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기술로드맵2022-2024 blockchain
중소기업기술로드맵2022-2024 blockchain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2022-2024
블록체인
Contents
전략 분야
전략분야 선정배경 ·········································································································· 1
블록체인
1. 개요 ········································································································································· 7
2. 시장 분석 ····························································································································· 12
3. 기술 분석 ····························································································································· 27
4. 정책 분석 ····························································································································· 43
5. 중소기업 전략 제품 ············································································································ 54
전략 제품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1. 개요 ······································································································································ 61
2. 산업 및 시장 분석 ·············································································································· 66
3. 기술 개발 동향 ··················································································································· 71
4. 특허 동향 ····························································································································· 81
5. 요소기술 도출 ····················································································································· 92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 96
1. 개요 ···································································································································· 101
2. 산업 및 시장 분석 ··········································································································· 106
3. 기술 개발 동향 ················································································································· 114
4. 특허 동향 ··························································································································· 131
5. 요소기술 도출 ··················································································································· 141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 145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1. 개요 ···································································································································· 151
2. 산업 및 시장 분석 ··········································································································· 158
3. 기술 개발 동향 ················································································································· 168
4. 특허 동향 ··························································································································· 178
5. 요소기술 도출 ··················································································································· 188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 192
1. 개요 ···································································································································· 198
2. 산업 및 시장 분석 ··········································································································· 204
3. 기술 개발 동향 ················································································································· 207
4. 특허 동향 ··························································································································· 217
5. 요소기술 도출 ··················································································································· 227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 231
1. 개요 ···································································································································· 238
2. 산업 및 시장 분석 ··········································································································· 242
3. 기술 개발 동향 ················································································································· 247
4. 특허 동향 ··························································································································· 257
5. 요소기술 도출 ··················································································································· 267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 271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1. 개요 ···································································································································· 278
2. 산업 및 시장 분석 ··········································································································· 282
3. 기술 개발 동향 ················································································································· 288
4. 특허 동향 ··························································································································· 300
5. 요소기술 도출 ··················································································································· 310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 314
1. 개요 ···································································································································· 320
2. 산업 및 시장 분석 ··········································································································· 325
3. 기술 개발 동향 ················································································································· 330
4. 특허 동향 ··························································································································· 341
5. 요소기술 도출 ··················································································································· 351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 355
블록체인
전략분야 선정배경
1
전략분야 선정배경
[ 초연결 비대면 신뢰 사회 ]
2
블록체인
Ÿ 불확실한 규제 및 규정 준수 환경
성장 억제요인
Ÿ 블록체인 기술을 구현하기 위한 기술의 제한된 이용 가능성
3
전략분야 현황분석
블록체인
블록체인
블록체인
1. 개요
가. 일반적 정의
(1) 정의
7
전략분야 현황분석
(2) 필요성
▪ P2P 시스템의 고효율, 저비용의 특성과 투명성, 불변성 등의 장점은 인증, 저작권 등록 분야에서
활발히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상업화도 확대
▪ 블록체인의 투명성, 비가역성, 신뢰성은 이용료의 정산, 배분에서 고질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사전에 정해진 바에 따라 집행이 보장되는 스마트 계약을 활용하여 이용료의 징수와 배분의
미이행에 따른 다툼을 원칙적으로 방지 가능
▪ 결제, 거래내역 분야에 활용하기 위한 노력이 증대되고 있으며, 앞으로 블록체인 기술은 지금까지
한계로 여겨졌던 확장성, 상호운용성, IoT 지원 등의 한계를 뛰어넘어 사회 전반을 혁신하는 기반
기술로 자리 잡을 것으로 예상
파괴적 혁신의
직접효과(~2030년) 간접효과(~2030년) 직접효과(~2023년) 간접효과(~2023년)
분야
제품, 시장 및
높음 높음 중간높음 중간
산업변동
비즈니스 방법론의
낮음 중간 낮음 낮음
개선
인력강화 및
중간 중간 중간낮음 중간낮음
인력변동
업무활동의 개선 중간 중간 중간낮음 중간낮음
고객 구매행동 중간 높음 중간낮음 중간
지출액 높음 높음 중간높음 중간
거시경제 낮음 중간 낮음 중간
* 출처: Digital Disruption Profile: Blockchain’s Radical Promise Spans Business and Society, Gartner, 2018
8
블록체인
나. 구축 범위
(1) 가치사슬
[ 블록체인 가치사슬 ]
(2) 대표적 분류 방법
◎ 기술요소에 따른 분류
[ 블록체인의 기술 분류 및 구성요소 별 비교 ]
9
전략분야 현황분석
◎ 네트워크 구조에 따른 분류
10
블록체인
분류 세부기술 주요 제품 및 기술
11
전략분야 현황분석
2. 시장 분석
가. 세계 시장 분석
(1) 세계시장 동향 및 전망
◎ 블록체인 세계시장 전망
[ 블록체인 세계시장 전망 ]
(단위: 십억 달러, %)
[ 블록체인 세계시장 전망 ]
(단위: 십억 달러)
12
블록체인
[ 글로벌 블록체인 시장 전망 요약 ]
(단위: 백만달러, %)
조사기관 기준 연도 시장규모 예측연도 추정치 연간성장률
Market and Markets 2020 3,000 2025 39,700 79.6
(투자지출) IDC에 따르면, 기업들의 글로벌 블록체인 투자지출이 ’22년까지 연평균 73.2%의
증가율을 기록해 117억 달러에 달할 전망
▪ 국가별로는 미국이 글로벌 지출의 36%에 해당하는 가장 많은 지출을 할 것으로 예상. 다음으로는
서유럽, 중국, 아시아 태평양(중국과 일본 제외) 지역 순으로 투자를 전망
13
전략분야 현황분석
◎ 산업별 전망
[ 블록체인 산업별 규모 전망 ]
(단위: 백만 달러, %)
분야 `18 `20 `22 `24 CAGR
금융 서비스 300 839 2,251 6,083 65
금융 분야
▪ IHS Markit에 따르면 금융산업과 관련된 블록체인 시장은 2030년까지 전세계적으로 4,62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
14
블록체인
서비스 분야
▪ 서비스로서 블록체인(Blockchain-As-A-Service)의 활용 증가
▪ Mordor Intelligence에 따르면 세계 BaaS 시장은 2019년 420억 달러에서 2025년까지 연평균
15.2% 성장하여 982.9억 달러 규모로 전망
의료 분야
▪ ARC(Acumen Research and Consulting), 헬스케어 블록체인 시장이 매년 48%의 성장률로,
2026년까지 17억 달러로 성장할 것을 예상2)
물류·유통 분야
▪ 유통 산업은 프로세스마다 발생하는 수수료로 인한 고비용 구조와 복잡한 프로세스로 극복위한
블록체인 기술 도입
2) Acumen Research and Consulting (ARC) Forecast: Blockchain Healthcare Use at $1.7 Billion by
2026(`19.7.16)
15
전략분야 현황분석
보안 분야
▪ 블록체인 기술의 가장 큰 위협인 개인키 분실 및 해킹을 보안하기 위해 개인키 분실에 대한 대책과
보안성이 강화된 거래소 서버 운영 및 전자지갑 기술 개발에 대한 관심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
[ 컨텐츠 분야 블록체인 적용 현황 ]
문화 및 컨텐츠 분야
주요 내용
블록체인
•사진, 인쇄기업 코닥이 개발한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으로서, 코닥코인(KODAKCoin)을
코닥원(KODAKONE)
활용하여 사진거래 및 저작권 지급이 이루어짐
IoT 블록체인 분야
▪ Zion Market Research에 따르면 IoT 블록체인 세계시장은 2018년 3천만 달러에서 2025까지
연평균 91.4% 성장하여 30.3억 달러 규모 전망
거버넌스 분야
▪ 영국은 시민복지 바우처 관리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불필요한 행정절차 및 서류 위‧변조로
누수되는 복지예산 2.5%~5.4% 절감을 예상
16
블록체인
엔터테인먼트 분야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서 디지털 자산의 소유주를 증명하는 가상의 토큰으로 그림 · 영상 등의
디지털 파일이나 자산에 대체가 불가능한 암호를 붙임으로써 원본성 혹은 소유권을 나타내는 용도로
사용되는 NFT가 각광
17
전략분야 현황분석
◎ 활용별 전망3)
18
블록체인
◎ 해외 주요기업 동향
19
전략분야 현황분석
(UBS) 유틸리티 결제 코인 출시 계획
▪ 바클레이 및 HSBC가 공동 참여하여 중앙은행에서 현금으로 전환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새로운
코인 지불 시스템 출시 계획. 중앙은행들의 자국 통화 발행 지연에 따른 대체 수단으로 결제 상태를
최신으로 유지하고 중앙은행의 자금을 지원
20
블록체인
나. 국내 시장 분석
(1) 국내 시장 동향 및 전망
[ 블록체인 국내시장 규모 ]
(단위: 억 원, %)
▪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여 플랫폼과 서비스를 만드는 그룹으로 유틸리티 및 서비스, 블록체인 교육
플랫폼, 마케팅 및 컨설팅 등
21
전략분야 현황분석
(2) 국내 생태계 현황
탈중앙화 •블록체인 기반의 금융 서비스는 ICO/MEO, STO, 게임 DApp을 통해 현재의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에
금융 서비스 이르게 됨
(De-Fi)
•탈중앙화 금융 서비스에서 담보 대출을 제공하는 서비스는 메이커다오(MakerDAO), 컴파운드
파이낸스(Compound.Finance), 달마(Dharma), DY/DX 등이 존재
•블록체인 관련 공적 표준은 ISO 및 ITU-T가, 사실 표준은 W3C 및 IEEE가 담당 중
•(ISO) TC307(블록체인과 DLT)에서 DLT 기반 기술, 블록체인 보안 및 식별체계, 스마트 계약,
거버넌스, 블록체인 유스케이스와 블록체인 상호운용성을 표준화 중
표준화 동향
•(ITU-T) SG17(정보보호 연구그룹)에서 DLT 관련 정보보호 표준권고 작업을, FG-DLT에서 DLT
응용과 서비스의 식별∙분석∙ 구현을 위한 모범 사례 및 지침을 도출 중
•(W3C 및 IEEE) 2016년부터 블록체인 기술표준 개발 활동을 시작하였으나, 미흡한 수준
•기존의 블록체인은 트랜잭션 또는 스마트 컨트랙트들이 포함된 블록이 순차적으로 연결되는 구조
•이러한 방식은 제한된 트랜잭션 처리속도를 가짐. 따라서 짧은 시간에 많은 트랜잭션이 발생 시
블록체인 경우에는, 트랜잭션이 확정되기 위하여 긴 시간을 기다려야 하는 문제점이 있음
프로토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세그윗(Segwit), 샤딩(Sharding) 등의 기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
•확장성 문제에 대한 다른 관점의 해결책으로서, 블록 구조가 없이 블록체인을 구현하려는
시도(예컨대, DAG 구조 기반 트랜잭션 체인)가 존재
•블록체인 기술은 분산화되어 있음에도, 단일한 기록을 제공할 수 있음.이를 통해 많은 산업과
조직들(예를 들면, 자선 단체, 공급망, 의료 서비스 등)이 성능과 보안을 향상
•블록체인 기술은 재능있는 이들이 누가 자신들의 콘텐츠를 대여하고, 구매하고, 사용하는지에 대한
불변하는 공개적 기록을 제공하는 플랫폼을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음. 이러한 플랫폼은 디지털
데이터 관리
컨트랙트 위에서 자동으로 실행되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한 결제도 가능
•블록체인 기술은 공급망 네트워크 내의 생산과 유통 과정을 추적하는데 사용할 수 있음. 분산화된
데이터베이스는 관련 데이터를 안전하게 기록하고 제품의 진위성을 보장하며, 결제와 운송의
투명성을 보장하는데 적합
•STO는 underlying asset이나 사업에 대한 지분을 암호화폐를 통해 디지털 자산화하려는 것으로서
전통 자산의 디지털 자산화를 통한 분산화 과정으로 정의(STO는 국내에서 허용되지 않음)
증권형 •STO의 경우 실제 자산과 매칭된 토큰으로 기존 토큰의 실질 가치가 있는지에 대한 의문을 해소하여
토큰(STO) 암호화 화폐 시장의 질적 성장이 촉진될 수 있는 역할을 하지만, 기존의 증권 시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각국의 관리 감독 규제에 똑같이 노출되기 때문에 기대만큼 STO 시장의 유동성을
확대하기 어려움
22
블록체인
◎ 대기업의 시장 동향
▪ 특허는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에 대한 거래, 정보제공, 관리, 자문, 상담, 투자, 운용 등의
내용으로 구성
23
전략분야 현황분석
▪ 향후 다양한 페이먼트 사업으로 확장할 경우 다날의 통합결제 플랫폼과 협업하면 강력한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으로 판단
24
블록체인
[ 3대 DID6)연합 현황 비교 ]
◎ 중소기업의 시장 동향
[ 블루브릭의 블록체인 산업 ]
25
전략분야 현황분석
[ AnyBlock의 특장점 ]
* 출처: MarkAny
▪ 불변의 블록체인 원장에 저작물의 내용, 저작권 식별 체계 등을 수시로 등록해 저작물 내용에 대한
무결성을 보증하도록 함
26
블록체인
3. 기술 분석
가. 해외 기술 동향
(1) 주요 기술
◎ 블록체인 프로토콜(세대)별 기술 동향
[ 블록체인 세대별 기술 동향 ]
27
전략분야 현황분석
◎ 분산 ID(DID)의 활용 증대
분산 ID(DID) 구성요소
[ DID FLOW ]
28
블록체인
DID FLOW 과정
▪ DID 발급 후, Public Key는 블록체인 플랫폼에, Privacy Key는 개인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
◎ 블록체인 프로토콜 현황
비트코인
▪ (운영구조) 비트코인은 퍼블릭 블록체인으로, 블록체인을 이루는 블록을 생성하는 데 참여하는
노드들에게 연산 능력에 따라 경제적 보상을 부여하여,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운영
이더리움(Ethereum)
▪ (운영구조) 비트코인과 유사한 운영구조를 가짐. 다만, 플랫폼 형태로 제공되며 스마트 컨트랙트
기능을 제공
▪ (확장성) 이더리움의 초당 트랜잭션 처리 능력은 15TPS 정도임. 따라서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Sharding 등의 기술을 도입하고자 연구가 이루어지는 중
29
전략분야 현황분석
EOS
▪ (합의 알고리즘) EOS는 DPoS(Delegated PoS)와 PBFT를 기반으로하는 합의 알고리즘을 사용함.
DPoS 방식으로 21명의 블록 생성자를 선출하며, PBFT 방식으로 투표를 통해 0.5초마다 블록을
생성. 소수의 합의 주체만이 참여하고 빠른 처리가 가능
[ 블록체인 합의알고리즘 유형 ]
구분 주요내용
지분 증명
•작업 증명 방식(PoW)의 단점인 과도한 에너지 소비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블록 생성된
(Proof of Stake:
지분에 참여자가 보유한 지분이 반영되도록 하는 방식
PoS)
위임지분증명
•반 중앙화도니 방식으로,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이 자기 권한을 대표자에게 위임하여
(Delegate Proof of
대표자들이 블록 생성 및 검증에 대한 권한을 행사하는 방식
Stake: DPoS)
PoI
•NEM(New Economy Movement)과 같은 가상화폐에서 사용하는 알고리즘으로, 네트워크
(Proof of
참여도에 라 지급 보상이 달라짐
Importance)
PBFT •PoW, PoS 단점을 해결한 방식으로, 블록체인 시스템에서 약속된 행동을 하지 않고 일부러
(Practical byzantine 잘못된 정보를 전달하는 비잔틴 노드가 있을 수 있는 비동기 시스템일 때, 노드 전부가
Fault Tolerance) 성공적인 합의를 할 수 있도록 개발된 증명방식
Tendermint •PBFT 알고리즘을 보완, 공개 및 비공개 블록체인에 맞도록 개량한 증명방식으로, 추가로
(PBFT+DPoS) DPoS가 포함되어 지분 기반 투표를 진행하는 방식
30
블록체인
(2) 해외 기업 기술 현황
31
전략분야 현황분석
구분 주요내용
•미국 전역에 2,300여개의 지점을 가지고 있는 세계 2위 슈퍼마켓 체인으로, 로메인 상추를 대상으로
엘버트슨
“푸드 트러스트”를 시범 적용할 예정
구분 주요내용
32
블록체인
[ 중국 주요기업 블록체인 추진 현황 ]
분야 대표기업 주요내용
•2019년 말 20억 달러의 자금으로 인수한 수입 e-커머스 플랫폼 코알라(Koala)가
알리바바 블록체인 QR코드와 위조방지 지문서명 기능이 추가된 블록체인 추적 시스템을
도입
물류 및 유통
•2020년 4월 중국 해운 기업 코스코(COSCO), 항구 운영 기업 SIPG(SHANGHAI
테슬라 INTERNATIONAL PORT GROUP)와 함께 “화물 통과(방출) 공정”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는 시범 프로젝트를 완수
33
전략분야 현황분석
[ 미국 주요기업 블록체인 추진 현황 ]
분야 대표기업 주요내용
•블록체인 기반 저작권 보호 플랫폼 코닥원(KodakONE)을 활용, 플랫폼 내에서
코닥
거래 시 코닥코인으로 체결
콘텐츠저작권
튠토큰
•블록체인에 음원 저작권을 기록해 데이터베이스화하고 해당 음원을 활용 가능
(TuneToken)
프로피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부동산 거래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안전한 거래가 가능
(Propy)
부동산
유비트커티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계약 보관 플랫폼으로 부동산 거래의 고질적인 문제를
(Ubitquity) 해결할 것으로 기대
◎ 해외 DID 적용 사례
34
블록체인
나. 국내 기술 동향
(1) 기술 동향
◎ 자산토큰화
[ 자산 토큰화 분류 ]
35
전략분야 현황분석
▪ 국내에서도 게임, 스포츠, 예술 등 다양한 IP 보유한 업체들이 NFT 발행을 계획하고 있으며, 국내
거래소 코빗이 6월 업계 최초로 NFT 마켓플레이스를 출시하였고, 최대 거래소인 업비트 또한 연내
NFT 거래소 출범을 준비 중
[ 국내 NFT 관련 비즈니스 현황 ]
분야 분야 주요내용
•미르4 글로벌 버전에 NFT 기술 적용했으며 메타버스 게임과 가상자산
위메이드 게임
분야로 사업 확장
◎ 블록체인 기술 응용
36
블록체인
- (중국) 선전, 청두, 쑤저우에서 디지털 위안화 시범 발행했으며 22년 베이징 동계 올림픽 기간에
디지털 위안화 사용하도록 지원할 예정
- (우리나라) 개념 검증 준비 단계로 ‘21년 7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모의실험을 위한
우선협상자로 카카오 블록체인 자회사 그라운드 X를 선정
- (미국) 보스턴 연방준비은행과 MIT가 CBDC를 공동개발 중
(제조업) 다수의 참여자가 상호 작용하는 제조 현장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여 제조업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유기적으로 연계·분석하여 효율 제고 및 부가가치 향상
37
전략분야 현황분석
(2) 국내 기업 기술 현황
분야 대표기업 주요내용
치안 경찰청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증거 관리 플랫폼 구축
[ 국내 주요기업 블록체인 추진 현황 ]
분야 대표기업 주요내용
LG유플러스, 코인플러그, 해치랩스 등과 협력해 전화번호를 바탕으로 신원을
SK텔레콤
보안/인증 간편히 증명할 수 있는 모바일 신분증 기술 개발
파수닷컴 블록체인 기반의 증명서 확인검증 플랫폼인 파스블록 개발
‘넥스레저(Nexledger)’ 블록체인 플랫폼을 활용하여 관세청 “블록체인 기반
삼성SDS
수출통관 물류서비스” 시범운용
물류/유통
정보기술(IT) 전문기업 현대오토에버는 블로코와 손잡고 중고차 이력관리 서비스
현대글로비스
개발
블록체인 기반으로 의료, 관광, 금융을 통합해 체계적인 의료 환경과 양질의 의료
메디블록
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의료관광 모바일 결제 플랫폼 ‘메디토’ 개발
의료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DNA와 RNA에 있는 핵염기 순서를 규명하고 저장하는
KBIDC
플랫폼인 시퀀스 마이닝플래폼(SMP) 기술 특허를 등록
갤럭시 S10에 전자지갑(월렛)을 탑재하여 암호화폐를 저장 및 송금할 수 있도록
삼성 하였으며, 디앱(DApp) 등 블록체인 서비스를 출시하고, 현재 블록체인 기반
금융/보험 신원확인 플랫폼을 개발 중에 있음
하이퍼레저 패브릭 기반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리플 기반 가상화폐(암호화폐)
SK C&C
지급결제 시스템을 갖춘 블록체인 플랫폼 ‘체인Z’ 출시
* 출처: 국방통합데이터센터 작성
38
블록체인
◎ 국내 DID 적용 사례
39
전략분야 현황분석
◎ 대기업 동향
40
블록체인
◎ 중소기업 동향
▪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가 개최한 글로벌 해커톤 행사에서 거래소, 암호화폐 지갑, 디앱(DApp)과
같은 서비스 관점에서 필요로 하는 이상 거래 탐지 서비스를 발표하여 최고 기술상을 수상
41
전략분야 현황분석
▪ 왓챠가 선보인 ‘콘텐츠 프로토콜(Contents protocol, CPT)’은 콘텐츠 생산자뿐 아니라 콘텐츠를
공유하는 사용자의 자발적 활동, 리뷰나 평점 행위에 보상을 제공
◎ 공공 기관 동향
42
블록체인
4. 정책 분석
가. 해외 정책 동향
미국
거대플랫폼 기업 중심 (미국)디지털자산으로 인정
비식별화 정보 활용성 높음
데이터의 집중과 유통 (중국) 암호통화 전면규제
중국
유럽 데이터의 이동권 강화
비식별화 정보 활용성을 암호통화에 대한 규제가
(유럽) 데이터 이동권
인정하나 규제 존재 존재하긴 하나 활용은 인정
일본 (일본) 데이터 독점금지
▪ (영국) ‘Beyond Blockchain 전략‘을 발표하여 정보 보안, 정부 문서의 위·변조 방지, 사회보장
부정수급 방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블록체인 활용을 촉진 중
▪ (독일, 일본) 블록체인 기술뿐만 아니라 가상통화 거래에 대해서도 개방적인 정책을 마련
▪ (미국, 중국) 가상통화에 대한 규제는 강화하면서 블록체인의 산업적 활용을 촉진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수립
43
전략분야 현황분석
◎ 미국
▪ 조달 프로세스 자동화 및 고정 비용 절감 목표
44
블록체인
◎ 중국
중국 7대 도시 모두 블록체인 진흥을 위한 지원 정책 발표
▪ 제13차 5개년 국가 정보화 계획에 블록체인을 포함시키는 등 블록체인 활성화 정책을 추진 중이며
정부-민간 형태의 블록체인 단지 건설(33조 원 투입 예정) 및 블록체인 기반의 중국 전자화폐
개발을 추진 중
45
전략분야 현황분석
◎ 일본
◎ 영국
◎ 독일
▪ 2019년도 9월에 에너지, 금융, 물류·유통, 자동차 등 산업에 블록체인을 도입한다는 국가비전·전략
발표
46
블록체인
◎ 유럽
스위스
▪ 스위스는 유럽 블록체인 산업의 중심. 중부의 소도시 주크는 크립토밸리(Crypto Valley)가 조성되어
블록체인 분야의 실리콘밸리로 각광받는 중. 주크 정부는 주민등록과 각종 결제에 비트코인을
허용하고 있으며, 민간단체인 크립토밸리협회(Crypto Valley Association)가 자율규제안을 마련
네덜란드
덴마크
조지아
▪ 조지아 정부는 Bitfury Group과 함께 개발한 토지 레지스트리 프로젝트 NAPR(National Agency
of Public Registry) 블록체인을 도입하였고, 공공등기청의 디지털 기록 시스템에 통합 맞춤 설계된
블록체인 시스템을 구현
47
전략분야 현황분석
나. 국내 정책 동향
◎ 정부 정책 동향
[ 공공부문 블록체인 동향 ]
공공부문 주요동향
48
블록체인
49
전략분야 현황분석
[ 블록체인 분야 과제 제안 기관 및 과제 ]
분야 제안기관 과제명
관광 전라북도 •블록체인 기반 전라북도 인공지능 맞춤형 관광 설계시스템
50
블록체인
51
전략분야 현황분석
◎ 정부 규제 현황
블록체인 산업 진흥 기본법(안)
▪ 블록체인을 활용한 스마트 계약은 소스코드를 활용해 조건이 갖추어지면 자동으로 거래가 성사될 수
있도록 문서 공개, 제공 등의 조건을 포함
특정금융거래정보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
[ 특정금융거래정보 보고 및 이용 등에 관한 법 개정안 ]
데이터 집중화
데이터 규제
암호통화 규제
암호통화 거래까지 범위가 확장되었으나 금융 거래로 인정한 것은
금융 거래를 금융 거래등으로 수정
아님
52
블록체인
세금 규제
▪ 부가가치세, 소득세, 법인세, 상속세 및 증여세 납부 의무를 생각해볼 수 있음. 우선 암호화폐가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인지 여부에 대해 아직 명확한 결론은 나지 않았음. 국세청은 암호화폐가
화폐로서 통용되는 경우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에 포함되지 않지만, 재산적 가치가 있는 재화로서
거래되는 경우 부가가치세 과세 대상이 될 수 있다는 해석을 내놓은 바 있음. 따라서 그 법적
성격이 규명되기 전까지는 부가가치세 납부대상에 해당한다고 보기는 어려움
거래소 규제
▪ 개정안은 암호화폐를 ‘가상자산’으로 암호화폐 거래소를 ‘가상자산 사업자(VASP)’로 정의하고
가상자산 거래소의. 조건부 신고제를 주요 내용으로 포함
9) ’금융규제 샌드박스, 142개社, 219개 서비스 신청.. 블록체인 가장 많아‘, 토큰 포스트, 2019.8.6.
