
수급인은 기기 및 재료의 사용승인 제품(발주자 또는 공사감독자가 지정하는 기기
및 재료를 포함한다)에 대해서 감독원 또는 감리원의 요구가 있을 경우 견본을 제출
한다.
1.5.3 수압시험 일지
각 배관 시스템의 수압시험 기록 사진 및 일지를 제출한다.
1.6 품질보증
1.6.1 제조업자의 자격
지정된 종류의 기기 및 재료 등은 시・도지사의 허가를 받은 업체에서 생산한 제품을
사용한다.
1.6.2 소방시설공사업자의 자격
「소방시설공사업법」에 의거 소방시설공사업의 면허를 받은 자 중에서 해당 공사
적격업체로 도급받은 자를 말하며, 적격심사를 받지 않은 경우에는 감리자의 승인을
받는다. 또한, 부분 하도급자인 경우도 같다.
1.6.3 공사 전 협의
가. 건축구조물에 매입되는 슬리브, 인서트 플레이트 등 매입 철물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전에 설치위치 및 고정방법 등의 시공도를 작성하여 관련 공종과 협의하여 설치한다.
나. 배관시공에 앞서 다른 배관과의 병렬 및 교차의 최소간격, 기울기 등 관련 사항들을
충분하게 협의하여 배관 위치를 정확하게 결정한다.
- 28 -
01040 소방기계 배관공사
1.8 현장조건
가. 수급인은 공사의 세부적인 것까지 파악하여야 하고, 현장치수를 확인하며, 현장조건이
도면과 시방서에 일치하지 않을 때는 공사시행 전에 감리원에게 보고하고 협의하여
정한다.
나. 도면에 특별히 명시되어 있지 않는 슬리브, 서포트 등의 위치를 결정하고자 할 때
감리원과 협의하고 관련 공종의 관계자와 협의하여 정한다.
다. 소방시설공사로 인하여 파손된 건축구조체, 시설물 및 제품은 해당 공종과 협의하여
즉시 원상 복구한다.
라. 배관을 지하에 매설할 경우 관저부(Bedding)가 젖었거나 얼었을 경우에는 배관공사를
일시 중지한다.
1.9 시험 및 검사
가. 기기 및 재료의 품질시험은 "01010 일반공통사항 3. 기기 및 재료“에 따른다.
나. 시험결과 불합격률이 높다고 통보된 생산업체의 기기 및 재료는 사용을 제한하고,
검사 및 시험에 합격된 기기 및 재료라도 사용할 때 변질 또는 불량품으로 인정될
때에는 이를 사용 하지 않는다.
다. 시험 및 검사결과는 기록으로 남기고 필요시 사진을 첨부한다.
2. 기기 및 재료
2.1 배관재료의 적용
2.1.1 소방설비별 관의 적용
배관자재는 특별히 따로 정하지 않는 한 아래에 정하는 바에 따른다.
- 2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옥 내 옥 외
구 분 비 고
실내 수평
입 상 공동구 매설
(세대내 포함) (피트내 포함)
옥내소화전설비, 탄소 강관 탄소 강관 탄소 강관 탄소 강관 덕타일
연결송수관설비, 스테인리스 스테인리스 스테인리스 스테인리스 주철관,
연결살수설비, 강관 강관 강관 강관 소방용합성수 소방용
연소방지설비 동관 동관 동관 동관 지배관 합성수지
탄소 강관
배관은
스프링클러설비, 소방용합성수 탄소 강관 탄소 강관 탄소 강관 덕타일
간이스프링클러설비, 지배관 스테인리스 스테인리스 스테인리스 주철관, 세대내
2.1.2 사용압력별 관의 적용
배관자재는 특별히 따로 정하지 않는 한 아래의 사용압력에 따라 적용한다.
KS D 3562 압력배관용 탄소 강관
강 관 KS D 3507 배관용 탄소 강관
KS D 3583 배관용 아크용접 탄소강 강관
KS D 5301 이음매없는 구리 및 구리
동 관 -
합금관
소방용
KFI 소방용 합성수지배관 -
합성수지배관
- 30 -
01040 소방기계 배관공사
2.2 배관재료
2.2.1 강관 및 관이음쇠
강관 및 이음쇠의 재료는 아래 KS표준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관 이음쇠
구 분 직 관 비 고
나사식 용접식 플랜지
KS D 3507 SPP KS B 1531, KS B 1543 KS B 사용압력 : 1.2MPa
수계
(백관) KS B 1533 (SPP) 1503 10k 미만
소화 KS B
KS D 3562 SPPS 250 KS B 1543 사용압력 : 1.2MPa
- 1503 16k
배관 KS D 3583 SPW 400 (PS 380) 이상
이상
관 이음쇠
구 분 직 관 *주) 프레스식 비 고
용접식 플랜지
접합 등
KS B KS B
수계 소화 KS D 3595 KS B 1547 사용압력 : 1.2MPa
1543 1506 10k
배관 KS D 3576 미만
(STS)
*주) 프레스식 접합 등이란 프레스식 접합, 압축식 접합, 드레스형 스냅링식 접합, 클립식 접
합, 확관식 접합 및 신축 가동식 접합을 말한다.
2.2.3 동관 및 관이음쇠
관 이음쇠
구 분 직 관 비 고
압착식 용접식
수계 소화 사용압력 : 1.2MPa
KS D 5301 KS B 5578, P형 KS B 5578, B형
배관 미만, 습식에 한함
구 분 직 관 관 이음쇠(이형관) 고무링 비 고
수계 소화 사용압력:1.2 MPa
KS D 4311 KS D 4308 KS M 6613
배관 미만
구 분 직 관 관 이음쇠 비 고
1종 2종 1종 2종 성능인증기준 및
소방용합성
제품검사의
수지배관 *옥내 등 매설 *옥내 등 매설 기술기준에 따름
- 3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2.6 관 플랜지
가. 철강제 관플랜지
1) 철강제 관플랜지의 기본치수는 KS B 1511(철강제 관 플랜지의 기본 치수)를 따른다.
2) 강관의 플랜지 접합은 KS B 1503(강제 관 용접식 플랜지) 규격을 따른다.
3) 스테인리스강관 플랜지 접합은 KS B 1506(스테인레스강제 용접식 플랜지) 규격을
따른다.
나. 동관의 플랜지 접합은 KS B 1510(동 합금제 관 플랜지의 기본 치수)를 따른다.
다. 구성품
부품 구성은 다음과 같으며 이것에 준하는 동등 이상의 것으로 한다.
구분 규격 표면처리 최고사용온도
분체코팅 또는
조인트커버 덕타일 주철 -
페인트 도장
일반구조용 압연강재
볼트 및 너트 아연도금 -
(SS400)
2.3 배관 부속품
2.3.1 일반밸브류
밸브류의 표준 및 사용 구분 다음 표에 따른다.
사용구분
밸브류 재질 형식 규격 비고
호칭관경 압력
청동제 1.0 MPa 나사식 KS B 2301 50 이하 1.2 MPa 미만
- 32 -
01040 소방기계 배관공사
2.3.2 버터플라이 밸브
가. 몸통은 주철제. 덕타일 주철제 또는 플랜지가 없는 알루미늄 합금제, 디스크는 경질
크롬 도금을 한 덕타일 주철제 또는 스테인리스 주강제로 한다.
나. 몸통 또는 디스크는 탄력성, 내수성, 내열성 및 내마모성 등이 있어야 하며, 누수 방지가
쉬워야 한다.
다. 밸브의 개폐는 레버식과 핸들조작에 의한 치차식 중에서 선택 사용한다. 다만, 호칭
지름 150 이상은 핸들조작에 의한 치차식으로 한다.
2.3.4 감압밸브
몸통은 주철제, 디스크는 청동제 또는 합성고무로서 최고 사용압력에 견디고, 2차측
압력이 1차측 압력 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으며 작동이 확실한 것으로서 소음, 진동
및 수격현상이 없도록 한다.
2.3.5 볼탭
호칭지름 50 이하는 청동제 나사식, 호칭지름 65 이상은 주철제 플랜지형으로 폐쇄
시에 수격 및 진동 등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최고사용압력에 견디어야 한다. 볼의
재질은 합성수지 또는 내식성이 있는 금속재료로 한다.
2.3.6 솔레노이드밸브
가. 솔레노이드밸브는 사용하는 유체 온도에 적합하고 기능이 확실하도록 한다.
나. 몸체는 청동제 나사식 또는 플랜지형으로 솔레노이드코일은 자기발열에 충분히 견디며
코일소음이 없고 코일부를 교환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다. 직동형 솔레노이드밸브는 유량계수 및 적용 최대차압이 설치장소에 적합하며, 파일럿형
솔레노이드밸브는 밸브 전후의 차압이 작동범위 내에 있도록 한다.
- 3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3.8 자동 공기빼기밸브
자동적으로 공기를 추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동시에 최고 사용압력에 견딜 수 있어야
한다.
2.3.9 신축이음
가. 벨로즈형 신축이음
강관용은 KS B 1536에 적합한 것으로 벨로즈는 KS D 5506의 PBS 3-0 또는 KS D
3705, KS D 3698의 STS 304 또는 STS 304L로 하고 관의 신축에 대하여 작동이
원활하여 누설이 없어야 한다. 복식은 강도를 가진 스테인리스판이 있어야 한다.
동관용은 보호 외통이 있는 벨로즈형으로서 관접속부는 KS B 5578에 준하며 기타
부분은 강관용에 준한다.
나. 루프형 신축이음
관과 동일한 재료의 관을 가공한 것으로서 신축량을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며
각 부분의 단면이 원형을 유지하고, 두께가 균일하며 설계도면에 의한 곡률반경과
규격이 유지되도록 제작 설치한다.
다. 슬리브형 신축이음
본체는 탄소강강관, 압연강 재제 또는 주철제로 하며, 슬리브는 크롬도금을 한 탄소강
강관제로 하고 관의 신축에 대하여 작동이 원활하고 누설이 없어야 한다.
2.3.10 변위 흡수 관이음쇠
가. 금속제 변위 흡수 관이음쇠
플렉시블 관 이음쇠 및 유니버설형 관 이음쇠로 기계식 변위 흡수관 이음쇠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나. 고무제 변위 흡수 관이음쇠
원통형, 구형, 벨로즈형 고무제로 변위 흡수 관이음쇠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2.3.11 스트레이너
호칭지름 50 이하는 주철제 또는 청동제의 Y형 나사식으로 하고, 호칭지름 65 이상은
주철제 Y형 또는 U형 플랜지형으로 한다. 청소용 플러그는 황동제로, 여과망은
스테인리스 강제 또는 황동제로 하고, 사용 목적에 적합한 유효 면적과 최고사용
압력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 34 -
01040 소방기계 배관공사
2.3.12 슬리브
가. 슬리브의 지름은 관의 바깥지름(보온 된 것은 보온 피복 바깥지름)보다 40mm 정도
큰 규격으로 한다.
나. 슬리브의 재료는 다음 표에 의한다
구분 슬리브의 재질 비고
KS D 3507 지름 200mm 이하:
KS D 3506 0.5mm 두께
기둥, 벽, 바닥 등의 부분
KS M 3404 지름 200mm 이상:
KS D 3698 0.6mm 두께
수밀을 요구하지 않는 지하부분 KS M 3404
KS D 3507 흑강관에 두께
수밀을 요구하는 부분 4.5mm, 날개폭 50mm 이상의
강판을 용접한 것
2.4 접합재료
접합재료의 종류 및 규격은 다음 표에 따른다.
용도 명칭 적요
KS M 6613으로 압력 및 온도 등에 알맞은 내구성을 가
플랜지 접합 패킹
진 것으로 한다.
기계적 접합 KS M 6613으로 한다.
고무링
그루브 접합 배관 용도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밀봉 테이프 밀봉용 불화 에틸렌 수지 미소성테이프로 한다.
나사 접합 합성수지액상
배관용도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급수 및 소방용도)
개스킷
연납 KS D 6704에 의한 Sn계 용접봉으로 한다.
납 접합 KS D 8050 및 KS D 8319에 의한 BCuP계 또는 BAg계
경납
용접봉으로 한다.
코킹용 KS D 2302 5종
KS D 6704 또는 KS D 2302에 의한 5종으로 주석인곳은
납땜 접합 땜납용
KS D 2305에 의한 3종으로 하며, 65 Sn을 원칙으로 한다.
삽입접합용 50 Sn 으로 한다.
접착 접합 접착제 배관용도(급수 및 소방용도)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고무링 접합
고무링 KS M 6613으로 한다.
볼트 접합
강관 KS D 7004로 그 용도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용접 접합
스테인리스 강관 모제와 동일하고 그 용도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 3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5 지지 철물
2.5.1 공통
가. 지지철물은 관 구경에 정확히 일치하고 보온재 시공 등에 적합한 치수의 관 받침대
이어야 하며, 동관 지지 철물은 동관 배관에만 사용한다.
나. 소화배관의 지진 안전성을 위해 내진설계를 적용할 경우 별도의 내진설계 기준에
따른다.
2.5.2 조립식 가대
가. 조립식 가대는 볼트조립식으로 채널은 KS D 3503 또는 KS D 3515, 브라켓은 KSD 3501
또는 KS D 3506, 볼트는 KS B 1002, 너트는 KS B 1012, 와셔는 KS B 0233에
적합하거나, 동등이상의 성능으로 하며, 도금은 KS D 8304 또는 KS D 8308에 따른다.
나. 채널 및 부재는 크로메이트(chromating) 처리를 하여 백화현상을 최대 억제할 수
있는 내식성 제품 또는 동등 이상의 내식성을 갖는 도장 제품이며, 인서트플레이트,
셋트앵커는 채널 및 부재에 준하는 재질, 강도를 갖춘 제품으로 한다.
다. 배관이 수직 그리고 공통가대 상부에 설치되어도 관경 및 배열수에 따라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지지 강도를 갖는 구조로 한다.
2.5.2 용접식 가대
용접식 가대는 국토교통부 제정「건축공사 표준시방서」의 금속공사 및 설계도면에
따른다.
2.5.3 행거
가. 강재 : KS D 3503 SS 275 또는 KS D 3515 SM 275에 적합한 제품으로 한다.
나. 행거용 환봉 (또는 아연도금 전산볼트, 철심 삽입형 합성수지제 지지봉 등) 및 U볼트
지름은 다음과 같다.
1) 호칭지름 100 이하 : 9㎜
2) 호칭지름 125 이상 200 미만: 12㎜
3) 호칭지름 200 이상 : 15㎜
4) 합성수지제 지지봉 : 9㎜(철심 + 합성수지 외피)
다. 파이프 행거 : KS B 1527 표준에 적합한 제품 또는 합성수지제 또는 단축행거로 한다.
라. 합성수지제 파이프행거 및 철심 삽입형 합성수지제 지지봉은 인장하중 1000N 이상
이어야 한다.
마. 단축행거는 KS B 1527에서 정하는 하중검사를 충족하여야 하며, 설치 공간 등의
제약으로 KS규격의 파이프행거 적용이 불가한 경우에만 적용한다.
사. 절연 행거, 절연 U형 볼트의 절연재는 고무(EPDM) 또는 동등 이상의 성능을 가진
재질로서 두께 3㎜ 이상(절연 U형 볼트는 바닥 절연판을 포함한다.
- 36 -
01040 소방기계 배관공사
2.6 도장재료
가. 광명단 조합페인트 : KS M 6030의 1종 2류 규정에 적합한 제품으로 한다.
나. 알루미늄 페인트 : KS M 6020의 3종 규정에 적합한 제품으로 한다.
다. 에폭시수지 분체도료 : KS M 6070의 1종 규정에 적합한 제품으로 한다.
라. 조합페인트 : KS M 6020의 1종 1급 규정에 적합한 조합페인트로 한다.
2.7 보온재료
나. 외장재 및 보조재
1) 매직 테이프 : 두께 0.15mm 이상으로 VTM-0등급 제품 (시공부위 : 상세도 참조)으로 한다.
2) 아연도 철선 : KS D 3552의 SWM-F, 후도금용 규격에 적합한 제품 중 지름 0.62mm
이상으로 한다.
3) 알루미늄 밴드 : 두께 0.3mm 폭 30mm 제품으로 한다.
4) 컬러아연강판 : KS D 3520의 일반용 2류 규격에 적합한 제품으로 양면 도장된 강판
으로 한다.
가) 밸브보온 : 두께 0.27mm 이상으로 한다.
나) 장비 및 기타보온 : 두께 0.35mm 이상으로 한다.
5) 방습재 : KS F 4901에 규정한 아스팔트펠트로서 제품의 단위무게 440품으로 한다.
다. 성능기준
구 분 시험방법 시험항목 등급기준
고무발포보온재(1종)
KS M ISO 9772 수평 연소성 HF-1
발포폴리에틸렌(2종)
2.7.2 보온 마감재
가. 매직테이프 등
발포폴리에틸렌 보온재
구 분 유리면 / 암면
무 은박 은박
적용부위 옥내 및 옥외 배관 옥내 및 옥외배관 세대 스프링클러 배관 매입배관
보온마감 매직테이프 매직테이프 색상 테이프
- 3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나. P.P Sheet
AL-Foil과 P.P 또는 P.E.T 필름과 P.P를 Dry Laminating 공법으로 Sheet화한 제품
으로 Sheet에 물리적인 힘으로 변형을 주었을 경우 분리되지 않아야 한다.
1) 색상 : 은색으로 한다.
2) 두께 : 0.4mm 이상으로 한다.
3) 직관용 Sheet : 규격품으로 한쪽 끝은 롤러 처리한다.
4) 엘보용 커버 : 규격품으로 일정의 밴드 타입의 쪽을 Spot 용접한다.
5) 접착 테이프 : 제조업체가 추천하는 시중 최상품으로 동일 재질 및 색상으로 한다.
2.8 발열선 재료
2.8.1 발열선
가. 케이블식 발열선
1) 발열선은 연속병렬 저항체로서 온도변화에 따라 자동으로 발열량이 조절되는 기능을
갖는 자율온도 제어형 발열선(Self Temperature Regulating Heating Cable)으로 한다.
2) 발열선은 케이블 길이를 임의로 절단 피복층을 용이하게 벗겨 사용할 수 있는 제품
으로 케이블을 겹쳐 사용하더라도 국부과열, 소손 등이 발생되지 않아야 한다.
3) 발열선은 UL, FM, EX 표시 시스템인증제품 또는 동등 이상의 시스템인증제품으로
다음 사항에 적합한 것으로 한다.
가) 발열량 : 사용전압 220V, 60Hz, 파이프 표면온도 10℃일 때 16W/m 이상으로 한다.
나) 최고 연속 사용온도 : 65℃로 한다
다) 최대 순간 사용온도 : 85℃로 한다.
라) 작동범위 : 0℃∼15℃로 한다.
4) 부속자재(Accessaries)는 UL, FM, EX 표시품 또는 발열선과 같은 인증품 수준
이상으로 한다.
5) 발열선의 피복재질은 방수, 방습성에 강하고 내구성이 있는 제품으로 한다.
2.9 표식
가. 장비 표식
1) 재질은 플라스틱 판을 사용하며 백색바탕에 흑색 글자로 하며, 장비에 직접 부착
하거나 잘 보이는 장소에 매달 수 있으며, 장착용 고리는 황동제 체인이나 황동제
S형 훅(hook)을 사용한다.
- 38 -
01040 소방기계 배관공사
2.10 계측기 및 기타
가. 압력계, 진공계, 연성계
1) 압력계, 진공계 및 연성계는 KS B 5305에 따르며, 측정하는 유체의 종류 및 설치
장소에 적합한 것으로 하고, 눈금판의 바깥지름은 100mm 또는 용도에 적합한 규격
으로 하며 콕을 부착한다.
2) 최고 눈금은 최고 사용압력의 1.5배 이상 3배 이하이며, 진공 측 눈금은 100 kPa
(760mmHg)로 한다.
나. 물 유량계 : KS B 5323에 준하는 유량계 또는 오리피스 플래이트에 의해 생기는
바이패스 유량을 면적 유량계에 의해 측정하거나 피토관 방식에 의한 것으로 유량
지시부는 유리제로 하며 최고사용압력에 견디고 기능이 확실한 것으로서 사용압력은
1.0MPa 이하로 한다.
다. 유리수면계 : 유리관의 내경은 10mm 이상으로 최고사용압력의 1.5배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또 검수 콕 및 유리보호 철물을 부착하고 유리관이 파손되어도 물이 새지 않는
밸브구조 등으로 한다.
- 3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11 자재품질관리
자재의 관리는 "01010 일반공통사항 3. 기기 및 재료“에 따른다.
3. 시공
3.1.1 일반사항
가.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소화배관은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시공한다.
나. 시공에 앞서 소화배관에 대하여 다른 설비배관, 덕트, 전선관 등과의 병렬 및 교차에
따른 최소간격, 필요한 기울기, 슬리브의 위치, 장래의 보수 및 배관교체 등 관련사항
들을 고려한 후 배관 위치를 정확히 결정한다. 또한 필요에 따라 공기빼기밸브와
배수밸브 등을 설치한다.
다. 호칭지름 50 이하는 나사접합, 호칭지름 65 이상은 용접접합 또는 홈(그루브)조인트
접합을 원칙으로 한다.
라. 기기 주위의 배관은 기기의 조작, 점검, 보수용 여유를 확보함과 동시에 필요한 장소에
배관 분리용 플랜지 등을 설치한다.
마. 배관 피트, 거푸집 및 슬리브의 고정
콘크리트의 바닥 및 벽 등에 매설할 배관 또는 관통하는 관에 대해서는 콘크리트
타설 전에 충분히 강도가 있는 거푸집 또는 슬리브 등을 정한 위치에 설치한다. 관의
슬리브는 강관제, 1.6 mm 이상의 강판제 또는 배관의 용도와 설치 장소에 따라 합성수
지제로 한다. 방수층에 사용하는 슬리브는 방수에 지장이 없는 구조로 한다.
바. 지지철물의 고정
1) 천장 또는 벽에 고정하는 인서트 및 지지 철물은 건축공사의 진행에 맞추어 소정의
위치에 정확하게 부착한다.
2) 벽체 매립관에는 충격이나 이상 진동 등이 전달되어 배관 및 벽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시공한다.
3) 장비류 등과 연결되는 배관은 그 중량이 장비에 직접 미치지 않도록 지지한다.
사. 신축이음쇠를 설치하는 배관에는 그 신축부분을 기점으로 하여 유효한 곳에 고정철물과
가이드를 설치한다.
아. 관의 지중매설 깊이는 일반부지에서는 300mm 이상, 차량통로에서는 750mm 이상 그리고
중차량 도로에서는 1,200mm 이상으로 한다. 단, 한랭지에서는 동결심도 이상으로
매설하며, 매설심도는 공사시방서를 따른다. 도로 횡단부 또는 특히 하중이 걸리는
부분과 지반이 연약한 곳 등 매설심도가 나오지 않을 경우에는 콘크리트 또는 이중관
등으로 보호한다.
자. 배관의 시공 시 부식이 예상되는 부분에는 방식 테이프 등을 사용하여 부식을 방지
토록 한다. 또한 이종관 접속의 경우에는 절연부속을 사용하여 절연 접합토록 한다.
- 40 -
01040 소방기계 배관공사
차. 배관이 구조체 등을 통과하여 슬리브 주위가 실내에 노출되어 마감이 필요한 경우에는
관좌금을 설치한다.
카. 모든 배관은 이경관을 접속할 때 붓싱 사용을 금하고 리듀서를 사용한다.
타. 입상배관의 상, 하. 신축 및 팽창에 따른 마찰소음 및 좌굴이 발생되지 않도록 입상
배관과 일체형 고정틀의 접촉면 사이에는 미세한 간극을 유지한다.
3.1.2 관의 절단 및 절단부의 처리
가. 관의 절단은 관의 배관길이를 정확하게 측정한 후 축선에 직각이 되도록 절단하고 절단
시 관지름이 축소되거나 도금 또는 도복장재의 칠이 벗겨질 수 있는 절단기기 및 공구류
등은 사용하지 않는다.
나. 모든 관의 절단부위는 줄 및 라이머 등을 사용하여 내외면의 덧살 및 거스러미 등이
없고 축선과 직각으로 평면이 되도록 다듬질한다.
3.2 관의 무용접 접합
3.2.1 강관
가. 나사 이음
접합용 나사는 KS B 0222를 따른다. 접합할 때의 수나사부에 사용하는 밀봉테이프,
액상 개스킷 또는 충전 재료 등은 가능한 한 소량으로 하고 굳은 페인트 및 퍼티
등은 사용하지 않는다. 라이닝 강관류 및 도복장 강관 등에서는 관단면 또는 이음쇠의
나사단부에 관과 동질재의 방식제를 충분히 바른 후에 나사를 조인다.
나. 플랜지 접합
1) 패킹은 두께 3mm 이하의 것을 사용하고 관 안지름과 일치하도록 플랜지 사이에
놓고 볼트를 균등하게 조인다. 개스킷 양면에 소량의 충전제를 균등하게 얇게 바르는
것은 허용되나, 굳은 페인트 퍼티 등을 사용해서는 안된다. 라이닝관 및 도복장
강관에 사용하는 플랜지 면은 관 내면에 사용되는 재질과 동질의 것으로 피복 또는
도장한다.
2) 와셔는 평 와셔 또는 스프링 와셔를 사용하고 볼트를 고르게 조이되 노출되는 볼트
산의 수는 3개 이상으로 하되 볼트지름의 2배를 넘지 않아야 한다.
다. 홈(그루브)조인트 접합
관단부에 홈(그루브)를 가공하고 고무링과 하우징 등의 부품을 소정의 위치에 정확
하게 삽입하여 접합한다.
- 4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2.2 스테인리스강관
가. 프레스식 접합
이음쇠 내부에 고무링이 정착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전용 프레스 공구를 사용하여
시공한다.
나. 압축식 접합
관에 너트와 슬리브를 삽입하고 관을 이음매 받이 홈 끝까지 밀어 넣은 다음 너트를
손으로 조여 고정하고 다시 스패너로 견고하게 조인다.
다. 드레스형 스냅링식 접합
전용공구로 관에 링용 홈을 가공하여 너트, 스냅 링, 와셔 및 고무패킹을 차례로 삽입
하고 스냅링을 홈에 끼운 후 너트를 손으로 조인 다음 스패너 또는 파이프 렌치로
견고하게 조인다.
라. 클립식 접합
이음쇠 내부에 고무링, 백업 링 및 삽입 링을 장착하고 전용 공구로 조인다.
마. 확관식 접합
관에 너트를 삽입한 후 관의 끝부분을 확관공구로 확관하고 고무패킹을 이음쇠
몸통에 장착한 다음, 관을 이음쇠 몸통에 끼워 너트를 손으로 조인 다음 스패너로
견고하게 조인다.
바. 신축 가동식 접합
관에 너트와 오링, 리테너, 끼움고리, 와셔 및 고무패킹을 삽입하고 너트를 손으로
조인 다음 스패너로 견고하게 조인다.
사. 플랜지 접합
관 끝에 관과 같은 재질의 스톱엔드를 용접한다. 사용하는 개스킷은 4불화 에틸렌제,
내열 고무제, 또는 스테인리스 강용 개스킷 등을 사용하며 석면은 사용하지 않는다.
아. 홈(그루브)조인트 접합
관단부에 홈(그루브)를 가공하고 고무링과 하우징 등의 부품을 소정의 위치에 정확
하게 삽입하여 접합한다.
3.2.3 동관
가. 압착접합
관을 절단하고 덧살을 제거한 후 관 끝으로 압착이음쇠를 끼운다. 압착이음쇠는 KS
B 5578 P형으로 하며, 관이음쇠에 삽입되는 고무링의 재료는 KS M 6613에 따른다.
나. 용접 접합
1) 관을 절단하고 덧살을 제거한 후 관 끝으로 납땜이음쇠를 끼운다. 납땜이음쇠는
KS B 5578 B형으로 하며, 삽입되는 관 끝의 내외면 덧살을 제거하고, 확관된 관이나
관 이음쇠에 접합될 관 외면을 잘 닦아낸 다음 플럭스를 바르고 조립한 후에 용접한다.
2) 동관의 납땜은 납땜부위를 미세한 샌드페이퍼 또는 와이어 브러쉬로 깨끗이 연마한
후 플럭스를 도포하고 적합한 납땜을 사용한다.
- 42 -
01040 소방기계 배관공사
3.2.5 소방용합성수지배관
가. 배관 등의 내·외면은 매끈하고 해로운 흠, 갈라짐, 비틀림 등이 없는지 확인 후 시공 한다.
나. 배관을 절단하여 사용 시에는 단면은 관축에 대하여 직각으로 깨끗하게 절단한다. 다만,
모서리치기를 하는 경우에는 관축에 대하여 15° ∼ 45°의 범위 이내로 한다.
다. 스프링클러설비신축배관 접합부 등 금속재와 결합하는 나사식 이음관의 경우 결합
부분의 내측 또는 외측면을 금속재로 보강한다.
3.2.6 이종관의 접합
이종관의 접합은 다음 표에 따른다.
- 4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접속 관종 적요 비고
강관 각자의 이음을 코킹하여 플랜지 접합
주로 매설배관에서
덕타일 스테인리스강관 각자의 이음을 코킹하여 플랜지 접합 건축물 내부
주철관
동관 각자의 이음을 코킹하여 플랜지 접합 연결부위에 사용
공동주택 세대내
동관 소방용합성수지관 어댑터를 이용한 나사형 이음 또는 플랜지 접합
적용
3.2.7 신축이음
가. 소화배관의 신축이음이 필요한 입상관 및 횡주관에는 설계도면에 따라 신축이음을
설치한다.
나. 공동구 배관에는 관의 신축량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위치에 신축이음을 설치하고,
신축기점으로 부터 유효한 곳에 고정철물을 둔다.
다. 도면에 표시된 곳(신축기점으로부터1.5 m 이내)은 관 가이드를 설치한다.
라. 건축물의 신축 이음부를 통과하는 배관 등은 쌍방의 건물에서 발생하는 최대 상대
변위량을 흡수할 수 있는 배관의 휨성(플렉시블 조인트)을 이용하거나 변위 흡수관
이음쇠를 사용한다. 또한 건축물의 신축 이음부 양쪽 배관에는 스포트를 설치한다.
3.2.8 변위 흡수 관이음쇠 설치
가. 펌프의 흡입측, 펌프의 토출측 및 고가수조와 소화배관 연결부위에는 변위 흡수관
이음쇠를 설치한다.
나. 변위 흡수 관이음쇠 설치는 설계도면을 따르며, 배관과 일직선이 되게 설치하며,
뒤틀림이나 변형이 없어야 한다.
- 44 -
01040 소방기계 배관공사
3.3 관의 용접 접합
3.3.1 강관
가. 홈 내기 가공
1) 홈 내기 가공은 원칙적으로 기계가공으로 한다. 부득이하여 자동 또는 수동으로 열
절단가공 시에는 반드시 그라인더 마무리로 면가공을 행한다. 홈 내기 면은 매끈하게
마무리하고 홈 내기 면에 부착되어 있는 찌꺼기는 완전하게 제거한다.
2) 접합부분 홈 내기 및 용접부 간격의 치수는 다음 표와 같다.
t @ 루트 간격 루트 면 강관의
홈내기 형상
[㎜] [도] a[㎜] b[㎜] 호칭경(A)
나. 용접 시공
1) 맞대기용접
ㄷ자형의 가용접물을 3∼4개소 가용접하거나 클램프를 사용하여 관을 회전시키면서
하향으로 용접한다. 관을 회전시킬 수 없을 경우에는 밑에서 위로 용접한다. 용접부
원주상에 가용접이 된 경우에는 가용접 위치에 도달하면 그라인더 등으로 가용접부
를 완전하게 갈아낸 후 본용접을 행한다.
2) 밀어넣기 용접(Socket Welding)
배관하기 전에 관의 한 방향에 나사 없는 소켓을 용접한 후 다른 관을 정해진 깊이
까지 밀어넣고 용접한다.
3) 플랜지 용접
플랜지 면이 관에 직각이 되도록 맞추고 볼트 구멍을 일치시켜서 3∼4개소 가용접한
후 본용접 한다. 관지름 65A 이하는 단면 용접하고 관지름 80A 이상은 양면 용접한다.
4) 웰도렛(Weldolet)
관지름 65A 이상 규격에서 현장에서 주관보다 가지관이 3단계 혹은 그 이상으로
작은 경우에 국제규격품(ISO 또는 ASME) 이음을 사용할 수 있다.
- 4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다. 용접부 검사
용접부는 외관검사를 한다. 외관검사 이외의 검사가 필요할 경우는 KS B 0845 및
KS B 0816을 따른다.
라. 용접기 용량
용접기 용량은 안전을 위하여 최대 사용량의 145% 이상의 것을 사용한다.
마. 용접사의 자격
용접공은 용접기능사 자격증 소지자 또는 현장 용접 시험을 통과한 자로 한다.
3.3.2 강관스테인리스 강관
가. 용접 시공
TIG용접기로 맞대기 용접하며, 호칭지름 50 이하의 배관은 선택적으로 소켓용접을
적용할 수 있다.
나. 용접사 자격
용접사는 KS B 0855에서 규정하는 자격을 갖는 자로 한다.
다. 용접부 검사
용접부는 외관검사를 행한다. 외관검사 이외의 검사가 필요할 경우에는 KS D 0237에
따른다.
3.4 관의지지 및 고정
가. 층간 변위 및 수평 방향의 응력을 검토하고, 필요할 때에는 좌굴 응력에 대해서도 검토
한다. 지지구간 내에서 간의 중간이 처지거나 진동이 발생하지 않도록 행거 또는 지지
철물을 사용하여 적절한 간격으로 지지 고정한다. 동관, 스테인리스강관의 밴드, 지지
철물류는 관과 직접 닿지 않도록 관과의 사이에 적절한 절연재를 사용한다.
나. 수직관의 하단부는 관의 총중량에 의하여 하단부 곡관의 처짐 또는 곡관의 자중에
의하여 수직관의 하단이 이완되어 밑으로 내려가지 않도록 지지철물 및 콘크리트 받
침대로 고정한다.
다. 스테인리스강관 및 동관의 지지철물은 절연용 행거 등을 사용한다.
라. 배관의 지지간격은 「국가화재안전기준」에서 별도로 규정한 것을 제외하고는 다음
표를 따른다.
관
구 분 지 지 간 격 비 고
재 질 호 칭 경
탄소 강관, 스테인리스
각 층에 1개소
수직관 강관, 동관 및
이상
소방용합성수지 배관
40㎜ 이하 1.5m 이내
탄소 강관
50㎜ 이상 3.0m 이내
동관 50㎜ 이하 1.5m 이내
수평관 스테인리스 강관 65㎜ 이상 3.0m 이내
1본당 1.5m 이상일 경우는
덕타일 주철관 직 관 1본에 1개소
1.5m마다 지지
소방용합성수지배관 1.5m 이내
- 46 -
01040 소방기계 배관공사
3.5 벽 및 바닥의 관통
3.5.1 강관슬리브
벽, 바닥 등을 관통하는 배관에는 관통부에 박스 또는 슬리브를 매설한다. 슬리브는
강관 또는 동등 이상의 강도와 내식성을 가진 것으로 한다. 박스 또는 슬리브를 매설
할 때에는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 이동이나 변형이 없도록 박스, 슬리브의 모양 그리고
치수에 적합하도록 충분히 보강한다. 방수층, 물로 청소할 필요가 있는 바닥, 보, 내진벽
또는 외벽 등을 관통하는 부분은 가각 그 곳에 적절한 슬리브를 사용한다.
가. 방수층의 관통부
방수층에 잘 밀착하는 구조로 하며, 지수판이 부착된 슬리브를 사용한다.
