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0년 전기설비기술기준 질의회신 사례집 PDF
2020년 전기설비기술기준 질의회신 사례집 PDF
질 의・회신사례집
2020. 11.
발 간 사
감사합니다.
2020. 11
사단법인 대한전기협회
목 차 1
목 차
1. 기술기준 제정 ································································································· 13
2. 기술기준 체계 ································································································· 13
3.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정 범위 ················································· 13
4. 한국전기설비규정(KEC) ·············································································· 18
1. KEC(한국전기설비규정)의 구성 개요 ···················································· 25
2. KEC 제1장 (공통사항) ·············································································· 29
3. KEC 제2장 (200 통칙) ············································································· 43
4. KEC 제2장 (211 감전에 대한 보호) ····················································· 49
5. KEC 제2장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 55
6. KEC 제2장 (213 과전압에 대한 보호) ················································· 65
7. KEC 제2장 (214 열 영향에 대한 보호) ··············································· 75
8.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배선설비) ······························ 83
9.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조명설비) ······························ 89
10.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허용전류) ····························· 95
2 목 차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10. 기타사례
Ⅰ. 전기사업법상 기술기준 개요
기술기준 개요 13
1. 기술기준 제정
2. 기술기준 체계
3.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정 범위
“1. 전기설비” 구성
제1장 총 칙 (제1조~제43조)
제1절 통칙 (제1조~제2조)
제2절 전선 (제3조~제11조)
제3절 전로의 절연 및 접지 (제12조~제27조)
제4절 기계 및 기구 (제28조~제43조)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제44조~제56조)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3장 전선로 (제57조~제152조)
제1절 통칙 (제57조~제67조)
제2절 저압 및 고압의 가공전선로 (제68조~제93조)
제3절 옥측전선로․옥상전선로․인
(제94조~제103조)
입선 및 연접인입선
제4절 특고압 가공전선로 (제104조~제135조)
제5절 지중 전선로 (제136조~제142조)
제6절 터널 안 전선로 (제143조~제144조)
제7절 수상전선로 및 물밑전선로 (제145조~제146조)
제8절 특수 장소의 전선로 (제147조~제152조)
제4장 전력보안 통신설비 (제153조~제165조)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166조~제250조)
제1절 옥내의 시설 (제166조~제216조)
제2절 옥외의 시설 (제217조~제225조)
제3절 터널․갱도 기타 이와 유사한
(제226조~제230조)
장소의 시설
기술기준 개요 15
제1장 총 칙 (제1조~제3조)
제2장 보일러 및 부속설비 (제4조~제44조)
제3장 압력용기 및 부속설비 (제45조~제82조)
제4장 배관 및 부속설비 (제83조~제96조)
제5장 증기터빈 및 부속설비 (제97조~제102조)
제6장 가스터빈 및 부속설비 (제103조~제108조)
제7장 내연기관 및 부속설비 (제109조~제114조)
제8장 액화가스 연료연소설비 (제115조~제123조)
제9장 연료전지설비 (제124조~제128조)
제10장 탈황, 탈질설비 (제129조~제134조)
제11장 가스화로설비 및 부속설비 (제135조~제159조)
16 기술기준 개요
제1장 총 칙 (제1조~제2조)
제2장 댐 (제3조~제21조)
제1절 일반사항 (제3조~제12조)
제2절 콘크리트 중력댐 (제13조~제16조)
제3절 아치댐 (제17조~제19조)
제4절 필댐 (제20조~제21조)
제5절 조력발전 구조물 (제21의 2조~제21의 5조)
제3장 수로 (제22조~제36조)
제4장 수차 및 기타설비 (제37조~제41조)
제1장 총 칙 (제1조~제3조)
제2장 용접시공법 (제4조~제19조)
제3장 보일러 (제20조~제37조)
제4장 압력용기 (제38조~제55조)
제5장 배관 (제56조~제75조)
제6장 액화가스 연료연소설비 (제76조~제94조)
제7장 가스화로설비 (제95조~제121조)
기술기준 개요 17
제1조 목적
제2조 용어의 정의
제3조 적용 범위
제4조 안전조치
제5조 급경사지 붕괴의 방지
제6조 항공장애 표시등 시설
제7조 접근시설의 안전조치
제8조 피뢰설비
제9조 풍력터빈의 구조
제10조 풍력터빈의 선정
제11조 잠금장치의 시설
제12조 풍력터빈의 강도계산
제13조 풍력터빈 정지장치의 시설
제14조 계측장치의 시설
제15조 풍력터빈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구조
제16조 풍력터빈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구조, 성능 및 시설조건
제17조 풍력터빈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강도계산
제18조 풍력터빈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기초
제19조 제어장치의 시설
제20조 보호장치의 시설
제21조 화재방호설비 시설
제22조 주전원 개폐장치
18 기술기준 개요
4. 한국전기설비규정(KEC)
가. 한국전기설비규정의 개요
나. 한국전기설비규정의 제정 배경
다. 한국전기설비규정의 구성
한국전기설비규정(KEC)
전기철도의 보일러 및
일반사항 안전을 위한 보호 안전을 위한 보호 전기저장장치 댐
전기방식 부속설비
전기철도의 압력용기 및
전선 전선로 접지설비 태양광발전설비 수로
변전방식 부속설비
배선 및 전기철도의 배관 및 수차 및
전로의 절연 전선로 풍력발전설비
조명설비 등 전차선로 부속설비 기타설비
발전설비 액화가스
비파괴검사 연료연소설비
탈황, 탈질설비
가스화로 및
부속설비
“제1장 공통사항” 구성
“제2장 저압 전기설비” 구성
“제4장 전기철도설비” 구성
“제5장 분산형전원설비” 구성
705 댐 (705 댐)
Ⅱ. KEC 주요내용
1. KEC(한국전기설비규정)의 구성 개요
제 목 1. KEC(한국전기설비규정)의 구성 개요
□ 한국전기설비규정이란?
□ KEC 전체 구성 체계
[그림 1] KEC 전체 구성
26 1. KEC(한국전기설비규정)의 구성 개요
□ KEC의 전기설비 분야 구성 개요
풍력설비의 시설
□ 제1장의 구성
KEC (100 총칙)은 KEC 전체의 목적과 적용범위를 규정하고 있다. 전기사업법 제67
조(기술기준)에서 전기설비의 안전관리를 위해 필요한 기술기준을 정하여 고시하도
록 정하고 있으며,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기술기준의 제정)에서 기술기준의 구체적
제정방향을 제시 하고 있는데, 그 내용을 보면 ①사람이나 다른 물체에 위해 또는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고, ②내구력의 부족 또는 기기 오동작에 의하여 전기 공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도록 함은 물론, ③다른 전기설비 그 밖의 물건의 기능에 전
기적 또는 자기적인 장해를 주지 아니하도록 하며, ④특히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
및 신기술·신공법의 개발·활용 등에 지장을 주지 않게 정하도록 하고 있다.
30 2. KEC 제1장 (공통사항)
[표 2] 저압 및 고압의 전압범위 변경
[그림 2] 안전을 위한 보호
Ⅱ. KEC 주요내용 33
[표 3] 전선의 식별
교류(AC) 도체 직류(DC) 도체
상(문자) 색상 극 색상
L1 갈색 L+ 적색
L2 흑색 L- 백색
L3 회색 중점선
청색
N 청색 N
보호도체 녹색-노란색 보호도체 녹색-노란색
[참고] KS C IEC 60445
[표 4] 저압 전로의 절연저항 값
보호도체 및 보호본딩도체의
접지도체 최소단면적 (㎟) 보호도체 최소단면적 (㎟), 구리
최소단면적 (㎟), 구리
케이블의 일부가 아니거나
설비 상도체 상도체와 재질이
구리 철 상도체와 공통으로 수납되어
단면적 S 같은 보호도체
있지 않은 경우
6 50 기계적 손상에 기계적 손상에
S ≦ 16 S
접지도체에 LPS가 접속된 때 16 < S ≦ 35 16 대한 보호 있음 대한 보호 없음
S > 35 S/2
16 50 2.5 4
ㅇ건축구조물 외부 인입 각종 금
감전보호용 속제 배관 본딩(인입구 부근에서
보호등전위본딩
등전위본딩 접속)
(KEC 143.2.1)
(KEC 143) ㅇ건축물ㆍ구조물의 철근,
철골 등의 금속보강재 등
피뢰시스템
등전위본딩 금속설비 등전위본딩 구조물에 접속된
( K E C (KEC 153.2.2) 외부도전부의 본딩
153.2)
손상의 원인 ;
구조물에 뇌격
구조물 근방에 뇌격
구조물에 접속된 시설물
에 뇌격
장비
시설물
(수도관 등
Id Ip
정보통신선 Ie 저압 배전망의 전원선
[범 례]
1 수뢰도체
2 지붕 난간의 금속 덮개
3 강철 보강봉
4 보강용 철근에 중첩시킨 메시도체
5 메시도체의 접속
6 내부 본딩 바에 대한 접속
7 용접과 죔쇠에 의한 접속
8 단독 접속
9 콘크리트 내의 강철 보강재
(메시도체에 중첩)
10 환상 접지극
11 기초 접지극
a 메시도체를 중첩시키는 5 m의
전형적인 거리
b 메시도체를 보강재에 접속하는
1 m의 전형적인 거리
□ 제2장의 구성
□ 200 통칙
○ 201 적용범위
○ 203 계통접지의 방식
1) TN 계통
2) TT 계통
3) IT 계통
기호 설명
중성선(N)
보호도체(PE)
중성선과
보호도체 겸용(PEN)
[그림 1] 계통접지의 여러 가지 방식
46 3. KEC 제2장 (200 통칙)
① 누전시 단락전류의 크기
TN 계통은 그림 2a와 같이 누전고장시 단락상태가 되어 매우 큰 고장전류가 흘러 위험한
반면, TT 계통은 그림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전시 고장전류는 R3 → R2 를 통해 흐르므
로 접지저항 값에 의해 제한된다.
② 뇌서지의 영향 비교
③ 감전에 대한 보호
□ 210장의 구성
□ 감전에 대한 보호
1) 기본보호
2) 고장보호
3) 특별저압에 의한 보호
[표 1] 감전보호를 위한 방법
고장시 최대 차단시간(s)
공칭전압
교류 직류
(V)
TN TT TN TT
120V < ≦ 230V 0.4 0.2 5 0.4
230V < ≦ 400V 0.2 0.07 0.4 0.2
Ⅱ. KEC 주요내용 51
× ≤ 여기서 : 고장루프임피던스
: 정해진 시간 내에 보호장치를 자동차단시키는 전류
: 공칭전압
① TN-S 계통
② TN-C 계통
③ TN-C-S 계통
○ TT 계통의 전원자동차단에 의한 보호
× ≤
② TT계통의 접촉전압
□ 과전류에 대한 보호의 원칙
○ 선도체의 보호
○ 중성선의 보호
TN 또는 TT계통에서
○ 중성선 차단 및 재폐로
□ 과전류보호장치의 종류 및 특성
○ 과전류보호장치의 종류
2) 과부하만을 보호하는 장치
○ 과전류보호장치의 특성
[표 1] 퓨즈(gG)의 용단특성
정격전류의 배수
정격전류의 구분 시 간
불용단전류 용단전류
정격전류의 배수
정격전류의 구분 시 간 (모든 극에 통전)
부동작 전류 동작 전류
형 순시트립범위
B 3In 초과 ~ 5In 이하
C 5In 초과 ~ 10In 이하
D 10In 초과 ~ 20In 이하
비고 1. B, C, D: 순시트립전류에 따른 차단기 분류
2. In: 차단기 정격전류
□ 과전류보호장치의 조건
≤ ≤ (1)
≤ × (2)
배선의 기준 값
보호 장치의 특성
정격전류 또는
전류 설정 값 통상적인 동작전류
□ 과부하보호
○ 과부하보호장치의 설치위치
60 5. KEC 제2장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 과부하보호장치의 생략
□ 단락보호
○ 단락보호장치의 설치
○ 단락보호장치의 조건
(3)
[표 5] 도체에 대한 k 값
도체절연 형식
구 분
PVC PVC (열가소성)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무기재료
(열가소성) 90℃ 고무/ (열경
PVC 노출
단면적 가교폴리에틸렌( 화성)
≦300 >300 ≦300 >300 열경화성) 외장 비외장
(㎟) 60℃
초기온도
70 90 90 60 70 105
(℃)
최종온도
160 140 160 140 250 200 160 250
(℃)
도체재료:
구리 115 103 100 86 143 141 115 135/115*
알루미늄 76 68 66 57 94 93 - -
구리의
115 - - - - -
납땜접속
* 이 값은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노출 케이블에 적용되어야 한다.
○ 단락보호장치의 설치위치
○ 단락보호장치의 생략
3) 특정 측정회로
Ⅱ. KEC 주요내용 65
□ 과전압에 대한 전기설비의 보호
변전소 저압설비
UO *) RE x IE+UO 0 *)
TT
RE x IE + Uo UO *) 0 *)
UO *) UO *) RE x IE **)
TN
RE x IE + UO UO *) 0 *)
*) 고려 필요 없음.
**) 다중 접지된 PEN 도체들의 고장전압(Uf ) 계산 ; Uf = 0.5RE × IE
고장전압 지속시간
지속시간(ms)
[표 2] 허용 상용주파 스트레스전압(U₁U2)
□ 낙뢰 또는 개폐에 따른 과전압 보호
○ 기상현상으로 인한 과도과전압
(220/380)b
230/400 300 6 4 2.5 1.5
277/480
1 000 1 000 12 8 6 4
직류 1 500 직류 1 500 8 6
a
이 임펄스 내전압은 충전도4체와 보호도체(PE) 사이에 적용된다.
b
우리나라 현재 사용전압으로 향후 IEC 60038에 따른 전압 사용
○ 과전압 억제시설
과전압을 억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다만, 과전압 범주Ⅰ의 임펄스 내전압을 갖
는 기기는 모든 경우에 과도과전압에 대한 보호를 고려한다.