53
전략분야 현황분석
5. 중소기업 전략제품
가. R&D 추진전략
창의적
기술사회
4차 산업혁명 블록체인 신산업의 블록체인
구성적
서비스 확대 융합화 신기술 확대
블록체인
기술 혁신
중소기업의 시장대응전략
54
블록체인
나. 전략제품 선정 절차
전략제품
전략제품 선정위원회 전략제품 확정
후보군 도출
ü 기술 수요조사 기반 전략제품 후보 도출
- 중소기업 기술 수요조사
ü 산학연 전문가로 선정위원회 구성
- 수요처 기술 수요조사
è ü 평가 기준에 따른 평가 종합 è ü 제품 선정결과 검토 및
- 국가추진전략
ü 마일스톤 제품을 우선 선발 후, 조정
ü 대국민 온라인 재밍(Jamming) 기반
전략제품을 결정 ü 전략제품 확정
전략제품 후보 도출
ü 스크리닝(중복, 전략범위, 내용 고려)
- 국민건강, 환경, 재난/안전 분야
ü 산학연 전문가 추천
전략제품 후보군 도출
▪ (중소기업 기술수요조사) 성과분석 진행 시 수신한 6,932건의 기술수요에 대하여 전문가가 과제명,
개발 목표 및 내용을 확인 후 전략제품 후보 도출
▪ (수요처 기술수요조사) 대기업이 중소기업에게 구매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한 제품을 기반으로
기술수요를 확인하고 전략제품 후보 도출
▪ (재밍) 대국민이 참여한 데이터 기반의 전략제품 발굴을 위하여 3개 분야(국민건강, 환경,
재난/안전) 10개 세션을 운영하여 데이터 수집 후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전략제품 후보 도출
전략제품 선정위원회
▪ (평가항목) 기술성, 시장성, 중소기업 적합성, 기술개발 파급효과, 정부지원 필요성, 개발기간을
기준으로 평가
전략제품 확정
▪ (검토 및 조정) 선정된 전략제품들에 대해 최종적인 타당성 검증 및 분야 간 전략제품 검토 및 조정을
통해 전략분야별 전략제품 확정
55
전략분야 현황분석
다. 전략제품 선정결과
◎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블록체인 활용이 많아지면서 대규모, 대용량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이를 검색, 분석하는 활용하는 기술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블록체인 기술의 특성상 대용량
데이터 저장 및 분석 효율성이 떨어지므로 블록체인의 응용 분야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음
56
블록체인
▪ 투자자에게 법적 보호 제공
▪ 기존의 컨텐츠 유통은 복잡한 중간유통 과정으로 인해 컨텐츠 생산자들의 권익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했으며, 전통적인 문화산업계에서 이러한 관행을 개선할 의지가 부족
▪ 블록체인 기술은 기본적으로 정보가 분산 저장되어 투명하고 안정된 컨텐츠 생태계 유통 구조를
만들 수 있을 것으로 예상. 또한, 저작권자의 권리를 보호 가능
57
전략분야 현황분석
58
전략제품 현황분석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정의 및 범위
시장 현황 및 전망 제품 산업 특징
정책 동향 기술 동향
핵심 플레이어 핵심기술
•DID Document 표준화 및 API 연동 기술
•(해외) IBM, Evernym, CISCO, Microsoft, Amazon •대용량 신원정보 저장 및 검증 기술
•(대기업) 교보생명, KB국민카드, LG CNS, SK 텔레콤 •블록체인 기반 신원 인증 서비스 기술
•(중소기업) DID 얼라이언스, 라온시큐어, 블로코 •블록체인 암호키 관리 기술
•선택적 신원 정보 기술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 DID는 블록체인 표준화 중에서 우선시 되는 과제로 중소기업을 포함한 대기업, 정부, DID 협회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 전략 필요
61
전략제품 현황분석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62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2) 필요성
63
전략제품 현황분석
나. 범위 및 분류
(1) 가치사슬
[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분야 산업구조 ]
(2) 기술별 분류
▪ 금융권은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원장기술 등을 활용하여 외환, 소매ž상업 은행, 거래 신용카드 발급,
송금, 청산, 투자, 대출 등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하는 것을 고려 중
▪ 제3자 아이덴티티 제공자 기반의 아이덴티티는 두 당사자 중간에 아이덴티티의 신뢰를 보장하는
아이덴티티 제공자가 존재하는 모델
64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 기술별 분류 ]
분류 상세 내용
대용량 •DID는 DPKI에 필요한 메커니즘과 기능을 제공하는 분산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며, 신원
신원정보 저장 데이터 저장 및 신원 상호 작용을 용이하게 하는 클라우드 및 엣지 인스턴스로 구성된
및 검증 기술 암호화된 개인 데이터의 복제된 mesh
•DID의 서명 인증을 위해 그 기반이 되는 표준 형식 및 프로토콜이 필요
•Decentralized systems, DIF Universal resolver, DIF Identity Hubs, DID Attestations
65
전략제품 현황분석
2.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산업 분석
▪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온라인 환경에서 사용자가 스스로 신원정보를 관리, 통제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인증체계인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형 ID(Decentralized ID)의 필요성 대두
66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 코로나-19의 확산으로 비접촉, 비대면 서비스 수요가 늘어나면서 이러한 추세가 한층 강화됨
67
전략제품 현황분석
68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 가맹점주는 불특정 다수를 향한 과도한 홍보비를 지출하는 부담이 줄어들고 사용자는 관계없는
프로모션 안내를 받지 않아 기존에 광고 문자에 느껴왔던 피로감을 해소할 수 있음
69
전략제품 현황분석
나. 시장 분석
(1) 세계시장
[ 글로벌 블록체인 ID 관리 시장 규모 및 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
(2) 국내시장11)
* 출처 : Global Blockchain Identity ID Management Market, BuisinessWire, 2021를 기반으로 비트코인 화폐별 거래량
중 원화 점유율 2.97%12)(코인힐스 2020.12.30.)을 근거로 환율은 1100원/달러를 적용하여 추산
11) 블록체인 기반 ID 관리 시장은 대부분 북미에서 주도하고 있으며 국내시장은 매우 작아 자료가 존재하지 않아
세계시장 대비 국내시장 비율로 추산
70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3. 기술 개발 동향
기술경쟁력
▪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은 미국이 최고기술국으로 평가되었으며,
우리나라는 최고기술국 대비 97.2%의 기술 수준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고기술국과의
기술격차는 0.7년으로 분석
▪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은 최고기술국 대비 79.5%, 기술격차는 1.5년으로 평가
▪ 유럽(97.9%)>한국>중국(76.6%)>일본(71.2%)의 순으로 평가
기술수명주기(TCT)13)
▪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은 3.32의 기술수명주기를 지닌 것으로 파악
가. 기술개발 이슈
분산형 ID(DID)란 사용자 스스로 필요에 따라 신원정보를 발급, 증명, 관리, 통제하는 형태의
신원 관리체계로 개인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시작점을 제공하는 것을 의미
▪ DID 문서는 DID 대상이 자신을 인증하고, DID와의 연관성을 증명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의 집합으로
공개키 암호화 기술, 익명 처리되어있는 생체인식 등의 메커니즘을 포함
13) 기술수명주기(TCT, Technical Cycle Time): 특허 출원연도와 인용한 특허들의 출원연도 차이의 중앙값을 통해 기술
변화속도 및 기술의 경제적 수명을 예측
14) 통신망 가운데도 시간을 잇는 기간 회선과 단말에 연결되는 지회선의 접속 부분으로 노드 지점에 설치한
통신제어장치에 의해 통신망 전체를 제어
71
전략제품 현황분석
72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73
전략제품 현황분석
74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분산 ID의 유통 과정
▪ 분산 ID가 분산원장에 저장되면 지갑보유자는 자신의 지갑에 개인정보를 저장하고 이를 외부에 제공
가능
[ 금융 분야에서 분산 ID의 활용 ]
75
전략제품 현황분석
나. 생태계 기술 동향
(1) 해외 플레이어 동향
▪ ATP Financial, Barclaycard, Mastercard, British Columbia 등 글로벌 기관들과 협력을 통해 DID
글로벌 표준안 수립을 선도
76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77
전략제품 현황분석
(2) 국내 플레이어 동향
78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 ‘비들 아시아 2019’에서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인 ‘스톤(STON)’을 공개. 스톤은 하이퍼레저를
기반으로 하는 블록체인 플랫폼으로 별도의 암호화폐는 발행하지 않음
79
전략제품 현황분석
다.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1) 연구개발 기관
기관 소속 연구분야
•공통 보안기술
백석대학교 정보통신학부 •네트워크 시스템 보안
•서비스/응용보안
•현대 암호 알고리즘 및 차세대 암호 후보군에 대한
부채널 분석
정보보호연구본부 •디바이스 DNA 기반 안전한 암호키 생성/사용/은닉 기술
(2) 기관 기술개발 동향
▪ Private Key와 Credential의 온라인 백업/복구를 위해서 Secret Sharing 기술을 활용한 분산저장
시스템이 개발됨
▪ 온라인 서비스가 사용자만 확인하던 종래 DID 기술을 고도화하여 사용자가 인증을 요청하는
서비스가 정당한 서비스인지를 먼저 확인 한 후 사용자의 인증값을 전달하는 DID기반 상호인증과
전자서명 기술을 개발
80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4. 특허 동향
가. 특허동향 분석
[ 연도별 출원동향 ]
15) 특허출원 후 1년 6개월이 경과하여야 공개되는 특허제도의 특성상 실제 출원이 이루어졌으나 아직 공개되지 않은
미공개데이터가 존재하여 2020, 2021년 데이터가 적게 나타나는 것에 대하여 유의해야 함
81
전략제품 현황분석
[ 국가별 출원현황 ]
82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나.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1)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전체구간(2000년~2021년)
§ Block Chain, 사용자 단말, 블록 체인 네트워크, 블록 체인, Private Key, 인증 서버, 사용자 단말기, 스마트
컨트랙트, 블록 체인 시스템, 사용자 인증, 블록 체인 노드, 분산 저장, 블록 체인 데이터베이스
최근구간(2013년~2021년)
1구간(2013년~2016년) 2구간(2017년~2021년)
§ Block Chain, 블록체인 보유서버, 사용자 단말, § 블록 체인 네트워크, Block Chain, 사용자 단말,
Private Key, 블록 체인, Recording Identifier, 블록 체인, 사용자 단말기, 블록 체인 시스템,
Computer Program Product, 사용자 정보, 고도 스마트 컨트랙트, 인증 서버, 블록 체인 노드,
보안시스템 사용자 인증
83
전략제품 현황분석
KSIC 산업분류 결과, 다수의 특허가 유선 통신장비 제조업 산업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조사됨
[ 기술-산업 분류 분석 ]
§ (G06Q) 관리용, 상업용, 금융용, 경영용, 감독용 또는 예측용으로 특히 적합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또는 방법; 그 밖에 분류되지 않는 관리용, 상업용, 금융용, 경영용, 감독용 또는 예측용으로 특히 569
적합한 시스템 또는 방법
§ (H04L) 디지털 정보의 전송, 예. 전신통신(전신(telegraphic) 및 전화통신의 공통장치 H04M) 297
§ (G06F) 전기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처리(특정계산모델방식의 컴퓨터시스템 G06N) 101
§ (G16H) 헬스케어 인포매틱스, 즉. 의료 또는 건강 관리 데이터의 취급 또는 처리에 특히 적합한
13
정보통신 기술[ICT]
§ (G07C) 시간 또는 출석 등록; 기계 작업 등록 또는 표시; 난수의 발생; 투표 또는 추첨장치; 다른
12
개소에 속하지 않는 검사를 위한 배열, 시스템(system) 또는 장치
KSIC 산업분류별 출원건수
84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다. 주요 출원인 분석
[ 주요출원인 동향 ]
전체 주요출원인
해외 주요 출원인 국내 주요 출원인
§ Block Chain, 블록 체인, Private Key, Recording § 사용자 단말, 블록 체인 네트워크, 사용자 단말기,
Identifier, Computer Program Product, 블록 체인 인증 서버, 블록 체인, 사용자 인증, 분산 저장,
네트워크 스마트 컨트랙트
85
전략제품 현황분석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block
US 9985964 블록체인 기반의 단계별 개인 신원
chain-based multifactor 79 38
(2016.03.28) 확인 기술
personal identity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block chain or 블록체인/분산원장 기반 엔티티 신원
US 10749865
distributed ledger-based 검증 및 둘 이상의 엔티티 간의 관계 30 38
(2018.05.11)
entity identity and 검증을 제공하는 기술
relationship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block
US 10298571 블록체인 기반의 단계별 개인 신원
chain-based multifactor 5 38
(2018.08.21) 확인 기술
personal identity
verification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인증된 사전처리 블록에서의 서비스
KR 2239589 블록체인 데이터 처리 방법 및 데이터에 관한 데이터 처리를 병렬로
0 17
(2018.05.31) 장치 실행하도록 인증 준비 사전처리 블록을
인증하는 기술
블록체인 네트워크 내의 블록체인
KR 2258440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의
노드에 의해, 블록체인의 특정 블록을 0 16
(2018.12.13) 데이터 격리
판독(read)하도록 하는 기술
블록체인 상에서 구성되는 데이터 인증
KR 2270518 크로스 블록체인 인증 방법 및
규칙 및 인증 데이터 소스에 기초하여 0 12
(2019.03.29) 장치
인증하는 기술
86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블록 체인 시스템 내의 크로스 블록 체인 인스턴스의 통합 블록 체인
JP 6821020
체인 상호작용에 대한 도메인명(UBCDN) 메시지를 컴퓨팅 0 17
(2018.11.16)
도메인명 관리 방식 시스템에 의해서 취득하는 기술
블록체인 시스템들에서의 컴퓨팅 시스템에 의해 블록체인
KR 2160369
크로스 체인 인터랙션들을 인스턴스의 통합 블록체인 도메인 0 17
(2018.11.16)
위한 도메인 네임 관리 체계 네임(UBCDN) 메시지를 획득하는 기술
블록 체인 시스템에서 블록 체인 시스템으로 스마트 계약을
KR 2203758
인증서들을 처리하기 위한 실행하여 복수의 인증서를 생성하는 0 13
(2019.03.04)
방법 및 디바이스 기술
비즈모델라인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공개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지정된 음파신호를 송출하는
KR 음파장치와 암호화폐를 이용한 음파장치를 구비한 가맹점에서
2019-0083284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운영하는 가맹점 측 단말기와 통신하고 1 1
(2018.01.03) 결제 방법 가맹점에 방문한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신 가능한 서버를 운영하는 기술
가맹점에 구비된 별도의 무선장치를
KR
무선장치와 블록체인을 이용한 통해 근거리 송출된 지정된 무선신호를
2019-0083165 1 1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 수신한 사용자 무선단말에서 실행된
(2018.01.03)
결제앱과 서버를 운영하는 기술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무선장치를
KR 무선장치와 블록체인을 이용한 구비한 가맹점에서 운영하는 가맹점 측
2019-0079442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단말기와 통신하고 가맹점에 방문한 1 1
(2017.12.27) 결제 방법 사용자 무선단말과 통신 가능한 서버를
운영하는 기술
87
전략제품 현황분석
코인플러그
▪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과 미국을 위주로 86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발급시스템과 이를
시스템 내부에 물리적으로 접속하여
이용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열람하는 기능이나 별도의 프로그램의
KR 1637854 하는 공인인증서 발급방법 및
설치가 불가능한 단말에 탑재된 53 6
(2015.10.16)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난수발생기를 통해 공인인증용
공인인증서 인증시스템과 이를
개인키를 자체적으로 생성하는 기술
이용한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하는 공인인증서 인증방법
Accredited certificate
issuance system based on
block chain and accredited
certificate issuance method
based on block chain using
자율적으로 개인키의 유출을
US 10885501 same, and accredited
방지하는 블록체인 기반 공인인증서 42 6
(2016.07.07) certificate authentication
발급 시스템
system based on block
chain and accredited
certificate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block
chain using same
88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올아이티탑
▪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을 위주로 14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89
전략제품 현황분석
라. 기술진입장벽 분석
90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 주요출원인 IP 경쟁력 분석 ]
IP 경쟁력(기술성 v. 시장성)
91
전략제품 현황분석
5. 요소기술 도출
가. 특허 기반 토픽 도출
92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id, hash, key, ii, data, •Method for preventing short-term bifurcation and
클러스터 pubkeyi, double-spend attack on block chain network
네트워크 기술
01 sigprivkeyiprivtxidabc, •Systems and methods for certification of data units
db, ui, ubcdn and/or certification verification
contract, identif, smart, •Blockchain electronic voting system and method
클러스터 블록체인 암호키
block, voter, vote, qr, •Method and system for verifying a voter through the
02 관리 서비스 기술
account, ca, node use of blockchain validation
verif, ident, individu,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block chain or
블록체인 기반
클러스터 block, address, identifi,
distributed ledger-based entity identity and relationship 신원 인증 서비스
03 data, associ, person,
verification 기술
verifi
•Iot 디바이스를 인증하며 iot 디바이스의 무결성을 검증하는
ugid, iot, generat, nn,
클러스터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컨트롤 디바이스(method for 사용자 데이터
identification, ugiduniqu,
04 certificating iot device and verifying integrity of iot 관리 기술
nnn, fido, rfid, bc
device, and control device using them)
transact, block, chain,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digital content in
클러스터 request, account, ident, peer-to-peer network 다양한 신원정보
05 verif, download, issuer, •Secure processing of an authorisation verification 저장 및 검증 기술
comput request
•Accredited certificate issuance system based on block
key, certif, block, chain, chain and accredited certificate issuance method based
블록체인 합의
클러스터 transaction, public, on block chain using same, and accredited certificate
알고리즘 고도화
06 transact, privat, server,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block chain and
기술
proof accredited certificate authentication method based on
block chain using same
rec, data, blockchain, •Blockchain-based carbon trading system, System of
클러스터 record, ledger, uniqu, 블록체인 암호키
security using blockchain protocol
07 carbon, network, 관리 기술
identifi, block •System of security using blockchain protocol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가맹점 무선단말과 암호화폐를 이용한
앱 연동 기반 비동기식 역방향 결제 방법(method for
otid, time, nn, DID Document
클러스터 providing asynchronous reverse direction payment based
identification, otidon, 표준화 및 API
08 on application interlocking by using affiliated store's
nnn, pp, cctv, ic, web 연동기술
mobile device with radio signal sending and
cryptocurrency)
block, chain, transact,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resource of block
클러스터 data, identif, manag, chain, device, mediu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사용자 데이터
09 certif, node, generat, •Certificate management device and certificate 관리 기술
issu management method
93
전략제품 현황분석
다.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IPC 기술트리
요소기술 후보
(서브클래스) 내용 (메인그룹) 내용
(G06F) 전기에 의한
디지털
•(G06F-021) 부정행위로부터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그
데이터처리(특정계산모델 블록체인 암호키 관리 기술
컴퓨터 부품을 보호하기 위한 보안 장치
방식의 컴퓨터시스템
G06N)
94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라. 최종 요소기술 도출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타부처 로드맵,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드맵 기획을 위하여 요소기술 도출
요소기술 출처
선택적 신원 정보 기술 전문가추천
95
전략제품 현황분석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가. 핵심기술 선정 절차
핵심기술 선정 지표: 기술개발 시급성, 기술개발 파급성, 기술의 중요성 및 중소기업 적합성
[ 핵심기술 선정 프로세스 ]
② 핵심기술 ③ 핵심기술
① 요소기술 도출 ④ 핵심기술 확정
선정위원회 개최 검토 및 보완
나. 핵심기술 리스트
핵심기술 개요
96
블록체인 기반 분산 ID 및 인증 시스템
다.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블록체인 표준화 중에서도 선결과제로 주목되고 있는 DID 기술에 중소기업이 대기업, 정부,
DID 협회 관련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술사용료 (바우처 등) 지원 및 자주적
신원관리 표준 개발 참여를 위한 연구 개발 지원
라. 기술개발 로드맵
이종 블록체인 간 글로벌
DID Document 표준화 및 연동 DID 문서
API 연동기술 생성/등록/검색 서비스
제공
블록체인 기반 신원 인증 멀티 패턴 기반 사용자
서비스 기술 신원 인증
암호키 유출 방지 및
블록체인 암호키 관리 기술 손망실 대비 백업/복구
지원
암호학적으로 안전성이
선택적 신원 정보 기술 검증된 신원정보 노출
최소화
97
전략제품 현황분석
(2) 기술개발 목표
이종
블록체인 간
DID 표준준용 타 DID
표준이 적용된 DID 연동 API 개발 글로벌 연동
Document DID 플랫폼과
DID문서 생성 및 및 SSO (Single Sign DID 문서 상용화
표준화 및 연동기술 상호
등록 On) 체계 개발 생성/등록/검
API 연동기술 확보 인증
색 서비스
제공
실시간
다양한 10만 명 100만명 100만명 서비스가
다양한
신원정보의 다양한 신원정보 저장 대상 대상 대상 가능한
신원정보 저장 기술혁신
빠른 및 검증 기술 설계 (1초 (1초 (0.2초 대용량
및 검증 기술
검색/검증 이내) 이내) 이내) 신원정보
관리 및 검증
보안성
행위
강화를 공개키 바이오
블록체인 기반 패턴 3개 이상의 멀티 멀티 패턴
위한 기반 기반
신원 인증 기반 패턴 기반 사용자 기반 사용자 상용화
다양한 신원 신원
서비스 기술 신원 신원 인증 신원 인증
인증수단 인증 인증
인증
확보
손망실 암호키 유출
암호키의 HW기반
블록체인 대비 방지 및
안전한 안전한 암호키
암호키 관리 - - Multisig 손망실 대비 상용화
사용 및 암호키 백업/복구
기술 기능 백업/복구
백업 저장/사용
개발 지원
영지식 암호학적으로
사용자 증명 영지식 증명 기반 안전성이
선택적 신원 사용자 정책 기반
프라이버시 기반 자격 증명 실용화 검증된 산학연
정보 기술 신원정보 노출
강화 자격 (1초 이내) 신원정보
증명 노출 최소화
98
전략제품 현황분석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기술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정의 및 범위
▪ 블록체인 빅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고 빠르게 검색, 분석하여 활용하는 기술을 통해 대규모,
대용량 트랜잭션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저장하고 이를 검색, 분석하여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의 성능
향상을 도모하는 기술
시장 현황 및 전망 제품 산업 특징
•(세계) 세계 블록체인 시장 규모는 2019년 16억 달러 •블록체인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저장 및 분석을
규모에서 연평균 69.64% 성장하여 2025년에는 393억 위해서는 합의, 저장, 탐색 알고리즘 뿐만 아니라 P2P
달러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 네트워크 성능 향상이 필요
•(국내) 국내 블록체인 시장 규모는 2019년 40억 원 •현재 해외에서는 블록체인 활성화를 위해 연구가
규모에서 연평균 69.64% 성장하여 2025년에는 953억 진행되고 있고, 국내에서는 국책과제로 연구가 진행되고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 있고 시작 단계임
정책 동향 기술 동향
•블록체인 거래처리 향상을 위해 메인체인에서
•’21년 과기정통부 ‘데이터 경제를 위한 블록체인
병렬처리를 위한 샤딩기술, 외부데이터에 대한 신뢰성을
기술개발사업’에 데이터 주권 보장 블록체인 데이터관리
확보하는 오라클, 플라즈마와 라이덴 네트워크와 같은
기술 선정
오프체인 성능개선 기술이 연구 중
핵심 플레이어 핵심기술
•블록체인 데이터 고속 트랜잭션 처리기술
•(해외) Ethereum foundation, JP Morgan, •대용량 데이터 고속 인증기술
MakerDAO, Microsoft •블록체인 거래 검증 및 합의 기술
•(국내연구기관) ETRI, 한양대, 고려대, 포항공대 •대용량 블록체인 데이터 고속 저장 및 검색 기술
•(중소기업) 가민정보시스템 •탈 중앙화 대용량 블록체인 데이터 처리를 위한
엣지네트워크 활용 알고리즘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 국내 중소기업 중 블록체인 대용량 데이터 저장 및 분석 기술 개발 가능 업체에 대한 탐색
101
전략제품 현황분석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102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2) 필요성
▪ 블록체인 네트워크 성능은 블록이나 트랜잭션이 각 노드에 퍼지는 속도를 말하며, 블록체인의