나. 물청소가 필요한 바닥의 관통부
슬리브는 강관을 사용하고, 위쪽을 마감면으로 부터 30mm 이상 올린다.
다. 기둥, 내진벽 및 외벽 관통부
구조체의 강도에 지장이 없는 구조와 치수로 한다.
3.5.2 관 관통부위의 틈새
노출부분, 소음방지 및 방화구획이 필요한 부위는 「건축관련법 및 소방관련법」에
적합하게 시공한다.
3.5.3 관좌금
보온하지 않은 배관이 천장, 바닥 및 벽을 관통하는 경우, 보이는 부분에는 관좌금을
설치한다.
3.6 배관 및 철재도장
가. 도장시공의 유의사항
1) 색의 얼룩, 칠의 떨어짐, 몰림, 거품, 주름 및 솔자국 등의 결점이 없도록 전체 면을
균일하게 칠한다.
2) 도장장소 주변을 오염 및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고 필요에 따라 적절한 보호조치를 한다.
3) 도장장소의 온‧습도 및 환기 등 건조조건에 주의하고 도료의 종류와 건조조건에
따라 적합하게 정한다.
4) 도장을 하는 환경은 환기를 하고 용제에 의한 중독을 방지한다.
5) 도장 시에는 화기 및 전기 스파크로 인한 인화에 주의하고 화재 및 폭발 등의
발생을 방지한다.
6) 도장장소의 기온이 5℃ 이하, 습도가 85% 이상 또는 환기가 충분하지 않고 결로가
있는 등 도료의 건조에 적당치 못한 장소에서는 원칙적으로 칠을 하지 않아야 한다.
부득이 칠을 할 경우에는 온・습도를 유지할 수 있는 보온 및 환기 등의 보호조치를
한 후에 행한다.
7) 외부 도장은 강우의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나 강풍 시에는 원칙적으로 작업 하지
아니한다.
- 4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나. 방청도장
배관, 지지철물 및 철제면에 대한 1회의 방청칠은 현장반입 즉시 실시하고, 조립 후
도장이 곤란한 부분은 조립하기 전에 2회의 방청칠을 실시한다. 2회 도장은 공사현장
에서 부착물을 제거하고 나서 1회 도막의 불완전한 부분을 보수 도장한 후 전체 도장을
실시한다.
다. 배관 및 지지금구류의 도장
구 분 적 용 도 장 내 용
보온마감 광명단 조합페인트 2회
흑 강 관
보온하지 않는 배관 광명단 조합페인트 1회 + 알루미늄 페인트 2회
보온마감
백 강 관
보온하지 않는 배관 알루미늄페인트 2회
노출 마감 광명단 조합페인트 1회 + 조합페인트(지정색) 2회
기타 철재
은폐 마감 광명단 조합페인트 2회
3.7 보온 공사
3.7.1 보온공사 준비
가. 보온 시공에 앞서서 기기 및 관 표면의 유지, 녹 기타 부착물 등을 제거하여 방식처리를
한 후 표면이 충분히 건조되었는지 면밀하게 조사한다.
나. 모든 보온 공사는 수압시험 합격, 페인트 도장, 발열선 감기 등 제반공사가 완료된
후 실시한다..
다. 보온재의 비산으로 인하여 작업자에게 위해가 되는 경우에는 반드시 마스크 등 호흡기
보호 장구를 착용한다.
3.7.2 보온 표준두께
가. 표준 보온 두께는 다음 표와 같고, 보온두께는 보온재만의 두께를 말하며 외장재 및
보조재 등의 두께는 포함하지 않는다.
(단위 : ㎜)
호칭지름 40 이하 50∼65 80 100 125 150 200 250 이상
- 48 -
01040 소방기계 배관공사
지역
보온 기준 적용 부위 배 관 명
구분
- 옥탑층
소화배관
50㎜ 보온 - 옥상 수조
- 지하층 소화배관
중부
지역 - 외기 또는 비난방실과 면한 벽면이 2면 이상인 PD,
25㎜ - 피로티 천장
소화배관
보온+발열선 - 지하3층 까지 주차장의 옥내소화전 및 스플링클러
2차측이 건식인 경우 1차측 소화수가 채워진 구간 까지
- 옥탑층
- 옥상 수조 소화배관
50㎜ 보온 - 지하
남부 소화배관
- 외기 또는 비난방실과 면한 벽면이 2면 이상인 PD
지역 (25㎜+발열선도 가능)
- 피로티 천장
25㎜
- 지하2층 까지 주차장의 옥내소화전 및 스플링클러 소화배관
보온+발열선
2차측이 건식인 경우 1차측 소화수가 채워진 구간 까지
제주도 표준 보온 두께를 따른다.
3.7.3 배관 보온
가. 보온이 필요한 부위
1) 피트 내 배관
2) 덕트 내 배관
3) 벽체 매립배관(결로방지)
4) 펌프실, 중간기계실 및 공동구의 소화배관
5) 기타 필요한 부분
나. 보온 마감재 색상구분
소화배관 : 적색
다. 보온시공
1) 설치할 보온재는 표면이 매끄럽고 균등해야 하며, 보온통은 한쪽만 갈라진 제품을
사용한다. 잘린 조각을 사용하거나 잘린 조각을 이어서 시공하여서는 안 된다.
2) 방습재는 보온통 위에 끊어지는 부분이 없도록 해야 하며, 구멍이 뚫리거나 그 외
다른 손상이 없도록 보온한다.
3) 보온재의 이음부분이 틈새가 없도록 하여 배관에서의 열손실을 방지하여야 하고
관축 방향의 이음선이 동일 선상에 있지 않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 4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 50 -
01040 소방기계 배관공사
3.7.5 장비 보온
가. 보온재는 표면이 매끄럽고 균등한 것을 사용하고 잘못 이어진 부분은 다시 시공해야
한다. 보온재 이음부에 틈새가 벌어진 곳에 방습재 혹은 밀봉재를 채워 넣는다.
나. 장비용 방습재는 끊어지는 부분이 없도록 하며, 구멍이 뚫리거나 그 외 다른 손상이
없도록 보온한다.
다. 장비용 보온재는 한 겹이든 두 겹이든 가능하면 서로 엇갈리는 이음으로 시공하고
한 겹 이상을 보온할 경우 한 겹씩 작업한다.
라. 보온표면은 피복재로 깨끗하고 견고하게 고정시켜 마감해야 하며, 이음부위는 최소
50mm 겹치도록 한다.
마. 망가진 보온부위, 망가진 방습재 및 습기 찬 보온부위는 새로운 보온재로 교체 시공한다.
바. 기타장비 및 기기류의 보온은 KS F 2803의 시공표준 및 설계도면에 따라 시공한다.
3.7.7 보온재의 보호
수급인은 공사기간 중 시공된 보온재의 파손 및 품질저하를 막기 위하여 타 공종
작업자에게 보온재 보호를 주지시킨다.
3.7.8 보온 검사
가. 시공 면에 침을 수직으로 찔러 그 두께를 검사하며, 이 경우 두께의 허용차는 3mm
이내로 한다. 다만, 시공 전에 보온재 두께에 대해서 확인을 득한 경우는 시공 후의
두께 검사를 생략할 수 있다.
나. 보온 외장재의 겹침 부위 및 색상, 방습재, 알루미늄 밴드 간격 등을 검사한다.
3.8 발열선 설치
3.8.1 공사 준비
가. 발열선을 설치하기 전에 배관 등의 수압시험 및 도장이 완료되어 완전히 건조되었는지를
확인하고 배관 등의 표면에 이물질이 없도록 깨끗이 청소한다.
- 5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8.4 접지선 연결
접지선 연결은 발열선 제어반 결선 시에 접지선을 인출하여 제어반과 배관에 접속
시켜 접지가 되도록 한다.
3.8.6 코드선 연결
케이블식 발열선 및 커버식 발열선의 접지형 코드선 플러그를 접지형 콘센트에
연결한다.
3.9 표식 설치
가. 플라스틱 명판을 부착할 경우에는 부식방지용 Fastener나 접착제로 부착한다. 또한,
영구적으로 접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접착제를 충분히 도포한다.
나. 밸브인식표 및 화살표는 소방시설공사가 마감된 상태에서 가장 잘 보이는 곳에 설치한다.
다. 밸브인식표는 펌프실, 기계실, 공동구 교차구, 지하층 및 옥상층에 있는 각 배관
시스템의 밸브, 공기빼기밸브 및 드레인밸브에 설치한다. 다만, 체크밸브, 안전밸브,
감압밸브 등은 제외한다.
- 52 -
01040 소방기계 배관공사
3.10.1 배관 시스템의 검사
배관 시스템이 도면, 시방서, 제조업자의 제출 자료들과 일치하는지 검사하여야 하며,
발주자의 최종 승인 전에 계약조건이 일치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각 시스템들을
실제로 작동시켜 시험하고, 수급인이 시행한 공사의 결함사항을 수정하여야 한다. 또한,
수급인은 시험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물, 전력, 기구 및 인원 등을 제공한다.
3.10.2 조립검사
플랜지 접합부의 볼트 채우기, 브래킷 및 행거 등의 설치가 적합한 지의 여부와
신축관 이음의 유체흐름 방향을 확인한다.
3.10.3 배관 세척방법
세척방법은 관 재료 및 관의 내면상태를 고려하여 다음의 방법 중 좋은 것을 선택한다.
가. 물 세척 방법
1) 세척용수
물 세척 및 수압시험용 물은 시수사용을 원칙으로 하되 부득이한 경우 지하수 등
배관 부식에 영향이 적은 물을 사용하여야 하며, 지하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지하수용
수조에 침전조를 설치하여 24시간 이상 침전시켜 흙, 모래 등 이물질이 배관에 들어
가지 않도록 한다.
2) 물 세척은 배관전체를 2회 이상 세척한다..
3) 물 세척 요령
가) 물 세척은 압력물 및 햄머링을 병용하여 유출시키든가 관에 물을 충만시켜 일시에
배출시킨다.
나) 부분세척은 배관을 적당히 분할하여 제작한 Piece로 적용하고, 전체 물 세척은
장치에 연결한 모든 배관에 적용할 것. 물 세척이 부적당한 부분은 압축공기를
불어넣어 내부를 청소한다.
다) 전체 물 세척 시 배관 중에 계장기기가 있는 경우는 원칙적으로 계장기기를 떼어
내고 대신에 단관을 붙여 행하고 컨트롤 밸브를 설치한대로 행할 경우는 세척물이
흐르는 방향 밸브직전의 플랜지를 개방하여 상류측을 충분히 세척한 후 원 상태로
접속하여 컨트롤 밸브에 이물질이 부착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4) 물 세척 후 스트레이너의 스크린, 배관의 낮은 부분 및 탱크 드레인 등에 이물질이
끼어 있는지 조사하고, 만약 이물질이 발견되면 세척과 검사를 반복한다.
- 5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나. 공기퍼지 세척방법
1) 공기퍼지 회수
가) 부분 퍼지 : 2회 이상으로 한다.
나) 전체 퍼지 : 1회 이상으로 한다.
2) 공기퍼지
가) 공기퍼지는 오일 성분이 없는 압축공기와 햄머링으로 병용하여 행하여야 한다.
나) 부분 퍼지는 배관을 적당히 분할하여 제작한 Piece로 적용한다.
다) 전체 퍼지는 인접한 기기간의 모든 배관에 적용한다. 그러나 기기의 형상, 내부
구조, 충전물 등에 의해서 기기를 포함 적용하는 경우는 전체 세척계획에 따라
결정하는 것으로 한다.
라) 배관 중에 계장기기가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전체 퍼지 방법 및 일시적 스트레이너
설치에 준한다.
3.10.4 시험
가. 모든 배관은 배관의 일부 또는 전 배관을 완료한 후 수압시험을 하였을 때 누수나
압력게이지 강하가 없어야 하며 수압시험 일지(사진 첨부)를 기록한다.
나. 배관의 수압시험은 “소방시설 성능시험 조사표의 수압시험기준” 에 따라 실시하고
배관의 누수가 없는지 검사한다. 수압 최소 유지시간은 2시간 이상으로 한다.
3.10.5 보호
가. 소화배관의 관 보호를 위한 적절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나. 혹한기 동파방지를 위하여 동파가 우려되는 부위는 컴프레셔 등을 사용하여 완전퇴수 조치한다.
3.11 전기설비로부터의 이격
3.11.1 다음 장소에는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물배관을 하지 않는다.
가. 전기실 및 배전구
나. 전산실 및 통신기기실
다. 승강기 기계실
- 54 -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소방전기 배관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시방서에 언급되지 아니한 사항은 국토교통부 제정 KCS 31 00 00(설비공사 표준
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국가화재안전기준」
1.3.2 한국산업표준(KS)
KS C 8401 강제 전선관
KS C 8422 금속제 가요 전선관
KS C 8431 경질 폴리염화비닐 전선관
KS C 8433 커플링(경질 비닐 전선관용)
KS C 8434 코넥터(경질 비닐 전선관용)
KS C 8436 합성수지제 박스 및 커버
KS C 8454 합성 수지제 휨(가요) 전선관
KS C 8455 파상형 경질 폴리에틸렌 전선관
KS C 8456 합성 수지제 휨(가요) 전선관 부속품
KS C 8458 금속제 박스 및 커버(전선관용)
KS C 8459 금속제 가요 전선관용 부속품
KS C 8460 금속제 전선관용 부속품
KS C 8461 노출 배관용 부속품(전선관용)
KS C 8464 케이블 트레이
KS D 8304 전기 아연 도금
KS D 8308 용융 아연 도금
1.4 제출물
다음에 언급한 것 외의 사항은 "01010 일반공통사항 4.제출물"에 따른다.
- 5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1.4.2 시공계획서
1.4.3 시공상세도
가. 소방설비 기구별 설치 위치 및 설치 높이 시공상세도
나. 건축물 옥외 및 옥내 관통슬리브 시공상세도
다. 건축물 신축이음부위(Expansion Joint) 횡단 시공상세도
라. 건축물 방화구획 관통부위 시공상세도
마. 소방전기 배관계획 등의 상세도
바. 소방전기 매입풀박스 등의 상세도
2. 기기 및 재료
2.1 공통 사항
2.1.2 전선관의 굵기 선정
가. 관의 굵기는 설계도면에 따른다.
나. 전선관의 굵기가 다른 전선을 동일관내에 넣은 경우 전선 단면적의 합계는 관내
단면적 합계의 32% 이하가 되도록 한다.
다. 관의 굴곡이 적어 쉽게 전선을 교체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전선관 내 배선의 단면적
합계가 48% 이하가 되도록 한다.
라. 케이블 배관은 케이블 외경의 1.5배 이상의 굵기를 선정한다.
마. 기타 사항에 대하여는 「내선규정」에서 정하는 바에 따른다.
- 56 -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
2.1 금속관
2.2.2 박스 및 부속류
가. 박스 및 부속류는 KS C 8458 및 KS C 8461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나. 벽체에 사용하는 박스는 스위치 박스(54mm 이상)를 사용하고, 콘크리트에 매입하여
사용하는 박스는 4각 콘크리트 박스 (54mm 이상) 또는 8각 콘크리트 박스(54mm 이상)를
사용 한다.
2.3.2 부속품
부속품은 KS C 8459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2.4 합성수지관
2.4.2 박스 및 부속품
가. 박스 및 부속품은 KS C 8436에 따른다.
나. 벽체에 사용하는 박스는 스위치 박스(54mm 이상)를 사용하고, 콘크리트에 매입하는
사용하는 박스는 4각 콘크리트 박스(54mm 이상) 또는 8각 콘크리트 박스(54mm 이상)를
사용한다.
- 5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5 금속덕트
2.5.1 금속덕트
가. 금속덕트의 형상과 재질은 설계도면에 따른다.
나. 금속덕트는 전기아연도금 한 제품 또는 분체도장한 제품 등을 사용한다.
다. 금속덕트에 넣는 전선의 단면적(절연피복의 단면적을 포함)의 합계는 덕트 내부 단
면적의 20%(제어회로 등의 배선만을 넣는 경우에는 50%) 이하가 되도록 한다.
2.5.2 부속품
가. 부속품은 전기아연도금한 제품 또는 분체도장한 제품 등을 사용한다.
나. 절단면에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지 않도록 매끈한 것을 사용한다.
3. 시공
3.1 공통사항
3.1.2 매입배관의 시공
가. 매입배관공사시의 배관경
콘크리트에 매입되는 전선관의 규격은 28mm 까지 하며, 부득이한 경우 36mm까지 하되
구조적 결함이 없도록 검토하여 시공상세도 승인을 득한 후 시공한다.
나. 매입배관의 결속
매입배관의 경우 배관 커플링의 양단 및 박스 콘넥타 부분은 0.3m 이내에 결속하고
배관은 1.0m 마다 결속선으로 철근 등에 결속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배관 이탈을
방지한다.
- 58 -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
다. 매입 배관 사이의 간격
매입 배관시 여러 배관이 한 경로를 지나는 경우 배관 간격을 30mm 이상 이격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지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라. 매입 배관시 회피해야할 장소
매입 배관시 건축물의 우수 드레인 부분과 화장실의 부분은 추후 타 공종에서 하자
처리시 매입배관 손상 우려가 있으므로 가능한 회피하여 배관한다.
마. 매입배관 내부 이물질 침입 방지
매입배관 완료 후 이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테이핑 등의 조치를 취한다.
바. 매입배관의 협착 방지
콘크리트 타설시 배관의 협착이 일어나지 않도록 철근스페이서 설치 등의 조치를
취한다.
사. 타설 콘크리트 피복 유지
매입 배관시 철근의 상부근과 하부근 사이에 배관을 하며, 배관이 건축 형틀에 접촉
되어 형틀 해체시 벽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아. 매입 벽체 배관시 횡 배관 금지
벽체 내부에서의 횡 배관은 콘크리트 타설 시에 파손의 우려가 있으므로, 횡 배관은
2 m 이내로 제한하여 시공한다.
자. 매입 배관내 결로 방지
난방이 되지 않는 장소와 난방이 되는 장소 간에 매입배관을 하는 경우(예: 아파트
발코니에 감지기 설치 시 해당 발코니와 거실 등)에는 배관 내부에서 결로가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실리콘 등으로 결로방지 조치를 한다.
3.1.3 노출배관의 시공
가. 노출되는 금속관은 1.5m 이내마다 견고하게 고정한다. 다만, 관과 박스와의 접속점에서는
0.3m 이내에서 전선관을 고정하여 전선관의 하중이 박스에 인가되지 않도록 한다.
나. 현장에서 절단 등 금속관을 가공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도금 또는 부식방지 마감이
손상된 부분을 현장에서 재도장하여 부식을 방지한다.
- 5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1.7 건축물에 대한 주의 사항
가. 전선관 등을 건축물에 설치할 때에는 건축물의 구조적 강도를 감소시키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건축물의 마감과 미관에 유의한다.
나. 건축물에 과대한 구멍이나 틈을 내지 않도록 한다.
다. 전선관이 건축물 외벽을 관통하는 경우 지수날개를 사용하여 누수가 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배관 연결 후 방수 몰타르로 기밀하게 충전하는 등의 조치한다.
라.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전기배관은 「건축물의 피난·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에서
정하는 바에 따라 시공한다.
3.1.8 배관용 박스
가. 배관용 박스의 설치높이는 설계도면에 따른다.
나. 배관용 박스는 전선관의 수용되는 수에 따라 다음과 같이 사용한다.
1) 콘크리트 매입전선관 4개 이하 : 콘크리트 8각 박스
2) 콘크리트 매입전선관 5개 이상 7개 이하 : 콘크리트 4각 박스
3) 콘크리트 매입전선관 8개 이상 : 풀박스
3.2 금속관 공사
가. 금속관 상호 및 금속관과 박스 그 밖에 이에 유사한 것과의 접속은 견고하게 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한다.
나. 전선관과 박스의 접속은 로크너트와 부싱을 사용하여 견고하게 전선의 피복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다. 금속관 상호는 같은 재질의 커플링으로 접속하며 전선관 접속 수나사 부분이 전체의
4분의 1이상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라. 금속관은 직접 지중에 매입하여 배관하여서는 아니 된다.
- 60 -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
3.4 합성수지전선관 공사
3.4.1 경질비닐전선관
가. 경질비닐전선관 상호간의 접속은 커플링을 사용하여야 하며, 전선관과 박스와의 접속은
콘넥타를 사용한다. 또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이탈 방지 및 방수가 되도록 한다.
나. 매입배관의 경우 배관 커플링의 양단 및 박스 콘넥타 부분은 0.3m 이내에 결속하고 배관은
1.0m 마다 결속선으로 철근 등에 결속하여 콘크리트 타설시 배관 이탈을 방지한다.
3.4.3 노출배관
노출배관 시 1.5m 이내마다 전선관을 고정하여야 한다. 다만, 관과 박스와의 접속점에는
0.3m 이내에서 전선관을 고정하여야 한다.
3.5 금속덕트 공사
가. 금속덕트 배관은 옥내의 노출장소 또는 점검 가능한 장소에 설치한다.
나. 금속덕트 상호간은 견고하게 접속이 되고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한다.
다. 금속덕트 지지대는 2m 이하의 간격으로 견고하게 지지한다.
라. 금속덕트의 뚜껑은 쉽게 열리지 않고, 내부에 이물질이 침입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금속덕트의 끝 부분은 막는다.
마. 금속덕트를 콘크리트 바닥에 매설하는 경우에는 물이 고일 수 있는 부분은 물을 제거 후
케이블을 시공한다.
바. 금속덕트 내에는 접속단자를 설치하거나, 전선의 피복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는 것을
설치하지 아니 한다.
사. 금속덕트를 수직 또는 경사지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전선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부에 전선 지지대를 설치를 하여 견고하게 지지한다.
아. 같은 덕트 내에 고압배선, 저압배선, 소방배선 등의 서로 다른 용도의 배선을 하는
경우 반드시 상호간에 금속제의 격벽을 설치한다.
자. 사용되는 모든 금속자재에는 접지시설을 설치한다.
차. 금속덕트의 굴곡 및 분기 개소에는 돌기물이 없도록 하여야 하며, 덕트 내부에 설치
되는 전선이나 케이블의 소요곡률반경을 확보한다.
- 6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6 접지공사
배관 기타 케이블을 넣는 방호장치의 금속제부분 및 금속제의 전선 접속함은 접지를 한다.
3.7 검사 및 시험
가. 배관공사 완료 후 수급인은 콘크리트 타설 전 도면과 일치하게 배관 경로 및 배관
규격이 적합한지 여부와 배관 협착 개소 여부를 확인한다.
나. 매입배관은 콘크리트 거푸집 해체 후 선통작업을 하여 배관 막힘이 없는지 확인한다.
다. 노출배관은 노출배관용 지지대가 견고하게 설치되어 있는지 여부와 설치 간격이 적합
한지 확인한다.
- 62 -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소방전기 배선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시방서에 언급되지 아니한 사항은 국토교통부 제정 KCS 31 00 00 (설비공사
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국가화재안전기준」
1.3.2 한국산업표준(KS)
KS C 2306 전기 절연용 폴리염화비닐 점착 테이프
KS C 2618 압축 단자
KS C 2620 동선용 압착 단자
KS C 2621 동선용 나압착슬리브
KS C 3341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 절연전선
KS C IEC 60227-3 정격전압 450/750V 이하 염화비닐절연전선케이블 -제3부 :
배선용절연전선
KS C IEC 60245-3 정격전압 450/750V 이하 고무 절연 케이블-제3부 : 내열
실리콘 고무절연 전선
KS C IEC 60245-7 정격전압 450/750V 이하 고무 절연 케이블 -제7부 : 내열성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고무절연 케이블
KS C IEC 60502-1 정격전압 1~30kV 압출성형 절연 전력케이블 및 그 부속품
- 제1부: 케이블: 정격전압 1kV 및 3kV 케이블
KS C IEC 60502-2 정격전압 1~30kV 압출성형 절연 전력케이블 및 그 부속품
- 제2부: 케이블(6kV~30kV)
KS C IEC 60947-7-1 저전압 개폐장치 및 제어장치-제7-1부: 보조장치-동도체용
단자대
1.4 제출물
다음에 언급한 것 외의 사항은 “01010 일반공통사항 4.제출물”에 따른다.
- 6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1.4.2 시공계획서
1.4.3 시공상세도
가. 각 소방설비 기구별 배선 계획서 (전선 규격 및 색상)
나. 각 소방설비 단자대 결선 계획서 (단자번호에 따른 회로 계획)
2. 기기 및 재료
2.1 공통 사항
가. 전선의 종류 및 크기는 설계도면에 의하며, 설계도면에 표시된 규격의 것보다 작은
규격을 사용하지 않는다.
나. 전선의 굵기는 허용전류와 전압강하 등을 고려하여 선정한다.
다. 허용전류는 전선 및 케이블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참조한다.
라. 소방전기 배선공사시에는 「국가화재안전기준」에 적합하도록 내화배선 및 내열배선
방법에 적합한 전선 및 케이블을 선정한다.
2.2.1 절연전선
절연전선은 한국산업표준(KS) 또는 전기용품안전인증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2.2.2 케이블
케이블은 한국산업표준(KS) 또는 전기용품안전인증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2.3 부속품
- 64 -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
3. 시공
3.1 공통사항
3.1.1 소방전기설비 배선 및 색상 계획
가. P형1급에서의 배선 계획
기동램프 기동램프
응답 회로 전화 공통 벨 표시 공통
(+) (-)
단면적
1.5 1.5 1.5 1.5 2.5 2.5 2.5 2.5 2.5
(㎟)
색상 흑 적 청 백 청 황 백 흑 적
나. R형에서의 배선 및 색상 계획
중계기용 중계기용 기동램프 기동램프
응답 전화 공통 표시 공통
전원(+) 전원(-) (+) (-)
단면적
1.5 1.5 1.5 2.5 2.5 2.5 2.5 2.5 2.5
(㎟)
색상 흑 청 백 황 백 청 적 흑 적
- 6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1.4 절연저항의 측정
입선 완료 후 기기와의 접속전에 각 전선에 대한 절연저항을 측정한다. 측정구간은
전선 상호간, 전선과 대지간을 측정하며, 측정값은 1㏁ 이상으로 한다.
3.2 절연전선의 시공
3.3 케이블의 시공
3.4 검사 및 시험
입선 완료 후 소방기구 결선 작업 전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측정값은 1㏁ 이상이어야
하며, 절연저항 측정 결과를 제출한다.
- 66 -
02000 소화설비
02010 소화펌프 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소화펌프와 관련 장비에 관하여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 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 「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관련법규
「소방기본법」,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소방시설공사업법」,
「위험물안전관리법」,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예방소방업무 처리규정, 화재보험협회
소화설비규정
1.3.2 한국산업표준(KS)
KS B 1561 방진 스프링 행거
KS B 1563 방진 스프링 마운트
KS B 2023 깊은 홈 볼 베어링
KS B 2024 앵귤러 볼 베어링
KS B 6301 원심펌프, 사류펌프 및 축류펌프 시험 및 검사방법
KS B 6360 펌프의 소음레벨 측정방법
KS B 7501 소형 벌루트 펌프
KS B 7505 소형 다단 원심펌프
KS C 4202 일반용 저압3상 유도전동기
KS C 4204 일반용 단상 유도전동기
KS C 4504 교류 전자 개폐기
KS D 0237 스테인리스강 용접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 및 투과사진의 등급분류방법
KS D 3698 냉간 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강대
KS D 3705 열간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강대
KS D 3706 스테인리스 강봉
KS D 3752 기계 구조용 탄소강재
KS D 4103 스텐레스강 주강품
KS D 4301 회 주철품
- 6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1.4 제출물
다음 사항은 "01010 일반공통사항 1.일반사항 및 4.제출물"의 해당 항목에 따라 제출한다.
1.4.1 제작도서
“01010 일반공통사항 4.제출물”에 따라 다음 품목의 제작 도서를 제출한다.
가. 제작공정표
나. 장비목록표
다. 설치지침, 시동방법 등이 포함된 제작시방서
라. 선택점(운전점)이 명확히 표시된 펌프 성능곡선도
마. 유도전동기의 기동계급 또는 기동전류가 표시된 시험성적서
바. 각 부분의 치수, 재질, 필요한 설치공간 등이 표시되어 있는 도면
사. 국내외 인정규격 사본
아. 펌프 방진 베이스 도면 및 붙임 양식의 방진계산서
자. 유지관리자료
1.4.2 유지관리 자료
시스템의 가동, 운전, 정지에 필요한 단계별 운전절차가 포함된 설명서를 제출하되,
이 설명서에는 생산업체명, 모델번호, 보수 운전교범, 부품리스트, 일상적인 정비절차,
예상되는 고장 및 수리방법, 압력용기 정기검사 등이 수록되어야 하며, 공사완료 후
관리주체에게 인계하여야 한다.
1.5 품질보증
1.5.1 자격
국내에 제품의 조립 또는 생산설비를 갖춘 전문제조회사로서 공장등록을 필한 제조
업체 이어야 한다.
1.5.2 장비의 명판
장비에는 생산업체명, 모델번호, 정격/용량 등이 표시되어야 한다.
1.5.3 펌프의 성능
펌프는 명시된 유체온도에서 증발하거나 공동현상(캐비테이션) 없이 운전되고 병렬
운전 또는 개별 운전 시에 과부하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야 하며, 승인도서의 예상
성능효율 이상이 되어야 한다.
- 70 -
02010 소화펌프 설비공사
2. 기기 및 재료
2.1 소화펌프(원심펌프)
가. KS 표준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함을 원칙으로 한다.(펌프, 모터 등)
나. 본체와 전동기는 축이음으로 체결되어 공통베드에 부착한 것이어야 한다.
다. 기타 펌프의 구조, 치수 부속품은 KS B 7501 및 KS B 7505의 규정에 따른다.
라. 주요부품 재질
1) 본체(케이싱) : GC 200 이상
2) 임펠러 : KS D 6024의 BC6 또는 동등 이상
3) 주축 : KS D 3752의 SM 45C 또는 동등 이상
4) 베어링 : KS B 2023, 2024에 준한 제품일 것
5) 공통베드 : GC 150 또는 SS 400 이상
6) 패킹 누르개, 라이너링 : KS D 6024의 BC6 또는 동등 이상
2.2 전동기
가. 교류 전동기는 KS C IEC 60034에 따른다.
나. 전동기는 KS C 4202 또는 KS C 4204 에 적합한 제품이어야 한다.
다. 전동기의 기동장치는 ”KS C 4205 유도전동기의 기동 계급“과 “내선규정 3120-2 3상
유도전동기의 기동장치“에 따라야 한다.
라. 전동기의 기동장치는 전동기의 정격출력이 해당 전원용 변압기 용량의 1/10을 초과
하는 경우에 사용하여야 한다.
마. 전동기가 자가발전설비와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용전원용 변압기 용량과 발전기의
출력용량 중에서 적은 것을 기준으로 산정하여야 한다.
2.3 엔진펌프
제조, 공급자의 설치, 시운전 및 유지관리 기준에 따른다.
2.4 펌프 내진장치
가. 펌프의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를 설치할 경우 사용중량, 방진효율, 정적변위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진가대 및 방진재로 내후성, 내산성, 내구성 및 내유성에 강한
재질로서 사용용도에 적합한 제품이어야 한다.
- 7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5 기동용수압개폐장치
2.5.1 압력챔버
가. 압력챔버는 「기동용수압개폐장치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KOFEIS 0508)”에
적합하여야 한다.
나. 압력챔버
1) 용적 : 100ℓ이상
2) 재질 : SS 400의 두께 3.2㎜이상
3) 구성품 : 압력스위치, 안전밸브, 압력게이지, 배수밸브
4) 최고사용압력 : 1MPa 또는 2MPa
2.6 펌프성능 및 시험
가. 제품을 출고하기 전에 공장에서 KS B 6301, KS B 7505 및 KS B 6360에 준하여
시험하여 이상이 없어야 한다.
나. 펌프의 시험방법은 「KSB 6301 원심 펌프․사류 펌프 및 축류 펌프의 시험 및 검사
방법」에 의하며, “KS B 6301 부표 1”의 시험성적서를 작성, 첨부 및 제출하여야 한다.
다. 위 시험성적서는 설계점 유량의 0%(체절상태), 50%, 100%, 125%, 150%의 총 5점에서
측정하여야 한다.
라. 각 측정점에서 측정된 유량은 제작승인도서의 성능곡선에 나타낸 값의 95 내지 110%
범위에 있어야 한다.
- 72 -
02010 소화펌프 설비공사
3. 시공
3.1 배관 및 보온
배관 및 보온은 “01040 소방기계 배관공사”에 따른다.
3.2 장비 기초 설치
가. 장비기초는 시공 상세도에 의거 시공해야 하고 콘크리트 조합비는 1:2:4로 하고 운전 시
전 중량의 3배 이상의 장기하중에 견딜 수 있어야 하며 최소 10일 이상 양생된 후
각종 장비 및 기구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나. 본체를 설치할 때는 기초 앵커볼트 취부 및 본체 중심선이 기초상의 중심선과 일치
하여야 한다.
다. 수평조정에 있어 본체 자체의 프레임과 기초 콘크리트 간에는 철판재 라이너를 사용
해서 조정하여야 한다.
라. 펌프류 등의 앵커볼트는 매립용으로 해당 장비의 규격에 맞는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앵커 구멍의 깊이는 150㎜ 이상으로 한다.
마. 장비 및 배관은 수직, 수평이 되어야 하고 평행 간격 등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바. 펌프의 기초에 물이 고이는 부분에는 25㎜ 이상의 배수관을 설치한다.
사. 보일러실, 기계실 및 펌프실의 동력반 설치위치 선정 시 전기공사 수급인과 협의하여야 한다.
- 7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4 엔진펌프 설치
가. 엔진펌프는 제조, 공급자의 설치, 시운전 및 유지관리 기준에 따른다.
나. 연료탱크의 용량은 엔진출력 1kW당 5.1ℓ에 여유량 10%를 가산한 용량이어야 한다.
다. 탱크는 엔진마다 독립된 탱크를 설치하여야 한다.
라. 벤트관은 옥외로 연장되어야 하며 빗물이 들어가지 않는 구조로서 내식성 금속망으로
마감하여야 한다.
마. 탱크의 연료 주입구는 옥외에 있어야하며, 연료를 탱크에 보충하면서 탱크의 유면을
확인할 수 있도록 주입구 근처에 유면계가 있어야 한다.
바. 엔진의 연료공급관을 탱크에 연결할 때에는 탱크의 바닥부분에 탱크 전체용적의 5%가
엔진으로 공급되지 않는 유보공간이 존재하도록 위치를 잡아야 한다. 또한 이 유보
공간은 탱크 유효용적에 계산하지 아니한다.
사. 엔진 연료공급관이 탱크에 연결되는 부분의 높이는 엔진의 연료공급펌프보다 높아야 한다.
아. 탱크 바닥은 연료공급관이 연결된 면의 맞은편 벽으로 향하여 1m당 20㎜의 경사를 갖도록
하고, 그 끝 부분에 25㎜의 글로브 밸브로써 드레인 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3.5 성능시험배관
가. 펌프의 성능은 체절운전시(펌프의 2차측 개폐밸브 폐쇄, 무부하운전이라 한다) 정격
토출압력의 140%를 초과하지 아니하고 정격 토출량의 150%로 운전시(펌프의 2차측
개폐밸브 개방, 과부하운전이라 한다.) 정격 토출압력의 65%이상이 되어야 한다.
나. 펌프 성능시험 배관은 펌프 토출측에 설치된 개폐밸브 이전에서 분기하여야 한다.