* 본질적 과전압 억제
* 보호에 의한 과전압 억제
[표 5] 보호의 중요도 수준
3) 위험평가방법
구 분 보호 장치
[표 7] 환경요소(fenv)계산
환경 환경요소
근교 및 농촌 환경 85 × F
도시 환경 850 × F
72 6. KEC 제2장 (213 과전압에 대한 보호)
LP = 2 LPAL + LPCL + 0,4 LPAH + 0,2 LPCH 여기서 LPAL가공 저압선로 거리(km)
LPCL저압 지중케이블 거리(km)
LPAH가공 고압선로 거리(km)
LPCH고압 지중케이블 거리(km)
1 설비 인입구
2 (특)고압/저압 변압기
3 SPD(과전압 보호장치)
□ 맺음말
□ 열 영향에 대한 보호
○ 일반 요건
○ 적용 범위
□ 화재 및 화상방지에 대한 보호
○ 전기기기에 의한 화재방지
○ 아크차단기(권고사항)
▪숙박시설의 구내
▪가공처리 또는 저장된 물질의 특성으로 인해 화재의 위험이 있는 장소(예를 들어
헛간, 목공소, 가연성물질을 저장소)
▪가연성 건축자재가 있는 장소(예를 들어 목조건축물)
▪화재연소의 우려가 있는 구조물
▪소실시 대체 불가능한 물품(문화재 등)이 있는 장소
○ 전기기기에 의한 화상방지
금속 55
손으로 잡고 조작시키는 것
비금속 65
손으로 잡지 않지만 금속 70
접촉하는 부분 비금속 80
통상 조작 시 접촉할 금속 80
필요가 없는 부분 비금속 90
정면 측면
평면 촉수 가능범위 한계
□ 과열에 대한 보호
□ 맺음말
□ KEC 230의 구성
□ 일반사항
□ 배선설비 공사의 종류
공사방법
전선 및 케이블공사 케이블트렁킹 케이블 케이블트레이
케이블 전선관 애자
직접 시스템(몰드형, 덕팅 시스템(래더,
비고정 지지선 시스템 공사
고정 바닥매입형 포함) 시스템 브래킷 포함
나전선 × × × × × × × ○
절연전선 × × × ○ ○ ○ × ○
다심 ○ ○ ○ ○ ○ ○ ○ △
케이블
단심 △ ○ ○ ○ ○ ○ ○ △
○ : 사용가능 × : 사용불가 △ : 적용불가 또는 실용상 일반적으로 사용불가
○ 시설 상태에 따른 공사방법
건물의 접근 가능 ○ ○ △ ○* ○ ○ ○ ×
공간 접근 불가 ○ △ △ ○* △ ○ △ △
케이블채널 ○ ○ × ○ △ ○ ×
지중 매설 ○ △ × ○ × ○ △ ×
구조체 매입 ○ ○ × ○ ○ ○ △ ×
노출표면 부착 × ○ × ○ ○ ○ ○ ○
가공/기중 × ○ ○ △ ○ ○ ○ ○
창틀 내부 ○ △ × ○ △ △ △ ×
문틀 내부 ○ △ × ○ △ △ △ ×
수중(물속) □ □ × □ × □ △ ×
○ : 사용가능 × : 사용불가 △ : 적용불가 또는 실용상 사용불가
□ : 제조자 지침에 따름. * : 이중천장 내(반자속 포함) 합성수지관 공사 시설불가토록 규정 개정중
Ⅱ. KEC 주요내용 85
○ 외부 영향
외부 영향 선정 및 설치
∙ 최고 허용온도 이하로 선정 및 설치
①주위온도
∙ 케이블과 배선기구류는 제품의 제한온도 내에서 시설
∙ 다음의 보호방법 사용
②외부 열원 - 차폐, 열원으로부터 이격, 온도상승을 고려한 구성품의 선정
- 절연재료의 국부적 강화(단열 슬리브 접속 등)
∙ 부식 또는 오염물질에 견딜 수 있는 재료로 보호 또는 제조
⑤부식/오염물질의 존 ∙ 전해작용의 우려가 있는 금속이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
재 ∙ 상호작용 또는 개별적으로 열화 또는 위험한 상태가 될 우려가 있는 재
료는 상호 접속시키지 않도록 배치
86 8.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배선설비)
항목 고려 사항
∙ 하나의 회로도체는 다른 다심케이블, 다른 전선관, 다른 케이블덕팅시스템
①회로 구성 또는 다른 케이블트렁킹 시스템을 통해 배선해서는 안 된다.
∙ 여러 개의 주회로에 공통 중성선을 사용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④교류회로-전기자기
∙ 강자성체(강제금속관 또는 강제덕트 등) 안에 설치하는 교류회로의 도체는
적 영향(맴돌이 전류
보호도체를 포함한 각 회로의 모든 도체를 동일 외함에 수납하여야 한다.
방지)
⑤하나의 다심케이블 ∙ 모든 도체가 최대공칭전압에 대해 절연되어 있을 때에는 동일 케이블에
속의 복수회로 복수의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내부 밀폐
케이블
금속제 트렁킹
외부 밀폐
[그림 2] IP코드의 배열
88 8.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배선설비)
[표 5] IP코드의 요소 및 의미
추가문자(선택)
<생 략>
보충문자(선택)
□ 맺음말
□ 조명설비
○ 등기구의 설치요건
○ 열영향에 대한 주변의 보호
기호 설명 기호 설명
[그림 1] 등기구, 등기구 구동장치 및 등기구의 설치에 사용되는 기호의 설명(KS C IEC 60364-5-55 참조)
Ⅱ. KEC 주요내용 91
○ 조명설비의 배선계통
○ 등기구의 집합
○ 보상 커패시터
○ 코드의 사용
2) 코드 및 이동전선
[표 2] 코드 또는 캡타이어 케이블의 선정
용도 옥내 옥외ㆍ옥측
종류 조명용 전원코드 이동전선 조명용 전원코드 이동전선
비닐 × △○ × ×
고무 ○ ○ × ×
코드 편조 고무 ● □
금사 × ▲ × ×
실내장식전등기구용 ○ × ×
캡타이어 고무 ◎ ◎ ◎ ◎
케이블 비닐 × △◎ × △◎
○, □, ●: 300/300 V 이하에 사용한다.
◎: 0.6/1 ㎸ 이하에 사용한다.
×: 사용될 수 없다.
△: 다음 조건에 적합한 것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다.
- 방전등, 라디오, 텔레비전, 선풍기, 전기이발기 등 전기를 열로 사용하지 않는 소형기계기구에 사용할 경우
- 전기모포, 전기온수기 등 고온부가 노출되지 않은 것으로 이에 전선이 접촉될 우려가 없는 구조의 가열장치
(가열장치와 전선과의 접속부 온도가 80 ℃ 이하이고 또한 전열기 외면의 온도가 100 ℃를 초과할 우려가
94 9.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조명설비)
없는 것) 에 사용할 경우
▲: 전기면도기, 전기이발기 등과 같은 소형 가정용 전기기계기구에 부속되고 또한 길이가 2.5 m 이하이며 건조
한 장소에서 사용될 경우에 한한다.
●: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
□: 옥측에 비나 이슬에 맞지 아니하도록 시공한 경우 사용할 수 있다.
□ 맺음말
□ 개요
□ 전선의 단면적
1) 최고허용온도(절연체의 허용온도)
2) 허용 전압강하
5) 설치방법
□ 절연물의 허용온도
□ 허용전류 결정방법
○ 부속서 A (공사방법)
공사방법
시설 상태
고정하지 직접 케이블 케이블 애자
전선관 케이블트렁킹 지지선
않음 고정 덕트 트레이 사용
30, 31, 32,
건물의 접근가능 40 33 41, 42 6, 7, 8, 9, 12 43, 44
33, 34
- N/A
공간 접근불가 40 N/A 41, 42 N/A 43 N/A N/A N/A
수중(물속) + + + - + N/A - -
- : 사용할 수 없다.
N/A(Not applicable) : 적용할 수 없거나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 : 제조자 지침에 따른다.
허용전류를 구하기
항목
공사 방법 설 명 위해 사용하는
번호
표준 공사방법
< 표 3 허용전류 구하기 위한 공사방법 예 (73번까지의 항목번호 중 1~4번만 소개한 것임) >
A1 A2 B1 B2 C D
설치방법
E F G
○ 부속서 B (허용전류)
구 분 공사방법의 허용전류
동 전선과 동 시스(공사방법 C)
표 B.52.6
PVC 피복 또는 노출로 접촉할 우려가 있음
무기절연
금속시스 온도 : 70 ℃, 기준주위온도 : 30 ℃
동 전선과 동 시스(공사방법 C)
표 B.52.7
가연성 물질 또는 노출로 접촉할 우려가 없음
무기절연
금속시스 온도 : 105 ℃, 기준주위온도 : 30 ℃
○ 저감계수 종류 및 적용
구 분 전선 종류 및 조건
주위의 대기온도가 30 ℃ 이외인 경우의 보정계수
표 B.52.14
- 기중케이블의 허용전류에 적용.
주위의 지중온도가 20 ℃이외인 경우의 보정계수
표 B.52.15
- 지중케이블의 허용전류에 적용.
토양의 열 저항률이 2.5 kㆍm/W 이외인 경우의 보정계수
표 B.52.16
- 참조방법 D의 허용전류(A)에 적용.
복수회로 또는 다심케이블 복수의 집합에 대한 저감계수
표 B.52.17 ~ 표 B.52.21
- B.52.2 ~ B.52.13의 허용전류를 이용
□ 허용전류 산정방법의 예시
Ⅲ. 자주하는 질의 (FAQ)
설 명
설 명
[ 전제조건 및 주의사항 ]
① 1개 관로에는 1회로 시설 원칙임 (KS C 3140)
② 집합보정계수는 평균값임
③ IEC에서 제공하지 않는 보정계수는 IEC 60287에 따라 직접 산출하여야 함.
1. 계산 조건
2. 공사방법
○ ELP관, 단심케이블이므로 표 52-3에서 71번 ‘D1’적용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09
4. 각 표에 의한 계산결과
1회선에 대한 허용전류
= 동선의 허용전류 × 온도 보정계수 × 집합 보정계수
= 365×0.93×0.8
= 271.6A
110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설 명
1. HFIX 전선
① 규격 : KS C 3341 에 의함
② 공식명칭 :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 전선
③ 사용근거 : 판단기준 제4조(절연전선), 제168조(옥내배선의 전선)
④ 용도 : 450/750V 이하 일반 전기배선에 사용 (옥내배선용)
- HF : 저독성 난연(halogen free flame retardant)
- I : 절연 전선(insulation wire)
- X : 가교 폴리올레핀(cross-linked polyolefin)
2. VCTF 전선
① 규격 : KS C IEC 60227-5 에 의함
② 공식명칭 : 300/500 V 이하 유연성 비닐 케이블 (코드)
③ 용도 및 근거 : 이동용, 판단기준 제198조(이동전선의 시설) 외
④ 참고사항
3. HIV 전선
HIV 전선은 과거 KS C 3328 표준에 의하여 생산되어 사용하던 제품이나,
'09.10.27 표준이 폐지됨에 따라 현재는 생산이 중지된 제품입니다. 그러나 일
부 현장에서는 KS C IEC 60227-3으로 제조된 제품을 ‘HIV’라는 호칭으로 사
용된 경우가 있는데, 본 표준에는 아래와 같이 기기배선용과 일반용이 있으므
로 사용에 주의를 요합니다.
종 류 기호 비 고
450/750 V 일반용 단심 비닐 절연전선 60227 KS IEC 01 70℃, 1.5∼400㎟
450/750 V 일반용 유연성 단심 비닐절연전선 60227 KS IEC 02 70℃, 1.5∼240㎟
설 명
배선구분 현행 배선 선정방식
KEC 배선 선정방식
(차단기정격) 차단기정격기반 허용전류
15A 연동선 2.5 ㎟
20A 연동선 4.0 ㎟ KS C IEC 60364-5-52 [현행 허용전류방식 (KS C IEC
30A 연동선 6.0 ㎟ “부속서 B”에 의한 선종별 60364-5-52 “부속서 B”에 의한
40A 연동선 10.0 ㎟ 굵기 선정 선정)에 의한 것과 같음]
[단락보호] [단락보호]
(정격 선정 관련 별도규정 없음) •단락보호장치 선정 시 고려사항
- 전선 허용온도 도달시간[단시간사고,
등]
- 전동기 돌입전류 유형
- 회로의 최대고장전류
□ 주의사항
○ 상기 내용은 현행 「판단기준」 대비 변경된 일부 규정에 대한 요약자료로서
상세사항은 「KEC」 해당 규정 및 전체 규정, 발간된 기술지침서, 관련 교육 등
을 통한 구체적 확인 필요
□ 기술(참고)자료
- [KEC 제・개정확인] 기술기준홈페이지(kec.kea.kr) ⇒ 커뮤니티 ⇒ 공지사항
- [배선분야 지침서] 배선설비의 설계 및 공사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 [접지분야 지침서] 접지시스템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 [보호분야 지침서] 감전 및 과전류보호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116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설 명
설 명
설 명
설 명
□ 전선식별 변경 전후 - 증설 및 신설 적용 예시
120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설 명
〈 전기사업법 제67조 〉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조 〉
설 명
설 명
□ 의견제출 : 상시 접수
□ 제출처 : [email protected]
구분 현 행 제ㆍ개정(안)
기술기준
/
KEC
산업계
해당 전기설비 설계시공감리운영유지보수안전관리 등 현황
현황
제개정
개정 목적, 문제점, 필요성 및 개선방안 등
사유
관련
국내외 법/규정 및 표준 자료, 설계시공연구 사례 등
근거자료
비고
1. 정오표
행, 표번호,
페이지 오(誤) 정(正)
그림번호
표 3.28,
64 C, 표 4.1의 항목 2 C
30번행 4열
표 3.30,
71 C, 표 4.1의 항목 3 C
21번행 4열
표 3.30,
71 C, 표 4.1의 항목 3 C
23번행 4열
표 4.1
단심케이블: E
86,87 항목번호 E 또는 F
다심케이블: F
31~35번행 4열
표 4.11
105 (붙임3 참고)
도체분류 관련
표 4.12
107 (붙임4 참고)
도체분류 관련
② [조건 3] :
82 82.3 1,701
92 93.7 2,205
10 9.7 23 10 9.2 21
12 12.2 37 12 11.4 33
16 15.8 62 15 14.1 50
F 허용전류
PVC절연(단심케이블) XLPE 또는 EPR절연(단심케이블)
구리 도체 알루미늄 도체 구리 도체 알루미늄 도체
도체의 3개 3개 3개 3개
2개 수평 2개 수평 2개 수평 2개 수평
공칭 부하 부하 부하 부하
부하 3개 부하 3개 부하 3개 부하 3개
단면적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 삼각 삼각 삼각 삼각
접촉 밀착 접촉 밀착 접촉 밀착 접촉 밀착
배치 배치 배치 배치
1.5
2.5
4
6
10
16
25 114 96 99 85 73 76 146 123 128 110 94 97
35 141 119 124 106 91 95 182 154 160 136 117 123
50 170 145 151 130 111 116 220 188 196 167 145 150
70 218 188 196 167 144 150 282 244 254 216 187 196
95 264 230 239 204 177 184 343 298 311 263 230 240
120 306 268 279 237 206 215 398 348 364 307 269 280
150 353 310 324 275 238 250 459 404 422 354 312 326
185 403 356 371 316 274 287 523 464 485 407 359 376
240 475 422 441 374 326 341 618 552 577 482 429 448
300 547 488 511 432 377 396 712 640 670 558 498 520
400 656 571 599 522 458 480 855 749 790 673 603 631
500 755 652 686 604 531 557 985 861 908 779 701 733
630 874 744 787 703 618 649 1141 990 1047 906 818 857
주위온도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PVC절연 1.40 1.34 1.28 1.21 1.14 1.08 1.00 0.90 0.81 0.70 0.57
XLPE/ 1.00
1.26 1.23 1.18 1.14 1.09 1.05 0.95 0.90 0.83 0.78 0.71 0.63 0.54 0.45
EPR절연
[비고1] 이 계수는 상기와 같이 단일 층에 공사한 케이블 집합(개연형상의 집합)에 적용하고, 상호
접속한 2층 이상의 케이블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공사방법에 대한 계수는 상당히
작으며, 적절한 방법을 통해 결정하여야 한다.
[비고2] 이 값은 트레이간의 수직간격이 300 mm, 케이블 트레이와 벽의 간격은 20 mm 이상인 경
우이다. 이보다 좁은 수직간격인 경우 계수를 줄여야 한다.
집합계수 [비고3] 이 값은 배면방향으로 부착한 트레이 사이의 수평간격이 225 mm인 경우이다. 이보다 좁
[표4.11-1] 은 간격인 경우 계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고4] 상마다 복수의 케이블이 병렬로 있는 회로인 경우, 이 표의 적용을 위해 도체의 삼상 도체
세트를 하나의 회로로 간주한다.