트랜잭션 처리 성능을 향상시키는데 있어서 합의 알고리즘 관련 기술 개발에 비해 블록체인
네트워크 성능에 대한 기술 개발이 뒤쳐져 있음. 이는 블록체인의 특성상 많은 노드가 참여할수록
합의 속도가 늦어지기 때문으로 이를 보완하는 방법이 필요함
▪ 이더리움 2.0에서는 현재의 블록 크기를 1M에서 8M까지 증가시켜 샤딩의 복잡한 문제들을
부분적으로 해결하려는 방안과 블록 크기를 25MB로 확대하려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고, 가스비에
대한 문제로 절충하여 12~15MB에 대한 연구도 고려되고 있음
103
전략제품 현황분석
나. 범위 및 분류
(1) 가치사슬
▪ 금융, 법률, 의료, 부동산 등 신뢰가 중요한 분야에 데이터 신뢰성, 무결성, 소유권 보장이 필요한
다양한 응용 서비스 구현 및 활용이 가능 글로벌 카드사인 비자카드의 거래처리량은 24,000TPS,
페이팔은 200TPS 정도임. 국내 대형 시중 은행의 거래처리량은 평소에는 500~1,000TPS 정도이고
명절처럼 수요가 많은 경우 최대 거래처리량이 2,000TPS 정도이므로, 금융 서비스에 적용 가능하면
다른 서비스에는 충분히 적용가능하게 되므로 금융 서비스에 적용 가능한 고속의 트랜잭션 처리
기술이 블록체인 서비스에 대한 기반 기술이 될 것으로 예상
104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2) 용도별 분류
▪ 제조·유통: 실시간으로 정보의 흐름을 제공해주는 사물인터넷 기술과 결합될 경우 새로운 형태의
공급망이 등장하여 공급사슬관리 측면에서 변화 기대
▪ 이외에 에너지 거래시스템 구축을 통한 투명한 에너지 거래, 신재생에너지 거래 확산, 수요관리
최적화를 통한 효율적 에너지 활용, 에너지 신산업발굴 촉진 전망
[ 블록체인 기술 기반 활용 가능 분야 ]
블록체인 기술 활용분야 주요 내용
제조 및 유통 분야 • 공급사슬관리(SCM), 사물인터넷(IoT) 등
105
전략제품 현황분석
2.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산업 분석
- 정부는 공공·민간 서비스에 블록체인을 적용하는 시범사업 과제, 블록체인 기반 비대면 혁신서비스
발굴, 데이터 경제를 위한 블록체인 기술개발 사업 등을 추진하면서 TPS 향상, 거래비용 절감, 관리
효율화, 정보의 신뢰도 향상 등 블록체인 기반 기술 개발을 중점 지원
▪ 국내는 금융위원회 주관하에 ‘금융권 공동 블록체인 컨소시엄’을 2016년에 구성하여 16개 은행과
20여 개 증권사가 참여, 금융거래 위변조 검증, 개인 인증, 금융상 품의 청산결제 업무 관련
서비스를 개발 중임
106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 벨기에는 스마트포트 프로젝트를 2017년에 발표,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앤트워프항의 컨테이너
물류 자동화를 추진
▪ 도요타 자동차는 자율주행 자동차 개발에 활용할 데이터를 수집 보관하는 방법으로 블록체인을
활용할 계획임
107
전략제품 현황분석
- 개인정보가 포함된 데이터의 경우 블록체인 원장에 기록되면 삭제가 불가하므로 프라이버시 보장을
위한 데이터 접근 제어 기술이 연구되고 있음
- EU의 경우 GDPR을 통해 개인정보 보호 강화 추세이고, 민감한 개인정보의 경우 삭제 요청 시
삭제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으로 연구가 진행
- 이는 블록체인의 삭제불가의 원칙에 위배되는 문제가 있어 블록체인의 프라이버시 데이터 보호를
위한 방법에 대해 연구가 필요
온-오프체인 연동 기술
고속 실시간 트랜잭션 처리 기술
▪ 실시간 데이터 전송/저장을 위한 오프체인 전송 기술, 대용량 콘텐츠 합의 알고리즘 기술, 데이터
배포(Publish) 및 구독(Subscribe) 응용프로그램 필요
▪ 대용량 데이터 저장을 위해 전체 파일을 구성하는 조각 파일을 전송하고 수신하는 절차와 데이터를
분산시키고, 분산 저장된 피어 리스트를 관리하는 기술이 필요
108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 데이터에 대한 비용을 지불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저장에 필요한 충분한 공간이 있음을 증명하고,
데이터를 저장하는 경우 저장공간에 일정기간 보관했다는 것과 저장 중에는 일정기간마다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보관하고 있음을 증명하는 등의 신뢰를 보장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 필요
PoS 기반 TPS 성능 개선
109
전략제품 현황분석
- 부테린은 2018년 10월 발표한 이더리움 스케일링 솔루션에 관한 보고서에서 “영지식증명을 이용할
경우 이더리움의 트랜잭션 속도를 초당 500TPS까지 끌어올릴 수 있을 것”으로 분석
- 영지식증명을 활용한 압축기술은 무선통신에서 전송데이터를 압축하여 전송속도를 개선한 인코딩 및
압축기술과 유사한 개념으로 볼 수 있음
▪ 블록체인 네트워크 자체를 해킹하는 것보다 온체인으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위변조가 쉽기
때문에 오라클 기술이 더욱 필요. 외부 채널에서 데이터를 가져올 경우 여러 가지 오류 및 조작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네트워크 전송 시 단순 정보 누락, 중간 통계 오류, 데이터 수집 하드웨어 센서
조작 등의 위험이 있음
110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나. 시장 분석
(1) 세계시장
▪ 블록체인 시장에서 금융기관과 보험사들은 암호화폐, 빅데이터 분석, 사이버 보안, 다중 결제 플랫폼
등의 기술을 채택하고 있으며, 제품, 서비스, 인프라 기술의 발전을 경험하고 있음
* 출처 : Blockchain Technology and Solutions: Market Outlook and Forecasts 2019-2025, Mind Commerce
Blockchain Technology and Solutions: Market Outlook and Forecasts 2018-2023, Mind Commerce 재가공
▪ 금융부문은 `19년 3억 4천만 달러에서 `25년 79억 달러로 연평균 68.61% 성장할 것으로 전망
▪ 클라우드 저장 솔루션은 `19년 2억 4천만 달러에서 `25년 83억 달러로 연평균 80.53% 성장할
것으로 전망
▪ 암호화 솔루션은 `19년 1억 5천만 달러에서 `25년 25억 달러로 연평균 59.76% 성장할 것으로
전망
*출처 : Blockchain Technology and Solutions: Market Outlook and Forecasts 2019-2025, Mind Commerce
재가공
111
전략제품 현황분석
글로벌 기업의 블록체인 사업은 AI, IoT, 클라우드, 5G 등 타 ICT 기술과 블록체인을
융·결합하며 사업화 가능성을 모색
▪ 기존 사업은 리눅스 재단의 하이퍼레저 패브릭을 활용하며 기업용 프라이빗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형태가 주류
[ 글로벌 기업 블록체인 사업 동향 ]
구 분 주요 서비스
•클라우드, IoT, 5G, AI 등 최신기술과 블록체인 간 융·결합 기술에 관심
IBM1)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시스템 기반 플랫폼에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을 적용하는
형식의 블록체인-클라우드 간 잠재적 시너지 창출 강조
•구글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빅쿼리(BigQuery)를 사용해 블록체인 ETL(Extract, Transform,
Load)이라는 이름의 프로젝트 수행중으로 블록체인 데이터 검색에 활용할 수 있는 고도화된
Google2) 도구개발 추진
•체인링크(Chainlink)사와 파트너십을 맺고 빅쿼리로 수집한 데이터를 이더리움 스마트 계약 이행에
활용하는 등 구글 클라우드기반의 서비스 제공 진행
•기업들이 AI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데 블록체인 기술을 적극 활용
•애저 블록체인 데이터 매니저(Azure Blockchain Data Manager)를 활용하여 온체인 데이터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연결해주며, 데이터 이동 과정에서 AI, IoT 등과 결합
MS3)
•애저 블록체인 토큰 서비스를 활용하여 표준화된 플랫폼에서 토큰 생성 및 관리 기능을 구현하고
가상현실(VR) 소셜 플랫폼 시크(CEEK VR) 등의 로열티 제도에 접목
•하이퍼레저 커뮤니티에 합류(`19년 상반기)
•기존 사업과 IT시스템 통합 과정을 간소화하고 새로운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보급
가속화 추진
•MS 애저(Azure)와 상호 연동성 강화, 하이퍼레저 패브릭 버전 1.3에 대한 지원 등 외부 연결성
강화
ORACLE4)
•블록체인 거래 내역을 다른 데이터 리소스와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발자 도구, ID 관리 및
데이터 통합 기능 제공
•NITI Aayog(인도 정부 이니셔티브)와 파트너로 블록체인 기반으로 가짜 약을 없애고, 공급망을
효율화에 참여하는 등 프로젝트 중심 참여
•아마존 관리형 블록체인(Amazon Managed Blockchain) 서비스 제공 중
AWS5) •하이퍼레져 패브릭 및 이더리움을 활용하여 확장 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출처 : 1) IBM이 바라본 2020년 블록체인 5대 전망은, 인공지능신문, 2020. 2
2) Introducing six new cryptocurrencies in BigQuery Public Datasets-and how to analyze them, 2019.2 외
다수(cloud.google.com)
3) Azure blockchain service, 2020 (Azure Info Hub)
4) 제조 혁신 : 블록체인 도입 가치와 방향, ETRI Insight 2019-56 / Blockchain: Industry Adoption in Healthcare,
2019. 5, netscribes
5) Amazon Managed Blockchain (aws.amazon.com/ko/managed-blockchain/)
112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2) 국내시장
[ 국내 블록체인 시장규모 및 전망 ]
(단위 : 억 원, %)
* 출처 : Blockchain Technology and Solutions: Market Outlook and Forecasts 2019-2025, Mind Commerce
데이터 기준 세계시장의 2% 적용 (2019년 Rest of APAC 비중 준용)
113
전략제품 현황분석
3. 기술 개발 동향
기술경쟁력
▪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은
미국이 최고기술국으로 평가되었으며, 우리나라는 최고기술국 대비 76.3%의 기술 수준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고기술국과의 기술격차는 1.8년으로 분석
▪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은 최고기술국 대비 66.8%, 기술격차는 2.3년으로 평가
▪ 유럽(87.4%)>중국(82.8%)>한국>일본(70.3%)의 순으로 평가
기술수명주기(TCT)22)
▪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은
2.28의 기술수명주기를 지닌 것으로 파악
가. 기술개발 이슈
▪ 글로벌 카드사인 비자카드의 거래처리량은 24,000TPS, 페이필은 200TPS 정도로 알려져 있고,
국내 금융회사 중 최대 거래를 보이는 대형시중은행의 거래처리량은 평소에는 500~1,000 TPS
정도이고 명절 수요가 많은 경우 최대 거래처리량이 2,000TPS 정도
22) 기술수명주기(TCT, Technical Cycle Time): 특허 출원연도와 인용한 특허들의 출원연도 차이의 중앙값을 통해 기술
변화속도 및 기술의 경제적 수명을 예측
114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레이든 네트워크
▪ 유동성 공급자들이 유동성 풀에 토큰을 채워두면,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해 자동으로 매수가와
매도가를 산정하고 매매가 이루어져 기존의 중앙화된 거래소처럼 거래가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설정
유니스왑
▪ 유동성을 계속 공급하고 있어야 하므로 원래의 가격에서 ETH의 가치가 상승하거나 하락하면
비영구적 손실이 발생한다는 한계가 있음
115
전략제품 현황분석
▪ 스마트 컨트랙트는 자동으로 계약이 체결되므로 주요한 보안 취약점은 사전에 탐지되고 제거되어야
함
DID 표준화 미비
▪ 본인의 ‘전자지갑’에 저장된 개인정보를 다양한 기관에서 활용하기 위해서 DID 기반의 신원정보는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하고, 글로벌 표준으로 확대되어야 글로벌 시대에 필요한 신원증명으로 활용될
수 있음.
세그윗(SegWit)
▪ 현재의 블록체인에서 데이터 저장은 개별 블록의 저장 공간 크기에 영향을 받아서,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쉽지 않음
트릴레마 정의
116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 탈중앙성과 보안성을 만족하기 위해 대규모 노드간 합의에 시간이 걸려서 속도가 느린 블록체인은
확장되기 어려움
▪ 속도를 높이기 위해 자원성능을 높이면 비용이 증가되어 규모 확장이 어려워 바람직하지 않고, 속도
개선을 위해 합의에 참여하는 노드가 일부 소수로 제한되면, 탈중앙화에 손상이 되므로 트릴레마의
3가지 중 2가지를 우선적으로 해결하고, 나머지 한 가지는 일부 만족하는 방향으로 기술개선이
우선 시도되고 있음
트릴레마 상황
▪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은 채굴을 통한 합의알고리즘으로 보안성과 탈중앙성은 높지만 확장성이
떨어지고, 이오스(EOS)와 리브라(Libra)는 위임과 지분을 통한 합의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확장성은
증가되었지만, 합의참여 노드를 제한하여 상대적으로 탈중앙화는 약화
▪ 블록체인의 잠재력이 충분히 요구되는 대규모 상용화를 위해서는 트릴레마가 완전하지는 않지만
어느 정도는 만족스럽게 허용될 정도로 해결되어야 함
▪ 탈중앙화의 특성상 모든 노드가 참여하도록 확장성이 보장되어야 하고, 동시에 합의에 참여하는
노드를 제한하여 선택하는 협의 알고리즘 개선이 필요
▪ PoW 방식은 연산을 위한 비용이 소모되는 단점이 있고, 연산능력을 모으는 채굴풀의 등장으로
인해 네트워크 탈중앙화에 위배된다는 단점이 있음. 실제로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에서 2~3개의 소수
채굴풀이 선점하는 것으로 알려져 탈중앙화 이슈가 불거지고 있음
트릴레마 극복을 위한 노력
▪ 블록체인에 새로운 블록의 생성이 제안되면 해당 블록의 제안을 결정할 위원회가 선정되고, 지분에
기반하여 참여할 위원회 구성은 확률에 근거하여 랜덤으로 합의참여 노드를 선정하고, 이 중에서
블록생성자를 선정. 이때, 어떤 노드가 합의에 참여할지는 VFR(Verifiahle Random Function)라는
랜덤방식으로 선정하여 예측하기 어렵게 함으로써 보안성을 유지
117
전략제품 현황분석
스마트 컨트랙트 오라클은 외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학습하는 인공지능에는 필수적인 기술로 인공지능이
머신러닝을 통해 학습할 때 사용되는 정제된 데이터셋도 있지만 인터넷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는데, 거짓 데이터 또는 위변조된 데이터가 인공지능 학습에 이용되면 신뢰하기 어려운
인공지능이 되어 큰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
▪ 따라서 사람이 인위적으로 준비한 데이터로 학습하는 것 외에 인공지능 스스로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학습하는 경우 반드시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만 사용되어야 함. 이때 스마트 컨트랙트 오라클
기술의 사용이 필수적
118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 스마트 컨트랙트 오라클 기술을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미들웨어 기반으로 나누기도 함 (출처:
블록체인(On-Chain)과 외부 세계(Off-Chain)를 이어주는 가교 ‘오라클(Oracle)’,
▪ 영지식증명 기술은 2017년 10월 16일 진행되었던 이더리움(Ethereum) 로드맵 4단계 중 3단계인
메트로폴리스 단계로 가기 위한 비잔티움 하드포크에도 적용되었고, 향후 이더리움의 고질적 문제
중 하나인 확장성 문제를 해결해 줄 솔루션으로 기대됨
119
전략제품 현황분석
대용량 데이터 처리 기술은 국내에서 블록체인 상에서 대용량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술을
연구하는 곳은 많지 않은 상황임
▪ 마크애니에서 실시간 대용량 데이터 유통을 위한 온-오프 하이브리드 블록체인 기술을 개발 중이나
온-체인 상의 저장은 아님
▪ 국내에서는 KT와 현대카드사가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 저장하는 연구를
진행 중임
120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글로벌 기업의 블록체인 사업은 AI, IoT, 클라우드, 5G 등 타 ICT 기술과 블록체인을
융·결합하며 사업화 가능성을 모색
▪ 기존 사업은 리눅스 재단의 하이퍼레저 패브릭을 활용하며 기업용 프라이빗 블록체인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형태가 주류
[ 글로벌 기업 블록체인 사업 동향 ]
구 분 주요 서비스
•클라우드, IoT, 5G, AI 등 최신기술과 블록체인 간 융·결합 기술에 관심
IBM1) •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시스템 기반 플랫폼에 하이퍼레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을 적용하는
형식의 블록체인-클라우드 간 잠재적 시너지 창출 강조
•구글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인 빅쿼리(BigQuery)를 사용해 블록체인 ETL(Extract, Transform,
Load)이라는 이름의 프로젝트 수행중으로 블록체인 데이터 검색에 활용할 수 있는 고도화된
Google2) 도구개발 추진
•체인링크(Chainlink)사와 파트너십을 맺고 빅쿼리로 수집한 데이터를 이더리움 스마트 계약 이행에
활용하는 등 구글 클라우드기반의 서비스 제공 진행
•기업들이 AI에 대한 신뢰를 높이는 데 블록체인 기술을 적극 활용
•애저 블록체인 데이터 매니저(Azure Blockchain Data Manager)를 활용하여 온체인 데이터를
다른 애플리케이션에 연결해주며, 데이터 이동 과정에서 AI, IoT 등과 결합
MS3)
•애저 블록체인 토큰 서비스를 활용하여 표준화된 플랫폼에서 토큰 생성 및 관리 기능을 구현하고
가상현실(VR) 소셜 플랫폼 시크(CEEK VR) 등의 로열티 제도에 접목
•하이퍼레저 커뮤니티에 합류(`19년 상반기)
•기존 사업과 IT시스템 통합 과정을 간소화하고 새로운 블록체인 애플리케이션의 개발 및 보급
가속화 추진
•MS 애저(Azure)와 상호 연동성 강화, 하이퍼레저 패브릭 버전 1.3에 대한 지원 등 외부 연결성
강화
ORACLE4)
•블록체인 거래 내역을 다른 데이터 리소스와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개발자 도구, ID 관리 및
데이터 통합 기능 제공
•NITI Aayog(인도 정부 이니셔티브)와 파트너로 블록체인 기반으로 가짜 약을 없애고, 공급망을
효율화에 참여하는 등 프로젝트 중심 참여
•아마존 관리형 블록체인(Amazon Managed Blockchain) 서비스 제공 중
AWS5) •하이퍼레져 패브릭 및 이더리움을 활용하여 확장 가능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생성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 제공
*출처 : 1) IBM이 바라본 2020년 블록체인 5대 전망은, 인공지능신문, 2020. 2
2) Introducing six new cryptocurrencies in BigQuery Public Datasets-and how to analyze them, 2019.2 외
다수(cloud.google.com)
3) Azure blockchain service, 2020 (Azure Info Hub)
4) 제조 혁신 : 블록체인 도입 가치와 방향, ETRI Insight 2019-56 / Blockchain: Industry Adoption in Healthcare,
2019. 5, netscribes
5) Amazon Managed Blockchain (aws.amazon.com/ko/managed-blockchain/)
121
전략제품 현황분석
나. 생태계 기술 동향
(1) 해외 플레이어 동향
(캐나다 워털루 대학) 캐나다의 워털루 대학은 하이퍼레저 패브릭에 주문 서비스, 트랜잭션
서비스 및 데이터 관리 계층의 재설계 같은 다양한 최적화 방안을 적용하여 초당 트랜잭션
처리 성능을 20,000TPS 까지 향상시킨 블록체인 스토리지 엔진인 FastFabric을 개발
122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 중국 주요기업 블록체인 추진 현황 ]
분야 대표기업 주 요 내 용
게임
텐센트의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인 트러스트SQL을 기반으로 제작된 블록체인 게임
텐센트 "렛츠헌트몬스터(Let"fs Hunt Monster)"가 2019년 4월 중국 아이폰(iOS)
앱스토어에서 무료게임 분야 다운로드 순위 1위를 기록
부동산
헝다디찬 2020년 4월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중국 최초로 부동산 전자증빙 발급을 시작
*출처 : 국방통합데이터센터 작성
123
전략제품 현황분석
[ 미국 주요기업 블록체인 추진 현황 ]
분야 대표기업 주 요 내 용
프로피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부동산 거래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안전한 거래가 가능
(Propy)
부동산
유비트커티 블록체인 기반의 부동산 계약 보관 플랫폼으로 부동산 거래의 고질적인 문제를
(Ubitquity) 해결할 것으로 기대
물류/ 2016년부터 IBM과 블록체인 기반 시스템 개발을 협업, 2017년 징동닷컴, IBM,
월마트
유통 칭화대, 전자상거래기술연구소와 함께 세이프티 얼라이언스 설립
*출처 : 국방통합데이터센터 작성
124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2) 국내 플레이어 동향
[ 거래에 대한 확정 신뢰도 산출 방법 ]
* 출처 : 대한민국특허청 홈페이지
125
전략제품 현황분석
▪ CPU에서 동작하는 데이터 연산과 메모리 컨트롤 메커니즘 상에서 발생할 수 밖에 없는 병목현상을
근본적으로 개선
[ 블록체인 MBPU 전용 칩 ]
* 출처 : 미디움 홈페이지
126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 블록체인 데이터를 저장할 때 시계열, 시공간, 이벤트, 내용을 기반으로 인덱스(index)를 부여해
정보를 빠르게 탐색 가능하도록 개발
▪ 대규모,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하여 블록체인에 직접 저장하는 방식으로 개발하여 데이터의 신뢰성
보장
[ 다중 트랜잭션 병렬 처리 방법 및 시스템 ]
* 출처 : 데이터젠 홈페이지
127
전략제품 현황분석
[ 국내 주요기업 블록체인 추진 현황 ]
분야 대표기업 주 요 내 용
의료
*출처 : 국방통합데이터센터 작성
128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다.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1) 연구개발 기관
기관 소속 연구분야
•인간과 인공지능이 공존하는 초지능 정보사회의 기반을 구축하고,
인공지능의 성능한계를 극복하는 초성능 컴퓨팅 실현을 전략목표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공지능연구소
수립하였고, 이를 위해, 복합인공지능, 지능형 로봇, 자율이동체,
지능형반도체, AI슈퍼컴퓨터 등의 핵심 기술을 개발
129
전략제품 현황분석
(2) 기관 기술개발 동향
▪ 블록체인 분산저장 데이터에 대한 효율적 분석을 지원하는 블록체인 인덱스 데이터 구축기술 개발
▪ 블록체인 데이터 분석 도구, 사용자 편의성 지원을 위한 분산저장 데이터 관리 및 질의언어 처리 기술개발
130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4. 특허 동향
가. 특허동향 분석
[ 연도별 출원동향 ]
24) 특허출원 후 1년 6개월이 경과하여야 공개되는 특허제도의 특성상 실제 출원이 이루어졌으나 아직 공개되지 않은
미공개데이터가 존재하여 2020, 2021년 데이터가 적게 나타나는 것에 대하여 유의해야 함
131
전략제품 현황분석
[ 국가별 출원현황 ]
132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나.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1)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전체구간(2000년~2021년)
§ Blockchain Network, Computer Program Encoded, Computer Storage Medium, Blockchain Node,
Blockchain Transaction, 블록 체인 네트워크, Computer Implemented, Hash Value, Transaction Data,
Public Key, Private Key, Smart Contract, New Block, Digital Signature
최근구간(2013년~2021년)
1구간(2013년~2016년) 2구간(2017년~2021년)
133
전략제품 현황분석
KSIC 산업분류 결과, 다수의 특허가 유선 통신장비 제조업 산업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조사됨
[ 기술-산업 분류 분석 ]
134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다. 주요 출원인 분석
▪ ALIBABA GROUP HOLDING는 중국의 인터넷 플랫폼 서비스 기업으로, 대규모 클라우드 서버를
구축하여 대량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업임
[ 주요출원인 동향 ]
전체 주요출원인
해외 주요 출원인 국내 주요 출원인
135
전략제품 현황분석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Blockchain data protection
US 10680800 based on generic account 거래와 관련된 거래 데이터를 수신하여
18 15
(2019.05.24) model and homomorphic 암호화된 거래 내역을 제공하는 기술
encryption
Blockchain data protection
거래와 관련된 거래 데이터를 수신하여
US 10790987 based on generic account
난수를 포함하는 약정 거래를 제공하는 17 14
(2019.05.24) model and homomorphic
기술
encryption
Blockchain data protection
US 10615960 계정으로부터 합의 노드에 의해 거래
using homomorphic 14 16
(2019.04.22) 금액의 약정 값의 디지털 서명 기술
encryption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136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Decentralized autonomous
US 10346406 edge compute coordinated 엔터티가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96 1
(2016.03.28) by smart contract on a 통해 식별하고 자동으로 계약하는 기술
blockchain
블록체인 프로토콜 기반 시스템에
US 10255108 Parallel execution of
참여하는 컴퓨팅 노드가 공유하는 85 1
(2016.01.26) blockchain transactions
데이터를 액세스하는 기술
Private blockchain
US 10355869 원장 검증을 위해 액세스하는 블록체인
transaction management 24 1
(2017.01.12) 거래 기술
and termination
코인플러그
▪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과
미국을 위주로 15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인증 정보의 발급 방법 및 블록체인 상에 기록된 위치 정보를
KR 1780636
이를 지원하는 블록체인기반 나타내는 transaction ID를 기반으로 23 2
(2016.05.16)
인증 정보 관리 서버 인증 정보를 지원하는 기술
Utxo 기반 프로토콜을 이용한 UTXO(unspent transaction output)
KR 1882802 블록체인 기반의 문서 관리 기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10 6
(2017.04.17)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문서 블록체인(blockchain) 기반으로 문서를
관리 서버 관리하는 기술
Utxo 기반 프로토콜의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여
사용하여 서비스 제공 서버에
서비스 제공 서버에 의하여 제공되는
의하여 제공되는 서비스를
KR 1816651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7 5
(2017.02.14)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public key
로그인 요청에 대하여 pki
infrastructure) 기반의 인증을 통해
기반의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로그인을 대행하는 기술
대행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서버
137
전략제품 현황분석
채령
▪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을 위주로 12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양자암호키 4차 행렬
KR 2216688 해시함수 블럭체인 태양광 의사난수생성기를 통해 TIME 데이터를
0 1
(2018.06.09) 발전장치 제어시스템 감시 대칭암호키로 암호화 하는 기술
cctv 방재 감시카메라
양자암호키 4차 행렬
조기화재 감시 CCTV 감시카메라를
해시함수 블럭체인 암호화
KR 2216683 통하여 정상, 주의, 경보, 화재
영상저장 cctv 감시장치 0 1
(2018.06.09) 조기화재 이벤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제어시스템 감시 cctv 방재
기술
감시카메라
양자암호키 4차 행렬 조기화재 감시 CCTV 감시카메라를
KR 2216671 해시함수 블럭체인 구내 통하여 정상, 주의, 경보, 화재
0 1
(2018.06.09) 영상음성 방송장치 제어시스템 조기화재 이벤트 데이터를 제공하는
감시 cctv 방재 감시카메라 기술
삼성전자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공개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KR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의