다. 유량 측정 장치는 성능 시험배관의 직관부에 설치하되, 펌프의 정격 토출량의 175%
이상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
라. 개폐밸브와 유량측정장치의 직관부 거리는 제조사의 설치지침서에 따라야 한다. 별도의
지침이 없는 경우에는 유량 측정 장치의 전단은 배관 직경의 8배 이상, 후단은 배관
직경의 5배 이상의 직관부를 확보하여야 한다.
마. 성능시험배관에는 펌프의 정격 토출량의 150%로 2시간 이상의 시험 및 점검으로
배출되는 물로 인해 침수되지 않도록 다음 중 한 가지의 배수 대책이 있어야 한다.
1) 펌프의 시험유량이 모두 수원으로 되돌아가거나 옥외로 직접 배출되도록 배관 설치
2) 소화펌프 설계점의 150% 용량을 감당하기에 충분한 집수정 및 배수펌프 장치
3) 펌프 토출구 단면적의 2배 이상의 유효개구면적을 갖는 바닥 배수구 판과 그에
연결된 수직 낙차 2m 이상의 배수배관
- 74 -
02010 소화펌프 설비공사
3.6 순환배관
가. 펌프에는 체절운전시 수온의 상승을 방지하기 위한 순환배관을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충압펌프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나. 순환배관은 체크밸브와 펌프사이에서 분기하며, 체절압력 미만에서 개방되는 릴리프
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 릴리프밸브는 공칭규격이 20㎜ 이상이어야 한다.
라. 릴리프밸브는 드레인 배관으로 방출하여, 펌프실로 물이 튀기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마. 릴리프밸브는 펌프 흡입측 및 공급측 연결부로 배관해서는 안 된다.
바. 릴리프밸브로 부터 토출되는 물을 펌프 옆에서 육안으로 볼 수 없는 경우에는 릴리프
밸브의 배관에 사이트 글래스 등 육안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여야 한다.
사. 펌프 토출측에서 엔진냉각수를 인출하여 사용하는 수냉식 엔진펌프에는 릴리프밸브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3.7 소화펌프의 기동
가. 소화배관 내에는 상시 자연낙차압력과 최소방수압력을 합친 압력 이상으로 가압되어
있어야 한다.
나. 화재 시 기동된 소화펌프는 자동으로 정지되어서는 안 된다.(충압펌프 제외)
다. 충압펌프의 용량은 화재 시 예상되는 최소유량보다 커서는 안 된다.
라. 펌프를 여러 대로 분할한 경우에는 펌프가 동시에 기동되지 않고 각 펌프가 5초 내지
10초의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기동되도록 하여야 한다.
마. 펌프를 순차기동 시키기 위해 다음의 조치가 있어야 한다.
1) 펌프기동장치로서 압력스위치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첫 번째 펌프의 기동압력을 펌프
설계점으로 조정한다.
2) 두 번째 펌프부터는 바로 앞에 설정한 펌프의 기동압력보다 68kPa(0.68bar, 10psi) 높게
기동점을 설정한다.
3) 이 경우 마지막에 설정한 펌프의 기동 압력은 충압펌프의 기동압력보다 34kPa
(0.34bar, 5psi) 이상 낮아야 한다.
바. 펌프가 여러 대로 분할되어 각 펌프의 압력차를 설정할 수 없을 경우에는 펌프기동
장치로서 전자식스위치를 사용할 수 있다.
1) 각 펌프의 기동압력은 모두 동일하게 펌프 설계점으로 설정한다.
2) 두 번째 펌프부터는 바로 앞에 기동한 펌프보다 10초 후에 기동하도록 기동시간을 설정한다.
3.8 현장 품질관리
펌프를 시운전하기 전에 배관 및 스트레이너 청소를 반드시 실시하고 펌프를 가동
하여 “소방시설 성능시험 조사표” 에 따라 성능을 확인토록 한다.
- 7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소화수조용 물탱크의 제작 및 설치에 관하여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 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관련법규
가. 「국가화재안전기준」
나. 「먹는물 관리법」
다. 「먹는물 수질기준 및 검사 등에 관한 규칙」
1.3.2 한국산업표준(KS)
KS B 1002 6각 볼트
KS B 6750 압력용기-설계 및 제조일반
KS B 6282 스테인리스 물탱크
KS D 0237 스테인리스강 용접부의 방사선투과 시험방법 및 투과사진의 등급분류방법
KS D 3503 일반 구조용 압연강재
KS D 3536 기계 구조용 스테인리스 강관
KS D 3568 일반 구조용 각형 강관
KS D 3576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
KS D 3694 열간 압연 스테인리스강 등변 ㄱ형강
KS D 3698 냉간 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강대
KS D 3705 열간 압연 스테인리스 강판 및 강대
KS D 5301 이음매 없는 구리 및 구리합금관
KS D 670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의 판 및 조
KS D 6711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의 도장판 및 조
KS D 7026 용접용 스테인리스 강봉 및 강선
KS F 4811 유리섬유 강화 폴리에스테르 물탱크
KS L 2313 유리 로빙
KS L 2314 처리된 유리 직물
- 76 -
02011 소화수조 설비공사
KS L 2315 유리 로빙포
KS L 2327 절단 유리 섬유 매트
KS L 2508 유리 직물
KS M 3305 섬유 강화 프라스틱용 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KS M 3331 액상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 시험방법
1.4 제출물
다음 사항은 "01010 일반공통사항 4.제출물"에 따라 제출한다.
1.4.1 제작도서
“01010 일반공통사항 4.제출물”에 따라 다음 품목의 제작 도서를 제출한다.
가. 물탱크 제작도서
1) 제작공정표
2) 제작시방서
3) 구조계산서
4) 제작도면 등 제반서류
나. 자재 납품 시에는 자재에 소요된 원자재에 대한 MILL SHEET, 자재납품확인서 등
필요서류를 제출하여야 한다.(스테인리스 물탱크)
2. 기기 및 재료
모든 부품은 음용수를 저장하는데 이상이 없고 녹물을 발생하지 않는 재질로 구성
하여야 한다.
2.1.1 스테인리스 패널 재료
가. 스테인리스 패널 재질은 KS D 3698 및 KS D 3705에서 규정하는 STS 304 또는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가진 것으로 인체에 해가없고 녹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나. 물탱크 상단부에 사용하는 패널 재질은 KS D 3698 및 KS D 3705의 STS 444 재질
또는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가진 것으로 녹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다만, STS 304 재질을 사용할 경우 에폭시코팅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품질을 가진
것을 사용하여 상판 및 최고층 패널부에 코팅처리를 한다.
- 7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1.4 보강재
보강재는 모재와 동일한 STS 304 재질을 사용하며, 보강재의 규격은 구조 계산에 의한
압력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한다.
2.1.6 보온재 및 마감 쟈켓
가. 보온재는 두께 50㎜ 폴리우레탄폼으로 탱크판넬과 동일한 형상으로 성형몰드 된 제품을
사용한다.
나. 마감쟈켓은 0.7㎜ 알루미늄 쟈켓을 사용한다.
2.1.7 볼트 및 너트
STS 304 스터드 볼트 및 캡너트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제품
2.2.1 패널(panel)
가. 패널의 재질은 PE로 한다.
나. 패널의 두께는 높이에 따라 압력이 변화하므로 구조계산에 의한 강도를 충분히 유지
할 수 있는 두께로 한다.
- 78 -
02011 소화수조 설비공사
2.2.3 보강재
가. 내부 보강재
SS 400 환봉을 사용하고, 외부는 부식방지를 위하여 PE PIPE로 감싼다.
나. 외부 보강재
1) 수직보강재는 SS 400 H형강(100×100×6t×8t)을 사용한다.
2) 수평보강재는 SS 400 홈(ㄷ)형강(100×100×6t×8t) 또는 각형강관(100×50×3.2t)을 사용한다.
3) 상부보강재는 SS 400 각형강관(100×50×3.2t)을 사용하고, 부식방지를 위하여 PE
SHEET로 감싼다.
2.2.4 사다리
가. 사다리는 STS 304 기계구조용 스테인리스 강관을 사용한다.
나. 사다리의 규격 및 구조는 설계도면에 명시한다.
2.2.5 마감
마감은 0.45t color sheet로 시공하고, 모서리는 알루미늄재질의 앵글로 마감한다.
2.2.6 볼트 및 너트
2.1.7을 따른다.
3. 시공
3.1 기초 설치
가. 장비기초는 시공 상세도에 의거 시공해야 하고 콘크리트 조합비는 1 : 2 : 4로 하고
운전 시 전 중량의 3배 이상의 장기하중에 견딜 수 있어야 하며 최소 10일 이상 양생된
후 각종 장비 및 기구 등을 설치하여야 한다.
나. 본체를 설치할 때는 기초 앵커볼트 취부 및 본체 중심선이 기초상의 중심선과 일치
하여야 한다.
다. 물탱크의 앵커볼트는 매립용으로 해당 장비의 규격에 맞는 것을 사용하여야 하며,
앵커 구멍의 깊이는 150mm 이상으로 한다.
라. 배관은 수직, 수평이 되어야 하고 평행 간격 등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한다.
3.2 시공일반
가. 탱크의 밑판에 처짐이 생기지 않도록 도면에 지시된 크기의 콘크리트 기초 위에 견고
하게 설치한다.
나. 탱크에 접속하는 배관의 하중이 탱크에 직접 걸리지 않도록 견고하게 지지한다.
다. 패널 연결부위에서 누수가 발생치 않도록 볼트를 균등하게 조인다.
라. 오버 플로관은 방충망을 씌운다.
마. 맨홀 뚜껑은 자물쇠를 부착한다.
- 7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3.1 공장가공
가. PANEL PRESSING
사용소재는 전단 작업 시 정방향으로 전단된 것을 사용해야 하며 제품에 충만한 응력에
견딜 수 있는 규격의 소재를 사용해야 하며, 탱크의 구조계산 산출근거에 의해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나. CORNER BLANKING
PANEL 조립 시 사용 위치에 맞는 금형으로 PRESS 하도록 한다.
다. REINFORCING ANGLE
보강 ANGLE은 수압에 충분한 강도를 가질 수 있는 규격을 사용하며, 탱크의 구조
계산 산출근거에 의해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라. MAN HOLE 및 ACCESSORY 제작
승인된 도면에 의하여 공장에서 제작하며, 설치 전 감독자의 승인을 얻는다.
3.3.2 현장 조립 설치
가. BASE FRAME
1) BASE FRAME 설치간격은 부하계산에 의한 설치간격을 유지하며, 부식에 견딜 수
있도록 광명단 및 조합 페인트로 2회 도장한다.
2) BASE FRAME과 탱크본체와는 스테인리스 전위부식 및 충격완화를 위하여 5mm
두께의 RUBBER SHEET를 부착한다.
3) 콘크리트 패드와 BASE FRAME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박막 플레이트를 견고하게
삽입하여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나. PANEL의 조립
1) 공장 가공된 PANEL은 반입시 SCRATCH 등의 발생이 없도록 취급해야 한다.
2) 반입된 PANEL은 ARGON가스를 이용 TIG용접을 하도록 하며, 조립순서는 BASE
FRAME, 1ST, 2ND 등의 순서로 하며 최종적으로 ROOF PANEL을 조립한다.
3) 본 용접 및 가접 에 앞서 BASE FRAME의 LEVEL CHECKING을 하도록 하여
수평상태를 점검하여야 하며, 수직상태를 점검하기 위해 고정 크립을 물린 상태에서
피아노선 CHECK를 이상이 없도록 가접 한다.
4) 탱크는 청소, 위생, 점검 및 보수 등 유지관리를 위하여 분리(2개 별도)하여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현장여건상 2개 분리설치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2개 부분으로
구획하고 한쪽 탱크 청소 시 수압에 의해 중간 칸막이의 변형이생기지 않는 강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5) 탱크 내부의 모든 모서리 부분의 4면이 교차되는 지점은 스테인리스 앵글로써 보강을
시켜야 하며 용접 시 패널에 손상을 입혀서는 안 된다.
6) 바닥판은 물이 완전히 배수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 80 -
02011 소화수조 설비공사
3.3.4 검사
가. 재료검사
1) 공장 검사 시 상기 체크사항에 의한 재질, 규격 및 보관 상태를 검사한다.
2) 공장 가공 판넬 및 부재에 대하여 치수, 제작공정 및 표면상태 등을 검사한다.
나. 스테인리스 물탱크 용접검사
1) 용접 시 아르곤 보호가스의 사용여부, 적정량(15 ∼ 20ℓ/min) 유지를 확인한다.
2) 용접 시 용접부의 품질확보를 위하여 유자격자에 의한 적정 노즐, 용가재, 전류 등의
사용으로 용접품질 확보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3) 용접 후 용접부의 표면상태 및 용접 후 처리 상태를 확인한다.
다. 만수시험
만수시험은 충수 완료 후 48시간 경과 후 탱크의 변형 누수상태를 점검하고 이상
유무를 검사한다.
- 8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라. 종합검사
종합검사는 맨홀, 사다리, 통기관 등 부대시설 취부와 보온작업 완료 후에 실시하며
외부표면상태 누수여부 부대시설의 취부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검사한다.
3.3.5 보온공사
가. 보온공사는 만수시험 완료 후 이상이 없을 시 시행한다.
나. 보온재는 성형 스테인리스 판넬과 동일한 규격으로 성형된 두께 50㎜ 폴리우레탄폼
제품을 사용하며, 외부의 자켓은 0.7㎜ 알루미늄 쟈켓을 사용한다.
다. 보온재의 고정은 STUD BOLT로서 자켓 취부 후 CAP NUT로 고정한다.
3.4.1 공장가공시 체크 사항
가. PDF 패널의 절단 규격과 직각도 및 변형 유무
나. PE SHEET의 외표면 긁힘 및 결함, 오염 유무
다. STEEL 부재의 절단 규격 및 방청 상태
3.4.2 현장 조립 설치
가. FRAME
1) FRAME 설치간격은 구조검토에 의한 설치간격을 유지하며, 부식에 견딜 수 있도록
광명단 및 조합 페인트(BASE만 해당)로 2회 도장한다.
2) 탱크의 진동 및 위치이탈 방지를 위하여 강재와 강재 연결부분은 부분적으로 용접
보강한다.
3) 콘크리트 패드와 BASE FRAME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박막 플레이트 등을 견고
하게 삽입하여 수평이 유지되도록 하여야 한다.
나. PANEL 및 SHEET의 설치
1) 공장 가공된 PANEL은 반입 시 SCRATCH 등의 발생이 없도록 취급해야 한다.
2) PDF 판넬을 바닥 및 벽체 FRAME에 피스 못을 사용하여 고정 설치한다.
3) PE SHEET와 SHEET는 최소 폭 50㎜를 겹쳐서 자동 융착 한다.
단, 탱크내부 수평보강재와 PE SHEET 접속부분 등 자동 융착이 불가능한 부분은
수동 융착을 한다.
4) 벽면과 바닥면이 만나는 코너부위 융착 시에는 모서리에서 20㎜이상 떨어진 부분
에서 융착 한다.
다. 내부보강재의 설치
1) 내부보강재는 측면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탱크 벽체의 안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2) 내부보강재인 환봉의 외부는 PE PIPE로 마감하고, PE SHEET와 연결부는 PE
WELDING처리 한다.
- 82 -
02011 소화수조 설비공사
라. 기타
1) 탱크는 청소, 위생, 점검 및 보수 등 유지관리를 위하여 분리(2개 별도)하여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현장여건상 2개 분리설치가 불가능할 경우에는 2이상 부분으로
구획하고 한쪽 탱크 청소 시 수압에 의해 중간 칸막이의 변형이 생기지 않는 강도를
유지하여야 한다.
2) 바닥판은 물이 완전히 배수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3) 탱크 외부에는 관리자가 수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외부에 수면계를 설치한다.
4) 본체 작업 완료 후 ACCESSORY류는 승인된 도면에 준해 취부토록 한다.
3.4.3 검사
가. 재료검사
1) 공장 검사 시 상기 체크사항에 의한 재질, 규격 및 보관상태를 검사한다.
2) 공장 가공 판넬 및 부재에 대하여 치수, 제작공정 및 표면상태 등을 검사한다.
나. 융착검사
PE SHEET와 PE SHEET는 최소폭 50㎜를 겹쳐서 융착시공이 되었는지 확인한다.
다. 만수시험
만수시험은 충수 완료 후 48시간 경과 후 탱크의 변형 누수상태를 점검하고 이상
유무를 검사한다.
라. 종합검사
종합검사는 맨홀, 사다리, 통기관 등 부대시설 취부와 보온작업 완료 후에 실시하며
외부 표면상태 누수여부 부대시설의 취부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검사한다.
3.5 청소 및 유지관리
가. 청소 및 소독
물탱크 설치완료 후 물탱크 내부의 모든 잔재물을 깨끗이 제거한 후 「수도법」에 의한
물탱크의 벽 및 바닥, 천장 등에 대한 물 세척 청소에 따라 소독을 실시하여야 한다.
나. 유지관리 및 인수인계
수급인은 물탱크 청소 후에 물탱크가 오염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공사완공 후
시설물 담당자에게 물탱크를 시설물 인수인계를 하여야한다.
- 8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1호 가목에 따른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설치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 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 「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관련법규
「소방기본법」,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소방시설
공사업법」, 「위험물안전관리법」,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기술
기준, 예방소방업무 처리규정, 화재보험협회 소화설비규정
1.3.2 한국산업표준(KS)
KS B 6260 분말 소화기
KS B 6262 탄산 가스 소화기
KS B 6263 할로겐화물 소화기
강화액 소화기
산 알칼리 소화기
청정 소화약제 소화기
간이소화용구
1.3.3 한국소방산업기술원
소화기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수동식소화기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
자동식소화기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
1.4 제출물
다음 사항은 "01010 일반공통사항 4.제출물"에 따라 제출한다.
1.4.1 제품자료
가. 모든 소방자재의 제품자료를 제출하며, 해당 자재는 소방청장(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형식승인서 및 개별 검정합격표시 통지서 사본을 첨부하여 제출한다.
- 84 -
02020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설비공사
1.5 품질보증
“01010 일반공통사항 3. 기기 및 재료”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2. 기기 및 재료
모든 자재는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기술기준의 해당사항에 따른다.
- 8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6) 방출구
소화약제를 방사하는 부분으로 방호면적을 유효하게 소화할 수 있도록 가스레인지
중앙부에 변경할 수 없는 구조로 설치하며, 레인지후드의 필터 청소 및 점검이 가능
하여야 한다. 다만, 자동식소화기의 형식승인 된 유효한 위치일 경우 적합하게 설치
할 수 있다.
7) 방출도관
저장용기로부터 방출구에 이르는 도관을 말한다.
8) 조작부
가스차단장치의 원격 차단, 경보기능 및 시스템의 각종 기능을 설정하는 장치를 말한다.
다. 설치대상 : 아파트 전층 각 세대 주방
30층 이상의 오피스텔 전층의 주방
라. 가스차단장치 설치위치
상시 확인 점검이 가능하도록 설치할 것
2.3 자동확산소화기
가. 형식 : 분사식 자동 확산형
나. 설치대상 : 별도로 보일러실이 구획되지 아니한 개별보일러 상부, 중앙난방 보일러
상부, 부대 복리시설의 보일러실 등
2.4 투척용소화기
가. 능력단위 : 4본이 A급 1단위
나. 설치대상 : 노유자 시설(경로당, 보육시설 등)
3. 시공
모든 소화기구의 설치는 도면 및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101)을
따른다.
3.1 소화기구의 설치
가. 소화기구(자동확산소화기 제외)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 이하의 곳에 배치하고
보기 쉬운 곳에 “소화기”표지를 게시한다.
나. 소화기는 완전 충약되어 있고 작동이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어야 한다. 사용하지 않을
때는 항상 지정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다. 소화기는 항상 접근이 가능하고 화재발생 즉시 사용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어야 한다.
라. 소화기는 시야로부터 방해를 받거나 불명확해서는 안 된다.
마. 물리적 손상을 입기 쉬운 장소에 배치된 소화기는 충격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한다.
바. 소화기의 설치, 작동, 검사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사용설명서를 사용자에게 제공해야
한다.
- 86 -
02020 소화기구 및 자동소화장치 설비공사
3.3 투척용소화기 설치
가. 투척용소화기 등은 거주자 등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한다.
나. 바닥으로부터 1.5m 이하에 설치하고 “투척식소화기 등”이라고 표시한 표지를 설치한다.
- 8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 5]
제1호 다목에 따른 옥내소화전 설비공사에 관하여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은 소방관계법규를 우선하여 적용하여야 하며,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 「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관련법규
「소방기본법」,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소방시설
공사업법」, 「위험물안전관리법」,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기술
기준, 예방소방업무 처리규정, 화재보험협회 소화설비규정
1.3.2 한국산업표준(KS)
KS D 3507 배관용 탄소 강관
KS D 3562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KS D 5301 이음매 없는 구리 및 구리합금관
KS D 3576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 또는 KS D 3595 일반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
KS D 4311 덕타일 주철관
1.4 제출물
다음 사항은 "01010 일반공통사항 4.제출물"에 따라 제출한다.
1.4.1 제품자료
가. 모든 소방자재의 제품자료를 제출하며, 해당 자재는 소방청장(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형식승인서 및 개별 검정합격표시 통지서 사본을 첨부하여 제출한다.
나. 소방청장(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형식승인 및 성능인증제품이 아닌 경우 발주처 및
감리자의 사용승인 취득 또는 소화설비기능에 영향이 없는 구조 또는 재질 이어야 한다.
1.5 시공전 협의
건축: 배관관통에 필요한 수직, 수평 및 건축구조상세도
전기: 전동밸브 및 탬퍼S/W등 설치위치의 전원공급
기계: 배관경로의 중첩확인 및 이격
- 88 -
02030 옥내소화전 설비공사
2. 기기 및 재료
2.1 소화전함
가. 전면판의 재질 및 두께
KS D 3698 및 KS D 3705의 STS 304의 규정에 적합한(스테인리스 헤어라인) 1.5㎜ 이상
나. 문짝면적 0.5㎡ 이상, 경첩은 은폐된 것으로 소화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문짝이 열릴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다. 함 표기
1) 전용일 경우 : 황동주물 또는 ABS 수지로 “소화전” 표기
2) 겸용일 경우 : 황동주물 또는 ABS 수지로 “소화전”, “방수구” 등 표기
3) 1), 2)항에도 불구하고, 소화전함의 표면을 주변 벽체와 같은 재료로 마감할 경우에는
사전에 함표시, 사용설명서 등에 대해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라. 내함
1) 강판제 : 두께 1.5㎜ 이상으로 방식도장을 하기 전에 표면의 오물, 기름, 녹 등을
제거하고 광명단 페인트를 공장에서 2회 도장한다.
2) 합성수지제 : 두께 4㎜ 이상이고 내열성 및 난연성인 것으로서 80℃에서 24시간 이내에
열로 인한 변형이 생기지 않아야 한다.
3) 스테인리스제 : KS D 3698 및 KS D 3705의 STS 304의 규정에 적합한(스테인리스
헤어라인) 1.5㎜ 이상
마. 소화전함의 재질은 다음에 따른다.
1) 노출의 경우 : 내함과 문짝을 모두 스테인리스제
2) 매립의 경우 : 내함은 강판제 또는 스테인리스제
문짝은 스테인리스제
2.2 앵글밸브
KS B 2301의 규격에 적합한 청동 14K, 나사 끼움식 40㎜
KS D 6024의 규격에 적합한 청동 14K, 나사 끼움식 25㎜(호스릴)
2.3 호스
가. 당해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소화전 방수구까지의 수평거리가 설계
도면에 따라 25m 이하가 되어야 한다.
나. 가. 항에도 불구하고 소화전 방수구에서 소방대상물의 가장 먼 곳까지의 거리가 호스를
전개한 후, 노즐 끝에서 9m 이내이어야 한다.
다. 소화호스는 특기시방이 없는 한 걸이를 사용치 않는다.
- 8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4 노즐
가. 호스접속구경 : 40㎜, 25㎜(호스릴)
나. 재질 : 황동, 청동 또는 알루미늄제
다. 최고사용압력 : 1.4MPa 이상
2.5 감압장치
옥내소화전 배관의 사용압력이 0.7MPa 초과하는 부분의 호스접결구 인입측에 감압
장치를 설치하거나 시스템 전체에 감압해야 한다.
3. 시공
- 90 -
02030 옥내소화전 설비공사
3.3 현장 뒷정리
가. 소화배관은 시공 완료 후 FLUSHING 작업등을 실시 배관내 이물질을 제거하고 누수
등 시공 부적합 등을 해소하여야 한다.
나. 사용상 주의표식 등 유지관리에 필요한 문구의 부착
3.4 시운전
01010 일반 공통사항에 따른다.
- 9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1호 라목에 따른 스프링클러 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 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 「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관련법규
「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 92 -
02040 스프링클러 설비공사
1.4 제출물
다음 사항은 “01010 일반공통사항 4.제출물”에 따라 제출한다.
가. 제품자료 : 제작업자의 유지보수 지침서, 설치지침서 및 제작업자의 기술자료
나. 시공상세도 : 제작도 및 그 밖의 설치 기술에 대한 주의사항을 표기한 완전한 상세도
다.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검정필증, 형식승인서등 증명 및 시험자료
1.5 시공 전 협의
건축: 배관관통에 필요한 수직, 수평 및 건축구조상세도
전기: 전동밸브 및 탬퍼S/W등 설치위치의 전원공급
기계: 배관경로의 중첩확인 및 이격
2. 기기 및 재료
- 9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2 스프링클러 헤드
2.3 시험밸브
시험밸브의 구성은 개폐밸브(25㎜ 이상), 동, 동합금 또는 스테인레스강으로 이루어진
- 94 -
02040 스프링클러 설비공사
2.4 스프링클러설비 배관
KS D 3507 배관용 탄소 강관
KS D 3562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KS D 5301 이음매 없는 구리 및 구리합금관
KS D 3576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 또는 KS D 3595 일반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KS D 4311 덕타일 주철관
KS D 3583 배관용 아크용접 탄소강강관
소방용합성수지배관(CPVC,염소화염화비닐수지)
2.6 연결송수구
소방차량의 진입이 용이한 곳에 접속구는 구경 65㎜ 쌍구형송수구를 지면으로부터
0.5㎜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연결 송수구 가까운 곳의 보기 쉬운 곳에는
주물품의 “스프링클러용 연결송수구”와 사용압력이 표시된 표지를 한다.
2.7 발열선
01040 소방기계배관공사 2.8.1 발열선 에 따른다
- 9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 시공
3.1 배관 공사
가. 4℃ 이상을 유지할 수 없는 습식설비의 경우 동결방지 조치를 취해야 하며, 상시 난방이 되는 등
동결의 우려가 없는 장소 이외에는 소화수가 동결되지 않도록 열선 등의 조치를 하여야 한다.
나. 배관이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경우 내화충진재는 관통벽체와 배관사이에 벽체의 두께
전체에 다 채워져야 하며, 내화충전구조 인정기준에 의하여 인정받은 조건과 동일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다. 시스템을 구성하는 기기 및 배관을 연결하는 후렌지의 너트는, 필요한 토크로 조인
후 너트면 위로 나사산이 3산 이상 나와야 한다.
라. 나사식 연결배관의 경우 체결 후에 나사산이 4개 이상 보여서는 안 된다.
마. 무용접 이음방식의 글로브 조인트와 같은 배관 연결방식은 지중매설 혹은 손이 닿지
않아서 보수가 어려운 곳에 적용해서는 안 된다.
바. 글로브 조인트 방식의 배관자재는 해당 자재를 구성하는 부품을 모두 동일 제조사의
제품으로 구성하여 FM 혹은 UL 인증을 받은 것이어야 하며, 사용조건을 지정한 해당
인증서의 사본을 첨부하여 감리자의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
사. 글로브 조인트용 홈가공 기구는 해당 자재납품업체와 동일한 제조사의 것을 사용
하여야 한다.
아. 합성수지관은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인증품이어야 하며, 사용조건을 지정한 해당
인증서 사본을 첨부하여 감리자의 승인을 득하여야 한다.
자. 지중매설배관은 해당지역의 동결심도 이상의 깊이로 매설하고 표식하고 강관배관의
경우 적절한 부식방지처리를 하여야 한다.
차. 지중매설배관은 지상으로 나온 후 적당한 높이에서 일단 플렌지로 마감한 후 지상
배관과 연결하되, 그 플렌지의 아래 부분은 바닥 마감선으로 부터 150mm 이상 높은
위치이어야 한다.
카. 지중매설배관에서 엘보 등 배관이음쇠가 있는 부분에는 추력에 의한 배관손상을 막을
수 있도록 적절히 계산하여 추력방지 블록을 설치하여야 한다.
타. 배관내로 이물질이 투입되지 않도록 보양조치를 하여야 한다.
파. 입상관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는 청소용 소제구를 설치한다.
하. 각 수직배관의 최상단에는 수격방지기 및 공기배출밸브를 설치하고, 유수검지장치의
2차측 배관 중 공기고임이 가장 많이 예상되는 위치에는 추가로 공기배출밸브를
설치한다. 수동식 공기배출밸브를 설치할 경우에는 접근이 가능한 바닥으로부터 2m를
넘지 않는 높이의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거. 배관 내 물은 설비의 가장 낮은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주배수 밸브를 통해 완전히
배수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일부 배수가 어려운 구간의 경우에는 별도의
배수밸브가 설치되어야 한다.
- 96 -
02040 스프링클러 설비공사
3.2 배관의 지지
가. 천장면에 배관을 지지하는 행거는 「국가화재안전기준」의 설치기준에 따르고, 건축
구조 강철제 보, 거더, 적절하게 설계된 콘크리트 인서트 등에서만 보조 강제 및 배관을
설치하여야 한다.
나. 행거는 각 지점에서 충수된 배관 무게의 5배에 110㎏을 더한 무게를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다. 행거를 지지하는 환봉의 직경은 배관의 구경이 100mm까지는 9.5mm, 125 ∼ 200mm까지는
12.7mm 그리고 250 ∼ 300mm까지는 15.0mm보다 작아서는 안 된다.
라. 동관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하는 구리행거 또는 철재행거는 절연재료를 사용해야 한다.
마. 모든 행거나 환봉은 부식방지 조치를 하여야 하고, 모든 배관은 평평하여야 한다.
- 9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3 수원
가.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원은 전용으로 하거나, 다른 설비의 수원을 겸용으로 사용하는
경우 수조로부터 급수관을 설치할 경우, 유효 소화용수량의 산정은 급수구 상단으로
부터 다른 설비 급수구 하단까지의 거리를 기준으로 산정한다.
나. 소화수조가 설치된 실의 조명은 비상전원으로부터 공급되어야 한다.
다. 수조의 외측에 설치하는 수위계는 수위의 높이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이 가능하도록
수위를 지시하는 물질 등으로 수위 표시가 가능하여야 한다.
라. 소화용수 전용수조를 사용할 경우의 유효수량 산정은 수평으로 연결된 스프링클러설비
급수구 상단으로부터 자동급수밸브에 의해 차단되는 수위까지를 기준으로 산정한다.
마. 수조내부의 급수구 형태는 수조의 바닥에서 위로 흡입할 수 있도록 엘보를 설치하거나,
소용돌이에 의한 공기방울이 펌프로 흡입되지 않도록 급수구의 말단에 가로 세로 크기가
1.2m 정도 크기의 볼텍스플레이트(Vortex plate) 또는 집수피트를 설치하여야 한다. 수조
의 바닥으로부터 급수구 말단까지는 최소 150㎜ 이상 이격시켜 설치하여야 한다.
바. 수조로부터 소화펌프 흡입측으로 연결되는 급수구에 설치하는 개폐밸브는 완전히
개방되었을 경우 밸브의 개방 유효면적이 배관의 구경과 같은 구조의 것으로 설치
하여야 한다.
3.4 유수검지장치 등
가. 유수검지장치 설치 시 밸브내부의 이 물질이나 먼지 등을 깨끗이 청소한 후에 연결
작업을 한다.
나. 유수경보장치의 2차 측에는 배관 내 압력이 1.2MPa 이상 상승할 경우 압력을 감압
시킬 수 있는 릴리프밸브가 설치되어야 한다.
다. 격자형배관방식으로 설치할 경우에는 준비작동식과 건식밸브를 사용해서는 안 된다.
3.6 스프링클러헤드
- 98 -
02040 스프링클러 설비공사
- 9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6.2 내식성 헤드
가. 스프링클러 헤드의 노출 금속성 부분에 녹, 부식 등을 발생시킬 수 있는 아래와 같은
장소는 해당 장소의 여건과 환경을 고려하여 내부식성 코팅 또는 내부식성 재료로
제조된 내식성 헤드를 설치하여야 한다.
1) 제지공장
2) 포장공장
3) 제혁공장
4) 알칼리공장
5) 유기비료공장
6) 주물공장
7) 철공소
8) 훈증, 절임 및 식초공장
9) 마구간
10) 배터리 저장실
11) 전기 도금실
12) 아연 도금실
13) 수증기 건조로를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증기실
14) 소금 저장실
15) 기관차 차고 또는 창고
16) 차도
17) 염분 있는 공기에 노출된 선창 및 부두와 같이 외기에 노출된 지역
18) 지하보도
19) 제분소의 표백장치 주위
20) 직접 암모니아 팽창설비가 사용되는 냉동저장건물의 모든 부분
21) 부식성 증기가 발생하는 모든 공장부분
22) 수영장 주변지역, 염소저장실 및 풀펌프(Pool Pump)실
나. 스프링클러 헤드의 내식성을 위한 코팅은 제조업체에서만 이루어져야 하며, 코팅의
손상을 막기 위해 설치 및 취급에 주의하여야 한다.
- 100 -
02040 스프링클러 설비공사
3.7 시험 및 검사
3.7.1 수압시험
가. 습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압시험압력은, 설비의 최고사용압력이 1.05MPa 미만인 경우
에는 1.4MPa, 1.05MPa 이상인 경우에는 0.35MPa을 더한 압력으로, 시험하고자 하는
장치의 가장 낮은 부분에서 2시간 이상 가압하였을 때 누수가 없어야 하며, 수압시험
기준 압력에서 ± 0.03MPa을 유지하여야 한다.
나. 준비작동식 및 건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수압시험은 습식 스프링클러설비와 동일하게 수행
하고, 추가로 공기압 시험을 하여야 한다. 공기압은 0.28MPa로 24시간 이상 유지하며,
24시간 동안 동일한 온도에서 0.01MPa 이상의 압력저하가 있어서는 안 된다.
다. 수압시험 중 파손 시 물에 의한 심각한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소형펌프로 압력을 유지
해야 한다.
라. CPVC와 같이 경질 열가소성 배관이 있는 설비를 압력시험 할 때, 배관 내의 공기를
완전히 배출하면서 물로 가득 채워야 한다. 이러한 경질 열가소성 배관의 수압시험
에는 압축공기 또는 압축가스를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된다.
마. 수압시험은 배관과 배관부속품의 누수여부를 시험하는 것이므로, 밸브와 장비 등이
설치되어 있을 경우에는 높은 시험압력에 의해 밸브와 장비가 손상되지 않도록 압력이
직접 밸브와 장비내부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체크밸브의 경우에는 흐름방향
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바. 수압시험은 누설부위를 발견할 수 있도록 배관의 보온 또는 매립, 은폐 등이 진행되기
전에 실시하여야 한다.
사. 수압시험의 압력은 시험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0.34MPa 단위로 증가시킨다. 각 상승
단계별 가스켓의 돌출, 누수 등이 발생하지 않는지 확인하여야 하며, 시험압력에
이르면 1시간 동안 유지시킨 다음 누수와 압력저하를 확인한 후 압력을 0으로 떨어
뜨린다. 그리고 다시 앞의 과정을 똑같이 반복하며 시험기준압력을 1시간 동안 유지
시킨 다음 누수와 압력저하를 확인하면 수압시험은 완료된다.
