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229 views866 pages

2020년 전기설비기술기준 질의회신 사례집 PDF

The document is a collection of frequently asked questions and responses regarding the 2020 Electrical Facilities Technical Standards in Korea. It provides summaries of key inquiries and replies from 2014 to 2020 to help improv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technical standards and judgment criteria in the field. The cases are organized based on the Korean Electrical Regulations (KEC) published in 2018 and the technical standards and judgment criteria published in 2019. It aims to contribute to electrical safety by properly applying the technical standards and increasing understanding.

Uploaded by

Seongil Kim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Available Formats
Download as PDF, TXT or read online on Scribd
0% found this document useful (0 votes)
229 views866 pages

2020년 전기설비기술기준 질의회신 사례집 PDF

The document is a collection of frequently asked questions and responses regarding the 2020 Electrical Facilities Technical Standards in Korea. It provides summaries of key inquiries and replies from 2014 to 2020 to help improve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 technical standards and judgment criteria in the field. The cases are organized based on the Korean Electrical Regulations (KEC) published in 2018 and the technical standards and judgment criteria published in 2019. It aims to contribute to electrical safety by properly applying the technical standards and increasing understanding.

Uploaded by

Seongil Kim
Copyright
© © All Rights Reserved
We take content rights seriously. If you suspect this is your content, claim it here.
Available Formats
Download as PDF, TXT or read online on Scribd
You are on page 1/ 866

2020 전기설비기술기준

질 의・회신사례집
2020. 11.
발 간 사

대한전기협회는 전기사업법에 의한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대하여 조사,


연구, 심의, 제⋅개정검토 업무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위탁받아 수행
하고 있습니다.
2020년 전기설비기술기준 질의⋅회신 사례집은 주요 질의⋅회신한 사
례를 모은 것으로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에 대한 이해를 높여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사례집은 2018년 3월에 산업통상자원부를 통해 공고된 “한국전기


설비규정(KEC)”과 2019년 3월에 고시된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2019년 11월에 공고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을 토대로 작
성되었으며, 2014년 1월부터 2020년 10월까지의 주요 질의⋅회신 사례
를 정리한 사항입니다. 특히 2021년부터 시행 예정인 “한국전기설비규
정”(KEC)의 주요내용과 자주 묻는 질의 사례는 별도로 간추려 수록하
였습니다.

아울러, 질의⋅회신사례는 우리협회 홈페이지(http://www.kea.kr)『전기상


담실 / Q&A 게시판』에 게시된 질의 및 회신사례에 대한 정보를 공유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사례집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올바른 적용과 이해로 전기안전 확


보에 기여되기를 바라며, 이 사례집에 대한 문의사항 및 의견이 있을
경우에는 우리협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0. 11

사단법인 대한전기협회
목 차 1

목 차

Ⅰ. 전기사업법상 기술기준 개요 ················································ 11

1. 기술기준 제정 ································································································· 13
2. 기술기준 체계 ································································································· 13
3.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정 범위 ················································· 13
4. 한국전기설비규정(KEC) ·············································································· 18

Ⅱ. KEC 주요내용 ············································································ 23

1. KEC(한국전기설비규정)의 구성 개요 ···················································· 25
2. KEC 제1장 (공통사항) ·············································································· 29
3. KEC 제2장 (200 통칙) ············································································· 43
4. KEC 제2장 (211 감전에 대한 보호) ····················································· 49
5. KEC 제2장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 55
6. KEC 제2장 (213 과전압에 대한 보호) ················································· 65
7. KEC 제2장 (214 열 영향에 대한 보호) ··············································· 75
8.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배선설비) ······························ 83
9.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조명설비) ······························ 89
10.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허용전류) ····························· 95
2 목 차

Ⅲ. 자주하는 질의 (FAQ) ····························································· 105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ㆍ회신 사례 ·································· 131

1. 제1장 총 칙 (제1조 ~ 제43조)

○ 기술기준의 법적 근거 ························································································ 135


○ 부하 불평형시 부하전선의 굵기 문의 ···························································· 136
○ 절연테이프 시공법 문의 ···················································································· 137
○ 옥내배선에 VCTF 전선을 사용하면 안 되는 근거 ····································· 138
○ 제어용 케이블을 전원용으로 사용 가능한지 문의 ······································ 139
○ 전선의 병열접속 기준 ························································································ 140
○ 기술기준 제27조와 판단기준 제13조의 누설전류 비교 ······························ 143
○ 직무고시에 따른 누설전류 관리방법 문의 ···················································· 144
○ 전로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측정방법 문의 ·············································· 145
○ 절연내력시험의 최대사용전압 문의 ································································ 146
○ 공통접지 적용 기준 문의 ·················································································· 148
○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분전함의 접지저항 값 문의 ······································ 149
○ 서지보호장치(SPD) 설치기준 ············································································ 150
○ 접지극(접지봉), 접지선의 시공기준 ································································ 151
○ 접지선의 공용(내선규정 1445-14)에 대한 문의 ············································ 152
○ 보호도체의 단면적 산출 계산식 관련 문의 ·················································· 153
○ 동선 외 타 금속재료의 접지선 시설 가능여부 문의 ·································· 154
○ 접지선 배선 관련 질의 모음 ············································································ 156
○ 제3종 및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특례기준 문의 ········································ 158
○ TN-C-S 접지방식 문의 ······················································································ 159
○ 변압기 저압측의 중성점에 2종접지선 설치위치 문의 ································ 162
○ 철도신호용 변압기 저압측 접지공사 방법 문의 ·········································· 164
○ 아파트 단위세대 LED전등의 접지시공 기준 ················································ 165
목 차 3

○ 외함 접지 생략이 가능한 ‘건조한 곳’의 의미 ·············································· 166


○ 콘센트 접지기준 관련 ‘주택’의 의미 ······························································ 168
○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접지기준 ···································································· 170
○ “등기구 접지생략”의 의미 ················································································ 171
○ 본체와 베이스로 나뉘어있는 비상발전기 접지방법 문의 ·························· 172
○ 통신단자함 외함의 접지시공 방법 문의 ························································ 173
○ 주택용 태양광에도 주택용 차단기를 시설해야 하는지? ·························· 174
○ 호텔 객실도 주택용 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하는지? ·································· 176
○ 비 한류형 파워퓨즈 단위 표기에 대한 문의 ················································ 177
○ 분전반 1차 메인 차단기에 누전차단기 시설기준 ········································ 178
○ 누전차단기 설치 예외조건 문의 ······································································ 180
○ 승강기에도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하는지? ················································ 182
○ 아파트 실외기실에도 누전차단기를 시설해야 하는지? ······························ 183
○ 가로등에 자동복구차단기 설치 가능여부 문의 ············································ 184
○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 대한 문의 ·························· 186
○ 비접지식 전기 판넬에 피뢰기 설치기준 ························································ 187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44조 ~ 제56조)

○ 한전 PAD 기기에 울타리 설치 가능여부 문의 ··········································· 191


○ 배전반이 있는 변대주의 울타리 설치기준 ···················································· 192
○ 변전소 외곽 울타리와 구내 변전설비 울타리의 차이점 ···························· 193
○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의 울타리 시설 해석 ················································· 194
○ 경사형 지붕에 태양광 발전소 설치시 울타리 시설기준 ···························· 196
○ 우사 옥상에 태양광 발전소 설치시 울타리 시설기준 ································ 197
○ 울타리・담 등으로부터 충전부분까지의 이격거리 문의 ···························· 198
○ 태양광발전소 울타리의 접지기준 ···································································· 200
○ 전기실 바닥의 마감재 문의 ·············································································· 201
○ 아파트 EPS/TPS실의 시건장치 설치여부 문의 ··········································· 202
○ 수・배전반실 중문 설치기준 ············································································ 203
4 목 차

○ 수배전반의 전기 기기에 대한 내진설계 여부 문의 ···································· 204


○ 태양광발전소의 계측장치 종류, 피뢰설비 등 문의 ····································· 206
○ 수전설비 내 주요설비의 이격거리가 의무기준인지? ·································· 208
○ 태양광 발전설비의 차단장치 시설기준 ·························································· 209
○ 태양광 모듈의 본딩용 케이블 굵기 문의 ······················································ 210
○ 태양광발전설비 구조물에 피뢰침을 시설해도 되는지 문의 ······················ 211

3. 제3장 전선로 (제57조 ~ 제152조)

○ 전선에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한 경우 문의 ················ 215


○ 저압 인입선의 설치 높이 기준 ········································································ 216
○ 송전선의 지표상 높이 기준 ·············································································· 218
○ 154kV 케이블을 옥외 파이프 랙에 시설하는 공사방법 문의 ··················· 220
○ 배전반내 몰드변압기와 대지간 이격거리 문의 ············································ 221
○ 22.9kV 가공전선로와 해상교량과의 이격거리 문의 ···································· 223
○ 특고압 가공전선과 도로와의 이격거리 문의 ················································ 224
○ 송전선로와 연료전지 발전시설간 이격거리 문의 ········································ 226
○ 건축용 방호관과 신축 건물과의 이격거리 문의 ·········································· 227
○ 공장, 전봇대 이격거리 및 전력설비 관리방법 문의 ··································· 228
○ 제2차 접근상태 해당 여부 문의 ······································································ 230
○ 지중관로 매설깊이 기준 문의 ·········································································· 232
○ 가공지선, 수평지선 및 중성선과 건조물간 이격거리 문의 ······················· 234
○ 맨홀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구멍을 막아도 되는지 문의 ·························· 235
○ 맨홀에 고인 물은 무조건 제거해야 하나요? ················································ 236
○ 맨홀 내 철제사다리, 뚜껑, 피복금속체의 접지기준 ···································· 238
○ 특고압케이블과 수도관과의 이격거리 문의 ·················································· 240
○ 특고압 케이블 관로에 광케이블 동시포설이 가능한지? ···························· 242
○ 맨홀내 예비관로와의 이격거리 문의 ······························································ 244
○ 저압 및 고압 지중관로간 이격거리 문의 ······················································ 245
○ 다중접지 특고압 지중선로의 전선관 이격거리 문의 ·································· 246
목 차 5

4. 제4장 전력보안 통신설비 (제153조 ~ 제165조)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166조 ~ 제250조)

○ 태양전지모듈 옥내전로의 대지전압 제한치 문의 ········································ 251


○ 사무용/연구센터 용도 건축물 전로의 대지전압 및 사용전압 ················· 252
○ 에어컨 전용 분기회로 구간 문의 ···································································· 254
○ 주방기구 하이라이트 배선 문의 ······································································ 255
○ 옥내배선에 케이블 또는 VCT 사용 가능여부 문의 ···································· 256
○ 변전소의 제어케이블 굵기 문의 ······································································ 257
○ 역, 백화점 등 일반화장실의 누전차단기 설치기준 ····································· 258
○ 비데용 콘센트에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하는지? ······································ 259
○ 세차장에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 시설해야 하는지? ·························· 260
○ 전기온수기 설치기준 문의 ················································································ 261
○ 배・분전함의 재질 문의 ······················································································ 262
○ 분전함에 결선도 도면을 반드시 비치해야하는지? ······································ 264
○ 신발장, 옷장 등에 설치된 주택용 분전반 문의 ··········································· 266
○ 공장형 아파트에서의 분전반 설치장소 문의 ················································ 268
○ 세대분전함 기술기준 개정내용의 적용 기준일 ············································ 270
○ 전동기 분기회로 케이블 굵기 문의 ································································ 272
○ 전열기의 정의와 콘센트용 분기회로 기준 문의 ·········································· 274
○ 분기개폐기 및 분기 과전류차단기 시설기준 ················································ 276
○ 내선규정에서 냉난방기 실외기 분기회로 설계방법 문의 ·························· 277
○ 배선용차단기와 과전류차단기 차이점 문의 ·················································· 278
○ 누전차단기의 옥내배선 굵기 문의 ·································································· 279
○ 지하승강장 입구 센서등에도 점멸장치를 설치해야 하는지? ···················· 280
○ 허용전류 산정시 부스바의 공사방법 적용기준 ············································ 281
○ 600V급 절연전선의 허용전류 계산방법 문의 ··············································· 282
○ 기준에 없는 허용전류 보정계수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 284
○ 전선의 허용전류 산정시 주위온도 적용기준 ················································ 286
6 목 차

○ 나사접속 전선관의 등전위본딩 시설기준 ······················································ 287


○ 금속관공사 관련 전선의 단면적, 보정계수, 배관굵기 문의 ······················ 288
○ 콘센트기구 아우트렛 박스 제외 규정 문의 ·················································· 290
○ 아웃렛박스 노출시공 가능여부 문의 ······························································ 291
○ 금속관 배선공사의 관 굵기 기준이 의무사항인지? ···································· 292
○ 레이스웨이내 AC, DC라인을 동시 시설 가능여부 문의 ··························· 293
○ 케이블 공사에 전선관 사용 가능여부 및 지지간격 문의 ·························· 294
○ 옥외 태양광 발전설비 현장의 케이블 트렌치 시설기준 ···························· 296
○ 케이블트레이에 금속제 가요전선관 사용 가능여부 문의 ·························· 297
○ 트레이와 인체 간 이격거리 및 배관 아래 설치시 문제점 문의 ·············· 298
○ 케이블 덕트, 트레이 설치 시 바닥과의 이격거리 문의 ····························· 299
○ 케이블트레이에 50㎟ 미만 단심케이블 설치기준 ········································ 300
○ 케이블트레이 옥외설치 가능여부 및 다단 설치 간격 문의 ······················ 301
○ 케이블트레이의 접지 및 전기적 접속방법 문의 ·········································· 302
○ 케이블트레이에 전기와 통신케이블 동시 포설 가능여부 문의 ················ 304
○ 가연성 가스 장소에서의 옥외 전등시설 방법 문의 ···································· 305
○ 방폭지역에 나사 없는 전선관 사용 가능여부 문의 ···································· 306
○ 화약류 저장소와 지상기기간 이격거리 문의 ················································ 308
○ 견고한 내화성의 격벽에 대한 정의 문의 ······················································ 309
○ 삼파장 램프가 방전등에 해당하는지 문의 ···················································· 311
○ LED 조명기구의 설치기준 ················································································ 312
○ 방전등에 적절한 방습장치 관련 문의 ···························································· 314
○ 전기울타리의 시설기준 ······················································································ 316
○ 교통신호기에 누전차단기 시설 생략조건 문의 ············································ 317
○ 풀장에 사용 가능한 전선 문의 ········································································ 319
○ 소세력회로와 DC제어선을 함께 배선해도 되는지? ···································· 320

6. 제6장 전기철도 등 (제251조 ~ 제278조)

○ 트램의 가공전차선이 가공전선의 범위에 해당하는지 문의 ······················ 323


목 차 7

7. 제7장 국제규격 도입 (제279조 ~ 제280조)

○ 보호선 의미 문의 ································································································ 327

8. 제8장 지능형전력망 (제281조 ~ 제298조)

○ 분산형전원 역전력계전기 및 역・결상계전기 설치기준 문의 ·················· 331


○ 전기차 충전기 접지종류 문의 ·········································································· 333
○ 이동형차량에 시설하는 ESS 관련 기준 문의 ··············································· 334
○ 저압태양광에 설치하는 ESS의 울타리 시설기준 ········································· 335
○ PCS컨테이너와 배터리컨테이너 차이점 및 기준 문의 ······························ 336
○ 리튬이온 축전지 UPS도 ESS 관련 기준을 적용하나요? ···························· 337
○ 직류 전기설비의 전선 선정기준 문의 ···························································· 338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 특고압 케이블 전압기준 문의 ·········································································· 341


○ KEC 전선의 식별 문의 ······················································································ 342
○ KEC 계기용 변성기 2차측 접지방법 문의 ···················································· 344
○ KEC 보호도체와 접지의 구분 문의 ································································ 345
○ KEC 등전위본딩 관련 문의 ·············································································· 346
○ KEC 피뢰시스템 관련 문의 ·············································································· 347
○ TT 접지계통의 저압 수용가 보호방식에 관한 문의 ··································· 349
○ KEC 누설전류감시장치 관련 문의 ·································································· 350
○ KEC 과부하전류보호 관련 문의 ······································································ 352
○ KEC 보호장치 동작시간 및 과전류 보호기준 문의 ···································· 354
○ KEC 도체와 과부하보호장치 협조 관련 문의 ·············································· 356
○ KEC 과부하보호장치의 생략조건 문의 ·························································· 358
○ 버스바트렁킹시스템, 파워트랙시스템의 허용전류 산정방법은? ··············· 359
8 목 차

○ KEC 수용가 설비의 전압강하 기준 문의 ······················································ 360


○ 케이블트레이 점유율 기준으로 케이블 설치 가능여부 문의 ···················· 362
○ 화재의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통신케이블의 범위 문의 ························ 364
○ KEC의 비상용 예비전원설비 문의 ·································································· 365
○ KEC 태양광 전압에 따른 울타리 시설기준 문의 ········································ 366
○ KEC 태양광 계측장치에 관한 문의 ································································ 368
○ KEC 법적구속력, 접지, 과전류 보호장치 관련 문의 ·································· 369

10. 기타사례

○ 용어 질의・회신 사례 ························································································ 373


○ ‘준하는 설비’에 대한 정의 문의 ································································ 375
○ 피뢰설비의 자연적구성 부재(철근) 접속 및 인하도선 인정 여부 ··········· 376
○ 피뢰시스템 관련 수평도체 문의 ······································································ 378
○ 건물옥상 안전난간을 피뢰설비 수뢰부로 사용 가능여부 문의 ················ 379
○ 1종 접촉상태에서의 감전보호 방법 문의 ······················································ 380
○ 조도 계산 설계 관련 문의 ················································································ 382
○ 피뢰기 정격전압 선정 관련 문의 ···································································· 383
○ 용도가 다른 콘센트 시공기준 문의 ································································ 384
○ 아파트 단위세대 부하용량 선정방법 등 문의 ·············································· 385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 387

○ 지식경제부 고시 제2011 - 1호 (2011. 1. 5) ············································ 389


○ 지식경제부 공고 제2011 - 1호 (2011. 1. 5) ············································ 390
○ 지식경제부 고시 제2012 - 11호 (2012. 1. 31) ············································ 391
○ 지식경제부 공고 제2012 - 32호 (2012. 1. 31) ············································ 392
○ 지식경제부 고시 제2013 - 1호 (2013. 1. 4) ············································ 393
목 차 9

○ 지식경제부 공고 제2013 - 101호 (2013. 3. 20) ············································ 394


○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4 - 8호 (2014. 1. 16) ········································ 395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4 - 99호 (2014. 3. 13) ······································ 396
○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5 - 26호 (2015. 1. 30) ······································ 397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5 - 44호 (2015. 1. 30) ······································ 398
○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6 - 15호 (2016. 1. 29) ······································ 399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6 - 34호 (2016. 1. 29) ······································ 400
○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7 - 26호 (2017. 3. 2) ········································ 401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7 - 104호 (2017. 3. 2) ······································ 402
○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8 - 26호 (2018. 3. 9) ········································ 403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8 - 102호 (2018. 3. 9) ······································ 404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8 - 103호 (2018. 3. 9) ······································ 405
○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9 - 45호 (2019. 3. 25) ······································ 406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9 - 195호 (2019. 3. 25) ···································· 407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9 - 667호 (2019. 11. 21) ·································· 408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 409

Ⅶ. 기술기준 교육 및 도서 안내 ················································· 425


기술기준 개요 11

Ⅰ. 전기사업법상 기술기준 개요
기술기준 개요 13

1. 기술기준 제정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기설비의 공사․유


지 및 운용에 필요한 기술기준을 규정하여 고시하도록 전기사업법 제67조(기술기준)
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기술기준의 제정)에서 기술기준의 제
정 원칙을 아래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

가. 사람이나 다른 물체에 위해 또는 손상을 주지 아니하도록 할 것.


나. 내구력 부족 또는 기기 오동작에 의하여 전기공급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도록 할 것.
다. 다른 전기설비 그 밖의 물건의 기능에 전기적 또는 자기적인 장애를 주지 아니
하도록 할 것.
라.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 및 신기술․신공법의 개발․활용 등에 지장을 주지 아
니하도록 할 것

2. 기술기준 체계

전기사업법의 규정에 의한 기술기준은 2006년 7월 이전에는 법적 최소요건으로 전기


설비기술기준, 발전용화력설비기술기준, 발전용수력설비기술기준, 발전설비용접기술
기준으로 총 본문 432조(별표127, 부표41)가 사용되었으나 산업자원부 고시 제
2006-65호(2007년 1월 1일 시행)로 간소화 및 성능 규정화함으로서 기술기준 고시를
통합하여 전면 개정하였다. 특히 신기술ㆍ신공법 및 민간표준을 기술기준에 신속히
반영함과 동시에 안전확보 및 경제성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기술기준 제4조에 “적합
성 판단”을 신설하였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고시로 운용되고 있다.

3.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정 범위

대한전기협회는 전기사업법 시행령 제43조의 규정에 적합하도록 기술기준의 조사,


연구, 심의 및 개정건의 등 업무를 수행하는 전담기관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각 기술
기준의 제정범위는 다음과 같다.

가. 판단기준의 "1. 전기설비“

전기의 생산에서 사용까지의 전기설비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주로 공공의 안


전 확보와 공급의 안정에 대한 최소한의 의무사항만을 규정하고 있으며, 그 외의
사항에 대하여는 기술자를 확보하고 있는 시설자(전기사업자, 자가용전기설비 시
설자 등)의 자율에 위임하고 있다.
14 기술기준 개요

구체적으로는 전기설비기술기준 규제사항의 많은 부분이 전기상식이 없는 일반


인이 취급 또는 접근하는 것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기자재에 관한 사항도 전
기설비기술기준 규정상 꼭 필요한 것 이외에는 전기용품안전 관리법에 적합한 것
을 사용토록 규정하고 전기사업자 등이 시설하여 운용하는 전력기기 등의 표준에
대하여는 자율에 맡기고 있다.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이하 “판단기준”이라
한다.) “1.전기설비”는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제1장 및 제2장에서 정하는 전기공
급설비 및 전기사용설비의 안전성능에 대해 구체적인 사항을 정하고 있다.

“1. 전기설비” 구성

제1장 총 칙 (제1조~제43조)
제1절 통칙 (제1조~제2조)
제2절 전선 (제3조~제11조)
제3절 전로의 절연 및 접지 (제12조~제27조)
제4절 기계 및 기구 (제28조~제43조)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제44조~제56조)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3장 전선로 (제57조~제152조)
제1절 통칙 (제57조~제67조)
제2절 저압 및 고압의 가공전선로 (제68조~제93조)
제3절 옥측전선로․옥상전선로․인
(제94조~제103조)
입선 및 연접인입선
제4절 특고압 가공전선로 (제104조~제135조)
제5절 지중 전선로 (제136조~제142조)
제6절 터널 안 전선로 (제143조~제144조)
제7절 수상전선로 및 물밑전선로 (제145조~제146조)
제8절 특수 장소의 전선로 (제147조~제152조)
제4장 전력보안 통신설비 (제153조~제165조)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166조~제250조)
제1절 옥내의 시설 (제166조~제216조)
제2절 옥외의 시설 (제217조~제225조)
제3절 터널․갱도 기타 이와 유사한
(제226조~제230조)
장소의 시설
기술기준 개요 15

제4절 특수시설 (제231조~제250조)


제6장 전기철도 등 (제251조~제278조)
제1절 통칙 (제251조)
제2절 직류식 전기철도 (제252조~제265조)
제3절 교류식 전기철도 (제266조~제274조)
제4절 강색철도 (제275조~제278조)
제7장 국제표준도입 (제279조~제280조)
제8장 지능형전력망 (제281조~제294조)
제1절 분산형전원 계통연계설비의 시설 (제281조~제285조)
제2절 전기자동차 전원설비 (제286조)
제3절 저압 옥내직류 전기설비 (제287조~제294조)
제4절 이차전지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시설 (제295조~제298조)

나. 판단기준의 “2. 발전용 화력설비”

발전용 화력설비기술기준의 구성 체계는 화석연료 연소시스템과 에너지변환시스


템으로 나누어 규정하고 있으며 대상설비는 보일러 및 그 부속설비, 내연기관
및 그 부속설비, 액화가스용 연료연소설비, 증기터빈 및 그 부속설비, 왕복기관
및 그 부속설비, 가스터빈 및 그 부속설비, 연료전지설비 등으로 내압부품의 재
료, 설계, 안전장치, 시험 등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2. 발전용 화력설비” 구성

제1장 총 칙 (제1조~제3조)
제2장 보일러 및 부속설비 (제4조~제44조)
제3장 압력용기 및 부속설비 (제45조~제82조)
제4장 배관 및 부속설비 (제83조~제96조)
제5장 증기터빈 및 부속설비 (제97조~제102조)
제6장 가스터빈 및 부속설비 (제103조~제108조)
제7장 내연기관 및 부속설비 (제109조~제114조)
제8장 액화가스 연료연소설비 (제115조~제123조)
제9장 연료전지설비 (제124조~제128조)
제10장 탈황, 탈질설비 (제129조~제134조)
제11장 가스화로설비 및 부속설비 (제135조~제159조)
16 기술기준 개요

다. 판단기준의 “3. 발전용 수력설비”

발전용 수력설비 기술기준의 규정 대상설비는 댐, 수로, 수차, 저수지, 및 조정지


등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3. 발전용 수력설비” 구성

제1장 총 칙 (제1조~제2조)
제2장 댐 (제3조~제21조)
제1절 일반사항 (제3조~제12조)
제2절 콘크리트 중력댐 (제13조~제16조)
제3절 아치댐 (제17조~제19조)
제4절 필댐 (제20조~제21조)
제5절 조력발전 구조물 (제21의 2조~제21의 5조)
제3장 수로 (제22조~제36조)
제4장 수차 및 기타설비 (제37조~제41조)

라. 판단기준의 “4. 발전설비 용접”

발전용 용접기술기준의 규정 대상설비로는 발전용 화력기기, 보일러, 열교환기


등으로 액화가스용 연료설비 등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4. 발전설비 용접” 구성

제1장 총 칙 (제1조~제3조)
제2장 용접시공법 (제4조~제19조)
제3장 보일러 (제20조~제37조)
제4장 압력용기 (제38조~제55조)
제5장 배관 (제56조~제75조)
제6장 액화가스 연료연소설비 (제76조~제94조)
제7장 가스화로설비 (제95조~제121조)
기술기준 개요 17

마. 판단기준의 “5. 발전용 풍력설비”

풍력발전설비의 설계, 제작, 시공, 시험 및 검사, 전력계통 연계, 운전 및 정비 등


을 규정하고 있다.

“5. 발전용 풍력설비” 구성

제1조 목적
제2조 용어의 정의
제3조 적용 범위
제4조 안전조치
제5조 급경사지 붕괴의 방지
제6조 항공장애 표시등 시설
제7조 접근시설의 안전조치
제8조 피뢰설비
제9조 풍력터빈의 구조
제10조 풍력터빈의 선정
제11조 잠금장치의 시설
제12조 풍력터빈의 강도계산
제13조 풍력터빈 정지장치의 시설
제14조 계측장치의 시설
제15조 풍력터빈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구조
제16조 풍력터빈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구조, 성능 및 시설조건
제17조 풍력터빈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강도계산
제18조 풍력터빈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기초
제19조 제어장치의 시설
제20조 보호장치의 시설
제21조 화재방호설비 시설
제22조 주전원 개폐장치
18 기술기준 개요

4. 한국전기설비규정(KEC)

가. 한국전기설비규정의 개요

한국전기설비규정(Korea Electro-technical Code, KEC)은 전기산업계에서 국제표준


과 다르게 운영되던 불명확·불필요한 규제사항을 해소하고, 전기설비의 환경 변화
에 대한 안전성, 신뢰성 및 편의성을 확보하여 해외 전력시장 진출의 장애요인을
제거하는 등 전기설비기술의 선진화를 통하여 국내 전력산업 기술발전과 국제표
준에 부합하고자 2018년 3월 9일에 공고된 사용자 중심의 시설안전기준으로서 시
행일은 2021년 1월 1일이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교류 1000V 이하, 직류 1500V 이하로 저압전기설비 범위 규정
○ 시설안전 및 유지관리를 위한 전선 색상 식별 규정
○ 기존 종별 접지시설 규정을 폐지하고 국제표준에 부합한 접지시설로 규정
○ 과전류에 대한 보호 방법 및 케이블트렁킹시스템 등 배선공사 방법을 국제기준으로
규정
○ 기존 발전설비의 용접 분야를 보일러 및 부속설비 등 각 시설별로 통합하여 규정

「KEC」의 시행시점을 공고 당시 기준으로 3년 후인 2021년으로 정한 이유는 관련


산업계에서 방대한 시설기준의 변경사항을 파악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제공함
과 동시에 산업계 의견수렴을 통해 투명하고 객관적인 시설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산업계 전반에 보급함에 있다.
기술기준 개요 19

나. 한국전기설비규정의 제정 배경

1995년 국제무역기구 출범과 함께 회원국이 된 우리나라는 “무역기술장벽


(technical barrier to trade, TBT)협정” 이행의 일환으로 한국산업표준(Korea
industrial standard, KS)을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표준에 부합화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당시 「전기설비기술기준」에
서는 전선 등 제품의 품질 확보를 위해 KS를 인용하여 해당 제품 사용을 규정했
으나 TBT 문제 발생 소지가 있기에 2005년 개정을 통해 IEC표준에 부합화 한 KS
를 인용했고 저압 전기설비의 설계 및 시설과 관련한 다양한 IEC표준의 방법을
국내에 도입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기존의 「전기설비기술기준」과 IEC표준의
시설방법은 차이가 있어 혼용 시 설비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기에 단서를 달아
상호 혼용을 금지해야만 했다. 이 때문에 「전기설비기술기준」과는 달리 구체적인
공사방법이 규정되지 않은 IEC표준은 국내에서 적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IEC표준 시설방법의 국내 적용은 TBT협정 이행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객관적인


인체 감전보호 근거를 바탕으로 한 보호설계 제시, 국내 사용전압과 유사한 전압
대역을 바탕으로 한 검토・실증결과의 반영,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일반적 시설방법
임과 동시에 세계적 규모의 시장이 존재하는 점 등 다양한 기술적/경제적 이점이
있으므로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검토됐다. 또한, 1973년부터 2005년까지
수행된 2차 배전전압 승압 이후의 전기설비 환경은 「판단기준」의 전신으로 볼 수
있는 「전기공작물규정」 당시의 환경과 크게 달라졌기에 과거의 시설기준을 탈피
하여 객관적 근거와 실증 결과에 기반한 시설기준 개편의 요구가 계속 커져가고
있다. 이런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국내 전기환경과 유사한 IEC표준을 근간으로
다수 국외 규정의 객관적 근거를 참조하고 무엇보다 국내 현장의 특수성과 수용
성을 반영한 한국형 전기설비 시설기준인 「KEC」가 개발됐다.

다. 한국전기설비규정의 구성

제1장에서 제4장은 현행 「판단기준」의 전기설비에 해당하는 내용을 담고 있고 제


6장 및 제7장은 발전설비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제5장은 현행 「판단기준」의 전기
설비와 발전설비에 흩여져 있는 분산형전원설비에 대한 사항을 통합하여 기술했
다. 「KEC」는 향후 기술발전에 따른 확장성을 고려하여 국내・외 다수 규정에서 채
용한 코드식 번호체계를 적용했다. 아래와 같이 대분류인 각 장으로 우선 분류되
고 각 장별로 100번부터 700번까지 하위 조항의 분류 코드를 부여하여 쉽게 구분
할 수 있도록 했다.
20 기술기준 개요

한국전기설비규정(KEC)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제6장 제7장


공통사항 저압전기설비 고압특고압전기설비 전기철도설비 분산형전원설비 발전용화력설비 발전용수력설비

총칙(100) 통칙(200) 통칙(300) 통칙(400) 통칙(500) 통칙(600) 통칙(700)

전기철도의 보일러 및
일반사항 안전을 위한 보호 안전을 위한 보호 전기저장장치 댐
전기방식 부속설비

전기철도의 압력용기 및
전선 전선로 접지설비 태양광발전설비 수로
변전방식 부속설비

배선 및 전기철도의 배관 및 수차 및
전로의 절연 전선로 풍력발전설비
조명설비 등 전차선로 부속설비 기타설비

기계기구 시설 전기철도의 증기터빈 및


접지시스템 특수설비 연료전지설비
및 옥내배선 전기철도차량설비 부속설비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전기철도의 가스터빈 및


피뢰시스템
등의 전기설비 설비를 위한 보호 부속설비

발전설비 전력보안 전기철도의 내연기관 및


용접시공 통신설비 안전을 위한 보호 부속설비

발전설비 액화가스
비파괴검사 연료연소설비

탈황, 탈질설비

가스화로 및
부속설비

“제1장 공통사항” 구성

100 총칙 (101 목적 ~ 102 적용범위)

110 일반사항 (111 통칙 ~ 113 안전을 위한 보호)

120 전선 (121 전선의 선정 및 식별 ~ 123 전선의 접속)

130 전로의 절연 (131 전로의 절연 원칙 ~ 136 기구 등 전로의 절연내력)

140 접지시스템 (141 접지시스템의 구분 및 종류 ~ 143 감전보호용 등전위본딩)

150 피뢰시스템 (151 피뢰시스템의 적용범위 및 구성 ~ 153 내부피뢰시스템)

160 발전설비 용접 (161 용접시공법)

170 발전설비 비파괴검사 (171 방사선투과검사 절차 ~ 175 육안검사 절차)


기술기준 개요 21

“제2장 저압 전기설비” 구성

200 통칙 (201 적용범위 ~ 203 계통접지의 방식)

210 안전을 위한 보호 (211 감전에 대한 보호 ~ 214 열 영향에 대한 보호)

220 전선로 (221 구내・옥측・옥상・옥내 전선로의 시설 ~ 224 특수장소의 전선로)

230 배선 및 조명설비 등 (231 일반사항 ~ 238 비상용 예비전원설비)


240 특수설비 (241 특수 시설 ~ 243 저압 옥내 직류전기설비)

“제3장 고압・특고압 전기설비” 구성

300 통칙 (301 적용범위 ~ 302 기본원칙)

310 안전을 위한 보호 (311 안전보호)

320 접지설비 (321 고압・특고압 접지계통 ~ 322 혼촉에 의한 위험방지시설)

330 전선로 (331 전선로 일반 및 구내・옥측・옥상전선로 ~ 335 특수장소의 전선로)


340 기계・기구 시설 및
(341 기계 및 기구 ~ 342 고압특고압 옥내 설비의 시설)
옥내배선
350 발전소, 변전소, 개폐
(351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등의 전기설비)
소 등의 전기설비
360 전력보안통신설비 (361 전력보안통신설비 일반사항 ~ 365 통신설비의 식별)

“제4장 전기철도설비” 구성

400 통칙 (401 전기철도의 일반사항 ~ 402 전기철도의 용어 정의)

410 전기철도의 전기방식 (411 전기방식의 일반사항)


420 전기철도의 변전방식 (421 변전방식의 일반사항)
430 전기철도의 전차선로 (431 전차선로의 일반사항 ~ 435 전기철도의 원격감시제어설비)
440 전기철도의 전기철도
(441 전기철도차량 설비의 일반사항)
차량 설비
450 전기철도의 설비를
(451 설비보호의 일반사항)
위한 보호
460 전기철도의 안전을
(461 전기안전의 일반사항)
위한 보호
22 기술기준 개요

“제5장 분산형전원설비” 구성

500 통칙 (501 일반사항 ~ 503 분산형전원 계통 연계설비의 시설)

510 전기저장장치 (511 일반사항 ~ 515 특정 기술을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시설)

520 태양광발전설비 (521 일반사항 ~ 522 태양광설비의 시설)

530 풍력발전설비 (531 일반사항 ~ 532 풍력설비의 시설)

540 연료전지설비 (541 일반사항 ~ 542 연료전지설비의 시설)

“제6장 발전용 화력설비” 구성

600 통칙 (601 통칙)

605 보일러 및 부속설비 (605 보일러 및 부속설비)

610 압력용기 및 부속설비 (610 압력용기 및 부속설비)

615 배관 및 부속설비 (615 배관 및 부속설비)

620 증기터빈 및 부속설비 (620 증기터빈 및 부속설비)

625 가스터빈 및 부속설비 (625 가스터빈 및 부속설비)

630 내연기관 및 부속설비 (630 내연기관 및 부속설비)

635 액화가스 연료연소설비 (635 액화가스 연료연소설비)


640 탈황·탈질설비 (640 탈황·탈질설비)

645 가스화로설비 및 부속설비 (645 가스화로설비 및 부속설비)

“제7장 발전용 수력설비” 구성

700 통칙 (701 통칙)

705 댐 (705 댐)

710 수로 (710 수로)

715 수차 및 기타설비 (715 수차 및 기타설비)


Ⅱ. KEC 주요내용 23

Ⅱ. KEC 주요내용

1. KEC(한국전기설비규정)의 구성 개요

2. KEC 제1장 (공통사항)

3. KEC 제2장 (200 통칙)

4. KEC 제2장 (211 감전에 대한 보호)

5. KEC 제2장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6. KEC 제2장 (213 과전압에 대한 보호)

7. KEC 제2장 (214 열 영향에 대한 보호)

8.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배선설비)

9.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조명설비)

10.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허용전류)

※ 본 자료는 한국전기기술인협회의 전문월간지인 “전기기술인”에 2020년 01월호부터 11월호까지 게재


된 “KEC 주요 해설”중에서 발췌한 것으로서 1~9항의 원본 저자는 대한전기협회 이주철 기술기준
처장이며 10항의 원본 저자는 LH공사 임직원으로서 대한전기협회 저압배선설비 분야에서 활동 중인
송준석 전문가입니다. 원본내용은 해당 책자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Ⅱ. KEC 주요내용 25

제 목 1. KEC(한국전기설비규정)의 구성 개요

□ 한국전기설비규정이란?

한국전기설비규정(KEC : Korea Electro-technical Code, 이하 KEC)이란 국제표준


(IEC, ISO)을 기초로 국내환경에 적용 가능하도록 개발한 사용자 중심의 전기규정이
다. KEC는 2021년 1월 1일부터 기존의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을 대체하여 현
장에 적용하게 된다.

□ KEC 전체 구성 체계

KEC는 전기설비 분야와 발전설비 분야를 통합하여 총 7개의 장으로 하고 향후 확장


성을 고려한 번호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KEC의 전체 구성 체계는 그림 1과 같다.

[그림 1] KEC 전체 구성
26 1. KEC(한국전기설비규정)의 구성 개요

□ KEC의 전기설비 분야 구성 개요

KEC의 전기설비 분야는 제1장부터 제5장까지에 해당하며, 그 세부 구성내용은 그림


2와 같다.

풍력설비의 시설

[그림 2] KEC의 전기설비 분야 세부 구성


Ⅱ. KEC 주요내용 27

제1장 공통사항은 KEC 전체에 관한 기본적인 안전원칙과 공통 요구조건을 다루고


있다. KEC의 목적, 적용 범위, 용어 정의는 물론이고, 감전, 과전류, 열 영향, 전자기
장애 등에 대한 보호, 전선의 식별, 사용 전선의 종류 및 전선의 접속방법 그리고 전
로의 절연원칙 및 절연내력, 접지시스템 요구사항 및 등전위본딩과 전기설비를 보호
하기 위한 피뢰시스템에 관한 공통사항을 정하고 있다. 기존의 판단기준의 용어와
다르게 IEC표준에 기초한 용어는 다소 생소하게 느낄 수도 있으므로, KEC를 올바르
게 적용하려면 용어의 정의를 정확하게 숙지할 필요가 있다.

제2장은 저압전기설비의 시설에 관한 규정이다. KEC에서 저압의 범위는 국제표준과


동일하게 교류 1,000V 이하, 직류 1,500 V이하이다. TN, TT 등의 계통접지방식과 감
전, 과전류, 과전압 등 안전을 위한 보호에 관해 그리고 저압 전선로(가공, 지중 등)
의 시설과 배선 및 조명설비 등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저압 옥내외 전기설비에
관한 누전차단기 및 과전류 차단기의 시설, 배선설비에 관한 공사방법, 도체의 최소
단면적, 방전등 공사 및 특수설비에 관한 사항은 이 장을 참조하면 된다. 또한 저압
직류 전기설비에 관한 규정도 이 장에서 정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고압 및 특고압 전기설비의 시설기준을 정하고 있다. 기본원칙과 안전


을 위한 보호, 접지 및 전선로(가공, 지중)의 시설과 발전소, 변전소 등의 시설요건을
정하고 있다. 절연유 구외유출방지, 혼촉위험 방지시설, 중성점 접지, 특고압 가공전
선과 건조물과의 이격거리, 22.9 kV 중성선 다중접지식 전선로의 시설 등에 관한 규
정을 이 장에서 정하고 있다.

제4장은 전기철도에 관한 시설규정이다. 전기철도의 전기방식, 변전방식, 전차선로,


전기철도차량설비 및 전기철도의 전기안전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제5장에서는 분산형 전원설비에 관한 규정으로서 계통연계, 전기저장장치(EES), 태양


광/풍력 발전설비 및 연료전지의 시설 규정이다. 분산형 전원에 관한 용어 정의를
추가로 두고 있으며, 각 분산전원별로 시설 기준을 두고 있다.
Ⅱ. KEC 주요내용 29

제 목 2. KEC 제1장 (공통사항)

□ 제1장의 구성

한국전기설비규정(이하 KEC) 제1장 공통사항은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KEC의 목


적과 적용범위, 용어정의, 전선 및 절연, 접지 및 피뢰시스템 그리고 발전설비의 용
접과 비파괴검사 등 KEC 전체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표 1] KEC 제1장 공통사항의 구성 내용

□ KEC (100 총칙)

KEC (100 총칙)은 KEC 전체의 목적과 적용범위를 규정하고 있다. 전기사업법 제67
조(기술기준)에서 전기설비의 안전관리를 위해 필요한 기술기준을 정하여 고시하도
록 정하고 있으며,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기술기준의 제정)에서 기술기준의 구체적
제정방향을 제시 하고 있는데, 그 내용을 보면 ①사람이나 다른 물체에 위해 또는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고, ②내구력의 부족 또는 기기 오동작에 의하여 전기 공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도록 함은 물론, ③다른 전기설비 그 밖의 물건의 기능에 전
기적 또는 자기적인 장해를 주지 아니하도록 하며, ④특히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
및 신기술·신공법의 개발·활용 등에 지장을 주지 않게 정하도록 하고 있다.
30 2. KEC 제1장 (공통사항)

그러므로 KEC (100 총칙)은 전기설비 즉, 발전, 송전, 변전, 배전 또는 전기사용을


위하여 시설하는 기계·기구, 댐, 수로, 저수지, 전선로, 보안통신선로 및 그 밖의 설비
의 안전에 필요한 성능과 기술적 요건의 구체적인 기술적 사항을 규정하는 것으로,
그 적용범위는 저압, 고압 및 특고압 전기설비, 전기철도설비, 분산형 전원설비, 발전
용 화력설비 및 발전용 수력설비 등 기술기준 고시에서 정하는 모든 전기설비가 대
상이 됨을 규정하고 있다.

□ KEC (110 일반사항)

○ KEC (111 적용범위)

KEC (111 적용범위)에서는 전압의 범위를 구분하고 있다. 국내 전기설비가 국제표준


에 적합하게 제작, 설치됨에 따라 저압 전로의 절연성능 평가 등 관련 규정을 국제
기준(IEC)으로 개정할 필요성이 대두되어 전기사업법 시행규칙에서 국제 표준에 따
라 표 2와 같이 저압 및 고압의 전압범위를 변경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에 고압 전
기설비 기준으로 적용 받던 교류 600V초과 1000V이하 전기설비는 저압 전기설비의
시설규정을 적용받게 되며, 그 시행은 산업계 홍보와 이 법을 인용한 법령의 개정
등의 준비기간을 고려하여 2021.1.1.부터 적용하도록 하였다.

[표 2] 저압 및 고압의 전압범위 변경

○ KEC (112 용어정의)

KEC (112 용어 정의)에서는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 외에 국제 표


준에 기초한 접지설비와 전기설비를 뇌전류로부터 보호(방호)하기 위한 피뢰설비에
관한 용어와 정의가 추가 되었다. 기존의 판단기준의 용어와 다르게 IEC 표준에 기
Ⅱ. KEC 주요내용 31

초한 용어는 다소 생소하게 느낄 수도 있으므로, KEC를 올바르게 적용하려면 용어


의 정의를 정확하게 숙지할 필요가 있다.

충전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본보호, 고장이 발생한 기기의 노출도전


부에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고장보호, 외부 및 내부
피뢰시스템과 피뢰레벨, 감전에 대한 보호를 목적으로 시설하는 보호접지와 보호도
체 그리고 보호등전위본딩과 보호본딩도체 등에 관한 용어와 정의가 추가 되었다.

[그림 1] 접지설비 및 보호도체의 예

“보호도체”란 안전을 목적으로 설치된 도체를 말한다. 보호도체라는 용어는 일반적


이며, 접지도체, 보호등전위본딩도체, 보조 보호등전위본딩도체, 회로 보호도체를 포
함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접지도체”란 계통, 설비 또는 기기의 1점과
32 2. KEC 제1장 (공통사항)

접지극 간의 도전성 경로 또는 도전성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체를 말한다. “계


통외도전부”는 근본적으로 전기가 흐르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으나, 고장이 발생했을
때 위험전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건축구조물의 금속제 부분, 가스, 수도, 난방
등의 금속배관, 절연되지 않은 바닥이나 벽 등을 말한다.

또한, 우리나라 배전계통을 고려하여 전력계통의 중성선을 대지에 다중으로 접속하


고, 변압기의 중성점을 그 중성선에 연결하는 계통접지방식인“중성선 다중접지방식”
이라는 용어정의를 신설하기로 하였다.

일반적인 건축물에서 접지설비 및 보호도체의 예를 나타내면 그림 1과 같다.

○ KEC (113 안전을 위한 보호)

KEC (113 안전을 위한 보호)는 전기안전에 관한 기본원칙을 제시한 것이다. 전기설


비를 적절하게 사용할 때 전기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장해로부터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감전, 열의 영향, 과전류, 고장전류, 과전압 및 전자
기 장애 그리고 전원공급 중단에 대한 보호원칙을 그림 2와 같이 정하고 있다.

[그림 2] 안전을 위한 보호
Ⅱ. KEC 주요내용 33

□ KEC (120 전선)

KEC (120 전선)에서 크게 달라지는 부분은 국제표준에 따른 전선의 식별규정을 도


입한 것이다. 전선의 색별 표시 목적은 공사, 유지보수의 안전 및 편의 도모, 전압측
전선 상호 및 중성선의 구별 등 오접속에 의한 사고 방지 그리고 3상 계통에서 단상
부하 공급시 상별 부하전류의 평형유지를 위한 접속 편의 등을 위해서이다. KEC 규
정에 따른 전선의 식별은 표 3과 같다. 전선의 종류 및 접속 등은 판단기준과 유사
하다.

[표 3] 전선의 식별

교류(AC) 도체 직류(DC) 도체
상(문자) 색상 극 색상
L1 갈색 L+ 적색
L2 흑색 L- 백색
L3 회색 중점선
청색
N 청색 N
보호도체 녹색-노란색 보호도체 녹색-노란색
[참고] KS C IEC 60445

□ KEC (130 전로의 절연)

KEC (130 전로의 절연)에서는 저압, 고압 및 특별고압 전로의 절연원칙을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은 판단기준과 동일하나 저압전로의 절연성능에 관해서는 국제표준의
규정을 도입하여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제52조를 표 4와 같이 개정하였다. 절연성
능은 전로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서, 저압전로에 관해서는
절연저항 값으로 규정하고 있다. 전로의 절연성능이 저하되면 감전,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및 전력 손실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전로와 전기설비의 절연 저항을 측정하여 절연 상태를 양호하
게 유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저압전로의 절연성능을 규정하고 있다.

저압 전로의 전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선간을 쉽게 분리하기 어려운 기계기구가 있


는 분기회로의 경우에는 기기 접속 전에 측정할 수 있도록 문구가 수정되었다. 또한,
34 2. KEC 제1장 (공통사항)

절연저항을 측정할 때 시험전압을 가하면 영향이나 손상을 받을 수 있는 SPD나 기


기 등을 측정 전에 분리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시험전압을 250 V로 낮추어 측정할 수
있지만 절연저항 값은 1 MΩ이상이 되도록 하는 기준이 신설되었다.

[표 4] 저압 전로의 절연저항 값

현 행 개 정 (2021. 1. 1부터 시행)


제52조(저압전로의 절연성능) 전기사용 장 제52조(저압전로의 절연성능) 전기사용 장소의 사용전압
소의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의 전선 상호 이 저압인 전로의 전선 상호간 및 전로와 대지 사이의
간 및 전로와 대지 사이의 절연저항은 개 절연저항은 개폐기 또는 과전류차단기로 구분할 수 있는
폐기 또는 과전류차단기로 구분할 수 있는 전로마다 다음 표에서 정한 값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전로마다 다음 표에서 정한 값 이상이어야 전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기계기구를 쉽게 분리가 곤란
한다. 다만, 전동기 등 기계기구를 쉽게 분 한 분기회로의 경우 기기 접속 전에 측정할 수 있다.
리하기 곤란한 분기회로의 경우 전로의 전 또한, 측정 시 영향을 주거나 손상을 받을 수 있는 SPD
선 상호 간의 절연저항에 대해서는 기기 또는 기타 기기 등은 측정 전에 분리시켜야 하고, 부득
접속 전에 측정한다. 이하게 분리가 어려운 경우에는 시험전압을 250V DC로
낮추어 측정할 수 있지만 절연저항 값은 1MΩ 이상이
어야 한다.
전로의 사용전압 구분 절연저항
대지전압(접지식 전로는 전선과 대 전로의 사용전압[V] DC시험전압[V] 절연저항[MΩ]
지 사이의 전압, 비접지식 전로는
0.1 MΩ SELV 및 PELV 250 0.5
전선 간의 전압을 말한다. 이하 같
400 V 다)이 150 V 이하인 경우 FELV, 500V 이하 500 1.0
미만 대지전압이 150 V 초과 300 V 이 500V 초과 1,000 1.0
0.2 MΩ
하인 경우 [주] 특별저압(extra low voltage : 2차 전압이 AC 50V, DC
사용전압이 300 V 초과 400 V 미
0.3 MΩ 120V 이하)으로 SELV(비접지회로 구성) 및 PELV(접지회로 구
만인 경우
성)은 1차와 2차가 전기적으로 절연된 회로, FELV는 1차와 2차가
400 V 이상 0.4 MΩ
전기적으로 절연되지 않은 회로

참고로 SELV(안전 특별저압), PELV(보호 특별저압) 및 FELV(기능적 특별저압) 시스


템은 교류 50 V, 직류 120 V를 초과하지 않는 그림 3과 같은 시스템을 말한다.

KS C IEC 61558-2-6에 KS C IEC 61558-2-6에 권선 사이가 기본 절연


따른 안전절연변압기 따른 안전절연변압기 인 변압기

[그림 3] SELV, PELV 및 FELV 개요


Ⅱ. KEC 주요내용 35

개정된 절연저항 기준은 KEC 적용 시점과 동일하게 유예기간을 두어 2년 후인 2021


년 1월 1일부터 적용하는 것으로 하고, 시행일 이후 신설되는 설비에 적용하는 것으
로 하였다. 절연저항 값은 온도, 습도, 측정 전압 등 측정 조건에 따라 측정값이 변
화하는데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절연물 또는 절연물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 등의 흡습에 의해 그리고 측정 전압이 높을수록 작아지는 경
향이 있다. 절연저항 값은 제일 작은 경우에도 규정 값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과거의
측정기록을 고려하여 가까운 시일 내에 규정 값 이하로 될 우려가 있을 때에는 적절
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기준 시행일 이전이라도 개정된 기준을 적용하
여 국제수준으로 관리할 것을 권장한다.

고압 및 특고압의 전로, 회전기, 정류기 변압기 및 기구 등의 전로와 연료전지 및 태


양전지 모듈의 절연내력은 현행 판단기준과 동일하다.

□ KEC (140 접지시스템)

KEC의 접지시스템에서는 ①접지시스템의 구분 및 종류, ②접지극, 접지도체 및 보호


도체에 관한 접지시스템의 시설방법, ③감전보호용 등전위본딩에 대해 규정하고 있
으며, 인축의 감전보호를 위한 접지설비는 국제표준에서 정한 허용접촉전압을 기준
으로 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므로 기존 판단기준의 제1종, 제2종, 제3종 및 특별 제3종
접지공사에 관한 규정이 삭제되었다.

KEC (140 접지시스템)에서는 접지시스템을 계통접지, 보호접지와 피뢰시스템접지 등


으로 구분하고, 접지시스템의 시설종류로는 단독접지, 공통접지 및 통합접지로 명시
하고 있다. “단독접지”는 고압, 특고압계통의 접지극과 저압계통의 접지극을 독립적
으로 설치하는 것을 말하며, “공통접지”는 등전위가 형성되도록 고압, 특고압계통과
저압접지계통을 공통으로 접지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통합접지”는 전기설비 접지
계통, 피뢰설비 및 전기통신설비 등의 접지극을 통합하여 접지시스템을 구성하는 것
을 말하며, 설비 사이의 전위차를 해소하여 등전위를 형성하는 접지방식이다.

접지시스템은 접지극, 접지도체, 보호도체 및 기타 설비로 구성되는데, 접지시스템은


다음 사항을 충족하여야 한다.

① 지락고장전류 및 보호도체 전류(누설전류 등)를 열적, 기계적 및 전자력(電磁力)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한 위험 없이 흘릴 것.
36 2. KEC 제1장 (공통사항)

② 접지저항 값은 고장보호에서 정해진 인체감전보호를 위한 값과 전기설비의 기계


적 요구에 따라 정해진 값을 충족할 것.

③ 부식, 건조 또는 동결로 인한 접지저항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것 등이


다.

접지극으로는 ①콘크리트매입 기초접지극, ②토양매설 기초접지극, ③토양에 매설된


접지봉 또는 관, 접지선 또는 판, ④요건에 적합한 케이블 금속외장 또는 지중 금속
구조물, ⑤콘크리트(PS콘크리트는 제외)의 용접된 철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지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접지단자와 접지극을 접속하는 접지도체와 보호도체 및 보


호본딩도체의 최소단면적은 표 5와 같다. 다만, 알루미늄은 접지도체로 사용하지 못
하도록 정하고 있다.

[표 5] 접지도체, 보호도체 및 보호본딩도체의 최소단면적

보호도체 및 보호본딩도체의
접지도체 최소단면적 (㎟) 보호도체 최소단면적 (㎟), 구리
최소단면적 (㎟), 구리
케이블의 일부가 아니거나
설비 상도체 상도체와 재질이
구리 철 상도체와 공통으로 수납되어
단면적 S 같은 보호도체
있지 않은 경우
6 50 기계적 손상에 기계적 손상에
S ≦ 16 S
접지도체에 LPS가 접속된 때 16 < S ≦ 35 16 대한 보호 있음 대한 보호 없음
S > 35 S/2
16 50 2.5 4

보호도체의 최소 단면적은 상기 표 5에 의하거나 계산에 의해 선정할 수 있다. 모든


보호도체는 자동전원차단조건을 충족하여야 하며, 보호장치의 차단시간 동안 예상
고장전류로 인한 기계적 및 열적 응력에 견디는 것이라야 한다. 보호도체는 보호도
체의 모든 접속(나사 접속, 클램프 접속 등)은 영구적인 전기적 연속성과 충분한 기
계적 강도를 가져야 하며, 납땜으로 접속해서는 안 된다. 또한, 중성선 및 보호도체
의 식별은 KEC 121 전선의 식별에 따른다.

등전위본딩은 건축물의 공간에서 금속도체를 서로 접속하여 전위를 같게 하는 것


즉, 등전위화를 위해서 시설하는 것이다. 등전위본딩은 저압 전로설비, 정보통신설비
피뢰시스템 등에 있어서 필수적인 기술로써 KEC에서는 등전위본딩을 그림 4와 같이
분류하고 그에 관한 시설요건을 정하고 있다. 이중에서 감전보호용 등전위본딩은 ①
인입구 부근에서 인입 금속배관 본딩과 건축물ㆍ구조물의 철근, 철골 등을 본딩하는
보호등전위본딩, ②고장시 전원 자동 차단시간이 계통별 최대 차단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2.5m이내의 노출도전부 및 계통외 도전부를 본딩하는 보조 보호등전위 본딩,
Ⅱ. KEC 주요내용 37

그리고 ③절연성 바닥으로 된 비접지 장소에서 2.5m이내 전기설비 상호간 및 전기설


비를 지지하는 금속체를 본딩하는 비접지 국부 등전위본딩으로 구분하여 시설요건을
규정하고 있다.

ㅇ건축구조물 외부 인입 각종 금
감전보호용 속제 배관 본딩(인입구 부근에서
보호등전위본딩
등전위본딩 접속)
(KEC 143.2.1)
(KEC 143) ㅇ건축물ㆍ구조물의 철근,
철골 등의 금속보강재 등

고장시 전원 자동차단 시간이 계


보조 보호등전위본딩 통별 최대차단시간을 초과하는 경
(KEC 143.2.2) 우 2.5m이내 기기 노출도전부 및
계통외 도전부 본딩

절연성 바닥으로 된 비접지 장소


비접지 국부 등전위본딩
등전위 본딩 의 2.5m이내 전기설비 상호간,
(KEC 143.2.3)
전기설비와 지지 금속체 본딩 등

피뢰시스템
등전위본딩 금속설비 등전위본딩 구조물에 접속된
( K E C (KEC 153.2.2) 외부도전부의 본딩
153.2)

인입설비 등전위본딩 건축물ㆍ구조물의 외부에서


(KEC 153.2.3) 내부로 인입되는 설비 본딩

내부피뢰시스템 구조물 내부의


(KEC 153.1.3) 전기전자시스템

[그림 4] KEC에서의 등전위본딩 분류 및 그 대상설비

□ KEC (150 피뢰시스템)

KEC (150 피뢰시스템)의 규정은 뇌방전으로 인한 과전압으로부터 전기설비의 손상,


감전 또는 화재 등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최근 정보통신기술(ICT)과
융합된 전기설비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첨단 정보화 설비에 사용되는 기
기들의 신뢰성과 안전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므로, 뇌서지를 비롯한 과도과전압
에 취약한 이들 기기가 설치된 전기설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정한 시설요건이다.
38 2. KEC 제1장 (공통사항)

낙뢰로 인한 피해는 구조물에 뇌격(S1), 구조물 근방에 뇌격(S2), 구조물에 접속된 시


설물에 뇌격(S3), 구조물에 접속된 시설물 근방에 뇌격(S4)의 4가지의 전자기적 결합
메커니즘에 의해 발생한다. 뇌서지는 피뢰침, 접지, 전원선, 통신선 등의 경로로 침입
하는데 그 침입경로에 대해 적절한 피뢰시스템(LPS)을 시설하여 뇌서지로 인한 피해
를 최대한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림 5는 뇌격으로 인한 구조물 손상의 여러 원인과
시스템 내의 뇌전류 분류의 기본 예를 나타낸 것이다.

손상의 원인 ;

구조물에 뇌격

구조물 근방에 뇌격
구조물에 접속된 시설물
에 뇌격

구조물에 접속된 시설물


근방에 뇌격
It

장비

시설물
(수도관 등

Id Ip
정보통신선 Ie 저압 배전망의 전원선

[그림 5] 구조물 손상의 원인과 시스템 내 뇌전류 분류의 기본 예

뇌서지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의 수립은 피뢰 대상물과 피뢰의 목적, 보호


범위를 명확히 하고, 적절한 피뢰등급을 선정한 후에 최적의 외부피뢰시스템, 내부
피뢰시스템, 그리고 전체적으로 협조된 피뢰시스템을 시설하는 것이다. 피뢰등급은
낙뢰빈도 등의 지역특성이나 시설의 중요도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영향을 미치
는 각종 요소 및 조건을 고려해서 KS C IEC 62305-2(피뢰시스템-제2부 리스크관리)
에 따라 보호수준을 선정한다. 내부피뢰시스템은 등전위본딩과 안전이격거리의 확보
로 구성하고, 그 대책은 피뢰등급에 따라 이를 감안한 시설을 채택한다.

외부피뢰시스템은 수뢰부시스템, 인하도선시스템 및 접지극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수


뢰부시스템은 돌침, 수평도체, 메시도체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하고, 보호각법, 회전
구체법 및 메시법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배치한다. 인하도선시스템은 뇌격
점에서 대지까지의 뇌전류를 안전하게 방류하는 최적경로를 선정하며, 복수의 인하
Ⅱ. KEC 주요내용 39

도선을 병렬로 구성한다. 수뢰부시스템과 접지극시스템 사이에는 전기적 연속성이


형성되게 시설하여야 하며, 자연적 구성부재를 사용할 때에는 금속부재의 최상단부
와 지표레벨 사이의 직류 전기저항은 0.2Ω 이하로 한다. 건축물 등의 구조체를 수뢰
부나 인하도선의 구성부재로 이용할 때는 해당 건축물 등의 설계자 또는 관리자 등
과 충분히 협의한 후 이용한다. 그림 6은 등전위본딩을 위한 구조물 보강봉의 이용
예를 나타낸다.

[범 례]
1 수뢰도체
2 지붕 난간의 금속 덮개
3 강철 보강봉
4 보강용 철근에 중첩시킨 메시도체
5 메시도체의 접속
6 내부 본딩 바에 대한 접속
7 용접과 죔쇠에 의한 접속
8 단독 접속
9 콘크리트 내의 강철 보강재
(메시도체에 중첩)
10 환상 접지극
11 기초 접지극
a 메시도체를 중첩시키는 5 m의
전형적인 거리
b 메시도체를 보강재에 접속하는
1 m의 전형적인 거리

[그림 6] 등전위본딩을 위한 구조물 보강봉의 이용 예

접지극시스템은 위험한 과전압을 발생시키지 않고 뇌전류를 대지로 안전하게 방류시


키는 것을 목적으로 접지극의 저항 값, 접지시스템의 형상·치수 등을 최적화한다. 접
지극은 하나 또는 복수의 접지극을 적절히 시설하고, 접지극을 시공할 때는 땅 속에
서 상호 전기적 결합의 영향이 최소가 되도록 시설한다. 건축물 등의 철근콘크리트
기초 내부의 상호 접속된 철근 또는 금속제 지하구조물을 접지극으로 사용할 경우는
대지와의 전기 저항 값이 충분히 작은 값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해당
건축물 등의 설계자 또는 관리자 등과 충분히 협의한 후 이용한다. 접지극의 형태로
는 A형 접지극(판상접지극, 수직접지극, 수평접지극)과 B형 접지극(환상접지극, 기초
접지극, 메시접지극)이 있으므로 보호수준 및 입지조건에 따라 적절한 접지형태와 접
지재료를 사용하고, 접지 저항값은 최대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40 2. KEC 제1장 (공통사항)

외부피뢰시스템의 설치 및 접속부에 이용하는 재료 및 치수는 뇌전류에 의한 전기


적, 전자기적, 기계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KS C IEC 62305-3과 KS C IEC
62561에서 정한 성능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도체의 접속은 필요
최소한으로 한다.

건축물 내의 전기전자설비를 뇌서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대책은 접지와 본딩, 자기


차폐와 서지유입경로 차폐, 서지보호장치 설치 및 절연인터페이스 구성 중 하나 이
상의 보호대책에 의한다. 또한, 보호대상 공간은 다양한 위험 값의 영역을 전자시스
템의 강도와 호환되도록 만들고 구역 경계에서 등전위본딩을 위한 구역을 설정하는
피뢰구역(LPZ)으로 구분하여 그에 따른 보호대책을 선택한다. 서로 다른 피뢰구역
(LPZ)으로 구분하기 위한 원리는 그림 7과 같다.

[그림 7] 서로 다른 LPZ로 구분하기 위한 원리

내부피뢰시스템의 등전위본딩은 피뢰시스템, 금속구조체, 금속제 구조물, 계통외도전


부 및 피보호물 내의 전력 및 통신·신호용 설비를 본딩용 도체 또는 SPD를 통해 접
속함으로써 등전위화를 도모한다.

계통외도전부의 등전위본딩은 건축물의 인입구에서 접속한다. 전력 및 통신·신호설비


에 대한 등전위본딩도 건축물의 인입구에서 접속함과 동시에 건축물내의 설비기기에
서는 설비기기간의 전위를 균등화하고 각 부분간의 전위차를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
로 등전위본딩을 한다. 본딩용 도체는 뇌전류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흘려보낼 경우,
혹은 그 일부분을 흘려보낼 경우 등 목적, 용도, 전류 값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본
Ⅱ. KEC 주요내용 41

딩용 도체를 선정하여 시설한다.

내부 피뢰구역(LPZ) 경계에 있는 모든 금속부품 및 공급라인(금속배관, 전력선 또는


통신선)에 관한 등전위본딩은 선로 등으로 침투하는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가장 주
요한 조치이다. 그림 8에 사무실 건물의 피뢰구역, 차폐, 등전위본딩 및 접지의 예를
나타낸다.

[그림 8] 사무실 건물의 피뢰구역(LPZ), 차폐, 등전위본딩 및 접지의 예

수뢰부 또는 인하도선과 건축물·구조물의 금속부 사이의 전기적인 절연은 KS C IEC


62305-3의 부속서 A에 따른 안전이격거리를 두어야 하며,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없
을 때에는 개별 수뢰부 및 인하도선의 이동, 설비의 이동, 별도의 수뢰부 설치, 고전
압 절연리드 사용, 비도전성 부재의 사용 등의 대책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다
만, 건축물·구조물이 금속제 또는 전기적 연속성을 가진 철근콘크리트 구조 등의 경
우에는 전기적 절연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Ⅱ. KEC 주요내용 43

제 목 3. KEC 제2장 (200 통칙)

□ 제2장의 구성

한국전기설비규정(이하 KEC)의 제2장 저압전기설비는 표 1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200 통칙)은 적용범위, 배전방식 및 계통접지의 방식, (210 안전을 위한 보호)는 감
전, 과전류, 과도과전압 및 열 영향에 대한 보호 및 (220 전선로)는 가공, 지중, 옥내
및 옥외 전선로 등에 관한 시설기준이다. (230 배선 및 조명설비 등)은 전기기기, 배
선설비 및 비상용 예비전원설비와 조명설비, (240 특수설비)는 특수시설과 옥내에 시
설하는 저압 직류설비에 관한 시설기준이다. 이번 호에서는 제2장의 첫 번째로써 적
용범위와 계통접지의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표 1] KEC 제2장 저압전기설비의 구성 내용

□ 200 통칙

○ 201 적용범위

제2장의 적용범위는 저압의 전기를 공급하거나 사용하는 전기설비에 적용한다. 저압


의 범위는 교류 1,000 V 이하, 직류 1,500 V 이하이며, 2021년 1월 1일부터 적용된다.
44 3. KEC 제2장 (200 통칙)

○ 203 계통접지의 방식

계통접지와 기기설치의 조합에 의한 저압 배선의 계통접지 방식은 TN계통, TT계통,


IT계통으로 분류한다.

1) TN 계통

TN 계통은 전원의 한 점을 직접 접지(계통접지)하고, 설비의 노출도전부(기기외함


등)를 보호도체(PE)를 통해 그 점에 접속시키는 방식으로, 중선선과 보호도체의 관계
에 따라 다음 3가지 방식으로 분류된다.

① TN-S 계통 : 계통 전체에서 중성선(N)과 보호도체(PE)를 분리(그림 1a)

② TN-C 계통 : 계통 전체에서 한 가닥의 전선이 중성선(N)과 보호도체(PE)를 겸용


(그림 1b)

③ TN-C-S 계통 : 계통의 일부에서 한 가닥의 전선이 중성선(N)과 보호도체(PE)를


겸용 (그림 1c)

TN 계통에서의 지락고장은 과전류차단기로 보호한다. 고장이 발생했을 때는 고장점


임피던스를 고려하지 않고, 지정 시간 내에 전원의 과전류차단기가 동작하도록 차단
기의 특성 및 도체의 굵기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2) TT 계통

TT 계통은 전원의 한 점을 직접접지하고, 설비의 노출도전부는 전원의 접지극과 전


기적으로 독립적인 접지극에 접속시키는 방식으로 그림 1d와 같다. 지락고장은 누전
차단기로 보호한다.

3) IT 계통

전원측은 충전부 전체를 대지로부터 절연시키거나 임피던스를 통해 접지하고 설비


의 노출도전부는 기기 접지한다. l점 지락고장의 경우는 기기외함측의 접지저항 값을
작게 함으로써 보호될 수 있지만 2점 지락고장이 발생할 때의 대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Ⅱ. KEC 주요내용 45

기호 설명

중성선(N)

보호도체(PE)

중성선과
보호도체 겸용(PEN)

[그림 1] 계통접지의 여러 가지 방식
46 3. KEC 제2장 (200 통칙)

4) TN계통과 TT계통의 안전특성

계통접지방식은 각각의 특성과 장단점이 있으므로, 전원 계통의 접지방식과 시설하


려는 전기설비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계통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로 사
용되고 있는 TN-S계통과 TT계통에 대해 누전시 고장전류, 뇌서지 및 감전보호에 대
한 안전특성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누전시 단락전류의 크기
TN 계통은 그림 2a와 같이 누전고장시 단락상태가 되어 매우 큰 고장전류가 흘러 위험한
반면, TT 계통은 그림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전시 고장전류는 R3 → R2 를 통해 흐르므
로 접지저항 값에 의해 제한된다.

[그림 2] TN-S계통 및 TT계통의 지락고장루프

② 뇌서지의 영향 비교

TN 계통은 그림 3a와 같이 전원계통에 서지전압이 침입하거나 또는 계통의 접지전


압이 부근의 낙뢰에 의해 상승했을 경우라도 노출도전부 전위와 전원전위가 같게 되
어 설비기기 등의 손상이 없다. TT 계통은 그림 3b와 같이 전원계통에 서지전압이
침입하거나 또는 계통의 접지전압이 부근의 낙뢰에 의해 상승하면 설비기기접지와
전원계통접지가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노출도전부와 전원의 전위차로 인해 설비기기
등에 손상을 줄 수 있다.
Ⅱ. KEC 주요내용 47

[그림 3] TN-S계통 및 TT계통의 뇌서지 전위

③ 감전에 대한 보호

TN방식은 그림 4a와 같이 설비기기가 누전되었다 해도 대지전위와 외함 전위가 같


으므로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반면, TT방식의 경우는 그림 4b와 같이 설비
기기가 누전되는 경우, 대지전위는 0이지만 R3의 값에 따라서는 외함의 전위가 커져
인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누전된 기기의 전위상승을 안전
한 수준으로 억제하기 위한 R3 값이 필요하며, 누전차단기를 설치함으로써 그 안전
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림 4] TN-S계통 및 TT계통의 감전보호특성


Ⅱ. KEC 주요내용 49

제 목 4. KEC 제2장 (211 감전에 대한 보호)

□ 210장의 구성

한국전기설비규정(이하 KEC) 제2장 저압전기설비의 (210 안전을 위한 보호)는 211


감전에 대한 보호,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213 과도과전압에 대한 보호 및 214 열
영향에 대한 보호로 구성되어 있다.

□ 감전에 대한 보호

감전이란 사람이나 가축의 몸을 통과하는 전류로 인한 생리적 영향으로 정의 되며,


이 생리적 영향은 전류 감지, 근육반응, 심실세동, 화상 등을 말한다. 전기설비에서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대책으로는 표 1과 같이 기본보호와 고장보호의 조합 또
는 특별저전압에 의한 보호가 있으며, 이들의 보호방법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하거
나, 추가적인 보호대책을 사용한다.

1) 기본보호

기본보호는 전기설비가 정상적으로 운전하는 상태에서 그 전기설비에 사람이나 가축


이 직접 접촉할 때에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다. 보호방법으로는 충전부를 절
연물질로 절연하는 것과 충전부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2) 고장보호

고장보호는 전기설비에 누전고장 등이 발생한 그 전기설비에 사람이나 가축이 접촉


할 경우에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다. 고장보호의 기본은 허용접촉전압(통상적
인 상태에서 교류 50V)을 초과하는 접촉전압으로 생리적으로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시간이 지속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허용접촉전압의 한계 값은 특별한 환경조건에
서는 이 보다 낮은 값이 요구될 수 있다. 전원의 자동차단과 보호등전위 본딩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50 4. KEC 제2장 (211 감전에 대한 보호)

3) 특별저압에 의한 보호

특별저압에 의한 보호는 전기량을 제한하는 전원을 사용하여 사람이나 가축이 접촉


하여도 인체에 위험을 초래하지 않을 정도의 전압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이다.

[표 1] 감전보호를 위한 방법

□ TN, TT계통의 전원자동차단에 의한 보호

○ TN, TT 계통의 전원자동차단에 의한 보호

전원자동차단에 의한 보호장치는 선도체와 노출도전부 또는 선도체와 보호도체 사이


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정해진 시간 내에 전원을 자동차단하여야 한다. 표 2는 일
반적으로 사용하는 공칭전압 230V와 400V, 정격전류 32A이하 분기회로에서 TN, TT
계통 보호장치의 최대차단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내용은 TN, TT계통에서의 자동
차단조건, 접촉전압, 고장루프임피던스 및 보호장치의 설치조건에 대한 설명이다.

[표 2] 32A이하 분기회로 보호장치의 최대 차단시간

고장시 최대 차단시간(s)
공칭전압
교류 직류
  (V)
TN TT TN TT
120V <   ≦ 230V 0.4 0.2 5 0.4
230V <   ≦ 400V 0.2 0.07 0.4 0.2
Ⅱ. KEC 주요내용 51

1) TN계통 자동차단조건 및 접촉전압

① TN-S, TN-C 및 TN-C-S계통의 자동차단조건은 다음 식과 같다.

  ×  ≤   여기서   : 고장루프임피던스
 : 정해진 시간 내에 보호장치를 자동차단시키는 전류
  : 공칭전압

② TN-S, TN-C 및 TN-C-S계통의 접촉전압

부하점에서 절연불량인 경우 노출도전부 대지전위는 전원전압의 1/2로 저감된다. 단


락 및 부하기기의 절연불량이 발생했을 때 노출도전부에 약   /2의 전압이 나타나
므로 동시에 접촉이 가능한 다른 노출도전부 또는 계통외도전부에 등전위본딩을 한
다.

2) TN 계통의 고장임피던스(   ), 고장전류(  ) 및 보호장치 설치조건

① TN-S 계통

TN-S 계통의 회로와 고장임피던스(   ), 고장전류(  ) 및 보호장치의 설치조건을 요약


하면 그림 1과 같다.
52 4. KEC 제2장 (211 감전에 대한 보호)

② TN-C 계통

TN-C 계통의 회로와 고장임피던스(   ), 고장전류(  ) 및 보호장치의 설치조건을 요약


하면 그림 2와 같다.

③ TN-C-S 계통

TN-C-S 계통의 회로와 고장임피던스(   ), 고장전류(  ) 및 보호장치의 설치조건을 요


약하면 그림 3과 같다.
Ⅱ. KEC 주요내용 53

○ TT 계통의 전원자동차단에 의한 보호

1) TT계통 자동차단조건 및 접촉전압

① TT계통에서의 자동차단조건은 다음 식과 같다.

 ×  ≤ 

여기서  : 노출도전부에 접속된 보호도체의 저항과 접지극 접지저항의 합계


 : 보호장치를 자동차단시키는 전류
보호장치가 누전차단기인 경우는 정격감도전류

② TT계통의 접촉전압

보호접지저항  와 계통접지저항  가 전원전압을 분담하며, 보호접지저항은 일반적


으로 계통접지저항에 비해 크다. 그러므로 TT계통의 접촉전압은 보호접지에 의한 전
원전압의 저감효과가 적다(  =  인 경우   =    이다).

2) TT 계통의 고장임피던스(   ), 고장전류(  ) 및 보호장치의 설치조건

TT 계통의 회로와 고장임피던스(   ), 고장전류(  ) 및 보호장치의 설치조건을 요약하


면 그림 4와 같다.

KEC 211절의 감전에 대한 보호에 관하여 허용접촉전압, 외부영향의 특정조건과 특


수장소에 적용하는 추가적인 보호 등 설치장소의 환경조건에 따라 시설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는 해당 규정과 기술지침 등 참고 문헌을 참조하기 바란다.
Ⅱ. KEC 주요내용 55

제 목 5. KEC 제2장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 과전류에 대한 보호의 원칙

전선(회로도체)의 과부하 및 단락고장이 발생할 때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에 의해 보호하여야 한다. 그림 1은 과전류보호에 관한 시간/전류 특성
을 나타낸다.

[그림 1] 과전류 보호(배선차단기, 퓨즈 및 도체 전류용량의 시간/전류 특성)

□ 회로의 특성에 따른 요구사항

○ 선도체의 보호

1) 모든 선도체에 과전류 검출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2) 과전류를 검출한 전선을 차단하고, 그로 인해 다른 선도체를 차단할 필요는 없다.


56 5. KEC 제2장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3) 중성선의 배선이 없는 TT계통에서, 선간으로부터 공급하는 회로에서는 다음의 조


건을 동시에 충족할 때는 선도체 중 어느 하나에 과전류검출기를 설치하지 않아
도 된다.

① 동일회로 또는 전원 측에서 부하불평형을 감지하고 모든 선도체를 차단하기 위한


보호장치(누전차단기 등)를 갖춘 경우

② ①의 보호장치(누전차단기 등)의 부하 측에 위치한 회로의 인위적인 중성점(예를


들면 접지콘덴서 접속점)으로부터 중성선을 배선하지 않는 경우. 3상 모터 등과
같이 1상의 차단이 위험해지는 경우는 적절한 조치를 해야 한다.

○ 중성선의 보호

TN 또는 TT계통에서

1) 중성선의 단면적이 선도체의 단면적과 동등이상의 크기이고, 그 중성선의 전류가


선도체의 전류보다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될 때는 중성선에 과전류검출기 또는
차단기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2) 중성선의 단면적이 선도체보다 작은 경우 중성선에는 그 단면적에 따른 과전류


검출기를 설치하고, 이때 과전류 검출에 의해 선도체를 차단해야 하지만 중성선
을 차단할 필요는 없다.

3) 1), 2)의 경우 모두 단락전류로부터 중성선을 보호해야 한다.

○ 중성선 차단 및 재폐로

중성선의 차단 및 재폐로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중성선을 차단할 때는 중성선


이 선도체보다 늦게 차단되어야 하며, 재폐로 할 때는 선도체와 동시 또는 그 이전
에 재폐로 되도록 하여야 한다.
Ⅱ. KEC 주요내용 57

□ 과전류보호장치의 종류 및 특성

○ 과전류보호장치의 종류

1) 과부하 전류 및 단락 전류를 모두 보호하는 장치는 그 설치 점의 예상 단락전류


이상의 과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이어야 하며,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① 과부하 분리기능을 내장한 차단기

 ② 퓨즈와 결합한 차단기

2) 과부하만을 보호하는 장치

  과부하 보호장치는 일반적으로 반한시형이며, 그 차단용량은 보호장치 설치 점의


예상 단락전류보다 작아도 무방하다.

○ 과전류보호장치의 특성

1) 과전류보호장치는 KS C 또는 KS C IEC 관련표준(배선차단기, 누전차단기 및 퓨


즈 등)의 동작특성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 과전류차단기로 저압전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차단용량이 전 범위인 퓨즈(「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안전관리법」에서 규정하는 것을 제외한다)는 표 1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3) 과전류차단기로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산업용 배선차단기(「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서 규정하는 것을 제외한다)는 표 2에, 주택용 배선차단기는 표 3
및 표 4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다만, 일반인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세대
내 분전반 및 이와 유사한 장소)에는 주택용 배선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한다.
58 5. KEC 제2장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표 1] 퓨즈(gG)의 용단특성

정격전류의 배수
정격전류의 구분 시 간
불용단전류 용단전류

4 A 이하 60분 1.5배 2.1배


4 A 초과 16 A 미만 60분 1.5배 1.9배
16 A 이상 63 A 이하 60분 1.25배 1.6배
63 A 초과 160 A 이하 120분 1.25배 1.6배
160 A 초과 400 A 이하 180분 1.25배 1.6배
400 A 초과 240분 1.25배 1.6배

[표 2] 과전류트립 동작시간 및 특성(산업용 배선차단기)

정격전류의 배수
정격전류의 구분 시 간 (모든 극에 통전)
부동작 전류 동작 전류

63 A 이하 60분 1.05배 1.3배


63 A 초과 120분 1.05배 1.3배

[표 3] 순시트립에 따른 구분(주택용 배선차단기)

형 순시트립범위

B 3In 초과 ~ 5In 이하

C 5In 초과 ~ 10In 이하

D 10In 초과 ~ 20In 이하

비고 1. B, C, D: 순시트립전류에 따른 차단기 분류
2. In: 차단기 정격전류

[표 4] 과전류트립 동작시간 및 특성(주택용 배선차단기)

정격전류의 배수(모든 극에 통전)


정격전류의 구분 시 간
부동작 전류 동작 전류

63 A 이하 60분 1.13배 1.45배


63 A 초과 120분 1.13배 1.45배
Ⅱ. KEC 주요내용 59

□ 과전류보호장치의 조건

과부하에 대해 전선을 보호하는 장치의 동작특성은 다음 2가지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그림 2는 이 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 ≤  ≤  (1)
 ≤  ×  (2)

여기서,  : 회로의 설계전류


 : 케이블의 허용전류
 : 보호장치의 정격전류
 : 보호장치가 규약시간 이내에 유효하게 동작하는 것을 보장하는 전류
(실제로  는 보호장치가 규정시간 내에 동작하는 전류)

설계전류  도체의 허용전류  1.45× 

배선의 기준 값

  
보호 장치의 특성

정격전류 또는
전류 설정 값  통상적인 동작전류 

[그림 2] 식 (1)과 (2)의 과부하보호장치 조건

□ 과부하보호

○ 과부하보호장치의 설치위치
60 5. KEC 제2장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과부하보호장치는 전로 중 도체의 단면적, 특성, 시설방법 또는 구성의 변경으로 허


용전류 값이 줄어드는 곳(분기점 등)에 설치하여야한다. 다만, 다음의 경우는 분기점
에서부터 부하 측의 어느 곳에서나 설치할 수 있다. 그림 3은 과부하보호장치의 설
치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1) 분기점과 보호장치 설치점 사이의 배선에 분기회로 및 콘센트가 접속되어 있지


않고, 또한 다음 조건 중 하나에 적합한 경우.

① KEC 212.5의 단락전류 보호요건에 따라 단락 보호가 이루어질 때.

② 보호장치의 설치위치가 분기점으로부터 3m를 넘지 않고, 단락, 화재 및 인체


에 대한 위험이 최소가 되도록 시설했을 때.

2) 규정에 의해 과부하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을 때.

[그림 3] 과부하보호장치의 설치위치

○ 과부하보호장치의 생략

1) 다음 회로에는 과부하보호장치를 시설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화재나 폭발위험


성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는 설비로서 별도로 규정하는 경우에는 생략할 수 없다.
그림 4는 과부하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의 예이다.
Ⅱ. KEC 주요내용 61

① 전선 단면적 등이 변경되는 분기점의 부하 측 배선이 그 전원 측에 설치된 보호


장치에 의해 유효하게 과부하 보호되는 경우.

② 과부하 전류가 흐를 우려가 없는 배선으로 KEC 212.5의 단락보호 요건에 따라서


단락 보호되고, 또한 도중에 분기회로 및 콘센트가 없는 경우.

③ 통신, 제어, 신호 등의 설비일 경우.

2) 안전을 위해 과부하 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

회전기의 여자회로, 기중기 자석의 전원회로 또는 변류기의 2차회로 등 회로의 차단


에 의해 위험을 발생시키는 전기사용기기에 공급하는 회로는 과부하 보호장치를 생
략할 수 있다. 이때 과부하 경보장치의 시설을 검토한다.

3) IT계통에서의 과부하 보호장치의 설치위치 또는 생략

IT계통에서는 과부하보호를 하지 않는 회로를 누전차단기로 보호하거나, 이러한 회


로에 의해 공급되는 배선을 포함한 모든 기기에 대해 이중 또는 강화절연 기기의 사
용 또는 이와 동등한 절연에 의한 보호의 보호방식으로 시설하는 경우에는 과부하
보호장치의 설치위치 변경 또는 생략이 가능하다.

[그림 4] 과부하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의 예


62 5. KEC 제2장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 단락보호

○ 단락보호장치의 설치

회로에는 전선 및 접속부에 위험한 열적, 기계적 영향을 일으키기 전에 보호장치 부


하측의 어떠한 점에서의 단락전류도 차단하는 단락보호장치를 시설하여야한다. 단락
보호장치 설치점에서의 예상 단락전류는 계산 또는 측정에 의해 결정한다.

○ 단락보호장치의 조건

1) 단락보호장치의 정격차단전류는 그 설치 점에서의 예상 단락전류 이상이어야 한


다. 다만, 전원측에 설치된 다른 보호장치가 필요한 정격차단전류 값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이때 2개의 보호장치를 통과하는 에너지가 부하측의
보호장치 및 보호장치로 보호되는 전선이 손상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에너지를
초과하지 않도록 양쪽 보호장치의 특성 협조를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단락보호장치는 회로의 어떠한 점에서 발생하는 단락전류라도 그 전선의 단시간


허용온도를 넘지 않는 시간에 차단하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3) 단락전류지속시간이 5초 이하인 경우 통상 사용조건에서 단락전류에 의해 절연체


의 허용온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 는 식 3과 같이 산정한다.


                    (3)


 : 단락전류 지속시간 (초)


 : 도체의 단면적 (㎟)
 : 단락전류 실효값(A)
 : 도체 재료의 저항률, 온도계수, 열용량, 해당 초기온도와
최종온도를 고려한 계수(표 5 참조)

전류의 비대칭분(직류분)이 중요해지는 짧은 시간(0.1초 미만)의 경우 및 한류차단기


의 경우,  는 보호장치 제조업자가 표시하는 통과에너지(  ) 값보다 커야 한다.
Ⅱ. KEC 주요내용 63

[표 5] 도체에 대한 k 값

도체절연 형식
구 분
PVC PVC (열가소성)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무기재료
(열가소성) 90℃ 고무/ (열경
PVC 노출
단면적 가교폴리에틸렌( 화성)
≦300 >300 ≦300 >300 열경화성) 외장 비외장
(㎟) 60℃
초기온도
70 90 90 60 70 105
(℃)
최종온도
160 140 160 140 250 200 160 250
(℃)
도체재료:
구리 115 103 100 86 143 141 115 135/115*

알루미늄 76 68 66 57 94 93 - -

구리의
115 - - - - -
납땜접속
* 이 값은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노출 케이블에 적용되어야 한다.

4) 단락보호장치의 정격전류는 절연전선 및 케이블의 허용전류 이상이어도 가능하


다. 이는 전선의 과부하는 과부하 보호장치로 보호하므로 단락보호만을 실시하는
보호장치의 정격전류는 전선의 허용전류 이상이라도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하
나의 보호장치로 과부하 및 단락 모두를 보호할 때는 과부하 및 단락 보호장치
설치 위치에서의 양쪽 요건 모두를 충족시켜야 한다.

○ 단락보호장치의 설치위치

단락보호장치는 전선 단면적 등의 변경에 의해 그 허용전류가 저감되는 곳(분기점


등)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중 하나에 의한 경우는 예외로 한다.

1) 분기점에서 단락보호장치까지의 사이의 배선이 다음의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경우.

① 배선의 전체 길이는 3m 이하이다.

② 배선은 단락의 위험이 최소가 되도록 시설되어 있다. 이 조건은, 예를 들면 외적


영향에 대해 배선을 강화 보호하는 것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
64 5. KEC 제2장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③ 배선은 가연성 물질에 근접해 설치되어 있지 않다.

2) 분기점에서 전원 측에 설치한 단락보호장치가 분기점의 부하측 배선을 단락보호


장치의 조건에 따라 단락 보호할 수 있는 동작 특성을 가지는 경우.

3) 다음의 ‘단락보호장치의 생략’조건에 의해 단락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

○ 단락보호장치의 생략

배선의 단락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설치하고, 배선을 가연성 물질 근처


에 설치하지 않는 경우 다음의 회로에는 단락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다.

1) 발전기, 변압기, 정류기, 축전지와 보호장치가 설치된 제어반을 접속하는 회로

2) 회전기의 여자회로, 기중기 자석의 전원회로 또는 변류기의 2차회로 등 회로의


차단에 의해 위험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기사용기기에 공급하는 회로와 같이 전
원차단이 설비의 운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회로

3) 특정 측정회로
Ⅱ. KEC 주요내용 65

제 목 6. KEC 제2장 (213 과전압에 대한 보호)

□ 과전압에 대한 전기설비의 보호

이 규정은 ①고압·특고압 계통의 지락고장으로 인한 일시적 과전압과 ②뇌방전 또는


개폐로 인해 발생하는 과도 과전압에 대한 전기설비의 보호에 관한 규정이다.

○ 고압계통의 지락고장으로 인한 저압설비의 보호

고압·특고압을 저압으로 변성하는 변전설비의 고압·특고압 측에서 지락 고장이 발생


했을 때, 저압설비에 발생하는 상용주파 고장전압(Uf ) 및 상용주파 스트레스전압(U1,
U2 )으로부터 인체 및 저압 계통에 접속되는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그림 1은
과전압 발생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1] 고압계통 지락 고장시 저압설비의 과전압 발생도

변전소 저압설비

IE 지락고장전류(변전소의 접지설비를 통해 흐르는 고압계통의 지락고장 전류의 일부)


RE 변전소 접지설비의 저항
RA 저압설비 기기에서의 노출도전부의 접지저항
RB 변전소와 저압계통의 중성점이 전기적으로 독립된 저압계통 접지설비의 저항
66 6. KEC 제2장 (213 과전압에 대한 보호)

U0 TN, TT 계통: 공칭 교류 대지전압 실효 값(r.m.s)


IT 계통: 선도체와 중성선 또는 중점도체 사이의 공칭 교류 전압
Uf 고장전압(저압계통에서 고장 시 노출도전부와 대지 사이에 발생하는 상용주파 고장전압)
U1 스트레스 전압(고장시 변전소 저압기기의 노출도전부와 선도체 사이의 상용주파 스트레스 전압)
U2 스트레스 전압(고장시 저압설비의 저압기기 노출도전부와 선도체 사이의 상용주파 스트레스 전압)

표 1은 TT와 TN계통에서 발생하는 상용주파 고장전압(Uf ) 및 상용주파 스트레스전


압(U1, U2 )의 산정에 관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IT계통에 관해서는 KS C IEC
60364-4-44를 참조하기 바란다. 서로 인접하는 고압·특고압 계통과 저압계통은 모든
고압·특고압 접지(RE) 계통과 저압 접지(RB) 계통을 상호접속하거나 분리하는 방법
이 사용된다. 만일 고압·특고압 계통이 점유하는 구역 안에 저압계통이 완전히 국한
되어 있다면 고압·특고압 접지계통과 저압 접지계통은 상호 접속되어야 한다.

[표 1] 저압설비 상용주파 스트레스전압(U₁U₂)과 고장전압(Uf)

계통접지 RE와 RB 접속형태 U₁(변전소) U2 (부하설비) Uf

UO *) RE x IE+UO 0 *)
TT
RE x IE + Uo UO *) 0 *)

UO *) UO *) RE x IE **)

TN
RE x IE + UO UO *) 0 *)

*) 고려 필요 없음.
**) 다중 접지된 PEN 도체들의 고장전압(Uf ) 계산 ; Uf = 0.5RE × IE

○ 상용주파 고장전압(Uf )의 크기와 지속시간

표 1에서 산출된 저압설비에 나타나는 고장전압(Uf )의 크기와 지속시간은 그림 2의


곡선에 의한 값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이 곡선은 확률적 및 통계적 근거를 바탕
으로 저압계통의 중선선이 변압기 변전소의 접지설비에만 접지된 경우의 최악조건에
대하여 낮은 위험수준을 나타낸다.
Ⅱ. KEC 주요내용 67

고장전압 지속시간

지속시간(ms)

[그림 2] 고압계통에서의 지락 시 허용 고장전압

○ 상용주파 스트레스전압(U₁U₂)의 크기와 지속시간

고압·특고압을 저압으로 변성하는 변전설비의 고압·특고압 측에서 지락 고장이 발생했을 때,


표 1에 의해 산출된 저압설비에 발생하는 상용주파 스트레스전압(U1, U2 )은 표 2에 주어진 값
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표 2] 허용 상용주파 스트레스전압(U₁U2)

고압계통의 지락고장 저압기기의 허용 상용주파


적용 접지계통 예
지속시간 ( t ) 스트레스전압 ( U )

> 5 s UO + 250 V 비접지 고압계통 등 차단시간이 긴 계통

≤ 5 s UO + 1 200 V 저임피던스 고압계통 등 짧은 차단시간 계통

○ 상용주파 스트레스전압 보호의 검토 및 확인

1) 고압·특고압 측에서 지락 고장시 발생하는 과전압은 지락전류 값, 지락고장 지속


시간(차단시간), 접지저항 값 및 저압측 상전압 값으로, 표 1의 고ㆍ저압 접지접
속여부에 따라 고장전압과 스트레스 전압을 산정하여, 그림 2와 표 2에서 규정한
값의 허용 범위에 적합한지를 검토하여 확인한다.
68 6. KEC 제2장 (213 과전압에 대한 보호)

2) 공공배전계통으로부터 저압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설비들은 과전압 제한 값을 충


족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전기설비 인입구에서 TN계통의 보호도체에 접속
되어 있는 주등전위본딩 구역내에서는 이러한 과전압을 예상할 필요는 없다.

3) 변전설비의 접지저항은 고장전압 및 스트레스전압 기준에 주어진 조건을 충족하


는 값이어야 한다. 다음의 경우는 이 조건을 충족한다.

① TN, TT, IT계통에서 접지저항이 1Ω이하인 경우. 다만, 특고압으로 수전하는 경


우 지락전류가 수백 A 정도로 커서, 접지저항이 1Ω이하라도 접지방식의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② 변전설비에 접속된 금속외피를 가진 고압ㆍ특고압, 저압 케이블의 합계 길이가


1 ㎞를 초과하는 케이블(또는 이들의 집합)로서 그 케이블의 금속외피가 적절하
게 접지되어 있는 경우

□ 낙뢰 또는 개폐에 따른 과전압 보호

기상현상으로 인해 발생한 과도 과전압이 전원공급 배전계통으로부터 침입하는 과도


과전압 및 설비 내의 기기에서 발생하는 개폐 과전압에 대하여 전기설비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폐과전압은 일반적으로 기상현상으로 인한 과도과전압보다
낮으므로 기상현상에 의한 과전압보호요건을 충족하면 보통은 개폐과전압에 대한 보
호도 동시에 이루어진다.

○ 기상현상으로 인한 과도과전압

1) 최근에 내전압에 약한 전자기기 및 정보네트워크의 보급에 많아짐에 따라 기상현


상으로 인한 과전압으로부터 전기전자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규정을 도입하게 되
었다. 공급 배전계통으로부터 전파되는 과도과전압으로부터 전기설비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 전원의 안정적인 공급은 물론 사람과 재산의 안전을 위해 과전압 스트레스로 인


한 사고의 확률을 허용수준으로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설비의 인입점
Ⅱ. KEC 주요내용 69

에 나타날 수 있는 과전압, 연간 뇌우일수와 서지보호장치의 설치위치 및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3) 표 3은 필요로 하는 기기의 정격임펄스내전압을, 표 4는 과전압 범주에 따른 기


기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시된 값보다 큰 임펄스내전압을 가진 기기를 선정하
여야 한다.

[표 3] 기기에 요구되는 정격 임펄스 내전압

요구되는 임펄스 내전압a (kV)


AC 또는 DC
설비의
공칭전압에서 과전압 범주 IV 과전압 범주 III 과전압 범주 II 과전압 범주 I
공칭전압
산출한
(V)
상전압(V) 설비의 전력 배전반 및 전기제품 및 민감한
공급점의 기기 회전기기 전류사용기기 전자장비

120/208 150 4 2.5 1.5 0.8

(220/380)b
230/400 300 6 4 2.5 1.5
277/480

400/690 600 8 6 4 2.5

1 000 1 000 12 8 6 4

직류 1 500 직류 1 500 8 6
a
이 임펄스 내전압은 충전도4체와 보호도체(PE) 사이에 적용된다.
b
우리나라 현재 사용전압으로 향후 IEC 60038에 따른 전압 사용

[표 4] 과전압 범주에 따른 기기의 예


70 6. KEC 제2장 (213 과전압에 대한 보호)

○ 과전압 억제시설

과전압을 억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다만, 과전압 범주Ⅰ의 임펄스 내전압을 갖
는 기기는 모든 경우에 과도과전압에 대한 보호를 고려한다.

* 본질적 과전압 억제

전기설비에는 다음의 경우를 제외하고 표 3의 과전압 범주의 보호레벨에 따른 SPD


를 시설한다. 이 사항은 다음에 기술하는 3.2.2의 2)에 의한 위험평가를 사용할 경우
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1) 저압 지중 계통으로만 공급받고, 사용기기의 임펄스 내전압이 표 3에 적합한 전


기설비 (또한, 접지된 금속차폐물을 가진 가공 절연케이블은 지중케이블과 동등
한 것으로 본다.)

2) 연간뇌우일수가 25일 이하(AQ1)인 지역의 전기설비

* 보호에 의한 과전압 억제

보호에 의한 과전압 억제를 위해 서지보호장치의 설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①외부영


향의 조건에 기초한 보호에 의한 과전압 억제, ②위험평가에 기초한 보호에 의한 과
전압 억제가 있다.

1) 외부영향의 조건에 기초한 보호에 의한 과전압 억제

전기설비가 가공선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연간뇌우일수가 25일을 초과


(AQ2)할 때는 표 3의 내전압 수준에 적합하게 보호해야 한다.

2) 위험평가에 기초한 보호에 의한 과전압 억제

위험평가에 의한 보호의 중요도 수준에 따라 과전압 보호를 실시한다. 중요도 수


준은 표 5와 같으며, 중요도 수준 a)~c)까지의 설비는 과전압보호를 실시해야 한
다.
Ⅱ. KEC 주요내용 71

[표 5] 보호의 중요도 수준

중요도 수준 설비의 예 과전압 보호

a) 사람의 생명 안전시설, 의료설비 과전압보호(SPD설치)

b) 공공서비스 및 문화유산 공공서비스의 손실, IT센터, 박물관 과전압보호(SPD설치)

c) 상업적 또는 산업활동 호텔, 은행, 산업, 상업시장, 농장 과전압보호(SPD설치)

d) 개인그룹 대형 주거 건물, 교회, 사무실, 학교


위험평가 결과에 따라

e) 개인 주거 건물, 소규모 사무실 SPD설치여부 결정

3) 위험평가방법

중요도 수준 d), e) 및 기타 환경에 대해서는 과도과전압에 대한 보호가 필요한


지를 결정하기 위해 위험수준 산정법(CRL; Calculated risk level)을 활용하여 위
험평가를 수행한다. 평가기준은 표 6과 같다.

[표 6] 위험평가에 따른 보호장치 설치기준

구 분 보호 장치

CRL ≥ 1 000 기상현상에 의한 과도과전압 보호 장치 불필요

CRL < 1 000 기상현상에 의한 과도과전압 보호 장치 필요

CRL을 구하기 위한 위험평가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CRL = fenv / (LP × Ng)

① 환경요소인 fenv는 표 7에 따라 계산한다. 이때 계수 값 F는 모든 설비에 1을 적


용하나 장소별로 1~3까지 조정할 수 있다.

[표 7] 환경요소(fenv)계산

환경 환경요소

근교 및 농촌 환경 85 × F

도시 환경 850 × F
72 6. KEC 제2장 (213 과전압에 대한 보호)

② Ng는 전력선 및 연결된 구조물의 위치와 관련된 대지 낙뢰밀도(회/㎢, 매년)


KS C IEC 62305-2에서 온대지방의 낙뢰밀도는 Ng ≈ 0.1 TD 로 추정한다.
여기서, TD 는 연간뇌우일수이며, 뇌우일수분포도(isokeraunic map)에서 얻을 수
있다. TD 가 25일인 경우 낙뢰밀도 Ng 는 2.5회/㎢ 이다.

③ 위험평가시 선로 거리 LP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LP = 2 LPAL + LPCL + 0,4 LPAH + 0,2 LPCH 여기서 LPAL가공 저압선로 거리(km)
LPCL저압 지중케이블 거리(km)
LPAH가공 고압선로 거리(km)
LPCH고압 지중케이블 거리(km)

1 설비 인입구
2 (특)고압/저압 변압기
3 SPD(과전압 보호장치)

[그림 3] 고려해야 할 거리를 보여주는 설비의 예

중요도 수준 d), e) 및 기타 환경에 대해 위험평가를 수행하여 산출한 CRL 값은 표


6의 기준에 따라 과전압 보호장치의 설치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한다. 다만, 단독의
주택에서 보호되어야 할 전기설비의 경제적 가치가 그 장소에 시설될 SPD 가격의 5
배 이하인 때는 과도과전압에 대한 보호를 요구하지 않는다.
Ⅱ. KEC 주요내용 73

□ 맺음말

KEC 213절의 과전압에 대한 보호에서 과전압은 ①고압·특고압 계통의 지락고장으로


인한 일시적 과전압과 ②뇌방전 또는 개폐로 인해 발생하는 과도 과전압으로 구분하
고 각각에 대해 절연협조에 관계되는 기준 값을 정하고 있다. KEC 본문에서는 기상
현상에 의한 과도과전압 억제방법을 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관련 표준에서 비교적 간
단한 위험평가를 통해 과도과전압 보호장치(SPD)의 설치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
고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IT계통의 저압설비 상용주파 스트레스전압(U₁U2)과 고장
전압(Uf)에 대해서는 KS C IEC 60364-4-44를, 과도과전압에 대한 보호장치(SPD)의
설치에 관한 사항은 대한전기협회에서 발행한 KECG 9102-2015 저압전기설비의 SPD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을 참조하기 바란다.
Ⅱ. KEC 주요내용 75

제 목 7. KEC 제2장 (214 열 영향에 대한 보호)

□ 열 영향에 대한 보호

○ 일반 요건

“전기설비는 감전, 화재 그 밖에 사람에게 위해(危害)를 주거나 물건에 손상을 줄 우


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한다.”라는 안전원칙에 따라 이 규정과 기기제조업자의 설
명서 요구사항을 고려함으로써 전기설비에서 발생하거나 전파되는 열이나 화재로 인
해 발생하는 손해나 손상에 대해 사람, 가축 및 재산을 보호해야 한다.

○ 적용 범위

이 규정은 사람, 가축 및 재산을 다음과 같은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에 관해서


전기설비에 적용한다.

▪전기기기에 의한 열적인 영향, 재료의 연소 또는 열화 및 화상의 위험


▪전기기기로부터 격벽으로 분리된 인근의 다른 방화구획으로 전파되는 화염
▪전기기기의 안전기능 손상(저하)

□ 화재 및 화상방지에 대한 보호

○ 전기기기에 의한 화재방지

전기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인접한 고정재료 또는 이러한 기기에 근접할 것을 예


측할 수 있는 재료에 대해 위험하거나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또한,
전기기기는 인접한 재료에 화재 위험의 우려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76 7. KEC 제2장 (214 열 영향에 대한 보호)

전기기기 및 전기설비에서 다음과 같은 영향에 의해 손해, 손상 또는 발화가 발생할


수 있다.

▪축열기, 열방사기, 고온 구성요소(열판)


▪안전기능의 저하. 예를 들면 보호개폐기, 서모스탯, 온도제한기, 케이블 관통부 밀
봉 및 배선설비와 같은 보호 장치
▪과전류
▪절연고장(절연열화) 및/또는 장애를 일으키는 아크
▪고조파 전류
▪뇌격
▪과전압
▪기기의 부적절한 선정이나 설치

○ 전기기기에 인접한 재료의 화재예방

1) 고정기기가 인접한 재료에 화재의 위험을 일으키는 표면온도에 이를 가능성이 있


는 장소에서는 그 기기는 다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시공하여야 한다.

▪그 온도를 견디는 동시에 낮은 열전도재료 위 또는 안에 기기를 설치한다.


▪그 온도를 견디고 동시에 열전도율이 작은 재료에 의해 건축물 구조의 부재로부터
기기를 차폐한다.
▪그 온도에서 열이 안전하게 발산되도록 유해한 열적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재료로부
터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고 기기를 열전도율이 낮은 지지물을 사용하여 설치한다.

☞ 전기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은 인접한 재료 또는 기기에 접근할 수 있는 다른 재료


에 화재 또는 유해한 열적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이 규정은 정상 작동시 화
재의 위험이나 인접한 재료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표면온도를 갖는 기
기에 대한 시설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①이러한 작동 온도를 견딜 수 있는 것으
로 지지하고 둘러싸거나, ②기기를 차폐하거나 ③안전하게 열을 방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치하고, 주변 기기 또는 재료로부터 적절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방
식으로 시설해야 한다. 이 3 가지 방법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시설해야 하며,
그림 1은 정상 작동 시 표면 온도가 90 ℃를 초과하는 기기의 이격거리에 관한
일반적인 지침을 나타낸다. ③의 경우는 예를 들어 천정 공간에 설치된 조명기구
와 조명기구 제어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이 적절하게 방출되고 단열재가 냉각을
제한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 등이다.
Ⅱ. KEC 주요내용 77

[그림 1] 정상 작동시 표면온도가 90 ℃를 초과하는 기기의 이격거리

2) 정상 운전 중에 아크 또는 스파크가 분출될 수 있는 전기기기에는 그 기기를 다음 중 어


느 하나의 보호조치를 해야 한다.

▪내아크재료로 기기 전체를 둘러싼다.


▪분출이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재료로부터 기기를 내아크재료로 차폐한다.
▪분출이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재료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아크를
안전하게 소멸시키도록 기기를 설치한다.

☞ 이 보호대책에 이용하는 내아크재료는 불연성으로서 열전도율이 작고 동시에 충


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진 두께의 것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두께 20 ㎜의 유리섬
유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시트는 내 아크재료라고 생각해도 좋다.

3) 열의 집중을 일으키는 고정기기는 모든 고정물체나 건축부재가 정상상태에서 위


험한 온도(예를 들어 발화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에 노출되지 않도록 그러한 것
들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이것은 기기 제조자로부터의 정보를 고
려해야 한다.
78 7. KEC 제2장 (214 열 영향에 대한 보호)

4) 단일 장소에 있는 전기기기가 상당한 양(일반적으로 25ℓ이상)의 가연성 액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액체, 불꽃 및 연소 생성물의 전파(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충
분한 예방조치를 해야 한다. 그 예방조치의 예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누출된 액체를 모을 수 있는 저유조를 설치하고 화재 시 소화를 확실히 한다.


▪기기를 적절한 내화성이 있고, 연소 액체가 건축물의 다른 부분(구역)으로 확산되
지 않도록 방지 턱 또는 다른 수단이 마련된 방에 설치하고, 이 방은 외부 공기로
만 환기되도록 한다.

5) 설치 중 전기기기의 주위에 설치하는 외함의 재료는 그 전기기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고온도에 견디는 것이어야 한다. 이 외함의 구성재료로서 가연성 재료는
부적합하다. 다만, 열전도율이 낮고, 불연성 또는 난연성 재료로 덮는 등 발화에
대한 예방 조치를 한 경우는 제외한다.