서버에 저장된 데이터의 무결성을
2018-0089682 무결성을 검증하는 전자 장치 5 2
블록체인을 이용하여 검증하는 기술
(2017.02.01) 및 방법
138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라. 기술진입장벽 분석
139
전략제품 현황분석
[ 주요출원인 IP 경쟁력 분석 ]
IP 경쟁력(기술성 v. 시장성)
140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5. 요소기술 도출
가. 특허 기반 토픽 도출
141
전략제품 현황분석
set, data, access, iot, •Utilizing nonce table to resolve concurrent blockchain
클러스터 associ, updat, transaction failure
-
07 blockchain, record, valu, •Using blockchain to track information for devices on a
store network
142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다.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IPC 기술트리
요소기술 후보
(서브클래스) 내용 (메인그룹) 내용
143
전략제품 현황분석
라. 최종 요소기술 도출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타부처 로드맵,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드맵 기획을 위하여 요소기술 도출
요소기술 출처
144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가. 핵심기술 선정 절차
핵심기술 선정 지표: 기술개발 시급성, 기술개발 파급성, 기술의 중요성 및 중소기업 적합성
[ 핵심기술 선정 프로세스 ]
② 핵심기술 ③ 핵심기술
① 요소기술 도출 ④ 핵심기술 확정
선정위원회 개최 검토 및 보완
나. 핵심기술 리스트
핵심기술 개요
•블록체인의 초당 거래속도(TPS, Transaction Per Second)를
블록체인 데이터 고속 트랜잭션 처리기술 금융거래에 적용 가능하도록 수천 TPS에서 수만 TPS로 향상하기
위한 기술
•블록체인 대용량 데이터 거래를 위한 사용자 인증에 신뢰성,
대용량 데이터 고속 인증기술 정확성, 위변조 보안 등의 특성을 유지하며 빠르게 인증하기 위한
기술
•블록체인의 탈중앙화와 보안성을 만족하면서 거래를 검증하고,
블록체인 거래 검증 및 합의 기술 대규모 노드간 합의에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여 초당 거래속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
•대용량 데이터 저장 및 검색을 위한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장
대용량 블록체인 데이터 고속 저장 및 검색
데이터 접근 제어 기술, 대용량 데이터 저장 및 검색용 스마트
기술
컨트랙트 기술, 온-오프체인 데이터 쿼리 기술
•탈 중앙화 대용량 블록체인 데이터 처리를 위한 엣지네트워크 활용
알고리즘 - 컴퓨팅 자원이 부족한 IoT 기기에서도 블록체인 기술을
탈 중앙화 대용량 블록체인 데이터 처리를
적용할 수 있도록 노드 종류별 역할의 차등을 두거나, 게이트웨이
위한 엣지네트워크 활용 알고리즘
활용, 또는 하드웨어 가속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컴퓨팅 능력을
향상시키는 등의 기술
145
전략제품 현황분석
다.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라. 기술개발 로드맵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블록체인에 대규모 데이터를 분산하여 저장하고 빠르게 검색,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분석하여 활용하는 기술
및 분석 기술 분야 핵심기술 2022년 2023년 2024년 최종 목표
금융거래에 적용
블록체인 데이터 고속 트랜잭션
가능하도록
처리기술
처리속도 향상
대량의
대용량 데이터 고속 인증기술 사용자처리를 위한
고속 인증기술 확보
신뢰성, 정확성,
블록체인 거래 검증 및 합의 기술 확장 특성을 가진
합의 알고리즘개발
블록체인 가속
탈 중앙화 대용량 블록체인 데이터
하드웨어를 이용한
처리를 위한 엣지네트워크 활용
분산 신원인식
알고리즘
플랫폼
146
블록체인 서비스 성능 개선을 위한 대규모 트랜잭션 데이터 고속 저장 및 분석 기술
(2) 기술개발 목표
대규모 트랙잭션
금융거래에 적용
블록체인 데이터 고속 처리를 위해 초당 10,000 20,000
5,000 TPS 가능하도록 산.학.연
트랜잭션 처리기술 거래속도(TPS) TPS TPS
처리속도 향상
향상
감내 감내 감내
신뢰성, 정확성,
가능한 가능한 가능한
블록체인 거래 검증 및 고확장·고신뢰성 확장 특성을
공격 공격 공격 산.학.연
합의 기술 합의 알고리즘 가진 합의
시나리오 시나리오 시나리오
알고리즘개발
5종 8종 10종
가속 가속
가속 알고리즘 알고리즘
탈 중앙화 대용량
하드웨어 가속 알고리즘 적용된 적용된 블록체인 가속
블록체인 데이터
알고리즘이 검증 및 FPGA를 ASIC 하드웨어를
처리를 위한 상용화
적용된 분산 분산 이용한 이용한 이용한 분산
엣지네트워크 활용
신원인증 시스템 신원인식 분산 분산 신원인식 플랫폼
알고리즘
플랫폼 신원인식 신원인식
시스템 시스템
147
전략제품 현황분석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 중앙집중화를 벗어나 분산된 소규모 단위로 자율적으로 운영되며, 분산된 다수의 참여자들이 통일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알고리즘과 이를 이용한 플랫폼을 의미
전략 제품 관련 동향
시장 현황 및 전망 제품 산업 특징
•합의기술은 처리성능, 소요에너지, 확장성 등 블록체인
•(세계) 2019년 1,650억 달러 규모에서 연평균 성능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기술로 상용 확산
69.64%로 성장하여 2025년 39,330억 달러 규모로 촉진의 핵심 요소 기술이며, 현재 해외 기업이
성장 전망 주도권을 확보
•(국내) 2019년 60억원 규모에서 연평균 69.64%로 •탈중앙화를 유지하면서 확장성과 보안성을 현저히
성장하여 2025년 944억원 규모로 성장 전망 개선한 새로운 알고리즘 개발 없이는 국내 기업이 산업
내 경쟁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상황
정책 동향 기술 동향
•미국, 영국, 중국 등 각국 정부는 공공 및 정부 시스템의 •블록체인 트릴레마 해결을 위한 다양한 합의기술이
블록체인 적용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관련 산업 활성화 및 개발되어 응용되고 있으나, 기술적 우위가 두드러진 대안은
중장기 관점의 블록체인 기술 기반 국가 시스템 구축 중 확보되지 않은 상황
•블록체인 분야 경쟁력 확보를 위해 관련 기술 발전전략을 •합의기술 등 핵심기술 분야의 연구개발 추진이 미흡하며,
수립하고 분산 합의 기술이 포함된 10대 R&D 추진 주체 역시 대학과 연구소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기술로드맵을 마련 후 세부 지원 추진 연구 규모 및 인프라, 인력 보완 필요
핵심 플레이어 핵심기술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151
전략제품 현황분석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중앙집중화를 벗어나 분산된 소규모 단위로 자율적으로 운영되며, 분산된 다수의 참여자들이
통일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알고리즘과 이를 이용한 플랫폼을 의미
152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2) 필요성
▪ 비트코인 플랫폼은 Finality 유보로 confirm이 지연됨에 따라 실시간 서비스 제공이 불가하여
암호화폐 등 용도로 제한적 적용
▪ 이더리움 1.0은 기존 퍼블릭 블록체인의 한계(confirm 지연 등)를 그대로 가지고 있고, 2.0은 3년
로드맵으로 구현계획을 수립하여 개선안 형태로 개발 진행 중
▪ 탈중앙화된 새로운 개념의 서비스 상용화 추진을 위해서는 충분한 TPS와 보안성을 제공하는
탈중앙화된 블록체인 플랫폼 선점 필수
153
전략제품 현황분석
블록체인 기술 상용화 장애 해결
▪ 블록체인은 탈중앙화, 확장성, 보안성의 3대 이슈 간 트릴레마 극복을 통해 상용화 장애 요인을
해결
▪ 기존 블록체인 합의기술인 PoW, PoS 방식은 과도한 자원 소모, 자원 독점, 확장성, 익명성 보장
한계 등의 문제가 있어 이를 해결하기위한 충분한 TPS 보장이 가능한 혁신적 기술에 대한 수요가
매우 높음
▪ 향후 성숙기 단계의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신사업 활성화가 기대되며 블록체인 트릴레마 극복을
통한 시장 확보 노력 필요
154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나. 범위 및 분류
(1) 가치사슬
- (금융) 대표적 제3의 신뢰기관인 금융기관의 역할이 축소되고 제공자와 수요자 간 직접 거래가
가능해지면서 중개자가 사라지거나 역할에 큰 변화가 예상
- (의료) 개인 의료주권이 확보되면, 병원 간 데이터 공유 등으로 인한 중복검사 방지, 의료정보
체계적 관리 등 헬스케어 연관산업 활성화가 예상
- (콘텐츠) 제3자 간섭 없이 콘텐츠에 대한 직접적 보상체계를 마련할 수 있고, 신뢰성 높은 저작권
보호로 창작자 중심의 콘텐츠 관리, 유통 등 변화가 예상
- (공공) 공공서비스의 신뢰성 제고, 불필요한 행정 비용 절감, 민간의 직접 참여 확대 등 공공구문의
혁신이 예상
- (물류·유통) 다양한 이해 관계자들이 참여하여 실시간 추적성 확보, 재고 관리 최적화, 진품 확인 등
유통 선진화를 통해 물류·유통 혁신이 예상
- (에너지) 에너지, 신재생에너지 거래, 미래 에너지 산업 발굴 등 투명한 에너지 거래, 수요관리 등
에너지 관련 신산업 혁신이 예상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후방산업 전방산업
플랫폼
암호학, 정보보안, 네트워크, 퍼블릭 합의방식, 프라이빗 합의 금융, 의료, 콘텐츠, 물류·유통,
분산 컴퓨팅, 고성능 컴퓨팅 방식, 컨소시엄/하이브리드 합의 방식 에너지, 공공 분야 분야 등
155
전략제품 현황분석
(2) 용도별 분류
▪ (프라이빗) 블록단위 Finality 제공으로 성능이 향상되어 실시간 서비스 적용 및 다양한 분야 서비스
적용이 가능
구분 퍼블릭 프라이빗
비트코인(가상통화),
사례 코다(금융), 하이퍼레저(범용)
이더리움(가상통화/스마트계약)
156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 (분산합의 확장성 보장기술) 수 노드에서 수백만 노드까지 합의 가능한 알고리즘 확장성 보장에
대한 기술로 단일 알고리즘으로 수 노드에서부터 확장 가능한 확장성에 대한 노드 제어 알고리즘
▪ (합의노드 운영기술) 공평하게 선택된 노드에서 합의 가능한 최소의 노드를 구성하기 위한 합의노드
구성기술과 노드 간 합의에 필요한 비용을 최소화하기 위한 합의 메시지 복잡도 최소화 및 합의
단계를 축약하는 기술
157
전략제품 현황분석
2.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산업 분석
▪ (3세대: 미래) 탈중앙화, 확장성, 보안성 및 프라이버시 보호, 상호운용성 등의 한계를 극복하여
산업과 사회를 혁신하는 기반기술로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
•스마트 컨트랙트 도입
2세대(확산기)
•프라이빗 블록체인 출현
158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159
전략제품 현황분석
[ 확장성+보안성+탈중앙화 모두 만족 불가능 ]
확장성(Scalability)
보안성 탈중앙화
(Securiy) (Decentralization)
現 블록체인은 트릴레마 한계를 극복한 기술은 없고, 전세계 2,365개 블록체인 플랫폼 존재
▪ 하이퍼레저 패브릭은 리눅스 재단에서 IBM 주도로 개발한 프라이빗 블록체인으로 탈중앙화를
위한 합의 알고리즘 문제점
160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 그러나 여전히 확장성 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충분한 초당 거래량(TPS)을 확보하지 못하고 있으며
많은 블록체인 프로젝트가 트릴레마를 극복하기 위해 기술개발 추진 중
트릴레마 설명
•사용자 수의 증대에 유연하게 대응하느 정도
확장성 •블록체인에서는 사용자수의 증가에 따라 거래 건수가 늘어나더라도 무리 없이 전송
처리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능력
•블록체인 내의 데이터나 프로그램을 권한이 없는 이용자가 이용할 수 없도록 동작
보안성 •거래내역 장부는 네트워크 참여자 모두가 공동으로 소유하여 거래 데이터 조작 방지
및 무결성 보장
•신뢰된 제3자를 병도로 두지 않고 분산형 네트워크(P2P)환경에서의 거래
탈중앙화
•중앙집중형의 시스템을 운영하고 유지보수 등 필요 비용 절감
[ 블록체인 트릴레마의 사례 ]
구분 설명
•높은 탈중앙화와 보안성은 확보, 확장성의 한계로 트릴레마 발생
비트코인 •탈중앙화와 보안에 초점을 맞춰 개발 되었으며 네트워크 확장에 따른 트랜잭션 속도에
대한 확장성 문제 발생
•확장성 한계로 트릴레마 발생(이더리움 플랫폼 위의 디앱상 이루어지는 거래를 1초에
20건 처리)
161
전략제품 현황분석
◎ 3세대 기술 발전 전망
162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Strength(강점) Opportunities(기회)
Weakness(약점) Threats(위협)
- 현재 국내 분산합의 기술 등 핵심기술 부문의 편차가
큰 편으로, 기술을 확보하지 못한 채 시장이 형성될
- 국내 블록체인 기업은 국외 핵심기술에 의존하는 응용
경우 막대한 로얄티 지불 위협
서비스 위주의 사업화 가능성에 집중하고 있음
- 국외의 경우, 이미 확보한 핵심기술과 플랫폼 기반의
- 블록체인 핵심 기술에 대한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하나,
신규시장 창출을 준비하고 있어 글로벌경쟁력 상실
현재 원천 기술에 대한 투자 부재
우려
- 블록체인 산업 생태계를 선도해 나갈 글로벌 기업의
- 핵심기술이 포함되지 않은 응용 서비스 위주의 개발은
부재
블록체인 분야 기술 종속 및 글로벌 시장 선점
기회상실 우려
163
전략제품 현황분석
나. 시장 분석
(1) 세계시장
[ 블록체인 세계 시장 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19 ’20 ‘21 ‘22 ‘23 ‘24 ‘25 CAGR
▪ 퍼블릭 블록체인의 시장 규모는 `20년 10억 9,100만 달러 규모(전체대비 44%)에서 `25년 149억
4,500만 달러(전체대비 38%)로 연평균 65.55% 성장할 전망
▪ 프라이빗 블록체인의 시장 규모는 `20년 37억 2,000만 달러 규모(전체대비 15%)에서 `25년 74억
7,300만 달러(전체대비 19%)로 연평균 76.46% 성장할 전망
[ 분산합의 기술별 시장 전망 ]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19 ’20 ‘21 ‘22 ‘23 ‘24 ‘25 CAGR
퍼블릭 726 1,091 1,918 2,877 7,679 10,488 14,945 65.55
컨소시엄/
677 1,017 1,873 2,810 7,867 11,275 16,912 71.00
하이브리드
프라이빗 248 372 714 1,070 3,184 4,457 7,473 76.46
* 출처: Blockchain Technology Market Size, Share, & Trends Analysis Report By Type, By Component, By
Application, By Enterprise Size, By End Use, By Region And Segment Forecasts, 2019 2025, 2019
▪ 아이콘(ICX)은 BFT 계열을 개선한 LFT 알고리즘으로 루프체인 엔진을 만들어 빠르고 안전한 거래를
보장하는데 주력
164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 (응용 솔루션) `19년 5억 4,500만 달러에서 `25년 약 141억 5,900만 달러로 연평균
72.12%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비금융 부문(74.55%) 성장률이 금융부문(68.61%)
대비 높을 것으로 전망
▪ (기반 솔루션) `19년 7억 2,600만 달러에서 `25년 149억 4,500만 달러로 연평균
65.55%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며, 클라우드 저장 솔루션이 `19년 1억 6,000만 달러에서
`25년 55억 3,000만 달러 규모로 빠르게 성장할 전망
165
전략제품 현황분석
[ 솔루션별 세계 시장 전망]
(단위 : 백만 달러, %)
구분 ‘19 ‘20 ‘21 ‘22 ‘23 ‘24 ‘25 CAGR
응용
545 818 1,472 2,208 6,181 9,439 14,159 72.12
솔루션
기반
726 1,091 1,829 2,743 7,679 9,964 14,945 65.55
솔루션
클라우드
저장 160 240 402 768 2,150 3,388 5,530 80.53
솔루션
프로세싱
276 415 695 823 2,304 2,192 2,840 47.49
솔루션
통신
116 175 293 302 845 1,395 2,092 61.91
솔루션
보안
프로토콜 174 262 439 850 2,381 2,989 4,484 71.82
솔루션
미들웨어
248 372 624 937 2,622 2,884 4,326 61.1
솔루션
블록체인
124 186 312 468 1,272 1,356 2,033 59.45
API
암호화
101 153 256 384 1,049 1,125 1,687 59.45
솔루션
연동
22 33 56 84 302 404 606 59.76
솔루션
서비스
제공 132 198 535 803 2,248 3,933 5,900 88.38
솔루션
* 출처: Mind Commerce : Blockchain Technology and Solutions: Market Outlook and Forecasts 2019-2025
166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2) 국내시장
국내 블록체인 시장은 `19년 40억 원 규모에서 `25년 약 953억 원 규모로 연평균 69.64%
성장할 전망
[ 블록체인 국내 시장 전망 ]
(단위 : 억 원, %)
구분 ’19 ’20 ‘21 ‘22 ‘23 ‘24 ‘25 CAGR
167
전략제품 현황분석
3. 기술 개발 동향
기술경쟁력
▪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은 미국이 최고기술국으로 평가되었으며, 우리나라는
최고기술국 대비 65.1%의 기술 수준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고기술국과의 기술격차는
2.3년으로 분석
▪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은 최고기술국 대비 59.9%, 기술격차는 2.7년으로 평가
▪ 유럽(81.2%)>중국(80.2%)>한국>일본(59.0%)의 순으로 평가
기술수명주기(TCT)31)
▪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은 2.18의 기술수명주기를 지닌 것으로 파악
가. 기술개발 이슈
◎ 블록체인 트릴레마 문제 해결 필요
31) 기술수명주기(TCT, Technical Cycle Time): 특허 출원연도와 인용한 특허들의 출원연도 차이의 중앙값을 통해 기술
변화속도 및 기술의 경제적 수명을 예측
168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 분산합의 기술 현황 및 한계 ]
분산합의방식 특징 한계점
(공평성) 블록생성 권한이 전체 노드에 Open
(Finality 유보) 비트코인 6 confirm 등
PoW (합의방식) 경쟁에 의한 블록생성 연산능력 보유에 따른 중앙화 문제
(Proof of (블록생성 권한) 노드의 연산 능력을 증명하여 가장 노드 연산 능력증명에 자원소모 과다
Work) 많은 해싱파워 확보 노드 블록생성 느린 합의시간으로 실시간 서비스 제공 불가
(합의시간 및 처리속도) 느리고 낮음
(감내 비잔틴비중) 51% 이하
169
전략제품 현황분석
▪ (프라이빗 블록체인 이슈) 블록단위 Finality 제공으로 성능이 향상되어 실시간 서비스 적용 및
다양한 분야 서비스 적용이 가능하여 현재 대부분의 엔터프라이즈에서 적용되고 있지만, 노드
확장에 따른 합의 비용 문제와 탈중앙화 증명 기술 여부가 이슈
▪ 분산합의 기술의 탈중앙화, 확장성 및 보안성 향상은 글로벌 경쟁 가능한 분야로 블록체인 트릴레마
해결 기술(탈중앙화, 확장성 및 보안성 향상)에 대한 높은 수요와 핵심 IPR에 대한 전략적 선점
가능
◎ 고성능·고효율의 합의 기술 부재
(탈중앙화 문제) 경쟁적 분산합의 방식은 탈중앙화 보장을 위하여 참여 노드에 공평한 자격을
부여하나 보유자원의 담합 등으로 인한 중앙화 문제가 있음
(확장성 문제) 경쟁적 분산합의 방식은 참여 노드가 생성한 블록의 Finality를 유보하여
성능이 요구되는 영역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음
170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 분산합의 기술 발전 방향 ]
▪ Bitcoin에서 ‘51% 공격’을 수행하는데 전체 컴퓨팅 자원의 49.1%만으로 충분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긴 블록 전파 지연 시간이 원인으로 분석됨
171
전략제품 현황분석
구분 경쟁방식 비경쟁방식
경쟁방식 한계 비경쟁방식 한계
Ÿ 탈중앙화 개념 위배문제
Ÿ 느린(Finality 유보) 탈중앙화 및 한정된 분야 제한 적용
Ÿ 합의 비용으로 인한 확장성 문제
Ÿ 보유자원에 의한 다시 중앙화 위협 존재
Ÿ 노드 예측 가능위협 등
172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나. 생태계 기술 동향
(1) 해외 플레이어 동향
블록체인 트릴레마 해결을 위한 다양한 합의기술이 개발되어 응용되고 있으나, 기술적 우위가
두드러진 대안은 확보되지 않은 상황
▪ 현재 주목받는 기술 방식은 PoS의 TPS를 개선한 DPoS(Delegated Proof of Stake) 외
텐더민트(Tendermint) 등이나 여전히 중앙화 문제 등 이슈 산재
173
전략제품 현황분석
(2) 국내 플레이어 동향
▪ 대부분의 업체들이 해외의 블록체인 분산합의 및 플랫폼 등 기반기술을 차용하여 활용하는 수준으로
관련 투자 역시 스타트업 중심으로 진행되어 소규모
174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기업 플랫폼명 내용 기반 플랫폼
175
전략제품 현황분석
다.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1) 연구개발 기관
기관 소속 연구 분야
176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2) 기관 기술개발 동향
177
전략제품 현황분석
4. 특허 동향
가. 특허동향 분석
[ 연도별 출원동향 ]
32) 특허출원 후 1년 6개월이 경과하여야 공개되는 특허제도의 특성상 실제 출원이 이루어졌으나 아직 공개되지 않은
미공개데이터가 존재하여 2020, 2021년 데이터가 적게 나타나는 것에 대하여 유의해야 함
178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 국가별 출원현황 ]
179
전략제품 현황분석
나.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1)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전체구간(2000년~2021년)
§ Blockchain Network, Distributed Ledger, Smart Contract, Computer Program Encoded, Computer
Storage Medium, Blockchain Node, Blockchain Technology, Blockchain Transaction, Peer Network,
Distributed Network, Client Device, Decentralized Network, Blockchain Ledger
최근구간(2013년~2021년)
1구간(2013년~2016년) 2구간(2017년~2021년)
180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KSIC 산업분류 결과, 다수의 특허가 유선 통신장비 제조업 산업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조사됨
[ 기술-산업 분류 분석 ]
181
전략제품 현황분석
다. 주요 출원인 분석
[ 주요출원인 동향 ]
전체 주요출원인
해외 주요 출원인 국내 주요 출원인
182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BANK OF AMERICA
▪ 미국 기업으로,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기술과 관련하여 19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와 작동
System for implementing a
US 10475030 가능하게 연결된 시스템이 지불 거래의
distributed ledger across 35 1
(2016.02.22) 검증을 위해 블록체인 분산 네트워크를
multiple network nodes
사용하는 기술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같은 분산 검증
System for managing
US 9979718 네트워크의 블록/하위 구성요소와
security and access to 22 1
(2016.05.11) 관련된 리소스에 대한 액세스 및
resource sub-components
보안을 관리하는 기술
Blockchain architecture for
최적화된 시스템 성능 및 데이터
US 10956075 optimizing system
저장을 위한 블록체인 아키텍처에 관한 12 1
(2018.02.02) performance and data
기술
storage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Facilitating practical
컨센서스 노드에 의해 뷰 변경의
US 11036721 byzantine fault tolerance
타임아웃 전에 종료되는 타이머를 0 16
(2020.10.12) blockchain consensus and
설정하는 기술
node synchronization
System and method for
US 10877829 뷰 변경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저장
ending view change 2 11
(2020.06.16) 매체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protocol
System and method for 블록체인 기반의 분산식별자 인증을
US 10873463
decentralized-identifier 위한 컴퓨터 저장 매체에 인코딩된 8 5
(2020.01.06)
authentication 컴퓨터 프로그램
183
전략제품 현황분석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US 10722649 Blockchain consensus node 블록체인에서 합의 노드를 선택하는
3 22
(2019.12.20) selection 기술
Facilitating practical
컨센서스 노드에 의해 뷰 변경의
US 10803052 byzantine fault tolerance
타임아웃 전에 종료되는 타이머를 5 16
(2019.04.22) blockchain consensus and
설정하는 기술
node synchronization
실용적 비잔틴 폴트 톨러런스 의견 일치 노드에 의해서, 뷰 변경한
JP 6727630
블록 체인의 의견 일치 및 타임 아웃 전에 끊어지는 타이머를 0 16
(2018.11.07)
노드 동기한 촉진 설정하는 기술
코인플러그
▪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과 미국을 위주로 6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공개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US 사용자가 운용하는 사용자 단말에서
Certificate issuing system
2021-0314313 인증서별 공개키와 인증서별 개인키를 0 4
based on block chain
(2021.06.21) 직접 생성하는 기술
탈중앙화 아이디 앱을
KR 탈중앙화 아이디(decentralized
이용하여 인증 서비스를
2021-0095093 identity; DID)) 앱을 이용하여 인증 0 3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2021.06.28)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탈중앙화 아이디 인증 서버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엔티티들의 DID를 발급하여 주며,
KR 관계성 탈중앙화 아이디 특정 엔티티 DID와 타 엔티티 DID
2021-0084380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사이의 관계정보를 블록체인 0 3
(2021.06.28) 이를 이용한 블록체인 노드 네트워크의 분산원장 또는 다른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관계성 DID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
184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과 미국을 위주로 4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공개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KR
난스 증명 기반 분산합의 노드 블록체인 생성 장치의 합의노드 선정
2019-0140826 0 3
선정 방법 및 장치 기술
(2019.04.30)
KR
탈 중앙화된 비잔틴 오류 감내 탈 중앙화된 비잔틴 오류 감내 분산
2020-0144466 0 2
분산 합의 장치 및 방법 합의 기술
(2020.05.22)
하나은행
▪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을 위주로 4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공개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KR
자동차 정보 공유 장치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자동차
2020-0094985 2 1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정보를 공유하는 기술
(2019.01.31)
KR
정부 지원금 관리 시스템 및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정부
2020-0095201 0 1
그 방법 지원금을 관리하는 시스템
(2019.01.31)
KR
평판 정보를 이용한 결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평판
2020-0094408 0 1
시스템 및 그 방법 정보를 이용하여 결제하는 기술
(2019.01.30)
185
전략제품 현황분석
라. 기술진입장벽 분석
186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 주요출원인 IP 경쟁력 분석 ]
IP 경쟁력(기술성 v. 시장성)
187
전략제품 현황분석
5. 요소기술 도출
가. 특허 기반 토픽 도출
188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189
전략제품 현황분석
다.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IPC 기술트리
요소기술 후보
(서브클래스) 내용 (메인그룹) 내용
•(G06Q-010) 경영; 관리 -
•(H04L-009) 비밀 또는 보안통신을 위한 배치 -
(H04L) 디지털 정보의
전송, 예.