[비고5] 상(phase)당 병렬도체 m개로 구성된 회로인 경우, 저감계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이 회로
를 m개 회로로 간주하여야 한다.
[비고6] 16 ㎟ 이하의 경우 단심케이블에 대한 허용전류를 나타내는 수치가 없음
128 Ⅱ. 자주하는 질의 (FAQ)
G 허용전류
PVC절연(단심케이블) XLPE 또는 EPR절연(단심케이블)
구리 도체 알루미늄 도체 구리 도체 알루미늄 도체
도체의
수평 수평 수평 수평 수평 수평 수평 수평
공칭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단면적
수평이격 수직이격 수평이격 수직이격 수평이격 수직이격 수평이격 수직이격
(㎟)
1.5
2.5
4
6
10
16
25 127 113 97 86 166 146 125 111
35 157 141 121 108 206 183 156 139
50 190 171 147 132 250 224 191 171
70 244 221 189 170 321 289 247 222
95 297 270 230 210 391 354 302 273
120 344 315 268 245 455 413 352 319
150 397 364 310 284 525 479 408 371
185 453 418 354 327 601 550 469 428
240 535 495 419 389 711 654 556 510
300 617 573 484 451 821 758 644 593
400 741 692 584 547 987 917 779 721
500 854 800 674 635 1140 1064 902 838
630 990 931 783 741 1323 1239 1050 987
* G의 설치방법
벼과의 간격이 케이블 애자지지 나전선 또는
지름의 0.3배 이상인 단 절연전선
심 또는 다심케이블
주위온도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PVC절연 1.40 1.34 1.28 1.21 1.14 1.08 1.00 0.90 0.81 0.70 0.57
XLPE/
1.26 1.23 1.18 1.14 1.09 1.05 1.00 0.95 0.90 0.83 0.78 0.71 0.63 0.54 0.45
EPR절연
[비고1] 적용방법 G의 경우에는 집합계수가 해당이 없다.
[비고2] De는 케이블의 바깥지름을 나타낸다.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29
행, 표번호,
그림 2-29
그림번호
오(誤)
정(正)
1. 제1장 총칙
2. 제2장 발전소ㆍ변전소ㆍ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3. 제3장 전선로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6. 제6장 전기철도 등
7. 제7장 국제표준도입
8. 제8장 지능형전력망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10. 기타사례
제
1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33 장
1. 제1장 총칙
(제1조 ~ 제43조)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35
제 목 전기설비기술기준의 법적 근거
질 의
회 신
※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LSW/main.html) 전기사업법 참조
136 1. 제1장 총칙
제 목 부하 불평형시 부하전선의 굵기 문의
질 의
회 신
제 목 절연테이프 시공법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전선의 병열접속 기준
질 의
2. 아래 사진에서에서 11조 6호 적용 유무
2-1. 터미널러그를 2홀 짜리로 바꾸고 같이 연결해야 되는지 여부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절연내력시험의 최대사용전압 문의
질 의
전로의 종 류 시험전압
회 신
제 목 공통접지 적용 기준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서지보호장치(SPD) 설치기준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접지선 배선 관련 질의 모음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TN-C-S 접지방식 문의
질 의
160 1. 제1장 총칙
회 신
질 의
(질의내용)
○ 2종 접지 설치점이 변압기 N상 단자가 아닌
○ 변압기 2차측 주 차단기 ACB 1차측 N상에서 제2종 접지를 해도 되나요?
(질의사항)
○ 기술기준은 변압기의 저압측의 중성점에 하라고 명기되어 있습니다.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건조한 곳의 적용방법
구 분 적용방법
건조한 곳의 적용방법 예시
적용구분 건조한 곳으로 적용할 수
건조한 곳
장소예시 없는 곳
1.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의 지상 1층에서 지상 5층 좌란 이외에 지면과
아파트형 공장 등의 바닥이 다만, 평상시 습기 또는 물기가 없는 장소로서 콘크리트 바 직접 접촉하고 있는
콘크리트 바닥으로서 그 위 닥이 건조한 상태이고 사람이 그 기계기구와 주변의 접지된 지하 1층의 콘크리트
에서 전기기계기구를 취급하 금속체에 동시에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는 경우이어야 함 바닥
는 경우
2. 지상 1층 규모의 공장 등의 절연성 페인트를 칠한 지상 1층의 콘크리트 바닥 지면과 직접접촉하고 있
바닥이 콘크리트 바닥으로서 다만, 평상시 습기 또는 물기가 없는 장소이고 사람이 그 는 지상 1층의 콘크리
그 위에서 전기기계기구를 기계기구와 주변의 접지된 금속체에 동시에 쉽게 접촉할 우 트 바닥
취급하는 경우 려가 없는 경우이어야 함
질 의
[170조 5항]
저압 콘센트는 제33조제2항의 경우를 제외하고 접지극이 있는 것을 사용하여
접지하여야 한다. 다만, 주택의 옥내전로에는 제33조제2항의 경우에도 불구하
고 접지극이 있는 콘센트를 사용하여 접지하여야 한다.
[33조 2항 8번]
물기 있는 장소 이외의 장소에 시설하는 저압용의 개별 기계기구에 전기를 공
급하는 전로에 '전기용품안전 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
기를 시설하는 경우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등기구 접지생략”의 의미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누전차단기 설치 예외조건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 내용
- 가로등 분전함 내 차단기 중 부하측에는 일반 ELB를 설치하고, 제어기(양방향
무선통신)측 조작전원에 자동복구 차단기 설치 가능한지 문의 드립니다.
○ 비고
- 전기설비기술 기준 제41조 5항 1호 및 3호에 따르면 옥외의 장소에서 특정한
목적을 위해 지체하는 장소(횡당보도, 버스정거장)을 제외한 곳에서 무인으로
운전하는 통신 중계기 또는 단위기기 전용회로의 경우 설치가 가능하다고 되
어 있는데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2
장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44조 ~ 제56조)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91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d2
d2
d1
d
1
d1 : 울타리ㆍ담 등의 높이
d2 : 울타리ㆍ담 등으로부터 충전부분까지 거리
사용전압(㎸) 최소 이격거리
7 이하 0.5 m
7 초과 ~ 35 이하 1.5 m
35 초과 ~ 80 이하 2.0 m
80 초과 ~ 115 이하 3.0 m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수・배전반실 중문 설치기준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3
장
3. 제3장 전선로
(제57조 ~ 제152조)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15
질 의
회 신
제 목 저압 인입선의 설치 높이 기준
질 의
회 신
제 목 송전선의 지표상 높이 기준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사용전압 이격거리(㎝)
15 kV 미만 15
15 kV 이상 25 kV 미만 20
25 kV 이상 35 kV 미만 25
35 kV 이상 50 kV 미만 30
50 kV 이상 60 kV 미만 35
60 kV 이상 70 kV 미만 40
70 kV 이상 80 kV 미만 45
80 kV 이상 130 kV 미만 65
130 kV 이상 160 kV 미만 90
160 kV 이상 200 kV 미만 110
200 kV 이상 230 kV 미만 130
230 kV 이상 160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제2차 접근상태 해당 여부 문의
질 의
첨부 그림1 첨부 그림2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31
회 신
끝.
232 3. 제3장 전선로
제 목 지중관로 매설깊이 기준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 질의 내용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141조제3항에 의거 특고압 지중전선이 관과
접근하거나 교차하는 경우의 상호간 이격거리 확보 기준 및 시설방법
회 신
질 의
회 신
○ 지중약전류전선이 일반 용도일 때
- 지중약전류전선이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재료로 피복한 광섬유
케이블로서 그 관리자와 협의한 경우
- 지중약전류전선이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관에 넣은 광섬유케이
블로서 그 관리자와 협의한 경우. 끝.
244 3. 제3장 전선로
질 의
회 신
제 목 저압 및 고압 지중관로간 이격거리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4. 제4장 전력보안 통신설비 4
(제153조 ~ 제165조) 장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49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166조 ~ 제250조)
제
5
장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51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에어컨 전용 분기회로 구간 문의
질 의
회 신
제 목 주방기구 하이라이트 배선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변전소의 제어케이블 굵기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전기온수기 설치기준 문의
질 의
회 신
제 목 배・분전함의 재질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첨부]
270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질 의
회 신
질 의
○ 상기 회로에서
① MCC FEEDER에서 전동기기동반으로 케이블이 연결,
② 전동기 기동반은 기동장치를 거쳐 전동기로 케이블이 연결.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누전차단기의 옥내배선 굵기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콘센트기구 아우트렛 박스 제외 규정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1. 방폭 지역에서의 나사 없는 전선관 적용 가능 여부
2. 옥외 노출 배관 시 나사 없는 전선관 적용 가능 여부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07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가스관
전선
절연성
10㎝ 10㎝ 격 벽
이하 이하
절연관
10㎝ 10㎝
전선 이상
이상
금속관
<그림 196-1>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11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 판단기준 제213조제6호
습기가 많은 곳 또는 물기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방전등에는 적절한 방습장치
를 할 것. 관련 문의 사항입니다.
- 저전압이며 상시 사용이 아닌 일반 아파트의 욕실에 있는 조명기구에 꼭 방
습장치를 해야 하나요?
- 방습장치를 필히 해야 한다면 환풍 시설을 방습 장치로 볼 수 있지 않는지
요?
- 환풍시설을 방습 장치로 볼 수 없다면 조명기구에 부착되는 고무패킹을 방
습 장치로 볼 수 있는지요?
- 방습장치는 정확히 습기로 부터 무얼 보호하는 게 목적인지요? / 해당 목적
물 보호가 이루어졌다면 방습장치는 별도 지정되지 않아도 무방한지요? /
해당 목적물 보호 된 것을 어떠한 방법 / 기준으로 확인이 가능한지요?
회 신
제 목 전기울타리의 시설기준
질 의
회 신
※ 참고 : 사람이 쉽게 출입하는 장소
사람이 일반적으로 다니는 곳과 펜스와 벽 등에서 분리되지 않고 있으며 또한
사람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높이의 장소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17
질 의
회 신
제 목 풀장에 사용 가능한 전선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6. 제6장 전기철도 등
(제251조 ~ 제278조)
제
6
장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23
질 의
회 신
7. 제7장 국제표준도입
(제279조 ~ 제280조)
제
7
장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27
제 목 보호선 의미 문의
질 의
회 신
8. 제8장 지능형전력망
(제281조 ~ 제298조)
제
8
장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31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직류 전기설비의 전선 선정기준 문의
질 의
회 신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K
E
C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41
질 의
회 신
제 목 KEC 전선의 식별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KEC 등전위본딩 관련 문의
질 의
회 신
제 목 KEC 피뢰시스템 관련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KEC 누설전류감시장치 관련 문의
질 의
회 신
“Residual current monitors (RCMs) are not protective devices but they may
be used to monitor residual current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RCMs
produce an audible or audible and visual signal when a preselected value
of residual current is exceeded.”
제 목 KEC 과부하전류보호 관련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5601. Scope
This part of IEC 60364 covers general requirements for safety services, selection and erection of
electrical supply systems for safety services and the electrical source for safety services. (중략)
560.4 Classifiction
560.4.1 An electrical supply system for safety services is either:
– a non-automatic supply system, the starting of which is initiated by an operator, or
– an automatic supply system, the starting of which is independent of an operator.
An automatic supply system is classifi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maximum changeover time:
– class A – no-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which can ensure a continuous supply within
specified conditions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for example as regards variations in voltage and
frequency;
– class B – very short 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available within 0,15s;
– class C – short 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available within 0,5 s;
– class D – average 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available within 5 s;
– class E – medium 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available within 15 s;
– class F – long 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available in more than 15 s.
366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2. 접지 설계 방식
○ 기존에는 1종,2종,3종, 특3종 방식을 고수하였으나 KEC에서 TN, TT, IT 방식
을 하라고 합니다. 현재 저희 공장에 적용된 방식을 아는 방법이 있나요?
○ 접지 보호도체 최소단면적에서 차단시간 5초 이하의 경우 S=루트i^2*t/k 공식
이 있는데 대부분 고장, 단락시 5초 이내에 차단하기 때문에 이 공식을 적용
해야 하는지요? 선정 방식의 예를 들어서 설명 부탁드리고 k값에 대한 상세
Factor도 나와있지 않네요
회 신
10. 기타사례
기
타
사
례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73
제 목 용어 질의・회신 사례
부 하
가섭선
점검 가능한 은폐장소
표준전압
옥 내
제 목 ‘준하는 설비’에 대한 정의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 질의 #1
1) 철근의 이음부를 용접, 죔쇠이음 등의 조치없이 보통 건축에서 사용하는
0.2mm 정도의 철근 결속선을 사용하여 접속하고 철근을 전기적 연속성이 0.2
옴 이하 규정만 만족하면 인하도선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요?
2) 또, 대부분의 철근 배근이 아래층 철근과 위층으로 연장해가는 이음철근이
서로 맞닫지 않거나 타설 시 콘크리트가 철근에 묻어 콘크리트 피막이 있는
상태로 연장 철근이 접속되어도 전기적 연속성이 0.2옴 이하면 적합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요?
○ 질의 #2
1) 현장에서는 자연적구성부재 사용 가부를 판단할 때 전기적연속성 만을 절대
적 판단기준으로 하여 적합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모두가 아는
바와 같이 도체인 철근이 전층에 걸쳐 미소한 철근간 접속만으로도 저항측정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77
회 신
제 목 피뢰시스템 관련 수평도체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1종 접촉상태에서의 감전보호 방법 문의
질 의
회 신
제 목 조도 계산 설계 관련 문의
질 의
회 신
제 목 피뢰기 정격전압 선정 관련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389
지식경제부 고시 제2011 - 1호
2011. 1. 5.
지식경제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 고시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지식경제부 공고 제2011 - 1호
2011. 1. 5.
지식경제부장관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다.
2012. 1. 31.
지식경제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2012. 1. 31.
지식경제부장관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지식경제부 고시 제2013 - 1호
니다.
2013. 1. 4.
지식경제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ㅇ 산업계의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자계 단위에 적합한 용어로 변경함(안 제17조)
ㅇ 400 kV 이상의 특고압 가공전선 선하에 예외적으로 건조물 건설시 갖추어야 할
안전 조건을 신설함(안 제36조)
ㅇ 풍력설비 피뢰시스템 국제표준(IEC 61400-24)을 토대로 풍력설비 낙뢰보호를 위해
피뢰설비 시설 규정을 신설함(안 제175조)
ㅇ 풍력발전설비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풍력터빈의 “전자기 적합성” 규
정을 신설함(안 제176조)
2013. 3. 20.
지식경제부장관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ㅇ 서지보호장치의 적합한 설치 규정 신설
ㅇ 주택용 배선차단기의 규정 보완
ㅇ 전파장해방지 관련 규정 보완
ㅇ 400 kV 이상의 특고압 가공전선과 건조물의 시설 방법 신설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4 - 8호
고시합니다.
2014. 1. 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2014. 3. 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고시합니다.
2015. 1. 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2015. 1. 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시합니다.
2016. 1. 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2016. 1. 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시합니다.
2017. 3. 2.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2017. 3. 2.
산업통상자원부장관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고시합니다.
2018. 3. 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일부 개정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2018. 3. 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일부 개정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2018. 3. 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한국전기설비규정 제정
1. 제정이유
2. 주요내용
2019. 3. 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일부 제·개정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2019. 3. 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일부 개정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일부 개정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11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용어해설
[해설]
“발전소”란 발전기 및 원동기, 연료전지, 태양전지 등의 발전설비가 시설되어 있는
장소, 즉 발전소 건물이 있는 구내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단, 비상용 예비전원을 얻
을 목적으로 시설하는 빌딩, 영화관, 방송전파중계소 등의 예비전원실이나 전기용품
안전 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휴대용 발전기가 설치되는 곳은 발전소로 취급하지 않
는다.