○ 아크차단기(권고사항)

전기설비로 인한 화재는 충전도체 사이의 절연결함, 단자접속의 헐거움에 의해 발생


하는 병렬아크(Parallel Arc) 또는 직렬아크(Series Arc)에 의한 아크고장으로 촉발되
는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국제표준에서는 다음의 장소 또는 건물의 분기회로에서 아
크고장의 영향에 대한 특별한 보호대책을 취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숙박시설의 구내
▪가공처리 또는 저장된 물질의 특성으로 인해 화재의 위험이 있는 장소(예를 들어
헛간, 목공소, 가연성물질을 저장소)
▪가연성 건축자재가 있는 장소(예를 들어 목조건축물)
▪화재연소의 우려가 있는 구조물
▪소실시 대체 불가능한 물품(문화재 등)이 있는 장소

☞ 교류 회로에서 KS C IEC 62606에 적합한 아크 고장 검출장치(AFDD)의 사용은


상기 권고를 충족하는 것으로 본다. 설치 위치는 아크 발생이 고장으로 이어지는
단자부에서의 접촉 불량이나 반단선(직렬 아크) 또는 단자 사이에서의 적은 누설
(병렬아크) 등이 간선에 비해 훨씬 많아서 분기회로로 한정한 것이다. 또한, 보호
해야할 회로의 원점에 설치하도록 하는 것은 AFDD가 설치 점의 부하측 고장만
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AFDD의 사용은 아크의 발생을 없애는 것이 아니
Ⅱ. KEC 주요내용 79

라 영향을 경감하는 것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 전기기기에 의한 화상방지

접촉범위(Arm's reach) 내에 있고, 접촉 가능성이 있는 전기기기의 부품류는 인체에


화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온도에 도달해서는 안 되며, 표 1에 제시된 제한 값을
준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우발적 접촉도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표 1] 접촉 범위 내에 있는 기기에 접촉 가능성이 있는 부분에 대한 온도 제한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표면의 재료 최고 표면 온도(℃)

금속 55
손으로 잡고 조작시키는 것
비금속 65

손으로 잡지 않지만 금속 70
접촉하는 부분 비금속 80

통상 조작 시 접촉할 금속 80
필요가 없는 부분 비금속 90

정면 측면

평면 촉수 가능범위 한계

s = 사람이 점유할 것으로 예상되는 표면

※ 이 값은 공구나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는 맨손으로부터의 거리이다.

[그림 2] 접촉범위(Arm's reach)


80 7. KEC 제2장 (214 열 영향에 대한 보호)

□ 과열에 대한 보호

○ 강제 공기 난방시스템(Forced air heating systems)

1) 강제 공기 난방시스템에서 중앙 축열기의 발열체가 아닌 발열체는 정해진 풍량에


도달할 때까지는 동작할 수 없고, 풍량이 정해진 값 미만이면 정지되어야 한다.
또한 공기덕트 내에서 허용온도가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2개의 서로 독립된 온
도 제한 장치가 있어야 한다.

☞ “2개의 서로 독립된 온도제한 장치”란 과열방지용 온도제한기를 2개 설치하고,


하나의 부위가 정상이 아닌 경우라도 다른 한쪽 온도제한기로 온도초과를 방지
하는 구조인 것을 말한다. 그림 3은 온도제한회로의 일례로써 하나의 온도제한기
는 열스위치로, 다른 한쪽의 온도제한기는 온도퓨즈가 된다.

2) 열소자의 지지부, 프레임과 외함은 불연성 재료이어야 한다.

[그림 3] 온도제한 회로의 예

○ 온수기 또는 증기발생기(Appliances producing hot water or steam)

1) 온수 또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는 어떠한 운전 상태에서도 과열에 대한 보호


가 되도록 설계 또는 공사를 하여야 한다. 보호 장치는 기능적으로 독립된 자동
온도조절장치로부터 독립적 기능을 하는 비자동 복귀형 장치이어야 한다. 다만,
관련된 표준 모두에 적합한 장치는 제외한다.

☞ “비자동 복귀형 장치”란 원인이 제거되었을 때에 자동으로는 복귀하지 않고, 리


셋 버튼 등을 누르는 등의 안전 확인 행동을 실시한 후에 수동으로 복귀하는 장
치 또는 교환함으로써 복귀시킬 수 있는 온도 퓨즈 등이다.

2) 장치에 개방 입구가 없는 경우에는 수압을 제한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Ⅱ. KEC 주요내용 81

○ 공기 난방설비(Space heating appliance)

공기 난방설비란 난방용 전열기로써 원적외선 히터류 또는 전열기를 이용한 팬히터


등을 말한다.

1) 공기난방설비의 프레임 및 외함은 불연성 재료이어야 한다.

2) 열 복사에 의해 접촉되지 않는 복사 난방기의 측벽은 가연성 부분으로부터 충분


한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불연성 격벽으로 간격을 감축하는 경우, 이 격벽은
복사 난방기의 외함 및 가연성 부분에서 0.01 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3) 제작자의 별도 표시가 없으면, 복사 난방기는 복사 방향으로 가연성 부분으로부


터 2 m 이상의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부착하여야 한다.

□ 맺음말

KEC 214절의 열영향에 대한 보호에 관한 규정은 “전기설비는 감전, 화재 그 밖에


사람에게 위해(危害)를 주거나 물건에 손상을 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한다.”라
는 안전원칙에 관련되는 규정이다. 이 절에서 열영향에 대한 보호대책은 전기설비에
서 발생하거나 전파되는 열이나 화재로 인한 손해나 손상에 대해 사람, 가축 및 재
산을 보호해야 한다는 규정으로써 ①전기기기에 의한 화재 및 화상방지에 대한 보호
와 ②과열에 대한 보호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한 조치방법을 정하고 있다. 아크차단
기(AFDD)에 관한 사항은 KEC 본문에서는 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국제표준에서 권
고하고 있으므로 관련 내용을 소개하였다. AFDD 제품 표준은 KS C IEC 62606, 설
치에 관한 사항은 KS C IEC 60364-4-42 등 관련 표준을 참조하기 바란다.
Ⅱ. KEC 주요내용 83

제 목 8.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배선설비)

□ KEC 230의 구성

한국전기설비규정(이하 KEC) 제2장 저압전기설비의 (230 배선 및 조명설비 등)은


231 일반사항, 232 배선설비, 233 전기기기,
234 조명설비, 235 옥측, 옥외 설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 전선의 종류, 시설상태에 따른 배선설비 공사방법의 적용과 배선설비 선정


및 설치시 고려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 일반사항

배선설비는 전선, 절연전선 및 케이블의 단말처리, 그 전선의 접속 및 지지방법과 외


적 영향에 대한 외함이나 보호를 적용할 때에 감전, 과전류, 고장전류 및 과전압에
대한 보호대책 등 (113 안전을 위한 보호) 규정을 고려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 배선설비 공사의 종류

○ 전선의 종류에 따른 공사방법

전선 및 케이블 등 배선설비에 사용하는 전선의 종류에 따른 공사방법은 표 1과 같


은 방법으로 시설할 수 있으며, 이때 외부적인 영향을 고려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나
전선은 애자공사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절연전선은 케이블 공사와 케이블 트
레이 공사에 사용할 수 없다.
84 8.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배선설비)

[표 1] 전선 및 케이블의 종류에 따른 배선설비 공사방법

공사방법
전선 및 케이블공사 케이블트렁킹 케이블 케이블트레이
케이블 전선관 애자
직접 시스템(몰드형, 덕팅 시스템(래더,
비고정 지지선 시스템 공사
고정 바닥매입형 포함) 시스템 브래킷 포함
나전선 × × × × × × × ○

절연전선 × × × ○ ○ ○ × ○
다심 ○ ○ ○ ○ ○ ○ ○ △
케이블
단심 △ ○ ○ ○ ○ ○ ○ △
○ : 사용가능 × : 사용불가 △ : 적용불가 또는 실용상 일반적으로 사용불가

○ 시설 상태에 따른 공사방법

(1) 건물의 공간, 기중, 지중 시설 등 배선을 시설하는 상태에 따른 배선의 공사방법


은 표 2와 같으며, 시설상태와 공사방법의 특성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공사방법
에 제한이 있다. 전선관 시스템의 경우 대부분 시설할 수 있으나, 건물의 이중천
장 안에는 합성수지관공사를 할 수 없도록 규정을 개정중이며, 수중에는 제조자
지침을 따르도록 하고, 가공/기중에는 실용상 사용하지 않는다.

[표 2] 시설상태를 고려한 배선설비 공사방법


공사방법

시설 상태 케이블공사 케이블 케이블 케이블


전선관 애자
직접 트렁킹 덕팅 트레이
비고정 지지선 시스템 공사
고정 시스템 시스템 시스템

건물의 접근 가능 ○ ○ △ ○* ○ ○ ○ ×
공간 접근 불가 ○ △ △ ○* △ ○ △ △
케이블채널 ○ ○ × ○ △ ○ ×
지중 매설 ○ △ × ○ × ○ △ ×
구조체 매입 ○ ○ × ○ ○ ○ △ ×
노출표면 부착 × ○ × ○ ○ ○ ○ ○
가공/기중 × ○ ○ △ ○ ○ ○ ○
창틀 내부 ○ △ × ○ △ △ △ ×
문틀 내부 ○ △ × ○ △ △ △ ×
수중(물속) □ □ × □ × □ △ ×
○ : 사용가능 × : 사용불가 △ : 적용불가 또는 실용상 사용불가
□ : 제조자 지침에 따름. * : 이중천장 내(반자속 포함) 합성수지관 공사 시설불가토록 규정 개정중
Ⅱ. KEC 주요내용 85

(2) KEC에서는 KS C IEC 60364–5-52(전기기기의 선정 및 시공-배선설비) “부속서


A 설치방법”의 전류용량 확보를 위한 설치방법의 번호를 표기하여 공사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설치방법은 동 표준을 참고하기 바란다.

□ 배선설비의 선정과 설치 고려사항

○ 외부 영향

배선설비는 ①주위온도, ②외부 열원, ③물의 존재 또는 높은 습도, ④침입 고형물의


존재, ⑤부식/오염물질의 존재, ⑥충격, ⑦진동, ⑧그 밖의 기계적 응력, ⑨식물, 곰팡
이의 존재, ⑩동물의 존재, ⑪태양방사 및 자외선 방사, ⑫지진의 영향, ⑬바람, ⑭가
공 또는 보관된 자재의 특성, ⑮건축물의 설계에서 예상되는 모든 외부영향에 대한
보호가 이루어져야 한다. [표 3]은 이들의 고려사항을 요약한 것이다.

[표 3] 배선설비의 선정과 설치에 고려해야할 외부 영향

외부 영향 선정 및 설치
∙ 최고 허용온도 이하로 선정 및 설치
①주위온도
∙ 케이블과 배선기구류는 제품의 제한온도 내에서 시설

∙ 다음의 보호방법 사용
②외부 열원 - 차폐, 열원으로부터 이격, 온도상승을 고려한 구성품의 선정
- 절연재료의 국부적 강화(단열 슬리브 접속 등)

∙ 결로 또는 물의 침입에 의한 손상이 없도록 선정 및 설치


③물의 존재 - 설치장소에 알맞은 IP 보호등급에 적합
또는 높은 습도 - 물의 고임 및 응결 수의 배출
- 파도로 움직일 우려가 있는 경우 기계적 손상에 대한 보호조치

∙ 고형물 침입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위험의 최소화


- 설치된 장소에 알맞은 IP 보호등급에 적합
④침입 고형물의 존재
- 배선설비의 열발산을 저해할 수 있는 먼지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쉽
게 제거 가능토록 시설

∙ 부식 또는 오염물질에 견딜 수 있는 재료로 보호 또는 제조
⑤부식/오염물질의 존 ∙ 전해작용의 우려가 있는 금속이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
재 ∙ 상호작용 또는 개별적으로 열화 또는 위험한 상태가 될 우려가 있는 재
료는 상호 접속시키지 않도록 배치
86 8.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배선설비)

∙ 배선설비의 설치, 사용 또는 보수 중에 충격, 관통, 압축 등의 기계적 응


력 등에 의한 손상의 최소화
⑥충격
∙ 바닥 또는 천장 속에 설치하는 케이블은 지지물과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
지 않도록 시설하고, 설치 후에도 보호등급 유지

∙ 산업설비 등 중간 또는 높은 정도의 진동발생기기의 구조체에 지지 또는


⑦진동 고정하는 케이블이나 접속부가 진동으로 인한 손상에 적절히 대비(부분적
가요성 배선 등)

⑧그 밖의 기계적 ∙ 배선설비는 공사, 사용 또는 보수 중에 케이블과 절연전선의 외장이나 절


응력(AJ) 연물과 단말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선정하고 설치
⑨식물, 곰팡이 존재 ∙ 폐쇄형설비로 시설, 식물과 이격거리 유지, 특수재료, 보호도장 등
⑩동물의 존재 ∙ 경험이나 예측으로 위험조건일 때 기계적 보호(금속전선관 사용) 등
⑪태양방사 및 ∙ 영향을 줄만한 양의 태양방사 또는 자외선인 경우 조건에 맞는 배선설비로
자외선 방사 선정ㆍ시공 또는 적절한 차폐, 내광성 재료, 특수색 코팅 등
⑫지진의 영향 ∙ 설치 장소의 지진위험 고려, 중요한 기기는 가요성 배선 고려
⑬바람 ∙ 진동과 그 밖의 기계적 응력에 준한 보호조치
⑭가공 또는 보관된
∙ 화재의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
자재의 특성

∙ 건축물 이동에 의한 위험이 존재하는 경우는 그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⑮건축물의 설계 케이블지지 및 보호방식을 채택
∙ 유연하거나 불안정한 구조물은 가요 배선방식 사용

3.2 배선설비 적용시 고려사항

배선설비를 적용할 때에 고려해야 할 사항을 요약하면 표 4와 같다.

[표 4] 배선설비의 적용시 고려사항

항목 고려 사항
∙ 하나의 회로도체는 다른 다심케이블, 다른 전선관, 다른 케이블덕팅시스템
①회로 구성 또는 다른 케이블트렁킹 시스템을 통해 배선해서는 안 된다.
∙ 여러 개의 주회로에 공통 중성선을 사용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 병렬 도체가 같은 재질, 같은 단면적, 같은 길이, 전체에 분기회로가 없으


며 다음의 경우 부하전류 균등 배분조건을 충족한다.
- 다심케이블, 트위스트(twist) 단심케이블 또는 절연전선인 경우
②병렬접속
- 비트위스트 단심케이블 또는 삼각형태 혹은 직사각형 형태의 절연전선이
고 단면적이 구리 50 ㎟, 알루미늄 70 ㎟ 이하인 것, 이 단면적을 초과하
는 것은 이 형상에 필요한 특수 배치를 적용한 것
∙ 도체상호간, 도체와 다른 기기와의 접속은 내구성이 있는 전기적 연속성
③전기적 접속 이 있어야 하며, 적절한 기계적 강도와 보호를 갖추어야 한다.
∙ 전선 및 케이블 등의 접속방법은 (123 전선의 접속)에 적합하여야 한다.
Ⅱ. KEC 주요내용 87

④교류회로-전기자기
∙ 강자성체(강제금속관 또는 강제덕트 등) 안에 설치하는 교류회로의 도체는
적 영향(맴돌이 전류
보호도체를 포함한 각 회로의 모든 도체를 동일 외함에 수납하여야 한다.
방지)
⑤하나의 다심케이블 ∙ 모든 도체가 최대공칭전압에 대해 절연되어 있을 때에는 동일 케이블에
속의 복수회로 복수의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 화재의 확산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재료를 선정하고 자소성 있는


제품 등으로 공사하여야 한다.
∙ 배선설비가 바닥, 벽, 지붕, 천장 등 건축구조물을 관통하는 경우, 배선설
비가 통과한 후에 남는 개구부는 관통 전의 건축구조 각 부재에 규정된
내화등급에 따라 밀폐하여야 한다(그림 1 참조).
- 제품 표준에서 자소성으로 분류되고 최대 내부단면적이 710 ㎟ 이하인 전
선관(후강 28G, 박강 31C 이하),케이블트렁킹 및 케이블덕팅시스템이 보
호등급 IP33에 관한 KS C IEC 60529(외곽의 방진 보호 및 방수 보호 등급)
에 적합한 경우 내부적으로 밀폐하지 않아도 된다.
⑥화재의 확산을 최소
화하기 위한 배선설비
의 선정과 공사
벽 통과 트렁킹
고정구간

내부 밀폐

케이블
금속제 트렁킹
외부 밀폐

[그림 1] 트렁킹 배선의 내・외부 밀폐

상기 요약 내용 이외의 상세 사항과 ⑦배선설비와 다른 공급설비와의 접근, ⑧금속외장 단심케이블,


⑨수용가 전압강하에 관한 사항은 KEC 232.3을 참조.

참고로 IP코드는 KS C IEC 60529 IP코드에서 정하고 있는 전기기기 외함의 방진보


호 및 방수보호 등급을 분류하는 데 적용하는 것으로서 IP코드의 배열은 그림 2와
같으며, IP코드의 요소 및 의미는 표 5와 같다.

[그림 2] IP코드의 배열
88 8.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배선설비)

[표 5] IP코드의 요소 및 의미

요소 수 또는 문자 기기의 보호에 대한 의미 사람에 대한 의미


코드문자 IP - -
제1 특성 숫자 분진 침투에 대한 위험한 부분으로의 접근에 대한
0 (비보호) (비보호)
1 ≥ 지름 50 ㎜ 손등
2 ≥ 지름 12.5 ㎜ 핑거
3 ≥ 지름 2.5 ㎜ 공구
4 ≥ 지름 1.0 ㎜ 전선
5 먼지보호 전선
6 방진 전선
위험한 영향을 주는 물의 침
투에 대한
0 (비보호)
1 수직 낙하
2 낙하(기울기 15 ̊)
3 분무(spraying)
제2 특성 숫자 4 튀김(splashing) -
5 분사(jetting)
6 강한 분사
7 일시적 침수
8 연속적 침수
9 고압 및 고온 물 분사

추가문자(선택)
<생 략>
보충문자(선택)

□ 맺음말

KEC 230은 “배선설비의 전선, 절연전선 및 케이블의 단말처리, 그 전선의 접속 및


지지방법과 외적 영향에 대한 외함이나 보호를 적용할 때에 감전, 과전류, 고장전류
및 과전압에 대한 보호대책 등 (113 안전을 위한 보호)을 고려하여 시설하도록 정하
고 있으며, 이와 관련되는 사항들을 세부적으로 정하고 있다. 본 내용에서는 배선설
비의 종류와 공사방법을 적용할 때 외부영향 등 고려하여야 할 사항에 대해 기술하
였으나 언급하지 않은 다른 상세한 설명은 KS C IEC 60364-5-52, KECG 1702 배선
설비의 설계 및 공사방법에 관한 기술지침을 참고하기 바란다.
Ⅱ. KEC 주요내용 89

제 목 9.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조명설비)

KEC 234 조명설비는 공급전압 1 kV 이하의 전원에서 작동하는 조명설비에 관하여


등기구의 시설, 코드의 사용과 이동전선, 코드와 캡타이어케이블의 접속, 콘센트 및
점멸기의 시설, 진열장의 내부배선, 옥외등, 전주외등, 방전등, 수중조명등, 교통신호
등에 관한 시설규정을 두고 있는데, 본 내용에서는 등기구의 시설과 코드의 사용조
건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 조명설비

○ 등기구의 설치요건

등기구의 설치는 관련 KS 표준(KS C IEC 60598 등) 및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선정


및 설치하여야 한다. 설치과정에서는 최소한 방전형 램프를 시동하기 위한 시동전류,
고조파 전류, 보상(역률개선), 누설전류, 방전램프를 시동하고 전극이 예열 되지 않는
최초점화전류 및 전압강하 내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램프에서 발생되는 모든 주파수
및 과도전류에 관련된 자료를 고려하여 보호방법 및 제어장치를 선정하여야 한다.

※ 등기구(luminaire)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램프에서 나오는 빛을 퍼뜨리고 거르거


나, 변형하고 램프를 지지하고 고정하고 보호하는 데 필요한 모든 부분을 포함하
지만, 램프 자체는 포함하지 않고 그것을 전원에 연결하는 데 필요한 부속 회로
를 포함하는 기기를 말한다.

○ 열영향에 대한 주변의 보호

1) 등기구는 등기구의 주변에 발광과 대류 에너지의 열 영향에 대해 주변을 보호하


기 위해 램프전력, 등기구 관련 표시, 설치 점과 열영향이 미치는 구역에 인접물
질의 내열성, 스포트라이트/프로젝터의 경우 가연성재료로부터의 표 1의 최소거
리를 고려하여 선정 및 설치하여야 한다.
90 9.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조명설비)

[표 1] 스포트라이트/프로젝터의 모든 방향에서 가연성 재료와의 최소 거리

용량[W] 100이하 100~300 300~500 500초과

최소거리[m] 0.5 0.8 1.0 1.0초과

2) 등기구는 KS C IEC 60598-1에 명시된 설치조건 즉, IP코드와 그림 1과 같은 등


기구 등의 기호 표시에 따라 선정 및 설치한다.

3) 조명기구의 램프와 그 밖의 부품은 예측 가능한 기계적인 스트레스로부터 보호되


어야 한다. 고장 시 가연성 물질을 분출할 수 있는 램프를 구비한 조명기구는 제
조자의 지침에 따라 램프에 대한 안전 보호 차폐와 함께 설치하여야 한다.

기호 설명 기호 설명

가연성 표면에 직접 부착하기에 적합


단락회로방지(원천적 또는 후천적) 안
하지 않은 등기구(비가연성 표면에만
전절연변압기
적합)

열절연 물질로 등기구를 덮을 때 보통


표면온도 제한형 등기구 가연성 표면에 부착하기에 적합한 등
기구

단열재료로 덮기에 적합하지 않은 등


열보호된 안정기/변압기(P등급)
기구

보통 가연성 표면에 직접 부착하기에 내열 전원케이블의 사용, 연결 또는


적합하지 않는 매입형 등기구 외부배선(케이블 도체 수는 선택)

보통 가연성 표면에 직접 부착하기에 볼 미러 램프(bowl mirror


적합하지 않는 표면실장형 등기구 lamps) 사용형 등기구

보통 가연성 표면에 직접 부착하기에 냉각 빔 램프(cool-beam lamps)


적합한 등기구 사용에 대한 경고

독립형 안정기 조명대상물로부터의 최소거리(m)

110 °C 온도제한 컨버터 가혹한 사용조건에 적합한 등기구

보통 가연성 표면에 부착하는 독립형 보호된 등기구에만 사용할 수 있는 램


안정기 프

[그림 1] 등기구, 등기구 구동장치 및 등기구의 설치에 사용되는 기호의 설명(KS C IEC 60364-5-55 참조)
Ⅱ. KEC 주요내용 91

○ 조명설비의 배선계통

1) 고정배선에 접속하는 배선계통은 관련 표준에 따른 박스, 박스에 고정된 아웃렛


등기구 접속용 장치, 배선계통에 직접 접속되도록 고안된 전기기기로 단말처리한
다.

2) 등기구 관통 배선의 설치는 관통 배선용으로 고안된 등기구에만 허용된다. 관통


배선용으로 고안된 등기구에 접속기구가 없을 경우 관통배선 접속용 커플러 등
적합한 접속기구를 사용한다.

※ 관통배선(through wiring)이란 그림 2와 같이 한 줄의 등기구를 연결 할 수 있도


록 고안된 등기구를 관통하는 배선을 말한다.

3) 관통 배선 케이블은 온도 정보와 등기구 또는 다음 사항에 관한 제조자의 설치지


침이 제공된다면 그에 따라 선정한다.

① KS C IEC 60598(등기구)에 따른 등기구 및 LED 등기구로서 표시온도에 대한 적


절한 케이블 및 온도 표시된 것을 사용

② KS C IEC 60598(등기구)에 따른 등기구 및 LED 등기구로서 제조자의 지침에 명


확히 요구되지 않는 한 내열케이블로 온도표시가 없는 것.

③ 정보가 없을 때, KS C IEC 60245-3(정격 전압 450/750 V 이하 고무 절연 케이블


–제3부:내열 실리콘 고무 절연 전선)에 따른 내열케이블 및 절연도체, 또는 그
와 동등한 형식의 것을 사용

① 단자 ② 전원 ③ 안정기 ④ 시동장치 ⑤ 램프 ⑥ 등기구 A ⑦ 등기구 B


(L1, L2, L3 및 중성선에 연결하여 3상 관통 배선으로 사용가능)

[그림 2] 등기구 단자에서 관통배선의 설명


92 9.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조명설비)

○ 등기구의 집합

하나의 공통 중성선 만으로 3상 계통의 3상 전선들 사이에서 나뉘어져 있는 조명기


구 그룹은 3상 전원을 이용한 기기로 취급되므로 동시에 차단되어야 한다[그림 3의
예시 참조].

[그림 3] 등기구의 집합 회로도

○ 등기구 안의 자외선 방사의 영향과 열에 대한 보호

등기구 또는 통과 경로의 케이블 외피나 케이블의 심선은 등기구나 그 램프에 의해


발생되는 자외선 방사와 열로 인해 손상이나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선정하여야 한
다. 등기구 구조에서 플라스틱 구성 부분은 중요하고, 기능성 있는 요소이며, 내부
부품 및 배선, 반투명 덮개, 차폐 및 구조를 지지하기 위한 부품 같은 구성요소에 적
용한다. UV 방사와 열의 결합은 PVC 케이블 절연에 절연의 감소를 나타내는 초록
색 물질을 만들 수 있다. 자외선이 발생되는 램프의 종류는 HID램프 (고압 수은램
프, 메탈헬라이드램프, 고압 나트륨램프), 살균램프 등이 있다.

○ 보상 커패시터

보상 커패시터의 총 정전용량이 0.5 ㎌를 초과하는 보상 커패시터는 단자 간을 영구


적으로 연결하는 방전 저항기를 가져야 한다. 만약 방전 저항기가 고정이 되었다면,
교류 전압 최고 값에서 1분 동안에 50 V 이하의 전압으로 커패시터를 방전할 수 있
는 저항 값을 가져야 한다. 정격전압의 10 % 이상의 값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제조
자는 저항 값과 허용오차를 나타내야 한다(KS C IEC 61048 참조).
Ⅱ. KEC 주요내용 93

○ 코드의 사용

1) 사용전압 400 V 이하의 전로에서 코드는 조명용 전원코드(KS C IEC 60598-1) 및


이동전선으로만 사용할 수 있으며, 고정배선으로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다만, 건
조한 곳에 시설하고 또한 내부를 건조한 상태로 사용하는 진열장 등의 내부에
배선할 경우는 고정배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코드 및 이동전선

① 조명용 전원코드 또는 이동전선은 단면적 0.75 ㎟ 이상의 코드 또는 캡타이어케


이블을 용도에 적합하게 표 2에 따라 선정하여야 한다.

② 옥측에 시설하는 조명용 전원코드를 비나 이슬에 맞지 않도록 시설하고 사람이


쉽게 접촉되지 않도록 시설할 경우에는 단면적이 0.75 ㎟ 이상인 450/750 V 내
열성 에틸렌아세테이트 고무절연전선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구 수구의 리
드 인출부의 전선간격이 10 ㎜ 이상인 전구소켓을 사용하는 것은 0.75 ㎟ 이상인
450/750 V 일반용 단심 비닐절연전선을 사용할 수 있다.

③ 옥내에서 조명용 전원코드 또는 이동전선을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수분이 있는


장소에 시설할 경우에는 사용전압이 400 V 이하 고무코드 또는 0.6/1kV EP 고
무 절연 클로로프렌캡타이어케이블로서 단면적이 0.75 ㎟ 이상인 것이어야 한다.

[표 2] 코드 또는 캡타이어 케이블의 선정

용도 옥내 옥외ㆍ옥측
종류 조명용 전원코드 이동전선 조명용 전원코드 이동전선
비닐 × △○ × ×
고무 ○ ○ × ×
코드 편조 고무 ● □
금사 × ▲ × ×
실내장식전등기구용 ○ × ×
캡타이어 고무 ◎ ◎ ◎ ◎
케이블 비닐 × △◎ × △◎
○, □, ●: 300/300 V 이하에 사용한다.
◎: 0.6/1 ㎸ 이하에 사용한다.
×: 사용될 수 없다.
△: 다음 조건에 적합한 것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다.
- 방전등, 라디오, 텔레비전, 선풍기, 전기이발기 등 전기를 열로 사용하지 않는 소형기계기구에 사용할 경우
- 전기모포, 전기온수기 등 고온부가 노출되지 않은 것으로 이에 전선이 접촉될 우려가 없는 구조의 가열장치
(가열장치와 전선과의 접속부 온도가 80 ℃ 이하이고 또한 전열기 외면의 온도가 100 ℃를 초과할 우려가
94 9.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조명설비)

없는 것) 에 사용할 경우
▲: 전기면도기, 전기이발기 등과 같은 소형 가정용 전기기계기구에 부속되고 또한 길이가 2.5 m 이하이며 건조
한 장소에서 사용될 경우에 한한다.
●: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
□: 옥측에 비나 이슬에 맞지 아니하도록 시공한 경우 사용할 수 있다.

□ 맺음말

이상의 내용은 KEC 234 조명설비 중 공급전압 1 kV 이하의 전원에서 작동하는 조


명설비에 관하여 등기구의 시설과 코드의 사용에 관한 것으로서 등기구의 설치는 시
동전류, 고조파 전류, 보상(역률개선), 누설전류, 최초점화전류 및 전압강하 내성을 고
려하여 설치하도록 정하고 있는데, 기타 고려항목의 상세사항은 등기구 등 각 제품
의 KS 표준을 참고하기 바란다.
Ⅱ. KEC 주요내용 95

제 목 10.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허용전류)

□ 개요

전기설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시설하는 전선 또는 케이블의 굵기를 선정하기 위


하여 전선에 대한 허용전류 적용방법을 알아보면, 현재는 배선의 주위시설환경이나
배선공사방법의 종류 등과는 관계없이 절연도체와 도체의 굵기에 따라 일정한 허용
전류를 적용하였지만, KEC 에서는 도체수, 배선공사방법의 종류, 배선공사방법의 주
위 시설환경 등에 따라서 동일 전선이나 케이블일 경우에도 허용전류의 값이 달리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전선의 단면적

전선의 단면적은 다음에 따라 결정하는데 기본적으로 전기설비의 안전과 관계가 있


다. 안전을 위해 필요한 값보다 더 큰 단면적이 경제적인 운영을 위해 바람직할 수
도 있다.

1) 최고허용온도(절연체의 허용온도)

2) 허용 전압강하

3) 지락고장 및 단락전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전기ㆍ기계적 응력

4) 고장전류에 대한 기능과 관련한 최대 임피던스

5) 설치방법

위의 검토항목 중 3)과 4)의 경우는 고장시 차단기가 동작하는 시간까지의 흐르는


고장전류 등을 견디도록 한 규정으로 본 항에서는 절연체의 허용온도에 의한 허용전
류에 대하여 설명한다.
96 10.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허용전류)

□ 절연물의 허용온도

정상적인 사용상태에서 사용기간 중에 전선에 흘러야 할 전류는 표 1 절연물의 허용


온도 이하가 되어야 한다.

절연물의 종류 최고허용온도 (℃)

열가소성 물질[염화비닐(PVC)] 70(도체)


열경화성 물질 [가교폴리에틸렌(XLPE) 또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혼합물 (EPR)] 90(도체)
무기물(열가소성 물질 피복 또는 나도체로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것) 70(시스)
무기물(사람의 접촉에 노출되지 않고, 가연성 물질과 접촉할 우려가 없는 나도체) 105(시스)

< 표 1 절연물의 허용온도 >

1) 현재 옥내배선으로 사용이 빈번한 HFIX의 경우 절연체는 XLPO로 XLPE와 동일


하게 90℃로 적용하며, PVC/C의 절연체도 90℃로 적용한다.

2) CV, F-CV는 XLPE로 90℃의 값을 적용하고, IV, CVV는 70℃의 값을 적용한다.

□ 허용전류 결정방법

허용전류는 특정조건 (예: 주위공기중온도, 주위지중온도, 부하도체의 수, 절연물의


종류, 시설방법 등)에서 정상상태의 도체온도가 절연물의 허용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로 도체에 연속적으로 흐를 수 있는 최대 전류값을 말한다.

절연물의 최고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도체의 허용전류를 결정하는 방법은 KEC 규정


에서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다.

1) 절연도체와 비외장케이블에 대한 전류가 KS C IEC 60364-5-52(저압전기설비-제


5-52부:전기기기의 선정 및 설치-배선설비)의 “부속서B(허용전류)”에 주어진 필
요한 보정 계수를 적용하고, KS C IEC 60364-5-52(저압전기설비-제5-52부:전기기
기의 선정 및 설치-배선설비)의 “부속서A(공사방법)”를 참조하여 KS C IEC
60364-5-52(저압전기설비-제5-52부:전기기기의 선정 및 설치-배선설비)의 “부속서
B(허용전류)”의 표(공사방법, 도체의 종류 등을 고려 허용전류)에서 선정된 적절
한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232.18.1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Ⅱ. KEC 주요내용 97

2) 허용 전류의 적정 값은 KS C IEC 60287(전기 케이블-전류 정격 계산) 시리즈에


서 규정한 방법, 시험 또는 방법이 정해진 경우 승인된 방법을 이용한 계산을 통
해 결정할 수도 있다. 이것을 사용하려면 부하 특성 및 토양 열저항의 영향을 고
려하여야 한다.

3) 주위온도는 해당 케이블 또는 절연전선이 무부하일 때 주위 매체의 온도이다.

○ 부속서 A (공사방법)

1) 배선시설방법에 따라 1번에서 73번까지(중간에 삭제된 방법도 있음) 설치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트렁킹 시스템으로 구조체 매입을 할 경우에는
50, 51, 52, 53번의 설치방법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공사방법
시설 상태
고정하지 직접 케이블 케이블 애자
전선관 케이블트렁킹 지지선
않음 고정 덕트 트레이 사용
30, 31, 32,
건물의 접근가능 40 33 41, 42 6, 7, 8, 9, 12 43, 44
33, 34
- N/A
공간 접근불가 40 N/A 41, 42 N/A 43 N/A N/A N/A

케이블 채널 56 56 54, 55 N/A 30, 31, 32, 34 - -

지중 매설 72, 73 N/A 70, 71 - 70, 71 N/A - -


1, 2, 59,
구조체 매입 57, 58 3 50, 51, 52, 53 46, 45 N/A - -
60
20, 21, 22
노출표면에 부착 - 4, 5 6, 7, 8, 9, 12 6, 7, 8, 9 30, 31, 32, 34 36
23, 33
가공/기중 - 33 N/A 10, 11 10, 11 30, 31, 32, 34 36 35

창틀 내부 16 N/A 16 N/A N/A N/A - -

문틀 내부 15 N/A 15 N/A N/A N/A - -

수중(물속) + + + - + N/A - -

- : 사용할 수 없다.
N/A(Not applicable) : 적용할 수 없거나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 : 제조자 지침에 따른다.

【비고】41, 42 등 번호는 부속서 공사방법을 나타낸다.

< 표 2 시설상황에 따른 설치방법 >


98 10.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허용전류)

2) 표 2에서 배선공사방법을 시설상태에 따라 설치방법에 대한 세부적인 방법을 부


속서 A에서 선택한다. (표 3과 같이 “허용전류를 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준 공
사방법” A1, A2 등을 선정한다.)

허용전류를 구하기
항목
공사 방법 설 명 위해 사용하는
번호
표준 공사방법

단열벽 속에 매입한 전선관 내부의


1 A1
절연 전선 또는 단심 케이블

단열벽 속에 매입한 전선관 내부의


2 A2
다심 케이블

3 단열벽 속에 직접 매입한 다심 케이블 A1

목재 또는 석재의 벽면에 부착한 전선관


내부 또는 그 벽면으로부터 바깥지름의
4 B1
0.3배 미만의 간격으로 배관된 전선관
내부의 절연전선 또는 단심 케이블

< 표 3 허용전류 구하기 위한 공사방법 예 (73번까지의 항목번호 중 1~4번만 소개한 것임) >

3) 허용전류 선정을 위한 표준 공사방법은 표 4와 같이 A, A2등 9가지 방법이 있다.

A1 A2 B1 B2 C D

설치방법

단열벽 내의 목재벽면의 목재벽면의


단열벽 내의 목재벽면의 지중의 덕트
설치방법 전선관에 공사한 전선관에 공사한 전선관에
전선관에 공사한 단심케이블, 내에 공사한
예 절연전선, 절연전선, 공사한
다심케이블 다심케이블 다심케이블
단심케이블 단심케이블 다심케이블
Ⅱ. KEC 주요내용 99

E F G

 기중 다심케이블 기중 단심케이블 기중 단심케이블


 벽과의 이격거리는 벽과의 이격거리는  케이블간 이격거리는
 케이블 지름의 0.3배 이상 케이블 하나의 지름 이상  한 케이블 지름 이상

< 표 4 허용전류 선정을 위한 표준방법 종류 >

○ 부속서 B (허용전류)

1) 부속서 A의 공사방법에 의하여 시설상태에 적합한 표준 공사방법이 끝나면, 부속


서 B 허용전류를 적용을 한다. 부속서B의 허용전류는 표 5와 같이 도체 수 등에
의해 여러 경우로 나타나 있다.

구 분 공사방법의 허용전류

표 B.52.2 2개 부하전선,  동 또는 알루미늄(공사방법 A~D)


PVC 절연 전선온도 : 70 ℃,주위온도: 기중 30 ℃, 지중 20 ℃
표 B.52.3 2개 부하전선,  동 또는 알루미늄(공사방법 A~D)
XLPE 또는 EPR 절연 전선온도 : 90 ℃,주위온도: 기중 30 ℃, 지중 20 ℃
표 B.52.4 3개 부하전선,  동 또는 알루미늄(공사방법 A~D)
PVC 절연 전선온도 : 70 ℃, 주위온도: 기중 30 ℃, 지중 20 ℃
표 B.52.5 3개 부하전선,  동 또는 알루미늄(공사방법 A~D)
XLPE 또는 EPR 절연 전선온도 : 90 ℃, 주위온도: 기중 30 ℃, 지중 20 ℃

동 전선과 동 시스(공사방법 C)
표 B.52.6
PVC 피복 또는 노출로 접촉할 우려가 있음
무기절연
금속시스 온도 : 70 ℃, 기준주위온도 : 30 ℃

동 전선과 동 시스(공사방법 C)
표 B.52.7
가연성 물질 또는 노출로 접촉할 우려가 없음
무기절연
금속시스 온도 : 105 ℃, 기준주위온도 : 30 ℃

< 표 5 허용전류 >


100 10.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허용전류)

2) 배선시설 공사방법의 시설상태를 고려하여 적합한 허용전류를 선정한다. (그림 1


참고)

3) 허용전류 적용시 고려사항

① 부하 도체수(단상 : 2개부하도체, 3상 : 3개부하도체)


② 절연체 종류(PVC, XLPE 등)
③ 주위온도(표 5는 기중 30℃, 지중 20℃로 가정한 것임)
④ 도체의 종류(구리, 알루미늄)
⑤ 회로수(회로수에 대한 저감계수 적용)

< 그림 1 허용전류표 선정 예 >

○ 저감계수 종류 및 적용

1) 도체수, 도체의 종류, 절연체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표를 이용하여 허용전류를 선


정하고, 선정된 허용전류에 주위온도, 동일시스템에 포설된 회로수 등에 대한 저
감계수를 적용토록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동일 배관 내에 2회선을 포설한 경
우에는 표에 의한 허용전류에 2회로에 저감계수를 적용하여 허용전류를 선정한
다.

2) 저감계수는 표 6의 저감계수 외에 동일시스템에 대한 집합회로수 등에 대한 저감


계수가 있는데, 설치현장이 부속서 B의 기본 조건과 다를 경우에는 표 6의 저감
계수를 적용한다.
Ⅱ. KEC 주요내용 101

구  분 전선 종류 및 조건
주위의 대기온도가 30 ℃ 이외인 경우의 보정계수
표 B.52.14
- 기중케이블의 허용전류에 적용.
주위의 지중온도가 20 ℃이외인 경우의 보정계수
표 B.52.15
- 지중케이블의 허용전류에 적용.
토양의 열 저항률이 2.5 kㆍm/W 이외인 경우의 보정계수
표 B.52.16
- 참조방법 D의 허용전류(A)에 적용.
복수회로 또는 다심케이블 복수의 집합에 대한 저감계수
표 B.52.17 ~ 표 B.52.21
- B.52.2 ~ B.52.13의 허용전류를 이용

< 표 6 저감계수 >

□ 허용전류 산정방법의 예시

예제] o 공사방법 : 합성수지전선관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


o 사용도체 : 옥내용 비닐절연전선(IV전선), 단상, 구리도체
o 설계전류(부하전류) : 25[A] (여유율 등은 고려하지 않음)

○ 시설상태를 고려한 공사방법에서 적용가능방법 선택

1) 콘크리트 매설의 경우 구조체의 매입에 해당하는 사항이므로 구조체에 매입한 합


성수지관공사(전선관시스템)에 대한 설치방법은 표 2에서 1, 2, 59, 60번의 설치방
법이 해당한다.

2) 적용할 수 있는 공사방법 4가지를 표 3에서 확인하면 59번 공사방법에서 석재벽


내부에 설치된 전선관속의 절연전선의 경우는 그림 2와 같이 B1의 허용전류 기
준값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콘크리트 매설은 석재벽에 해당).

< 그림 2 항목번호 59번의 표준 공사방법 >


102 10.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허용전류)

○ 허용전류를 만족하는 전선의 굵기 선정

1) 그림 3에 표기하였듯이 허용전류 기준값 B1에서 선택항목중 절연체(PVC절연), 단


상(2개 부하도체), 구리(도체의 종류)을 선택하여 적용하면 설계전류인 25[A]를
만족하는 굵기는 “4 ㎟”이상이 되어야 한다.

2) 만약 동일한 합성수지관안에 다른 2개의 회로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2회로에 대한


집합계수 0.8을 적용하여 25 ÷ 0.8 = 31.25[A]이상을 만족하는 규격을 적용하여야
하므로 6 ㎟ 이상의 전선을 적용하여야 한다.

< 그림 3 허용전류 기준값 B1 >

※ 그림 3의 허용전류는 KS C IEC 60364-5-52 해설 5.1에 따라 주위온도를 40℃로


환산한 값임.
Ⅱ. KEC 주요내용 103

□ 허용전류 산정시 유의사항

○ KS C IEC 60364-5-52 부속서 B(허용전류)의 허용전류 표(표 B.52.2~B.52.13)는 주


위온도를 기중 30℃, 지중 20℃로 가정한 값이므로 실제 현장이 이와 다를 경우
에는 표 6의 주위온도 감소계수를 적용하여야 한다(KS C IEC 60364-5-52 부속서
B.52.2).

○ 국내 주위온도는 기상청이 발표한 자료를 근거로 적용하되, 설치현장의 기후 조


건에 따라 배선경로의 최악조건을 고려하여 기중 40℃, 지중 30℃ (매설깊이
1.2m)를 적용할 수 있다(KS C IEC 60364-5-52 해설 5.1).

○ 동일한 케이블트레이에 단심케이블과 다심케이블을 혼합하여 시설하는 경우는


일반적이지 않은 공사방법에 해당되며, 이러한 일반적이지 않은 공사방법에 대한
집합 저감계수 표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KS C IEC 60287 시리즈에 의하여 저감
계수를 직접 산출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다만, 단심케이블로 공사한 것으로 가정
할 때의 저감계수와 다심케이블로 공사한 것으로 가정할 때의 저감계수를 비교
하여 나쁜 조건을 기준으로 저감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전기설비기술기준 제2조
안전원칙).

○ 최고허용온도가 서로 다른 케이블 또는 절연전선이 포함된 그룹의 경우 해당 그


룹의 모든 케이블 또는 절연전선의 허용전류 용량은 그룹의 케이블 또는 절연전
선 중에서 최고허용온도가 가장 낮은 것을 기준으로 적절한 집합 저감계수를 적
용해야 한다. 다만, 사용조건을 알고 있는 경우 1가닥의 케이블 또는 절연전선이
그룹 허용전류의 30 % 이하를 유지하는 경우는 해당 케이블 또는 절연전선을 무
시하고 그 그룹의 나머지에 대하여 저감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KEC 232.5.3).

○ 하나의 전력계통이 지중관로, 케이블트레이, 벽 관통 등과 같이 여러 가지 공사


방법이 혼합되는 경우와 같이 배선경로 중의 일부가 다른 부분과 방열조건이 다
른 경우 배선경로 중 가장 나쁜 조건의 부분을 기준으로 허용전류를 결정하여야
한다. 단, 배선이 0.35 m 이하인 벽을 관통하는 장소에서만 방열조건이 다른 경
우에는 이 요구사항을 무시할 수 있다(KEC 232.5.5).
【 참고문헌 】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제2019-45호, 2019.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전기설비규정(KEC), 공고 제2018-103호, 2018
대한전기협회, 전기설비기술기준 해설서, 2016
대한전기협회, KECG 1701 배선설비의 설계 및 공사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2019
대한전기협회, KECG 1702 감전 및 과전류보호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2019
대한전기협회, KECG 1703 접지시스템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2019
대한전기협회, KECG 9103 등전위본딩에 관한 기술지침, 2015
대한전기협회, DIN EN 62305에 따른 피뢰시스템 가이드, 2018
국가기술표준원,
KS C IEC 60364-1, 2012
KS C IEC 60364-4-41, 저압 전기설비 - 제4-41부: 안전을 위한 보호-감전에 대한 보호, 2005
KS C IEC 60364-4-42, 저압 전기설비 - 제4-42부: 안전을 위한 보호-열 영향에 대한 보호, 2015
KS C IEC 60364-4-42, 저압 전기설비 - 제4-42부: 안전을 위한 보호-열 영향에 대한 보호, 2016.
KS C IEC 60364-4-43, 저압 전기설비 - 제4-43부: 안전을 위한 보호-과전류에 대한 보호, 2012
KS C IEC 60364-4-44, 저압 전기설비 - 제4-44부: 안전을 위한 보호-전압 및 전기자기 방해에 대한 보호, 2013
KS C IEC 60364-5-51, 저압 전기설비 –제5-51부: 전기기기의 선정 및 시공–공통규칙, 2018
KS C IEC 60364-5-52, 저압 전기설비 –제5-52부: 전기기기의 선정 및 시공–배선설비, 2017
KS C IEC 60364-5-54, 저압 전기설비 –제5-54부: 전기기기의 선정 및 시공–접지설비 및 보호도체, 2014
KS C IEC 60364-5-55, 저압 전기설비 - 제5-55부: 전기기기의 선정 및 설치-기타 기기, 2018
KS C IEC 60445, 인간과 기계 간 인터페이스, 표시식별의 기본 및 안전원칙-장비단자, 도체단자 및 도체의 식별, 2010
KS C IEC 60529, 외함의 밀폐 보호등급 구분(IP코드), 2017
KS C IEC 60598-1 등기구 - 제1부 일반요구사항 및 시험, 2011
KS C IEC 61140, 감전보호 - 설비 및 기기의 공통사항, 2014
KS C IEC 62305 시리즈 표준, 2012
KS C IEC 62606, 사고아크 검출장치에 대한 일반조건, 2013

IET, BS 7671 Guidence Note 5, Protection Against Electric Shock, 2018


IET, Guidance Note 4, Protection Against Fire, 2018
IET, Guidance Note 6 Protection Against Overcurrent, 2018
IEC 60364-4-42, Low-voltage electrical installations – Part 4-42: Protection for safety
–Protection against thermal effects) 2014
IEC 60364-4-44, Low-voltage electrical installations – Part 4-44: Protection for safety
–Protection against voltage disturbances and electromagnetic disturbances, 2015
電気設備学会, IEC 60364建築電気設備設計・施工ガイド , 2004.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05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 내선규정의 성격에 대하여

2. 관로공사시 케이블 허용전류 계산법

3. HFIX, HIV, VCTF 전선에 대하여

4. KEC가 판단기준과 다른 주요사항 요약

5. KEC 기준적용일 및 적용대상에 대하여

6. KEC 이후 내선규정과 판단기준 개정여부

7. KEC 시행시 판단기준 폐지여부

8. KEC와 다른 경우의 전선색상 기준

9. KEC 설비와 판단기준 설비가 혼재된 경우

10. KEC 기준에 따른 접지저항 값에 대하여

11. KEC 개정의견 제출방법에 대하여

12. 배선설비 설계・공사방법 기술지침 정오표

13. 감전 및 과전류보호 설계 기술지침 정오표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07

제 목 내선규정의 성격에 대하여 (FAQ 5번)

설 명

□ 전기설비기술기준은 전기설비의 안전성능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기준이며,

□ 내선규정은 기술기준의 내용 중 난해한 표현으로 되어 있거나 또는 입법기술


상 추상적인 표현으로 되어 있는 조항에 대하여 기술기준의 기술형식에 구애
받지 않고, 기술기준에 정하여진 취지를 살려서 구체적으로 알기 쉽도록 표현
하고 있는 것 외에

① 신기술의 개발, 신제품의 출현, 사회적 변천 등에 따라 앞으로 기술기준에 보


완하여야 할 사항으로 고려되는 경우 등에 안전 확보에 필요한 적절한 규정을
작성하여 기술기준이 개정될 때까지 잠정적인 예외기준으로, 즉 자율적 규정
으로서 운용토록 하는 것과

② 기술기준에 명기되어 있지 않는 사항에 대하여 보완적으로 기술함과 동시에

③ 운전, 유지보수, 공사 및 검사시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정한 것입니다.

□ 내선규정은 관련 전기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규정사항의 합의를


도출하여 제·개정하는 것으로 그 성격은 민간단체표준이며 전기설비기술기준
에서 정하는 의무적 사항 이외의 규정은 자율적인 규정입니다. 그러므로 시설
주나, 설계 및 시공자가 계약상 기술시방서 등에서 내선규정을 채택하여 이를
사용하는 것은 자율적인 사항입니다.
참고로 내선규정은
ⅰ) 의무적 사항(전기설비기술기준)
ⅱ) 권고적 사항
ⅲ) 장려적 사항으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이 규정의 내용 및 분류에 대한 기본
적인 개념에 유의하여 실제 적용에 착오가 없기를 바랍니다.
108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제 목 관로공사시 케이블 허용전류 계산법 (FAQ 13번)

설 명

ELP관을 이용한 지중관로 공사의 경우에 대한 허용전류 및 보정계수 적용방법을


설명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본 설명은 내선규정 부록 500-2 및 KS C IEC 60364-5-52의 부속서에 따른 공사


방법과 보정계수에 의한 허용전류를 구하는 방법이며, 2020년 5월 11일 IEC 위원회
의 자문을 받은 내용을 근거로 수정되었음을 밝히며, 이전에 본 내용과 다르게 설
명되었던 것은 본 설명으로 모두 정정하오니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 전제조건 및 주의사항 ]
① 1개 관로에는 1회로 시설 원칙임 (KS C 3140)
② 집합보정계수는 평균값임
③ IEC에서 제공하지 않는 보정계수는 IEC 60287에 따라 직접 산출하여야 함.

1. 계산 조건

○ 계통 공급방식 : 3상4선식 220/380 V 2회선


○ 전선의 종류 : 단심 CV 케이블 300㎟ × 8가닥
○ 지중공사 방식 : ELP관 2개를 병렬로 배열하고 (ELP는 밀착 시공함)
○ 지중온도 : 30℃

2. 공사방법
○ ELP관, 단심케이블이므로 표 52-3에서 71번 ‘D1’적용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09

3. 적용할 계수 목록(표 A.52-1에서 찾음)


○ CV케이블은 XLPE 절연체, 구리 도체이고 3상4선식은 4가닥씩 2개회로로 구성
되므로 3부하전선 2회로로 간주할 수 있음
(복수회로의 전류가 평형상태인 경우 중성선은 부하 전선 수에서 제외
→ 내선규정 1435-1)

○ 따라서 본 예시에서 적용하는 계수는 아래와 같음


① 허용전류표 : A.52-5 no.7
② 주위온도계수 : A.52-15
③ 집합보정계수 : A.52-19

4. 각 표에 의한 계산결과

① 표 A.52-5 no.7 : 동선 300㎟의 허용전류 365A

② 표 A.52-15 : 지중온도가 30℃이므로 온도 보정계수 0.93

③ 표 A.52-19의 B (1통로 닥트내의 단심케이블) 집합 보정계수 :


덕트 간격이 0이고, 회로의 수(덕트의 수)가 2개이므로 0.8

5. 보정계수를 적용한 회선별 허용전류 합계

1회선에 대한 허용전류
= 동선의 허용전류 × 온도 보정계수 × 집합 보정계수
= 365×0.93×0.8
= 271.6A
110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제 목 HFIX, HIV, VCTF 전선에 대하여 (FAQ 14번)

설 명

전선은 제조사마다 호칭이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해당 KS 규격으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아울러 KS 규격은 전선의 피복에 기재되어 있거나 제조사 카탈
로그로 확인 가능한데, 최근 질의가 많은 HFIX, HIV, VCTF 전선에 대해 설명하오
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HFIX 전선
① 규격 : KS C 3341 에 의함
② 공식명칭 :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 전선
③ 사용근거 : 판단기준 제4조(절연전선), 제168조(옥내배선의 전선)
④ 용도 : 450/750V 이하 일반 전기배선에 사용 (옥내배선용)
- HF : 저독성 난연(halogen free flame retardant)
- I : 절연 전선(insulation wire)
- X : 가교 폴리올레핀(cross-linked polyolefin)

2. VCTF 전선
① 규격 : KS C IEC 60227-5 에 의함
② 공식명칭 : 300/500 V 이하 유연성 비닐 케이블 (코드)
③ 용도 및 근거 : 이동용, 판단기준 제198조(이동전선의 시설) 외
④ 참고사항

▪유연성케이블(코드)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것


으로서 정격전압이 100 V 이상 1 kV 이하, 공칭단면적 6 ㎟ 이하의 것에 한
한다. 코드는 재료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되어지지만 일반적으로 사용
되는 것은 고무코드(단심, 2개연, 원편(圓編), 대편(袋編)), 비닐코드(단심, 2개
연), 고무 캡타이어 코드, 비닐 캡타이어 코드, 금사코드가 있다.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11

▪코드 중 비닐코드 및 비닐캡타이어코드는 방전등, 라디오 수신기, 선풍기, 전


기 이발기, 전기스탠드 등 전기를 열로서 이용하지 않는 전기기계기구 및 비
교적 온도가 낮은 보온용 전열기(전열기와 이동전선과의 접속부의 온도가 80
℃ 이하이고 또한, 전열기의 표면 온도가 100 ℃를 초과할 우려가 없는 것에
한한다), 전기 온수조 등에 한해서 사용할 수 있고 전구선 및 고온으로 사용
하는 전열기류에 사용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판단기준 제197조제①항, 판
단기준 제198조제②항) 또한, 금사코드는 전기면도기, 전기 이발기 등 가볍고
작은 전기기계기구에 한해서 사용할 수 있다. (판단기준 제198조제①항)
▪코드의 굵기는 금사코드를 제외하고는 단면적 0.75 ㎟ 이상인 것에 한하고
있다. (판단기준 제198조제②항, 판단기준 제205조)
▪허용전류에 관해서는 판단기준 제178조에 저압 옥내배선에 사용하는 절연전
선만 규정하고 있다.

3. HIV 전선
HIV 전선은 과거 KS C 3328 표준에 의하여 생산되어 사용하던 제품이나,
'09.10.27 표준이 폐지됨에 따라 현재는 생산이 중지된 제품입니다. 그러나 일
부 현장에서는 KS C IEC 60227-3으로 제조된 제품을 ‘HIV’라는 호칭으로 사
용된 경우가 있는데, 본 표준에는 아래와 같이 기기배선용과 일반용이 있으므
로 사용에 주의를 요합니다.

① 규격 : KS C IEC 60227-3 에 의하며 시험온도와 절연체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합니다.

종 류 기호 비 고
450/750 V 일반용 단심 비닐 절연전선 60227 KS IEC 01 70℃, 1.5∼400㎟
450/750 V 일반용 유연성 단심 비닐절연전선 60227 KS IEC 02 70℃, 1.5∼240㎟

300/500 V 기기 배선용 단심 비닐절연전선 60227 KS IEC 05 70℃, 0.5 ∼ 1㎟

300/500 V 기기 배선용 유연성 단심 비닐절연전선 60227 KS IEC 06 70℃, 0.5 ∼ 1㎟

300/500 V 기기 배선용 단심 비닐절연전선 60227 KS IEC 07 90℃, 0.5∼2.5㎟

300/500 V 기기 배선용 유연성 단심 비닐절연전선 60227 KS IEC 08 90℃, 0.5∼2.5㎟

② 사용기준 근거 : 판단기준 제4조(절연전선), 제168조(옥내배선의 전선).


112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제 목 KEC가 판단기준과 다른 주요사항 요약 (FAQ 22번)

설 명

□ 저압범위 확대 (KEC 111.1)


○ 국제표준에 부합한 저압범위 설정 통한 관련 보호방식의 직접 적용 기여
○ 관련 기기의 인증/확인 중복 절차 단순화 및 재생에너지산업 활성화 기여

전압구분 현행 기술기준 KEC


교류 : 600 V 이하 교류 : 1,000 V 이하
저압
직류 : 750 V 이하 직류 : 1,500 V 이하
고압 교류 및 직류 : 7 kV (현행과 같음)
특고압 (상한 없음) (현행과 같음)

□ 전선식별법 국제표준화 (KEC 121.2)


○ 국내 규정별 상이한 식별색상의 일원화 : 기타사항 KS C IEC 60445 참조
○ 원활한 산업계 적용을 위하여 국내 전선업계 협의 완료

전선구분 현행 기술기준 KEC 식별색상


상선(L1) - 갈색
상선(L2) - 흑색
상선(L3) - 회색
중성선(N) - 청색
접지/보호도체(PE) 녹색 또는 녹황교차 녹황교차

□ 개소별 시설조건을 고려한 배선 선정 (KEC 232.5)


○ 차단기 정격전류에 따라 일괄적으로 적용한 배선선정방식 폐지(’21 시행)
- 현행 두 가지 선정방식 중 “차단기정격기반 선정방식”만 폐지(표 참조)
○ 배선의 시설조건에 따른 선종・절연체・상선수별 허용전류 적용(IEC 부합)
- 배선공사방법 등 시설조건이 전선의 허용전류에 미치는 환경영향 고려
- 현실적인 허용전류 도출을 통한 전기안전 확보에 기여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13

배선구분 현행 배선 선정방식
KEC 배선 선정방식
(차단기정격) 차단기정격기반 허용전류
15A 연동선 2.5 ㎟
20A 연동선 4.0 ㎟ KS C IEC 60364-5-52 [현행 허용전류방식 (KS C IEC
30A 연동선 6.0 ㎟ “부속서 B”에 의한 선종별 60364-5-52 “부속서 B”에 의한
40A 연동선 10.0 ㎟ 굵기 선정 선정)에 의한 것과 같음]

50A 연동선 16.0 ㎟

□ 종별 접지설계 방식 폐지 (KEC 140)


○ 접지대상에 따라 일괄 적용한 종별접지(1종, 2종, 3종, 특3종) 폐지(’21 시행)
○ 국제표준의 접지설계 방식 도입을 통한 현장 특화된 접지시스템 구분 설정
- 계통접지 : 전력계통의 이상현상에 대비하여 대지와 계통을 접속
- 보호접지 : 감전보호를 목적으로 기기의 한 점 이상을 접지
- 피뢰시스템접지 : 뇌격전류를 안전하게 대지로 방류하기 위한 접지
○ 접지설계 방식의 국내 수용성 향상을 위한 접지시스템의 시설 종류 설정
- 단독접지 : (특)고압 계통의 접지극과 저압 접지계통의 접지극을 독립적으로
시설하는 접지 방식
- 공통/통합접지 : 공통접지는 (특)고압 접지계통과 저압 접지계통을 등전위 형
성을 위해 공통으로 접지하는 방식, 통합접지 방식은 계통접지・통신접지・피
뢰접지의 접지극을 통합하여 접지하는 방식
○ 수전전압별 접지설계 시 고려사항
- 저압수전 수용가 접지설계 : 주상변압기를 통해 저압전원을 공급 받는 수용
가의 경우 지락전류 계산과 자동 차단조건 등을 고려하여 접지설계
- (특)고압수전 수용가 접지설계 : (특)고압으로 수전 받는 수용가의 경우 접
촉·보폭전압과 대지전위상승(EPR), 허용 접촉전압 등을 고려하여 접지설계

접지대상 현행 접지방식 KEC 접지방식


(특)고압설비 1종: 접지저항 10Ω
•계통접지 : TN, TT, IT 계통
600V이하설비 특3종: 접지저항 10Ω •보호접지 : 등전위본딩 등
•피뢰시스템접지
400V이하설비 3종: 접지저항 100Ω

변압기 2종: (계산요함) “변압기 중성점 접지”로 명칭 변경


114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접지대상 현행 접지도체 최소단면적 KEC 접지/보호도체 최소단면적

(특)고압설비 1종: 6.0 ㎟ 이상 상도체 단면적 S(㎟)에 따라 선정*


• S 󰁄16 : S
600V이하설비 특3종: 2.5 ㎟ 이상 • 16≺ S 󰁄35 : 16
400V이하설비 3종: 2.5 ㎟ 이상 • 35≺ S : S/2
또는 차단시간 5초 이하의 경우

변압기 2종: 16.0 ㎟ 이상 •     
* 접지도체와 상도체의 재질이 같은 경우로서, 다른 경우에는 재질 보정계수(k1/k2)를 곱함

□ 과전류보호장치 선정방식의 국제표준화 (KEC 212)


○ 기계기구 정격전류에 종속된 과부하보호장치 정격 선정방식 탈피
○ 과부하보호와 단락보호를 포함한 과전류보호방식의 명확화
- 과부하보호 : 전선의 과부하 보호점(1.45 Iz)에 근거한 보호장치 정격전류(In)
선정 및 기동전류 등을 고려한 규약동작전류 특성 검토
- 단락보호 : 단기 허용온도 도달시간, 전동기 돌입전류, 회로 최대고장전류 등
단락보호 장치 선정 근거 제시
○ 보호장치의 분기점 설치 원칙 및 예외 설치를 위한 보완조치 명확화
- 분기점 : 배선의 변경 등으로 인해 허용전류가 작아지는 지점
- 상위 보호장치에서 하위 분기회로 보호 시 보호범위까지 거리 제한 없음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15

구분 현행 배선 선정방식 KEC 배선 선정방식


[과부하보호] [과부하보호]
•전등・전열회로: Iz 이하 •정격전류 선정 시 고려사항
•코드, 전등기구용심선 등 전로: - 부하의 설계전류
15A 또는 20A - 전선의 과부하 보호점
•정격 50A 초과 기계기구 전로: - 전동기 기동전류
기계기구 정격의 1.3배 이하
•전동기 등만의 전로 : 2.5 Iz 이하
과전류
보호장치
정격전류

[단락보호] [단락보호]
(정격 선정 관련 별도규정 없음) •단락보호장치 선정 시 고려사항
- 전선 허용온도 도달시간[단시간사고,
    등]
- 전동기 돌입전류 유형
- 회로의 최대고장전류

과전류 •3m 이내 : 설치 원칙 •분 기 점 : 설치 원칙


보호장치
•8m 이내 : Iz2 ≥ 0.35 InP1 •3m 이내 : 감전・화재보호 전제
설치위치
(분기점기준) •제한없음 : Iz2 ≥ 0.55 InP1 •제한없음 : P1로 P2 전단 단락보호

* IzN : 도체 N의 허용전류, InPN : 보호장치(PN)의 정격전류

□ 주의사항
○ 상기 내용은 현행 「판단기준」 대비 변경된 일부 규정에 대한 요약자료로서
상세사항은 「KEC」 해당 규정 및 전체 규정, 발간된 기술지침서, 관련 교육 등
을 통한 구체적 확인 필요

□ 기술(참고)자료
- [KEC 제・개정확인] 기술기준홈페이지(kec.kea.kr) ⇒ 커뮤니티 ⇒ 공지사항
- [배선분야 지침서] 배선설비의 설계 및 공사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 [접지분야 지침서] 접지시스템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 [보호분야 지침서] 감전 및 과전류보호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116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제 목 KEC 기준적용일 및 적용대상에 대하여 (FAQ 21번)

설 명

□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의 시행일은 2021년 1월 1일이며 현행 「전기설비기술


기준의 판단기준」을 대체하는 시설안전기준으로서 통상적으로 공고 시행 당시
이미 시설되어 있거나 전기공사계획 인가(신고)를 받은 것 또는 전력기술관리
법 시행령 제18조 제4항의 규정에 의한 자가 이 공고 시행 전에 사업승인을
얻은 것에 대하여는 종전의 기준에 따를 수 있습니다.

□ 아울러 KEC의 적용대상은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과 같이 모든


전기설비가 대상이 되며 2021년 이후에 신설, 증설하는 모든 전기설비가 적용
대상이 됩니다.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17

제 목 KEC 이후 내선규정과 판단기준 개정여부 (FAQ 20번)

설 명

□ 전기사업법 제76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이 제정되었으며, 현장에 시공된


전기설비의 적합성을 판단해주는 기준이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입니
다(전기설비기술기준 제4조).

□ 그러나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과 「내선규정」은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의 기준과 각종 실험적 결과에 근거한 것으로서 전기업계의 국제표준인 IEC와
상이함에 따라 산업계에 불필요한 규제와 불명확성에 대한 지적이 있었습니
다.

□ 이에 국제표준과의 부합화를 위해 「한국전기설비규정」(Korea Electro-technical


Code, KEC)이 제정되었으며, KEC는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을
대체하는 시설안전기준으로서 2018년 3월에 최초 공고하여 준비기간을 가졌고
시행일은 2021년 1월 1일입니다.

□ 따라서 2021년 1월 1일 이후에 모든 전기설비의 신규 시설은 KEC에 따라야


하므로 2021년 이후에는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과 「내선규정」의
개정계획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118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제 목 KEC 시행시 판단기준 폐지 여부 (FAQ 19번)

설 명

□ 전기사업법 제67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이 제정되었으며, 현장에 시공된


전기설비의 적합성을 판단해주는 기준이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및 「
한국전기설비규정」(KEC)입니다(전기설비기술기준 제4조).

□ 따라서 2021년 1월 1일부터 신설(또는 증설)하는 전기설비의 적합성을 판단해


주는 기준이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 「한국전기설비규정」(KEC)으
로 변경되며,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은 KEC 시행에 맞춰 폐지
될 예정입니다.

□ 다만, 2021년 이후에 신설(또는 증설)되는 전기설비의 시설/점검/유지보수는


KEC 기준에 따르지만,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의하여 시설된
기존 설비에 대한 점검(예를 들면, 직무고시 등에 의한 점검 등)은 시설 당시
의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따라 업무를 처리하여야 할 것이므로 법
령으로서의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은 폐지되나 시설 당시의 기준을
참고하기 위한 자료로는 활용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19

제 목 KEC와 다른 경우의 전선색상 기준 (FAQ 18번)

설 명

□ KEC 121.2는 전선의 식별방법을 명시하고 있는데, 3항에서 “1항 및 2항을 제


외한 전선의 식별은 KS C IEC 60445에 적합하여야 한다.”고 제시하므로 KEC
122에 적합한 전선이 KEC 121.2의 1항 및 2항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
선 종단부에 색상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도색, 밴드, 색 테이프 등의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 즉, KS 규격에 의하여 피복이 검정색으로 생산되는 케이블류와 피복이 없는


부스바 등은 피복이나 절연체의 색상을 KEC에 맞출 수 없으므로 종단 접속부
에서 색상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도색, 밴드, 색 테이프 등의 방법으
로 표시할 수 있으며 기타 색상기준은 KS C IEC 60445를 참고하시기 바랍니
다.

□ 전선식별 변경 전후 - 증설 및 신설 적용 예시
120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제 목 KEC 설비와 판단기준 설비가 혼재된 경우 (FAQ 17번)

설 명

□ 2021년 1월 1일 이후에 전력설비를 신설하거나 증설하는 설비는 KEC에 따라


야 하는데, 판단기준에 따라 시설된 기존설비와 전선의 색상이 다르다든지 기
준이 다른 두 가지의 설비가 혼재 되어 전기안전 재해가 예상될 경우에는 상
기 법령에 따라 기존 전기설비를 신설(또는 증설하는) 설비와 동일한 기준으로
변경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시기 바랍니다.

〈 전기사업법 제67조 〉

③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제1항에 따라 기술기준을 변경하는 경우 기존의 전


기설비에 대하여는 변경 전의 기술기준을 적용한다. 다만, 공공의 안전 확
보를 위하여 변경된 기술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조 〉

① 전기설비는 감전, 화재 그 밖에 사람에게 위해(危害)를 주거나 물건에 손


상을 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21

제 목 KEC 기준에 따른 접지저항 값에 대하여 (FAQ 16번)

설 명

□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조는 접지의 종류를 제1종, 제2종,


제3종, 특별 제3종 접지공사로 구분하고 동 기준 제19조에 따라 시설하여야 하
며, 전로에 시설하는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 외함에는 동 기준 제33조에
따라 접지공사를 시행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그러나 국제 표준인 IEC는 계절적으로 변하는 접지저항 값보다는 안전을 위한


접촉전압으로 관리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개념으로 계통 고장시 인체의 감전
에 대한 안전보호가 주 목적입니다.

□ 따라서, KEC 시행 이후에도 현재와 같이 단독접지, 공통접지, 통합접지를 시


공하는 것은 가능하나(KEC 141) 그 접지저항 값을 별도로 규정하지 않으므로
KEC 140항의 접지시스템 및 KEC 210항의 안전을 위한 보호 원칙을 준수하여
야 합니다.

□ 이와 같은 업무처리 순서 및 계산 방법 등은 시중의 기술서적이나 관련 교육


을 이용하시기 바라며, 우리 협회에서도 관련 업무에 도움을 주고자 「감전 및
과전류보호 설계기술지침」(KECG 1702-2019), 「접지설계에 관한 기술지침」
(KECG 1703-2019), 「등전위본딩에 관한 기술지침」(KECG 9103-2015), 「저압전
기설비의 SPD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KECG 9102-2015) 등을 발행하였으니 참
고하시기 바랍니다.
122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제 목 KEC 개정의견 제출 방법에 대하여 (FAQ 15번)

설 명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은 누구나 수시로 제・개정 의견을 제출할 수 있으므로 아


래와 같은 절차와 방법에 따르시기 바랍니다.

□ 의견제출 : 상시 접수

□ 제출방법 : 개정안, 개정필요성/배경, 기술적 근거, 산업계 수용성 등 양식에


따라 작성하여 공문 제출(양식은 다음 페이지 또는 홈페이지 참조)

□ 제출처 : [email protected]

※ 제・개정되는 규정, 행사, 교육 등 KEC 전반에 대한 상세사항은 전기설비기술


기준 홈페이지(kec.kea.kr)를 통해 상시 확인이 가능합니다.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23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KEC 제·개정 제출의견서

구분 현 행 제ㆍ개정(안)

기술기준
/
KEC

산업계
해당 전기설비 설계시공감리운영유지보수안전관리 등 현황
현황

제개정
개정 목적, 문제점, 필요성 및 개선방안 등
사유

관련
국내외 법/규정 및 표준 자료, 설계시공연구 사례 등
근거자료

비고

※ 산업계 현황, 현행 문제점, 개정 필요성, 관련 근거자료는 반드시 상세히 작성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개 조항 이상 제개정(안) 제출하는 경우, 상기 표를 새로 추가하여 작성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제출방법 : 각 구분에 따라 의견서 작성 후, 공문으로 제출([email protected])


문 의 처 : 02-2223-3685 (고재훈 대리)
124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제 목 「배선설비의 설계 및 공사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정오표

1. 정오표

행, 표번호,
페이지 오(誤) 정(正)
그림번호

27 표 3.12 금속관의 내 단면적 32% (붙임1 참고)

34 표 3.14 가요전선관의 내 단면적 32% (붙임2 참고)

표 3.28,
64 C, 표 4.1의 항목 2 C
30번행 4열

표 3.30,
71 C, 표 4.1의 항목 3 C
21번행 4열

표 3.30,
71 C, 표 4.1의 항목 3 C
23번행 4열

표 4.1
단심케이블: E
86,87 항목번호 E 또는 F
다심케이블: F
31~35번행 4열

표 4.11
105 (붙임3 참고)
도체분류 관련

표 4.12
107 (붙임4 참고)
도체분류 관련

2. “허용전류 산정방법 예제 2”(p114) 정정내용 설명

① [조건 2] : 표준공법이 아니므로 내용을 삭제함

② [조건 3] :

▪지침서의 예제는 보정계수를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풀이하였으나 보정계수를


적용하여야 함 (보정계수 적용 예시는 본 책자 FAQ 2번 참고)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25

[붙임 1] 표 3-12 (금속관의 내 단면적 32%) 수정 후 (p.27)

표 3.12 금속관의 내 단면적 32%

후강전선관 박강전선관 나사없는 전선관


내경 32% 내경 32% 내경 32%
호칭 호칭 호칭
(mm) (㎟) (mm) (㎟) (mm) (㎟)
16 16.4 68 C19 15.9 64 E19 16.7 70

22 21.9 120 C25 22.2 124 E25 23.0 133

28 28.3 201 C31 28.6 205 E31 29.0 211

36 36.9 342 C39 34.9 306 E39 35.3 313

42 42.8 460 C51 47.6 569 E51 48.0 579

54 54 732 C63 59.5 889 E63 60.3 913

70 69.6 1,217 C75 72.2 1,309 E75 72.6 1,324

82 82.3 1,701

92 93.7 2,205

104 106.4 2,844


126 Ⅱ. 자주하는 질의 (FAQ)

[붙임 2] 표 3-14 (가요전선관의 내 단면적 32%) 수정 후 (p.34)

표 3.14 가요전선관의 내 단면적 32%

제1종 가요전선관 제2종 가요전선관


호 칭 호 칭
내경 (mm) 32% (㎟) 내경 (mm) 32% (㎟)

10 9.7 23 10 9.2 21

12 12.2 37 12 11.4 33

16 15.8 62 15 14.1 50

22 20.8 108 17 16.6 69

28 26.4 175 24 23.8 142

36 35.0 307 30 29.3 216

42 40.0 401 38 37.1 346

54 51.3 661 50 49.1 606

70 62.9 993 63 62.6 984

82 77.9 1,524 76 76.0 1,451

92 88.9 1,985 83 81.0 1,648

104 101.6 2,593 101 100.2 2,522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27

[붙임 4] 표 4.11 수정 후 (p.105)


표 4.11 허용전류 기준값 F (기준 주위온도 40℃)

F 허용전류
PVC절연(단심케이블) XLPE 또는 EPR절연(단심케이블)
구리 도체 알루미늄 도체 구리 도체 알루미늄 도체
도체의 3개 3개 3개 3개
2개 수평 2개 수평 2개 수평 2개 수평
공칭 부하 부하 부하 부하
부하 3개 부하 3개 부하 3개 부하 3개
단면적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 삼각 삼각 삼각 삼각
접촉 밀착 접촉 밀착 접촉 밀착 접촉 밀착
배치 배치 배치 배치

1.5
2.5
4
6
10
16
25 114 96 99 85 73 76 146 123 128 110 94 97
35 141 119 124 106 91 95 182 154 160 136 117 123
50 170 145 151 130 111 116 220 188 196 167 145 150
70 218 188 196 167 144 150 282 244 254 216 187 196
95 264 230 239 204 177 184 343 298 311 263 230 240
120 306 268 279 237 206 215 398 348 364 307 269 280
150 353 310 324 275 238 250 459 404 422 354 312 326
185 403 356 371 316 274 287 523 464 485 407 359 376
240 475 422 441 374 326 341 618 552 577 482 429 448
300 547 488 511 432 377 396 712 640 670 558 498 520
400 656 571 599 522 458 480 855 749 790 673 603 631
500 755 652 686 604 531 557 985 861 908 779 701 733
630 874 744 787 703 618 649 1141 990 1047 906 818 857

주위온도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PVC절연 1.40 1.34 1.28 1.21 1.14 1.08 1.00 0.90 0.81 0.70 0.57
XLPE/ 1.00
1.26 1.23 1.18 1.14 1.09 1.05 0.95 0.90 0.83 0.78 0.71 0.63 0.54 0.45
EPR절연
[비고1] 이 계수는 상기와 같이 단일 층에 공사한 케이블 집합(개연형상의 집합)에 적용하고, 상호
접속한 2층 이상의 케이블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공사방법에 대한 계수는 상당히
작으며, 적절한 방법을 통해 결정하여야 한다.
[비고2] 이 값은 트레이간의 수직간격이 300 mm, 케이블 트레이와 벽의 간격은 20 mm 이상인 경
우이다. 이보다 좁은 수직간격인 경우 계수를 줄여야 한다.
집합계수 [비고3] 이 값은 배면방향으로 부착한 트레이 사이의 수평간격이 225 mm인 경우이다. 이보다 좁
[표4.11-1] 은 간격인 경우 계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고4] 상마다 복수의 케이블이 병렬로 있는 회로인 경우, 이 표의 적용을 위해 도체의 삼상 도체
세트를 하나의 회로로 간주한다.
[비고5] 상(phase)당 병렬도체 m개로 구성된 회로인 경우, 저감계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이 회로
를 m개 회로로 간주하여야 한다.
[비고6] 16 ㎟ 이하의 경우 단심케이블에 대한 허용전류를 나타내는 수치가 없음
128 Ⅱ. 자주하는 질의 (FAQ)

[붙임 4] 표 4.12 수정 후 (p.107)

표 4.12 허용전류 기준값 G (기준 주위온도 40℃)

G 허용전류
PVC절연(단심케이블) XLPE 또는 EPR절연(단심케이블)
구리 도체 알루미늄 도체 구리 도체 알루미늄 도체
도체의
수평 수평 수평 수평 수평 수평 수평 수평
공칭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단면적
수평이격 수직이격 수평이격 수직이격 수평이격 수직이격 수평이격 수직이격
(㎟)

1.5
2.5
4
6
10
16
25 127 113 97 86 166 146 125 111
35 157 141 121 108 206 183 156 139
50 190 171 147 132 250 224 191 171
70 244 221 189 170 321 289 247 222
95 297 270 230 210 391 354 302 273
120 344 315 268 245 455 413 352 319
150 397 364 310 284 525 479 408 371
185 453 418 354 327 601 550 469 428
240 535 495 419 389 711 654 556 510
300 617 573 484 451 821 758 644 593
400 741 692 584 547 987 917 779 721
500 854 800 674 635 1140 1064 902 838
630 990 931 783 741 1323 1239 1050 987
* G의 설치방법
벼과의 간격이 케이블 애자지지 나전선 또는
지름의 0.3배 이상인 단 절연전선
심 또는 다심케이블

주위온도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PVC절연 1.40 1.34 1.28 1.21 1.14 1.08 1.00 0.90 0.81 0.70 0.57

XLPE/
1.26 1.23 1.18 1.14 1.09 1.05 1.00 0.95 0.90 0.83 0.78 0.71 0.63 0.54 0.45
EPR절연
[비고1] 적용방법 G의 경우에는 집합계수가 해당이 없다.
[비고2] De는 케이블의 바깥지름을 나타낸다.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29

제 목 「감전 및 과전류보호 설계기술지침」 정오표

행, 표번호,
그림 2-29
그림번호

오(誤)

<그림 2-29> SELV, PELV 및 FELV 개요

정(正)

<그림 2-29> TN-S 계통의 SELV, PELV 및 FELV 개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31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ㆍ회신 사례

1. 제1장 총칙

2. 제2장 발전소ㆍ변전소ㆍ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3. 제3장 전선로

4. 제4장 전력보안 통신설비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6. 제6장 전기철도 등

7. 제7장 국제표준도입

8. 제8장 지능형전력망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10. 기타사례

1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33 장

1. 제1장 총칙
(제1조 ~ 제43조)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35

제 목 전기설비기술기준의 법적 근거

(회신 : 2018. 08. 14.)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의 법적 근거를 알고 싶습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은 전기사업법 제67조(기술기준)와 전기사업법


시행령 제43조(기술기준의 제정)를 근거로 전기설비기술기준이 제정되어 고시
되며, 동 기준에 의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이 공고되고 있으므로 법
적 효력을 갖고 있습니다.

□ 참고로 전기사업법 제66조(일반용전기설비의 점검), 제68조(전기설비의 유지),


제71조(기술기준에의 적합명령)에 따르지 않을 경우 전기사업법 제12장 벌칙
규정에 의거하여 벌금 및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LSW/main.html) 전기사업법 참조
136 1. 제1장 총칙

제 목 부하 불평형시 부하전선의 굵기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조 (회신 : 2019. 07. 02.)

질 의

○ 내선규정 제1435-1절 제2조 4항 "부하 전선 수"를 보면 "전선의 굵기는 가장


큰 상전류로 하여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는데, 그렇다면 분전반 주 차단기
관련 케이블 선정 시, 3상이 불평형일 경우 가장 큰 전류가 흐르는 상의 전류
값을 기준으로 케이블 굵기를 선정하는 것이 옳은 것인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조는 “전기설비는 감전, 화재 그 밖에 사람에게 위해(危


害)를 주거나 물건에 손상을 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하고, 다른 전기설
비나 물건의 기능에 전기적, 자기적인 장해를 주지 않아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또한, 전기설비의 부하 불평형이 과도할 경우에는 일부 변압기가 소손되는 등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데, 계절이나 시간 및 전력소비 형태 등에 따라 어느
상이 가장 큰 전류가 흐를지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전선의 굵기를 가장 큰 상
전류를 기준으로 하라는 의미이므로 부하 예측이 어려운 경우는 물론, 전기재
해로부터 안전하게 시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37

제 목 절연테이프 시공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조 (회신 : 2020. 06. 23.)

질 의

○ 전선의 피복이 벗겨졌을 때, 절연테이프를 감는데, 이에 대한 별도규정이 있는


지요?
○ 옥외 저압 케이블 시공시 피복이 벗겨져 절연테이프로 감고 금속덕트로 빗물
이 들어가지 않게 조치하였는데, 올바른 방법인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는 절연테이프의 시공방법 등을 다루고 있지 않습니다


(질의 1).

□ 다만,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3조에서 “전선은 통상 사용 상태에서


의 온도에 견뎌야 하고, 설치장소의 환경조건에 적절하고 발생 할 수 있는 전
기・기계적 응력에 견디는 능력이 있는 것을 선정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음에 따라 절연전선이나 케이블 등의 피복이 손상되어 해당 부위의 절연을
보강할 경우에는 해당 전선의 절연물과 동등이상의 절연효력이 있는 것으로
충분히 피복함은 물론, 수분침투 억제능력 등 해당 전선의 인증규격에서 정하
는 기준 이상의 효력이 있도록 조치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2).

□ 아울러 손상된 전선의 보강 또는 교체 등은 제조사에게 문의하거나 현장의 전


기설비 안전점검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 또는 감리자 등과 협의하시기 바랍니
다. 끝.
138 1. 제1장 총칙

제 목 옥내배선에 VCTF 전선을 사용하면 안 되는 근거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6조 (회신 : 2020. 01. 13.)

질 의

○ 저희 사업장 차단기에 VCTF 전선이 연결된 곳이 몇 군데 있는데, 정기검사에


서 사용하면 안 된다고 지적을 받았습니다.
○ 기술기준, 내선규정 등 조항을 찾아봐도 근거가 어디에 있는지 찾지를 못하였
는데, 근거가 무엇인지요?

회 신

□ 전선은 제조사마다 호칭이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에 KS 규격으로 구분하는 것


이 바람직하며(전선 피복에 기재되어 있거나 제조사에 확인), 귀하가 질의하신
VCTF 가 KS C IEC 60227-5에 의하여 생산된 전선이라면 이 전선의 공식명칭
은 “유연성 비닐 케이블”로서 일명 “코드”라고 불리는 전선입니다.

□ 아울러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0조 [표 180-3]과 같이 저압 옥내


배선에서는 나전선, 절연전선, 케이블 등이 사용 가능하나 “코드”는 동 기준
제6조와 제198조에 명시된 옥내 저압용 이동전선으로만 사용이 가능한데, 코드
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사례집 FAQ 3번 내용 또는 KS C IEC 60227-5 를
참조하시되, KS 규격은 기술표준원에서 제공하는 e-나라표준인증 홈페이지에
서 열람이 가능함을 알려드립니다. 끝.

※ e-나라표준인증 홈페이지 : https://www.e-ks.kr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39

제 목 제어용 케이블을 전원용으로 사용 가능한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8조 (회신 : 2020. 08. 03.)

질 의

○ 0.6/1kV 제어용 케이블(TFR-CVV) 을 전원용(전력)으로 사용해도 무방한가요?


사용 전압은 220v이하입니다.
○ TFR-CV와 TFR-CVV CABLE 모두 IEC 6050에 따르는데, 이 표준에는 XLPE와
PVC 절연체에 따라 사용처를 구분한다는 내용이 없고, PVC 절연의 케이블
역시 전원 공급용으로 사용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TFR-CVV 역시
전원공급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 되는데, 허용전류 계산에 따라 제어용
케이블(CVV) 도 가능한 범위내의 허용전류내에서는 전원용으로 사용가능 한
거 아닌지요?

회 신

□ 전기배선에 사용이 가능한 저압케이블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8


조에 따라 사용이 가능하며, 케이블의 절연체 종류가 같다고 하여 용도가 같
은 것은 아님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전기기기 등과 같이 제품과 일체화된 전선은 해당 기기의 제조규격으


로 정하고 있으므로 귀하가 질의하신 0.6/1kV 제어용 케이블(TFR-CVV)이 해
당 기기의 전원용(전력용)으로 인증되었다면 해당 기기의 전원용(전력용)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이며, 귀하가 질의하신 TFR-CV와 TFR-CVV의 규격상 차이점
은 해당 표준인 KS C IEC 60502-1을 참조하시거나 제조사에 문의하심이 타당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140 1. 제1장 총칙

제 목 전선의 병열접속 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1조 (회신 : 2019. 04. 19.)

질 의

○ 판단기준 11조 전선의 접속법 문의드립니다.


6. 두개 이상의 전선을 병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목에 의하여 시설할 것.
가. 병렬로 사용하는 각 전선의 굵기는 동선 50 ㎟ 이상 또는 알루미늄 70 ㎟
이상으로 하고, 전선은 같은 도체, 같은 재료, 같은 길이 및 같은 굵기의 것
을 사용할 것.
나. 같은 극의 각 전선은 동일한 터미널러그에 완전히 접속할 것.
다. 같은 극인 각 전선의 터미널러그는 동일한 도체에 2개 이상의 리벳 또는 2
개 이상의 나사로 접속할 것.
라. 병렬로 사용하는 전선에는 각각에 퓨즈를 설치하지 말 것.
마. 교류회로에서 병렬로 사용하는 전선은 금속관 안에 전자적 불평형이 생기
지 않도록 시설할 것.

1. 단자대의 경우도 11조 6호를 적용 유무(첨부사진 참조)


1-1. 적용해야 된다면 전선1과 전선2의 전선의 굵기가 다르거나 50SQ이하의 경
우 추가 단자대를 설치해서 적용해야 되는지 여부
1-2. 터미널러그를 2홀로 사용해야 되는지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41

2. 아래 사진에서에서 11조 6호 적용 유무
2-1. 터미널러그를 2홀 짜리로 바꾸고 같이 연결해야 되는지 여부

3. 분전반이 현장여건에 따라 좌/우 판넬로 나누어지는 경우(편의상 좌판넬[메인],


우판넬[서브])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3-1. 메인과 서브의 버스바 규격 일치 여부 및 전선으로 버스바 연결시 전선도
버스바와 동일 규격(SQ)으로 적용해야 되는지 여부

4. 전선을 롱슬리브로 끼어서 압착하고 열수축튜브로 절연처리를 할 경우에 충분


한 피복으로 해석할 수 있는지, 아니면 기존 전선의 피복과 동일 재질과 두께
이상으로 해야 하는지 문의 드립니다.
142 1. 제1장 총칙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1조제6항은 병렬 사용 전선의 접속법에 관한


것으로 주 간선이나 대용량 선로의 경우 충분한 허용전류를 수용할 수 있는
버스덕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전선 등을 사용하는 경우 허용전류가 부족하여
두 개 이상의 전선을 병렬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가능한 한 전기적 특성
이 불안정한 병렬전선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으나 현장여건상 병렬 전선사용
이 불가피 할 경우에는 허용전류 및 각종 전기적 특성을 동일한 조건에서 사
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병렬로 사용하는 각 전선은 반드시 동일한 도체,
동일한 굵기, 동일한 길이로 하고 처음 연결하는 곳과 끝 부분은 각 극을 동
일한 터미널에 연결하되, 같은 극인 각 전선의 터미널러그는 동일한 도체에 2
개 이상의 리벳 또는 2개 이상의 나사로 접속하는 등 접속점이 흔들림이 없고
전기저항을 동일하게 하여야 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2).

□ 또한, 옥내배선 또는 분전반에 사용하는 전선의 굵기는 판단기준 제168조, 제


176조, 제178조 등을 참조하시되 회로의 부하전류, 공사방법, 보정계수 등을 고
려하여 선정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3).

□ 아울러 동 조 제2항의 “절연전선의 절연물과 동등 이상의 절연효력이 있는 것


으로 충분히 피복할 것”이라는 문구는 접속 부분의 절연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접속 부분의 절연전선 절연체와 동등 이상의 절연 효력이 있는 접속기를
사용하든가 또는 접속 부분을 그 절연전선의 절연물과 동등 이상의 절연 효력
이 있는 것으로 충분히 피복하여야 함을 의미합니다(질의 4).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43

제 목 기술기준 제27조와 판단기준 제13조의 누설전류 비교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3조 (회신 : 2019. 06. 28.)

질 의

○ 2019년도에 새로 개정된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중, 누설전류에 대한 부분을 질


의하고자 합니다.

○ 기술기준 27조 3항에 따르면, 저압전선로의 절연저항은 사용전압에 대한 누설


전류가 최대 공급전류의 1/2000을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 판단기준 13조 1항에 따르면, 저항성분의 누설전류가 1mA 이하시 그 전로의


절연성능은 적합한 것으로 봅니다.

○ 그렇다면, 저항성 누설전류가 1mA 이하이나 용량성 누설전류가 수 A로 매우


커서 최대 공급전류의 1/2000을 초과한 경우는 어떻게 판단하여야 하는지요?
용량성 누설전류가 과다하여도 저항성 누설전류가 기준이하이므로 문제가 없
는지, 아니면 용량성을 포함한 총 누설전류는 최대 공급전류의 1/2000을 초과
하면 안 되는 것인지,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3조는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의 절연성능


은 기술기준 제52조를 충족하여야 한다. 다만, 저압 전로에서 정전이 어려운
경우 등 절연저항 측정이 곤란한 경우 저항성분의 누설전류가 1mA 이하이면
그 전로의 절연성능은 적합한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기술기준 제27조는 저압전선로에서의 누설전류 기준치에 대한 기준이


며, 판단기준 제13조는 일반 가정 등에서 기술기준 제52조에 의한 방법으로 정
전 후 절연저항 측정이 어려운 경우에 분기회로별로 적용이 가능한 내용으로
서 서로 적용 기준이 다른 내용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144 1. 제1장 총칙

제 목 직무고시에 따른 누설전류 관리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3조 (회신 : 2019. 07. 31.)

질 의

○ 정전이 불가피한 대상물에 관하여 분기차단기 용량에 의한 ​


누설전류 기준치로
누설전류를 측정하여 수용가 절연저항을 대체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MCCB 이후 측정시 최대 공급전류는 차단기 용량 또는 부하 정격용량으로 하
는 것이 맞는지 이 또한 타당하면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7조는 가공 및 지중 전선로에 대한 절연성능을 명시하는


내용이며 동 기준 제52조는 저압 전기사용 장소의 개폐기 또는 과전류차단기
로 구분할 수 있는 전로 단위(분기회로 단위)의 절연성능 기준인데, 정전이 어
려운 경우에는 판단기준 제13조에서와 같이 분기회로 단위의 저항성분 누설전
류가 1mA 이하이면 그 전로의 절연성능은 적합한 것으로 본다는 내용입니다.

□ 따라서 전선로의 절연성능을 확인하는 기술기준 제27조와 저압 전기사용 장소


에서 분기회로로 구분되는 전로단위의 절연성능을 확인하는 기술기준 제52조
및 판단기준 제13조의 규정과는 별개로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아울러 “전로”란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 전기가 통하고 있는 곳을, “전선로”란


발전소・변전소・개폐소, 이에 준하는 곳, 전기사용장소 상호간의 전선 및 이
를 지지하거나 수용하는 시설물을 의미하는데(기술기준 제3조 참조) 기술기준
과 판단기준은 법적으로 준수하여야 할 의무기준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45

제 목 전로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측정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3조 (회신 : 2020. 09. 14.)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3조 (전로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1항에서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에서 정전이 어려운 경우 등 절연저항 측정이 곤란한
경우에는 누설전류를 1[㎃]이하로 유지하여야 한다.”
○ 전로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문의 드립니다.
1. 세대 기준 콘센트까지 인지 아니면 부하도 포함인지요?
2. 부하를 제외한다면 전등부하의 경우 전등을 제거한 상태에서
누설전류를 측정해야하는 건가요?

회 신

□ 「내선규정」 1300-9는 “전로(電路)란 보통의 사용 상태에서 전기를 통하는 회로


의 전부 또는 일부를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으므로 전기제품을 제외한 것으
로 사료됩니다(질의 1).

□ 아울러 저압 전로의 절연성능은 「전기설비기술기준」 제52조를 충족시켜야 타


당하나 최근 정전이 어려운 경우 등 절연저항 측정이 곤란한 경우 「전기설비
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3조에 따라 저항성분의 누설전류가 1mA 이하이면
그 전로의 절연성능은 적합한 것으로 본다는 것으로서 본 조항은 분기회로별
로 1mA 이하를 충족하되, 누설전류 측정값에 오차가 심한 경우 해당 전기제
품을 전로에서 분리하고 측정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 끝.
146 1. 제1장 총칙

제 목 절연내력시험의 최대사용전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3조 (회신 : 2019. 05. 07.)

질 의

○ 전기설비 기술기준 13조를 보면, 케이블 절연내력시험을 할 때 가압하는 전압


의 기준을 최대사용전압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최대사용전압을 어떻게 잡아
야할지 판단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문의 드립니다.

○ 현재 국내 화력발전소 설계 중으로, MV 사용전압은 11KV 입니다. 최대사용전


압을 사용전압인 11kV로 하는지, IEC에서 규정하고 있는 케이블자체 최대사용
전압인 12KV로 해야 하는지, 아니면 별도의 다른 기준이 있는 것인지 알려주
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로의 종 류 시험전압

1. 최대사용전압 7 kV 이하인 전로 최대사용전압의 1.5배의 전압

2. 최대사용전압 7 kV 초과 25 kV 이하인 중성점 접지식 전로(중성선을


최대사용전압의 0.92배의 전압
가지는 것으로서 그 중성선을 다중접지 하는 것에 한한다)

최대사용전압의 1.25배의 전압(10,500 V 미만으로 되는 경우는


3. 최대사용전압 7 kV 초과 60 kV 이하인 전로(2란의 것을 제외한다)
10,500 V)

4. 최대사용전압 60 kV 초과 중성점 비접지식전로(전위 변성기를 사용하


최대사용전압의 1.25배의 전압
여 접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5. 최대사용전압 60 kV 초과 중성점 접지식 전로(전위 변성기를 사용하여 최대사용전압의1.1배의 전압


접지하는 것 및 6란과 7란의 것을 제외한다) (75 kV 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75 kV)

6. 최대사용전압이 60 kV 초과 중성점 직접접지식 전로(7란의 것을 제외


최대사용전압의 0.72배의 전압
한다)
7. 최대사용전압이 170 kV 초과 중성점 직접 접지식 전로로서 그 중성점
이 직접 접지되어 있는 발전소 또는 변전소 혹은 이에 준하는 장소에 시 최대사용전압의 0.64배의 전압
설하는 것.
교류측 및 직류 고전압측에 접속되고 있는 전로는 교류측의 최
대사용전압의 1.1배의 직류전압
8. 최대사용전압이 60 kV를 초과하는 정류기에 접속되고 있는 전로
직류측 중성선 또는 귀선이 되는 전로(이하 이장에서 “직류 저압
측 전로”라 한다)는 아래에 규정하는 계산식에 의하여 구한 값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47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3조에서 명시한 최대사용전압이란 보통의 운


전상태에서 그 회로에 더해지는 선간전압의 최대값을 말하며, 경부하 운전 또
는 무부하 운전 등의 경우에는 전압변동을 고려해 최대사용전압을 정해야 합
니다. 따라서 계산상 혹은 경험으로부터 공칭전압의 1.15/1.1배를 상회하는 전
압인 것이 명백한 경우에는 최대 사용전압으로 하여야 하나 일반적으로는 공
칭전압의 1.15/1.1배를 상회하는 것은 드물기 때문에 아래에 같이 최대사용전
압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됨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16 전기설비기술기준해설서 p.94 참조)

(1) 공칭전압이 1 kV 이하의 전로(⑤를 제외한다)는 그 전로의 공칭전압의 1.15배


로 한다.
(2) 공칭전압이 1 kV 초과 500 kV 미만의 전로(⑤를 제외한다)는 그 전로의 공칭
전압의 1.15/1.1이라고 한다.
(3) 공칭전압이 500 kV의 전로(⑤를 제외한다)는 525 kV 또는 550 kV의 그 어느
것으로 한다.
(4) 공칭전압이 정하여져 있지 않은 전로(⑤를 제외한다)는 그 전원이 되는 변압
기의 최고 탭 전압으로 한다.
(5) 전로의 전원이 변압기 이외의 경우는 전원이 되는 기기의 정격전압(전원이 다
수 있는 경우에는 그것들의 전원 중에서 최고의 것)이라고 한다.
(6) 회전기, 정류기, 변압기 및 기구 등에 관해서는 상기 (1) ~ (5)를 유추하여 적
용한다.

□ 아울러 전기설비기술기준 제3조제3항에서 “특고압의 다선식 전로(중성선을 가


지는 것에 한한다)의 중성선과 다른 1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시설하는 전
기설비의 사용전압 또는 최대사용전압은 그 다선식 전로의 사용전압 또는 최
대사용전압을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전선로의 사용전압 및 전선로의
공칭전압 등에 대하여는 KS C 0501(표준전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148 1. 제1장 총칙

제 목 공통접지 적용 기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8조 (회신 : 2020. 07. 20.)

질 의

○ 판단기준 제18조6항3호에 따르면 공통접지 관련 사항은 KS C IEC 60364-4-44


및 KS C IEC 61936-1의 10에 따르도록 되어 있는데, 저압전기설비는 KS C
IEC 60364-4-44 를 따르고, 고압 및 특고압 설비는 61936-1의 10을 따른다는
의미 인가요? (60364는 저압, 61936은 고압 및 특고압에 해당되기 때문임)
(1) 공통접지를 하면 특고압과 저압전기설비의 접지극을 공용하는데, 이로 인해
전압별로 적용을 구분할 수 없는 것 같아 상기와 같은 해석이 불가능한 것 같
은데 이에 대한 전기협회의 해석을 문의드립니다.
(2) 또한, 상기와 같이 해석되면 저압전기설비는 60364-4-44에 따른 스트레스 전압
등이 검토는 되지만, 61936-1의 10에 따른 인체 허용 접촉전압 요소는 적용이
되지 않아서 공통접지를 통한 인체 감전예방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것 같습니
다. 판단기준 제18조 6항 3호를 어떻게 적용 or 해석해야하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조제6항은 IEC 기반의 공통접지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는데, 공통접지는 고압 및 특고압과 저압 전기설비의 접지극이 서
로 근접하여 시설되어 있는 경우 위험전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들 접지극을
상호 접속하는 것으로서 귀하가 질의하신 동 기준 제18조제6항제3호는 “공통
접지 시설기준은 1, 2호에 명시된 내용 외에 KS C IEC 60364-4-44 및 KS C
IEC 61936-1의 10항에 따른다.”는 의미입니다.

□ 아울러 공통접지에 관한 국제 표준규격은 KS C IEC 61936-1의 10항에 따르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라며, 우리 협회는 IEC 기반의 접지시스템을 이해하기
쉽도록 예시를 들어 설명하는 「접지시스템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등을
발간하고 관련 교육도 시행하고 있으므로 많은 활용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49

제 목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분전함의 접지저항 값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8조 (회신 : 2020. 10. 15.)

질 의

○ 판단기준 제18조5항 관련으로 주차단기에 30mA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전로의


철제 분전함 접지를 18조5항에 따라 완화된 접지저항 값을 적용가능한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조제5항을 적용하기 위한 조건은 기준에


명시된 바와 같이 “지락이 생겼을 때 0.5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
는 장치를 시설하면 해당 전로의 제3종 접지공사와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접
지저항 값은 자동 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에 따라 표 18-2에서 정한 값 이하로
한다.”는 내용입니다.

□ 따라서 귀하의 전로가 저압으로서 주 차단기에 정격감도전류 30mA이고 동작


시간이 0.5초 이내인 누전차단기를 시설했을 때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당해 분
전함의 외함 접지저항 값에는 적용이 불가하나

□ 설치된 누전차단기의 부하측에 연결되어 누전차단기로 보호되는 전로에 설치


된 분전함의 외함 접지저항 값은 판단기준 제18조제5항에 따라 500Ω 이하로
시설이 가능함을 알려드립니다. 끝.
150 1. 제1장 총칙

제 목 서지보호장치(SPD) 설치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8조 (회신 : 2020. 06. 29.)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조 접지공사의 종류 ➆항, ➇항에 서지보호


장치(SPD)를 설치하도록 명시하고 있습니다.
○ 판단기준 제152조의2 및 제298조, 발전용풍력설비 부문 판단기준 제8조 외 접
지공사 기준으로 질문드립니다.
1. 통합접지공사시 SPD를 설치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있으므로 개별접지 또는 공
통접지로 구성되어있는 현장에서의 서지보호장치(SPD) 미설치시 기술기준 및
내선규정 및 기타 관련 지침사항에 어긋나는 조항이 있는지요?
2. 관련 규정에 개별접지 또는 공통접지시 서지보호장치 의무설치 규정이 있는지
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조제7항은 “통합접지공사는 제6항의 규정


을 따르며, 낙뢰 등에 의한 과전압으로부터 전기설비 등을 보호하기 위해 KS
C IEC 60364-5-53(534. 과전압 보호 장치) 또는 한국전기기술기준위원회 기술
지침 KECG 9102-2015에 따라 KS C IEC 61643-11에 적합한 서지보호장치
(SPD)를 설치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전기설비의 접지계통과
건축물의 피뢰설비 및 통신설비 등의 접지극을 공용하는 “통합접지” 방식을
채용할 경우 뇌서지에 의한 전기설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서지
보호장치를 설치하여야 함을 명시한 것으로서 이는 의무사항이며(질의 1),

□ 본 조항 외에 전기설비 판단기준 제298조 및 발전용 풍력설비 판단기준 제8조


등은 접지공사의 종류와 무관하게 서지보호장치(SPD)의 설치를 명시하고 있는
데, 이는 낙뢰 및 서지 등 과도과전압으로부터 주요 설비를 보호하기 위함이
므로 접지공사의 종류는 해당 조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51

제 목 접지극(접지봉), 접지선의 시공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조 (회신 : 2018. 04. 25.)

질 의

○ 내선규정과 기술기준에 의하면 접지봉은 지하 75cm이상으로 하되 동결깊이를


감안하라고 나와 있는데, 지하라 하면 GL(Ground level)을 기준으로 밑을 말
하는 것인가요? (예를 들면, 지하주차장 1층 까지 있는 아파트에서 접지봉을
매설할 때 지상바닥에서부터 지하로 내려간 75cm인지, 지하주차장 바닥면에서
75cm인지가 애매합니다.)

○ 지하 75cm라는 의미가 접지봉을 박았을 때 상단이 75cm가 들어가야 하는 것


인지, 1800mm짜리 접지봉이 박히면 750mm이상으로 박히기 때문에 상관이
없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또한, 접지선도 매설하여야 하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조(각종 접지공사의 세목)에서는 고장시 접


지선에 전류가 흐르면 접지극의 접지저항에 의해 대지와 전위차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사람이 닿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는 접지극을 충분히 깊게 매설하고,
접지극에서부터 지상부분까지의 접지선을 대지와 충분히 절연하도록 하고 있
습니다. 또한 접지봉 길이에 관계없이 최소한 지면으로 부터 75cm 이상으로
하되 동결깊이를 감안하여 매설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 접지선은 접지극(접지봉 등)에 접속하는 금속선을 말하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 접지선 시설에 대해서 제19조제3항제2호 ~ 4호에 규정하고 있으
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152 1. 제1장 총칙

제 목 접지선의 공용(내선규정 1445-14)에 대한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조 (회신 : 2020. 04. 02.)

질 의

○ 내선규정 1445-14 접지선의 공용에 관해 문의 드립니다.


1445-13 접지선 및 접지극의 공용제한을 제외하고 접지선을 공동모선으로 하
는 경우 개개의 것에 제일 굵은 것을 모선으로 하여 접지선과 접지극을 공용
으로 사용 할 수 있다고 했는데 이때 1종 접지 및 2종 접지 구분 없이 이중
제일 굵은 선을 모선으로 하고 동일 개소 2종류 이상의 접지선을 서로 연결
시공해도 된다는 의미인지요?

회 신

□ 내선규정 1445-12(접지공사의 겸용)은 하나의 기기에 제1종 접지공사와 제3종


접지공사 등과 같이 두 종류 이상의 접지공사를 시행하는 경우에 제3종 접지
공사를 접지저항 값이 적은 제1종 접지공사로 겸용할 수 있다는 내용이며,

□ 동 규정 1445-14(접지선의 공용)은 하나의 접지극을 공용하는 여러 기기의 접


지선의 공동모선(共同母線) 또는 접지전용선의 굵기는 1445-13(접지선 및 접지
극의 공용 제한)에서 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개개의 것에 의하여 선정한
굵기 중에서 가장 굵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인 바,

□ 동 규정 1445-12는 동일 기기에 대한 접지인 경우를, 1445-14는 동일 접지극을


공용하는 경우로서 시설환경이 서로 다른 내용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53

제 목 보호도체의 단면적 산출 계산식 관련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조 (회신 : 2020. 06. 24.)

질 의

○ 보호도체의 단면적을 선정할 때 차단시간이 5초 이하인 경우에는



 
   계산식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기술기준에 나와 있는데, 여기서

차단시간이 어떤 시간을 의미하는지요? 과전류 차단시간의 경우 과전류의 크
기에 따라 차단시간이 달라지는데 순시 차단 기능이 있다면 순시 차단 시간을
차단시간이라고 볼 수 있나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조제5항은 공통접지 및 통합접지공사를


하는 경우의 보호도체(PE) 단면적을 결정하는 기준을 기술한 것으로서 상세한
사항은 KS C IEC 60364-5-54를 참조하시기 바라며, 차단시간이 5초 이내인 경

 
우에만 적용하는 계산식    에서 't'는 고장발생 시 감전으로부터 보호하

기 위해 전원을 자동차단하는 보호장치가 동작하는 초 단위 최대 차단시간을
의미합니다.
□ 아울러, 모든 보호도체의 단면적은 고장시 자동 전원차단 조건을 충족하여야
하며, 보호장치의 차단시간 동안 예상 고장전류로 인해 발생되는 기계적 및
열적 응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하는데 32A이하 분기회로의 경우 다음 표와 같
이 정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120V < U ≤ 230V 230V < U ≤ 400V U > 400V
계통
s s s
교류 직류 교류 직류 교류 직류
TN 0.4 5 0.2 0.4 0.1 0.1
TT 0.2 0.4 0.07 0.2 0.04 0.1
154 1. 제1장 총칙

제 목 동선 외 타 금속재료의 접지선 시설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조 (회신 : 2018. 01. 15.)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19조(각종 접지공사의 세목)는 “접지공사의 접지선은 표


19-1에서 정한 굵기의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쉽게 부
식하지 않는 금속선으로써 고장시 흐르는 전류를 안전하게 통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 내선규정 1445-3 에서는 “1. 접지선은 동선, 알루미늄선 사용 / 2. 접지선은 원


칙적으로 450-750v 일반용 단심 비닐 절연저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절연효
력이 있는 전선을 사용하여야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내선규정은 법령에 의해 규정된 것인지요? 동복강선(구


리피복강선)을 접지선으로 사용할 시 법에 문제가 되는지요?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내선규정에 동복강선 사용에 대한 규정을 추가개정하려


면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접지선의 안전수준을 판단하는 기준은 어떤 것입니까? 단순히 저항으로 규정


하는 것인지요? KS 규격에는 'KS C IEC 60364 시리즈의 규정을 일탈하는 새
로운 재료 발명품 또는 방법에 의해 설비가 설치되는 경우 안전수준은 KS C
IEC 60364 시리즈의 안전수준보다 낮아져서는 안 된다.'라고 되어있습니다.