노드 간 최적경로 네트워크
전신통신(전신(telegraph •(H04L-012) 데이터 스위칭 네트웍
프로토콜
ic) 및 전화통신의
공통장치 H04M)
•(H04L-029) 그룹 1/00에서 H04L 27/00의 하나에도
-
포함되지 않는 배치, 장치회로 또는 시스템[5]
190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라. 최종 요소기술 도출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타부처 로드맵,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드맵 기획을 위하여 요소기술 도출
요소기술 출처
191
전략제품 현황분석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가. 핵심기술 선정 절차
핵심기술 선정 지표: 기술개발 시급성, 기술개발 파급성, 기술의 중요성 및 중소기업 적합성
[ 핵심기술 선정 프로세스 ]
② 핵심기술 ③ 핵심기술
① 요소기술 도출 ④ 핵심기술 확정
선정위원회 개최 검토 및 보완
나. 핵심기술 리스트
핵심기술 개요
192
탈중앙화 합의 알고리즘 및 플랫폼
다.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라. 기술개발 로드맵
합의 단계 최소화 및
분산합의 비용 최적화 합의기술 각 단계의 분산 합의
비용 최소화
비잔틴 오류 감내 및
Liveness 보장
탈중앙화 제어기술
탈중앙화 제어
알고리즘
대규모 노드환경에서
다계층/지능형 분산합의기술 블록체인의 처리성능
개선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된 합의 노드가
합의노드 운영 최적화 기술
증가하더라도 높은
트랜잭션 처리율 유지
193
전략제품 현황분석
(2) 기술개발 목표
합의 단계
분산합의 분산합의
O(N) 합의 비용 합의 단계 최소화 및 각
분산합의 비용 최적화 비용 비용
분산합의 최소화 단계의 분산 산.학.연
합의기술 최소화 최소화
알고리즘 기술 설계 합의 비용
기술 설계 기술 개발
최소화
비잔틴
랜덤노드 비잔틴 오류
오류 감내 합의
비잔틴 오류 선택에 감내 및
확률이 알고리즘의
탈중앙화 제어기술 감내 확률이 의한 Liveness 보장 산.학.연
보장되는 Liveness
보장 탈중앙화 탈중앙화 제어
Safety 보장
알고리즘 알고리즘
보장
다계층
다계층 다계층 병렬 대규모
다계층/지능형 분산합의 병렬 병렬 분산합의 노드환경에서
산.학.연
분산합의기술 처리성능 개선 분산합의 분산합의 및 지능형 블록체인의
구조 설계 기술 개발 분산합의 처리성능 개선
기술 개발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합의가능한 합의
합의 노드 연결된 합의
합의노드 운영 최적화 최소노드 구성 합의노드 프로토콜
구성 노드가 산.학.연
기술 및 합의 비용을 운영 설계 메시지
최적화 증가하더라도
절감 최적화
높은 트랜잭션
처리율 유지
194
전략제품 현황분석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시장 현황 및 전망 제품 산업 특징
•STO는 IPO와 비교하여 적은 비용으로 public
offering이 가능하기 때문에 중소 규모의 기업에서 자금
•(세계) 글로벌 STO 시장은 2019년도 기준 약 12억
조달 목적으로 STO를 선택
달러 이며 연평균 22.45% 성장하여 2025년까지 약
•STO는 증권 관련 규제 따르기다양한 국가에서 증권
40억 달러의 시장규모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
관련 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
•(국내) 국내에서 STO는 ICO와 마찬가지로 금지
•‘미국 증권법 예외조항’을 활용하여 대부분의 STO가
저렴하고 간단하게 진행
정책 동향 기술 동향
• 희소성을 가진 아이템을 지분으로 쪼개 배당 이익을
•미국, 캐나다, 유럽, 호주, 이스라엘 등은 STO를 규제 나눌 수 있는 상품을 만들어내기 위해 NFT와 STO를
및 법제화하고 있으며, 태국, 아랍 에미리트는 STO에 접목하는 추세
대한 규제가 부재 • 메타버스 환경에서 디지털자산에 대한 효과적인
•한국과 중국은 ICO와 STO 모두 법으로 금지 거래를 위한 탈중앙화거래플랫폼 (DEX) 활성화
• 금융시장에서 ICO의 새로운 대안으로 STO 발행
핵심 플레이어 핵심기술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 부동산, 예술품, 저작권 등 기존에는 디지털화하여 유통하기 어려웠던 자산을 STO로 발행하는 기술
개발 (실물 자산을 NFT 등의 형태로 디지털화하는 기술 2차적디지털저작권 포함 -등)
197
전략제품 현황분석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198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 데이터의 기록과 전송과정이 블록체인 네트워크 상에서 진행되어 시간적, 물리적 제약이 적기
때문에 자금 조달 과정이 IPO에 비해 용이함 또한, ICO와 달리 증권 관련 법과 규제를 따르기
때문에 투자자 보호와 투명성 확보 가능
199
전략제품 현황분석
[ 화이트 리스팅 인증 ]
구분 설명
• KYC (Know Your Customer) / AML (Anti Money Laundry)
KYC/AML • ICO의 경우 자체적으로는 KYC/AML을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거래 검증 측면에서
STO가 훨씬 안전
구분 STO ICO
목적 자금 조달 (crowdfunding)
규제 방법 기존 증권 관련 규제 적용 가능 새로운 규제안 필요
탈중앙성 낮음 높음
투자
낮음 높음
위험성
KYC/AML* O X
* KYC: Know your customer / AML: Anti money laundry
200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2) 필요성
투자자에게 법적 보호 제공
자산의 유동성 증가
201
전략제품 현황분석
나. 범위 및 분류
(1) 가치사슬
[ STO 분야 산업구조 ]
SMEs의 자금 확보 기회 제공,
저작권의 대여 및 판매 산업,
KYC/AML 확보 등이 필요한 금융 NFT, 금융, 부동산, 저작권 등
투자자의 보호가 필요한 산업 등
산업 등
- 2018년 3월, 미국증권거래위원회(SEC)는 '법에 정해진 절차와 규제를 준수하는 암호화폐 형식의
증권'을 언급함으로써 증권형 토큰이라는 개념 정립. 이후 SEC는 사업자가 증권 형태로 발행된
디지털 자산을 제공하고 이를 업무상 이유로 교환하려면, 해당 업체를 SEC에 등록하도록 하고,
투자자 보호를 위한 주요사항 및 재무제표 공시 의무를 부과하였다. 이에 따라, 미국에서는 토큰의
개념이 증권의 요건을 갖춘 ‘증권형 토큰’과 그렇지 않은 ‘유틸리티 토큰’으로 나뉘게 되었으며,
증권형 토큰의 경우는 SEC (증권거래위원회)가 상품 성격의 유틸리티 토큰은 CFTC
(상품선물거래위원회)가 각각의 규제를 분리해서 담당. SEC 절차에 따라 등록절차를 완료 후
발행하거나 ‘Securities Act of 1933(증권법)’의 예외사항에 준거 대부분은 등록면제조항을 통해서
낮은 비용과 간단한 절차로 STO 진행
202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 (한국) 증권형 토큰 기준 수립 진행 중
(2) 용도별 분류
[ NFT와 STO 비교 ]
구분 NFT STO
부동산, 저작권, 주식, 채권 등 다양한 유ㆍ무형의
대상 자산 디지털 자산
자산
관련 법 없음 증권법 적용
기반 프로토콜
ERC-721/1155 Standard ERC-1400 Standard
(이더리움 기준)
소수점 단위 거래 불가능 가능
203
전략제품 현황분석
2.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산업 분석
▪금융 및 부동산 산업뿐만 아니라, 인프라, 예술품, 소프트웨어, 에너지 등등 여러 산업으로 STO 확산
[ STO 주요 산업 수 ]
204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나. 시장 분석
(1) 세계시장
*출처: STO Market Size: The state of the Industry of Tokenization and Security Token offerings By LCX Team, 2020
39) Security Token Markert, Security Token Market Report:August 2021, 2021.09
205
전략제품 현황분석
[ 국가별 STO 수 ]
(단위 : 개)
- 유럽의 Frankfurt School Blockchain Center (FSBC)는 2024년 유럽의 STO 시장 크기는 1.5백만
달러로 예측41)
(2) 국내시장
206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3. 기술 개발 동향
기술경쟁력
▪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은 미국이 최고기술국으로 평가되었으며,
우리나라는 최고기술국 대비 67.8%의 기술 수준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고기술국과의
기술격차는 1.6년으로 분석
▪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은 최고기술국 대비 64.5%, 기술격차는 2.0년으로 평가
▪ 유럽(90.8%)>일본(70.3%)>한국>중국(64.5%)의 순으로 평가
기술수명주기(TCT)43)
▪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은 3.18의 기술수명주기를 지닌 것으로 파악
가. 기술개발 이슈
43) 기술수명주기(TCT, Technical Cycle Time): 특허 출원연도와 인용한 특허들의 출원연도 차이의 중앙값을 통해 기술
변화속도 및 기술의 경제적 수명을 예측
207
전략제품 현황분석
스타트업 중에는 NFT 파일에 대한 가치평가와 유동화를 지원하거나 NFT 자산을 담보로
암호화폐 대출을 지원하는 비즈니스 모델도 등장
◎ 탈중앙화거래플랫폼(DEX) 활성화
[ 가상경제의 발전 단계 ]
•현실경제와의 밀접한 연결
•블록체인 기반의 NFT 및 가상화페
•온라인 게임속 아이템 거래 •현실 수준의 가상(경제)환경
주요 •상품과 거래에 대한 신뢰성 개선
•상품과 거래에 대한 신뢰성 가상 및 현실 자산의 연계
내용 •모든 디지털 파일의 가상경제화 가능
한계 •가상경제 관련 제도적 장치
•NFT 파일 등에 대한 현금화(유동화)
완비
•인터넷(클라우드)
•컴퓨팅(GPU)
•인터넷 •컴퓨팅(NPU,etc)
필수 •블록체인(가상화폐)
•컴퓨팅(CIPU) •디스플레이(OLCE+)
인프라 •블록체인(NFT, DeFi, etc)
•온라인게임 •AI
•메타버스 플랫폼
•AR/VR/MR
*출처: 하나금융경영연구소
208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 이더리움 토큰 프로토콜 비교 ]
토큰
발행 토큰 특징 목적
프로토콜
209
전략제품 현황분석
▪ ERC-20으로 가치(value)가 부여된 토큰을 발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fungible token (FT)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소수점 단위로 거래가 가능
▪ ERC-1400은 증권형 토큰을 발행하는 것이 가능하며, NFT, 부동산 등 다양한 형태의 자산을 증권형
토큰으로 발행하여 소수점 단위로 거래가 가능
기타 블록체인 기반 토큰 프로토콜 개발
금융 데이터 분석 및 이상 거래 탐지 기술 필요
▪ 돈 세탁, 불법 자금 유통 등을 모니터링 할수 있는 이상 거래 탐지 기술
210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211
전략제품 현황분석
나. 생태계 기술 동향
(1) 해외 플레이어 동향
(Overstock) 미국의 쇼핑몰 오버스탁의 자회사인 tZERO는 SEC의 규정을 준수하는 증권형
토큰을 거래 할 수 있는 거래소를 개발하고, STO를 진행하여 자금 조달을 수행
▪ Overstock뿐만 아니라 tZERO 역시 증권형 토큰을 발행하였으며, 2021년 11월 약 0.8억 달러의
시가 총액을 기록
[ Nasdaq ] [ Overstock ]
[ tZero ] [ INX ]
▪ INX의 증권 토큰은 2021년 11월 약 2.4억 달러의 시가 총액을 기록하고 있으며, 이는 증권형
토큰 중 두 번째로 높은 시가 총액에 해당
212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주요 해외 IB(투자은행) STO 도입
▪ JP모건은 달러와 1:1로 교환되는 스테이블 코인인 JPM Coin을 개발하여 JP모건 내 금융 서비스의
결제수단으로 활용
(2) 국내 플레이어 동향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부동산 디지털 유동화 증권(Digital Asset Backed Securities,
DABS) 플랫폼 서비스가 출시되며 새로운 부동산 간접 투자 상품으로 증권형 토큰에 관한
관심 증가
213
전략제품 현황분석
[ 카사의 DABS 발행 절차 예시 ]
214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215
전략제품 현황분석
다.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1) 연구개발 기관
기관 소속 연구분야
(2) 기관 기술개발 동향
▪ 권한 관리 토큰 기술 연구
▪ 권한 관리 트랜잭션 기술 연구
216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4. 특허 동향
가. 특허동향 분석
[ 연도별 출원동향 ]
44) 특허출원 후 1년 6개월이 경과하여야 공개되는 특허제도의 특성상 실제 출원이 이루어졌으나 아직 공개되지 않은
미공개데이터가 존재하여 2020, 2021년 데이터가 적게 나타나는 것에 대하여 유의해야 함
217
전략제품 현황분석
[ 국가별 출원현황 ]
218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나.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1)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전체구간(2000년~2021년)
§ Security Token, Purchasing Tokenized Security, Future Federal, Holding Entity Rule, Tokenized
Security Purchased, Tokenized Security Offering, Secondary Market, Server Computer, Tokenized
Security Provides, Tokenized Security Holder, 발행 계약 코드, Blockchain Network, 단일 자산
최근구간(2013년~2021년)
1구간(2013년~2016년) 2구간(2017년~2021년)
§ Security Token, Designated Entity, Digital § Security Token, Purchasing Tokenized Security,
Verification, Recipient Mobile Device, Security Future Federal, Holding Entity Rule, Tokenized
Profile, Fund Transfer Security Purchased
219
전략제품 현황분석
[ 기술-산업 분류 분석 ]
§ (G06Q) 관리용, 상업용, 금융용, 경영용, 감독용 또는 예측용으로 특히 적합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또는 방법; 그 밖에 분류되지 않는 관리용, 상업용, 금융용, 경영용, 감독용 또는 예측용으로 특히 38
적합한 시스템 또는 방법
§ (G06F) 전기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처리(특정계산모델방식의 컴퓨터시스템 G06N) 3
§ (H04L) 디지털 정보의 전송, 예. 전신통신(전신(telegraphic) 및 전화통신의 공통장치 H04M) 3
KSIC 산업분류별 출원건수
§ (C26329) 기타 주변 기기 제조업 3
§ (C26310) 컴퓨터 제조업 1
220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다. 주요 출원인 분석
[ 주요출원인 동향 ]
전체 주요출원인
해외 주요 출원인 국내 주요 출원인
221
전략제품 현황분석
EQUITY SHIFT
▪ 미국 기업으로,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기술과 관련하여 4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보유 엔티티 규칙 및 규정을 충족하는
US 10713722 Blockchain instrument for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토큰화된 증권을 4 1
(2019.02.08) transferable equity
제공 및 구매하기 위한 기술
보유 엔티티 규칙 및 규정을 충족하는
US 10699340 Blockchain instrument for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토큰화된 증권을 4 1
(2019.07.22) transferable equity
제공 및 구매하기 위한 기술
보유 엔티티 규칙 및 규정을 충족하는
US 11094014 Blockchain instrument for
블록체인 플랫폼에서 토큰화된 증권을 0 1
(2020.07.10) transferable equity
제공 및 구매하기 위한 기술
WINKLEVOSS IP
▪ 미국 기업으로,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기술과 관련하여 3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System, method and 블록체인에 연결된 증권 및 기타 금융
US 10438290 program product for 상품에 대한 배당금을 지급하기 위해
6 1
(2018.04.23) generating and utilizing 안정적인 가치의 디지털 자산을
stable value digital assets 제공하는 기술
Systems,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for
loaning digital assets and
US 11139955 for depositing, holding 안정적인 가치 토큰의 형태로 담보를
0 1
(2019.02.20) and/or distributing 예치, 보유 및 배포하기 위한 기술
collateral as a token in the
form of digital assets on
an underlying blockchain
System, method and 블록체인에 연결된 증권 및 기타 금융
US 11017391 program product for 상품에 대한 배당금을 지급하기 위해
0 1
(2019.06.27) generating and utilizing 안정적인 가치의 디지털 자산을
stable value digital assets 제공하는 기술
222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TEMPLUM
▪ 미국 기업으로,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기술과 관련하여 3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공개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System and method of
US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화된 자산
providing unique identifiers
2019-0080407 오퍼링의 각 토큰에 포함된 CUSIP 25 2
in security blockchain-based
(2018.09.10) 고유 식별자를 생성하는 기술
tokens
System and method of
US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화된 자산
providing unique identifiers
2019-0197622 오퍼링의 각 토큰에 포함된 CUSIP 6 2
in security blockchain-based
(2019.02.25) 고유 식별자를 생성하는 기술
tokens
US System and method of 토큰 보유자를 위한 발행 주체의 이익
2019-0080404 providing a timing feature 참여 매개변수와 연관된 고유 토큰을 5 2
(2018.09.10) to token offerings 생성하기 위한 기술
주식회사 엔터프라이즈블록체인
▪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을 위주로 3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서버 장치에 의해서 수행되는
KR 2305072 복수-자산 담보부 증권형 블록체인망 상에서, 복수-자산
0 1
(2020.11.12) 토큰의 운용 지원 방법 담보부(multi-asset backed) 증권형
토큰의 운용을 지원하는 기술
서버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KR 2305070 복수-자산 담보부 증권형 블록체인망 상에서, 복수-자산
0 1
(2020.11.12) 토큰의 발행 방법 담보부(multi-asset backed) 증권형
토큰을 발행하는 기술
복수-자산 담보부 증권형 블록체인망 상에서 복수-자산
KR 2305069
토큰의 발행을 지원하는 담보부(multi-asset backed) 증권형 0 1
(2020.11.12)
플랫폼 운영자 장치 토큰의 발행을 지원하는 플랫폼
223
전략제품 현황분석
전환표
▪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을 위주로 1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공개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곽제훈
▪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을 위주로 1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공개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블록체인에 설치하는 스마트
KR 2221657 소셜임팩트본드 서비스 제공
컨트랙트(smart contract)로서 SIB 0 1
(2019.05.03) 시스템 및 그 방법
스마트 컨트랙트를 제공하는 기술
224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라. 기술진입장벽 분석
225
전략제품 현황분석
[ 주요출원인 IP 경쟁력 분석 ]
IP 경쟁력(기술성 v. 시장성)
§ (US 10438290) System, method and program product for generating and
utilizing stable value digital assets
WINKLEVOSS
§ (US 11139955) Systems, methods, and program products for loaning
IP
digital assets and for depositing, holding and/or distributing collateral as a
token in the form of digital assets on an underlying blockchain
§ (EP 3706011) Computer implemented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for
SIEMENS processing maintenance information 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using
a storage client unit
* 영향력지수(Patent Impact Indes, PII): 다른 경쟁주체의 기술수준이 고려된 특정한 주체의 ‘상대적인’ 기술적 중요도 또는
혁신성과의 가치 정보가 포함된 기술수준으로, 특허의 피인용 횟수를 특정 기술분야 내에서의 상대적인 값으로 전환시킨 지수임
* 시장확보지수(Patent Family Size, PFS): 특정 주체가 특정 기술분야에서 소수의 특정 국가에서만 시장확보를 하고자 하는지
아니면 다수의 세계 주요 국가들에서 시장확보를 하고자 하는지에 대한 분석으로, PFS가 높은 특허는 그만큼 상업적 가치가 큰
기술에 대한 특허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PFS가 높은 출원인은 세계 여러 국가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출원인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음(2020 공공 R&D 특허기술동향조사 가이드라인, 한국특허전략개발원)
* 버블크기 : 출원 특허 건 수 비례
226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5. 요소기술 도출
가. 특허 기반 토픽 도출
44개의 특허의 내용을 분석하여 구성 성분이 유사한 것끼리 클러스터링을 시도하여 대표성이
있는 토픽을 도출
227
전략제품 현황분석
228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다.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IPC 기술트리
요소기술 후보
(서브클래스) 내용 (메인그룹) 내용
NFT(Non-fungible token)
•(G06Q-020) 지불 체계, 방식 또는 프로토콜
서비스 연동 기술
(G06Q) 관리용, 상업용,
금융용, 경영용, 감독용
또는 예측용으로 특히 •(G06Q-040) 금융; 보험; 세무 전략; 법인세 또는 소득세의
-
적합한 데이터 처리 처리
시스템 또는 방법; 그
밖에 분류되지 않는
관리용, 상업용, 금융용, •(G06Q-050) 특정의 업종에 특히 적합한 시스템 또는 방법,
-
경영용, 감독용 또는 예. 공익 사업 또는 관광업 (헬스케어 인포매틱스 G16H )
예측용으로 특히 적합한
시스템 또는 방법 NFT 프로토콜(ERC-721,
•(G06Q-099) 이 서브클래스의 다른 그룹으로 분류되지 않는
ERC-1155, ERC-1400) 구현
주제사항
기술
분산신원인증(Decentralized
(H04L) 디지털 정보의 •(H04L-009) 비밀 또는 보안통신을 위한 배치
identifier, DID) 기술
전송, 예.