“전기기계기구”는 전로의 일부가 되는 기계기구의 총칭이지만 필요한 요건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대개 다음과 같이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다.
(1) 전기기계기구마다 필요한 요건에 대하여는 개별 명칭(발전기, 변압기, 피뢰기 등)
(2) 공통된 사항에 대하여는「기계기구」
(3) 조합에 의한 것에 대하여는「장치」(대상이 복수인 경우를 포함한다.)
(4) 유사 전기기계기구에 대하여는「기타의 기구」또는「기타 이와 유사한 기구」
(5) 사용 장소에 시설하는 배선기구, 소형 전동기 등에 관해서는「전기기계기구」(가정용
전기기계기구 등을 대상)
[해설]
“변전소”란 구외로부터 전송받은 전기를 변성하여 변성한 전기를 다시 구외로 송전
하는 장소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따라서 주상변압기의 시설장소, 공장 등의 수전설
비 등은 이 고시에서 정의하는 변전소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구내란 울타리, 담
등에 의해 구분되어지고 어느 정도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지역으로 시설 관계자 이
외의 자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없는 곳, 또는 이에 준하는 곳(예를 들면 뜰이 없는
건조물의 내부)을 말한다.
412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해설]
“개폐소”란 전선로의 분기개소 또는 전선로의 도중에 시설되고, 개폐소 안에 개폐기 또
는 차단기를 설치하여 전로를 개폐하는 곳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수용장소”란 전기사용장소(전기를 사용하기 위한 전기설비를 시설한 건물 또는 기타 좁
은 의미의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를 말한다)를 포함하는 구내 전체를 말한다.
전기적인 단위를 이루는 장소 중 “전기사용장소”란 발전소 또는 변전소, 개폐소 혹은 이
들에 준하는 장소(수전소, 배전반실 등을 말한다.)이외의 장소를 말하지만 화력발전소에
서의 서비스 룸과 같이 발전 그 자체(自体)와의 사이에 기술상의 관계가 없는 것에 관해
서는 전기 사용 장소로서 규제를 받는 것이라고 생각해야 할 것이다.
전기 사용 장소가 옥내의 경우는 그 건물을 하나의 사용 장소라고 생각하면 되지만 옥
외의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 장소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으나, 하나의 작업장으로서 마련
되어 있는 것은 그 넓이에 관계없이 하나의 사용 장소로서 생각해도 좋고 또 일반 가정
의 정원과 같은 것은 대체적으로 하나의 사용 장소라고 생각해도 된다. 수용 장소와 전
기 사용 장소의 관계는 그림과 같이 된다.
배전선로
배전선로
전 전
기 기
사 사
용 용
장 장
소 소
수용장소
[해설]
“급전소”란 전력 계통을 구성하는 발변전소, 송배전 선로 등의 전력 시설을 경제적 합리
적으로 종합 운용하기 위한 지령 즉, 발변전소의 운전, 주파수 및 전압의 조정, 전력 수
급의 조정, 송전 계통의 변경, 계통 사고 때의 복구 조작 등의 지시를 행하는 곳이다.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13
[해설]
“전선”이란 강전류 전기의 전송에 사용하는 것만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강전류 전기
란 약전류 전기에 대응하는 용어이고 약전류 전기(전신, 전화 등의 사용에 공급되는
저전압 미소전류를 말한다) 이외의 것을 말한다.
<강전, 약전의 구분>
강전류 전기란 약전류 전기에 대응하는 용어로서 강전류, 약전류의 구별을 학술적으로
명확히 정하기는 곤란하나 개념적으로 말하면 통신·전화 등에 사용되는 저전압 미소전
류의 것이 약전류 전기이며 그 이외의 것이 강전류 전기이다. 통신·전화 등의 전기회로
이외의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약전류 전기회로라고 생각할 수 있다.
(1) 인터폰, 확성기 등의 음성 전송회로
(2) 고주파 또는 펄스에 의한 신호의 전송 회로
(3) 최대사용전압이 10 V 이하이고 사용 전류가 5 A를 넘지 않는 전기회로
(4) 전압의 최대치가 60 V 이하인 직류 전기회로로 제264조제1항에 규정하는 소세력 회
로에 준하는 것
(5) 전력보안통신선으로서 최대사용전압이 110 V 이하로서 단락전류가 100 mA 이하인
전기회로
[해설]
“전로”란 전기가 통하고 있는 회로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가리키는 용어로서 전기가
통하고 있는 도체, 즉 전기가 통하는 길이라는 의미로서 전자기학적 관점에서 표현
한 용어이다. 전선로의 전선뿐만 아니라 옥내배선이라든가 전기기기중의 권선 기타
의 도체도 모두 전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전기가 통하고 있다”고 하는 것은 본래
그 사용목적인 전류가 흐르며, 또한 전압이 걸려 있다고 하는 의미이며, 고장시에만
전류가 흐르는 접지선이라든가 부차적으로 전위가 생기는 금구와 같은 것은 이 기
준에서 말하는 전로는 아니다. 용어정의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신설함.
414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해설]
“전선로”란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전기사용장소 등 전기적인 단위를 이루는 장소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과, 이것을 지지하거나 보장하는 시설물(애자, 지선 등을 포함)
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인입선은 전선로에 포함되지만 배선은 포함하지 않는다.
전기 적인 단위를 이루는 장소 중 「변전소, 개폐소와 유사한 장소」란 제32조의 규정
에 의한 특별고압 배전용 변압기의 시설 장소, 공장 구내 등에서의 변전실, 주상변압기
의 시설장소, 지중전선로의 변압탑과 같은 곳을 말한다. 또 전선로는 전선과 그것을 지
지 또는 수용하는 시설물로 이루어진다.
「수용하는 시설물」이란 지중전선로에 대해서 케이블을 넣는 암거, 관, 접속함 등을 가
리키고 있다.
전선로는 이를 그 시설 목적으로 분류하면 송전선로, 배전 선로, 급전선로 등으로 분류
할 수 있지만 송전선로와 배전선로에 대하여 규제 구별이 없으며, 따라서 그 정의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15
[해설]
“전기기계기구”란 전로를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전로의 일부가 되는 기계기구를 총
칭하는 용어로서 전기기계기구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정의를 신설함.
[해설]
“연접 인입선”이란 인입선 중 하나의 수용장소의 인입선으로부터 분기하여 지지물을
거치지 않고 다른 수용장소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인입선”이란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부터 다른 지지물을 거치지 않고 수용장소의 붙
임점에 이르는 전선 및 수용장소의 조영물 측면 등에 시설하는 전선으로서 해당 수
용가의 인입구에 이르는 전선을 총칭한 것이다. 지중을 경유해서 조영물의 측면 등
에 시설하는 것(지중 인입선)도 인입선에 포함된다. 또한 인출선이라고 하는 말은
사용되고 있지 않으나, 그와 같은 개념의 것은 인입선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도
좋다. 여기에서 조영물이라는 것은 건축 기준법상의 건축물보다도 넓은 의미로 정
의하고 있다. 또한, 인입선과 연접 인입선의 관계는 그림과 같이 된다.
인입구
가공인입선
인입선중
옥측부분
인 입 선 연접 인입선
416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해설]
전차선 및 전차선로는 트롤리, 퓨겔 또는 팬터그라프(pantograph)가 접촉하는 전선은 물
론 지하철도에 사용되는 제3궤조(third rail), 단궤도 전기 철도(모노레일)용의 접촉 전선
등이 포함되고 기타 편의상 강색철도의 차량에 전기(동력용이 아님)를 공급하는 접촉 전
선(강색 차선)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유희용 전차에 대한 것은 포함되지 않는다.
[해설]
“배선”이란 전기사용장소에 시설하는 전선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배선에는 전기기계
기구내의 전선 및 전선로의 전선은 포함하지 않는다.
[해설]
약전류 전기의 전송에 사용하는 전선을 말하며, 전신, 전화나 인터폰, 확성기 등의 음성전
송회로 등과 소세력 회로의 전선 및 출퇴표시등 회로의 전선도 포함되고 있다.
소세력 회로 및 출퇴표시등 회로 : 이들은 약전류 회로는 아니나 그 전선이 기타 강전류
전기시설물과의 접근·교차 등의 경우의 취급에서 약전류 전선과 동일하게 취급함으로서 편
의상 이들을 약전류전선에 포함시켜 규정의 간소화를 도모한 것이다.
[해설]
“광섬유 케이블”이란 광신호의 전송에 사용하는 전송매체로서 보호피복으로 보호한
것이다. 광섬유 케이블은 절연물이며 전자유도 및 정전유도 장애가 없고 전력선으
로부터의 통신장애도 없는 것이기 때문에 약전류 전선과는 별도로 정의하고 있다.
“광섬유 케이블선로”란 광섬유 케이블과 이를 지지하거나 수용하는 시설물을 통칭
한다.
[해설]
“지지물”이란 목주, 철주, 철근 콘크리트주, 철탑 및 이들과 유사한 시설물로서 전선
또는 약전류 전선 등을 지지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이
다. 지선, 지주 및 전선으로부터 이격하기 위하여 건조물에 부착하는 인입선 취부금
구 등은 지지물에 포함하지 않는다. 지선 및 지주는 지지물에는 포함시키지 않고 별개
로 다룬다.
[해설]
“조상설비“란 무효전력을 조정하는 전기기계기구를 가리키는 용어이고, 전력용 콘덴
서, 분로 리액터, 조상기가 여기에 해당한다.
[해설]
전력계통을 구성하고 있는 발전소, 변전소, 전선로 등의 전력설비를 가장 안전하고
합리적이며 또한 경제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이들의 설비 및 기기의 운전조작을 위
한 급전지령 또는 사고복구조작 등의 지령·전달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전기사업을
영위하기 위하여 시설하는 전용의 통신설비를 전력보안통신설비라 하고 전력보안통
신설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통신을 통틀어서 전력보안통신이라 한다.
418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해설]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인입주)에서부터 다른 지지물을 거치지 않고 수용장소의 취부
점에 이르는 가공 부분의 전선으로서 아래 그림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부분을 말한
다. 또한, 인입하는 경우에 다른 가옥의 지붕 위에 인입선 취부금구(간이 지지물)를
설치해서 전선의 도중을 지지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간이 지지물 등은 지지물에 해당
하지 않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인입주로부터 취부점(붙임점)까지의 전선이 가공 인입
선이 된다.
[해설]
전기 철도에 부수(附隨)되는 것으로 전기 철도의 전용 부지 내에 시설하는 경우에 일반 전
선로와 다른 규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별도로 정의하고 있다.
[해설]
옥내 배선은 옥내(전기 사용 장소의 옥내를 의미 하고 발전소, 변전소 등의 옥내는 포함하
지 않는다)에 고정하여 시설하는 전선이지만 기술기준의 구성의 편의를 위하여 다음의 것
은 제외하고 있다.
a 전기기계기구내의 배선(전기기계기구의 외피(外被)내의 전선 및 부분적으로 外被의 밖
으로 나오는 짧은(短小) 전선을 말한다.)
b 관등회로(제9호)의 배선
c X선 관 회로의 배선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19
[해설]
조영물의 외측면 또는 조영물에 인접하는 옥외에 부하 설비가 있어서 이것에 전기를 공급
하기 위한 전선을 조영물의 외측면에 고정하여 시설하는 경우는 옥측배선으로 취급된다.
전기기계기구내의 배선이 제외되어 있는 것은 전호와 같은 취지이다. 또한 옥측 전선로는
해당 전기사용장소에서의 전기의 사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당연히
옥측배선에서 제외된다.
[해설]
옥외에 시설하는 배선 중 옥측 배선 이외의 것으로서 전기 기계 기구내의 배선 기타 특수
배선이 제외되는 것은 옥내배선의 경우와 같다.
[해설]
관등회로란 방전등용안정기 또는 방전등용변압기부터 방전관까지의 전로를 말하며, 따라
420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해설]
“지중함”이라는 것은 맨홀(manhole), 핸드 홀, 監視孔과 같은 것을 가리킨다. “이와 유사
한 관” 중에는 공기관, 증기관 등이 포함된다.
[해설]
접근상태라는 것은 가공 전선이 다른 시설물의 상방 또는 측방에서 접근하는 경우의 상태
를 정의한 것으로서 다른 시설물의 하방에서 접근하는 경우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접근
상태를 제1차 접근상태, 제2차 접근상태, 접근상태로 정의하고 있는 것은 가공 전선과 다
른 시설물이 접근 또는 교차하는 경우의 규제를 다른 시설물과의 관계위치별, 대상물 별
로 규제함에 따라 규정 조문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21
[해설]
이격거리는 떨어져야할 거리로 예상되는 기상조건에 의한 전선위치의 변화도 고려하여야
하며 경간이 길고 이도가 큰 전선로의 경우 다른 물체와의 이격은 바람 등에 의한 진동은
물론이고 또한 다른 시설물(접근 대상물)이 요동하는 것이라면 그 요동 등도 고려하여야
한다.
수직이격거리(V)
측상방 또는
측하방 에서의
이격거리
접근 대상물 수평이격거리(H)
T T
V V
H V
T H T
건조물
H H
T V V T
물체에 대한 용어
(건조물로 간주되는 예)
1. 거주자의 유무 및 이용률 여하에 관계없이 집회목적으로 세워진 건물, 공회당, 집
회소 등
2. 주거, 공장 등과 연결한 창고, 축사, 차고, 옥외 화장실 등
3. 주거, 공장 등과 밀접하지 않은 창고라도 사람이 빈번히 출입하는 것
(건조물로 간주하지 않는 것의 예)
1. 상시근무자가 없고 필요시 순시하거나, 또는 월 수회정도의 임시작업을 하는 물레
방아간, 양어장의 감시소, 기계운전소 등
2. 사람의 근무 또는 출입에 관계없는 공중전화박스, 군인초소, 소규모의 공중화장실
등
3. 사람이 근무하지 않고 이용자가 적은 버스의 간이 대합실
4. 사람이 주재하지 않으며 제례시만 사용하는 사당 등
5. 지하실
6. 주거와 접속되지 않은 창고, 축사, 화장실(공중화장실 제외), 간단한 차고나 주차장 등
Ⅶ. 기술기준 교육 및 도서
Ⅶ. 기술기준 교육 및 도서 안내 427
2021년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KEC 해설교육 안내
□ 신청방법
◦ 대한전기협회 홈페이지(http://kec.kea.kr)에서 온라인신청
□ 교육장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중대로 113 전기회관, 대한전기협회 14층
□ 수료증 발급
◦ 지자체 공무원 상시학습 교육인정 : 교육수료시간
◦ 한국기술사회 교육학점 인정 : 1.0학점/1시간당(80% 출석시 수료)
□ 접수 및 문의
◦ 기술기준처 사업전략팀(02-2223-3673, [email protected])
428 Ⅶ. 기술기준 교육 및 도서 안내
□ 구매방법
◦ 대한전기협회 홈페이지(www.kea.kr) 열린광장 내 발행도서에서 구매
□ 구매문의
◦ 기술기준처 사업전략팀 도서담당자 TEL(02-2223-3675), E-Mail([email protected])
2020년
편 저 : 사단법인 대한전기협회
발 행 일 : 2020. 11.
발 행 처 : 대한전기협회
서울 송파구 중대로 113(가락본동 79-2)
전화 : 02-2223-3675, 3711
FAX : 02-2223-3719
URL : www.kea.kr
2020 전기설비기술기준
질 의・회신사례집
2020. 11.