○ 미국 등 몇몇의 나라에서는 IEEE80, ASTM 기준규격에는 동복강선(CCS,


copper clad steel)에 대한 단락전류 측정을 통해 접지선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한국에는 이와 같은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이유를 알고 싶습
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55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은 전기사업법 제67조(기술기준)에 근거하여 전기설비의 안전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기술기준을 정하여 고시한 것이며, 판단기준은 전기설
비기술기준의 안전성능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사항을 정하고 있는 것으로
이에 적합하지 않다고 인정될 경우 관련법규에 따라 사용제한 등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전기사업법 제68조 및 제71조 참조). 내선규정은 그 성격이
민간 단체표준으로 기준/판단을 인용한 내용은 의무사항, 그리고 권고사항 및
장려사항으로 분류하여 정하고 있습니다.

□ 동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개정은 협회 홈페이지에 제시된 개정 의견서 및


근거를 제출해주시면 절차에 따라 검토 및 심의하도록 하겠습니다.

□ 동 판단기준 제19조(각종 접지공사의 세목)제1항과 같이 표19-1에서 정한 굵기


의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쉽게 부식하지 않는 금속선
으로 고장시 흐르는 전류를 안전하게 통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
습니다.

□ 따라서, 질의하신 동복강선이 동 판단기준 제19조에서 정한 금속선의 성능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끝.
156 1. 제1장 총칙

제 목 접지선 배선 관련 질의 모음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조 (회신 : 2020. 06. 24.)

질 의

질의 1. 이중천정 내 접지선 배선문의


접지선 1가닥, 전원선 1가닥, 스위치선 2가닥 총 4가닥의 전선이 이중천정 내
에서 조명기구 접속점까지 30cm 초과시 케이블 사용을 하려고 하는데, 접지선
은 비닐 절연전선으로 사용하고 전원선과 스위치선(2가닥)만 케이블(VVR-3C)
사용해도 가능한지요?

질의 2. 종별이 다른 접지선을 함께 포설해도 되는지 문의


동일한 케이블 트레이 또는 동일한 전선관 안에 분전반 전원선과 3종 접지선
및 다른 기기의 특3종 접지선을 같이 포설해도 되는지요?

질의 3. ACSR-OC 접지선을 노출 시공 시 배관을 사용하여야 하는지 문의


내선규정 제5부 저압전기설비의 시설, 제5240절 접지설비 5240-3 접지선의 2
"접지선이 외상을 받을 염려가 있는 경우는 합성수지관(두께 2 ㎜ 미만의 합성
수지제 전선관 및 난연성이 없는 CD관은 제외한다) 등에 넣어야 한다. 다만,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금속관을 이용해서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ACSR-OC 95㎟의 방음벽 접지를 노출 시공할 경우 배관을 사
용해야 하는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57

회 신

회신 1. 내선규정 3320-2는 조명기구 등을 직부(直附) 또는 매입하는 경우에 배선


의 시설방법을 명시하면서 2중천장 내에서 배선의 길이가 30 cm 이하인 경우
에 완화할 수 있는 조건을 설명한 것이므로 30cm를 초과하는 이중천장 내 접
지선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조 또는 내선규정 1445-3(제1종,
제3종 및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시설방법)에 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회신 2. 케이블 트레이 공사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4조를 참고하시


고, 합성수지관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은 판단기준 제183조에 따라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제외한 절연전선을 사용하여야 하며 매입하는 경우에는 난연
성 CD관을 사용하거나 전용의 불연성 또는 난연성의 관 또는 덕트에 넣어 시
설하여야 합니다.

회신 3. 내선규정 제5부는 국제기준과 부합하기 위하여 KS C IEC 60364에 의한


저압전기설비 시설기준을 다룬 내용으로서 5240-3의 2항은 접지선이 외상을
받을 염려가 있는 경우에 합성수지관 또는 금속관을 이용해서 시공해야 하는
등 예외 조건이 없습니다.
아울러 ACSR-OC 전선은 옥외용 강심 알루미늄도체 절연전선으로서 「전기설
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따라 종별접지를 시공할 경우에는 동 기준 제19조
의 【표 19-1】에 따라 접지선으로 사용이 불가함을 알려드립니다. 끝.
158 1. 제1장 총칙

제 목 제3종 및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특례기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0조 (회신 : 2018. 07. 16.)

질 의

○ 판단기준 제18조에 의하여 보안등은 제3종접지로 100옴 이하가 되어야 하는데


여러 문제로 인하여 접지저항 값이 100옴 이하가 되지 않는다면 판단기준 제
20조 제3종 및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특례조건을 적용하여 보안등 점멸기(누
전차단기 내장)외 1차 측에 누전차단기함(30mA누전차단기 설치)를 한다면 위
기준에 따라 500옴 이하로 접지해도 되는지요?

회 신

□ 보안등의 전기설비 접지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25조(옥측 또는


옥외의 방전등 공사)에 따라 시설을 해야 하고, 동기준 제18조(접지공사의 종
류)제5항은 저압전로에서 그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경우에 0.5초 이내에 자동
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제3종 접지 저항 값을 완화 할 수 있도록 한 규정으로 자동 차단기의 정격감
도전류에 따라 표 18-2에서 정한 값 이하로 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니
이를 참조하여 시설하시기 바랍니다.

□ 다만 계절에 따른 접지저항 값의 변화, 일반인이 쉽게 접촉할 수 있는 장소에


시설 여부 등의 유지관리상의 문제를 감안하여 접지저항 값을 가능한 작은 값
으로 시공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려 드립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59

제 목 TN-C-S 접지방식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2조의 2 (회신 : 2019. 06. 27.)

질 의
160 1. 제1장 총칙

○ 전기차 충전소 저압 수용가에 접지 저항값을 얻기가 어려워 전기설비 기술기


준의 판단기준 제22조2항(주택 등 저압 수용장소 접지)에 있는 TN-C-S 접지방
식(한전 중성점 접지와 수용가 독립 접지를 묶어 접지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고
인입측에 SPD(Class I)를 설치하려 합니다.

○ 상기 내용이 전기설비 기술기준의 판단기준과 한국설비규정 (산업통상부 공고


제 2018-103호)에 따른 TN-C-S 접지방식의 시공방법이 적합한지요?

○ 한전계통 3Φ4W 다중접지 배전방식에서 인입을 받아 상기 계통도 및 분전반


결선도로 시공을 하려고 하는데 판단기준 제22조2항 및 한국설비규정(KEC)에
적합한지요?

○ 전기사업법 제67조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자원부 고시)


제4조에 따른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이 전기공급자(한전)측에서 준수해
야할 의무인지 아니면 선택사항인지요?

회 신

□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외함은 판단기준 제286조 및 제33조에 따라 충전장치의


외함에 접지를 시행해야 하며, 제18조에 따라 SPD를 설치할 때에는 KS C
IEC 61643-11에 적합하여야 합니다.

□ TN-C-S 접지방식으로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에는 판단기준 제22조의2제1항에


따라 보호도체(PE, PEN)의 최소 굵기를 준수하되, 전기사업자측 저압계통 공
급방식과 PEN도체의 최소 굵기(구리는 10㎟, 알루미늄은 16㎟) 등에 대하여
협의 또는 승인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또한, TN-C-S 접지방식으로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에는 PEN 도체가 단선되거


나 개방되면 부하측의 PEN 도체 및 PEN 도체에 접속된 모든 기기의 노출도
전성 부분에 위험전압이 나타나므로 TN-C-S 접지방식으로 공급되는 수용가
설비는 보호 등전위본딩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61

□ 다만, 부득이하게 보호 등전위본딩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고장발생(PEN 도체


단선, 지락고장 등)시 기기 외함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접촉전압이 최대허용접
촉전압(건조상태 : 50 V, 습기상태 : 25 V)을 넘지 않도록 하는 접지저항값을
충족하도록 수용장소의 인입구 부근의 PEN도체에 추가로 접지하여 합니다.

□ 아울러 TN-C-S 접지방식과 등전위본딩 등에 대하여는 KS C IEC 60364 및


KECG9103-2015(등전위본딩에 관한 기술지침, 대한전기협회 발행) 등을 참조하
시기 바랍니다.

□ 또한, 전기사업자와 협의 또는 승인이 필요한 대표적인 사유는 판단기준 제22


조의2에서 “중성선 겸용 보호도체(PEN)는 고정 전기설비에만 사용할 수 있고,
그 도체의 단면적이 구리는 10 ㎟ 이상, 알루미늄은 16 ㎟ 이상이어야 하며,
그 계통의 최고전압에 대하여 절연시켜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는데, ‘중성선
겸용 보호도체(PEN)’는 전기사업자가 시설하는 인입선의 일부로서 귀하가 전
기사업자에게 전기공급 신청 시 인입선의 최소 굵기와 시공주체에 대해 협의
하여야 할 것이며,

□ 전기사업자인 한전은 과거 특정지역에서 비접지계통으로 운영한 적이 있었기


때문에 귀하 현장의 현재 배전계통을 확인하시어 TN-C-S 접지구성이 가능한
지, 또는 귀하가 PEN도체에 시공한 접지로 인하여 전기사업자의 전력공급 업
무에 지장을 줄 우려가 없는지 등도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또한 기술기준이나 판단기준은 전기사업자도 준수하여야 할 의무기준으로서


동 기준에서는 현장상황에 대해 고려해야 할 모든 내용을 다루고 있지 않으
나, 내선규정은 “TN-C-S 접지계통에서 저압수용장소에 접지극을 시설하고 전
기사업자의 저압전로에 접속할 경우는 전기사업자의 승낙을 필요로 한다.”(내
선규정 1445-9)고 명시하는 바, 내선규정의 법적 지위에 대하여는 본 사례집의
‘내선규정에 대하여’(p.284)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162 1. 제1장 총칙

제 목 변압기 저압측의 중성점에 2종접지선 설치위치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3조 (회신 : 2016. 05. 06)

질 의

3상4선식 22.9㎸/380-220V 기준으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3조 특고압


과 저압의 혼촉 관련하여
기술기준에서 변압기의 저압측의 중성점에 제2종 접지공사를 하라고 표기되어 있
습니다.

(질의내용)
○ 2종 접지 설치점이 변압기 N상 단자가 아닌
○ 변압기 2차측 주 차단기 ACB 1차측 N상에서 제2종 접지를 해도 되나요?

(질의사항)
○ 기술기준은 변압기의 저압측의 중성점에 하라고 명기되어 있습니다.

○ 변압기 2차측에서 주 차단기 ACB 구간은 전로로 구분될 수 있는데 만약 ACB


1차측에 설치가 가능하다고 하면 변압기의 저압측의 중성점이란 표기를 변압
기 저압측 전로의 중성점으로 문구가 적절하지 않나요?
- 판단기준 제27조(전로의 중성점의 접지)에 따라 시설한 경우 판단기준 제23
조(고압 또는 특고압과 저압의 혼촉에 의한 위험방지 시설)에 충족되어 진다
고 보아 ACB 1차측 전로에 설치해도 되는 것으로 해석해도 되는지요?

○ 특고압과 저압의 혼촉방지용 제2종 접지선 설치 위치를 변압기 2차측 N상 단


자가 아닌 주차단기 1차측에 서치가 가능한지 여부 기술기준 문구해석 부탁드
립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63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3조는 일반적으로 저압전로가 변압기의 내부


고장 또는 전선단선 등의 사고 시에 고압 또는 특고압 전로와 혼촉을 일으키
고 고압 또는 특고압 전기가 침입하여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을 경우의 보호
방법으로서 제2종 접지공사(판단기준 제18조)를 하도록 정한 것으로서 제2종
접지공사를 해야 하는 접지점은 원칙적으로 결합 변압기의 저압측 중성점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 다만, 100V 용의 단상변압기와 같이 구조상 중성점을 꺼낼 수 없는 것이나 배


전방식(예를 들면 단상변압기 3개를 사용해 △결선하는 3상3선식)에 변압기의
중성점을 접지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저압측의 1단자에서도 가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300V 이하의 저압에서는 대지에 대한 전위가 낮기 때문에
비접지측 전선에서 상시 대지를 통해 접지선에 흐르는 전류가 적어 불평형이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7조는 전로에 대한 중성점의 접지로 전로의


보호 장치의 확실한 동작의 확보, 이상 전압의 억제 및 대지전압의 저하를 위
하여 특히 필요한 경우에 전로의 중성점에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임을 규정한
것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164 1. 제1장 총칙

제 목 철도신호용 변압기 저압측 접지공사 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3조 (회신 : 2020. 04. 07)

질 의

○ 1차전압 22.9kV, 2차전압 220V이며 전기실내 설치되는 철도 신호용 변압기(단


상변압기) 2차측 접지 관련 문의 사항입니다.
1) 상기 변압기의 경우,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3조에 따라 철도 신호용 변압기이므
로, 저압측 1단자에 접지를 하지 않고 비접지로 해야 하는지요?
2) 변압기 저압측 1단자에 접지를 해야 한다면 관련 기준이나 지침이 있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3조는 “철도 또는 궤도의 신호용 변압기를


제외한 특고압전로와 저압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의 저압측 중성점에는 제2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변압기의 내부 고장 등으
로 특고압전로와 저압전로가 혼촉을 일으켜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저압측 중성점에 접지를 시행하여야 하나, 철도 또는 궤도의 신호용 변압기는
구조상 2차측을 접지할 수 없고 또한 실제로 혼촉방지판이 있기 때문에 제외
된 것(2016 전기설비기술기준해설서 참조)으로 사료됩니다.

□ 또한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등은 철도 신호


용 변압기의 저압측 접지기준을 다루고 있지 않으므로 귀하 현장의 계통을 고
려하여 전기설계 전문가와 협의하여 결정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65

제 목 아파트 단위세대 LED전등의 접지시공 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3조 (회신 : 2018. 05. 17.)

질 의

○ 공동주택(아파트) 단위세대 전등을 LED로 시공함에 있어 화장실에는 LED전등


접지를 하였고, 거실, 주방 및 식당 ,침실 ,베란다 등에는 LED전등 접지를 하
지 않았습니다.

○ 이러한 경우에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제1장 총칙 제4절(기계 및 기구) 제


33조(기계기구의 철대 및 외함의 접지) 에 의거 단위세대 LED전등의 접지선
생략이 가능한지요?

○ 내선규정 제13장 제1300절 용어에는 “가정용전기기계기구란 전기냉장고, 전기


세탁기 (생략) 가정에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백열전등 , 방전등 및 배선기구는
포함하지 않는다.” 라고 명시하고 있는데, 위 경우에 공동주택(아파트) 단위세
대 LED전등의 접지를 시공하지 아니하여도 되는지 여부를 문의합니다.

회 신

□ 접지의 목적은 감전 보호, 전기화재 방지 및 보호 설비 작동 등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질의 하신 것처럼 제33조는 기계기구의 철대 및 외함에 대한
종별 접지공사(제1항1호) 및 공통· 통합접지 등에 따른 접지공사(제1항2호)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접지 공사를 해야 하고, 제2항에서는 접지 생
략이 가능한 일부 예외 조건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동 조 제2항제8호에서는 물기가 있는 장소 이외(즉 건조한 장소)의 장소에서


개별 기계기구의 전원 측에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가 시설된 경우에 예외
조건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질의하신 LED 조명 시설장소가 건조한 장소이
면서 개별 기계기구로 전원 측에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가 시설되는지 검
토하시어 예외 조건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시공하시기 바랍니다. 끝.
166 1. 제1장 총칙

제 목 외함 접지 생략이 가능한 ‘건조한 곳’의 의미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3조 (회신 : 2018. 05. 17.)

질 의

○ 공장의 자탐설비 발신기가 어떤 것들은 외함 접지가 되어 있는 것들이 있고,


어떤 것들은 되어 있지 않은 것들이 있습니다.

○ 판단기준 제18조 2항 1절에 사용전압이 직류 300V 이하인 기계기구를 건조한


곳에 시설하는 경우는 외함접지를 생략 가능하다고 명시되어 있는데

1. 공장의 발신기가 직류 24V 이므로 외함 접지를 생략을 해도 가능한지요?


2. '건조한 곳에 시설하는 경우'라는 문구에서 조건은 무엇인지요?
3. 만약 현재의 발신기가 건조한 곳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직류 300V 이하인 경우
라도 외함 접지를 해야하는지요?
4. 3번과 같이 외함 접지공사를 해야 한다면 공사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 방법은
없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은 전기공급설비 및 전기사용설비의 안전성능에 대하여 규정


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시설방법은 소방청 기준이 적용
될 것으로 판단되나, 안전상의 이유로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 외함에 접
지를 시설하려는 경우에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조(접지공사의
종류)와 제33조(기계기구의 철대 및 외함의 접지)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
단됩니다.

□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해설서에 기술된 건조한 곳의 적용방법


및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67

건조한 곳의 적용방법

구 분 적용방법

기계기구를 다음의 절연성이 있는 것 위에서 취급할 경우


다만, 사람이 그 기계기구와 주변의 접지된 금속체에 동시에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는 경우
[바닥위 2 m 이상, 그 밖에 손을 뻗쳐 닿을 수 없는 거리(1.25 m 이상)]를 말함
◦ 기본 전제
- 평상시 습기 또는 물기가 없는 장소로서 절연성 있는 것이 건조한 상태일 것
건조한 곳 ◦ 절연성이 있는 것
- 목제 바닥
- 돗자리 등 두꺼운 깔개가 있는 방의 바닥
- 실내 바닥 등에 붙이는 내수성의 건축재료를 입힌 바닥
* 아스타일바닥, 모노륨바닥, 절연성페인트를 칠한 콘크리트바닥[에폭시 도료를 도포하여 전기절연용
바니시 시험방법 KS C 2312 (2003.6)의 21. 절연내력시험방법에 합격한 것을 말함]

건조한 곳의 적용방법 예시
적용구분 건조한 곳으로 적용할 수
건조한 곳
장소예시 없는 곳
1.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의 지상 1층에서 지상 5층 좌란 이외에 지면과
아파트형 공장 등의 바닥이 다만, 평상시 습기 또는 물기가 없는 장소로서 콘크리트 바 직접 접촉하고 있는
콘크리트 바닥으로서 그 위 닥이 건조한 상태이고 사람이 그 기계기구와 주변의 접지된 지하 1층의 콘크리트
에서 전기기계기구를 취급하 금속체에 동시에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는 경우이어야 함 바닥
는 경우
2. 지상 1층 규모의 공장 등의 절연성 페인트를 칠한 지상 1층의 콘크리트 바닥 지면과 직접접촉하고 있
바닥이 콘크리트 바닥으로서 다만, 평상시 습기 또는 물기가 없는 장소이고 사람이 그 는 지상 1층의 콘크리
그 위에서 전기기계기구를 기계기구와 주변의 접지된 금속체에 동시에 쉽게 접촉할 우 트 바닥
취급하는 경우 려가 없는 경우이어야 함

3. 지하 5층 지상 20층 규모 지하 4층에서 지상 20층 좌란 이외에 지면과 직


의 건물 등의 바닥이 콘크 다만, 평상시 습기 또는 물기가 없는 장소로서 콘크리트 바 접접촉하고 있는 지하
리트 바닥으로서 그 위에서 닥이 건조한 상태이고 사람이 그 기계기구와 주변의 접지된 5층의 콘크리트 바닥
전기기계기구를 취급하는 금속체에 쉽게 동시에 접촉할 우려가 없는 경우이어야 함
경우

□ 아울러 동 기준 제33조는 기계기구의 철대 및 외함 접지의 공사 종류와 예외


규정을 정하고 있으므로 참조하시기 바라며, 설치 장소의 환경 및 현장조건을
고려하여 설계자 및 제조업체 등 관련 전문가와 협의하여 적용하시기 바랍니
다. 끝.
168 1. 제1장 총칙

제 목 콘센트 접지기준 관련 ‘주택’의 의미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3조 (회신 : 2019. 02. 22.)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항목 중 33조 및 170조 항에 대해 문의 드립니


다. 해당 항목 중 주택의 옥내전로로 판단하는 기준에 대해 궁금합니다.

[170조 5항]
저압 콘센트는 제33조제2항의 경우를 제외하고 접지극이 있는 것을 사용하여
접지하여야 한다. 다만, 주택의 옥내전로에는 제33조제2항의 경우에도 불구하
고 접지극이 있는 콘센트를 사용하여 접지하여야 한다.

○ 일부 건물의 경우, 기본적으로 사무용 혹은 작업용 건물이나 일부 공간에 인력


상주 및 생활공간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경우 주택으로 간주해야 하나요?

[33조 2항 8번]
물기 있는 장소 이외의 장소에 시설하는 저압용의 개별 기계기구에 전기를 공
급하는 전로에 '전기용품안전 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
기를 시설하는 경우

○ 위 경우 접지 콘센트 사용을 제하여도 한다는 의미는 정격감도전류 30mA, 동


작시간 0.03s 이하의 ELB 사용 시 접지 콘센트 사용은 불필요하다고 해석하여
도 될까요? (화장실, 샤워실 등 물기 있는 장소는 제외)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69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33조제②항은 기계기구의 철대 및 외함의 접


지를 생략 가능한 경우를 명시하였으나 동 기준 제170제⑤항에서는 상기 조건
에도 불구하고 주택의 옥내전로에는 접지극이 있는 콘센트를 사용하고 접지하
여야 함을 규정하고 있으므로 귀하의 현장이 “주택의 옥내전로”에 해당된다면
접지극이 있는 콘센트를 사용하고 접지공사를 시행하여야 할 것입니다. (접지
를 생략하는 경우에는 접지극이 없는 콘센트 시설 가능)

□ 아울러 전기사용 장소의 시설에서 “주택”이란 일반가정에서 일상생활을 하는


장소를 뜻하며(기숙사, 아파트 등 포함), 유아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일반인
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장소를 의미하는데 일반인이 쉽게 접촉하여 감전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규정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170 1. 제1장 총칙

제 목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접지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3조 (회신 : 2018. 07. 13.)

질 의

○ 전기차 급속충전기는 입력전압 교류 380V에 출력전압 직류 500V가 나옵니다.


안전공사 사용전 점검에서는 입력전압 380 V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제3종
접지공사 100옴을 만족하면 된다고 하는데 500V라고 생각하여 특3종 접지공사
를 해야 하는지 380V라고 생각하여 제3종 접지공사를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
다.

회 신

□ 본 질의는 당 협회 전문가회의에서 검토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와 같이


알려드립니다.

□ IEC 등 국제기준에서는 AC, DC 구분 없이 상용전압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전기설비는 우선적으로 전기안전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 따라서 전기충전기는 최고 전압(본 질의에서는 500 V)을 적용하여 판단기준


제33조에 따라 충전기 외함 접지공사(본 질의에서는 특별 제3종)를 시행함이
타당한 것으로 사료됩니다.

□ 참고로 환경부에서 발표한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설치․운영 지침(‘18.01)은


출력 측 전압을 고려하여 급속충전기는 특별 제3종 접지공사(10Ω)를, 완속충전
기는 제3종 접지공사(100Ω)를 하도록 권장하고 있음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71

제 목 “등기구 접지생략”의 의미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3조 (회신 : 2018. 06. 27.)

질 의

○ 귀 협회 홈페이지 FAQ 2번의 등기구 접지 생략의 의미에 대해 문의합니다.

○ 추가적으로 등기구 접지에 관한 규정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33조와


172조 말고는 못 찾겠는데, 이에 따르면 금속이나 철제 외함만 없으면 등기구
배선에 접지선이 없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회 신

□ 누전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등설비를 비롯하여 전로에 시설하는 기계기


구의 철대 및 금속제 외함에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33조(기계기구
의 철대 및 외함의 접지)의 1항에 따라 접지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며 동조 2항
의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접지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 배선기구의 시설에 관하여 동 기준 제170조 규


정을 참조하시고, 관등회로의 사용전압이 1,000V 이하의 방전등 시설은 동 기
준 제213조제5호의 규정에 의거 방전등용 안정기의 외함 및 방전등용 전등기
구의 금속제에는 소정의 접지공사(제1종, 특 3종, 제3종)를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 다만, 동조 제5호의 "가~ 라"의 어느 하나에 해당할 경우에는 접지공사를 생략


할 수 있습니다. 끝.
172 1. 제1장 총칙

제 목 본체와 베이스로 나뉘어있는 비상발전기 접지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3조 (회신 : 2020. 08. 06.)

질 의

○ 비상발전기의 배터리반 외함(DC)도 접지를 하여야 하는지, 아니면 발전기 베


터리반은 에폭시 바닥에 철제 외함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건조한 장소로 간
주하여 접지가 필요 없는지요?
○ 또한 비상발전기의 베이스와 외함이 볼트로 연결되어 기계적으로 접속을 이루
었습니다. 현재 비상발전기의 베이스에만 외함 접지가 되어있고 본체에는 접
지가 되어있지 않는데 이와 같이 본체와 외함이 기계적으로 접속이 되어있어
도 각각 접지를 해야 되는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33조는 전로에 시설하는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 외함에는 표 33-1에 따라 접지공사를 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며 본
기준은 교류와 직류를 구분하지 않으므로 귀하의 배터리반이 철대에 설치되어
있거나 금속제 외함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본 기준에 따라 접지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다만, 동 기준 제2항에 해당될 때에는 접지공사를 생략할 수 있는데,
귀하가 문의한 건조한 장소가 이에 해당하는지는 본 사례집의 ‘건조한 곳’에
대한 질의/회신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 아울러 인체 감전을 예방하는 등 전기안전을 위해서는 비상발전기의 베이스와


외함에 개별적으로 각각 접지공사를 시행하거나 접지 본딩 등의 방법으로 베
이스와 외함이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되어 접지효과에 지장을 주지 않아야
하는데, 귀하 현장의 비상발전기 베이스와 외함이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
되어 있는지 여부와 상건조한 장소에 대한 적합성 여부는 현장을 방문하여 전
기안전점검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
의 2).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73

제 목 통신단자함 외함의 접지시공 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3조 (회신 : 2020. 09. 01.)

질 의

○ 우리 현장 통신단자함 내부에, 누전차단콘센트가 있습니다(접지극 있음). 이와


같은 경우 통신단자함 외함에 대한 접지를 해아하는지, 만약 해야 한다면 콘
센트 접지극에서 따서 해도 되나요?

회 신

□ 전로에 시설하는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 외함에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33조에 따라 접지를 시행하여야 하므로 귀하의 통신단자함 내부
에 전로에 연결된 콘센트가 시설되어 있다면 콘센트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동 조항의 [표 33-1]에 적합한 접지공사를 시행하고 이때의 접지저항 값은 동
기준 제18조에 명시한 접지저항 값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 다만, 귀하의 통신단자함에 통신설비의 접지가 연결되어 통신설비와 전기설비


의 접지극을 공용하는 통합접지 공사를 시행하는 경우는 서지보호장치(SPD)를
설치하여야 하는 등 동 기준 제18조제7항에 따라야 하고 KS C IEC
60364-4-41(안전을 위한 보호-감전에 대한 보호)에 적합하도록 시설하여야 하므
로(동 기준 제19조제6항 참조),

□ 귀하의 통신단자함과 전기 콘센트의 접지를 공용하는 것에 대하여는 「방송통


신설비 기술기준」을 관리하는 기관 등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
다. 끝.
174 1. 제1장 총칙

제 목 주택용 태양광에도 주택용 차단기를 시설해야 하는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8조 (회신 : 2017. 09. 08)

질 의

○ 주택용 차단기 관련 전기설비기술기준을 살펴보면 일반인이 접촉할 우려가 있


는 장소(세대내 분전반 및 이와 유사한 장소)에는 주택용을 시설하도록 규정하
고 있습니다. 제38조 제4항 : 주택용배선차단기, 제41조 제6항 : 주택용누전차
단기, 해설서를 보면 주택, 아파트 등의 세대내 분전반으로 일반인이 사용(조
작)할 수 있는 장소에 시설되는 분전반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 여기서 태양광 시설을 함에 있어서 궁금한 게 있어서 몇 가지만 질문 드려봅


니다.

- 2017년 이후에 주택을 짓고 새로 태양광을 시설하는 경우에, 주택전기와 태


양광을 연결하는 분전반이 내부에 있는 경우, 주택용 차단기를 써야 합니까?
혹은 분전반이 외부에 있는 경우에도 꼭 주택용 차단기를 써야 하나요? (보
통 태양광이 설치된 주택을 보면, 태양광용으로 연결 분전반이 따로 있고,
세대내 전등 전열 분기회로가 있는 분전함을 따로 설치를 합니다.)

- 2017년 이전에 지은 주택에 2017년 이후에 태양광을 시설하는 경우, 새로운


전기 설비로 보고, 주택용 차단기를 써야 하나요. 태양광용으로 연결 분전반
이 내부와 외부의 분전함이 있는 경우로 나누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75

회 신

□ 주택용 차단기 적용에 대해서는 판단기준 제38조제6항과 제41조제6항에 따라 일


반인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세대내 분전반 및 이와 유사한 장소)에 시설하
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주택용 차단기 적용 취지는 일반인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 중에“세대내 분전반 및 이와 유사한 장소”로 한정하여 보다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제정한 규정입니다. 따라서 2016년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해설서
에서“세대내 분전반 및 이와 유사한 장소”의 정의는 “주택, 아파트 등의 세
대내 분전반”으로 정의하고 있으므로 “주택(준주택 포함)의 세대내 분전반”그
외의 장소 및 용도에 대해서는 주택용 또는 산업용 차단기를 안전상 고려하여 적
용할 수 있습니다.

□ 적용 시점에 관련하여서는(Q&A [2386] (16.9.22) 참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


기준 부칙(제2015-44호, 2015.1.30) 제1조(시행일)2항에서 "2017년 1월1일부터 적용
하도록 한 적용시점“은 시행(2017년 1월 1일) 당시 이미 시설되어 있거나 전기공
사계획인가(신고)를 받은 경우 또는 전력기술관리법 시행령 제18조제④항의 규정
에 의한 자가 시행 전에 사업승인을 득한 경우에는 종전의 기준에 따를 수 있습
니다. 끝.
176 1. 제1장 총칙

제 목 호텔 객실도 주택용 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하는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8조 (회신 : 2018. 02. 26.)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38조 4항 및 41조 6항의 "일반인이 접촉할 우


려가 있는 장소(세대나 분전반 및 이와 유사한 장소)에는 주택용 배선차단기/
누전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한다."에 관련하여 호텔(객실)의 경우 이 규정에 포
함이 되는지요?

○ 일반적으로 호텔의 분전반은 투숙객이 접근할 수 없도록 설치되며 숙련자나


기능자(시설담당자)가 조작을 하게 됩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 전기설비”의 제38조제4항과 제41조제6항에


따라 일반인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세대내 분전반 및 이와 유사한 장소)
에는 주택용 차단기를 시설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주택용 차단기 적용 취
지는 일반인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 중“세대내 분전반 및 이와 유사한 장
소”로 한정하여 보다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제정한 규정입니다.

□ 또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해설서에서 “세대내 분전반 및 이와 유사한 장소”의


정의는 “주택, 아파트 등의 세대내 분전반”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그 이외의
장소 및 용도에 대해서는 주택용 또는 산업용 차단기를 안전상 고려하여 적용
할 수 있습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77

제 목 비 한류형 파워퓨즈 단위 표기에 대한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9조 (회신 : 2020. 02. 25.)

질 의

○ 내선규정 3220-5 주 차단장치 부분에서 표 3220-4 "비 한류형 파워퓨즈(방출


형)" 부분의 맨 오른쪽 퓨즈 정격 선정 범위 단위에서 퓨즈 정격 선정 범위에
써져 있는 숫자+K 형태는 K type 을 나타내는 것까지는 이해를 했습니다만
일반적으로 퓨즈 정격 전류를 표시할 때 숫자[A] 로 표기하는지 아니면 숫자
+K 형태로 표기하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3상 200[kVA] 변압기 보호용
퓨즈 정격이라고 하면 8[A]인지 혹은 8K 인지)

회 신

□ 내선규정(2016) 표 3220-4는 [일반적인(“K”Type) 22.9 kV-y급 변압기 보호용


퓨즈정격 선정 표]로서 「퓨즈정격 선정 범위」 칸의 수치는 퓨즈의 정격(전류)
을 의미하며, 우리 협회가 발행한 내선규정에서는 수치 뒤의 기호를 정격전류
단위 [A] 대신 “K”Type임을 뜻하는 “K”를 사용하였으나, 기술서적의 저자 또
는 퓨즈 제작회사에 따라 표기를 달리 할 수도 있으므로 해당 저서의 저자 또
는 제작사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178 1. 제1장 총칙

제 목 분전반 1차 메인 차단기에 누전차단기 시설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1조 (회신 : 2020. 04. 20.)

질 의

○ 단상으로 구성된 분전반을 3상 4선으로 교체하려고 하는데(380/220V), 1차 메


인 차단기는 누전 차단기로 선정해야 하는지요?

○ 1차 메인 차단기를 누전차단기로 설정 하고, 나머지 분기 차단기도 전부 누전


차단기로 설정하는게 맞는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79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1조는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사용전압이


50 V를 초과하는 저압의 기계 기구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것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는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자동적
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동 기준 제1항
의 단서 조항에 지락차단장치를 시설하지 않아도 되는 예외조건을 명시하고
있으므로 본 기준을 참고하시되, 귀하 현장의 분기회로가 이에 해당하는지 판
단하시어 적용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아울러 지락차단장치는 메인과 분기회로에 모두 시설하여야 한다고 명시하지


는 않으나, 귀하 현장의 특수한 상황에 대한 적합성 판단은 현장의 전기안전
및 점검업무를 담당하는 기관 등에 문의하시기 바라며, 우리 협회가 발행한
내선규정은 제1475절에서 누전차단기의 종류와 시설기준 등을 다루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180 1. 제1장 총칙

제 목 누전차단기 설치 예외조건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1조 (회신 : 2019. 02. 11.)

질 의

1. 3상 배수펌프의 주 차단기는 MCCB이고 지락보호 기능이 없는 EOCR을 사용,


펌프 자체에도 누전차단기가 없습니다.
이런 경우 주 차단기를 ELB로 교체해야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제가 말씀
드린 배수펌프는 시청에서 집중호우시 침수피해방지용으로 사용 중입니다.
공공의 안녕을 위해 사용하는 설비는 누전차단기 예외 사항으로 인정이 되는
지 궁금합니다.

2. 위에서 질문 드린 배수펌프는 380/220V 저압설비이고 메쉬휀스로 울타리를 쳐


두었습니다. 기술기준에서 저압설비의 울타리는 접지관련 규정이 없는지 궁금
합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81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1조는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사용전압이 60


V를 초과하는 저압의 기계 기구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
설하는 것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는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자동적으
로 전로를 차단하는 누전차단기 등을 설치하여야 하며 예외 조건은 동 규정에
명시된 바와 같습니다.

□ 다만, 동조 제4항은 비상용 조명장치, 비상용 승강기, 유도등, 철도용 신호장치


등의 정전으로 인하여 전기 이외의 공공의 안전 확보에 지장을 초래하는 등
누전에 의한 피해보다 전로의 차단에 의한 피해가 더 큰 경우 즉, 회로차단에
의하여 위험한 상태로 이어질 수 있는 전로에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는 것이 부
적절하여 누전이 발생하였을 때에 전로를 즉시 차단하기보다는 기술자가 상주
하는 감시소에 누전경보장치를 설치하여 기술자로 하여금 안전조치를 취하도
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누전차단기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는 제한적인 예외규정을 두고 있으므로 귀하의 현장이 이에 해당하는
지는 발주자 및 관리기관과 협의하시어 판단하셔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질
의 1)

□ 또한 전기설비기술기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이나 내선규정 등에서는


저압 기계기구의 울타리 접지에 대하여 다루고 있지 않으나, 전로에 시설하는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 외함의 접지에 대하여는 판단기준 제33조를, 고압
또는 특고압 기계 기구를 옥외에 시설하는 곳에서의 울타리에 대한 접지규정
은 판단기준 제44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질의 2) 끝.
182 1. 제1장 총칙

제 목 승강기에도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하는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1조 (회신 : 2019. 07. 25.)

질 의

○ 정부 화재안전특별조사 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1조에 따라 승강


기 지락차단장치(누전차단기)를 설치하라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전기설
비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41조 1항의 제외 항목 2호에 보면 "기계기구를 건
조한 곳에 시설하는 경우"는 적용하지 않아도 되는 바 승강기는 건물내부에
설치되어 비나 물, 기타 습기에 취약하지 않아 기술기준 제41조 1항의 2호에
해당되어 지락차단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고 판단되는데 협회의 의견은
어떤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회 신

□ 모든 전기설비는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조에 따라 감전, 화재 그 밖에 사람에게


위해(危害)를 주거나 물건에 손상을 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하나, 판단
기준 제41조제4항에서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이를 기술원 감시소에 경
보하는 장치를 설치할 경우에 한하여 비상용승강기에 지락차단장치를 시설하
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한 것은 비상시에 정전보다는 공공의 안전이 우선되
어야 하기 때문에 누전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관리자가 즉시 조치할 수 있도록
경보해주는 등의 조치를 전제하고 있습니다.

□ 또한 판단기준 제41조제1항제2호에서 명시한 ‘건조한 곳’이란 판단기준 제33조


(외함 접지 생략이 가능한 건조한 곳의 의미) 질의 회신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
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83

제 목 아파트 실외기실에도 누전차단기를 시설해야 하는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1조 (회신 : 2018. 08. 22.)

질 의

○ 아파트 내부의 실외기실에 설치되는 실외기 전원 공급용 차단기 관련 질의 드


립니다. 현쟈는 아파트 내부 실외기실에 주택용 누전차단기가 설치되어 있으
며, 누전차단기는 일반 PVC 박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고 케이블로 연결되어
실외기 내부에서 전원을 공급합니다.

○ 판단기준에 나와 있는 주택용 분전반의 정의가 무엇인가요?

○ 주택용 차단기는 항상 주택용 분전반(혹은 이와 유사한 구조 및 재질의 장소)


내부에 설치되어야 하나요? 아니라면 주택용 차단기(분전반X)는 노출된 장소
에만 설치되어야 하나요?

○ 차단기가 보기 싫어서 그런데 위와 같은 경우에 집에 남는 가구장이 있는데


벽에 가구장을 세우고 가구장 안에 주택용 차단기를 넣어서 설치해도 되나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은 ‘주택용 분전반’에 대하여 별도의 정의를


규정하지 않았으나 한국산업표준 KS C 8326의 주택용 분전반과 동일한 대상
을 지칭하며 주로 주택 등의 인입구장치에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 또한, 판단기준 제38조제4항과 제41조제6항에 따라 세내대 분전반 및 이와 유


사한 장소에는 주택용 배선차단기, 주택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또한 질의하신 건물내 실외기 전원 공급용 차단기의 설치 및 적용을 위
해 동기준 제171조제1항제3호 및 제4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설치위치와 재질에
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 됩니다. 끝.
184 1. 제1장 총칙

제 목 가로등에 자동복구차단기 설치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1조 (회신 : 2017. 06. 19.)

질 의

○ 가로등 분전함 내 자동복구 차단기(조작전원) 설치가능 여부(부하측 아님)

○ 내용
- 가로등 분전함 내 차단기 중 부하측에는 일반 ELB를 설치하고, 제어기(양방향
무선통신)측 조작전원에 자동복구 차단기 설치 가능한지 문의 드립니다.

○ 비고
- 전기설비기술 기준 제41조 5항 1호 및 3호에 따르면 옥외의 장소에서 특정한
목적을 위해 지체하는 장소(횡당보도, 버스정거장)을 제외한 곳에서 무인으로
운전하는 통신 중계기 또는 단위기기 전용회로의 경우 설치가 가능하다고 되
어 있는데

- 울타리가 없지만 특정한 목적을 위해 지체하는 장소에 위치해 있지 않은 분전


함(양방향 무선 제어기, 위험표시 부착)의 경우 자동복구 차단기 설치 가능한
지 궁금하며,

- 만약 불가하다면, 설치 제외 장소에서 도로 혹은 인도로 표현하지 않고 횡단보


도로 국한되어 표현한 이유도 궁금합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85

회 신

□ 귀하께서 질의하신 “자동복구차단기 설치가능 여부”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


준 제41조(지락차단장치 등의 시설) 제5항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제5항은 전기용
품안전기준 ‘“K60947-2의 부속서 P”의 적용을 받는 자동복구 기능을 가진 누전차단
기 시설 관련으로, 국내외 표준 및 적용 현황과 관련 산업계 의견수렴을 등에 근
거하여 최소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적용범위(제1호, 제2호, 제3호)를 규정한
것입니다. 제41조(지락차단장치 등의 시설) 제5항 제1호~제3호 관련 적용범위에
대해서 2016년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해설서에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습니다.
(1) 제1호 관련 적용범위
⋅독립된 무인 통신중계소, 독립된 무인기지국
(2) 제2호 관련 적용범위
⋅고속도로, 자동차전용도로 등 관련법령(도로법 등)에 의해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된 장소
(3) 제3호 관련 적용범위
⋅옥외의 장소에 무인단독으로 운전하는 단위기기 전용회로에 시설할 수 있다. 단, 일반인
이 특정한 목적을 위해 지체하는(머물러 있는) 장소로서 버스 정류장, 횡단보도 등에는
시설할 수 없다.
※ 단위기기 전용회로” : 케이블TV중계기 단독회로, CCTV 단독회로, 하이패스 단독회로
등 누전차단기에서 분기하여 하나의 단독기기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

□ 질의하신 [1. 요지] 및 [2. 내용] 관련 답변입니다.


“가로등 분전함 내의 자동복구 기능을 가진 누전차단기 설치가능 여부”는 판단기
준 제41조 제5항의 제2호에서처럼 관련법에서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된 장소에서 시
설할 수 있습니다.

□ 질의하신 [3. 비고] 관련 답변입니다.


“울타리가 없지만 특정한 목적을 위해 지체하는 장소에 위치해 있지 않은 분전
함”의 시설가능여부에 대하여 판단기준 제41조 제5항의 제3호 적용 장소는 다음
과 같습니다. 질의하신 분전함이 통신중계기 또는 단위기기 전용회로의 분전함
일 경우에는 시설 가능합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일반인이 특정한 목적을 위해
지체하는(머물러 있는) 장소로서 버스정류장, 횡단보도 등에는 시설할 수 없습니
다. 이는 누전 등에 의한 감전에 대한 최소한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관련 장소에
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정한 부분입니다. 끝.
186 1. 제1장 총칙

제 목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 대한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1조 (회신 : 2018. 08. 27.)

질 의

○ 지상10층인 건물에서 에어컨 실외기는 10층 위 옥상에 있으며, 옥상은 방수처


리가 되어있고 관계자 외 출입은 금하고 있습니다.

○ 전기설비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41조에 의하면 이 경우에는 사람이 쉽게 접


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는 아니라고 판단되는데, 이런 시설에도 반드시 누전차
단기를 설치해야 될까요?

○ 혹시 관계자 외 다른 사람이 옥상에 올라올 수 있다는 가정에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한다면, 보호울타리를 설치하여 취급자 외에 출입을 금하여도 누전차
단기를 설치해야 할까요?
즉, 실외기가 취급자 외 접촉(보호울타리 또는 실외기 실, 벽면 등)을 금하고
있어도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에서 사용되는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


는 장소’는 일반적으로 바닥 위 2 m 미만, 그 밖에 손을 뻗어 닿을 수 있는
거리(1.25 m 미만)을 말하며 내선규정 1300-7에서는 ‘사람이 쉽게 접촉될 우려
가 있는 장소’에 대해 옥내에서는 바닥에서 1.8 m 이하, 옥외에서는 지표상 2
m 이하인 장소 및 그 밖에 계단의 중간, 창 등에서 손을 뻗어서 쉽게 닿을 수
있는 범위로 정의합니다. 여기서 사람이란 누전 시 감전될 수 있는 모든 사람,
즉, 일반인뿐만 아니라 관계자와 작업자를 모두 포함합니다.

□ 아울러 전기설비기술기준과 판단기준은 전기안전을 위해 지켜야 할 최소한의


사항을 규정하므로, 특히 안전과 직결된 사항에 있어서는 규정된 수준과 동등
이상의 효력을 갖도록 조치하심이 타당하다고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87

제 목 비접지식 전기 판넬에 피뢰기 설치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2조 (회신 : 2020. 07. 06.)

질 의

○ 154KV/22.9KV TR 에서 3P3W 비접지방식으로 받아오는 전기판넬에 LA설치


를 의무적으로 해야 하나요?
○ 아니면 안 해도 사용전검사에 지장없나요?

회 신

□ 피뢰기(避雷器)는 뇌방전으로 인한 과전압으로부터 전기설비가 손상, 감전 또


는 화재의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것으로서 변전소 또는 수전설비의 가공전
선 인입구 및 인출구, 가공전선로에 접속하는 배전용 변압기의 고압측 및 특
고압측, 고압 및 특고압 가공전선로로부터 공급을 받는 수용장소의 인입구 등
에는 접지계통 또는 비접지계통을 구분하지 않고 피뢰기를 의무적으로 시설하
여야 함을 명시하고 있는 바, 자세한 시설기준 및 예외 조건은 「전기설비기술
기준의 판단기준」 제42조 및 「내선규정」 제3250절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귀하 전기설비에 대한 사용전검사시 적합성 여부에 대하여는 관련 업


무를 수행하는 한국전기안전공사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89


2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44조 ~ 제56조)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91

제 목 한전 PAD 기기에 울타리 설치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20. 06. 26.)

질 의

○ 기존 한전pad 기기 앞에 미관을 위하여 전면 개방 할 수 있는 휀스를 설치하


고자 하는데, 개방형이 아닌 휀스를 설치하여도 가능한지요?

회 신

□ 우리 협회는 귀하의 사진으로는 현장 상황을 잘 알 수 없으나, 사진의 PAD


설비가 고압 또는 특고압의 기계기구・모선 등을 옥외에 시설하는 변전소・개
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해당된다면 설비 소유자인 한전이 「전기설비기술
기준의 판단기준」 제44조에 따라 울타리를 시설하여야 하므로 구체적인 사항
은 관할 한전사업소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울타리 설치와 관련된 공공장소의 점용 또는 미관 개선 등은 관할 지


자체와 협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192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 목 배전반이 있는 변대주의 울타리 설치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20. 06. 12.)

질 의

○ H형 변대주 밑에 배전반이 있으면 울타리를 설치하는데 군부대에 주상변압기


단주밑에 전주부착형 배전반이 있으면 이것도 설치해야하나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4조는 고압 또는 특고압의 기계기구・모선


등을 옥외에 시설하는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는 취급
자 이외의 사람이 들어가지 아니하도록 시건장치와 울타리ㆍ담 등을 시설하도
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다만, 하천이나 낭떠러지와 같이 사람이 출입할 우려가 없는 곳은 울타리를 시


설하지 않아도 되는 예외 조건을 두고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2016 전기설
비기술기준의 해설서」를 참고하시기 바라며,

□ 본 기준에서 명시한 “변전소에 준하는 장소”라 함은 자가용 전기시설물 시설


자의 구내 등에서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기를 수전하여 변성하는 변전실이나
수전실을 가리키며, “고압 또는 특고압 수전설비란 고압 또는 특고압배전반ㆍ
변압기ㆍ안전개폐장치ㆍ계측장치 등의 고압 또는 특고압 수전장치 및 이들을
넣은 수전실 또는 큐비클(Cubicle) 등을 의미”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내선
규정 1300-1).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93

제 목 변전소 외곽 울타리와 구내 변전설비 울타리의 차이점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19. 04. 10.)

질 의

○ 변전소를 둘러싼 울타리가 2m이상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런데도 변전소 구내


에 설치하는 특고압 설비의(22.9kV) 충전부 울타리는 전기설비 기술기준의 판
단기준 제31조, 제44조에 해당하지 않는지요?

1. 울타리가 설치되어 있는 변전소 구내의 특고압 설비의 충전부는 사람이 접촉


할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울타리 높이 기준은 없는지?

2. 현재 변전소 구내의 특고압 설비의 충전부 접촉 방지를 위하여 울타리 1.5m ,


울타리와 충전부 거리 0.9m 일 경우 전기설비 기술기준에 적합 또는 부적합
인지?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31조는 특고압용 기계기구의 시설기준에 대하


여 명시하고 있으며, 동 기준 제44조는 발전소 등의 울타리・담 등의 시설기
준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으므로 귀하의 현장은 본 규정에 따라 시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다만, 동 기준 제44조에서 명시한 울타리는 사람과 가축, 기타 물체를 충전부


와 이격하는 등 전기안전 확보를 위한 것으로서, 건물이나 재산보호를 위한
보안 목적의 울타리와는 다르게 적용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194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 목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의 울타리 시설 해석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19. 07. 04.)

질 의

○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의 울타리 시설기준이 제1항은 옥외, 제3항은 옥내로 구


분하였으나, 시설기준 해석이 모호하여 옥내일 경우 다음과 같은 시설에 대하
여 문의 드립니다.

1) 지상 건축물 내에 시설된 발/변전 및 개폐소의 울타리 설치 여부는?


2) 지상에 독립 건물로 시설된 발/변전 및 개폐소의 울타리 설치 여부는?
3) 지하 건축물 내에 시설된 발/변전 및 개폐소의 지상 출입구에 울타리 설치 여
부는?
4) 지하에 독립 건물로 시설된 발/변전 및 개폐소의 지상 출입구에 울타리 설치
여부는?
5) 발/변전 및 개폐소에 22.9kV 수ㆍ배전설비도 포함되는지 여부?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95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이하, 판단기준) 제44조제3항은 아래와 같이 규


정하고 있습니다.

고압 또는 특고압의 기계기구, 모선 등을 옥내에 시설하는 발전소ㆍ변전소ㆍ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


는 곳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의하여 구내에 취급자 이외의 자가 들어가지 아니하도록 시설
하여야 한다. 다만,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시설한 울타리ㆍ담 등의 내부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울타리ㆍ담 등을 제2항의 규정에 준하여 시설하고 또한 그 출입구에 출입금지의 표시와 자물쇠
장치 기타 적당한 장치를 할 것.
2. 견고한 벽을 시설하고 그 출입구에 출입금지의 표시와 자물쇠장치 기타 적당한 장치를 할 것.

□ 제44조제3항제1호는 건물의 일부를 이용하여 고압 또는 특고압의 변전소 등을


시설하는 경우 해당조항을 적용합니다. 즉, 넓은 건물 내부의 일부를 울타리
등으로 둘러싸고 그 안에 기계기구를 설치하는 경우는 이들과 고압 및 특고압
충전부분과의 이격은 제44조제2항을 따라야 합니다. 또한 제44조제3항제2호는
벽, 칸막이 등에 의해 천장까지 완전히 막힌 경우는 출입금지를 표시하고 출
입구에 잠금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이 경우 제44조제3항제1호를 적용하지 않
을 수 있습니다.

□ 다만, 제44조제3항에 따라 시설하더라도 특고압용 기계기구의 노출된 충전부분


은 취급자가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하며(판단기준 제31조제2
항) 이를 위해 적당한 높이에 시설 또는 주위에 방호장치를 설치하는 등의 조
치를 강구하여야 합니다.

□ 상기 조항과 현상 여건 등을 고려하여 적합하게 시설하시고, 현장 조건에 따라


울타리 또는 벽, 칸막이 시설 여부 및 가부 판정에 대해서는 검사기관과 협의
하시길 바랍니다. 끝.
196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 목 경사형 지붕에 태양광 발전소 설치시 울타리 시설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19. 11. 27.)

질 의

○ 공장의 경사형 지붕에 750kW급 태양광 발전소를 한화 385W 모듈 17, 18직렬


로 750V이상 고압으로 설치하였습니다. 하지만 750V 이상이기 때문에 경사 지
붕에도 휀스를 설치해야한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 경사형 지붕에는 휀스를 고정할 수 있는 방법도 없습니다. 또한 높은 공장지붕


(12m 이상)에 올라가기 위해서는 공장 벽면에 있는 안전사다리를 통해서만 가
능한데, 유일한 출입구인 안전사다리와 안전사다리의 잠금장치가 휀스 설치의
예외사항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4조 제①항은 고압 또는 특고압의 기기, 모선


등을 옥외에 시설하는 발・변전소(이에 준하는 곳 포함)에는 구내에 취급자 이
외의 일반인이 출입하지 않도록 울타리, 담 등을 시설하라고 규정하였으나

□ 동 조 제⑤항은 구내 경계 전반에 울타리, 담 등을 시설하고, 일반인이 들어가


지 않게 시설한 공장 구내의 옥외 또는 옥내에 시설한 발・변전소(이에 준하
는 곳 포함)에 “위험” 경고 표지를 하고 동 규정 제31조 및 제36조 규정에 준
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제①항의 규정에 의하지 아니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귀하의 질의사항만으로는 현장 시설 상황을 명확히 알 수는 없으나, 질


의하신 현장이 공중안전이 확보되어 있는 구내의 발・변전소(이에 준하는 곳
포함)에 해당하는지 확인하시기 바라며, 상세사항은 점검기관 등과 논의하시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97

제 목 우사 옥상에 태양광 발전소 설치시 울타리 시설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18. 03. 05.)

질 의

○ 우사 옥상 위에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하였습니다. 우사의 가장 낮은 곳의 높이


는 4m 이고, 직류 전압은 766V로 법령상 고압에 해당되는데, 전문가의 의견이
고압시설이기 때문에 우사를 전부 휀스를 친 다음 소나 사람이 출입이 안 되
게 하든지, 아니면 직류 전압을 저압(750V)이하로 낮추라고 합니다.

○ 옥상에 사람이 올라가지 못하도록 시건장치를 하면 올라갈 수 가 없는데 이것


은 제 31조나 36조에서 정한 예외 조항에 해당하지 않는지요?

회 신

□ 직류 전압 766V는 현행 전압체계에서 고압으로 분류되어, 해당 설비는 전기설


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36조(고압용 기계기구의 시설) 등에 따라 시설되어야
합니다.

□ 질의사항만으로는 현장 시설 상황을 명확히 알 수 없으나, 동조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거나, 발전소, 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경
우에는 고압용 기계기구를 시설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태양광발전설비는 모듈과 철제 구조물과의 본딩 및 철제 구조물은


접지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누전 및 고장 시 우사의 고장전압(보폭전압) 등
에 대한 안전 여부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해당 시설의 안전성 및 적
합 여부 관련한 상세사항은 검사기관 등과 논의하시기 바랍니다. 끝.
198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 목 울타리・담 등으로부터 충전부분까지의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18. 06. 08.)

질 의

○ 전기설비 기술기준 판단기준 제44조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이 무엇인지요?

○ 아래 조항을 문구대로 해석하면 "울타리・담 등의 높이와 울타리・담 등으로


부터 충전부분까지 거리의 합계" 는 [거리①] + [거리②] 로 정의 할 수 있으
나, (거리① : 충전부와 울타리까지의 거리 / 거리② : 울타리 높이)

○ [거리②]의 경우 동 기준 44조 나)항 (1)호에서 하한치(2m 이상)만 규정하고 있


기 때문에 [거리②]를 크게 한다면, [거리①]을 작게 해도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음

○ 그러나 [거리①] 충전부와 울타리까지의 거리가 일정 길이 이하로 줄어든다면,


(충전부와 울타리 상단간의 거리가 줄어든다는 의미, 울타리는 접지되어 있음),
유기전압으로 인한 감전사고등의 문제가 반드시 발생함

○ 또한 [거리①] 충전부와 울타리까지의 거리가 충전부와 울타리 상단까지의 거


리인지 아니면, 충전부와 울타리까지의 직하 바닥의 거리인지 등에 대한 구체
적인 해석이 필요하여 문의 드립니다.

회 신

□ 판단기준 제44조제2항의 울타리·담은 특고압의 충전부분이 접근하는 경우 사


람과 가축 기타 물체와의 접촉 방지를 위하여 충전부분을 이격하도록 규정한
최소한의 높이입니다. 본 조항에서 울타리·담 등의 높이를 2 m 이상으로 정한
것은 울타리·담 등을 넘어가거나 기타 물체 등이 충전부분에 접촉 방지를 위
해 정한 최소한의 높이입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99

□ 질의 하신 충전부와 울타리사이 거리와 본 조항 표44-1의에서 최소 이격거리


는 아래 그림과 같이 d1+d2의 거리를 표시하고 있습니다.

d2

d2
d1

d
1

d1 : 울타리ㆍ담 등의 높이
d2 : 울타리ㆍ담 등으로부터 충전부분까지 거리

□ 또한 질의 하신 충전부와 울타리 사이의 거리가 일정 길이 이하로 줄어들어


유기전압 등으로 안전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면 안전 대책이 필요할 것으
로 사료 되며, 본 조항에서는 울타리·담과 충전부 사이만으로 이격거리를 정하
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대한전기협회에서 발간한 발·변전규정 (KECC
7701-2014)의 1405-5(붙임 참조)에서 울타리, 담 등과 충전부의 최소 이격거리
를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 <발·변전규정 (KECC 7701-2014)>

1405-5 울타리, 담 등과 충전부의 최소 이격거리


울타리, 담 등과 충전부의 최소 이격거리는 표 1405-2의 값 이상으로 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표 1405-2 울타리, 담 등과 충전부의 최소 이격거리

사용전압(㎸) 최소 이격거리

7 이하 0.5 m

7 초과 ~ 35 이하 1.5 m

35 초과 ~ 80 이하 2.0 m

80 초과 ~ 115 이하 3.0 m

115 초과 ~ 175 이하 4.0 m

175 초과 4 m에 175 ㎸를 초과하는 10 ㎸마다 0.12 m 추가


200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 목 태양광발전소 울타리의 접지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18. 09. 03.)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4조(발전소 등의 울타리・담 등의 시설)제4항


에 보면 "고압 또는 특고압 가공전선(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
함)과 금속제의 울타리ㆍ담 등이 교차하는 경우에 금속제의 울타리ㆍ담 등에
는 교차점과 좌, 우로 45m 이내의 개소에 제1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 그러면 태양광발전소(DC 750V이상, 고압)에 고압 또는 특고압 가공전선(전선


에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함)과 금속제의 울타리ㆍ담 등이 교차하지
않는다면 울타리 접지를 제외해도 된다고 이해가 되는데 실제 현장에서 해석
이 각각 다르므로 귀 협회의 정확한 해석이 필요합니다.

회 신

□ 발전소 등의 울타리에서 고압 및 특고압의 가공전선이 교차하는 경우, 전기설


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4조(발전소 등의 울타리·담 등의 시설)제4항을 준용
하여 접지공사를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는 가공전선로로부터 금속제 울타
리·담 등에 전압유도, 단선, 전위 상승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 질의 하신 것처럼 가공전선과 금속제의 울타리ㆍ담 등이 교차하지 않는다면


울타리 접지를 하지 않을 수 있겠지만, 울타리 담 내부에 시설된 고압/특고압
전기설비의 전압유도, 피뢰설비 등으로 인한 금속제 울타리 유도 전압에 의해
인체 접속 시 안전성 확보 등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이 되며, 설
치 장소의 환경 등을 고려하시어 안전상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 할 수가 있는
지에 대해서는 관련 검사 기관과 협의하여 접지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 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01

제 목 전기실 바닥의 마감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19. 12. 10.)

질 의

○ 옥외 전기실 마감 질의입니다. 빌딩이나 옥내 전기실 바닥 마감재로 에폭시 도


장이 되어 있는데 근무중인 옥외 전기실 바닥면이 콘크리트로만 되어 있어,
전기실 출입, 작업시 바닥면에서 먼지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전기실 바닥면을 에폭시 같은 페인트로 도장해야 되는 규정이나 사양이 별도
로 있는지 질의 드립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과 이와 관련한 「내선


규정」 등에서는 ‘전기실 마감’에 대한 기준을 다루고 있지 않습니다.

□ 다만, 기술기준 제2조의 안전 원칙에 따라 모든 전기설비는 감전, 화재 그 밖


에 사람에게 위해(危害)를 주거나 물건에 손상을 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하며, 내선규정 3220-4에서는 수전실 또는 큐비클 시설장소는 물이 침입하거나
침투할 우려가 없도록 조치를 강구하고 벽, 기둥, 바닥 및 천장은 불연재료로
시설하도록 명시하고 있음을 알려드리며, 불연재료는 건축법, 소방법 등을 참
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202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 목 아파트 EPS/TPS실의 시건장치 설치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18. 11. 01.)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 또는 내선규정 등에 아파트 EPS/TPS실 등에 외부인의 출입


을 통제하기 위해 반드시 시건장치를 해야 된다는 의무규정이 있는지 질문 드
립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과 내선규정 등에서는 아파트의 EPS/TPS실에 관한 규정을


별도로 다루고 있지 않습니다.

□ 다만, 고압 또는 특고압의 기계기구, 모선 등을 옥외에 시설하는 발전소ㆍ변전


소ㆍ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울타리·담 등은 출입구에 출입금지 표시와
자물쇠장치 또는 기타 적당한 장치를 할 것(판단기준 제44조)과 노출된 충전부
가 있는 배전반 및 분전반은 취급자 이외의 사람이 쉽게 출입할 수 없는 장소
에 설치하도록(내선규정 제1455절) 규정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03

제 목 수・배전반실 중문 설치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53조 (회신 : 2018. 02. 19.)

질 의

○ 수・배전반의 중문(바깥철문 개방하고 안전을 위한 안쪽이 들여다보이는 문)이


설치한지 오래되고 경첩의 재질이 주철이다 보니 부러지는 곳이 여러 곳 생겼
기에 합선, 누전의 위험이 있어 떼어놓았습니다.

○ 본 중문은 안전을 위하여 제작된 문으로 생각되는데 그냥 중문 없이 전기시설


을 관리하여도 되는지, 위법인지, 처벌사항이 있는지 질의합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은 각종 전기설비 등의 안


전에 필요한 성능과 기술적 요건 규정을 목적으로 하며,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는 질의하신 수・배전반 중문설치에 대해 명
시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 다만,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1조(발전소 등의 시설)2항 및 판단기준 제53조(배전


반의 시설)2항, 제171조(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 배분전반 등의 시설)1항1호,2
호에서 배전반의 설치시 취급자에게 위험이 미치지 아니하도록 적당한 방호장
치 또는 통로를 시설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 질의 하신 수・배전반 중문의 보수 및 제거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수・배전


반 내에는 중문을 설치하여 관리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고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전문가와 상의 후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끝.

※ 참고 기술기준(제21조), 판단기준(제53조, 제171조)


204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 목 수배전반의 전기 기기에 대한 내진설계 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20. 04. 01.)

질 의

○ 최근 내진설계가 강화되고 있어 건축전기정착부 내진설계 및 시공지침에는 정


착 및 고정을 위한 “설비정착부”에 대하여 내진설계에 관한 내용이 있습니다.
그러나 각종 전기설비 자체에 대하여도 내진설계를 의무적으로 하여야 하는지
궁금하며, 내진설계를 적용하여야 함에도 미적용시에는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
므로 이렇게 질의하게 되었습니다.
(각종 전기설비라 함은 수배전반, 분전반, 비상발전기, 무정전전원장치, 조명등
기구 등을 의미합니다.)

1. 건축물 공사시 각종 전기설비(수배전반 등)에 대한 내진설계가 필수인지요?


→ 내진설계라 함은 “내진성능인증제품 사용 또는 제조자(설비공급자)의 내진에
대한 시험성적서 의무 제출 및 발주처 확인“입니다.

2. 각종 전기설비(수배전반 등) 자체가 위와 같이 내진설계가 의무사항일 경우 관


련법령이 무엇인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05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1조제5항은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기기계기구・모선


등을 시설하는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전기
설비는 자중, 적재하중, 적설 또는 풍압 및 지진 그 밖의 진동과 충격에 대하
여 안전한 구조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이는데, 여기서 「변전소에 준하는 장
소」, 「개폐소에 준하는 장소」라 함은 자가용 전기시설물 시설자의 구내 등에
서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기를 수전하여 변성하는 변전실이나 수전실을 가리
키는 것으로서 본 기준은 의무사항입니다(질의 2).

□ 또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4조제6항은 “기술기준 제21조제5항에


따라 내진설계를 하는 경우에는 한국전기기술기준위원회표준 KECG 9701-2014
및 KECC 7701-2014을 참고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는데, 위 조항에서 제시
한 「한국전기기술기준위원회 표준 KECG 9701-2014」는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
에 관한 규칙 및 건축구조기준”법령 개정에 따라 「한국전기기술기준위원회 표
준 KECG 9701-2019 (건축전기설비정착부 내진설계 및 시공지침)」로 개정되었
는데, 본 지침에 따르면 수변전설비, 간선 및 배선설비, 조명설비, 피뢰설비 등
과 이에 포함되는 배관, 전선관, 케이블트레이, 버스덕트 등과 지지부 및 정착
부를 “건축전기설비 비구조요소”라 총칭하며 건축전기설비의 대상이 되고 있
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끝.
206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 목 태양광발전소의 계측장치 종류, 피뢰설비 등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50조 (회신 : 2019. 05. 29.)

질 의

1. 태양광발전설비의 계측장치가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의 무선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등)으로 적용 된 설비인 경우 "기술기준 제50조 계측장치 1항 1호"에
충족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2. 건물 옥상 내 설치 된 태양광발전설비의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피뢰침설비를 부


착 할 경우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적용 가능 여부?

3. 건물 옥상 또는 지붕에 설치 된 고압, 특고압 태양광발전소의 울타리 시설인


경우 판단기준 44조에 적용 여부?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07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50조 제1항 제1호는 “태양전지 발전소는 연계


하는 전력계통에 그 발전소 이외의 전원이 없는 것 외에는 발전소에 발전
기․연료전지 또는 태양전지 모듈의 전압, 전류 또는 전력을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나 그 계측장치의 구조 또는 기술적 구현
방법 등에 대하여는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질의 1).

□ 또한 전기설비기술기준 제6조의2는 뇌방전으로 인한 과전압으로부터 전기설비


의 손상, 감전 또는 화재의 우려가 없도록 피뢰설비를 시설하고 그 밖에 적절
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질의 2), 피뢰침 설비의 시설에 대
한 세부 내용은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또
는 KS C IEC 62305 등의 국가 표준을 참조하셔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아울러 토지의 상황에 의하여 사람이 들어갈 우려가 없는 곳을 제외한 ‘고압


또는 특고압의 기계기구․모선 등을 옥외에 시설하는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4조에 따라 구내
에 취급자 이외의 사람이 들어가지 아니하도록 하고 울타리․담 등을 시설하
여야 하는데(질의 3),

□ 여기서 ‘토지의 상황에 의하여 사람이 들어갈 우려가 없는 곳’이란 하천이나


낭떠러지와 같이 사람이 출입할 우려가 없는 곳을 가리키며 ‘발전소’란 발전
기·원동기·연료전지·태양전지·해양에너지발전설비·전기저장장치 그 밖의 기계
기구를 시설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곳(판단기준 제3조 ‘정의’ 참조)을 의미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208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 목 수전설비 내 주요설비의 이격거리가 의무기준인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53조 (회신 : 2019. 08. 20.)

질 의

○ 내선규정 3220-4 수전실 등의 시설에 관한 사항 중 변압기, 배전반 등 수전설


비 주요부분이 유지하여야 할 거리의 기준을 원칙적으로 표 3220-2의 값 이상
일 것은 의무사항인지 또는 권고사항인지 알고 싶습니다.

회 신

□ 전기설비는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조에 따라 감전, 화재 그 밖에 사람에게 위해


(危害)를 주거나 물건에 손상을 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하며, 전기설비
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53조(배전반의 시설)에서는 취급자에게 위험이 미치지
않도록 방호장치 또는 통로를 시설하여 기기조작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의무사항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 아울러 내선규정은 전기설비기술기준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내용 중


난해한 표현으로 되어 있는 것이나 또는 추상적인 표현으로 되어 있는 조항에
대하여 기술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기술기준과 판단기준의 목적과 취지를 살
려서 구체적으로 알기 쉽도록 표현한 민간단체표준으로서 의무사항, 권고사항,
장려사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내선규정의 법적 지위와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사례집의 ‘내선규정에 대하여’(p.284)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09

제 목 태양광 발전설비의 차단장치 시설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54조 (회신 : 2019. 04. 09.)

질 의

○ 2019년 3월 25일 개정된 전기설비기술기준 판단기준 제54조에 아래 문구가 추


가되어 질문이 있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제54조(태양전지 모듈 등의 시설) ⓛ (생략)
7. 태양전지 발전설비의 직류 전로에 지락이 발생했을 때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해야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태양광 발전소에서 '모듈 ~ 접속반 ~ 인버터 ~ 배전반 or 수변전시설 ~ 한전


인입' 중에서 인버터의 입력 단자까지는 태양전지 발전설비의 직류 전로라고
생각됩니다. (DC입력, AC출력)

○ 여기서 인버터 자체 기능에 직류 지락 차단 장치가 있으면 위 항목에서 말하


는 별도의 보호 장치를 추가로 구성하지 않아도 괜찮은지요?

회 신

□ 태양전지 발전설비 직류회로의 지락보호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어 적정 보호


조치를 위해 제정된 본 조항은 인버터 이하의 전체 직류 전로의 지락 검출 및
차단, 보수 등의 적정 조치가 주목적인 바, 접속반이나 인버터 등에 지락 검출
및 자동 차단기능이 내장되어 있으며, 해당 기능의 적정성을 입증할 수 있다
면 본 규정의 취지에 적합하다고 사료됩니다(직류회로의 지락 검출이란 모듈~
접속반~인버터 등과 같이 태양광 발전소 전체 직류회로의 구간에서 지락 검출
이 가능해야 함). 끝.
210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 목 태양광 모듈의 본딩용 케이블 굵기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54조 (회신 : 2018. 12. 03.)

질 의

○ 태양광 발전설비의 사용전 검사 중 발생한 문제에 대해 문의합니다.

○ 설비는 태양광 모듈을 17직렬 연결하여 개방전압기준 810V가 되고, 상기의 17


직렬을 16병렬로 연결하여 발전설비를 구성하였습니다.
접지를 위해 모듈과 구조체를 4SQ접지선으로 본딩하였고, 이를 접지선 10SQ
를 이용하여 접지하였습니다.
그러나 전기안전공사는 17직렬 연결시 810V가 출력됨으로 고압이니 제1종접지
에 해당하는 전압이니 6SQ 이상의 본딩 케이블을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모듈의 본딩용 케이블까지 6SQ이상을 사용해야 하는지 문의합
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54조는 태양전지 발전소에는 2.5 ㎟ 이상의 연


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전선을 사용토록 명시되어 있는
데, 이는 태양전지의 전압선에 대한 기준으로서 본딩용 접지선의 굵기에 대하
여는 명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기준의 적용조항에 대하여 검사기관과 협의하심
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됩니다.

□ 다만, KS C IEC 60364에 의하여 접지설비를 시행하는 경우에는 내선규정 제


5240절 및 KS C IEC 60364에 따라 주 접지단자에 접속되는 등전위본딩선의
단면적은 6 ㎟ 이상(구리)을 사용하여야 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11

제 목 태양광발전설비 구조물에 피뢰침을 시설해도 되는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54조 (회신 : 2020. 07. 27.)

질 의

○ 태양광발전소의 구조물에 피뢰침을 부착하여 설치하는 경우 기술기준에 부합


되는지 문의 드립니다.

○ 설비는 태양광 모듈을 17직렬 연결하여 개방전압기준 810V가 되고, 상기의 17


직렬을 16병렬로 연결하여 발전설비를 구성하였습니다.
접지를 위해 모듈과 구조체를 4SQ접지선으로 본딩하였고, 이를 접지선 10SQ
를 이용하여 접지하였습니다.
그러나 전기안전공사는 17직렬 연결시 810V가 출력됨으로 고압이니 제1종접지
에 해당하는 전압이니 6SQ 이상의 본딩 케이블을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모듈의 본딩용 케이블까지 6SQ이상을 사용해야 하는지 문의합
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이나 「내선규정」 등에서는 피뢰침의 시설방법을 다루고 있


지 않으나, 모든 전기설비는 사람이나 물건에 위해를 주지 않도록 시설하여야
하며 다른 물건의 기능에 전기적인 장해를 주지 않아야 하는 기술기준 제2조
의 안전원칙에 따라 태양광발전설비 구조물에 무거운 물체를 부착하여 설치할
경우 태양광발전설비 구조물에 대한 전기적, 기계적 안전이 확보되어야 할 것
으로 판단됩니다.

□ 따라서 태양광발전설비 구조물에 피뢰침을 설치해도 좋은지에 대하여 구조물


의 안전진단을 시행하거나 태양광발전설비 시설 허가기관 등에 문의함이 타당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13


3

3. 제3장 전선로
(제57조 ~ 제152조)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15

제 목 전선에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한 경우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79조 (회신 : 2020. 09. 15.)

질 의

○ 사진을 보시면, 특고압선(입력단자)과 해당 건조물이 근접하고 근접한 옆면에


창문이 설치되어 있으며, 옆 건물 2층에서도 쉽게 접근이 가능한데, 이 경우
판단기준 제79조 표79-1에서 “전선에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
한 경우”에 해당하는지 문의합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은 ‘접촉할 우려가 없는 상태’에 대한 정의를 다루고 있지


않으나, 통상적으로 “노출된 충전부에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그 부분을 적당
하게 떼어 놓던지 적당한 높이에 시설하거나 주위에 절연대 또는 울타리 등을
설치하여 근본적으로 접근할 수 없도록 하든지 혹은 주위에 방호장치를 설치
하는 등의 조치를 강구한 상태” 등을 의미합니다(판단기준 제31조제1항 해설).

□ 아울러 우리 협회는 귀하의 사진으로는 ‘접촉할 우려가 없는 상태’인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없으므로 설비 소유자인 한국전력공사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
으로 사료됩니다. 끝.
216 3. 제3장 전선로

제 목 저압 인입선의 설치 높이 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00조

질 의

질의 1 가공인입선의 경우 도로횡단 5m, 그 외의 경우 4m로 알고 있는데, 아래


사진의 농로는 도로로 봐야하는지, 그 외로 봐야하는지 또, 교통에 지장이 없
는 경우로 적용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19.11.06)

질의 2 택지개발공사 진행중 가설 컨테이너 저압전기 인입을 위해 인근 전주에서


보안등(5M)을 이용해 전기를 공급받고자 막다른 길인 4M폭(차도와 보도의 구
별이 없음)의 길을 횡단코자 할 때, 교통에 지장이 없는 막다른 길이기 때문에
보안등(5M)을 이용해 횡단이 가능할 것으로 보는 것이 맞는지요? (‘20.09.14)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17

회 신

회신 1 귀하의 농로가 도로인지 여부와 교통에 지장을 주는지 여부 등은 적정 조


사기관이나 행정관서에 문의하심이 타당한 것으로 사료되나, 판단기준 제100조
는 저압 인입선의 높이를 “도로(차도와 보도의 구별이 있는 도로인 경우에는
차도)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노면상 5 m(기술상 부득이하고 교통에 지장이 없
을 때에는 3 m) 이상, 이외의 경우에는 지표상 4 m(기술상 부득이하고 교통에
지장이 없을 때에는 2.5 m) 이상”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기술기준 제2조의 안전 원칙에 따라 인입선의 지상고 기준점은 해당 지형구간
에서 지상고가 가장 낮게 시설된 개소를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회신 2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00조제5항은 저압 인입선이 도로를 횡


단하는 경우 노면상 5 m 이상 시설하도록 명시하고 있는데, 본 조항에서 노면
상 3 m 이상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① 인입선을 5 m 이상으로 시설하는 것이
기술상 불가능 하고, ② 교통에 지장이 없을 때에 가능합니다.
아울러 귀하의 현장이 택지개발지역으로서 현재는 막다른 도로이지만 도로가
개설되거나 연장될 가능성이 상존하므로 현장의 도로가 교통에 지장이 없는지
에 대한 판단은 택지개발 주관 기관 또는 도로를 관리하는 행정기관에 문의하
여 판단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218 3. 제3장 전선로

제 목 송전선의 지표상 높이 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04조 (회신 : 2020. 05. 07.)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04조 제2항에서 시가지 그 밖에 인가가 밀집


한 지역을 정의하고 있고, 같은조 제1항 [표104-3]에서는 사용전압에 따른 지표
상의 높이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상기 제104조 제2항에서 정의하고 있는
시가지(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양측으로 각각 50 m, 선로방향으로 500m을 취한
50,000m2의 장방형의 구역으로 그 지역(도로부분을 제외한다)내의 건폐율{(조
영물이 점하는 면적)/(50,000m2-도로면적)}이 25% 이상인 경우) 기준 이하의
도시지역 내의 주거지역에 건축을 위하여 도로높이로 토지를 성토하려고 할
때 송전선의 지표상의 높이는 [표104-3]에서 규정한 기준에 따라야 하는지? 아
니면 상기 시가지로 규정한 일정 기준 이하의 도시지역 내 주거지역은 별도의
다른 규정이 있는지? 있다면 어떤 규정을 따라야 하는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 상기 시가지로 규정하는 조건 중 건폐율 25% 기준은 현재 실 건축물의 건폐


율을 계산하는 것인지? 아니면 토지의 용도상「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건폐율 계산인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19

회 신

□ 특고압 가공전선로는 원칙적으로 시가지와 같이 인가가 밀집한 지역에 시설하


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나, 도시 개발에 따라 시가지화 되어버린 예가 많기 때
문에 본 기준은 주변이 시가지화 한 경우에 필요한 개수(改修)기준을 명시하
고, 제1항 각호에 따라 시설할 경우에는 시가지에서 시설이 가능토록 명시한
내용이므로 귀하의 현장이 개발되어 시가지가 될 경우에는 동 기준 제104조에
따라야 할 것이며, 시가지 외 기타 지역이라면 특고압 가공전선의 지표상 높
이는 동 기준 제110조에 따라야 하고, 향후 건조물이 들어설 경우 특고압 가공
전선과 건조물은 동 기준 제126조에 명시한 이격거리를 준수하여야 할 것입니
다(질의 1).

□ 또한 전기설비는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조의 안전원칙에 따라야 하는 바, 판


단기준 제104조제2항에서 규정한 건폐율은 관련법에서 허용하는 최대값이 되
는 경우를 적용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되며, 동 조 제2항의 “시가지 기타 인
가가 밀집한 지역”에 대한 해석은 아래와 같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2016 전기
설비기술기준 해설서」 p.318~321 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
① 조영물이 일률적인 모양을 한 경우로서 전선로의 한쪽에는 조영물이 집중하고,
전선로의 경과지와 다른 쪽이 거의 전답인 경우에는 건폐율 값에 구애됨이 없
이 적용 외로 간주하고
② 그 반대로 건폐율 계산 값이 기준에서 규정한 수치 이하이나, 전선로 주위에
상점, 흥행가, 사무실 등이 집중하여있는 경우는 당연 시가지로 본다.

□ 참고로 판단기준에서 규정하는 이격거리는 최소한의 안전거리이므로 귀하 현


장의 성토에 따른 특고압 가공선로 지표상 높이 등은 특고압 가공선로를 소유
또는 운영하는 기관과도 협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220 3. 제3장 전선로

제 목 154kV 케이블을 옥외 파이프 랙에 시설하는 공사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06조 (회신 : 2020. 03. 18.)

질 의

○ 154KV 케이블 공사를 지중 공사가 아닌 옥외에 파이프 랙을 이용하여 가공으


로 시공시 관련 법규는 어떤 조항을 적용하여 설계를 하여야 하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는 귀하의 질의와 같은 공사에 대한 시설기준을 다루


고 있지 않으나 귀하의 설비가 ①지상에 설치하는 전선로, ②가공케이블의 시
설, ③전선로 전용교량 등에 시설하는 전선로 등으로 구분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하오니 해당하는 규정을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① (지상에 설치하는 전선로) 판단기준 제147조에서 지상에 시설하는 특고압 전선


로의 사용전압을 100 kV 이하로 제한하는 이유는 지중전선로에 비하여 위험
도가 높기 때문이나 동 기준 제44조에서 규정하는 바와 같은 구내에 일반인이
출입하지 않도록 시설한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혹은 이들에 준하는 장소의
구내의 지상에 시설하는 전선은 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② (가공케이블의 시설) 동 기준 제106조는 특고압 가공케이블의 시설에 대한 시
설기준을 명시하면서 전압의 제한을 정하지 않았으나, 동 기준 제96조는 100
kV를 초과하는 특고압 옥측전선로의 시설을 금지하고 있으며, 동 기준 제99조
는 특고압 옥상전선로의 시설을 금하고 있습니다.
③ (전선로 전용교량 등에 시설하는 전선로) 아울러 교량에 설치하는 전선로는 두
가지 기준이 있는 바, 철도교량 또는 도로교량 등에 첨가하여 시설하는 「교량
첨가전선로」는 동 기준 제148조를, 지중전선로가 하천을 횡단할 때와 같이 전
선로 전용의 교량에 시설하는 전선로는 동 기준 제149조를 적용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되며, 전선로 전용교량 또는 파이프스탠드 및 이와 유사한 것에
시설하는 전선로의 사용전압은 100 ㎸ 이하로 제한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
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21

제 목 배전반내 몰드변압기와 대지간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08조 (회신 : 2018. 07. 04.)

질 의

○ 몰드변압기의 몰드 표면과 대지 간 이격거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 변압기 제작업체에서는 IEC-60076-3-1에 의거 몰드표면과 대지 간 이격거리가


100mm 이상이면 된다고 하나, 사용전검사 담당자는 몰드표면을 충전부로 봐
야도기 때문에 몰드표면과 대지 간 이격거리가 200mm 이상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 22.9kV/3.3kV 몰드변압기 표면(에폭시부)을 충전부로 봐야하는지, 충전부와는


다른 몰드표면으로 봐야하는 것인지요?
222 3. 제3장 전선로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08조에 의거하여 특고압 가공전선과 지지물


등의 이격거리는 [표 108-1]에서 정한 값 이상으로 설치하여야 합니다.(다만,
기술상 부득이한 경우에 위험의 우려가 없도록 시설한 때에는 [표 108-1]에서
정한 값의 0.8배까지 감할 수 있다.)

사용전압 이격거리(㎝)

15 kV 미만 15
15 kV 이상 25 kV 미만 20
25 kV 이상 35 kV 미만 25
35 kV 이상 50 kV 미만 30
50 kV 이상 60 kV 미만 35
60 kV 이상 70 kV 미만 40
70 kV 이상 80 kV 미만 45
80 kV 이상 130 kV 미만 65
130 kV 이상 160 kV 미만 90
160 kV 이상 200 kV 미만 110
200 kV 이상 230 kV 미만 130
230 kV 이상 160

□ 제작업체가 주장하는 IEC-60076-3-1에서는 몰드표면과 대지간 이격거리가


100mm, 안전공사에서 주장하는 이격거리 200mm에 대해서 귀하께서 시행하
시는 교체공사에 적용되어야 하는 표준 또는 규정이 어떤 것인지 공사시방서
또는 계약서 내용을 전문가와 함께 검토하시고 결정하시기를 권고드립니다.

□ 또한 대한전기협회는 「전기사업법」 제98조 등에 의해 위탁기관으로 지정되어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대한 유지・관리 업
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상기 기준에 대한 유지・관리 업무 이외의 특
정 기자재에 대한 기준 적용범위, 유권해석이나 적정시공판별 등에 관한 업무
는 관련 기자재 제조사 또는 검사기관, 계약당사자 등과 논의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23

제 목 22.9kV 가공전선로와 해상교량과의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10조 (회신 : 2020. 08. 13.)

질 의

○ 신규로 시공되는 해상 교량이 22.9kv 가공전선로의 하부를 횡단할 경우 전기


설비판단기준 제 110조(특별고압 가공 전선의 높이) 표 110-1 에 따라 도로를
횡단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노면으로 부터 6m의 수직 이격거리를 확보하면 되
는 것인지요?
○ 교량과 인접한 배전철탑(SF type)과의 수평 이격거리에 대한 판단은 어떤 조항
을 적용함이 타당한지 문의 드립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는 해상 교량과 특고압 가공전선로와의 이격


거리를 다루고 있지 않으나, 가공전선로의 도로상 높이가 보장되어야 해상 교
량으로 차량 통행이 가능할 것이므로 귀하의 해상 교량의 최상층 노면과
22.9kV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이격거리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
110조 [표 110-1]에 따라 6m 이상이 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최소한의 안전 이
격거리로서 현장에서의 지표상 최소 높이는 설비를 소유하고 유지, 관리하는
기관에 문의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1).

□ 아울러 기술기준에서 명시하는 이격거리는 전선로의 충전부와 건조물 등과의


거리를 의미하므로 배전철탑 기초 또는 지지물이 아닌 특고압 충전부와 교량
과의 이격거리를 적용하여야 합니다. 또한 귀하 교량의 도로가 특고압 전선로
에 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에는 판단기준 제127조를 적용하시기 바라며, 교
량의 구조물이 충전부에 접근하는 경우에는 동 기준 제126조를 적용하시기 바
랍니다. 다만, 배전철탑이 한국전력공사의 22.9kV-y 중성선 다중접지 특고압
가공전선로라면 동 기준 제135조를 참고하시되, 현장의 특고압 전선로가 중성
선 다중접지 방식인지 여부와 전선의 종류 등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설비
소유자에게 문의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2). 끝.
224 3. 제3장 전선로

제 목 특고압 가공전선과 도로와의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10조 (회신 : 2020. 05. 28.)

질 의

○ 판단기준에서 특고압 가공전선의 높이(제110조)와 특고압 가공전선과 도로와의


이격거리(제127조)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문의합니다.
특고압 가공전선의 높이(제110조) 에서는 154kV의 경우 6m, 345kV의 경우
8.28m(6+19*0.12) 로 규정하고 있고, 가공전선과 도로와의 이격거리(제127조)에
서는 154kV의 경우 4.8m(3+12*0.15), 345kV의 경우 7.65m (3+31*0.15)로 규정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제127조의 경우 1차 접근상태, 2차 접근상태의 이격거
리에 대해서 부연설명이 있긴 하나, 도로와 교차 또는 도로 등의 위에 시설되
는 경우 이격거리에 대해서는 별도 명시가 없습니다.

○ 다른 Q&A를 보니 특고압전선과 도로와의 이격거리는 110조를 따른다고 되어


있는데, 그럼 127조의 이격거리는 어떤 의미인지요?

○ 보통 차량의 도로통행제한이 4m, 사전허가시 4.5m까지 통행이 가능한데요,


110조에 의한 6m도 너무 낮은 것이 아닌가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에 의하면 충전전로와 차량, 기계장치와의 이격거리를 154kV의 경우 3.4m,
345kV의 경우 4.5m로 제한하고 있는데요. 송전선 직하에서는 어떠한 작업도
불가능할 높이입니다. 안전을 고려하여 개정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가 제안합
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25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10조는 특고압 가공선로의 철도, 궤도, 횡단


보도교로부터의 높이에 대한 안전 이격거리 기준이며, 제127조는 특고압 가공
선로가 도로, 횡단보도교, 철도, 궤도 등과 제1차 접근상태 또는 제2차 접근상
태로 시설되는 경우에 대한 안전 이격거리 기준인데, 제127조에서 명시하는 제
1차 및 제2차 접근상태에 대한 설명은 판단기준 제2조 제9호와 제10호 및 「
2016 전기설비기술기준 해설서」 p.68~69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 아울러 판단기준에서 규정하는 이격거리는 최소 안전거리로서 실제 상황에서


의 이격거리는 설비를 소유한 주체가 별도로 정하여 운영하는 것이 타당할 것
으로 사료되나, 본 기준의 개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FAQ 11번 내용과 같이 개
정 의견을 공문으로 제시하여 주시면 관련 기술위원회에서 적극 검토할 예정
임을 알려드립니다(질의 2). 끝.
226 3. 제3장 전선로

제 목 송전선로와 연료전지 발전시설간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26조 (회신 : 2020. 02. 14.)

질 의

○ 판단기준 126조 3항 중 괄호의 내용을 보면 '199조, 200조, 201조, 202조의 해


당되는 건물은 이를 제외하며' 라고 되어있는데. 여기서 제외라는 말이 “해당
건물들은 2차 접근상태로 들어올 수 없다”란 의미인가요?
○ 연료전지발전시설이 판단기준 200조 또는 201조의 시설에 해당될까요? (*연료
전지 : 수소가스 사용)

회 신

□ 귀하가 질의하신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26조제3항의 괄호 안에


있는 문장은 아래와 같은 의미입니다(질의 1).
① 제199조제1항 및 제2항・제200조 또는 제201조에 규정하는 장소가 있는 건
물 및 제202조제1항에 규정하는 건물은 판단기준 제126조제3항의 기준을 적용
하지 않는다.
② 판단기준 제126조제3항에서 적용하는 건조물은 상기 ①을 제외한 건조물로
서 제2차 접근상태로 있는 부분의 상부조영재가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건축 재료로 건조된 것에 한한다.

□ 아울러 판단기준 제200조는 수소와 같은 가연성의 가스 또는 인화성물질의 증


기가 충만하여 점화원이 있으면 폭발할 우려가 있는 위험장소에 시설하는 경
우의 기준이며, 동 기준 제201조는 제199조와 제200조에서 규정한 바와 같은
위험성은 적지만, 한번 화재가 생긴 경우에는 화재의 확대가 빠르게 진행되는
위험성을 갖고 있는 장소에 대하여 적용하는 기준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질의 2).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27

제 목 건축용 방호관과 신축 건물과의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26조 (회신 : 2018. 02. 27.)

질 의

○ 기존 전주 옆에서 신축 건물이 진행되고 있어서 건축용 방호관 설치를 검토하


고 있는데, 신축건물과의 이격거리에 대해 의문점이 있습니다.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26조에 의하면 특고압 가공선로와 기타 조영


재와의 이격거리는 1.5m(전선에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한 경
우는 1m) 라고 되어 있는데, 여기서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다는 말의 정확한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 전주가 사람이 쉽게 승주할 수 없도록 1.8m 미만에 발판이 설치되지 않았다
라는 의미인지?
- 전선이 적정 지상고를 유지하였다는 것인지?
- 사람이 통상 통행하는 것으로 부터 손을 내밀어도 전선에 접촉하지 않도록 시
설되었다는 것인지요?

회 신

□ 현행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에서는 “전선에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에 대하여 별도의 기준을 규정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해
설에서는 “건조물의 측방에 대해서 「사람이 쉽게(용이)하게 접촉할 우려가 없
도록」이라고 하는 조건이 더하여졌지만 이것은 건조물의 측방에서 창이 가깝
게 있기도 하고, 사람이 손을 내밀어 쉽게 전선에 접촉할 경우를 생각한 것으
로, 창이 없는 건조물의 측방에 대해서는 완화 가능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
라고 해석하고 있으며, 그 외 특고압 절연전선을 방호구 등에 넣어 전선을 사
람이 직접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 등도 이에 해당할 수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228 3. 제3장 전선로

제 목 공장, 전봇대 이격거리 및 전력설비 관리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26조 (회신 : 2020. 07. 15.)

질 의

○ 전봇대와 공장 사이의 이격거리 기준이 있는지요?


○ 변압기, 애자, 고압선로 각각 이격거리가 다른지요?​
○ 공장 신축 허가 시 이격거리에 관한 사항도 검토가 되는 지요?
○ 공장은 전봇대의 어느 부분까지 관리해야 하고 소유가 인정 되는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29

회 신

□ 전력설비와 건조물 등과의 이격거리는 전력설비의 전압, 전선의 종류 등에 따


라 상이하므로 사진으로는 귀하의 질의에 답변이 어려움을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로 「전기설비기술기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은 지지물(전주)


또는 애자 등과 건조물 간 이격거리를 다루고 있지 않으며, 특고압 가공전선
과 건조물의 이격거리는 판단기준 제126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또한 귀하가 공장 신축허가 시 전력설비와의 이격거리를 검토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것은 건축허가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
되며

□ 수전설비의 유지보수 및 안전관리 등에 대하여는 현장 전기설비의 전기안전관


리 업무를 담당하는 전기안전관리자 또는 한국전기안전공사(T. 1588-7500)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아울러 귀하의 사진으로 판단할 때 귀하의 전력설비는 공장에 전기를 공급하


기 위한 특고압수전설비로 추정됨에 따라 판단기준 제44조에 명시한 울타리
등의 시설도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예상됨을 알려드립니다. 끝.
230 3. 제3장 전선로

제 목 제2차 접근상태 해당 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26조 (회신 : 2015. 07. 06.)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조 10호 ‘제2차접근상태’는 가공전선이 다른


시설물과 접근하는 경우에 그 가공전선이 다른 시설물의 위쪽 또는 옆쪽에서
수평거리로 3 m 미만인 곳에 시설되는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때 가
공전선이 다른 시설물의 위쪽에서 수직거리로 3 m 이상 떨어져 있을 때 “제2
차 접근상태”로 볼 수 있는지(첨부 그림1)?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26조 3항 관련, LPG 충전소 신축시 주유기와


그 위의 케노피를 건조물이 아닌 기계기구로 판단 가능여부, 그리고 기계기구로
판단할 경우 특고압 가공전선과 상기 도면과 같이 제2차 접근상태에 시설할 수
있는지, 이때 주유기와 케노피를 건조물이나 기계기구로 판단하는 기준은(첨부
그림2)?

첨부 그림1 첨부 그림2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31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조(정의)제10호에서 ‘제2차 접근상태’란 가공


전선이 다른 시설물의 위쪽 또는 옆쪽에서 접근하는 경우에 수평거리로 3 m
미만인 곳에 시설되는 상태를 말하고 있습니다. 이에, 질의하신 시설물의 상태
(도면)는 수평거리로 3 m 이내에 시설되기 때문에 “제2차 접근상태”에 해당합
니다.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26조 제3항은 사용전압이 35 kV 초과 400 kV


미만인 특고압 가공전선이 건조물(동 판단기준 제199조제1항 및 제2항, 제200
조, 제201조, 제202조제1항에 규정하는 건물은 제외, 또한 제2차 접근상태로 있
는 건조물의 상부조영재가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건축 재료로
건조된 것)과 제2차 접근상태에 있는 경우, 각 호(제1호 ~ 제4호)에 따라 시설
하여야 하는 규정으로, 그 외에는 건조물과 제2차 접근상태로 시설할 수 없다
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질의하신 LPG 충전소(주유기 및 케노피)는 제
126조 제3항을 만족할 경우 시설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또한, 주유기와 케노피의 건조물 또는 기계기구 판단 관련으로 전기설비기술기


준의 판단기준 및 내선규정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음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건조물’에 대해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및 내선규정에서 정의
• (판단기준 해설서) 사람이 거주, 근무, 빈번히 출입, 운집하는 조형물
- 조형물 : 토지에 정착하는 시설물중 지붕 및 기둥 또는 벽을 가진 시설물
• (내선규정) 사람이 거주, 근무, 빈번히 출입, 모이는 건축물 등

○ ‘전기기계기구’에 대해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및 내선규정에서 정의


• (판단기준 해설서 및 내선규정) 배선기구·가정용전기기계기구·업무용전기
계기구·백열전등 및 방전등(관등회로의 배선 제외)
- 기계기구는 전기기계기구를 의미

끝.
232 3. 제3장 전선로

제 목 지중관로 매설깊이 기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36조 (회신 : 2020. 06. 03.)

질 의

○ 판단기준 136조 2항의 1에 따르면, 관로식의 경우 기본적으로 매설 깊이를


1.0m 이상으로 하되, 매설 깊이가 충분하지 못한 장소에는 견고하고 차량 기
타 중량물의 압력에 견디는 것을 사용할 것으로 되었습니다.

○ 또한 전기설비기술기준 해설서는 견고하여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에 견디는


것은 KS C 3140(2014) 전력용 케이블의 지중 매설 시공방법의 4.2 관로를 참
조하게 되어 있습니다.
다만, KS C 3140 1. 적용 범위에 따르면 사용 전압 7000V 이하의 전력용 케이
블을 수요 장소의 지중에 시설하는 다음의 전기 시설물의 시공 방법에 규정하
고 한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a) 관로 인입식, b)직접 매설식, c) 옥외 배선

1. 만약 지중케이블이 특고압케이블일 경우에도 동일하게 4.2의 내용을 적용하여


도 되는지요?

2. 매설 깊이가 충분하지 못한 장소에 KS C 3140에 적합한 관로를 사용할 경우


최소 매설 깊이 확인 부탁드립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33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36조제2항제1호는 “지중전선로를 관로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는 매설 깊이를 1.0 m이상으로 하되, 매설 깊이가 충분하
지 못한 장소에는 견고하고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에 견디는 것을 사용할
것. 다만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없는 곳은 60 cm 이상으로 한다.”고 명
시하고 있는데 이는 매설깊이가 1m 이상이 되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나 현
장 여건에 따라 이를 지킬 수 없는 경우에는 견고하고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
력에 견디는 것(관로)을 사용하여야 함을 명시하면서 관로의 종류는 KS C
3140의 4.2항을 참조하라고 해설서는 설명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 따라서 본 해설에서는 전압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으므로 KS C 3140 4.2항에


명시한 관로가 특고압용으로 적합하다면 특고압전선로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
이며, 본 질의와 유사한 2257번 질의・답변 내용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 또한 암거식 시설은 매설 깊이에 제한이 없으므로 관로 매설 깊이가 충분하지


못할 경우에는 암거식으로 시공함이 타당할 것이나, 도로를 통과하는 중량물
의 최대 값, 관로 규격 등 다양한 조건에서 하중을 견딜 수 있다는 자료를 제
시한다면 관로식으로도 시공이 가능할 것인 바, 매설 깊이가 충분하지 못한
관로식의 시공은 상기 자료를 근거로 발주자, 설계자, 감리, 검사기관 등과 협
의하여 결정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2). 끝.
234 3. 제3장 전선로

제 목 가공지선, 수평지선 및 중성선과 건조물간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35조 (회신 : 2019. 06. 21.)

질 의

1. 건조물(건물) 측방에 전봇대의 수평지선(와이어줄)이 지나가는데, 건조물과 수


평지선과의 이격거리 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2. 건조물(건물) 측방에 전봇대의 중성선이 지나가는데, 건조물과 중성선과의 이격


거리 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3. 수평지선, 중성선과 더불어 전봇대 맨 꼭대기의 가공지선과의 건물 측방거리


기준도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및 내선규정 등에서는 ‘수평


지선, 중성선, 가공지선’ 등과 같은 구체적인 전력시설물과 건조물의 이격거리
를 다루고 있지 않습니다.

□ 다만, 판단기준 제135조제4항제11호는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다중접지를 한 중


성선은 저압 가공전선에 준하여 시설하도록 명시하고 있음을 참조하시기 바라
며(질의 2),

□ 전기사업법 제2조제16의2항 및 기술기준 제3조는 ‘전선로란 발전소・변전소・


개폐소, 이에 준하는 곳, 전기사용장소 상호간의 전선 및 이를 지지하거나 수
용하는 시설물’이라 정의하고 판단기준 제79조, 제126조, 제135조 및 내선규정
2155-5 등에서 ‘가공전선로’와 건조물 등과의 최소 이격거리를 전압별로 다르
게 규정하고 있으므로 귀하가 질의하신 수평지선과 가공지선 등의 절연 및 접
지상태 등을 감안하여 ‘전선로’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적정 이격거리에 대하여
설비관리 주체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1, 3).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35

제 목 맨홀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구멍을 막아도 되는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37조 (회신 : 2020. 09. 09.)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37조(지중함의 시설) 제2항에 “지중함은 그


안의 고인 물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을 것”라고 되어 있는데, 한전
패드에서 건물 전기실(저압수전 380/220)로 인입전에 맨홀이 하나 있습니다.
그 맨홀에 이번 장마기간 동안 많은 비가 내리면서 물이 가득 차게 되는데 전
기실 쪽으로 물이 흘러 들어오는게 불안해서 내화폼으로 구멍을 막을까 고민
중인데 그래도 되는지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 막음으로써 발생되는 단점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37조제2항에서 지중함은 고인 물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하라고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지중함에 물이 고일 경우 케이
블의 열화를 촉진하거나 보수점검에도 불편하기 때문에 지중함에는 절대로 물
이 들어가지 않아야 마땅함에도 상황에 따라 침수를 방지하는 구조로 하는 것
이 곤란하여 고인 물을 배수할 수 있는 구조로 할 것을 정하고 있습니다. 따
라서 통상 지중함 밑바닥에 물 고이는 곳을 만들어 놓고 그 속에 고인 물을
빨아올리든가 혹은 이 물 고이는 곳과 하수관을 연결하여 고인 물을 배수한다
든가 하여야 할 것입니다.

□ 아울러 귀하의 지중함 규격을 알 수 없으나 통상 지중함과 관로가 접속되는


곳에는 침수방지를 위한 ‘관로구 어댑터, 고무 패킹, 관로구 덮개’등이 시설되
는 등 다양한 침수방지 조치가 되어있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귀하가 관로 구멍
을 내화폼으로 영구적으로 막을 경우 기존 방수장치 기능의 무력화는 물론 향
후 유지보수 및 신규관로 삽입 불가 등의 문제가 예상되므로 귀하께서는 지중
함 제작사와 협의하여 판단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236 3. 제3장 전선로

제 목 맨홀에 고인 물은 무조건 제거해야 하나요?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37조 (회신 : 2020. 07. 15.)

질 의

○ 우리 사업장에서는 수백개의 지중함(맨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집중호우 등 우


천시 지중함(맨홀) 내 물이 유입되어 물 고임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이에 따라, 지중함(맨홀) 내 고인을 물을 제거하기 이동식 배수펌프를 사용하
여 주기적으로 배수를 하고 있으며, 시설의 중요도 및 침수 취약지역 등 필요
한 경우에는 자동 배수펌프 장치를 설치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지중함(맨홀)에 자동 배수펌프 장치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동 시설이 설치가 되어 있지 않은 대부분의 지중함(맨홀)에는 물이 고
일 수 밖에 없고, 고인물을 모두 제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사항입
니다.

1.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37조(지중함의 시설) 제2항에 "지중함은 그 안


의 고인 물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을 것"이라 되어 있는데, 이것은
지중함(맨홀)에 물고임이 발생하지 않거나, 고인 물을 즉시 제거하여야 되는
것인지 여부

2. 만약, 고인 물을 즉시 제거하여야 한다면, 현실적으로 고인물을 제거할 방법이


없는 경우 법 제촉 여부 및 이에 따른 벌칙조항 여부

3.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은 산자부 공고 사항인데, 이는 권고사항 인지 아


니면 강제이행 사항인지 여부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37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37조는 “지중함은 그 안의 고인 물을 제거


할 수 있는 구조”로 명시하고 있으며 「2016 전기설비기술기준 해설서」는 “지
중함에 물이 고이는 곳을 만들어 놓고 그 속에 고인 물을 빨아올리든가 또는
이 물 고이는 곳과 하수관을 연결하여 고인 물을 배수한다든가 하는 것”이라
는 설명과 함께 그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이는 고인 물이 케이블의 열화를 촉진시켜 전기고장의 원인이 되어 「전기설비


기술기준」 제2조의 “전기설비는 사용목적에 적절하고 안전하게 작동하여야 하
며, 그 손상으로 인하여 전기 공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시설하여야 한다.”는
안전원칙에 위배되지 않도록 하라는 의미로서 귀하께서는 본 기준의 취지에
맞도록 시설하고 유지보수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1).

□ 또한 「전기설비기술기준」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은 의무기준으로서


전기설비를 소유 또는 점유하는 자는 전기사업법 제68조에 따라 기술기준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이를 어길 경우의 벌칙사항은 전기사업법 제12
장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 3). 끝.
238 3. 제3장 전선로

제 목 맨홀 내 철제사다리, 뚜껑, 피복금속체의 접지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39조 (회신 : 2019. 09. 03.)

질 의

○ 판단기준 139조(지중전선의 피복금속체 접지)


관․암거․기타 지중전선을 넣은 방호장치의 금속제 부분(케이블을 지지하는
금구류는 제외한다)․ 금속제의 전선 접속함 및 지중전선의 피복으로 사용하
는 금속체에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 다만, 이에 방식조치(防蝕措置)
를 한 부분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지중선로(Electrical Duct Bank)에 설치되는 특고압케이블(11kV Cable)이 접속


부 없이 맨홀을 통해 포설되어 있습니다.

1. 제139조에 명시된 "관․암거․기타 지중전선을 넣은 방호장치"에 맨홀이 방호


장치에 포함되는지요?

2. 방호장치에 맨홀이 포함된다고 하면 "금속제부분은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케이블을 지지하는 금구류는 제외한다.)"라고 언급되어 있습니다.
- 금속제부분에 철재사다리, 맨홀뚜껑이 포함되는 것인지요.
- 포함되면 맨홀뚜껑에 제3종 접지를 해야 하는지요.

3. 질의 2의 답변으로 맨홀뚜껑이 제3종접지를 하여야 한다면 "케이블을 지지하는


금구류는 제외한다."와 상충되지 않는지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39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및 내선규정 등에서는 방호


장치의 정의를 다루지 않으나 판단기준 제2조(내선규정 1300-09 참조)에 의하
면 ‘맨홀, 핸드홀, 감시공 등과 같은 지중함은 케이블의 교체와 케이블 접속을
하기 위하여 관로의 도중에 설치한 일종의 지하실’로 정의되고 있으며, 동 기
준 제136조는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으로 시설하는 경우에는 견고한 방
호물에 넣어야 한다.’고 규정하는 바, 귀하가 질의한 맨홀은 동 기준 제139조
에서 명시한 접지대상 ‘방호장치’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질의
1)

□ 다만, 동 기준 제139조는 케이블 고장 시에 금속체의 유기전압을 경감시키고


동시에 고장전류를 대지로 용이하게 방류하기 위하여 접지공사를 시행하라는
의미이므로 귀하 현장의 맨홀이 케이블 고장발생 시 유기전압으로 인한 안전
사고 발생이 우려된다면 동 기준 제139조에 따라 접지공사를 시행함이 타당할
것입니다. (질의 2)

□ 아울러 케이블의 금구류, 조가금구류는 케이블이 금속차폐층을 가지고 있고,


그것이 접지되어 있어서 정전유도에 의한 유기전압을 발생시킬 우려가 없을
뿐 아니라, 전자유도에 의한 유기전압은 안전상의 관점으로부터 무시 가능한
정도인 것이기 때문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금구류는 접지대상에서 제외하고 있
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3). 끝.
240 3. 제3장 전선로

제 목 특고압케이블과 수도관과의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41조 (회신 : 2013. 04. 04.)