3.7.2 배관 세정
가. 급수원으로 부터 설비 입상관 까지의 지하배관, 그리고 설비 입상관의 연결부는 2차측
소방시설용 배관에 연결되기 전에 완벽하게 세정되어야 한다.
나. 세정작업은 깨끗하다고 인정될 때까지 충분한 시간동안 계속되어야 하며, 세정에
필요한 최소 유속은 3m/s 이상이어야 한다.
다. 교차배관의 세정은 배관 말단에 설치되어 있는 앵글밸브에 소방호스를 연결하되 노즐을
부착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이 때 노즐과의 연결금속구가 시험도중 이탈
되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시킨 상태에서 실시하여야 한다.
라. 가지배관의 세정은 가지배관의 끝에 설치한 캡을 개방한 후 실시하여야 한다.
- 10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7.3 유수경보장치의 시험
가. 습식, 건식, 부압식설비의 경우에는 시험장치를 작동하여 경보가 발하는지 시험한다.
나. 경보시험을 실시하기 전에 밸브의 개폐신호가 템퍼스위치에 의해 정확하게 제어반으로
전달되는지를 밸브를 직접 작동하여 확인하여야 하며, 완전히 밸브가 완전히 열린
상태에서 열림 신호가 전달되는 것을 확인하여야 한다.
다. 습식설비의 경우 시간지연이 거의 없이 곧바로 물이 방수되어야 하며, 건식설비의
경우에는 물이 방수되기까지 1분이 초과되어서는 안 된다.
라. 시험밸브함은 매우 빠른 속도로 완전히 개방한 후 5분 이내에 유수경보장치의 작동을
알리는 경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 시험밸브함 개방 후 설정한 기동압력에서 펌프가 기동되는지를 확인하여야 하며, 펌프
기동 후 2분 이상 펌프의 운전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바. 시험밸브함을 잠근 후에도 수동으로 정지하기 전까지는 펌프의 기동이 자동으로
정지되지 않아야 한다.
사. 준비작동식설비는 2차측 밸브를 폐쇄하고 밸브 본체의 배수밸브를 개방한 다음 감지
기를 작동시켜 준비작동식밸브의 클래퍼가 개방되는 것을 확인한다. 클래퍼 개방 후
습식설비와 마찬가지로 약 2분 이상 펌프의 운전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는지를 확인하
여야 한다.
3.9 시운전
01010 일반공통사항에 따른다.
시운전 후 완공된 설비는 해당 건축물의 관리자에게 인수인계하고 언제나 사용이
가능한 상태로 유지관리 하여야 한다.
- 102 -
02050 물분무 소화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1호 바목에 따른 물분무 소화설비공사에 관하여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은 소방관계법규를 우선하여 적용하여야 하며,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 「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관련법규
「소방기본법」,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소방시설
공사업법」, 「위험물안전관리법」,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기술
기준, 예방소방업무 처리규정, 화재보험협회 소화설비규정
1.3.2 한국산업표준(KS)
KS D 3507 배관용 탄소 강관
KS D 3562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KS D 5301 이음매 없는 구리 및 구리합금관
KS D 3576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 또는 KS D 3595 일반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KS D 4311 덕타일 주철관
1.4 제출물
다음 사항은 “01010 일반공통사항 4.제출물”에 따라 제출한다.
1.4.1 제품자료
모든 소방자재의 제품자료를 제출하며, 해당 자재는 소방청장(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형식승인서 및 개별 검정합격표시 통지서 사본을 첨부하여 제출한다.
- 10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 기기 및 재료
2.1 물분무 헤드
물분무 헤드는 소화펌프의 유량 및 양정 조건에 의하여 분사각도, 유량 및 분무
성능을 만족하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2.3 수동조작함
전원 감시등, 밸브 개방 표시등, 밸브주의 표시등, 밸브 기동 스위치, 전화잭 등으로
구성되어야 하며, 밸브기동 스위치는 플라스틱에 의하여 보호되어야 한다.
3. 시공
3.1 시공전 협의
건축: 배관관통에 필요한 수직, 수평 및 건축구조상세도
전기: 전동밸브 및 탬퍼S/W등 설치위치의 전원공급
기계: 배관경로의 중첩확인 및 이격
3.2 시공 일반
가. 자동개방밸브는 유체 흐름 방향에 맞추어 계기등의 부속물의 점검 및 시험이 편리
하도록 설치한다.
나. 물분무 노즐은 변압기의 Bushing등 고압전류가 흐르는 부속물에 직접적으로 물이 분사되지
않도록 적절한 거리 및 각도를 조정하여 설치하여야 한다.(옥외형 변압기는 예외)
3.3 기동장치
가. 수동식 기동의 경우에는 수동조작함에서 직접 조작하거나, 원격조작에 따라 각각의
가압송수장치 및 수동식 개방밸브 또는 가압송수장치 및 자동개방밸브를 개방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나. 자동식 기동의 경우에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의 작동 또는 폐쇄형스프링클러 헤드의
개방과 연동하여 경보를 발하고, 가압송수장치 및 자동개방밸브를 기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야 한다.
3.4 검사 및 시험
배관의 수압시험압력은 설계압력의 1.5배(최소 14㎏/㎠)로 2시간 이상 실시하여 압력
저하가 없어야 한다.
- 104 -
02060 옥외소화전 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1호 사목에 따른 옥외소화전설비공사에 관하여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은 소방관계법규를 우선하여 적용하여야 하며,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 「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관련법규
「소방기본법」,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소방시설
공사업법」, 「위험물안전관리법」,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기술
기준, 예방소방업무 처리규정, 화재보험협회 소화설비규정
1.3.2 한국산업표준(KS)
KS D 3507 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62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KS D 5301 이음매 없는 구리 및 구리합금관
KS D 3576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 또는 KS D 3595 일반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KS D 4311 덕타일 주철관
1.4 제출물
다음 사항은 “01010 일반공통사항 4.제출물”에 따라 제출한다.
1.4.1 제품자료
모든 소방자재의 제품자료를 제출하며, 해당 자재는 소방청장(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형식승인서 및 개별 검정합격표시 통지서 사본을 첨부하여 제출한다.
- 10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 기기 및 재료
2.1 옥외소화전
가. 옥외소화전은 방수구의 설치위치에 따라 지상식, 지하식으로 구분한다.
나. 옥외소화전의 규격은 다음 표에 따른다.
호 칭 100㎜
입구측 규격 100㎜ RF FLG (KS B 1514-16K)
출구측 규격 65㎜ × 2EA
내압시험 압력 20㎏/㎠
사용 압력 14㎏/㎠ 이하
2.2 옥외소화전함
가. 함의 재질 및 두께
1) KS D 3698 및 KS D 3705의 STS 304의 규정에 적합한(스테인리스 헤어라인) 1.5㎜이상
2) 두께 1.5㎜ 이상의 강판
3) 두께 4㎜ 이상의 합성수지재
나. 함은 밸브의 조작, 호스의 수납 등에 충분한 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다. 문짝면적은 0.5㎡ 이상, 경첩은 은폐된 것으로 소화 작업에 지장이 없도록 문짝이 열릴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2.3 앵글밸브
KS B 2301의 규격에 적합한 청동 14K, 나사끼움식 65㎜
2.4 호스
가. 당해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옥외소화전 방수구까지의 수평거리가
설계도면에 따라 40m 이하가 되어야 한다.
나. 호스의 길이는 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에 유효하게 물이 뿌려질 수 있는 길이로 할 것.
다. 호스는 구경 65㎜의 것으로 하여야 한다.
2.5 노즐
가. 호스접속구경 : 65㎜
나. 재질 : 황동, 청동 또는 알루미늄제
다. 최고사용압력 : 1.4MPa 이상
- 106 -
02060 옥외소화전 설비공사
2.7 기동용수압개폐장치
“02010 소화펌프 설치공사”에 따른다.
3. 시공
3.2 시공 일반
가. 옥외소화전 및 소화전 함의 설치위치는 건축물의 상부로부터 유리창등 낙하물이
조작자의 작업에 지장을 받지 않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나. 옥외소화전 함은 도면에 지시된 곳에 지시된 높이로 설치하고, 옥외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곳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 옥외소화전의 배관과 제수변은 동결방지조치를 하거나 해당지역의 동결심도 이상으로
매설하여야 한다.
라. 옥외소화전설비 지하배관 매설시 밸브는 포스트인디게이트밸브(PIV)를 사용하여 지상
에서 밸브의 개폐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한다.
3.3 검사 및 시험
가. 옥외소화전 배관의 수압시험압력은 설계압력의 1.5배(최소 14㎏/㎠)로 2시간 이상 실시
하여 압력저하가 없어야 한다.
나. 방사노즐에서의 선단방수압력을 피토게이지 또는 보조연결구를 이용한 압력게이지로
측정하여 규정 방수압 및 유량을 확인한다.
3.4 현장뒷정리
가. 소화배관은 시공 완료후 FLUSHING 작업등을 실시 배관내 이물질을 제거하고 누수
등 시공 부적합 등을 해소하여야 한다.
나. 사용상 주의표식 등 유지관리에 필요한 문구의 부착
3.5 시운전
01010 일반공통사항에 따른다.
- 10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02070 포 소화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1호 바목에 따른 포 소화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 「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국가화재안전기준
「포 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5)」
「위험물 안전관리에관한 세부기준(소방청 고시)」
1.4 제출물
가. 제품자료 : 제작업자의 유지보수 지침서, 설치지침서 및 제작업자의 기술자료
나. 제작도 : 제작도 및 그 밖의 설치기술에 대한 주의사항을 표기한 완전한 상세도
다.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형식승인서, 공인기관 승인서, 시험성적서 및 시험자료
1.5 시공 전 협의
수급인은 고발포 포방출구, 배관, 포 소화전, 헤드의 위치가 타 설비의 간섭유무를
확인하여 감리자와 협의 후 소방관련법령에서 요구하는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하여야
한다.
건축: 배관관통에 필요한 수직, 수평 및 건축구조상세도
전기: 전동밸브 및 탬퍼S/W등 설치위치의 전원공급
기계: 배관경로의 중첩확인 및 이격
- 108 -
02070 포 소화설비공사
2. 기기 및 재료
2.1 포 소화약제
가. 포 소화약제는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형식승인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나. 포 소화약제는 현저한 독성이나 부식성이 없어야 하며 부유물 또는 침전물의 발생이
생기지 아니하여야 하며 과불화옥탄술폰산(그 염류와 과불화옥탄술포닐플로라이드를
포함한다)을 함유하지 않아야 한다.
다. 포 소화약제의 종류는 다음의 표와 같다.
약제의 종류 사용 농도 적용대상물
3%
단백포
6%
차고 주차장,
합성계면
1 ∼ 6% 항공기 격납고,
활성제포
특수가연물저장취급소방대상물
3%
수성막포
6%
2.2 포 원액탱크
가. 포 원액 약제는 블래더탱크 또는 대기압탱크에 저장되어야 한다.
나. 포 소화약제의 증발을 최소화하도록 설계된 저장탱크를 사용하여야 하며 야외의 노출을
피해서 증발을 최소화하여야 한다.
다. 포 소화약제는 제조업체가 승인받은 온도범위에서만 저장되어야 한다.
라. 블래더탱크는 원액탱크와 혼합기로 구성하고, 혼합기는 물과 원액의 혼합비를 약제
사양에 맞게(3% 형인 경우 97:3) 조절되도록 하며, 탱크는 원액량을 수시로 확인할
수 있도록 그라스게이지를 부착하고 배수를 위한 배수 밸브를 설치한다.
마. 블래더(고무주머니)는 사용용도와 품질에 대하여 국제적인 인증기관으로부터 인증
또는 인정을 받은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2.3 포혼합장치
가. 포 혼합장치는 사용하고자 하는 포 소화약제를 사용하여 인증 또는 성능시험기관
으로부터 인정을 받은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나. 사용코자 하는 포 혼합장치 시스템은 최소 및 최대 방출유량을 근거로 등록된 유량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다. 펌프의 토출압력과 사용유량 및 혼합비율에 맞는 포 혼합장치를 사용하여야 한다.
라. 포 혼합장치의 포 약제를 조절하는 오리피스(Metering Orifice)는 사용코자 하는
포 소화약제로 등록이 되어 이에 적합한 크기로 가공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 10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4 포 헤드
화점 가까이 접근하기 어려운 부분에 설치하는 것으로 배관을 고정 설치하며 선단에
헤드를 설치하는 설비로 포 헤드와 포 워터스프링클러헤드가 있다.
가. 포 헤드는 포수용액을 방사할 때 스크린망에 부딪쳐 포를 발생시키고 스크린망 내부의
디플렉터로 분산 및 살포시키는 구조이어야 한다.
나. 포 워터스프링클러헤드는 포 수용액을 방사할 때 헤드 내에 흡입된 공기로 포를 발생
시키고 발생된 포를 디플렉터로 분산 및 살포시키는 구조이어야 한다.
2.5 호스릴포
릴에 감겨진 호스를 이용하여 직접 화점에서 호스릴 포 노즐을 통해 포 소화약제를
방출하는 이동식 소화설비로서 특수가연물을 저장. 취급하는 공장 또는 창고, 차고
또는 주차장, 항공기격납고에 적응성이 있는 포 소화설비이다.
2.6 포 소화전
가. 포 소화전에는 소방호스 40A × 15 m 2개, 포 노즐 40A 1개를 비치한다.
나. 소화전함에는 일제개방 밸브를 개방할 수 있는 수동기동 스위치를 함 내부에 설치
하여야 한다.
2.7 고정포방출구
가. 특수가연물을 저장, 취급하는 공장 또는 창고, 차고 또는 주차장, 항공기격납고에
적응성이 있는 고발포용(팽창비 80이상 1000미만) 포 소화설비 방출구이다.
나. 고정포 방출구(고발포 발생기)는 흡입식과 송출식이 있으며 흡입식의 경우 포 수용액
분사의 힘으로 공기를 흡인하고 혼합된 포수용액이 발포기를 통해 분사되면서
포 스크린을 때려 약 250배 배율로 팽창 방사된다.
다. 송출식의 경우 혼합된 포수용액이 노즐에서 분사될 때 송풍기를 이용하여 포 스크린을
통과시키면 약 500 ∼ 1000배 발포배율로 팽창 방사 된다.
2.8 배관
KS D 3507 배관용 탄소 강관
KS D 3562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KS D 5301 이음매 없는 구리 및 구리합금관
KS D 3576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 또는 KS D 3595 일반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KS D 4311 덕타일 주철관
KS D 3583 배관용 아크용접 탄소강강관
소방용합성수지배관(염소화염화비닐수지)
- 110 -
02070 포 소화설비공사
3. 시공
3.2 약제저장탱크
약제저장탱크의 브래더(고무주머니)는 혹한기 사용 시 동파로 인하여 찢어지지 않도록
동결우려가 없는 적정한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 11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6 검사 및 시험
수동기동장치를 동작시켜 표시등, 벨 등의 제어 계통, 전동기 구동밸브 및 일제 개방
밸브가 원활하게 작동되어 설계도서에 표기된 압력과 유량 이상으로 방출되는지를
방출포량 시험기를 이용하여 시험한다.
3.6.1 검사와 육안 시험
가. 포시스템은 도면과 시방서에 따라 제대로 설치여부에 대하여 육안으로 시험하여야 한다.
나. 다음의 사항을 검사받아야 한다. : 설치계획, 배관의 연속성, 임시 블라인드의 제거,
밸브의 접근성, 제어장치 상태, 게이지 상태, 증발 밀봉 상태, 장치물에 대한 점검
3.6.2 배관 설치 후의 플러싱
가. 배관내의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주배관은 반드시 물로 플러싱을 하여야 한다.
- 112 -
02070 포 소화설비공사
3.6.3 준공시험
가. 공사가 완료된 후 포 전문 T.A.B 업체를 통하여 시험을 받아야 한다.
나. 시험의 목적은 승인된 도면과 시방서에 따라 시공되었는지를 확인하고 각 장비들에
대하여는 의도에 맞도록 설치되었는지에 대한 확인하는 것이어야 한다.
다. 준공시험은 다음에 따라야 한다.
1) 인화성액체를 소화하기 위해서는 포 수용액의 적정 방사압력 범위, 농도, 충분한 방수
밀도가 중요하므로 준공테스트를 통하여 설계압력과 설계 포수용액의 농도로 작동
되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2) 사용된 포 원액을 채취하여 공인 시험기관에 검사를 의뢰해서 과불화옥탄술폰산
(Perfluorooctane sulfonic acid, PFOS), 그 염류와 과불화옥탄술포닐플로라이드
(Perfluorooctane sulfonyl fluoride, PFOS-F)의 존재로 「잔류성유기오염물질관리법」
의 저촉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국제적인 공인품일 경우는 시험의뢰를 생략할 수
있다.
3) 시험을 통하여 물의 정압력, 콘트롤밸브와 멀리 떨어진 배관에서의 동압, 포원액
소비율을 확인하여야 한다.
3.6.4 수압시험
스프링클러설비 소화설비공사의 수압시험 규정에 따른다.
3.6.5 작동시험
공사가 완료되기 전에 모든 장비는 기능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3.6.6 방출시험
공사가 완료 된 후 에는 소화설비의 방출시험으로 유량 및 압력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작동 연계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실물실험을 실시한다.
- 11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1호 바목에 따른 이산화탄소 소화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 「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국가화재안전기준
「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6)」
1.4 제출물
가. 제품자료 : 제작업자의 유지보수 지침서, 설치지침서 및 제작업자의 기술자료
나. 제작도 : 제작도 및 그 밖의 설치기술에 대한 주의사항을 표기한 완전한 상세도
다.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형식승인서, 설계프로그램의 제품검사 결과서, T.A.B 등 시험
결과자료 및 각종 시험성적서
1.5 시공 전 협의
수급인은 설계도서와 현장의 조건을 확인하여 체적, 개구부등 이산화탄소 소화농도
및 방출시간에 지장을 주는지를 검토하여 감리자와 협의 후 시공 하여야 한다.
건축 : 배관관통에 필요한 수직, 수평 및 건축구조상세도
전기 : 솔레노이드밸브 및 방출등, 화재표시반 설치위치의 전원공급
기계 : 배관경로의 중첩확인 및 이격
- 114 -
02080 이산화탄소 소화설비공사
2. 기기 및 재료
2.1 배관재료
KS D 3562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또는 동등 이상 성능으로 방식된 것
(고압식 스케줄 80, 저압식 스케쥴 40)
KS D 5301 이음매 없는 구리 및 구리합금관
(고압식 16.5MPa 이상, 저압식 3.75MPa 이상 압력에 견딜 것)
2.3 실린더 밸브
가.「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서 정하는 바에 의한 합격품이어야 한다.
나. 고압식 용기의 용기밸브는 20 ∼ 25MPa 압력에서 작동하는 파열판식의 안전변을
구비하고 자동 수동으로 급속히 개방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다. 저압식 저장용기는 2.24 ∼ 2.8MPa압력에서 작동하는 파열판식 안전변을 구비하여야 한다.
2.5 이산화탄소 노즐
재질은 내식성 금속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계산된 오리피스 크기가 표시된 것으로 한다.
2.6 플렉시블 호스
용기밸브와 접합관을 연결하는 관으로서 신축성이 있어야 하며, 파열압력은 고압식의
경우 34.5MPa, 저압식의 경우 12.4MPa이어야 한다. 수압시험의 압력은 17.2MPa이상
이어야 한다. 수압압력시험에 대한 공인기관의 시험성적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국제
적인 공인품일 경우는 생략할 수 있다.
- 11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7 기동용기 배관
점검 및 시험으로 탈부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기동용기 배관의 연결 부분에는 동확관
부속을 사용하지 말고 고압 플렉시블호스를 사용하여야 하고, 니들밸브와 실린더간의
연결을 견고하게 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어야 한다. 기동용기 배관은 55℃에서 기동
용기 내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고압 플렉시블호스의 사용압력은 21MPa, 시험압력은 31.5MPa 이상이어야 한다.
국제적인 공인 시스템 인증품이 아닌 경우에는 시험성적서를 제출한다.
2.8 선택밸브
기동용기 가스압에 의하여 신속 정확하게 개방되고 수동개방도 할 수 있는 구조로 하며
레버는 수동조작 시 신속하게 개방되어야 한다. 고압식 설비에 사용하는 경우는 내압
시험은 25MPa 이상, 파열압력은 34MPa이어야 하고, 저압식설비의 경우는 12.4MPa의
수압시험에 견디는 밸브를 사용하여야 한다. 선택밸브의 압력기준이 되는 사용압력은
배관의 설계압력(최소사용설계압력)을 말한다.
2.9 제어반
제어반은 본체, 계전기, 전원표시, 화재구획표시, 가스방출표시, 경보장치, 복구 스위치
및 시험 스위치 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2.10 기동 용기함
DC 24V용이며, 화재 시 감지기 작동으로 기동용기를 개방하여 선택밸브 및 주용기를
작동하게 하는 구조의 것이어야 한다. 기동용기는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 의한
용기검사 합격품을 사용하여야 하고 용기 내 가스는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가스를
사용한다.
2.11 용기 지지틀
용기를 견고히 지지하는 틀로서 구조가 견고하고 표면은 거칠지 않아야 하며, 상단
에는 집합관을 지지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2.12 안전장치
선택밸브를 사용할 시에는 저장용기와 선택밸브 사이에 밀폐된 공간이 있게 되므로
이상 압력 발생 시를 대비하여 집합관, 배관부속류 및 밸브류를 보호하기 위해서
배관의 설계압력(최소사용설계압력)과 최대허용사용압력 사이에서 작동하는 안전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안전장치는 파열판식으로 압력을 방출하는 구조로서 고압식의 경우
20MPa에서, 저압식의 경우에는 3.1MPa에서 작동한다.
- 116 -
02080 이산화탄소 소화설비공사
3. 시공
3.1 사용 배관 및 부속류
가. 고압설비의 경우 KS D 3562(압력배관용 탄소강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80A까지는
Sch80 심리스 아연도 용접이음 강관을 사용하여야 한다. KS D 3562(압력배관용 탄소
강관)의 최대허용압력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적정압력 등급을 가지는 ASTM관을 사용
하여야 한다. 고압식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에 사용하여야 하는 ASTM관은 ASTM A
53의 seamless 또는 electric welded, Grade A 또는 B를 사용하거나 ASTM A 106의
Grade A, B, 또는 C 중의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야 한다.
나. 저압설비의 경우 KS D 3562(압력배관용 탄소강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Sch40 이상
의 ERW 또는 심리스 아연도강관을 사용하여야 한다.
다. 다음의 배관 부속류를 사용하여야 한다.
21℃에서
21℃의
배관부속의 최대배관
방 식 저장용기 압력 사용가능한 최소 등급
최소 설계압력 구경(NPS)
psig(kPa)
psig(kPa)
850
고압식 2800(19,305) Class 3,000-lb. thrd/weld F.S 모든 구경
(5,860)
라. 고압식 설비의 경우 단조강 부속을 사용하여야 한다. 저압식 설비의 경우는 80A까지
Class 300의 나사식 가단주철제 부속류를 사용할 수 있고, 100A이상은 단조강 부속을
사용하여야 한다.
마. 플랜지는 고압식의 경우 선택밸브가 있는 경우 1차측은 Class 600의 단조강 플랜지를
사용하여야 하고 2차측과 선택밸브가 없는 경우 및 저압식의 경우의 플랜지 이음은
Class 300을 사용할 수 있다.
바. 고압식 설비의 관부속으로 KS B 1541 배관용 강제 및 맞대기 용접관 이음쇠는 사용
하지 말아야 한다. Sch80의 경우에는 탄소강 맞대기 용접의 부속류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사. 단조강 소켓 용접 부속류는 관구경 100A까지만 사용할 수 있다.
- 11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2 배관 시공
3.2.1 배관 플러싱
배관을 설치하기 전에 절단이나 용접 후 생기는 부스러기들을 제거하고 청소를 깨끗이
하여 약제 방출 시 찌꺼기의 방출로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아야 하고, 배관 조립 후
방출헤드를 달기 전에 전체 배관에 플러싱을 실시하여 깨끗하게 불어내야 한다.
3.2.5 관의 절단
관의 배관길이를 정확하게 측정 후 축선에 직각이 되도록 절단한다. 또한 절단 축소가
발생하는 절단기기 및 공구를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3.2.6 절단부위의 처리
모든 관의 절단부분은 줄 등을 사용해서 매끈하게 축선과 직각인 평면이 되도록
다듬기를 하고 관 내외면의 되밀림 및 손거스러미를 떼어낸다.
3.2.7 관내의 점검 청소 및 배관 끝의 보호
가. 모든 관은 접합하기 전에 관 내부를 점검하고, 이물질이 없는지 확인 후 금속 부스러기
및 먼지를 충분히 청소한다.
나. 일을 끝마쳤을 때 또는 일시 배관을 중지할 때는 배관 끝을 플러그 및 캡 등으로 완전
폐쇄하고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 118 -
02080 이산화탄소 소화설비공사
3.3 배관지지
3.3.1 행거 또는 서포트의 설치
배관설비는 이산화탄소 소화약제가 방출시 추진력, 열팽창 및 배관 수축을 받더라도
안전하게 지지되어야 하고 기계적이나 화학적 또는 기타의 손상을 입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하고 유체의 흐름이 방향 전환되는 곳과 노즐이 설치되는 입상관 및
집합관에는 철저하게 지지되도록 한다. 아래 그림에서 보는 것과 같이 약제의 방향이
전환되는 장소에는 한 변이 50㎜ 이상인 형강제 서포트로 단단히 지지하여야 한다.
3.3.2 행거사이의 간격
지지간격과 환봉직경
공칭경
지지간격(m) 환봉 직경(inch)
25mm 이하 2.0 3/8
32 2.0 3/8
40 2.7 3/8
50 3.0 3/8
65 3.2 1/2
80 3.7 1/2
100 4.2 5/8
125 5.0 5/8
150 5.2 3/4
- 11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 120 -
02080 이산화탄소 소화설비공사
- 12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5 저장 용기의 설치
바닥이 처지지 않도록 주의하여 기초 바닥면에 수평으로 용기틀을 붙여 기초볼트로
균등하게 조인 후 저장용기를 속에 넣어 용기고정철물로 지지한다.
3.6 안전장치(압력방출장치)
선택밸브 등을 사용함으로써 저장용기와 선택밸브와 같은 밸브류 사이에 밀폐된
공간이 생기는 경우 배관, 배관부속류 및 밸브류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집합관에
설치하여야 한다.
3.7 기동장치
3.7.2 자동식기동장치
감지기와 연동해서 작동되는 것으로서 전기식과 가스압식 및 기계식(케이블로 당기는
방식) 3종류가 있으며 전기식일 경우 7병 이상의 저장용기를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이중안전을 위하여 2개의 전자개방밸브(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3.8.1 기동용기
이산화탄소 기동용기의 용적은 5ℓ 이상으로 하고 해당용기에 저장하는 질소 등의
비활성기체는 6.0MPa 이상(21℃ 기준) 의 압력으로 충전하며 기동용기에는 압력계가
부착되어야 하고 가스의 누기 여부를 쉽게 관찰할 수 있어야 한다.
- 122 -
02080 이산화탄소 소화설비공사
3.8.2 기동라인
동관을 사용할 경우 확관식 이음부의 누기와 찌그러짐 등으로 기동불량 및 유지관리
상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플렉시블호스 방식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3.9 분사헤드의 설치
가. 반드시 설계프로그램 출력물(프로그램 계산서)에 명기된 크기, 헤드의 형태, 오리피스
크기 등의 식별표시가 표시된 분사헤드를 설치하여야 한다.
나. 매뉴얼에 명시된 분사헤드의 최대방호면적과 최대 높이를 초과하지 않아야 되고 최대
높이를 초과할 경우 추가 열에 분사헤드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 천정면에 설치되는 경우 방출압력에 의해 천정재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3.10 개구부
가. 전역방출방식인 경우 가능한 개구부를 최대로 줄여야 한다.
나. 약제가 방출하기 전 또는 방출 중에 폐쇄하지 못하는 개구부에는 추가 약제량으로
보상하여야 한다.
다. 심부화재의 경우 폐쇄 불가능한 개구부가 과압배출구의 크기보다 클 경우 천정부 또는
천정 모서리 경계면에 한정시켜야 한다. 위 외의 소화하는 시간 동안 폐쇄가 불가능한
개구부에는 소화하는 동안에 누설이 예상되는 체적에 상당한 약제량을 추가해서 보상
하여야 한다.
라. 표면화재의 경우는 폐쇄 불가능한 개구부가 있는 경우에는 설계농도에서 1분 동안에
누설이 예상되는 양을 추가해서 보상하여야 한다.
마. 자동폐쇄장치
1) 자동폐쇄장치는 약제가 방출하기 전 또는 동시에 폐쇄되어야 한다.
2) 전동모터에 의해 셔터가 폐쇄되는 경우에는 약제의 방출 지연시간 이내에 폐쇄
하여야 한다.
3.11 과압배출구
창, 문, 댐퍼 등의 누설틈새가 커서 일반적인 누설이 있는 경우는 과압배출구가 필요
없으나 매우 밀폐도가 높은 장소에는 과압배출구를 해당 인증 제조업체의 매뉴얼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 12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12 기타
가. 선택밸브에는 담당방호구역 표지판을 부착하여야 한다.
나. 이산화탄소 용기실에는 작동설명판과 위험경고 표지판을 방호구역 및 인근 실내에는
위험경고 표지판을 부착하여야 한다.
다. 방호구역의 체적 및 배관 경로에 변경이 있는 경우 프로그램을 다시 운영하여 재
설계하여야 한다.
3.13 검사 및 시험
3.13.1 기압(기밀) 시험
기압시험은 일부 또는 전 배관에 대해 은폐 또는 방출헤드(노즐) 설치 전에 또는
기압으로 시험하고 배관에서의 누설을 검사한다. 유지시간은 280kPa의 압력으로 10분간
시험을 실시하고 10분 후에 압력이 50kPa이상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3.13.2 작동시험 및 검사
관할 소방서의 완공검사를 받기 전에 관련 장비와 전문적인 기술인력을 갖춘 가스계
T.A.B 인정 전문업체에게 다음 3.13.3부터 3.13.7까지의 각종 시험을 실시하고 검토
를 거친 후에 그 결과보고서를 감리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13.3 기계구성품의 검토
제일 먼저 방호구역이 건축도면 등과 일치하는지 검사하여야 한다.
가. 배관 배열이 설계 및 설치시방서와 일치하는지 검사한다.
나. 노즐 및 배관의 크기는 설비 도면과 일치해야 한다. 배관 크기의 축소와 티(tee)의
분기가 설계와 부합하는지 점검한다.
다. 배관이음부위, 방출노즐 및 배관 지지대가 소화약제가 방출되는 동안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방출 시 배관이 분리되지
않도록 방출노즐을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라. 배관 조립 시, 방호구역을 오염시키거나 노즐의 오리피스 유효면적을 감소시켜 소화
약제의 분배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오일이나 입자가 내부에 유입됐는지 검사
해야 한다.
마. 분사헤드는 소화약제가 최적으로 분산될 수 있는 방법으로 방향을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바. 분사헤드, 배관 및 고정용 브래킷으로 인해 인명의 피해가 초래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일상적인 근무지역인 경우 사람이 있을만한 곳에는 소화약제가
직접 분사되지 않아야 한다. 소화약제는 느슨한 물체, 선반, 캐비닛, 상부 또는 느슨한
물체가 비산될 위험이 있는 유사한 표면에는 분사되지 않도록 하였는지에 대해서도
확인하여야 한다.
- 124 -
02080 이산화탄소 소화설비공사
- 12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13.6 기능시험
가. 예비 기능시험
1) 방재실에 알리고 소방서 또는 방재실 요원의 비상 출동이 필요 없음을 통보해야 한다.
2) 각 감지기가 정상 동작하는지 점검한다.
3) 모든 종단저항이 감지기 및 경보회로에 설치됐는지 점검한다.
4) 연동정지 기능을 점검하고 시험 시 방출회로의 작동으로 약제가 방출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5) 예비전원과 기능이상을 표시하는 감시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점검한다.
6) 가스압 기동장치 예비 시험
가) 니들밸브와 기동라인의 이음부와 전 기동라인의 누기 시험(니들밸브 분리)
나) 기동라인의 체크밸브의 방향과 기능 정상 여부
나. 설비의 기능 작동시험
다음과 같은 설비 기능시험이 약제방출시험 시 함께 수행되어야 한다.
1) A감지기 기동회로를 작동시킨다. 모든 경보기능이 적정하게 작동되는지 확인한다.
2) 교차회로 B감지기를 기동시키는데 필요한 회로를 작동시킨다. 제2경보기능이 적정
하게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지연 시간을 확인하여야 한다.
3) 수동 작동장치를 작동시키어 수동 작동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한다.
4) 비상 정지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동시킨다. 정지기능이 제대로 작동
되는지 확인한다.
5) 선택밸브의 작동시험을 통해 정상적인 작동여부와 폐쇄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고
가스 방출압에 다른 구역의 선택밸브의 개방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6) 가스압 기동라인의 누기여부와 기동장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여 전체적으로 완전한지
점검한다.
7) 용기밸브의 정상적인 작동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8) 압력스위치와 방출표시등의 정상 작동여부를 점검한다.
3.13.7 설계프로그램과 현장 일치 여부 확인
우선적으로 설계프로그램의 적정성과 확인한 후 현장 설치 내용과 일치하는지 검사
하여야 한다.
가. 적정 압력등급의 관과 관부속류, 안전장치, 밸브류가 사용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나. 배관 내 약제 비율의 적정성 확인과 배관체적비 산정 시 집합관의 사공간(dead space)
체적이 배관체적에 포함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다. 유량설계프로그램의 방호구역 화재분류의 적성성과 입력값의 적정성을 확인하여야 한다.
라. 규정된 분사헤드의 설치높이와 현장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마. 현장에 설치된 저장용기의 최대 및 최소 충전비와 첫 번째 티의 거리를 확인하여야 한다.
바. 배관 티분기의 적정성과 분기율을 확인하여야 한다.
사. 배관의 용접이음과 나사이음의 현장적용 여부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 126 -
02090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은「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1호바목에 따른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 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 「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국가화재안전기준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 화재안전기준(NFSC 107A)」
1.4 제출물
가. 제품자료 : 제작업자의 유지보수 지침서, 설치지침서 및 제작업자의 기술자료
나. 제작도 : 제작도 및 그 밖의 설치 기술에 대한 주의사항을 표기한 완전한 상세도
다.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형식승인서, 설계프로그램의 제품검사 결과서, T.A.B 등 시험
결과자료 및 각종 시험성적서
1.5 시공 전 협의
수급인은 설계도서와 현장의 조건을 확인하여 체적, 개구부등 할로겐화합물 소화농도
및 방출시간에 지장을 주는지를 검토하여 감리자와 협의 후 시공 한다.
2. 기기 및 재료
2.1 약제 저장 용기
- 12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 128 -
02090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공사
2.4 노즐
재질은 내식성 금속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계산된 오리피스 크기가 표시된
것이어야 한다.
- 12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5 플렉시블 호스
용기밸브와 접합관을 연결하는 관으로서 체크기능과 신축성이 있어야 하며, 배관의
설계압력이상의 사용압력을 가지는 플렉시블 호스를 사용하여야 한다. 2.1.3.의 배관의
설계압력과 2.1.4.의 1차측 배관의 설계압력의 1.5배의 압력에서 수압시험을 실시하고
수압시험에 대한 공인기관의 시험성적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국제적인 공인품(구성품
인증이 아니라 시스템 인증을 말함. 이하 같다)일 경우는 제외한다.