발 간 사
감사합니다.
2020. 11
사단법인 대한전기협회
목 차 1
목 차
1. 기술기준 제정 ································································································· 13
2. 기술기준 체계 ································································································· 13
3.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정 범위 ················································· 13
4. 한국전기설비규정(KEC) ·············································································· 18
1. KEC(한국전기설비규정)의 구성 개요 ···················································· 25
2. KEC 제1장 (공통사항) ·············································································· 29
3. KEC 제2장 (200 통칙) ············································································· 43
4. KEC 제2장 (211 감전에 대한 보호) ····················································· 49
5. KEC 제2장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 55
6. KEC 제2장 (213 과전압에 대한 보호) ················································· 65
7. KEC 제2장 (214 열 영향에 대한 보호) ··············································· 75
8.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배선설비) ······························ 83
9.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조명설비) ······························ 89
10.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허용전류) ····························· 95
2 목 차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10. 기타사례
Ⅰ. 전기사업법상 기술기준 개요
기술기준 개요 13
1. 기술기준 제정
2. 기술기준 체계
3.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정 범위
“1. 전기설비” 구성
제1장 총 칙 (제1조~제43조)
제1절 통칙 (제1조~제2조)
제2절 전선 (제3조~제11조)
제3절 전로의 절연 및 접지 (제12조~제27조)
제4절 기계 및 기구 (제28조~제43조)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제44조~제56조)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3장 전선로 (제57조~제152조)
제1절 통칙 (제57조~제67조)
제2절 저압 및 고압의 가공전선로 (제68조~제93조)
제3절 옥측전선로․옥상전선로․인
(제94조~제103조)
입선 및 연접인입선
제4절 특고압 가공전선로 (제104조~제135조)
제5절 지중 전선로 (제136조~제142조)
제6절 터널 안 전선로 (제143조~제144조)
제7절 수상전선로 및 물밑전선로 (제145조~제146조)
제8절 특수 장소의 전선로 (제147조~제152조)
제4장 전력보안 통신설비 (제153조~제165조)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166조~제250조)
제1절 옥내의 시설 (제166조~제216조)
제2절 옥외의 시설 (제217조~제225조)
제3절 터널․갱도 기타 이와 유사한
(제226조~제230조)
장소의 시설
기술기준 개요 15
제1장 총 칙 (제1조~제3조)
제2장 보일러 및 부속설비 (제4조~제44조)
제3장 압력용기 및 부속설비 (제45조~제82조)
제4장 배관 및 부속설비 (제83조~제96조)
제5장 증기터빈 및 부속설비 (제97조~제102조)
제6장 가스터빈 및 부속설비 (제103조~제108조)
제7장 내연기관 및 부속설비 (제109조~제114조)
제8장 액화가스 연료연소설비 (제115조~제123조)
제9장 연료전지설비 (제124조~제128조)
제10장 탈황, 탈질설비 (제129조~제134조)
제11장 가스화로설비 및 부속설비 (제135조~제159조)
16 기술기준 개요
제1장 총 칙 (제1조~제2조)
제2장 댐 (제3조~제21조)
제1절 일반사항 (제3조~제12조)
제2절 콘크리트 중력댐 (제13조~제16조)
제3절 아치댐 (제17조~제19조)
제4절 필댐 (제20조~제21조)
제5절 조력발전 구조물 (제21의 2조~제21의 5조)
제3장 수로 (제22조~제36조)
제4장 수차 및 기타설비 (제37조~제41조)
제1장 총 칙 (제1조~제3조)
제2장 용접시공법 (제4조~제19조)
제3장 보일러 (제20조~제37조)
제4장 압력용기 (제38조~제55조)
제5장 배관 (제56조~제75조)
제6장 액화가스 연료연소설비 (제76조~제94조)
제7장 가스화로설비 (제95조~제121조)
기술기준 개요 17
제1조 목적
제2조 용어의 정의
제3조 적용 범위
제4조 안전조치
제5조 급경사지 붕괴의 방지
제6조 항공장애 표시등 시설
제7조 접근시설의 안전조치
제8조 피뢰설비
제9조 풍력터빈의 구조
제10조 풍력터빈의 선정
제11조 잠금장치의 시설
제12조 풍력터빈의 강도계산
제13조 풍력터빈 정지장치의 시설
제14조 계측장치의 시설
제15조 풍력터빈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구조
제16조 풍력터빈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구조, 성능 및 시설조건
제17조 풍력터빈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강도계산
제18조 풍력터빈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기초
제19조 제어장치의 시설
제20조 보호장치의 시설
제21조 화재방호설비 시설
제22조 주전원 개폐장치
18 기술기준 개요
4. 한국전기설비규정(KEC)
가. 한국전기설비규정의 개요
나. 한국전기설비규정의 제정 배경
다. 한국전기설비규정의 구성
한국전기설비규정(KEC)
전기철도의 보일러 및
일반사항 안전을 위한 보호 안전을 위한 보호 전기저장장치 댐
전기방식 부속설비
전기철도의 압력용기 및
전선 전선로 접지설비 태양광발전설비 수로
변전방식 부속설비
배선 및 전기철도의 배관 및 수차 및
전로의 절연 전선로 풍력발전설비
조명설비 등 전차선로 부속설비 기타설비
발전설비 액화가스
비파괴검사 연료연소설비
탈황, 탈질설비
가스화로 및
부속설비
“제1장 공통사항” 구성
“제2장 저압 전기설비” 구성
“제4장 전기철도설비” 구성
“제5장 분산형전원설비” 구성
705 댐 (705 댐)
Ⅱ. KEC 주요내용
1. KEC(한국전기설비규정)의 구성 개요
제 목 1. KEC(한국전기설비규정)의 구성 개요
□ 한국전기설비규정이란?
□ KEC 전체 구성 체계
[그림 1] KEC 전체 구성
26 1. KEC(한국전기설비규정)의 구성 개요
□ KEC의 전기설비 분야 구성 개요
풍력설비의 시설
□ 제1장의 구성
KEC (100 총칙)은 KEC 전체의 목적과 적용범위를 규정하고 있다. 전기사업법 제67
조(기술기준)에서 전기설비의 안전관리를 위해 필요한 기술기준을 정하여 고시하도
록 정하고 있으며,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기술기준의 제정)에서 기술기준의 구체적
제정방향을 제시 하고 있는데, 그 내용을 보면 ①사람이나 다른 물체에 위해 또는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고, ②내구력의 부족 또는 기기 오동작에 의하여 전기 공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도록 함은 물론, ③다른 전기설비 그 밖의 물건의 기능에 전
기적 또는 자기적인 장해를 주지 아니하도록 하며, ④특히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
및 신기술·신공법의 개발·활용 등에 지장을 주지 않게 정하도록 하고 있다.
30 2. KEC 제1장 (공통사항)
[표 2] 저압 및 고압의 전압범위 변경
[그림 2] 안전을 위한 보호
Ⅱ. KEC 주요내용 33
[표 3] 전선의 식별
교류(AC) 도체 직류(DC) 도체
상(문자) 색상 극 색상
L1 갈색 L+ 적색
L2 흑색 L- 백색
L3 회색 중점선
청색
N 청색 N
보호도체 녹색-노란색 보호도체 녹색-노란색
[참고] KS C IEC 60445
[표 4] 저압 전로의 절연저항 값
보호도체 및 보호본딩도체의
접지도체 최소단면적 (㎟) 보호도체 최소단면적 (㎟), 구리
최소단면적 (㎟), 구리
케이블의 일부가 아니거나
설비 상도체 상도체와 재질이
구리 철 상도체와 공통으로 수납되어
단면적 S 같은 보호도체
있지 않은 경우
6 50 기계적 손상에 기계적 손상에
S ≦ 16 S
접지도체에 LPS가 접속된 때 16 < S ≦ 35 16 대한 보호 있음 대한 보호 없음
S > 35 S/2
16 50 2.5 4
ㅇ건축구조물 외부 인입 각종 금
감전보호용 속제 배관 본딩(인입구 부근에서
보호등전위본딩
등전위본딩 접속)
(KEC 143.2.1)
(KEC 143) ㅇ건축물ㆍ구조물의 철근,
철골 등의 금속보강재 등
피뢰시스템
등전위본딩 금속설비 등전위본딩 구조물에 접속된
( K E C (KEC 153.2.2) 외부도전부의 본딩
153.2)
손상의 원인 ;
구조물에 뇌격
구조물 근방에 뇌격
구조물에 접속된 시설물
에 뇌격
장비
시설물
(수도관 등
Id Ip
정보통신선 Ie 저압 배전망의 전원선
[범 례]
1 수뢰도체
2 지붕 난간의 금속 덮개
3 강철 보강봉
4 보강용 철근에 중첩시킨 메시도체
5 메시도체의 접속
6 내부 본딩 바에 대한 접속
7 용접과 죔쇠에 의한 접속
8 단독 접속
9 콘크리트 내의 강철 보강재
(메시도체에 중첩)
10 환상 접지극
11 기초 접지극
a 메시도체를 중첩시키는 5 m의
전형적인 거리
b 메시도체를 보강재에 접속하는
1 m의 전형적인 거리
□ 제2장의 구성
□ 200 통칙
○ 201 적용범위
○ 203 계통접지의 방식
1) TN 계통
2) TT 계통
3) IT 계통
기호 설명
중성선(N)
보호도체(PE)
중성선과
보호도체 겸용(PEN)
[그림 1] 계통접지의 여러 가지 방식
46 3. KEC 제2장 (200 통칙)
① 누전시 단락전류의 크기
TN 계통은 그림 2a와 같이 누전고장시 단락상태가 되어 매우 큰 고장전류가 흘러 위험한
반면, TT 계통은 그림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전시 고장전류는 R3 → R2 를 통해 흐르므
로 접지저항 값에 의해 제한된다.
② 뇌서지의 영향 비교
③ 감전에 대한 보호
□ 210장의 구성
□ 감전에 대한 보호
1) 기본보호
2) 고장보호
3) 특별저압에 의한 보호
[표 1] 감전보호를 위한 방법
고장시 최대 차단시간(s)
공칭전압
교류 직류
(V)
TN TT TN TT
120V < ≦ 230V 0.4 0.2 5 0.4
230V < ≦ 400V 0.2 0.07 0.4 0.2
Ⅱ. KEC 주요내용 51
× ≤ 여기서 : 고장루프임피던스
: 정해진 시간 내에 보호장치를 자동차단시키는 전류
: 공칭전압
① TN-S 계통
② TN-C 계통
③ TN-C-S 계통
○ TT 계통의 전원자동차단에 의한 보호
× ≤
② TT계통의 접촉전압
□ 과전류에 대한 보호의 원칙
○ 선도체의 보호
○ 중성선의 보호
TN 또는 TT계통에서
○ 중성선 차단 및 재폐로
□ 과전류보호장치의 종류 및 특성
○ 과전류보호장치의 종류
2) 과부하만을 보호하는 장치
○ 과전류보호장치의 특성
[표 1] 퓨즈(gG)의 용단특성
정격전류의 배수
정격전류의 구분 시 간
불용단전류 용단전류
정격전류의 배수
정격전류의 구분 시 간 (모든 극에 통전)
부동작 전류 동작 전류
형 순시트립범위
B 3In 초과 ~ 5In 이하
C 5In 초과 ~ 10In 이하
D 10In 초과 ~ 20In 이하
비고 1. B, C, D: 순시트립전류에 따른 차단기 분류
2. In: 차단기 정격전류
□ 과전류보호장치의 조건
≤ ≤ (1)
≤ × (2)
배선의 기준 값
보호 장치의 특성
정격전류 또는
전류 설정 값 통상적인 동작전류
□ 과부하보호
○ 과부하보호장치의 설치위치
60 5. KEC 제2장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 과부하보호장치의 생략
□ 단락보호
○ 단락보호장치의 설치
○ 단락보호장치의 조건
(3)
[표 5] 도체에 대한 k 값
도체절연 형식
구 분
PVC PVC (열가소성)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무기재료
(열가소성) 90℃ 고무/ (열경
PVC 노출
단면적 가교폴리에틸렌( 화성)
≦300 >300 ≦300 >300 열경화성) 외장 비외장
(㎟) 60℃
초기온도
70 90 90 60 70 105
(℃)
최종온도
160 140 160 140 250 200 160 250
(℃)
도체재료:
구리 115 103 100 86 143 141 115 135/115*
알루미늄 76 68 66 57 94 93 - -
구리의
115 - - - - -
납땜접속
* 이 값은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노출 케이블에 적용되어야 한다.
○ 단락보호장치의 설치위치
○ 단락보호장치의 생략
3) 특정 측정회로
Ⅱ. KEC 주요내용 65
□ 과전압에 대한 전기설비의 보호
변전소 저압설비
UO *) RE x IE+UO 0 *)
TT
RE x IE + Uo UO *) 0 *)
UO *) UO *) RE x IE **)
TN
RE x IE + UO UO *) 0 *)
*) 고려 필요 없음.
**) 다중 접지된 PEN 도체들의 고장전압(Uf ) 계산 ; Uf = 0.5RE × IE
고장전압 지속시간
지속시간(ms)
[표 2] 허용 상용주파 스트레스전압(U₁U2)
□ 낙뢰 또는 개폐에 따른 과전압 보호
○ 기상현상으로 인한 과도과전압
(220/380)b
230/400 300 6 4 2.5 1.5
277/480
1 000 1 000 12 8 6 4
직류 1 500 직류 1 500 8 6
a
이 임펄스 내전압은 충전도4체와 보호도체(PE) 사이에 적용된다.
b
우리나라 현재 사용전압으로 향후 IEC 60038에 따른 전압 사용
○ 과전압 억제시설
과전압을 억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다만, 과전압 범주Ⅰ의 임펄스 내전압을 갖
는 기기는 모든 경우에 과도과전압에 대한 보호를 고려한다.