전신통신(전신(telegraph
ic) 및 전화통신의 •(H04L-029) 그룹 1/00에서 H04L 27/00의 하나에도
공통장치 H04M) -
포함되지 않는 배치, 장치회로 또는 시스템[5]
229
전략제품 현황분석
라. 최종 요소기술 도출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타부처 로드맵,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드맵 기획을 위하여 요소기술 도출
요소기술 출처
STO Explorer & Monitoring 기반 이상거래 탐지기술 특허 클러스터링, IPC 기술체계, 전문가추천
230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가. 핵심기술 선정 절차
핵심기술 선정 지표: 기술개발 시급성, 기술개발 파급성, 기술의 중요성 및 중소기업 적합성
[ 핵심기술 선정 프로세스 ]
② 핵심기술 ③ 핵심기술
① 요소기술 도출 ④ 핵심기술 확정
선정위원회 개최 검토 및 보완
나. 핵심기술 리스트
핵심기술 개요
•디지털화하기 어려웠던 실물 자산(저작권, 예술품, 부동산 등)을 디지털
NFT(Non-fungible token) 서비스 형태로 전환하기 위한 기술
연동 기술 •분할 할 수 없는 특징을 가진 NFT를 증권형 토큰으로 발행하여 NFT 자산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기술
•증권형 토큰은 물리적 제약 없이 언제 어디서나 거래 할 수 있기 때문에
분산신원인증(Decentralized
거래자의 신원을 최소한의 정보로 검증하기 위한 기술(Know your
identifier, DID) 기술
customer, KYC)
•STO 플랫폼을 기반으로 새로운 시장 개척 및 신규 서비스 도입을 위한
STO 플랫폼 기반 금융 빅데이터 데이터 분석 기술
분석 기술 •물리적 제약 없이 거래되어 매우 빠른 속도로 누적되는 STO 데이터를
처리하고 분석하는 기술
STO Explorer & Monitoring 기반 •STO로 발행된 토큰을 이용하여 부정한 돈을 세탁하는 시도를 탐지하는
이상거래 탐지기술 기술(Anti money laundry, AML)
231
전략제품 현황분석
다.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라. 기술개발 로드맵
분산신원인증(Decentralized 증권형 토큰 거래 연동
identifier, DID) 기술 신원 인증 기술 적용
암호학적으로 안전성이
선택적 신원 정보 기술 검증된 신원정보 노출
최소화
232
STO(Security Token Offering) 공공 플랫폼
(2) 기술개발 목표
STO 기반
분산신원
분산신원인증(Decentra 최소 정보 기반 국가별 증권형 토큰 중소기업
인증 요소 고도화 및
lized identifier, DID) 신원 인증(KYC) 신원 인증 거래 연동 신원 기술혁신
기술 정의 사업화
기술 기술 방식 분석 인증 기술 적용 개발사업
및 구현
비교
STO
STO STO플랫폼 STO 플랫폼
플랫폼
플랫폼 기반 금융 기반 금융 산학연
STO 플랫폼 기반 금융 금융 빅데이터 기반 금융
기반 수집 빅데이터 빅데이터 Collabo
빅데이터 분석 기술 고속 처리 기술 빅데이터
데이터 고속 처리 상용서비스 R&D
시범서비스
유형 분석 기술 개발 발굴
개발
STO
STO플랫폼 이상 거래 STO 플랫폼
STO Explorer & 증권형 토큰 플랫폼 산학연
연동 금융 유통 자금 기반 이상 거래
Monitoring 기반 기반 자금 세탁 유입 금융 Collabo
거래데이터 출처 분석 탐지 및
이상거래 탐지기술 모니터링(AML) 데이터 R&D
유형 정의 기술 모니터링
분석
233
전략제품 현황분석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전략 제품 관련 동향
시장 현황 및 전망 제품 산업 특징
•NFT는 예술품, 디지털 콘텐츠 등의 자산에 고유 값을
•(세계) 콘텐츠 및 엔터테인먼트 블록체인 세계 시장은
매긴 디지털 자산을 의미. NFT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19년 9,700만 달러에서 연평균 71.4%의 성장률로
플랫폼 사업 분야 중 사업화가 활발히 진행 중
’25년에는 24억 달러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전망
•이미 비즈니스 모델이 상당히 정착된 해외와 달리,
•(국내)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 및 엔터테인먼트 국내
국내에서는 시장 형성 초기 단계
시장규모는 ‘19년 32억 원에서 연평균 성장률 71.4%
• 코로나-19로 인해 의료분야에서도 환자의 데이터 식별
성장하여 ’25년 2,427억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
및 의심 환자의 접촉자 추적 기능 탑재
정책 동향 기술 동향
•2020년 정부는 가상자산에 세금을 부과하는 소득세법
•디지털 파일에 대한 소유권을 블록체인에 저장해 발행
개정. 가상자산을 실제 자산으로 인정하여 NFT와 같은
되는 대체 불가능 토큰 플랫폼 기술 개발
디지털 컨텐츠 자산 시장을 활성화를 위한 기반 마련
•불법 복제 추적 기술개발 및 이용
•블록체인 기술을 지식재산 및 산업재산권 분야에
•블록체인을 이용한 저작권 관리 기술 연구 활발
적용하려는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 중
핵심 플레이어 핵심기술
•컨텐츠 생성자에게 투명하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경제 시스템
•(해외) Tencent, Tradedoubler, Ubrich, IBM, Kodak,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해당 컨텐츠 사용시에 적정한
JCB, 이쥐치예지퇀, 중국은행, Propy, Ubitquity, Ujo 보상이 원작자에게 자동으로 배분될수 있는 스마트
music, Steemit, Decent, Colu, Spotify 컨트랙트 기술
•(중소기업) 토큰포스트, 케이체인, 삼성 SDS, 보라, •컨텐츠 불법사용을 방지하기 위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CJ올리브네트웍스, 블로터앤미디어, 픽션네트워크, 저작권 도용방지 기술 및 해킹 방지 기술
왓챠, 피블, 기프토, 유니오, 예스24 •사용자들이 쉽고 편하게 컨텐츠를 소모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Wallet 관리 기술
•공적 가시성을 위한 거래내역 추적 기술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237
전략제품 현황분석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 기존 디지털 컨텐츠 및 저작권과 관련한 문제들인 불법복제 방지, 사용권과 소유권의 다양한 적용,
중간자의 역할 변화, 신인의 활동이나 작품 유통, 마이크로 페이먼트, 광고 생태계 변화 등에 활용할
수 있어, 컨텐츠 산업에 대한 적용 가능성이 무궁무진
▪ 블록체인과 컨텐츠 산업과의 접목은 생산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한다는 점에서 다양한 역할을 할
수 있고, 중간 유통자의 수수료를 절감하여 공정하고 투명한 서비스 제공 가능
* 출처 :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2020
238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2) 필요성
기존의 컨텐츠 유통은 복잡한 중간유통 과정으로 인해 컨텐츠 생산자들의 권익이 제대로
보호받지 못했으며, 전통적인 문화산업계에서 이러한 관행을 개선할 의지가 부족
기업
사진, 저작권
주요서비스 SNS SNS 영상 스트리밍 음악 스트리밍 탈중앙화 뉴스
보호
컨텐츠 글 글 사진 동영상 음악 뉴스
239
전략제품 현황분석
나. 범위 및 분류
(1) 가치사슬
또한, 기록의 위조 및 변조가 어려운 블록체인의 기술적 특징은 저작권 관련 분쟁을 줄여,
문화 산업 전반에서의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이 감소 예상
블록체인 기반
후방산업 전방산업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2) 용도별 분류
240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3) 기술별 분류
[ 기술별 분류 ]
분류 상세 내용
블록체인 기반
컨텐츠 생성자에게 투명하게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경제를
토큰 경제
구현
시스템
스마트 효과적으로 작성된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서 컨텐츠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합리적인 비용을
컨트랙트 기술 지불하고 컨텐츠를 이용하도록 구현
저작권
블록체인상의 블록에 저작권정보를 기록하게 함으로써 최초 저작자의 권리를 보장하고,
도용방지 및
변조불가능한 블록체인의 특성을 이용한 해킹방지 가능
해킹 방지 기술
블록체인
컨텐츠의 생산자와 소비자는 각자의 고유한 개인키/공개키를 사용하여 투명하고 효과적인
기반의 지갑
컨텐츠 소모 가능
관리 기술
241
전략제품 현황분석
2.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산업 분석
▪ 블록체인은 디지털 재화의 거래에 적합하고, 인공지능 및 가상화폐와 결합하기 용이하나, 탈중앙화
및 합의에 의한 의사결정 구조가 현행 저작권 제도와 상충될 여지 존재
▪ 블록체인 생태계에서는 관리적 이슈, 법ž제도적 이슈, 기술적 이슈 관점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존재하고 있는 상황
242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게임 분야
▪ 게임 산업에 블록체인 기술이 접목될 경우, 기존의 사업 모델과 겹치지 않으면서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 용이하고, 게임 분야는 블록체인 기술을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하기에 좋은 환경이기 때문에
블록체인 기술은 게임 산업에서 특히 많은 시도가 있을 것으로 전망
광고 컨텐츠 분야
▪ 광고주들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최종 사용자가 승인하지 않으면 특정 데이터 수집을 완벽하게
거부하는 등 사용자 정보를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어 승인되지 않은 거래가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안정성 상승
243
전략제품 현황분석
저널리즘/블로그/뉴스 분야
▪ Civil, Steemit 등의 플레이어가 해당 분야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 중
가상화폐 결제 플랫폼의 확산
▪ 기존의 결제시스템은 카드, 현금, 상품권 등을 활용하여 비용을 지불을 해왔으나 가상화폐의
부상으로 가상화폐를 통한 결제가 증가. 특히 소액 결제 시스템과 블록체인의 접목으로 마이크로
페이먼트가 보다 안전하게 이루어지는 중. 이에 마이크로 페이먼트 플랫폼을 활용한 방식이 다변화
되면서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블록체인 시장이 확대
▪ 영국의 과학/기술 뉴스사이트 The Register는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의 SatoshiPay를 활용한
마이크로 페이먼트로 Geek’s Guide to Britain eBook을 판매
[ 가상 화폐 결제 플랫폼과 절차 ]
244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 Xapo는 블록체인 기반의 온라인 지갑으로 전자화폐 관리와 보안금고에 저장, 거래할 수 있는
금융서비스. 보안 시설이 스위스 알프스, 전 군용 벙커 등에 위치하여 물리적 절도에 대한 보안성과
더불어 한 장소의 보안에 문제가 생겨도 해결할 수 있도록 5대륙에 중복 글로벌 비트코인 스토리지
네트워크를 지님
245
전략제품 현황분석
나. 시장 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 출처: Blockchain Market, Businesswire, 2021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비트코인 화폐별 거래량 중 원화 점유율
2.97%52), 코인힐스, 2020을 근거로 네모아이씨지 재가공(환율:1100원/달러)
246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3. 기술 개발 동향
기술경쟁력
▪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은 미국이 최고기술국으로 평가되었으며,
우리나라는 최고기술국 대비 99.1%의 기술 수준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고기술국과의
기술격차는 0.5년으로 분석
▪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은 최고기술국 대비 86.4%, 기술격차는 1.1년으로 평가
▪ 한국>중국(96.2%)>유럽(93.8%)>일본(84.3%)의 순으로 평가
기술수명주기(TCT)53)
▪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은 4.12의 기술수명주기를 지닌 것으로 파악
가. 기술개발 이슈
[ 해외 디지털화폐(CBDC) 추진 현황 ]
53) 기술수명주기(TCT, Technical Cycle Time): 특허 출원연도와 인용한 특허들의 출원연도 차이의 중앙값을 통해 기술
변화속도 및 기술의 경제적 수명을 예측
247
전략제품 현황분석
블록체인을 통한 저작권 관리 기술
248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 블록체인을 접목한 디지털 컨텐츠 유통이 이루어질 경우, 사용자의 요청에 대한 서비스의 제공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중
게임 분야에서의 확장성 문제
▪ 이더리움의 경우, 크립토 키티에서 발생하는 트랜잭션으로 인해 이더리움 트랜잭션 속도가 15%
가량 느려진 사례가 존재
▪ 이더리움의 경우 토큰은 제공하지만 성능이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으며, 더욱이 dAapp
(distributed Application) 실행 시에 발생하는 추가적인 가스(gas) 비용은 비즈니스 설계를 매우
어렵게 함
249
전략제품 현황분석
나. 생태계 기술 동향
(1) 해외 플레이어 동향
[ Tencent의 “렛츠헌트몬스터” ]
250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Propy) Propy는 이더리움을 기반으로 부동산 거래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안전한 거래가 가능
(Ujo music) Ujo music은 사용자들이 암호화폐인 이더리움을 이용해 음원을 구입할 수 있는
곳임. 사용자가 음원을 구입하면 그 금액은 곧바로 프로듀서와 작사가, 엔지니어 등 곡
생산에 관여한 전문가들에게 배분 가능
▪ Feedbands 서비스는 아티스트가 플랫폼에 음악을 무료로 업로드하고 사용자는 자유롭게 음악을
선택해서 업로드한 음악을 듣고 투표를 할 수 있도록 함. 투표를 통해 가장 많은 호응을 얻은
뮤지션은 음반제작에 선정되며 선정된 뮤지션에 대한 펀딩을 받아 음반은 제작됨. 또한, 아티스트의
굿즈(goods)에 대한 판매도 가능
251
전략제품 현황분석
▪VIBE 토큰을 이용하여 디지털 자산의 구매, 투표 등이 가능. 이더리움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하며,
컨텐츠는 불룸메트릭(Volumemetric) 비디오를 사용한 라이브 공연을 캡처하여 제작된 결과를
스트리밍을 통해서 받고, 이런 홀로그램 컨텐츠를 통한 VR 경험을 제공
▪ Mediachain Labs은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음악의 창작물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고 컨텐츠
제작자와 저작권자 모두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는 시스템을 개발 중
252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2) 국내 플레이어 동향
(삼성 SDS)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 넥스렛져 유니버셜과 시니버스의 블록체인 솔루션
유니버설 커머스를 활용해 플랫폼 개발
253
전략제품 현황분석
[ 블록체인 기반 SNS 피블 ]
254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255
전략제품 현황분석
다.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1) 연구개발 기관
기관 소속 연구분야
•고성능 블록체인 플랫폼 기술 개발 (MS 윈도우, 애플
맥OS)
미디어연구본부, •탈중앙 합의 실행 엔진 개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차세대콘텐츠연구본부 •Smart Contract 실행 엔진 개발
•Peer-to-Peer Overlay Network 개발
•유통 컨텐츠 검색 모듈 개발
•블록체인 기반의 탈중앙화 딥러닝 플랫폼
•블록체인 부트스트래핑, 성능 및 공간 최적화
VMO(Virtual Machine
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 •엣지 컴퓨팅 환경에서의 DNN 연산 오프로딩 플랫폼
and Optimization) 연구실
•DRAM 테스트 패턴 프로그램의 변환 플랫폼
•웹 플랫폼 성능 최적화
(2) 기관 기술개발 동향
▪ 디지털 자산 거래 시스템
▪ Wallet 어플리케이션 개발
256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4. 특허 동향
가. 특허동향 분석
[ 연도별 출원동향 ]
54) 특허출원 후 1년 6개월이 경과하여야 공개되는 특허제도의 특성상 실제 출원이 이루어졌으나 아직 공개되지 않은
미공개데이터가 존재하여 2020, 2021년 데이터가 적게 나타나는 것에 대하여 유의해야 함
257
전략제품 현황분석
[ 국가별 출원현황 ]
258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나.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1)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전체구간(2000년~2021년)
§ Block Chain, 블록 체인 네트워크, 블록 체인, Digital Content, Digital Content Item, Previous Block,
Managing Medium, Block Chain Technology, 사용자 단말, Encrypted Content, Encrypted Stream,
Initialization Vector, Decrypt Block
최근구간(2013년~2021년)
1구간(2013년~2016년) 2구간(2017년~2021년)
259
전략제품 현황분석
KSIC 산업분류 결과, 다수의 특허가 유선 통신장비 제조업 산업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조사됨
[ 기술-산업 분류 분석 ]
§ (G06Q) 관리용, 상업용, 금융용, 경영용, 감독용 또는 예측용으로 특히 적합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또는 방법; 그 밖에 분류되지 않는 관리용, 상업용, 금융용, 경영용, 감독용 또는 예측용으로 특히 152
적합한 시스템 또는 방법
§ (H04L) 디지털 정보의 전송, 예. 전신통신(전신(telegraphic) 및 전화통신의 공통장치 H04M) 50
§ (G06F) 전기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처리(특정계산모델방식의 컴퓨터시스템 G06N) 49
§ (C08G)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만이 관여하는 반응 이외의 반응으로 얻는 고분자 화합물(발효 또는
효소를 사용하여 원하는 화학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합성하는 방법 또는 혼합물로부터 광학이성체를 7
분리하는 방법 C12P)
§ (H04N) 화상통신, 예. 텔레비젼 5
KSIC 산업분류별 출원건수
260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다. 주요 출원인 분석
[ 주요출원인 동향 ]
전체 주요출원인
해외 주요 출원인 국내 주요 출원인
261
전략제품 현황분석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허락 정보관리 시스템, 이용자
디지털 가상 통화의 거래에 이용되어
JP 6452156 단말, 권리자 단말, 허락
있는 블록 체인을 콘텐츠의 허여 23 6
(2015.09.03) 정보관리 방법, 및, 허락 정보
관리에 적용하는 기술
관리 프로그램
콘텐츠 유통 시스템, 콘텐츠
JP 6601624 콘텐츠의 생성시부터 안정성을
유통 방법, 콘텐츠 생성 장치 16 1
(2016.05.10) 보증하는 기술
및 콘텐츠 생성 프로그램
결제 시스템, 결제방법,
트랜잭션(transaction) 생성
JP 6628188
장치 및 블록 체인을 통한 결제 시스템 12 1
(2016.05.10)
트랜잭션(transaction) 생성
프로그램
▪ 유럽 기업으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기술과 관련하여 8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공개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KR 디지털 콘텐츠를 제어 및
디지털 콘텐츠의 송신 및 배포를
2018-0115779 배포하기 위한 블록체인 구현 4 29
제어하는 블록체인 구현 시스템
(2017.02.21) 방법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한
KR 비트코인에서 데이터(콘텐츠)를 처리,
데이터의 효율적이고 안전한
2021-0092802 저장, 공유, 검색, 작성 및 접근하는 0 6
처리, 접근 및 전송을 위한
(2019.11.27) 기술
시스템 및 방법
KR 블록체인 상에 데이터를
비트코인 블록체인과 같은 블록체인
2021-0096179 저장하는 컴퓨터 구현 시스템 0 6
상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술
(2019.11.14) 및 방법
262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MONEGRAPH, INC.
▪ 미국 기업으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기술과 관련하여 8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공개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디지털
US 10380702 Rights transfers using block
콘텐츠와 같은 미디어를 관리하는 68 2
(2015.12.30) chain transactions
시스템
US Authenticating content at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디지털
2016-0321675 an online content 콘텐츠와 같은 미디어를 관리하는 15 2
(2015.12.30) management system 시스템
US 블록체인 기술을 사용하여 디지털
Sharing content within
2016-0321676 콘텐츠와 같은 미디어를 관리하는 13 2
social network services
(2015.12.30) 시스템
비즈모델라인
▪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을 위주로 23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공개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KR
사용자 의향정보를 이용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2020-0088958 0 1
토큰 제공 방법 의향 정보를 이용한 토큰 제공 기술
(2019.01.15)
KR
블록체인 기반의 의향정보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2020-0088957 0 1
관리 방법 의향 정보를 관리하는 기술
(2019.01.15)
KR
블록체인을 이용한 사용자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2020-0088956 0 1
의향정보 처리 방법 의향 정보를 관리하는 기술
(2019.01.15)
263
전략제품 현황분석
버즈앤비 주식회사
▪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을 위주로 9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공개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KR 인플루언서 기반 게임 마케팅 서비스
2020-0139966 게임 마케팅 데이터 분석 장치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 분석 서비스 0 1
(2019.06.05) 기술
넷마블
▪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을 위주로 4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공개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하여 복수의 노드가 합의 알고리즘을 통해
KR 2283087
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에 시간 정보 또는 시간 정보가 포함된 0 1
(2019.07.10)
따른 보상 지급 방법 트랜잭션을 블록에 기록하는 기술
264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라. 기술진입장벽 분석
265
전략제품 현황분석
[ 주요출원인 IP 경쟁력 분석 ]
IP 경쟁력(기술성 v. 시장성)
MONEGRAPH,
§ (US 10380702) Rights transfers using block chain transactions
INC.