질 의

○ 공동구내 청소용수 공급용도로 설치된 수도관과 특고압 지중케이블과의 이격


거리 기준 및 시설방법

○ 수도관 시설내용 : 전력케이블 설치 위치에 청소용수 수도관 시설


○ 전력케이블 설치 시 : 이격거리 15 ㎝

○ 질의 내용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141조제3항에 의거 특고압 지중전선이 관과
접근하거나 교차하는 경우의 상호간 이격거리 확보 기준 및 시설방법

청소 수도관 설치 위치 도면 및 이격거리 표시도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41

회 신

□ 판단기준 제141조는 지중전선의 고장 시에 아크방전에 의한 지중약전류전선


등에 손상을 줄 우려를 고려하여 상호 이격거리의 최저치를 규정한 것이며,
최저치 이하일 때는 상호간에 콘크리트, 철판 등 견고한 내화성이 있는 격벽
을 시설하든가, 또는 케이블을 견고한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관에 넣어, 관이 지중약전류전선 등과 직접접촉하지 않도록 규정한 시설기준
입니다. 이 조는 공동구 내에서 다른 시설물과 접근 또는 교차하는 경우에도
적용됩니다.
여기서 「내화성」이란 콘크리트 등의 불연재료로 만들어진 것이므로 가열된
상태에서도 현저한 변형 또는 파괴하지 않는 재료를 말하며, 「불연재료」란
불에 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를 말하며,「난연성」이란 불꽃을 대면
타지만 조금도 연소 확대가 없는 것, 「자소성」이란 불꽃을 대면 타지만 불
꽃을 떼면 자연히 꺼지는 성질을 가진 것을 말합니다.

□ 판단기준 제141조제3항은 특고압 지중전선과 가연성 또는 유독성의 유체를 내


포하는 관 이외의 수도관, 증기관 등에 대한 이격거리를 규정한 것으로, 특고
압 지중전선과 수도관의 이격거리는 상호간 이격거리가 30 ㎝ 이하인 경우 상
호간이 접촉하지 않도록 격벽을 시설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고압 지중전선
을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관에 넣는다든가, 또는 제2항에 규정
한 관이외의 관(수도관 등)이 불연성의 것인 경우와 불연성의 재료로 피복하고
있는 경우는 아크에 의한 손상의 정도가 작기 때문에 상호간이 접촉하지 않도
록 시설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특례로 인정하고 있으므로 특고압 지중전
선과 수도관의 이격거리가 15 ㎝ 이하일 경우도 이를 적용하여 시설하시기 바
랍니다. 끝.
242 3. 제3장 전선로

제 목 특고압 케이블 관로에 광케이블 동시포설이 가능한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41조 (회신 : 2020. 08. 05.)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41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특고압 지중전선이 지중약전류전선과의 이격거리가 60cm 이하인 때에는, 지중전선과 지중약전선 사


이의 격벽을 설치하는 경우 이외에는 지중전선을 견고한 불연성(不燃性) 또는 난연성(難燃性)의
관에 넣어 그 관이 지중약전류전선 등과 직접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
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지중 약전류전선 등이 전력보안 통신선인 경우에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재료로 피
복한 광섬유케이블인 경우 또는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관에 넣은 광섬유 케이블인
경우
2. 지중전선이 저압의 것이고 지중 약전류전선 등이 전력보안 통신선인 경우
3. 고압 또는 특고압의 지중전선을 전력보안 통신선에 직접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시설하는 경우
4. 지중 약전류전선 등이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재료로 피복한 광섬유케이블인 경우
또는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관에 넣은 광섬유케이블로서 그 관리자와 협의한 경우
5. 사용전압 170 kV 미만의 지중전선으로서 지중 약전류전선 등의 관리자와 협의하여 이격거리를
10 cm 이상으로 하는 경우

○ 그림과 같이 한 관로에 특고압케이블(TR-CNCE-W)과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재료로 피복한 광섬유케이블이 함께 포설이 가능한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43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41조제1항은 지중전선과 지중약전류전선


등이 접근 또는 교차하는 경우의 이격거리를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지중전선
로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아크방전에 의한 지중약전류전선 등에 손상을 줄 우
려를 고려하여 상호 이격거리의 최저치를 나타냄과 함께 그 이하일 때는 상호
간에 콘크리트, 철판 등 견고한 내화성이 있는 격벽을 시설하거나 지중전선을
견고한 불연성(不燃性) 또는 난연성(難燃性)의 관에 넣어 지중전선이 지중약전
류전선 등과 직접 접촉하지 않아야 함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 또한 아래와 같은 경우는 지중전선과 지중약전류전선을 같은 관로에 함께 시


설하여 접촉이 가능한 예외조건을 두고 있으므로 본 조항을 정독하시어 적용
하시기 바랍니다.

○ 지중약전류전선이 전력보안 통신선 용도일 때


- 지중약전류전선이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재료로 피복한 광섬유
케이블인 경우
- 지중약전류전선이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관에 넣은 광섬유 케
이블인 경우
- 지중전선이 저압인 경우

○ 지중약전류전선이 일반 용도일 때
- 지중약전류전선이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재료로 피복한 광섬유
케이블로서 그 관리자와 협의한 경우
- 지중약전류전선이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관에 넣은 광섬유케이
블로서 그 관리자와 협의한 경우. 끝.
244 3. 제3장 전선로

제 목 맨홀내 예비관로와의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41조 (회신 : 2018. 04. 17.)

질 의

○ 현재 지중맨홀은 6600V의 고압 맨홀인데, 여기에 예비관로가 있어 22.9kV 특


고압 지중케이블을 혼재하여 사용합니다.

○ 그렇게 시공하면 두 관 사이에 이격거리가 30Cm 이내라 어떤 보완조치를 해


야 하는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41조와 관련하여 문의합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41조(지중전선과 지중 약전류전선 등 또는


관과의 정근 또는 교차)는 지중전선과 지중 약전류전선 등, 가스관, 수도관 등
의 관이 교차하는 경우의 규정입니다.

□ 귀하께서 질의 하신 내용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42조제①항 의


내용으로 지중전선이 다른 지중전선과 접근하거나 교차하는 경우에 지중함 내
이외의 곳에서 상호 간의 이격거리가 저압 지중전선과 고압 지중전선에 있어
서는 15 cm 이상, 저압이나 고압의 지중전선과 특고압 지중전선에 있어서는
30 cm 이상이 되도록 시설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예외로 할 수 있는 1~4호


를 참고 하시고 포설시 전문가(업체)등과 협의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45

제 목 저압 및 고압 지중관로간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42조 (회신 : 2020. 07. 22.)

질 의

○ 지중관로로 같은 저압끼리의 상호 이격거리와 같은 고압끼리의 상호이격거리


를 알고 싶어서 질의를 올립니다. 다중접지로 한전전선로에 접속하는게 아니
고 개별접지이며, 배관 배선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회 신

□ 귀하의 설비가 25kV 이하인 다중접지방식의 선로가 아니라면 「전기설비기술기


준의 판단기준」 제142조 및 내선규정 2150-8에 따라 저압 및 고압 지중전선
상호간 이격거리는 15 cm 이상이 되도록 시설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되나
동 조 제1항 단서조항에 따를 경우에는 예외로 할 수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
니다. 끝.
246 3. 제3장 전선로

제 목 다중접지 특고압 지중선로의 전선관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42조 (회신 : 2020. 10. 19.)

질 의

○ 다중접지방식의 22.9kV 지중전선로를 그림과 같이 붙여서 시공한다면 판단기


준 제142조(지중전선 상호 간의 접근 또는 교차)에 위배가 되는 것인지요?

○ 또한 이격거리가 케이블의 이격거리인지 ELP관 자체의 이격거리인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42조제2항은 한국전력공사의 다중접지방식


인 22.9kV 배전선로와 같은 지중전선로를 관로식 또는 직접매설식으로 시공할
경우에는 10cm 이상 이격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며 이 조항은 의무기준입니다
(질의 1).

□ 아울러 관로식으로 시설할 경우 관로 내부의 케이블 설치상태를 예측할 수 없


기 때문에 관로식 지중전선로는 관로간 이격거리로 보아야 타당할 것으로 사
료되며(질의 2), 동 기준 제1항에 따라 불연성 관에 넣어 시설하거나 지중전선
상호간에 견고한 내화성 격벽을 설치하는 경우 등에는 예외로 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본 기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47


4. 제4장 전력보안 통신설비 4
(제153조 ~ 제165조) 장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49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166조 ~ 제250조)


5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51

제 목 태양전지모듈 옥내전로의 대지전압 제한치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66조 (회신 : 2018. 04. 03.)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66조 제4항에 따르면, 옥내에 설치되는 태양


전지모듈의 대지전압은 직류 600V 이하일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 이 의미는 태양전지모듈 1스트링을 직류전압 600V 이하로 구성하라는 의미인


지요? (같은 조항 제2항의 경우 대지전압은 300V 이하로 명시)

○ 전호의 질의 내용이 맞을 경우, 600V 이하로 구성을 하려면 제166조 제4항 제


1호, 제2호를 만족해야 하는 사항인지요? (DC측에 지락차단장치 설치 및 해당
공사에 적합한 배관공사 실시 등)

○ 제166조 제4항을 미적용 할 경우 옥내에서 사용하는 DC전압의 제한은 300V


또는 450V 중 어느 것인지요?

회 신

□ 귀하께서는 주택 옥내전로의 대지전압 제한에 대해 문의한 것으로 판단되는


바, 귀하께서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답변드립니다.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66조제4항은 태양전지모듈에 접속하는 부하


측 옥내배선에 동 조 제4항제1호 및 제2호에 준하여 시설하는 경우에 한하여
주택의 옥내전로 대지전압을 직류 600V 이하로 제한한 규정입니다. 태양전지
모듈에서 전력변환장치에 이르는 전로가 직류 600V 이하로 제한되기 때문에
태양전지모듈 및 그 집합체의 출력전압은 직류 600V 이하이어야 합니다.

□ 아울러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는 본조 제4항 이외에는 주택의 옥내


직류전원의 대지전압 제한치를 규정하지 않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252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사무용/연구센터 용도 건축물 전로의 대지전압 및 사용전압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66조 (회신 : 2019. 08. 02.)

질 의

○ 사무용/연구센터 용도의 한 동으로 계획된 건축물입니다. 400V(델타결선)의 전


압방식으로 옥내의 사무실/연구실로 전원이 공급이 되며, 용도는 전기기계기
구를 이용하고 시험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전기설비) 제166조 제3항에는 전기기계기구로 공


급되는 전원은 대지전압 300V 이하여야 한다라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제2항 1호에 준하여 시설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제2항 1호의 내용은 사용전압은 400V 미만이라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또는 취급자 이외의 자가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한다라고 규
정되어 있습니다.

○ 이러한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연구시설 장비 사용을 위한 목적 또


는 장비를 시험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면, 위 내용에 위배되는 사항인
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53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이하, 판단기준) 제166조(옥내전선의 대지 전압의


제한)는 각 항에서 규정하는 사항의 옥내 전로 대지전압 제한한 것으로 제1항
의 경우 옥내 ‘백열전등 또는 방전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의 대지전압 제
한, 제2항의 경우 ‘주택의 옥내전로’의 대지전압의 제한, 제3항의 경우 ‘주택
이외의 곳 옥내에 시설’하는 ‘가정용 전기기계기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옥내전
로의 대지전압 제한, 제4항의 경우 ‘주택 태양전지모듈에 접속하는’ 부하측 옥
내배선의 대지전압 제한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 문의하신 것과 같이 ‘연구시설 장비 사용’ 또는 ‘장비를 시험’하고자 하는 목적


으로 이 장비에 전기를 공급하는 옥내 전로에 대한 사용전압 제한은 판단기준
에서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제41조(지락차단장치 등의 시설)제
2항에 따라 특고압전로, 고압전로 또는 저압전로에 변압기에 의하여 결합되는
사용전압이 400V 이상의 저압전로에는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하며, 해당 장비는 업무용 전기기계기구
(가정용 전기기계기구 이외)로 판단기준 제172조(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 기계
기구 등의 시설)를 적용해야하는 것으로 사료 됩니다.

□ 위 규정 등을 고려하여 현장 적용에 관하여 설계자 및 관련 검사기관 등과 협


의를 통해 시설하시길 바랍니다. 끝.
254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에어컨 전용 분기회로 구간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66조 (회신 : 2019. 12. 26.)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66조, 내선규정 3315-3에 따라 소비전력 3kw


이상의 에어컨의 경우 전용 분기회로를 사용하게끔 되어 있는데, 전용 분기회
로 구간은 전용의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에서 실외기 까지를 말하는 것인가
요?

○ 아니면 전용의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에서 실외기를 거쳐 실내기 까지를 말


하는 것인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66조제2항제6호는 “정격 소비 전력 3 kW


이상의 전기기계기구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로에는 전용의 개폐기 및 과
전류 차단기를 시설하고 그 전로의 옥내배선과 직접 접속하거나 적정 용량의
전용콘센트를 시설할 것”으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 이는 일반주택에 사용하는 콘센트 정격이 250V / 15A 이기 때문에 정격소비


전력이 3 kW 이상인 전기기계기구는 원칙적으로 콘센트에 의한 접속을 금지
하면서 옥내배선과 직접 접속하거나 적정 용량의 전용 콘센트로 시설하도록
하고, 전기기계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기간에는 전원을 차단해 놓는 등의 조치
를 위해 전용회로를 구성하여 전용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하도록 하
는 내용인데, 에어컨은 제조사 및 제품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의 조합, 결선
방법이 다르므로 제조사와 현장 전기설비의 검사업무를 수행하는 전기안전공
사 등과 협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55

제 목 주방기구 하이라이트 배선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66조 (회신 : 2020. 04. 05.)

질 의

○ 분기개폐기 사용시 하이라이트는(취사용기기 or 가열장치) (최대부하 3,400W)


전용콘센트를 사용해야 하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66조제2항의 제6호는 정격 소비 전력이 3


kW 이상인 전기기계기구의 전로는 전용의 개폐기와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하
고 옥내배선과 직접 접속하거나 적정 용량의 전용콘센트를 시설하도록 규정하
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끝.
256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옥내배선에 케이블 또는 VCT 사용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68조

질 의

1.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68조(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선)에 따르면 저압


옥내배선은 단면적이 2.5㎟이상의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 및 굵
기인 것으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 제4조(절연전선)에 해당하는 모든 전선은 옥내배선에 사용할 수 있나요?
○ 케이블도 사용이 가능한가요? (‘20.07.27)

2. VCT케이블은 사용할 수 없나요? (‘20.10.21)


(제원: KS C IEC 60502-1 0.6/1KV VCT 3C X 4SQMM)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조에 명시된 절연전선의 종류는 전기배선


에 사용이 가능한 절연전선의 종류를 정의한 것이며, 옥내배선에는 동 기준에
서 규정된 전선만 사용이 가능하므로 모든 절연전선이 옥내배선에 사용이 가
능한 것은 아닙니다. 아울러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68조에 따르면
저압 옥내배선에는 2.5 ㎟ 이상의 연동선(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 및 굵기
의 것) 혹은 1 ㎟ 이상의 MI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므로
해당 조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 0.6/1kV VCT 케이블의 정식 명칭은 ‘0.6/1 kV 비닐절연 비닐캡타이어 케이


블’로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7조에 적합한 것이어야 하며, 옥내
배선에는 상기 내용과 같이 “2.5 ㎟ 이상의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
도 및 굵기의 것”이므로 VCT전선의 사용을 제한하지는 않습니다(질의 2).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57

제 목 변전소의 제어케이블 굵기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68조 (회신 : 2019. 11. 05.)

질 의

○ 변전소의 제어 케이블(CONTORL CABLE) 사이즈에 대한 규정이 있는지요?


한전표준규격(ES)에서는 변전소에서 사용되는 배전반의 이면배선 경우
2.5sqmm를 사용하도록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면배선은 "배전반 표면에 부착된
계기, 계전기, 단로기 등을 그 뒷면에서 접속한 전선" 을 뜻하는 것으로 판넬
내부 결선에 적용되는 규격으로 보입니다.

○ 변전소 판넬간의 외부 케이블(예를 들어 GIS LCP~ GIS BAY PROTECTION


PANEL) 및 변전소와 발전소간 케이블(예를 들어 GIS LCP~ Transformer
Protection Panel)에는 상기와 같은 표준 규격이 있는지요? 또한 1.5sqmm를
사용 가능한지 문의 드립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은 변전소 제어케이블의 기술기준을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


지 않으나 판단기준 제168조는 저압 옥내배선의 전선은 2.5㎟ 이상의 연동선을
사용하여야 함을 명시하면서 옥내배선의 사용 전압이 400 V 미만인 경우로서
제어회로에 사용하는 ‘배선’이 합성수지관 공사・금속관 공사・금속 몰드 공
사・금속 덕트 공사・플로어 덕트 공사 또는 셀룰러 덕트 공사에 의하여 시설
하는 경우에는 1.5㎟ 이상의 연동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는데, 귀
하의 현장이 이에 해당하는지 발주처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케이블 및 제어반 관련 표준규격은 e나라 표준인증 홈페이지에서 열람


하실 수 있으며, 기술기준 제3조는 ‘배선’이란 ‘전기사용 장소에 시설하는 전선
(전기기계기구 내의 전선 및 전선로의 전선을 제외한다)’이라고 정의하고 있음
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258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역, 백화점 등 일반화장실의 누전차단기 설치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0조 (회신 : 2019. 01. 28.)

질 의

○ 욕조나 샤워시설이 없는 흔희 볼수 있는 역,백화점 등등의 일반 화장실입니다.


비데는 설치되어 있고, 손을 씻을 수 있는 세면대가 있습니다.

○ 화장실 내 온수기에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 또는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


단기가 부착된 콘센트를 부착해야 되나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1조에서는 사용전압이 50V를 초과하는 저압


의 기계 기구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기구에 전
기를 공급하는 전로에는 원칙적으로 지락차단장치를 설치하거나 적합한 누전
차단기 등을 설치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 또한 판단기준 제170조제6항은 욕조나 샤워시설이 있는 화장실 등 인체가 물


에 젖은 상태로 전기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장소에 비하여 감전의 위험이
매우 높으므로 정격감도전류 15mA 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인 인체감전보
호용 누전차단기 또는 동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가 부착된 콘센트를 사용
하도록 안전을 강화한 것입니다.

□ 따라서 질의사항 만으로는 시설환경을 명확히 파악할 수 없으나 일반적으로


욕조나 샤워시설이 없는 화장실은 동 기준 제170조제6항의 인체가 물에 젖은
상태로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에는 해당되지 않으므로 위에서 설명한 인체감전
보호용 누전차단기 설치 등 강화된 안전기준의 적용 장소는 아닐 것으로 판단
됩니다. 다만, 질의하신 온수기의 전기사용환경과 동 기준의 제정 취지를 감안
한 안전대책으로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를 제한
하지 않습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59

제 목 비데용 콘센트에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하는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0조 (회신 : 2019. 05. 29.)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0조(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의 배선기구의


시설)제6항에 따르면 욕조나 샤워시설이 있는 욕실 또는 화장실 등 인체가 물
에 젖어있는 상태에서의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에서 콘센트를 시설하는 경우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정격감도전류 15mA이하)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습
니다.

○ 화장실 내부에 설치된 비데용 콘센트는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해


야하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0조(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의 배선기구의


시설)제6항에서는 욕조나 샤워시설이 있는 욕실 또는 화장실 등‘인체가 물에
젖어있는 상태에서 물을 사용하는 장소’에 콘센트를 시설하는 경우 해당 각
호를 따르도록 하고 있습니다.

□ 이는 인체가 욕조나 샤워시설로 인해 물에 젖어있는 상태에서 전기기기를 사


용할 경우 감전의 위험이 매우 높으므로 이러한 장소에 시설하는 콘센트는 접
지극이 있는 것을 시설하고, 인체가 전기에 접촉 또는 감전되었을 때 즉시 전
기를 차단하여 인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추가로 고감도인 인체감전보호용 누
전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가 15㎃ 이하로 동작시간은 0.03초 이하의 전류동작형
을 시설하도록 한 것입니다.

□ 따라서 상가 공용 화장실 등에서 욕조나 샤워시설이 없는 장소에 비데를 설치


하는 경우 제170조제6항은 적용하지는 않으나, 적절한 보호장치는 시설하여야
합니다. 끝.
260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세차장에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 시설해야 하는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0조 (회신 : 2020. 04. 13.)

질 의

○ 스팀세차장의 작업장에 시설되어 있는 단상콘센트와 3상콘센트도 (둘다 노출


형) 판단기준 170조 6항에 적용 되는지요?
○ 인체보호용 누전차단기 시설된 콘센트라고 되어있는 것은 똑같이 감도 전류
15mA 인지 아니면 그냥 30mA로 설치된 것을 시공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회 신

□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사용전압이 50 V를 초과하는 저압의 기계 기구로서 사


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것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1조에 따라 지락차단장치(누전차단기 등)를
설치해야 하는데, 세차장은 물기가 있는 장소로서 설치 예외 조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또한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 배선기구로서 욕조나 샤워시설이 있
는 욕실 또는 화장실과 같이 인체가 물에 젖어있는 상태에서 전기기기를 사용
할 경우 감전의 위험이 매우 높은 장소에 시설하는 콘센트는 동 기준 제170조
제6항에 따라 접지극이 있는 콘센트를 시설하고, 인체가 전기에 접촉 또는 감
전되었을 때 즉시 전기를 차단하여 인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고감도 인체감전
보호용 누전차단기(정격감도전류 15 ㎃ 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의 전류동작
형)를 시설하여야 합니다.

□ 다만, 귀하의 세차장이 상기 조건에 해당하는지는 현장 전기설비 설계자 또는


현장을 방문하여 전기안전 및 적합성을 판단하는 검사기관 등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되며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동
기준 제170조제6항에서 명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용품안전 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정격감도전류 15 ㎃ 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의 전류동작형을 사용하
여야 함은 물론, 접지 극이 있는 방적형 콘센트를 사용하여 접지를 해야 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61

제 목 전기온수기 설치기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0조 (회신 : 2018. 05. 18.)

질 의

○ 전기순간온수기 공사 및 설치와 관련하여 아래사항에 대해 문의합니다.


1. 습기가 많은 욕실에 전기순간온수기 설치시 관련 설치·공사 기준이 있는지요?
2. 동일 굵기의 2가닥 전선(접지선 없음)을 사용해도 되는지요?
3. 2가닥 전선을 사용해도 규정(공사 또는 전기안전)에는 문제가 없는지요?
이와 관련하여 규정 위배시 관련 절차·규정이 있는지요?
4. 관련 규정·절차(예: 2가닥 전선 사용 또는 관련 시설기준) 미 준수시,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책임 소재는 어떻게 되는지요?(예: 전기순간온수기 설치·임대
업자 또는 아파트관리사무소)

회 신

□ 욕조나 사워시설이 있는 욕실 또는 화장실 등의 장소에 콘센트를 시설하여 온


수기에 전원을 공급할 경우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170조제6항 및
제166조제2항에 따라야 하며, 제170조제6항에 따라 누전차단기 또는 절연변압
기로 보호된 전로에 접속 또는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가 부착된 콘센트를
시설해야 하며, 콘센트는 접지극이 있는 방적형 콘센트를 사용하고 제3종 접
지공사를 시공해야 합니다.

□ 또한 앞의 답변에서와 같이 판단기준 제170조제6항에 따라 제3종 접지공사를


시공해야 함으로 3가닥 전선(접지선 포함)을 사용하는 것을 권고 드리며, 2가
닥 전선을 사용하신다면 제3종 접지공사 대상이므로 별도의 접지선으로 접지
공사를 해야 합니다.

□ 아울러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을 위반할 경우에는 전기사업법 제108조


(과태료), 제106조(벌칙) 등에 의거 사고발생시 책임소재는 과실여부를 판단하
여 결정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262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배・분전함의 재질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1조 (회신 : 2018. 07. 20.)

질 의

○ 아래와 같이 시공되는 배・분전함에서 반드시 판넬과 커버 접지를 해야 하는


것인지요?

1. 배・분전함(간이 분전함 포함) 커버없이 설치된 경우

2. 배・분전함 내 개폐기 및 누전차단기를 목재(비난연 & 비 불연 재질)에 고정


한 경우

3. 배・분전함 내 공간이 없어 개폐기 및 누전 차단기를 함 내부가 아닌 측면에


설치한 경우

4. 인테리어 문제로 배・분전함 커버를 떼어내고 목재로 커버를 대체한 경우

5. 지하 저압 MCCB 큐비클 함내 부스바 뒷면에 외부(3층) 조명 전원의 개폐기


및 누전차단기를 별도의 분전함 없이 설치한 경우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63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1조제1항제1호는 일반 가정이나 공장 등에


시설되는 배・분전반에 일반인의 접촉이 가능하므로 충전부분이 노출되고 있을
때는 여기에 인체가 접촉하여 감전될 우려가 있으므로 충전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적당한 구조로 시설토록한 규정입니다. 질의하신 “커버가 없는 간이분
전함” 또는 “분전함 측면에 설치된 개폐기” 등이 취급자 이외의 사람이 쉽게
출입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된 경우에는 노출된 충전부를 보호하도록 커버 등
의 보완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주택용 분전반인 경우에는 본
조 제1항제3호에 따라 KS C 8326에서 정하는 구조에 의해야만 합니다(질의 1,
3).

□ 아울러 본조 제1항제4호에 따라 옥내의 배전반 및 분전반은 불연성 또는 난연


성을 요구하므로 원칙적으로 “목재”의 사용은 적합하지 않으며(질의 2, 4),

□ 상기 기준에서 본조 제1항제2호 이외에는 질의하신 사항에 대하여 별도로 규


정하지 않습니다(질의 5).

□ 그 외 철제 외함 등 금속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준 제33조에 따라 적


합한 접지설비를 시설해야 합니다. 그러나 질의하신 내용으로는 현장의 시설
환경을 세밀하게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적정설치 여부에 대한 명확한 판단은
관련 검사기관 또는 기타 설계・감리사 등과 논의하시기 바랍니다. 끝.
264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분전함에 결선도 도면을 반드시 비치해야하는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1조 (회신 : 2020. 01. 30.)

질 의

○ 당사는 2012년 6월경 공동주택 및 상가(근린생활시설)에 전기공사 후 2016년에


입주자로 부터 하자소송 통보를 받고 현재 피고보조참가인으로 소송 중에 있
는데, 당시 전기공사시방서에는 분전함과 배전함에 결선도 비치(보관)여부는
명기되지 않았습니다(결선도 도면 비치 또는 보관은 없습니다.)

○ 전기관련 법규에 배전함이나 분전함에 결선도를 작성하여 문짝 뒷면에 보관대


에 결선도 도면을 비취(보관)하여야 하는지 질의 드립니다.

○ 만약 결선도 도면 보관(비치)여부가 전기관련 법규에 있으나, 당시 공사현장


시방서(전기공사 시방서 및 특기시방서에 해당 내용 없음)에 명기 되지 않았다
면 무엇이 우선하여 적용 할 수 있는지요? 즉 전기관련 법규보다 현장 전기공
사시방서나, 특기시방서가 우선할 수 있는지 질의 합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65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1조제1항은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 배・


분전반의 기구 및 전선은 쉽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
으며, 우리 협회에서 발간한 내선규정 1450-7의 4항은 “인입구의 배전반 또는
분전반 내는 현재 설비의 배선계통도를 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하
고 있습니다.

□ 아울러 「전기설비기술기준」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은 의무기준이며


「내선규정」의 법적 지위에 대하여는 우리협회 홈페이지 전기상담실 FAQ 게시
판 5번 게시물을 참고하시되, 귀하와 발주자간의 계약에 의한 시방서 등의 법
적 효력 및 무엇이 우선하는지 등에 대하여는 법률 전문기관 등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266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신발장, 옷장 등에 설치된 주택용 분전반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1조 (회신 : 2018. 03. 22.)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1조(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 배분전반 등의


시설)의 제1항 제3호, 제4호 개정에 따라 아래와 같은 내용에 대해 질의합니
다.

1. 171조 제1항 제3호의 내용 - 은폐된 장소(신발장, 옷장 등)는 제외하고 노출된


장소에 시설해야 한다는 문구가 있습니다. 창고나 발코니, 다용도실, 드레스룸
등에 주택용 분전반 설치 후 전면에 다른 물건이 가려지지 않는다고 하면 시
설이 가능한지요? 또한 앞 질문과 동일하게 전면에 다른 물건이 가려지지 않
는다고 하면 세대 내의 침실 등에는 설치가 가능한지요?.

2. KS C 8326의 주택용 분전반의 적용범위는 "이 표준은 교류 60 Hz의 단상 2선


식 110 V, 220 V 또는 단상 3선식 110/220 V의 전기회로에서 주로 주택 등의
인입구 장치에 사용하는 주택용 분전반(이하 주택반이란 한다.)으로서 주 개폐
기의 정격 전류가 100 A 이하인 것에 대하여 규정한다. 다만 방수형, 방폭형
등 특수 구조인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라고 국가표준에 나와 있습니다. 주택
용 분전반을 주택 등의 인입구 장치에 사용한다고 명시하였으니 주택의 현관
안쪽(세대내부)에 설치하지 않고, 엘리베이터홀/계단실/EPS실 등의 공용부위
에 시설하면 문제가 없는 것인지요? 또한 공용부위 설치시 해당 세대에 거주
하는 인원 외에 조작을 금지하도록 시건장치를 설치해도 무방한지요?

3. 만약 주택용 분전반 뚜껑 위에 인테리어로 도어를 설치하고자 할 때 불연성 또


는 난연성으로 설치하면 문제가 없는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67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1조의 개정사항(2018. 3. 9)은 전기화재 확산


방지를 통한 인명피해 감소 및 분전반의 원활한 유지・관리를 통한 전기안전
확보 등을 주된 목적으로 하여 주택용 분전반의 노출장소 시설 및 옥내 배・분
전반의 불연성 도료처리재 사용금지 등과 관련한 부분입니다. 즉, 주택용 분전
반의 시설은 신발장 또는 옷장 내부와 같이 은폐된 장소가 아닌 노출된 장소
로 시설하도록 규정하였고, 옥내 배・분전반을 불연성 또는 난연성(KS C 8326
의 “8.10 캐비닛의 내연성 시험”에 합격한 것)이 있는 것만을 사용하도록 하였
습니다.

□ (질의 1) 본 조항은 주택용 분전반의 원활한 유지・관리 및 화재확산 방지를 위


해 노출장소에 시설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예를 들어 제시하신 장소(창고, 드
레스룸, 침실 등) 별로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존 분전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과 함께 상기 조항의 개정 취지에 적합한 장소라면 분전반
설치가 가능하다고 사료됩니다. 현재 한국전기안전공사에서 본 조항 관련 주
택용분전반 설치 가능 장소 등에 대해 예를 들어 제시를 하고 있어 문의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질의 2) 주택용분전반의 공용부위 설치에 대하여 현장의 시설환경 등을 알 수


없으므로 관련 검사기관과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전기설비
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1조 제1항에서는 저압용 배・분전반의 기구 및 전선
은 쉽게 점검할 수 있는 곳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 (질의 3) 본 조항은 원칙적으로 주택용분전반은 노출된 장소에 시설하도록 정


하고 있습니다. 부득이하게 인테리어용 도어 등을 사용해야 할 경우 현장의
시설환경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판단해야 하므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검사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끝.
268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공장형 아파트에서의 분전반 설치장소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1조 (회신 : 2019. 08. 02.)

질 의

○ 2018.03.09 이후 기준으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전기설비) 제171조(옥


내에 시설하는 저압용 배분전반 등의 시설) 제1항에 의거 옥내에 설치하는 주
택용 분전반은 "노출된 장소"에 설치해야 합니다.

○ 건축물의 유형은 공장형 아파트이지만 실제적으로 사용자는 사무실과 다르지


않는 단위지식산업센터(전용면적 및 분양시설)에 설치되는 분전함의 경우 "주
택용 분전반"을 적용해야 하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1조(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 배분전반 등의


시설) 제1항제3호에서 주택용 분전반은 노출된 장소(신발장, 옷장 등의 은폐된
장소는 제외한다)에 시설하며 구조는 KS C 8326 “7. 구조, 치수 및 재료”에
의한 것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규정의 제정 취지는 실제 주택용 분전반
이 미관 등의 이유로 점검과 개폐가 어려운 신발장 등 내부에 설치한 사례가
매우 많으며, 이로 인한 분전반 화재발생 시 쉽게 인지하기가 어렵고 신발장
등 내부의 가연성물질(신발, 각종 물품 보관)로 인해 화재 확대 우려가 높아
노출된 장소로 시설하도록 규정하였고, 주택에 관련된 건축물은 의무 적용이
되고, 이 이외의 건축물에서는 안전 및 유지관리 차원에서 판단하시어 적용하
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주택용 분전반 적용 범위 관련하여 한국전기안전공사에서는 주택용 분


전반 검사업무처리방법 개정내용 알림 공문(검사부-739, 붙임)을 배포하였으며
주택용 분전반의 적용대상은 ‘주택법 제2조에 따른 주택과 준주택’으로 하였습
니다. 위 사항을 참조하시여 적용여부를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69

[첨부]
270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세대분전함 기술기준 개정내용의 적용 기준일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1조 (회신 : 2018. 04. 06.)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1조 개정에 따른 아래 내용에 대해 문의합


니다.

○ 부칙의 사업계획의 승인 기점은 “최초 사업승인접수” 시점인지, 아니면 “사업


승인변경접수” 시점 기준인지요?

○ 동 기준 제171조제1항제4호에서, 배전반 및 분전반은 불연성 또는 난연성이 있


도록 시설할 것이라고 명기되어 있는데

1. 철제 외함 세대분전함을 설치 후 그 전면에 알루미늄 시트지 또는 거울을 부


착하는 행위를 할 경우 해당 조항을 만족 할 수 있는지요?

2. 철제 외함인 분전함을 벽체 매입할 경우, 그 분전함의 측면 및 후면과 접촉되


는 건축벽체 또한 불연성 또는 난연성의 재질로 사용하여야 하는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71

회 신

□ 질의하신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1조의 개정사항(2018. 3. 9)은 전기


화재 확산방지를 통한 인명피해 감소 및 분전반의 원활한 유지・관리를 통한
전기안전 확보 등을 주된 목적으로 하여 주택용 분전반의 노출장소 시설 및
옥내 배・분전반의 불연성도료처리재 사용금지 등과 관련한 사항을 규정합니
다.

□ 주택용분전반의 노출 설치와 관련하여 공고 전에 이미 시설 중 이었거나 관련


법에 따라 승인, 허가 및 신고를 받은 것에 한하여 종전 기준을 따를 수 있도
록 적용시점을 명시하였습니다. 건축물 전기설계의 특성과 해당 사업의 승인
및 허가 등의 절차를 고려하여 최초사업승인접수일이 개정조항의 시행일 이전
임을 증명할 수 있는 경우 종전의 기준을 준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아울러 동기준 제171조는 주택용 분전반의 노출 설치와 분전반의 재질 등을


규정할 뿐 분전반 뚜껑 전면에 붙이는 자재나 분전반 외함을 둘러싼 벽면의
재질과 관련해서는 별도로 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 따라서 질문만으로는 명확한 시설환경을 알 수 없으나 상기 제171조에 적합한


분전반을 선정하여 적정한 장소에 노출 설치하는 것을 전제로 답변 드린다면,

□ 본 조항을 준용하여 설치된 경우에는 “질문 1”의 유리나 시트지를 주택용 분


전반 뚜껑 전면에 부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질문 2”의 경우 별도의
인테리어 자재 내부가 아닌 건축물 구조체에 노출 설치된 경우에는 분전반을
둘러싼 건축벽체의 재질은 본 조의 적용대상이 아닐 것으로 판단됩니다.

□ 기타 설치방법에 대한 상세사항은 검사기관에서 제공한 「업무처리방법」을 참


조하시거나 관련 부분에 대해서는 검사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끝.
272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전동기 분기회로 케이블 굵기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6조 (회신 : 2019. 06. 08.)

질 의

○ 상기 회로에서
① MCC FEEDER에서 전동기기동반으로 케이블이 연결,
② 전동기 기동반은 기동장치를 거쳐 전동기로 케이블이 연결.

1. 위 ①의 경우를 내선규정 '3115-4' 전동기용 분기회로의 전선굵기 를 반영하여


도 되는지요?

2. ①의 경우 전선의 허용전류가 공급차단기 250A보다 정격전류가 커야 한다고


본다면, (판단기준 175,176 '차단기의 정격전류는 그 전선의 허용전류 이하의
것을 선택) 전선의 허용전류는 제품카탈로그에 표현된 값을 기준하면 되는지
요? 아니면, 감소계수를 포함한 값이어야 하는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73

회 신

□ 내선규정 1300-1 및 1300-6 용어의 정의에서 ‘간선(幹線)’이란 인입구에서 분기


과전류차단기에 이르는 배선으로서 분기회로의 분기점에서 전원측의 부분(고
압수전의 경우는 저압의 주 배전반, 즉 수전실 등에 시설되고 공급변압기에서
볼 때 최초의 배전반)을 말하고, ‘분기회로(分岐回路)’란 간선에서 분기하여 분
기과전류차단기를 거쳐서 부하에 이르는 사이의 배선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므
로 귀하의 현장상황이 간선인지, 분기회로인지를 판단하시어 판단기준 제175조
(간선의 시설) 또는 제176조(분기회로의 시설)를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
며(질의 1),

□ 아울러 저압 옥내배선에 사용하는 전선은 판단기준 제178조에 따라 허용전류


를 산정하여야 하는데, 이는 전선의 허용온도 이외에 감소계수, 부하 전선 수,
병렬 전선의 사용, 열저항률, 전선 굵기가 다른 복수회로의 사용, 주위 온도,
공사 방법 등을 고려하고 있음을 참고하시어 적용에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전선 제조업체가 제시하는 허용전류 값은 어떤 조건에서 산정된 수치
인지를 확인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2). 끝.
274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전열기의 정의와 콘센트용 분기회로 기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6조 (회신 : 2019. 09. 13.)

질 의

1. 내선규정 제3125절 전열기의 정의가 없습니다. 즉, 예를 들면 무엇인지 궁금합


니다.

2. 콘센트용 분기회로를 설계시 적용할 내선규정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33장 조


명설비의 (분기회로)를 적용하여야 하는지, 31장 저압 전기기기의 제3125절 전
열기를 적용하여야 하는지요?

3. 50A 이하의 전열기 분기회로의 차단기 선정시 부하의 몇 배의 전류용량을 가


진 차단기를 선정하여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50A 초과의 단독가열장치의 경우는 (가열장치) 3115-11 가열장치회로의 간선과
분기회로의 1항 2호에 가열장치 정격전류의 1.3배를 초과하지 않는 정격전류를
가진 차단기를 선정해야 한다고 되어있는 데, 50A 이하에는 명확한 값이 정의
되지 않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75

회 신

□ (질의 1)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과 이와 관련한 내


선규정 등은 전기설비의 안전에 필요한 성능과 기술적 요건을 규정하고 있으
며 전기제품의 정의와 종류 등은 관련 기술서적이나 인터넷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국가 표준에서 정의하는 전열기에 대하여는 KS C IEC 60335
시리즈와 관련 규격 등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질의 2) 내선규정 제31장은 전동기 등과 같이 부하특성이 다른 전기기기의 시


설규정을 명시한 항목으로서 일반장소의 저압전등 및 조명설비 등의 시설기준
을 다루는 제33장과는 그 적용대상이 다릅니다. 따라서 귀하의 현장의 부하설
비가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시어 적용함이 타당할 것이며, 판단기준 제
176조는 분기회로의 시설과 콘센트 회로의 시설 등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질의 3) 전열기의 분기회로와 관련한 내용은 내선규정 제3125절을, 가열장치


회로에 대하여는 동 규정 3115-11 제1~2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276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분기개폐기 및 분기 과전류차단기 시설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6조 (회신 : 2018. 08. 24.)

질 의

○ 내선규정 3115-3 항 4번에 “전동기에만 전기를 공급하는 분기회로의 과전류


차단기에 1470-4(과부하보호장치와 단락보호전용차단기 또는 단락보호전용퓨즈
를 조합한 장치의 규격 및 사용의 제한)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는 경우는 전항
의 규정에 관계없이 그 정격전류를 분기회로에 사용하는 전선의 허용전류 이
하로 하여야 한다.(판단기준 제176조)”이라 되어있는데 이것은 모타 분기회로
에 사용하는 차단기보다 전선의 허용전류가 더 크다 라고 해석이 되는데 맞는
지요?

회 신

□ 내선규정 3115-3은 분기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의 시설에 대한 규정으로서 제


4항은 전동기에만 전기를 공급하는 분기회로에 과부하보호장치 등을 조합한
과전류차단기(1470-4)를 사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제1항~제3항의 규정에 관계없
이 차단기의 정격전류를 분기회로에 사용하는 전선의 허용전류 이하로 하라는
내용이며, 이외의 경우에는 시설환경을 고려하여 제3항에 명시된 바와 같이
분기회로에 사용된 전선의 허용전류의 2.5배 이하 등으로 할 수 있습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77

제 목 내선규정에서 냉난방기 실외기 분기회로 설계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6조 (회신 : 2020. 02. 18.)

질 의

○ 냉난방기용 실외기용 분기회로를 설계중인데, 내선규정의 “제31장 저압 전기기


기”와 “제33장 조명 설비” 중 어느 곳을 참고해야 할 지 궁금합니다.

○ 싱글형 시스템 냉난방기로 용량은 10kW입니다.

회 신

□ 저압 옥내간선에서의 분기회로 시설기준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


176조에서 규정하고 있으나 내선규정은 부하특성에 따라 제31조(전동기 등 저
압 전기기기)와 제33조(저압전등 및 조명설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는데, 에
어컨디셔너 등의 특수한 용도의 전동기 부하에 대한 배선설계는 내선규정 제
3115절에서 다루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278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배선용차단기와 과전류차단기 차이점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6조 (회신 : 2020. 07. 09.)

질 의

○ 전기설비 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76조의 표 176-1에 의해 콘센트를 시설 할 때


과전류차단기능이 있는 누전차단기의 경우 배선용 차단기로 보나요? 아니면
배선용 차단기에서 제외되나요?

○ 표 176-2에서 저압 옥내배선의 굵기에 케이블도 해당 되나요?(MI케이블 제외)

회 신

□ 과전류차단기(過電流遮斷器)란 배선용차단기, 퓨즈, 기중차단기(A.C.B)와 같이


과부하전류 및 단락전류를 자동차단하는 기능을 가지는 기구를 말하고, 배선
용차단기(配線用遮斷器)란 전자작용 또는 바이메탈의 작용에 의하여 과전류를
검출하고 자동으로 차단하는 과전류차단기로서 그 최소동작전류가 정격전류의
100 %와 125 % 사이에 있고 또 외부에서 수동, 전자적 또는 전동적으로 조작
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내선규정 1300 정의).

□ 따라서 귀하의 누전차단기가 상기 배선용차단기 기능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시


기 바라며, 본 표에 대한 자세한 설명에 대하여는 내선규정 3315-2를 참고하시
기 바랍니다.

□ 또한 표 176-2에 표기된 “저압 옥내배선”은 동 기준 제168조제1항에 명시된


전선을 의미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79

제 목 누전차단기의 옥내배선 굵기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6조 (회신 : 2020. 08. 04.)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 176조의 표 176-2에서 저압 옥내전로의 종류


에 따른 저압 옥내배선의 굵기가 나와 있는데, ELB(정격전류 20A)의 경우 누
전 뿐만이 아닌 과전류도 차단하므로 과전류 차단기로 보아야 할 것인데 이는
배선용 차단기로 보고 옥내배선의 굵기를 선정해야하나요, 아니면 배선용 차
단기가 아닌 과전류 차단기로 보고 굵기를 선정해야 하나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6조의 [표 176-2]는 저압 옥내전로의 종류


에 따른 저압 옥내배선의 굵기 기준을 명시하고 있는데, “정격전류가 15 A를
초과하고 20 A 이하인 과전류 차단기(배선용 차단기를 제외한다)로 보호되는
저압 옥내전로”는 퓨즈와 같은 과전류 차단기로 보호되는 옥내전로를 의미합
니다(내선규정 제3315절 참조).

□ 따라서 귀하의 과전류 차단기능이 있는 누전차단기는 표의 배선용 차단기에


준하되 전압강하 및 허용전류를 고려하여 전선의 굵기를 선정함이 타당할 것
으로 사료됩니다. 끝.
280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지하승강장 입구 센서등에도 점멸장치를 설치해야 하는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7조 (회신 : 2020. 09. 04.)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 177조(점멸장치와 타임스위치 등의 시설) 관련으로 공동


주택 지하층 승강기 홀에 센서로 작동되는 조명기구(센서로 작동, 별도의 스위
치 없음)도 기술기준 제 177조항 적용 대상인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7조는 조명설비에는 점멸장치를 시설하도


록 명시하고 있는데, 본 조항의 점멸장치(點滅裝置)란 전등과 같은 기구의 점
멸에 상용(常用)하는 개폐장치(텀블러스위치 등)를 말합니다(내선규정 1300-9).

□ 아울러 본 조항은 전기에너지 절약을 위해 불필요한 개소의 전등이 점등되지


않도록 등기구마다 점멸장치를 시설하라는 내용으로서 귀하의 센서는 이와 역
할이 다른 것으로 판단되는 바, 점멸장치를 설치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
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81

제 목 허용전류 산정시 부스바의 공사방법 적용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8조 (회신 : 2020. 06. 17.)

질 의

○ 부스바 선정에 있어서 내선규정 부록 500-2 a.52-1부터 23까지 참고하려고 하


나, 공사방법을 어떤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지 모르겠어 질문드립니다.

회 신

□ 내선규정 5300-4 및 부록 500-2에 수록된 배선설비의 허용전류와 공사방법은


KS C IEC 60364-5-52에 의한 허용전류를 구하는 방법론으로서 공칭전압이 교
류 1 ㎸, 직류 1.5 ㎸ 이하의 비외장형 케이블과 절연전선에 적용하며, 귀하가
공사방법을 결정하신 후 내선규정 5300-4에 따라 허용전류 및 전선의 굵기를
구하여야 합니다.

□ 참고로 부스바를 이용한 버스 덕트 공사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


188조를 참고하시기 바라며, 내선규정 부록 500-2에서 정한 공사방법과 감소계
수・보정계수의 적용방법 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KS C IEC 60364-5-52 또
는 우리 협회에서 발간한 KECG 1701-2019(배선설비의 설계 및 공사방법에 관
한 기술지침) 등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282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600V급 절연전선의 허용전류 계산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8조 (회신 : 2017. 11. 02.)

질 의

○ 현재 간선에 CV(XLPE), 0.6/1 KV Cable를 선정하여 전선의 허용전류는 KS C


IEC 60364-5-52에 의거 계산하고 있습니다. (CV Cable은 KS C IEC 60502-1
등에 의거 생산하는 제품입니다.)

○ 그런데 판단기준 제178조에 의하면 600V급은 한국전기기술기준위원회 표준


KECS 1501-2009에 의거 허용전류를 계산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경우 판단기
준 제178조의 어느 기준에 의하여 허용전류를 계산하여야 하는지요?

○ 아울러 같은 전선 사이즈로 KS C IEC 60364-5-52 규정과 한국전기기술기준위


원회 표준 KECS 1501-2009 규정으로 계산 비교해 보면 허용전류 값이 상당한
차이가 있어 KECS 1501-2009의 실용성에 상당한 의문이 듭니다.

○ 판단기준 제178조에 의한 600V급 절연전선의 해석은 무엇인지요? KS C IEC


60502-1에 의거 제작한 0.6/1 KV CV cable도 여기에 해당하는지, 아니면 예전
KS C 규정에 의거 제작된 600 V CV Cable를 지칭하는지 궁금합니다.

○ 모든 전선의 허용 전류 계산은 KS C IEC 60364-5-52 에 의하여 계산하면 계


산 방법의 기준이 될 것 같은데 올바른 판단을 부탁드립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83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8조(저압 옥내배선의 허용전류)의 예외조항


대상인 600V급 절연전선은 전선의 국제표준(IEC) 부합화 이전에 한국전기기술
기준위원회 표준 KECS 1501-2009에 근거하여 국내인증을 받아 유통되던 것으
로서 질의하신 예외 조항은 전선의 국제표준 부합화 과도기에 잔류해 있는 국
내인증 전선의 허용전류 적용을 위해 한시적으로 명시되었고 향후 폐지될 예
정입니다.

□ 따라서, 잔류된 600V급 절연전선은 폐지된 KS 전선표준에 기초한 것으로 국제


표준과 요구사항이 다르므로 KS C IEC 60364-5-52 부속서 B(허용전류)의 허용
전류를 적용할 수 없으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조(절연전선)제1항
제2호와 제178조(저압 옥내배선의 허용전류)의 예외조항에 따라 한국전기기술
기준위원회 표준 KECS 1501-2009의 허용전류를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끝.
284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기준에 없는 허용전류 보정계수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8조

질 의

1. 케이블트레이에 케이블을 여러개 포설할시 보정계수를 적용해야 되는데, 단심


케이블과 다심 케이블이 동일한 케이블 트레이에 포설된 경우 표 A.52-17~표
A.52-21중 어떤 것을 사용하여야 하나요? (‘20.07.10)

2.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하는 케이블에 대하여 표 A.52.20과 표 A.52.21에 케이블


저감 계수가 나와있습니다.
○ 표 A.52.17에도 케이블트레이 관련 계수가 있는데 어떤 표의 값을 우선적으로
적용하여야 하나요?
○ 케이블 트레이로 전설을 포설하다가 약 10m구간(전체구간의 1% 미만)만 지중
매입관을 이용하여 지중에 설치하였습니다. 그러면 이 때도 케이블 트레이 허
용전류 값을 적용해도 되나요?
○ 표 A.52-19에서 하나의 관에 단심케이블 여러 개를 삽입하였을 경우는 어떻게
적용하여야 하나요? (‘20.07.16)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85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8조는 저압 옥내배선에 사용하는 절연전


선, 케이블의 허용전류 및 보정계수는 KS C IEC 60364-5-52의 부속서 B(허용
전류)에 따르도록 명시함에 따라 내선규정 부록 500-2에 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나, 모든 공사방법에 대하여 산정할 수 없기 때문에 권장하는 공사방법에
대하여만 자료를 제공함에 따라 본 표준에서 제공하지 않는 공사방법에 대한
보정계수는 KS C IEC 60287에 따라 직접 계산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질의 1).

□ 케이블 트레이 보정계수는 내선규정 2289-6 제4항에 명시하는 공사방법에 따


라 보정계수 표 A.52-17 또는 표 A.52-20, A.52-21을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KS C IEC 60364-5-52의 523.8항은 “경로 중 일부에서 다른 부분과 냉


각 조건이 다를 경우에는 경로 중 가장 나쁜 조건의 부분에 적합하도록 허용
전류를 결정해야 한다. (비고. 배선이 벽을 통해 가는 길이가 0.35 m 미만일
때에만 냉각 조건이 다르다면 이 요건은 통상적으로 무시할 수 있다.)”고 명시
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라며,

□ 귀하가 1개의 관로에 여러 개의 단심케이블을 시설할 경우에는 회로 수에 따


라 표 A.52-19의 B에 해당하는 보정계수를 적용하되, 전력용 케이블의 지중 매
설 시공 방법에 대한 표준인 KS C 3140의 4.2항은 1관로 1회선 원칙으로 명시
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 끝.
286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전선의 허용전류 산정시 주위온도 적용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8조 (회신 : 2020. 01. 28.)

질 의

○ 전선 및 케이블 허용전류 선정 시 주위온도(기저, 기중) 적용 기준온도는 설계


사무소와 감리 의견이 다른데 어느 기준을 적용해야 하나요?

회 신

□ 저압 옥내배선에 사용하는 450/750V 이하 염화비닐 절연전선, 450/750V 이하


고무 절연전선, 1 kV부터 3 kV까지의 압출 성형 절연 전력케이블의 허용전류
및 보정계수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8조에 따라 KS C IEC
60364-5-52의 부속서 B(허용전류)에 의하며,

□ 주위온도 적용기준은 동 표준의 해설 5.1에서 “우리나라 기상청자료를 근거로


기중(여름 40 ℃), 지중(여름 30 ℃-매설 깊이 1.2 m)를 적용하는 것으로 하되,
설치 현장의 기후조건에 따라 배선경로의 최악조건을 고려하여 이를 달리 적
용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기후조건에 따라 배선경로의 최악조건을 고려하여 이를 달리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귀하 현장의 최악조건에 대한 주위온도 보정계수를 확인코자 할
때에는 현장을 방문하여 전기안전 점검업무를 수행하는 기관 등에 문의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되며,

□ KS C IEC 60364-5-52의 부속서 B.52.2는 기중 30℃, 지중 20℃로 명시되어 있


으므로 주위온도를 기준과 다르게 적용할 경우에는 KS C IEC 부속서 표
B.52.2의 적정 온도보정계수를 적용하여야 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87

제 목 나사접속 전선관의 등전위본딩 시설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84조 (회신 : 2018. 04. 16.)

질 의

○ 로크너트, 부싱으로 고정하는 아웃렛 박스, 풀박스는 등전위 접지를 위한 접지


본딩을 시행중이나 나사접속이 되는 노출환형박스, 방폭 정션박스 등에도 등
전위 접지본딩이 설치되어야 하나요?

○ 나사접속이고 5산이상 접속이 되는 박스에도 접지 본딩을 해야 하는지 문의


드립니다.

회 신

□ 등전위본딩(Equipotential bonding)이란 등전위성을 얻기 위해 전선 간을 전기


적으로 접속하는 조치를 말하며(내선규정 5110-3의 5항) 나사접속 금속성박스
에 대하여는 전기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4조 제3항에 “금속관공사는 관 상
호 간 및 관과 박스 기타의 부속품과는 나사접속 기타 이와 동등 이상의 효력
이 있는 방법에 의하여 견고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관 상호간 접속에 한해서 적당한 커플링, 노말 밴드, 유니온 커플링, 아


답터 등을 사용해서 설치하면 기계적으로나 전기적으로나 접속의 효과는 충분
히 만족되므로 일반적으로 접지효과를 보기 위해 별도의 본딩을 실시할 필요
는 없을 것이나, 시공상 완전하게 기계적 접속을 하기 어려운 경우 또는 진동
을 받는 장소에 노출된 배관을 하는 경우에는 본딩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됩니다.

□ 또한 내선규정 2225-7은 금속관 상호 및 금속관과 박스 등 부속품 연결 시


“접지선에서 금속관의 최종 끝에 이르는 사이의 전기저항은 2 Ω 이하를 유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권고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288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금속관공사 관련 전선의 단면적, 보정계수, 배관굵기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84조

질 의

1. 내선규정은 전선의 단면적을 평균완성 바깥지름의 상한 값을 환산한 값으로 사


용하고 있으나 기술 발전으로 케이블의 외경은 실제로 작아지는 경우 케이블
의 외경을 제조사 카다로그 기준으로 적용하여 배관을 선정해도 되나요?
(‘20.05.11)

2. 내선규정의 표 2225-7, 졀연전선을 금속관내에 넣을 경우의 보정계수에 따라


FR-3 4㎟ *3C를 금속관에 넣어 시공하고자 할 때, 내선규정의 표 2225-7에 의
한 보정계수 2를 적용해야 하는지요? (‘20.04.16)

3. 내선규정 제2220절 ~ 제2235절의 배관 굵기 선정은 절연전선의 외경을 기준으


로 선정된 것으로 이해됩니다. 케이블의 경우 제조사 카다로그의 케이블 외경
을 기준으로 배관 사이즈를 선정하면 적절한지 문의 드립니다. (‘20.05.12)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89

회 신

□ 내선규정 표 2225-6은 금속관 배선을 시행함에 있어 원활한 공사와 유지보수


의 편의성을 위해 관의 굵기를 선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전선의 단면적을
제시한 것으로서 동 규정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4조제1항에
따라 금속관 공사에서 절연전선을 사용할 경우 절연전선의 단면적을 구하는
방법론이며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는 고려하고 있지 않으므로 질의하신 경우
는 열저항에 따른 허용전류, 작업의 용이성, 향후 유지보수 상황 등을 고려하
여 별도로 정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1).

□ 내선규정 2225-5는 절연전선을 금속관에 용이하게 삽입하는 등 현장작업과 유


지보수의 편리성을 위하여 절연전선의 피복절연물을 포함한 단면적의 총합계
가 관내 단면적의 일정 비율 이하가 되도록 관의 굵기를 선정하도록 명시하고
있는데 케이블을 금속관 안에 넣는 경우를 제시하지 않고 있으므로 질의하신
경우는 열저항에 따른 허용전류, 작업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별도로 정하여
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2).

□ 내선규정 제2220절~제2235절의 배관 굵기 선정 관련 설명은 합성수지관 또는


금속관 공사에서 전선 신설 또는 전선 교체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전선의 외경
을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
183조, 제184조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절연전선에 대해서만 적용하는 규정이므
로 케이블 공사는 내선규정 제2275절을 참고하시되,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
려가 있는 장소는 관의 안지름이 케이블 바깥지름의 1.5배 이상인 관에 넣는
등 적당한 방호를 하여야 하고, 벽이나 바닥에 매입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굵
기의 금속관이나 합성수지관에 넣어 시설하도록 설명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
다(질의 3). 끝.
290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콘센트기구 아우트렛 박스 제외 규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84조 (회신 : 2018. 08. 22.)

질 의

○ (질의 1) 가로등 격등제어를 하나의 케이블을 사용하여 두 가닥은 A라인, 다른


두 가닥은 B라인 사용이 가능한지 여부와 내선규정의 판단여부를 알고 싶습니
다. 사용이 불가능하다면 그 이유는?

○ (질의 2) 매립 콘센트에 아우트렛 박스도 사용하지 않고 CD관에서 바로 콘센


트 접속이 이루어져 있는데, 콘센트 아우트렛 박스 사용 제외규정이 있는지요?

○ (질의 3) 입상 케이블트레이가 내부로 본딩이 되어있는데, 이에 대한 규정의


적합여부는?

회 신

□ (질의 1) 내선규정에서는 가로등 격등제어에 대한 규정이 명시되어 있지 않으


나 케이블의 굵기가 동일하더라도 단심/다심 종류와 조수, 공사방법, 회로 수
등 환경에 따라 케이블의 허용전류 값이 달라지므로 동 규정 제1435절 및 부
록 500-2에 따라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 (질의 2) 합성수지관 배선에서의 콘센트는 내선규정 2220-7에 따라 아웃렛박스


또는 이에 상당하는 것을 사용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 (질의 3) 케이블트레이의 외부, 내부 본딩에 대한 규정은 별도로 명시되어 있


지 않습니다. 다만 내선규정 2289-7의 ④항과 동 규정 2289-8에서 금속제 케이
블트레이의 계통과 유니트, 부속재 등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91

제 목 아웃렛박스 노출시공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84조 (회신 : 2018. 04. 06.)

질 의

○ 아파트 시공에 강제전선관 노출 배관 시공을 할 때 아웃렛 박스를 사용하는데


아웃렛 박스를 노출 박스로 사용 가능한지요?

○ 또한, 아웃렛 박스를 콘크리트 매입 박스로 시공해도 법규상 문제가 없는지 궁


금합니다.

회 신

□ 금속관공사 시 아웃렛박스 설치와 관련한 규정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


준 제184조(금속관 공사)제3항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질의하신 아웃렛박스의
노출설치 및 콘크리트 내 매입설치에 대한 사항은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전기
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 별도로 금하고 있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경우 문
제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아울러 아웃렛박스의 설치와 관련한 내용은 전기설비 상세 시공방법 등을 기


술한 내선규정(대한전기협회 발행) 2225-9(아웃렛 박스류) 등을 참조하실 수 있
습니다. 끝.
292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금속관 배선공사의 관 굵기 기준이 의무사항인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86조 (회신 : 2017. 08. 22.)

질 의

○ 내선규정 2225-5 관의 굵기 선정 3항.


“굵기가 다른 절연전선을 동일 관내에 넣는 경우의 금속관의 굵기는 표
2225-6부터 표2225-9까지에 따라 전선의 피복절연물을 포함한 단면적의 총합계
가 관내단면적의 32% 이하가 되도록 선정하여야 한다.”

○ 표 2225-7 절연전선을 금속관내에 넣을 경우의 보정계수는 관의 굵기를 선정


할 때 전선의 단면적에 의무적으로 적용해야 되는 사항인가요?

회 신

□ 내선규정 2225-5는 금속관 배선에서 관의 굵기를 선정함에 있어 전선의 피복


절연물을 포함한 단면적의 총합계가 관내 단면적의 일정 비율 이하가 되도록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이나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서 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전선을 관에 용이하게 삽입하는 등 현장작업과 유
지보수의 편리성을 위한 내용입니다.

□ 아울러 내선규정은 전기설비기술기준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내용 중


난해한 표현으로 되어 있는 것이나 또는 추상적인 표현으로 되어 있는 조항에
대하여 기술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기술기준과 판단기준의 목적과 취지를 살
려서 구체적으로 알기 쉽도록 표현한 민간단체표준으로서 의무사항, 권고사항,
장려사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선규정의 법적 지위와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사례집 FAQ 1번 게시물 ‘내선규정에 대하여’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
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93

제 목 레이스웨이내 AC, DC라인을 동시 시설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87조 (회신 : 2020. 07. 29.)

질 의

○ 전기실 안에 AC등 회로 라인이 있고 DC등 회로 라인이 있는데 하나의 레이


스웨이 안에 각각의 라인이 포설되어 있는데, 하나의 레이스웨이 안에 격벽없
이 각각의 라인(110V,220V)을 포설하고 등기구를 설치해도 문제가 없나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및 「내선규정」은 레이스웨이 내 구체적인 시


설기준을 다루고 있지 않으나, 판단기준 제187조(금속 덕트 공사)에서 “등기구
는 레이스웨이(raceway)로 사용할 수 없으나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
법」에 의한 안전인증을 받은 등기구는 동 조제1항 및 제3항에 적합하게 시설
할 경우에는 예외로 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귀하의 레이스웨이가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의한 안전


인증을 받은 등기구에 해당된다면 본 조항에 따라 시설하시되, 본 조항에서는
저압 교류 회로와 직류 회로를 격벽으로 구분하여 시설하도록 강제하고 있지
않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294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케이블 공사에 전선관 사용 가능여부 및 지지간격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3조

질 의

1. 비닐외장케이블을 금속관 안에 넣어 시공하는 것이 관련법규에 문제가 없는지


요? (‘20.09.18)

2. 판단기준 제193조(케이블공사)제1항제3호의 괄호규정에 따른 수직케이블의 지


지점간 거리는 6m의 기준, 제3항 및 그 각호에서는 건조물의 EPS안에 수직으
로 매어단 수직케이블의 기준, 그리고, 제4항에서는 수직케이블의 시설을 제한
하고 있는바, 그 외의 다른 조문은 수평케이블에 대한 것이라고 사료되며,

○ 또, 동 기준 제194조(케이블트레이공사)제1항제4호의 단서규정에 따른 수직케


이블트레이공사는 트레이 가로대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시설하는 것 이외의 조
문은 수평케이블트레이공사에 대한 것이라고 사료됩니다.

○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수직케이블의 최저점 중심에 무게하중이 걸리기 때


문에 그 반대쪽 최고점에는 수직장력을 영(Zero)으로 하는 고정장치가 필요하
며, 지진이나 진동이 EPS에 전달될 때, 이를 고려하여 6m 부근에 이를 완화시
키는 장치도 필요합니다.

○ 따라서 EPS 내에 수직케이블의 부설을 감리(藍理)한다고 할 때, 피복이 손상되


지 않게 지지점간 거리를 6m마다 느슨하게 고정시켜야 하는지? 아니면, 트레
이 가로대 15∼20cm 마다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하는지에 대해서 질의하오니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18.03.06)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95

회 신

□ (질의 1) 케이블은 절연체와 피복 구조의 전선으로서 절연전선보다 절연효과가


뛰어나나 취급이 불편하고 향후 전선교체 등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
으므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4조(금속관 공사)는 절연전선을 사
용토록 규정하고 있으며, 중량물의 압력 또는 현저한 기계적 충격을 받을 우
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금속관 등으로 방호 장치를 할 의
무가 없으나 기타 장소에서 금속관에 넣어 시공했을 때에는 향후 유지보수 및
허용전류에 대한 보완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질의 2)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3조 및 제194조는 각각 케이블 공


사와 케이블트레이 공사방법의 상세사항을 규정하고 있는데, 제193조의 경우
케이블의 수직 시설 시 자중으로 인한 케이블 손상 등의 우려가 있어 케이블
의 자중을 받지 않도록 조영재에 클리프, 새들 등으로 지지하도록 하며 지지
간격은 조건에 따라 1m 이하, 2m 이하 또는 6m 이하로 정하고 있습니다.

□ 또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4조의 경우에는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


블 및 그 밖의 배선설비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블 트레이의 수직 설
치 시 케이블의 이동 및 이탈로 인하여 사람에 접촉되거나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레이의 가로대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규정하
나 케이블과 가로대의 고정점 간격에 대해서는 별도로 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 따라서, 수직 설치하는 케이블 트레이 공사의 경우 케이블의 고정점 간격에 대


한 별도의 규정이 없으므로 케이블 공사 방법을 준용하여 상기 고정 목적에
부합하도록 케이블의 고정점 간격을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끝.
296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옥외 태양광 발전설비 현장의 케이블 트렌치 시설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3조의 2 (회신 : 2019. 05. 09.)

질 의

○ 전기설비 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3조의 2(케이블 트렌치 공사)


① 케이블 트렌치(옥내배선공사를 위하여 바닥을 파서 만든 도랑 및 부속설비
를 말하며 수용가의 옥내 수전설비 및 발전설비 설치장소에만 적용한다)에 의
한 옥내배선은 다음 각 호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 여기에서 옥내수전설비 및 발전설비 설치장소라고 했는데 옥내수전설비 또는


발전설비 설치장소인지, 옥내수전설비이고 발전설비인 곳에만 사용가능한 것
인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즉 옥외 태양광 발전설비는 트렌치 공사
가 가능한 것인지요? 또는 옥내 트렌치공사는 발전설비에만 설치가 가능한 것
인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3조의2는 케이블 트렌치 공사에 대하여 규


정하고 있는데, 제1항의 “수용가의 옥내 수전설비 및 발전설비 설치장소”란
“수용가의 옥내 수전설비 설치장소와 옥내 발전설비 설치장소”를 의미하며,
옥외에 시설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배선공사는 판단기준 제218조(옥측배선
또는 옥외배선의 시설)를 참조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97

제 목 케이블트레이에 금속제 가요전선관 사용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4조 (회신 : 2019. 03. 18.)

질 의

○ 케이블 트레이공사에 시공되는 전선은 금속관 혹은 합성수지관 등에 넣은 절


연전선은 가능하다고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4조에 나와 있습니다.

○ 그런데 금속제 가요전선관을 사용하여도 케이블 트레이 포설이 가능한지요?


아울러 1종, 2종 중 어느 것이 가능한지요?

회 신

□ 케이블 트레이공사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4조에 따라 시설되어


야 하며 전선은 동 조 제1항에 명시한 케이블을 사용함이 원칙이나 절연전선
을 사용할 경우에는 전선의 인장강도 등을 고려하여 금속관 또는 합성수지관
등에 넣어 시설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또한, 저압 옥내 배선의 케이블 트레이 공사의 경우에는 KS C IEC 60364-5-52


에 의한 시설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나(판단기준 제194조 제3항 참조), 가요전
선관은 케이블 트레이공사에 사용할 수 없으며 가요전선관 공사에 대하여는
판단기준 제186조 또는 내선규정 제2235절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298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트레이와 인체 간 이격거리 및 배관 아래 설치시 문제점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4조 (회신 : 2019. 07. 19.)

질 의

1. 특고압 케이블트레이를 전기실 바닥에 설치시 트레이와 사람과의 이격거리 관


련기준을 알고 싶습니다.
2. 케이블트레이를 설비 배관 밑으로 설치해도 되나요?

회 신

□ (질의 1)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과 이와 관련한 내


선규정 등에서는 귀하의 질의와 같이 전기실 바닥에 설치하는 케이블트레이와
인체간 이격거리를 명확하게 다루지는 않으나, 판단기준 제212조에 의하여 특
고압 옥내배선시 케이블트레이 공사는 35kV 이하로 시설하되 세부기준은 판
단기준 제209조제1항제4호 및 제194조에 따라야 하며, 아울러 옥내에 시설하는
예비케이블은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고 접지공사를 하여야 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질의 2) 질의하신 케이블트레이 주변 상황이나 시설 전압 등을 알 수 없으나


타 설비와의 이격거리 등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6조(저압 옥내
배선과 약전류 전선 등 또는 관과의 접근 또는 교차), 제209조(고압 옥내배선
등의 시설), 제212조(특고압 옥내 전기설비의 시설)를 참조하시기 바라며

□ 동 기준 제194조(케이블 트레이 공사)와 내선규정 제2289절은 케이블트레이를


사람의 통로로 사용하거나 다른 설비의 지지물로 사용 되는 것을 금하고 있음
은 물론, 전선 접속부분은 사람이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아울러 기술기준 제2조에 따라 모든 전기설비는 감전, 화재 그 밖에 사람에게


위해(危害)를 주거나 물건에 손상을 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하므로 귀하
의 케이블트레이 설비가 물이 침투하거나 배관 등으로 인해 전기설비에 손상
이 발생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99

제 목 케이블 덕트, 트레이 설치 시 바닥과의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4조 (회신 : 2020. 09. 17.)

질 의

○ 옥내 저압(220~380V) 케이블 덕트, 트레이 설치 시 바닥(지면)과의 이격 거리


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및 「한국전기설비규정」(KEC) 등은 바닥과의


이격거리를 다루고 있지 않으므로 각 공사방법에서 명시한 기준을 따르는 것
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일 예로, 케이블 트레이 공사의 경우에는 판단기준 제194조제2항에서 케이블


트레이는 모든 전선을 지지할 수 있는 적합한 강도의 것이어야 하며 케이블
트레이의 안전율은 1.5 이상으로 명시한 바, 그 구조와 시험방법 등은 KS C
8464(케이블 트레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300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케이블트레이에 50㎟ 미만 단심케이블 설치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4조 (회신 : 2020. 08. 11.)

질 의

○ 판단기준 194조 제1항 7조의 가. (4)은 단면적 50mm2 이상 120mm2 이하의


단심 케이블을 트레이에 배선 시 케이블 트레이 내측 폭 이하로 배선하라는
내용이 있는데, 단면적 50mm2 미만 단심 케이블의 트레이 배선시 기준은 어
떻게 되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4조는 케이블 트레이 공사기준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는데, 본 조항의 인용 기준인 NEC 규정에서는 단심케이블은 공칭
단면적 50㎟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 이에 따라 판단기준 제194조제1항제7호의 ‘가’는 사다리형 또는 펀칭형 케이블


트레이 내에 단심케이블을 시설하는 경우로서 공칭 단면적이 50㎟ 미만인 케
이블의 설치기준은 명시하고 있지 않습니다.

□ 다만, 동 조 제1항제7호의 ‘나’는 75mm, 100mm 또는 150mm 폭의 통풍채널


형 케이블 트레이 안에 단심케이블을 시설하는 경우로서 케이블의 단면적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있음에 따라 공칭 단면적이 50㎟ 미만인 케이블도 단심케이
블들의 지름 합계가 그 채널의 내측 폭 이하로 하는 경우에 시설이 가능할 것
으로 사료됩니다.

□ 아울러 귀하가 상기 기준에 따르지 않을 경우에는 동 기준 제180조제2항에 따


라 KS C IEC 60364-5-52의 케이블 트레이 공사방법과 허용전류 기준에 따라
시설하여야 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01

제 목 케이블트레이 옥외설치 가능여부 및 다단 설치 간격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4조

질 의

1.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규정 및 내용이 옥내에 한정되어 기술되어있는데, 옥외


에는 설치 할 수 없나요? (‘20.08.25)

2. 케이블트레이를 다단 설치시 간격 기준 관련 문의드립니다.

회 신

□ 내선규정 제22장의 표 2210-1 및 표 2210-2는 시설장소별 저압설비의 배선방


법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는데, 케이블 트레이 배선은 옥측, 옥외에도 시설이
가능하나, 습기가 많거나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내선규정 제4240절에 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1).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4조는 케이블 트레이 공사기준에서 케이


블 트레이 간격 기준을 다루고 있지 않으나, KEC 232.41에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을 KS C IEC 60364-5-52에 의한 방법으로 시설할 경우에는 벽면과는
20㎜ 이상 이격하되, 트레이 간 수직간격은 300㎜ 이상 설치하도록 명시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 끝.
302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케이블트레이의 접지 및 전기적 접속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4조 (회신 : 2020. 09. 12.)

질 의

○ 케이블트레이의 조인트커넥터에 본딩점퍼(퓨즈형)를 통해 접지를 시공하였을때


두 가지 궁금 사항이 있습니다. 트레이 접지는 기계적, 전기적 접속을 하여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엔드플레이트에 점퍼로 접지를 시공하였을때 트레
이 바디/ 조인트 커넥터 / 본딩점퍼 이 세가지가 전기적 접속이 되었다고 볼
수 있나요?

○ 전기적 접속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인가요? 바디와 바디간 본딩점퍼로 연결하


여 접지시공을 해야 하나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03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4조제2항은 금속제 케이블 트레이는 기계


적 및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하여야 하며 사용전압이 400 V 미만인 경우에
는 제3종 접지공사, 400 V 이상인 경우에는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
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또한 기준에서는 전기적 연속성에 대한 정의를 다루고 있지 않으나(질의 1),


KS C IEC 61537(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및 케이블 래더 시스템) 11.1항은 케이
블 트레이 시스템의 전기적 연속성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표현하고 있음을 참
고하시기 바라며,

○ 귀하의 케이블 트레이가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되었는지에 대한 판단은


귀하 현장을 방문하고 시공의 적합성 판단과 전기안전 점검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에게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2). 끝.
304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케이블트레이에 전기와 통신케이블 동시 포설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6조 (회신 : 2018. 03. 28.)

질 의

○ 전기 강전 케이블 트레이내 약전 차폐 케이블을 같이 포설할 수 있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6조제3항에서는 저압 옥내배선과 약전류 전


선은 동일한 케이블 트레이나 이들의 박스 기타의 부속품 또는 풀 박스 안에
시설해서는 안 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동조 제3항제1호부터 제5호에
서 예외조항을 두고 있으며, 이에 준하는 경우에는 약전류 전선을 옥내배선과
같이 시설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저압 옥내배선을 케이블 트레이 공사에 의해 시설하는 경우에는 동기준 제196


조제3항제5호에 따라 약전류 전선이 제어회로 등의 약전류 전선이고 이를 금
속관 또는 합성수지관에 넣어 포설할 때에만 옥내배선과 함께 동일한 케이블
트레이에 시설할 수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05

제 목 가연성 가스 장소에서의 옥외 전등시설 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00조 (회신 : 2019. 08. 20.)

질 의

○ 가연성 가스 등이 있는 곳의 옥외 저압 전기시설 (전등)에 사용할 수 있는 전


선에 대해서 문의 드립니다.

○ 기존에는 후강 전선관 내에 옥내용 절연전선(HIV)이 설치되어 있었는데, 기존


과 동일하게 절연전선을 사용하여 후강 전선관 내 포설이 가능한지 전선관 내
비닐 외장 케이블 시공만 가능한 것인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회 신

□ 가연성 가스 등이 있는 곳에서의 저압 전기시설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


준 제200조 또는 내선규정 제4210절에 따라 시설하여야 하며, 배선은 금속관
공사 또는 케이블 공사로 시행하되 금속관 공사로 시행할 경우에는 동 기준
제184조(금속관 공사)에 따라 옥외용 비닐절연전선을 제외한 절연전선(연선)으
로 시설하여야 하는 바, 자세한 내용은 본 조항 전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절연전선은 동 기준 제4조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귀하가


제시한 HIV전선은 '09.10.27에 KS C 3328 표준이 폐지됨에 따라 생산이 중지
된 제품으로서 일부 현장에서는 KS C IEC 60227-3으로 제조된 제품을 ‘HIV’
라는 호칭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고, 본 표준에는 기기배선용과 일반용이 있
으므로 선택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또한 귀하의 현장이 화재안전기준에 따라야 하는 경우에는 NFSC 102(옥내소


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 등을 참고하시고 이와 관련한 질의는 소방청
(http://www.nfa.go.kr) 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끝.
306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방폭지역에 나사 없는 전선관 사용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9조 (회신 : 2018. 12. 12.)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의 제199조, 제200조에 “금속관은 박강 전선관 또


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것일 것.”이라는 규정이 있습니다. 규정상
으로 보면 방폭 지역은 박강 전선관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전
선관을 적용하라는 내용으로 판단됩니다.

○ KS C 8401 강제전선관 규격에 보면 강제전선관은 “나사 없는 전선관, 박강전


선관, 후강전선관” 3가지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 방폭 지역 및 옥외 노출 전선관 배관에 대해 아래와 같이 문의 드립니다.

1. 방폭 지역에서의 나사 없는 전선관 적용 가능 여부

2. 옥외 노출 배관 시 나사 없는 전선관 적용 가능 여부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07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9조 및 제200조는 먼지가 많은 장소와 가연


성 가스 등의 장소에서의 저압시설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동 장소에서의
금속관 공사는 박강 전선관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전선관을
사용하여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으나, 내선규정 제42장 특수장소에서의 배선기
준(4210-2)에 따르면 폭발성위험지역에서는 부속품 등과의 관계와 시공을 고려
하여 후강전선관을 사용토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아울러 관 상호 간 및 관과 박스 기타의 부속품・풀박스 또는 전기기계기구와


는 5턱 이상 나사 조임으로 접속하는 방법 또는 기타 이와 동등 이상의 효력
이 있는 방법에 의하여 견고하게 접속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분진 및 폭발
성위험지역 상황에 적합한 금속관과 부속품을 선정하고 관련 표준에 의거한
인증을 받은 제품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견고하고 전기적으로 완전한 접속을
하는 등 본 규정을 충분히 준수한다면 나사 없는 전선관도 사용할 수 있을 것
으로 사료됩니다(질의 1).

□ 또한 판단기준 제184조와 내선규정 제2225절 등은 전선관의 나사 유무를 규정


하고 있지는 않으나 ‘나사 접속 또는 나사 없는 접속’을 설명하는 내선규정
(2016년) 그림 2225-2의 금속관 접속 예시도를 고려할 때 전항의 설명처럼 현
장 상황에 적합하게 인증을 받은 제품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견고하고 전기
적으로 완전한 접속을 하는 등 본 규정을 충분히 준수하는 경우에는 옥외 노
출 배관 시에도 나사 없는 전선관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2). 끝.
308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화약류 저장소와 지상기기간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02조 (회신 : 2018. 06. 12.)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에 따라 화약류 저장소와 지상기기 간 이격거리


에 대해 문의합니다. 현재 지상기기 위치를 관공서 탄약보관창고 인근에 설치
하는데, 약 25~40M 정도 이격되어 있습니다.

○ 이에 기술기준과 판단기준을 검토하였으나 모두 화약류 저장소의 '안에' 또는


'내에서' 라고 나와 있고, 외부에 대한 이격거리에 대한 내용은 확인할 수 없
는데, 이에 검토 부탁드립니다.

회 신

□ 화약류 저장소에 대해 전기설비기술기준 제61조(가연성 가스 등이 있는 장소),


제63조(화약류 저장소), 제169조(저압 옥내전로 인입구에서의 개폐기의 시설),
제199조(먼지가 많은 장소에서의 저압의 시설), 제201조(위험물 등이 있는 장소
의 저압의 시설), 제202조(화약류 저장소에서 전기설비의 시설)에서 화약류 저
장소의 내부설치에 대해 규정하고 있으며, 외부에 설치된 전기설비간의 이격
거리는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 화약류 저장소란?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한


장소를 말합니다.

□ 다만,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126조(특고압 가공전선과 건조물의 접


근) 제3항, 제4항에서 사용전압 특고압 가공전선이 화약류 등을 다루는 건조물
과의 이격거리 및 시설방법을 규정하고 있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09

제 목 견고한 내화성의 격벽에 대한 정의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12조 (회신 : 2017. 08. 21)

질 의

○ 판단기준 212조 2항의 “견고한 내화성의 격벽”이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의미합니까?

○ 특고압케이블을 비닐피복2종가요전선관에 넣어 저압 케이블 군을 교차하여 포


설하는 경우는 가요전선관이 “견고한 내화성의 격벽”으로 간주되어 가능 합
니까?

○ 상기 2가 아니라면 구체적으로 어떤 방법이 “견고한 내화성의 격벽”입니까?


209조 2항에 따르면 고압 케이블은 다른 고압케이블과 “견고한 내화성의 격
벽” 없이 교차하여 포설해도 허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12조 제2항은 특고압의 옥내배선과 저압


및 고압의 옥내배선의 전선,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 및 고압 전선로의 전선 또
는 관등회로 배선과의 이격거리를 원칙적으로 60 ㎝ 이상으로 정한 규정입니
다.

□ “견고한 내화성”이란 콘크리트 등의 불연재료로 만들어진 것으로 케이블의


허용온도 이상으로 가열시킨 상태에서도 변형 또는 파괴되지 않는 재료”를
말하며, “격벽”은 접촉방지를 목적으로 공간을 구분하기 위한 벽을 의미합
니다(「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41조, 동 기준 해설서의 해설 그림
196-1 참조).
310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 따라서 “질의 1 및 3”에 대하여는 상기 답변을 참고하시기 바라며, “질의


2”에서 질의하신 가요전선관은 ‘견고한 내화성의 격벽’으로는 볼 수 없다
고 판단됩니다. 끝.

전기설비기술기준 해설서 제196조 그림 196-1 해설 : 애자사용공사에 의한 경


우는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저압 옥내배선의 전선과 약전류 전선 등과의 이격
거리는 원칙적으로 10 ㎝ 이상이어야 한다. 그러나 상호간에 절연성의 격벽을
설치하거나 전선을 충분한 길이의 절연전선관(판단기준 제195조)에 넣는 경우
는 이 규제의 적용을 받지 않아도 된다. (해설 그림 196-1) 끝.

가스관
전선

절연성
10㎝ 10㎝ 격 벽
이하 이하

절연관

10㎝ 10㎝
전선 이상
이상

금속관

<그림 196-1>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11

제 목 삼파장 램프가 방전등에 해당하는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13조 (회신 : 2018. 06. 27.)

질 의

○ 삼파장 램프는 일반 형광등으로 알고 있는데,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는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방전등에 해당하는지, 다른 종류에 해당하는지, 방전등에 해당하면 1000V 이하


방전등에 해당하는지?

회 신

□ 일반적으로 삼파장램프는 형광등에 속하며, 형광등 및 수은등 등은 광원 분류


상 방전등의 일종으로 분류됩니다.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13조 내지 제216조 등에서는 옥내 방전등 공


사에 관하여 상세히 규정하고 있으며, 동 기준 제225조 등에서는 옥측 또는 옥
외 방전등 공사에 관하여 규정합니다. 상기 조항에서는 관등회로의 사용전압
에 따라 별도의 요구사항을 두고 있으므로 시설현장 및 해당 기기에 맞는 조
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312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LED 조명기구의 설치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13조 (회신 : 2019. 01. 17.)

질 의

1. LED 등기구에는 반드시 환기구를 설치하여야 하며, 가능한 많은 통풍구 및 적


절한 방호망을 설치하여야 하는지요?

2. 조명기구의 모든 배선 및 충전부는 은폐되어야 한다고 하는데, 조명기구 자체


배선 및 조명기구 본체와 이중천정 사이의 조명기구 인입배선도 은폐되어야
하는지요?

3. 조명기구 내에 설치된 단자란 조명기구 내부에 설치된 단자인지? 아니면 조명


기구 외부에 노출로 설치된 절연전선이나 케이블이 부착된 단자까지도 포함되
는지요?

4. 조명기구 내부에 단자가 설치되지 않고, 안정기의 인출선이 절연전선으로 조명


기구의 외부에 노출로 설치된 경우 등기구의 인출선을 조명기구에 접속하는
배선으로 판단하여 케이블 또는 배관공사를 하도록 하여야 하는지? 아니면 조
명기구 KSC 7653-2016 매입형 및 고정형 KLED 6.7. 고정배선 및 내부배선에
언급이 없는 바, 절연전선으로 노출된 조명기구로 설치하여도 되는지요?

5. 인입단자가 외부로 인출된 절연전선으로 된 조명기구로 설치하여도 되는 경우,


등기구 안정기에서 외부에 절연전선으로 인출된 단자까지의 절연전선 길이는
얼마까지 가능한지요?

6. 안정기 2차측 절연전선이 등기구 몸체 외부로 노출배선하는 경우 절연전선으


로 제조가 가능한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13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13조 및 제214조 등에서는 옥내에 시설되는


방전등과 그 배선의 시설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습니다. 방전등은 안정기, 방전
관 기타의 부속품을 단일 조명기구에 넣어서 그 전원을 일반 저압 옥내 배선
으로부터 취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건조물 내의 조명방법에
따라 반드시 그렇게 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 이에 대하여 동 기준 제215조에서는 사용전압 1 kV 이하의 옥내 관등회로의


시설방법을 규정하고 있는데, 400 V 미만인 경우에는 일반 저압 옥내배선과
동일하게 시설하고 추가적으로 형광등전선 또한 사용할 수 있도록 정합니다.
다만, 안정기 2차 측에서 안전전압 이하의 전원을 사용하는 LED 등에 대해서
는 상세히 규정하지 않습니다.

□ (질의 1 내지 3) 질의하신 사항은 국토교통부고시 「건설기준코드(시방코드)」에


해당하는 사항으로 관련 부처의 명확한 검토의견을 득하심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질의 4 내지 6) 상기 답변과 같이 판단기준에서는 LED에 대한 별도의 규정을


다루지 않습니다만, 일반 방전등과 사용전원이 동일한 안정기 1차 측의 배선
에 대해서는 현행 판단기준에 준하여 시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안정기
이하 부분에 관한 사항은 LED의 공인 제품인증 및 시험성적서에 적합하도록
시설되어야 합니다. 끝.
314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방전등에 적절한 방습장치 관련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13조 (회신 : 2017. 06. 13.)

질 의

○ 판단기준 제213조제6호
습기가 많은 곳 또는 물기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방전등에는 적절한 방습장치
를 할 것. 관련 문의 사항입니다.
- 저전압이며 상시 사용이 아닌 일반 아파트의 욕실에 있는 조명기구에 꼭 방
습장치를 해야 하나요?
- 방습장치를 필히 해야 한다면 환풍 시설을 방습 장치로 볼 수 있지 않는지
요?
- 환풍시설을 방습 장치로 볼 수 없다면 조명기구에 부착되는 고무패킹을 방
습 장치로 볼 수 있는지요?
- 방습장치는 정확히 습기로 부터 무얼 보호하는 게 목적인지요? / 해당 목적
물 보호가 이루어졌다면 방습장치는 별도 지정되지 않아도 무방한지요? /
해당 목적물 보호 된 것을 어떠한 방법 / 기준으로 확인이 가능한지요?

회 신

□ 판단기준 및 내선규정에서 규정하는 절연전선 또는 케이블 등은 전기는 계속


하여 공급하는 조건에서 규정된 전선의 허용전류 및 허용온도 등의 값 이내에
서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질의하신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13조는 사용전압이 1000V이하의 방


전등 중 형광등, 수은등 등에 대한 시설기준으로 제6호는 방습장치에 관한 규
정이지만, 형광등은 습기에 대해서 민감하여 부점(不点: 점등되지 않음)이 이뤄
지지 않기가 쉽고 사고도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습기가 많은 장소 등에 시설
하는 것은 될 수 있는 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득이하게 시설하는 경우
는 안정기 및 방전관 등에 습기가 들어가지 아니하도록 방습형의 조명기구 또
는 적절한 방습장치를 한 조명기구 등을 사용하여 시설하도록 한 규정입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15

□ 본 조항에서 말하는 적절한 방습장치에 대한 예로 내선규정 4240-4 전기기계


기구 등의 2항에서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의 전등은 선부
착방수 소켓을 사용하거나 비틀어 끼우는 글로브 등이 붙은 방습형 조명기구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형광등의 경우도 이에 따른다). 다만, 유리 등으로 방습
장치를 한 것은 적용하지 않는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KS C 8000 조명기구통칙에서는 방습성능에 대해 “기구의 내부에 정상적
인 동작을 저해할만한 습기의 침입이 없어야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으며 적
용 장소로는 “욕실, 주방 등”을 명시하고 있어 본 조항의 적용에 이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질의하신 1번의 욕실은 일반적으로 습기가 많은 장소로 판단되기 때문


에 방습장치가 필요합니다.

□ 질의하신 2번의 환풍시설은 일반적으로 욕실의 습기 제거에 도움을 줄 수 있


으나 해당 장소의 구조와 환풍시설의 성능 및 작동시간 등에 따라 해당 장소
의 제습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해당 장소와 환풍시설을 고려하여
방전등의 방습성능을 충족시키는지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 질의하신 3번의 고무패킹은 상기 환풍시설의 답변을 참고하여 판단하시기 바


랍니다.

□ 질의하신 4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방전등의 안정기 및 방전관 등을 보호하여


방전등을 정상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함이며, 판단기준 제213조에서는 설계/시
공의 자율성 및 다양성을 제한하지 않기 위해 적절한 방습장치에 대해 특정하
고 있지 않으나 상기 인용자료 및 기타 관련 자료를 참고하시어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끝.
316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전기울타리의 시설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31조 (회신 : 2018. 02. 09.)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31조(전기울타리의시설) 제1항제5호에서 ‘시


설물’에 마을안길 등의 도로도 시설물로 보아 도로에서도 30cm의 간격을 두고
전기울타리를 설치하여야하는지에 대하여 질의합니다.

회 신

□ 질의하신 다른 시설물이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87조(저압 가공전선과


다른 시설물의 접근 또는 교차)에서 “건조물․도로․횡단보도교․철도․궤도․삭도․가공약
전류 전선로 등․안테나․교류 전차선등․저압 또는 고압의 전차선․다른 저압 가공전
선․고압 가공전선 및 특별고압 가공전선 이외의 시설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를 준용할 때 도로는 다른 시설물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다만, 전기설비기술기준 제66조에서 “전기울타리는 논밭, 목장, 그와 유사한 장소


에서 야수의 침입 또는 가축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해 시설하는 경우로 한정하고
있는 점과 판단기준 제231조제1항1호에서 전기울타리는 사람이 쉽게 출입하지 아
니하는 곳에 시설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시어 사람과 가축의 통행
등 질의하신 도로의 특성과 전기울타리가 절연성이 없음을 고려하여 감전 또는
화재의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시기 바랍니다. 끝.

※ 참고 : 사람이 쉽게 출입하는 장소
사람이 일반적으로 다니는 곳과 펜스와 벽 등에서 분리되지 않고 있으며 또한
사람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높이의 장소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17

제 목 교통신호기에 누전차단기 시설 생략조건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34조 (회신 : 2018. 10. 11.)

질 의

○ 그림과 같이 시설된 교통신호기에서 2중으로 설치된 누전차단기를 제어함 내


부 인입 1개소에만 설치할 때 기술기준에 위반되는지요?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69조에 의거 교통신호기 제어함 인입전에 반


드시 개폐기를 설치해야 되는지요?

○ 보안등용 제어함 및 무인단속 과속카메라 제어함은 내부에 1개의 누전차단기


가 설치되어 운영 중 인데 기술기준에 위배되지 않는지요?

▪한전인입 ~ 교통신호 제기어함 사이에 누전차단기를 설치함.


▪교통신호기 제어함 내부 인입에 전기설비기술기준 제13조(과전류에 대한보호),
제14조(지락에 대한 보호) 및 제56조 제3항의 자동전로 차단장치로 누전차단기
(ELB)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음.
318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회 신

□ 공공의 안전 확보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것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는


그림의 분전함에서와 같이 과전류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하며(기술기준 제56조
제③항)

□ 교통신호등의 제어장치에는 회로에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다른 회로와 독립적


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그림과 같이 제어장치의 전원 측에 전용 개폐기 및 과
전류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하고, 사용전압이 150 V를 초과하는 경우는 지락차
단장치를 시설하여야 합니다. (판단기준 제234조 ④항)

□ 따라서 귀하께서 질의하신 교통신호등의 분전함과 제어함에 시설된 각각의 누


전차단기는 제품명만 같은 뿐 서로 용도와 규격이 상이한 것이며, 기준도 서
로 다르게 적용되는 의무기준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보안등용 제어함 및 무인단속 과속카메라 제어함의 경우는 시설환경과


사용전압, 발주처의 시방서, 시공기준 등 제반 여건을 참고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19

제 목 풀장에 사용 가능한 전선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41조 (회신 : 2020. 07. 21.)

질 의

○ 풀장에 매입형 DC 등기구를 설치 하려고 하는데, 등기구(DC 12W)와 연결된


전선 또한 DC로 연결되고, 해당 전선은 물과 직접적인 접촉은 없습니다.
VCTF KS C IEC 60227-5 06-0362 전선을 사용해도 될까요?

회 신

□ 귀하가 문의하신 VCTF KS C IEC 60227-5 06-0362이 표준의 분류와 달라 KS


C IEC 60227-5의 어느 규격인지 불명확하나, 귀하의 전선이 KS C IEC
60227-5 규격에 의한 VCTF 전선이라면 “300/500 V 이하 유연성 비닐 케이블
(코드)”로 추정되며, 코드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6조에 따라 판
단기준에서 허용된 경우에 한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귀하의 풀장에는 사용이
불가합니다.

□ 아울러 KS C IEC 60227-5 VCTF 전선에 대한 설명은 본 사례집 FAQ 3번 내


용을 참고하시기 바라며, 귀하의 풀장 수중조명등의 시설기준과 사용 가능한
전선은 동 기준 제241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320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소세력회로와 DC제어선을 함께 배선해도 되는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44조 (회신 : 2020. 03. 05.)

질 의

○ 판단기준 제244조(소세력 회로의 시설)에서 “전선은 금속제의 수관·가스관 또


는 이와 유사한 것과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시설할 것”의 관련입니다.

○ 저희 공장의 DC24V SMPS를 이용한 입출력 부품(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제어하는 전원(DC24V, 단락 전류 5A이하)과 공압호스를 함께 동일 케이블 덕
트 안에 넣어 배선을 해도 되는지요?

○ 일반 '옥내배선'(AC 전원 케이블 400V 이하)은 플라스틱 공압호스와 병행해서


배선을 하면 안되는지요?

회 신

□ 소세력 회로의 정의는 내선규정 1300-7(용어)을 참고하되,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44조제1항제3호는 소세력 회로의 전선을 지중, 지상 및 가공 이
외의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의 공사방법으로서 ‘사’는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쇼
크를 받는 것에 대한 방지 목적입니다.

□ 따라서 공압호스가 비금속성이고, 판단기준 제244조의 [표244-1]과 같이 귀하의


제어용 DC 전원을 전용으로 공급하는 절연변압기 2차 단락전류가 5 A 라면
동 조 제1항제3호에 따라 동일공간에 시설하는 것이 가능합니다(질의 1).

○ 또한, 400 V 미만의 저압 옥내배선은 판단기준 제180조 [표180-1]과 같이 시설


장소에 따라 다양한 공사방법 적용이 가능하며, 동 기준 제181조~제194조에
공사방법에 따른 시설기준이 명시되어 있으므로 귀하의 공사방법에 적합한 시
설기준을 참고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2).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21

6. 제6장 전기철도 등
(제251조 ~ 제278조)


6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23

제 목 트램의 가공전차선이 가공전선의 범위에 해당하는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79조 (회신 : 2018. 01. 23.)

질 의

○ 노면전차(트램)으로 가공전차선을 도로에 시설하는 경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의 제72조의 가공전선의 범위에 가공전차선도 포함되는지요?

○ 노면전차(트램)으로 가공전차선을 도로에 시설하는 경우 교차로구간의 경우 제


72조 ①항의 1호 도로를 횡단하는 경우에 교차로구간이 해당 되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3조는 “전선이란 강전류 전기의 전송에 사용하는 전기


도체, 절연물로 피복한 전기 도체 또는 절연물로 피복한 전기 도체를 다시 보
호 피복한 전기 도체를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으나 “전선로”는 전차선을 제외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질의 1).

□ 또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72조는 저고압 가공전선의 높이에 대


한 기준이며, 전기철도 전차선의 시설에 대한 기준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
단기준」 제6장을 참조하시되 가공 직류 전차선의 레일면상의 높이는 동 기준
제256조를, 교류식 전기철도와 강색 철도의 시설기준은 동 기준 제266조부터
제278조까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25

7. 제7장 국제표준도입
(제279조 ~ 제280조)


7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27

제 목 보호선 의미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79조 (회신 : 2018. 01. 23.)

질 의

○ 2013 내선규정 표 5240-2 보호선의 단면적에 대한 내용 중에서 ‘a PEN 선의


경우에 단면적의 축소는 중성선의 크기 결정에 허용된다.’는 의미를 잘 모르겠
습니다.

○ a가 상수인 건가요? 아니면 단지 그 부분에 대한 설명인가요?

회 신

□ 질의하신 a는 표5240-2에서 식 16a, Sa/2 의 a로 이 수식에 대한 설명을 뜻합


니다. PEN 도체의 경우 중성선의 기능을 가지므로 단면적은 중성선으로 필요
한 것 이상이어야 하며, KS C IEC 60364-5-52에 중성선의 단면적이 최소한 선
도체의 단면적 이상이어야 하는 경우 등이 명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시
어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29

8. 제8장 지능형전력망
(제281조 ~ 제298조)


8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31

제 목 분산형전원 역전력계전기 및 역・결상계전기 설치기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83조 (회신 : 2019. 10. 01.)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283조(계통연계용 보호장치의 시설)


③ 단순 병렬운전 분산형전원의 경우에는 역전력 계전기를 설치한다. 단, 신에
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촉진법 제2조 제1호 및 제2호의 규정에 의
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동일 전기사용장소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합계
용량이 50kW 이하의 소규모 분산형 전원(단, 해당 구내계통 내의 전기사용 부
하의 수전계약전력이 분산형전원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한한다)으로서 제1
항 제3호에 의한 단독운전 방지기능을 가진 것을 단순 병렬로 연계하는 경우
에는 역전력계전기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1. 안전공사에서 수전설비와 연결이 되지 않은채 한전 배전선로에 태양광 발전


(50kW 초과) 라인이 바로 연결된다면 역전력계전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데 확실한 건지 알고 싶습니다.

2. 역전력계전기는 명시가 되어 있는데 예전에 태양광 도면을 그릴때 역,결상 계


전기를 포함시키라는 얘기를 들어서 태양광발전에서 역,결상계전기의 설치 기
준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332 8. 제8장 지능형전력망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83조는 계통연계용 보호장치의 시설에 대하


여 명시하고 있는데, 50kW를 초과하는 ‘단순 병렬운전 분산형전원’(분산형전원
을 한전 전력계통에 연계하여 운전하되, 생산한 전력의 전부를 구내계통 내에
서 자체적으로 소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산한 전력이 한전 전력계통으로 송
전되지 않는 병렬운전 형태를 의미함)에는 역전력 계전기를 설치하여야 합니
다.

□ 따라서 귀하 현장이 단순병렬운전 분산형전원인지 여부를 확인하시어 본 기준


을 적용하시기 바라며 구체적인 판단은 전기안전공사와 협의하심이 타당할 것
으로 사료됩니다(질의 1).

□ 아울러 한전 전력계통에 연계하는 분산형전원은 동 조 제1항에 따라 분산형전


원이나 연계한 전력계통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분산형전원이 단독운전 상태가
될 때에는 분산형전원을 전력계통에서 자동적으로 분리하고 해당 계통과 보호
협조를 이루는 적합한 장치를 시설하여야 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33

제 목 전기차 충전기 접지종류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86조 (회신 : 2020. 09. 02.)

질 의

○ 전기차 급속충전기 설치시 전원은 380V이나 출력이 DC500V까지 나오게 되는


데, 특별3종 접지를 하여야하는지요?

회 신

□ IEC 등 국제기준에서는 AC, DC 구분없이 상용전압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조 안전원칙에 따라 전기설비는 우선적으로 안전을 고
려하여야 하므로 최고전압을 적용하여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33조
에 따라 출력 DC 500V인 귀하의 충전기 외함은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시행
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아울러, 환경부에서 ‘18.01에 발표한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설치・운영 지침에


서도 출력 측 전압을 고려하여 급속충전기는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10Ω), 완
속충전기는 제3종 접지공사(100Ω)를 하도록 권장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
니다. 끝.
334 8. 제8장 지능형전력망

제 목 이동형차량에 시설하는 ESS 관련 기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95조 (회신 : 2020. 08. 11.)

질 의

○ 한전의 ESS 발전차량 관련으로 정격용량 500kW이고 리튬이온입니다.


해당 ESS를 활용하여 회사 내부전력의 수요관리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전기설
비기술기준 295조~297조에 의하면, 리튬계열 2차전지는 건물과 분리된 별도에
장치에 시설한다고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별도 전기저장장치 시설장소가 없는
이동형 차량에 ESS설치된 건에 대한 내용은 없는 것 같습니다.

○ 이동형 차량 자체를 별도의 옥의 시설공간(옥외 컨테이너 등)으로 판단해도 되


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95조부터 제298조는 지능형전력망을 구성


하는 분산형전원으로서의 전기저장장치에 대한 사항으로 재생에너지원연계용,
첨두부하경감용, 주파수조정용 등의 목적으로 운영되는 것을 말합니다.

□ 아울러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는 이동형 전기저장장치에 대


하여 별도의 규정을 명시하지 않으나 최근 전기저장장치의 적용처와 형태가
다양화 되는 바, 상기와 유사한 목적과 운전조건(충방전 주기 등)을 갖는 경우
에는 현행 시설기준에 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다만, 해당 설비와 현장 상황을 명확히 알 수 없으므로 질의하신 설비의 용도


와 운전조건 등을 검토하여 판단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35

제 목 저압태양광에 설치하는 ESS의 울타리 시설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95조 (회신 : 2020. 01. 10.)

질 의

○ 현재 저압 태양광 내에 ESS 연계하여 설치할 예정입니다.


태양광 외곽으로는 높이2m 및 울타리접지 실시하였으나, ESS 연계시에 ESS수
배전반(저압반)용 울타리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지?

○ ESS 배터리가 컨테이너 형태로 들어가는데 컨테이너에도 꼭 울타리가 필요한


지요?

회 신

□ 이차전지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시설과 관련하여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


단기준」 제295조부터 제298조에 명시된 사항을 준용하시기 바라며, 제295조에
서는 일반인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시건장치 등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
습니다.

□ 이와 함께 태양전지, 전기저장장치 등은 발전소에 포함되는 바, 현장 시설조건


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4조(발전소 등의 울타리・담 등의
시설)의 적용여부를 검토하시기 바랍니다. 끝.
336 8. 제8장 지능형전력망

제 목 PCS컨테이너와 배터리컨테이너 차이점 및 기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98조 (회신 : 2020. 09. 17.)

질 의

○ 배터리 컨테이너와 PCS 컨테이너를 구분하여 설치하려고 계획 중입니다.


판단기준 298조에서 "전기저장장치를 시설하는 장소"와 "이차전지를 시설하는
장소"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 PCS 컨테이너도 298조에 해당하나요?

○ PCS 컨테이너도 배터리컨테이너 기준과 동일하게 다른 건물과 1.5m 이격에


다른 출입구나 피난계단 등 이와 유사한 장소로부터 3m 이격을 해야 하는 것
인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98조에서 “전기저장장치를 시설하는 장소”


란 ESS와 PCS 등을 포함한 시스템일체를 시설하는 장소를 통칭한 것이며,
“이차전지를 시설하는 장소”란 배터리를 시설하는 장소를 의미하므로(질의 1)
귀하의 PCS용 컨테이너는 “전기저장장치”로 표현된 조항에 적용하시기 바랍
니다(질의 2). 아울러 귀하의 PCS 컨테이너는 “전기저장장치를 시설하는 장
소”이므로 동 조 제2항제6호에 따라 시설하시기 바랍니다(질의 3).

□ 다만 우리 협회는 귀하의 현장 상황을 잘 알 수 없는 바, 전기저장장치 시설장


소 내부의 이격 등 상세사항은 현장에 대한 검사 또는 점검을 수행하는 기관
에 문의 및 확인하여 최종 판단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37

제 목 리튬이온 축전지 UPS도 ESS 관련 기준을 적용하나요?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98조 (회신 : 2020. 02. 28.)

질 의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9-667호(2019년 11월 21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


단기준”에서 일부 개정된 항목 중 “제298조(특정 기술을 이용한 전기저장장치
의 추가 설치 요건)”의 내용에 지하철 신호설비의 축전지(리튬 인산철)에도 적
용이 되어야 하는지요?
○ 해당설비는 지하철 신호설비의 전원공급을 위해 UPS를 설치하여 신호설비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설비입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8장(지능형전력망) 제4절(이차전지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시설) 이하에 규정된 제295조부터 제298조의 적용대상은 분산
형전원이나 발전소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기저장장치에 한정된 것으로서 일반
적으로 재생에너지연계용, 주파수조정용, 첨두부하경감용 등의 용도로 사용되
는 전기저장장치 또는 비상용 예비전원용도를 겸하여 사용되는 전기저장장치
등을 의미합니다.

□ 한편, 정전 시 절체되어 특정 시간동안 특정 부하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장치(UPS)는 전통적으로 저압 옥내 직류 부하설비의 일종으로 간주되어
왔고 상기 기준 제295조부터 제298조의 적용대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다만, 상기 기준 제295조부터 제298조 적용대상의 기능 또는 용도를 겸하거나


운영주기 등이 유사한 무정전전원장치(UPS)의 경우에는 상기 규정의 적용 대
상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이를 명확히 확인하여 판단하시기 바라며, 리튬이온
배터리의 화재사고가 연속된 점을 참고하시어 무정전전원장치(UPS)라 할지라
도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귀하의 현장 여건 등을 반영한 안전
대책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끝.
338 8. 제8장 지능형전력망

제 목 직류 전기설비의 전선 선정기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86조 (회신 : 2018. 09. 05.)

질 의

○ 전기차 충전의 운영의 방식이 기존의 교류 공급에서 직류 공급으로 바뀌는 추


세라 직류 전력선의 선정방법(인용규격)에 대해서 문의 드립니다.

○ DC 1000V, 500A 입력을 가진 전기차 충전기의 전력선을 바닥에 매립하려고


하는데, 관련 규정이나 법규에 적합한 전선의 선정에 참고할 수 있는 인용 규
격이 있을까요?

○ 내선규정 4320-2의 사용전압에는 직류 설비는 저압600V만 명시가 되어있는데


직류 1000V, 500A는 고압으로 관련 기술기준이 없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회 신

□ 귀하가 제시하신 내선규정 제4320절은 “태양광발전 등에 의해 공급되는 직류


로 옥내직류 전기설비를 시설하는 장소 등에 적용하는 내용”이며, 전기자동차
의 충전설비에 대하여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86조 및 내선규정
제4310절을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 다만, 현재 전기 자동차 충전설비와 관련하여 일부 기술적인 내용을 보완검토


중이므로 판단기준의 변경되는 내용은 추후 고시되는 개정공고문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39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K
E
C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41

제 목 특고압 케이블 전압기준 문의

관련조항 : KEC 111 (회신 : 2020. 10. 07.)

질 의

○ 내선규정 및 신규 제정되는 한국전기설비기준에 정의된 전압 중 특고압이 교


류 7kV 초과입니다.

○ 6/10kV 전선의 경우 상전압은 고압, 선간전압은 특고압으로 나뉘는데, 실제


케이블에 사용되는 전압은 상전압인 6kV입니다. 이때 본 케이블은 특고압, 고
압 중 어느 것으로 분류해야하는지요?