* 본질적 과전압 억제
* 보호에 의한 과전압 억제
[표 5] 보호의 중요도 수준
3) 위험평가방법
구 분 보호 장치
[표 7] 환경요소(fenv)계산
환경 환경요소
근교 및 농촌 환경 85 × F
도시 환경 850 × F
72 6. KEC 제2장 (213 과전압에 대한 보호)
LP = 2 LPAL + LPCL + 0,4 LPAH + 0,2 LPCH 여기서 LPAL가공 저압선로 거리(km)
LPCL저압 지중케이블 거리(km)
LPAH가공 고압선로 거리(km)
LPCH고압 지중케이블 거리(km)
1 설비 인입구
2 (특)고압/저압 변압기
3 SPD(과전압 보호장치)
□ 맺음말
□ 열 영향에 대한 보호
○ 일반 요건
○ 적용 범위
□ 화재 및 화상방지에 대한 보호
○ 전기기기에 의한 화재방지
○ 아크차단기(권고사항)
▪숙박시설의 구내
▪가공처리 또는 저장된 물질의 특성으로 인해 화재의 위험이 있는 장소(예를 들어
헛간, 목공소, 가연성물질을 저장소)
▪가연성 건축자재가 있는 장소(예를 들어 목조건축물)
▪화재연소의 우려가 있는 구조물
▪소실시 대체 불가능한 물품(문화재 등)이 있는 장소
○ 전기기기에 의한 화상방지
금속 55
손으로 잡고 조작시키는 것
비금속 65
손으로 잡지 않지만 금속 70
접촉하는 부분 비금속 80
통상 조작 시 접촉할 금속 80
필요가 없는 부분 비금속 90
정면 측면
평면 촉수 가능범위 한계
□ 과열에 대한 보호
□ 맺음말
□ KEC 230의 구성
□ 일반사항
□ 배선설비 공사의 종류
공사방법
전선 및 케이블공사 케이블트렁킹 케이블 케이블트레이
케이블 전선관 애자
직접 시스템(몰드형, 덕팅 시스템(래더,
비고정 지지선 시스템 공사
고정 바닥매입형 포함) 시스템 브래킷 포함
나전선 × × × × × × × ○
절연전선 × × × ○ ○ ○ × ○
다심 ○ ○ ○ ○ ○ ○ ○ △
케이블
단심 △ ○ ○ ○ ○ ○ ○ △
○ : 사용가능 × : 사용불가 △ : 적용불가 또는 실용상 일반적으로 사용불가
○ 시설 상태에 따른 공사방법
건물의 접근 가능 ○ ○ △ ○* ○ ○ ○ ×
공간 접근 불가 ○ △ △ ○* △ ○ △ △
케이블채널 ○ ○ × ○ △ ○ ×
지중 매설 ○ △ × ○ × ○ △ ×
구조체 매입 ○ ○ × ○ ○ ○ △ ×
노출표면 부착 × ○ × ○ ○ ○ ○ ○
가공/기중 × ○ ○ △ ○ ○ ○ ○
창틀 내부 ○ △ × ○ △ △ △ ×
문틀 내부 ○ △ × ○ △ △ △ ×
수중(물속) □ □ × □ × □ △ ×
○ : 사용가능 × : 사용불가 △ : 적용불가 또는 실용상 사용불가
□ : 제조자 지침에 따름. * : 이중천장 내(반자속 포함) 합성수지관 공사 시설불가토록 규정 개정중
Ⅱ. KEC 주요내용 85
○ 외부 영향
외부 영향 선정 및 설치
∙ 최고 허용온도 이하로 선정 및 설치
①주위온도
∙ 케이블과 배선기구류는 제품의 제한온도 내에서 시설
∙ 다음의 보호방법 사용
②외부 열원 - 차폐, 열원으로부터 이격, 온도상승을 고려한 구성품의 선정
- 절연재료의 국부적 강화(단열 슬리브 접속 등)
∙ 부식 또는 오염물질에 견딜 수 있는 재료로 보호 또는 제조
⑤부식/오염물질의 존 ∙ 전해작용의 우려가 있는 금속이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
재 ∙ 상호작용 또는 개별적으로 열화 또는 위험한 상태가 될 우려가 있는 재
료는 상호 접속시키지 않도록 배치
86 8.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배선설비)
항목 고려 사항
∙ 하나의 회로도체는 다른 다심케이블, 다른 전선관, 다른 케이블덕팅시스템
①회로 구성 또는 다른 케이블트렁킹 시스템을 통해 배선해서는 안 된다.
∙ 여러 개의 주회로에 공통 중성선을 사용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④교류회로-전기자기
∙ 강자성체(강제금속관 또는 강제덕트 등) 안에 설치하는 교류회로의 도체는
적 영향(맴돌이 전류
보호도체를 포함한 각 회로의 모든 도체를 동일 외함에 수납하여야 한다.
방지)
⑤하나의 다심케이블 ∙ 모든 도체가 최대공칭전압에 대해 절연되어 있을 때에는 동일 케이블에
속의 복수회로 복수의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내부 밀폐
케이블
금속제 트렁킹
외부 밀폐
[그림 2] IP코드의 배열
88 8.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배선설비)
[표 5] IP코드의 요소 및 의미
추가문자(선택)
<생 략>
보충문자(선택)
□ 맺음말
□ 조명설비
○ 등기구의 설치요건
○ 열영향에 대한 주변의 보호
기호 설명 기호 설명
[그림 1] 등기구, 등기구 구동장치 및 등기구의 설치에 사용되는 기호의 설명(KS C IEC 60364-5-55 참조)
Ⅱ. KEC 주요내용 91
○ 조명설비의 배선계통
○ 등기구의 집합
○ 보상 커패시터
○ 코드의 사용
2) 코드 및 이동전선
[표 2] 코드 또는 캡타이어 케이블의 선정
용도 옥내 옥외ㆍ옥측
종류 조명용 전원코드 이동전선 조명용 전원코드 이동전선
비닐 × △○ × ×
고무 ○ ○ × ×
코드 편조 고무 ● □
금사 × ▲ × ×
실내장식전등기구용 ○ × ×
캡타이어 고무 ◎ ◎ ◎ ◎
케이블 비닐 × △◎ × △◎
○, □, ●: 300/300 V 이하에 사용한다.
◎: 0.6/1 ㎸ 이하에 사용한다.
×: 사용될 수 없다.
△: 다음 조건에 적합한 것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다.
- 방전등, 라디오, 텔레비전, 선풍기, 전기이발기 등 전기를 열로 사용하지 않는 소형기계기구에 사용할 경우
- 전기모포, 전기온수기 등 고온부가 노출되지 않은 것으로 이에 전선이 접촉될 우려가 없는 구조의 가열장치
(가열장치와 전선과의 접속부 온도가 80 ℃ 이하이고 또한 전열기 외면의 온도가 100 ℃를 초과할 우려가
94 9.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조명설비)
없는 것) 에 사용할 경우
▲: 전기면도기, 전기이발기 등과 같은 소형 가정용 전기기계기구에 부속되고 또한 길이가 2.5 m 이하이며 건조
한 장소에서 사용될 경우에 한한다.
●: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
□: 옥측에 비나 이슬에 맞지 아니하도록 시공한 경우 사용할 수 있다.
□ 맺음말
□ 개요
□ 전선의 단면적
1) 최고허용온도(절연체의 허용온도)
2) 허용 전압강하
5) 설치방법
□ 절연물의 허용온도
□ 허용전류 결정방법
○ 부속서 A (공사방법)
공사방법
시설 상태
고정하지 직접 케이블 케이블 애자
전선관 케이블트렁킹 지지선
않음 고정 덕트 트레이 사용
30, 31, 32,
건물의 접근가능 40 33 41, 42 6, 7, 8, 9, 12 43, 44
33, 34
- N/A
공간 접근불가 40 N/A 41, 42 N/A 43 N/A N/A N/A
수중(물속) + + + - + N/A - -
- : 사용할 수 없다.
N/A(Not applicable) : 적용할 수 없거나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 : 제조자 지침에 따른다.
허용전류를 구하기
항목
공사 방법 설 명 위해 사용하는
번호
표준 공사방법
< 표 3 허용전류 구하기 위한 공사방법 예 (73번까지의 항목번호 중 1~4번만 소개한 것임) >
A1 A2 B1 B2 C D
설치방법
E F G
○ 부속서 B (허용전류)
구 분 공사방법의 허용전류
동 전선과 동 시스(공사방법 C)
표 B.52.6
PVC 피복 또는 노출로 접촉할 우려가 있음
무기절연
금속시스 온도 : 70 ℃, 기준주위온도 : 30 ℃
동 전선과 동 시스(공사방법 C)
표 B.52.7
가연성 물질 또는 노출로 접촉할 우려가 없음
무기절연
금속시스 온도 : 105 ℃, 기준주위온도 : 30 ℃
○ 저감계수 종류 및 적용
구 분 전선 종류 및 조건
주위의 대기온도가 30 ℃ 이외인 경우의 보정계수
표 B.52.14
- 기중케이블의 허용전류에 적용.
주위의 지중온도가 20 ℃이외인 경우의 보정계수
표 B.52.15
- 지중케이블의 허용전류에 적용.
토양의 열 저항률이 2.5 kㆍm/W 이외인 경우의 보정계수
표 B.52.16
- 참조방법 D의 허용전류(A)에 적용.
복수회로 또는 다심케이블 복수의 집합에 대한 저감계수
표 B.52.17 ~ 표 B.52.21
- B.52.2 ~ B.52.13의 허용전류를 이용
□ 허용전류 산정방법의 예시
Ⅲ. 자주하는 질의 (FAQ)
설 명
설 명
[ 전제조건 및 주의사항 ]
① 1개 관로에는 1회로 시설 원칙임 (KS C 3140)
② 집합보정계수는 평균값임
③ IEC에서 제공하지 않는 보정계수는 IEC 60287에 따라 직접 산출하여야 함.
1. 계산 조건
2. 공사방법
○ ELP관, 단심케이블이므로 표 52-3에서 71번 ‘D1’적용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09
4. 각 표에 의한 계산결과
1회선에 대한 허용전류
= 동선의 허용전류 × 온도 보정계수 × 집합 보정계수
= 365×0.93×0.8
= 271.6A
110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설 명
1. HFIX 전선
① 규격 : KS C 3341 에 의함
② 공식명칭 :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 전선
③ 사용근거 : 판단기준 제4조(절연전선), 제168조(옥내배선의 전선)
④ 용도 : 450/750V 이하 일반 전기배선에 사용 (옥내배선용)
- HF : 저독성 난연(halogen free flame retardant)
- I : 절연 전선(insulation wire)
- X : 가교 폴리올레핀(cross-linked polyolefin)
2. VCTF 전선
① 규격 : KS C IEC 60227-5 에 의함
② 공식명칭 : 300/500 V 이하 유연성 비닐 케이블 (코드)
③ 용도 및 근거 : 이동용, 판단기준 제198조(이동전선의 시설) 외
④ 참고사항
3. HIV 전선
HIV 전선은 과거 KS C 3328 표준에 의하여 생산되어 사용하던 제품이나,
'09.10.27 표준이 폐지됨에 따라 현재는 생산이 중지된 제품입니다. 그러나 일
부 현장에서는 KS C IEC 60227-3으로 제조된 제품을 ‘HIV’라는 호칭으로 사
용된 경우가 있는데, 본 표준에는 아래와 같이 기기배선용과 일반용이 있으므
로 사용에 주의를 요합니다.
종 류 기호 비 고
450/750 V 일반용 단심 비닐 절연전선 60227 KS IEC 01 70℃, 1.5∼400㎟
450/750 V 일반용 유연성 단심 비닐절연전선 60227 KS IEC 02 70℃, 1.5∼240㎟
설 명
배선구분 현행 배선 선정방식
KEC 배선 선정방식
(차단기정격) 차단기정격기반 허용전류
15A 연동선 2.5 ㎟
20A 연동선 4.0 ㎟ KS C IEC 60364-5-52 [현행 허용전류방식 (KS C IEC
30A 연동선 6.0 ㎟ “부속서 B”에 의한 선종별 60364-5-52 “부속서 B”에 의한
40A 연동선 10.0 ㎟ 굵기 선정 선정)에 의한 것과 같음]
[단락보호] [단락보호]
(정격 선정 관련 별도규정 없음) •단락보호장치 선정 시 고려사항
- 전선 허용온도 도달시간[단시간사고,
등]
- 전동기 돌입전류 유형
- 회로의 최대고장전류
□ 주의사항
○ 상기 내용은 현행 「판단기준」 대비 변경된 일부 규정에 대한 요약자료로서
상세사항은 「KEC」 해당 규정 및 전체 규정, 발간된 기술지침서, 관련 교육 등
을 통한 구체적 확인 필요
□ 기술(참고)자료
- [KEC 제・개정확인] 기술기준홈페이지(kec.kea.kr) ⇒ 커뮤니티 ⇒ 공지사항
- [배선분야 지침서] 배선설비의 설계 및 공사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 [접지분야 지침서] 접지시스템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 [보호분야 지침서] 감전 및 과전류보호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116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설 명
설 명
설 명
설 명
□ 전선식별 변경 전후 - 증설 및 신설 적용 예시
120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설 명
〈 전기사업법 제67조 〉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조 〉
설 명
설 명
□ 의견제출 : 상시 접수
□ 제출처 : [email protected]
구분 현 행 제ㆍ개정(안)
기술기준
/
KEC
산업계
해당 전기설비 설계시공감리운영유지보수안전관리 등 현황
현황
제개정
개정 목적, 문제점, 필요성 및 개선방안 등
사유
관련
국내외 법/규정 및 표준 자료, 설계시공연구 사례 등
근거자료
비고
1. 정오표
행, 표번호,
페이지 오(誤) 정(正)
그림번호
표 3.28,
64 C, 표 4.1의 항목 2 C
30번행 4열
표 3.30,
71 C, 표 4.1의 항목 3 C
21번행 4열
표 3.30,
71 C, 표 4.1의 항목 3 C
23번행 4열
표 4.1
단심케이블: E
86,87 항목번호 E 또는 F
다심케이블: F
31~35번행 4열
표 4.11
105 (붙임3 참고)
도체분류 관련
표 4.12
107 (붙임4 참고)
도체분류 관련
② [조건 3] :
82 82.3 1,701
92 93.7 2,205
10 9.7 23 10 9.2 21
12 12.2 37 12 11.4 33
16 15.8 62 15 14.1 50
F 허용전류
PVC절연(단심케이블) XLPE 또는 EPR절연(단심케이블)
구리 도체 알루미늄 도체 구리 도체 알루미늄 도체
도체의 3개 3개 3개 3개
2개 수평 2개 수평 2개 수평 2개 수평
공칭 부하 부하 부하 부하
부하 3개 부하 3개 부하 3개 부하 3개
단면적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 삼각 삼각 삼각 삼각
접촉 밀착 접촉 밀착 접촉 밀착 접촉 밀착
배치 배치 배치 배치
1.5
2.5
4
6
10
16
25 114 96 99 85 73 76 146 123 128 110 94 97
35 141 119 124 106 91 95 182 154 160 136 117 123
50 170 145 151 130 111 116 220 188 196 167 145 150
70 218 188 196 167 144 150 282 244 254 216 187 196
95 264 230 239 204 177 184 343 298 311 263 230 240
120 306 268 279 237 206 215 398 348 364 307 269 280
150 353 310 324 275 238 250 459 404 422 354 312 326
185 403 356 371 316 274 287 523 464 485 407 359 376
240 475 422 441 374 326 341 618 552 577 482 429 448
300 547 488 511 432 377 396 712 640 670 558 498 520
400 656 571 599 522 458 480 855 749 790 673 603 631
500 755 652 686 604 531 557 985 861 908 779 701 733
630 874 744 787 703 618 649 1141 990 1047 906 818 857
주위온도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PVC절연 1.40 1.34 1.28 1.21 1.14 1.08 1.00 0.90 0.81 0.70 0.57
XLPE/ 1.00
1.26 1.23 1.18 1.14 1.09 1.05 0.95 0.90 0.83 0.78 0.71 0.63 0.54 0.45
EPR절연
[비고1] 이 계수는 상기와 같이 단일 층에 공사한 케이블 집합(개연형상의 집합)에 적용하고, 상호
접속한 2층 이상의 케이블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공사방법에 대한 계수는 상당히
작으며, 적절한 방법을 통해 결정하여야 한다.
[비고2] 이 값은 트레이간의 수직간격이 300 mm, 케이블 트레이와 벽의 간격은 20 mm 이상인 경
우이다. 이보다 좁은 수직간격인 경우 계수를 줄여야 한다.
집합계수 [비고3] 이 값은 배면방향으로 부착한 트레이 사이의 수평간격이 225 mm인 경우이다. 이보다 좁
[표4.11-1] 은 간격인 경우 계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고4] 상마다 복수의 케이블이 병렬로 있는 회로인 경우, 이 표의 적용을 위해 도체의 삼상 도체
세트를 하나의 회로로 간주한다.
[비고5] 상(phase)당 병렬도체 m개로 구성된 회로인 경우, 저감계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이 회로
를 m개 회로로 간주하여야 한다.