2.6 기동용기 배관
점검 및 시험으로 탈부착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기동용기배관의 연결 부분에는 동관
이외의 고압 플렉시블호스를 사용하여야 하고, 니들밸브와 실린더간의 연결을 견고
하게 할 수 있도록 제작된 것이어야 한다. 기동용기 배관은 55℃에서 기동용기 내
압력에 견딜 수 있는 것을 사용 한다.
고압플렉시블호스의 경우 사용압력은 21MPa이고, 시험압력은 31.5MPa이어야 한다.
국제적인 공인시스템 인증품이 아닌 경우에는 시험성적서를 제출한다.
2.7 선택밸브
기동용기 가스압에 의하여 신속 정확하게 개방되고 수동개방도 할 수 있는 구조로
하며 레버와 같은 수동기동 장치는 수동 조작 시 신속하게 개방되어야 한다. 선택
밸브가 폐쇄된 상태에서 용기밸브가 개방되더라도 선택밸브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로겐화합물은 2.1.3의 배관의 설계압력, 불활성가스는 2.1.4의 1차측 배관의 설계압력
이상의 사용압력을 가지는 선택밸브를 사용하여야 한다.
2.8 제어반
제어반은 제어반본체, 계전기, 전원표시, 화재구획표시, 가스방출표시, 경보장치, 복구
스위치 및 시험 스위치류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2.9 기동 용기함
DC 24V용이며, 화재 시 감지기 작동으로 기동용기를 개방하여 선택변 및 주용기
(Master cylinder)를 작동하게 하는 구조의 것이어야 한다. 기동용기는 「고압가스안전
관리법」에 의한 용기검사 합격품을 사용하여야 하고 용기 내 가스는 이산화탄소 또는
질소가스를 사용하여야 한다.
2.10 용기 지지틀
용기를 견고히 지지하는 틀로서 구조가 견고하고 표면은 거칠지 않아야 하며 상단에
집합관을 지지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 130 -
02090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공사
2.11 안전장치
선택밸브를 사용할 시에는 저장용기와 선택밸브 사이에 밀폐된 공간이 있게 되므로
이상 압력 발생 시를 대비하여 집합관, 배관부속류 및 밸브류를 보호하기 위해서
배관의 설계압력(단, 불활성가스는 감압장치의 1차측 설계압력 또정 정압조절된 설계
압력)이상과 배관의 최대허용 사용압력 이하에서 압력을 방출하는 파열판식 구조의
안전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2.12 배관 재료
배관의 최대허용사용압력은 약제별로 2.1.3과 2.1.4의 표에 따른 배관의 설계압력보다
동등 이상이 되는 배관을 사용하여야 한다.
3. 시공
3.1 사용 배관 및 부속류
가. 소화약제의 충전밀도에 해당하는 배관의 설계압력 이상을 허용할 수 있는 배관 재료를
선정하여야 한다. KS D 3562(압력배관용 탄소강관)의 최대허용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에는 적정압력 등급을 가지는 ASTM관을 사용한다.
나. 소화약제별 관부속류는 해당 약제의 관 설계압력에 해당하는 등급압력을 가진
관 부속류를 사용하여야 한다. 특히 감압장치를 사용하는 설비의 경우 감압장치
이후에 해당하는 2차측의 배관부속의 압력은 방출시 예상되는 배관의 최대압력 이상
압력등급을 가지는 관부속류를 사용한다.
3.2 배관 시공
3.2.1 배관 플러싱
배관을 설치하기 전에 절단이나 용접 후 생기는 부스러기들을 제거하고 청소를 깨끗이
하여 약제 방출시 찌꺼기의 방출로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아야 하고, 배관 조립한 후
방출헤드를 달기 전에 전체 배관에 플러싱을 실시하여 깨끗하게 불어낸다.
3.2.5 관의 절단
관의 배관길이를 정확하게 측정 후 축선에 직각이 되도록 절단한다. 또한 절단 축소가
발생하는 절단기기 및 공구를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 13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2.6 절단부위의 처리
모든 관의 절단부분은 줄 등을 사용해서 매끈하게 축선과 직각인 평면이 되도록 다듬기를
하고 관 내외면의 되밀림 및 손거스러미를 떼어낸다.
3.2.7 관내의 점검 청소 및 배관 끝의 보호
가. 모든 관은 접합하기 전에 관 내부를 점검하고, 이물질이 없는지 확인 후 금속 부스러기
및 먼지를 충분히 청소한다.
나. 일을 끝마쳤을 때 또는 일시 배관을 중지할 때는 배관 끝을 플러그 및 캡 등으로 완전
폐쇄하고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3.3 배관지지
배관지지는 “02100 이산화탄소소화설비 3.3”을 따른다.
3.5 저장 용기의 설치
바닥이 처지지 않도록 주의하여 기초 바닥면에 수평으로 용기틀을 붙여 기초볼트로
균등하게 조인 후 저장용기를 속에 넣어 용기고정철물로 지지한다.
3.6 안전장치(압력방출장치)
선택밸브 등을 사용함으로써 저장용기와 선택밸브와 같은 밸브류 사이에 밀폐된
공간이 생기는 경우에는 배관, 배관부속류 및 밸브류를 보호하기 위한 안전장치를
집합관에 설치하여야 한다.
3.7 기동장치
- 132 -
02090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공사
3.7.2 자동식기동장치
감지기와 연동해서 작동되는 것을 말하며 전기식과 가스압식 및 기계식(케이블로 당기는
방식) 3종류가 있으며, 전기식일 경우 7병 이상의 저장용기를 동시에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이중안전을 위하여 2개의 전자개방밸브(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여야 한다.
3.8.1 기동용기
가. 이산화탄소 기동용기의 용적은 1ℓ 이상으로 하고 저장량은 0.6kg 이상, 충전비는
1.5 이상이어야 한다. 질소가스의 기동용기는 용적이 1.7ℓ 이상이어야 하고 20℃에서
12.4MPa로 충전되어야 한다. 질소가스 기동용기는 압력계가 부착되어 있어야 하고
가스의 누기 여부를 쉽게 관찰할 수 있어야 한다.
나. 하나의 기동용기로 개방할 수 있는 저장용기 개방밸브의 최대 수량은 15개 이하로
제한한다. 이때 개방되는 15개 이하의 용기는 주용기이다.
다. 약제저장용기(주용기)의 본체 가스를 이용하여 나머지 용기(종용기)를 개방시켜야 한다.
개방할 수 있는 종용기의 최대 수량은 15개 이하로 제한한다.
라. 기동용기의 압력 누기 등의 원인으로 압력 저하에 대한 백업(이중안전)을 위하여
기동용기의 압력에 의하여 첫 번째 개방되는 주용기의 본체 가스를 기동라인에
연결하여 기동가스가 보충되도록 하여야 한다.
3.8.2 기동라인
동관을 사용할 경우 확관식 이음부의 누기와 찌그러짐 등으로 기동불량 및 유지관리
상의 어려움이 있으므로 플렉시블호스 방식으로 설치하여야 한다.
3.9 분사헤드의 설치
가. 반드시 설계프로그램 출력물(프로그램 계산서)에 명기된 크기, 헤드의 형태, 오리피스
크기 등의 식별표시가 표시된 분사헤드를 설치하여야 한다.
나. 매뉴얼에 명시된 분사헤드의 최대 방호면적과 최대 높이를 초과하지 않아야 되고
최대 높이를 초과할 경우 추가 열에 분사헤드를 설치하여야 한다.
다. 천정면에 설치되는 경우 방출압력에 의해 천정재가 손상을 입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되어야 한다.
3.10 개구부
가. 전역방출방식인 경우 가능한 개구부를 최대로 줄여야 한다.
나. 약제가 방출하기 전 또는 방출 중에 폐쇄하지 못하는 개구부에는 인접구역까지 방호
구역을 확대하거나 연장방출방식으로 추가 약제량으로 보상하여야 한다.
- 13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다. 자동폐쇄장치
1) 자동폐쇄장치는 약제가 방출하기전 또는 동시에 폐쇄되어야 한다.
2) 전동모터에 의해 셔터가 폐쇄되는 경우에는 약제의 방출 지연시간 이내에 폐쇄
하여야 한다.
3.11 과압배출구
창, 문, 댐퍼 등과 같은 일반적인 누설이 있는 경우는 과압배출구가 필요 없으나
매우 밀폐도가 높은 장소에는 과압배출구를 해당 인정 제조업체의 매뉴얼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3.12 기타
가. 선택밸브에는 담당방호구역 표지판을 부착하여야 한다.
나. 방호구역의 체적 및 배관 경로에 변경이 있는 경우 프로그램을 다시 운영하여 재설계
하여야 한다.
다. 「국가화재안전기준」에서 인정하지 않는 가압식 저장용기를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중방호구역 대상이 아닌 것, 즉 선택밸브를 사용하지 않는 대상으로서 배관의 방출
최대압력이 약제저장용기의 충전압력 이하일 경우에 한한다. 다만, 선택밸브를 사용하는
대상으로서 질소가압용기의 충전압력 또는 선택밸브 폐쇄시의 감압조정된 압력에
견딜 수 있는 저장용기, 배관, 배관부속류, 안전장치의 압력등급을 가지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있다.
3.13 검사 및 시험
3.13.1 기압(기밀) 시험
기압시험은 일부 또는 전 배관에 대해 은폐 또는 방출헤드(노즐) 설치 전에 또는
기압으로 시험하고 배관에서의 누설을 검사한다. 유지시간은 280kPa의 압력으로 10분간
시험을 실시하고 10분 후에 압력이 50kPa 이상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3.13.2 작동시험 및 검사
관할 소방서의 완검검사를 받기 전에 관련 장비와 전문적인 기술인력을 갖춘 가스계
T.A.B 인정 전문업체에게 다음 3.13.3부터 3.13.7까지의 각종 시험을 실시하고 검토를
거친 후에 그 결과보고서를 감리자에게 제출하여야 한다.
3.13.3 기계구성품의 검토
제일 먼저 방호구역이 건축도면 등과 일치하는지 검사하여야 한다.
가. 배관 배열이 설계 및 설치시방서와 일치하는지 검사한다.
나. 노즐 및 배관의 크기는 설비 도면과 일치해야 한다. 배관 크기의 축소와 티(tee)관의
분기가 설계와 부합하는지 점검한다.
- 134 -
02090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공사
- 13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13.6 기능시험
가. 예비 기능시험
다음과 같은 예비기능시험이 수행되어야 한다.
1) 방재실에 알리고 소방서 또는 방재실 요원의 비상 출동이 필요 없음을 통보해야 한다.
2) 각 감지기가 정상 동작하는지 점검한다.
3) 모든 종단저항이 감지기 및 경보회로에 설치됐는지 점검한다.
4) 연동정지 기능을 점검하고 시험 시 방출회로의 작동으로 약제가 방출되지 않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5) 예비전원과 기능이상을 표시하는 감시회로가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점검한다.
6) 가스압 기동장치 예비 시험
가) 니들밸브와 기동라인의 이음부와 전 기동라인의 누기 시험(니들밸브 분리)
나) 기동라인의 체크밸브의 방향과 기능 정상 여부
나. 설비의 기능 작동시험
다음과 같은 설비 기능시험이 약제방출시험 시 함께 수행되어야 한다.
1) A감지기 기동회로를 작동시킨다. 모든 경보기능이 적정하게 작동되는지 확인한다.
2) 교차회로 B감지기를 기동시키는데 필요한 회로를 작동시킨다. 제2경보기능이 적정
하게 작동하는지 확인한다. 지연 시간을 확인하여야 한다.
3) 수동 작동장치를 작동시키어 수동 작동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되는지 확인한다.
4) 비상 정지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동시킨다. 정지기능이 제대로 작동
되는지 확인한다.
5) 선택밸브의 작동시험을 통해 정상적인 작동여부와 폐쇄 상태를 확인하여야 하고
- 136 -
02090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 소화설비공사
3.13.7 설계프로그램과 현장 일치 여부 확인
우선적으로 설계프로그램의 적정성과 확인한 후 현장 설치 내용과 일치하는지 검사
하여야 한다.
가. 약제 저장량의 산출 근거 내용 중 방호구역의 최저 예상온도를 근거로 약제량을 산출
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나. 적정 압력등급의 관과 관부속류, 안전장치, 밸브류가 사용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다. 배관 내 약제 비율의 적정성 확인과 배관체적비 산정 시 집합관의 사공간(dead space)
체적이 배관체적에 포함되었는지 확인하여야 한다.
라. 유량설계프로그램의 방호구역 화재분류의 적성성과 입력값의 적정성을 확인하여야 한다.
마. 제조업체의 매뉴얼에서 정하는 저장용기의 온도조건과 실제 저장소의 온도 확인하여야 한다.
바. 규정된 분사헤드의 설치높이와 현장 일치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사. 현장에 설치된 저장용기의 최대 및 최소 충전비와 첫 번째 티의 거리를 확인하여야 한다.
아. 배관 티분기의 적정성과 분기율을 확인하여야 한다.
자. 배관의 용접이음과 나사이음의 현장적용 여부에 대한 적정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 13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1. 일반 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1호바목에 따른 분말소화 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 「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국가화재안전기준
「분말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 (NFSC 108)」
1.4 제출물
가. 제품자료 : 제작업자의 유지보수 지침서, 설치지침서 및 제작업자의 기술자료
나. 제작도 : 제작도 및 그 밖의 설치 기술에 대한 주의사항을 표기한 완전한 상세도
다.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형식승인서 등 증명 및 시험자료
2. 기기 및 재료
2.1 저장 용기
가. 분말소화약제를 저장하는 용기로서 축압식저장용기는 「고압가스안전관리법」에서
정하는 용기검사의 한국가스안전공사의 합격품이어야 하고 각인 등의 표시사항으로
확인하여야 한다.
- 138 -
02100 분말소화 설비공사
2.2 분말소화약제
분말소화설비에 사용하는 소화약제는 제1종분말․제2종분말․제3종분말 또는 제4종
분말로 하여야 한다. 다만, 차고 또는 주차장에 설치하는 분말소화설비의 소화약제
와 유류화재에는 제3종분말로 하여야 한다.
- 13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4 정압 작동장치
가압용기에 저장되어 있던 가스가 약제 저장탱크에 유입된 후 분말약제와 혼합되어
일정한 압력에 도달될 때까지 주밸브가 폐쇄되어야 하고 방출에 필요한 압력에
도달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주밸브를 개방시켜야 하는 기능을 가지는 정압 작동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2.5 선택밸브
가. 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형식승인품으로서 규격에 맞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나. 급속개방형방식이어야 한다.
다. 분말약제가 자유롭게 통과되어야 하는 제품이어야 한다.
2.6 배관 및 밸브
KS D 3507 배관용 탄소 강관
KS D 3562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KS D 5301 이음매 없는 구리 및 구리합금관
3. 시공
3.1 사용 배관 및 부속류
가. KSD3562(압력배관용 탄소강관)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Sch40 ERW 또는 심리스 아연
도강관을 사용하여야 한다.
- 140 -
02100 분말소화 설비공사
3.2 배관 시공
3.2.1 배관 플러싱
배관을 설치하기 전에 절단과 용접 후 생기는 부스러기들을 제거하고 청소를 깨끗이
하여 약제 방출시 찌꺼기의 방출로 인체에 해를 입히지 않아야 하고, 배관 조립한 후
방출헤드를 달기 전에 전체 배관에 플러싱을 실시하여 깨끗하게 불어내야 한다.
3.2.2 관의 절단
관의 배관길이를 정확하게 측정 후 축선에 직각이 되도록 절단한다. 또한 절단 축소가
발생하는 절단기기 및 공구를 사용해서는 아니 된다.
3.2.3 절단부위의 처리
모든 관의 절단부분은 줄 등을 사용해서 매끈하게 축선과 직각인 평면이 되도록
다듬기를 하고 관 내외면의 되밀림 및 손거스러미를 떼어낸다.
3.2.4 관내의 점검 청소 및 배관 끝의 보호
가. 모든 관은 접합하기 전에 관 내부를 점검하고, 이물질이 없는지 확인 후 금속 부스러기
및 먼지를 충분히 청소한다.
나. 일을 끝마쳤을 때 또는 일시 배관을 중지할 때는 배관 끝을 플러그 및 캡 등으로 완전
폐쇄하고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한다.
3.3 배관 방식
가. 주밸브에서 방출헤드까지 이르는 배관은 모두 토너먼트 배관방식으로 하고 말단에
부착하는 방출헤드는 균등배관이 되도록 배관하여야 한다.
나. 배관이 분기되는 경우 배관 내에 가압가스와 분말약제가 분리되거나 분말약제가 정체
되지 않도록 하고 배관 청소시에는 잔유물이 없도록 가공되어야 한다.
1) 사이드 티(측면 분기티)의 인입측과 2개의 출구측은 수평배관이어야 한다.
2) 티분기 전이나 후에 엘보우 또는 티가 있는 경우 아래 그림과 같이 티분기로부터
간격을 공칭경의 20배 이상으로 한다.
- 14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4 배관지지
“02100 이산화탄소소화설비공사 3.3 배관지지”를 따른다.
3.5 분사헤드
가. 사양의 식별표시가 표시된 분사헤드를 설치하여야 한다.
나. 이물질이 들어가지 않도록 캡(blowoff cap)과 같은 적정재료를 사용하여 막아야 한다.
3.6 검사 및 시험
3.6.1 기압시험
기압시험은 일부 또는 전 배관에 대해 은폐 또는 방출헤드(노즐) 설치 전에 기압으로
시험하고 배관에서의 누설을 검사한다. 유지시간은 280kPa의 압력으로 10분간 시험을
실시하고 10분 후에 압력이 50kPa이상 떨어지지 않아야 한다.
- 142 -
02100 분말소화 설비공사
3.6.2 방출 승인시험
약제 방출시험은 각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마다 설치되어 있는 수동 기동장치를
조작하고 자동기동장치에 있어서는 감지기를 작동시켰을 때 음향경보가 울려야 하고,
방출용 스위치를 조작하였을 경우 방호구역 또는 방호대상물에 적용하는 선택밸브가
정확하게 작동하고 분사헤드에서 분말약제가 방출되어야 한다. 설비가 적정하게 설치
되고 작동여부의 확인을 위하여 충분한 양의 분말을 방출하여야 한다.
가. 압력시험을 할 경우 수분이 없는 가스를 이용해야 한다.
나. 감독원은 주위 주변여건 등을 감안해서 분말의 사용을 생략할 수 있다.
다. 분말 방출 후에는 건조 공기 또는 질소를 사용하여 모든 배관과 분사헤드를 깨끗이
불어내야 한다.
- 143 -
03000 경보설비공사
03010 자동화재탐지설비공사
03010 자동화재탐지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2호라목에 따른 자동화재탐지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
03030 비상경보설비공사
KCS 31 80 30 소방전기설비공사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2 국가화재안전기준
「자동화재탐지설비 및 시각경보장치의 화재안전기준(NFSC 203)」
1.4 제출물
1.4.1 제작도면
가. R형 수신반
나. 중계기
- 14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다. P형 수신반
라. 계통도
1.4.2 제작시방서
1.4.3 증명서
가. 한국소방검정공사 형식승인서
나. 전기용품 안전인증서 사본
다. KFI인정서(해당품목)
1.4.4 경계구역일람표
1.4.5 시공상세도
가. 자동화재탐지설비 간선 계통도
나. 각종 기기 설치 상세도
다. 수신기 예비전원 용량 계산서
라. 수신기와 연동되는 설비의 명세서 및 연동 계획서
2. 기기 및 재료
2.1 수신기
2.1.1 규격
가. 수신기는 먼지, 습기, 곤충 등에 의하여 기능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수신기의 외함은 강판을 사용하는 경우 1.2mm 이상(벽속에 매립되는 외함의 부분은
1.6mm 이상)의 강판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강도 및 내열성능이 있는 것으로 한다. 다만,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강판의 2.5배 이상의 두께이어야 한다.
나. 외함의 도장은 소부도장이나 정전분체도장으로 한다.
1) 소부도장은 피도면 내ㆍ외부의 이물질 제거 및 인산염 피막처리를 하고 멜라민
프라이머를 칠한 후 멜라민 도료를 사용하여 가열 건조 한다.(도막두께 45㎛ 이상)
2) 정전분체도장은 함체의 내ㆍ외면에 인산염 피막처리한 후 도막두께 45㎛ 이상으로
도장을 하고, 표면온도 180℃ 이상에서 14분 이상 가열 건조한다.
- 148 -
03010 자동화재탐지설비공사
2.1.2 기능
가. 수신기는 모든 소방시설을 감시,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나. 수신기는 화재, 소방시설의 작동상태, 선로의 단선, 단락, 접지상태, 기기의 고장 등을
표시한다.
다. 수신기는 화재신호에 의하여 작동되는 관련 소방시설과 연동할 수 있어야 한다.
라. 수신기는 주전원이 정전시 자동적으로 예비전원으로 전환되고 정전 복귀 시 자동적으로
주전원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마. 음향기구는 음량 및 음색이 다른 기기의 음향과 구분되도록 한다.
바. 감지기⋅중계기 및 발신기의 경계구역을 표시하고, 화재⋅가스⋅전기 등에 대한 종합
방재반 설치시는 수신기의 작동과 연동으로 감지기‧중계기 및 발신기의 작동 경계구역을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사. 하나의 경계구역은 하나의 표시등 또는 하나의 문자로 표시한다.
아. 경보정지장치와 복구 장치를 설치한다.
자. 각종 스위치가 정상위치에 놓여 있지 않을 경우 이를 표시할 수 있는 기능을 내장한다.
차. 감시회로별, 중계기별, 계단별, 동별로 분리하여 도통시험 및 작동시험을 할 수 있어야 한다.
- 14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2 중계기
2.2.1 규격
가. 입력전압 : DC 24V
나. 중계기는 보수 및 부속품의 교체가 쉬운 구조이어야 한다.
다. 중계기의 입력 및 출력의 회로 수는 제조자의 규격에 따른다.
라. 설치환경의 온도 –10℃ ∼ 50℃, 습도 90% 미만에서 정상 작동한다.
2.2.2 기능
가. 중계기는 수신기와 단말기기 사이를 연결하여 감시 및 제어한다.
나. 중계기는 자체이상 또는 감지기 선로 단선 시 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이 내장되고
이상신호를 수신반에 표시한다.
다. 수신기 이외에서 전원을 공급받는 중계기는 전원 입력 측 배선에는 과전류차단기를
설치하고, 전원의 정전 시 즉시 수신기에 표시할 수 있어야 하며, 전원 및 예비전원의
시험을 할 수 있고 전원공급 상태를 수신기에 보내야 한다.
라. 중계기는 비상경보세트함 또는 소방용기기 장치함 내부에 견고히 부착하며, 회로수에
따른 중계기 설치수량은 제조자 규격에 따른다.
마. 중계기는 습기로 인하여 부식 또는 혼선이 발생하여 기기가 오동작 되지 않도록
기판의 부분 방습코팅, 기판과 베이스의 이격설치 등 누수 및 결로에 대비한다.
2.3 감지기
2.3.1 규격
가. 제원
1) 사용전압 : DC 24V
2) 작동표시방식 : 적색 LED 점등방식
3) 설치환경
가) 온도 : –10℃ ∼ 50℃
나) 습도 : 95%에서 이상 없이 동작
나. 감지기는 작동표시장치가 있어야 한다.
다. 취급 점검이 용이하며 장해전파를 발하지 않아야 한다.
라. 감지기는 먼지, 습기, 곤충 등에 의하여 기능에 영향을 받지 않아야 한다.
마. 감지기의 구조는 형식승인을 받은 제조자의 규격에 따른다.
바. 고층건축물(공동주택 예외)의 경우에는 아날로그방식의 감지기를 선정한다.
2.3.2 기능
가. 화재 시 발생하는 열, 불꽃 또는 연소생성물인 연기 등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수신기에
화재신호를 발신한다.
나. 화재를 발신한 감지기는 적색으로 작동표시를 한다.
- 150 -
03010 자동화재탐지설비공사
다. 아날로그형 감지기
1) 감지기별로 작동 및 설치지점을 수신기에서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2) 주위상황의 상태를 감지하므로 주변여건 변화에 따른 대처가 가능하여야 한다.
3) 비정상 감지기의 검출 및 직접 점검이 어려운 부분(장소 등)에 대한 감시공백 해소를
위하여 수신기 등에서 화재감지기의 점검이 가능하여야 한다.
라. 감지기의 종별 및 형식에 따라 제조자의 규격에 따른 기능을 갖는다.
2.4 발신기
2.4.1 규격
가. 누름스위치, 보호판, 응답확인램프, 전화 잭으로 구성한다.
나. 발신기의 보호판은 지름 20mm 이상의 투명 유기질 유리를 사용한다.
다. 발신기함의 크기는 설계도면에 따른다.
라. 발신기함의 내부에는 결선을 위한 단자대를 설치한다.
마. 발신기함에는 발신기, 위치표시등, 경종거치대 및 음향공을 설치한다.
바. 발신기의 작동 표시등은 등이 켜질 때 적색으로 표시되어야 한다.
사. 비상콘센트를 발신기함에 내장시키는 경우 외부에 명판을 부착하며, 명판은 백색아크릴
(두께 : 3㎜)에 “비상콘센트내장” 문자를 적색 음각한다.
2.4.2 기능
가. 화재발생신호를 수동으로 수신기 또는 중계기에 발신한다.
나. 발신기의 조작부는 2kg 을 초과하고 8kg 이하의 범위에서 보호판이 작동하여야 한다.
다. 누름스위치는 한번 조작으로 지속적인 화재신호를 발신하며 복구 시에는 수동으로 복구한다.
라. 발신기는 수신기와 통화가 가능한 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재신호의 전송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구조로 한다.
2.5 통보장치
2.5.1 경종 규격
가. 경종은 직류전원의 공급으로 회전하는 소형전동기와 전동기축에 연결되어 왕복 운전
하는 캠과 종으로 구성한다.
나. 경종은 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재질에 적색으로 도장되며 직경은 제조자의 규격에 따른다.
다. 경종의 소형전동기는 소비전류 50mmA 이하이며 72시간 연속반복시험에 이상이
없어야 한다.
2.5.2 시각경보기 규격
가. 램프 : 크세논 스트로브(Xenon Strobe), LED
나. 램프색상 : 투명유리
다. 섬광광도 : 15cd
라. 섬광율 : 1 ∼ 3Hz
- 15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마. 사용전원 : DC 24V
바. 재질, 색상, 외함표기 : ABS수지, 적색, “화재”표시
사. 시각경보기의 광원은 투명 또는 흰색으로서 최대 1,000cd 를 초과하지 않는다.
2.5.3 경종 기능
가. 음향장치는 정격 전압의 80%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도록 하며, 음량은 부착된
음향장치의 중심으로부터 1m 떨어진 위치에서 90dB 이상이어야 한다.
나. 감지기의 작동과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2.5.4 시각경보기 기능
가. 시각경보장치의 광원은 매초당 1회 이상 3회 이내 점멸주기를 갖는다.
나. 감지기의 작동과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3. 시공
3.1 배관공사
3.1.2 수신기로 인입되는 케이블 트레이 등이 노출 설치될 경우에는 케이블 트레이 커버를
씌워야 한다.
3.2 배선공사
3.2.1 배선공사
배선은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에 따른다.
3.2.3 고층건축물에서의 배선
고층건축물중 50층 이상인 건축물에 설치하는 아래의 통신, 신호배선은 이중배선을 한다.
가. 수신기와 수신기 사이의 통신배선
나. 수신기와 중계기 사이의 신호배선
다. 수신기와 감지기 사이의 신호배선
3.2.4 감지기배선
가. 감지기 배선은 송배전 방식으로 중간접속을 하지 않고 감지기에 연장 배선한다.
나. 감지기 배선은 기능별 구분과 제어선으로 구분하며 전선의 색상을 구분 통일되게
배선하여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한다.
- 152 -
03010 자동화재탐지설비공사
3.2.6 절연저항
가. 전선 상호간, 전선과 대지 간을 측정하며, 측정값은 1㏁ 이상이어야 한다.
나. 감지기 회로 및 부속회로의 전로와 대지 사이 및 배선상호간의 절연저항은 1경계구역
마다 직류 250V의 절연저항측정기로 측정한 절연저항이 0.1㏁ 이상이 되도록 한다.
3.2.8 접지시공
가. 수신기 외함은 접지 시공 방법에 의해 접지한다.
나. R형 수신기와 중계기간의 통신선의 차폐선은 접지 시공방법에 의해 접지한다.
3.2.9 디지털감지기 등에 사용되는 데이터 배선은 배관을 구분하여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3 경계구역설정
가. 건축방화구획에 따라 방화벽으로 구획된 계단, 엘리베이터 권상기실 및 파이프피트
등 수직통로를 높이 45m 이하마다 별도의 경계구역으로 설정한다.
나. 지하층이 2층 이상일 경우 계단 및 경사로는 별도의 경계구역으로 설정한다.
다. 자동소화설비의 방호구역별로 경계구역을 설정한다.
라. 제연구역과 동일하게 경계구역을 설정한다.
마. 나머지 거실 등은 운영자의 입장에서 화재발생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바닥면적
600㎡ 이하로 구획 한다.
바. 아날로그식감지기, 불꽃감지기, 광전식 공기흡입형감지기, 광전식분리형감지기 등 특수
감지기는 제조자가 형식승인 받은 내용에 의거하여 감지기가 방호하는 공칭감시거리,
시야각 및 방호면적에 따라 경계구역을 설정한다.
3.4 수신기
3.4.1 수신기설치 장소
가. 수신기의 설치장소는 도면에 따르며 관계인이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관리가 용이한
장소에 설치한다.
- 15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5 중계기
가. 중계기는 점검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한다.
나. 중계기 설치수량은 제조자의 규격에 의거하여 도면에 따른다.
다. 중계기는 전용의 중계기 수용함 또는 소방기기 외함 내부에 견고히 설치한다,
라. 중계기 설치 전에 옥내소화전 등 수용함의 내부를 깨끗이 청소한 후 설치한다.
마. 중계기에 배선 연결 후 회로도를 함 내부에 설치하여 유지보수에 용이하도록 조치한다.
3.6 감지기
- 154 -
03010 자동화재탐지설비공사
다. 높이 20m 이상의 장소에는 아날로그 감지기, 불꽃 감지기, 광전식 분리형 감지기를 설치한다.
라. 감지기 설치시 이물질, 먼지 등을 제거한 후 부착한다.
3.6.3 차동식분포형감지기
가. 공기관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
1) 공기관의 노출부분은 감지구역마다 20m 이상이 되도록 한다.
2) 공기관과 감지구역의 각 변과의 수평거리는 1.5m 이하가 되도록 한다.
3) 공기관 상호간의 거리는 6m(주요구조부를 내화구조로 한 소방대상물 또는 그 부분에
있어서는 9m) 이하가 되도록 한다.
4) 공기관은 도중에서 분기하지 아니하도록 한다.
5) 하나의 검출부분에 접속하는 공기관의 길이는 100m 이하로 한다.
6) 검출부는 5° 이상 경사되지 아니하도록 부착한다.
7) 검출부는 바닥으로 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
- 15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나. 열반도체식 차동식분포형감지기
1) 부착높이 및 소방대상물에 따라 다음의 바닥면적마다 1개 이상으로 설치한다.
감지기의 종류
부착높이 및 소방대상물의 구분
1종 2종
주요구조부 내화구조 65㎡ 36㎡
8m 미만
기타 구조 40㎡ 23㎡
8m 이상 주요구조부 내화구조 50㎡ 36㎡
15m 미만 기타 구조 30㎡ 23㎡
3.6.4 특수감지기
가. 광전식분리형 감지기
1) 감지기의 수광면은 햇빛을 직접 받지 않도록 설치한다.
2) 벽과 감지기 광축(송광면과 수광면의 중심을 연결한 선)간의 이격거리는 0.6m 이상
이격하여 설치한다.
3) 감지기가 설치되는 벽면으로부터 1m 이내 위치에 설치한다.
4) 고천장 대공간의 분리형감지기의 수광부와 송광부 간의 거리는 형식승인 받은 공칭
감시거리 범위 이내로 설치한다.
- 156 -
03010 자동화재탐지설비공사
3.7 발신기
가. 누름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나. 거주자가 피난하면서 조작이 용이한 출입구 직근에 우선 설치한다.
다. 소방대상물 각층의 거실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발신기까지의 수평거리가 25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한다.
라. 복도 또는 구획된 실로부터 보행거리가 40m 이상일 경우 추가로 설치한다.
마. 발신기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그 불빛은 부착 면으로부터
15° 이상의 범위 안에서 부착지점으로부터 10m 이내의 어느 곳에서도 쉽게 식별할 수
있는 적색등으로 한다.
바. 발신기함 내의 배선은 발신기, 감지기, 종단저항 순으로 결선하여 감지기배선이 단선
되어도 발신기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배선한다.
- 15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8 통보장치
3.8.1 경종
가. 경종은 발신기함 내에 설치하고 외함에는 음향공을 설치한다.
나. 5층 미만의 건축물에 적용하는 일제경보방식은 화재 시 전층이 전부 경보를 발한다.
다. 층수가 5층 이상으로서 연면적 3,000㎡를 초과하는 건축물에 적용하는 발화층, 직상층
우선경보방식은 화재 시 다음과 같이 경보한다.
1) 2층 이상의 층에서 발화 : 발화층 및 그 직상층
2) 1층에서 발화 : 발화층, 그 직상층 및 지하층
3) 지하층에서 발화 : 발화층, 그 직상층 및 기타의 지하층
라. 고층건축물(30층 이상이거나 높이가 120m 이상인 건축물 이하 같음)의 경우에는 화재시
다음과 같이 경보한다.
1) 2층 이상의 층에서 발화 : 발화층 및 그 직상 4개층
2) 1층에서 발화 : 발화층, 그 직상 4개층 및 지하층
3) 지하층에서 발화 : 발화층, 그 직상층 및 기타의 지하층
마. 주 음향장치는 수신기의 내부 및 그 직근에 설치한다.
바. 지구 음향장치는 소방대상물의 층마다 설치하며, 거실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음향장치까지의 수평거리가 25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한다.
사. 1개의 소방대상물에 2 이상의 수신기가 설치된 경우 어느 수신기에서도 지구음향
장치를 작동할 수 있어야한다.
3.8.2 시각경보장치
가. 복도, 통로, 청각장애인용 객실 및 공용으로 사용하는 거실(로비, 회의실, 강의실, 식당,
휴게실, 오락실, 대기실, 체력단련실, 접객실, 안내실, 전시실,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에
설치하며, 각 부분으로부터 유효하게 경보를 발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한다.
나. 공연장, 집회장, 관람장 또는 이와 유사한 장소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시선이 집중되는
무대부 부분에 설치한다.
다.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2m 이상 2.5m 이하의 장소에 설치한다. 천장의 높이가 2m 이하인
경우 천장으로부터 0.15m 이내의 장소에 설치한다.
라. 1개의 소방대상물에 2 이상의 수신기가 설치된 경우 어느 수신기에서도 시각경보기를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
마. 하나의 공간에서 시야에 2개 이상의 시각경보기가 보이도록 설치하는 경우에는 동조기를
사용하여 동시에 점멸하도록 한다.
바. 형식승인을 얻은 수신기 또는 전용의 축전지설비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하며 말단의
전압강하가 20% 이상 떨어지지 않도록 설치한다.
- 158 -
03010 자동화재탐지설비공사
3.9 검사 및 시험
가. 입선 완료 후 소방기구 결선 작업 전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측정값은 1㏁ 이상이어야
하며, 절연저항 측정 결과를 제출한다.