회 신

□ 고압 및 특고압 케이블의 규격인 6/10kV는 고압 또는 특고압용으로 분류하기


위한 전압표시가 아니라 사용전압이 6kV(상전압) 또는 10kV(선간전압)까지 가
능하다는 의미이므로 귀하 전로의 사용전압에 따라 적합한 케이블을 사용하시
기 바랍니다.

□ 아울러 고압 및 특고압케이블은 「한국전기설비규정」(KEC) 122.5에 명시된 바


와 같이 전로의 사용전압에 따라 구분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342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전선의 식별 문의

관련조항 : KEC 121

질 의

1. 기존 사용되었던 삼상 표시 문자는 R, S, T / A, B, C / L1, L2, L3 등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나 KEC는 L1, L2, L3, N, 보호도체로 표기하였습니다.
2021년 이후 상별표시는 L1, L2, L3 로 표기 하여야 하는지요? (‘18.12.28)

2. 특고압 or 고압 설비의 경우에도 해당 기준 적용하나요? (‘20.07.22)

3. 기존 전기설비(케이블 및 BUS)를 신설 전기설비의 색상과 동일하게 해야 할


경우 기존 전기설비 말단에 상구분 테이프를 적용해도 되나요? (‘20.10.15)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43

회 신

□ 2021.01.01 시행예정인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의 121.2항은 전선식별에서 상별


표시를 L1, L2, L3 등으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표기
방법이므로 향후 모든 상별 표기는 본 원칙에 따라야 하는 것이 타당하나 기
존에 통용되던 표기방법(A, B, C 또는 R, S, T 등)에 대해서는 일정기간 병행
사용하는 등의 사회적 합의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1).

□ 아울러 저압 및 고압・특고압 전기설비 전체가 KEC 적용 대상이므로 귀하가


질의한 특고압 or 고압 설비도 KEC에 적합하게 적용되어야 함을 알려드립니
다(질의 2).

□ 또한, 2021년 1월 1일 이후에 신설 또는 증설되는 전기설비는 KEC 기준에 따


라 색상구분을 시행하여야 하나, 증설 시 기존 적용 색상과 상이한 경우, KS
규격에 의하여 피복이 검정색으로 생산되는 케이블류(기존 규격에 따라 적법
하게 생산된 재고품 포함)와 피복이 없는 부스바 등은 종단 접속부에서 색상
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도색, 밴드, 색 테이프 등의 방법으로 식별
표시하여 착오로 인한 오결선 등을 예방해야 합니다(질의 3).

□ 다만 KEC 기준에 따라 시설된 설비가 기존설비와 혼재되어 전기안전 재해가


예상될 경우에는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조에 따라 기존
전기설비를 KEC 기준에 맞춰 변경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므로 이에 대하여
는 본 사례집 FAQ 9번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344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계기용 변성기 2차측 접지방법 문의

관련조항 : KEC 140 (회신 : 2020. 09. 13.)

질 의

○ 판단기준에 의하면 계기용변성기 2차측 전로의 경우 1차측이 특고압일경우 1


종접지로 10옴이하, 1차측이 고압일경우 3종접지로 100옴이하 이며, 접지선의
굵기는 각 종별로 적용하였으나 KEC 규정을 보면 계기용변성기 2차측 전로의
경우 단순히 140에 의한다. 라고 되어있으며, 140 사항을 본다면, 계기용변성기
2차측 전로를 전체로 보아 특고압 또는 고압의 설비로 보고 작업을 해야하는
지, 아니면, 7kv 이하의 전로에서 적용하는 6스퀘어 이상 굵기 산정후 나머지
를 적용하는지 TN접지계통 사항으로 구성해야 하는지 접지시스템 기술지침의
몇 페이지에 있는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6조는 계기용변성기의 혼촉 등의 사고방지


를 위하여 계기용변성기 2차측 전로에 제3종 또는 제1종 접지공사를 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나, KEC는 고압, 특고압 구분 없이 KEC 140에 따라 접지공사를
시행하도록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KEC는 계통사고 시 인체가 안전하기 위한
접지공사의 시행 또는 보호장치 등의 시설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 계기용변성기 2차측 전로의 접지공사 방법은 본 조항에 명시한 바와


같이 KEC 140항에 따르되, 필요시 「접지시스템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의
전체 내용을 참고함이 타당하므로 귀하의 질의와 같이 특정 페이지에서 다루
고 있지 않음을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접지시스템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은 접지설계 방법론을 설명하


고 보조하는 참고서로서 IEC 접지관련 정보는 인터넷이나 다른 기술교재를 활
용하거나 전문교육기관을 통해 관련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려드립
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45

제 목 KEC 보호도체와 접지의 구분 문의

관련조항 : KEC 140 (회신 : 2020. 05. 06.)

질 의

○ 보호도체와 접지의 정확한 차이가 궁금합니다.

회 신

□ KEC에서 서술하는 “보호도체”는 현행 접지선의 일종으로서 IEC 등에서 규정


하는 접지시스템 관련 용어인데, IEC에서 규정하는 접지시스템은 현행 「전기
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과 개념, 용어, 시설기준 등이 현저히 다르므로 관련
교육이나 정보검색 등을 통하여 확인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다만, KS C IEC 60364-5-54는 보호도체(PE, Protective Conductor)를 “감전에


대한 보호 등 안전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도체”라고 정의하고, “접지설비 및
보호도체의 예”를 부속서 B에서 그림으로 소개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
다. 끝.
346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등전위본딩 관련 문의

관련조항 : KEC 143 (회신 : 2020. 08. 28.)

질 의

○ KEC 140~143에는 공통/통합 접지에 준하지 않더라도 등전위를 해야하는 것


처럼 문구상 해석이 되는데, 단독접지에도 등전위본딩을 해야 하는 것인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조 제6항은 동 기준 제18조제6항 및 제7


항에 따른 공통접지와 통합접지를 하는 경우에는 KS C IEC 60364-4-41에 적
합하도록 시설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동 기준 제22조의 2에서와 같이
IEC에 의한 TN-C-S 접지를 시행할 경우에 대하여 등전위본딩을 시행하라고
명시하고 있으므로 통합접지, 공통접지를 시행할 때는 KS C IEC 60364-4-41에
의한 감전보호에 대한 안전대책을 마련하라는 의미이지 그 방법이 반드시 등
전위본딩이어야 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 아울러 KS C IEC 60364-4-41는 “안전을 위한 보호-감전에 대한 보호”에 관한


표준으로서 IEC에서는 인체의 감전에 대한 보호, 전기설비의 과전압에 대한
보호 및 기능의 향상을 위하는 방법 중 하나로서 등전위본딩을 명시하고 있는
데, IEC에 의한 접지기준을 다루는 KEC 143항도 감전보호용 등전위본딩에 대
한 시설기준을 명시한 것입니다.

□ 참고로 KEC의 접지기준은 감전시 저압계통방식에 따른 접촉전압이 안전전압


(교류 50V, 직류 120V) 이하가 되기 위한 접지의 시행, 보조등전위본딩의 시
행, 누전차단기 시설을 검토하는 등 현행 판단기준과는 전혀 다른 기술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47

제 목 KEC 피뢰시스템 관련 문의

관련조항 : KEC 150

질 의

1. KEC 151.1의 2 는 “전기설비 및 전자설비 중 낙뢰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설비”


라고 기술되어 있는데, 보호가 필요한 경우는 어떤 경우인지요? ('20.07.30)

2. KEC 153.1.4 전기전자설비 보호를 위한 서지보호장치 시설에서 “KS C IEC


61643-11에 의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라는 항목이 있는데, 국제표준
(IEC 61643-11) 및 미국(UL 1449)등의 국제 인증제품도 동등 효력의 제품으로
사용 가능한지요? ('20.05.13)

3. “2조 가항”의 “-에 의한 제품을 사용 하여야 한다.”, 와 “2조 나항”의 “-에 따


른다.”의 유권해석을 문의합니다. ('20.05.13)
348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회 신

□ 국제표준의 피뢰시스템은 IEC 62305 시리즈에 명시되어 있으며, 귀하가 질의


한 “낙뢰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경우”란 KS C IEC 62305-2에 명시한 ‘리스크
관리’ 기법에 따라 검토한 결과 보호대책이 필요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 또한 KEC 151.3의 피뢰시스템 등급선정 시에도 대상물의 특성에 따라 KS C


IEC 62305-2에 명시한 리스크관리 방법에 의하여 피뢰레벨을 선정하도록 명시
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 KEC에 명시된 내용은 의무사항이며, IEC 61643-11 및 UL 1449 국제표준이


KS C IEC 61643-11에서 규정하는 수준과 일치 또는 동등 이상의 품질효력을
지닌다면 KEC에 적합한 제품으로 인정될 수 있으나(질의 2), 해당 제품의 국
제 인증을 국내 인증으로 대체 및 현장사용 가능 여부 등에 대하여는 제품의
인증업무를 담당하는 기관 및 현장의 전기안전업무를 담당하는 한국전기안전
공사에 문의함이 타당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아울러 귀하가 질의한 153.1.4의 제2항 ‘가’호의 “~에 의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해당 규격이 요구하는 내용에 적합하고 제시된 시험방법에 따라 시
험을 하여 합격된 제품을 사용하라는 내용이며, “~에 따른다.”는 해당 규격의
조문에서 명시한 내용을 준수하라는 의미로 사료됩니다(질의 3).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49

제 목 TT 접지계통의 저압 수용가 보호방식에 관한 문의

관련조항 : KEC 211 (회신 : 2020. 10. 22.)

질 의

○ TT 방식으로 접지설계된 저압 수용가(15kW)는 KEC 211.2.6 3항 나에 나온 접


지저항값과 누전차단기 정격동작 전류의 곱한 값이 50V보다 작게만 접지저항
을 선정하면 되는지 아니면 한전 고압계통 지락사고까지 검토하여 저압설비의
기기 허용 교류 스트레스 전압까지 고려하여야 하는지요? (질문1)
○ 또한 한전에서 수전시 MCCB로 수전을 받는데 TT방식은 누전차단기로 보호하
게 되어 있습니다. 그럴 경우 211.2.6. 4항에 만족하면 1차측 차단기를 MCCB
로 선정하면 되는건지요? (질문2)

회 신

□ TT계통의 감전에 대한 보호대책은 KEC 211.2.6에 명시하고 있는데, TT계통은


지락고장전류가 대지를 통하여 흐르기 때문에 고장회로 임피던스가 TN계통보
다 크게 되어 대부분의 경우 누전차단기로 감전보호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누
전차단기에 의하여 감전보호를 검토할 때에는 동 조 3호의 조건식에 따르고,
고장루프임피던스가 충분히 낮을 때에는 과전류보호장치를 사용하여 고장보호
가 가능하나 4호의 조건식에 따라야 합니다.

□ 또한, 한전 측 특고압계통의 고장보호는 한전이 검토하고 보호대책을 마련하므


로 저압 수전 고객이 한전측 특고압계통의 지락사고를 감안한 기기 허용 교류
스트레스 전압까지 고려할 필요는 없습니다(질의 1).

□ 아울러 1차측 차단기를 MCCB로 선정할 경우에는 KEC 211.2.6의 3호의 조건


식을 만족하는 누전차단기능이 있는 기기로 선정하시기 바라며 MCCB 정격은
KEC 212항을 참고하시어 과부하전류에 대한 보호를 검토하시기 바랍니다(질
의 2). 끝.
350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누설전류감시장치 관련 문의

관련조항 : KEC 211 (회신 : 2020. 06. 23.)

질 의

1. KEC 211.2.1.2의 누설전류감시장치가 어떠한 장치를 말하는 것인지요?

2. 해당 절 문구 '누설전류감시장치는 누설전류의 설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서


설정값에 대한 기준이 무엇인지요?

3. 해당 절 문구 '~초과하는 경우 음향 또는 음향과 시각적인 신호를 발생시켜야


한다.'에서 음향은 무조건적으로 적용해야한다는 의미인지 음향이 중복된 오타
인지요?

4. ELCB 사용시 누설전류감시장치는 따로 적용하지 않아도 되는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51

회 신

□ KEC 211은 안전을 위한 보호 중 감전에 대한 보호방법을 규정하고 있는데,


211.2.1항은 전원의 자동차단에 의한 보호대책에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을
명시한 것으로서 KEC 211.2.1항 2의 ‘누설전류감시장치’는 기준에 명시한 바와
같이 전기설비의 누설전류를 감시하는 장치(RCMs)를 의미합니다(질의 1).

□ 또한, 전원의 연속성을 위하여 IT 계통을 적용하는 경우 충전부로부터 노출도


전부 또는 대지로의 고장을 표시하기 위한 누설전류감시장치를 설치하여야 하
는데, 이 장치는 고장이 지속되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음향 또는 음향과 시
각신호를 발생하여야 함을 의미하며 IT 계통의 감전에 대한 보호는 KEC
211.2.7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

□ 아울러, 누설전류감시장치의 신호발생장치는 기준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음향


신호를 반드시 갖추어야 함을 의미하며 IEC 60364-4-41 원문은 아래와 같이
표기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3).

“Residual current monitors (RCMs) are not protective devices but they may
be used to monitor residual current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RCMs
produce an audible or audible and visual signal when a preselected value
of residual current is exceeded.”

□ 끝으로, KEC의 누전차단기 시설기준은 전기설비 환경에 따라 상이하므로 누


전차단기와 누설전류감시장치의 시설은 각 조항에서 규정하는 시설기준에 따
라 시설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4). 끝.
352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과부하전류보호 관련 문의

관련조항 : KEC 212 (회신 : 2020. 08. 03.)

질 의

○ 감전 및 과전류보호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KECG 1702-2019)의 예시는 「


212.4.1 도체와 과부하 보호장치 사이의 협조 」를 만족하기 위하여 전원측 보
호장치(MCCB)의 정격전류 (In)보다 큰 허용전류(IZ)를 갖는 케이블을 선정하
도록 하고 있습니다.

○ 또한, 「 212.6.4 저압전로 중의 전동기 보호용 과전류 보호장치의 시설 」에


의하면 과부하 보호장치로 전자접촉기를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과부하 계전기
(EOCR 등)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다만, 「212.4.3 과부하 보호장치의
생략」에 의하면 전원 측 보호장치에 의하여 단락보호가 되고 있으며, 분기회
로 도중에 다른 분기회로 및 콘센트의 접속이 없으며, 부하에 설치된 과부하
보호장치(EOCR 등)가 동작하여 과부하전류가 분기회로에 흐르지 않도록 조치
하는 경우 과부하 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 MCC에서 전동기까지 케이블의 허용전류 (Iz) 를 결정하는데 있어 전원측의


보호장치(MCCB)의 정격전류(In)는 전동기의 기동전류에 동작하지 않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부하측의 과부하 보호장치(EOCR 등)의 과전류 보호 설정값을
기준으로 하여 선정할 수 있는지요?

○ 케이블의 허용전류 (Iz) 를 결정하는데 있어 기술지침의 예시와 같이 전원측


보호장치(MCCB)의 정격전류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부하측의 보호장치(EOCR
등)의 과부하 보호 설정값을 기준을 적용하면 보다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설계
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같이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지 검토 부탁드
립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53

회 신

□ KEC 212.4는 과부하 발생시 케이블(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협조 관계식을


제공하고 있는데, 케이블의 허용전류는 보호장치의 정격전류보다 같거나 커야
함을 명시하고 있습니다(식 212.4-1).

□ 아울러 귀하가 제시한 KEC 212.4.3과 같이 “212.5의 요구사항에 따라 단락보호


가 되고 있으며, 분기점 이후의 분기회로에 다른 분기회로 및 콘센트가 접속
되지 않는 분기회로 중, 부하에 설치된 과부하 보호장치가 유효하게 동작하여
과부하전류가 분기회로에 전달되지 않도록 조치를 하는 경우”에 과부하 보호
장치의 생략은 가능하나,

□ 케이블(전선) 보호를 위하여 KEC 212.4의 보호협조 조건은 규정을 따름이 타


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354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보호장치 동작시간 및 과전류 보호기준 문의

관련조항 : KEC 212 (회신 : 2020. 10. 15.)

질 의

1. KEC 142.3.2 보호도체의 최소 단면적 계산식 중, I(고장전류), t(보호장치 동작


시간) 선정 관련하여 고장전류는 차단기의 정격차단전류로 선정하고, 보호장치
동작시간은 차단기의 순시트립 동작 특성으로 선정하여 계산해야 할지 정확한
선정기준이 궁금합니다. (현재는 부하에 흐리는 정격전류를 기준으로 상도체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동력선을 기준으로 접지선을 16SQ이하는 상도체와 동일,
16<S≤35 구간은 16SQ, S>35 구간은 S/2로 선정하여 사용 중입니다.)

2. KEC 212.4 과부하전류에 대한 보호 기준 중, I₂(보호장치가 규약시간 이내에


유효하게 동작하는 것을 보장하는 전류)는 차단기의 어떠한 사양을 확인해야
하는 지 궁금합니다. (현 적용 기준은 케이블의 허용전류보다 보호장치의 정격
전류를 작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3. KEC 211.2.3 고장보호의 요구상에서는 누전차단기를 추가적인 보호 장치(4항)


로 명시하였고, 20A이하 콘센트 또는 32A이하 이동용 전기기기에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내용을 종합하여 볼때 4항 추가적인 보호의
2개 항목이외에는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인지 문의드립니다.
(KEC 211.2.4 누전차단기의 시설 1항 가의 내용과 혼선이 있습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55

회 신

□ KEC 142.3.2에 명시한 보호도체의 최소 단면적을 구하는 계산식에서 ‘I’는 예


상 고장전류를 암페어로 나타낸 실효값이므로(KS C IEC 60364-5-54의 543항
참조) 귀하 현장에서의 예상 고장전류 값을 직접 산출하시기 바라며, 차단시간
‘t'는 귀하의 차단기가 자동 차단하기 위한 보호장치의 초 단위 동작시간이므
로 차단기 규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 아울러 KEC 212.4 과부하전류에 대한 보호의 ‘I2'는 보호장치가 규약시간 이내


에 유효하게 동작하는 것을 보장하는 전류로서 제조사가 기술사양에 제공하거
나 제품의 표준에서 제시하고 있으므로 귀하 제품 설명서의 동작특성곡선을
확인하시거나 제조사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

□ 또한 누전차단기의 시설기준을 명시한 KEC 211.2.3의 4항은 의무사항이며


KEC 211.2.4 1항의 ‘가’ 예외조건은 귀하의 선택 사항이므로 KEC 211.2.3의 4
항의 의무기준을 우선적으로 적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3). 끝.
356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도체와 과부하보호장치 협조 관련 문의

관련조항 : KEC 212 (회신 : 2020. 08. 05.)

질 의

1. KEC_212.4.1_도체와 과부하 보호장치 사이의 협조


○ 저압/고압 구분없이 해당 공식을 적용하여 케이블 허용전류값을 설정하면 되
는지요?
○ 고압은 다른 식을 적용해야한다면 어느 규정을 참조해야하는지요?

2. KEC_212.6.5_분기회로의 시설 -> 라. 정격전류가 50A를 초과하는~ (3) 212.4를


따를 것
○ 정격전류가 50A를 초과하지 않는 전기사용기계기구는 212.4.1를 따르지 않고
어떤 것을 적용해야하는지요?

3. KEC_232.18.6 저압옥내 간선의 선정


전선은 저압 옥내간선의 가가 부분마다 그 부분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기사용기
계기구의 정격전류의 합계 이상인 허용전류가 있는 것. 다만, 전동기등~~
○ 케이블 허용전류값을 선정할때 옥내간선도 분기회로 시설과 같이 212.4를 적용
하여야 하는지요? 전동기가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명시되어있으나 비전동기에
대해서는 명시되어 있지 않아 혼동이 됩니다.

4. KEC 212.6.3 저압전로 중의 과전류 차단기의 시설_2. 과전류 차단기로 저압전


로에 사용하는 산업용 배선용차단기-표 212.6.2 참고 요
○ 표 212.6-2에 따르면 정격전류의 1.05배에 대해서 차단기는 동작하지 않는 것
으로 이해됩니다. 212.4.1_도체와 과부하 보호장치 사이의 협조를 기준으로 케
이블 허용전류를 보호장치의 정격전류와 동일시 하였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5% 과전류 흘러도 차단기가 동작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케이블에 흐를 수가
있는데(IB=IN=IZ 경우) 이런 경우는 IZ의 경우 1.05배의 안전율이 고려되어야하
지 않는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57

회 신

□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은 2021년 1월 1일 시행예정으로서 현재는 일부 문구


의 명확화 등으로 일부 수정된 내용도 있으며, 곧 최종본이 공고될 예정임을
참고하시기 바라며 이제까지 개정된 최신 내용은 우리 협회 홈페이지 알림광
장, 기술공고 및 고시 게시판에서 확인이 가능함을 알려드립니다.

□ KEC 제2장은 저압 전기설비에 대한 내용으로서 귀하가 질의하신 212.4 과부


하전류에 대한 보호대책은 저압설비 대상이며, 고압・특고압 전기설비의 보호
대책은 제3장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 KEC 212.4.1 도체와 과부하 보호장치 사이의 협조는 정격전류와 상관없이 과


부하전류에 대한 보호 설계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며, KEC 212.6.5 분기회
로의 시설과 관련하여 문구 명확화를 위한 검토 중에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
니다(질의 2).

□ 귀하가 제시한 KEC 232.18.6은 KEC 232.5.6으로 항목 번호가 바뀌었음을 알려


드리며, “2. 전선은 저압 옥내 간선의 각 부분마다 그 부분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기사용기계기구의 정격전류의 합계 이상인 허용전류가 있는 것일 것. 다만,
그 저압 옥내 간선에 접속하는 부하 중에서 전동기 또는 이와 유사한 기동전
류가 큰 전기기계기구의 정격전류의 합계가 다른 전기사용기계기구의 정격전
류의 합계보다 큰 경우에는 다른 전기사용기계기구의 정격전류의 합계에 다음
값을 더한 값 이상의 허용전류가 있는 전선을 사용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므로 본문을 정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분기회로의 시설과 저압
옥내 간선의 선정은 별개의 규정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3).

□ KEC 212.4.1 도체와 과부하 보호장치 사이의 협조항목 그림 212.4-1에 표기된


I2은 보호장치가 규약시간 이내에 유효한 동작을 보장하는 전류로서 제조사가
기술사양에서 제공하거나 제품의 표준에서 제시하는 규약동작전류입니다. 따
라서 귀하가 질의하신 IB=IN=IZ 인 경우에도 I2≤1.45IZ 식을 만족하여야 하므로
해당 차단기의 동작특성곡선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4). 끝.
358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과부하보호장치의 생략조건 문의

관련조항 : KEC 212 (회신 : 2020. 08. 05.)

질 의

○ KEC 212.4.3 과부하보호장치의 생략에 대한 질의입니다.


해당 절의 '다. 안전을 위해 과부하 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 에 대하
여 4번 '소방설비의 전원회로'가 의미하는 바가 “소방설비 전원이 포함된 회
로”를 의미하는 것인지, “소방설비 부하 만으로 구성된 소방전원 전용회로”를
의미하는 것인지 해석을 요청드립니다.

회 신

□ KEC 212.4.3 ‘다’의 과부하보호장치의 생략조건은 전력계통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전로의 차단보다는 대중의 안전 확보를 위한 목적이므로 소방설비 또는
안전설비의 전원회로에 일반용 전원회로를 포함할 경우에도 그 대상이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59

제 목 버스바트렁킹시스템, 파워트랙시스템의 허용전류 산정방법은?

관련조항 : KEC 232 (회신 : 2020. 08. 20.)

질 의

○ KEC의 표 232.2-1, -2, -3 & 배선설비 지침서 표 2.3 에 없는 파워트랙시스템,


라이팅덕트공사 등은 케이블 허용전류 산정시 무엇을 참조해야 하나요?

회 신

□ KEC 232항은 배선설비의 선정 및 설치방법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으나 귀하의


질의와 같이 버스바트렁킹시스템, 파워트랙시스템(라이팅덕트공사 포함) 등은
제외되었습니다.

□ 이는 KS C IEC 60364-5-52의 521.4항에서 “버스바트렁킹시스템과 파워트랙시


스템은 외적 영향을 고려한 제조자 설명서에 따라 선정하고 설치한다.”고 명
시하고 있음에 따른 것으로서 KEC 230.60, 61, 70, 71의 버스바트렁킹시스템과
파워트랙시스템은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기준에 따라야 하며, 허용전류 산정을
위한 공사방법은 제조사와 협의하시기 바랍니다. 끝.
360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수용가 설비의 전압강하 기준 문의

관련조항 : KEC 232 (회신 : 2020. 08. 11.)

질 의

○ KEC 232.3.9 수용가 설비에서의 전압강 관련으로 표 232.16-1 수용가설비의 전


압강하는 조명의 경우 3%, 6%, 기타의 경우 5%, 8% 적용하도록 규정되어 있
는데, 내선규정 제1415절 표1415-1은 전선길이 60m를 초과하는 경우의 저압강
하 경우 공급변압기 2차측단자 또는 인입선 접속점에서 최원단의 부하 길이가
200m 이상 시 7% ~ 6% 이하 로 규정되어있습니다.

1. 저압으로 수전하는 가로등, 터널조명의 경우 최원단의 부하길이가 200m이상


(1km내외) 경우 전압강하는 어느 규정을 적용해야 하는지요?

2. 저압으로 수전하는 옥외전기설비중 조명설비의 전압강하는 최대 3.5%가 맞는


지요?

3. 현장 여건에 따른 예외적용이나 종전 규격인 내선규정의 6% ~ 7%를 적용하여


도 되는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61

회 신

□ 귀하께서는 KEC에 명시된 저압 가로등 조명설비의 전압강하 기준을 내선규정


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지 문의하였으나 KEC는 의무규정으로서 시행일은
2021년 1월 1일입니다.

□ 또한, 귀하가 질의한 「내선규정」 제1415절 저압배선의 전압강하는 “간선 및 분


기회로에서 각각 표준전압의 2 % 이하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고 명시하
고 있고, 공급변압기의 2차측 단자로부터 최원단 부하에 이르는 거리가 200m
초과시 6~7% 이하로 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습니다.

□ 아울러 KEC 232.3.9의 수용가 설비에서의 전압강하 기준은 KS C IEC


60364-5-52 부속서 G에 명시된 내용으로서 KEC는 기술기준에서 정하는 모든
전기설비에 대하여 적용한다(KEC 102 참조)고 명시함에 따라 귀하의 공공 도
로에 시설된 가로등 설비도 KEC의 전압강하 규정에 따라야 하나, KEC 표
232.3-1의 조명설비 전압강하는 옥내설비를 의미하므로 귀하의 가로등이 저압
으로 수전하는 옥외설비라면 ‘기타설비’로 적용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
다.

□ 따라서 귀하의 설비가 현행 판단기준을 적용하는 설계 또는 시공의 경우에는


내선규정에 명시된 전압강하 기준을 따를 수 있지만, KEC에 따라 설계 또는
시공될 경우에는 KEC 232.3.9항의 전압강하 기준에 따르시기 바라며, KEC 시
행일과 현행 판단기준에 대하여는 본 사례집 FAQ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
다. 끝.
362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케이블트레이 점유율 기준으로 케이블 설치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KEC 232

질 의

1. KEC 규정에 보면 저압케이블 시공시 케이블 트레이에 단층으로 시설하는 걸


로 되어있는데 전에 내선규정에 보면 단면적으로 하여 계산하였는데 앞으로는
무조건 1단 포설만 가능한지요?

2. KEC 규정은 모든 케이블의 외경이 트레이 내측폭 이하로 시설하고 단층으로


시설하도록 규정되어 있는데, 변전설비 제어케이블, 시그널케이블도 단층으로
시설해야 하나요? (제어케이블은 별도의 트레이에 설치합니다)

3. KEC 및 KEEG-1701에서 케이블 포설시 단심과 다심케이블 별도로 허용전류


및 단수별 보정계수가 나와 있는데, 단심과 다심케이블을 동시에 포설이 가능
한지요? 가능하다면 동일한 굵기의 허용전류를 어느 것으로 적용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63

회 신

□ KEC는 케이블트레이에 케이블 포설 시 트레이의 단면적 비율에 따라 시설하


는 기준을 다루고 있지 않으며, IEC에 명시된 허용전류 보정계수는 단층시설
을 원칙으로 제시된 것으로서 KEC의 케이블트레에서는 전력케이블의 단층 시
설만 허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케이블 허용전류의 보정계수를 제공하는 KS C
IEC 60364-5-52의 [표 B.52.20] 및 [표 B.52.21]의 비고2는 “상호 접촉하여 2층
이상으로 설치한 케이블의 보정계수는 적절한 방법을 통해 결정해야 한다.”고
명시함에 따라 향후 IEC 위원회의 자문과 연구, 시험 등을 통해 국내에 적합
한 시설기준을 정립할 예정임을 알려드립니다(질의 1).

□ KEC 의 케이블 트레이 공사방법은 제어용 케이블을 포설하는 것을 제한하는


규정은 없으나 시설기준을 다루고 있지는 않습니다.

□ 따라서 제어케이블 및 신호케이블 등은 케이블 트레이에서의 케이블 허용전류


산정방법을 명시한 KS C IEC 60364-5-52의 부속서 B의 보정계수 표 B.52.20
및 표 B.52.21의 비고2에 따라 동일한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을 2층 이상으로
설치할 때에는 KS C IEC 60287에 따라 보정계수를 직접 산출하는 등 귀하 현
장의 설계자와 협의하여 결정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2).

□ 케이블 트레이에서의 케이블 공사방법에서 동일한 케이블 트레이에 단심과 다


심 케이블을 동시 포설하는 것을 제한하는 규정은 없습니다. 다만, 이때의 허
용전류 산정방법은 KS C IEC 60364-5-52의 부속서 B에 따라야 하는데, 본 표
준에서는 일반적인 공사방법에 대하여만 보정계수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단심
과 다심 케이블을 동시에 포설하는 경우에 대한 보정계수표는 없습니다.

□ 따라서 KS C IEC 60364-5-52에서 제공하지 않는 보정계수는 동 표준 부속서


B.52.1에 따라 KS C IEC 60287에 의하여 직접 산출하여 적용하거나, 동 표준
부속서 B.52.5.2에 따라 케이블 전체를 단심 또는 다심케이블로 간주하여 계산
한 후 전기안전에 유리한 쪽의 보정계수를 적용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됩
니다(질의 3). 끝.
364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화재의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통신케이블의 범위 문의

관련조항 : KEC 232 (회신 : 2020. 06. 19.)

질 의

○ KEC 232.3.6 화재의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배선 설비의 선정과 공사와 관련


하여 문의합니다.
1. 통신케이블(광케이블, LAN 케이블)도 난연 특성을 만족해야 하는지요?
2. 통신케이블의 경우, 전력케이블과 같이 포설되지 않고, 별도 통신케이블용 트레
이에 포설 시에도 난연 특성을 만족해야 하는지요?
3. 구내실에 파워서플라이 등 전력설비와 같이 있는 곳에 통신 케이블 포설시, 난
연 특성을 만족해야 하는지요?

회 신

□ KEC 232.3.6은 “화재의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배선설비의 선정과 공사”방법


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는데, 귀하의 통신케이블이 배선설비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한다면 KS C IEC 60332-1-2에 적합한 케이블 및 자소성(自燒性)으로 인정
받은 제품을 사용하여야 할 것입니다.

□ 즉, 전력보안통신설비로서의 통신케이블은 KEC 360에 따르되, 배선설비 또는


전력보안 용도가 아닌 단순 정보통신용 통신케이블 시설기준은 정보통신 관련
기관에, 화재안전 관련은 소방관련 기관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
니다.

□ 참고로 ‘배선(配線)’이란 전기사용 장소에 고정하여 시설하는 전선(기계기구내


에 그 일부분으로 시설된 전선 등은 제외)을 의미함을 알려드립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65

제 목 KEC의 비상용 예비전원설비 문의

관련조항 : KEC 238 (회신 : 2020. 08. 26.)

질 의

○ KEC 238.1.2 비상용예비전원설비의 조건 및 분류 4항에서 자동전원공급절환시


간에 따라 절환시간을 분류한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회 신

□ KEC 238.1.2의 비상용 예비전원설비의 절환 시간에 따른 분류는 KS C IEC


60364-7-710의 부속서 A(의료 장소를 위한 비상 전원의 분류)와 같이 비상전원
의 절환시간에 따른 분류로서 이는 IEC 60364-5-56(Edition 3.0)의 560.4.1항에
명시한 ‘자동 전원공급 장치의 절환시간에 따른 등급’입니다. 세부내용은 아래
의 IEC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5601. Scope
This part of IEC 60364 covers general requirements for safety services, selection and erection of
electrical supply systems for safety services and the electrical source for safety services. (중략)

560.4 Classifiction
560.4.1 An electrical supply system for safety services is either:
– a non-automatic supply system, the starting of which is initiated by an operator, or
– an automatic supply system, the starting of which is independent of an operator.

An automatic supply system is classifi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maximum changeover time:
– class A – no-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which can ensure a continuous supply within
specified conditions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for example as regards variations in voltage and
frequency;
– class B – very short 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available within 0,15s;
– class C – short 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available within 0,5 s;
– class D – average 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available within 5 s;
– class E – medium 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available within 15 s;
– class F – long 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available in more than 15 s.
366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태양광 전압에 따른 울타리 시설기준 문의

관련조항 : KEC 521 (회신 : 2020. 10. 26.)

질 의

1. 태양광 패널을 사람이 다니는 인도에 일정 높이를 갖추어 설치를 하고자 하는


데 개방전압은 DC 745V ~ 904V의 범위를 갖습니다. 2020년에 설치가 예정된
본 태양광 패널 및 전선로의 경우, 저압 범주에 들어가는 것이 맞는지요?

2. 기존 고압기기는 주변에 펜스를 설치해야 하는데, 2021년 이후에 설치한다면


상기 발전전압은 변경된 전기설비규정에 따라 1500V 이하의 전압레벨을 갖기
때문에 당사가 설치하는 태양광패널 및 전선로는 펜스 설치의 의무가 없는 것
인지 확인하고자 합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67

회 신

□ 2018년 3월에 공고된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은 저압의 범위를 AC 1,000 V


이하, DC 1,500 V 이하로 규정하는데, 그 시행일은 2021년 1월 1일입니다. 따
라서 2020년 내에 시설하는 귀하의 태양광 발전설비의 개방최대전압이 DC
750 V를 초과하고 7 kV이하일 경우에는 고압설비가 됨을 알려드립니다(질의
1).

□ 아울러 귀하의 태양광 발전설비가 2021년 1월 1일 이후에 공사계획 인가(신고)


를 받거나 사업승인을 받은 것에 대하여는 KEC에 명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
압의 설비는 저압설비로 간주되나, KEC 520 태양광발전설비 시설기준에 따라
최대개방전압이 DC 750 V를 초과하는 설비는 상황에 따라 울타리를 설치하여
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관련조항을 숙지하시어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질
의 2).

※ KEC 시행 기준일은 본 사례집 FAQ 5번 내용 참조

※ 2020년 KEC 개정(안)은 홈페이지/알림광장/기술공고 및 고시/공지사항 참조


368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태양광 계측장치에 관한 문의

관련조항 : KEC 522 (회신 : 2019. 12. 13.)

질 의

○ KEC 522.2.3 태양광설비의 계측장치에 관한 규정에 “태양광설비에는 전압, 전


류 및 전력을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 전압, 전류, 전력의 양을 계측해서 보여주는 방식은 모바일 및 태블릿pc등 다


양하지만, 기존의 전기실 내부에 꼭 설치하는 옥내형 센트럴 인버터의 경우로
기준삼고 판단하면 안되다는 의견입니다.

회 신

□ KEC 522.2.3은 “태양광설비에는 전압, 전류 및 전력을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하


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태양광설비의 운영, 유지관리 및 검사 등
관련 업무의 안전한 수행을 위해 전류, 전압 및 전력 등 현재 운전상태를 계
측하여 관련 업무 담당자에게 제공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 아울러 해당 규정에서 이를 표시하는 방법까지는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


으므로 상기 계측장치의 설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계측값의 표
시방법을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다만, 이동식 IT기기 등을 통해 계측값을 제공하는 방식은 모든 현장 업무 수


행자에게 즉각적이고 정확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여야만 상기 목적에 부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69

제 목 KEC 법적구속력, 접지, 과전류 보호장치 관련 문의

관련조항 : KEC (회신 : 2020. 03. 17.)

질 의

1. KEC로 바뀌는 조항들의 법적 구속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전선 구분에서 시공시 KEC식별 색상에 준하지 않고 시설하는 경우
○ KEC 배선 선정방식을 따르지 않고 기존의 방식대로 선정하는 경우

2. 접지 설계 방식
○ 기존에는 1종,2종,3종, 특3종 방식을 고수하였으나 KEC에서 TN, TT, IT 방식
을 하라고 합니다. 현재 저희 공장에 적용된 방식을 아는 방법이 있나요?
○ 접지 보호도체 최소단면적에서 차단시간 5초 이하의 경우 S=루트i^2*t/k 공식
이 있는데 대부분 고장, 단락시 5초 이내에 차단하기 때문에 이 공식을 적용
해야 하는지요? 선정 방식의 예를 들어서 설명 부탁드리고 k값에 대한 상세
Factor도 나와있지 않네요

3. 과전류 보호장치 선정방식


○ 보호협조에 대한 내용은 용어가 생소하여 현실적으로 다가서기 어렵습니다.
- 전기회로 설계전류 (KS C IEC60364-5-52에 나와 있는 선정인가요?)
- 보호장치의 정격전류 (저압기준 배선용 차단기의 정격전류인가요?)
- 도체의 허용전류 (케이블의 허용전류 인가요?)
- 보호장치의 규약동작전류 (생소한 용어입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 도체의 과부하보호점 (생소한 용어입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370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회 신

□ KEC는 국제표준과 다르게 운영되던 불필요한 규제와 불명확성을 해소하고 국


제표준과의 부합화는 물론,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을 대체하는
시설안전기준으로서 전기사업법과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 정한 의무기준이며
미준수시에 대한 처벌규정은 전기사업법 제12장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 귀하 공장의 접지방식을 확인하는 방법은 TN, TT, IT 계통을 이해하신 다음,


귀하 공장의 접지시공과 관련된 전기설비 배선도면 등과 비교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2-1).

□ 보호도체의 최소단면적을 구하는 방법은 KEC 142.3.2와 [표142.3-1]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계수 ‘k’는 KS C IEC 60364-5-54의 부속서 A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2).

□ 귀하가 질의한 ‘과전류 보호장치 선정방식’은 KEC 어느 조항에 대한 질의인지


명확하지 않으나 KEC의 접지시스템, 감전보호, 안전보호 등과 관련된 용어는
국제규격인 IEC 규정을 번역한 것입니다.

□ 아울러 IEC 기준에 관한 접지, 등전위 본딩, 감전보호, 과전류보호 등의 학술


적 이론과 용어의 정의 및 계산 사례 등은 시중의 전문서적이나 인터넷, 관련
교육 또는 우리 협회에서 발간한 기술지침서 등을 통해 습득하시기 바랍니다
(질의 3).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71

10. 기타사례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73

제 목 용어 질의・회신 사례

부 하

○ 「전기설비기술기준」이나 「내선규정」 등에서는 ‘부하’에 대한 정의를 다루고 있


지 않으나 전기회로의 ‘부하(負荷)’는 통상적으로 전력을 소비하는 전기기계・
기구를 의미하며 변압기에서 ‘전원측’과 ‘부하측’이라는 용어는 서로 상대적인
개념으로 사용되는 바, 귀하의 변압기 1차측에 전원이 연결되었고 변성된 전
압이 2차측으로 출력되는 경우라면 2차측에 연결되어 전력을 소비하는 모든
전기설비가 ‘부하’가 될 것이므로 ‘부하’는 현장의 결선・계통도에 따라 판단하
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아울러 내선규정 1300-6의 18항은 “분기회로(分岐回路)란 간선에서 분기하여


분기과전류차단기를 거쳐서 부하에 이르는 사이의 배선을 말한다.”라고 정의
하듯이 ‘부하’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섭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조제13호는 “가섭선(架涉線)이란 지지물에


가설되는 모든 선류를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으나,

○ 기술서적이나 자료 등에서 표현하는 의미는 저자 또는 용어 사용자에게 문의


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점검 가능한 은폐장소

○ 내선규정 1300-9(용어)에서는 “점검 가능한 은폐(隱蔽)장소란 점검구가 있는 천


장 안이나 벽장 또는 다락같은 장소”를 말하며 “점검할 수 없는 은폐장소란
점검구가 없는 천정 안, 마루 밑, 벽 내, 콘크리트바닥 내, 지중 등과 같은 장
소”를 의미한다고 명시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74 10. 기타사례

표준전압

○ 「전기설비기술기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및 「내선규정」 등에서 명


시하는 ‘표준전압’이란 「전기사업법 시행규칙」 제18조 및 별표3에서 규정하는
110 V, 220 V, 380 V를 의미하며 각종 전압에 대한 정의는 KS C 0501(표준전
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옥 내

○ ‘옥내’란 건축물의 관점에서 검토되어야 할 것이며,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는


‘옥내배선’, ‘옥내전로’, ‘옥내전선로’, ‘옥내 등’처럼 전기설비의 시설 상황을 명
시하고 있으므로 각 상황에 맞는 용어의 정의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
준」 제2조(정의) 및 내선규정 제1300절(용어)과 「2016 판단기준 해설서」 그림
151-2(p.441) 등을 참고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75

제 목 ‘준하는 설비’에 대한 정의 문의

관련조항 : 기술기준 제3조, 제21조 (회신 : 2018. 10. 02.)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 21조 (발전소 등의 시설) 제 ⑤ 항


⑤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기기계기구·모선 등을 시설하는 발전소·변전소·개폐
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전기설비는 자중, 적재하중, 적설 또는 풍
압 및 지진 그 밖의 진동과 충격 에 대하여 안전한 구조이어야 한다.

⑤항 내용 중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전기설비”는 전기사업용전기설비만


의미하는 것인지, 자가용 전기설비도 포함 의미하는 것인지?

○ 자가용전기설비 중 옥외 태양광전기발전설비, 전기수용설비 포함 의미인지?


또는 다른 의미이면 아주 상세한 해석은?

참조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3조 제1항 제1호, 제2호 “발전소. 변전소”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1조 제⑤항의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서 “변전소에 준하는 장소”라 함은 자가용 전기시설물 시설자의 구내 등
에서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기를 수전하여 변성하는 변전실이나 수전실을 가
리킵니다.

□ 따라서 귀하께서 질의하신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전기설비”는 자가용


전기설비를 포함하는 의미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376 10. 기타사례

제 목 피뢰설비의 자연적구성 부재(철근) 접속 및 인하도선 인정 여부

관련조항 : KS C IEC 62305 (회신 : 2019. 09. 18.)

질 의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20조(피뢰설비) 및 KSC IEC 62305 관련


질의입니다.
KS C IEC 62305의 자연적구성부재 관련하여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철근을 인
하도선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직, 수평철근은 용접, 죔쇠, 나사조임 및 20D
를 겹쳐 보조접속선으로 접속하고 또 “5.3.5 자연적구성부재 b)의 비고2”는
“조립철근은 철근 상호간의 접속이 중요하다”라고 명시하고 있음.
그러나 현장에서는 “별첨 사진”과 같이 아래층 철근과 위층으로 연장해가는
이음철근이 서로 맞닫지 않거나 콘크리트 피막이 형성되어 절연체로 작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시공사에서는 대한전기협회의 “공동주택에 적용되는 철근구조체는 전기적 연
속성이 0.2옴 이하로 확인됐다는 질의문을 근거로 이음부분의 불완전한 접속
여부와 관계없이 즉, 추가조치 없이 시공하겠다 합니다.

○ 질의 #1
1) 철근의 이음부를 용접, 죔쇠이음 등의 조치없이 보통 건축에서 사용하는
0.2mm 정도의 철근 결속선을 사용하여 접속하고 철근을 전기적 연속성이 0.2
옴 이하 규정만 만족하면 인하도선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요?
2) 또, 대부분의 철근 배근이 아래층 철근과 위층으로 연장해가는 이음철근이
서로 맞닫지 않거나 타설 시 콘크리트가 철근에 묻어 콘크리트 피막이 있는
상태로 연장 철근이 접속되어도 전기적 연속성이 0.2옴 이하면 적합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요?

○ 질의 #2
1) 현장에서는 자연적구성부재 사용 가부를 판단할 때 전기적연속성 만을 절대
적 판단기준으로 하여 적합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모두가 아는
바와 같이 도체인 철근이 전층에 걸쳐 미소한 철근간 접속만으로도 저항측정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77

기가 흘려 보내는 수십mA~수A의 전류를 통전시켜 0.2옴 이하의 저항값을 얻


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전기적연속성 측정시 단 몇 mm2 접촉만 있어도 된
다는 의미입니다.
2) 따라서, 외부피뢰설비의 전기적연속성 적부 판단은 피뢰도체로서 50mm2 이
상의 단면적 확보와 전기적 기계적으로 견고한 접속이 되었닫는 사실이 전제
된 이후에 검증해야할 요소 등 하나이며 판단절차라 생각됩니다.
3) 질문드립니다. 전기적연속성 판단만으로 철근을 피뢰설비의 일부로 인정할
수 있는지와 전기적연속성이 자연적구성부재를 인정하는데 판단기준으로 제시
된 본질적 의미는 무엇인지요?

회 신

□ KS C IEC 62305-3의 5.3.5(자연적 구성부재)에 따라 “b) 건축물의 전기적 연속


성을 가지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금속”은 자연적 구성부재 인하도선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체의 금속을 자연적 구성부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
연적 구성부재의 올바른 접속 및 전기적 연속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 철근콘크리트의 구조체의 금속을 자연적 구성부재 사용을 위한 접속은 KS C


IEC 62305-3의 4.3(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강제 철골조의 전기적 연속성)과
E.4.3에 따른 “용접, 죔쇠이음, 또는 최소 지름 20배를 겹쳐 보조접속선을 이용
한 이음 또는 이외의 확실한 방법”으로 접속하여야 합니다. 참고적으로 동여
매는 방식은 뇌전류가 흐르는 도체의 접속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으며, EMC 등
을 목적으로 하는 추가도체의 접속방법으로만 사용되어야 합니다[KS C IEC
62305-3의 E.4.3.6(접속) 참조].

□ 또한,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금속을 자연적 구성부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


기적 연속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전기적 연속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KS C
IEC 62305-3의 E.4.3(철근콘크리트 구조물), E.4.3.1(일반사항), 그림 E.3(전체
전기저항의 측정)에 따라 수뢰부시스템과 대지접지판 사이에 측정전류(약10A)
를 주입한 측정값이 0.2옴 이하를 만족해야 합니다.

□ 피뢰시스템의 설계 및 세부 시공에 대한 사항은 KS C IEC 62305-3의 E.4.2.2


(협의)에 따라 주요 당사자간 협의하시어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끝.
378 10. 기타사례

제 목 피뢰시스템 관련 수평도체 문의

관련조항 : KS C IEC 62305 (회신 : 2018. 07. 09.)

질 의

○ 4층 옥상을 광장으로 사용하려고 휴게공간을 만드는데(사람들이 모이는 공간)


수평도체 높이가 옥상바닥에서 1700mm이고, 화단에서의 높이는 1200mm일
경우에 건축물 옥상에 설치하는 수평도체에 관하여 문의합니다.

○ (질의 1) 수평도체를 사람이 만질 수 있는 상황인데 만져도 되는가요?

○ (질의 2) 낙뢰 칠 때 수만V(볼트)가 흐를 텐데 인체와는 관계가 없는가요?

○ (질의 3) 전기기술기준 어디에 설치방법이나 기준이 있는지 찾아봐도 알 수 없


는데 어디에서 찾으면 이러한 시공높이의 안전에 관한 내용이 있는지요?

○ (질의 4) 이 경우 수평도체를 설치하는 안전선 높이를 옥상바닥에서 재야 하나


요 아니면 화단 높이에서 재야하나요?

회 신

□ 낙뢰 발생시에는 수평도체 뿐만 아니라 모든 도전성 부분에 의해 위험 접촉전


압 및 보폭전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수평도체를 포함한 피뢰설비의 시설에 관하여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는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 피뢰설비는 건축물의 일부로 `건축법'과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20조(피뢰설비)'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동 규칙에서 한국산업표준(KS C IEC
62305)을 인용하고 있으나, 표준에서도 수평도체의 설치 높이에 대해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79

제 목 건물옥상 안전난간을 피뢰설비 수뢰부로 사용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KS C IEC 62305 (회신 : 2019. 05. 02.)

질 의

○ 건축물 기준의 적용되는 IEC 61024 또는 62305-3 피뢰설비 자료에서 자연적


구성부재 내용 중 “건물옥상 수평도체를 대신하여 금속으로 된 안전난간을 수
뢰부로 사용할 수 있다”에서 문의 드립니다.
건물옥상에 설치되는 수평도체는 애자를 사용하여 건물과 이격하여 설치하도
록 되어 있습니다. (뇌격으로 인한 건물 보호?)
하지만 수평도체 대신 옥상에 설치되는 스테인레스 안전난간을 수뢰부로 사용
할 경우 안전난간은 건물과 이격되지 않은 채 앙카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이처럼 안전난간을 수뢰부로 사용시 건물과 이격이 없을시 안전상 문제가 없
는지요? 수평도체 설치시 건물과 이격용으로 사용하는 애자의 용도는?

회 신

□ KS C IEC 62305-3에서는 자연적 구성부재를 수뢰도체로 사용시 건물과 이격


에 대해서는 제시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KS C IEC 62305-3의 5.2.5(자연적
구성부재)에서 자연적 구성부재(난간 등)의 단면적이 표준수뢰도체 단면적 이
상일 경우에만 자연적 구성부재(난간 등)를 수뢰도체로 적용 가능합니다. 또한,
KS C IEC 62305-3의 부속서 E(피뢰시스템의 설계, 시설, 유지관리와 검사에
대한 지침)에서 피뢰시스템의 세부 보호방법 및 시설 등에 대한 예시를 제시
하고 있으니 해당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KS C IEC 62305-3는 피뢰시스템의 구조물 및 인명 보호와 관련된 사


항을 제시하는 표준인 바, 피뢰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도체 고정기, 부품 등)
에 대한 요구사항은 KS C IEC 62561 시리즈(시스템의 구성요소)에서 제시하
고 있으니 해당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380 10. 기타사례

제 목 1종 접촉상태에서의 감전보호 방법 문의

관련조항 : KECG 9101-2011 (회신 : 2017. 09. 26.)

질 의

○ ‘저압전로의 지락보호에 관한 기술지침’ 해설서 62페이지 표 A1.10 - 저압전로


지락보호 판단 기준 문의 드립니다.

○ 공동주택의 지하 저수조, 정수장의 정수지 내부와 같은 곳은 정기적으로 고압


의 물을 분사하여 수조내를 청소하며 발생되는 하수는 여러 대의 이동식 수중
펌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합니다. 수중펌프는 단상220, 삼삼380V 이므로 당
연히 SELV는 아닙니다. 발목이나 종아리 정도의 깊이까지 저수조에 물이 차
있는 상태에서 수중펌프는 가동 중이고 인부들이 일반 장화를 신고 청소를 합
니다. 이런 환경은 2종 접촉상태보다는 훨씬 가혹한 1종 접촉상태에 가깝다고
생각됩니다. 전격이 발생해도 용이하게 이탈할 수도 없습니다.

○ 이런 환경에서 감전보호를 위해 반드시 적용해야 할 사항(기술기준,판단기준,


산업안전보건법 등)과 권고사항을 구분하여 알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예를 들어

a. 감도전류 30mA 이하 누전차단기로 보호하면 무방하다

b. 전신방수복을 입어서 작업자가 수중에 노출될 염려가 없을 때만 가능하다

c. 어떠한 경우에도 수중펌프가 가동되는 상황에서 수중 작업은 법에 위반된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81

회 신

□ 저압 옥내 전로에서 누전차단기 설치 및 시설방법은 내선규정 제1475절(누전


차단기)에서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에 적합하도록 설계사가 도면
을 검토하여 시설하시기 바랍니다.

□ 「저압전로의 지락보호에 관한 기술지침」은 기술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


이외에 누전차단기 등의 지락보호 장치를 시설하는 경우 기술 지침으로 활용
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 질의하신 해설서 62페이지 표 A1.10 - 저압전로 지락보호 판단 기준은 저압전


로에 지락이 생겼을 경우 접촉상태별 허용전압 표 1.2의 보충설명으로, 표에서
1종 접촉상태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인체가 수중에 있는 상태에서는
허용접촉전압을 2.5V이하로 하고, 인체가 수중에 없을때에만 사용하는 기기에
한하여 정격감도전류 30mA이하의 전류동작형 누전차단기를 사용하도록 추천
하고 있습니다.

□ 전기설비 안전관리의 최소 법적기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0조


6항에서 인체가 물에 젖어있는 상태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의 콘센트 시설
에 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며, 「내선규정」 1475-1에서 이동형 전동기 또는
물 등 도전성 액체로 젖어있는 장소의 누전차단기 설치에 대한 권고사항을 정
하고 있습니다. 위 규정을 참고하시어, 질의하신 장소에 적용 여부를 판단하시
기 바랍니다.

□ 또한, 법령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고용노동부령 제182호 2017.3.3.) 제1


절 전기 기계·기구 등으로 인한 위험방지에서 대지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등의 시설에 대한 조항을 참고하시기 바
랍니다. 끝.
382 10. 기타사례

제 목 조도 계산 설계 관련 문의

관련조항 : 기타 (회신 : 2020. 04. 22.)

질 의

○ 공동주택 전기설비 설계사항 중에 조도 계산서를 법적으로 설계하여야하는지


요?

○ 아울러, 한국 산업표준 KS A 3011는 법적 강제성이 있는지, 아니면 권고 사항


인지요?

회 신

□ 건축전기 설계업무는 건축전기 설계업체 또는 관련 기관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되나, 기술기준 제21조제3항은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는 감시 및 조작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명
설비를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우리 협회가 발행한 내선규정
4310-5는 판단기준 제286조의 전기자동차 충전장치는 충전 중 안전과 편리를
위하여 적절한 밝기의 조명 설비를 시설하도록 명시하고 있습니다(질의 1).

□ 아울러 의무기준에 포함된 KS 표준은 법적 효력이 있으나, 기타의 경우에 대


한 KS 표준의 법적 지위에 대하여는 국가기술표준원(TEL 043-870-5600)에 문
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2).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83

제 목 피뢰기 정격전압 선정 관련 문의

관련조항 : 내선규정 3250 (회신 : 2020. 03. 16.)

질 의

○ 현재 변압기(154kV/22.9kV) 후단 피뢰기 선정과 관련하여 변압기 2차측 ~ 변


압기 후단 VCB 사이의 피뢰기 용량을 선정할 때 정격전압 기준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 내선규정 '표 3250-1 피뢰기의 정격전압' 에서는 변전소는 21kV, 배전 선로는


18kV로 규정하고 있는데, 배전선로 기준 18kV가 시작되는 부분이 변압기 2차
측(Y 결선) 부터 바로 시작인지, 아니면 변압기 2차측 후단 VCB 이후 기준인
지 문의합니다.

회 신

□ ‘배전선로’란 전기사업자인 한전이 전선로의 시설 목적에 따라 ‘송전선로’, ‘배


전선로’, ‘급전선로’ 등으로 분류한 것으로서 「전기설비기술기준」과 「전기설비
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등에서는 그에 대한 정의를 다루고 있지 않습니다.

□ 아울러 피뢰기는 뇌 전류 등과 같은 이상전류로 부터 전력설비를 보호하기 위


하여 시설하는 바, 내선규정 제3250절과 같이 피뢰기의 정격전압과 공칭 방전
전류를 변전소용과 배전선로용으로 구분하고 있으므로 귀하의 현장이 변전소
구내라면 변전소용을, 변전소를 벗어난 배전선로라면 배전선로용으로 설치함
이 타당할 것이며, 변전소와 배전선로의 경계점에 대하여는 변전소를 설치 운
영하는 한전 등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384 10. 기타사례

제 목 용도가 다른 콘센트 시공기준 문의

관련조항 : 내선규정 3310 (회신 : 2020. 08. 10.)

질 의

○ 아파트 세대내의 박스와 배선기구와의 공사방법에서 가스오븐과 전기쿡탑 관


련 사항으로, 한 개의 4각 박스내에 가스오븐(회로번호 5번)과 전기쿡탑(회로
번호6번)의 전용회로로 전기회로 2회로로 시공을 하였고, 하나의 통합배선기구
로 시공을 할 예정입니다.

○ 회로는 서로 다르지만 분기회로는 같으며(RCOB 2P 30AT/20AT), 오용을 방지


할 수 있도록 각각 "오븐"과 "쿡탑"이라고 통합배선기구에 명시해 놓을 예정인
데, 이렇게 시공을 하면 가능한건지, 불가능한지 질문을 드립니다.

회 신

□ 내선규정 3310-11은 동일 구내에서 AC/DC, 전압, 주파수, 상(相) 등의 전기방


식이 다르거나 분기회로의 종류가 다를 경우에는 잘못 사용할 우려가 없도록
구조가 다른 콘센트를 시설하도록 정한 규정입니다.

□ 다만, 부득이한 경우에는 색별표시 등으로 잘못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치를 하라는 의미임을 참고하시어 설계자 등 현장 관계자와 협의하시기 바
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85

제 목 아파트 단위세대 부하용량 선정방법 등 문의

관련조항 : 내선규정 3315 (회신 : 2020. 03. 19.)

질 의

○ 아파트 실시설계도서의 단위세대 부하용량 산정에 있어 34평형(84㎡타입) 경우


단위면적으로 계산하여 6KVA 선정함 (세대분전반 주 간선 - 단상 2선식으로
전원공급)

○ 여기서 모델하우스의 분양옵션에서 가전제품(인덕션, 전기오븐, 에어컨 기타


등등)만 실부하로 계산시 총 소비전력이 23KW 됨 (분기차단기 중 2P 30/30A
4개가 설치됨)

○ 아파트 단위세대 부하용량 선정에 있어 아래 중 어느 것을 적용해야 하나요?


① 당초 설계사무소에서 단위면적으로 계산된 6KVA 적용
② 가전제품 총 소비전력에 전등,전열부하를 가산하여 적용
③ 가전제품 및 전등, 전열부하가 최고로 많이 사용하는 시간대를 임의로 적용

2. 아파트 단위세대 부하용량 산정시 세대내 시스템이 어느 정도가 되어야 전 전


화 집합주택의 부하산정을 적용하나요? 전기설계사무소에서 임의로 정하나요?

3. 아래 간선을 배관공사(매입 또는 노출)로 전원공급시 HFIX전선 사용가능한지


문의드림
① 엘리베이터 동력반 간선 (예) 아파트에서 PM함 → PEL함 간선)
② 아파트 세대내 에어컨 실외기 전원선
③ 동력 전원선 (예) 펌프 등 전동기 전원선
④ 전등,전열용 분전반 주 간선
⑤ 펌프 등 동력반 주 간선
386 10. 기타사례

회 신

□ 내선규정 제3315절은 부하의 산정방법에 대해 “배선을 설계하기 위한 전등 및


소형 전기기계기구의 부하용량상정은 다음 각 호에 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
다.

□ 다만, 시설자의 희망, 건축물의 종류 등에 따라 부득이한 경우는 적용하지 않


는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판단기준 제166조에 따라 인덕션 등과 같은 전기기
계기구의 정격 소비 전력이 3 kW 이상일 경우에는 해당 전기기계기구를 공급
하는 전로는 전용의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하고 그 전로의 옥내배선
과 직접 접속하거나 적정 용량의 전용콘센트를 시설하여야 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2).

□ 아울러 전선은 제조사마다 호칭이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해당 KS 규격(KS


규격은 전선의 피복에 기재되어 있거나, 제조사 카탈로그 등으로 확인이 가능
함)으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귀하가 질의하신 HFIX 전선이 KS C 3341
규격에 따라 제조된 전선이라면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 전선”으
로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조에 적합한 절연전선입니다.

□ 다만, 전선은 시설 장소와 공사방법에 따라 개별 시설기준이 존재함에 따라 현


장 상황과 공사방법을 알아야 답변이 가능하오니 귀하 현장의 적합성 여부는
전기설비의 검사업무를 담당하는 기관 등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
니다(질의 3). 끝.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387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389

지식경제부 고시 제2011 - 1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지식경제부

고시 제2010-143호, 2010. 8. 3)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고시합니다.

2011. 1. 5.
지식경제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 고시

1. 개정이유

ㅇ 국제표준(IEC/ISO) 등의 개정에 따라 상호 기준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관련조문을


정비하는 한편, 신기술·신공법의 개발 활용 등에 적합하도록 규제를 완화하고 기
술기준 운영상 드러난 문제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뇌방전으로 인한 과전압으로부터 풍력발전설비 및 태양광발전설비 등을 보호하기


위한 전기설비의 피뢰기준을 신설함.(안 제6조의 2)
ㅇ 특고압 가공전선로에서 발생하는 전자계와 일반 전자파와 혼선 방지를 위해 “극
저주파 전자계” 용어정의 신설 및 관련 조항 정비함.(안 제3조, 제17조)
ㅇ “해양에너지발전설비”에 대한 용어정의와 해양에너지 발전관련 조항을 신설함.
(안 제3조, 제133조, 제151조, 제157조)
ㅇ 국제표준을 반영하여 발전설비의 안전성과 신뢰성확보를 위해 조력발전용 댐의
하중 규정을 추가함.(안 제130조 등 6개 조항)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390 Ⅳ. 기술기준 고시⋅공고

지식경제부 공고 제2011 - 1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지식경제부

고시) 제4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지식경제부 공고 제2010-320

호, 2010. 8. 3)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다.

2011. 1. 5.
지식경제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공고 일부개정 공고

1. 개정이유

ㅇ「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적용시 해석이 모호한 조항, 신기술 반영 등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전기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분산형전원 계통연계 기준 신설


ㅇ 가로등, 보안등에 시설하는 LED는 KS 표준에 적합한 것을 시설토록 함.
ㅇ 최근 반도체, 철강공장 등 대용량 수용가의 정전이 곤란해짐에 따라 운전 중인 상
태에서의 절연내력 확인방법 신설
ㅇ 주택 등 저압수용가 접지에서 추가접지의 규정 보완 및 용어 통일
ㅇ 국제표준 및 한국산업표준의 개정에 따른 관련 판단기준 보완
ㅇ ASME 변동사항 및 신기술의 성능규정화 요구조건에 해당되는 기술사항 등을 반영

이 공고는 공고한 날부터 시행한다.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391

지식경제부 고시 제2012 - 11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에 따른 전기설비기술기준(지

식경제부 고시 제2011-1호, 2011. 1. 5)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

다.

2012. 1. 31.
지식경제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ㅇ 국제표준(IEC/ISO) 등의 개정에 따라 상호 기준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관련조문을


정비하는 한편, 신기술·신공법의 개발 활용 등에 적합하도록 규제를 완화하고 기
술기준 운영상 드러난 문제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발전효율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서 발전용량이 대형화되면서, 국내 화력발전소에


서도 특고압(11 kV)이 적용되게 되었으며, 전동기 등의 기기에 대하여 밀폐형으로
서 가연성 분진에 착화할 우려가 없도록 제작된 경우, 분진지역에 적용할 수 있도
록 관련 조항 정비함.(제64조)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392 Ⅳ. 기술기준 고시⋅공고

지식경제부 공고 제2012 - 32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지식경제부

고시) 제4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지식경제부 공고 제2011-1호,

2011. 1. 5)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다.

2012. 1. 31.
지식경제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공고 일부개정공고

1. 개정이유

ㅇ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적용시 해석이 모호한 조항, 신기술 반영 등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고압 및 특고압의 전로에 전선으로 사용하는 케이블의 절연체가 XLPE 등 고분자


재료인 경우 절연내력 확인방법 신설
ㅇ 지중전선로의 시설의 규정 보완
ㅇ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중성선의 다중 접지의 규정 보완
ㅇ 신발전설비 가스화로설비(IGCC)관리 판단기준 신설
ㅇ 발전설비 자동초음파 탐상시험검사 규정 신설
ㅇ 수력설비 신소재 유리섬유복합관(GRP) 사용 규정 신설
ㅇ ASME 변동사항 및 신기술의 성능규정화 요구조건에 해당되는 기술사항 등을 반영

이 공고는 공고한 날부터 시행한다.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393

지식경제부 고시 제2013 - 1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에 따른 전기설비기술기준(지

식경제부 고시 제2012-67호, 2012. 3. 26)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고시합

니다.

2013. 1. 4.
지식경제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ㅇ 국제표준(IEC/ISO) 등의 개정에 따라 관련조문을 정비하는 한편, 신기술·신공법의


개발 활용 등에 적합하도록 규제를 완화하고 기술기준 운영상 드러난 문제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산업계의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자계 단위에 적합한 용어로 변경함(안 제17조)
ㅇ 400 kV 이상의 특고압 가공전선 선하에 예외적으로 건조물 건설시 갖추어야 할
안전 조건을 신설함(안 제36조)
ㅇ 풍력설비 피뢰시스템 국제표준(IEC 61400-24)을 토대로 풍력설비 낙뢰보호를 위해
피뢰설비 시설 규정을 신설함(안 제175조)
ㅇ 풍력발전설비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풍력터빈의 “전자기 적합성” 규
정을 신설함(안 제176조)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394 Ⅳ. 기술기준 고시⋅공고

지식경제부 공고 제2013 - 101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지식경제부

고시) 제4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지식경제부 공고 제2012-32호,

2012. 1. 31)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다.

2013. 3. 20.
지식경제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공고 일부개정공고

1. 개정이유

ㅇ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적용시 해석이 모호한 조항, 국제표준(IEC/ISO)


반영 등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서지보호장치의 적합한 설치 규정 신설
ㅇ 주택용 배선차단기의 규정 보완
ㅇ 전파장해방지 관련 규정 보완
ㅇ 400 kV 이상의 특고압 가공전선과 건조물의 시설 방법 신설

이 공고는 공고한 날부터 시행한다.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395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4 - 8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에 따른 전기설비기술기준(산

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3-162호, 2013. 11. 18)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

고시합니다.

2014. 1. 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ㅇ 국제표준(IEC/ISO) 등의 개정에 따라 상호 기준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관련조문을


정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풍력터빈 주위에 “위험표시” 대신 “안전표시”설치로 표현을 순화함(안 제168조)


ㅇ 해상풍력터빈지지 구조물 설치시, 국제표준에 근거하여 염해에 대한 안전성 추가
(안 제172조)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396 Ⅳ. 기술기준 고시⋅공고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4 - 99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통상자

원부 고시) 제4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지식경제부 공고 제

2013-101호, 2013. 3. 20)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다.

2014. 3. 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공고 일부개정공고

1. 개정이유

ㅇ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적용시 해석이 모호한 조항, 국제표준(IEC/ISO)


반영 등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자동복구 기능을 갖는 누전차단기의 시설 규정 보완


ㅇ 지중전선 상호 간의 접근 및 교차에 대한 규정 명확화(관로식, 직접매설식)
ㅇ 국제표준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공사의 시설방법 신설
ㅇ 전로의 지락 발생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의 구체화
ㅇ 전차선로 시설제한에 대한 고려사항 보완

이 공고는 공고한 날부터 시행한다.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397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5 - 26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에 따른 전기설비기술기준(산

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4-245호, 2014. 12. 15)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

고시합니다.

2015. 1. 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ㅇ 기술기준이 유사한 설비의 통합을 통한 규정 간소화, 설비의 사고예방 장치 보완


등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발전용 화력설비 기술기준 “제2절 증기터빈 및 부속설비”,“제3절 가스터빈 및


부속설비”를 “제2절 증기⋅가스터빈 및 부속설비”로 통합
ㅇ 가스터빈의 진동 및 이상상태 확인을 위한 정보장치 기준을 보완
ㅇ 가스터빈 냉각을 위한 윤활유장치 기준을 보완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정보/정책고시)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398 Ⅳ. 기술기준 고시⋅공고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5 - 44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통상자

원부 고시) 제4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지식경제부 공고 제

2014-99호, 2014. 3. 13)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다.

2015. 1. 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공고 일부개정공고

1. 개정이유

ㅇ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적용시 해석이 모호한 조항, 시설의 안전 보완


및 국제표준(IEC/ISO) 반영 등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배선차단기 및 누전차단기의 시설 장소 구분


ㅇ 자동복구 기능을 갖는 누전차단기의 설치 장소 구분
ㅇ 불연성 또는 난연성의 배전반 및 분전반 시설범위 확대
ㅇ 가스관의 이음부와 점멸기 및 접속기의 이격거리 개정
ㅇ 특고압 시설의 예비케이블 공사 시 접지공사 신설
ㅇ 단순 병렬운전 분산형전원의 역전력 계전기 설치 규정 신설
제1조(시행일)① 이 공고는 날로부터 시행한다.
② 제38조제4항(주택용, 산업용 배선차단기의 시설장소 구분), 제41조제6항(주택용,
산업용 누전차단기의 시설장소 구분) 및 제171조제1항제4호(불연성 또는 난연성의
저압용 배전반 및 분전반 시설범위 확대)의 규정은 2017년 1월 1일부터 적용한다.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정보/정책고시⋅공고)에서 열


람하실 수 있습니다.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399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6 - 15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에 따른 전기설비기술기준(산

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5-26호, 2015. 1. 30)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고

시합니다.

2016. 1. 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ㅇ 신산업 설비에 대한 최소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설 기준과 설비


용도를 명확히 하기 위함

2. 주요내용

ㅇ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충전설비 및 전기자동차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저장된 전


기를 방전하기 위한 충․방전설비에 대한 용도설명 및 최소한의 안전기준 제․개정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정보/정책고시)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400 Ⅳ. 기술기준 고시⋅공고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6 - 34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통상자

원부 고시) 제4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지식경제부 공고 제

2015-44호, 2015. 1. 30)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다.

2016. 1. 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공고 일부개정공고

1. 개정이유

ㅇ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적용시 해석이 모호한 조항, 시설의 안전 보완


및 국제표준(IEC/ISO) 반영 등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분산형전원 용어 정의에 전기저장장치 추가


ㅇ 태양전지 모듈 등의 시설시 출력 배선 극성 표시 및 모듈 프레임과 지지대의 시설 방법
ㅇ 지중 전선로를 관로식에 의해 시설하는 경우 매설 깊이 규정
ㅇ 전기자동차 충전설비의 시설에 대한 용어 변경 및 충전장치 구조 규정
ㅇ 이차전지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제어 및 보호장치 등 세부 시설기준 제정
ㅇ 비파괴검사 및 내압시험 등의 합격기준에 대한 중복규정 개정
ㅇ 발전용 화력설비의 비파괴검사 적용범위 개정
ㅇ 발전용 풍력설비 화재방호설비 시설에 대해 규정

이 공고는 공고한 날부터 시행한다.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정보/정책고시⋅공고)에서 열


람하실 수 있습니다.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401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7 - 26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에 따른 전기설비기술기준(산

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6-123호, 2016. 6. 30)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고

시합니다.

2017. 3. 2.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ㅇ 비상용 예비전원 시설에서 요구되는 시설 안전 기준을 명확히 하기 위함

2. 주요내용

ㅇ 비상전원을 겸하는 전기저장장치 등의 적용을 위해서 평상시 상용전원과 병렬운


전이 가능하고 상용전원의 정전 시 상용전원측으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문구
등 규정을 명확히 하기 위해 개정.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고시·공고)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402 Ⅳ. 기술기준 고시⋅공고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7 - 104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통상자

원부 고시) 제4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지식경제부 공고 제

2016-34호, 2016. 1. 29)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다.

2017. 3. 2.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공고 일부개정공고

1. 개정이유

ㅇ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적용시 해석이 모호한 조항, 시설의 안전 보완


및 국제표준(IEC/ISO) 반영 등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철주 ․철근 콘크리트주 또는 철탑의 강도계산에 사용하는 상시 상정하중에 경사 방


향 적용
ㅇ 지중 전선로를 관로식에 의해 시설하는 경우 압력을 받을 우려가 없는 경우 매설
깊이 규정 제정
ㅇ 지중전선로에 사용하는 지중함 시설의 경우 뚜껑은 KS D 4040에 따라 적용하며 저
압 지중함의 경우 절연성능이 있는 재질 사용 규정
ㅇ 특고압 옥내배선의 금속덕트 공사 시 방화구획 벽 등 관통부에 불연성의 물질 등
으로 차폐 규정 신설
ㅇ 단순 병렬운전 분산형전원의 경우 역전력 계전기 설치 용량 산정 기준 명확화
ㅇ 전기저장장치가 비상용 예비전원 용도를 겸하는 경우 필요한 세부 기준 제정

이 공고는 공고한 날부터 시행한다.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고시·공고)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403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8 - 26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에 따른 전기설비기술기준(산

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7-147호, 2017. 11. 17)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

고시합니다.

2018. 3. 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일부 개정

1. 개정이유

ㅇ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에 규정하는 기준의 안전에 필요한 성능과 기술적 요건을


판단하기 위해 국제표준에 부합화하여 제정한 한국전기설비규정을 적용할 수 있
도록 개정하고, 문구의 명확성을 위한 용어 개정

2. 주요내용

ㅇ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에 규정하는 기준의 안전에 필요한 성능과 기술적 요건을


판단하기 위해 국제표준에 부합화하여 제정한 한국전기설비규정을 적용할 수 있
도록 근거 마련
ㅇ 기술기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규정의 문구를 명확히 하기위해 용어 개정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4조제1호의 한국전기설비규정은 2021.


1.1부터 시행한다.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고시·공고)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404 Ⅳ. 기술기준 고시⋅공고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8 - 102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통상자

원부 고시) 제4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

2017-500호, 2017. 11. 17)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다.

2018. 3. 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일부 개정

1. 개정이유

ㅇ「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적용시 해석이 모호한 조항, 시설의 안전 보완 및


국제표준(IEC/ISO), ASME code 반영 등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
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주택용 분전반 유지관리 및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해 주택용 분전반을 노출된 장소


에 시설하도록 개정
ㅇ KS 표준에서 정한 1종 금속제 가요전선관 재료의 최소 두께와 판단기준에서 규정
하고 있는 전선관 두께와의 해석상의 차이로 인한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개정
ㅇ 현장에서 시공은 하고 있지만 적합한 규정이 없는 공사 방법(케이블 트렌치 공사)
에 대하여 시설방법 및 유지관리 등 전기안전을 확보를 위하여 규정 제정
ㅇ 사용 빈도가 저조한 보일러 판재 재료를 삭제하고, ASME에서 신규 채택한 판재
재료 추가 개정
ㅇ 발전설비 기기 제작 시 용접방법을 추가하여 다양한 용접 법에 대한 인정방법을
각기 제시하기 위해 개정
ㅇ 수력시설의 부유물 유입방지를 위한 취수구 스크린 설치 기준 추가 개정 등

이 공고는 공고한 날부터 시행한다.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고시·공고)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405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8 - 103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통상자

원부 고시) 제4조에 따라 한국전기설비규정을 다음과 같이 제정ㆍ공고합니다.

2018. 3. 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한국전기설비규정 제정

1. 제정이유

ㅇ 전기산업계에서 국제표준과 다르게 운영되던 불명확·불필요한 규제사항을 해소


하고, 전기설비의 환경 변화에 대한 안전성, 신뢰성 및 편의성을 확보하여 해외
전력시장 진출의 장애요인을 제거하는 등 전기설비기술의 선진화를 통하여 국내
전력산업 기술발전과 국제표준에 부합한 사용자 중심의 전기안전규정(KEC, Korea
Electro-technical Code)을 제정

2. 주요내용

ㅇ 교류 1000V 이하, 직류 1500V 이하로 저압전기설비 범위 규정


ㅇ 시설안전 및 유지관리를 위한 전선 색상 식별 규정
ㅇ 기존 종별 접지시설 규정을 폐지하고 국제표준에 부합한 접지시설로 규정
ㅇ 과전류에 대한 보호 방법 및 케이블트렁킹시스템 등 배선공사 방법을 국제기준으
로 규정
ㅇ 기존 발전설비의 용접 분야를 보일러 및 부속설비 등 각 시설별로 통합하여 규정

이 공고는 2021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 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고시·공고)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406 Ⅳ. 기술기준 고시⋅공고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9 - 45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통상자

원부 고시 제2018-26호, 2018. 3. 9)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고시합니다.

2019. 3. 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일부 제·개정

1. 개정이유

ㅇ 국제표준에 따라 저압 범위가 상향됨으로 저압전로의 절연성능 평가를 국제표준에


적합하게 개정

2. 주요내용

ㅇ 저압전로의 절연성능 평가를 국제표준에 부합하여 개정

이 고시의 제52조는 2021.1.1부터 시행한다.


(경과조치) 이 고시 제52조 시행 당시 이미 시설되어 있거나 전기공사계획 인가(신고)
를 받은 것 또는 전력기술관리법 시행령 제18조제4항의 규정에 의한 자가 이 고시 시
행 전에 사업승인, 인허가를 얻은 것에 대하여는 종전의 기준에 따를 수 있다.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407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9 - 195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통상자

원부 고시) 제4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

2018-102호, 2018. 3. 9)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다.

2019. 3. 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일부 개정

1. 개정이유

ㅇ「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적용시 해석이 모호한 조항, 시설의 안전 보완 및


국제표준(IEC/ISO), ASME code 반영 등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
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저압전로의 절연성능을 누설전류로 확인해야 하는 경우 저항성분으로 절연성능을


확인할 수 있도록 기준을 개정함
ㅇ 1.5 kV 직류배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시설기준을 제
정하여 직류배전 설치 및 운영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함
ㅇ 태양광발전설비의 직류전로에 지락 발생 시 직류누전차단기 또는 절연감시장치
등을 이용한 차단장치를 설치 할 수 있도록 제정함
ㅇ 저압 옥내직류 전기설비의 접지에서 접지 예외 조건으로 절연감시장치 등을 설치하고
관리자가 확인 할 수 있도록 한 경우 비접지시스템이 가능하도록 제정함
ㅇ 발전설비 용접 재료의 추가, 각종 시험(기압시험, 질량분석 및 할로겐 시험)의 요건을
현장 상황에 맞게 반영하여 개정함.

이 공고는 공고한 날부터 시행한다.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408 Ⅳ. 기술기준 고시⋅공고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9 - 667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통상자

원부 고시) 제4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

2019-195호, 2019. 3. 9)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다.

2019. 11. 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일부 개정

1. 개정이유

ㅇ「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적용 시 전기저장장치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리튬이온 배터리 기반 전기저장장치의 안전성 확보 및 화재방지 대책의 일


환으로 보호 장치 설치 및 유지관리 등 신속한 산업계 적용을 위하여 관련
시설기준 일부 제·개정함

ㅇ 이 공고는 공고한 날부터 시행한다.


ㅇ 제298조 제4항 제2호 및 제3호는 시행 2년이 경과한 후 그 타당성을 검토
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한다.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09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11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용어해설

1. “발전소”라 함은 발전기·원동기·연료전지·태양전지 그 밖의 기계기구[비상용(非常用) 예비


전원을 얻을 목적으로 시설하는 것 및 휴대용 발전기를 제외한다]를 시설하여 전기를 발
생시키는 곳을 말한다.

[해설]
“발전소”란 발전기 및 원동기, 연료전지, 태양전지 등의 발전설비가 시설되어 있는
장소, 즉 발전소 건물이 있는 구내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단, 비상용 예비전원을 얻
을 목적으로 시설하는 빌딩, 영화관, 방송전파중계소 등의 예비전원실이나 전기용품
안전 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휴대용 발전기가 설치되는 곳은 발전소로 취급하지 않
는다.
“전기기계기구”는 전로의 일부가 되는 기계기구의 총칭이지만 필요한 요건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대개 다음과 같이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다.
(1) 전기기계기구마다 필요한 요건에 대하여는 개별 명칭(발전기, 변압기, 피뢰기 등)
(2) 공통된 사항에 대하여는「기계기구」
(3) 조합에 의한 것에 대하여는「장치」(대상이 복수인 경우를 포함한다.)
(4) 유사 전기기계기구에 대하여는「기타의 기구」또는「기타 이와 유사한 기구」
(5) 사용 장소에 시설하는 배선기구, 소형 전동기 등에 관해서는「전기기계기구」(가정용
전기기계기구 등을 대상)

2. “변전소”라 함은 변전소의 밖으로부터 전송받은 전기를 변전소 안에 시설한 변압기·전동


발전기·회전변류기·정류기 그 밖의 기계기구에 의하여 변성하는 곳으로서 변성한 전기를
다시 변전소 밖으로 전송하는 곳을 말한다.

[해설]
“변전소”란 구외로부터 전송받은 전기를 변성하여 변성한 전기를 다시 구외로 송전
하는 장소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따라서 주상변압기의 시설장소, 공장 등의 수전설
비 등은 이 고시에서 정의하는 변전소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구내란 울타리, 담
등에 의해 구분되어지고 어느 정도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지역으로 시설 관계자 이
외의 자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없는 곳, 또는 이에 준하는 곳(예를 들면 뜰이 없는
건조물의 내부)을 말한다.
412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3. “개폐소”라 함은 개폐소 안에 시설한 개폐기 및 기타 장치에 의하여 전로를 개폐하는 곳


으로서 발전소·변전소 및 수용장소 이외의 곳을 말한다.

[해설]
“개폐소”란 전선로의 분기개소 또는 전선로의 도중에 시설되고, 개폐소 안에 개폐기 또
는 차단기를 설치하여 전로를 개폐하는 곳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수용장소”란 전기사용장소(전기를 사용하기 위한 전기설비를 시설한 건물 또는 기타 좁
은 의미의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를 말한다)를 포함하는 구내 전체를 말한다.
전기적인 단위를 이루는 장소 중 “전기사용장소”란 발전소 또는 변전소, 개폐소 혹은 이
들에 준하는 장소(수전소, 배전반실 등을 말한다.)이외의 장소를 말하지만 화력발전소에
서의 서비스 룸과 같이 발전 그 자체(自体)와의 사이에 기술상의 관계가 없는 것에 관해
서는 전기 사용 장소로서 규제를 받는 것이라고 생각해야 할 것이다.
전기 사용 장소가 옥내의 경우는 그 건물을 하나의 사용 장소라고 생각하면 되지만 옥
외의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 장소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으나, 하나의 작업장으로서 마련
되어 있는 것은 그 넓이에 관계없이 하나의 사용 장소로서 생각해도 좋고 또 일반 가정
의 정원과 같은 것은 대체적으로 하나의 사용 장소라고 생각해도 된다. 수용 장소와 전
기 사용 장소의 관계는 그림과 같이 된다.

배전선로

배전선로

전 전
기 기
사 사
용 용
장 장
소 소
수용장소

4. “급전소”라 함은 전력계통의 운용에 관한 지시 및 급전조작을 하는 곳을 말한다.

[해설]
“급전소”란 전력 계통을 구성하는 발변전소, 송배전 선로 등의 전력 시설을 경제적 합리
적으로 종합 운용하기 위한 지령 즉, 발변전소의 운전, 주파수 및 전압의 조정, 전력 수
급의 조정, 송전 계통의 변경, 계통 사고 때의 복구 조작 등의 지시를 행하는 곳이다.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13

5. “전선”이라 함은 강전류 전기의 전송에 사용하는 전기 도체, 절연물로 피복한 전기 도체


또는 절연물로 피복한 전기 도체를 다시 보호 피복한 전기 도체를 말한다.

[해설]
“전선”이란 강전류 전기의 전송에 사용하는 것만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강전류 전기
란 약전류 전기에 대응하는 용어이고 약전류 전기(전신, 전화 등의 사용에 공급되는
저전압 미소전류를 말한다) 이외의 것을 말한다.
<강전, 약전의 구분>
강전류 전기란 약전류 전기에 대응하는 용어로서 강전류, 약전류의 구별을 학술적으로
명확히 정하기는 곤란하나 개념적으로 말하면 통신·전화 등에 사용되는 저전압 미소전
류의 것이 약전류 전기이며 그 이외의 것이 강전류 전기이다. 통신·전화 등의 전기회로
이외의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약전류 전기회로라고 생각할 수 있다.
(1) 인터폰, 확성기 등의 음성 전송회로
(2) 고주파 또는 펄스에 의한 신호의 전송 회로
(3) 최대사용전압이 10 V 이하이고 사용 전류가 5 A를 넘지 않는 전기회로
(4) 전압의 최대치가 60 V 이하인 직류 전기회로로 제264조제1항에 규정하는 소세력 회
로에 준하는 것
(5) 전력보안통신선으로서 최대사용전압이 110 V 이하로서 단락전류가 100 mA 이하인
전기회로

6. “전로”라 함은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 전기가 통하고 있는 곳을 말한다.

[해설]
“전로”란 전기가 통하고 있는 회로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가리키는 용어로서 전기가
통하고 있는 도체, 즉 전기가 통하는 길이라는 의미로서 전자기학적 관점에서 표현
한 용어이다. 전선로의 전선뿐만 아니라 옥내배선이라든가 전기기기중의 권선 기타
의 도체도 모두 전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전기가 통하고 있다”고 하는 것은 본래
그 사용목적인 전류가 흐르며, 또한 전압이 걸려 있다고 하는 의미이며, 고장시에만
전류가 흐르는 접지선이라든가 부차적으로 전위가 생기는 금구와 같은 것은 이 기
준에서 말하는 전로는 아니다. 용어정의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신설함.
414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7. “전선로”라 함은 발전소·변전소·개폐소, 이에 준하는 곳, 전기사용 장소 상호간의 전선(전


차선을 제외한다) 및 이를 지지하거나 수용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해설]
“전선로”란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전기사용장소 등 전기적인 단위를 이루는 장소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과, 이것을 지지하거나 보장하는 시설물(애자, 지선 등을 포함)
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인입선은 전선로에 포함되지만 배선은 포함하지 않는다.
전기 적인 단위를 이루는 장소 중 「변전소, 개폐소와 유사한 장소」란 제32조의 규정
에 의한 특별고압 배전용 변압기의 시설 장소, 공장 구내 등에서의 변전실, 주상변압기
의 시설장소, 지중전선로의 변압탑과 같은 곳을 말한다. 또 전선로는 전선과 그것을 지
지 또는 수용하는 시설물로 이루어진다.
「수용하는 시설물」이란 지중전선로에 대해서 케이블을 넣는 암거, 관, 접속함 등을 가
리키고 있다.
전선로는 이를 그 시설 목적으로 분류하면 송전선로, 배전 선로, 급전선로 등으로 분류
할 수 있지만 송전선로와 배전선로에 대하여 규제 구별이 없으며, 따라서 그 정의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15

8. “전기기계기구”라 함은 전로를 구성하는 기계기구를 말한다.

[해설]
“전기기계기구”란 전로를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전로의 일부가 되는 기계기구를 총
칭하는 용어로서 전기기계기구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정의를 신설함.

9. “연접 인입선”이라 함은 한 수용장소의 인입선에서 분기하여 지지물을 거치지 아니하고 다


른 수용 장소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을 말한다. 여기에서 “인입선”이라 함은 가공
인입선[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부터 다른 지지물을 거치지 아니하고 수용장소의 붙임점에
이르는 가공전선(가공전선로의 전선을 말한다. 이하 같다)을 말한다] 및 수용장소의 조영물
(토지에 정착한 시설물 중 지붕 및 기둥 또는 벽이 있는 시설물을 말한다. 이하 같다)의
옆면 등에 시설하는 전선으로서 그 수용장소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을 말한다.

[해설]
“연접 인입선”이란 인입선 중 하나의 수용장소의 인입선으로부터 분기하여 지지물을
거치지 않고 다른 수용장소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인입선”이란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부터 다른 지지물을 거치지 않고 수용장소의 붙
임점에 이르는 전선 및 수용장소의 조영물 측면 등에 시설하는 전선으로서 해당 수
용가의 인입구에 이르는 전선을 총칭한 것이다. 지중을 경유해서 조영물의 측면 등
에 시설하는 것(지중 인입선)도 인입선에 포함된다. 또한 인출선이라고 하는 말은
사용되고 있지 않으나, 그와 같은 개념의 것은 인입선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도
좋다. 여기에서 조영물이라는 것은 건축 기준법상의 건축물보다도 넓은 의미로 정
의하고 있다. 또한, 인입선과 연접 인입선의 관계는 그림과 같이 된다.

인입구
가공인입선

인입선중
옥측부분

인 입 선 연접 인입선
416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10. “전차선”이라 함은 전차에 그 동력용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접촉전선 및 강


색철도(鋼索鐵道) 차량안의 신호장치·조명장치 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접촉전선을 말한다.
11. “전차선로”라 함은 전차선 및 이를 지지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해설]
전차선 및 전차선로는 트롤리, 퓨겔 또는 팬터그라프(pantograph)가 접촉하는 전선은 물
론 지하철도에 사용되는 제3궤조(third rail), 단궤도 전기 철도(모노레일)용의 접촉 전선
등이 포함되고 기타 편의상 강색철도의 차량에 전기(동력용이 아님)를 공급하는 접촉 전
선(강색 차선)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유희용 전차에 대한 것은 포함되지 않는다.

12. “배선”이라 함은 전기사용 장소에 시설하는 전선(전기기계기구 내의 전선 및 전선로의


전선을 제외한다)을 말한다.

[해설]
“배선”이란 전기사용장소에 시설하는 전선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배선에는 전기기계
기구내의 전선 및 전선로의 전선은 포함하지 않는다.

13. “약전류전선”이라 함은 약전류 전기의 전송에 사용하는 전기 도체, 절연물로 피복한 전기


도체 또는 절연물로 피복한 전기 도체를 다시 보호 피복한 전기 도체를 말한다.
14. “약전류전선로”라 함은 약전류전선 및 이를 지지하거나 수용하는 시설물(조영물의 옥내
또는 옥측에 시설하는 것을 제외한다)을 말한다.

[해설]
약전류 전기의 전송에 사용하는 전선을 말하며, 전신, 전화나 인터폰, 확성기 등의 음성전
송회로 등과 소세력 회로의 전선 및 출퇴표시등 회로의 전선도 포함되고 있다.
소세력 회로 및 출퇴표시등 회로 : 이들은 약전류 회로는 아니나 그 전선이 기타 강전류
전기시설물과의 접근·교차 등의 경우의 취급에서 약전류 전선과 동일하게 취급함으로서 편
의상 이들을 약전류전선에 포함시켜 규정의 간소화를 도모한 것이다.

15. “광섬유케이블”이라 함은 광신호의 전송에 사용하는 보호 피복으로 보호한 전송매체를


말한다.
16. “광섬유케이블선로”라 함은 광섬유케이블 및 이를 지지하거나 수용하는 시설물(조영물의
옥내 또는 옥측에 시설하는 것을 제외한다)을 말한다.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17

[해설]
“광섬유 케이블”이란 광신호의 전송에 사용하는 전송매체로서 보호피복으로 보호한
것이다. 광섬유 케이블은 절연물이며 전자유도 및 정전유도 장애가 없고 전력선으
로부터의 통신장애도 없는 것이기 때문에 약전류 전선과는 별도로 정의하고 있다.
“광섬유 케이블선로”란 광섬유 케이블과 이를 지지하거나 수용하는 시설물을 통칭
한다.

17. “지지물”이라 함은 목주․철주․철근 콘크리트주 및 철탑과 이와 유사한 시설물로서 전


선․약전류전선 또는 광섬유케이블을 지지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해설]
“지지물”이란 목주, 철주, 철근 콘크리트주, 철탑 및 이들과 유사한 시설물로서 전선
또는 약전류 전선 등을 지지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이
다. 지선, 지주 및 전선으로부터 이격하기 위하여 건조물에 부착하는 인입선 취부금
구 등은 지지물에 포함하지 않는다. 지선 및 지주는 지지물에는 포함시키지 않고 별개
로 다룬다.

18. “조상설비”라 함은 무효전력을 조정하는 전기기계기구를 말한다.

[해설]
“조상설비“란 무효전력을 조정하는 전기기계기구를 가리키는 용어이고, 전력용 콘덴
서, 분로 리액터, 조상기가 여기에 해당한다.

19. “전력보안 통신설비”라 함은 전력의 수급에 필요한 급전·운전·보수 등의 업무에 사용되


는 전화 및 원격지에 있는 설비의 감시․제어․계측․계통보호를 위해 전기적․광학적
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장치․전송로 설비 및 전원 설비 등을 말한다.

[해설]
전력계통을 구성하고 있는 발전소, 변전소, 전선로 등의 전력설비를 가장 안전하고
합리적이며 또한 경제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이들의 설비 및 기기의 운전조작을 위
한 급전지령 또는 사고복구조작 등의 지령·전달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전기사업을
영위하기 위하여 시설하는 전용의 통신설비를 전력보안통신설비라 하고 전력보안통
신설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통신을 통틀어서 전력보안통신이라 한다.
418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2.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용어해설

1. “가공인입선”이라 함은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로부터 다른 지지물을 거치지 아니하


고 수용장소의 붙임점에 이르는 가공 전선을 말한다.

[해설]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인입주)에서부터 다른 지지물을 거치지 않고 수용장소의 취부
점에 이르는 가공 부분의 전선으로서 아래 그림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부분을 말한
다. 또한, 인입하는 경우에 다른 가옥의 지붕 위에 인입선 취부금구(간이 지지물)를
설치해서 전선의 도중을 지지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간이 지지물 등은 지지물에 해당
하지 않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인입주로부터 취부점(붙임점)까지의 전선이 가공 인입
선이 된다.

2. “전기철도용 급전선”이라 함은 발전소 또는 변전소로부터 다른 발전소 또는 변전


소를 거치지 아니하고 전차선에 이르는 전선을 말한다.
3. “전기철도용 급전선로”라 함은 전기철도용 급전선 및 이를 지지하거나 수용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해설]
전기 철도에 부수(附隨)되는 것으로 전기 철도의 전용 부지 내에 시설하는 경우에 일반 전
선로와 다른 규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별도로 정의하고 있다.

4. “옥내 배선”이라 함은 옥내의 전기 사용 장소에 고정시켜 시설하는 전선[전기 기


계기구 안의 배선, 관등회로(管燈回路)의 배선, 엑스선관 회로의 배선, 제151조에
규정하는 전선로의 전선, 제206조제1항, 제211조제1항 또는 제232조제1항제2호에
규정하는 접촉 전선, 제244조제1항에 규정하는 소세력회로(小勢力回路) 및 제245조
에 규정하는 출퇴표시등회로(出退表示燈回路)의 전선을 제외한다]을 말한다.

[해설]
옥내 배선은 옥내(전기 사용 장소의 옥내를 의미 하고 발전소, 변전소 등의 옥내는 포함하
지 않는다)에 고정하여 시설하는 전선이지만 기술기준의 구성의 편의를 위하여 다음의 것
은 제외하고 있다.
a 전기기계기구내의 배선(전기기계기구의 외피(外被)내의 전선 및 부분적으로 外被의 밖
으로 나오는 짧은(短小) 전선을 말한다.)
b 관등회로(제9호)의 배선
c X선 관 회로의 배선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19

d 옥내에 시설하는 전선로의 전선


e 이동하며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접촉전선
f 유희용 소형 전차용의 접촉 전선
g 소세력 회로의 전선
h 출퇴표시등 회로(60V이하, 5A이하)의 전선
“배선”이란 전기사용장소에 시설하는 전선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배선에는 전기기계
기구내의 전선 및 전선로의 전선은 포함하지 않는다.

5. “옥측 배선”이라 함은 옥외의 전기 사용 장소에서 그 전기 사용 장소에서의 전기 사용을


목적으로 조영물에 고정시켜 시설하는 전선(전기기계기구 안의 배선, 관등회로의 배선,
제206조제1항 또는 제211조제1항에 규정하는 접촉전선, 제244조제1항에 규정하는 소세
력 회로 및 제245조에 규정하는 출퇴표시등 회로의 전선을 제외한다)을 말한다.

[해설]
조영물의 외측면 또는 조영물에 인접하는 옥외에 부하 설비가 있어서 이것에 전기를 공급
하기 위한 전선을 조영물의 외측면에 고정하여 시설하는 경우는 옥측배선으로 취급된다.
전기기계기구내의 배선이 제외되어 있는 것은 전호와 같은 취지이다. 또한 옥측 전선로는
해당 전기사용장소에서의 전기의 사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당연히
옥측배선에서 제외된다.

6. “옥외 배선”이라 함은 옥외의 전기 사용 장소에서 그 전기 사용 장소에서의 전기 사용


을 목적으로 고정시켜 시설하는 전선(옥측 배선, 전기 기계기구 안의 배선, 관등회로의
배선, 제206조제1항, 제211조제1항 또는 제232조제1항제2호에 규정하는 접촉 전선, 제
244조제1항에 규정하는 소세력 회로의 전선 및 제245조에 규정하는 출퇴표시등 회로의
전선을 제외한다)을 말한다.

[해설]
옥외에 시설하는 배선 중 옥측 배선 이외의 것으로서 전기 기계 기구내의 배선 기타 특수
배선이 제외되는 것은 옥내배선의 경우와 같다.

7. “관등회로”라 함은 방전등용 안정기(방전등 용변압기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부터 방전


관까지의 전로를 말한다.

[해설]
관등회로란 방전등용안정기 또는 방전등용변압기부터 방전관까지의 전로를 말하며, 따라
420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서 글로우 램프 등도 포함된다. 그리고 방전등용안정기라고 할 때는 방전등용변압기도 그


속에 포함되어 있다.

8. “지중관로”라 함은 지중전선로·지중 약전류 전선로·지중광섬유케이블선로·지중에 시설


하는 수관 및 가스관과 이와 유사한 것 및 이들에 부속하는 지중함 등을 말한다.

[해설]
“지중함”이라는 것은 맨홀(manhole), 핸드 홀, 監視孔과 같은 것을 가리킨다. “이와 유사
한 관” 중에는 공기관, 증기관 등이 포함된다.

9. “제1차 접근상태”라 함은 가공 전선이 다른 시설물과 접근(병행 하는 경우를 포함하며


교차하는 경우 및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는 경우를 제외한다. 이하 같다)하는 경우에 당
해 가공 전선이 다른 시설물의 위쪽 또는 옆쪽에서 수평거리로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
의 지표상의 높이에 상당하는 거리 안에 시설(수평거리로 3m미만인 곳에 시설되는 것
을 제외한다)됨으로서 가공 전선로의 전선의 절단, 지지물의 도괴 등의 경우에 그 전선
이 다른 시설물에 접촉할 우려가 있는 상태를 말한다.
10. “제2차 접근상태”라 함은 가공 전선이 다른 시설물과 접근하는 경우에 그 가공 전
선이 다른 시설물의 위쪽 또는 옆쪽에서 수평 거리로 3m미만인 곳에 시설되는 상태
를 말한다.
11. “접근상태”라 함은 제1차 접근 상태 및 제2차 접근 상태를 말한다.

[해설]
접근상태라는 것은 가공 전선이 다른 시설물의 상방 또는 측방에서 접근하는 경우의 상태
를 정의한 것으로서 다른 시설물의 하방에서 접근하는 경우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접근
상태를 제1차 접근상태, 제2차 접근상태, 접근상태로 정의하고 있는 것은 가공 전선과 다
른 시설물이 접근 또는 교차하는 경우의 규제를 다른 시설물과의 관계위치별, 대상물 별
로 규제함에 따라 규정 조문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21

12. “이격거리”라 함은 떨어져야할 물체의 표면간의 최단거리를 말한다.

[해설]
이격거리는 떨어져야할 거리로 예상되는 기상조건에 의한 전선위치의 변화도 고려하여야
하며 경간이 길고 이도가 큰 전선로의 경우 다른 물체와의 이격은 바람 등에 의한 진동은
물론이고 또한 다른 시설물(접근 대상물)이 요동하는 것이라면 그 요동 등도 고려하여야
한다.

A : 이도가 최소로서 무풍상태의 전선위치


B : 이도가 최대로서 무풍상태의 전선위치
C : 이도가 최대로서 최대로 흔들린 전선위치

A‾D : 거리

C‾D : 이격거리

근 ‾
F‾D : 수평거리
대 ‾
E‾D : 수평이격거리
상 ‾
A‾F : 수직거리


B‾F : 수직이격거리

B‾G : 높이

※ 단지 “거리”라고 하는 경우는 접근한계를 표시하는 경우에 사용(제2조제25호, 26


호)되며 소위「떼어놓지 않으면 아니 된다」라고 하는 의미가 아님.

<판단기준 제79조 제4항 <가공전선과 건조물의 조영재 사이의 이격거리 산정방법>


전기설비기술기준 제91조제1항제2호의 규정에 의한 가공전선과 건조물의 조영재 사이의 이
격거리 산정방법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수직이격거리는 건조물의 조영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떨어져야할 거리, 수평이격거리
는 수평방향으로 떨어져야할 거리를 말하며 이격거리의 관계는 다음 [그림1]과 같다.

수직이격거리(V)
측상방 또는
측하방 에서의
이격거리

접근 대상물 수평이격거리(H)

[그림 1] 건조물 수직단면에서의 이격거리 관계


422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2. 측상방 또는 측하방에서의 이격거리 적용범위는 건조물의 조영재 모서리에서 수직


이격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호와 수평이격거리의 수직연장선과 교차하는 점을
연결하는 사선이 이루는 영역으로 하고, 이 사선과 수평이격거리의 수직연장선이 이
루는 영역은 그림 2와 같이 수평이격거리 적용범위로 한다. 다만, 수평이격거리가
수직이격거리보다 클 경우에는 수직이격거리와 수평이격거리를 바꾸어 적용한다.

T T

V V
H V

T H T

건조물
H H

T V V T

[그림 2] 측상방 및 측하방에서의 이격거리 적용범위

물체에 대한 용어

물체 시설물 조영물 건조물 주택

천연물체 기타 시설물 기타 조영물 기타장소

■ 시설물과 건조물 등과의 관계


ㅇ 시설물 : 인공(人工)의 것 모두를 가리키며, 식물이라든가 암석 등 천연적으로 존재하
는 것 이외의 모든 물체를 말한다.
ㅇ 조영물 : 토지에 정착한 시설물 중 지붕 및 기둥 또는 벽이 있는 시설물을 말한다(제
2조제8호)
ㅇ 건조물 : 사람이 거주 또는 근무하거나 빈번히 출입하거나 모이는 조영물을 말한다
(제151조제1항)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23

⇒ 조영물 중 특히 사람이 살고 있는 곳, 사람이 원칙적으로 매일 근무하며, 일정시간


일을 하는 곳, 사람이 빈번히 출입하는 곳, 혹은 집합하는 곳.

(건조물로 간주되는 예)
1. 거주자의 유무 및 이용률 여하에 관계없이 집회목적으로 세워진 건물, 공회당, 집
회소 등
2. 주거, 공장 등과 연결한 창고, 축사, 차고, 옥외 화장실 등
3. 주거, 공장 등과 밀접하지 않은 창고라도 사람이 빈번히 출입하는 것

(건조물로 간주하지 않는 것의 예)
1. 상시근무자가 없고 필요시 순시하거나, 또는 월 수회정도의 임시작업을 하는 물레
방아간, 양어장의 감시소, 기계운전소 등
2. 사람의 근무 또는 출입에 관계없는 공중전화박스, 군인초소, 소규모의 공중화장실

3. 사람이 근무하지 않고 이용자가 적은 버스의 간이 대합실
4. 사람이 주재하지 않으며 제례시만 사용하는 사당 등
5. 지하실
6. 주거와 접속되지 않은 창고, 축사, 화장실(공중화장실 제외), 간단한 차고나 주차장 등

ㅇ 상부조영재 : 지붕․챙(차양 : 遮陽)․옷 말리는 곳 기타 사람이 올라갈 우려가 있는


조영재
ㅇ 기타조영재 : 상부조영재 이외의 조영재
Ⅶ. 기술기준 교육 및 도서 안내 425

Ⅶ. 기술기준 교육 및 도서
Ⅶ. 기술기준 교육 및 도서 안내 427

2021년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KEC 해설교육 안내

산업통상자원부 고시로 운영 중인 전기설비기술기준(판단기준)과 기술기준의 상세


시공방법을 규정한 내선규정에 대한 해설(전기사업법 제67조⋅제98조 제4항, 동법
시행령 제43조⋅제62조 제5항) 및 발전시설 내진설계/성능평가 실무 교육
□ 교육일정
인원 교육비
구분 과정명 교 육 일 정1) (명) (원)
04.28(수) ~ 04.30(금) 30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06.16(수) ~ 06.18(금) 30
일반
KEC 해설(전기분야) 09.08(수) ~ 09.10(금) 30
11.10(수) ~ 11.12(금) 30
저압과 고압·특고압 건축물 05.26(수) ~ 05.28(금) 20
심화A
접지 및 피뢰시스템 기준과 설계 08.25(수) ~ 08.27(금) 20 집체교육 및
과전류·감전 보호 및 전선 06.02(수) ~ 06.04(금) 20 온라인 교육
심화B 병행 예정
허용전류 기준과 설계 10.13(수) ~ 10.15(금) 20
전기저장장치 및 태양광 05.12(수) ~ 05.14(금) 20 (교육비 미정2))
심화C
발전설비의 기준과 사고관리 10.27(수) ~ 10.29(금) 20
5.7(금) 20
내진A 건축전기설비 내진설계
10.01(금) 20
발전시설 내진설계 및 06.30(수) ~ 07.02(금) 20
내진B
성능평가 11.24(수) ~ 11.26(금) 20

1) 교육일정은 협회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사전확인 요망


2) 집체교육 및 온라인교육 병행에 따라, 교육비 연내(’20) 산정 후 홈페이지 등 재안내 예정

□ 신청방법
◦ 대한전기협회 홈페이지(http://kec.kea.kr)에서 온라인신청

□ 교육장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중대로 113 전기회관, 대한전기협회 14층
□ 수료증 발급
◦ 지자체 공무원 상시학습 교육인정 : 교육수료시간
◦ 한국기술사회 교육학점 인정 : 1.0학점/1시간당(80% 출석시 수료)
□ 접수 및 문의
◦ 기술기준처 사업전략팀(02-2223-3673, [email protected])
428 Ⅶ. 기술기준 교육 및 도서 안내

대한전기협회 기술기준처 발행도서

접지시스템 설계방법에 건축전기설비 정착부 피뢰시스템


내선규정(2019)
관한 기술지침(2019) 내진설계 및 시공지침(2019) 가이드(2018)
전기기계기구 및 전기설비의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의 지진발생 시 내진특성을 독일 VDE의 가이드를 번
전기적 안전 확보를 위해 설 접지시스템 적용, 시설방법 고려하여 건축전기설비의 역 발간한 도서로 DIN EN
계, 시공, 검사 시 지켜야 할 등의 기술적 사항을 규정한 성능 확보를 위한 내진설계 62305 시리즈를 기초로 한
기술적 사항 기술 지침 및 시공방법 국제표준 해설서
정가 : 80,000원 정가 : 25,000 정가 : 35,000 정가 : 50,000원

감전 및 과전류보호 감전 및 과전류보호 배선설비의 설계 및 비상전원 겸용


설계방법에 관한 설계방법에 관한 공사방법에 관한 전기저장장치 시설에
기술지침(2019) 기술지침 부록(2020) 기술지침(2019) 관한 기술지침(2018)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의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의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의 전기저장장치가 비상부하
감전, 과전류보호 등에 대 감전, 과전류보호 등에 대 저압배선설비 공사방법과 설 및 상용부하 등에 전원을
한 보호에 대하여 기술적 사 한 보호에 대하여 기술적 계에 대하여 기술적 사항을 공급하기 위하여 기술적
항을 규정한 지침 사항을 규정한 지침 부록 규정한 지침 사항을 규정한 지침
정가 : 30,000원 정가 : 30,000원 정가 : 20,000원 정가 : 15,000원

□ 구매방법
◦ 대한전기협회 홈페이지(www.kea.kr) 열린광장 내 발행도서에서 구매
□ 구매문의
◦ 기술기준처 사업전략팀 도서담당자 TEL(02-2223-3675), E-Mail([email protected])
2020년

전기설비기술기준 질의․회신 사례집

2002년 10월 초판발행


2003년 10월 2판 발행
2004년 10월 3판 발행
2005년 9월 4판 발행
2007년 10월 5판 발행
2008년 11월 6판 발행
2009년 11월 7판 발행
2010년 11월 8판 발행
2011년 11월 9판 발행
2012년 11월 10판 발행
2013년 12월 11판 발행
2014년 11월 12판 발행
2015년 11월 13판 발행
2016년 11월 14판 발행
2017년 11월 15판 발행
2018년 11월 16판 발행
2019년 11월 17판 발행
2020년 11월 18판 발행

편 저 : 사단법인 대한전기협회
발 행 일 : 2020. 11.
발 행 처 : 대한전기협회
서울 송파구 중대로 113(가락본동 79-2)
전화 : 02-2223-3675, 3711
FAX : 02-2223-3719
URL : www.kea.kr
2020 전기설비기술기준
질 의・회신사례집
2020. 11.
발 간 사

대한전기협회는 전기사업법에 의한 전기설비기술기준에 대하여 조사,


연구, 심의, 제⋅개정검토 업무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위탁받아 수행
하고 있습니다.
2020년 전기설비기술기준 질의⋅회신 사례집은 주요 질의⋅회신한 사
례를 모은 것으로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에 대한 이해를 높여 현장에서
쉽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사례집은 2018년 3월에 산업통상자원부를 통해 공고된 “한국전기


설비규정(KEC)”과 2019년 3월에 고시된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2019년 11월에 공고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을 토대로 작
성되었으며, 2014년 1월부터 2020년 10월까지의 주요 질의⋅회신 사례
를 정리한 사항입니다. 특히 2021년부터 시행 예정인 “한국전기설비규
정”(KEC)의 주요내용과 자주 묻는 질의 사례는 별도로 간추려 수록하
였습니다.