[비고6] 16 ㎟ 이하의 경우 단심케이블에 대한 허용전류를 나타내는 수치가 없음
128 Ⅱ. 자주하는 질의 (FAQ)
G 허용전류
PVC절연(단심케이블) XLPE 또는 EPR절연(단심케이블)
구리 도체 알루미늄 도체 구리 도체 알루미늄 도체
도체의
수평 수평 수평 수평 수평 수평 수평 수평
공칭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단면적
수평이격 수직이격 수평이격 수직이격 수평이격 수직이격 수평이격 수직이격
(㎟)
1.5
2.5
4
6
10
16
25 127 113 97 86 166 146 125 111
35 157 141 121 108 206 183 156 139
50 190 171 147 132 250 224 191 171
70 244 221 189 170 321 289 247 222
95 297 270 230 210 391 354 302 273
120 344 315 268 245 455 413 352 319
150 397 364 310 284 525 479 408 371
185 453 418 354 327 601 550 469 428
240 535 495 419 389 711 654 556 510
300 617 573 484 451 821 758 644 593
400 741 692 584 547 987 917 779 721
500 854 800 674 635 1140 1064 902 838
630 990 931 783 741 1323 1239 1050 987
* G의 설치방법
벼과의 간격이 케이블 애자지지 나전선 또는
지름의 0.3배 이상인 단 절연전선
심 또는 다심케이블
주위온도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PVC절연 1.40 1.34 1.28 1.21 1.14 1.08 1.00 0.90 0.81 0.70 0.57
XLPE/
1.26 1.23 1.18 1.14 1.09 1.05 1.00 0.95 0.90 0.83 0.78 0.71 0.63 0.54 0.45
EPR절연
[비고1] 적용방법 G의 경우에는 집합계수가 해당이 없다.
[비고2] De는 케이블의 바깥지름을 나타낸다.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29
행, 표번호,
그림 2-29
그림번호
오(誤)
정(正)
1. 제1장 총칙
2. 제2장 발전소ㆍ변전소ㆍ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3. 제3장 전선로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6. 제6장 전기철도 등
7. 제7장 국제표준도입
8. 제8장 지능형전력망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10. 기타사례
제
1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33 장
1. 제1장 총칙
(제1조 ~ 제43조)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35
제 목 전기설비기술기준의 법적 근거
질 의
회 신
※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LSW/main.html) 전기사업법 참조
136 1. 제1장 총칙
제 목 부하 불평형시 부하전선의 굵기 문의
질 의
회 신
제 목 절연테이프 시공법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전선의 병열접속 기준
질 의
2. 아래 사진에서에서 11조 6호 적용 유무
2-1. 터미널러그를 2홀 짜리로 바꾸고 같이 연결해야 되는지 여부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절연내력시험의 최대사용전압 문의
질 의
전로의 종 류 시험전압
회 신
제 목 공통접지 적용 기준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서지보호장치(SPD) 설치기준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접지선 배선 관련 질의 모음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TN-C-S 접지방식 문의
질 의
160 1. 제1장 총칙
회 신
질 의
(질의내용)
○ 2종 접지 설치점이 변압기 N상 단자가 아닌
○ 변압기 2차측 주 차단기 ACB 1차측 N상에서 제2종 접지를 해도 되나요?
(질의사항)
○ 기술기준은 변압기의 저압측의 중성점에 하라고 명기되어 있습니다.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건조한 곳의 적용방법
구 분 적용방법
건조한 곳의 적용방법 예시
적용구분 건조한 곳으로 적용할 수
건조한 곳
장소예시 없는 곳
1.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의 지상 1층에서 지상 5층 좌란 이외에 지면과
아파트형 공장 등의 바닥이 다만, 평상시 습기 또는 물기가 없는 장소로서 콘크리트 바 직접 접촉하고 있는
콘크리트 바닥으로서 그 위 닥이 건조한 상태이고 사람이 그 기계기구와 주변의 접지된 지하 1층의 콘크리트
에서 전기기계기구를 취급하 금속체에 동시에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는 경우이어야 함 바닥
는 경우
2. 지상 1층 규모의 공장 등의 절연성 페인트를 칠한 지상 1층의 콘크리트 바닥 지면과 직접접촉하고 있
바닥이 콘크리트 바닥으로서 다만, 평상시 습기 또는 물기가 없는 장소이고 사람이 그 는 지상 1층의 콘크리
그 위에서 전기기계기구를 기계기구와 주변의 접지된 금속체에 동시에 쉽게 접촉할 우 트 바닥
취급하는 경우 려가 없는 경우이어야 함
질 의
[170조 5항]
저압 콘센트는 제33조제2항의 경우를 제외하고 접지극이 있는 것을 사용하여
접지하여야 한다. 다만, 주택의 옥내전로에는 제33조제2항의 경우에도 불구하
고 접지극이 있는 콘센트를 사용하여 접지하여야 한다.
[33조 2항 8번]
물기 있는 장소 이외의 장소에 시설하는 저압용의 개별 기계기구에 전기를 공
급하는 전로에 '전기용품안전 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
기를 시설하는 경우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등기구 접지생략”의 의미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누전차단기 설치 예외조건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 내용
- 가로등 분전함 내 차단기 중 부하측에는 일반 ELB를 설치하고, 제어기(양방향
무선통신)측 조작전원에 자동복구 차단기 설치 가능한지 문의 드립니다.
○ 비고
- 전기설비기술 기준 제41조 5항 1호 및 3호에 따르면 옥외의 장소에서 특정한
목적을 위해 지체하는 장소(횡당보도, 버스정거장)을 제외한 곳에서 무인으로
운전하는 통신 중계기 또는 단위기기 전용회로의 경우 설치가 가능하다고 되
어 있는데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2
장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44조 ~ 제56조)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91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d2
d2
d1
d
1
d1 : 울타리ㆍ담 등의 높이
d2 : 울타리ㆍ담 등으로부터 충전부분까지 거리
사용전압(㎸) 최소 이격거리
7 이하 0.5 m
7 초과 ~ 35 이하 1.5 m
35 초과 ~ 80 이하 2.0 m
80 초과 ~ 115 이하 3.0 m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수・배전반실 중문 설치기준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3
장
3. 제3장 전선로
(제57조 ~ 제152조)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15
질 의
회 신
제 목 저압 인입선의 설치 높이 기준
질 의
회 신
제 목 송전선의 지표상 높이 기준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사용전압 이격거리(㎝)
15 kV 미만 15
15 kV 이상 25 kV 미만 20
25 kV 이상 35 kV 미만 25
35 kV 이상 50 kV 미만 30
50 kV 이상 60 kV 미만 35
60 kV 이상 70 kV 미만 40
70 kV 이상 80 kV 미만 45
80 kV 이상 130 kV 미만 65
130 kV 이상 160 kV 미만 90
160 kV 이상 200 kV 미만 110
200 kV 이상 230 kV 미만 130
230 kV 이상 160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제2차 접근상태 해당 여부 문의
질 의
첨부 그림1 첨부 그림2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31
회 신
끝.
232 3. 제3장 전선로
제 목 지중관로 매설깊이 기준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 질의 내용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141조제3항에 의거 특고압 지중전선이 관과
접근하거나 교차하는 경우의 상호간 이격거리 확보 기준 및 시설방법
회 신
질 의
회 신
○ 지중약전류전선이 일반 용도일 때
- 지중약전류전선이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재료로 피복한 광섬유
케이블로서 그 관리자와 협의한 경우
- 지중약전류전선이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관에 넣은 광섬유케이
블로서 그 관리자와 협의한 경우. 끝.
244 3. 제3장 전선로
질 의
회 신
제 목 저압 및 고압 지중관로간 이격거리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4. 제4장 전력보안 통신설비 4
(제153조 ~ 제165조) 장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49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166조 ~ 제250조)
제
5
장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51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에어컨 전용 분기회로 구간 문의
질 의
회 신
제 목 주방기구 하이라이트 배선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변전소의 제어케이블 굵기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전기온수기 설치기준 문의
질 의
회 신
제 목 배・분전함의 재질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첨부]
270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질 의
회 신
질 의
○ 상기 회로에서
① MCC FEEDER에서 전동기기동반으로 케이블이 연결,
② 전동기 기동반은 기동장치를 거쳐 전동기로 케이블이 연결.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누전차단기의 옥내배선 굵기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콘센트기구 아우트렛 박스 제외 규정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1. 방폭 지역에서의 나사 없는 전선관 적용 가능 여부
2. 옥외 노출 배관 시 나사 없는 전선관 적용 가능 여부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07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가스관
전선
절연성
10㎝ 10㎝ 격 벽
이하 이하
절연관
10㎝ 10㎝
전선 이상
이상
금속관
<그림 196-1>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11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 판단기준 제213조제6호
습기가 많은 곳 또는 물기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방전등에는 적절한 방습장치
를 할 것. 관련 문의 사항입니다.
- 저전압이며 상시 사용이 아닌 일반 아파트의 욕실에 있는 조명기구에 꼭 방
습장치를 해야 하나요?
- 방습장치를 필히 해야 한다면 환풍 시설을 방습 장치로 볼 수 있지 않는지
요?
- 환풍시설을 방습 장치로 볼 수 없다면 조명기구에 부착되는 고무패킹을 방
습 장치로 볼 수 있는지요?
- 방습장치는 정확히 습기로 부터 무얼 보호하는 게 목적인지요? / 해당 목적
물 보호가 이루어졌다면 방습장치는 별도 지정되지 않아도 무방한지요? /
해당 목적물 보호 된 것을 어떠한 방법 / 기준으로 확인이 가능한지요?
회 신
제 목 전기울타리의 시설기준
질 의
회 신
※ 참고 : 사람이 쉽게 출입하는 장소
사람이 일반적으로 다니는 곳과 펜스와 벽 등에서 분리되지 않고 있으며 또한
사람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높이의 장소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17
질 의
회 신
제 목 풀장에 사용 가능한 전선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6. 제6장 전기철도 등
(제251조 ~ 제278조)
제
6
장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23
질 의
회 신
7. 제7장 국제표준도입
(제279조 ~ 제280조)
제
7
장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27
제 목 보호선 의미 문의
질 의
회 신
8. 제8장 지능형전력망
(제281조 ~ 제298조)
제
8
장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31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직류 전기설비의 전선 선정기준 문의
질 의
회 신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K
E
C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41
질 의
회 신
제 목 KEC 전선의 식별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KEC 등전위본딩 관련 문의
질 의
회 신
제 목 KEC 피뢰시스템 관련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KEC 누설전류감시장치 관련 문의
질 의
회 신
“Residual current monitors (RCMs) are not protective devices but they may
be used to monitor residual current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RCMs
produce an audible or audible and visual signal when a preselected value
of residual current is exceeded.”
제 목 KEC 과부하전류보호 관련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5601. Scope
This part of IEC 60364 covers general requirements for safety services, selection and erection of
electrical supply systems for safety services and the electrical source for safety services. (중략)
560.4 Classifiction
560.4.1 An electrical supply system for safety services is either:
– a non-automatic supply system, the starting of which is initiated by an operator, or
– an automatic supply system, the starting of which is independent of an operator.
An automatic supply system is classifi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maximum changeover time:
– class A – no-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which can ensure a continuous supply within
specified conditions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for example as regards variations in voltage and
frequency;
– class B – very short 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available within 0,15s;
– class C – short 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available within 0,5 s;
– class D – average 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available within 5 s;
– class E – medium 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available within 15 s;
– class F – long 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available in more than 15 s.
366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2. 접지 설계 방식
○ 기존에는 1종,2종,3종, 특3종 방식을 고수하였으나 KEC에서 TN, TT, IT 방식
을 하라고 합니다. 현재 저희 공장에 적용된 방식을 아는 방법이 있나요?
○ 접지 보호도체 최소단면적에서 차단시간 5초 이하의 경우 S=루트i^2*t/k 공식
이 있는데 대부분 고장, 단락시 5초 이내에 차단하기 때문에 이 공식을 적용
해야 하는지요? 선정 방식의 예를 들어서 설명 부탁드리고 k값에 대한 상세
Factor도 나와있지 않네요
회 신
10. 기타사례
기
타
사
례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73
제 목 용어 질의・회신 사례
부 하
가섭선
점검 가능한 은폐장소
표준전압
옥 내
제 목 ‘준하는 설비’에 대한 정의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 질의 #1
1) 철근의 이음부를 용접, 죔쇠이음 등의 조치없이 보통 건축에서 사용하는
0.2mm 정도의 철근 결속선을 사용하여 접속하고 철근을 전기적 연속성이 0.2
옴 이하 규정만 만족하면 인하도선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요?
2) 또, 대부분의 철근 배근이 아래층 철근과 위층으로 연장해가는 이음철근이
서로 맞닫지 않거나 타설 시 콘크리트가 철근에 묻어 콘크리트 피막이 있는
상태로 연장 철근이 접속되어도 전기적 연속성이 0.2옴 이하면 적합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요?
○ 질의 #2
1) 현장에서는 자연적구성부재 사용 가부를 판단할 때 전기적연속성 만을 절대
적 판단기준으로 하여 적합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모두가 아는
바와 같이 도체인 철근이 전층에 걸쳐 미소한 철근간 접속만으로도 저항측정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77
회 신
제 목 피뢰시스템 관련 수평도체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제 목 1종 접촉상태에서의 감전보호 방법 문의
질 의
회 신
제 목 조도 계산 설계 관련 문의
질 의
회 신
제 목 피뢰기 정격전압 선정 관련 문의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질 의
회 신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389
지식경제부 고시 제2011 - 1호
2011. 1. 5.
지식경제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 고시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지식경제부 공고 제2011 - 1호
2011. 1. 5.
지식경제부장관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다.
2012. 1. 31.
지식경제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2012. 1. 31.
지식경제부장관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지식경제부 고시 제2013 - 1호
니다.
2013. 1. 4.
지식경제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ㅇ 산업계의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자계 단위에 적합한 용어로 변경함(안 제17조)
ㅇ 400 kV 이상의 특고압 가공전선 선하에 예외적으로 건조물 건설시 갖추어야 할
안전 조건을 신설함(안 제36조)
ㅇ 풍력설비 피뢰시스템 국제표준(IEC 61400-24)을 토대로 풍력설비 낙뢰보호를 위해
피뢰설비 시설 규정을 신설함(안 제175조)
ㅇ 풍력발전설비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풍력터빈의 “전자기 적합성” 규
정을 신설함(안 제176조)
2013. 3. 20.
지식경제부장관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ㅇ 서지보호장치의 적합한 설치 규정 신설
ㅇ 주택용 배선차단기의 규정 보완
ㅇ 전파장해방지 관련 규정 보완
ㅇ 400 kV 이상의 특고압 가공전선과 건조물의 시설 방법 신설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4 - 8호
고시합니다.
2014. 1. 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2014. 3. 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고시합니다.
2015. 1. 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2015. 1. 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시합니다.
2016. 1. 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2016. 1. 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시합니다.
2017. 3. 2.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2017. 3. 2.
산업통상자원부장관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고시합니다.
2018. 3. 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일부 개정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2018. 3. 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일부 개정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2018. 3. 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한국전기설비규정 제정
1. 제정이유
2. 주요내용
2019. 3. 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일부 제·개정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2019. 3. 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일부 개정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일부 개정
1. 개정이유
2. 주요내용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11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용어해설
[해설]
“발전소”란 발전기 및 원동기, 연료전지, 태양전지 등의 발전설비가 시설되어 있는
장소, 즉 발전소 건물이 있는 구내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단, 비상용 예비전원을 얻
을 목적으로 시설하는 빌딩, 영화관, 방송전파중계소 등의 예비전원실이나 전기용품
안전 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휴대용 발전기가 설치되는 곳은 발전소로 취급하지 않
는다.