§ (KR 2289995) 데이터 저장, 데이터 검사 및 데이터 연계 방법 및 장치(data
어드밴스드 뉴
storage, data check, and data linkage method and apparatus)
테크놀로지스
씨오., 엘티디. § (KR 2228965) 블록체인 기반 스마트 계약 호출 방법과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블
록체인 기반 스마트 계약 호출 방법과 장치, 및 전자 디바이스)
* 영향력지수(Patent Impact Indes, PII): 다른 경쟁주체의 기술수준이 고려된 특정한 주체의 ‘상대적인’ 기술적 중요도 또는
혁신성과의 가치 정보가 포함된 기술수준으로, 특허의 피인용 횟수를 특정 기술분야 내에서의 상대적인 값으로 전환시킨 지수임
* 시장확보지수(Patent Family Size, PFS): 특정 주체가 특정 기술분야에서 소수의 특정 국가에서만 시장확보를 하고자 하는지
아니면 다수의 세계 주요 국가들에서 시장확보를 하고자 하는지에 대한 분석으로, PFS가 높은 특허는 그만큼 상업적 가치가 큰
기술에 대한 특허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PFS가 높은 출원인은 세계 여러 국가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출원인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음(2020 공공 R&D 특허기술동향조사 가이드라인, 한국특허전략개발원)
* 버블크기 : 출원 특허 건 수 비례
266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5. 요소기술 도출
가. 특허 기반 토픽 도출
267
전략제품 현황분석
content, digit, item, •Method and system for distributing digital content in 통해 해당 컨텐츠
peer-to-peer network 사용시에 적정한
클러스터 transact, download,
보상이 원작자에게
01 chain, block, address, •Architecture of social networking question and answer 자동으로 배분될
associ, perform platform based on blockchain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
data, block, storag, bc, •Network,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클러스터
chain, meta, pp, evid, organizing and processing data -
02
encrypt, id •Building information management system
컨텐츠 생성자에게
block, chain, content, •Transaction management device
투명하게 혜택이
클러스터 transact, data, record,
•transaction management method and transaction 돌아갈 수 있는
03 generat, oper, request,
management program 블록체인 기반의
ledger
토큰 경제 시스템
ledger, distribut, record,
클러스터 network, node, identifi, •Super cmos devices on a microelectronics system
-
04 uniqu, data, transact, •Custody support system and custody support method
content
data, block, content, •Apparatus and methods for blockchain-based
클러스터 transact, generat, verification 블록체인 거래
05 contract, store, chain, •Embedded data transaction exchange platform, 검증 및 합의 기술
dna, sns Traceability system for pet food
encrypt, block, stream,
블록체인 참여자
클러스터 content, distribut, listen,
•System and method for using a streaming protocol 식별 및
06 decrypt, iv, access,
접근통제기술
previous
•Enqueuing apparatus for asynchronous transfer mode
block, control, queue, (atm) virtual circuit merging
클러스터 블록체인 인프라
buffer, connect, drm,
07 기술
process, chain, cell, hash •Business process design assisting method and business
process design assisting device
transaction, vote, •Electronic voting system, and, control method 공적 가시성을
클러스터 transact, chain, block,
•Individual shareholder management system and 위한 거래내역
08 authent, server, data,
individual shareholder management method 추적 기술
content, termin
•Methods for producing a polyol and a polymer
polyol, mass, chain, dispersed polyol
클러스터 oxid, oxyethylen, block,
•Methods for producing a polymer dispersed polyol, -
09 polyoxyalkylen, content,
vinyl, catalyst Copolymer consisting of olefin and aromatic vinyl
compound
268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다.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IPC 기술트리
요소기술 후보
(서브클래스) 내용 (메인그룹) 내용
269
전략제품 현황분석
라. 최종 요소기술 도출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타부처 로드맵,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드맵 기획을 위하여 요소기술 도출
요소기술 출처
270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가. 핵심기술 선정 절차
핵심기술 선정 지표: 기술개발 시급성, 기술개발 파급성, 기술의 중요성 및 중소기업 적합성
[ 핵심기술 선정 프로세스 ]
② 핵심기술 ③ 핵심기술
① 요소기술 도출 ④ 핵심기술 확정
선정위원회 개최 검토 및 보완
나. 핵심기술 리스트
핵심기술 개요
컨텐츠 생성자에게 투명하게 혜택이 돌아갈 수 •블록체인의 취지에 맞게 공정하고 투명한 보상 배분 기반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경제 시스템 경제 시스템 필요
271
전략제품 현황분석
다.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라. 기술개발 로드맵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해당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컨텐츠 사용시에 적정한 보상이
상용 서비스 (웹,
원작자에게 자동으로 배분될수
메타버스 등) 개발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
사용자들이 쉽고 편하게
컨텐츠를 소모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 지갑 관리
블록체인 기반의 Wallet 관리 기술
기술
공적 가시성을 위한 거래내역
분산환경에서의 상용화
추적 기술
272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2) 기술개발 목표
컨텐츠 생성자에게
투명하게 혜택이 토큰 시뮬레이션 공정한 투명한 중소기업
공정한 토큰
돌아갈 수 있는 이코노미 수행 및 실전 검증 토큰 보상 경제 기술혁신
보상 경제 설계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 설계 개선 설계 개발사업
경제 시스템
스마트 컨트랙트를
스마트
통해 해당 컨텐츠 스마트
컨트랙트
사용시에 적정한 스마트 컨트랙트 기반 중소기업
블록체인 기반 기반 시범 서비스
보상이 원작자에게 컨트랙트 상용 서비스 기술혁신
web 3.0 서비스 (웹, 고도화
자동으로 배분될수 설계 (웹, 메타버스 개발사업
메타버스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 등) 개발
등) 개발
기술
저작물을 저작물 메타
컨텐츠 불법사용을 FT(fungible 데이터
토큰 유효성 블록체인 기반
방지하기 위한 token) 또는 템플릿 정의 저작권 중소기업
검증 및 등록을 통한
블록체인을 이용한 NFT(non-fungi 및 저작물 도용 차단 기술혁신
소유권 변동 저작권 도용
저작권 도용방지 기술 ble token) 토큰(token) 관리 개발사업
모니터링 관리
및 해킹 방지 기술 형태 디지털화 발행 기술
기반 관리 기술 개발
사용자들이 쉽고
NFT 등록
편하게 컨텐츠를 토큰 교환
블록체인 기반 및 관리 블록체인 기반 상용화기술
소모할 수 있는 가능 지갑 보안강화
지갑 관리 기술 가능 지갑 지갑 관리 기술 개발사업
블록체인 기반의 기술 개발
기술 개발
Wallet 관리 기술
산학연
공적 가시성을 위한 설계 및 분산환경에서의
DAG 테스트 상용화 Collabo
거래내역 추적 기술 구현 상용화
R&D
273
전략제품 현황분석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 디지털 자산의 투명성, 신뢰성 및 제고를 위한 공적 가시성 확보를 위해 디지털 자산이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이동할 때 그 소유권의 전부 혹은 일부가 변경된 이력을 탐지, 추적 및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
▪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관리 시스템은 신원의 부여 및 인증, 개인키 관리를 포함하는 사용자 지갑,
그리고 자산의 이동이나 거래 이벤트의 탐지 및 추적 및 이를 위한 정책을 수행하기 위한 관리 시스템을
포함, 한 걸음 더 나아가 자산 이동경로를 예상할 수 있는 예측 기술까지 포함
전략 제품 관련 동향
시장 현황 및 전망 제품 산업 특징
정책 동향 기술 동향
•금융, 부동산, 법인, 의료 등 소유권과 관련있는
•2021년 기획재정부 주관 ‘신산업 전략지원 테스크포스’ 기록들의 블록체인 기술 이용한 분산 원장 기술 개발
에 블록체인 기술이 신산업 지원 분야로 포함 •블록체인의 기술 수준. 시장은 아직은 초기 단계, 국가 간
•정보통신산업진흥원은 2021년 ‘블록체인 법제도 개선 기술 격차가 크지 않고, 아직 주목할 만한 성공사례가
방안연구 및 법령제정 지원’ 용역을 발주하여 블록체인 없는 신기술 분야
관련 법규와 하위 법령안 제정을 추진 중 •전 세계 물류 · 유통 · 의료를 담당하고 있는 글로벌
유통회사도 적극적으로 블록체인 산업에 참여 중
핵심 플레이어 핵심기술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 블록체인 기술 관련 법령 및 허용 범위와 같은 국가 차원의 기술 제도화 필요
➜ 정부의 블록체인 기술 개발을 위한 R&D 지원 및 투자 정책을 활용
➜ 대기업 및 금융회사들의 블록체인 기술 수요에 따라 협업이나 컨소시엄 구성
➜ 국내 스타트업들과 중소기업 협업을 통해 지속적이고 선제적인 기술 개발 수행
277
전략제품 현황분석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 디지털 자산이란, 개인, 기업 또는 공공기관에서 생산·수집한 문서, 그림, 사진, 동영상, 사운드 및
신호나 상품 등을 비롯하여 자산화의 가치가 있는 디지털 자료
278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2) 필요성
▪ 기존 중개 시스템의 경우 장부를 소유한 기관이나 개인이 네트워크 운영을 독점하는 경우가 생겨서
참여자의 자유로운 참가 및 탈퇴를 제한하게 되어 결국 다양한 비즈니스 창출과 아이디어의
사업화를 위한 구현에 장애물로 작용
▪ 블록체인은 참여자 모두가 동등한 권한을 가지고 의사결정 과정에 참여할 수 있고 다양한
인센티브에 따라 자발적으로 참여함으로써 중개자에 대한 수수료 지불이나 권한에 지배 받지 않고
자유로운 사업 운영 및 영위 가능
279
전략제품 현황분석
나. 범위 및 분류
(1) 가치사슬
280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2) 용도별 분류
▪ 일례로, 차량의 소유권 이전에 블록체인이 접목 가능. 차량의 소유권을 판매자에서 구매자로 넘기는
작업은 절차가 복잡
▪ 예를 들어, 자동차 업계의 경우 자동차 제조사 입장에서는 단순히 차량 생산과 판매뿐만이 아니라
차량 제조부터 폐차까지 전 주기를 관리하고 싶어함.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고객의 구매 주기에
맞춰 적재적소에 차량을 공급해야 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기 때문. 따라서, 아래와 같이
블록체인이 활용 가능
- 차량 부품 추적과 비교: 엄청나게 많은 자동차 부품을 추적하고 비교하는 작업을 블록체인을 사용해
공유 원장에 기록할 경우 많은 부분이 개선 가능
- 공급망과 비즈니스 프로세스 간소화: 1, 2, 3차로 구분되는 여러 협력업체 사이의 정보 교환
과정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할 경우 프로세스 간소화가 가능
- 차량 인도부터 폐차에 이르는 전 주기 이력 관리(공장에서 차량 출고 → 선적 → 수출 세관 통과
→ 목적지 국가 도착 → 수입 세관 통과 → 분배 센터 입고 → 대리점 인도 → 고객에게 인도 →
(점검을 위해) 서비스 센터 입고): 각 단계마다 블록체인을 활용해 거래 이력을 만들면 한 곳에서
차량의 상태를 일목요연하게 확인이 가능
281
전략제품 현황분석
2.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산업 분석
[ 건강 데이터의 저장 방식 ]
282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283
전략제품 현황분석
[ J-Link 중고거래 구조 ]
284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285
전략제품 현황분석
▪ 투명한 에너지 거래, 수요관리 최적화 등 에너지 신산업 창출, 에너지 블록체인을 통해 에너지
거래시스템 구축, 신재생에너지 거래 확산, 미래 에너지 산업 발굴을 촉진할 것으로 전망
286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나. 시장 분석
(1) 세계시장
(2) 국내시장
블록체인 기반 자동차 거래 국내시장 규모는 2019년 94억 원에서 연평균 성장률 68.4%
성장하여 2025년 2,147억 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
287
전략제품 현황분석
3. 기술 개발 동향
기술경쟁력
▪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은 미국이 최고기술국으로 평가되었으며,
우리나라는 최고기술국 대비 84.6%의 기술 수준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고기술국과의
기술격차는 1.0년으로 분석
▪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은 최고기술국 대비 74.3%, 기술격차는 1.7년으로 평가
▪ 유럽(91.1%)>한국>일본(78.4%)>중국(68.9%)의 순으로 평가
기술수명주기(TCT)62)
▪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은 3.52의 기술수명주기를 지닌 것으로 파악
가. 기술개발 이슈
▪ 금융, 부동산, 가족 관계기록, 법인, 특허, 의료 기록은 모두 소유권과 관련 있으며, 소유권 이전이
발생할 때마다 새로운 변경 내역이 기존 변경 내역 다음에 이어져 최신 상태 유지
▪ 소유권을 증명하고 사용하기 위해서는 식별이라는 개념이, 소유권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인증과
승인이라는 개념이 필요
- 식별은 자신이 누구라고 주장하는 행위이며, 인증은 실제 식별을 증명하는 행위이며, 승인은 사전에
인증된 대상에 대해 자원의 접근을 허가하는 행위
블록체인 기술 소유권
62) 기술수명주기(TCT, Technical Cycle Time): 특허 출원연도와 인용한 특허들의 출원연도 차이의 중앙값을 통해 기술
변화속도 및 기술의 경제적 수명을 예측
288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오라클 문제란 데이터가 블록체인 시스템 안으로 들어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데이터 위변조
문제를 의미. 블록체인 시스템 안정성과 보안 고도화를 위한 오라클 문제 해결 필요성이
대두
▪ 블록체인은 데이터의 위변조가 거의 불가능한 분산 저장 기술이지만, 데이터가 블록체인 안으로
들어와야 블록체인으로 관리할 수 있어서 데이터가 블록체인 안으로 들어오지 않거나, 혹은
블록체인 안으로 들어오는 과정에서 위변조가 발생한다면, 설령 그 데이터가 블록체인으로
관리된다고 할지라도 신뢰하기 어려움
▪ 오프체인 데이터가 온체인 데이터로 바뀌기 위해서는, 현실 세계와 블록체인의 중간에서 데이터를
블록체인 안에 넣어주는 사람이나 장치가 요구되며, 이러한 사람 또는 장치를 오라클이라고 정의
- 오라클 문제는 이러한 중간자 역할을 하는 사람이나 장치를 어떻게 신뢰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문제. 블록체인은 탈중앙 분산화를 추구하므로 권위를 가진 중앙이 존재하지 않음
- 따라서 블록체인에 데이터를 입력하는 중간자를 신뢰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이 필요
▪ 오라클 패러독스
▪ 오라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도입되고 있으나 확실한 해결책은 나타나지 않은 상태
289
전략제품 현황분석
도구명 분석 방법 취약점 유형 세부 작동 방식
290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나. 생태계 기술 동향
(1) 해외 플레이어 동향
▪ 대리점, 경매회사, 수리센터, 사진기사 등 다양한 업체와 전문 인력을 활용해 모든 차량의 이력을
일일이 기록,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협력업체들을 하나의 분산 네트워크에 모아 편리하고
효율적으로 차량 이력 관리할 것으로 기대
291
전략제품 현황분석
▪ 기존 고가의 저작권 보호 방식에서 벗어나 합리적인 가격과 안전한 보안방식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며
블록체인 기반의 새로운 저작권 보호 방식 제시
292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 사용자가 특정 서비스에 로그인할 때 사용자 본인이 소유한 정보가 아니라 각 서비스 사이트마다
보관/유지되는 정보에 기인하여 확인되므로 사용자 본인이 본인 정보를 소유하고 있지 못함.
SelfKey는 SSI 개념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디지털 설치 공간과 ID를 실제로 소유
293
전략제품 현황분석
▪ CarFix 플랫폼에 블록체인 기술이 도입되면 플랫폼제조사, 정비사, 전 주인에 걸쳐 기록된 차량에
관한 정보를 분산 저장하여 조작이 불가능하게 만들어 중고차 구매시 발생하는 리스크로부터 안전한
거래가 가능
294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295
전략제품 현황분석
구분 변화 내용 블록체인 활용 사례 변화 방향성
•기존 문서ㆍ정보 보안의 기술력을
•시범사업 등 정부과제 참여로 블록체인 •전자문서 유통 및
보안 바탕으로 블록체인 기술을 접목해
기술을 융합한 비즈니스 모델 제시 위변조 관련 보안
경쟁력을 강화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BaaS)으로 •클라우드라는 우위요소를 기반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메일
클라우드 컨소시엄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대한 구성, Infra-level의 매니지드 블록체인
송수신 서비스
관리, 거버넌스를 클라우드 환경에서 구현 서비스로의 확장
•Govemance Council 활용 토큰
•보상형 토큰을 통한 Application 사업 확장 •마이크로소프트:애저
기반 Application 서비스 확장
인터넷 -카카오 클레이튼, ‘클레이’ • 아 마 존 : 아 마 존
•라인 관계사 내 Application-level
-라인 링크체인, ‘링크’ 매니지드 클라우드
사업 확장
*출처: “블록체인 산업 현황 및 국외 정책 동향”,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19
296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2) 국내 플레이어 동향
▪ 마트에서 쇠고기를 구매한 소비자가 쇠고기 포장재의 바코드나 QR코드를 활용해 축산업자 및
가공업자, 중간 유통업자 등의 정보와 모든 유통경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모두
블록체인으로 관리
▪ NDS는 농축산물 이력관리 시범사업을 통해 쇠고기 유통 가정의 사육, 도축, 포장, 판매에 이르는
모든 트랜잭션을 블록체인으로 실시간 기록하고 검증했을 때 유통 이력 추적 시간이 기존 최대
6일에서 10분 이내로 단축되는 것을 확인
▪ 양사는 이러한 축산물 이력관리 시범사업의 성공적인 사례를 민간 업체가 활용할 수 있도록
2019년 하반기 중에 블록체인 기반의 식품안전이력관리 플랫폼을 구축할 예정
297
전략제품 현황분석
298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다.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1) 연구개발 기관
기관 소속 연구분야
•디바이스 DNA 기반 안전한 암호키 생성/사용/은닉
기술, 글로벌 표준(KMIP) 키관리 기술 및 이의 드론
보안 적용 기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정보보호연구본부 •양자 암호, 인공지능 학습기반 암호 등의 신규 논리
기반의 암호 설계 기술
•데이터 공유/활용 서비스 환경에서 데이터 프라이버시
보호를 위한 데이터 중심 암호 기술
(2) 기관 기술개발 동향
(티모넷)
▪ 하드웨어 기반의 안전한 암호키 관리 기술을 적용한 가상자산 보호를 위한 전자지갑 서비스 기술
개발 (2020-11-12~2022-11-11)
299
전략제품 현황분석
4. 특허 동향
가. 특허동향 분석
[ 연도별 출원동향 ]
63) 특허출원 후 1년 6개월이 경과하여야 공개되는 특허제도의 특성상 실제 출원이 이루어졌으나 아직 공개되지 않은
미공개데이터가 존재하여 2020, 2021년 데이터가 적게 나타나는 것에 대하여 유의해야 함
300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 국가별 출원현황 ]
301
전략제품 현황분석
나.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1)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전체구간(2000년~2021년)
§ Block Chain, 블록 체인, Private Key, 블록 체인 네트워크, Distributed Ledger, Recording Identifier,
Transaction Record, Smart Contract, 블록 체인 노드, Block Chain Network, Previous Block, Memory
Device, Computing Device
최근구간(2013년~2021년)
1구간(2013년~2016년) 2구간(2017년~2021년)
302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KSIC 산업분류 결과, 다수의 특허가 유선 통신장비 제조업 산업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조사됨
[ 기술-산업 분류 분석 ]
§ (G06Q) 관리용, 상업용, 금융용, 경영용, 감독용 또는 예측용으로 특히 적합한 데이터 처리 시스템
또는 방법; 그 밖에 분류되지 않는 관리용, 상업용, 금융용, 경영용, 감독용 또는 예측용으로 특히 207
적합한 시스템 또는 방법
§ (H04L) 디지털 정보의 전송, 예. 전신통신(전신(telegraphic) 및 전화통신의 공통장치 H04M) 78
§ (G06F) 전기에 의한 디지털 데이터처리(특정계산모델방식의 컴퓨터시스템 G06N) 60
§ (G16H) 헬스케어 인포매틱스, 즉. 의료 또는 건강 관리 데이터의 취급 또는 처리에 특히 적합한
9
정보통신 기술[ICT]
§ (G07C) 시간 또는 출석 등록; 기계 작업 등록 또는 표시; 난수의 발생; 투표 또는 추첨장치; 다른
4
개소에 속하지 않는 검사를 위한 배열, 시스템(system) 또는 장치
KSIC 산업분류별 출원건수
303
전략제품 현황분석
다. 주요 출원인 분석
[ 주요출원인 동향 ]
전체 주요출원인
해외 주요 출원인 국내 주요 출원인
§ Block Chain, 블록 체인, Private Key, Distributed § 블록체인 네트워크, Block Chain, 사용자 단말, 블록
Ledger, Recording Identifier, Transaction Record, 체인 노드, 단위 노드, 복수 노드, 블록 체인 기반, 생
Smart Contract 산자 단말기
304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block
US 9985964 블록체인 기반의 다단계 개인 신원
chain-based multifactor 79 38
(2016.03.28) 확인 기술
personal identity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block chain or
US 10749865 블록체인/분산원장 기반 엔티티 신원
distributed ledger-based 30 38
(2018.05.11) 검증 기술
entity identity and
relationship verif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block
US 10298571 블록체인 기반의 다단계 개인 신원
chain-based multifactor 5 38
(2018.08.21) 확인 기술
personal identity
verification
BANK OF AMERICA
▪ 미국 기업으로,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기술과 관련하여 19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System for external 호스트 시스템과 소스 시스템을
US 10135870
validation of secure 포함하는 회원 기관 간의 거래 기록 57 1
(2016.02.22)
process transactions 공유 시스템
System for implementing a
US 10475030 지불 거래의 검증을 위한 블록체인
distributed ledger across 35 1
(2016.02.22) 분산 네트워크
multiple network nodes
System for routing of
process authorization and
US 10318938 settlement to a user in 프로세스 승인 및 결제의 라우팅을
27 1
(2016.02.22) process data network 위한 블록체인 기술
based on specified
parameters
305
전략제품 현황분석
FUJITSU
▪ 일본 기업으로,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기술과 관련하여 9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공개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block
블록체인 기반의 다단계 개인 신원
EP (2016.03.29) chain-based multifactor 0 38
확인 기술
personal identity
verification
Cross-block chain
EP 3819855 interaction method and
블록체인 상호작용 방법 및 시스템 0 6
(2019.09.24) system, computer device,
and storage medium
Collaborative
EP 3528457 참가자의 로컬 관찰 각각을 기반으로
internet-of-things anomaly 0 1
(2019.02.18) 하는 이상 탐지 모델 학습
detection
비즈모델라인
▪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을 위주로 5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공개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KR
블록체인 기반 명품 유통 관리 블록체인 기반 명품의 수입, 생산 및
2020-0042093 0 1
방법 유통을 관리하는 기술
(2018.10.12)
306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삼성전자
▪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기술과 관련하여 유럽을 위주로 5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공개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User apparatus using block
US chain, block chain system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블록체인
2019-0372777 including the same and 시스템의 참여자와 통신하여 블록체인 2 3
(2019.05.24) product information 데이터를 공유하는 기술
managing method thereof
Electronic apparatus
US
managing data based on 블록체인 기반의 데이터를 관리하는
2020-0220712 0 4
block chain and method 기술
(2019.04.30)
for managing data
Electronic device for
US
providing transaction 전자 장치를 통해 탈중앙화
2021-0271508 0 3
information and operating 네트워크에게 송신되는 트랜잭션
(2021.03.02)
method thereof
넷마블
▪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을 위주로 4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공개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KR 2211698 특정 사이트에 대한 가입 이력을
글로벌 인증 계정 시스템 0 1
(2019.06.26)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는 기술
셀프 처리 쿼리에 대한 결과 정보를
KR 2151731 아이템 셀프 처리를 허용하기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게임 서버
0 1
(2019.02.27) 위한 기법 내에서 아이템에 대한 셀프 처리
요청을 대응하는 기술
KR
특정 사이트에 대한 가입 이력을
2021-0015995 글로벌 인증 계정 시스템 0 1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기록하는 기술
(2021.01.28)
307
전략제품 현황분석
라. 기술진입장벽 분석
308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 주요출원인 IP 경쟁력 분석 ]
IP 경쟁력(기술성 v. 시장성)
BLACK GOLD § (US 10749865)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block chain or
COIN distributed ledger-based entity identity and relationship verification
§ (US 10135870) System for external validation of secure process transactions
BANK OF
§ (US 10475030) System for implementing a distributed ledger across
AMERICA
multiple network nodes
* 영향력지수(Patent Impact Indes, PII): 다른 경쟁주체의 기술수준이 고려된 특정한 주체의 ‘상대적인’ 기술적 중요도 또는
혁신성과의 가치 정보가 포함된 기술수준으로, 특허의 피인용 횟수를 특정 기술분야 내에서의 상대적인 값으로 전환시킨 지수임
* 시장확보지수(Patent Family Size, PFS): 특정 주체가 특정 기술분야에서 소수의 특정 국가에서만 시장확보를 하고자 하는지
아니면 다수의 세계 주요 국가들에서 시장확보를 하고자 하는지에 대한 분석으로, PFS가 높은 특허는 그만큼 상업적 가치가 큰
기술에 대한 특허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PFS가 높은 출원인은 세계 여러 국가에서 사업을 하고 있는 출원인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음(2020 공공 R&D 특허기술동향조사 가이드라인, 한국특허전략개발원)
* 버블크기 : 출원 특허 건 수 비례