아울러, 질의⋅회신사례는 우리협회 홈페이지(http://www.kea.kr)『전기상


담실 / Q&A 게시판』에 게시된 질의 및 회신사례에 대한 정보를 공유
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사례집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올바른 적용과 이해로 전기안전 확


보에 기여되기를 바라며, 이 사례집에 대한 문의사항 및 의견이 있을
경우에는 우리협회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20. 11

사단법인 대한전기협회
목 차 1

목 차

Ⅰ. 전기사업법상 기술기준 개요 ················································ 11

1. 기술기준 제정 ································································································· 13
2. 기술기준 체계 ································································································· 13
3.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정 범위 ················································· 13
4. 한국전기설비규정(KEC) ·············································································· 18

Ⅱ. KEC 주요내용 ············································································ 23

1. KEC(한국전기설비규정)의 구성 개요 ···················································· 25
2. KEC 제1장 (공통사항) ·············································································· 29
3. KEC 제2장 (200 통칙) ············································································· 43
4. KEC 제2장 (211 감전에 대한 보호) ····················································· 49
5. KEC 제2장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 55
6. KEC 제2장 (213 과전압에 대한 보호) ················································· 65
7. KEC 제2장 (214 열 영향에 대한 보호) ··············································· 75
8.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배선설비) ······························ 83
9.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조명설비) ······························ 89
10.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허용전류) ····························· 95
2 목 차

Ⅲ. 자주하는 질의 (FAQ) ····························································· 105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ㆍ회신 사례 ·································· 131

1. 제1장 총 칙 (제1조 ~ 제43조)

○ 기술기준의 법적 근거 ························································································ 135


○ 부하 불평형시 부하전선의 굵기 문의 ···························································· 136
○ 절연테이프 시공법 문의 ···················································································· 137
○ 옥내배선에 VCTF 전선을 사용하면 안 되는 근거 ····································· 138
○ 제어용 케이블을 전원용으로 사용 가능한지 문의 ······································ 139
○ 전선의 병열접속 기준 ························································································ 140
○ 기술기준 제27조와 판단기준 제13조의 누설전류 비교 ······························ 143
○ 직무고시에 따른 누설전류 관리방법 문의 ···················································· 144
○ 전로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측정방법 문의 ·············································· 145
○ 절연내력시험의 최대사용전압 문의 ································································ 146
○ 공통접지 적용 기준 문의 ·················································································· 148
○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분전함의 접지저항 값 문의 ······································ 149
○ 서지보호장치(SPD) 설치기준 ············································································ 150
○ 접지극(접지봉), 접지선의 시공기준 ································································ 151
○ 접지선의 공용(내선규정 1445-14)에 대한 문의 ············································ 152
○ 보호도체의 단면적 산출 계산식 관련 문의 ·················································· 153
○ 동선 외 타 금속재료의 접지선 시설 가능여부 문의 ·································· 154
○ 접지선 배선 관련 질의 모음 ············································································ 156
○ 제3종 및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특례기준 문의 ········································ 158
○ TN-C-S 접지방식 문의 ······················································································ 159
○ 변압기 저압측의 중성점에 2종접지선 설치위치 문의 ································ 162
○ 철도신호용 변압기 저압측 접지공사 방법 문의 ·········································· 164
○ 아파트 단위세대 LED전등의 접지시공 기준 ················································ 165
목 차 3

○ 외함 접지 생략이 가능한 ‘건조한 곳’의 의미 ·············································· 166


○ 콘센트 접지기준 관련 ‘주택’의 의미 ······························································ 168
○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접지기준 ···································································· 170
○ “등기구 접지생략”의 의미 ················································································ 171
○ 본체와 베이스로 나뉘어있는 비상발전기 접지방법 문의 ·························· 172
○ 통신단자함 외함의 접지시공 방법 문의 ························································ 173
○ 주택용 태양광에도 주택용 차단기를 시설해야 하는지? ·························· 174
○ 호텔 객실도 주택용 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하는지? ·································· 176
○ 비 한류형 파워퓨즈 단위 표기에 대한 문의 ················································ 177
○ 분전반 1차 메인 차단기에 누전차단기 시설기준 ········································ 178
○ 누전차단기 설치 예외조건 문의 ······································································ 180
○ 승강기에도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하는지? ················································ 182
○ 아파트 실외기실에도 누전차단기를 시설해야 하는지? ······························ 183
○ 가로등에 자동복구차단기 설치 가능여부 문의 ············································ 184
○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 대한 문의 ·························· 186
○ 비접지식 전기 판넬에 피뢰기 설치기준 ························································ 187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44조 ~ 제56조)

○ 한전 PAD 기기에 울타리 설치 가능여부 문의 ··········································· 191


○ 배전반이 있는 변대주의 울타리 설치기준 ···················································· 192
○ 변전소 외곽 울타리와 구내 변전설비 울타리의 차이점 ···························· 193
○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의 울타리 시설 해석 ················································· 194
○ 경사형 지붕에 태양광 발전소 설치시 울타리 시설기준 ···························· 196
○ 우사 옥상에 태양광 발전소 설치시 울타리 시설기준 ································ 197
○ 울타리・담 등으로부터 충전부분까지의 이격거리 문의 ···························· 198
○ 태양광발전소 울타리의 접지기준 ···································································· 200
○ 전기실 바닥의 마감재 문의 ·············································································· 201
○ 아파트 EPS/TPS실의 시건장치 설치여부 문의 ··········································· 202
○ 수・배전반실 중문 설치기준 ············································································ 203
4 목 차

○ 수배전반의 전기 기기에 대한 내진설계 여부 문의 ···································· 204


○ 태양광발전소의 계측장치 종류, 피뢰설비 등 문의 ····································· 206
○ 수전설비 내 주요설비의 이격거리가 의무기준인지? ·································· 208
○ 태양광 발전설비의 차단장치 시설기준 ·························································· 209
○ 태양광 모듈의 본딩용 케이블 굵기 문의 ······················································ 210
○ 태양광발전설비 구조물에 피뢰침을 시설해도 되는지 문의 ······················ 211

3. 제3장 전선로 (제57조 ~ 제152조)

○ 전선에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한 경우 문의 ················ 215


○ 저압 인입선의 설치 높이 기준 ········································································ 216
○ 송전선의 지표상 높이 기준 ·············································································· 218
○ 154kV 케이블을 옥외 파이프 랙에 시설하는 공사방법 문의 ··················· 220
○ 배전반내 몰드변압기와 대지간 이격거리 문의 ············································ 221
○ 22.9kV 가공전선로와 해상교량과의 이격거리 문의 ···································· 223
○ 특고압 가공전선과 도로와의 이격거리 문의 ················································ 224
○ 송전선로와 연료전지 발전시설간 이격거리 문의 ········································ 226
○ 건축용 방호관과 신축 건물과의 이격거리 문의 ·········································· 227
○ 공장, 전봇대 이격거리 및 전력설비 관리방법 문의 ··································· 228
○ 제2차 접근상태 해당 여부 문의 ······································································ 230
○ 지중관로 매설깊이 기준 문의 ·········································································· 232
○ 가공지선, 수평지선 및 중성선과 건조물간 이격거리 문의 ······················· 234
○ 맨홀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구멍을 막아도 되는지 문의 ·························· 235
○ 맨홀에 고인 물은 무조건 제거해야 하나요? ················································ 236
○ 맨홀 내 철제사다리, 뚜껑, 피복금속체의 접지기준 ···································· 238
○ 특고압케이블과 수도관과의 이격거리 문의 ·················································· 240
○ 특고압 케이블 관로에 광케이블 동시포설이 가능한지? ···························· 242
○ 맨홀내 예비관로와의 이격거리 문의 ······························································ 244
○ 저압 및 고압 지중관로간 이격거리 문의 ······················································ 245
○ 다중접지 특고압 지중선로의 전선관 이격거리 문의 ·································· 246
목 차 5

4. 제4장 전력보안 통신설비 (제153조 ~ 제165조)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166조 ~ 제250조)

○ 태양전지모듈 옥내전로의 대지전압 제한치 문의 ········································ 251


○ 사무용/연구센터 용도 건축물 전로의 대지전압 및 사용전압 ················· 252
○ 에어컨 전용 분기회로 구간 문의 ···································································· 254
○ 주방기구 하이라이트 배선 문의 ······································································ 255
○ 옥내배선에 케이블 또는 VCT 사용 가능여부 문의 ···································· 256
○ 변전소의 제어케이블 굵기 문의 ······································································ 257
○ 역, 백화점 등 일반화장실의 누전차단기 설치기준 ····································· 258
○ 비데용 콘센트에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하는지? ······································ 259
○ 세차장에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 시설해야 하는지? ·························· 260
○ 전기온수기 설치기준 문의 ················································································ 261
○ 배・분전함의 재질 문의 ······················································································ 262
○ 분전함에 결선도 도면을 반드시 비치해야하는지? ······································ 264
○ 신발장, 옷장 등에 설치된 주택용 분전반 문의 ··········································· 266
○ 공장형 아파트에서의 분전반 설치장소 문의 ················································ 268
○ 세대분전함 기술기준 개정내용의 적용 기준일 ············································ 270
○ 전동기 분기회로 케이블 굵기 문의 ································································ 272
○ 전열기의 정의와 콘센트용 분기회로 기준 문의 ·········································· 274
○ 분기개폐기 및 분기 과전류차단기 시설기준 ················································ 276
○ 내선규정에서 냉난방기 실외기 분기회로 설계방법 문의 ·························· 277
○ 배선용차단기와 과전류차단기 차이점 문의 ·················································· 278
○ 누전차단기의 옥내배선 굵기 문의 ·································································· 279
○ 지하승강장 입구 센서등에도 점멸장치를 설치해야 하는지? ···················· 280
○ 허용전류 산정시 부스바의 공사방법 적용기준 ············································ 281
○ 600V급 절연전선의 허용전류 계산방법 문의 ··············································· 282
○ 기준에 없는 허용전류 보정계수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 284
○ 전선의 허용전류 산정시 주위온도 적용기준 ················································ 286
6 목 차

○ 나사접속 전선관의 등전위본딩 시설기준 ······················································ 287


○ 금속관공사 관련 전선의 단면적, 보정계수, 배관굵기 문의 ······················ 288
○ 콘센트기구 아우트렛 박스 제외 규정 문의 ·················································· 290
○ 아웃렛박스 노출시공 가능여부 문의 ······························································ 291
○ 금속관 배선공사의 관 굵기 기준이 의무사항인지? ···································· 292
○ 레이스웨이내 AC, DC라인을 동시 시설 가능여부 문의 ··························· 293
○ 케이블 공사에 전선관 사용 가능여부 및 지지간격 문의 ·························· 294
○ 옥외 태양광 발전설비 현장의 케이블 트렌치 시설기준 ···························· 296
○ 케이블트레이에 금속제 가요전선관 사용 가능여부 문의 ·························· 297
○ 트레이와 인체 간 이격거리 및 배관 아래 설치시 문제점 문의 ·············· 298
○ 케이블 덕트, 트레이 설치 시 바닥과의 이격거리 문의 ····························· 299
○ 케이블트레이에 50㎟ 미만 단심케이블 설치기준 ········································ 300
○ 케이블트레이 옥외설치 가능여부 및 다단 설치 간격 문의 ······················ 301
○ 케이블트레이의 접지 및 전기적 접속방법 문의 ·········································· 302
○ 케이블트레이에 전기와 통신케이블 동시 포설 가능여부 문의 ················ 304
○ 가연성 가스 장소에서의 옥외 전등시설 방법 문의 ···································· 305
○ 방폭지역에 나사 없는 전선관 사용 가능여부 문의 ···································· 306
○ 화약류 저장소와 지상기기간 이격거리 문의 ················································ 308
○ 견고한 내화성의 격벽에 대한 정의 문의 ······················································ 309
○ 삼파장 램프가 방전등에 해당하는지 문의 ···················································· 311
○ LED 조명기구의 설치기준 ················································································ 312
○ 방전등에 적절한 방습장치 관련 문의 ···························································· 314
○ 전기울타리의 시설기준 ······················································································ 316
○ 교통신호기에 누전차단기 시설 생략조건 문의 ············································ 317
○ 풀장에 사용 가능한 전선 문의 ········································································ 319
○ 소세력회로와 DC제어선을 함께 배선해도 되는지? ···································· 320

6. 제6장 전기철도 등 (제251조 ~ 제278조)

○ 트램의 가공전차선이 가공전선의 범위에 해당하는지 문의 ······················ 323


목 차 7

7. 제7장 국제규격 도입 (제279조 ~ 제280조)

○ 보호선 의미 문의 ································································································ 327

8. 제8장 지능형전력망 (제281조 ~ 제298조)

○ 분산형전원 역전력계전기 및 역・결상계전기 설치기준 문의 ·················· 331


○ 전기차 충전기 접지종류 문의 ·········································································· 333
○ 이동형차량에 시설하는 ESS 관련 기준 문의 ··············································· 334
○ 저압태양광에 설치하는 ESS의 울타리 시설기준 ········································· 335
○ PCS컨테이너와 배터리컨테이너 차이점 및 기준 문의 ······························ 336
○ 리튬이온 축전지 UPS도 ESS 관련 기준을 적용하나요? ···························· 337
○ 직류 전기설비의 전선 선정기준 문의 ···························································· 338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 특고압 케이블 전압기준 문의 ·········································································· 341


○ KEC 전선의 식별 문의 ······················································································ 342
○ KEC 계기용 변성기 2차측 접지방법 문의 ···················································· 344
○ KEC 보호도체와 접지의 구분 문의 ································································ 345
○ KEC 등전위본딩 관련 문의 ·············································································· 346
○ KEC 피뢰시스템 관련 문의 ·············································································· 347
○ TT 접지계통의 저압 수용가 보호방식에 관한 문의 ··································· 349
○ KEC 누설전류감시장치 관련 문의 ·································································· 350
○ KEC 과부하전류보호 관련 문의 ······································································ 352
○ KEC 보호장치 동작시간 및 과전류 보호기준 문의 ···································· 354
○ KEC 도체와 과부하보호장치 협조 관련 문의 ·············································· 356
○ KEC 과부하보호장치의 생략조건 문의 ·························································· 358
○ 버스바트렁킹시스템, 파워트랙시스템의 허용전류 산정방법은? ··············· 359
8 목 차

○ KEC 수용가 설비의 전압강하 기준 문의 ······················································ 360


○ 케이블트레이 점유율 기준으로 케이블 설치 가능여부 문의 ···················· 362
○ 화재의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통신케이블의 범위 문의 ························ 364
○ KEC의 비상용 예비전원설비 문의 ·································································· 365
○ KEC 태양광 전압에 따른 울타리 시설기준 문의 ········································ 366
○ KEC 태양광 계측장치에 관한 문의 ································································ 368
○ KEC 법적구속력, 접지, 과전류 보호장치 관련 문의 ·································· 369

10. 기타사례

○ 용어 질의・회신 사례 ························································································ 373


○ ‘준하는 설비’에 대한 정의 문의 ································································ 375
○ 피뢰설비의 자연적구성 부재(철근) 접속 및 인하도선 인정 여부 ··········· 376
○ 피뢰시스템 관련 수평도체 문의 ······································································ 378
○ 건물옥상 안전난간을 피뢰설비 수뢰부로 사용 가능여부 문의 ················ 379
○ 1종 접촉상태에서의 감전보호 방법 문의 ······················································ 380
○ 조도 계산 설계 관련 문의 ················································································ 382
○ 피뢰기 정격전압 선정 관련 문의 ···································································· 383
○ 용도가 다른 콘센트 시공기준 문의 ································································ 384
○ 아파트 단위세대 부하용량 선정방법 등 문의 ·············································· 385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 387

○ 지식경제부 고시 제2011 - 1호 (2011. 1. 5) ············································ 389


○ 지식경제부 공고 제2011 - 1호 (2011. 1. 5) ············································ 390
○ 지식경제부 고시 제2012 - 11호 (2012. 1. 31) ············································ 391
○ 지식경제부 공고 제2012 - 32호 (2012. 1. 31) ············································ 392
○ 지식경제부 고시 제2013 - 1호 (2013. 1. 4) ············································ 393
목 차 9

○ 지식경제부 공고 제2013 - 101호 (2013. 3. 20) ············································ 394


○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4 - 8호 (2014. 1. 16) ········································ 395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4 - 99호 (2014. 3. 13) ······································ 396
○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5 - 26호 (2015. 1. 30) ······································ 397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5 - 44호 (2015. 1. 30) ······································ 398
○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6 - 15호 (2016. 1. 29) ······································ 399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6 - 34호 (2016. 1. 29) ······································ 400
○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7 - 26호 (2017. 3. 2) ········································ 401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7 - 104호 (2017. 3. 2) ······································ 402
○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8 - 26호 (2018. 3. 9) ········································ 403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8 - 102호 (2018. 3. 9) ······································ 404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8 - 103호 (2018. 3. 9) ······································ 405
○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9 - 45호 (2019. 3. 25) ······································ 406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9 - 195호 (2019. 3. 25) ···································· 407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9 - 667호 (2019. 11. 21) ·································· 408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 409

Ⅶ. 기술기준 교육 및 도서 안내 ················································· 425


기술기준 개요 11

Ⅰ. 전기사업법상 기술기준 개요
기술기준 개요 13

1. 기술기준 제정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하여 전기설비의 공사․유


지 및 운용에 필요한 기술기준을 규정하여 고시하도록 전기사업법 제67조(기술기준)
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기술기준의 제정)에서 기술기준의 제
정 원칙을 아래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

가. 사람이나 다른 물체에 위해 또는 손상을 주지 아니하도록 할 것.


나. 내구력 부족 또는 기기 오동작에 의하여 전기공급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도록 할 것.
다. 다른 전기설비 그 밖의 물건의 기능에 전기적 또는 자기적인 장애를 주지 아니
하도록 할 것.
라.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 및 신기술․신공법의 개발․활용 등에 지장을 주지 아
니하도록 할 것

2. 기술기준 체계

전기사업법의 규정에 의한 기술기준은 2006년 7월 이전에는 법적 최소요건으로 전기


설비기술기준, 발전용화력설비기술기준, 발전용수력설비기술기준, 발전설비용접기술
기준으로 총 본문 432조(별표127, 부표41)가 사용되었으나 산업자원부 고시 제
2006-65호(2007년 1월 1일 시행)로 간소화 및 성능 규정화함으로서 기술기준 고시를
통합하여 전면 개정하였다. 특히 신기술ㆍ신공법 및 민간표준을 기술기준에 신속히
반영함과 동시에 안전확보 및 경제성 향상에 기여하기 위해 기술기준 제4조에 “적합
성 판단”을 신설하였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고시로 운용되고 있다.

3.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정 범위

대한전기협회는 전기사업법 시행령 제43조의 규정에 적합하도록 기술기준의 조사,


연구, 심의 및 개정건의 등 업무를 수행하는 전담기관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각 기술
기준의 제정범위는 다음과 같다.

가. 판단기준의 "1. 전기설비“

전기의 생산에서 사용까지의 전기설비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주로 공공의 안


전 확보와 공급의 안정에 대한 최소한의 의무사항만을 규정하고 있으며, 그 외의
사항에 대하여는 기술자를 확보하고 있는 시설자(전기사업자, 자가용전기설비 시
설자 등)의 자율에 위임하고 있다.
14 기술기준 개요

구체적으로는 전기설비기술기준 규제사항의 많은 부분이 전기상식이 없는 일반


인이 취급 또는 접근하는 것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기자재에 관한 사항도 전
기설비기술기준 규정상 꼭 필요한 것 이외에는 전기용품안전 관리법에 적합한 것
을 사용토록 규정하고 전기사업자 등이 시설하여 운용하는 전력기기 등의 표준에
대하여는 자율에 맡기고 있다.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이하 “판단기준”이라
한다.) “1.전기설비”는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제1장 및 제2장에서 정하는 전기공
급설비 및 전기사용설비의 안전성능에 대해 구체적인 사항을 정하고 있다.

“1. 전기설비” 구성

제1장 총 칙 (제1조~제43조)
제1절 통칙 (제1조~제2조)
제2절 전선 (제3조~제11조)
제3절 전로의 절연 및 접지 (제12조~제27조)
제4절 기계 및 기구 (제28조~제43조)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제44조~제56조)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3장 전선로 (제57조~제152조)
제1절 통칙 (제57조~제67조)
제2절 저압 및 고압의 가공전선로 (제68조~제93조)
제3절 옥측전선로․옥상전선로․인
(제94조~제103조)
입선 및 연접인입선
제4절 특고압 가공전선로 (제104조~제135조)
제5절 지중 전선로 (제136조~제142조)
제6절 터널 안 전선로 (제143조~제144조)
제7절 수상전선로 및 물밑전선로 (제145조~제146조)
제8절 특수 장소의 전선로 (제147조~제152조)
제4장 전력보안 통신설비 (제153조~제165조)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166조~제250조)
제1절 옥내의 시설 (제166조~제216조)
제2절 옥외의 시설 (제217조~제225조)
제3절 터널․갱도 기타 이와 유사한
(제226조~제230조)
장소의 시설
기술기준 개요 15

제4절 특수시설 (제231조~제250조)


제6장 전기철도 등 (제251조~제278조)
제1절 통칙 (제251조)
제2절 직류식 전기철도 (제252조~제265조)
제3절 교류식 전기철도 (제266조~제274조)
제4절 강색철도 (제275조~제278조)
제7장 국제표준도입 (제279조~제280조)
제8장 지능형전력망 (제281조~제294조)
제1절 분산형전원 계통연계설비의 시설 (제281조~제285조)
제2절 전기자동차 전원설비 (제286조)
제3절 저압 옥내직류 전기설비 (제287조~제294조)
제4절 이차전지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시설 (제295조~제298조)

나. 판단기준의 “2. 발전용 화력설비”

발전용 화력설비기술기준의 구성 체계는 화석연료 연소시스템과 에너지변환시스


템으로 나누어 규정하고 있으며 대상설비는 보일러 및 그 부속설비, 내연기관
및 그 부속설비, 액화가스용 연료연소설비, 증기터빈 및 그 부속설비, 왕복기관
및 그 부속설비, 가스터빈 및 그 부속설비, 연료전지설비 등으로 내압부품의 재
료, 설계, 안전장치, 시험 등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2. 발전용 화력설비” 구성

제1장 총 칙 (제1조~제3조)
제2장 보일러 및 부속설비 (제4조~제44조)
제3장 압력용기 및 부속설비 (제45조~제82조)
제4장 배관 및 부속설비 (제83조~제96조)
제5장 증기터빈 및 부속설비 (제97조~제102조)
제6장 가스터빈 및 부속설비 (제103조~제108조)
제7장 내연기관 및 부속설비 (제109조~제114조)
제8장 액화가스 연료연소설비 (제115조~제123조)
제9장 연료전지설비 (제124조~제128조)
제10장 탈황, 탈질설비 (제129조~제134조)
제11장 가스화로설비 및 부속설비 (제135조~제159조)
16 기술기준 개요

다. 판단기준의 “3. 발전용 수력설비”

발전용 수력설비 기술기준의 규정 대상설비는 댐, 수로, 수차, 저수지, 및 조정지


등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3. 발전용 수력설비” 구성

제1장 총 칙 (제1조~제2조)
제2장 댐 (제3조~제21조)
제1절 일반사항 (제3조~제12조)
제2절 콘크리트 중력댐 (제13조~제16조)
제3절 아치댐 (제17조~제19조)
제4절 필댐 (제20조~제21조)
제5절 조력발전 구조물 (제21의 2조~제21의 5조)
제3장 수로 (제22조~제36조)
제4장 수차 및 기타설비 (제37조~제41조)

라. 판단기준의 “4. 발전설비 용접”

발전용 용접기술기준의 규정 대상설비로는 발전용 화력기기, 보일러, 열교환기


등으로 액화가스용 연료설비 등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다.

“4. 발전설비 용접” 구성

제1장 총 칙 (제1조~제3조)
제2장 용접시공법 (제4조~제19조)
제3장 보일러 (제20조~제37조)
제4장 압력용기 (제38조~제55조)
제5장 배관 (제56조~제75조)
제6장 액화가스 연료연소설비 (제76조~제94조)
제7장 가스화로설비 (제95조~제121조)
기술기준 개요 17

마. 판단기준의 “5. 발전용 풍력설비”

풍력발전설비의 설계, 제작, 시공, 시험 및 검사, 전력계통 연계, 운전 및 정비 등


을 규정하고 있다.

“5. 발전용 풍력설비” 구성

제1조 목적
제2조 용어의 정의
제3조 적용 범위
제4조 안전조치
제5조 급경사지 붕괴의 방지
제6조 항공장애 표시등 시설
제7조 접근시설의 안전조치
제8조 피뢰설비
제9조 풍력터빈의 구조
제10조 풍력터빈의 선정
제11조 잠금장치의 시설
제12조 풍력터빈의 강도계산
제13조 풍력터빈 정지장치의 시설
제14조 계측장치의 시설
제15조 풍력터빈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구조
제16조 풍력터빈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구조, 성능 및 시설조건
제17조 풍력터빈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강도계산
제18조 풍력터빈을 지지하는 구조물의 기초
제19조 제어장치의 시설
제20조 보호장치의 시설
제21조 화재방호설비 시설
제22조 주전원 개폐장치
18 기술기준 개요

4. 한국전기설비규정(KEC)

가. 한국전기설비규정의 개요

한국전기설비규정(Korea Electro-technical Code, KEC)은 전기산업계에서 국제표준


과 다르게 운영되던 불명확·불필요한 규제사항을 해소하고, 전기설비의 환경 변화
에 대한 안전성, 신뢰성 및 편의성을 확보하여 해외 전력시장 진출의 장애요인을
제거하는 등 전기설비기술의 선진화를 통하여 국내 전력산업 기술발전과 국제표
준에 부합하고자 2018년 3월 9일에 공고된 사용자 중심의 시설안전기준으로서 시
행일은 2021년 1월 1일이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 교류 1000V 이하, 직류 1500V 이하로 저압전기설비 범위 규정
○ 시설안전 및 유지관리를 위한 전선 색상 식별 규정
○ 기존 종별 접지시설 규정을 폐지하고 국제표준에 부합한 접지시설로 규정
○ 과전류에 대한 보호 방법 및 케이블트렁킹시스템 등 배선공사 방법을 국제기준으로
규정
○ 기존 발전설비의 용접 분야를 보일러 및 부속설비 등 각 시설별로 통합하여 규정

「KEC」의 시행시점을 공고 당시 기준으로 3년 후인 2021년으로 정한 이유는 관련


산업계에서 방대한 시설기준의 변경사항을 파악할 수 있는 시간적 여유를 제공함
과 동시에 산업계 의견수렴을 통해 투명하고 객관적인 시설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산업계 전반에 보급함에 있다.
기술기준 개요 19

나. 한국전기설비규정의 제정 배경

1995년 국제무역기구 출범과 함께 회원국이 된 우리나라는 “무역기술장벽


(technical barrier to trade, TBT)협정” 이행의 일환으로 한국산업표준(Korea
industrial standard, KS)을 국제전기기술위원회(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ission, IEC)표준에 부합화하는 작업을 수행했다. 당시 「전기설비기술기준」에
서는 전선 등 제품의 품질 확보를 위해 KS를 인용하여 해당 제품 사용을 규정했
으나 TBT 문제 발생 소지가 있기에 2005년 개정을 통해 IEC표준에 부합화 한 KS
를 인용했고 저압 전기설비의 설계 및 시설과 관련한 다양한 IEC표준의 방법을
국내에 도입할 수 있도록 했다. 하지만 기존의 「전기설비기술기준」과 IEC표준의
시설방법은 차이가 있어 혼용 시 설비의 안전을 보장할 수 없기에 단서를 달아
상호 혼용을 금지해야만 했다. 이 때문에 「전기설비기술기준」과는 달리 구체적인
공사방법이 규정되지 않은 IEC표준은 국내에서 적용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었다.

IEC표준 시설방법의 국내 적용은 TBT협정 이행 측면에서 뿐만 아니라 객관적인


인체 감전보호 근거를 바탕으로 한 보호설계 제시, 국내 사용전압과 유사한 전압
대역을 바탕으로 한 검토・실증결과의 반영,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일반적 시설방법
임과 동시에 세계적 규모의 시장이 존재하는 점 등 다양한 기술적/경제적 이점이
있으므로 적극적인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검토됐다. 또한, 1973년부터 2005년까지
수행된 2차 배전전압 승압 이후의 전기설비 환경은 「판단기준」의 전신으로 볼 수
있는 「전기공작물규정」 당시의 환경과 크게 달라졌기에 과거의 시설기준을 탈피
하여 객관적 근거와 실증 결과에 기반한 시설기준 개편의 요구가 계속 커져가고
있다. 이런 시대적 배경을 바탕으로 국내 전기환경과 유사한 IEC표준을 근간으로
다수 국외 규정의 객관적 근거를 참조하고 무엇보다 국내 현장의 특수성과 수용
성을 반영한 한국형 전기설비 시설기준인 「KEC」가 개발됐다.

다. 한국전기설비규정의 구성

제1장에서 제4장은 현행 「판단기준」의 전기설비에 해당하는 내용을 담고 있고 제


6장 및 제7장은 발전설비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제5장은 현행 「판단기준」의 전기
설비와 발전설비에 흩여져 있는 분산형전원설비에 대한 사항을 통합하여 기술했
다. 「KEC」는 향후 기술발전에 따른 확장성을 고려하여 국내・외 다수 규정에서 채
용한 코드식 번호체계를 적용했다. 아래와 같이 대분류인 각 장으로 우선 분류되
고 각 장별로 100번부터 700번까지 하위 조항의 분류 코드를 부여하여 쉽게 구분
할 수 있도록 했다.
20 기술기준 개요

한국전기설비규정(KEC)

제1장 제2장 제3장 제4장 제5장 제6장 제7장


공통사항 저압전기설비 고압특고압전기설비 전기철도설비 분산형전원설비 발전용화력설비 발전용수력설비

총칙(100) 통칙(200) 통칙(300) 통칙(400) 통칙(500) 통칙(600) 통칙(700)

전기철도의 보일러 및
일반사항 안전을 위한 보호 안전을 위한 보호 전기저장장치 댐
전기방식 부속설비

전기철도의 압력용기 및
전선 전선로 접지설비 태양광발전설비 수로
변전방식 부속설비

배선 및 전기철도의 배관 및 수차 및
전로의 절연 전선로 풍력발전설비
조명설비 등 전차선로 부속설비 기타설비

기계기구 시설 전기철도의 증기터빈 및


접지시스템 특수설비 연료전지설비
및 옥내배선 전기철도차량설비 부속설비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전기철도의 가스터빈 및


피뢰시스템
등의 전기설비 설비를 위한 보호 부속설비

발전설비 전력보안 전기철도의 내연기관 및


용접시공 통신설비 안전을 위한 보호 부속설비

발전설비 액화가스
비파괴검사 연료연소설비

탈황, 탈질설비

가스화로 및
부속설비

“제1장 공통사항” 구성

100 총칙 (101 목적 ~ 102 적용범위)

110 일반사항 (111 통칙 ~ 113 안전을 위한 보호)

120 전선 (121 전선의 선정 및 식별 ~ 123 전선의 접속)

130 전로의 절연 (131 전로의 절연 원칙 ~ 136 기구 등 전로의 절연내력)

140 접지시스템 (141 접지시스템의 구분 및 종류 ~ 143 감전보호용 등전위본딩)

150 피뢰시스템 (151 피뢰시스템의 적용범위 및 구성 ~ 153 내부피뢰시스템)

160 발전설비 용접 (161 용접시공법)

170 발전설비 비파괴검사 (171 방사선투과검사 절차 ~ 175 육안검사 절차)


기술기준 개요 21

“제2장 저압 전기설비” 구성

200 통칙 (201 적용범위 ~ 203 계통접지의 방식)

210 안전을 위한 보호 (211 감전에 대한 보호 ~ 214 열 영향에 대한 보호)

220 전선로 (221 구내・옥측・옥상・옥내 전선로의 시설 ~ 224 특수장소의 전선로)

230 배선 및 조명설비 등 (231 일반사항 ~ 238 비상용 예비전원설비)


240 특수설비 (241 특수 시설 ~ 243 저압 옥내 직류전기설비)

“제3장 고압・특고압 전기설비” 구성

300 통칙 (301 적용범위 ~ 302 기본원칙)

310 안전을 위한 보호 (311 안전보호)

320 접지설비 (321 고압・특고압 접지계통 ~ 322 혼촉에 의한 위험방지시설)

330 전선로 (331 전선로 일반 및 구내・옥측・옥상전선로 ~ 335 특수장소의 전선로)


340 기계・기구 시설 및
(341 기계 및 기구 ~ 342 고압특고압 옥내 설비의 시설)
옥내배선
350 발전소, 변전소, 개폐
(351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등의 전기설비)
소 등의 전기설비
360 전력보안통신설비 (361 전력보안통신설비 일반사항 ~ 365 통신설비의 식별)

“제4장 전기철도설비” 구성

400 통칙 (401 전기철도의 일반사항 ~ 402 전기철도의 용어 정의)

410 전기철도의 전기방식 (411 전기방식의 일반사항)


420 전기철도의 변전방식 (421 변전방식의 일반사항)
430 전기철도의 전차선로 (431 전차선로의 일반사항 ~ 435 전기철도의 원격감시제어설비)
440 전기철도의 전기철도
(441 전기철도차량 설비의 일반사항)
차량 설비
450 전기철도의 설비를
(451 설비보호의 일반사항)
위한 보호
460 전기철도의 안전을
(461 전기안전의 일반사항)
위한 보호
22 기술기준 개요

“제5장 분산형전원설비” 구성

500 통칙 (501 일반사항 ~ 503 분산형전원 계통 연계설비의 시설)

510 전기저장장치 (511 일반사항 ~ 515 특정 기술을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시설)

520 태양광발전설비 (521 일반사항 ~ 522 태양광설비의 시설)

530 풍력발전설비 (531 일반사항 ~ 532 풍력설비의 시설)

540 연료전지설비 (541 일반사항 ~ 542 연료전지설비의 시설)

“제6장 발전용 화력설비” 구성

600 통칙 (601 통칙)

605 보일러 및 부속설비 (605 보일러 및 부속설비)

610 압력용기 및 부속설비 (610 압력용기 및 부속설비)

615 배관 및 부속설비 (615 배관 및 부속설비)

620 증기터빈 및 부속설비 (620 증기터빈 및 부속설비)

625 가스터빈 및 부속설비 (625 가스터빈 및 부속설비)

630 내연기관 및 부속설비 (630 내연기관 및 부속설비)

635 액화가스 연료연소설비 (635 액화가스 연료연소설비)


640 탈황·탈질설비 (640 탈황·탈질설비)

645 가스화로설비 및 부속설비 (645 가스화로설비 및 부속설비)

“제7장 발전용 수력설비” 구성

700 통칙 (701 통칙)

705 댐 (705 댐)

710 수로 (710 수로)

715 수차 및 기타설비 (715 수차 및 기타설비)


Ⅱ. KEC 주요내용 23

Ⅱ. KEC 주요내용

1. KEC(한국전기설비규정)의 구성 개요

2. KEC 제1장 (공통사항)

3. KEC 제2장 (200 통칙)

4. KEC 제2장 (211 감전에 대한 보호)

5. KEC 제2장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6. KEC 제2장 (213 과전압에 대한 보호)

7. KEC 제2장 (214 열 영향에 대한 보호)

8.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배선설비)

9.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조명설비)

10.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허용전류)

※ 본 자료는 한국전기기술인협회의 전문월간지인 “전기기술인”에 2020년 01월호부터 11월호까지 게재


된 “KEC 주요 해설”중에서 발췌한 것으로서 1~9항의 원본 저자는 대한전기협회 이주철 기술기준
처장이며 10항의 원본 저자는 LH공사 임직원으로서 대한전기협회 저압배선설비 분야에서 활동 중인
송준석 전문가입니다. 원본내용은 해당 책자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Ⅱ. KEC 주요내용 25

제 목 1. KEC(한국전기설비규정)의 구성 개요

□ 한국전기설비규정이란?

한국전기설비규정(KEC : Korea Electro-technical Code, 이하 KEC)이란 국제표준


(IEC, ISO)을 기초로 국내환경에 적용 가능하도록 개발한 사용자 중심의 전기규정이
다. KEC는 2021년 1월 1일부터 기존의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을 대체하여 현
장에 적용하게 된다.

□ KEC 전체 구성 체계

KEC는 전기설비 분야와 발전설비 분야를 통합하여 총 7개의 장으로 하고 향후 확장


성을 고려한 번호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KEC의 전체 구성 체계는 그림 1과 같다.

[그림 1] KEC 전체 구성
26 1. KEC(한국전기설비규정)의 구성 개요

□ KEC의 전기설비 분야 구성 개요

KEC의 전기설비 분야는 제1장부터 제5장까지에 해당하며, 그 세부 구성내용은 그림


2와 같다.

풍력설비의 시설

[그림 2] KEC의 전기설비 분야 세부 구성


Ⅱ. KEC 주요내용 27

제1장 공통사항은 KEC 전체에 관한 기본적인 안전원칙과 공통 요구조건을 다루고


있다. KEC의 목적, 적용 범위, 용어 정의는 물론이고, 감전, 과전류, 열 영향, 전자기
장애 등에 대한 보호, 전선의 식별, 사용 전선의 종류 및 전선의 접속방법 그리고 전
로의 절연원칙 및 절연내력, 접지시스템 요구사항 및 등전위본딩과 전기설비를 보호
하기 위한 피뢰시스템에 관한 공통사항을 정하고 있다. 기존의 판단기준의 용어와
다르게 IEC표준에 기초한 용어는 다소 생소하게 느낄 수도 있으므로, KEC를 올바르
게 적용하려면 용어의 정의를 정확하게 숙지할 필요가 있다.

제2장은 저압전기설비의 시설에 관한 규정이다. KEC에서 저압의 범위는 국제표준과


동일하게 교류 1,000V 이하, 직류 1,500 V이하이다. TN, TT 등의 계통접지방식과 감
전, 과전류, 과전압 등 안전을 위한 보호에 관해 그리고 저압 전선로(가공, 지중 등)
의 시설과 배선 및 조명설비 등에 관한 규정을 두고 있다. 저압 옥내외 전기설비에
관한 누전차단기 및 과전류 차단기의 시설, 배선설비에 관한 공사방법, 도체의 최소
단면적, 방전등 공사 및 특수설비에 관한 사항은 이 장을 참조하면 된다. 또한 저압
직류 전기설비에 관한 규정도 이 장에서 정하고 있다.

제3장에서는 고압 및 특고압 전기설비의 시설기준을 정하고 있다. 기본원칙과 안전


을 위한 보호, 접지 및 전선로(가공, 지중)의 시설과 발전소, 변전소 등의 시설요건을
정하고 있다. 절연유 구외유출방지, 혼촉위험 방지시설, 중성점 접지, 특고압 가공전
선과 건조물과의 이격거리, 22.9 kV 중성선 다중접지식 전선로의 시설 등에 관한 규
정을 이 장에서 정하고 있다.

제4장은 전기철도에 관한 시설규정이다. 전기철도의 전기방식, 변전방식, 전차선로,


전기철도차량설비 및 전기철도의 전기안전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제5장에서는 분산형 전원설비에 관한 규정으로서 계통연계, 전기저장장치(EES), 태양


광/풍력 발전설비 및 연료전지의 시설 규정이다. 분산형 전원에 관한 용어 정의를
추가로 두고 있으며, 각 분산전원별로 시설 기준을 두고 있다.
Ⅱ. KEC 주요내용 29

제 목 2. KEC 제1장 (공통사항)

□ 제1장의 구성

한국전기설비규정(이하 KEC) 제1장 공통사항은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KEC의 목


적과 적용범위, 용어정의, 전선 및 절연, 접지 및 피뢰시스템 그리고 발전설비의 용
접과 비파괴검사 등 KEC 전체에 대해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사항을 규정하고 있다.

[표 1] KEC 제1장 공통사항의 구성 내용

□ KEC (100 총칙)

KEC (100 총칙)은 KEC 전체의 목적과 적용범위를 규정하고 있다. 전기사업법 제67
조(기술기준)에서 전기설비의 안전관리를 위해 필요한 기술기준을 정하여 고시하도
록 정하고 있으며,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기술기준의 제정)에서 기술기준의 구체적
제정방향을 제시 하고 있는데, 그 내용을 보면 ①사람이나 다른 물체에 위해 또는
손상을 주지 않도록 하고, ②내구력의 부족 또는 기기 오동작에 의하여 전기 공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도록 함은 물론, ③다른 전기설비 그 밖의 물건의 기능에 전
기적 또는 자기적인 장해를 주지 아니하도록 하며, ④특히 에너지의 효율적인 이용
및 신기술·신공법의 개발·활용 등에 지장을 주지 않게 정하도록 하고 있다.
30 2. KEC 제1장 (공통사항)

그러므로 KEC (100 총칙)은 전기설비 즉, 발전, 송전, 변전, 배전 또는 전기사용을


위하여 시설하는 기계·기구, 댐, 수로, 저수지, 전선로, 보안통신선로 및 그 밖의 설비
의 안전에 필요한 성능과 기술적 요건의 구체적인 기술적 사항을 규정하는 것으로,
그 적용범위는 저압, 고압 및 특고압 전기설비, 전기철도설비, 분산형 전원설비, 발전
용 화력설비 및 발전용 수력설비 등 기술기준 고시에서 정하는 모든 전기설비가 대
상이 됨을 규정하고 있다.

□ KEC (110 일반사항)

○ KEC (111 적용범위)

KEC (111 적용범위)에서는 전압의 범위를 구분하고 있다. 국내 전기설비가 국제표준


에 적합하게 제작, 설치됨에 따라 저압 전로의 절연성능 평가 등 관련 규정을 국제
기준(IEC)으로 개정할 필요성이 대두되어 전기사업법 시행규칙에서 국제 표준에 따
라 표 2와 같이 저압 및 고압의 전압범위를 변경하였다. 이에 따라 기존에 고압 전
기설비 기준으로 적용 받던 교류 600V초과 1000V이하 전기설비는 저압 전기설비의
시설규정을 적용받게 되며, 그 시행은 산업계 홍보와 이 법을 인용한 법령의 개정
등의 준비기간을 고려하여 2021.1.1.부터 적용하도록 하였다.

[표 2] 저압 및 고압의 전압범위 변경

○ KEC (112 용어정의)

KEC (112 용어 정의)에서는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에서 사용하는 용어 외에 국제 표


준에 기초한 접지설비와 전기설비를 뇌전류로부터 보호(방호)하기 위한 피뢰설비에
관한 용어와 정의가 추가 되었다. 기존의 판단기준의 용어와 다르게 IEC 표준에 기
Ⅱ. KEC 주요내용 31

초한 용어는 다소 생소하게 느낄 수도 있으므로, KEC를 올바르게 적용하려면 용어


의 정의를 정확하게 숙지할 필요가 있다.

충전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기본보호, 고장이 발생한 기기의 노출도전


부에 접촉하여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고장보호, 외부 및 내부
피뢰시스템과 피뢰레벨, 감전에 대한 보호를 목적으로 시설하는 보호접지와 보호도
체 그리고 보호등전위본딩과 보호본딩도체 등에 관한 용어와 정의가 추가 되었다.

[그림 1] 접지설비 및 보호도체의 예

“보호도체”란 안전을 목적으로 설치된 도체를 말한다. 보호도체라는 용어는 일반적


이며, 접지도체, 보호등전위본딩도체, 보조 보호등전위본딩도체, 회로 보호도체를 포
함한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접지도체”란 계통, 설비 또는 기기의 1점과
32 2. KEC 제1장 (공통사항)

접지극 간의 도전성 경로 또는 도전성 경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체를 말한다. “계


통외도전부”는 근본적으로 전기가 흐르는 것을 의도하지는 않으나, 고장이 발생했을
때 위험전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건축구조물의 금속제 부분, 가스, 수도, 난방
등의 금속배관, 절연되지 않은 바닥이나 벽 등을 말한다.

또한, 우리나라 배전계통을 고려하여 전력계통의 중성선을 대지에 다중으로 접속하


고, 변압기의 중성점을 그 중성선에 연결하는 계통접지방식인“중성선 다중접지방식”
이라는 용어정의를 신설하기로 하였다.

일반적인 건축물에서 접지설비 및 보호도체의 예를 나타내면 그림 1과 같다.

○ KEC (113 안전을 위한 보호)

KEC (113 안전을 위한 보호)는 전기안전에 관한 기본원칙을 제시한 것이다. 전기설


비를 적절하게 사용할 때 전기시설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험과 장해로부터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감전, 열의 영향, 과전류, 고장전류, 과전압 및 전자
기 장애 그리고 전원공급 중단에 대한 보호원칙을 그림 2와 같이 정하고 있다.

[그림 2] 안전을 위한 보호
Ⅱ. KEC 주요내용 33

□ KEC (120 전선)

KEC (120 전선)에서 크게 달라지는 부분은 국제표준에 따른 전선의 식별규정을 도


입한 것이다. 전선의 색별 표시 목적은 공사, 유지보수의 안전 및 편의 도모, 전압측
전선 상호 및 중성선의 구별 등 오접속에 의한 사고 방지 그리고 3상 계통에서 단상
부하 공급시 상별 부하전류의 평형유지를 위한 접속 편의 등을 위해서이다. KEC 규
정에 따른 전선의 식별은 표 3과 같다. 전선의 종류 및 접속 등은 판단기준과 유사
하다.

[표 3] 전선의 식별

교류(AC) 도체 직류(DC) 도체
상(문자) 색상 극 색상
L1 갈색 L+ 적색
L2 흑색 L- 백색
L3 회색 중점선
청색
N 청색 N
보호도체 녹색-노란색 보호도체 녹색-노란색
[참고] KS C IEC 60445

□ KEC (130 전로의 절연)

KEC (130 전로의 절연)에서는 저압, 고압 및 특별고압 전로의 절연원칙을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은 판단기준과 동일하나 저압전로의 절연성능에 관해서는 국제표준의
규정을 도입하여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제52조를 표 4와 같이 개정하였다. 절연성
능은 전로의 건전성을 평가하는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로서, 저압전로에 관해서는
절연저항 값으로 규정하고 있다. 전로의 절연성능이 저하되면 감전, 누전으로 인한
화재 및 전력 손실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위험으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전로와 전기설비의 절연 저항을 측정하여 절연 상태를 양호하
게 유지할 필요가 있으므로, 저압전로의 절연성능을 규정하고 있다.

저압 전로의 전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선간을 쉽게 분리하기 어려운 기계기구가 있


는 분기회로의 경우에는 기기 접속 전에 측정할 수 있도록 문구가 수정되었다. 또한,
34 2. KEC 제1장 (공통사항)

절연저항을 측정할 때 시험전압을 가하면 영향이나 손상을 받을 수 있는 SPD나 기


기 등을 측정 전에 분리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시험전압을 250 V로 낮추어 측정할 수
있지만 절연저항 값은 1 MΩ이상이 되도록 하는 기준이 신설되었다.

[표 4] 저압 전로의 절연저항 값

현 행 개 정 (2021. 1. 1부터 시행)


제52조(저압전로의 절연성능) 전기사용 장 제52조(저압전로의 절연성능) 전기사용 장소의 사용전압
소의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의 전선 상호 이 저압인 전로의 전선 상호간 및 전로와 대지 사이의
간 및 전로와 대지 사이의 절연저항은 개 절연저항은 개폐기 또는 과전류차단기로 구분할 수 있는
폐기 또는 과전류차단기로 구분할 수 있는 전로마다 다음 표에서 정한 값 이상이어야 한다. 다만
전로마다 다음 표에서 정한 값 이상이어야 전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기계기구를 쉽게 분리가 곤란
한다. 다만, 전동기 등 기계기구를 쉽게 분 한 분기회로의 경우 기기 접속 전에 측정할 수 있다.
리하기 곤란한 분기회로의 경우 전로의 전 또한, 측정 시 영향을 주거나 손상을 받을 수 있는 SPD
선 상호 간의 절연저항에 대해서는 기기 또는 기타 기기 등은 측정 전에 분리시켜야 하고, 부득
접속 전에 측정한다. 이하게 분리가 어려운 경우에는 시험전압을 250V DC로
낮추어 측정할 수 있지만 절연저항 값은 1MΩ 이상이
어야 한다.
전로의 사용전압 구분 절연저항
대지전압(접지식 전로는 전선과 대 전로의 사용전압[V] DC시험전압[V] 절연저항[MΩ]
지 사이의 전압, 비접지식 전로는
0.1 MΩ SELV 및 PELV 250 0.5
전선 간의 전압을 말한다. 이하 같
400 V 다)이 150 V 이하인 경우 FELV, 500V 이하 500 1.0
미만 대지전압이 150 V 초과 300 V 이 500V 초과 1,000 1.0
0.2 MΩ
하인 경우 [주] 특별저압(extra low voltage : 2차 전압이 AC 50V, DC
사용전압이 300 V 초과 400 V 미
0.3 MΩ 120V 이하)으로 SELV(비접지회로 구성) 및 PELV(접지회로 구
만인 경우
성)은 1차와 2차가 전기적으로 절연된 회로, FELV는 1차와 2차가
400 V 이상 0.4 MΩ
전기적으로 절연되지 않은 회로

참고로 SELV(안전 특별저압), PELV(보호 특별저압) 및 FELV(기능적 특별저압) 시스


템은 교류 50 V, 직류 120 V를 초과하지 않는 그림 3과 같은 시스템을 말한다.

KS C IEC 61558-2-6에 KS C IEC 61558-2-6에 권선 사이가 기본 절연


따른 안전절연변압기 따른 안전절연변압기 인 변압기

[그림 3] SELV, PELV 및 FELV 개요


Ⅱ. KEC 주요내용 35

개정된 절연저항 기준은 KEC 적용 시점과 동일하게 유예기간을 두어 2년 후인 2021


년 1월 1일부터 적용하는 것으로 하고, 시행일 이후 신설되는 설비에 적용하는 것으
로 하였다. 절연저항 값은 온도, 습도, 측정 전압 등 측정 조건에 따라 측정값이 변
화하는데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습도가 높은 환경에서 절연물 또는 절연물의
표면에 부착된 이물질 등의 흡습에 의해 그리고 측정 전압이 높을수록 작아지는 경
향이 있다. 절연저항 값은 제일 작은 경우에도 규정 값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과거의
측정기록을 고려하여 가까운 시일 내에 규정 값 이하로 될 우려가 있을 때에는 적절
한 조치를 취할 필요가 있다. 새로운 기준 시행일 이전이라도 개정된 기준을 적용하
여 국제수준으로 관리할 것을 권장한다.

고압 및 특고압의 전로, 회전기, 정류기 변압기 및 기구 등의 전로와 연료전지 및 태


양전지 모듈의 절연내력은 현행 판단기준과 동일하다.

□ KEC (140 접지시스템)

KEC의 접지시스템에서는 ①접지시스템의 구분 및 종류, ②접지극, 접지도체 및 보호


도체에 관한 접지시스템의 시설방법, ③감전보호용 등전위본딩에 대해 규정하고 있
으며, 인축의 감전보호를 위한 접지설비는 국제표준에서 정한 허용접촉전압을 기준
으로 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므로 기존 판단기준의 제1종, 제2종, 제3종 및 특별 제3종
접지공사에 관한 규정이 삭제되었다.

KEC (140 접지시스템)에서는 접지시스템을 계통접지, 보호접지와 피뢰시스템접지 등


으로 구분하고, 접지시스템의 시설종류로는 단독접지, 공통접지 및 통합접지로 명시
하고 있다. “단독접지”는 고압, 특고압계통의 접지극과 저압계통의 접지극을 독립적
으로 설치하는 것을 말하며, “공통접지”는 등전위가 형성되도록 고압, 특고압계통과
저압접지계통을 공통으로 접지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통합접지”는 전기설비 접지
계통, 피뢰설비 및 전기통신설비 등의 접지극을 통합하여 접지시스템을 구성하는 것
을 말하며, 설비 사이의 전위차를 해소하여 등전위를 형성하는 접지방식이다.

접지시스템은 접지극, 접지도체, 보호도체 및 기타 설비로 구성되는데, 접지시스템은


다음 사항을 충족하여야 한다.

① 지락고장전류 및 보호도체 전류(누설전류 등)를 열적, 기계적 및 전자력(電磁力)에


의한 스트레스로 인한 위험 없이 흘릴 것.
36 2. KEC 제1장 (공통사항)

② 접지저항 값은 고장보호에서 정해진 인체감전보호를 위한 값과 전기설비의 기계


적 요구에 따라 정해진 값을 충족할 것.

③ 부식, 건조 또는 동결로 인한 접지저항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을 것 등이


다.

접지극으로는 ①콘크리트매입 기초접지극, ②토양매설 기초접지극, ③토양에 매설된


접지봉 또는 관, 접지선 또는 판, ④요건에 적합한 케이블 금속외장 또는 지중 금속
구조물, ⑤콘크리트(PS콘크리트는 제외)의 용접된 철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접지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접지단자와 접지극을 접속하는 접지도체와 보호도체 및 보


호본딩도체의 최소단면적은 표 5와 같다. 다만, 알루미늄은 접지도체로 사용하지 못
하도록 정하고 있다.

[표 5] 접지도체, 보호도체 및 보호본딩도체의 최소단면적

보호도체 및 보호본딩도체의
접지도체 최소단면적 (㎟) 보호도체 최소단면적 (㎟), 구리
최소단면적 (㎟), 구리
케이블의 일부가 아니거나
설비 상도체 상도체와 재질이
구리 철 상도체와 공통으로 수납되어
단면적 S 같은 보호도체
있지 않은 경우
6 50 기계적 손상에 기계적 손상에
S ≦ 16 S
접지도체에 LPS가 접속된 때 16 < S ≦ 35 16 대한 보호 있음 대한 보호 없음
S > 35 S/2
16 50 2.5 4

보호도체의 최소 단면적은 상기 표 5에 의하거나 계산에 의해 선정할 수 있다. 모든


보호도체는 자동전원차단조건을 충족하여야 하며, 보호장치의 차단시간 동안 예상
고장전류로 인한 기계적 및 열적 응력에 견디는 것이라야 한다. 보호도체는 보호도
체의 모든 접속(나사 접속, 클램프 접속 등)은 영구적인 전기적 연속성과 충분한 기
계적 강도를 가져야 하며, 납땜으로 접속해서는 안 된다. 또한, 중성선 및 보호도체
의 식별은 KEC 121 전선의 식별에 따른다.

등전위본딩은 건축물의 공간에서 금속도체를 서로 접속하여 전위를 같게 하는 것


즉, 등전위화를 위해서 시설하는 것이다. 등전위본딩은 저압 전로설비, 정보통신설비
피뢰시스템 등에 있어서 필수적인 기술로써 KEC에서는 등전위본딩을 그림 4와 같이
분류하고 그에 관한 시설요건을 정하고 있다. 이중에서 감전보호용 등전위본딩은 ①
인입구 부근에서 인입 금속배관 본딩과 건축물ㆍ구조물의 철근, 철골 등을 본딩하는
보호등전위본딩, ②고장시 전원 자동 차단시간이 계통별 최대 차단시간을 초과하는
경우 2.5m이내의 노출도전부 및 계통외 도전부를 본딩하는 보조 보호등전위 본딩,
Ⅱ. KEC 주요내용 37

그리고 ③절연성 바닥으로 된 비접지 장소에서 2.5m이내 전기설비 상호간 및 전기설


비를 지지하는 금속체를 본딩하는 비접지 국부 등전위본딩으로 구분하여 시설요건을
규정하고 있다.

ㅇ건축구조물 외부 인입 각종 금
감전보호용 속제 배관 본딩(인입구 부근에서
보호등전위본딩
등전위본딩 접속)
(KEC 143.2.1)
(KEC 143) ㅇ건축물ㆍ구조물의 철근,
철골 등의 금속보강재 등

고장시 전원 자동차단 시간이 계


보조 보호등전위본딩 통별 최대차단시간을 초과하는 경
(KEC 143.2.2) 우 2.5m이내 기기 노출도전부 및
계통외 도전부 본딩

절연성 바닥으로 된 비접지 장소


비접지 국부 등전위본딩
등전위 본딩 의 2.5m이내 전기설비 상호간,
(KEC 143.2.3)
전기설비와 지지 금속체 본딩 등

피뢰시스템
등전위본딩 금속설비 등전위본딩 구조물에 접속된
( K E C (KEC 153.2.2) 외부도전부의 본딩
153.2)

인입설비 등전위본딩 건축물ㆍ구조물의 외부에서


(KEC 153.2.3) 내부로 인입되는 설비 본딩

내부피뢰시스템 구조물 내부의


(KEC 153.1.3) 전기전자시스템

[그림 4] KEC에서의 등전위본딩 분류 및 그 대상설비

□ KEC (150 피뢰시스템)

KEC (150 피뢰시스템)의 규정은 뇌방전으로 인한 과전압으로부터 전기설비의 손상,


감전 또는 화재 등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최근 정보통신기술(ICT)과
융합된 전기설비들이 널리 사용되고 있고, 이러한 첨단 정보화 설비에 사용되는 기
기들의 신뢰성과 안전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므로, 뇌서지를 비롯한 과도과전압
에 취약한 이들 기기가 설치된 전기설비를 보호하기 위하여 정한 시설요건이다.
38 2. KEC 제1장 (공통사항)

낙뢰로 인한 피해는 구조물에 뇌격(S1), 구조물 근방에 뇌격(S2), 구조물에 접속된 시


설물에 뇌격(S3), 구조물에 접속된 시설물 근방에 뇌격(S4)의 4가지의 전자기적 결합
메커니즘에 의해 발생한다. 뇌서지는 피뢰침, 접지, 전원선, 통신선 등의 경로로 침입
하는데 그 침입경로에 대해 적절한 피뢰시스템(LPS)을 시설하여 뇌서지로 인한 피해
를 최대한 방지할 필요가 있다. 그림 5는 뇌격으로 인한 구조물 손상의 여러 원인과
시스템 내의 뇌전류 분류의 기본 예를 나타낸 것이다.

손상의 원인 ;

구조물에 뇌격

구조물 근방에 뇌격
구조물에 접속된 시설물
에 뇌격

구조물에 접속된 시설물


근방에 뇌격
It

장비

시설물
(수도관 등

Id Ip
정보통신선 Ie 저압 배전망의 전원선

[그림 5] 구조물 손상의 원인과 시스템 내 뇌전류 분류의 기본 예

뇌서지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한 대책의 수립은 피뢰 대상물과 피뢰의 목적, 보호


범위를 명확히 하고, 적절한 피뢰등급을 선정한 후에 최적의 외부피뢰시스템, 내부
피뢰시스템, 그리고 전체적으로 협조된 피뢰시스템을 시설하는 것이다. 피뢰등급은
낙뢰빈도 등의 지역특성이나 시설의 중요도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영향을 미치
는 각종 요소 및 조건을 고려해서 KS C IEC 62305-2(피뢰시스템-제2부 리스크관리)
에 따라 보호수준을 선정한다. 내부피뢰시스템은 등전위본딩과 안전이격거리의 확보
로 구성하고, 그 대책은 피뢰등급에 따라 이를 감안한 시설을 채택한다.

외부피뢰시스템은 수뢰부시스템, 인하도선시스템 및 접지극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수


뢰부시스템은 돌침, 수평도체, 메시도체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하고, 보호각법, 회전
구체법 및 메시법 중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배치한다. 인하도선시스템은 뇌격
점에서 대지까지의 뇌전류를 안전하게 방류하는 최적경로를 선정하며, 복수의 인하
Ⅱ. KEC 주요내용 39

도선을 병렬로 구성한다. 수뢰부시스템과 접지극시스템 사이에는 전기적 연속성이


형성되게 시설하여야 하며, 자연적 구성부재를 사용할 때에는 금속부재의 최상단부
와 지표레벨 사이의 직류 전기저항은 0.2Ω 이하로 한다. 건축물 등의 구조체를 수뢰
부나 인하도선의 구성부재로 이용할 때는 해당 건축물 등의 설계자 또는 관리자 등
과 충분히 협의한 후 이용한다. 그림 6은 등전위본딩을 위한 구조물 보강봉의 이용
예를 나타낸다.

[범 례]
1 수뢰도체
2 지붕 난간의 금속 덮개
3 강철 보강봉
4 보강용 철근에 중첩시킨 메시도체
5 메시도체의 접속
6 내부 본딩 바에 대한 접속
7 용접과 죔쇠에 의한 접속
8 단독 접속
9 콘크리트 내의 강철 보강재
(메시도체에 중첩)
10 환상 접지극
11 기초 접지극
a 메시도체를 중첩시키는 5 m의
전형적인 거리
b 메시도체를 보강재에 접속하는
1 m의 전형적인 거리

[그림 6] 등전위본딩을 위한 구조물 보강봉의 이용 예

접지극시스템은 위험한 과전압을 발생시키지 않고 뇌전류를 대지로 안전하게 방류시


키는 것을 목적으로 접지극의 저항 값, 접지시스템의 형상·치수 등을 최적화한다. 접
지극은 하나 또는 복수의 접지극을 적절히 시설하고, 접지극을 시공할 때는 땅 속에
서 상호 전기적 결합의 영향이 최소가 되도록 시설한다. 건축물 등의 철근콘크리트
기초 내부의 상호 접속된 철근 또는 금속제 지하구조물을 접지극으로 사용할 경우는
대지와의 전기 저항 값이 충분히 작은 값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고, 해당
건축물 등의 설계자 또는 관리자 등과 충분히 협의한 후 이용한다. 접지극의 형태로
는 A형 접지극(판상접지극, 수직접지극, 수평접지극)과 B형 접지극(환상접지극, 기초
접지극, 메시접지극)이 있으므로 보호수준 및 입지조건에 따라 적절한 접지형태와 접
지재료를 사용하고, 접지 저항값은 최대한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40 2. KEC 제1장 (공통사항)

외부피뢰시스템의 설치 및 접속부에 이용하는 재료 및 치수는 뇌전류에 의한 전기


적, 전자기적, 기계적으로 영향을 받지 않는 것으로 KS C IEC 62305-3과 KS C IEC
62561에서 정한 성능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 설치하는 동시에 도체의 접속은 필요
최소한으로 한다.

건축물 내의 전기전자설비를 뇌서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대책은 접지와 본딩, 자기


차폐와 서지유입경로 차폐, 서지보호장치 설치 및 절연인터페이스 구성 중 하나 이
상의 보호대책에 의한다. 또한, 보호대상 공간은 다양한 위험 값의 영역을 전자시스
템의 강도와 호환되도록 만들고 구역 경계에서 등전위본딩을 위한 구역을 설정하는
피뢰구역(LPZ)으로 구분하여 그에 따른 보호대책을 선택한다. 서로 다른 피뢰구역
(LPZ)으로 구분하기 위한 원리는 그림 7과 같다.

[그림 7] 서로 다른 LPZ로 구분하기 위한 원리

내부피뢰시스템의 등전위본딩은 피뢰시스템, 금속구조체, 금속제 구조물, 계통외도전


부 및 피보호물 내의 전력 및 통신·신호용 설비를 본딩용 도체 또는 SPD를 통해 접
속함으로써 등전위화를 도모한다.

계통외도전부의 등전위본딩은 건축물의 인입구에서 접속한다. 전력 및 통신·신호설비


에 대한 등전위본딩도 건축물의 인입구에서 접속함과 동시에 건축물내의 설비기기에
서는 설비기기간의 전위를 균등화하고 각 부분간의 전위차를 저감하는 것을 목적으
로 등전위본딩을 한다. 본딩용 도체는 뇌전류의 전부 또는 대부분을 흘려보낼 경우,
혹은 그 일부분을 흘려보낼 경우 등 목적, 용도, 전류 값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본
Ⅱ. KEC 주요내용 41

딩용 도체를 선정하여 시설한다.

내부 피뢰구역(LPZ) 경계에 있는 모든 금속부품 및 공급라인(금속배관, 전력선 또는


통신선)에 관한 등전위본딩은 선로 등으로 침투하는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가장 주
요한 조치이다. 그림 8에 사무실 건물의 피뢰구역, 차폐, 등전위본딩 및 접지의 예를
나타낸다.

[그림 8] 사무실 건물의 피뢰구역(LPZ), 차폐, 등전위본딩 및 접지의 예

수뢰부 또는 인하도선과 건축물·구조물의 금속부 사이의 전기적인 절연은 KS C IEC


62305-3의 부속서 A에 따른 안전이격거리를 두어야 하며,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없
을 때에는 개별 수뢰부 및 인하도선의 이동, 설비의 이동, 별도의 수뢰부 설치, 고전
압 절연리드 사용, 비도전성 부재의 사용 등의 대책을 사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 다
만, 건축물·구조물이 금속제 또는 전기적 연속성을 가진 철근콘크리트 구조 등의 경
우에는 전기적 절연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
Ⅱ. KEC 주요내용 43

제 목 3. KEC 제2장 (200 통칙)

□ 제2장의 구성

한국전기설비규정(이하 KEC)의 제2장 저압전기설비는 표 1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200 통칙)은 적용범위, 배전방식 및 계통접지의 방식, (210 안전을 위한 보호)는 감
전, 과전류, 과도과전압 및 열 영향에 대한 보호 및 (220 전선로)는 가공, 지중, 옥내
및 옥외 전선로 등에 관한 시설기준이다. (230 배선 및 조명설비 등)은 전기기기, 배
선설비 및 비상용 예비전원설비와 조명설비, (240 특수설비)는 특수시설과 옥내에 시
설하는 저압 직류설비에 관한 시설기준이다. 이번 호에서는 제2장의 첫 번째로써 적
용범위와 계통접지의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표 1] KEC 제2장 저압전기설비의 구성 내용

□ 200 통칙

○ 201 적용범위

제2장의 적용범위는 저압의 전기를 공급하거나 사용하는 전기설비에 적용한다. 저압


의 범위는 교류 1,000 V 이하, 직류 1,500 V 이하이며, 2021년 1월 1일부터 적용된다.
44 3. KEC 제2장 (200 통칙)

○ 203 계통접지의 방식

계통접지와 기기설치의 조합에 의한 저압 배선의 계통접지 방식은 TN계통, TT계통,


IT계통으로 분류한다.

1) TN 계통

TN 계통은 전원의 한 점을 직접 접지(계통접지)하고, 설비의 노출도전부(기기외함


등)를 보호도체(PE)를 통해 그 점에 접속시키는 방식으로, 중선선과 보호도체의 관계
에 따라 다음 3가지 방식으로 분류된다.

① TN-S 계통 : 계통 전체에서 중성선(N)과 보호도체(PE)를 분리(그림 1a)

② TN-C 계통 : 계통 전체에서 한 가닥의 전선이 중성선(N)과 보호도체(PE)를 겸용


(그림 1b)

③ TN-C-S 계통 : 계통의 일부에서 한 가닥의 전선이 중성선(N)과 보호도체(PE)를


겸용 (그림 1c)

TN 계통에서의 지락고장은 과전류차단기로 보호한다. 고장이 발생했을 때는 고장점


임피던스를 고려하지 않고, 지정 시간 내에 전원의 과전류차단기가 동작하도록 차단
기의 특성 및 도체의 굵기를 선정할 필요가 있다.

2) TT 계통

TT 계통은 전원의 한 점을 직접접지하고, 설비의 노출도전부는 전원의 접지극과 전


기적으로 독립적인 접지극에 접속시키는 방식으로 그림 1d와 같다. 지락고장은 누전
차단기로 보호한다.

3) IT 계통

전원측은 충전부 전체를 대지로부터 절연시키거나 임피던스를 통해 접지하고 설비


의 노출도전부는 기기 접지한다. l점 지락고장의 경우는 기기외함측의 접지저항 값을
작게 함으로써 보호될 수 있지만 2점 지락고장이 발생할 때의 대책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Ⅱ. KEC 주요내용 45

기호 설명

중성선(N)

보호도체(PE)

중성선과
보호도체 겸용(PEN)

[그림 1] 계통접지의 여러 가지 방식
46 3. KEC 제2장 (200 통칙)

4) TN계통과 TT계통의 안전특성

계통접지방식은 각각의 특성과 장단점이 있으므로, 전원 계통의 접지방식과 시설하


려는 전기설비의 특성을 고려하여 적절한 계통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주로 사
용되고 있는 TN-S계통과 TT계통에 대해 누전시 고장전류, 뇌서지 및 감전보호에 대
한 안전특성을 비교해 보면 다음과 같다.

① 누전시 단락전류의 크기
TN 계통은 그림 2a와 같이 누전고장시 단락상태가 되어 매우 큰 고장전류가 흘러 위험한
반면, TT 계통은 그림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누전시 고장전류는 R3 → R2 를 통해 흐르므
로 접지저항 값에 의해 제한된다.

[그림 2] TN-S계통 및 TT계통의 지락고장루프

② 뇌서지의 영향 비교

TN 계통은 그림 3a와 같이 전원계통에 서지전압이 침입하거나 또는 계통의 접지전


압이 부근의 낙뢰에 의해 상승했을 경우라도 노출도전부 전위와 전원전위가 같게 되
어 설비기기 등의 손상이 없다. TT 계통은 그림 3b와 같이 전원계통에 서지전압이
침입하거나 또는 계통의 접지전압이 부근의 낙뢰에 의해 상승하면 설비기기접지와
전원계통접지가 독립되어 있기 때문에 노출도전부와 전원의 전위차로 인해 설비기기
등에 손상을 줄 수 있다.
Ⅱ. KEC 주요내용 47

[그림 3] TN-S계통 및 TT계통의 뇌서지 전위

③ 감전에 대한 보호

TN방식은 그림 4a와 같이 설비기기가 누전되었다 해도 대지전위와 외함 전위가 같


으므로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반면, TT방식의 경우는 그림 4b와 같이 설비
기기가 누전되는 경우, 대지전위는 0이지만 R3의 값에 따라서는 외함의 전위가 커져
인체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위험할 수 있다. 따라서 누전된 기기의 전위상승을 안전
한 수준으로 억제하기 위한 R3 값이 필요하며, 누전차단기를 설치함으로써 그 안전
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림 4] TN-S계통 및 TT계통의 감전보호특성


Ⅱ. KEC 주요내용 49

제 목 4. KEC 제2장 (211 감전에 대한 보호)

□ 210장의 구성

한국전기설비규정(이하 KEC) 제2장 저압전기설비의 (210 안전을 위한 보호)는 211


감전에 대한 보호,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213 과도과전압에 대한 보호 및 214 열
영향에 대한 보호로 구성되어 있다.

□ 감전에 대한 보호

감전이란 사람이나 가축의 몸을 통과하는 전류로 인한 생리적 영향으로 정의 되며,


이 생리적 영향은 전류 감지, 근육반응, 심실세동, 화상 등을 말한다. 전기설비에서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대책으로는 표 1과 같이 기본보호와 고장보호의 조합 또
는 특별저전압에 의한 보호가 있으며, 이들의 보호방법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하거
나, 추가적인 보호대책을 사용한다.

1) 기본보호

기본보호는 전기설비가 정상적으로 운전하는 상태에서 그 전기설비에 사람이나 가축


이 직접 접촉할 때에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다. 보호방법으로는 충전부를 절
연물질로 절연하는 것과 충전부에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2) 고장보호

고장보호는 전기설비에 누전고장 등이 발생한 그 전기설비에 사람이나 가축이 접촉


할 경우에 감전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다. 고장보호의 기본은 허용접촉전압(통상적
인 상태에서 교류 50V)을 초과하는 접촉전압으로 생리적으로 유해한 영향을 미치는
시간이 지속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허용접촉전압의 한계 값은 특별한 환경조건에
서는 이 보다 낮은 값이 요구될 수 있다. 전원의 자동차단과 보호등전위 본딩 등의
방법이 사용된다.
50 4. KEC 제2장 (211 감전에 대한 보호)

3) 특별저압에 의한 보호

특별저압에 의한 보호는 전기량을 제한하는 전원을 사용하여 사람이나 가축이 접촉


하여도 인체에 위험을 초래하지 않을 정도의 전압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이다.

[표 1] 감전보호를 위한 방법

□ TN, TT계통의 전원자동차단에 의한 보호

○ TN, TT 계통의 전원자동차단에 의한 보호

전원자동차단에 의한 보호장치는 선도체와 노출도전부 또는 선도체와 보호도체 사이


에서 고장이 발생한 경우 정해진 시간 내에 전원을 자동차단하여야 한다. 표 2는 일
반적으로 사용하는 공칭전압 230V와 400V, 정격전류 32A이하 분기회로에서 TN, TT
계통 보호장치의 최대차단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내용은 TN, TT계통에서의 자동
차단조건, 접촉전압, 고장루프임피던스 및 보호장치의 설치조건에 대한 설명이다.

[표 2] 32A이하 분기회로 보호장치의 최대 차단시간

고장시 최대 차단시간(s)
공칭전압
교류 직류
  (V)
TN TT TN TT
120V <   ≦ 230V 0.4 0.2 5 0.4
230V <   ≦ 400V 0.2 0.07 0.4 0.2
Ⅱ. KEC 주요내용 51

1) TN계통 자동차단조건 및 접촉전압

① TN-S, TN-C 및 TN-C-S계통의 자동차단조건은 다음 식과 같다.

  ×  ≤   여기서   : 고장루프임피던스
 : 정해진 시간 내에 보호장치를 자동차단시키는 전류
  : 공칭전압

② TN-S, TN-C 및 TN-C-S계통의 접촉전압

부하점에서 절연불량인 경우 노출도전부 대지전위는 전원전압의 1/2로 저감된다. 단


락 및 부하기기의 절연불량이 발생했을 때 노출도전부에 약   /2의 전압이 나타나
므로 동시에 접촉이 가능한 다른 노출도전부 또는 계통외도전부에 등전위본딩을 한
다.

2) TN 계통의 고장임피던스(   ), 고장전류(  ) 및 보호장치 설치조건

① TN-S 계통

TN-S 계통의 회로와 고장임피던스(   ), 고장전류(  ) 및 보호장치의 설치조건을 요약


하면 그림 1과 같다.
52 4. KEC 제2장 (211 감전에 대한 보호)

② TN-C 계통

TN-C 계통의 회로와 고장임피던스(   ), 고장전류(  ) 및 보호장치의 설치조건을 요약


하면 그림 2와 같다.

③ TN-C-S 계통

TN-C-S 계통의 회로와 고장임피던스(   ), 고장전류(  ) 및 보호장치의 설치조건을 요


약하면 그림 3과 같다.
Ⅱ. KEC 주요내용 53

○ TT 계통의 전원자동차단에 의한 보호

1) TT계통 자동차단조건 및 접촉전압

① TT계통에서의 자동차단조건은 다음 식과 같다.

 ×  ≤ 

여기서  : 노출도전부에 접속된 보호도체의 저항과 접지극 접지저항의 합계


 : 보호장치를 자동차단시키는 전류
보호장치가 누전차단기인 경우는 정격감도전류

② TT계통의 접촉전압

보호접지저항  와 계통접지저항  가 전원전압을 분담하며, 보호접지저항은 일반적


으로 계통접지저항에 비해 크다. 그러므로 TT계통의 접촉전압은 보호접지에 의한 전
원전압의 저감효과가 적다(  =  인 경우   =    이다).

2) TT 계통의 고장임피던스(   ), 고장전류(  ) 및 보호장치의 설치조건

TT 계통의 회로와 고장임피던스(   ), 고장전류(  ) 및 보호장치의 설치조건을 요약하


면 그림 4와 같다.

KEC 211절의 감전에 대한 보호에 관하여 허용접촉전압, 외부영향의 특정조건과 특


수장소에 적용하는 추가적인 보호 등 설치장소의 환경조건에 따라 시설시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서는 해당 규정과 기술지침 등 참고 문헌을 참조하기 바란다.
Ⅱ. KEC 주요내용 55

제 목 5. KEC 제2장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 과전류에 대한 보호의 원칙

전선(회로도체)의 과부하 및 단락고장이 발생할 때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에 의해 보호하여야 한다. 그림 1은 과전류보호에 관한 시간/전류 특성
을 나타낸다.

[그림 1] 과전류 보호(배선차단기, 퓨즈 및 도체 전류용량의 시간/전류 특성)

□ 회로의 특성에 따른 요구사항

○ 선도체의 보호

1) 모든 선도체에 과전류 검출기를 설치하여야 한다.

2) 과전류를 검출한 전선을 차단하고, 그로 인해 다른 선도체를 차단할 필요는 없다.


56 5. KEC 제2장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3) 중성선의 배선이 없는 TT계통에서, 선간으로부터 공급하는 회로에서는 다음의 조


건을 동시에 충족할 때는 선도체 중 어느 하나에 과전류검출기를 설치하지 않아
도 된다.

① 동일회로 또는 전원 측에서 부하불평형을 감지하고 모든 선도체를 차단하기 위한


보호장치(누전차단기 등)를 갖춘 경우

② ①의 보호장치(누전차단기 등)의 부하 측에 위치한 회로의 인위적인 중성점(예를


들면 접지콘덴서 접속점)으로부터 중성선을 배선하지 않는 경우. 3상 모터 등과
같이 1상의 차단이 위험해지는 경우는 적절한 조치를 해야 한다.

○ 중성선의 보호

TN 또는 TT계통에서

1) 중성선의 단면적이 선도체의 단면적과 동등이상의 크기이고, 그 중성선의 전류가


선도체의 전류보다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될 때는 중성선에 과전류검출기 또는
차단기를 설치할 필요는 없다.

2) 중성선의 단면적이 선도체보다 작은 경우 중성선에는 그 단면적에 따른 과전류


검출기를 설치하고, 이때 과전류 검출에 의해 선도체를 차단해야 하지만 중성선
을 차단할 필요는 없다.

3) 1), 2)의 경우 모두 단락전류로부터 중성선을 보호해야 한다.

○ 중성선 차단 및 재폐로

중성선의 차단 및 재폐로는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중성선을 차단할 때는 중성선


이 선도체보다 늦게 차단되어야 하며, 재폐로 할 때는 선도체와 동시 또는 그 이전
에 재폐로 되도록 하여야 한다.
Ⅱ. KEC 주요내용 57

□ 과전류보호장치의 종류 및 특성

○ 과전류보호장치의 종류

1) 과부하 전류 및 단락 전류를 모두 보호하는 장치는 그 설치 점의 예상 단락전류


이상의 과전류를 차단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것이어야 하며,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① 과부하 분리기능을 내장한 차단기

 ② 퓨즈와 결합한 차단기

2) 과부하만을 보호하는 장치

  과부하 보호장치는 일반적으로 반한시형이며, 그 차단용량은 보호장치 설치 점의


예상 단락전류보다 작아도 무방하다.

○ 과전류보호장치의 특성

1) 과전류보호장치는 KS C 또는 KS C IEC 관련표준(배선차단기, 누전차단기 및 퓨


즈 등)의 동작특성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

2) 과전류차단기로 저압전로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차단용량이 전 범위인 퓨즈(「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안전관리법」에서 규정하는 것을 제외한다)는 표 1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3) 과전류차단기로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산업용 배선차단기(「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서 규정하는 것을 제외한다)는 표 2에, 주택용 배선차단기는 표 3
및 표 4에 적합한 것이어야 한다. 다만, 일반인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세대
내 분전반 및 이와 유사한 장소)에는 주택용 배선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한다.
58 5. KEC 제2장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표 1] 퓨즈(gG)의 용단특성

정격전류의 배수
정격전류의 구분 시 간
불용단전류 용단전류

4 A 이하 60분 1.5배 2.1배


4 A 초과 16 A 미만 60분 1.5배 1.9배
16 A 이상 63 A 이하 60분 1.25배 1.6배
63 A 초과 160 A 이하 120분 1.25배 1.6배
160 A 초과 400 A 이하 180분 1.25배 1.6배
400 A 초과 240분 1.25배 1.6배

[표 2] 과전류트립 동작시간 및 특성(산업용 배선차단기)

정격전류의 배수
정격전류의 구분 시 간 (모든 극에 통전)
부동작 전류 동작 전류

63 A 이하 60분 1.05배 1.3배


63 A 초과 120분 1.05배 1.3배

[표 3] 순시트립에 따른 구분(주택용 배선차단기)

형 순시트립범위

B 3In 초과 ~ 5In 이하

C 5In 초과 ~ 10In 이하

D 10In 초과 ~ 20In 이하

비고 1. B, C, D: 순시트립전류에 따른 차단기 분류
2. In: 차단기 정격전류

[표 4] 과전류트립 동작시간 및 특성(주택용 배선차단기)

정격전류의 배수(모든 극에 통전)


정격전류의 구분 시 간
부동작 전류 동작 전류

63 A 이하 60분 1.13배 1.45배


63 A 초과 120분 1.13배 1.45배
Ⅱ. KEC 주요내용 59

□ 과전류보호장치의 조건

과부하에 대해 전선을 보호하는 장치의 동작특성은 다음 2가지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그림 2는 이 조건을 나타낸 것이다.

 ≤  ≤  (1)
 ≤  ×  (2)

여기서,  : 회로의 설계전류


 : 케이블의 허용전류
 : 보호장치의 정격전류
 : 보호장치가 규약시간 이내에 유효하게 동작하는 것을 보장하는 전류
(실제로  는 보호장치가 규정시간 내에 동작하는 전류)

설계전류  도체의 허용전류  1.45× 

배선의 기준 값

  
보호 장치의 특성

정격전류 또는
전류 설정 값  통상적인 동작전류 

[그림 2] 식 (1)과 (2)의 과부하보호장치 조건

□ 과부하보호

○ 과부하보호장치의 설치위치
60 5. KEC 제2장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과부하보호장치는 전로 중 도체의 단면적, 특성, 시설방법 또는 구성의 변경으로 허


용전류 값이 줄어드는 곳(분기점 등)에 설치하여야한다. 다만, 다음의 경우는 분기점
에서부터 부하 측의 어느 곳에서나 설치할 수 있다. 그림 3은 과부하보호장치의 설
치위치를 나타낸 것이다.

1) 분기점과 보호장치 설치점 사이의 배선에 분기회로 및 콘센트가 접속되어 있지


않고, 또한 다음 조건 중 하나에 적합한 경우.

① KEC 212.5의 단락전류 보호요건에 따라 단락 보호가 이루어질 때.

② 보호장치의 설치위치가 분기점으로부터 3m를 넘지 않고, 단락, 화재 및 인체


에 대한 위험이 최소가 되도록 시설했을 때.

2) 규정에 의해 과부하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을 때.

[그림 3] 과부하보호장치의 설치위치

○ 과부하보호장치의 생략

1) 다음 회로에는 과부하보호장치를 시설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화재나 폭발위험


성이 있는 장소에 설치되는 설비로서 별도로 규정하는 경우에는 생략할 수 없다.
그림 4는 과부하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의 예이다.
Ⅱ. KEC 주요내용 61

① 전선 단면적 등이 변경되는 분기점의 부하 측 배선이 그 전원 측에 설치된 보호


장치에 의해 유효하게 과부하 보호되는 경우.

② 과부하 전류가 흐를 우려가 없는 배선으로 KEC 212.5의 단락보호 요건에 따라서


단락 보호되고, 또한 도중에 분기회로 및 콘센트가 없는 경우.

③ 통신, 제어, 신호 등의 설비일 경우.

2) 안전을 위해 과부하 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

회전기의 여자회로, 기중기 자석의 전원회로 또는 변류기의 2차회로 등 회로의 차단


에 의해 위험을 발생시키는 전기사용기기에 공급하는 회로는 과부하 보호장치를 생
략할 수 있다. 이때 과부하 경보장치의 시설을 검토한다.

3) IT계통에서의 과부하 보호장치의 설치위치 또는 생략

IT계통에서는 과부하보호를 하지 않는 회로를 누전차단기로 보호하거나, 이러한 회


로에 의해 공급되는 배선을 포함한 모든 기기에 대해 이중 또는 강화절연 기기의 사
용 또는 이와 동등한 절연에 의한 보호의 보호방식으로 시설하는 경우에는 과부하
보호장치의 설치위치 변경 또는 생략이 가능하다.

[그림 4] 과부하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의 예


62 5. KEC 제2장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 단락보호

○ 단락보호장치의 설치

회로에는 전선 및 접속부에 위험한 열적, 기계적 영향을 일으키기 전에 보호장치 부


하측의 어떠한 점에서의 단락전류도 차단하는 단락보호장치를 시설하여야한다. 단락
보호장치 설치점에서의 예상 단락전류는 계산 또는 측정에 의해 결정한다.

○ 단락보호장치의 조건

1) 단락보호장치의 정격차단전류는 그 설치 점에서의 예상 단락전류 이상이어야 한


다. 다만, 전원측에 설치된 다른 보호장치가 필요한 정격차단전류 값을 가지고
있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이때 2개의 보호장치를 통과하는 에너지가 부하측의
보호장치 및 보호장치로 보호되는 전선이 손상되지 않고 견딜 수 있는 에너지를
초과하지 않도록 양쪽 보호장치의 특성 협조를 도모하는 것이 중요하다.

2) 단락보호장치는 회로의 어떠한 점에서 발생하는 단락전류라도 그 전선의 단시간


허용온도를 넘지 않는 시간에 차단하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3) 단락전류지속시간이 5초 이하인 경우 통상 사용조건에서 단락전류에 의해 절연체


의 허용온도에 도달하기까지의 시간 는 식 3과 같이 산정한다.


                    (3)


 : 단락전류 지속시간 (초)


 : 도체의 단면적 (㎟)
 : 단락전류 실효값(A)
 : 도체 재료의 저항률, 온도계수, 열용량, 해당 초기온도와
최종온도를 고려한 계수(표 5 참조)

전류의 비대칭분(직류분)이 중요해지는 짧은 시간(0.1초 미만)의 경우 및 한류차단기


의 경우,  는 보호장치 제조업자가 표시하는 통과에너지(  ) 값보다 커야 한다.
Ⅱ. KEC 주요내용 63

[표 5] 도체에 대한 k 값

도체절연 형식
구 분
PVC PVC (열가소성)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무기재료
(열가소성) 90℃ 고무/ (열경
PVC 노출
단면적 가교폴리에틸렌( 화성)
≦300 >300 ≦300 >300 열경화성) 외장 비외장
(㎟) 60℃
초기온도
70 90 90 60 70 105
(℃)
최종온도
160 140 160 140 250 200 160 250
(℃)
도체재료:
구리 115 103 100 86 143 141 115 135/115*

알루미늄 76 68 66 57 94 93 - -

구리의
115 - - - - -
납땜접속
* 이 값은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노출 케이블에 적용되어야 한다.

4) 단락보호장치의 정격전류는 절연전선 및 케이블의 허용전류 이상이어도 가능하


다. 이는 전선의 과부하는 과부하 보호장치로 보호하므로 단락보호만을 실시하는
보호장치의 정격전류는 전선의 허용전류 이상이라도 가능한 것이다. 그러나, 하
나의 보호장치로 과부하 및 단락 모두를 보호할 때는 과부하 및 단락 보호장치
설치 위치에서의 양쪽 요건 모두를 충족시켜야 한다.

○ 단락보호장치의 설치위치

단락보호장치는 전선 단면적 등의 변경에 의해 그 허용전류가 저감되는 곳(분기점


등)에 설치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중 하나에 의한 경우는 예외로 한다.

1) 분기점에서 단락보호장치까지의 사이의 배선이 다음의 조건을 동시에 충족하는


경우.

① 배선의 전체 길이는 3m 이하이다.

② 배선은 단락의 위험이 최소가 되도록 시설되어 있다. 이 조건은, 예를 들면 외적


영향에 대해 배선을 강화 보호하는 것으로 충족시킬 수 있다.
64 5. KEC 제2장 (212 과전류에 대한 보호)

  ③ 배선은 가연성 물질에 근접해 설치되어 있지 않다.

2) 분기점에서 전원 측에 설치한 단락보호장치가 분기점의 부하측 배선을 단락보호


장치의 조건에 따라 단락 보호할 수 있는 동작 특성을 가지는 경우.

3) 다음의 ‘단락보호장치의 생략’조건에 의해 단락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

○ 단락보호장치의 생략

배선의 단락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설치하고, 배선을 가연성 물질 근처


에 설치하지 않는 경우 다음의 회로에는 단락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다.

1) 발전기, 변압기, 정류기, 축전지와 보호장치가 설치된 제어반을 접속하는 회로

2) 회전기의 여자회로, 기중기 자석의 전원회로 또는 변류기의 2차회로 등 회로의


차단에 의해 위험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기사용기기에 공급하는 회로와 같이 전
원차단이 설비의 운전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회로

3) 특정 측정회로
Ⅱ. KEC 주요내용 65

제 목 6. KEC 제2장 (213 과전압에 대한 보호)

□ 과전압에 대한 전기설비의 보호

이 규정은 ①고압·특고압 계통의 지락고장으로 인한 일시적 과전압과 ②뇌방전 또는


개폐로 인해 발생하는 과도 과전압에 대한 전기설비의 보호에 관한 규정이다.

○ 고압계통의 지락고장으로 인한 저압설비의 보호

고압·특고압을 저압으로 변성하는 변전설비의 고압·특고압 측에서 지락 고장이 발생


했을 때, 저압설비에 발생하는 상용주파 고장전압(Uf ) 및 상용주파 스트레스전압(U1,
U2 )으로부터 인체 및 저압 계통에 접속되는 기기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그림 1은
과전압 발생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그림 1] 고압계통 지락 고장시 저압설비의 과전압 발생도

변전소 저압설비

IE 지락고장전류(변전소의 접지설비를 통해 흐르는 고압계통의 지락고장 전류의 일부)


RE 변전소 접지설비의 저항
RA 저압설비 기기에서의 노출도전부의 접지저항
RB 변전소와 저압계통의 중성점이 전기적으로 독립된 저압계통 접지설비의 저항
66 6. KEC 제2장 (213 과전압에 대한 보호)

U0 TN, TT 계통: 공칭 교류 대지전압 실효 값(r.m.s)


IT 계통: 선도체와 중성선 또는 중점도체 사이의 공칭 교류 전압
Uf 고장전압(저압계통에서 고장 시 노출도전부와 대지 사이에 발생하는 상용주파 고장전압)
U1 스트레스 전압(고장시 변전소 저압기기의 노출도전부와 선도체 사이의 상용주파 스트레스 전압)
U2 스트레스 전압(고장시 저압설비의 저압기기 노출도전부와 선도체 사이의 상용주파 스트레스 전압)

표 1은 TT와 TN계통에서 발생하는 상용주파 고장전압(Uf ) 및 상용주파 스트레스전


압(U1, U2 )의 산정에 관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IT계통에 관해서는 KS C IEC
60364-4-44를 참조하기 바란다. 서로 인접하는 고압·특고압 계통과 저압계통은 모든
고압·특고압 접지(RE) 계통과 저압 접지(RB) 계통을 상호접속하거나 분리하는 방법
이 사용된다. 만일 고압·특고압 계통이 점유하는 구역 안에 저압계통이 완전히 국한
되어 있다면 고압·특고압 접지계통과 저압 접지계통은 상호 접속되어야 한다.

[표 1] 저압설비 상용주파 스트레스전압(U₁U₂)과 고장전압(Uf)

계통접지 RE와 RB 접속형태 U₁(변전소) U2 (부하설비) Uf

UO *) RE x IE+UO 0 *)
TT
RE x IE + Uo UO *) 0 *)

UO *) UO *) RE x IE **)

TN
RE x IE + UO UO *) 0 *)

*) 고려 필요 없음.
**) 다중 접지된 PEN 도체들의 고장전압(Uf ) 계산 ; Uf = 0.5RE × IE

○ 상용주파 고장전압(Uf )의 크기와 지속시간

표 1에서 산출된 저압설비에 나타나는 고장전압(Uf )의 크기와 지속시간은 그림 2의


곡선에 의한 값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이 곡선은 확률적 및 통계적 근거를 바탕
으로 저압계통의 중선선이 변압기 변전소의 접지설비에만 접지된 경우의 최악조건에
대하여 낮은 위험수준을 나타낸다.
Ⅱ. KEC 주요내용 67

고장전압 지속시간

지속시간(ms)

[그림 2] 고압계통에서의 지락 시 허용 고장전압

○ 상용주파 스트레스전압(U₁U₂)의 크기와 지속시간

고압·특고압을 저압으로 변성하는 변전설비의 고압·특고압 측에서 지락 고장이 발생했을 때,


표 1에 의해 산출된 저압설비에 발생하는 상용주파 스트레스전압(U1, U2 )은 표 2에 주어진 값
을 초과하지 않아야 한다.

[표 2] 허용 상용주파 스트레스전압(U₁U2)

고압계통의 지락고장 저압기기의 허용 상용주파


적용 접지계통 예
지속시간 ( t ) 스트레스전압 ( U )

> 5 s UO + 250 V 비접지 고압계통 등 차단시간이 긴 계통

≤ 5 s UO + 1 200 V 저임피던스 고압계통 등 짧은 차단시간 계통

○ 상용주파 스트레스전압 보호의 검토 및 확인

1) 고압·특고압 측에서 지락 고장시 발생하는 과전압은 지락전류 값, 지락고장 지속


시간(차단시간), 접지저항 값 및 저압측 상전압 값으로, 표 1의 고ㆍ저압 접지접
속여부에 따라 고장전압과 스트레스 전압을 산정하여, 그림 2와 표 2에서 규정한
값의 허용 범위에 적합한지를 검토하여 확인한다.
68 6. KEC 제2장 (213 과전압에 대한 보호)

2) 공공배전계통으로부터 저압으로 전원을 공급받는 설비들은 과전압 제한 값을 충


족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전기설비 인입구에서 TN계통의 보호도체에 접속
되어 있는 주등전위본딩 구역내에서는 이러한 과전압을 예상할 필요는 없다.

3) 변전설비의 접지저항은 고장전압 및 스트레스전압 기준에 주어진 조건을 충족하


는 값이어야 한다. 다음의 경우는 이 조건을 충족한다.

① TN, TT, IT계통에서 접지저항이 1Ω이하인 경우. 다만, 특고압으로 수전하는 경


우 지락전류가 수백 A 정도로 커서, 접지저항이 1Ω이하라도 접지방식의 충분한
검토가 필요하다.

② 변전설비에 접속된 금속외피를 가진 고압ㆍ특고압, 저압 케이블의 합계 길이가


1 ㎞를 초과하는 케이블(또는 이들의 집합)로서 그 케이블의 금속외피가 적절하
게 접지되어 있는 경우

□ 낙뢰 또는 개폐에 따른 과전압 보호

기상현상으로 인해 발생한 과도 과전압이 전원공급 배전계통으로부터 침입하는 과도


과전압 및 설비 내의 기기에서 발생하는 개폐 과전압에 대하여 전기설비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개폐과전압은 일반적으로 기상현상으로 인한 과도과전압보다
낮으므로 기상현상에 의한 과전압보호요건을 충족하면 보통은 개폐과전압에 대한 보
호도 동시에 이루어진다.

○ 기상현상으로 인한 과도과전압

1) 최근에 내전압에 약한 전자기기 및 정보네트워크의 보급에 많아짐에 따라 기상현


상으로 인한 과전압으로부터 전기전자설비를 보호하기 위한 규정을 도입하게 되
었다. 공급 배전계통으로부터 전파되는 과도과전압으로부터 전기설비를 보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2) 전원의 안정적인 공급은 물론 사람과 재산의 안전을 위해 과전압 스트레스로 인


한 사고의 확률을 허용수준으로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설비의 인입점
Ⅱ. KEC 주요내용 69

에 나타날 수 있는 과전압, 연간 뇌우일수와 서지보호장치의 설치위치 및 특성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3) 표 3은 필요로 하는 기기의 정격임펄스내전압을, 표 4는 과전압 범주에 따른 기


기의 예를 나타낸 것으로 제시된 값보다 큰 임펄스내전압을 가진 기기를 선정하
여야 한다.

[표 3] 기기에 요구되는 정격 임펄스 내전압

요구되는 임펄스 내전압a (kV)


AC 또는 DC
설비의
공칭전압에서 과전압 범주 IV 과전압 범주 III 과전압 범주 II 과전압 범주 I
공칭전압
산출한
(V)
상전압(V) 설비의 전력 배전반 및 전기제품 및 민감한
공급점의 기기 회전기기 전류사용기기 전자장비

120/208 150 4 2.5 1.5 0.8

(220/380)b
230/400 300 6 4 2.5 1.5
277/480

400/690 600 8 6 4 2.5

1 000 1 000 12 8 6 4

직류 1 500 직류 1 500 8 6
a
이 임펄스 내전압은 충전도4체와 보호도체(PE) 사이에 적용된다.
b
우리나라 현재 사용전압으로 향후 IEC 60038에 따른 전압 사용

[표 4] 과전압 범주에 따른 기기의 예


70 6. KEC 제2장 (213 과전압에 대한 보호)

○ 과전압 억제시설

과전압을 억제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다만, 과전압 범주Ⅰ의 임펄스 내전압을 갖
는 기기는 모든 경우에 과도과전압에 대한 보호를 고려한다.

* 본질적 과전압 억제

전기설비에는 다음의 경우를 제외하고 표 3의 과전압 범주의 보호레벨에 따른 SPD


를 시설한다. 이 사항은 다음에 기술하는 3.2.2의 2)에 의한 위험평가를 사용할 경우
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1) 저압 지중 계통으로만 공급받고, 사용기기의 임펄스 내전압이 표 3에 적합한 전


기설비 (또한, 접지된 금속차폐물을 가진 가공 절연케이블은 지중케이블과 동등
한 것으로 본다.)

2) 연간뇌우일수가 25일 이하(AQ1)인 지역의 전기설비

* 보호에 의한 과전압 억제

보호에 의한 과전압 억제를 위해 서지보호장치의 설치를 결정하는 방법은 ①외부영


향의 조건에 기초한 보호에 의한 과전압 억제, ②위험평가에 기초한 보호에 의한 과
전압 억제가 있다.

1) 외부영향의 조건에 기초한 보호에 의한 과전압 억제

전기설비가 가공선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연간뇌우일수가 25일을 초과


(AQ2)할 때는 표 3의 내전압 수준에 적합하게 보호해야 한다.

2) 위험평가에 기초한 보호에 의한 과전압 억제

위험평가에 의한 보호의 중요도 수준에 따라 과전압 보호를 실시한다. 중요도 수


준은 표 5와 같으며, 중요도 수준 a)~c)까지의 설비는 과전압보호를 실시해야 한
다.
Ⅱ. KEC 주요내용 71

[표 5] 보호의 중요도 수준

중요도 수준 설비의 예 과전압 보호

a) 사람의 생명 안전시설, 의료설비 과전압보호(SPD설치)

b) 공공서비스 및 문화유산 공공서비스의 손실, IT센터, 박물관 과전압보호(SPD설치)

c) 상업적 또는 산업활동 호텔, 은행, 산업, 상업시장, 농장 과전압보호(SPD설치)

d) 개인그룹 대형 주거 건물, 교회, 사무실, 학교


위험평가 결과에 따라

e) 개인 주거 건물, 소규모 사무실 SPD설치여부 결정

3) 위험평가방법

중요도 수준 d), e) 및 기타 환경에 대해서는 과도과전압에 대한 보호가 필요한


지를 결정하기 위해 위험수준 산정법(CRL; Calculated risk level)을 활용하여 위
험평가를 수행한다. 평가기준은 표 6과 같다.

[표 6] 위험평가에 따른 보호장치 설치기준

구 분 보호 장치

CRL ≥ 1 000 기상현상에 의한 과도과전압 보호 장치 불필요

CRL < 1 000 기상현상에 의한 과도과전압 보호 장치 필요

CRL을 구하기 위한 위험평가 계산식은 다음과 같다.

CRL = fenv / (LP × Ng)

① 환경요소인 fenv는 표 7에 따라 계산한다. 이때 계수 값 F는 모든 설비에 1을 적


용하나 장소별로 1~3까지 조정할 수 있다.

[표 7] 환경요소(fenv)계산

환경 환경요소

근교 및 농촌 환경 85 × F

도시 환경 850 × F
72 6. KEC 제2장 (213 과전압에 대한 보호)

② Ng는 전력선 및 연결된 구조물의 위치와 관련된 대지 낙뢰밀도(회/㎢, 매년)


KS C IEC 62305-2에서 온대지방의 낙뢰밀도는 Ng ≈ 0.1 TD 로 추정한다.
여기서, TD 는 연간뇌우일수이며, 뇌우일수분포도(isokeraunic map)에서 얻을 수
있다. TD 가 25일인 경우 낙뢰밀도 Ng 는 2.5회/㎢ 이다.

③ 위험평가시 선로 거리 LP는 다음과 같이 계산한다.

LP = 2 LPAL + LPCL + 0,4 LPAH + 0,2 LPCH 여기서 LPAL가공 저압선로 거리(km)
LPCL저압 지중케이블 거리(km)
LPAH가공 고압선로 거리(km)
LPCH고압 지중케이블 거리(km)

1 설비 인입구
2 (특)고압/저압 변압기
3 SPD(과전압 보호장치)

[그림 3] 고려해야 할 거리를 보여주는 설비의 예

중요도 수준 d), e) 및 기타 환경에 대해 위험평가를 수행하여 산출한 CRL 값은 표


6의 기준에 따라 과전압 보호장치의 설치여부를 판단하는데 사용한다. 다만, 단독의
주택에서 보호되어야 할 전기설비의 경제적 가치가 그 장소에 시설될 SPD 가격의 5
배 이하인 때는 과도과전압에 대한 보호를 요구하지 않는다.
Ⅱ. KEC 주요내용 73

□ 맺음말

KEC 213절의 과전압에 대한 보호에서 과전압은 ①고압·특고압 계통의 지락고장으로


인한 일시적 과전압과 ②뇌방전 또는 개폐로 인해 발생하는 과도 과전압으로 구분하
고 각각에 대해 절연협조에 관계되는 기준 값을 정하고 있다. KEC 본문에서는 기상
현상에 의한 과도과전압 억제방법을 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관련 표준에서 비교적 간
단한 위험평가를 통해 과도과전압 보호장치(SPD)의 설치여부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
고 있으므로 보다 상세한 IT계통의 저압설비 상용주파 스트레스전압(U₁U2)과 고장
전압(Uf)에 대해서는 KS C IEC 60364-4-44를, 과도과전압에 대한 보호장치(SPD)의
설치에 관한 사항은 대한전기협회에서 발행한 KECG 9102-2015 저압전기설비의 SPD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을 참조하기 바란다.
Ⅱ. KEC 주요내용 75

제 목 7. KEC 제2장 (214 열 영향에 대한 보호)

□ 열 영향에 대한 보호

○ 일반 요건

“전기설비는 감전, 화재 그 밖에 사람에게 위해(危害)를 주거나 물건에 손상을 줄 우


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한다.”라는 안전원칙에 따라 이 규정과 기기제조업자의 설
명서 요구사항을 고려함으로써 전기설비에서 발생하거나 전파되는 열이나 화재로 인
해 발생하는 손해나 손상에 대해 사람, 가축 및 재산을 보호해야 한다.

○ 적용 범위

이 규정은 사람, 가축 및 재산을 다음과 같은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방법에 관해서


전기설비에 적용한다.

▪전기기기에 의한 열적인 영향, 재료의 연소 또는 열화 및 화상의 위험


▪전기기기로부터 격벽으로 분리된 인근의 다른 방화구획으로 전파되는 화염
▪전기기기의 안전기능 손상(저하)

□ 화재 및 화상방지에 대한 보호

○ 전기기기에 의한 화재방지

전기기기로부터 발생하는 열이 인접한 고정재료 또는 이러한 기기에 근접할 것을 예


측할 수 있는 재료에 대해 위험하거나 유해한 영향을 일으키지 않아야 한다. 또한,
전기기기는 인접한 재료에 화재 위험의 우려가 없도록 하여야 한다.
76 7. KEC 제2장 (214 열 영향에 대한 보호)

전기기기 및 전기설비에서 다음과 같은 영향에 의해 손해, 손상 또는 발화가 발생할


수 있다.

▪축열기, 열방사기, 고온 구성요소(열판)


▪안전기능의 저하. 예를 들면 보호개폐기, 서모스탯, 온도제한기, 케이블 관통부 밀
봉 및 배선설비와 같은 보호 장치
▪과전류
▪절연고장(절연열화) 및/또는 장애를 일으키는 아크
▪고조파 전류
▪뇌격
▪과전압
▪기기의 부적절한 선정이나 설치

○ 전기기기에 인접한 재료의 화재예방

1) 고정기기가 인접한 재료에 화재의 위험을 일으키는 표면온도에 이를 가능성이 있


는 장소에서는 그 기기는 다음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시공하여야 한다.

▪그 온도를 견디는 동시에 낮은 열전도재료 위 또는 안에 기기를 설치한다.


▪그 온도를 견디고 동시에 열전도율이 작은 재료에 의해 건축물 구조의 부재로부터
기기를 차폐한다.
▪그 온도에서 열이 안전하게 발산되도록 유해한 열적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재료로부
터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고 기기를 열전도율이 낮은 지지물을 사용하여 설치한다.

☞ 전기기기에서 발생하는 열은 인접한 재료 또는 기기에 접근할 수 있는 다른 재료


에 화재 또는 유해한 열적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 이 규정은 정상 작동시 화
재의 위험이나 인접한 재료에 유해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표면온도를 갖는 기
기에 대한 시설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①이러한 작동 온도를 견딜 수 있는 것으
로 지지하고 둘러싸거나, ②기기를 차폐하거나 ③안전하게 열을 방출할 수 있는
방식으로 설치하고, 주변 기기 또는 재료로부터 적절한 이격거리를 유지하는 방
식으로 시설해야 한다. 이 3 가지 방법 중 하나 이상의 방법으로 시설해야 하며,
그림 1은 정상 작동 시 표면 온도가 90 ℃를 초과하는 기기의 이격거리에 관한
일반적인 지침을 나타낸다. ③의 경우는 예를 들어 천정 공간에 설치된 조명기구
와 조명기구 제어장치에서 발생하는 열이 적절하게 방출되고 단열재가 냉각을
제한하지 않도록 배치하는 것 등이다.
Ⅱ. KEC 주요내용 77

[그림 1] 정상 작동시 표면온도가 90 ℃를 초과하는 기기의 이격거리

2) 정상 운전 중에 아크 또는 스파크가 분출될 수 있는 전기기기에는 그 기기를 다음 중 어


느 하나의 보호조치를 해야 한다.