나. “소방시설 성능시험 조사표” 에 따라 성능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제출한다.
- 15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03020 비상방송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2호나목에 따른 비상방송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 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 「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국가화재안전기준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2)」
1.3.2 한국산업표준(KS)
KS C IEC 60268-5 음향시스템기기-제5부: 스피커
1.4 제출물
1.4.1 제작도면
가. 방송시스템 외형도(RACK 구성도)
나. 방송시스템 회로도
다. 비상전원장치
1.4.2 제작시방서
1.4.3 증명서
가. 한국산업표준인증 증명서(KS제품에 한함)
나. 전기용품 안전인증서 사본 또는 공인기관시험성적서
1.4.4 시공상세도
가. 수신기와의 연동관계도
나. 방송앰프 설치위치도
- 160 -
03020 비상방송설비공사
2. 기기 및 재료
2.1 구조
가. 작동이 확실하고 취급 및 보수점검, 부속부품의 교체가 쉽고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나. 먼지, 습기 등에 의하여 기능이 이상이 없어야 한다.
다. 부식에 의하여 기능에 이상을 미칠 우려가 있는 부분은 부식방지 조치가 강구되어야 한다.
라. 기동장치에 의하여 화재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필요한 음량으로 방송이 될 수 있을
때까지의 소요시간은 10초로 한다.
마. 2개 이상의 기동장치가 동시에 작동해서 이상 없이 화재를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
바. 방송설비를 업무용의 목적과 공용하는 것은 기동장치에 의한 신호를 수신할 때,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하여 비상경보 이외의 방송을 즉시 정지할 수 있어야 한다.
사. 화재로 인하여 하나의 층의 확성기 또는 배선이 단락 또는 단선되어도 다른 층의
화재통보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이 경우 증폭기(앰프) 손상방지를 위해 보호차단기
작동되어서 증폭기 음성출력이 차단되어선 안된다.
아. 화재발생시에는 감지기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비상방송이 가능해야 하며, 발화층,
직상층에 우선경보 및 유도방송을 할 수 있어야 한다.
2.2 확성기
가. 확성기의 종류, 크기 및 형상은 설계도면에 따른다.
나. 확성기의 커버 및 속판은 화재시 영향을 받지 않는 재질이어야 한다.
다. 확성기의 음성입력은 3W 이상이어야 하며, 실내에 설치하는 것은 1W 이상이어야 한다.
라. 확성기용 음량조절기의 배선은 3선식으로 한다.
마. 한국산업표준(KS)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바. 확성기 지지 밴드와 지지형강의 크기 및 형상은 설계도면에 따른다.
사. 확성기 지지 밴드와 지지형강은 용융아연도 제품 이상이어야 한다.
아. 확성기 지지에 사용하는 볼트와 너트는 녹슬지 않는 제품이어야 한다.
- 16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3 증폭기
가. 증폭기는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한다.
나. 증폭기 등의 내부에 주전원 회로를 개폐할 수 있는 전원 스위치를 설치한다. 다만,
기동장치 또는 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와 연동해서 자동적으로 전원이 들어가는
것은 이에 한하지 아니한다.
다. 전원표시램프, 회로의 단선 및 단락을 표시하는 램프를 설치하여야 한다.
라. 증폭기의 외함은 노출형의 경우 함 및 문짝은 강판두께 1.6mm 이상 매입형의 경우
함은 두께 1.6mm 문짝은 스테인리스(27종)두께 1.5mm 이상으로 헤어 또는 미러라인
으로 마감한다.
마. 전원은 AC 220V, DC 24V를 사용한다.
바. 정격출력은 100W, 150W, 200W, 250W, 300W 등 각 제조사 규격에 따른다.
사. 전기용품 안전인증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2.4 조작부
가. 전원은 DC 24V 를 사용한다.
나. 화재발생시 자동으로 경보 표시가 되어야 한다.
다. 비상방송지역선택(LOGIC MATRIX)에 의한 발화층과 직상층 자동경보방송 및 유도
방송을 한다.
라. 방송조작부는 기동장치와 연동하여 동작 층과 구역을 표시할 수 있어야 한다.
마 방송설비가 다른 방송설비와 공용하는 경우는 화재 시 다른 신호를 차단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바. 전기용품 안전인증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2.5 전원장치
가. 주전원장치는 전원의 종합제어기능과 정전시 자동으로 비상전원으로 전환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나. 전원은 AC 220V, 60Hz를 사용한다.
다. 비상전원은 상용전원 정전시 자동으로 상용전원에서 비상전원으로 교체되고, 정전
복구시에는 자동으로 비상전원에서 상용전원으로 교체되어야 한다.
라. 비상전원의 축전지에 과방전 및 과충전 방지회로를 설치하며, 항상 충전방전이 적정한
상태로 이루어져야 한다.
3. 시공
3.1 배관공사
배관공사는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를 따른다.
- 162 -
03020 비상방송설비공사
3.2 배선공사
3.2.1 배선공사
배선공사는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를 따른다.
3.2.3 절연저항
전선 상호간, 전선과 대지 간을 측정하며, 측정값은 1㏁ 이상이어야 한다.
3.2.4 접지시공
방송앰프 랙(RACK) 외함 및 통신용으로 사용하는 차폐케이블의 차폐층은 접지 시공
방법에 의해 접지를 한다.
3.3 비상방송설비의 시공
3.3.1 비상방송설비 배선 방법
화재로 인하여 하나의 층의 확성기 또는 배선이 단락 또는 단선되어도 다른 층의
화재통보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3.3.3 확성기
가. 확성기 설치시에는 설치 후 흔들림이 없도록 견고하게 설치한다.
나. 확성기는 각 층마다 설치하고 그 층의 각 부분에서 하나의 확성기까지의 수평거리가
25m 이하가 되도록 설치한다.
- 16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5 검사 및 시험
가. 입선 완료 후 소방기구 결선 작업 전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측정값은 1㏁ 이상이어야
하며, 절연저항 측정 결과를 제출한다.
나. “소방시설 성능시험 조사표” 에 따라 성능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제출한다.
- 164 -
03030 비상경보설비공사
03030 비상경보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2호가목에 따른 비상경보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 국토교통부 제정「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
03010 자동화재탐지설비공사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국가화재안전기준
「비상경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1)」
1.4 제출물
1.4.1 제작도면
1.4.2 제작시방서
1.4.3 증명서
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형식승인서
나. 전기용품 안전인증서 사본
1.4.4 시공상세도
가. 각 소방설비 기구별 배선 계획서(전선 규격 및 색상)
나. 각 소방설비 단자대 결선 계획서(단자번호에 따른 회로 계획)
다. 수신기 예비전원 용량 계산서
- 16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 기기 및 재료
2.1 발신기
가. 사용전압 : DC 24V
나. 형 식 : P형 1급, 옥내형
다. 색 상 : 적색
라. 내부구조 : 전화잭, 누름버턴, 응답표시등, 단자
마.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형식승인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2.2 경종
가. 사용전압 : DC 24V
나. 색 상 : 적색
다.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형식승인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2.3 표시등
가. 사용전압 : DC 24V
나. 색 상 : 적색
2.4 수동발신기세트
가. 수동발신기세트는 수직형과 수평형으로 구분하며 그 크기는 설계도면에 따른다.
나. 수동발신기 세트 함 내부에는 결선을 위한 단자대를 설치한다.
다. 함은 철판두께 1.2mm 이상 단, 노출시공시는 스테인리스, 커버의 두께는 스테인리스
(27종) 1.5mm로 헤어라인 또는 미러 마감한다.
라. 철판의 도장은 소부도장이나 정전분체도장으로 한다.
소부도장은 피도면 내ㆍ외부의 이물질 제거 및 인산염 피막처리를 하고 멜라민 프라
이머를 칠한 후 멜라민 도료를 사용하여 가열 건조한다.(도막두께 45㎛ 이상).
정전분체도장은 함체의 내ㆍ외면에 인산염 피막처리한 후 도막두께 45㎛ 이상으로 도장을
하고, 표면온도 180℃ 이상에서 14분 이상 가열 건조한다.
마. 수직형은 위에서부터 음향공(158mm bell), 음향장치(경종), 위치표시등(RED), 발신기의
순서로 한다.
- 166 -
03030 비상경보설비공사
2.5 P형 1급 수신기
가. 입력전원 : AC 220V
나. 비상전원 : DC 24V, NI-CD 축전지 또는 연축전지 내장
다. 설치환경 : -10℃ ∼ 50℃, 습도 90%에서 이상 없이 동작
라. 수신반 형태 : 40회로 이하(벽부형), 40회로 초과(자립형)
마. 회로수는 설계도면에 따른다.
3. 시공
3.1 배관공사
배관공사는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를 따른다.
3.2 배선공사
3.2.1 배선공사
배선공사는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를 따른다.
3.2.3 절연저항
전선 상호간, 전선과 대지간을 측정하며, 측정값은 1㏁ 이상이어야 한다.
3.2.4 접지시공
수신기 외함은 접지 시공방법에 따라 접지를 한다.
3.3 비상경보설비의 시공
“03010 자동화재탐지설비공사”의 수신기, 발신기, 통보장치 시공방법에 따라 설치한다.
3.4 검사 및 시험
가. 입선 완료 후 소방기구 결선 작업 전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측정값은 1㏁ 이상이어야
하며, 절연저항 측정 결과를 제출한다.
나. “소방시설 성능시험 조사표” 에 따라 성능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제출한다.
- 16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03040 자동화재속보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2호마목에 따른 자동화재속보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국가화재안전기준
「자동화재속보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4)」
1.4 제출물
1.4.1 제작도면
1.4.2 제작시방서
1.4.3 증명서
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형식승인서
나. 방통통신기자재 등의 적합등록 필증(무선)
1.4.4 시공상세도
가. 수신기와 연동 계획서
나. 자동화재속보설비의 통신망 연결 계획서
- 168 -
03040 자동화재속보설비공사
2. 기기 및 재료
2.1 속보기
2.1.1 외함
가. 강판 외함 : 1.2mm 이상
나. 합성수지 외함 : 3mm 이상
다. 합성수지 외함은 UL94 규정에 의한 V-2 이상의 난연성능이 있는 재료
2.1.2 전원
가. 사용전압 : AC 220V, DC 24V
나. 예비전원 : DC 24V
다. 예비전원용량 : 감시상태를 60분간 지속한 후 10분 이상 동작(화재속보 후 화재표시
및 경보를 10분간 유지하는 것을 말한다)이 지속될 수 있는 용량
3. 시공
3.1 배관공사
배관공사는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를 따른다.
3.2 배선공사
3.2.1 배선공사
배선공사는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를 따른다.
3.2.2 유선 통신선 연결
자동화재속보기에 연결되는 유선 통신선은 화재로부터 안전한 경로를 통하여 외부에
연결될 수 있는 경로를 구성한다.
3.2.3 접지시공
속보기 외함이 강판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접지 시공방법에 따라 접지한다.
3.3 자동화재속보설비의 시공
3.3.1 속보기
가.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으로 작동하여 자동적으로 화재발생 상황을 소방관서에
전달되는 것으로 할 것. 이 경우 부가적으로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게 화재발생
상황을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나. 스위치는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하고, 그 보기 쉬운 곳에
스위치임을 표시한 표지를 할 것.
- 16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3.2 음성 속보 방식
가. 음성속보방식으로 설치 시 연결되는 통신선은 내부 교환기를 사용하는 내선 번호
연결을 지양하고, 전화국에 직접 연결되는 국선 번호를 연결한다.
나. 음성녹음 시 소방대상물의 위치, 전화번호, 화재발생 및 속보기에 의한 신고임을 알 수
있도록 음성녹음을 한다.
3.4 검사 및 시험
“소방시설 성능시험 조사표” 에 따라 성능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제출한다.
- 170 -
03050 누전경보기 설치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2호다목에 따른 누전경보기 설치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국가화재안전기준
「누전경보기의 화재안전기준(NFSC 205)」
1.4 제출물
1.4.2 제작도면
1.4.3 제작시방서
1.4.4 증명서
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형식승인서
나. 전기용품 안전인증서
1.4.5 시공상세도
누전경보기의 변류기 및 수신부 설치장소 상세도
2. 기기 및 재료
2.1 누전경보기
- 17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1.1 종류
가. 1급 누전경보기 : 경계전로의 정격전류가 60A 를 초과하는 전로에 적용
나. 2급 누전경보기 : 경계전로의 정격전류가 60A 를 이하의 전로에 적용
2.1.2 공칭작동전류치
누전경보기의 공칭작동전류치는 200mA 이하이어야 한다.
2.1.3 감도조정장치
감도조정장치를 갖는 누전경보기에 있어서, 감도조정범위는 최대치가 1A로써, 감도
조정범위는 200mA ∼ 1A 가 된다.
2.1.4 외함
외함은 불연성 또는 난연성 재질로 제작되어야 한다.
2.1.5 형식승인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형식승인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2.1.6 누전경보기의 음색은 다른 기기나 소음과 명확히 구분되는 것으로 한다.
2.1.7 전원은 주분전반에서 전용회로로 하고, 각 극에 개폐기와 15A 이하의 배선용차단기(MCCB,
20A)를 설치한다.
2.1.8 전원 개폐기는 누전경보기용임을 표시한다.
3. 시공
3.1 배관공사
배관공사는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를 따른다.
3.2 배선공사
배선공사는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를 따른다.
3.3 누전경보기의 시공
3.3.1 변류기
가. 변류기는 특정소방대상물의 형태, 인입선의 시설방법 등에 따라 옥외 인입선의 제1지점의
부하측 또는 제2종 접지선측의 점검이 쉬운 위치에 설치할 것. 다만, 인입선의 형태
또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구조상 부득이한 경우에는 인입구에 근접한 옥내에 설치할 수 있다.
나. 변류기를 옥외의 전로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옥외형으로 설치할 것
3.3.2 수신부
가. 수신부는 옥내의 점검에 편리한 장소에 설치하되, 가연성의 증기·먼지 등이 체류할
우려가 있는 장소의 전기회로에는 해당 부분의 전기회로를 차단할 수 있는 차단기구를
가진 수신부를 설치한다. 이 경우 차단기구의 부분은 해당 장소 외의 안전한 장소에
설치한다.
- 172 -
03050 누전경보기 설치공사
3.3.3 음향장치
음향장치는 수위실 등 상시 사람이 근무하는 장소에 설치하며, 그 음량 및 음색은
다른 기기의 소음 등과 명확히 구별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3.3.5 전원
전원 분기는 전용으로 하고 다른 차단기에 의해 전원이 차단되지 않도록 한다.
3.4 검사 및 시험
“소방시설 성능시험 조사표” 에 따라 성능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제출한다.
- 173 -
04000 피난구조설비공사
04010 피난기구 및 인명구조기구 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3호가목 및 나목에 따른 피난기구 및 인명구조기구 설비공사에 관하여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은 소방관계법규를 우선하여 적용하며, 이 절에서 언급
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01010 일반공통사항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관련법규
「소방기본법」,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소방시설공사업법」,
「위험물안전관리법」,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기술기준, 예방
소방업무 처리규정, 화재보험협회 소화설비규정
1.3.2 한국소방산업기술원(KFI)
완강기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구조대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피난사다리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공기호흡기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다수인피난장비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승강식 피난기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1.4 제출물
다음 사항은 "01010 일반공통사항 4.제출물"에 따라 제출한다.
1.4.1 제품자료
모든 소방자재의 제품자료를 제출하며, 해당 자재는 소방청장(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형식승인서 및 개별 검정합격표시 통지서 사본을 첨부하여 제출한다.
2. 기기 및 재료
가. 한국소방산업기술원(KFI)의 형식승인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에 적합한 제품.
나. 설계도면에 따른다.
- 17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 시공
3.1 피난기구
가. 피난기구는 계단⋅피난구 기타 피난시설로부터 적당한 거리에 있는 안전한 구조로 된
피난 또는 소화활동상 유효한 개구부(가로 0.5m 이상 세로1 m 이상인 것을 말한다.)에
고정하여 설치하거나 필요한 때에 신속하고 유효하게 설치할 수 있는 상태에 두어야 한다.
나. 피난기구를 설치하는 개구부는 서로 동일직선상이 아닌 위치에 있어야 한다. 다만,
미끄럼봉⋅피난교⋅피난용트랩⋅피난밧줄 또는 간이완강기⋅아파트에 설치되는 피난
기구(다수인 피난장비는 제외한다.) 기타 피난상 지장이 없는 것에 있어서는 그러
하지 아니한다.
다. 피난기구는 소방대상물의 기둥⋅바닥⋅보 기타 구조상 견고한 부분에 볼트조임⋅매입
⋅용접 기타의 방법으로 견고하게 부착한다.
라. 4층 이상의 층에 피난사다리(하향식 피난구용 내림식 사다리는 제외한다.)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금속성 고정사다리를 설치하고, 당해 고정사다리에는 쉽게 피난할 수 있는
구조의 노대를 설치한다.
마. 완강기는 강하 시 로프가 소방대상물과 접촉하여 손상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바. 완강기의 길이는 부착위치에서 지면 기타 피난상 유효한 착지면까지의 길이로 한다.
사. 미끄럼대는 안전한 강하속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전락방지를 위한 안전조치를 한다.
아. 구조대의 길이는 피난 상 지장이 없고 안정한 강하속도를 유지할 수 있는 길이로 한다.
자. 다수인 피난장비는 다음에 적합하게 설치한다.
1) 피난에 용이하고 안전하게 하강할 수 있는 장소에 적재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
도록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제3조에서 정하는 구조안전의 확인을
받아 견고하게 설치한다.
2) 다수인피난장비 보관실은 건물 외측보다 돌출되지 아니하고, 빗물·먼지 등으로부터
장비를 보호할 수 있는 구조로 한다.
3) 사용 시에 보관실 외측 문이 먼저 열리고 탑승기가 외측으로 자동으로 전개되도록 한다.
4) 하강 시에 탑승기가 건물 외벽이나 돌출물에 충돌하지 않도록 설치한다.
5) 상·하층에 설치할 경우에는 탑승기의 하강경로가 중첩되지 않도록 한다.
6) 하강시에는 안전하고 일정한 속도를 유지하도록 하고 전복, 흔들림, 경로이탈 방지를
위한 안전조치를 한다.
7) 보관실의 문에는 오작동 방지조치를 하고, 문 개방 시에는 당해 소방대상물에 설치된
경보설비와 연동하여 유효한 경보음을 발하도록 한다.
8) 피난층에는 해당 층에 설치된 피난기구가 착지에 지장이 없도록 충분한 공간을
확보한다.
9) 한국소방산업기술원 또는 성능시험기관으로 지정받은 기관에서 그 성능을 검증받은
것으로 설치한다.
- 178 -
04010 피난기구 및 인명구조기구 설비공사
3.3 인명구조기구
가. 특정소방대상물의 용도 및 장소별로 설치 할 인명구조기구는 아래 표에 따라 설치한다.
- 17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특정소방대상물 인명구조기구의 종류 설치 수량
∙방열복 또는 방화복(헬멧, 보호
∙지하층을 포함하는 층수가 7층 ∙각 2개 이상 비치할 것. 다만,
장갑 및 안전화를 포함한다)
이상인 관광호텔 및 5층 이상인 병원의 경우에는 인공소생기를
∙공기호흡기
병원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인공소생기
∙문화 및 집회시설 중 수용인원 ∙층마다 2개 이상 비치할 것.
100명 이상의 영화상영관 다만, 각 층마다 갖추어 두어
∙판매시설 중 대규모 점포 ∙공기호흡기 야 할 공기호흡기 중 일부를
∙운수시설 중 지하역사 직원이 상주하는 인근 사무실에
∙지하가 중 지하상가 갖추어 둘 수 있다.
∙물분무 등 소화설비 중 이산화 ∙이산화탄소소화설비가 설치된
탄소소화설비를 설치 하는 특정 ∙공기호흡기 장소의 출입구 외부 인근에 1대
소방대상물 이상 비치할 것
- 180 -
04020 유도등 및 유도표지 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3호다목에 따른 유도등 및 유도표지 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 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국가화재안전기준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화재안전기준(NFSC 303)」
1.4 제출물
1.4.1 제작도면
1.4.2 제작시방서
1.4.3 증명서
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형식 승인서
나. 전기용품 안전인증서
1.4.4 시공상세도
가.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방향 표시 설치 상세도
나. 천정형 유도등의 설치 상세도
- 18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 기기 및 재료
2.1 유도등
- 182 -
04020 유도등 및 유도표지 설비공사
2..1.6 축전지 용량 선정 기준
가. 축전지 용량 60분 적용 장소
1)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의 층
2) 지하층 또는 무창층으로서 용도가 도매시장, 소매시장, 여객자동차터미널, 지하역사
또는 지하상가
나. 축전지 용량 20분 적용 장소
위에서 정한 장소 이외의 장소
2.1.7 표시면의 그림 기준
국제표준화기구(ISO)의 기준에 따른다.
2.1.10 형식승인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형식승인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2.2 축광유도표지
2.2.1 표시면의 두께 기준
두께는 1.0mm 이상(금속재질의 경우 0.5mm 이상) 이어야 한다.
2.2.2 표시면의 크기 기준
가. 피난구축광유도표지 : 긴 변 360mm 이상, 짧은 변 120mm 이상
나. 통로축광유도표지 : 긴 변 250mm 이상, 짧은 변 85mm 이상
다. 축광위치표지 : 긴 변 200mm 이상, 짧은 변 70mm 이상
2.2.3 식별도 기준
축광유도표지 및 축광위치표지는 주위조도 0㏓에서 60분간 발광 후 직선거리 20m (축광
위치표지의 경우 10m) 떨어진 위치에서 보통시력으로 표지가 있다는 것이 식별되어야
하며, 3m 떨어진 거리에서 문자 또는 화살표등이 쉽게 식별되어야 한다.
2.2.4 휘도 기준
가. 0㏓에서 5분간 발광시킨 후의 휘도는 1㎡ 당 110mcd 이상이어야 한다.
나. 0㏓에서 10분간 발광시킨 후의 휘도는 1㎡ 당 50mcd 이상이어야 한다.
다. 0㏓에서 20분간 발광시킨 후의 휘도는 1㎡ 당 24mcd 이상이어야 한다.
라. 0㏓에서 60분간 발광시킨 후의 휘도는 1㎡ 당 7mcd 이상이어야 한다.
- 18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 시공
3.1 배관공사
배관은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에 따른다.
3.2 배선공사
배선은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에 따른다.
3.3.1 설치위치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설치위치는 「국가화재안전기준」및 설계도면에 적합하게 설치한다.
3.3.2 방향표시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방향표시는 건축물의 구조 및 통로 구조, 계단 구조에 적합하게
피난 방향을 지시하도록 설치한다.
3.3.3 부착방법
유도등 및 유도표지의 설치는 접착제 사용을 지양하고, 나사못 등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부착한다.
3.3.4 설치높이
가. 피난구유도등
피난구유도등은 출입문 상단에 설치를 하며, 출입문 상단이 유리 재질로 되어 피난구
유도등을 벽부형으로 설치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천장에서 출입문 상단까지 파이프
펜던트를 사용하여 출입문 상단에 피난구유도등을 설치한다.
나. 통로유도등
통로유도등은 바닥으로부터 1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다. 객석통로유도등
객석유도등은 객석의 통로, 바닥 또는 벽에 설치한다.
3.4 검사 및 시험
가. 입선 완료 후 소방기구 결선 작업 전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측정값은 1㏁ 이상이어야
하며, 절연저항 측정 결과를 제출한다.
나. “소방시설 성능시험 조사표” 에 따라 성능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제출한다.
- 184 -
04030 비상조명등 설치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3호라목에 따른 비상조명등 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국가화재안전기준
「비상조명등의 화재안전기준(NFSC 304)」
1.4 제출물
1.4.1 제작도면
1.4.2 제작시방서
1.4.3 증명서
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형식승인서
나. 전기용품 안전인증서
1.4.4 시공상세도
비상조명등 설치 상세도
- 18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 기기 및 재료
2.1 비상조명등
2.1.1 점등 형식
가. 전용형 : 상용광원과 비상용광원이 각각 별도로 내장되어 있거나 또는 비상시에 점등
하는 비상용광원만 내장되어 있는 비상조명등
나. 겸용형 : 동일한 광원을 상용광원과 비상용광원으로 겸하여 사용하는 비상조명등
2.1.2 전원 형식
가. 예비전원을 내장하는 비상조명등 : 비상조명등 내부에 축전지와 예비전원 충전장치를
내장할 것
나. 예비전원을 내장하지 아니하는 비상조명등 : 비상전원은 자가발전설비, 전기저장장치
또는 축전지설비에 의하는 설비
2.1.3 구조
비상조명등에는 점검용의 자동복귀형 점멸기를 설치한다.
2.1.4 축전지 용량 선정 기준
가. 축전지 용량 60분 적용 장소
1)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의 층
2) 지하층 또는 무창층으로서 용도가 도매시장, 소매시장, 여객자동차터미널, 지하역사
또는 지하상가
나. 축전지 용량 20분 적용 장소
가.목 이외의 장소
2.1.5 형식승인
예비전원을 내장하는 비상조명등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형식승인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2.2 휴대용비상조명등
2.2.1 형식
건전지식과 축전지식이 있으며, 설치형태는 벽면 거치형으로 한다.
2.2.2 구조
조명등은 거치대에서 분리하면 자동 점등되고, 거치대에 거치하면 자동 소등되는
구조로 한다.
- 186 -
04030 비상조명등 설치공사
2.2.4 표지
조명등 또는 거치대에는 녹색표시등을 설치하거나 발광표지를 부착한다.
2.2.5 점등시간
가. 유효점등시간은 20분 이상으로 한다.
나. 고층건축물 피난안전구역의 휴대용비상조명등의 유효점등시간은 40분 이상으로 하며,
피난안전구역이 50층 이상의 경우에는 유효점등시간을 60분 이상으로 한다.
2.2.6 형식승인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형식승인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3. 시공
3.1 배관공사
배관은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에 따른다.
3.2 배선공사
배선은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에 따른다.
3.3 비상조명등의 시공
3.3.1 설치위치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거실과 그로부터 지상에 이르는 복도, 계단 및 그 밖의 통로에
설치할 것
3.3.2 조도
가. 비상조명등이 설치된 장소의 각 부분의 바닥에서 1㏓ 이상이 되도록 할 것
나. 고층건축물 피난안전구역의 비상조명등은 비상조명등이 설치된 각 부분의 바닥에서
10㏓ 이상이 되도록 할 것
3.4 휴대용비상조명등의 시공
3.4.1 설치위치
가. 숙박시설, 다중이용업소의 객실 또는 영업장안의 구획된 실마다 출입문 손잡이로부터
1m 이내 1개 이상 설치할 것
나. 지하가 및 지하역사에는 보행거리 25m 마다 3개 이상 설치할 것
- 18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4.2 설치높이
바닥으로부터 0.8m 이상 1.5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할 것
3.5 비상조명등의 점등 조건
가. 비상조명등의 점등은 상용전원 차단 시 점등되는 것으로 한다.
나. 다만 위의 조건은 비상조명등이 설치된 장소의 상용전원 전등이 상시 점등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용전원이 차단되어 상시 점등이 소등되었을 때로 한정한다.
다. 공동주택 계단실의 센서등은 인체감지 센서로 점등되는 광원 이외에, 화재신호에 의해
점등되는 별도의 광원을 내장한다.
라. 화재신호에 의해 점등되는 별도의 광원은 점검을 위하여 점검용 스위치를 해당 계단실
피난층에 설치하여서 평상시에도 광원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3.6 검사 및 시험
가. 입선 완료 후 소방기구 결선 작업 전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측정값은 1㏁ 이상이어야
하며, 절연저항 측정 결과를 제출한다.
나. “소방시설 성능시험 조사표” 에 따라 성능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제출한다.
- 188 -
05000 소화용수설비
05010 상수도 소화용수 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4호에 따른 상수도 소화용수 설비공사에 관하여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은 소방관계법규를 우선하여 적용하여야 하며,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관련법규
「소방기본법」,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소방시설공사업법」,
「위험물안전관리법」,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기술기준, 「예방
소방업무 처리규정」, 화재보험협회 소화설비규정
1.3.2 한국산업표준(KS)
KS D 3507 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62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KS D 5301 이음매 없는 구리 및 구리합금관
KS D 3576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 또는 KS D 3595 일반배관용 스테인리스 강관
KS D 4311 덕타일 주철관
1.4 제출물
다음 사항은 “01010 일반공통사항 4.제출물”에 따라 제출한다.
1.4.1 제품자료
모든 소방자재의 제품자료를 제출하며, 해당 자재는 소방청장(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형식승인서 및 개별 검정합격표시 통지서 사본을 첨부하여 제출한다.
- 19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 기기 및 재료
3. 시공
3.2 현장뒷정리
가. 소화배관은 시공 완료 후 FLUSHING 작업등을 실시 배관 내 이물질을 제거하고 누수
등 시공 부적합 등을 해소하여야 한다.
나. 사용상 주의표시등 유지관리에 관한 필요한 문구의 부착한다.
3.3 시운전
시운전은 “01010 일반공통사항”을 따른다.
- 192 -
05020 소화수조 및 저수조 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4호에 따른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 설비공사에 관하여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은 소방관계법규를 우선하여 적용하여야 하며,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관련법규
「소방기본법」,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소방시설공사업법」,
「위험물안전관리법」, 「국가화재안전기준(NFSC)」,「예방소방업무 처리규정」, 화재보험
협회 소화설비규정
1.4 제출물
다음 사항은 "01010 일반공통사항 4.제출물"에 따라 제출한다.
1.4.1 제품자료
모든 소방자재의 제품자료를 제출하며, 해당 자재는 소방청장(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형식승인서 및 개별 검정합격표시 통지서 사본을 첨부하여 제출한다.
2. 기기 및 재료
2.1 소화수조 등
가. 소화수조 등의 구조와 재료는 설계도면에 따른다.
나.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경우에는 국토교통부 제정「표준시방서」의 해당 기준을 따른다.
다.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의 저수량은 소방대상물의 연면적을 다음에 따른 기준면적으로
나누어 얻은 수(소수점이하의 수는 1로 본다)에 20㎥를 곱한 양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1) 1, 2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15,000㎡ 이상인 소방대상물 : 7,500㎡
2) 1)에 해당되지 않는 그 밖의 소방대상물 : 12,500㎡
- 19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3 채수구
채수구는 다음표에 따라 소방용호스 또는 소방용흡수관에 사용하는 구경 65㎜
이상의 나사식 결합금속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채수구의 수 1개 2개 3개
2.4 가압송수장치
소화수조 또는 저수조에 전동기 또는 내연기관에 따른 펌프를 이용하는 가압송수
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02010 소화펌프 설치공사”에 따른다.
3. 시공
3.1 시공 일반
가. 소화수조, 저수조의 채수구 또는 흡수관투입구는 소방차가 2m 이내의 지점까지 접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나. 소화수조가 옥상 또는 옥탑의 부분에 설치된 경우에는 지상에 설치된 채수구에서의
압력이 1.5MPa 이상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 194 -
06000 소화활동설비공사
06010 제연설비 공통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5호가목에 따른 제연설비의 송풍기와 덕트 및 덕트 부속품 설치에 관하여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 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 「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한국산업표준
KS T 1028 점착테이프 및 점착시이트 시험방법
KS B 0062 송풍기. 압축기 용어
KS B 1002 6각 볼트
KS B 1012 6각 너트
KS B 1101 냉간 성형 리벳
KS B 6311 송풍기의 시험방법
KS B 6326 전향익 송풍기
KS B 6361 송풍기.압축기의 A특성 음압레벨 측정 방법
KS C 4202 일반용 저압 3상 유도 전동기
KS C 9304 환풍기
KS D 3051 열간 압연 봉강 및 코일의 모양, 치수 및 무게 그 허용차
KS D 3506 용융 아연도금 강판 및 강대
KS F 2815 배연설비의 검사 표준
1.3.2 단체표준
SPS-KARSE B 0005-163 익형송풍기
SPS-KARSE B 0006-163 축류송풍기
SPS-KARSE B 0007-169 공기취입.취출구
SPS-KARSE B 0008-170 공기취입.취출구의 성능 시험방법
SPS-KARSE B 0009-171 공기조화용 댐퍼
SPS-KARSE B 0010-172 공기조화용 댐퍼 성능 시험방법
SPS-KARSE B 0013-175 공기조화용 덕트 및 부품
- 19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1.4 제출물
1.4.2 제작도서
가. 송풍기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제출하여야 한다.
1) 제작 공정표
2) 장비 목록표
3) 설치지침 및 시동방법 등이 포함된 제작 시방서
4) DATA SHEET
5) 선택점(운전점)이 명확히 표시된 성능곡선도
6) 제작도면
7) 방진 베이스 도면 및 방진 계산서
8) 한국 산업규격 표시허가증 사본
나. 시공도면 : 덕트 테스트 홀과 점검구 및 풍량조절 댐퍼가 포함되고 각종 부속 시공이
표현되어야 한다.
다. 제품자료 : 덕트용 점검구 및 철물, 풍량조절 댐퍼가 포함되며 각종 부품 시공을 위하여
제공되고 전기적인 것과 연결 특성이 포함되어야 한다.
라. 제작자의 설치 안내 : 방화댐퍼 및 조합된 댐퍼의 지침
1.5.1 송풍기
가. 공장에서 제작된 보호용기 내에 부품을 포장하여 공장 설치된 운반용 받침대와 견인용
손잡이로 송풍기를 운반한다.
나. 부품, 틀 및 마감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송풍기를 취급한다. 손상된 부품은 설치
하지 말고 송풍기 제조업자에게 손상된 부품을 반송하여 교체한다.
다. 송풍기는 깨끗하고 건조한 장소에서 보관하고 기후로 부터 보호한다.
1.5.2 덕트설비
가. 운반, 저장 및 취급기간 동안 현장제작 또는 공장제작 된 덕트, 부속기기 및 구매된
제품이 손상되지 않도록 보호한다.
나. 단부의 손상을 방지하고 덕트 및 부속기기에 더러운 것이 묻거나 습기가 차지 않도록
한다.
다. 가능한 한 덕트는 실내에서 보관하고 기후로 부터 보호한다. 외부에서 보관할 경우에는
내후성 지반면위에 내후성 깔개를 깔고 그 위에 보관한다.
- 198 -
06010 제연설비 공통공사
1.6 타 공정 과의 협력작업
1.6.1 건축공정
가. 송풍기 반입 통로 확보
나. 송풍기실 칸막이 설치에 따른 송풍기 반입 장애
다. 송풍기 패드 설치
2. 기기 및 재료
2.1 덕트용 재료
아연도금강판은 KS D 3506(용융 아연도금 강판 및 강대)으로 한다.
2.3.1 루버와 그릴
가. 외기흡입루버는 두께 0.6mm 이상의 KS D 3506(용융 아연 도금강판 및 강대), KS D
3512(냉간 압연 강판 및 강대) 또는 KS D 6701(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 판 및 조),
KS D 6759(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 압출강재), KS D 3698(냉간 압연 스테인레스
강판 및 강대), KS D 3705(열간압연 스테인레스 강판 및 강대)로 한다.
나. 루버의 유효면적은 특기한 사양에 따르며 빗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구조로 한다.
다. 방충망 및 방화댐퍼 등은 전문시방서에 따라 설치한다.
라. 배기그릴은 외기흡입루버와 같은 구조로 한다.
2.3.2 풍량조절 댐퍼
가. 풍량조절댐퍼의 설치는 조작이 가능한 곳에 설치하며, 분기 후에 설치할 경우에는
정상적인 기류가 흐를 수 있는 거리(덕트 폭의 2배 이상)에 설치한다.