309
전략제품 현황분석
5. 요소기술 도출
가. 특허 기반 토픽 도출
310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block, chain, data, •Integrity protection for digitally coded copies 실물/디지털 자산에
클러스터 record, transaction, copi,
•Method and apparatus for optimized access of security 대한 소유권자
01 locat, object, request,
credentials via mobile edge-computing systems 등록 기술
client
data, authent, target, •Oil-based ink for electrostatic ink jet recording
클러스터 실물-디지털 정보
block, chain, record, file,
05 매핑 기술
entiti, encrypt, compris •Article information management apparatus
block, record, time,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vehicle mileage using
클러스터 chain, comput, data, blockchain 참여자 권한 설정
06 generat, transact, acquir, •Image editing apparatus, image editing program and 기술
blockchain recording medium
•Method and computer for cryptographically protecting
verif, individu, ident, control communication in and/or service access to it 공적 가시성을
클러스터 address, block, verifi,
systems 위한 거래내역
07 identifi, associ, data,
•in particular in connection with the diagnosis and 추적 기술
person
configuration in an automation
distribut, block, chain, •Payment support system and payment support method
블록체인간
클러스터 record, transact,
•System for implementing a distributed ledger across 자산연계 및
08 network, ledger, entiti,
multiple network nodes 교환서비스 기술
embodi, valid
311
전략제품 현황분석
다.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IPC 기술트리
요소기술 후보
(서브클래스) 내용 (메인그룹) 내용
(G16H) 헬스케어
인포매틱스, 즉. 의료
또는 건강 관리 데이터의 •(G16H-010) 환자 관련의 의료 또는 건강관리 데이터의
-
취급 또는 처리에 특히 취급 또는 처리에 특히 적합한 ICT
적합한 정보통신
기술[ICT]
312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라. 최종 요소기술 도출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타부처 로드맵,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드맵 기획을 위하여 요소기술 도출
요소기술 출처
313
전략제품 현황분석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가. 핵심기술 선정 절차
핵심기술 선정 지표: 기술개발 시급성, 기술개발 파급성, 기술의 중요성 및 중소기업 적합성
[ 핵심기술 선정 프로세스 ]
② 핵심기술 ③ 핵심기술
① 요소기술 도출 ④ 핵심기술 확정
선정위원회 개최 검토 및 보완
나. 핵심기술 리스트
핵심기술 개요
314
블록체인 기반 소유자 이력 관리 시스템
다.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라. 기술개발 로드맵
실물-디지털 정보 매핑
실물-디지털 정보 매핑 기술
최적화
불법 거래 데이터 탐지
불법 취득 자산 탐지 기술
식별 정확도 97% 이상
부정 거래 탐지 정확도
부정 거래 탐지 기술
97% 이상
315
전략제품 현황분석
(2) 기술개발 목표
거래내역 추적 유통 거래
자산 간 변환
및 모니터링 거래 내역 이력 추적 서비스 간 산학연
공적 가시성을 위한 및 시계열
기술 고려한 데이터 저장 기술(발행, 연동 및 Collabo
거래내역 추적 기술 데이터 저장
플랫폼 간 연동 기술 개발 사용, 전송, 활용 R&D
기술
고도화 합의) 개발
실물
실물자산의 실물-디지털
실물-디지털 데이터의 실물-디지털
실물-디지털 정보 디지털 정보 정보 매핑
정보 식별화 블록체인 정보 매핑 창업형
매핑 기술 데이터 매핑 검증 기술
수준 고도화 오라클 기술 최적화
기술 개발 개발
개발
불법 거래 불법 거래
불법 취득 자산 탐지 데이터 탐지 데이터 탐지
80% 이상 90% 이상 97% 이상 창업형
기술 식별 정확도 식별 정확도
(%) 97% 이상
부정 거래
부정 거래 탐지
부정 거래 탐지 기술 80% 이상 90% 이상 97% 이상 탐지 정확도 기술혁신
정확도 (%)
97% 이상
316
전략제품 현황분석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정의 및 범위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은 데이터와 IoT를 활용하여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와 관련 IoT 기반 기술을 등을 포함
전략 제품 관련 동향
시장 현황 및 전망 제품 산업 특징
•(세계) MarketsAndMarkets 에 따르면 블록체인 IoT
세계시장 규모는 ’19년 1억 7,780만 달러에서 연평균
•블록체인 기술의 산업 적용은 현재 다른 분야에 비해
45.1%로 성장하여 ’25년 16억 5,942만 달러로
상대적으로 낮은 편으로 확장 가능성이 많은 분야
성장할 것으로 전망
•4차 산업혁명의 진전에 따라 각종 IoT·센서 등에서
•(국내) 한국 과학기술 정보연구원에 따르면 국내
발생하는 대량의 사물인터넷 데이터가 데이터 기반
블록체인 시장은 ’19년 846억 원에서 연평균
산업·경제 활성화를 견인하는 원동력으로 작용
43.25%로 성장하여 ’25년 1조 4,707억 원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
정책 동향 기술 동향
•미국, 중국, 유럽 등 주요 국가는 ICT 기반
•사일로 현상 해결을 위해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IoT
블록체인기술 혁신 정책 수립을 추진 중
네트워크 간의 서비스 연계를 위한 IoT 분산형
•원격진료, 물류 이력관리, 농축수산물 생산이력관리 등 네트워크의 확장 기술
IoT에서 측정되는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IoT-Blockchain & 블록체인 간 데이터 연동을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시장전체가 확대될 전망으로 보이며
표준 기술 개발
관련 정책적 지원 필요
핵심 플레이어 핵심기술
•저용량 IoT 노드를 위한 블록체인(합의-저장) 기술
•(해외) IBM, IOTA, IoTeX, 스월즈, 해시그래프 •IoT 플랫폼 간 데이터 연동 기술
•(대기업) 삼성SDS, LG CNS •IoT 데이터 추출 및 오류데이터 식별 기술
•(중소기업) 뤼이드, 달리웍스, 아이콘루프 •IoT 센서기반 상태 모델링 기술
•IoT와 서비스 간 연동 처리 기술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319
전략제품 현황분석
1. 개요
가. 정의 및 필요성
(1) 정의
▪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은 데이터와 IoT를 활용하여 제공하는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와 관련 IoT 기반 기술을 등을 포함
▪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은 IoT를 활용해 제품 상태를 추적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맞춤형 관리가 가능한 블록체인 서비스를 의미
(2) 필요성
▪ 기존 IoT 기기에 저장되는 데이터의 신뢰를 제공하는 블록체인은 타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인프라
기술로 역할
320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 IoT 환경의 특성상 기존 블록체인과는 다른 형태로 접근(거래 수수료 문제, 확장성 문제)
- 기존 블록체인 플랫폼은 거래 수수료가 많이 책정되어, 상대적으로 데이터 교환이 많이 일어나는
IoT 환경에서 자주 처리되어야 하는 소액결제에 맞는 전송방법 개발
▪ IoT 환경에서는 데이터 보안이 취약하고, (사용자 개입 없이) 자율적으로 거래하기에는 안정성 및
투명성의 한계가 있어 이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IoT 블록체인 기술 필요
- IoT 플랫폼에서 데이터의 신뢰성과 자율 거래의 안전성을 보장할 수 있는 IoT용 블록체인 기술의
핵심기술(합의 및 스마트 콘트랙트) 개발 필요
321
전략제품 현황분석
- 저전력 IoT 디바이스의 리소스(저사양 CPU 성능/제한된 메모리)를 지원하는 IoT 노드 구성 기술과
IoT 라이트닝 네트워크 구성의 한계 극복
- IoT용 경량 코어/노드 인증/트랜잭션 구조 및 검증/합의/스마트 컨트랙트 기술 개발을 통한 IoT
확산 기술 확보
- 새로운 IoT 블록체인 플랫폼은 저전력(저사양 CPU 성능/제한된 메모리) 디바이스(예,Raspberry Pi
3 Kit) 위주로 구성되는 특성 때문에 기존의 블록체인(Ethereum, Hyperledger 등)과는 달리
초경량 사양으로 신규 개발 필요
- 저전력 기반 IoT 노드(게이트웨이)들의 제한된 성능으로는 기존 블록체인 엔진(Ethereum,
Hyperledger 등) 수용 불가, 현재의 IoT 노드에서 JVM(Java Virtual Machine), Middleware,
Docker 등의 탑재는 어려우며, 대규모의 PoW(Proof of Work, 작업증명) 작업도 부담
- IoT 노드들에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하여 데이터를 검증하고 위⦁변조가 불가능한 상태로 안전하고,
무결하게 저장하는 기술 신규 개발 필요
2019 글로벌 사물인터넷 시장 규모는 833조, 2022년 1,120조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며,
약 10%의 사물인터넷 기기가 블록체인화 될 것으로 예상
▪ 사물인터넷 기기의 확장과 데이터 공유, 거래를 위해서 이종 블록체인 기반의 플랫폼을 연결하고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인터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 기술 필요
▪ 네트워크 전역에 걸친 모든 IoT 디바이스에 블록체인 모듈을 빠르게 적용함으로 데이터 오라클
문제를 원천적으로 제거
322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나. 범위 및 분류
(1) 가치사슬
▪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관련 산업) ➀ IoT 의료기기를 활용한 맞춤형
원격 진료 서비스(데이터 분석부터 개별 맞춤형 진료 제공), ➁ 농·수산 식품 원산지 증명 서비스,
➂ 블록체인 기반 IoT 기기 인증 산업, ➃ 모바일 기기를 사용한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 산업
323
전략제품 현황분석
(2) 용도별 분류
324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2. 산업 및 시장 분석
가. 산업 분석
▪ (미국) Horizon Edge Insights, 블록체인 이용, IoT 네트워크의 Edge들을 서로 연결. Edge 수집
데이터를 분석, 항공기 추적, 라디오 전파 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
325
전략제품 현황분석
326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부처 주요 내용
- 2019년 민간주도 국민 프로젝트를 통해 통신사 주도 블록체인 ID/인증 네트워크 기반 서비스
과학기술 개발 및 응용 확산 및 블록체인 기반 연계 인프라 구현
정보통신부 - 블록체인 기술 발전전략 발표(‘18.6), 선제적 공공선도사업 등을 통해 블록체인 글로벌 기술
경쟁력 확보 및 활성화 기반 조성 추진70)
- ‘스마트시티 챌린지’ 사업을 통해 경기도 부천시 내 전력, 통신, 모빌리티 등 IoT에 블록체인을
국토교통부
접목 예정72)
- 블록체인 산업 기반조성 부문을 전담하고 있으며, 산업계 수요를 반영, 서비스 기반 블록체인
NIPA
전문기업 육성 및 전문 인력 양성 등을 추진
- 수입, 수출, 원산지증명 업무에 IoT 기반 블록체인 서비스 플랫폼 시범사업 수행 및 이종 플랫폼
관세청
상호운용성 확보 추진 중
327
전략제품 현황분석
나. 시장 분석
(1) 세계시장
* 출처: Blockchain IoT Market by Component, MarketsAndMarkets, 2021을 바탕으로 네모아이씨지 재추정
328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2) 국내시장
* 출처: Blockchain IoT Market by Component, MarketsAndMarkets, 2021을 바탕으로 네모아이씨지 재추정
[ 블록체인 국내시장 규모 ]
(단위 : 억 원)
* 출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329
전략제품 현황분석
3. 기술 개발 동향
기술경쟁력
▪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은 미국이 최고기술국으로
평가되었으며, 우리나라는 최고기술국 대비 86.5%의 기술 수준을 보유하고 있으며,
최고기술국과의 기술격차는 1.0년으로 분석
▪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은 최고기술국 대비 74.9%, 기술격차는 1.6년으로 평가
▪ 유럽(89.5%)>한국>중국(73.0%)>일본(65.6%)의 순으로 평가
기술수명주기(TCT)73)
▪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은 2.54의 기술수명주기를 지닌 것으로
파악
가. 기술개발 이슈
73) 기술수명주기(TCT, Technical Cycle Time): 특허 출원연도와 인용한 특허들의 출원연도 차이의 중앙값을 통해 기술
변화속도 및 기술의 경제적 수명을 예측
330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 기존의 식별 체계는 중앙의 식별 체계를 담당하는 식별 공급자 중심으로 공급자 시스템이 취약점을
가지고 있을 경우 식별 체계가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 위험 존재
▪ 블록체인의 다양한 산업분야 활용을 위해서는 공정한 데이터 거버넌스 설정이 필요성이 증대되며
시스템의 신뢰성 및 상호연동을 통한 확장성의 필요성이 높아짐
331
전략제품 현황분석
▪ 서로 상이한 블록체인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 기기간의 원활한 자산 교환과 비즈니스 계약 연동을
위해서 블록체인을 연결하고 더 큰 생태계를 만드는 인터블록체인 기반 IoT 기술 개발 필요
▪ 다양한 H/W폼팩터를 가지는 IoT 디바이스를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블록체인 S/W
이식성 확보
▪ 종단간 블록체인 네트워크는 완전한 데이터의 무결성을 확보하여 블록체인 데이터 오라클(Oracle)
문제 해결
▪ 코드수준 dApp 호환을 위한 S/W 어댑터 확보. x-ETH 통합형 블록체인 dApp 호환성 도구 개발
및 제공 필요
332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나. 생태계 기술 동향
(1) 해외 플레이어 동향
▪ 블록체인 기술을 포함한 IoT 플랫폼인 ‘IBM Watson IoT’를 제공 중이며, 식품·의약·무역 등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개념증명과 연구개발 수행
▪ 리테일 업체 월마트와의 파트너십을 맺고, 식품 공급망의 효율성을 개선하고 실시간 데이터 산출을
위해 Watson IoT 센터와 블록체인을 활용하고자 함
74) Rachel Wolfson, “IBM pilot blockchain and IoT sensor solution to track sustainable groundwater use in California”,
Forbes, 2019.02.08
333
전략제품 현황분석
75) Ray Battrick, “IOTA and Volkswagen Join Forces to Launch Blockchain-Enabled Cars, business blockchain HQ,
2018.11.11
334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As-Is
구분
ADEPT(IBM) Tangle(IOTA)76)
스마트 컨트랙트 O X
검증 시간 Several minutes minutes
ID/Key 관리 O X
사용자 인증 Enrolment certificates Digital Signatures
디바이스 인증 X X
CrosschIoTn X X
TX throughput Thousands TPS 7-12 TPS
지연시간
(single confirmation for a Less than Bitcoin & Ethereum minutes ~ Hours
TX)
76) Imran Makhdoom, Mehran Abolhasan, HIoTder Abbas, Wei Ni, “Blockchain’s adoption in IoT: The challenges, and a
way forward”, Journal of Network and Computer Applications 125 (2019), 251-279
335
전략제품 현황분석
[ 해시그래프 주요 기술 및 사례 ]
특징 주요 내용
•해시그래프는 특정 사용자가 거래의 순서를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특정 사용자가 시스템에 입력되는
거래를 저지하거나 멈출 수 없으므로 공정함
공정성 •블록체인 시스템에서는 만약 다수의 채굴자가 특정 거래를 블록에 포함시키는 것을 거부할 경우, 한
개 또는 두 개의 채굴 기간까지 처리가 지연될 수 있으며, 블록체인의 대안으로 리더형이 있는데, 이
경우 다음 지도자가 선정될 때까지 지연 시간이 굉장히 오래 걸릴 수 있음
336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2) 국내 플레이어 동향
(에이치닥) 퍼블릭 블록체인 메인넷에 다수의 프라이빗 블록체인이 사이드체인 형태로 복수로
연결되는 사물인터넷 기반 블록체인 기술 개발
[ 국내 블록체인 기업 사례 ]
기업 주요 내용 한계점
•5대 플랫폼 사업과 연계한 데이터 신뢰도와
•IoT 단말 및 통신 요소에 고유 ID를 부여 및
보안성을 해결하기 위한 용도로 적용중이며, 새로운
KT 블록체인에 저장 후 스마트 컨트랙트를 인증에
생태계의 구축이나 실세계 산업 영역으로의
활용하여 IoT 서비스 구간 내 보안 확보
확장하는데 적용되고 있지 못함
•건설 중인 스마트홈에 블록체인을 적용하여
•기기인증, 해킹방지, 보안시스템과 같은 제한된
현대BS&C 관리 시스템 해킹 방지 및 보안 유지에 적용
분야에서 대체기술로 블록체인 기술 활용
예정
•IoT장치 관리 및 제어에 신뢰성을 위한 블록체인과
•지능형 IoT 플랫폼 구현을 위한 블록체인 기반 IoT 플랫폼 레벨에서 연동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나,
달리웍스
IoT 신뢰성 제어 및 관리 핵심 기술 개발 블록체인의 경량화를 통한 IoT장치 레벨에서
블록처리는 이뤄지지 않음
•블록체인간 거래를 연계하기 위한 Blockchain
•블록체인간 연계를 통한 블록체인 네트워크 확장을
Transmission Protocol(BTP)를 가지고 있으며
아이콘루프 목표로 하고 있으나, 금융분야에 집중되고 있으며
암호화폐 세계뿐만 아니라 현실세계에 적용하는
아직 현실세계에 적용되지는 못함
것을 목표로 하고 있음
•자체적으로 보유한 블록체인 플랫폼 •금융과 물류 시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BaaS
‘넥스레저’를 기반으로, BaaS(Blockchain as a 플랫폼으로 기존 서비스에 블록체인 기술 적용하기
삼성SDS service)로 확장 계획 위한 용도의 서비스를 제공
•기업용 블록체인인 ‘넥스레저 유니버설’을 통해 •기존 블록체인 기술한계를 극복하거나 새로운
블록체인 간 연결 시도 형태의 서비스는 아님.
•디지털 인증/커뮤니티 화폐/공급망 관리 서비스를
•올해 BaaS 서비스 출시를 목표
제공하여 핀테크 산업, 거래 관리등 기존
LG CNS •기업용 블록체인 플랫폼인 모나체인을 기반으로
블록체인이 적용된 산업에서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BaaS 형태로 지원되는 방향으로 추진
형태임
337
전략제품 현황분석
예산
수행기관 과제명 주요 내용 및 특징
(억원)
포항
분산 자율 IoT 플랫폼을 위한 분산 IoT 상 프라이빗 블록체인 지원을 위한
공대 6
고성능/고신뢰 블록체인기술 개발 고성능 합의 기술 개발
338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다. 국내 연구개발 기관 및 동향
(1) 연구개발 기관
기관 소속 연구분야
(2) 기관 기술개발 동향
▪ 개인정보에 대한 안전한 처리 기술
339
전략제품 현황분석
340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4. 특허 동향
가. 특허동향 분석
[ 연도별 출원동향 ]
77) 특허출원 후 1년 6개월이 경과하여야 공개되는 특허제도의 특성상 실제 출원이 이루어졌으나 아직 공개되지 않은
미공개데이터가 존재하여 2020, 2021년 데이터가 적게 나타나는 것에 대하여 유의해야 함
341
전략제품 현황분석
[ 국가별 출원현황 ]
342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나. 주요 기술 키워드 분석
(1) 기술개발 동향 변화 분석
전체구간(2000년~2021년)
§ Iot Device, Thing Device, Blockchain Network, Blockchain Transaction, Distributed Ledger, Public Key,
Private Key, Block Chain, Blockchain Smart Contract, Facilitate Secure Operation, Bitcoin Blockchain,
Blockchain Node, 블록 체인 네트워크
최근구간(2013년~2021년)
1구간(2013년~2016년) 2구간(2017년~2021년)
§ Control Instruction, Public Key, 상호 연결, 단위 § Iot Device, Thing Device, Blockchain Network,
노드, 복수 노드, 복수 사물, Wireless Blockchain Transaction, Private Key, Distributed
Communication Network, 복수 단위 노드, 상호 Ledger, Blockchain Smart Contract, Facilitate
인증 확인, 블록 체인 인증, 고유 기능 Secure Operation, Bitcoin Blockchain
343
전략제품 현황분석
KSIC 산업분류 결과, 다수의 특허가 유선 통신장비 제조업 산업으로 분류되는 것으로 조사됨
[ 기술-산업 분류 분석 ]
344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다. 주요 출원인 분석
[ 주요출원인 동향 ]
전체 주요출원인
해외 주요 출원인 국내 주요 출원인
345
전략제품 현황분석
NCHAIN HOLDINGS
▪ 유럽 기업으로,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기술과 관련하여 16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공개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US 11128607 Operating system for 블록체인 운영 조정 및 제어하기 위한
16 13
(2017.04.28) blockchain iot devices 운영 체제
EP 3491779 Blockchain-implemented 블록체인 리소스의 사용 및 액세스를
0 6
(2017.07.21) method and system 제어하기 위한 솔루션
US
Blockchain-implemented
2019-0172057 블록체인 트랜잭션을 수정하는 기술 18 7
method and system
(2017.07.21)
▪ 미국 기업으로,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기술과 관련하여 12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사물 인터넷(IoT) 네트워크에서 에지
US 10819684 Cognitive blockchain for
장치에 의해 캡처된 에지 데이터를 14 1
(2017.11.24) internet of things
제어하는 기술
US 10686611 Data anonymizing 암호화된 IoT 데이터를 블록체인에
14 1
(2017.11.24) blockchain system 트랜잭션으로서 저장하는 기술
Method and framework for
protocol to optimize edge IoT에 대한 컨텍스트 전파를 사용하여
US 10644959
side dynamic response 에지 측 동적 응답 시스템을 1 1
(2017.01.25)
system with context 최적화하기 위한 기술
propagation for iot
346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BAO TRAN
▪ 이스라엘 기업으로,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기술과 관련하여 11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프로세서에 연결된 카메라 및 무선
US 9849364
Smart device 트랜시버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IoT) 231 1
(2017.05.03)
운영 시스템
프로세서에 연결된 카메라 및 무선
US 10046228
Smart device 트랜시버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IoT) 111 1
(2017.05.12)
운영 시스템
프로세서에 연결된 카메라 및 무선
US 10022613
Smart device 트랜시버를 이용한 사물 인터넷(IoT) 82 1
(2017.05.12)
운영 시스템
코인플러그
▪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과 유럽을 위주로 8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Method for paying cost of iot
US 11004044 device based on blockchain, and IoT 장치 및 디지털 지갑으로
14 7
(2018.05.09) server, service providing device, 결제 결과를 제공하는 기술
and digital wallet using the same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 및 이와
연동하는 머클 트리 구조를 통해 사물 사용자 전자 지갑의 인증서를
KR 1919590
인터넷 기기에 대한 비용을 결제하는 블록체인 데이터베이스에 2 4
(2017.05.10)
방법, 이를 이용한 서버, 서비스 제공 등록하고 관리하는 기술
단말, 및 사용자 전자 지갑
347
전략제품 현황분석
스마트엠투엠
▪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을 위주로 3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공개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반 iot
KR 2295471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반 IoT
디바이스의 토큰 인증 및 인가 0 1
(2019.12.12) 디바이스의 토큰 인증 및 인가 시스템
방법 및 시스템
서강대학교
▪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기술과 관련하여 한국을 위주로 3건의 특허를
출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됨
[ 주요특허 리스트 ]
IP 경쟁력
등록/공개번호
명칭 기술적용분야 피인용 패밀리
(출원일)
문헌수 국가수
거래 검증시 각 거래에 대한 정보에
블록체인 기반 iot 환경에서의 기초하여 다차원 색인
KR 2232641 다중 검색을 지원하는 데이터 구조(multidimensional index
2 3
(2018.12.13) 구조체를 이용한 검색 방법 및 structures)를 형성하는 인덱스
그 방법에 따른 장치 트리(index tree)에 블록 데이터를
노드로 추가하는 기술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KR 2177794 환경에서의 디바이스 분산 사물인터넷 블록체인 환경하에서의
0 2
(2018.12.26) 인증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바이스 분산 인증 시스템
디바이스 분산 인증 시스템
KR 사물 인터넷 환경을 위한 동적
블록이 유효하면 블록체인 저장소에
2020-0081533 블라인드 투표기반의 블록체인 0 2
블록을 연결하여 저장하는 기술
(2018.12.27) 합의방법
348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라. 기술진입장벽 분석
349
전략제품 현황분석
[ 주요출원인 IP 경쟁력 분석 ]
IP 경쟁력(기술성 v. 시장성)
350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5. 요소기술 도출
가. 특허 기반 토픽 도출
351
전략제품 현황분석
blockchain, transact,
클러스터 resourc, iot, payment,
•Blockchain-implemented method and system -
01 manag, id, digit, wallet,
plural
iot, event, blockchain,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television guides
클러스터 data, associ, transaction, and program rules
-
03 sensor, dht, transact, •Blockchain-based central repository and analytical
comput platform for communications in the internet of things
iot, network, blockchain, •Type naming and blockchain for the sub-objects of a
클러스터 authent, ident, request, IoT 디바이스 식별
composite object in an internet of things network
04 ledger, node, communic, 기술
data •Object identification for groups of iot devices
•Automated transaction protocol linking renewable
352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다. 특허 분류체계 기반 요소기술 도출
IPC 기술트리
요소기술 후보
(서브클래스) 내용 (메인그룹) 내용
353
전략제품 현황분석
라. 최종 요소기술 도출
산업·시장 분석, 기술(특허)분석, 전문가 의견, 타부처 로드맵, 중소기업 기술수요를 바탕으로
로드맵 기획을 위하여 요소기술 도출
요소기술 출처
354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6. 전략제품 기술로드맵
가. 핵심기술 선정 절차
핵심기술 선정 지표: 기술개발 시급성, 기술개발 파급성, 기술의 중요성 및 중소기업 적합성
[ 핵심기술 선정 프로세스 ]
② 핵심기술 ③ 핵심기술
① 요소기술 도출 ④ 핵심기술 확정
선정위원회 개최 검토 및 보완
나. 핵심기술 리스트
핵심기술 개요
355
전략제품 현황분석
다. 중소기업 기술개발 전략
라. 기술개발 로드맵
타당한 센서기반 상태
IoT 센서기반 상태 모델링 기술
데이터 활용
356
IoT 데이터 저장 및 처리를 위한 블록체인 시스템
(2) 기술개발 목표
저용량/다종
10여종의
IoT 노드 저용량
저용량 IoT 노드를 위한 샘플링을 IoT 기기 간 IoT 기기 간
특성을 고려한 IoT기기 간
블록체인(합의-저장) 통한 데이터 데이터 저장 실시간 데이터 산학연
노드 간 분산 합의기술
기술 저장기술 및 합의 저장 및 합의
저장 및 합의 개발
기술
기술 최적화
시계열
IoT 기기 시계열 IoT 플랫폼 목표 의도에
데이터의
IoT 플랫폼 간 데이터 특성을 고려한 데이터 생성 간 데이터 따른 타당한
IoT 플랫폼 상용화
연동 기술 시계열 데이터 및 저장 상호 처리 시계열 데이터
간 변환 및
연동 고도화 기술 및 인증 처리
연동
실제 데이터와 실제 데이터와
IoT 데이터 추출 및 측정 데이터 간 측정 데이터 간
80% 이상 90% 이상 97% 이상 창업형
오류데이터 식별 기술 오류 식별 정확도 97%
정확도 (%) 이상
샘플링을
IoT 센서기반
통한 센서기반 센서기반 타당한 센서기반
IoT 센서기반 상태 상태 특성을
센서기반 상태 데이터 상태 모델링 상태 데이터 기술혁신
모델링 기술 고려한 데이터
상태 데이터 분포 추정 및 검증 활용
모델링
표현
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