▪내아크재료로 기기 전체를 둘러싼다.


▪분출이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재료로부터 기기를 내아크재료로 차폐한다.
▪분출이 유해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재료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아크를
안전하게 소멸시키도록 기기를 설치한다.

☞ 이 보호대책에 이용하는 내아크재료는 불연성으로서 열전도율이 작고 동시에 충


분한 기계적 강도를 가진 두께의 것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두께 20 ㎜의 유리섬
유 실리콘으로 만들어진 시트는 내 아크재료라고 생각해도 좋다.

3) 열의 집중을 일으키는 고정기기는 모든 고정물체나 건축부재가 정상상태에서 위


험한 온도(예를 들어 발화 온도를 초과하는 온도)에 노출되지 않도록 그러한 것
들로부터 충분한 거리를 유지해야 한다. 이것은 기기 제조자로부터의 정보를 고
려해야 한다.
78 7. KEC 제2장 (214 열 영향에 대한 보호)

4) 단일 장소에 있는 전기기기가 상당한 양(일반적으로 25ℓ이상)의 가연성 액체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액체, 불꽃 및 연소 생성물의 전파(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충
분한 예방조치를 해야 한다. 그 예방조치의 예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누출된 액체를 모을 수 있는 저유조를 설치하고 화재 시 소화를 확실히 한다.


▪기기를 적절한 내화성이 있고, 연소 액체가 건축물의 다른 부분(구역)으로 확산되
지 않도록 방지 턱 또는 다른 수단이 마련된 방에 설치하고, 이 방은 외부 공기로
만 환기되도록 한다.

5) 설치 중 전기기기의 주위에 설치하는 외함의 재료는 그 전기기기에서 발생할 수


있는 최고온도에 견디는 것이어야 한다. 이 외함의 구성재료로서 가연성 재료는
부적합하다. 다만, 열전도율이 낮고, 불연성 또는 난연성 재료로 덮는 등 발화에
대한 예방 조치를 한 경우는 제외한다.

○ 아크차단기(권고사항)

전기설비로 인한 화재는 충전도체 사이의 절연결함, 단자접속의 헐거움에 의해 발생


하는 병렬아크(Parallel Arc) 또는 직렬아크(Series Arc)에 의한 아크고장으로 촉발되
는 경우가 종종 있으므로 국제표준에서는 다음의 장소 또는 건물의 분기회로에서 아
크고장의 영향에 대한 특별한 보호대책을 취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숙박시설의 구내
▪가공처리 또는 저장된 물질의 특성으로 인해 화재의 위험이 있는 장소(예를 들어
헛간, 목공소, 가연성물질을 저장소)
▪가연성 건축자재가 있는 장소(예를 들어 목조건축물)
▪화재연소의 우려가 있는 구조물
▪소실시 대체 불가능한 물품(문화재 등)이 있는 장소

☞ 교류 회로에서 KS C IEC 62606에 적합한 아크 고장 검출장치(AFDD)의 사용은


상기 권고를 충족하는 것으로 본다. 설치 위치는 아크 발생이 고장으로 이어지는
단자부에서의 접촉 불량이나 반단선(직렬 아크) 또는 단자 사이에서의 적은 누설
(병렬아크) 등이 간선에 비해 훨씬 많아서 분기회로로 한정한 것이다. 또한, 보호
해야할 회로의 원점에 설치하도록 하는 것은 AFDD가 설치 점의 부하측 고장만
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AFDD의 사용은 아크의 발생을 없애는 것이 아니
Ⅱ. KEC 주요내용 79

라 영향을 경감하는 것임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 전기기기에 의한 화상방지

접촉범위(Arm's reach) 내에 있고, 접촉 가능성이 있는 전기기기의 부품류는 인체에


화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는 온도에 도달해서는 안 되며, 표 1에 제시된 제한 값을
준수하여야 한다. 이 경우 우발적 접촉도 발생하지 않도록 보호하여야 한다.

[표 1] 접촉 범위 내에 있는 기기에 접촉 가능성이 있는 부분에 대한 온도 제한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표면의 재료 최고 표면 온도(℃)

금속 55
손으로 잡고 조작시키는 것
비금속 65

손으로 잡지 않지만 금속 70
접촉하는 부분 비금속 80

통상 조작 시 접촉할 금속 80
필요가 없는 부분 비금속 90

정면 측면

평면 촉수 가능범위 한계

s = 사람이 점유할 것으로 예상되는 표면

※ 이 값은 공구나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는 맨손으로부터의 거리이다.

[그림 2] 접촉범위(Arm's reach)


80 7. KEC 제2장 (214 열 영향에 대한 보호)

□ 과열에 대한 보호

○ 강제 공기 난방시스템(Forced air heating systems)

1) 강제 공기 난방시스템에서 중앙 축열기의 발열체가 아닌 발열체는 정해진 풍량에


도달할 때까지는 동작할 수 없고, 풍량이 정해진 값 미만이면 정지되어야 한다.
또한 공기덕트 내에서 허용온도가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2개의 서로 독립된 온
도 제한 장치가 있어야 한다.

☞ “2개의 서로 독립된 온도제한 장치”란 과열방지용 온도제한기를 2개 설치하고,


하나의 부위가 정상이 아닌 경우라도 다른 한쪽 온도제한기로 온도초과를 방지
하는 구조인 것을 말한다. 그림 3은 온도제한회로의 일례로써 하나의 온도제한기
는 열스위치로, 다른 한쪽의 온도제한기는 온도퓨즈가 된다.

2) 열소자의 지지부, 프레임과 외함은 불연성 재료이어야 한다.

[그림 3] 온도제한 회로의 예

○ 온수기 또는 증기발생기(Appliances producing hot water or steam)

1) 온수 또는 증기를 발생시키는 장치는 어떠한 운전 상태에서도 과열에 대한 보호


가 되도록 설계 또는 공사를 하여야 한다. 보호 장치는 기능적으로 독립된 자동
온도조절장치로부터 독립적 기능을 하는 비자동 복귀형 장치이어야 한다. 다만,
관련된 표준 모두에 적합한 장치는 제외한다.

☞ “비자동 복귀형 장치”란 원인이 제거되었을 때에 자동으로는 복귀하지 않고, 리


셋 버튼 등을 누르는 등의 안전 확인 행동을 실시한 후에 수동으로 복귀하는 장
치 또는 교환함으로써 복귀시킬 수 있는 온도 퓨즈 등이다.

2) 장치에 개방 입구가 없는 경우에는 수압을 제한하는 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Ⅱ. KEC 주요내용 81

○ 공기 난방설비(Space heating appliance)

공기 난방설비란 난방용 전열기로써 원적외선 히터류 또는 전열기를 이용한 팬히터


등을 말한다.

1) 공기난방설비의 프레임 및 외함은 불연성 재료이어야 한다.

2) 열 복사에 의해 접촉되지 않는 복사 난방기의 측벽은 가연성 부분으로부터 충분


한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불연성 격벽으로 간격을 감축하는 경우, 이 격벽은
복사 난방기의 외함 및 가연성 부분에서 0.01 m 이상의 간격을 유지하여야 한다.

3) 제작자의 별도 표시가 없으면, 복사 난방기는 복사 방향으로 가연성 부분으로부


터 2 m 이상의 안전거리를 확보할 수 있도록 부착하여야 한다.

□ 맺음말

KEC 214절의 열영향에 대한 보호에 관한 규정은 “전기설비는 감전, 화재 그 밖에


사람에게 위해(危害)를 주거나 물건에 손상을 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한다.”라
는 안전원칙에 관련되는 규정이다. 이 절에서 열영향에 대한 보호대책은 전기설비에
서 발생하거나 전파되는 열이나 화재로 인한 손해나 손상에 대해 사람, 가축 및 재
산을 보호해야 한다는 규정으로써 ①전기기기에 의한 화재 및 화상방지에 대한 보호
와 ②과열에 대한 보호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한 조치방법을 정하고 있다. 아크차단
기(AFDD)에 관한 사항은 KEC 본문에서는 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국제표준에서 권
고하고 있으므로 관련 내용을 소개하였다. AFDD 제품 표준은 KS C IEC 62606, 설
치에 관한 사항은 KS C IEC 60364-4-42 등 관련 표준을 참조하기 바란다.
Ⅱ. KEC 주요내용 83

제 목 8.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배선설비)

□ KEC 230의 구성

한국전기설비규정(이하 KEC) 제2장 저압전기설비의 (230 배선 및 조명설비 등)은


231 일반사항, 232 배선설비, 233 전기기기,
234 조명설비, 235 옥측, 옥외 설비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 전선의 종류, 시설상태에 따른 배선설비 공사방법의 적용과 배선설비 선정


및 설치시 고려사항에 대해 설명한다.

□ 일반사항

배선설비는 전선, 절연전선 및 케이블의 단말처리, 그 전선의 접속 및 지지방법과 외


적 영향에 대한 외함이나 보호를 적용할 때에 감전, 과전류, 고장전류 및 과전압에
대한 보호대책 등 (113 안전을 위한 보호) 규정을 고려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 배선설비 공사의 종류

○ 전선의 종류에 따른 공사방법

전선 및 케이블 등 배선설비에 사용하는 전선의 종류에 따른 공사방법은 표 1과 같


은 방법으로 시설할 수 있으며, 이때 외부적인 영향을 고려하여 시설하여야 한다. 나
전선은 애자공사 이외에는 사용할 수 없으며, 절연전선은 케이블 공사와 케이블 트
레이 공사에 사용할 수 없다.
84 8.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배선설비)

[표 1] 전선 및 케이블의 종류에 따른 배선설비 공사방법

공사방법
전선 및 케이블공사 케이블트렁킹 케이블 케이블트레이
케이블 전선관 애자
직접 시스템(몰드형, 덕팅 시스템(래더,
비고정 지지선 시스템 공사
고정 바닥매입형 포함) 시스템 브래킷 포함
나전선 × × × × × × × ○

절연전선 × × × ○ ○ ○ × ○
다심 ○ ○ ○ ○ ○ ○ ○ △
케이블
단심 △ ○ ○ ○ ○ ○ ○ △
○ : 사용가능 × : 사용불가 △ : 적용불가 또는 실용상 일반적으로 사용불가

○ 시설 상태에 따른 공사방법

(1) 건물의 공간, 기중, 지중 시설 등 배선을 시설하는 상태에 따른 배선의 공사방법


은 표 2와 같으며, 시설상태와 공사방법의 특성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공사방법
에 제한이 있다. 전선관 시스템의 경우 대부분 시설할 수 있으나, 건물의 이중천
장 안에는 합성수지관공사를 할 수 없도록 규정을 개정중이며, 수중에는 제조자
지침을 따르도록 하고, 가공/기중에는 실용상 사용하지 않는다.

[표 2] 시설상태를 고려한 배선설비 공사방법


공사방법

시설 상태 케이블공사 케이블 케이블 케이블


전선관 애자
직접 트렁킹 덕팅 트레이
비고정 지지선 시스템 공사
고정 시스템 시스템 시스템

건물의 접근 가능 ○ ○ △ ○* ○ ○ ○ ×
공간 접근 불가 ○ △ △ ○* △ ○ △ △
케이블채널 ○ ○ × ○ △ ○ ×
지중 매설 ○ △ × ○ × ○ △ ×
구조체 매입 ○ ○ × ○ ○ ○ △ ×
노출표면 부착 × ○ × ○ ○ ○ ○ ○
가공/기중 × ○ ○ △ ○ ○ ○ ○
창틀 내부 ○ △ × ○ △ △ △ ×
문틀 내부 ○ △ × ○ △ △ △ ×
수중(물속) □ □ × □ × □ △ ×
○ : 사용가능 × : 사용불가 △ : 적용불가 또는 실용상 사용불가
□ : 제조자 지침에 따름. * : 이중천장 내(반자속 포함) 합성수지관 공사 시설불가토록 규정 개정중
Ⅱ. KEC 주요내용 85

(2) KEC에서는 KS C IEC 60364–5-52(전기기기의 선정 및 시공-배선설비) “부속서


A 설치방법”의 전류용량 확보를 위한 설치방법의 번호를 표기하여 공사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설치방법은 동 표준을 참고하기 바란다.

□ 배선설비의 선정과 설치 고려사항

○ 외부 영향

배선설비는 ①주위온도, ②외부 열원, ③물의 존재 또는 높은 습도, ④침입 고형물의


존재, ⑤부식/오염물질의 존재, ⑥충격, ⑦진동, ⑧그 밖의 기계적 응력, ⑨식물, 곰팡
이의 존재, ⑩동물의 존재, ⑪태양방사 및 자외선 방사, ⑫지진의 영향, ⑬바람, ⑭가
공 또는 보관된 자재의 특성, ⑮건축물의 설계에서 예상되는 모든 외부영향에 대한
보호가 이루어져야 한다. [표 3]은 이들의 고려사항을 요약한 것이다.

[표 3] 배선설비의 선정과 설치에 고려해야할 외부 영향

외부 영향 선정 및 설치
∙ 최고 허용온도 이하로 선정 및 설치
①주위온도
∙ 케이블과 배선기구류는 제품의 제한온도 내에서 시설

∙ 다음의 보호방법 사용
②외부 열원 - 차폐, 열원으로부터 이격, 온도상승을 고려한 구성품의 선정
- 절연재료의 국부적 강화(단열 슬리브 접속 등)

∙ 결로 또는 물의 침입에 의한 손상이 없도록 선정 및 설치


③물의 존재 - 설치장소에 알맞은 IP 보호등급에 적합
또는 높은 습도 - 물의 고임 및 응결 수의 배출
- 파도로 움직일 우려가 있는 경우 기계적 손상에 대한 보호조치

∙ 고형물 침입으로 인해 발생 가능한 위험의 최소화


- 설치된 장소에 알맞은 IP 보호등급에 적합
④침입 고형물의 존재
- 배선설비의 열발산을 저해할 수 있는 먼지 등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쉽
게 제거 가능토록 시설

∙ 부식 또는 오염물질에 견딜 수 있는 재료로 보호 또는 제조
⑤부식/오염물질의 존 ∙ 전해작용의 우려가 있는 금속이 상호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
재 ∙ 상호작용 또는 개별적으로 열화 또는 위험한 상태가 될 우려가 있는 재
료는 상호 접속시키지 않도록 배치
86 8.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배선설비)

∙ 배선설비의 설치, 사용 또는 보수 중에 충격, 관통, 압축 등의 기계적 응


력 등에 의한 손상의 최소화
⑥충격
∙ 바닥 또는 천장 속에 설치하는 케이블은 지지물과의 접촉에 의해 손상되
지 않도록 시설하고, 설치 후에도 보호등급 유지

∙ 산업설비 등 중간 또는 높은 정도의 진동발생기기의 구조체에 지지 또는


⑦진동 고정하는 케이블이나 접속부가 진동으로 인한 손상에 적절히 대비(부분적
가요성 배선 등)

⑧그 밖의 기계적 ∙ 배선설비는 공사, 사용 또는 보수 중에 케이블과 절연전선의 외장이나 절


응력(AJ) 연물과 단말에 손상을 주지 않도록 선정하고 설치
⑨식물, 곰팡이 존재 ∙ 폐쇄형설비로 시설, 식물과 이격거리 유지, 특수재료, 보호도장 등
⑩동물의 존재 ∙ 경험이나 예측으로 위험조건일 때 기계적 보호(금속전선관 사용) 등
⑪태양방사 및 ∙ 영향을 줄만한 양의 태양방사 또는 자외선인 경우 조건에 맞는 배선설비로
자외선 방사 선정ㆍ시공 또는 적절한 차폐, 내광성 재료, 특수색 코팅 등
⑫지진의 영향 ∙ 설치 장소의 지진위험 고려, 중요한 기기는 가요성 배선 고려
⑬바람 ∙ 진동과 그 밖의 기계적 응력에 준한 보호조치
⑭가공 또는 보관된
∙ 화재의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
자재의 특성

∙ 건축물 이동에 의한 위험이 존재하는 경우는 그 이동을 허용할 수 있는


⑮건축물의 설계 케이블지지 및 보호방식을 채택
∙ 유연하거나 불안정한 구조물은 가요 배선방식 사용

3.2 배선설비 적용시 고려사항

배선설비를 적용할 때에 고려해야 할 사항을 요약하면 표 4와 같다.

[표 4] 배선설비의 적용시 고려사항

항목 고려 사항
∙ 하나의 회로도체는 다른 다심케이블, 다른 전선관, 다른 케이블덕팅시스템
①회로 구성 또는 다른 케이블트렁킹 시스템을 통해 배선해서는 안 된다.
∙ 여러 개의 주회로에 공통 중성선을 사용하는 것은 허용되지 않는다.

∙ 병렬 도체가 같은 재질, 같은 단면적, 같은 길이, 전체에 분기회로가 없으


며 다음의 경우 부하전류 균등 배분조건을 충족한다.
- 다심케이블, 트위스트(twist) 단심케이블 또는 절연전선인 경우
②병렬접속
- 비트위스트 단심케이블 또는 삼각형태 혹은 직사각형 형태의 절연전선이
고 단면적이 구리 50 ㎟, 알루미늄 70 ㎟ 이하인 것, 이 단면적을 초과하
는 것은 이 형상에 필요한 특수 배치를 적용한 것
∙ 도체상호간, 도체와 다른 기기와의 접속은 내구성이 있는 전기적 연속성
③전기적 접속 이 있어야 하며, 적절한 기계적 강도와 보호를 갖추어야 한다.
∙ 전선 및 케이블 등의 접속방법은 (123 전선의 접속)에 적합하여야 한다.
Ⅱ. KEC 주요내용 87

④교류회로-전기자기
∙ 강자성체(강제금속관 또는 강제덕트 등) 안에 설치하는 교류회로의 도체는
적 영향(맴돌이 전류
보호도체를 포함한 각 회로의 모든 도체를 동일 외함에 수납하여야 한다.
방지)
⑤하나의 다심케이블 ∙ 모든 도체가 최대공칭전압에 대해 절연되어 있을 때에는 동일 케이블에
속의 복수회로 복수의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 화재의 확산위험을 최소화하기 위해 적절한 재료를 선정하고 자소성 있는


제품 등으로 공사하여야 한다.
∙ 배선설비가 바닥, 벽, 지붕, 천장 등 건축구조물을 관통하는 경우, 배선설
비가 통과한 후에 남는 개구부는 관통 전의 건축구조 각 부재에 규정된
내화등급에 따라 밀폐하여야 한다(그림 1 참조).
- 제품 표준에서 자소성으로 분류되고 최대 내부단면적이 710 ㎟ 이하인 전
선관(후강 28G, 박강 31C 이하),케이블트렁킹 및 케이블덕팅시스템이 보
호등급 IP33에 관한 KS C IEC 60529(외곽의 방진 보호 및 방수 보호 등급)
에 적합한 경우 내부적으로 밀폐하지 않아도 된다.
⑥화재의 확산을 최소
화하기 위한 배선설비
의 선정과 공사
벽 통과 트렁킹
고정구간

내부 밀폐

케이블
금속제 트렁킹
외부 밀폐

[그림 1] 트렁킹 배선의 내・외부 밀폐

상기 요약 내용 이외의 상세 사항과 ⑦배선설비와 다른 공급설비와의 접근, ⑧금속외장 단심케이블,


⑨수용가 전압강하에 관한 사항은 KEC 232.3을 참조.

참고로 IP코드는 KS C IEC 60529 IP코드에서 정하고 있는 전기기기 외함의 방진보


호 및 방수보호 등급을 분류하는 데 적용하는 것으로서 IP코드의 배열은 그림 2와
같으며, IP코드의 요소 및 의미는 표 5와 같다.

[그림 2] IP코드의 배열
88 8.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배선설비)

[표 5] IP코드의 요소 및 의미

요소 수 또는 문자 기기의 보호에 대한 의미 사람에 대한 의미


코드문자 IP - -
제1 특성 숫자 분진 침투에 대한 위험한 부분으로의 접근에 대한
0 (비보호) (비보호)
1 ≥ 지름 50 ㎜ 손등
2 ≥ 지름 12.5 ㎜ 핑거
3 ≥ 지름 2.5 ㎜ 공구
4 ≥ 지름 1.0 ㎜ 전선
5 먼지보호 전선
6 방진 전선
위험한 영향을 주는 물의 침
투에 대한
0 (비보호)
1 수직 낙하
2 낙하(기울기 15 ̊)
3 분무(spraying)
제2 특성 숫자 4 튀김(splashing) -
5 분사(jetting)
6 강한 분사
7 일시적 침수
8 연속적 침수
9 고압 및 고온 물 분사

추가문자(선택)
<생 략>
보충문자(선택)

□ 맺음말

KEC 230은 “배선설비의 전선, 절연전선 및 케이블의 단말처리, 그 전선의 접속 및


지지방법과 외적 영향에 대한 외함이나 보호를 적용할 때에 감전, 과전류, 고장전류
및 과전압에 대한 보호대책 등 (113 안전을 위한 보호)을 고려하여 시설하도록 정하
고 있으며, 이와 관련되는 사항들을 세부적으로 정하고 있다. 본 내용에서는 배선설
비의 종류와 공사방법을 적용할 때 외부영향 등 고려하여야 할 사항에 대해 기술하
였으나 언급하지 않은 다른 상세한 설명은 KS C IEC 60364-5-52, KECG 1702 배선
설비의 설계 및 공사방법에 관한 기술지침을 참고하기 바란다.
Ⅱ. KEC 주요내용 89

제 목 9.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조명설비)

KEC 234 조명설비는 공급전압 1 kV 이하의 전원에서 작동하는 조명설비에 관하여


등기구의 시설, 코드의 사용과 이동전선, 코드와 캡타이어케이블의 접속, 콘센트 및
점멸기의 시설, 진열장의 내부배선, 옥외등, 전주외등, 방전등, 수중조명등, 교통신호
등에 관한 시설규정을 두고 있는데, 본 내용에서는 등기구의 시설과 코드의 사용조
건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 조명설비

○ 등기구의 설치요건

등기구의 설치는 관련 KS 표준(KS C IEC 60598 등) 및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선정


및 설치하여야 한다. 설치과정에서는 최소한 방전형 램프를 시동하기 위한 시동전류,
고조파 전류, 보상(역률개선), 누설전류, 방전램프를 시동하고 전극이 예열 되지 않는
최초점화전류 및 전압강하 내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램프에서 발생되는 모든 주파수
및 과도전류에 관련된 자료를 고려하여 보호방법 및 제어장치를 선정하여야 한다.

※ 등기구(luminaire)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램프에서 나오는 빛을 퍼뜨리고 거르거


나, 변형하고 램프를 지지하고 고정하고 보호하는 데 필요한 모든 부분을 포함하
지만, 램프 자체는 포함하지 않고 그것을 전원에 연결하는 데 필요한 부속 회로
를 포함하는 기기를 말한다.

○ 열영향에 대한 주변의 보호

1) 등기구는 등기구의 주변에 발광과 대류 에너지의 열 영향에 대해 주변을 보호하


기 위해 램프전력, 등기구 관련 표시, 설치 점과 열영향이 미치는 구역에 인접물
질의 내열성, 스포트라이트/프로젝터의 경우 가연성재료로부터의 표 1의 최소거
리를 고려하여 선정 및 설치하여야 한다.
90 9.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조명설비)

[표 1] 스포트라이트/프로젝터의 모든 방향에서 가연성 재료와의 최소 거리

용량[W] 100이하 100~300 300~500 500초과

최소거리[m] 0.5 0.8 1.0 1.0초과

2) 등기구는 KS C IEC 60598-1에 명시된 설치조건 즉, IP코드와 그림 1과 같은 등


기구 등의 기호 표시에 따라 선정 및 설치한다.

3) 조명기구의 램프와 그 밖의 부품은 예측 가능한 기계적인 스트레스로부터 보호되


어야 한다. 고장 시 가연성 물질을 분출할 수 있는 램프를 구비한 조명기구는 제
조자의 지침에 따라 램프에 대한 안전 보호 차폐와 함께 설치하여야 한다.

기호 설명 기호 설명

가연성 표면에 직접 부착하기에 적합


단락회로방지(원천적 또는 후천적) 안
하지 않은 등기구(비가연성 표면에만
전절연변압기
적합)

열절연 물질로 등기구를 덮을 때 보통


표면온도 제한형 등기구 가연성 표면에 부착하기에 적합한 등
기구

단열재료로 덮기에 적합하지 않은 등


열보호된 안정기/변압기(P등급)
기구

보통 가연성 표면에 직접 부착하기에 내열 전원케이블의 사용, 연결 또는


적합하지 않는 매입형 등기구 외부배선(케이블 도체 수는 선택)

보통 가연성 표면에 직접 부착하기에 볼 미러 램프(bowl mirror


적합하지 않는 표면실장형 등기구 lamps) 사용형 등기구

보통 가연성 표면에 직접 부착하기에 냉각 빔 램프(cool-beam lamps)


적합한 등기구 사용에 대한 경고

독립형 안정기 조명대상물로부터의 최소거리(m)

110 °C 온도제한 컨버터 가혹한 사용조건에 적합한 등기구

보통 가연성 표면에 부착하는 독립형 보호된 등기구에만 사용할 수 있는 램


안정기 프

[그림 1] 등기구, 등기구 구동장치 및 등기구의 설치에 사용되는 기호의 설명(KS C IEC 60364-5-55 참조)
Ⅱ. KEC 주요내용 91

○ 조명설비의 배선계통

1) 고정배선에 접속하는 배선계통은 관련 표준에 따른 박스, 박스에 고정된 아웃렛


등기구 접속용 장치, 배선계통에 직접 접속되도록 고안된 전기기기로 단말처리한
다.

2) 등기구 관통 배선의 설치는 관통 배선용으로 고안된 등기구에만 허용된다. 관통


배선용으로 고안된 등기구에 접속기구가 없을 경우 관통배선 접속용 커플러 등
적합한 접속기구를 사용한다.

※ 관통배선(through wiring)이란 그림 2와 같이 한 줄의 등기구를 연결 할 수 있도


록 고안된 등기구를 관통하는 배선을 말한다.

3) 관통 배선 케이블은 온도 정보와 등기구 또는 다음 사항에 관한 제조자의 설치지


침이 제공된다면 그에 따라 선정한다.

① KS C IEC 60598(등기구)에 따른 등기구 및 LED 등기구로서 표시온도에 대한 적


절한 케이블 및 온도 표시된 것을 사용

② KS C IEC 60598(등기구)에 따른 등기구 및 LED 등기구로서 제조자의 지침에 명


확히 요구되지 않는 한 내열케이블로 온도표시가 없는 것.

③ 정보가 없을 때, KS C IEC 60245-3(정격 전압 450/750 V 이하 고무 절연 케이블


–제3부:내열 실리콘 고무 절연 전선)에 따른 내열케이블 및 절연도체, 또는 그
와 동등한 형식의 것을 사용

① 단자 ② 전원 ③ 안정기 ④ 시동장치 ⑤ 램프 ⑥ 등기구 A ⑦ 등기구 B


(L1, L2, L3 및 중성선에 연결하여 3상 관통 배선으로 사용가능)

[그림 2] 등기구 단자에서 관통배선의 설명


92 9.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조명설비)

○ 등기구의 집합

하나의 공통 중성선 만으로 3상 계통의 3상 전선들 사이에서 나뉘어져 있는 조명기


구 그룹은 3상 전원을 이용한 기기로 취급되므로 동시에 차단되어야 한다[그림 3의
예시 참조].

[그림 3] 등기구의 집합 회로도

○ 등기구 안의 자외선 방사의 영향과 열에 대한 보호

등기구 또는 통과 경로의 케이블 외피나 케이블의 심선은 등기구나 그 램프에 의해


발생되는 자외선 방사와 열로 인해 손상이나 악영향을 받지 않도록 선정하여야 한
다. 등기구 구조에서 플라스틱 구성 부분은 중요하고, 기능성 있는 요소이며, 내부
부품 및 배선, 반투명 덮개, 차폐 및 구조를 지지하기 위한 부품 같은 구성요소에 적
용한다. UV 방사와 열의 결합은 PVC 케이블 절연에 절연의 감소를 나타내는 초록
색 물질을 만들 수 있다. 자외선이 발생되는 램프의 종류는 HID램프 (고압 수은램
프, 메탈헬라이드램프, 고압 나트륨램프), 살균램프 등이 있다.

○ 보상 커패시터

보상 커패시터의 총 정전용량이 0.5 ㎌를 초과하는 보상 커패시터는 단자 간을 영구


적으로 연결하는 방전 저항기를 가져야 한다. 만약 방전 저항기가 고정이 되었다면,
교류 전압 최고 값에서 1분 동안에 50 V 이하의 전압으로 커패시터를 방전할 수 있
는 저항 값을 가져야 한다. 정격전압의 10 % 이상의 값에도 적용되어야 한다. 제조
자는 저항 값과 허용오차를 나타내야 한다(KS C IEC 61048 참조).
Ⅱ. KEC 주요내용 93

○ 코드의 사용

1) 사용전압 400 V 이하의 전로에서 코드는 조명용 전원코드(KS C IEC 60598-1) 및


이동전선으로만 사용할 수 있으며, 고정배선으로 사용하여서는 안 된다. 다만, 건
조한 곳에 시설하고 또한 내부를 건조한 상태로 사용하는 진열장 등의 내부에
배선할 경우는 고정배선으로 사용할 수 있다.

2) 코드 및 이동전선

① 조명용 전원코드 또는 이동전선은 단면적 0.75 ㎟ 이상의 코드 또는 캡타이어케


이블을 용도에 적합하게 표 2에 따라 선정하여야 한다.

② 옥측에 시설하는 조명용 전원코드를 비나 이슬에 맞지 않도록 시설하고 사람이


쉽게 접촉되지 않도록 시설할 경우에는 단면적이 0.75 ㎟ 이상인 450/750 V 내
열성 에틸렌아세테이트 고무절연전선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전구 수구의 리
드 인출부의 전선간격이 10 ㎜ 이상인 전구소켓을 사용하는 것은 0.75 ㎟ 이상인
450/750 V 일반용 단심 비닐절연전선을 사용할 수 있다.

③ 옥내에서 조명용 전원코드 또는 이동전선을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수분이 있는


장소에 시설할 경우에는 사용전압이 400 V 이하 고무코드 또는 0.6/1kV EP 고
무 절연 클로로프렌캡타이어케이블로서 단면적이 0.75 ㎟ 이상인 것이어야 한다.

[표 2] 코드 또는 캡타이어 케이블의 선정

용도 옥내 옥외ㆍ옥측
종류 조명용 전원코드 이동전선 조명용 전원코드 이동전선
비닐 × △○ × ×
고무 ○ ○ × ×
코드 편조 고무 ● □
금사 × ▲ × ×
실내장식전등기구용 ○ × ×
캡타이어 고무 ◎ ◎ ◎ ◎
케이블 비닐 × △◎ × △◎
○, □, ●: 300/300 V 이하에 사용한다.
◎: 0.6/1 ㎸ 이하에 사용한다.
×: 사용될 수 없다.
△: 다음 조건에 적합한 것에 한하여 사용할 수 있다.
- 방전등, 라디오, 텔레비전, 선풍기, 전기이발기 등 전기를 열로 사용하지 않는 소형기계기구에 사용할 경우
- 전기모포, 전기온수기 등 고온부가 노출되지 않은 것으로 이에 전선이 접촉될 우려가 없는 구조의 가열장치
(가열장치와 전선과의 접속부 온도가 80 ℃ 이하이고 또한 전열기 외면의 온도가 100 ℃를 초과할 우려가
94 9.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조명설비)

없는 것) 에 사용할 경우
▲: 전기면도기, 전기이발기 등과 같은 소형 가정용 전기기계기구에 부속되고 또한 길이가 2.5 m 이하이며 건조
한 장소에서 사용될 경우에 한한다.
●: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
□: 옥측에 비나 이슬에 맞지 아니하도록 시공한 경우 사용할 수 있다.

□ 맺음말

이상의 내용은 KEC 234 조명설비 중 공급전압 1 kV 이하의 전원에서 작동하는 조


명설비에 관하여 등기구의 시설과 코드의 사용에 관한 것으로서 등기구의 설치는 시
동전류, 고조파 전류, 보상(역률개선), 누설전류, 최초점화전류 및 전압강하 내성을 고
려하여 설치하도록 정하고 있는데, 기타 고려항목의 상세사항은 등기구 등 각 제품
의 KS 표준을 참고하기 바란다.
Ⅱ. KEC 주요내용 95

제 목 10.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허용전류)

□ 개요

전기설비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시설하는 전선 또는 케이블의 굵기를 선정하기 위


하여 전선에 대한 허용전류 적용방법을 알아보면, 현재는 배선의 주위시설환경이나
배선공사방법의 종류 등과는 관계없이 절연도체와 도체의 굵기에 따라 일정한 허용
전류를 적용하였지만, KEC 에서는 도체수, 배선공사방법의 종류, 배선공사방법의 주
위 시설환경 등에 따라서 동일 전선이나 케이블일 경우에도 허용전류의 값이 달리
적용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 전선의 단면적

전선의 단면적은 다음에 따라 결정하는데 기본적으로 전기설비의 안전과 관계가 있


다. 안전을 위해 필요한 값보다 더 큰 단면적이 경제적인 운영을 위해 바람직할 수
도 있다.

1) 최고허용온도(절연체의 허용온도)

2) 허용 전압강하

3) 지락고장 및 단락전류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전기ㆍ기계적 응력

4) 고장전류에 대한 기능과 관련한 최대 임피던스

5) 설치방법

위의 검토항목 중 3)과 4)의 경우는 고장시 차단기가 동작하는 시간까지의 흐르는


고장전류 등을 견디도록 한 규정으로 본 항에서는 절연체의 허용온도에 의한 허용전
류에 대하여 설명한다.
96 10.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허용전류)

□ 절연물의 허용온도

정상적인 사용상태에서 사용기간 중에 전선에 흘러야 할 전류는 표 1 절연물의 허용


온도 이하가 되어야 한다.

절연물의 종류 최고허용온도 (℃)

열가소성 물질[염화비닐(PVC)] 70(도체)


열경화성 물질 [가교폴리에틸렌(XLPE) 또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혼합물 (EPR)] 90(도체)
무기물(열가소성 물질 피복 또는 나도체로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것) 70(시스)
무기물(사람의 접촉에 노출되지 않고, 가연성 물질과 접촉할 우려가 없는 나도체) 105(시스)

< 표 1 절연물의 허용온도 >

1) 현재 옥내배선으로 사용이 빈번한 HFIX의 경우 절연체는 XLPO로 XLPE와 동일


하게 90℃로 적용하며, PVC/C의 절연체도 90℃로 적용한다.

2) CV, F-CV는 XLPE로 90℃의 값을 적용하고, IV, CVV는 70℃의 값을 적용한다.

□ 허용전류 결정방법

허용전류는 특정조건 (예: 주위공기중온도, 주위지중온도, 부하도체의 수, 절연물의


종류, 시설방법 등)에서 정상상태의 도체온도가 절연물의 허용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로 도체에 연속적으로 흐를 수 있는 최대 전류값을 말한다.

절연물의 최고온도를 초과하지 않는 도체의 허용전류를 결정하는 방법은 KEC 규정


에서 다음과 같이 정하고 있다.

1) 절연도체와 비외장케이블에 대한 전류가 KS C IEC 60364-5-52(저압전기설비-제


5-52부:전기기기의 선정 및 설치-배선설비)의 “부속서B(허용전류)”에 주어진 필
요한 보정 계수를 적용하고, KS C IEC 60364-5-52(저압전기설비-제5-52부:전기기
기의 선정 및 설치-배선설비)의 “부속서A(공사방법)”를 참조하여 KS C IEC
60364-5-52(저압전기설비-제5-52부:전기기기의 선정 및 설치-배선설비)의 “부속서
B(허용전류)”의 표(공사방법, 도체의 종류 등을 고려 허용전류)에서 선정된 적절
한 값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 232.18.1의 요구사항을 충족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Ⅱ. KEC 주요내용 97

2) 허용 전류의 적정 값은 KS C IEC 60287(전기 케이블-전류 정격 계산) 시리즈에


서 규정한 방법, 시험 또는 방법이 정해진 경우 승인된 방법을 이용한 계산을 통
해 결정할 수도 있다. 이것을 사용하려면 부하 특성 및 토양 열저항의 영향을 고
려하여야 한다.

3) 주위온도는 해당 케이블 또는 절연전선이 무부하일 때 주위 매체의 온도이다.

○ 부속서 A (공사방법)

1) 배선시설방법에 따라 1번에서 73번까지(중간에 삭제된 방법도 있음) 설치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케이블트렁킹 시스템으로 구조체 매입을 할 경우에는
50, 51, 52, 53번의 설치방법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공사방법
시설 상태
고정하지 직접 케이블 케이블 애자
전선관 케이블트렁킹 지지선
않음 고정 덕트 트레이 사용
30, 31, 32,
건물의 접근가능 40 33 41, 42 6, 7, 8, 9, 12 43, 44
33, 34
- N/A
공간 접근불가 40 N/A 41, 42 N/A 43 N/A N/A N/A

케이블 채널 56 56 54, 55 N/A 30, 31, 32, 34 - -

지중 매설 72, 73 N/A 70, 71 - 70, 71 N/A - -


1, 2, 59,
구조체 매입 57, 58 3 50, 51, 52, 53 46, 45 N/A - -
60
20, 21, 22
노출표면에 부착 - 4, 5 6, 7, 8, 9, 12 6, 7, 8, 9 30, 31, 32, 34 36
23, 33
가공/기중 - 33 N/A 10, 11 10, 11 30, 31, 32, 34 36 35

창틀 내부 16 N/A 16 N/A N/A N/A - -

문틀 내부 15 N/A 15 N/A N/A N/A - -

수중(물속) + + + - + N/A - -

- : 사용할 수 없다.
N/A(Not applicable) : 적용할 수 없거나 일반적으로 사용할 수 없다.
+ : 제조자 지침에 따른다.

【비고】41, 42 등 번호는 부속서 공사방법을 나타낸다.

< 표 2 시설상황에 따른 설치방법 >


98 10.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허용전류)

2) 표 2에서 배선공사방법을 시설상태에 따라 설치방법에 대한 세부적인 방법을 부


속서 A에서 선택한다. (표 3과 같이 “허용전류를 구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준 공
사방법” A1, A2 등을 선정한다.)

허용전류를 구하기
항목
공사 방법 설 명 위해 사용하는
번호
표준 공사방법

단열벽 속에 매입한 전선관 내부의


1 A1
절연 전선 또는 단심 케이블

단열벽 속에 매입한 전선관 내부의


2 A2
다심 케이블

3 단열벽 속에 직접 매입한 다심 케이블 A1

목재 또는 석재의 벽면에 부착한 전선관


내부 또는 그 벽면으로부터 바깥지름의
4 B1
0.3배 미만의 간격으로 배관된 전선관
내부의 절연전선 또는 단심 케이블

< 표 3 허용전류 구하기 위한 공사방법 예 (73번까지의 항목번호 중 1~4번만 소개한 것임) >

3) 허용전류 선정을 위한 표준 공사방법은 표 4와 같이 A, A2등 9가지 방법이 있다.

A1 A2 B1 B2 C D

설치방법

단열벽 내의 목재벽면의 목재벽면의


단열벽 내의 목재벽면의 지중의 덕트
설치방법 전선관에 공사한 전선관에 공사한 전선관에
전선관에 공사한 단심케이블, 내에 공사한
예 절연전선, 절연전선, 공사한
다심케이블 다심케이블 다심케이블
단심케이블 단심케이블 다심케이블
Ⅱ. KEC 주요내용 99

E F G

 기중 다심케이블 기중 단심케이블 기중 단심케이블


 벽과의 이격거리는 벽과의 이격거리는  케이블간 이격거리는
 케이블 지름의 0.3배 이상 케이블 하나의 지름 이상  한 케이블 지름 이상

< 표 4 허용전류 선정을 위한 표준방법 종류 >

○ 부속서 B (허용전류)

1) 부속서 A의 공사방법에 의하여 시설상태에 적합한 표준 공사방법이 끝나면, 부속


서 B 허용전류를 적용을 한다. 부속서B의 허용전류는 표 5와 같이 도체 수 등에
의해 여러 경우로 나타나 있다.

구 분 공사방법의 허용전류

표 B.52.2 2개 부하전선,  동 또는 알루미늄(공사방법 A~D)


PVC 절연 전선온도 : 70 ℃,주위온도: 기중 30 ℃, 지중 20 ℃
표 B.52.3 2개 부하전선,  동 또는 알루미늄(공사방법 A~D)
XLPE 또는 EPR 절연 전선온도 : 90 ℃,주위온도: 기중 30 ℃, 지중 20 ℃
표 B.52.4 3개 부하전선,  동 또는 알루미늄(공사방법 A~D)
PVC 절연 전선온도 : 70 ℃, 주위온도: 기중 30 ℃, 지중 20 ℃
표 B.52.5 3개 부하전선,  동 또는 알루미늄(공사방법 A~D)
XLPE 또는 EPR 절연 전선온도 : 90 ℃, 주위온도: 기중 30 ℃, 지중 20 ℃

동 전선과 동 시스(공사방법 C)
표 B.52.6
PVC 피복 또는 노출로 접촉할 우려가 있음
무기절연
금속시스 온도 : 70 ℃, 기준주위온도 : 30 ℃

동 전선과 동 시스(공사방법 C)
표 B.52.7
가연성 물질 또는 노출로 접촉할 우려가 없음
무기절연
금속시스 온도 : 105 ℃, 기준주위온도 : 30 ℃

< 표 5 허용전류 >


100 10.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허용전류)

2) 배선시설 공사방법의 시설상태를 고려하여 적합한 허용전류를 선정한다. (그림 1


참고)

3) 허용전류 적용시 고려사항

① 부하 도체수(단상 : 2개부하도체, 3상 : 3개부하도체)


② 절연체 종류(PVC, XLPE 등)
③ 주위온도(표 5는 기중 30℃, 지중 20℃로 가정한 것임)
④ 도체의 종류(구리, 알루미늄)
⑤ 회로수(회로수에 대한 저감계수 적용)

< 그림 1 허용전류표 선정 예 >

○ 저감계수 종류 및 적용

1) 도체수, 도체의 종류, 절연체 등을 고려하여 적합한 표를 이용하여 허용전류를 선


정하고, 선정된 허용전류에 주위온도, 동일시스템에 포설된 회로수 등에 대한 저
감계수를 적용토록 규정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동일 배관 내에 2회선을 포설한 경
우에는 표에 의한 허용전류에 2회로에 저감계수를 적용하여 허용전류를 선정한
다.

2) 저감계수는 표 6의 저감계수 외에 동일시스템에 대한 집합회로수 등에 대한 저감


계수가 있는데, 설치현장이 부속서 B의 기본 조건과 다를 경우에는 표 6의 저감
계수를 적용한다.
Ⅱ. KEC 주요내용 101

구  분 전선 종류 및 조건
주위의 대기온도가 30 ℃ 이외인 경우의 보정계수
표 B.52.14
- 기중케이블의 허용전류에 적용.
주위의 지중온도가 20 ℃이외인 경우의 보정계수
표 B.52.15
- 지중케이블의 허용전류에 적용.
토양의 열 저항률이 2.5 kㆍm/W 이외인 경우의 보정계수
표 B.52.16
- 참조방법 D의 허용전류(A)에 적용.
복수회로 또는 다심케이블 복수의 집합에 대한 저감계수
표 B.52.17 ~ 표 B.52.21
- B.52.2 ~ B.52.13의 허용전류를 이용

< 표 6 저감계수 >

□ 허용전류 산정방법의 예시

예제] o 공사방법 : 합성수지전선관을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입


o 사용도체 : 옥내용 비닐절연전선(IV전선), 단상, 구리도체
o 설계전류(부하전류) : 25[A] (여유율 등은 고려하지 않음)

○ 시설상태를 고려한 공사방법에서 적용가능방법 선택

1) 콘크리트 매설의 경우 구조체의 매입에 해당하는 사항이므로 구조체에 매입한 합


성수지관공사(전선관시스템)에 대한 설치방법은 표 2에서 1, 2, 59, 60번의 설치방
법이 해당한다.

2) 적용할 수 있는 공사방법 4가지를 표 3에서 확인하면 59번 공사방법에서 석재벽


내부에 설치된 전선관속의 절연전선의 경우는 그림 2와 같이 B1의 허용전류 기
준값을 적용하도록 하고 있다(콘크리트 매설은 석재벽에 해당).

< 그림 2 항목번호 59번의 표준 공사방법 >


102 10. KEC 제2장 (230 배선 및 조명설비 - 허용전류)

○ 허용전류를 만족하는 전선의 굵기 선정

1) 그림 3에 표기하였듯이 허용전류 기준값 B1에서 선택항목중 절연체(PVC절연), 단


상(2개 부하도체), 구리(도체의 종류)을 선택하여 적용하면 설계전류인 25[A]를
만족하는 굵기는 “4 ㎟”이상이 되어야 한다.

2) 만약 동일한 합성수지관안에 다른 2개의 회로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2회로에 대한


집합계수 0.8을 적용하여 25 ÷ 0.8 = 31.25[A]이상을 만족하는 규격을 적용하여야
하므로 6 ㎟ 이상의 전선을 적용하여야 한다.

< 그림 3 허용전류 기준값 B1 >

※ 그림 3의 허용전류는 KS C IEC 60364-5-52 해설 5.1에 따라 주위온도를 40℃로


환산한 값임.
Ⅱ. KEC 주요내용 103

□ 허용전류 산정시 유의사항

○ KS C IEC 60364-5-52 부속서 B(허용전류)의 허용전류 표(표 B.52.2~B.52.13)는 주


위온도를 기중 30℃, 지중 20℃로 가정한 값이므로 실제 현장이 이와 다를 경우
에는 표 6의 주위온도 감소계수를 적용하여야 한다(KS C IEC 60364-5-52 부속서
B.52.2).

○ 국내 주위온도는 기상청이 발표한 자료를 근거로 적용하되, 설치현장의 기후 조


건에 따라 배선경로의 최악조건을 고려하여 기중 40℃, 지중 30℃ (매설깊이
1.2m)를 적용할 수 있다(KS C IEC 60364-5-52 해설 5.1).

○ 동일한 케이블트레이에 단심케이블과 다심케이블을 혼합하여 시설하는 경우는


일반적이지 않은 공사방법에 해당되며, 이러한 일반적이지 않은 공사방법에 대한
집합 저감계수 표를 제공하지 않으므로 KS C IEC 60287 시리즈에 의하여 저감
계수를 직접 산출하여 적용하여야 한다. 다만, 단심케이블로 공사한 것으로 가정
할 때의 저감계수와 다심케이블로 공사한 것으로 가정할 때의 저감계수를 비교
하여 나쁜 조건을 기준으로 저감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전기설비기술기준 제2조
안전원칙).

○ 최고허용온도가 서로 다른 케이블 또는 절연전선이 포함된 그룹의 경우 해당 그


룹의 모든 케이블 또는 절연전선의 허용전류 용량은 그룹의 케이블 또는 절연전
선 중에서 최고허용온도가 가장 낮은 것을 기준으로 적절한 집합 저감계수를 적
용해야 한다. 다만, 사용조건을 알고 있는 경우 1가닥의 케이블 또는 절연전선이
그룹 허용전류의 30 % 이하를 유지하는 경우는 해당 케이블 또는 절연전선을 무
시하고 그 그룹의 나머지에 대하여 저감계수를 적용할 수 있다(KEC 232.5.3).

○ 하나의 전력계통이 지중관로, 케이블트레이, 벽 관통 등과 같이 여러 가지 공사


방법이 혼합되는 경우와 같이 배선경로 중의 일부가 다른 부분과 방열조건이 다
른 경우 배선경로 중 가장 나쁜 조건의 부분을 기준으로 허용전류를 결정하여야
한다. 단, 배선이 0.35 m 이하인 벽을 관통하는 장소에서만 방열조건이 다른 경
우에는 이 요구사항을 무시할 수 있다(KEC 232.5.5).
【 참고문헌 】

산업통상자원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제2019-45호, 2019.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전기설비규정(KEC), 공고 제2018-103호, 2018
대한전기협회, 전기설비기술기준 해설서, 2016
대한전기협회, KECG 1701 배선설비의 설계 및 공사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2019
대한전기협회, KECG 1702 감전 및 과전류보호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2019
대한전기협회, KECG 1703 접지시스템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2019
대한전기협회, KECG 9103 등전위본딩에 관한 기술지침, 2015
대한전기협회, DIN EN 62305에 따른 피뢰시스템 가이드, 2018
국가기술표준원,
KS C IEC 60364-1, 2012
KS C IEC 60364-4-41, 저압 전기설비 - 제4-41부: 안전을 위한 보호-감전에 대한 보호, 2005
KS C IEC 60364-4-42, 저압 전기설비 - 제4-42부: 안전을 위한 보호-열 영향에 대한 보호, 2015
KS C IEC 60364-4-42, 저압 전기설비 - 제4-42부: 안전을 위한 보호-열 영향에 대한 보호, 2016.
KS C IEC 60364-4-43, 저압 전기설비 - 제4-43부: 안전을 위한 보호-과전류에 대한 보호, 2012
KS C IEC 60364-4-44, 저압 전기설비 - 제4-44부: 안전을 위한 보호-전압 및 전기자기 방해에 대한 보호, 2013
KS C IEC 60364-5-51, 저압 전기설비 –제5-51부: 전기기기의 선정 및 시공–공통규칙, 2018
KS C IEC 60364-5-52, 저압 전기설비 –제5-52부: 전기기기의 선정 및 시공–배선설비, 2017
KS C IEC 60364-5-54, 저압 전기설비 –제5-54부: 전기기기의 선정 및 시공–접지설비 및 보호도체, 2014
KS C IEC 60364-5-55, 저압 전기설비 - 제5-55부: 전기기기의 선정 및 설치-기타 기기, 2018
KS C IEC 60445, 인간과 기계 간 인터페이스, 표시식별의 기본 및 안전원칙-장비단자, 도체단자 및 도체의 식별, 2010
KS C IEC 60529, 외함의 밀폐 보호등급 구분(IP코드), 2017
KS C IEC 60598-1 등기구 - 제1부 일반요구사항 및 시험, 2011
KS C IEC 61140, 감전보호 - 설비 및 기기의 공통사항, 2014
KS C IEC 62305 시리즈 표준, 2012
KS C IEC 62606, 사고아크 검출장치에 대한 일반조건, 2013

IET, BS 7671 Guidence Note 5, Protection Against Electric Shock, 2018


IET, Guidance Note 4, Protection Against Fire, 2018
IET, Guidance Note 6 Protection Against Overcurrent, 2018
IEC 60364-4-42, Low-voltage electrical installations – Part 4-42: Protection for safety
–Protection against thermal effects) 2014
IEC 60364-4-44, Low-voltage electrical installations – Part 4-44: Protection for safety
–Protection against voltage disturbances and electromagnetic disturbances, 2015
電気設備学会, IEC 60364建築電気設備設計・施工ガイド , 2004.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05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 내선규정의 성격에 대하여

2. 관로공사시 케이블 허용전류 계산법

3. HFIX, HIV, VCTF 전선에 대하여

4. KEC가 판단기준과 다른 주요사항 요약

5. KEC 기준적용일 및 적용대상에 대하여

6. KEC 이후 내선규정과 판단기준 개정여부

7. KEC 시행시 판단기준 폐지여부

8. KEC와 다른 경우의 전선색상 기준

9. KEC 설비와 판단기준 설비가 혼재된 경우

10. KEC 기준에 따른 접지저항 값에 대하여

11. KEC 개정의견 제출방법에 대하여

12. 배선설비 설계・공사방법 기술지침 정오표

13. 감전 및 과전류보호 설계 기술지침 정오표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07

제 목 내선규정의 성격에 대하여 (FAQ 5번)

설 명

□ 전기설비기술기준은 전기설비의 안전성능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기준이며,

□ 내선규정은 기술기준의 내용 중 난해한 표현으로 되어 있거나 또는 입법기술


상 추상적인 표현으로 되어 있는 조항에 대하여 기술기준의 기술형식에 구애
받지 않고, 기술기준에 정하여진 취지를 살려서 구체적으로 알기 쉽도록 표현
하고 있는 것 외에

① 신기술의 개발, 신제품의 출현, 사회적 변천 등에 따라 앞으로 기술기준에 보


완하여야 할 사항으로 고려되는 경우 등에 안전 확보에 필요한 적절한 규정을
작성하여 기술기준이 개정될 때까지 잠정적인 예외기준으로, 즉 자율적 규정
으로서 운용토록 하는 것과

② 기술기준에 명기되어 있지 않는 사항에 대하여 보완적으로 기술함과 동시에

③ 운전, 유지보수, 공사 및 검사시에 참고가 될 수 있도록 정한 것입니다.

□ 내선규정은 관련 전기 분야의 전문가로 구성된 위원회에서 규정사항의 합의를


도출하여 제·개정하는 것으로 그 성격은 민간단체표준이며 전기설비기술기준
에서 정하는 의무적 사항 이외의 규정은 자율적인 규정입니다. 그러므로 시설
주나, 설계 및 시공자가 계약상 기술시방서 등에서 내선규정을 채택하여 이를
사용하는 것은 자율적인 사항입니다.
참고로 내선규정은
ⅰ) 의무적 사항(전기설비기술기준)
ⅱ) 권고적 사항
ⅲ) 장려적 사항으로 구분되어 있으므로 이 규정의 내용 및 분류에 대한 기본
적인 개념에 유의하여 실제 적용에 착오가 없기를 바랍니다.
108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제 목 관로공사시 케이블 허용전류 계산법 (FAQ 13번)

설 명

ELP관을 이용한 지중관로 공사의 경우에 대한 허용전류 및 보정계수 적용방법을


설명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본 설명은 내선규정 부록 500-2 및 KS C IEC 60364-5-52의 부속서에 따른 공사


방법과 보정계수에 의한 허용전류를 구하는 방법이며, 2020년 5월 11일 IEC 위원회
의 자문을 받은 내용을 근거로 수정되었음을 밝히며, 이전에 본 내용과 다르게 설
명되었던 것은 본 설명으로 모두 정정하오니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 전제조건 및 주의사항 ]
① 1개 관로에는 1회로 시설 원칙임 (KS C 3140)
② 집합보정계수는 평균값임
③ IEC에서 제공하지 않는 보정계수는 IEC 60287에 따라 직접 산출하여야 함.

1. 계산 조건

○ 계통 공급방식 : 3상4선식 220/380 V 2회선


○ 전선의 종류 : 단심 CV 케이블 300㎟ × 8가닥
○ 지중공사 방식 : ELP관 2개를 병렬로 배열하고 (ELP는 밀착 시공함)
○ 지중온도 : 30℃

2. 공사방법
○ ELP관, 단심케이블이므로 표 52-3에서 71번 ‘D1’적용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09

3. 적용할 계수 목록(표 A.52-1에서 찾음)


○ CV케이블은 XLPE 절연체, 구리 도체이고 3상4선식은 4가닥씩 2개회로로 구성
되므로 3부하전선 2회로로 간주할 수 있음
(복수회로의 전류가 평형상태인 경우 중성선은 부하 전선 수에서 제외
→ 내선규정 1435-1)

○ 따라서 본 예시에서 적용하는 계수는 아래와 같음


① 허용전류표 : A.52-5 no.7
② 주위온도계수 : A.52-15
③ 집합보정계수 : A.52-19

4. 각 표에 의한 계산결과

① 표 A.52-5 no.7 : 동선 300㎟의 허용전류 365A

② 표 A.52-15 : 지중온도가 30℃이므로 온도 보정계수 0.93

③ 표 A.52-19의 B (1통로 닥트내의 단심케이블) 집합 보정계수 :


덕트 간격이 0이고, 회로의 수(덕트의 수)가 2개이므로 0.8

5. 보정계수를 적용한 회선별 허용전류 합계

1회선에 대한 허용전류
= 동선의 허용전류 × 온도 보정계수 × 집합 보정계수
= 365×0.93×0.8
= 271.6A
110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제 목 HFIX, HIV, VCTF 전선에 대하여 (FAQ 14번)

설 명

전선은 제조사마다 호칭이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해당 KS 규격으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아울러 KS 규격은 전선의 피복에 기재되어 있거나 제조사 카탈
로그로 확인 가능한데, 최근 질의가 많은 HFIX, HIV, VCTF 전선에 대해 설명하오
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HFIX 전선
① 규격 : KS C 3341 에 의함
② 공식명칭 :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 전선
③ 사용근거 : 판단기준 제4조(절연전선), 제168조(옥내배선의 전선)
④ 용도 : 450/750V 이하 일반 전기배선에 사용 (옥내배선용)
- HF : 저독성 난연(halogen free flame retardant)
- I : 절연 전선(insulation wire)
- X : 가교 폴리올레핀(cross-linked polyolefin)

2. VCTF 전선
① 규격 : KS C IEC 60227-5 에 의함
② 공식명칭 : 300/500 V 이하 유연성 비닐 케이블 (코드)
③ 용도 및 근거 : 이동용, 판단기준 제198조(이동전선의 시설) 외
④ 참고사항

▪유연성케이블(코드)는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것


으로서 정격전압이 100 V 이상 1 kV 이하, 공칭단면적 6 ㎟ 이하의 것에 한
한다. 코드는 재료 등에 따라 여러 가지로 구분되어지지만 일반적으로 사용
되는 것은 고무코드(단심, 2개연, 원편(圓編), 대편(袋編)), 비닐코드(단심, 2개
연), 고무 캡타이어 코드, 비닐 캡타이어 코드, 금사코드가 있다.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11

▪코드 중 비닐코드 및 비닐캡타이어코드는 방전등, 라디오 수신기, 선풍기, 전


기 이발기, 전기스탠드 등 전기를 열로서 이용하지 않는 전기기계기구 및 비
교적 온도가 낮은 보온용 전열기(전열기와 이동전선과의 접속부의 온도가 80
℃ 이하이고 또한, 전열기의 표면 온도가 100 ℃를 초과할 우려가 없는 것에
한한다), 전기 온수조 등에 한해서 사용할 수 있고 전구선 및 고온으로 사용
하는 전열기류에 사용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다. (판단기준 제197조제①항, 판
단기준 제198조제②항) 또한, 금사코드는 전기면도기, 전기 이발기 등 가볍고
작은 전기기계기구에 한해서 사용할 수 있다. (판단기준 제198조제①항)
▪코드의 굵기는 금사코드를 제외하고는 단면적 0.75 ㎟ 이상인 것에 한하고
있다. (판단기준 제198조제②항, 판단기준 제205조)
▪허용전류에 관해서는 판단기준 제178조에 저압 옥내배선에 사용하는 절연전
선만 규정하고 있다.

3. HIV 전선
HIV 전선은 과거 KS C 3328 표준에 의하여 생산되어 사용하던 제품이나,
'09.10.27 표준이 폐지됨에 따라 현재는 생산이 중지된 제품입니다. 그러나 일
부 현장에서는 KS C IEC 60227-3으로 제조된 제품을 ‘HIV’라는 호칭으로 사
용된 경우가 있는데, 본 표준에는 아래와 같이 기기배선용과 일반용이 있으므
로 사용에 주의를 요합니다.

① 규격 : KS C IEC 60227-3 에 의하며 시험온도와 절연체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합니다.

종 류 기호 비 고
450/750 V 일반용 단심 비닐 절연전선 60227 KS IEC 01 70℃, 1.5∼400㎟
450/750 V 일반용 유연성 단심 비닐절연전선 60227 KS IEC 02 70℃, 1.5∼240㎟

300/500 V 기기 배선용 단심 비닐절연전선 60227 KS IEC 05 70℃, 0.5 ∼ 1㎟

300/500 V 기기 배선용 유연성 단심 비닐절연전선 60227 KS IEC 06 70℃, 0.5 ∼ 1㎟

300/500 V 기기 배선용 단심 비닐절연전선 60227 KS IEC 07 90℃, 0.5∼2.5㎟

300/500 V 기기 배선용 유연성 단심 비닐절연전선 60227 KS IEC 08 90℃, 0.5∼2.5㎟

② 사용기준 근거 : 판단기준 제4조(절연전선), 제168조(옥내배선의 전선).


112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제 목 KEC가 판단기준과 다른 주요사항 요약 (FAQ 22번)

설 명

□ 저압범위 확대 (KEC 111.1)


○ 국제표준에 부합한 저압범위 설정 통한 관련 보호방식의 직접 적용 기여
○ 관련 기기의 인증/확인 중복 절차 단순화 및 재생에너지산업 활성화 기여

전압구분 현행 기술기준 KEC


교류 : 600 V 이하 교류 : 1,000 V 이하
저압
직류 : 750 V 이하 직류 : 1,500 V 이하
고압 교류 및 직류 : 7 kV (현행과 같음)
특고압 (상한 없음) (현행과 같음)

□ 전선식별법 국제표준화 (KEC 121.2)


○ 국내 규정별 상이한 식별색상의 일원화 : 기타사항 KS C IEC 60445 참조
○ 원활한 산업계 적용을 위하여 국내 전선업계 협의 완료

전선구분 현행 기술기준 KEC 식별색상


상선(L1) - 갈색
상선(L2) - 흑색
상선(L3) - 회색
중성선(N) - 청색
접지/보호도체(PE) 녹색 또는 녹황교차 녹황교차

□ 개소별 시설조건을 고려한 배선 선정 (KEC 232.5)


○ 차단기 정격전류에 따라 일괄적으로 적용한 배선선정방식 폐지(’21 시행)
- 현행 두 가지 선정방식 중 “차단기정격기반 선정방식”만 폐지(표 참조)
○ 배선의 시설조건에 따른 선종・절연체・상선수별 허용전류 적용(IEC 부합)
- 배선공사방법 등 시설조건이 전선의 허용전류에 미치는 환경영향 고려
- 현실적인 허용전류 도출을 통한 전기안전 확보에 기여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13

배선구분 현행 배선 선정방식
KEC 배선 선정방식
(차단기정격) 차단기정격기반 허용전류
15A 연동선 2.5 ㎟
20A 연동선 4.0 ㎟ KS C IEC 60364-5-52 [현행 허용전류방식 (KS C IEC
30A 연동선 6.0 ㎟ “부속서 B”에 의한 선종별 60364-5-52 “부속서 B”에 의한
40A 연동선 10.0 ㎟ 굵기 선정 선정)에 의한 것과 같음]

50A 연동선 16.0 ㎟

□ 종별 접지설계 방식 폐지 (KEC 140)


○ 접지대상에 따라 일괄 적용한 종별접지(1종, 2종, 3종, 특3종) 폐지(’21 시행)
○ 국제표준의 접지설계 방식 도입을 통한 현장 특화된 접지시스템 구분 설정
- 계통접지 : 전력계통의 이상현상에 대비하여 대지와 계통을 접속
- 보호접지 : 감전보호를 목적으로 기기의 한 점 이상을 접지
- 피뢰시스템접지 : 뇌격전류를 안전하게 대지로 방류하기 위한 접지
○ 접지설계 방식의 국내 수용성 향상을 위한 접지시스템의 시설 종류 설정
- 단독접지 : (특)고압 계통의 접지극과 저압 접지계통의 접지극을 독립적으로
시설하는 접지 방식
- 공통/통합접지 : 공통접지는 (특)고압 접지계통과 저압 접지계통을 등전위 형
성을 위해 공통으로 접지하는 방식, 통합접지 방식은 계통접지・통신접지・피
뢰접지의 접지극을 통합하여 접지하는 방식
○ 수전전압별 접지설계 시 고려사항
- 저압수전 수용가 접지설계 : 주상변압기를 통해 저압전원을 공급 받는 수용
가의 경우 지락전류 계산과 자동 차단조건 등을 고려하여 접지설계
- (특)고압수전 수용가 접지설계 : (특)고압으로 수전 받는 수용가의 경우 접
촉·보폭전압과 대지전위상승(EPR), 허용 접촉전압 등을 고려하여 접지설계

접지대상 현행 접지방식 KEC 접지방식


(특)고압설비 1종: 접지저항 10Ω
•계통접지 : TN, TT, IT 계통
600V이하설비 특3종: 접지저항 10Ω •보호접지 : 등전위본딩 등
•피뢰시스템접지
400V이하설비 3종: 접지저항 100Ω

변압기 2종: (계산요함) “변압기 중성점 접지”로 명칭 변경


114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접지대상 현행 접지도체 최소단면적 KEC 접지/보호도체 최소단면적

(특)고압설비 1종: 6.0 ㎟ 이상 상도체 단면적 S(㎟)에 따라 선정*


• S 󰁄16 : S
600V이하설비 특3종: 2.5 ㎟ 이상 • 16≺ S 󰁄35 : 16
400V이하설비 3종: 2.5 ㎟ 이상 • 35≺ S : S/2
또는 차단시간 5초 이하의 경우

변압기 2종: 16.0 ㎟ 이상 •     
* 접지도체와 상도체의 재질이 같은 경우로서, 다른 경우에는 재질 보정계수(k1/k2)를 곱함

□ 과전류보호장치 선정방식의 국제표준화 (KEC 212)


○ 기계기구 정격전류에 종속된 과부하보호장치 정격 선정방식 탈피
○ 과부하보호와 단락보호를 포함한 과전류보호방식의 명확화
- 과부하보호 : 전선의 과부하 보호점(1.45 Iz)에 근거한 보호장치 정격전류(In)
선정 및 기동전류 등을 고려한 규약동작전류 특성 검토
- 단락보호 : 단기 허용온도 도달시간, 전동기 돌입전류, 회로 최대고장전류 등
단락보호 장치 선정 근거 제시
○ 보호장치의 분기점 설치 원칙 및 예외 설치를 위한 보완조치 명확화
- 분기점 : 배선의 변경 등으로 인해 허용전류가 작아지는 지점
- 상위 보호장치에서 하위 분기회로 보호 시 보호범위까지 거리 제한 없음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15

구분 현행 배선 선정방식 KEC 배선 선정방식


[과부하보호] [과부하보호]
•전등・전열회로: Iz 이하 •정격전류 선정 시 고려사항
•코드, 전등기구용심선 등 전로: - 부하의 설계전류
15A 또는 20A - 전선의 과부하 보호점
•정격 50A 초과 기계기구 전로: - 전동기 기동전류
기계기구 정격의 1.3배 이하
•전동기 등만의 전로 : 2.5 Iz 이하
과전류
보호장치
정격전류

[단락보호] [단락보호]
(정격 선정 관련 별도규정 없음) •단락보호장치 선정 시 고려사항
- 전선 허용온도 도달시간[단시간사고,
    등]
- 전동기 돌입전류 유형
- 회로의 최대고장전류

과전류 •3m 이내 : 설치 원칙 •분 기 점 : 설치 원칙


보호장치
•8m 이내 : Iz2 ≥ 0.35 InP1 •3m 이내 : 감전・화재보호 전제
설치위치
(분기점기준) •제한없음 : Iz2 ≥ 0.55 InP1 •제한없음 : P1로 P2 전단 단락보호

* IzN : 도체 N의 허용전류, InPN : 보호장치(PN)의 정격전류

□ 주의사항
○ 상기 내용은 현행 「판단기준」 대비 변경된 일부 규정에 대한 요약자료로서
상세사항은 「KEC」 해당 규정 및 전체 규정, 발간된 기술지침서, 관련 교육 등
을 통한 구체적 확인 필요

□ 기술(참고)자료
- [KEC 제・개정확인] 기술기준홈페이지(kec.kea.kr) ⇒ 커뮤니티 ⇒ 공지사항
- [배선분야 지침서] 배선설비의 설계 및 공사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 [접지분야 지침서] 접지시스템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 [보호분야 지침서] 감전 및 과전류보호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116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제 목 KEC 기준적용일 및 적용대상에 대하여 (FAQ 21번)

설 명

□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의 시행일은 2021년 1월 1일이며 현행 「전기설비기술


기준의 판단기준」을 대체하는 시설안전기준으로서 통상적으로 공고 시행 당시
이미 시설되어 있거나 전기공사계획 인가(신고)를 받은 것 또는 전력기술관리
법 시행령 제18조 제4항의 규정에 의한 자가 이 공고 시행 전에 사업승인을
얻은 것에 대하여는 종전의 기준에 따를 수 있습니다.

□ 아울러 KEC의 적용대상은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과 같이 모든


전기설비가 대상이 되며 2021년 이후에 신설, 증설하는 모든 전기설비가 적용
대상이 됩니다.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17

제 목 KEC 이후 내선규정과 판단기준 개정여부 (FAQ 20번)

설 명

□ 전기사업법 제76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이 제정되었으며, 현장에 시공된


전기설비의 적합성을 판단해주는 기준이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입니
다(전기설비기술기준 제4조).

□ 그러나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과 「내선규정」은 미국, 일본 등 선진국


의 기준과 각종 실험적 결과에 근거한 것으로서 전기업계의 국제표준인 IEC와
상이함에 따라 산업계에 불필요한 규제와 불명확성에 대한 지적이 있었습니
다.

□ 이에 국제표준과의 부합화를 위해 「한국전기설비규정」(Korea Electro-technical


Code, KEC)이 제정되었으며, KEC는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을
대체하는 시설안전기준으로서 2018년 3월에 최초 공고하여 준비기간을 가졌고
시행일은 2021년 1월 1일입니다.

□ 따라서 2021년 1월 1일 이후에 모든 전기설비의 신규 시설은 KEC에 따라야


하므로 2021년 이후에는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과 「내선규정」의
개정계획이 없음을 알려드립니다.
118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제 목 KEC 시행시 판단기준 폐지 여부 (FAQ 19번)

설 명

□ 전기사업법 제67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이 제정되었으며, 현장에 시공된


전기설비의 적합성을 판단해주는 기준이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및 「
한국전기설비규정」(KEC)입니다(전기설비기술기준 제4조).

□ 따라서 2021년 1월 1일부터 신설(또는 증설)하는 전기설비의 적합성을 판단해


주는 기준이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 「한국전기설비규정」(KEC)으
로 변경되며,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은 KEC 시행에 맞춰 폐지
될 예정입니다.

□ 다만, 2021년 이후에 신설(또는 증설)되는 전기설비의 시설/점검/유지보수는


KEC 기준에 따르지만,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의하여 시설된
기존 설비에 대한 점검(예를 들면, 직무고시 등에 의한 점검 등)은 시설 당시
의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따라 업무를 처리하여야 할 것이므로 법
령으로서의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은 폐지되나 시설 당시의 기준을
참고하기 위한 자료로는 활용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19

제 목 KEC와 다른 경우의 전선색상 기준 (FAQ 18번)

설 명

□ KEC 121.2는 전선의 식별방법을 명시하고 있는데, 3항에서 “1항 및 2항을 제


외한 전선의 식별은 KS C IEC 60445에 적합하여야 한다.”고 제시하므로 KEC
122에 적합한 전선이 KEC 121.2의 1항 및 2항에 적합하지 않을 경우에는 전
선 종단부에 색상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도색, 밴드, 색 테이프 등의
방법으로 표시할 수 있습니다.

□ 즉, KS 규격에 의하여 피복이 검정색으로 생산되는 케이블류와 피복이 없는


부스바 등은 피복이나 절연체의 색상을 KEC에 맞출 수 없으므로 종단 접속부
에서 색상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도색, 밴드, 색 테이프 등의 방법으
로 표시할 수 있으며 기타 색상기준은 KS C IEC 60445를 참고하시기 바랍니
다.

□ 전선식별 변경 전후 - 증설 및 신설 적용 예시
120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제 목 KEC 설비와 판단기준 설비가 혼재된 경우 (FAQ 17번)

설 명

□ 2021년 1월 1일 이후에 전력설비를 신설하거나 증설하는 설비는 KEC에 따라


야 하는데, 판단기준에 따라 시설된 기존설비와 전선의 색상이 다르다든지 기
준이 다른 두 가지의 설비가 혼재 되어 전기안전 재해가 예상될 경우에는 상
기 법령에 따라 기존 전기설비를 신설(또는 증설하는) 설비와 동일한 기준으로
변경하는 등의 조치를 취하시기 바랍니다.

〈 전기사업법 제67조 〉

③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은 제1항에 따라 기술기준을 변경하는 경우 기존의 전


기설비에 대하여는 변경 전의 기술기준을 적용한다. 다만, 공공의 안전 확
보를 위하여 변경된 기술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조 〉

① 전기설비는 감전, 화재 그 밖에 사람에게 위해(危害)를 주거나 물건에 손


상을 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한다.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21

제 목 KEC 기준에 따른 접지저항 값에 대하여 (FAQ 16번)

설 명

□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조는 접지의 종류를 제1종, 제2종,


제3종, 특별 제3종 접지공사로 구분하고 동 기준 제19조에 따라 시설하여야 하
며, 전로에 시설하는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 외함에는 동 기준 제33조에
따라 접지공사를 시행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그러나 국제 표준인 IEC는 계절적으로 변하는 접지저항 값보다는 안전을 위한


접촉전압으로 관리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개념으로 계통 고장시 인체의 감전
에 대한 안전보호가 주 목적입니다.

□ 따라서, KEC 시행 이후에도 현재와 같이 단독접지, 공통접지, 통합접지를 시


공하는 것은 가능하나(KEC 141) 그 접지저항 값을 별도로 규정하지 않으므로
KEC 140항의 접지시스템 및 KEC 210항의 안전을 위한 보호 원칙을 준수하여
야 합니다.

□ 이와 같은 업무처리 순서 및 계산 방법 등은 시중의 기술서적이나 관련 교육


을 이용하시기 바라며, 우리 협회에서도 관련 업무에 도움을 주고자 「감전 및
과전류보호 설계기술지침」(KECG 1702-2019), 「접지설계에 관한 기술지침」
(KECG 1703-2019), 「등전위본딩에 관한 기술지침」(KECG 9103-2015), 「저압전
기설비의 SPD 설치에 관한 기술지침」(KECG 9102-2015) 등을 발행하였으니 참
고하시기 바랍니다.
122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제 목 KEC 개정의견 제출 방법에 대하여 (FAQ 15번)

설 명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은 누구나 수시로 제・개정 의견을 제출할 수 있으므로 아


래와 같은 절차와 방법에 따르시기 바랍니다.

□ 의견제출 : 상시 접수

□ 제출방법 : 개정안, 개정필요성/배경, 기술적 근거, 산업계 수용성 등 양식에


따라 작성하여 공문 제출(양식은 다음 페이지 또는 홈페이지 참조)

□ 제출처 : [email protected]

※ 제・개정되는 규정, 행사, 교육 등 KEC 전반에 대한 상세사항은 전기설비기술


기준 홈페이지(kec.kea.kr)를 통해 상시 확인이 가능합니다.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23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KEC 제·개정 제출의견서

구분 현 행 제ㆍ개정(안)

기술기준
/
KEC

산업계
해당 전기설비 설계시공감리운영유지보수안전관리 등 현황
현황

제개정
개정 목적, 문제점, 필요성 및 개선방안 등
사유

관련
국내외 법/규정 및 표준 자료, 설계시공연구 사례 등
근거자료

비고

※ 산업계 현황, 현행 문제점, 개정 필요성, 관련 근거자료는 반드시 상세히 작성


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2개 조항 이상 제개정(안) 제출하는 경우, 상기 표를 새로 추가하여 작성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제출방법 : 각 구분에 따라 의견서 작성 후, 공문으로 제출([email protected])


문 의 처 : 02-2223-3685 (고재훈 대리)
124 Ⅱ. 자주하는 질의 (FAQ)

제 목 「배선설비의 설계 및 공사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정오표

1. 정오표

행, 표번호,
페이지 오(誤) 정(正)
그림번호

27 표 3.12 금속관의 내 단면적 32% (붙임1 참고)

34 표 3.14 가요전선관의 내 단면적 32% (붙임2 참고)

표 3.28,
64 C, 표 4.1의 항목 2 C
30번행 4열

표 3.30,
71 C, 표 4.1의 항목 3 C
21번행 4열

표 3.30,
71 C, 표 4.1의 항목 3 C
23번행 4열

표 4.1
단심케이블: E
86,87 항목번호 E 또는 F
다심케이블: F
31~35번행 4열

표 4.11
105 (붙임3 참고)
도체분류 관련

표 4.12
107 (붙임4 참고)
도체분류 관련

2. “허용전류 산정방법 예제 2”(p114) 정정내용 설명

① [조건 2] : 표준공법이 아니므로 내용을 삭제함

② [조건 3] :

▪지침서의 예제는 보정계수를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풀이하였으나 보정계수를


적용하여야 함 (보정계수 적용 예시는 본 책자 FAQ 2번 참고)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25

[붙임 1] 표 3-12 (금속관의 내 단면적 32%) 수정 후 (p.27)

표 3.12 금속관의 내 단면적 32%

후강전선관 박강전선관 나사없는 전선관


내경 32% 내경 32% 내경 32%
호칭 호칭 호칭
(mm) (㎟) (mm) (㎟) (mm) (㎟)
16 16.4 68 C19 15.9 64 E19 16.7 70

22 21.9 120 C25 22.2 124 E25 23.0 133

28 28.3 201 C31 28.6 205 E31 29.0 211

36 36.9 342 C39 34.9 306 E39 35.3 313

42 42.8 460 C51 47.6 569 E51 48.0 579

54 54 732 C63 59.5 889 E63 60.3 913

70 69.6 1,217 C75 72.2 1,309 E75 72.6 1,324

82 82.3 1,701

92 93.7 2,205

104 106.4 2,844


126 Ⅱ. 자주하는 질의 (FAQ)

[붙임 2] 표 3-14 (가요전선관의 내 단면적 32%) 수정 후 (p.34)

표 3.14 가요전선관의 내 단면적 32%

제1종 가요전선관 제2종 가요전선관


호 칭 호 칭
내경 (mm) 32% (㎟) 내경 (mm) 32% (㎟)

10 9.7 23 10 9.2 21

12 12.2 37 12 11.4 33

16 15.8 62 15 14.1 50

22 20.8 108 17 16.6 69

28 26.4 175 24 23.8 142

36 35.0 307 30 29.3 216

42 40.0 401 38 37.1 346

54 51.3 661 50 49.1 606

70 62.9 993 63 62.6 984

82 77.9 1,524 76 76.0 1,451

92 88.9 1,985 83 81.0 1,648

104 101.6 2,593 101 100.2 2,522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27

[붙임 4] 표 4.11 수정 후 (p.105)


표 4.11 허용전류 기준값 F (기준 주위온도 40℃)

F 허용전류
PVC절연(단심케이블) XLPE 또는 EPR절연(단심케이블)
구리 도체 알루미늄 도체 구리 도체 알루미늄 도체
도체의 3개 3개 3개 3개
2개 수평 2개 수평 2개 수평 2개 수평
공칭 부하 부하 부하 부하
부하 3개 부하 3개 부하 3개 부하 3개
단면적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도체
(㎟) 삼각 삼각 삼각 삼각
접촉 밀착 접촉 밀착 접촉 밀착 접촉 밀착
배치 배치 배치 배치

1.5
2.5
4
6
10
16
25 114 96 99 85 73 76 146 123 128 110 94 97
35 141 119 124 106 91 95 182 154 160 136 117 123
50 170 145 151 130 111 116 220 188 196 167 145 150
70 218 188 196 167 144 150 282 244 254 216 187 196
95 264 230 239 204 177 184 343 298 311 263 230 240
120 306 268 279 237 206 215 398 348 364 307 269 280
150 353 310 324 275 238 250 459 404 422 354 312 326
185 403 356 371 316 274 287 523 464 485 407 359 376
240 475 422 441 374 326 341 618 552 577 482 429 448
300 547 488 511 432 377 396 712 640 670 558 498 520
400 656 571 599 522 458 480 855 749 790 673 603 631
500 755 652 686 604 531 557 985 861 908 779 701 733
630 874 744 787 703 618 649 1141 990 1047 906 818 857

주위온도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PVC절연 1.40 1.34 1.28 1.21 1.14 1.08 1.00 0.90 0.81 0.70 0.57
XLPE/ 1.00
1.26 1.23 1.18 1.14 1.09 1.05 0.95 0.90 0.83 0.78 0.71 0.63 0.54 0.45
EPR절연
[비고1] 이 계수는 상기와 같이 단일 층에 공사한 케이블 집합(개연형상의 집합)에 적용하고, 상호
접속한 2층 이상의 케이블에는 적용하지 않는다. 이러한 공사방법에 대한 계수는 상당히
작으며, 적절한 방법을 통해 결정하여야 한다.
[비고2] 이 값은 트레이간의 수직간격이 300 mm, 케이블 트레이와 벽의 간격은 20 mm 이상인 경
우이다. 이보다 좁은 수직간격인 경우 계수를 줄여야 한다.
집합계수 [비고3] 이 값은 배면방향으로 부착한 트레이 사이의 수평간격이 225 mm인 경우이다. 이보다 좁
[표4.11-1] 은 간격인 경우 계수를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고4] 상마다 복수의 케이블이 병렬로 있는 회로인 경우, 이 표의 적용을 위해 도체의 삼상 도체
세트를 하나의 회로로 간주한다.
[비고5] 상(phase)당 병렬도체 m개로 구성된 회로인 경우, 저감계수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이 회로
를 m개 회로로 간주하여야 한다.
[비고6] 16 ㎟ 이하의 경우 단심케이블에 대한 허용전류를 나타내는 수치가 없음
128 Ⅱ. 자주하는 질의 (FAQ)

[붙임 4] 표 4.12 수정 후 (p.107)

표 4.12 허용전류 기준값 G (기준 주위온도 40℃)

G 허용전류
PVC절연(단심케이블) XLPE 또는 EPR절연(단심케이블)
구리 도체 알루미늄 도체 구리 도체 알루미늄 도체
도체의
수평 수평 수평 수평 수평 수평 수평 수평
공칭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3개도체
단면적
수평이격 수직이격 수평이격 수직이격 수평이격 수직이격 수평이격 수직이격
(㎟)

1.5
2.5
4
6
10
16
25 127 113 97 86 166 146 125 111
35 157 141 121 108 206 183 156 139
50 190 171 147 132 250 224 191 171
70 244 221 189 170 321 289 247 222
95 297 270 230 210 391 354 302 273
120 344 315 268 245 455 413 352 319
150 397 364 310 284 525 479 408 371
185 453 418 354 327 601 550 469 428
240 535 495 419 389 711 654 556 510
300 617 573 484 451 821 758 644 593
400 741 692 584 547 987 917 779 721
500 854 800 674 635 1140 1064 902 838
630 990 931 783 741 1323 1239 1050 987
* G의 설치방법
벼과의 간격이 케이블 애자지지 나전선 또는
지름의 0.3배 이상인 단 절연전선
심 또는 다심케이블

주위온도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PVC절연 1.40 1.34 1.28 1.21 1.14 1.08 1.00 0.90 0.81 0.70 0.57

XLPE/
1.26 1.23 1.18 1.14 1.09 1.05 1.00 0.95 0.90 0.83 0.78 0.71 0.63 0.54 0.45
EPR절연
[비고1] 적용방법 G의 경우에는 집합계수가 해당이 없다.
[비고2] De는 케이블의 바깥지름을 나타낸다.
Ⅲ. 자주하는 질의 (FAQ) 129

제 목 「감전 및 과전류보호 설계기술지침」 정오표

행, 표번호,
그림 2-29
그림번호

오(誤)

<그림 2-29> SELV, PELV 및 FELV 개요

정(正)

<그림 2-29> TN-S 계통의 SELV, PELV 및 FELV 개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31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ㆍ회신 사례

1. 제1장 총칙

2. 제2장 발전소ㆍ변전소ㆍ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3. 제3장 전선로

4. 제4장 전력보안 통신설비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6. 제6장 전기철도 등

7. 제7장 국제표준도입

8. 제8장 지능형전력망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10. 기타사례

1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33 장

1. 제1장 총칙
(제1조 ~ 제43조)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35

제 목 전기설비기술기준의 법적 근거

(회신 : 2018. 08. 14.)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의 법적 근거를 알고 싶습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은 전기사업법 제67조(기술기준)와 전기사업법


시행령 제43조(기술기준의 제정)를 근거로 전기설비기술기준이 제정되어 고시
되며, 동 기준에 의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이 공고되고 있으므로 법
적 효력을 갖고 있습니다.

□ 참고로 전기사업법 제66조(일반용전기설비의 점검), 제68조(전기설비의 유지),


제71조(기술기준에의 적합명령)에 따르지 않을 경우 전기사업법 제12장 벌칙
규정에 의거하여 벌금 및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 국가법령정보센터(http://www.law.go.kr/LSW/main.html) 전기사업법 참조
136 1. 제1장 총칙

제 목 부하 불평형시 부하전선의 굵기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조 (회신 : 2019. 07. 02.)

질 의

○ 내선규정 제1435-1절 제2조 4항 "부하 전선 수"를 보면 "전선의 굵기는 가장


큰 상전류로 하여야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는데, 그렇다면 분전반 주 차단기
관련 케이블 선정 시, 3상이 불평형일 경우 가장 큰 전류가 흐르는 상의 전류
값을 기준으로 케이블 굵기를 선정하는 것이 옳은 것인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조는 “전기설비는 감전, 화재 그 밖에 사람에게 위해(危


害)를 주거나 물건에 손상을 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하고, 다른 전기설
비나 물건의 기능에 전기적, 자기적인 장해를 주지 않아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또한, 전기설비의 부하 불평형이 과도할 경우에는 일부 변압기가 소손되는 등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데, 계절이나 시간 및 전력소비 형태 등에 따라 어느
상이 가장 큰 전류가 흐를지 예측이 어렵기 때문에 전선의 굵기를 가장 큰 상
전류를 기준으로 하라는 의미이므로 부하 예측이 어려운 경우는 물론, 전기재
해로부터 안전하게 시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37

제 목 절연테이프 시공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조 (회신 : 2020. 06. 23.)

질 의

○ 전선의 피복이 벗겨졌을 때, 절연테이프를 감는데, 이에 대한 별도규정이 있는


지요?
○ 옥외 저압 케이블 시공시 피복이 벗겨져 절연테이프로 감고 금속덕트로 빗물
이 들어가지 않게 조치하였는데, 올바른 방법인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는 절연테이프의 시공방법 등을 다루고 있지 않습니다


(질의 1).

□ 다만,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3조에서 “전선은 통상 사용 상태에서


의 온도에 견뎌야 하고, 설치장소의 환경조건에 적절하고 발생 할 수 있는 전
기・기계적 응력에 견디는 능력이 있는 것을 선정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음에 따라 절연전선이나 케이블 등의 피복이 손상되어 해당 부위의 절연을
보강할 경우에는 해당 전선의 절연물과 동등이상의 절연효력이 있는 것으로
충분히 피복함은 물론, 수분침투 억제능력 등 해당 전선의 인증규격에서 정하
는 기준 이상의 효력이 있도록 조치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2).

□ 아울러 손상된 전선의 보강 또는 교체 등은 제조사에게 문의하거나 현장의 전


기설비 안전점검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 또는 감리자 등과 협의하시기 바랍니
다. 끝.
138 1. 제1장 총칙

제 목 옥내배선에 VCTF 전선을 사용하면 안 되는 근거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6조 (회신 : 2020. 01. 13.)

질 의

○ 저희 사업장 차단기에 VCTF 전선이 연결된 곳이 몇 군데 있는데, 정기검사에


서 사용하면 안 된다고 지적을 받았습니다.
○ 기술기준, 내선규정 등 조항을 찾아봐도 근거가 어디에 있는지 찾지를 못하였
는데, 근거가 무엇인지요?

회 신

□ 전선은 제조사마다 호칭이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에 KS 규격으로 구분하는 것


이 바람직하며(전선 피복에 기재되어 있거나 제조사에 확인), 귀하가 질의하신
VCTF 가 KS C IEC 60227-5에 의하여 생산된 전선이라면 이 전선의 공식명칭
은 “유연성 비닐 케이블”로서 일명 “코드”라고 불리는 전선입니다.

□ 아울러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0조 [표 180-3]과 같이 저압 옥내


배선에서는 나전선, 절연전선, 케이블 등이 사용 가능하나 “코드”는 동 기준
제6조와 제198조에 명시된 옥내 저압용 이동전선으로만 사용이 가능한데, 코드
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사례집 FAQ 3번 내용 또는 KS C IEC 60227-5 를
참조하시되, KS 규격은 기술표준원에서 제공하는 e-나라표준인증 홈페이지에
서 열람이 가능함을 알려드립니다. 끝.

※ e-나라표준인증 홈페이지 : https://www.e-ks.kr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39

제 목 제어용 케이블을 전원용으로 사용 가능한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8조 (회신 : 2020. 08. 03.)

질 의

○ 0.6/1kV 제어용 케이블(TFR-CVV) 을 전원용(전력)으로 사용해도 무방한가요?


사용 전압은 220v이하입니다.
○ TFR-CV와 TFR-CVV CABLE 모두 IEC 6050에 따르는데, 이 표준에는 XLPE와
PVC 절연체에 따라 사용처를 구분한다는 내용이 없고, PVC 절연의 케이블
역시 전원 공급용으로 사용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TFR-CVV 역시
전원공급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 되는데, 허용전류 계산에 따라 제어용
케이블(CVV) 도 가능한 범위내의 허용전류내에서는 전원용으로 사용가능 한
거 아닌지요?

회 신

□ 전기배선에 사용이 가능한 저압케이블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8


조에 따라 사용이 가능하며, 케이블의 절연체 종류가 같다고 하여 용도가 같
은 것은 아님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전기기기 등과 같이 제품과 일체화된 전선은 해당 기기의 제조규격으


로 정하고 있으므로 귀하가 질의하신 0.6/1kV 제어용 케이블(TFR-CVV)이 해
당 기기의 전원용(전력용)으로 인증되었다면 해당 기기의 전원용(전력용)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이며, 귀하가 질의하신 TFR-CV와 TFR-CVV의 규격상 차이점
은 해당 표준인 KS C IEC 60502-1을 참조하시거나 제조사에 문의하심이 타당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140 1. 제1장 총칙

제 목 전선의 병열접속 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1조 (회신 : 2019. 04. 19.)

질 의

○ 판단기준 11조 전선의 접속법 문의드립니다.


6. 두개 이상의 전선을 병렬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음 각 목에 의하여 시설할 것.
가. 병렬로 사용하는 각 전선의 굵기는 동선 50 ㎟ 이상 또는 알루미늄 70 ㎟
이상으로 하고, 전선은 같은 도체, 같은 재료, 같은 길이 및 같은 굵기의 것
을 사용할 것.
나. 같은 극의 각 전선은 동일한 터미널러그에 완전히 접속할 것.
다. 같은 극인 각 전선의 터미널러그는 동일한 도체에 2개 이상의 리벳 또는 2
개 이상의 나사로 접속할 것.
라. 병렬로 사용하는 전선에는 각각에 퓨즈를 설치하지 말 것.
마. 교류회로에서 병렬로 사용하는 전선은 금속관 안에 전자적 불평형이 생기
지 않도록 시설할 것.

1. 단자대의 경우도 11조 6호를 적용 유무(첨부사진 참조)


1-1. 적용해야 된다면 전선1과 전선2의 전선의 굵기가 다르거나 50SQ이하의 경
우 추가 단자대를 설치해서 적용해야 되는지 여부
1-2. 터미널러그를 2홀로 사용해야 되는지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41

2. 아래 사진에서에서 11조 6호 적용 유무
2-1. 터미널러그를 2홀 짜리로 바꾸고 같이 연결해야 되는지 여부

3. 분전반이 현장여건에 따라 좌/우 판넬로 나누어지는 경우(편의상 좌판넬[메인],


우판넬[서브])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3-1. 메인과 서브의 버스바 규격 일치 여부 및 전선으로 버스바 연결시 전선도
버스바와 동일 규격(SQ)으로 적용해야 되는지 여부

4. 전선을 롱슬리브로 끼어서 압착하고 열수축튜브로 절연처리를 할 경우에 충분


한 피복으로 해석할 수 있는지, 아니면 기존 전선의 피복과 동일 재질과 두께
이상으로 해야 하는지 문의 드립니다.
142 1. 제1장 총칙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1조제6항은 병렬 사용 전선의 접속법에 관한


것으로 주 간선이나 대용량 선로의 경우 충분한 허용전류를 수용할 수 있는
버스덕트 등을 사용하지 않고 전선 등을 사용하는 경우 허용전류가 부족하여
두 개 이상의 전선을 병렬로 사용하는 경우가 있는데, 가능한 한 전기적 특성
이 불안정한 병렬전선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으나 현장여건상 병렬 전선사용
이 불가피 할 경우에는 허용전류 및 각종 전기적 특성을 동일한 조건에서 사
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병렬로 사용하는 각 전선은 반드시 동일한 도체,
동일한 굵기, 동일한 길이로 하고 처음 연결하는 곳과 끝 부분은 각 극을 동
일한 터미널에 연결하되, 같은 극인 각 전선의 터미널러그는 동일한 도체에 2
개 이상의 리벳 또는 2개 이상의 나사로 접속하는 등 접속점이 흔들림이 없고
전기저항을 동일하게 하여야 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2).

□ 또한, 옥내배선 또는 분전반에 사용하는 전선의 굵기는 판단기준 제168조, 제


176조, 제178조 등을 참조하시되 회로의 부하전류, 공사방법, 보정계수 등을 고
려하여 선정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3).

□ 아울러 동 조 제2항의 “절연전선의 절연물과 동등 이상의 절연효력이 있는 것


으로 충분히 피복할 것”이라는 문구는 접속 부분의 절연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접속 부분의 절연전선 절연체와 동등 이상의 절연 효력이 있는 접속기를
사용하든가 또는 접속 부분을 그 절연전선의 절연물과 동등 이상의 절연 효력
이 있는 것으로 충분히 피복하여야 함을 의미합니다(질의 4).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43

제 목 기술기준 제27조와 판단기준 제13조의 누설전류 비교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3조 (회신 : 2019. 06. 28.)

질 의

○ 2019년도에 새로 개정된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중, 누설전류에 대한 부분을 질


의하고자 합니다.

○ 기술기준 27조 3항에 따르면, 저압전선로의 절연저항은 사용전압에 대한 누설


전류가 최대 공급전류의 1/2000을 넘지 않도록 하여야 합니다.

○ 판단기준 13조 1항에 따르면, 저항성분의 누설전류가 1mA 이하시 그 전로의


절연성능은 적합한 것으로 봅니다.

○ 그렇다면, 저항성 누설전류가 1mA 이하이나 용량성 누설전류가 수 A로 매우


커서 최대 공급전류의 1/2000을 초과한 경우는 어떻게 판단하여야 하는지요?
용량성 누설전류가 과다하여도 저항성 누설전류가 기준이하이므로 문제가 없
는지, 아니면 용량성을 포함한 총 누설전류는 최대 공급전류의 1/2000을 초과
하면 안 되는 것인지, 확인을 부탁드립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3조는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의 절연성능


은 기술기준 제52조를 충족하여야 한다. 다만, 저압 전로에서 정전이 어려운
경우 등 절연저항 측정이 곤란한 경우 저항성분의 누설전류가 1mA 이하이면
그 전로의 절연성능은 적합한 것으로 본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기술기준 제27조는 저압전선로에서의 누설전류 기준치에 대한 기준이


며, 판단기준 제13조는 일반 가정 등에서 기술기준 제52조에 의한 방법으로 정
전 후 절연저항 측정이 어려운 경우에 분기회로별로 적용이 가능한 내용으로
서 서로 적용 기준이 다른 내용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144 1. 제1장 총칙

제 목 직무고시에 따른 누설전류 관리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3조 (회신 : 2019. 07. 31.)

질 의

○ 정전이 불가피한 대상물에 관하여 분기차단기 용량에 의한 ​


누설전류 기준치로
누설전류를 측정하여 수용가 절연저항을 대체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MCCB 이후 측정시 최대 공급전류는 차단기 용량 또는 부하 정격용량으로 하
는 것이 맞는지 이 또한 타당하면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7조는 가공 및 지중 전선로에 대한 절연성능을 명시하는


내용이며 동 기준 제52조는 저압 전기사용 장소의 개폐기 또는 과전류차단기
로 구분할 수 있는 전로 단위(분기회로 단위)의 절연성능 기준인데, 정전이 어
려운 경우에는 판단기준 제13조에서와 같이 분기회로 단위의 저항성분 누설전
류가 1mA 이하이면 그 전로의 절연성능은 적합한 것으로 본다는 내용입니다.

□ 따라서 전선로의 절연성능을 확인하는 기술기준 제27조와 저압 전기사용 장소


에서 분기회로로 구분되는 전로단위의 절연성능을 확인하는 기술기준 제52조
및 판단기준 제13조의 규정과는 별개로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아울러 “전로”란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 전기가 통하고 있는 곳을, “전선로”란


발전소・변전소・개폐소, 이에 준하는 곳, 전기사용장소 상호간의 전선 및 이
를 지지하거나 수용하는 시설물을 의미하는데(기술기준 제3조 참조) 기술기준
과 판단기준은 법적으로 준수하여야 할 의무기준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45

제 목 전로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측정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3조 (회신 : 2020. 09. 14.)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3조 (전로의 절연저항 및 절연내력) 1항에서


“사용전압이 저압인 전로에서 정전이 어려운 경우 등 절연저항 측정이 곤란한
경우에는 누설전류를 1[㎃]이하로 유지하여야 한다.”
○ 전로의 범위가 어디까지인지 문의 드립니다.
1. 세대 기준 콘센트까지 인지 아니면 부하도 포함인지요?
2. 부하를 제외한다면 전등부하의 경우 전등을 제거한 상태에서
누설전류를 측정해야하는 건가요?

회 신

□ 「내선규정」 1300-9는 “전로(電路)란 보통의 사용 상태에서 전기를 통하는 회로


의 전부 또는 일부를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으므로 전기제품을 제외한 것으
로 사료됩니다(질의 1).

□ 아울러 저압 전로의 절연성능은 「전기설비기술기준」 제52조를 충족시켜야 타


당하나 최근 정전이 어려운 경우 등 절연저항 측정이 곤란한 경우 「전기설비
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3조에 따라 저항성분의 누설전류가 1mA 이하이면
그 전로의 절연성능은 적합한 것으로 본다는 것으로서 본 조항은 분기회로별
로 1mA 이하를 충족하되, 누설전류 측정값에 오차가 심한 경우 해당 전기제
품을 전로에서 분리하고 측정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 끝.
146 1. 제1장 총칙

제 목 절연내력시험의 최대사용전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3조 (회신 : 2019. 05. 07.)

질 의

○ 전기설비 기술기준 13조를 보면, 케이블 절연내력시험을 할 때 가압하는 전압


의 기준을 최대사용전압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 최대사용전압을 어떻게 잡아
야할지 판단하는데 도움을 얻고자 문의 드립니다.

○ 현재 국내 화력발전소 설계 중으로, MV 사용전압은 11KV 입니다. 최대사용전


압을 사용전압인 11kV로 하는지, IEC에서 규정하고 있는 케이블자체 최대사용
전압인 12KV로 해야 하는지, 아니면 별도의 다른 기준이 있는 것인지 알려주
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로의 종 류 시험전압

1. 최대사용전압 7 kV 이하인 전로 최대사용전압의 1.5배의 전압

2. 최대사용전압 7 kV 초과 25 kV 이하인 중성점 접지식 전로(중성선을


최대사용전압의 0.92배의 전압
가지는 것으로서 그 중성선을 다중접지 하는 것에 한한다)

최대사용전압의 1.25배의 전압(10,500 V 미만으로 되는 경우는


3. 최대사용전압 7 kV 초과 60 kV 이하인 전로(2란의 것을 제외한다)
10,500 V)

4. 최대사용전압 60 kV 초과 중성점 비접지식전로(전위 변성기를 사용하


최대사용전압의 1.25배의 전압
여 접지하는 것을 포함한다)

5. 최대사용전압 60 kV 초과 중성점 접지식 전로(전위 변성기를 사용하여 최대사용전압의1.1배의 전압


접지하는 것 및 6란과 7란의 것을 제외한다) (75 kV 미만으로 되는 경우에는 75 kV)

6. 최대사용전압이 60 kV 초과 중성점 직접접지식 전로(7란의 것을 제외


최대사용전압의 0.72배의 전압
한다)
7. 최대사용전압이 170 kV 초과 중성점 직접 접지식 전로로서 그 중성점
이 직접 접지되어 있는 발전소 또는 변전소 혹은 이에 준하는 장소에 시 최대사용전압의 0.64배의 전압
설하는 것.
교류측 및 직류 고전압측에 접속되고 있는 전로는 교류측의 최
대사용전압의 1.1배의 직류전압
8. 최대사용전압이 60 kV를 초과하는 정류기에 접속되고 있는 전로
직류측 중성선 또는 귀선이 되는 전로(이하 이장에서 “직류 저압
측 전로”라 한다)는 아래에 규정하는 계산식에 의하여 구한 값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47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3조에서 명시한 최대사용전압이란 보통의 운


전상태에서 그 회로에 더해지는 선간전압의 최대값을 말하며, 경부하 운전 또
는 무부하 운전 등의 경우에는 전압변동을 고려해 최대사용전압을 정해야 합
니다. 따라서 계산상 혹은 경험으로부터 공칭전압의 1.15/1.1배를 상회하는 전
압인 것이 명백한 경우에는 최대 사용전압으로 하여야 하나 일반적으로는 공
칭전압의 1.15/1.1배를 상회하는 것은 드물기 때문에 아래에 같이 최대사용전
압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됨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2016 전기설비기술기준해설서 p.94 참조)

(1) 공칭전압이 1 kV 이하의 전로(⑤를 제외한다)는 그 전로의 공칭전압의 1.15배


로 한다.
(2) 공칭전압이 1 kV 초과 500 kV 미만의 전로(⑤를 제외한다)는 그 전로의 공칭
전압의 1.15/1.1이라고 한다.
(3) 공칭전압이 500 kV의 전로(⑤를 제외한다)는 525 kV 또는 550 kV의 그 어느
것으로 한다.
(4) 공칭전압이 정하여져 있지 않은 전로(⑤를 제외한다)는 그 전원이 되는 변압
기의 최고 탭 전압으로 한다.
(5) 전로의 전원이 변압기 이외의 경우는 전원이 되는 기기의 정격전압(전원이 다
수 있는 경우에는 그것들의 전원 중에서 최고의 것)이라고 한다.
(6) 회전기, 정류기, 변압기 및 기구 등에 관해서는 상기 (1) ~ (5)를 유추하여 적
용한다.

□ 아울러 전기설비기술기준 제3조제3항에서 “특고압의 다선식 전로(중성선을 가


지는 것에 한한다)의 중성선과 다른 1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시설하는 전
기설비의 사용전압 또는 최대사용전압은 그 다선식 전로의 사용전압 또는 최
대사용전압을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으며, 전선로의 사용전압 및 전선로의
공칭전압 등에 대하여는 KS C 0501(표준전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148 1. 제1장 총칙

제 목 공통접지 적용 기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8조 (회신 : 2020. 07. 20.)

질 의

○ 판단기준 제18조6항3호에 따르면 공통접지 관련 사항은 KS C IEC 60364-4-44


및 KS C IEC 61936-1의 10에 따르도록 되어 있는데, 저압전기설비는 KS C
IEC 60364-4-44 를 따르고, 고압 및 특고압 설비는 61936-1의 10을 따른다는
의미 인가요? (60364는 저압, 61936은 고압 및 특고압에 해당되기 때문임)
(1) 공통접지를 하면 특고압과 저압전기설비의 접지극을 공용하는데, 이로 인해
전압별로 적용을 구분할 수 없는 것 같아 상기와 같은 해석이 불가능한 것 같
은데 이에 대한 전기협회의 해석을 문의드립니다.
(2) 또한, 상기와 같이 해석되면 저압전기설비는 60364-4-44에 따른 스트레스 전압
등이 검토는 되지만, 61936-1의 10에 따른 인체 허용 접촉전압 요소는 적용이
되지 않아서 공통접지를 통한 인체 감전예방 목적에 부합하지 않는 것 같습니
다. 판단기준 제18조 6항 3호를 어떻게 적용 or 해석해야하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조제6항은 IEC 기반의 공통접지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는데, 공통접지는 고압 및 특고압과 저압 전기설비의 접지극이 서
로 근접하여 시설되어 있는 경우 위험전압이 발생하지 않도록 이들 접지극을
상호 접속하는 것으로서 귀하가 질의하신 동 기준 제18조제6항제3호는 “공통
접지 시설기준은 1, 2호에 명시된 내용 외에 KS C IEC 60364-4-44 및 KS C
IEC 61936-1의 10항에 따른다.”는 의미입니다.

□ 아울러 공통접지에 관한 국제 표준규격은 KS C IEC 61936-1의 10항에 따르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라며, 우리 협회는 IEC 기반의 접지시스템을 이해하기
쉽도록 예시를 들어 설명하는 「접지시스템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 등을
발간하고 관련 교육도 시행하고 있으므로 많은 활용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49

제 목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분전함의 접지저항 값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8조 (회신 : 2020. 10. 15.)

질 의

○ 판단기준 제18조5항 관련으로 주차단기에 30mA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전로의


철제 분전함 접지를 18조5항에 따라 완화된 접지저항 값을 적용가능한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조제5항을 적용하기 위한 조건은 기준에


명시된 바와 같이 “지락이 생겼을 때 0.5초 이내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
는 장치를 시설하면 해당 전로의 제3종 접지공사와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접
지저항 값은 자동 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에 따라 표 18-2에서 정한 값 이하로
한다.”는 내용입니다.

□ 따라서 귀하의 전로가 저압으로서 주 차단기에 정격감도전류 30mA이고 동작


시간이 0.5초 이내인 누전차단기를 시설했을 때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당해 분
전함의 외함 접지저항 값에는 적용이 불가하나

□ 설치된 누전차단기의 부하측에 연결되어 누전차단기로 보호되는 전로에 설치


된 분전함의 외함 접지저항 값은 판단기준 제18조제5항에 따라 500Ω 이하로
시설이 가능함을 알려드립니다. 끝.
150 1. 제1장 총칙

제 목 서지보호장치(SPD) 설치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8조 (회신 : 2020. 06. 29.)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조 접지공사의 종류 ➆항, ➇항에 서지보호


장치(SPD)를 설치하도록 명시하고 있습니다.
○ 판단기준 제152조의2 및 제298조, 발전용풍력설비 부문 판단기준 제8조 외 접
지공사 기준으로 질문드립니다.
1. 통합접지공사시 SPD를 설치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있으므로 개별접지 또는 공
통접지로 구성되어있는 현장에서의 서지보호장치(SPD) 미설치시 기술기준 및
내선규정 및 기타 관련 지침사항에 어긋나는 조항이 있는지요?
2. 관련 규정에 개별접지 또는 공통접지시 서지보호장치 의무설치 규정이 있는지
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조제7항은 “통합접지공사는 제6항의 규정


을 따르며, 낙뢰 등에 의한 과전압으로부터 전기설비 등을 보호하기 위해 KS
C IEC 60364-5-53(534. 과전압 보호 장치) 또는 한국전기기술기준위원회 기술
지침 KECG 9102-2015에 따라 KS C IEC 61643-11에 적합한 서지보호장치
(SPD)를 설치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전기설비의 접지계통과
건축물의 피뢰설비 및 통신설비 등의 접지극을 공용하는 “통합접지” 방식을
채용할 경우 뇌서지에 의한 전기설비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드시 서지
보호장치를 설치하여야 함을 명시한 것으로서 이는 의무사항이며(질의 1),

□ 본 조항 외에 전기설비 판단기준 제298조 및 발전용 풍력설비 판단기준 제8조


등은 접지공사의 종류와 무관하게 서지보호장치(SPD)의 설치를 명시하고 있는
데, 이는 낙뢰 및 서지 등 과도과전압으로부터 주요 설비를 보호하기 위함이
므로 접지공사의 종류는 해당 조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51

제 목 접지극(접지봉), 접지선의 시공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조 (회신 : 2018. 04. 25.)