나. 댐퍼케이싱은 강판 또는 아연도금강판 재질로서 연결덕트 보다 1치수(gauge) 크게 한다.
- 19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3.3 방화댐퍼
가. 재질은 1.5mm 이상의 KS D 3501(열간 압연 연강판 및 강대) 또는 이에 준하는
강판으로 하며, 열에 의한 변형으로 기능에 지장을 받지 않도록 날개의 외주와
케이싱 내면과의 틈은 일정하게 하여야 한다. 댐퍼의 안내깃은 두께 1.2mm 이상의
KS D 3506(용융 아연도금 강판 및 강대)으로 제작하며, 확실한 기능으로 진동 및
소음이 없고, 개방시 공기흐름에 대한 저항이 적은 것으로 한다. 장방형 댐퍼의
날개는 원칙적으로 덕트의 높이 200mm 마다 1매를 원칙으로 하며, 날개는 서로
15mm 정도 겹치게 한다. 댐퍼측은 원칙적으로 아연도금 봉강, 베어링은 황동제로
하여 케이싱에 부착한다. 원형덕트의 댐퍼는 원칙적으로 단익으로 한다.
나. 온도휴즈를 사용하는 것은 점검과 교체가 쉬운 구조로 한다.
다. 연기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폐쇄하는 방식의 경우에는 연기감지기로부터 자동폐쇄
장치에 이르는 각종 기능부품은 화재에 의한 열로 정상적인 기능에 지장을 받지
않고 유지관리가 쉬운 것으로 한다.
라. 폐쇄시 누설량은 20℃에서 1㎡ 당 19.6N의 압력으로 매분 5㎥ 이하가 되도록 한다.
마. 미끄럼부는 열팽창, 녹, 먼지 등에 의해 작동이 저해 받지 않는 구조이어야 한다.
바. 검사구, 점검구는 작업 및 확인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2.3.4 전동댐퍼
가. 공조겸용 제연설비에서 화재시 기류의 방향을 바꾸거나 차단하기 위한 용도로 설치한다.
나. 기본적으로 방화댐퍼의 재질과 구조에 적합하여야 한다.
다 송풍기의 정상적인 운전상태에서 내부의 개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힘을 극복하고
폐쇄 할 수 있는 성능이어야 한다.
- 200 -
06010 제연설비 공통공사
- 20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 202 -
06010 제연설비 공통공사
3. 시공
3.1 시공 일반
가. 덕트는 내부의 공기압력에 대해서 변형이 적고 또 공기의 저항 및 누설이 적어야 한다.
나. 덕트 만곡부의 내측반경은 원칙적으로 장방형 덕트의 경우는 반경방향 덕트폭의 1/2
이상, 원형덕트는 직경의 1/2 이상으로 한다.
다. 덕트의 단면을 변형시킬 때에는 급격한 변형을 피하고 점차적인 확대 또는 축소형으로
하며, 확대할 때에는 경사각도를 15°, 축소할 때는 30°의 범위 이내로 한다.
라. 관통부를 통과하는 덕트와 스리브 사이의 간격은 2.5cm 이내로 한다. 덕트 슬리브와
고정철판은 두께 0.9mm 강판재를 사용한다. 방화구획 이외의 벽면을 관통하는 덕트의
틈새는 암면 이외의 불연재로 메운다.
마. 방화구획의 관통부에는 방화댐퍼를 설치한다. 방화구획부(벽체)에 방화댐퍼가 설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방화구획과 댐퍼 사이의 덕트는 1.6mm 이상의 강판제로 한다.
3.2 덕트의 제작 및 설치
- 20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압력범위
압력분류에 의한 덕트
유속 범위
호칭 상용압력(Pa) 제한 압력(Pa)
+500 이하 +1000 이하
저압 덕트 15 이하
-500 이하 -750 이하
+500 ~ +1000 이하 +1500 이하
고압1덕트 20 이하
- 500 ~ -1000 이하 - 1500 이하
+1000 ~ +2500 이하 +3000 이하
고압2덕트 20 이하
-1000 ~ -2000 이하 -2500 이하
등 급 밀봉의 필요장소
A 밀봉 ① 종방향의 이음부
B 밀봉 ① 덕트의 접합부
① 덕트 이음부 전체
C 밀봉
② 덕트관통부(볼트, 리벳 등 모두 포함)
- 204 -
06010 제연설비 공통공사
3.2.4 1.5mm 이상의 철판을 사용하는 장방형 또는 원형덕트의 이음매는 용접하여 접속한다.
이때 접속 플랜지의 최대간격은 3,600mm, 보강 시에는 최대간격 1,800mm로 한다. 연결
플랜지와 보강형태의 설치는 용접하여 부착시킨다. 또 송풍기와의 접속에는 강판이음을
원칙으로 한다.
3.3 덕트의 지지 및 고정
3.3.1 횡주덕트의 지지 및 고정
가. 덕트의 지지 및 고정은 행가볼트 및 앵글받침으로 실시하며, 횡주덕트의 바닥 지지는
앵글로 가대 실시한다.
- 20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3.2 입상덕트의 지지 및 고정
가. 앵글로 지지하되 상황에 맞춰 벽, 바닥에 앵글로 지지하며, 바닥에 지지할 경우 앵글은
덕트의 끝부분에서 100mm 이상 더 크게 설치하여야 하며, 덕트의 판 두께가 0.6mm
이상인 경우에는 볼트로 조이고, 0.5mm 이하인 경우에는 나사못으로 고정한다. 앵글가대와
바닥은 앙카볼트 M10으로 고정한다.
나. 벽에 지지할 경우에는 3각 브래킷 또는 L형 브래킷으로 지지한다. 덕트의 판 두께가
0.6mm 이상인 경우에는 3각 브래킷으로 하고 앙카 M10 3개소 이상으로 하며, 판두께
0.5mm 이하는 L형 브래킷으로 하고 앙카 M10 2개소로 한다.
3.4 토출 측 덕트의 연결
주) A : 캔바스로부터 확대부분까지의 거리
Q : 확대각도
A1 : 토출구 면적
A2 : 덕트 면적
- 206 -
06010 제연설비 공통공사
㈀을 기준으로 한다.
나. 송풍기 토출 풍속이 15m/s 이상이고 ≤ 일 때는 급확대로 하고 캔바스로부터
확대부분은 앵글로 보강하여하며, ㈁을 기준으로 한다.
다. 송풍기 토출 풍속이 15m/s이상이고 ≻ 일 때는 ㈀을 기준으로 한다.
구분 ㄱ ㄴ ㄷ ㄹ ㅁ ㅂ ㅅ ㅇ
압력손실 mmAq 4.99 1.92 28.4 1.92 6.72 10.8 8.15 2.49
- 20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6 방화댐퍼의 설치
가. 부착방법은 구조체에 견고하게 부착시키는 공법으로 화재 시 덕트가 탈락, 낙하하여도
손상되지 않도록 벽체의 중앙에 설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부득이할 경우 벽체에
단단히 고정하여야 한다.
나. 점검구는 육안으로 쉽게 휴즈의 연결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3.7 송풍기의 설치
가. 제작사의 지침서에 따라 설치한다.
나. 지시된 대로 방진베이스와 플렉시블 전기 리드선과 함께 송풍기를 설치한다.
다. 플렉시블 연결부를 송풍기 흡입구/토출구와 덕트 사이에 설치할 것. 운전 중 송풍기와
덕트 사이의 플랜지가 평행인지 확인한다.
라. 송풍기 운전 중 플렉시블 연결구의 신장을 막기 위해 완충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마. 최종적인 공기 밸런스를 위하여 필요한 고정 풀리를 공급한다.
바. 흡입구 또는 토출구가 노출된 곳에는 안전망을 설치한다.
사. 송풍기실의 공간 및 구조
1) 원심형의 경우는 보존, 점검을 위하여 제연송풍기의 주위에 0.6m 이상의 공간을
두어야 한다.
2) 풍도 접속형의 축류형 송풍기를 사용하는 경우는 V-벨트의 교체 및 수리, 보존,
점검을 위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3.8 검사 및 시험
3.8.1 덕트의 누기 시험
가. 덕트의 누기 시험은 송풍기 가압방법으로 덕트 내부에 압력을 형성하여 기밀상태를
시험한다.
나. 시험장치는 송풍기, 풍량측정기구 및 압력측정기구로 구성하여 시험압력과 누기량을
정확하게 측정한다.
다. 풍량측정기구는 오리피스, 노즐 또는 이와 유사한 성능을 갖는 것으로 한다.
라. 측정장비의 정확도는 지시풍량의 ± 7.5% 이내이고, 시험 중인 덕트 내의 정압은
계기판에 표시된 정압에서 ± 5% 이내이어야 한다.
- 208 -
06010 제연설비 공통공사
덕트 표면적 당 최대 허용 누기량(ℓ/sㆍ㎡)
시험압력(Pa)
A급 B급 C급 D급 이하
100 0.40
200 0.63 0.20
300 0.82 0.31
400 0.98 0.41
500 1.14 0.49
0.57
0.64
600 0.32
0.71
700 0.35
0.77
800 0.39
0.83
900 0.42
0.89
1000 0.45
0.53
1300 0.65 0.26
1800
0.33
2300 0.38
권장적용압력
500Pa 이하 750Pa 이하 1,500Pa 이하 1,501Pa 이상
(기외정압기준)
3.8.2 송풍기의 성능 시험
송풍기는 공장에서 출고 전 「KS B 6311 송풍기 성능 시험기준」에 의한 시험에
합격한 후 반입되어야 한다.
- 20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8.3 덕트설비 검사
가덕트와 관련 부속품의 시험 및 검사는 해당 KS기준 또는 단체표준을 따르며,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에는 다음 사항에 대해 입회시험 및 검사를 실시한다.
1) 토출구, 흡입구 등의 크기 및 위치
2) 그릴의 크기, 위치 및 방수, 방충망 등의 구조
3) 덕트의 재료, 설치상태
4) 댐퍼류의 구조, 설치위치 및 작동상태
- 210 -
06020 거실제연 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5호가목에 따른 거실제연 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 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 「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501)」
1.4 제출물
1.4.2 제작도서
송풍기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제출하여야 한다.
가. 제작 공정표
나. 장비 목록표
다. 설치지침 및 시동방법 등이 포함된 제작 시방서
라. DATA SHEET
마. 선택점(운전점)이 명확히 표시된 성능곡선도
바. 제작도면
사. 방진 베이스 도면 및 방진 계산서
아. 한국 산업규격 표시허가증 사본
1.5 타 공정 과의 협력작업
1.5.1 건축공정
가. 송풍기 반입 통로 확보
나. 송풍기실 칸막이 설치에 따른 송풍기 반입 장애
다. 송풍기 패드 설치
- 21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 기기 및 재료
2.1 배출구
가. 재질은 불연재료로 되어 미끄럼부가 화재 시 열에 의한 변형 또는 탈락, 일상의
녹, 먼지 등에 의해 작동이 저해 받지 않는 구조일 것.
나. 동일 덕트 계통에 설치된 것에 2번째 이하의 배출구 개방에 지장이 없고, 제연운전
중의 기류에 의해 각 부가 진동 등에 의한 장애가 생기지 않을 것.
다. 배출구 주변 및 충도의 접속부에 공기 누출에 의해 제연 성능의 저하가 생길 염려가
없는 구조 또는 부착 방법일 것.
라. 제연계획에 따른 용도, 건물 구성에 따른 위치, 모양 및 부착 간격이 적절할 것.
마. 연기감지기와 함께 작동하는 것 또는 중앙 관리실에서 제어·감시하게 되어있는 것은
제어 감시 회로가 적정하고, 또한 전기 계통은 내열처리가 잘 되어 있을 것.
바. 두께 1.5mm 이상의 KS D 3501(열간 압연 연강판 및 강대) 또는 이에 준하는 강판
으로 하며, 제연시에 발생되는 기류에 의해 폐쇄되지 않는 구조로써, 수동개방장치
및 리미트스위치 등을 설치하여 법규의 기준을 만족시켜야 한다.
2.2 제연경계벽
가. 재질은 불연재료이며, 가동식 방연벽의 경우는 미끄럼부가 화재 시 열에 의한 변형
또는 탈락, 일상의 녹 또는 먼지 등에 의하여 작동이 저해되지 않는 재질과 구조이어야 한다.
나. 연기감지기와 연동하여 작동하는 방연벽(가동식 방연벽)의 연기감지기의 부착
위치가 적절할 것. 작동할 때 장애되는 것이 없을 것.
2.3 방화댐퍼
방화댐퍼 설치는 “06010 제연설비 공통공사 2.3.3”을 따른다.
2.4 풍량조절댐퍼
풍량조절댐퍼 설치는 “06010 제연설비 공통공사 2.3.2”를 따른다.
2.6 댐퍼 구동 모터
가. 제연시스템에 사용되는 모든 제연댐퍼는 전동식 댐퍼로서 방화댐퍼의 성능을 만족
하여야 한다.
나. 제연댐퍼의 구동모터에는 내화배선에 의한 비상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 212 -
06020 거실제연 설비공사
2.7 제연 덕트
가. 재질은 불연 재료일 것.
나. 제작 공법은 제연 성능에 현저한 영향을 끼치는 공기 누출이 적고, 제연 성능의 저하가
생길 염려가 없는 것일 것.
다. 단열재는 열에 의해 벗겨지거나 연소할 염려가 없는 공법, 두께이어야 할 것.
라. 방화구획, 방연구획을 관통하는 경우는 그 틈을 내화충전재로 공극이 없이 채워져 있을 것
마. 배출풍도는 제연 중에 변형, 탈락되지 않게 하고 견고한 것으로 하여야 하고 또한
유해가스, 유해물질 등을 발생시키지 않는 두께 0.5mm 이상의 아연도금강판 또는
이와 동등한 내식성, 내열성이 있는 것으로 하며, 강판의 두께는 배출풍도(흡입측
15m/s 이하, 배출측 풍속 20m/s 이하로 할 것) 및 유입풍도(풍속 20m/s 이하로 할 것)의
크기에 따라 다음 표에 의한 기준 이상으로 하여야 한다.
- 21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다. Blade 및 Casing
1) Blade 및 Casing Frame은 250 ℃에서 1시간의 내열성을 갖춘 재료이어야 한다.
2) Blade 와 Casing의 재료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고온 가스에 의한 열팽창량이 달라서
제연운전 시 충돌할 수 있으므로, 제작도에 열팽창 변형여유를 표기하여야 한다.
라. 베어링
베어링이 부득이 고온 열기류에 접하게 되는 경우에는 250℃에서 1시간 이상 견딜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마. 부식방지
부식방지를 위하여 충분한 방청 도장을 한 후 지정색으로 내열성 마감 도장을 하고
Blade의 점검 등 Casing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점검구를 설치하여야 한다.
바. 송풍기는 기동신호를 받은 후 30초 이내에 필요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하며,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방식일 때에는 제어전의 정상운전 상태에서 제어 신호를 받은
때로부터 역회전 운전이 정상상태에 이를 때까지 1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이때
역회전 제어로 인한 설비의 손상이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
사. 송풍기는 덕트 등 설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댐퍼의 기동신호가 먼저 주어진
후 기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야 한다.
2.9 급기 송풍기
가. 「KS B 6311 송풍기 성능 시험기준」에 만족하여야 한다.
나. 모터의 동력선정은 제연구역 내 모든 댐퍼가 폐쇄된 상태 또는 개방된 상태에서 운전
되더라도 과부하에 의해 정지되지 않도록 선정하여야 한다.
다. 송풍기는 기동신호를 받은 후 30초 이내에 필요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하며,
정·역회전을 제어하는 방식일 때에는 제어 전의 정상운전 상태에서 제어 신호를 받은
때로부터 역회전 운전이 정상상태에 이를 때까지 1분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이때
역회전 제어로 인한 설비의 손상이 없는 구조이어야 한다.
2.10 덕트 점검구
덕트 점검구는 “06010 제연설비 공통공사 2.3.6”을 따른다.
3. 시공
3.1 배출구
가. 원칙적으로 배출구의 위치는 벽체에 설치하는 것보다 배연효율이 높은 천장 중앙에
설치한다.
나. 배출구의 직경은 제연경계구역의 높이 또는 설계 시 가정한 천장으로 부터의 연기층
하단까지의 높이의 절반보다 작아야 한다.
다. 여러 개의 배출구를 설치할 때에는 배출구간의 최소 이격거리는 “0.9√배기구 하나의
배연량(㎥/s)” 보다 커야 한다.
- 214 -
06020 거실제연 설비공사
3.2 공기유입구
가. 제연구역 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제연구역의 경계벽에 바닥으로부터 1.5m 이하의
위치에 공기유입구의 상단이 위치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나. 공기유입구의 설치위치는 피난구 인근의 벽체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 아트리움과 같은 대공간 제연시 피난구를 공기유입구로 사용할 경우에는 화재감지기와
연동하여 자동으로 개방될 수 있어야 한다.
라. 제연경계벽으로 구획된 공동 제연구역에서 인접한 제연구역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해당
예상제연구역에 대한 공기유입으로 하는 경우에는 화재 구역에서 가장 먼 곳에 위치한
제연구역으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마. 공기유입구 근처에는 화재 시 연소 가능한 가연물이 없는 장소이어야 한다.
바. 공기유입구의 설치벽체가 방화구획벽체인 경우에는 방화댐퍼를 함께 설치하여야 한다.
3.3 방화댐퍼
방화댐퍼의 설치는 “06010 제연설비 공통공사 3.6”을 따른다.
3.4 전동댐퍼
가. 전동댐퍼가 설치되는 위치에는 점검구를 통해 댐퍼의 개폐여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나. 전동댐퍼의 점검구에는 도면의 댐퍼 번호와 제연용 댐퍼라는 표시를 함께 하여야 한다.
3.5 제연덕트
가. 제연운전을 개시할 때 급격한 온도상승 또는 진동 등에 의하여 덕트의 변형, 파손,
탈락 등이 생기지 않도록 보강, 지지를 충분히 하여야 한다.
나. 제연 덕트는 가연물로부터 0.6m 이상 떨어지게 시공해야 하며, 전선 및 전선관 등에
접촉하지 않도록 충분히 주의한다.
다. 수평풍도가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벽 및 바닥부분은 강판제등의 불연성 슬리브를 설치
하며 풍도와의 틈새에는 내화성능이 있는 충진재 등으로 충진하여 기밀이 유지
되도록 한다.
라. 제연덕트가 가능한 방화구획을 관통하지 않도록 덕트경로를 설정하고 부득이 관통할
때에는 280℃ 이상의 중온도용 방화댐퍼를 설치한다.
[참고] 저온도퓨즈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초기화재시 제연설비로 기능을 하다가 중기
화재 이후에는 이미 피난이 불가한 조건이 되므로 F.D가 작동하여 제연설비 기능
보다는 화염전파를 차단하여 연소를 차단하는 방화구획의 기능을 만족하도록 하기 위함
마. 방화댐퍼는 화재시에 쉽게 탈락되지 않게 하고 보존, 점검이 쉬운 구조로 방화구획
관통부분 또는 이에 근접한 부분에 설치하고 날개 개폐 및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
도록 하여야 한다.
바. 풍도의 행거 및 고정
“06010 제연설비 공통공사 2.4”를 따른다.
- 21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6 제연덕트의 단열
가. 급기 풍도의 경우 수직풍도 외의 풍도는 불연재료(석면재료는 제외한다)인 단열재로
유효한 단열 처리를 한다.
나. 배출 풍도의 경우 건축법상 난연재료(석면재료는 제외한다) 이상의 단열재로 유효한
단열처리를 한다.
- 216 -
06020 거실제연 설비공사
3.11 검사 및 시험
3.11.1 일반사항
가. 제연설비의 시험 및 검사는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501)」에 의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나. 제연 팬은 출고 전 반드시 공장검사를 실시하여야 하며, 그 검사방법은 KS B 6311에
의한다.
다. 성능검사 이전 충분한 시스템 검토를 통하여 충분한 성능이 구현될 수 있도록 조치
하여야 한다.
라. 하나의 송풍기로 다수의 제연구역을 제연하는 경우 급·배기의 밸런스가 이루어질 수
- 21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11.2 덕트의 누설 시험
가. 덕트의 누설 시험은 “06010 제연설비 공통공사 3.7.1” 기준에 따른다.
나. 제연덕트를 처음 설치하여 시공상의 문제점 또는 시공관리상 필요한 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하며, 작업팀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누설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다. 주변 구조물을 설치하기 전, 그리고 단열처리를 하기 전에 누설시험을 하여야 한다.
3.11.3 성능검사
가. 성능검사는 T.A.B를 통해 실시되어야 하며, 시스템의 정상적인 성능이 나오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나. 성능검사를 실시하기 전에 다음 사항에 대해 그 이상 유무를 확인하여야 한다.
1) 사전작업 및 검토 사항 : 설비와 관련된 구성요소, 설계 기준 등에 대한 자료수집,
공기유입구와 배출구의 위치 적정성, 덕트 구성요소의 누락여부, 송풍기의 적정
용량 및 위치 적정성 등
2) 덕트의 누설시험
3) 송풍기 검사 : 송풍기의 베어링 윤활상태, 벨트 장력, 휠과 하우징의 간격, 모터 고정
상태, 구동체의 키 박음과 고정나사 죄임, 청정도, 방진시스템의 조정, 풍량 제어장치,
벨트 보호덮개 부착 여부, 모터 풀리와 송풍기 풀리의 정렬상태, 전원계통, 송풍기와
덕트의 연결부위, 회전방향, 캔버스 상태
4) 덕트 시스템 : 덕트의 경로와 규격, 부속이 설계도서와의 일치 여부, 부속 기기들의
작동여부, 풍량조절 댐퍼와 방화댐퍼의 완전 개방 위치 여부, 댐퍼의 구동축의
원활한 작동여부, 덕트 관로상 필요한 위치에 점검구 설치 여부, 송풍기의 풍량 측정을
위한 측정공 위치의 적정여부, 덕트 관통부위의 건축 마감상태
다. 성능 시험
1) 화재감지기를 작동시켜 급배기 송풍기의 운전, 배출구의 작동, 공기유입구의 작동,
제연구역 내 전체 자동폐쇄장치 작동, 필요할 경우 건물 내 공조설비의 작동 정지가
자동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2) 제연설비의 정상적인 운전에 의해 제연구역의 출입구 틈새가 벌어지거나 자동폐쇄
장치의 오작동, 설비 구성요소의 손상 등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3) 하나의 공간 내 다수의 배출구역이 있을 경우, 화재 신호에 의해 최초에 작동한 배출
구역 이외의 화재신호로 인해 제연구역이 변경되지 않아야 한다.
4) 공조겸용방식의 경우, 화재신호에 의해 공조덕트상에 배출용으로 설치되어 있는
전동댐퍼(MD)의 위치가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댐퍼측 점검구를 통해 확인
하여야 한다.
5) 각각의 배출구가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야 하며,
배연량이 현저히 차이가 나서는 안 된다.
6) 공기유입구로 부터 정상적으로 급기가 이루어지는지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 218 -
06020 거실제연 설비공사
- 21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5호가목에 따른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 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 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 「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국가화재안전기준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1.3.3 한국산업표준(KS)
가. KS F 3109 문세트
나. KS F 4505 도어 클로저
다. KS B 6950 엘리베이터의 제조 및 설치를 위한 안전규격
1.4 제출물
1.4.2 제작도서
가. 송풍기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제출하여야 한다.
1) 제작 공정표
2) 장비 목록표
3) 설치지침 및 시동방법 등이 포함된 제작 시방서
4) DATA SHEET
5) 선택점(운전점)이 명확히 표시된 성능곡선도
6) 제작도면
7) 방진 베이스 도면 및 방진 계산서
- 220 -
06030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 설비공사
8) 한국 산업규격 표시허가증 사본
나. 방화문의 제작도서
다. 자동차압조절댐퍼의 성능선도
라. 배출댐퍼
누설등급이 명시된 공인 시험기관의 시험성적서
마. 과압배출댐퍼의 성능곡선과 규격
1.5 타 공정 과의 협력작업
1.5.1 건축공정
가. 송풍기 반입 통로 확보
나. 송풍기실 칸막이 설치에 따른 송풍기 반입 장애
다. 송풍기 패드 설치
2. 기기 및 재료
- 22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2 외벽배출구
가. 반드시 내화성능을 갖출 필요는 없으나 외벽의 연소방지를 위한 기능이 필요할 경우
에는 관련 규정을 따라야 한다.
나. 기계식이 아닌 전기식으로 작동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비상전원이 연결되어야 하며,
전원 공급이 차단되거나 고장 등의 경우에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여야 한다.
다. 설계에 특별히 명시하지 않았다면 배출구의 유효면적은 배출구 양단의 압력차 10Pa
에서 2.5m/s의 풍속으로 설계유량을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라. 외벽배출구는 반대방향으로 둘 이상의 외벽에 설치되어야 하며, 한쪽 벽면의 배출구
크기는 설계 시 산출된 필요 크기 이상이어야 한다.
마. 바람의 영향 등으로 역압력이 걸릴 때 배출구는 자동으로 닫히는 구조이어야 한다.
- 222 -
06030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 설비공사
2.4 풍량조절댐퍼
풍량조절댐퍼는 “06010 제연설비 공통공사 2.3.2”를 따른다.
2.5 급기 풍도
가. 수직풍도는 내화구조로 하되 「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3조
제1호 또는 제2호의 기준 이상의 성능으로 한다.
나. 수직풍도의 내부면은 두께 0.5mm 이상의 아연도금강판 또는 이와 동등한 내식성. 내열성이
있는 것으로 마감하되 접합부에 대하여는 통기성이 없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다. 수직풍도 이외의 풍도는 아연도금강판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내식성, 내열성이 있는
것으로 하며 불연재료(석면재료를 제외한다)인 단열재로 유효한 단열처리를 하고,
강판의 두께는 풍도의 크기에 따라 다음 표에 따른 기준 이상으로 한다. 다만, 방화
구획이 되는 전용실에 급기 송풍기와 연결되는 덕트는 단열이 필요 없다.
2.6 배출풍도
가. 수직풍도는 내화구조로 하되 「건축물의 피난. 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제3조
제1호 또는 제2호의 기준 이상의 성능으로 한다.
나. 수직풍도의 내부면은 두께 0.5mm 이상의 아연도금강판 또는 이와 동등한 내식성.
내열성이 있는 것으로 마감하되 접합부에 대하여는 통기성이 없도록 조치하여야 한다.
- 22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7 덕트 부속품
가. 배연 덕트의 리벳는 알루미늄 등 열에 취약한 리벳을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나. 볼트 및 너트, 육각볼트(KS 규격품 이상) 및 육각너트(KS 규격품 이상)로 사용하여야
한다.
다. 플렌지팩킹 : 비석면제로 두께 3mm의 이상의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라. Canvas는 속에 Piano선을 삽입 시킨 것이어야 하며 250℃에서 1시간 이상의 내화
성능이 있어야 한다.
- 224 -
06030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 설비공사
2.10 과압방지 장치
가. 과압방지 장치는 과압배출댐퍼, 자동차압조절댐퍼 또는 그 외 과압을 배출 혹은 예방
할 수 있는 장치로서 감독자의 승인을 얻어야 한다.
나. 제연구역에 설치하는 과압배출댐퍼는 최대설정차압을 초과할 경우 즉시 작동하고 작동
차압보다 10Pa 높은 차압에서 완전히 개방되어 최대배출량을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다. 제연구역에 설치하는 자동차압조절댐퍼는 그 누설량이 급기송풍기 등 제연시스템 작동 시
예측되는 급기덕트 내부의 압력 하에서 해당 제연구역의 출입문 누설량보다 적어야 한다.
라. 과압방지장치는 기준차압의 ± 10% 범위에서 차압을 유지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춰야
하며, 이 때 과압 상태가 해소되어 기준차압범위에 도달하는 시간은 5초 이내이어야 한다.
2.11 덕트 점검구
덕트 점검구는 “06010 제연설비 공통공사 2.3.6”을 따른다
- 22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13 차압측정공
가. KSD 3503 SS 400 규격에 적합한 제품 또는 동등이상의 제품
나. KSD 8302 규격에 적합한 니켈 및 니켈-크롬 도금 또는 동등 이상
다. 차압측정공은 평상시 폐쇄되어야 하며 세대내부가 보이지 않는 구조일 것
라. 차압측정공을 설치하고 시험한 방화문 성능시험 성적서를 제출할 것
3. 시공
3.2 외벽배출구
가.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서로 반대되는 방향의 두 벽 이상에 설치하여야 한다.
나. 배출에 필요한 면적을 계산할 때에는 외벽 중 배출구 면적의 합계가 가장 큰 어느
한쪽 외벽에 있는 배출구는 계산에서 제외하여야 한다.
3.3 급기 댐퍼
가. 부속실에 설치하는 경우 출입문을 열고 닫을 때 출입문에 가리지 않는 위치에 설치
하여야 한다.
나. 부속실에 설치하는 평행익 급기댐퍼는, 편향된 급기로 인해 피난구의 각 점에서 방연
풍속의 편차가 커지지 않도록 기류분포를 감안하여 날개를 조절하거나 설치위치를
조절하여야 한다.
- 226 -
06030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 설비공사
3.4 댐퍼 구동 모터
가. 제연시스템에 사용되는 모든 제연댐퍼는 전동식 댐퍼로서 방화댐퍼의 성능을 만족
하여야 한다.
나. 제연댐퍼의 구동모터에는 내화배선에 의한 비상전원이 공급되어야 한다.
3.5 제연 덕트
가. 제연운전을 개시할 때 급격한 온도상승 또는 진동 등에 의하여 덕트의 변형, 파손,
탈락 등이 생기지 않도록 보강, 지지를 충분히 하여야 한다.
나. 제연 덕트는 가연물로 부터 0.6m 이상 떨어지게 시공하는 외에 전선, 전선관 등에
접촉하지 않도록 충분히 주의한다.
다. 수평풍도가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벽 및 바닥부분은 강판제등의 불연성 슬리브를
설치하며 풍도와의 틈새에는 내화성능이 있는 모르타르 등으로 충진하여 기밀이
유지되도록 한다.
라. 제연덕트가 가능한 방화구획을 관통하지 않도록 덕트경로를 설정하고 부득이 관통할
때에는 280℃ 이상의 중온도용 방화댐퍼를 설치한다.
[참고] 저온도퓨즈를 사용하지 않는 것은 초기화재시 제연설비로 기능을 하다가 중기
화재이후에는 이미 피난이 불가한 조건이 되므로 F.D가 작동하여 제연설비 기능 보
다는 화염전파를 차단하여 연소를 차단하는 방화구획의 기능을 만족하도록 하기 위함
마. 방화댐퍼는 화재시에 쉽게 탈락되지 않게 하고 보존, 점검이 쉬운 구조로 방화구획
관통부분 또는 이에 근접한 부분에 설치하고 날개 개폐 및 동작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참고] British Standard EN 12101-6 11.8.2.9 에 따르면 방화댐퍼는 차압시스템
급기덕트에는 못쓰게 되어 있고 급기덕트가 방화구획을 관통하는 경우에는 덕트
를 적당한 내화재료로 방호하도록 되어 있다.
바. 풍도의 행거 및 고정
“06010 제연설비 공통공사 2.4”를 따른다
사. 풍도의 이음은 제연시의 급격한 온도 상승에 의해 변형되거나 진동에 의해 이음에서
누설이 없도록 해야 한다.
- 22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6 제연 덕트의 단열
가. 급기 풍도의 경우 수직풍도 외의 풍도는 불연재료(석면재료는 제외한다)인 단열재로
유효한 단열 처리를 한다.
나. 배출 풍도의 경우 건축법상 난연재료(석면재료는 제외한다) 이상의 단열재로 유효한
단열처리를 한다.
3.8 방화 댐퍼
방화 댐퍼의 설치는 “06010 제연설비 공통공사 3.6”를 따른다.
- 228 -
06030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 설비공사
3.11 과압방지 장치
가. 과압이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제연구역에는 과압방지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나. 과압배출장치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배출되는 공기가 계단실-부속실-옥내방향으로 향하
도록 하고, 가능한 한 상부에 설치한다.
다. 과압방지장치가 작동할 때 어느 제연구역에서도 차압 및 방연풍속이 부족하지 않아야 한다.
3.12 외기취입구
가. 외기취입구는 화재로부터 연기 또는 공해물질 등으로 오염된 공기를 취입하지 않도록
옥상 이외의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나. 취입구는 빗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하며, 내식성 급속망 등을 설치하여
조류나 곤충 등이 덕트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 눈에 의해 취입구가 막히거나 소손되지 않도록 설치하거나 눈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라. 옥상에 설치할 경우에는 다른 설비의 배기구나 옥상의 외곽면으로부터 수평거리 5m
이상 이격되고, 수직으로 1m 이상 낮은 위치에 설치하여야 한다. 옥상 외곽면에 대
해서는 외곽면의 상단을 기준으로 하고, 외곽면에 개구부가 있을 경우에는 그 개구부의
하단을 기준으로 한다.
마. 옥상에 설치할 경우에는 옥외의 바람의 속도와 방향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도록
직각으로 이격된 2방향에서 취입이 가능한 구조이어야 하며, 덕트형 연기감지기와
전동댐퍼를 양방향에 설치하여 연기감지기가 작동하면 그 쪽의 전동댐퍼는 닫혀야 한다.
- 22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14 검사 및 시험
3.14.1 일반사항
가.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시험 및 검사는「국가화재안전기준
(NFSC 501A)」에 의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나. 제연 팬은 출고 전 반드시 공장검사를 실시하여야 하며, 그 검사방법은 KS B 6311에 의한다.
3.14.2 덕트의 누설 시험
가. 덕트의 누설 시험은 “06010 제연설비공사 3.7.1” 기준을 따른다.
나. 제연덕트를 처음 설치하여 시공상의 문제점 또는 시공관리상 필요한 점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하며, 작업팀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누설시험을 실시하여야 한다.
다. 주변 구조물을 설치하기 전, 그리고 단열처리를 하기 전에 누설시험을 하여야 한다.
라. 덕트의 모든 개구부를 막고 제연 송풍기 체절압력 또는 설계압력의 150%로 가압하여
측정한 누설량을 누설률로 환산하여 제연팬 설계풍량의 5% 이하이어야 한다.
마. 구체적인 수행방법은 한국설비기술협회 표준 “SPS-KARSE B 0016-178 공조용덕트
누기 시험방법”에 따른다.
3.14.3 성능검사
가. 성능검사는 T.A.B를 통해 실시되어야 하며, 시스템의 정상적인 성능이 나오도록
조정되어야 한다.
1) 실시시기 : 제연설비는 설계목적에 적합한지 사전에 검토하고 건물의 모든 부분
(건축설비 포함)을 완성하는 시점부터 실시한다.
2) 시험절차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501A)」에 의거하여 실시한다.
3) 수행자격 : (사)한국소방기술사회에서 인증한 제연설비 T.A.B 인증업체
- 230 -
06030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 설비공사
- 23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 232 -
06040 연결송수관설비공사
06040 연결송수관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1]
제5호나목에 따른 연결송수관설비공사에 관하여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은 소방관계법규를 우선하여 적용하여야 하며,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 「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관련법규
「소방기본법」,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소방시설공사업법」,
「위험물안전관리법」,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기술기준, 예방
소방업무 처리규정, 화재보험협회 소화설비규정
1.3.2 한국산업표준(KS)
KS D 3507 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62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KS D 5301 이음매 없는 구리 및 구리합금관
KS D 3576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 또는 KS D 3595 일반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
KS D 4311 덕타일 주철관
1.4 제출물
다음 사항은 "01010 일반공통사항 4.제출물"에 따라 제출한다.