“전기기계기구”는 전로의 일부가 되는 기계기구의 총칭이지만 필요한 요건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대개 다음과 같이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다.
(1) 전기기계기구마다 필요한 요건에 대하여는 개별 명칭(발전기, 변압기, 피뢰기 등)
(2) 공통된 사항에 대하여는「기계기구」
(3) 조합에 의한 것에 대하여는「장치」(대상이 복수인 경우를 포함한다.)
(4) 유사 전기기계기구에 대하여는「기타의 기구」또는「기타 이와 유사한 기구」
(5) 사용 장소에 시설하는 배선기구, 소형 전동기 등에 관해서는「전기기계기구」(가정용
전기기계기구 등을 대상)
[해설]
“변전소”란 구외로부터 전송받은 전기를 변성하여 변성한 전기를 다시 구외로 송전
하는 장소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따라서 주상변압기의 시설장소, 공장 등의 수전설
비 등은 이 고시에서 정의하는 변전소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구내란 울타리, 담
등에 의해 구분되어지고 어느 정도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지역으로 시설 관계자 이
외의 자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없는 곳, 또는 이에 준하는 곳(예를 들면 뜰이 없는
건조물의 내부)을 말한다.
412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해설]
“개폐소”란 전선로의 분기개소 또는 전선로의 도중에 시설되고, 개폐소 안에 개폐기 또
는 차단기를 설치하여 전로를 개폐하는 곳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수용장소”란 전기사용장소(전기를 사용하기 위한 전기설비를 시설한 건물 또는 기타 좁
은 의미의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를 말한다)를 포함하는 구내 전체를 말한다.
전기적인 단위를 이루는 장소 중 “전기사용장소”란 발전소 또는 변전소, 개폐소 혹은 이
들에 준하는 장소(수전소, 배전반실 등을 말한다.)이외의 장소를 말하지만 화력발전소에
서의 서비스 룸과 같이 발전 그 자체(自体)와의 사이에 기술상의 관계가 없는 것에 관해
서는 전기 사용 장소로서 규제를 받는 것이라고 생각해야 할 것이다.
전기 사용 장소가 옥내의 경우는 그 건물을 하나의 사용 장소라고 생각하면 되지만 옥
외의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 장소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으나, 하나의 작업장으로서 마련
되어 있는 것은 그 넓이에 관계없이 하나의 사용 장소로서 생각해도 좋고 또 일반 가정
의 정원과 같은 것은 대체적으로 하나의 사용 장소라고 생각해도 된다. 수용 장소와 전
기 사용 장소의 관계는 그림과 같이 된다.
배전선로
배전선로
전 전
기 기
사 사
용 용
장 장
소 소
수용장소
[해설]
“급전소”란 전력 계통을 구성하는 발변전소, 송배전 선로 등의 전력 시설을 경제적 합리
적으로 종합 운용하기 위한 지령 즉, 발변전소의 운전, 주파수 및 전압의 조정, 전력 수
급의 조정, 송전 계통의 변경, 계통 사고 때의 복구 조작 등의 지시를 행하는 곳이다.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13
[해설]
“전선”이란 강전류 전기의 전송에 사용하는 것만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강전류 전기
란 약전류 전기에 대응하는 용어이고 약전류 전기(전신, 전화 등의 사용에 공급되는
저전압 미소전류를 말한다) 이외의 것을 말한다.
<강전, 약전의 구분>
강전류 전기란 약전류 전기에 대응하는 용어로서 강전류, 약전류의 구별을 학술적으로
명확히 정하기는 곤란하나 개념적으로 말하면 통신·전화 등에 사용되는 저전압 미소전
류의 것이 약전류 전기이며 그 이외의 것이 강전류 전기이다. 통신·전화 등의 전기회로
이외의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약전류 전기회로라고 생각할 수 있다.
(1) 인터폰, 확성기 등의 음성 전송회로
(2) 고주파 또는 펄스에 의한 신호의 전송 회로
(3) 최대사용전압이 10 V 이하이고 사용 전류가 5 A를 넘지 않는 전기회로
(4) 전압의 최대치가 60 V 이하인 직류 전기회로로 제264조제1항에 규정하는 소세력 회
로에 준하는 것
(5) 전력보안통신선으로서 최대사용전압이 110 V 이하로서 단락전류가 100 mA 이하인
전기회로
[해설]
“전로”란 전기가 통하고 있는 회로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가리키는 용어로서 전기가
통하고 있는 도체, 즉 전기가 통하는 길이라는 의미로서 전자기학적 관점에서 표현
한 용어이다. 전선로의 전선뿐만 아니라 옥내배선이라든가 전기기기중의 권선 기타
의 도체도 모두 전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전기가 통하고 있다”고 하는 것은 본래
그 사용목적인 전류가 흐르며, 또한 전압이 걸려 있다고 하는 의미이며, 고장시에만
전류가 흐르는 접지선이라든가 부차적으로 전위가 생기는 금구와 같은 것은 이 기
준에서 말하는 전로는 아니다. 용어정의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신설함.
414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해설]
“전선로”란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전기사용장소 등 전기적인 단위를 이루는 장소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과, 이것을 지지하거나 보장하는 시설물(애자, 지선 등을 포함)
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인입선은 전선로에 포함되지만 배선은 포함하지 않는다.
전기 적인 단위를 이루는 장소 중 「변전소, 개폐소와 유사한 장소」란 제32조의 규정
에 의한 특별고압 배전용 변압기의 시설 장소, 공장 구내 등에서의 변전실, 주상변압기
의 시설장소, 지중전선로의 변압탑과 같은 곳을 말한다. 또 전선로는 전선과 그것을 지
지 또는 수용하는 시설물로 이루어진다.
「수용하는 시설물」이란 지중전선로에 대해서 케이블을 넣는 암거, 관, 접속함 등을 가
리키고 있다.
전선로는 이를 그 시설 목적으로 분류하면 송전선로, 배전 선로, 급전선로 등으로 분류
할 수 있지만 송전선로와 배전선로에 대하여 규제 구별이 없으며, 따라서 그 정의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15
[해설]
“전기기계기구”란 전로를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전로의 일부가 되는 기계기구를 총
칭하는 용어로서 전기기계기구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정의를 신설함.
[해설]
“연접 인입선”이란 인입선 중 하나의 수용장소의 인입선으로부터 분기하여 지지물을
거치지 않고 다른 수용장소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인입선”이란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부터 다른 지지물을 거치지 않고 수용장소의 붙
임점에 이르는 전선 및 수용장소의 조영물 측면 등에 시설하는 전선으로서 해당 수
용가의 인입구에 이르는 전선을 총칭한 것이다. 지중을 경유해서 조영물의 측면 등
에 시설하는 것(지중 인입선)도 인입선에 포함된다. 또한 인출선이라고 하는 말은
사용되고 있지 않으나, 그와 같은 개념의 것은 인입선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도
좋다. 여기에서 조영물이라는 것은 건축 기준법상의 건축물보다도 넓은 의미로 정
의하고 있다. 또한, 인입선과 연접 인입선의 관계는 그림과 같이 된다.
인입구
가공인입선
인입선중
옥측부분
인 입 선 연접 인입선
416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해설]
전차선 및 전차선로는 트롤리, 퓨겔 또는 팬터그라프(pantograph)가 접촉하는 전선은 물
론 지하철도에 사용되는 제3궤조(third rail), 단궤도 전기 철도(모노레일)용의 접촉 전선
등이 포함되고 기타 편의상 강색철도의 차량에 전기(동력용이 아님)를 공급하는 접촉 전
선(강색 차선)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유희용 전차에 대한 것은 포함되지 않는다.
[해설]
“배선”이란 전기사용장소에 시설하는 전선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배선에는 전기기계
기구내의 전선 및 전선로의 전선은 포함하지 않는다.
[해설]
약전류 전기의 전송에 사용하는 전선을 말하며, 전신, 전화나 인터폰, 확성기 등의 음성전
송회로 등과 소세력 회로의 전선 및 출퇴표시등 회로의 전선도 포함되고 있다.
소세력 회로 및 출퇴표시등 회로 : 이들은 약전류 회로는 아니나 그 전선이 기타 강전류
전기시설물과의 접근·교차 등의 경우의 취급에서 약전류 전선과 동일하게 취급함으로서 편
의상 이들을 약전류전선에 포함시켜 규정의 간소화를 도모한 것이다.
[해설]
“광섬유 케이블”이란 광신호의 전송에 사용하는 전송매체로서 보호피복으로 보호한
것이다. 광섬유 케이블은 절연물이며 전자유도 및 정전유도 장애가 없고 전력선으
로부터의 통신장애도 없는 것이기 때문에 약전류 전선과는 별도로 정의하고 있다.
“광섬유 케이블선로”란 광섬유 케이블과 이를 지지하거나 수용하는 시설물을 통칭
한다.
[해설]
“지지물”이란 목주, 철주, 철근 콘크리트주, 철탑 및 이들과 유사한 시설물로서 전선
또는 약전류 전선 등을 지지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이
다. 지선, 지주 및 전선으로부터 이격하기 위하여 건조물에 부착하는 인입선 취부금
구 등은 지지물에 포함하지 않는다. 지선 및 지주는 지지물에는 포함시키지 않고 별개
로 다룬다.
[해설]
“조상설비“란 무효전력을 조정하는 전기기계기구를 가리키는 용어이고, 전력용 콘덴
서, 분로 리액터, 조상기가 여기에 해당한다.
[해설]
전력계통을 구성하고 있는 발전소, 변전소, 전선로 등의 전력설비를 가장 안전하고
합리적이며 또한 경제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이들의 설비 및 기기의 운전조작을 위
한 급전지령 또는 사고복구조작 등의 지령·전달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전기사업을
영위하기 위하여 시설하는 전용의 통신설비를 전력보안통신설비라 하고 전력보안통
신설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통신을 통틀어서 전력보안통신이라 한다.
418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해설]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인입주)에서부터 다른 지지물을 거치지 않고 수용장소의 취부
점에 이르는 가공 부분의 전선으로서 아래 그림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부분을 말한
다. 또한, 인입하는 경우에 다른 가옥의 지붕 위에 인입선 취부금구(간이 지지물)를
설치해서 전선의 도중을 지지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간이 지지물 등은 지지물에 해당
하지 않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인입주로부터 취부점(붙임점)까지의 전선이 가공 인입
선이 된다.
[해설]
전기 철도에 부수(附隨)되는 것으로 전기 철도의 전용 부지 내에 시설하는 경우에 일반 전
선로와 다른 규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별도로 정의하고 있다.
[해설]
옥내 배선은 옥내(전기 사용 장소의 옥내를 의미 하고 발전소, 변전소 등의 옥내는 포함하
지 않는다)에 고정하여 시설하는 전선이지만 기술기준의 구성의 편의를 위하여 다음의 것
은 제외하고 있다.
a 전기기계기구내의 배선(전기기계기구의 외피(外被)내의 전선 및 부분적으로 外被의 밖
으로 나오는 짧은(短小) 전선을 말한다.)
b 관등회로(제9호)의 배선
c X선 관 회로의 배선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19
[해설]
조영물의 외측면 또는 조영물에 인접하는 옥외에 부하 설비가 있어서 이것에 전기를 공급
하기 위한 전선을 조영물의 외측면에 고정하여 시설하는 경우는 옥측배선으로 취급된다.
전기기계기구내의 배선이 제외되어 있는 것은 전호와 같은 취지이다. 또한 옥측 전선로는
해당 전기사용장소에서의 전기의 사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당연히
옥측배선에서 제외된다.
[해설]
옥외에 시설하는 배선 중 옥측 배선 이외의 것으로서 전기 기계 기구내의 배선 기타 특수
배선이 제외되는 것은 옥내배선의 경우와 같다.
[해설]
관등회로란 방전등용안정기 또는 방전등용변압기부터 방전관까지의 전로를 말하며, 따라
420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해설]
“지중함”이라는 것은 맨홀(manhole), 핸드 홀, 監視孔과 같은 것을 가리킨다. “이와 유사
한 관” 중에는 공기관, 증기관 등이 포함된다.
[해설]
접근상태라는 것은 가공 전선이 다른 시설물의 상방 또는 측방에서 접근하는 경우의 상태
를 정의한 것으로서 다른 시설물의 하방에서 접근하는 경우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접근
상태를 제1차 접근상태, 제2차 접근상태, 접근상태로 정의하고 있는 것은 가공 전선과 다
른 시설물이 접근 또는 교차하는 경우의 규제를 다른 시설물과의 관계위치별, 대상물 별
로 규제함에 따라 규정 조문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21
[해설]
이격거리는 떨어져야할 거리로 예상되는 기상조건에 의한 전선위치의 변화도 고려하여야
하며 경간이 길고 이도가 큰 전선로의 경우 다른 물체와의 이격은 바람 등에 의한 진동은
물론이고 또한 다른 시설물(접근 대상물)이 요동하는 것이라면 그 요동 등도 고려하여야
한다.
수직이격거리(V)
측상방 또는
측하방 에서의
이격거리
접근 대상물 수평이격거리(H)
T T
V V
H V
T H T
건조물
H H
T V V T
물체에 대한 용어
(건조물로 간주되는 예)
1. 거주자의 유무 및 이용률 여하에 관계없이 집회목적으로 세워진 건물, 공회당, 집
회소 등
2. 주거, 공장 등과 연결한 창고, 축사, 차고, 옥외 화장실 등
3. 주거, 공장 등과 밀접하지 않은 창고라도 사람이 빈번히 출입하는 것
(건조물로 간주하지 않는 것의 예)
1. 상시근무자가 없고 필요시 순시하거나, 또는 월 수회정도의 임시작업을 하는 물레
방아간, 양어장의 감시소, 기계운전소 등
2. 사람의 근무 또는 출입에 관계없는 공중전화박스, 군인초소, 소규모의 공중화장실
등
3. 사람이 근무하지 않고 이용자가 적은 버스의 간이 대합실
4. 사람이 주재하지 않으며 제례시만 사용하는 사당 등
5. 지하실
6. 주거와 접속되지 않은 창고, 축사, 화장실(공중화장실 제외), 간단한 차고나 주차장 등
Ⅶ. 기술기준 교육 및 도서
Ⅶ. 기술기준 교육 및 도서 안내 427
2021년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KEC 해설교육 안내
□ 신청방법
◦ 대한전기협회 홈페이지(http://kec.kea.kr)에서 온라인신청
□ 교육장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중대로 113 전기회관, 대한전기협회 14층
□ 수료증 발급
◦ 지자체 공무원 상시학습 교육인정 : 교육수료시간
◦ 한국기술사회 교육학점 인정 : 1.0학점/1시간당(80% 출석시 수료)
□ 접수 및 문의
◦ 기술기준처 사업전략팀(02-2223-3673, [email protected])
428 Ⅶ. 기술기준 교육 및 도서 안내
□ 구매방법
◦ 대한전기협회 홈페이지(www.kea.kr) 열린광장 내 발행도서에서 구매
□ 구매문의
◦ 기술기준처 사업전략팀 도서담당자 TEL(02-2223-3675), E-Mail([email protected])
2020년
편 저 : 사단법인 대한전기협회
발 행 일 : 2020. 11.
발 행 처 : 대한전기협회
서울 송파구 중대로 113(가락본동 79-2)
전화 : 02-2223-3711
FAX : 02-2223-3719
URL : www.kea.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