1.4.1 제품자료
모든 소방자재의 제품자료를 제출하며, 해당 자재는 소방청장(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형식승인서 및 개별 검정합격표시 통지서 사본을 첨부하여 제출한다.
- 23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 기기 및 재료
2.1 연결송수관
가. 송수구
1) 구경 65mm × 65mm × 100mm 쌍구형으로 시험압력 1.7MPa 이상 시험에 합격한 것
2) 소방호스 연결에 적합하고 플러그와 체인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주물품의 “연결
송수관 설비송수구” 표지가 부착된 제품일 것
3) 보기 쉬운 곳에 송수압력범위를 표시한 표지를 설치할 것
나. 단구형 방수구
구경 65mm 청동제 앵글밸브로서 1.7MPa 이상 시험압력에 합격한 제품일 것.
다. 방수구함
1) 전면판은 1.2mm 이상의 스테인리스(STS 304) 헤어라인으로 "방수구함"이라고 표기
한다.
2) 사용밸브 조작 및 호스 연결시 지장이 없어야 하고 내함은 강판제 1.5mm 이상으로
한다.
라. 방수기구함
1) 방수기구함은 소화전함 과 병설하거나 별도의 함을 설치하고 외면에는 “방수기구함”
이라고 표시한 축광식 표지를 한다.
2) 방수구로부터 담당구역에 유효하게 살수할 수 있는 수량의 ø65 × 15m 호스와 방사형
관창을 수납할 수 있는 규격이어야 한다. (내함은 강판제 1.5mm 이상)
3. 시공
3.1 연결송수관설비 공사
3.1.1 송수구
가. 송수구의 설치위치는 도면에 지시된 곳 혹은 소방차의 접근이 용이한 곳으로 지면
으로부터 0.5m 이상, 1.0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나. 송수구는 화재층으로부터 지면으로 떨어지는 유리창 등이 소화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 주배관의 구경은 ø100이상으로 하고 방수구는 구경 ø65 쌍구형으로 설치한다.
라. 연결송수관 설비의 배관은 주배관의 구경이 100mm이상인 옥내소화전설비, 스프링
클러설비 또는 물분무소화설비설비의 배관과 겸용할 수 있다.
마. 송수구의 부근에는 습식인 경우 송수구, 자동배수밸브, 체크밸브 순으로 설치하되
이 경우 자동배수밸브는 배관 안의 물이 잘 빠질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고, 배수로
인하여 다른 물건이나 장소에 피해를 주지 아니하여야 한다.
- 234 -
06040 연결송수관설비공사
3.1.2 방수구
가. 방수구는 매 층마다 설치하되 아파트의 1층 및 2층은 설치하지 아니 할 수 있다.
나. 방수구는 계단으로부터 5m 이내에 설치하되 호스접결구는 바닥으로부터 0.5m 이상
1.0m 이하의 높이에 설치한다.
다. 방수구의 위치표시는 방수구의 상부에 설치하되 "방수구함"이라고 적색등이나 축광식
표지를 설치한다.
라. 방수기구함은 매 3층 마다 설치하며, 그 층의 방수구로부터 보행거리 5m 이내에
설치한다.
마. 방수기구함에는 ø65 규격의 방사형 노즐 1개와 방수구가 담당하는 구역의 각 부분에
유효하게 물이 뿌려질 수 있는 수량 이상의 호스를 비치하여야 한다.
3.2 가압송수장치
가. 지표면에서 최상층 방수구의 높이가 70m 이상의 소방대상물에는 연결송수관설비의
가압송수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나. 소방펌프차의 송수압력을 고려하여 가압송수장치의 토출 양정을 결정해야 한다.
- 23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06050 연결살수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1]
제5호다목에 따른 연결살수설비공사에 관하여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은 소방관계법규를 우선하여 적용하여야 하며,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 「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관련법규
「소방기본법」,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소방시설공사업법」,
「위험물안전관리법」,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기술기준,
「예방소방업무 처리규정」, 화재보험협회 소화설비규정
1.3.2 한국산업표준(KS)
KS D 3507 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62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KS D 5301 이음매 없는 구리 및 구리합금관
KS D 3576 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 또는 KS D 3595 일반배관용 스테인리스강관
KS D 4311 덕타일 주철관
1.4 제출물
다음 사항은 "01010 일반공통사항 4.제출물"에 따라 제출한다.
1.4.1 제품자료
모든 소방자재의 제품자료를 제출하며, 해당 자재는 소방청장(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형식승인서 및 개별 검정합격표시 통지서 사본을 첨부하여 제출한다.
2. 기기 및 재료
2.1 개방형 헤드
가. 연결살수설비의 헤드는 연결살수설비 전용헤드 또는 스프링클러헤드로 설치하여야 한다.
- 236 -
06050 연결살수설비공사
구분 하향형 상향형
호칭 구경(mm) 20 20
방수압(㎏/㎠) 1 이상 1 이상
3. 시공
3.1 시공 일반
가. 개방형 헤드를 사용하는 송수구의 호스접결구는 각 송수구역마다 설치하여야 한다.
나. 개방형 헤드를 사용하는 송수구의 가까운 부분에 송수구, 자동배수밸브, 자동배수밸브
순으로 설치하되 자동배수밸브는 배관 안의 물이 잘 빠질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고,
배수로 인하여 다른 물건 또는 장소에 피해를 주지 아니 하여야 한다.
다. 개방형 헤드를 사용하는 연결살수설비의 수평 주행배관은 헤드를 향하여 상향으로
100분의 1이상의 기울기로 설치하고 주배관 중 낮은 부분에는 자동배수밸브를 위 2)항의
기준에 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라. 습식으로 설치할 때에는 “02040 스프링클러 설비공사”에 의하여 시공한다.
3.2 선택밸브
가. 연결살수설비의 선택밸브는 다음 각호의 기준에 따라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송수구를
송수구역 마다 설치한 때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화재시 연소의 우려가 없는 장소로서 조작 및 점검이 쉬운 위치에 설치할 것
2) 자동개방밸브에 따른 선택밸브를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송수구역에 방수하지
아니하고 자동밸브의 작동시험이 가능하도록 할 것
3) 선택밸브의 부근에는 “송수구역 일람표”를 설치할 것
3.3 검사 및 시험
배관의 수압시험압력은 설계압력의 1.5배(최소14 ㎏/㎠)로 2시간 이상 실시하여 압력
저하가 없어야 한다.
- 23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06060 비상콘센트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5호라목에 따른 비상콘센트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 국가건설기준 「소방전기설비공사」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국가화재안전기준
「비상콘센트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4)」
1.4 제출물
1.4.1 제작도면
1.4.2 제작시방서
1.4.3 증명서
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형식승인서
나. 전기용품 안전인증서
1.4.4 시공상세도
가. 비상콘센트설비 전원설비 계통도
나. 비상콘센트함 제작도면
- 238 -
06060 비상콘센트설비공사
2. 기기 및 재료
2.1 비상콘센트
2.1.1 구조
가. 작동이 확실하고 취급 점검이 쉬워야 하며 현저한 잡음이나 장해전파를 발하지 아니 한다.
나. 부식에 의하여 기계적 기능에 영향을 초래할 우려가 있는 부분은 칠, 도금 등으로
유효하게 내식가공을 하거나 녹막이 가공을 하며, 전기적 기능에 영향이 있는 단자, 나사
및 와셔 등은 동(구리) 합금이나 이와 동등이상의 내식성능에 있는 재질을 사용한다.
다. 기기 내의 비상전원 공급용 배선은 내화배선으로, 그 밖의 배선은 내화배선 또는 내열
배선으로 하며, 배선의 접속이 정확하고 확실하게 한다.
라. 전선 이외의 전류가 흐르는 부분과 가동축 부분의 접촉력이 충분하지 않는 곳에는
접촉부의 접촉불량을 방지하기 위한 적당한 조치를 한다.
마. 충전부는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한다.
바. 접속기는 KS 해당 규격에 적합하여야한다.
사. 표시등의 구조 및 기능에서 전구는 사용전압의 130%인 교류전압을 20시간 연속하여
가하는 경우 단선, 현저한 광속변화, 흑화, 전류의 저하 등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고,
소켓은 접속이 확실 하며 쉽게 전구를 교체할 수 있도록 부착하며, 전구에는 적당한
보호커버를 설치한다. 단, 발광다이오드의 경우에는 예외로 한다.
아. 단자는 충분한 전류용량을 갖는 것으로 하며 단자의 접속이 정확하고 확실하게 한다.
자. 비상콘센트 전원은 각 상이 평형이 되도록 결선한다.
차. 소화전함 또는 방수구함에 내장하는 비상콘센트함은 난연성 격벽(방수구조)을 설치한다.
카. 부품의 부착은 기능에 이상을 일으키지 아니하고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한다.
타. 수납형이 아닌 비상콘센트설비는 외함에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문을 설치한다.
2.1.2 외함
가. 비상콘센트설비의 콘센트, 배선용 차단기 등을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함을 설치한다.
나. 외함(수납형의 부품 지지판을 포함한다)은 방청가공을 한 두께 1.6mm 이상의 강판,
두께 1.2mm 이상의 스테인레스판 또는 두께 3mm 이상의 자기소화성이 있는 합성수지를
사용한다.
다. 외함에는 쉽게 개폐할 수 있도록 문을 설치한다.
라. 도장은 소부도장이나 정전분체도장으로 한다.
1) 소부도장은 피도면 내ㆍ외부의 이물질 제거 및 인산염 피막처리를 하고 멜라민
프라이머를 칠한 후 멜라민 도료를 사용하여 가열건조 한다.(도막두께 45㎛ 이상).
2) 정전분체도장은 함체의 내ㆍ외면에 인산염 피막처리한 후 도막두께 45㎛ 이상으로
도장을 하고, 표면온도 180℃ 이상에서 14분 이상 가열 건조 한다.
마. 외함의 전면 상단에 주전원을 감시하는 적색의 표시등을 설치한다. 다만, 수납형의
경우에는 주전원을 감시하는 표시등을 접속할 수 있는 단자만을 설치할 수 있다.
- 23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1.3 전원회로
가. 단상교류 220V인 것으로써, 그 공급용량은 1.5kVA 이상인 것으로 한다.
나. 전원회로는 각 층에 있어서 2개 이상이 되도록 하고, 설치 할 층의 비상콘센트가 1개인
때에는 한 개의 회로로 할 수 있다.
다. 전원회로는 주배전반에서 전용회로로 하고, 다른 설비의 회로의 사고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으면 예외로 할 수 있다.
2.1.4 배선용차단기(MCCB)
가. 전원이 각 층의 비상콘센트에 분기되는 경우에는 배선용차단기(MCCB)를 설치한다.
나. 콘센트마다 배선용차단기(MCCB)를 설치하며, 충전부는 노출하지 않는다.
다. 비상콘센트설비에 배선용차단기(MCCB) 용량은 콘센트 용량과 같도록 한다.
1) 개폐기에는 ‘비상콘센트’라고 표시한다.
2) 풀박스 등은 방청도장을 한 것으로서, 두께 1.6mm 이상의 철판으로 한다.
3) 하나의 전용회로에 설치하는 비상콘센트는 10개 이하로 하고, 전선의 용량은
각 비상콘센트를 합한 용량 이상으로 하며, 3개가 넘는 경우에는 3개로 한다.
라. 비상콘센트설비의 플럭접속기는 접지형 2극 플럭접속기(KS C 8305)를 사용 한다.
2.1.5 절연저항
비상콘센트설비의 절연된 충전부와 외함간의 절연저항은 500V 절연저항계로 측정한
값이 20㏁ 이상이어야 한다.
2.1.6 절연내력
정격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경우 그 정격전압에 2를 곱하여 1,000을 더한 값의 교류
전압을 가하는 시험에서 1분간 견디는 것이어야 한다.
2.1.7 형식승인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형식승인에 적합한 제품을 사용한다.
3. 시공
3.1 배관공사
배관공사는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를 따른다.
3.2 배선공사
배선공사는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를 따른다.
- 240 -
06060 비상콘센트설비공사
3.3 비상콘센트설비의 시공
3.3.1 전원회로
가. 전원회로는 각 층에 2 이상이 되도록 설치할 것. 다만 설치 할 층의 비상콘센트가 1개인
때에는 하나의 회로로 할 수 있다.
나. 전원회로는 주배전반에서 전용회로로 설치하며, 각 상의 평형이 이루어지도록 접속할 것
다. 한 개의 전용회로에 연결되는 비상콘센트는 10개 이하로 한다.
라. 비상콘센트 플러그 접속기의 칼받이 접지극에는 접지공사를 한다.
마. 절연저항은 전원부와 외함 사이에 500V 절연저항계로 측정시 20㏁ 이상일 것
바. 절연내력은 전원부와 외함 사이에 정격전압 150V 이하인 경우는 1,000V, 정격전압
150V 이상인 경우는 정격전압에 2를 곱하여 1,000을 더한 실효전압을 가하여 1분 이상
견디도록 한다.
사. 비상콘센트 전원은 각 상이 평형이 되도록 결선한다.
아. 소화전함 또는 방수구함에 내장하는 비상콘센트함은 난연성 격벽을 설치한다.
3.3.2 비상콘센트의 배치
가. 설치높이는 바닥으로부터 높이 0.8m 이상 1.5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나. 층별 배치 기준
1) 아파트 또는 바닥면적 1,000㎡ 미만인 층
계단의 출입구(계단의 부속실을 포함하며 계단이 2 이상 있는 경우에는 그 중 1개의
계단을 말한다)로부터 5m 이내에 배치
2) 바닥면적 1,000㎡ 이상인 층(아파트 제외)
각 계단의 출입구 또는 계단부속실의 출입구(계단의 부속실을 포함하며 계단이 3 이상
있는 경우에는 그중 2개의 계단을 말한다)로부터 5 m 이내 설치
3.3.3 수평거리 기준
위의 층별 배치기준에 따라 설치하고 추가로 수평거리에 의해 배치한다.
1) 지하상가 또는 지하층의 바닥면적의 합계가 3,000㎡ 이상인 것은 수평거리 25m 마다 배치
2) 위에 해당하지 아니하는 것은 수평거리 50m마다 배치
3.4 검사 및 시험
가. 입선 완료 후 소방기구 결선 작업 전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측정값은 1㏁ 이상이어야
하며, 절연저항 측정 결과를 제출 한다.
나. “소방시설 성능시험 조사표” 에 따라 성능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제출한다.
- 24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06070 무선통신보조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5]
제5호마목에 따른 무선통신보조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 국가건설기준 「소방전기설비공사」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국가화재안전기준
「무선통신보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5)」
1.3.2 「전기용품안전관리법」제3조(안전인증)
1.4 제출물
1.4.1 제작도면
1.4.2 제작시방서
1.4.4 시공상세도
가. 무전기 접속단자 설치 위치 및 함 상세도
나. 누설동축케이블 지지 상세도
다. 무선통신보조설비 전계강도 계산서
- 242 -
06070 무선통신보조설비공사
2. 기기 및 재료
2.3 커넥터
가. 임피던스 : 50Ω
나. 정재파비 : 1.5 이하
다. 누설동축케이블 접속용으로 해당규격의 전기적 특성에 적합해야 한다.
2.4 종단저항
가. 특성 임피던스 : 50Ω
니. 정재파비 : 1.2 이하
다. 허용전력 : 10W
- 24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6 기타 자재
가. 서스펜션 클램프(SUSPENSION CLAMP) : 고정볼트 및 너트는 스테인레스로하며,
지지편은 알루미늄 주물로 견고하게 한다.
나. 대드앤드 브라켓(Dead End Braket) : 철 또는 알루미늄 주물로 견고하게 한다.
3. 시공
3.1.1 누설동축케이블
가. 누설동축케이블은 습기에 따라 전기의 특성이 변질되지 아니하는 것으로 하고, 노출
하여 설치한 경우에는 피난 및 통행에 장애가 없도록 한다.
나. 누설동축케이블은 화재에 따라 해당 케이블의 피복이 소실된 경우에 케이블 본체가
떨어지지 아니하도록 4m 이내 마다 금속제 또는 자기제등의 지지금구로 벽·천장·기둥
등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다. 누설동축케이블 및 공중선은 금속판 등에 따라 전파의 복사 또는 특성이 현저하게
저하되지 아니하는 위치에 설치한다.
라. 누설동축케이블 및 공중선은 고압의 전로로 부터 1.5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한다.
마. 누설동축케이블의 끝부분에는 무반사 종단저항을 견고하게 설치한다.
- 244 -
06070 무선통신보조설비공사
3.1.4 증폭기
가. 전원은 전기가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축전지, 전기저장장치 또는 교류전압 옥내간선으로
하고, 전원까지의 배선은 전용으로 설치한다.
나. 증폭기의 전면에는 주회로의 전원이 정상인지의 여부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등 및
전압계를 설치한다.
다. 증폭기에는 비상전원이 부착된 것으로 하고 해당 비상전원 용량은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유효하게 30분 이상 작동시킬 수 있는 것으로 설치한다.
3.1.5 접지
전원장치의 함에는 접지공사를 한다.
3.2.1 시공 전
가. 시공 전에는 설계 당시와 현장 여건이 달라질 경우도 발생하므로, 현장 여건을 재확
인하여, 최종 말단에서의 전계강도를 계산하여 유효한 통신이 가능한지 계산 한다.
나. 무전기의 수신감도는 -120dBm(0.25㎶) 정도이므로, 이보다 30dB 정도의 여유를 두어서,
설계기준레벨을 -90dBm으로 하여 말단에서 설계기준레벨을 만족하는지 확인한다.
다. 전계강도 계산 시에는 급전선용 동축케이블, 누설용 동축케이블의 전송손실 및 결합
손실을 계산하고, 분배기, 혼합기, 콘텍터, 종단저항 등의 삽입손실 등을 고려한다.
3.2.2 시공 후
가. 무선통신보조설비는 주위 환경에 영향을 많이 받는 설비이므로, 시공 후에는 반드시
소방용 주파수에 적합한 무전기를 사용하여 현장시험을 실시한다.
나. 현장 시험 후, 무선통신에 장애가 발생한 지역에 대하여는 증폭기 설치 등을 고려하여
장애 해소를 위한 조치를 한다.
3.3 검사 및 시험
“소방시설 성능시험 조사표”에 따라 성능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제출한다.
- 24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06080 연소방지설비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령」[별표 5]
제5호바목에 따른 연소방지설비공사에 관하여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은 소방관계법규를 우선하여 적용하여야 하며,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 「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관련법규
「소방기본법」,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소방시설공사업법」,
「위험물안전관리법」,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기술기준,
「예방소방업무 처리규정」, 화재보험협회 소화설비규정
1.3.2 한국산업표준(KS)
KS D 3507 배관용 탄소강관
KS D 3562 압력배관용 탄소강관
소방용 합성수지배관
KS D 4311 덕타일 주철관
1.4 제출물
다음 사항은 "01010 일반공통사항 4.제출물"에 따라 제출한다.
1.4.1 제품자료
모든 소방자재의 제품자료를 제출하며, 해당 자재는 소방청장(한국소방산업기술원)의
형식승인서 및 개별 검정합격표시 통지서 사본을 첨부하여 제출한다.
2. 기기 및 재료
2.1 방수 헤드
가. 연소방지설비의 헤드는 연소방지설비 전용헤드 또는 스프링클러헤드로 설치하여야 한다.
나. 개방형 헤드는 다음에 따른다.
- 246 -
06080 연소방지설비공사
구분 하향형 상향형
호칭 구경(mm) 20 20
방수압(㎏/㎠) 1 이상 1 이상
2.2 방화벽
가. 내화구조로써 홀로 설수 있는 구조여야 한다.
나. 방화벽에 출입문을 설치하는 경우 방화문은 갑종방화문으로 설치한다.
다. 방화벽을 관통하는 배관, 케이블 등의 주위는 내화충전구조 인정기준에 따르는 화재
차단재로 밀실하게 메워야 한다.
라. 방화벽의 설치 위치는 연소방지설비의 「국가화재안전기준(NFSC 506)」제7조 각목을
기준하여 설치하고, 간격은 하나의 살수구역 길이 이내로 한다.
2.3 연소방지도료
연소를 지연시키는 성능이 있는 것으로써 방화벽의 주위 양쪽에 전력용은 20m이상,
통신케이블의 경우 10m 이상 도포한다.
2.4 난연테이프
연소방지도료를 도포하여야 하는 장소 또는 이와 유사한 장소로써 도료를 도포하기가
어려운 장소는 난연테이프 감기를 시행하여야 한다.
- 24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 시공
3.1 배관 및 헤드
가. 개방형 헤드를 사용하는 송수구의 호스접결구는 각 송수구역마다 설치하여야 한다.
나. 연소방지설비의 배관은 다른 설비와 쉽게 구분이 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거나, 배
관 표면의 도장색상을 달리하는 방법으로 연소방지설비 배관임을 표시하여야 한다.
다. 연소방지설비의 배관은 전용으로 한다.
라. 개방형 헤드를 사용하는 송수구의 가까운 부분에 송수구, 자동배수밸브 순으로 설치
하되 자동배수밸브는 배관 안의 물이 잘 빠질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고, 배수로 인하여
다른 물건 또는 장소에 피해를 주지 아니 하여야 한다.
마. 개방형 헤드를 사용하는 연소방지설비의 수평 주행배관은 헤드를 향하여 상향으로
100분의 1이상의 기울기로 설치하고 주배관 중 낮은 부분에는 자동배수밸브를 위
라)항의 기준에 의하여 설치하여야 한다.
바. 연소방지설비 전용헤드 사용시 배관의 구경은 다음 표에 따르며 헤드 설치시 헤드와
헤드 사이의 이격거리는 2m 이하로 한다. 표준형 스프링클러헤드를 사용하는 경우
1.5m 이하로 한다.
헤드 수 1개 2개 3개 4∼5개 6개 이상
관지름(mm) 32 40 50 65 80
3.2 송수구
가. 소방차가 쉽게 접근할 수 있고 노출된 장소에 설치하여야 한다.
나. 지름 65mm의 쌍구형으로 한다.
다. 송수구의 가까운 부분에 물이 유효하게 적절하게 빠질 수 있는 위치에 자동배수밸브
(또는 직경 5mm의 배수공) 및 체크밸브를 설치한다.
라. 지면으로부터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한다.
마. 송수구에는 이물질을 막기 위한 마개를 씌울 것.
3.3 검사 및 시험
배관의 수압시험압력은 설계압력의 1.5배(최소 14㎏/㎠)로 2시간 이상 실시하여 압력
저하가 없어야 한다.
- 248 -
07000 그 외의 소방시설공사
07010 소방기계설비 부설전기공사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소방기계설비에 부설되는 전기시설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
03010 자동화재탐지설비공사
KCS 31 45 10 10 스프링클러 설비공사
KCS 31 45 15 05 이산화탄소 소화설비공사
KCS 31 45 15 10 할로겐화합물 소화설비공사
KCS 31 45 15 15 청정소화약제 소화설비공사
KCS 31 45 25 05 제연설비공사
KCS 31 45 25 10 특별피난계단 및 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 제연설비공사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국가화재안전기준
가.「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나.「이산화탄소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6)」
다.「할론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7)」
라.「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7A)」
마.「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
바.「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1.4 제출물
1.4.2 제작도면
- 25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1.4.3 제작시방서
1.4.4 증명서
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형식승인서(대상에 한함)
나. 전기용품 안전인증서(대상에 한함)
1.4.5 시공상세도
가. 자동폐쇄장치의 설치상세도
나. 비상문 자동개폐장치의 설치상세도
다. 수동조작함 설치상세도
라. 가스계소화설비 제어반 회로 및 단자 결선도
2. 기기 및 재료
2.1 자동폐쇄장치
2.1.1 종류
가. 적용 압력에 따른 분류
1) 일반차압용 자동폐쇄장치 : 제연구역과 옥내사이의 최소 차압이 40Pa 이상으로 유지
되는 장소에 설치하는 자동폐쇄장치를 말한다.
2) 저차압용 자동폐쇄장치 : 제연구역과 옥내 사이의 차압이 12.5Pa 이상, 32.5Pa 이하로
유지되는 장소에 설치하는 자동폐쇄장치를 말한다.
나. 사용 장소에 따른 분류
1) 출입문용 자동폐쇄장치
2) 창문용 자동폐쇄장치
2.1.2 구조
가. 자동폐쇄장치는 문과 문틀 또는 벽 등에 견고하게 부착할 수 있는 구조로써 제어부,
구동장치 등으로 구성한다.
나. 자동폐쇄장치는 문을 개방상태로 유지시키다가 작동신호 등에 의하여 닫히게 하며,
작동신호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문을 자동적으로 닫히게 하는 구조이어야 하고 작동
신호 등이 해제되면 원래의 상태로 문을 개방, 고정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다. 자동폐쇄장치는 제연구역의 가압에도 불가하고 충분한 폐쇄력이 있어야 한다.
라. 수신반에서 자동폐쇄장치가 설치된 출입문(양개문의 경우 나중에 닫히는 문)이 완전히
폐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 252 -
07010 소방기계설비 부설전기공사
2.1.3 기능
가. 자동폐쇄장치는 전원이 차단될 경우 즉시 자동적으로 문을 닫아주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나. 출입문용 자동폐쇄장치의 닫히는 힘은 37N(저차압용 댐퍼가 설치된 제연구역에 부착
되는 자동폐쇄장치의 경우에는 17N) 이상이어야 하며 닫히는 시간은 10초 이내이어야
한다.
다. 창문용 자동폐쇄장치가 완전히 닫히는 시간은 10초 이내이어야 한다.
2.2.1 구조
가. 비상문 자동개폐장치는 제어함과 개폐부로 구성한다.
나. 제어함은 견고하게 제작되어야 하며, 외함이 열리면 닫힐 때까지 경보음을 90dB 이상
계속적으로 발한다.
다. 개폐부의 개방은 자동화재탐지설비의 화재신호 또는 수동조작신호에 의하여 정확하게
개방되어야 하며, 개방된 개폐부는 의도된 복귀신호나 인위적 조작 없이는 폐쇄되지
아니한다.
라. 비상전원은 축전지를 사용하고 그 용량(사용시간)은 최소 20분 이상 작동 가능하여야 한다.
2.2.2 기능
가. 자동개폐장치는 5초 이내에 개폐부가 개방되어야 한다.
나. 자동계패장치는 개폐부가 개방된 경우 개방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다. 자동개폐장치의 제어함은 상용전원을 차단할 때 즉시 비상전원으로 전환되어야 한다.
라. 평상시에는 잠김상태를 유지하며 화재 시에는 자동화재탐지설비와 연동되어 잠금
장치가 자동 해제되어 방화문을 밀 경우 개방할 수 있어야 한다.
마. 소방출력에 따라 유도등, 비상경종 및 중계기에서 화재신호를 받을 수 있어야 한다.
바. 방화문의 잠김 해제는 화재신호와 제어부 내 비상버튼 스위치로 할 수 있어야 한다.
사. 한국소방산업기술원 KFI인정기준에 적합하여야 한다.
아. 오작동 및 화재복구시 자동 복구되어 잠김상태를 유지한다.
2.3 수동조작함
가. 스프링클러용 수동조작함
1) 구성 : 전원등, 밸브 잠김 표시등, 밸브 개방 표시등, 수동기동 스위치 등으로 구성
되며, 제조사 규격에 따라서 적용이 가능하다.
2) 입력전압 : DC 24V ±20%
나. 소화약제용 수동조작함
1) 구성 : 전원등, 기동표시등, 기동스위치로 구성되며, 제조사 규격에 따라서 적용이
가능하다.
2) 입력전압 : DC 24V ±20%
- 25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다. 제연설비용 수동조작함
1) 구성 : 전원등, 방출확인 표시등, 방출기동 스위치, 방출정지 스위치 등으로 구성되며,
제조사 규격에 따라서 적용이 가능하다.
2) 입력전압 : DC 24V ±20%
3. 시공
3.1 배관공사
배관공사는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를 따른다.
3.2 배선공사
배선공사는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를 따른다.
3.3 자동폐쇄장치
가. 제어부 결선 배선이 노출되지 않고 내열배선에 적합하도록 배관 및 배선을 한다.
나. 양개형 방화문의 경우 폐쇄속도 또는 순차제어 등을 통하여 출입문 양쪽이 완전히
폐쇄되도록 설치를 한다.
다. 출입문 등에 자동폐쇄장치를 설치하는 경우 보강강판을 부착하여 설치하도록 한다.
라. 자동폐쇄장치 제어용 배선인출박스는 맹카바 마감 후 벽체와 동일한 색상으로 도장한다.
마. 개방 고정각도는 건축구조를 고려하여 비상계단 통행 등 생활에 불편을 초래하지
않도록 설정해야 한다.
- 254 -
07010 소방기계설비 부설전기공사
3.5 수동조작함
가. 스프링클러용 수동조작함
1) 스프링클러소화설비 방호구역 내에 설치하며, 연결되는 감지기 수량 및 제작사 규격에
따라서 1개 이상 설치를 한다.
2) 수동조작함은 소화수 방출로 인하여 우수 피해가 없는 장소 및 수동 조작이 용이한
장소에 설치한다.
3) 수동조작함에 연결되는 감지기는 교차회로를 구성하여 오동작에 의한 소화수 방출을
방지한다.
나. 가스계 소화설비용 수동조작함
1) 가스계 소화설비용 수동조작함은 방호구역에 1개 이상 설치하며, 출입문 인근에 설치
하여 피난에 용이하도록 한다.
2) 수동조작함 전면도어 개방시 부저가 작동하여 경보를 하여야 한다.
다. 제연설비용 수동조작함
1) 제연구역에 1개 이상 설치를 하며, 피난구 근처 등 피난에 용이한 장소에 설치를 한다.
2) 수동조작함 동작 시 미리 저장된 계획에 의해 급기댐퍼 및 배기댐퍼가 개방이
되도록 설치를 한다.
3.7 검사 및 시험
가. 입선 완료 후 소방기구 결선 작업 전 절연저항을 측정하여 측정값은 1㏁ 이상이어야
하며, 절연저항 측정 결과를 제출한다.
나. “소방시설 성능시험 조사표” 에 따라 성능을 확인하고 그 결과를 제출한다.
- 255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설비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국가화재안전기준
가.「스프링클러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3)」
나.「소방시설용비상전원수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602)」
1.3.2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표준
KEMC 1111 디젤엔진구동육상용 동기발전기
1.3.3 전기설비기술기준
1.4 제출물
1.4.2 제작도면
1.4.3 제작시방서
1.4.4 증명서
가. 한국소방산업기술원 검정필증 사본
나. 전기용품 안전인증서 사본
1.4.5 시공상세도
가. 비상전원설비 명세서
나. 비상발전기 용량 계산서
다. 비상전원 단선 결선도
- 256 -
07020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설비공사
2. 기기 및 재료
2.1 비상전원수전설비
전기공사 고압 또는 특고압 수전 및 저압 수전 방식에 따른다.
2.2 자가발전설비
2.2.1 소방 전용 발전기
소방부하 용량을 기준으로 정격출력용량을 산정하여 사용하는 발전기
2.3 축전지
가. 축전지는 충분한 전류용량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나. 축전지 용량은 원동기와 발전기를 직결한 상태에서 배전반 조작에 의해 구동시간 5초,
휴지시간 5초의 간격으로 연속 5회 이상 반복하여 충분하여야 한다.
다. 커버 표시
1) 형식
2) 정격용량
3) 제조업자명
4) 제조년월일
라. 축전지는 자동 충전기능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 257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2.4 전기저장장치
가. 전기저장장치는 충분한 전류용량을 가진 것이어야 한다.
나. 다음의 성적서를 제출한다.
1) KS 표준 또는 한국전지산업협회의 단체표준에 준하는 배터리의 안전 및 성능
시험성적서
2) 스마트그리드협회 단체표준 SPS-SGSF-025-4-1972에 따른 PCS 성능 시험성적 및
KS C IEC 62477-1에 따른 PCS 안전 시험성적
3. 시공
3.1 배관공사
배관공사는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를 따른다.
3.2 배선공사
배선공사는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를 따른다.
3.3.1 설치장소
가.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곳에
설치한다.
나. 비상전원(내연기관의 기동 및 제어용 축전지 제외)의 설치장소는 다른 장소와 방화
구획한다.
다. 비상전원을 실내에 설치하는 때에는 그 실내에 비상조명등을 설치한다.
라. 자가발전설비의 운전 및 냉각을 위한 급기구 및 배기구를 설치하여 원활한 공기의
공급과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설치한다.
마. 자가발전설비 설치실 외부에는 발전기실 및 발전기의 기종을 식별하기 위한 표지를
부착한다.
3.3.2 설치시공
가. 발전기 및 원동기 설치 시 수평이동, 넘어짐 등의 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나. 기기의 하중을 견딜 수 있는 지지력이 있는 바닥 또는 지반면에 구축하며, 충분한 강도의
콘크리트 패드를 설치하고, 진동 방지 조치를 한다.
다. 기기 설치면은 기기에 적합한 크기의 기초 볼트를 사용하여 고정한다.
- 258 -
07020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설비공사
3.4 비상전원수전설비
가. 자가발전기를 설치하기 곤란한 소규모 건물의 경우에 한하여 관련 규정에서 적용
가능한 소방설비에만 적용이 가능하다.
나. 수전설비 구성 시 소방용 부하에 전력이 공급되는 차단기는 일반부하 회로의 과부하
또는 단락사고 시에도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하여, 일반부하 회로차단기의 차단용량
보다 큰 차단 용량을 선정하여 시공한다.
3.5 자가발전설비
3.5.1 소방 전용 발전기
소방 전용 발전기는 소방 부하만을 대상으로 하므로 발전기에 소방 부하용 차단기만
설치되어야 하며, 비상 전용 발전기는 별도로 설치하여 비상 부하만을 연결하여 설치한다.
- 259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6 검사 및 시험
가. 비상전원수전설비는 소방용부하에 공급되는 차단기의 차단용량이 일반부하에 공급되는
차단기의 차단용량보다 큰 차단용량인지를 확인한다.
나. 상용전원 차단 시 비상전원에 의해 자동 전원 공급이 가능한지 확인한다.
다. 소방전원 보존형 발전기에 과부하 발생시 이를 감지하여 비상발전기용 주차단기가
차단되기 전에 비상용 분기차단기를 차단하여 소방부하에 안정적으로 전원이 연속
공급되는지 확인한다.
- 260 -
07020 소방시설용 비상전원설비공사
- 261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1. 일반사항
1.1 적용범위
이 시방서는 소방시설 부대전기공사에 적용한다.
1.2 관련시방
이 공사와 관련이 있는 사항중 이 절에서 언급된 것 이외의 사항은 각 절의 해당
규정 및 국토교통부 제정「표준시방서」의 해당 규정에 따른다.
01050 소방전기 배관공사
01060 소방전기 배선공사
1.3 참조표준
다음 기준은 이 시방서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것으로 본다.
1.3.1 한국산업표준(KS)
KS C 8321 산업용 배선차단기
1.4 제출물
1.4.2 시공상세도
가. 분전반 내부 결선 상세도면
나. 소방용 동력제어반 내부 결선 상세도면
2. 기기 및 재료
- 262 -
07030 소방시설 부대전기공사
3. 시공
- 263 -
소방공사 표준시방서
3.3 검사 및 시험
가. 소방용 전원으로 공급되는 차단기가 배선용차단기(MCCB)로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
한다.
나. 동력제어반(MCC) 내부에 전자식 과전류 계전기가 지락 차단 기능이 없는 것인지
확인하고, 누전경보기 설정치가 적합한지 확인한다.
다. 소방용 펌프, 송풍기의 전동기를 기동하여 전자식 과전류 계전기가 설정된 범위
내에서 정상 동작하는지 확인한다.
- 26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