질 의

○ 내선규정과 기술기준에 의하면 접지봉은 지하 75cm이상으로 하되 동결깊이를


감안하라고 나와 있는데, 지하라 하면 GL(Ground level)을 기준으로 밑을 말
하는 것인가요? (예를 들면, 지하주차장 1층 까지 있는 아파트에서 접지봉을
매설할 때 지상바닥에서부터 지하로 내려간 75cm인지, 지하주차장 바닥면에서
75cm인지가 애매합니다.)

○ 지하 75cm라는 의미가 접지봉을 박았을 때 상단이 75cm가 들어가야 하는 것


인지, 1800mm짜리 접지봉이 박히면 750mm이상으로 박히기 때문에 상관이
없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또한, 접지선도 매설하여야 하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조(각종 접지공사의 세목)에서는 고장시 접


지선에 전류가 흐르면 접지극의 접지저항에 의해 대지와 전위차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사람이 닿을 우려가 있는 장소에서는 접지극을 충분히 깊게 매설하고,
접지극에서부터 지상부분까지의 접지선을 대지와 충분히 절연하도록 하고 있
습니다. 또한 접지봉 길이에 관계없이 최소한 지면으로 부터 75cm 이상으로
하되 동결깊이를 감안하여 매설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 접지선은 접지극(접지봉 등)에 접속하는 금속선을 말하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 접지선 시설에 대해서 제19조제3항제2호 ~ 4호에 규정하고 있으
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152 1. 제1장 총칙

제 목 접지선의 공용(내선규정 1445-14)에 대한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조 (회신 : 2020. 04. 02.)

질 의

○ 내선규정 1445-14 접지선의 공용에 관해 문의 드립니다.


1445-13 접지선 및 접지극의 공용제한을 제외하고 접지선을 공동모선으로 하
는 경우 개개의 것에 제일 굵은 것을 모선으로 하여 접지선과 접지극을 공용
으로 사용 할 수 있다고 했는데 이때 1종 접지 및 2종 접지 구분 없이 이중
제일 굵은 선을 모선으로 하고 동일 개소 2종류 이상의 접지선을 서로 연결
시공해도 된다는 의미인지요?

회 신

□ 내선규정 1445-12(접지공사의 겸용)은 하나의 기기에 제1종 접지공사와 제3종


접지공사 등과 같이 두 종류 이상의 접지공사를 시행하는 경우에 제3종 접지
공사를 접지저항 값이 적은 제1종 접지공사로 겸용할 수 있다는 내용이며,

□ 동 규정 1445-14(접지선의 공용)은 하나의 접지극을 공용하는 여러 기기의 접


지선의 공동모선(共同母線) 또는 접지전용선의 굵기는 1445-13(접지선 및 접지
극의 공용 제한)에서 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개개의 것에 의하여 선정한
굵기 중에서 가장 굵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인 바,

□ 동 규정 1445-12는 동일 기기에 대한 접지인 경우를, 1445-14는 동일 접지극을


공용하는 경우로서 시설환경이 서로 다른 내용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53

제 목 보호도체의 단면적 산출 계산식 관련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조 (회신 : 2020. 06. 24.)

질 의

○ 보호도체의 단면적을 선정할 때 차단시간이 5초 이하인 경우에는



 
   계산식을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기술기준에 나와 있는데, 여기서

차단시간이 어떤 시간을 의미하는지요? 과전류 차단시간의 경우 과전류의 크
기에 따라 차단시간이 달라지는데 순시 차단 기능이 있다면 순시 차단 시간을
차단시간이라고 볼 수 있나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조제5항은 공통접지 및 통합접지공사를


하는 경우의 보호도체(PE) 단면적을 결정하는 기준을 기술한 것으로서 상세한
사항은 KS C IEC 60364-5-54를 참조하시기 바라며, 차단시간이 5초 이내인 경

 
우에만 적용하는 계산식    에서 't'는 고장발생 시 감전으로부터 보호하

기 위해 전원을 자동차단하는 보호장치가 동작하는 초 단위 최대 차단시간을
의미합니다.
□ 아울러, 모든 보호도체의 단면적은 고장시 자동 전원차단 조건을 충족하여야
하며, 보호장치의 차단시간 동안 예상 고장전류로 인해 발생되는 기계적 및
열적 응력을 견딜 수 있어야 하는데 32A이하 분기회로의 경우 다음 표와 같
이 정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120V < U ≤ 230V 230V < U ≤ 400V U > 400V
계통
s s s
교류 직류 교류 직류 교류 직류
TN 0.4 5 0.2 0.4 0.1 0.1
TT 0.2 0.4 0.07 0.2 0.04 0.1
154 1. 제1장 총칙

제 목 동선 외 타 금속재료의 접지선 시설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조 (회신 : 2018. 01. 15.)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19조(각종 접지공사의 세목)는 “접지공사의 접지선은 표


19-1에서 정한 굵기의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쉽게 부
식하지 않는 금속선으로써 고장시 흐르는 전류를 안전하게 통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으며

○ 내선규정 1445-3 에서는 “1. 접지선은 동선, 알루미늄선 사용 / 2. 접지선은 원


칙적으로 450-750v 일반용 단심 비닐 절연저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절연효
력이 있는 전선을 사용하여야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내선규정은 법령에 의해 규정된 것인지요? 동복강선(구


리피복강선)을 접지선으로 사용할 시 법에 문제가 되는지요?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내선규정에 동복강선 사용에 대한 규정을 추가개정하려


면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접지선의 안전수준을 판단하는 기준은 어떤 것입니까? 단순히 저항으로 규정


하는 것인지요? KS 규격에는 'KS C IEC 60364 시리즈의 규정을 일탈하는 새
로운 재료 발명품 또는 방법에 의해 설비가 설치되는 경우 안전수준은 KS C
IEC 60364 시리즈의 안전수준보다 낮아져서는 안 된다.'라고 되어있습니다.

○ 미국 등 몇몇의 나라에서는 IEEE80, ASTM 기준규격에는 동복강선(CCS,


copper clad steel)에 대한 단락전류 측정을 통해 접지선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한국에는 이와 같은 기준이 적용되지 않는 이유를 알고 싶습
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55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은 전기사업법 제67조(기술기준)에 근거하여 전기설비의 안전


관리를 위하여 필요한 기술기준을 정하여 고시한 것이며, 판단기준은 전기설
비기술기준의 안전성능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적 사항을 정하고 있는 것으로
이에 적합하지 않다고 인정될 경우 관련법규에 따라 사용제한 등의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전기사업법 제68조 및 제71조 참조). 내선규정은 그 성격이
민간 단체표준으로 기준/판단을 인용한 내용은 의무사항, 그리고 권고사항 및
장려사항으로 분류하여 정하고 있습니다.

□ 동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개정은 협회 홈페이지에 제시된 개정 의견서 및


근거를 제출해주시면 절차에 따라 검토 및 심의하도록 하겠습니다.

□ 동 판단기준 제19조(각종 접지공사의 세목)제1항과 같이 표19-1에서 정한 굵기


의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쉽게 부식하지 않는 금속선
으로 고장시 흐르는 전류를 안전하게 통할 수 있는 것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
습니다.

□ 따라서, 질의하신 동복강선이 동 판단기준 제19조에서 정한 금속선의 성능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끝.
156 1. 제1장 총칙

제 목 접지선 배선 관련 질의 모음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조 (회신 : 2020. 06. 24.)

질 의

질의 1. 이중천정 내 접지선 배선문의


접지선 1가닥, 전원선 1가닥, 스위치선 2가닥 총 4가닥의 전선이 이중천정 내
에서 조명기구 접속점까지 30cm 초과시 케이블 사용을 하려고 하는데, 접지선
은 비닐 절연전선으로 사용하고 전원선과 스위치선(2가닥)만 케이블(VVR-3C)
사용해도 가능한지요?

질의 2. 종별이 다른 접지선을 함께 포설해도 되는지 문의


동일한 케이블 트레이 또는 동일한 전선관 안에 분전반 전원선과 3종 접지선
및 다른 기기의 특3종 접지선을 같이 포설해도 되는지요?

질의 3. ACSR-OC 접지선을 노출 시공 시 배관을 사용하여야 하는지 문의


내선규정 제5부 저압전기설비의 시설, 제5240절 접지설비 5240-3 접지선의 2
"접지선이 외상을 받을 염려가 있는 경우는 합성수지관(두께 2 ㎜ 미만의 합성
수지제 전선관 및 난연성이 없는 CD관은 제외한다) 등에 넣어야 한다. 다만,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금속관을 이용해서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ACSR-OC 95㎟의 방음벽 접지를 노출 시공할 경우 배관을 사
용해야 하는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57

회 신

회신 1. 내선규정 3320-2는 조명기구 등을 직부(直附) 또는 매입하는 경우에 배선


의 시설방법을 명시하면서 2중천장 내에서 배선의 길이가 30 cm 이하인 경우
에 완화할 수 있는 조건을 설명한 것이므로 30cm를 초과하는 이중천장 내 접
지선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조 또는 내선규정 1445-3(제1종,
제3종 및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시설방법)에 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회신 2. 케이블 트레이 공사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4조를 참고하시


고, 합성수지관 공사에 의한 저압 옥내배선은 판단기준 제183조에 따라 옥외용
비닐 절연전선을 제외한 절연전선을 사용하여야 하며 매입하는 경우에는 난연
성 CD관을 사용하거나 전용의 불연성 또는 난연성의 관 또는 덕트에 넣어 시
설하여야 합니다.

회신 3. 내선규정 제5부는 국제기준과 부합하기 위하여 KS C IEC 60364에 의한


저압전기설비 시설기준을 다룬 내용으로서 5240-3의 2항은 접지선이 외상을
받을 염려가 있는 경우에 합성수지관 또는 금속관을 이용해서 시공해야 하는
등 예외 조건이 없습니다.
아울러 ACSR-OC 전선은 옥외용 강심 알루미늄도체 절연전선으로서 「전기설
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따라 종별접지를 시공할 경우에는 동 기준 제19조
의 【표 19-1】에 따라 접지선으로 사용이 불가함을 알려드립니다. 끝.
158 1. 제1장 총칙

제 목 제3종 및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특례기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0조 (회신 : 2018. 07. 16.)

질 의

○ 판단기준 제18조에 의하여 보안등은 제3종접지로 100옴 이하가 되어야 하는데


여러 문제로 인하여 접지저항 값이 100옴 이하가 되지 않는다면 판단기준 제
20조 제3종 및 특별 제3종 접지공사의 특례조건을 적용하여 보안등 점멸기(누
전차단기 내장)외 1차 측에 누전차단기함(30mA누전차단기 설치)를 한다면 위
기준에 따라 500옴 이하로 접지해도 되는지요?

회 신

□ 보안등의 전기설비 접지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25조(옥측 또는


옥외의 방전등 공사)에 따라 시설을 해야 하고, 동기준 제18조(접지공사의 종
류)제5항은 저압전로에서 그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경우에 0.5초 이내에 자동
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제1항의 규정에 불구하고
제3종 접지 저항 값을 완화 할 수 있도록 한 규정으로 자동 차단기의 정격감
도전류에 따라 표 18-2에서 정한 값 이하로 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니
이를 참조하여 시설하시기 바랍니다.

□ 다만 계절에 따른 접지저항 값의 변화, 일반인이 쉽게 접촉할 수 있는 장소에


시설 여부 등의 유지관리상의 문제를 감안하여 접지저항 값을 가능한 작은 값
으로 시공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려 드립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59

제 목 TN-C-S 접지방식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2조의 2 (회신 : 2019. 06. 27.)

질 의
160 1. 제1장 총칙

○ 전기차 충전소 저압 수용가에 접지 저항값을 얻기가 어려워 전기설비 기술기


준의 판단기준 제22조2항(주택 등 저압 수용장소 접지)에 있는 TN-C-S 접지방
식(한전 중성점 접지와 수용가 독립 접지를 묶어 접지하는 방식)으로 시공하고
인입측에 SPD(Class I)를 설치하려 합니다.

○ 상기 내용이 전기설비 기술기준의 판단기준과 한국설비규정 (산업통상부 공고


제 2018-103호)에 따른 TN-C-S 접지방식의 시공방법이 적합한지요?

○ 한전계통 3Φ4W 다중접지 배전방식에서 인입을 받아 상기 계통도 및 분전반


결선도로 시공을 하려고 하는데 판단기준 제22조2항 및 한국설비규정(KEC)에
적합한지요?

○ 전기사업법 제67조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자원부 고시)


제4조에 따른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이 전기공급자(한전)측에서 준수해
야할 의무인지 아니면 선택사항인지요?

회 신

□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외함은 판단기준 제286조 및 제33조에 따라 충전장치의


외함에 접지를 시행해야 하며, 제18조에 따라 SPD를 설치할 때에는 KS C
IEC 61643-11에 적합하여야 합니다.

□ TN-C-S 접지방식으로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에는 판단기준 제22조의2제1항에


따라 보호도체(PE, PEN)의 최소 굵기를 준수하되, 전기사업자측 저압계통 공
급방식과 PEN도체의 최소 굵기(구리는 10㎟, 알루미늄은 16㎟) 등에 대하여
협의 또는 승인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또한, TN-C-S 접지방식으로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에는 PEN 도체가 단선되거


나 개방되면 부하측의 PEN 도체 및 PEN 도체에 접속된 모든 기기의 노출도
전성 부분에 위험전압이 나타나므로 TN-C-S 접지방식으로 공급되는 수용가
설비는 보호 등전위본딩을 시행하여야 합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61

□ 다만, 부득이하게 보호 등전위본딩을 할 수 없는 경우에는 고장발생(PEN 도체


단선, 지락고장 등)시 기기 외함에 발생할 수 있는 위험접촉전압이 최대허용접
촉전압(건조상태 : 50 V, 습기상태 : 25 V)을 넘지 않도록 하는 접지저항값을
충족하도록 수용장소의 인입구 부근의 PEN도체에 추가로 접지하여 합니다.

□ 아울러 TN-C-S 접지방식과 등전위본딩 등에 대하여는 KS C IEC 60364 및


KECG9103-2015(등전위본딩에 관한 기술지침, 대한전기협회 발행) 등을 참조하
시기 바랍니다.

□ 또한, 전기사업자와 협의 또는 승인이 필요한 대표적인 사유는 판단기준 제22


조의2에서 “중성선 겸용 보호도체(PEN)는 고정 전기설비에만 사용할 수 있고,
그 도체의 단면적이 구리는 10 ㎟ 이상, 알루미늄은 16 ㎟ 이상이어야 하며,
그 계통의 최고전압에 대하여 절연시켜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는데, ‘중성선
겸용 보호도체(PEN)’는 전기사업자가 시설하는 인입선의 일부로서 귀하가 전
기사업자에게 전기공급 신청 시 인입선의 최소 굵기와 시공주체에 대해 협의
하여야 할 것이며,

□ 전기사업자인 한전은 과거 특정지역에서 비접지계통으로 운영한 적이 있었기


때문에 귀하 현장의 현재 배전계통을 확인하시어 TN-C-S 접지구성이 가능한
지, 또는 귀하가 PEN도체에 시공한 접지로 인하여 전기사업자의 전력공급 업
무에 지장을 줄 우려가 없는지 등도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또한 기술기준이나 판단기준은 전기사업자도 준수하여야 할 의무기준으로서


동 기준에서는 현장상황에 대해 고려해야 할 모든 내용을 다루고 있지 않으
나, 내선규정은 “TN-C-S 접지계통에서 저압수용장소에 접지극을 시설하고 전
기사업자의 저압전로에 접속할 경우는 전기사업자의 승낙을 필요로 한다.”(내
선규정 1445-9)고 명시하는 바, 내선규정의 법적 지위에 대하여는 본 사례집의
‘내선규정에 대하여’(p.284)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162 1. 제1장 총칙

제 목 변압기 저압측의 중성점에 2종접지선 설치위치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3조 (회신 : 2016. 05. 06)

질 의

3상4선식 22.9㎸/380-220V 기준으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3조 특고압


과 저압의 혼촉 관련하여
기술기준에서 변압기의 저압측의 중성점에 제2종 접지공사를 하라고 표기되어 있
습니다.

(질의내용)
○ 2종 접지 설치점이 변압기 N상 단자가 아닌
○ 변압기 2차측 주 차단기 ACB 1차측 N상에서 제2종 접지를 해도 되나요?

(질의사항)
○ 기술기준은 변압기의 저압측의 중성점에 하라고 명기되어 있습니다.

○ 변압기 2차측에서 주 차단기 ACB 구간은 전로로 구분될 수 있는데 만약 ACB


1차측에 설치가 가능하다고 하면 변압기의 저압측의 중성점이란 표기를 변압
기 저압측 전로의 중성점으로 문구가 적절하지 않나요?
- 판단기준 제27조(전로의 중성점의 접지)에 따라 시설한 경우 판단기준 제23
조(고압 또는 특고압과 저압의 혼촉에 의한 위험방지 시설)에 충족되어 진다
고 보아 ACB 1차측 전로에 설치해도 되는 것으로 해석해도 되는지요?

○ 특고압과 저압의 혼촉방지용 제2종 접지선 설치 위치를 변압기 2차측 N상 단


자가 아닌 주차단기 1차측에 서치가 가능한지 여부 기술기준 문구해석 부탁드
립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63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3조는 일반적으로 저압전로가 변압기의 내부


고장 또는 전선단선 등의 사고 시에 고압 또는 특고압 전로와 혼촉을 일으키
고 고압 또는 특고압 전기가 침입하여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을 경우의 보호
방법으로서 제2종 접지공사(판단기준 제18조)를 하도록 정한 것으로서 제2종
접지공사를 해야 하는 접지점은 원칙적으로 결합 변압기의 저압측 중성점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 다만, 100V 용의 단상변압기와 같이 구조상 중성점을 꺼낼 수 없는 것이나 배


전방식(예를 들면 단상변압기 3개를 사용해 △결선하는 3상3선식)에 변압기의
중성점을 접지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저압측의 1단자에서도 가능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것은 300V 이하의 저압에서는 대지에 대한 전위가 낮기 때문에
비접지측 전선에서 상시 대지를 통해 접지선에 흐르는 전류가 적어 불평형이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7조는 전로에 대한 중성점의 접지로 전로의


보호 장치의 확실한 동작의 확보, 이상 전압의 억제 및 대지전압의 저하를 위
하여 특히 필요한 경우에 전로의 중성점에 접지공사를 하는 경우임을 규정한
것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164 1. 제1장 총칙

제 목 철도신호용 변압기 저압측 접지공사 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3조 (회신 : 2020. 04. 07)

질 의

○ 1차전압 22.9kV, 2차전압 220V이며 전기실내 설치되는 철도 신호용 변압기(단


상변압기) 2차측 접지 관련 문의 사항입니다.
1) 상기 변압기의 경우,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3조에 따라 철도 신호용 변압기이므
로, 저압측 1단자에 접지를 하지 않고 비접지로 해야 하는지요?
2) 변압기 저압측 1단자에 접지를 해야 한다면 관련 기준이나 지침이 있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3조는 “철도 또는 궤도의 신호용 변압기를


제외한 특고압전로와 저압전로를 결합하는 변압기의 저압측 중성점에는 제2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고 정하고 있습니다. 이는 변압기의 내부 고장 등으
로 특고압전로와 저압전로가 혼촉을 일으켜 위험하게 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저압측 중성점에 접지를 시행하여야 하나, 철도 또는 궤도의 신호용 변압기는
구조상 2차측을 접지할 수 없고 또한 실제로 혼촉방지판이 있기 때문에 제외
된 것(2016 전기설비기술기준해설서 참조)으로 사료됩니다.

□ 또한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등은 철도 신호


용 변압기의 저압측 접지기준을 다루고 있지 않으므로 귀하 현장의 계통을 고
려하여 전기설계 전문가와 협의하여 결정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65

제 목 아파트 단위세대 LED전등의 접지시공 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3조 (회신 : 2018. 05. 17.)

질 의

○ 공동주택(아파트) 단위세대 전등을 LED로 시공함에 있어 화장실에는 LED전등


접지를 하였고, 거실, 주방 및 식당 ,침실 ,베란다 등에는 LED전등 접지를 하
지 않았습니다.

○ 이러한 경우에 전기설비기준 및 판단기준 제1장 총칙 제4절(기계 및 기구) 제


33조(기계기구의 철대 및 외함의 접지) 에 의거 단위세대 LED전등의 접지선
생략이 가능한지요?

○ 내선규정 제13장 제1300절 용어에는 “가정용전기기계기구란 전기냉장고, 전기


세탁기 (생략) 가정에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백열전등 , 방전등 및 배선기구는
포함하지 않는다.” 라고 명시하고 있는데, 위 경우에 공동주택(아파트) 단위세
대 LED전등의 접지를 시공하지 아니하여도 되는지 여부를 문의합니다.

회 신

□ 접지의 목적은 감전 보호, 전기화재 방지 및 보호 설비 작동 등 다양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질의 하신 것처럼 제33조는 기계기구의 철대 및 외함에 대한
종별 접지공사(제1항1호) 및 공통· 통합접지 등에 따른 접지공사(제1항2호)를
규정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접지 공사를 해야 하고, 제2항에서는 접지 생
략이 가능한 일부 예외 조건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 동 조 제2항제8호에서는 물기가 있는 장소 이외(즉 건조한 장소)의 장소에서


개별 기계기구의 전원 측에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가 시설된 경우에 예외
조건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질의하신 LED 조명 시설장소가 건조한 장소이
면서 개별 기계기구로 전원 측에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가 시설되는지 검
토하시어 예외 조건의 적합 여부를 판단하여 시공하시기 바랍니다. 끝.
166 1. 제1장 총칙

제 목 외함 접지 생략이 가능한 ‘건조한 곳’의 의미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3조 (회신 : 2018. 05. 17.)

질 의

○ 공장의 자탐설비 발신기가 어떤 것들은 외함 접지가 되어 있는 것들이 있고,


어떤 것들은 되어 있지 않은 것들이 있습니다.

○ 판단기준 제18조 2항 1절에 사용전압이 직류 300V 이하인 기계기구를 건조한


곳에 시설하는 경우는 외함접지를 생략 가능하다고 명시되어 있는데

1. 공장의 발신기가 직류 24V 이므로 외함 접지를 생략을 해도 가능한지요?


2. '건조한 곳에 시설하는 경우'라는 문구에서 조건은 무엇인지요?
3. 만약 현재의 발신기가 건조한 곳에 해당되지 않는다면 직류 300V 이하인 경우
라도 외함 접지를 해야하는지요?
4. 3번과 같이 외함 접지공사를 해야 한다면 공사비용이 많이 들지 않는 방법은
없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은 전기공급설비 및 전기사용설비의 안전성능에 대하여 규정


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시설방법은 소방청 기준이 적용
될 것으로 판단되나, 안전상의 이유로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 외함에 접
지를 시설하려는 경우에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조(접지공사의
종류)와 제33조(기계기구의 철대 및 외함의 접지)를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
단됩니다.

□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해설서에 기술된 건조한 곳의 적용방법


및 예시는 다음과 같습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67

건조한 곳의 적용방법

구 분 적용방법

기계기구를 다음의 절연성이 있는 것 위에서 취급할 경우


다만, 사람이 그 기계기구와 주변의 접지된 금속체에 동시에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는 경우
[바닥위 2 m 이상, 그 밖에 손을 뻗쳐 닿을 수 없는 거리(1.25 m 이상)]를 말함
◦ 기본 전제
- 평상시 습기 또는 물기가 없는 장소로서 절연성 있는 것이 건조한 상태일 것
건조한 곳 ◦ 절연성이 있는 것
- 목제 바닥
- 돗자리 등 두꺼운 깔개가 있는 방의 바닥
- 실내 바닥 등에 붙이는 내수성의 건축재료를 입힌 바닥
* 아스타일바닥, 모노륨바닥, 절연성페인트를 칠한 콘크리트바닥[에폭시 도료를 도포하여 전기절연용
바니시 시험방법 KS C 2312 (2003.6)의 21. 절연내력시험방법에 합격한 것을 말함]

건조한 곳의 적용방법 예시
적용구분 건조한 곳으로 적용할 수
건조한 곳
장소예시 없는 곳
1. 지하 1층 지상 5층 규모의 지상 1층에서 지상 5층 좌란 이외에 지면과
아파트형 공장 등의 바닥이 다만, 평상시 습기 또는 물기가 없는 장소로서 콘크리트 바 직접 접촉하고 있는
콘크리트 바닥으로서 그 위 닥이 건조한 상태이고 사람이 그 기계기구와 주변의 접지된 지하 1층의 콘크리트
에서 전기기계기구를 취급하 금속체에 동시에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는 경우이어야 함 바닥
는 경우
2. 지상 1층 규모의 공장 등의 절연성 페인트를 칠한 지상 1층의 콘크리트 바닥 지면과 직접접촉하고 있
바닥이 콘크리트 바닥으로서 다만, 평상시 습기 또는 물기가 없는 장소이고 사람이 그 는 지상 1층의 콘크리
그 위에서 전기기계기구를 기계기구와 주변의 접지된 금속체에 동시에 쉽게 접촉할 우 트 바닥
취급하는 경우 려가 없는 경우이어야 함

3. 지하 5층 지상 20층 규모 지하 4층에서 지상 20층 좌란 이외에 지면과 직


의 건물 등의 바닥이 콘크 다만, 평상시 습기 또는 물기가 없는 장소로서 콘크리트 바 접접촉하고 있는 지하
리트 바닥으로서 그 위에서 닥이 건조한 상태이고 사람이 그 기계기구와 주변의 접지된 5층의 콘크리트 바닥
전기기계기구를 취급하는 금속체에 쉽게 동시에 접촉할 우려가 없는 경우이어야 함
경우

□ 아울러 동 기준 제33조는 기계기구의 철대 및 외함 접지의 공사 종류와 예외


규정을 정하고 있으므로 참조하시기 바라며, 설치 장소의 환경 및 현장조건을
고려하여 설계자 및 제조업체 등 관련 전문가와 협의하여 적용하시기 바랍니
다. 끝.
168 1. 제1장 총칙

제 목 콘센트 접지기준 관련 ‘주택’의 의미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3조 (회신 : 2019. 02. 22.)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항목 중 33조 및 170조 항에 대해 문의 드립니


다. 해당 항목 중 주택의 옥내전로로 판단하는 기준에 대해 궁금합니다.

[170조 5항]
저압 콘센트는 제33조제2항의 경우를 제외하고 접지극이 있는 것을 사용하여
접지하여야 한다. 다만, 주택의 옥내전로에는 제33조제2항의 경우에도 불구하
고 접지극이 있는 콘센트를 사용하여 접지하여야 한다.

○ 일부 건물의 경우, 기본적으로 사무용 혹은 작업용 건물이나 일부 공간에 인력


상주 및 생활공간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 경우 주택으로 간주해야 하나요?

[33조 2항 8번]
물기 있는 장소 이외의 장소에 시설하는 저압용의 개별 기계기구에 전기를 공
급하는 전로에 '전기용품안전 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
기를 시설하는 경우

○ 위 경우 접지 콘센트 사용을 제하여도 한다는 의미는 정격감도전류 30mA, 동


작시간 0.03s 이하의 ELB 사용 시 접지 콘센트 사용은 불필요하다고 해석하여
도 될까요? (화장실, 샤워실 등 물기 있는 장소는 제외)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69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33조제②항은 기계기구의 철대 및 외함의 접


지를 생략 가능한 경우를 명시하였으나 동 기준 제170제⑤항에서는 상기 조건
에도 불구하고 주택의 옥내전로에는 접지극이 있는 콘센트를 사용하고 접지하
여야 함을 규정하고 있으므로 귀하의 현장이 “주택의 옥내전로”에 해당된다면
접지극이 있는 콘센트를 사용하고 접지공사를 시행하여야 할 것입니다. (접지
를 생략하는 경우에는 접지극이 없는 콘센트 시설 가능)

□ 아울러 전기사용 장소의 시설에서 “주택”이란 일반가정에서 일상생활을 하는


장소를 뜻하며(기숙사, 아파트 등 포함), 유아로부터 노인에 이르기까지 일반인
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장소를 의미하는데 일반인이 쉽게 접촉하여 감전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규정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170 1. 제1장 총칙

제 목 전기자동차 충전장치의 접지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3조 (회신 : 2018. 07. 13.)

질 의

○ 전기차 급속충전기는 입력전압 교류 380V에 출력전압 직류 500V가 나옵니다.


안전공사 사용전 점검에서는 입력전압 380 V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제3종
접지공사 100옴을 만족하면 된다고 하는데 500V라고 생각하여 특3종 접지공사
를 해야 하는지 380V라고 생각하여 제3종 접지공사를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
다.

회 신

□ 본 질의는 당 협회 전문가회의에서 검토를 시행하였고, 그 결과를 아래와 같이


알려드립니다.

□ IEC 등 국제기준에서는 AC, DC 구분 없이 상용전압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전기설비는 우선적으로 전기안전을 고려하여야 합니다.

□ 따라서 전기충전기는 최고 전압(본 질의에서는 500 V)을 적용하여 판단기준


제33조에 따라 충전기 외함 접지공사(본 질의에서는 특별 제3종)를 시행함이
타당한 것으로 사료됩니다.

□ 참고로 환경부에서 발표한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설치․운영 지침(‘18.01)은


출력 측 전압을 고려하여 급속충전기는 특별 제3종 접지공사(10Ω)를, 완속충전
기는 제3종 접지공사(100Ω)를 하도록 권장하고 있음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71

제 목 “등기구 접지생략”의 의미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3조 (회신 : 2018. 06. 27.)

질 의

○ 귀 협회 홈페이지 FAQ 2번의 등기구 접지 생략의 의미에 대해 문의합니다.

○ 추가적으로 등기구 접지에 관한 규정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33조와


172조 말고는 못 찾겠는데, 이에 따르면 금속이나 철제 외함만 없으면 등기구
배선에 접지선이 없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회 신

□ 누전시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전등설비를 비롯하여 전로에 시설하는 기계기


구의 철대 및 금속제 외함에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33조(기계기구
의 철대 및 외함의 접지)의 1항에 따라 접지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며 동조 2항
의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접지를 생략할 수 있습니다.

□ 또한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 배선기구의 시설에 관하여 동 기준 제170조 규


정을 참조하시고, 관등회로의 사용전압이 1,000V 이하의 방전등 시설은 동 기
준 제213조제5호의 규정에 의거 방전등용 안정기의 외함 및 방전등용 전등기
구의 금속제에는 소정의 접지공사(제1종, 특 3종, 제3종)를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 다만, 동조 제5호의 "가~ 라"의 어느 하나에 해당할 경우에는 접지공사를 생략


할 수 있습니다. 끝.
172 1. 제1장 총칙

제 목 본체와 베이스로 나뉘어있는 비상발전기 접지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3조 (회신 : 2020. 08. 06.)

질 의

○ 비상발전기의 배터리반 외함(DC)도 접지를 하여야 하는지, 아니면 발전기 베


터리반은 에폭시 바닥에 철제 외함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건조한 장소로 간
주하여 접지가 필요 없는지요?
○ 또한 비상발전기의 베이스와 외함이 볼트로 연결되어 기계적으로 접속을 이루
었습니다. 현재 비상발전기의 베이스에만 외함 접지가 되어있고 본체에는 접
지가 되어있지 않는데 이와 같이 본체와 외함이 기계적으로 접속이 되어있어
도 각각 접지를 해야 되는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33조는 전로에 시설하는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 외함에는 표 33-1에 따라 접지공사를 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며 본
기준은 교류와 직류를 구분하지 않으므로 귀하의 배터리반이 철대에 설치되어
있거나 금속제 외함으로 구성되어 있다면 본 기준에 따라 접지를 시행하여야
합니다. 다만, 동 기준 제2항에 해당될 때에는 접지공사를 생략할 수 있는데,
귀하가 문의한 건조한 장소가 이에 해당하는지는 본 사례집의 ‘건조한 곳’에
대한 질의/회신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 아울러 인체 감전을 예방하는 등 전기안전을 위해서는 비상발전기의 베이스와


외함에 개별적으로 각각 접지공사를 시행하거나 접지 본딩 등의 방법으로 베
이스와 외함이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되어 접지효과에 지장을 주지 않아야
하는데, 귀하 현장의 비상발전기 베이스와 외함이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
되어 있는지 여부와 상건조한 장소에 대한 적합성 여부는 현장을 방문하여 전
기안전점검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
의 2).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73

제 목 통신단자함 외함의 접지시공 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3조 (회신 : 2020. 09. 01.)

질 의

○ 우리 현장 통신단자함 내부에, 누전차단콘센트가 있습니다(접지극 있음). 이와


같은 경우 통신단자함 외함에 대한 접지를 해아하는지, 만약 해야 한다면 콘
센트 접지극에서 따서 해도 되나요?

회 신

□ 전로에 시설하는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 외함에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33조에 따라 접지를 시행하여야 하므로 귀하의 통신단자함 내부
에 전로에 연결된 콘센트가 시설되어 있다면 콘센트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동 조항의 [표 33-1]에 적합한 접지공사를 시행하고 이때의 접지저항 값은 동
기준 제18조에 명시한 접지저항 값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 다만, 귀하의 통신단자함에 통신설비의 접지가 연결되어 통신설비와 전기설비


의 접지극을 공용하는 통합접지 공사를 시행하는 경우는 서지보호장치(SPD)를
설치하여야 하는 등 동 기준 제18조제7항에 따라야 하고 KS C IEC
60364-4-41(안전을 위한 보호-감전에 대한 보호)에 적합하도록 시설하여야 하므
로(동 기준 제19조제6항 참조),

□ 귀하의 통신단자함과 전기 콘센트의 접지를 공용하는 것에 대하여는 「방송통


신설비 기술기준」을 관리하는 기관 등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
다. 끝.
174 1. 제1장 총칙

제 목 주택용 태양광에도 주택용 차단기를 시설해야 하는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8조 (회신 : 2017. 09. 08)

질 의

○ 주택용 차단기 관련 전기설비기술기준을 살펴보면 일반인이 접촉할 우려가 있


는 장소(세대내 분전반 및 이와 유사한 장소)에는 주택용을 시설하도록 규정하
고 있습니다. 제38조 제4항 : 주택용배선차단기, 제41조 제6항 : 주택용누전차
단기, 해설서를 보면 주택, 아파트 등의 세대내 분전반으로 일반인이 사용(조
작)할 수 있는 장소에 시설되는 분전반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 여기서 태양광 시설을 함에 있어서 궁금한 게 있어서 몇 가지만 질문 드려봅


니다.

- 2017년 이후에 주택을 짓고 새로 태양광을 시설하는 경우에, 주택전기와 태


양광을 연결하는 분전반이 내부에 있는 경우, 주택용 차단기를 써야 합니까?
혹은 분전반이 외부에 있는 경우에도 꼭 주택용 차단기를 써야 하나요? (보
통 태양광이 설치된 주택을 보면, 태양광용으로 연결 분전반이 따로 있고,
세대내 전등 전열 분기회로가 있는 분전함을 따로 설치를 합니다.)

- 2017년 이전에 지은 주택에 2017년 이후에 태양광을 시설하는 경우, 새로운


전기 설비로 보고, 주택용 차단기를 써야 하나요. 태양광용으로 연결 분전반
이 내부와 외부의 분전함이 있는 경우로 나누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75

회 신

□ 주택용 차단기 적용에 대해서는 판단기준 제38조제6항과 제41조제6항에 따라 일


반인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세대내 분전반 및 이와 유사한 장소)에 시설하
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주택용 차단기 적용 취지는 일반인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 중에“세대내 분전반 및 이와 유사한 장소”로 한정하여 보다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제정한 규정입니다. 따라서 2016년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해설서
에서“세대내 분전반 및 이와 유사한 장소”의 정의는 “주택, 아파트 등의 세
대내 분전반”으로 정의하고 있으므로 “주택(준주택 포함)의 세대내 분전반”그
외의 장소 및 용도에 대해서는 주택용 또는 산업용 차단기를 안전상 고려하여 적
용할 수 있습니다.

□ 적용 시점에 관련하여서는(Q&A [2386] (16.9.22) 참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


기준 부칙(제2015-44호, 2015.1.30) 제1조(시행일)2항에서 "2017년 1월1일부터 적용
하도록 한 적용시점“은 시행(2017년 1월 1일) 당시 이미 시설되어 있거나 전기공
사계획인가(신고)를 받은 경우 또는 전력기술관리법 시행령 제18조제④항의 규정
에 의한 자가 시행 전에 사업승인을 득한 경우에는 종전의 기준에 따를 수 있습
니다. 끝.
176 1. 제1장 총칙

제 목 호텔 객실도 주택용 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하는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8조 (회신 : 2018. 02. 26.)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38조 4항 및 41조 6항의 "일반인이 접촉할 우


려가 있는 장소(세대나 분전반 및 이와 유사한 장소)에는 주택용 배선차단기/
누전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한다."에 관련하여 호텔(객실)의 경우 이 규정에 포
함이 되는지요?

○ 일반적으로 호텔의 분전반은 투숙객이 접근할 수 없도록 설치되며 숙련자나


기능자(시설담당자)가 조작을 하게 됩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 전기설비”의 제38조제4항과 제41조제6항에


따라 일반인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세대내 분전반 및 이와 유사한 장소)
에는 주택용 차단기를 시설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주택용 차단기 적용 취
지는 일반인이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 중“세대내 분전반 및 이와 유사한 장
소”로 한정하여 보다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제정한 규정입니다.

□ 또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해설서에서 “세대내 분전반 및 이와 유사한 장소”의


정의는 “주택, 아파트 등의 세대내 분전반”으로 정의하고 있으며, 그 이외의
장소 및 용도에 대해서는 주택용 또는 산업용 차단기를 안전상 고려하여 적용
할 수 있습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77

제 목 비 한류형 파워퓨즈 단위 표기에 대한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39조 (회신 : 2020. 02. 25.)

질 의

○ 내선규정 3220-5 주 차단장치 부분에서 표 3220-4 "비 한류형 파워퓨즈(방출


형)" 부분의 맨 오른쪽 퓨즈 정격 선정 범위 단위에서 퓨즈 정격 선정 범위에
써져 있는 숫자+K 형태는 K type 을 나타내는 것까지는 이해를 했습니다만
일반적으로 퓨즈 정격 전류를 표시할 때 숫자[A] 로 표기하는지 아니면 숫자
+K 형태로 표기하는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3상 200[kVA] 변압기 보호용
퓨즈 정격이라고 하면 8[A]인지 혹은 8K 인지)

회 신

□ 내선규정(2016) 표 3220-4는 [일반적인(“K”Type) 22.9 kV-y급 변압기 보호용


퓨즈정격 선정 표]로서 「퓨즈정격 선정 범위」 칸의 수치는 퓨즈의 정격(전류)
을 의미하며, 우리 협회가 발행한 내선규정에서는 수치 뒤의 기호를 정격전류
단위 [A] 대신 “K”Type임을 뜻하는 “K”를 사용하였으나, 기술서적의 저자 또
는 퓨즈 제작회사에 따라 표기를 달리 할 수도 있으므로 해당 저서의 저자 또
는 제작사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178 1. 제1장 총칙

제 목 분전반 1차 메인 차단기에 누전차단기 시설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1조 (회신 : 2020. 04. 20.)

질 의

○ 단상으로 구성된 분전반을 3상 4선으로 교체하려고 하는데(380/220V), 1차 메


인 차단기는 누전 차단기로 선정해야 하는지요?

○ 1차 메인 차단기를 누전차단기로 설정 하고, 나머지 분기 차단기도 전부 누전


차단기로 설정하는게 맞는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79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1조는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사용전압이


50 V를 초과하는 저압의 기계 기구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것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는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자동적
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동 기준 제1항
의 단서 조항에 지락차단장치를 시설하지 않아도 되는 예외조건을 명시하고
있으므로 본 기준을 참고하시되, 귀하 현장의 분기회로가 이에 해당하는지 판
단하시어 적용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아울러 지락차단장치는 메인과 분기회로에 모두 시설하여야 한다고 명시하지


는 않으나, 귀하 현장의 특수한 상황에 대한 적합성 판단은 현장의 전기안전
및 점검업무를 담당하는 기관 등에 문의하시기 바라며, 우리 협회가 발행한
내선규정은 제1475절에서 누전차단기의 종류와 시설기준 등을 다루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180 1. 제1장 총칙

제 목 누전차단기 설치 예외조건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1조 (회신 : 2019. 02. 11.)

질 의

1. 3상 배수펌프의 주 차단기는 MCCB이고 지락보호 기능이 없는 EOCR을 사용,


펌프 자체에도 누전차단기가 없습니다.
이런 경우 주 차단기를 ELB로 교체해야 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제가 말씀
드린 배수펌프는 시청에서 집중호우시 침수피해방지용으로 사용 중입니다.
공공의 안녕을 위해 사용하는 설비는 누전차단기 예외 사항으로 인정이 되는
지 궁금합니다.

2. 위에서 질문 드린 배수펌프는 380/220V 저압설비이고 메쉬휀스로 울타리를 쳐


두었습니다. 기술기준에서 저압설비의 울타리는 접지관련 규정이 없는지 궁금
합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81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1조는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사용전압이 60


V를 초과하는 저압의 기계 기구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
설하는 것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는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자동적으
로 전로를 차단하는 누전차단기 등을 설치하여야 하며 예외 조건은 동 규정에
명시된 바와 같습니다.

□ 다만, 동조 제4항은 비상용 조명장치, 비상용 승강기, 유도등, 철도용 신호장치


등의 정전으로 인하여 전기 이외의 공공의 안전 확보에 지장을 초래하는 등
누전에 의한 피해보다 전로의 차단에 의한 피해가 더 큰 경우 즉, 회로차단에
의하여 위험한 상태로 이어질 수 있는 전로에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는 것이 부
적절하여 누전이 발생하였을 때에 전로를 즉시 차단하기보다는 기술자가 상주
하는 감시소에 누전경보장치를 설치하여 기술자로 하여금 안전조치를 취하도
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누전차단기의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는 제한적인 예외규정을 두고 있으므로 귀하의 현장이 이에 해당하는
지는 발주자 및 관리기관과 협의하시어 판단하셔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질
의 1)

□ 또한 전기설비기술기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이나 내선규정 등에서는


저압 기계기구의 울타리 접지에 대하여 다루고 있지 않으나, 전로에 시설하는
기계기구의 철대 및 금속제 외함의 접지에 대하여는 판단기준 제33조를, 고압
또는 특고압 기계 기구를 옥외에 시설하는 곳에서의 울타리에 대한 접지규정
은 판단기준 제44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질의 2) 끝.
182 1. 제1장 총칙

제 목 승강기에도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하는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1조 (회신 : 2019. 07. 25.)

질 의

○ 정부 화재안전특별조사 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1조에 따라 승강


기 지락차단장치(누전차단기)를 설치하라는 지적을 받았습니다. 그런데 전기설
비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41조 1항의 제외 항목 2호에 보면 "기계기구를 건
조한 곳에 시설하는 경우"는 적용하지 않아도 되는 바 승강기는 건물내부에
설치되어 비나 물, 기타 습기에 취약하지 않아 기술기준 제41조 1항의 2호에
해당되어 지락차단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고 판단되는데 협회의 의견은
어떤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회 신

□ 모든 전기설비는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조에 따라 감전, 화재 그 밖에 사람에게


위해(危害)를 주거나 물건에 손상을 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하나, 판단
기준 제41조제4항에서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이를 기술원 감시소에 경
보하는 장치를 설치할 경우에 한하여 비상용승강기에 지락차단장치를 시설하
지 않을 수 있음”을 명시한 것은 비상시에 정전보다는 공공의 안전이 우선되
어야 하기 때문에 누전이 발생하였을 경우에 관리자가 즉시 조치할 수 있도록
경보해주는 등의 조치를 전제하고 있습니다.

□ 또한 판단기준 제41조제1항제2호에서 명시한 ‘건조한 곳’이란 판단기준 제33조


(외함 접지 생략이 가능한 건조한 곳의 의미) 질의 회신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
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83

제 목 아파트 실외기실에도 누전차단기를 시설해야 하는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1조 (회신 : 2018. 08. 22.)

질 의

○ 아파트 내부의 실외기실에 설치되는 실외기 전원 공급용 차단기 관련 질의 드


립니다. 현쟈는 아파트 내부 실외기실에 주택용 누전차단기가 설치되어 있으
며, 누전차단기는 일반 PVC 박스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고 케이블로 연결되어
실외기 내부에서 전원을 공급합니다.

○ 판단기준에 나와 있는 주택용 분전반의 정의가 무엇인가요?

○ 주택용 차단기는 항상 주택용 분전반(혹은 이와 유사한 구조 및 재질의 장소)


내부에 설치되어야 하나요? 아니라면 주택용 차단기(분전반X)는 노출된 장소
에만 설치되어야 하나요?

○ 차단기가 보기 싫어서 그런데 위와 같은 경우에 집에 남는 가구장이 있는데


벽에 가구장을 세우고 가구장 안에 주택용 차단기를 넣어서 설치해도 되나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은 ‘주택용 분전반’에 대하여 별도의 정의를


규정하지 않았으나 한국산업표준 KS C 8326의 주택용 분전반과 동일한 대상
을 지칭하며 주로 주택 등의 인입구장치에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 또한, 판단기준 제38조제4항과 제41조제6항에 따라 세내대 분전반 및 이와 유


사한 장소에는 주택용 배선차단기, 주택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또한 질의하신 건물내 실외기 전원 공급용 차단기의 설치 및 적용을 위
해 동기준 제171조제1항제3호 및 제4호에서 규정하고 있는 설치위치와 재질에
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 됩니다. 끝.
184 1. 제1장 총칙

제 목 가로등에 자동복구차단기 설치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1조 (회신 : 2017. 06. 19.)

질 의

○ 가로등 분전함 내 자동복구 차단기(조작전원) 설치가능 여부(부하측 아님)

○ 내용
- 가로등 분전함 내 차단기 중 부하측에는 일반 ELB를 설치하고, 제어기(양방향
무선통신)측 조작전원에 자동복구 차단기 설치 가능한지 문의 드립니다.

○ 비고
- 전기설비기술 기준 제41조 5항 1호 및 3호에 따르면 옥외의 장소에서 특정한
목적을 위해 지체하는 장소(횡당보도, 버스정거장)을 제외한 곳에서 무인으로
운전하는 통신 중계기 또는 단위기기 전용회로의 경우 설치가 가능하다고 되
어 있는데

- 울타리가 없지만 특정한 목적을 위해 지체하는 장소에 위치해 있지 않은 분전


함(양방향 무선 제어기, 위험표시 부착)의 경우 자동복구 차단기 설치 가능한
지 궁금하며,

- 만약 불가하다면, 설치 제외 장소에서 도로 혹은 인도로 표현하지 않고 횡단보


도로 국한되어 표현한 이유도 궁금합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85

회 신

□ 귀하께서 질의하신 “자동복구차단기 설치가능 여부”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


준 제41조(지락차단장치 등의 시설) 제5항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제5항은 전기용
품안전기준 ‘“K60947-2의 부속서 P”의 적용을 받는 자동복구 기능을 가진 누전차단
기 시설 관련으로, 국내외 표준 및 적용 현황과 관련 산업계 의견수렴을 등에 근
거하여 최소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적용범위(제1호, 제2호, 제3호)를 규정한
것입니다. 제41조(지락차단장치 등의 시설) 제5항 제1호~제3호 관련 적용범위에
대해서 2016년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해설서에 다음과 같이 기술하고 있습니다.
(1) 제1호 관련 적용범위
⋅독립된 무인 통신중계소, 독립된 무인기지국
(2) 제2호 관련 적용범위
⋅고속도로, 자동차전용도로 등 관련법령(도로법 등)에 의해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된 장소
(3) 제3호 관련 적용범위
⋅옥외의 장소에 무인단독으로 운전하는 단위기기 전용회로에 시설할 수 있다. 단, 일반인
이 특정한 목적을 위해 지체하는(머물러 있는) 장소로서 버스 정류장, 횡단보도 등에는
시설할 수 없다.
※ 단위기기 전용회로” : 케이블TV중계기 단독회로, CCTV 단독회로, 하이패스 단독회로
등 누전차단기에서 분기하여 하나의 단독기기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회로

□ 질의하신 [1. 요지] 및 [2. 내용] 관련 답변입니다.


“가로등 분전함 내의 자동복구 기능을 가진 누전차단기 설치가능 여부”는 판단기
준 제41조 제5항의 제2호에서처럼 관련법에서 일반인의 출입이 금지된 장소에서 시
설할 수 있습니다.

□ 질의하신 [3. 비고] 관련 답변입니다.


“울타리가 없지만 특정한 목적을 위해 지체하는 장소에 위치해 있지 않은 분전
함”의 시설가능여부에 대하여 판단기준 제41조 제5항의 제3호 적용 장소는 다음
과 같습니다. 질의하신 분전함이 통신중계기 또는 단위기기 전용회로의 분전함
일 경우에는 시설 가능합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일반인이 특정한 목적을 위해
지체하는(머물러 있는) 장소로서 버스정류장, 횡단보도 등에는 시설할 수 없습니
다. 이는 누전 등에 의한 감전에 대한 최소한의 안전을 확보하고자 관련 장소에
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규정한 부분입니다. 끝.
186 1. 제1장 총칙

제 목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에 대한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1조 (회신 : 2018. 08. 27.)

질 의

○ 지상10층인 건물에서 에어컨 실외기는 10층 위 옥상에 있으며, 옥상은 방수처


리가 되어있고 관계자 외 출입은 금하고 있습니다.

○ 전기설비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41조에 의하면 이 경우에는 사람이 쉽게 접


촉할 우려가 있는 장소는 아니라고 판단되는데, 이런 시설에도 반드시 누전차
단기를 설치해야 될까요?

○ 혹시 관계자 외 다른 사람이 옥상에 올라올 수 있다는 가정에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한다면, 보호울타리를 설치하여 취급자 외에 출입을 금하여도 누전차
단기를 설치해야 할까요?
즉, 실외기가 취급자 외 접촉(보호울타리 또는 실외기 실, 벽면 등)을 금하고
있어도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되는지 궁금합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에서 사용되는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


는 장소’는 일반적으로 바닥 위 2 m 미만, 그 밖에 손을 뻗어 닿을 수 있는
거리(1.25 m 미만)을 말하며 내선규정 1300-7에서는 ‘사람이 쉽게 접촉될 우려
가 있는 장소’에 대해 옥내에서는 바닥에서 1.8 m 이하, 옥외에서는 지표상 2
m 이하인 장소 및 그 밖에 계단의 중간, 창 등에서 손을 뻗어서 쉽게 닿을 수
있는 범위로 정의합니다. 여기서 사람이란 누전 시 감전될 수 있는 모든 사람,
즉, 일반인뿐만 아니라 관계자와 작업자를 모두 포함합니다.

□ 아울러 전기설비기술기준과 판단기준은 전기안전을 위해 지켜야 할 최소한의


사항을 규정하므로, 특히 안전과 직결된 사항에 있어서는 규정된 수준과 동등
이상의 효력을 갖도록 조치하심이 타당하다고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87

제 목 비접지식 전기 판넬에 피뢰기 설치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2조 (회신 : 2020. 07. 06.)

질 의

○ 154KV/22.9KV TR 에서 3P3W 비접지방식으로 받아오는 전기판넬에 LA설치


를 의무적으로 해야 하나요?
○ 아니면 안 해도 사용전검사에 지장없나요?

회 신

□ 피뢰기(避雷器)는 뇌방전으로 인한 과전압으로부터 전기설비가 손상, 감전 또


는 화재의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것으로서 변전소 또는 수전설비의 가공전
선 인입구 및 인출구, 가공전선로에 접속하는 배전용 변압기의 고압측 및 특
고압측, 고압 및 특고압 가공전선로로부터 공급을 받는 수용장소의 인입구 등
에는 접지계통 또는 비접지계통을 구분하지 않고 피뢰기를 의무적으로 시설하
여야 함을 명시하고 있는 바, 자세한 시설기준 및 예외 조건은 「전기설비기술
기준의 판단기준」 제42조 및 「내선규정」 제3250절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귀하 전기설비에 대한 사용전검사시 적합성 여부에 대하여는 관련 업


무를 수행하는 한국전기안전공사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89


2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44조 ~ 제56조)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91

제 목 한전 PAD 기기에 울타리 설치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20. 06. 26.)

질 의

○ 기존 한전pad 기기 앞에 미관을 위하여 전면 개방 할 수 있는 휀스를 설치하


고자 하는데, 개방형이 아닌 휀스를 설치하여도 가능한지요?

회 신

□ 우리 협회는 귀하의 사진으로는 현장 상황을 잘 알 수 없으나, 사진의 PAD


설비가 고압 또는 특고압의 기계기구・모선 등을 옥외에 시설하는 변전소・개
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해당된다면 설비 소유자인 한전이 「전기설비기술
기준의 판단기준」 제44조에 따라 울타리를 시설하여야 하므로 구체적인 사항
은 관할 한전사업소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울타리 설치와 관련된 공공장소의 점용 또는 미관 개선 등은 관할 지


자체와 협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192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 목 배전반이 있는 변대주의 울타리 설치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20. 06. 12.)

질 의

○ H형 변대주 밑에 배전반이 있으면 울타리를 설치하는데 군부대에 주상변압기


단주밑에 전주부착형 배전반이 있으면 이것도 설치해야하나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4조는 고압 또는 특고압의 기계기구・모선


등을 옥외에 시설하는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는 취급
자 이외의 사람이 들어가지 아니하도록 시건장치와 울타리ㆍ담 등을 시설하도
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다만, 하천이나 낭떠러지와 같이 사람이 출입할 우려가 없는 곳은 울타리를 시


설하지 않아도 되는 예외 조건을 두고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2016 전기설
비기술기준의 해설서」를 참고하시기 바라며,

□ 본 기준에서 명시한 “변전소에 준하는 장소”라 함은 자가용 전기시설물 시설


자의 구내 등에서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기를 수전하여 변성하는 변전실이나
수전실을 가리키며, “고압 또는 특고압 수전설비란 고압 또는 특고압배전반ㆍ
변압기ㆍ안전개폐장치ㆍ계측장치 등의 고압 또는 특고압 수전장치 및 이들을
넣은 수전실 또는 큐비클(Cubicle) 등을 의미”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내선
규정 1300-1).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93

제 목 변전소 외곽 울타리와 구내 변전설비 울타리의 차이점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19. 04. 10.)

질 의

○ 변전소를 둘러싼 울타리가 2m이상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런데도 변전소 구내


에 설치하는 특고압 설비의(22.9kV) 충전부 울타리는 전기설비 기술기준의 판
단기준 제31조, 제44조에 해당하지 않는지요?

1. 울타리가 설치되어 있는 변전소 구내의 특고압 설비의 충전부는 사람이 접촉


할 우려가 없는 경우에는 울타리 높이 기준은 없는지?

2. 현재 변전소 구내의 특고압 설비의 충전부 접촉 방지를 위하여 울타리 1.5m ,


울타리와 충전부 거리 0.9m 일 경우 전기설비 기술기준에 적합 또는 부적합
인지?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31조는 특고압용 기계기구의 시설기준에 대하


여 명시하고 있으며, 동 기준 제44조는 발전소 등의 울타리・담 등의 시설기
준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으므로 귀하의 현장은 본 규정에 따라 시설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다만, 동 기준 제44조에서 명시한 울타리는 사람과 가축, 기타 물체를 충전부


와 이격하는 등 전기안전 확보를 위한 것으로서, 건물이나 재산보호를 위한
보안 목적의 울타리와는 다르게 적용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194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 목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의 울타리 시설 해석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19. 07. 04.)

질 의

○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의 울타리 시설기준이 제1항은 옥외, 제3항은 옥내로 구


분하였으나, 시설기준 해석이 모호하여 옥내일 경우 다음과 같은 시설에 대하
여 문의 드립니다.

1) 지상 건축물 내에 시설된 발/변전 및 개폐소의 울타리 설치 여부는?


2) 지상에 독립 건물로 시설된 발/변전 및 개폐소의 울타리 설치 여부는?
3) 지하 건축물 내에 시설된 발/변전 및 개폐소의 지상 출입구에 울타리 설치 여
부는?
4) 지하에 독립 건물로 시설된 발/변전 및 개폐소의 지상 출입구에 울타리 설치
여부는?
5) 발/변전 및 개폐소에 22.9kV 수ㆍ배전설비도 포함되는지 여부?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95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이하, 판단기준) 제44조제3항은 아래와 같이 규


정하고 있습니다.

고압 또는 특고압의 기계기구, 모선 등을 옥내에 시설하는 발전소ㆍ변전소ㆍ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


는 곳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의하여 구내에 취급자 이외의 자가 들어가지 아니하도록 시설
하여야 한다. 다만, 제1항의 규정에 의하여 시설한 울타리ㆍ담 등의 내부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울타리ㆍ담 등을 제2항의 규정에 준하여 시설하고 또한 그 출입구에 출입금지의 표시와 자물쇠
장치 기타 적당한 장치를 할 것.
2. 견고한 벽을 시설하고 그 출입구에 출입금지의 표시와 자물쇠장치 기타 적당한 장치를 할 것.

□ 제44조제3항제1호는 건물의 일부를 이용하여 고압 또는 특고압의 변전소 등을


시설하는 경우 해당조항을 적용합니다. 즉, 넓은 건물 내부의 일부를 울타리
등으로 둘러싸고 그 안에 기계기구를 설치하는 경우는 이들과 고압 및 특고압
충전부분과의 이격은 제44조제2항을 따라야 합니다. 또한 제44조제3항제2호는
벽, 칸막이 등에 의해 천장까지 완전히 막힌 경우는 출입금지를 표시하고 출
입구에 잠금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며 이 경우 제44조제3항제1호를 적용하지 않
을 수 있습니다.

□ 다만, 제44조제3항에 따라 시설하더라도 특고압용 기계기구의 노출된 충전부분


은 취급자가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하며(판단기준 제31조제2
항) 이를 위해 적당한 높이에 시설 또는 주위에 방호장치를 설치하는 등의 조
치를 강구하여야 합니다.

□ 상기 조항과 현상 여건 등을 고려하여 적합하게 시설하시고, 현장 조건에 따라


울타리 또는 벽, 칸막이 시설 여부 및 가부 판정에 대해서는 검사기관과 협의
하시길 바랍니다. 끝.
196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 목 경사형 지붕에 태양광 발전소 설치시 울타리 시설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19. 11. 27.)

질 의

○ 공장의 경사형 지붕에 750kW급 태양광 발전소를 한화 385W 모듈 17, 18직렬


로 750V이상 고압으로 설치하였습니다. 하지만 750V 이상이기 때문에 경사 지
붕에도 휀스를 설치해야한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 경사형 지붕에는 휀스를 고정할 수 있는 방법도 없습니다. 또한 높은 공장지붕


(12m 이상)에 올라가기 위해서는 공장 벽면에 있는 안전사다리를 통해서만 가
능한데, 유일한 출입구인 안전사다리와 안전사다리의 잠금장치가 휀스 설치의
예외사항으로 인정될 수 있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4조 제①항은 고압 또는 특고압의 기기, 모선


등을 옥외에 시설하는 발・변전소(이에 준하는 곳 포함)에는 구내에 취급자 이
외의 일반인이 출입하지 않도록 울타리, 담 등을 시설하라고 규정하였으나

□ 동 조 제⑤항은 구내 경계 전반에 울타리, 담 등을 시설하고, 일반인이 들어가


지 않게 시설한 공장 구내의 옥외 또는 옥내에 시설한 발・변전소(이에 준하
는 곳 포함)에 “위험” 경고 표지를 하고 동 규정 제31조 및 제36조 규정에 준
하여 시설하는 경우에는 제①항의 규정에 의하지 아니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귀하의 질의사항만으로는 현장 시설 상황을 명확히 알 수는 없으나, 질


의하신 현장이 공중안전이 확보되어 있는 구내의 발・변전소(이에 준하는 곳
포함)에 해당하는지 확인하시기 바라며, 상세사항은 점검기관 등과 논의하시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97

제 목 우사 옥상에 태양광 발전소 설치시 울타리 시설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18. 03. 05.)

질 의

○ 우사 옥상 위에 태양광 발전소를 설치하였습니다. 우사의 가장 낮은 곳의 높이


는 4m 이고, 직류 전압은 766V로 법령상 고압에 해당되는데, 전문가의 의견이
고압시설이기 때문에 우사를 전부 휀스를 친 다음 소나 사람이 출입이 안 되
게 하든지, 아니면 직류 전압을 저압(750V)이하로 낮추라고 합니다.

○ 옥상에 사람이 올라가지 못하도록 시건장치를 하면 올라갈 수 가 없는데 이것


은 제 31조나 36조에서 정한 예외 조항에 해당하지 않는지요?

회 신

□ 직류 전압 766V는 현행 전압체계에서 고압으로 분류되어, 해당 설비는 전기설


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36조(고압용 기계기구의 시설) 등에 따라 시설되어야
합니다.

□ 질의사항만으로는 현장 시설 상황을 명확히 알 수 없으나, 동조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거나, 발전소, 변전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경
우에는 고압용 기계기구를 시설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으로 태양광발전설비는 모듈과 철제 구조물과의 본딩 및 철제 구조물은


접지를 하도록 규정하고 있어, 누전 및 고장 시 우사의 고장전압(보폭전압) 등
에 대한 안전 여부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됩니다. 해당 시설의 안전성 및 적
합 여부 관련한 상세사항은 검사기관 등과 논의하시기 바랍니다. 끝.
198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 목 울타리・담 등으로부터 충전부분까지의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18. 06. 08.)

질 의

○ 전기설비 기술기준 판단기준 제44조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이 무엇인지요?

○ 아래 조항을 문구대로 해석하면 "울타리・담 등의 높이와 울타리・담 등으로


부터 충전부분까지 거리의 합계" 는 [거리①] + [거리②] 로 정의 할 수 있으
나, (거리① : 충전부와 울타리까지의 거리 / 거리② : 울타리 높이)

○ [거리②]의 경우 동 기준 44조 나)항 (1)호에서 하한치(2m 이상)만 규정하고 있


기 때문에 [거리②]를 크게 한다면, [거리①]을 작게 해도 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음

○ 그러나 [거리①] 충전부와 울타리까지의 거리가 일정 길이 이하로 줄어든다면,


(충전부와 울타리 상단간의 거리가 줄어든다는 의미, 울타리는 접지되어 있음),
유기전압으로 인한 감전사고등의 문제가 반드시 발생함

○ 또한 [거리①] 충전부와 울타리까지의 거리가 충전부와 울타리 상단까지의 거


리인지 아니면, 충전부와 울타리까지의 직하 바닥의 거리인지 등에 대한 구체
적인 해석이 필요하여 문의 드립니다.

회 신

□ 판단기준 제44조제2항의 울타리·담은 특고압의 충전부분이 접근하는 경우 사


람과 가축 기타 물체와의 접촉 방지를 위하여 충전부분을 이격하도록 규정한
최소한의 높이입니다. 본 조항에서 울타리·담 등의 높이를 2 m 이상으로 정한
것은 울타리·담 등을 넘어가거나 기타 물체 등이 충전부분에 접촉 방지를 위
해 정한 최소한의 높이입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199

□ 질의 하신 충전부와 울타리사이 거리와 본 조항 표44-1의에서 최소 이격거리


는 아래 그림과 같이 d1+d2의 거리를 표시하고 있습니다.

d2

d2
d1

d
1

d1 : 울타리ㆍ담 등의 높이
d2 : 울타리ㆍ담 등으로부터 충전부분까지 거리

□ 또한 질의 하신 충전부와 울타리 사이의 거리가 일정 길이 이하로 줄어들어


유기전압 등으로 안전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면 안전 대책이 필요할 것으
로 사료 되며, 본 조항에서는 울타리·담과 충전부 사이만으로 이격거리를 정하
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대한전기협회에서 발간한 발·변전규정 (KECC
7701-2014)의 1405-5(붙임 참조)에서 울타리, 담 등과 충전부의 최소 이격거리
를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참고 <발·변전규정 (KECC 7701-2014)>

1405-5 울타리, 담 등과 충전부의 최소 이격거리


울타리, 담 등과 충전부의 최소 이격거리는 표 1405-2의 값 이상으로 하는 것
이 바람직하다.
표 1405-2 울타리, 담 등과 충전부의 최소 이격거리

사용전압(㎸) 최소 이격거리

7 이하 0.5 m

7 초과 ~ 35 이하 1.5 m

35 초과 ~ 80 이하 2.0 m

80 초과 ~ 115 이하 3.0 m

115 초과 ~ 175 이하 4.0 m

175 초과 4 m에 175 ㎸를 초과하는 10 ㎸마다 0.12 m 추가


200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 목 태양광발전소 울타리의 접지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18. 09. 03.)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4조(발전소 등의 울타리・담 등의 시설)제4항


에 보면 "고압 또는 특고압 가공전선(전선에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
함)과 금속제의 울타리ㆍ담 등이 교차하는 경우에 금속제의 울타리ㆍ담 등에
는 교차점과 좌, 우로 45m 이내의 개소에 제1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라고
되어 있습니다.

○ 그러면 태양광발전소(DC 750V이상, 고압)에 고압 또는 특고압 가공전선(전선


에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는 제외함)과 금속제의 울타리ㆍ담 등이 교차하지
않는다면 울타리 접지를 제외해도 된다고 이해가 되는데 실제 현장에서 해석
이 각각 다르므로 귀 협회의 정확한 해석이 필요합니다.

회 신

□ 발전소 등의 울타리에서 고압 및 특고압의 가공전선이 교차하는 경우, 전기설


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4조(발전소 등의 울타리·담 등의 시설)제4항을 준용
하여 접지공사를 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이는 가공전선로로부터 금속제 울타
리·담 등에 전압유도, 단선, 전위 상승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부분입니다.

□ 질의 하신 것처럼 가공전선과 금속제의 울타리ㆍ담 등이 교차하지 않는다면


울타리 접지를 하지 않을 수 있겠지만, 울타리 담 내부에 시설된 고압/특고압
전기설비의 전압유도, 피뢰설비 등으로 인한 금속제 울타리 유도 전압에 의해
인체 접속 시 안전성 확보 등에 대한 대책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이 되며, 설
치 장소의 환경 등을 고려하시어 안전상에 문제가 없다고 판단 할 수가 있는
지에 대해서는 관련 검사 기관과 협의하여 접지 여부를 결정해야 할 것으로
사료 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01

제 목 전기실 바닥의 마감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19. 12. 10.)

질 의

○ 옥외 전기실 마감 질의입니다. 빌딩이나 옥내 전기실 바닥 마감재로 에폭시 도


장이 되어 있는데 근무중인 옥외 전기실 바닥면이 콘크리트로만 되어 있어,
전기실 출입, 작업시 바닥면에서 먼지가 일어나고 있습니다.
전기실 바닥면을 에폭시 같은 페인트로 도장해야 되는 규정이나 사양이 별도
로 있는지 질의 드립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과 이와 관련한 「내선


규정」 등에서는 ‘전기실 마감’에 대한 기준을 다루고 있지 않습니다.

□ 다만, 기술기준 제2조의 안전 원칙에 따라 모든 전기설비는 감전, 화재 그 밖


에 사람에게 위해(危害)를 주거나 물건에 손상을 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하며, 내선규정 3220-4에서는 수전실 또는 큐비클 시설장소는 물이 침입하거나
침투할 우려가 없도록 조치를 강구하고 벽, 기둥, 바닥 및 천장은 불연재료로
시설하도록 명시하고 있음을 알려드리며, 불연재료는 건축법, 소방법 등을 참
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202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 목 아파트 EPS/TPS실의 시건장치 설치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18. 11. 01.)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 또는 내선규정 등에 아파트 EPS/TPS실 등에 외부인의 출입


을 통제하기 위해 반드시 시건장치를 해야 된다는 의무규정이 있는지 질문 드
립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과 내선규정 등에서는 아파트의 EPS/TPS실에 관한 규정을


별도로 다루고 있지 않습니다.

□ 다만, 고압 또는 특고압의 기계기구, 모선 등을 옥외에 시설하는 발전소ㆍ변전


소ㆍ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울타리·담 등은 출입구에 출입금지 표시와
자물쇠장치 또는 기타 적당한 장치를 할 것(판단기준 제44조)과 노출된 충전부
가 있는 배전반 및 분전반은 취급자 이외의 사람이 쉽게 출입할 수 없는 장소
에 설치하도록(내선규정 제1455절) 규정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03

제 목 수・배전반실 중문 설치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53조 (회신 : 2018. 02. 19.)

질 의

○ 수・배전반의 중문(바깥철문 개방하고 안전을 위한 안쪽이 들여다보이는 문)이


설치한지 오래되고 경첩의 재질이 주철이다 보니 부러지는 곳이 여러 곳 생겼
기에 합선, 누전의 위험이 있어 떼어놓았습니다.

○ 본 중문은 안전을 위하여 제작된 문으로 생각되는데 그냥 중문 없이 전기시설


을 관리하여도 되는지, 위법인지, 처벌사항이 있는지 질의합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은 각종 전기설비 등의 안


전에 필요한 성능과 기술적 요건 규정을 목적으로 하며,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는 질의하신 수・배전반 중문설치에 대해 명
시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 다만,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1조(발전소 등의 시설)2항 및 판단기준 제53조(배전


반의 시설)2항, 제171조(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 배분전반 등의 시설)1항1호,2
호에서 배전반의 설치시 취급자에게 위험이 미치지 아니하도록 적당한 방호장
치 또는 통로를 시설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 질의 하신 수・배전반 중문의 보수 및 제거에 대해서는 일반적으로 수・배전


반 내에는 중문을 설치하여 관리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고 현장상황을 고려하여
전문가와 상의 후 관리하시기 바랍니다. 끝.

※ 참고 기술기준(제21조), 판단기준(제53조, 제171조)


204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 목 수배전반의 전기 기기에 대한 내진설계 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44조 (회신 : 2020. 04. 01.)

질 의

○ 최근 내진설계가 강화되고 있어 건축전기정착부 내진설계 및 시공지침에는 정


착 및 고정을 위한 “설비정착부”에 대하여 내진설계에 관한 내용이 있습니다.
그러나 각종 전기설비 자체에 대하여도 내진설계를 의무적으로 하여야 하는지
궁금하며, 내진설계를 적용하여야 함에도 미적용시에는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
므로 이렇게 질의하게 되었습니다.
(각종 전기설비라 함은 수배전반, 분전반, 비상발전기, 무정전전원장치, 조명등
기구 등을 의미합니다.)

1. 건축물 공사시 각종 전기설비(수배전반 등)에 대한 내진설계가 필수인지요?


→ 내진설계라 함은 “내진성능인증제품 사용 또는 제조자(설비공급자)의 내진에
대한 시험성적서 의무 제출 및 발주처 확인“입니다.

2. 각종 전기설비(수배전반 등) 자체가 위와 같이 내진설계가 의무사항일 경우 관


련법령이 무엇인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05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1조제5항은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기기계기구・모선


등을 시설하는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전기
설비는 자중, 적재하중, 적설 또는 풍압 및 지진 그 밖의 진동과 충격에 대하
여 안전한 구조이어야 한다.”고 규정하고 이는데, 여기서 「변전소에 준하는 장
소」, 「개폐소에 준하는 장소」라 함은 자가용 전기시설물 시설자의 구내 등에
서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기를 수전하여 변성하는 변전실이나 수전실을 가리
키는 것으로서 본 기준은 의무사항입니다(질의 2).

□ 또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4조제6항은 “기술기준 제21조제5항에


따라 내진설계를 하는 경우에는 한국전기기술기준위원회표준 KECG 9701-2014
및 KECC 7701-2014을 참고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는데, 위 조항에서 제시
한 「한국전기기술기준위원회 표준 KECG 9701-2014」는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
에 관한 규칙 및 건축구조기준”법령 개정에 따라 「한국전기기술기준위원회 표
준 KECG 9701-2019 (건축전기설비정착부 내진설계 및 시공지침)」로 개정되었
는데, 본 지침에 따르면 수변전설비, 간선 및 배선설비, 조명설비, 피뢰설비 등
과 이에 포함되는 배관, 전선관, 케이블트레이, 버스덕트 등과 지지부 및 정착
부를 “건축전기설비 비구조요소”라 총칭하며 건축전기설비의 대상이 되고 있
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끝.
206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 목 태양광발전소의 계측장치 종류, 피뢰설비 등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50조 (회신 : 2019. 05. 29.)

질 의

1. 태양광발전설비의 계측장치가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의 무선기기(스마트폰,


태블릿PC등)으로 적용 된 설비인 경우 "기술기준 제50조 계측장치 1항 1호"에
충족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2. 건물 옥상 내 설치 된 태양광발전설비의 구조물에 직접적으로 피뢰침설비를 부


착 할 경우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적용 가능 여부?

3. 건물 옥상 또는 지붕에 설치 된 고압, 특고압 태양광발전소의 울타리 시설인


경우 판단기준 44조에 적용 여부?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07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50조 제1항 제1호는 “태양전지 발전소는 연계


하는 전력계통에 그 발전소 이외의 전원이 없는 것 외에는 발전소에 발전
기․연료전지 또는 태양전지 모듈의 전압, 전류 또는 전력을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나 그 계측장치의 구조 또는 기술적 구현
방법 등에 대하여는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질의 1).

□ 또한 전기설비기술기준 제6조의2는 뇌방전으로 인한 과전압으로부터 전기설비


의 손상, 감전 또는 화재의 우려가 없도록 피뢰설비를 시설하고 그 밖에 적절
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질의 2), 피뢰침 설비의 시설에 대
한 세부 내용은 국토교통부에서 발표한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또
는 KS C IEC 62305 등의 국가 표준을 참조하셔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아울러 토지의 상황에 의하여 사람이 들어갈 우려가 없는 곳을 제외한 ‘고압


또는 특고압의 기계기구․모선 등을 옥외에 시설하는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4조에 따라 구내
에 취급자 이외의 사람이 들어가지 아니하도록 하고 울타리․담 등을 시설하
여야 하는데(질의 3),

□ 여기서 ‘토지의 상황에 의하여 사람이 들어갈 우려가 없는 곳’이란 하천이나


낭떠러지와 같이 사람이 출입할 우려가 없는 곳을 가리키며 ‘발전소’란 발전
기·원동기·연료전지·태양전지·해양에너지발전설비·전기저장장치 그 밖의 기계
기구를 시설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곳(판단기준 제3조 ‘정의’ 참조)을 의미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208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 목 수전설비 내 주요설비의 이격거리가 의무기준인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53조 (회신 : 2019. 08. 20.)

질 의

○ 내선규정 3220-4 수전실 등의 시설에 관한 사항 중 변압기, 배전반 등 수전설


비 주요부분이 유지하여야 할 거리의 기준을 원칙적으로 표 3220-2의 값 이상
일 것은 의무사항인지 또는 권고사항인지 알고 싶습니다.

회 신

□ 전기설비는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조에 따라 감전, 화재 그 밖에 사람에게 위해


(危害)를 주거나 물건에 손상을 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하며, 전기설비
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53조(배전반의 시설)에서는 취급자에게 위험이 미치지
않도록 방호장치 또는 통로를 시설하여 기기조작에 필요한 공간을 확보하도록
의무사항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 아울러 내선규정은 전기설비기술기준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내용 중


난해한 표현으로 되어 있는 것이나 또는 추상적인 표현으로 되어 있는 조항에
대하여 기술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기술기준과 판단기준의 목적과 취지를 살
려서 구체적으로 알기 쉽도록 표현한 민간단체표준으로서 의무사항, 권고사항,
장려사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바, 내선규정의 법적 지위와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사례집의 ‘내선규정에 대하여’(p.284)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09

제 목 태양광 발전설비의 차단장치 시설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54조 (회신 : 2019. 04. 09.)

질 의

○ 2019년 3월 25일 개정된 전기설비기술기준 판단기준 제54조에 아래 문구가 추


가되어 질문이 있습니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제54조(태양전지 모듈 등의 시설) ⓛ (생략)
7. 태양전지 발전설비의 직류 전로에 지락이 발생했을 때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해야 한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 태양광 발전소에서 '모듈 ~ 접속반 ~ 인버터 ~ 배전반 or 수변전시설 ~ 한전


인입' 중에서 인버터의 입력 단자까지는 태양전지 발전설비의 직류 전로라고
생각됩니다. (DC입력, AC출력)

○ 여기서 인버터 자체 기능에 직류 지락 차단 장치가 있으면 위 항목에서 말하


는 별도의 보호 장치를 추가로 구성하지 않아도 괜찮은지요?

회 신

□ 태양전지 발전설비 직류회로의 지락보호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어 적정 보호


조치를 위해 제정된 본 조항은 인버터 이하의 전체 직류 전로의 지락 검출 및
차단, 보수 등의 적정 조치가 주목적인 바, 접속반이나 인버터 등에 지락 검출
및 자동 차단기능이 내장되어 있으며, 해당 기능의 적정성을 입증할 수 있다
면 본 규정의 취지에 적합하다고 사료됩니다(직류회로의 지락 검출이란 모듈~
접속반~인버터 등과 같이 태양광 발전소 전체 직류회로의 구간에서 지락 검출
이 가능해야 함). 끝.
210 2. 제2장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의 시설

제 목 태양광 모듈의 본딩용 케이블 굵기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54조 (회신 : 2018. 12. 03.)

질 의

○ 태양광 발전설비의 사용전 검사 중 발생한 문제에 대해 문의합니다.

○ 설비는 태양광 모듈을 17직렬 연결하여 개방전압기준 810V가 되고, 상기의 17


직렬을 16병렬로 연결하여 발전설비를 구성하였습니다.
접지를 위해 모듈과 구조체를 4SQ접지선으로 본딩하였고, 이를 접지선 10SQ
를 이용하여 접지하였습니다.
그러나 전기안전공사는 17직렬 연결시 810V가 출력됨으로 고압이니 제1종접지
에 해당하는 전압이니 6SQ 이상의 본딩 케이블을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모듈의 본딩용 케이블까지 6SQ이상을 사용해야 하는지 문의합
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54조는 태양전지 발전소에는 2.5 ㎟ 이상의 연


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세기 및 굵기의 전선을 사용토록 명시되어 있는
데, 이는 태양전지의 전압선에 대한 기준으로서 본딩용 접지선의 굵기에 대하
여는 명시하고 있지 않으므로 기준의 적용조항에 대하여 검사기관과 협의하심
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됩니다.

□ 다만, KS C IEC 60364에 의하여 접지설비를 시행하는 경우에는 내선규정 제


5240절 및 KS C IEC 60364에 따라 주 접지단자에 접속되는 등전위본딩선의
단면적은 6 ㎟ 이상(구리)을 사용하여야 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11

제 목 태양광발전설비 구조물에 피뢰침을 시설해도 되는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54조 (회신 : 2020. 07. 27.)

질 의

○ 태양광발전소의 구조물에 피뢰침을 부착하여 설치하는 경우 기술기준에 부합


되는지 문의 드립니다.

○ 설비는 태양광 모듈을 17직렬 연결하여 개방전압기준 810V가 되고, 상기의 17


직렬을 16병렬로 연결하여 발전설비를 구성하였습니다.
접지를 위해 모듈과 구조체를 4SQ접지선으로 본딩하였고, 이를 접지선 10SQ
를 이용하여 접지하였습니다.
그러나 전기안전공사는 17직렬 연결시 810V가 출력됨으로 고압이니 제1종접지
에 해당하는 전압이니 6SQ 이상의 본딩 케이블을 설치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이에 모듈의 본딩용 케이블까지 6SQ이상을 사용해야 하는지 문의합
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이나 「내선규정」 등에서는 피뢰침의 시설방법을 다루고 있


지 않으나, 모든 전기설비는 사람이나 물건에 위해를 주지 않도록 시설하여야
하며 다른 물건의 기능에 전기적인 장해를 주지 않아야 하는 기술기준 제2조
의 안전원칙에 따라 태양광발전설비 구조물에 무거운 물체를 부착하여 설치할
경우 태양광발전설비 구조물에 대한 전기적, 기계적 안전이 확보되어야 할 것
으로 판단됩니다.

□ 따라서 태양광발전설비 구조물에 피뢰침을 설치해도 좋은지에 대하여 구조물


의 안전진단을 시행하거나 태양광발전설비 시설 허가기관 등에 문의함이 타당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13


3

3. 제3장 전선로
(제57조 ~ 제152조)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15

제 목 전선에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한 경우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79조 (회신 : 2020. 09. 15.)

질 의

○ 사진을 보시면, 특고압선(입력단자)과 해당 건조물이 근접하고 근접한 옆면에


창문이 설치되어 있으며, 옆 건물 2층에서도 쉽게 접근이 가능한데, 이 경우
판단기준 제79조 표79-1에서 “전선에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
한 경우”에 해당하는지 문의합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은 ‘접촉할 우려가 없는 상태’에 대한 정의를 다루고 있지


않으나, 통상적으로 “노출된 충전부에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그 부분을 적당
하게 떼어 놓던지 적당한 높이에 시설하거나 주위에 절연대 또는 울타리 등을
설치하여 근본적으로 접근할 수 없도록 하든지 혹은 주위에 방호장치를 설치
하는 등의 조치를 강구한 상태” 등을 의미합니다(판단기준 제31조제1항 해설).

□ 아울러 우리 협회는 귀하의 사진으로는 ‘접촉할 우려가 없는 상태’인지에 대한


판단을 할 수 없으므로 설비 소유자인 한국전력공사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
으로 사료됩니다. 끝.
216 3. 제3장 전선로

제 목 저압 인입선의 설치 높이 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00조

질 의

질의 1 가공인입선의 경우 도로횡단 5m, 그 외의 경우 4m로 알고 있는데, 아래


사진의 농로는 도로로 봐야하는지, 그 외로 봐야하는지 또, 교통에 지장이 없
는 경우로 적용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19.11.06)

질의 2 택지개발공사 진행중 가설 컨테이너 저압전기 인입을 위해 인근 전주에서


보안등(5M)을 이용해 전기를 공급받고자 막다른 길인 4M폭(차도와 보도의 구
별이 없음)의 길을 횡단코자 할 때, 교통에 지장이 없는 막다른 길이기 때문에
보안등(5M)을 이용해 횡단이 가능할 것으로 보는 것이 맞는지요? (‘20.09.14)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17

회 신

회신 1 귀하의 농로가 도로인지 여부와 교통에 지장을 주는지 여부 등은 적정 조


사기관이나 행정관서에 문의하심이 타당한 것으로 사료되나, 판단기준 제100조
는 저압 인입선의 높이를 “도로(차도와 보도의 구별이 있는 도로인 경우에는
차도)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노면상 5 m(기술상 부득이하고 교통에 지장이 없
을 때에는 3 m) 이상, 이외의 경우에는 지표상 4 m(기술상 부득이하고 교통에
지장이 없을 때에는 2.5 m) 이상”으로 명시하고 있으며
기술기준 제2조의 안전 원칙에 따라 인입선의 지상고 기준점은 해당 지형구간
에서 지상고가 가장 낮게 시설된 개소를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회신 2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00조제5항은 저압 인입선이 도로를 횡


단하는 경우 노면상 5 m 이상 시설하도록 명시하고 있는데, 본 조항에서 노면
상 3 m 이상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① 인입선을 5 m 이상으로 시설하는 것이
기술상 불가능 하고, ② 교통에 지장이 없을 때에 가능합니다.
아울러 귀하의 현장이 택지개발지역으로서 현재는 막다른 도로이지만 도로가
개설되거나 연장될 가능성이 상존하므로 현장의 도로가 교통에 지장이 없는지
에 대한 판단은 택지개발 주관 기관 또는 도로를 관리하는 행정기관에 문의하
여 판단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218 3. 제3장 전선로

제 목 송전선의 지표상 높이 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04조 (회신 : 2020. 05. 07.)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04조 제2항에서 시가지 그 밖에 인가가 밀집


한 지역을 정의하고 있고, 같은조 제1항 [표104-3]에서는 사용전압에 따른 지표
상의 높이 기준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상기 제104조 제2항에서 정의하고 있는
시가지(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양측으로 각각 50 m, 선로방향으로 500m을 취한
50,000m2의 장방형의 구역으로 그 지역(도로부분을 제외한다)내의 건폐율{(조
영물이 점하는 면적)/(50,000m2-도로면적)}이 25% 이상인 경우) 기준 이하의
도시지역 내의 주거지역에 건축을 위하여 도로높이로 토지를 성토하려고 할
때 송전선의 지표상의 높이는 [표104-3]에서 규정한 기준에 따라야 하는지? 아
니면 상기 시가지로 규정한 일정 기준 이하의 도시지역 내 주거지역은 별도의
다른 규정이 있는지? 있다면 어떤 규정을 따라야 하는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 상기 시가지로 규정하는 조건 중 건폐율 25% 기준은 현재 실 건축물의 건폐


율을 계산하는 것인지? 아니면 토지의 용도상「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따른 건폐율 계산인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19

회 신

□ 특고압 가공전선로는 원칙적으로 시가지와 같이 인가가 밀집한 지역에 시설하


는 것을 금지하고 있으나, 도시 개발에 따라 시가지화 되어버린 예가 많기 때
문에 본 기준은 주변이 시가지화 한 경우에 필요한 개수(改修)기준을 명시하
고, 제1항 각호에 따라 시설할 경우에는 시가지에서 시설이 가능토록 명시한
내용이므로 귀하의 현장이 개발되어 시가지가 될 경우에는 동 기준 제104조에
따라야 할 것이며, 시가지 외 기타 지역이라면 특고압 가공전선의 지표상 높
이는 동 기준 제110조에 따라야 하고, 향후 건조물이 들어설 경우 특고압 가공
전선과 건조물은 동 기준 제126조에 명시한 이격거리를 준수하여야 할 것입니
다(질의 1).

□ 또한 전기설비는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조의 안전원칙에 따라야 하는 바, 판


단기준 제104조제2항에서 규정한 건폐율은 관련법에서 허용하는 최대값이 되
는 경우를 적용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되며, 동 조 제2항의 “시가지 기타 인
가가 밀집한 지역”에 대한 해석은 아래와 같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2016 전기
설비기술기준 해설서」 p.318~321 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
① 조영물이 일률적인 모양을 한 경우로서 전선로의 한쪽에는 조영물이 집중하고,
전선로의 경과지와 다른 쪽이 거의 전답인 경우에는 건폐율 값에 구애됨이 없
이 적용 외로 간주하고
② 그 반대로 건폐율 계산 값이 기준에서 규정한 수치 이하이나, 전선로 주위에
상점, 흥행가, 사무실 등이 집중하여있는 경우는 당연 시가지로 본다.

□ 참고로 판단기준에서 규정하는 이격거리는 최소한의 안전거리이므로 귀하 현


장의 성토에 따른 특고압 가공선로 지표상 높이 등은 특고압 가공선로를 소유
또는 운영하는 기관과도 협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220 3. 제3장 전선로

제 목 154kV 케이블을 옥외 파이프 랙에 시설하는 공사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06조 (회신 : 2020. 03. 18.)

질 의

○ 154KV 케이블 공사를 지중 공사가 아닌 옥외에 파이프 랙을 이용하여 가공으


로 시공시 관련 법규는 어떤 조항을 적용하여 설계를 하여야 하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는 귀하의 질의와 같은 공사에 대한 시설기준을 다루


고 있지 않으나 귀하의 설비가 ①지상에 설치하는 전선로, ②가공케이블의 시
설, ③전선로 전용교량 등에 시설하는 전선로 등으로 구분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하오니 해당하는 규정을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① (지상에 설치하는 전선로) 판단기준 제147조에서 지상에 시설하는 특고압 전선


로의 사용전압을 100 kV 이하로 제한하는 이유는 지중전선로에 비하여 위험
도가 높기 때문이나 동 기준 제44조에서 규정하는 바와 같은 구내에 일반인이
출입하지 않도록 시설한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혹은 이들에 준하는 장소의
구내의 지상에 시설하는 전선은 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② (가공케이블의 시설) 동 기준 제106조는 특고압 가공케이블의 시설에 대한 시
설기준을 명시하면서 전압의 제한을 정하지 않았으나, 동 기준 제96조는 100
kV를 초과하는 특고압 옥측전선로의 시설을 금지하고 있으며, 동 기준 제99조
는 특고압 옥상전선로의 시설을 금하고 있습니다.
③ (전선로 전용교량 등에 시설하는 전선로) 아울러 교량에 설치하는 전선로는 두
가지 기준이 있는 바, 철도교량 또는 도로교량 등에 첨가하여 시설하는 「교량
첨가전선로」는 동 기준 제148조를, 지중전선로가 하천을 횡단할 때와 같이 전
선로 전용의 교량에 시설하는 전선로는 동 기준 제149조를 적용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되며, 전선로 전용교량 또는 파이프스탠드 및 이와 유사한 것에
시설하는 전선로의 사용전압은 100 ㎸ 이하로 제한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
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21

제 목 배전반내 몰드변압기와 대지간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08조 (회신 : 2018. 07. 04.)

질 의

○ 몰드변압기의 몰드 표면과 대지 간 이격거리에 대해 궁금합니다.

○ 변압기 제작업체에서는 IEC-60076-3-1에 의거 몰드표면과 대지 간 이격거리가


100mm 이상이면 된다고 하나, 사용전검사 담당자는 몰드표면을 충전부로 봐
야도기 때문에 몰드표면과 대지 간 이격거리가 200mm 이상 되어야 한다고
합니다.

○ 22.9kV/3.3kV 몰드변압기 표면(에폭시부)을 충전부로 봐야하는지, 충전부와는


다른 몰드표면으로 봐야하는 것인지요?
222 3. 제3장 전선로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08조에 의거하여 특고압 가공전선과 지지물


등의 이격거리는 [표 108-1]에서 정한 값 이상으로 설치하여야 합니다.(다만,
기술상 부득이한 경우에 위험의 우려가 없도록 시설한 때에는 [표 108-1]에서
정한 값의 0.8배까지 감할 수 있다.)

사용전압 이격거리(㎝)

15 kV 미만 15
15 kV 이상 25 kV 미만 20
25 kV 이상 35 kV 미만 25
35 kV 이상 50 kV 미만 30
50 kV 이상 60 kV 미만 35
60 kV 이상 70 kV 미만 40
70 kV 이상 80 kV 미만 45
80 kV 이상 130 kV 미만 65
130 kV 이상 160 kV 미만 90
160 kV 이상 200 kV 미만 110
200 kV 이상 230 kV 미만 130
230 kV 이상 160

□ 제작업체가 주장하는 IEC-60076-3-1에서는 몰드표면과 대지간 이격거리가


100mm, 안전공사에서 주장하는 이격거리 200mm에 대해서 귀하께서 시행하
시는 교체공사에 적용되어야 하는 표준 또는 규정이 어떤 것인지 공사시방서
또는 계약서 내용을 전문가와 함께 검토하시고 결정하시기를 권고드립니다.

□ 또한 대한전기협회는 「전기사업법」 제98조 등에 의해 위탁기관으로 지정되어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대한 유지・관리 업
무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상기 기준에 대한 유지・관리 업무 이외의 특
정 기자재에 대한 기준 적용범위, 유권해석이나 적정시공판별 등에 관한 업무
는 관련 기자재 제조사 또는 검사기관, 계약당사자 등과 논의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23

제 목 22.9kV 가공전선로와 해상교량과의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10조 (회신 : 2020. 08. 13.)

질 의

○ 신규로 시공되는 해상 교량이 22.9kv 가공전선로의 하부를 횡단할 경우 전기


설비판단기준 제 110조(특별고압 가공 전선의 높이) 표 110-1 에 따라 도로를
횡단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노면으로 부터 6m의 수직 이격거리를 확보하면 되
는 것인지요?
○ 교량과 인접한 배전철탑(SF type)과의 수평 이격거리에 대한 판단은 어떤 조항
을 적용함이 타당한지 문의 드립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는 해상 교량과 특고압 가공전선로와의 이격


거리를 다루고 있지 않으나, 가공전선로의 도로상 높이가 보장되어야 해상 교
량으로 차량 통행이 가능할 것이므로 귀하의 해상 교량의 최상층 노면과
22.9kV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이격거리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
110조 [표 110-1]에 따라 6m 이상이 되어야 할 것이며, 이는 최소한의 안전 이
격거리로서 현장에서의 지표상 최소 높이는 설비를 소유하고 유지, 관리하는
기관에 문의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1).

□ 아울러 기술기준에서 명시하는 이격거리는 전선로의 충전부와 건조물 등과의


거리를 의미하므로 배전철탑 기초 또는 지지물이 아닌 특고압 충전부와 교량
과의 이격거리를 적용하여야 합니다. 또한 귀하 교량의 도로가 특고압 전선로
에 접근상태로 시설되는 경우에는 판단기준 제127조를 적용하시기 바라며, 교
량의 구조물이 충전부에 접근하는 경우에는 동 기준 제126조를 적용하시기 바
랍니다. 다만, 배전철탑이 한국전력공사의 22.9kV-y 중성선 다중접지 특고압
가공전선로라면 동 기준 제135조를 참고하시되, 현장의 특고압 전선로가 중성
선 다중접지 방식인지 여부와 전선의 종류 등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설비
소유자에게 문의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2). 끝.
224 3. 제3장 전선로

제 목 특고압 가공전선과 도로와의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10조 (회신 : 2020. 05. 28.)

질 의

○ 판단기준에서 특고압 가공전선의 높이(제110조)와 특고압 가공전선과 도로와의


이격거리(제127조)간의 상관관계에 대해 문의합니다.
특고압 가공전선의 높이(제110조) 에서는 154kV의 경우 6m, 345kV의 경우
8.28m(6+19*0.12) 로 규정하고 있고, 가공전선과 도로와의 이격거리(제127조)에
서는 154kV의 경우 4.8m(3+12*0.15), 345kV의 경우 7.65m (3+31*0.15)로 규정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제127조의 경우 1차 접근상태, 2차 접근상태의 이격거
리에 대해서 부연설명이 있긴 하나, 도로와 교차 또는 도로 등의 위에 시설되
는 경우 이격거리에 대해서는 별도 명시가 없습니다.

○ 다른 Q&A를 보니 특고압전선과 도로와의 이격거리는 110조를 따른다고 되어


있는데, 그럼 127조의 이격거리는 어떤 의미인지요?

○ 보통 차량의 도로통행제한이 4m, 사전허가시 4.5m까지 통행이 가능한데요,


110조에 의한 6m도 너무 낮은 것이 아닌가요?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에 의하면 충전전로와 차량, 기계장치와의 이격거리를 154kV의 경우 3.4m,
345kV의 경우 4.5m로 제한하고 있는데요. 송전선 직하에서는 어떠한 작업도
불가능할 높이입니다. 안전을 고려하여 개정되어야 할 사항이 아닌가 제안합
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25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10조는 특고압 가공선로의 철도, 궤도, 횡단


보도교로부터의 높이에 대한 안전 이격거리 기준이며, 제127조는 특고압 가공
선로가 도로, 횡단보도교, 철도, 궤도 등과 제1차 접근상태 또는 제2차 접근상
태로 시설되는 경우에 대한 안전 이격거리 기준인데, 제127조에서 명시하는 제
1차 및 제2차 접근상태에 대한 설명은 판단기준 제2조 제9호와 제10호 및 「
2016 전기설비기술기준 해설서」 p.68~69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 아울러 판단기준에서 규정하는 이격거리는 최소 안전거리로서 실제 상황에서


의 이격거리는 설비를 소유한 주체가 별도로 정하여 운영하는 것이 타당할 것
으로 사료되나, 본 기준의 개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FAQ 11번 내용과 같이 개
정 의견을 공문으로 제시하여 주시면 관련 기술위원회에서 적극 검토할 예정
임을 알려드립니다(질의 2). 끝.
226 3. 제3장 전선로

제 목 송전선로와 연료전지 발전시설간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26조 (회신 : 2020. 02. 14.)

질 의

○ 판단기준 126조 3항 중 괄호의 내용을 보면 '199조, 200조, 201조, 202조의 해


당되는 건물은 이를 제외하며' 라고 되어있는데. 여기서 제외라는 말이 “해당
건물들은 2차 접근상태로 들어올 수 없다”란 의미인가요?
○ 연료전지발전시설이 판단기준 200조 또는 201조의 시설에 해당될까요? (*연료
전지 : 수소가스 사용)

회 신

□ 귀하가 질의하신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26조제3항의 괄호 안에


있는 문장은 아래와 같은 의미입니다(질의 1).
① 제199조제1항 및 제2항・제200조 또는 제201조에 규정하는 장소가 있는 건
물 및 제202조제1항에 규정하는 건물은 판단기준 제126조제3항의 기준을 적용
하지 않는다.
② 판단기준 제126조제3항에서 적용하는 건조물은 상기 ①을 제외한 건조물로
서 제2차 접근상태로 있는 부분의 상부조영재가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건축 재료로 건조된 것에 한한다.

□ 아울러 판단기준 제200조는 수소와 같은 가연성의 가스 또는 인화성물질의 증


기가 충만하여 점화원이 있으면 폭발할 우려가 있는 위험장소에 시설하는 경
우의 기준이며, 동 기준 제201조는 제199조와 제200조에서 규정한 바와 같은
위험성은 적지만, 한번 화재가 생긴 경우에는 화재의 확대가 빠르게 진행되는
위험성을 갖고 있는 장소에 대하여 적용하는 기준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질의 2).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27

제 목 건축용 방호관과 신축 건물과의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26조 (회신 : 2018. 02. 27.)

질 의

○ 기존 전주 옆에서 신축 건물이 진행되고 있어서 건축용 방호관 설치를 검토하


고 있는데, 신축건물과의 이격거리에 대해 의문점이 있습니다.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26조에 의하면 특고압 가공선로와 기타 조영


재와의 이격거리는 1.5m(전선에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한 경
우는 1m) 라고 되어 있는데, 여기서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다는 말의 정확한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 전주가 사람이 쉽게 승주할 수 없도록 1.8m 미만에 발판이 설치되지 않았다
라는 의미인지?
- 전선이 적정 지상고를 유지하였다는 것인지?
- 사람이 통상 통행하는 것으로 부터 손을 내밀어도 전선에 접촉하지 않도록 시
설되었다는 것인지요?

회 신

□ 현행 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에서는 “전선에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에 대하여 별도의 기준을 규정하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해
설에서는 “건조물의 측방에 대해서 「사람이 쉽게(용이)하게 접촉할 우려가 없
도록」이라고 하는 조건이 더하여졌지만 이것은 건조물의 측방에서 창이 가깝
게 있기도 하고, 사람이 손을 내밀어 쉽게 전선에 접촉할 경우를 생각한 것으
로, 창이 없는 건조물의 측방에 대해서는 완화 가능한 것을 의미하고 있다.”
라고 해석하고 있으며, 그 외 특고압 절연전선을 방호구 등에 넣어 전선을 사
람이 직접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는 경우 등도 이에 해당할 수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228 3. 제3장 전선로

제 목 공장, 전봇대 이격거리 및 전력설비 관리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26조 (회신 : 2020. 07. 15.)

질 의

○ 전봇대와 공장 사이의 이격거리 기준이 있는지요?


○ 변압기, 애자, 고압선로 각각 이격거리가 다른지요?​
○ 공장 신축 허가 시 이격거리에 관한 사항도 검토가 되는 지요?
○ 공장은 전봇대의 어느 부분까지 관리해야 하고 소유가 인정 되는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29

회 신

□ 전력설비와 건조물 등과의 이격거리는 전력설비의 전압, 전선의 종류 등에 따


라 상이하므로 사진으로는 귀하의 질의에 답변이 어려움을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로 「전기설비기술기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은 지지물(전주)


또는 애자 등과 건조물 간 이격거리를 다루고 있지 않으며, 특고압 가공전선
과 건조물의 이격거리는 판단기준 제126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또한 귀하가 공장 신축허가 시 전력설비와의 이격거리를 검토하여야 하는지에


대한 것은 건축허가 업무를 담당하는 기관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
되며

□ 수전설비의 유지보수 및 안전관리 등에 대하여는 현장 전기설비의 전기안전관


리 업무를 담당하는 전기안전관리자 또는 한국전기안전공사(T. 1588-7500)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아울러 귀하의 사진으로 판단할 때 귀하의 전력설비는 공장에 전기를 공급하


기 위한 특고압수전설비로 추정됨에 따라 판단기준 제44조에 명시한 울타리
등의 시설도 검토하여야 할 것으로 예상됨을 알려드립니다. 끝.
230 3. 제3장 전선로

제 목 제2차 접근상태 해당 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26조 (회신 : 2015. 07. 06.)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조 10호 ‘제2차접근상태’는 가공전선이 다른


시설물과 접근하는 경우에 그 가공전선이 다른 시설물의 위쪽 또는 옆쪽에서
수평거리로 3 m 미만인 곳에 시설되는 상태’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때 가
공전선이 다른 시설물의 위쪽에서 수직거리로 3 m 이상 떨어져 있을 때 “제2
차 접근상태”로 볼 수 있는지(첨부 그림1)?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26조 3항 관련, LPG 충전소 신축시 주유기와


그 위의 케노피를 건조물이 아닌 기계기구로 판단 가능여부, 그리고 기계기구로
판단할 경우 특고압 가공전선과 상기 도면과 같이 제2차 접근상태에 시설할 수
있는지, 이때 주유기와 케노피를 건조물이나 기계기구로 판단하는 기준은(첨부
그림2)?

첨부 그림1 첨부 그림2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31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조(정의)제10호에서 ‘제2차 접근상태’란 가공


전선이 다른 시설물의 위쪽 또는 옆쪽에서 접근하는 경우에 수평거리로 3 m
미만인 곳에 시설되는 상태를 말하고 있습니다. 이에, 질의하신 시설물의 상태
(도면)는 수평거리로 3 m 이내에 시설되기 때문에 “제2차 접근상태”에 해당합
니다.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26조 제3항은 사용전압이 35 kV 초과 400 kV


미만인 특고압 가공전선이 건조물(동 판단기준 제199조제1항 및 제2항, 제200
조, 제201조, 제202조제1항에 규정하는 건물은 제외, 또한 제2차 접근상태로 있
는 건조물의 상부조영재가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건축 재료로
건조된 것)과 제2차 접근상태에 있는 경우, 각 호(제1호 ~ 제4호)에 따라 시설
하여야 하는 규정으로, 그 외에는 건조물과 제2차 접근상태로 시설할 수 없다
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질의하신 LPG 충전소(주유기 및 케노피)는 제
126조 제3항을 만족할 경우 시설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또한, 주유기와 케노피의 건조물 또는 기계기구 판단 관련으로 전기설비기술기


준의 판단기준 및 내선규정에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음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건조물’에 대해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및 내선규정에서 정의
• (판단기준 해설서) 사람이 거주, 근무, 빈번히 출입, 운집하는 조형물
- 조형물 : 토지에 정착하는 시설물중 지붕 및 기둥 또는 벽을 가진 시설물
• (내선규정) 사람이 거주, 근무, 빈번히 출입, 모이는 건축물 등

○ ‘전기기계기구’에 대해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및 내선규정에서 정의


• (판단기준 해설서 및 내선규정) 배선기구·가정용전기기계기구·업무용전기
계기구·백열전등 및 방전등(관등회로의 배선 제외)
- 기계기구는 전기기계기구를 의미

끝.
232 3. 제3장 전선로

제 목 지중관로 매설깊이 기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36조 (회신 : 2020. 06. 03.)

질 의

○ 판단기준 136조 2항의 1에 따르면, 관로식의 경우 기본적으로 매설 깊이를


1.0m 이상으로 하되, 매설 깊이가 충분하지 못한 장소에는 견고하고 차량 기
타 중량물의 압력에 견디는 것을 사용할 것으로 되었습니다.

○ 또한 전기설비기술기준 해설서는 견고하여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에 견디는


것은 KS C 3140(2014) 전력용 케이블의 지중 매설 시공방법의 4.2 관로를 참
조하게 되어 있습니다.
다만, KS C 3140 1. 적용 범위에 따르면 사용 전압 7000V 이하의 전력용 케이
블을 수요 장소의 지중에 시설하는 다음의 전기 시설물의 시공 방법에 규정하
고 한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a) 관로 인입식, b)직접 매설식, c) 옥외 배선

1. 만약 지중케이블이 특고압케이블일 경우에도 동일하게 4.2의 내용을 적용하여


도 되는지요?

2. 매설 깊이가 충분하지 못한 장소에 KS C 3140에 적합한 관로를 사용할 경우


최소 매설 깊이 확인 부탁드립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33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36조제2항제1호는 “지중전선로를 관로식에


의하여 시설하는 경우는 매설 깊이를 1.0 m이상으로 하되, 매설 깊이가 충분하
지 못한 장소에는 견고하고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력에 견디는 것을 사용할
것. 다만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려가 없는 곳은 60 cm 이상으로 한다.”고 명
시하고 있는데 이는 매설깊이가 1m 이상이 되어야 하는 것이 필수적이나 현
장 여건에 따라 이를 지킬 수 없는 경우에는 견고하고 차량 기타 중량물의 압
력에 견디는 것(관로)을 사용하여야 함을 명시하면서 관로의 종류는 KS C
3140의 4.2항을 참조하라고 해설서는 설명하고 있는 내용입니다.

□ 따라서 본 해설에서는 전압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으므로 KS C 3140 4.2항에


명시한 관로가 특고압용으로 적합하다면 특고압전선로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
이며, 본 질의와 유사한 2257번 질의・답변 내용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 또한 암거식 시설은 매설 깊이에 제한이 없으므로 관로 매설 깊이가 충분하지


못할 경우에는 암거식으로 시공함이 타당할 것이나, 도로를 통과하는 중량물
의 최대 값, 관로 규격 등 다양한 조건에서 하중을 견딜 수 있다는 자료를 제
시한다면 관로식으로도 시공이 가능할 것인 바, 매설 깊이가 충분하지 못한
관로식의 시공은 상기 자료를 근거로 발주자, 설계자, 감리, 검사기관 등과 협
의하여 결정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2). 끝.
234 3. 제3장 전선로

제 목 가공지선, 수평지선 및 중성선과 건조물간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35조 (회신 : 2019. 06. 21.)

질 의

1. 건조물(건물) 측방에 전봇대의 수평지선(와이어줄)이 지나가는데, 건조물과 수


평지선과의 이격거리 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2. 건조물(건물) 측방에 전봇대의 중성선이 지나가는데, 건조물과 중성선과의 이격


거리 기준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3. 수평지선, 중성선과 더불어 전봇대 맨 꼭대기의 가공지선과의 건물 측방거리


기준도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및 내선규정 등에서는 ‘수평


지선, 중성선, 가공지선’ 등과 같은 구체적인 전력시설물과 건조물의 이격거리
를 다루고 있지 않습니다.

□ 다만, 판단기준 제135조제4항제11호는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다중접지를 한 중


성선은 저압 가공전선에 준하여 시설하도록 명시하고 있음을 참조하시기 바라
며(질의 2),

□ 전기사업법 제2조제16의2항 및 기술기준 제3조는 ‘전선로란 발전소・변전소・


개폐소, 이에 준하는 곳, 전기사용장소 상호간의 전선 및 이를 지지하거나 수
용하는 시설물’이라 정의하고 판단기준 제79조, 제126조, 제135조 및 내선규정
2155-5 등에서 ‘가공전선로’와 건조물 등과의 최소 이격거리를 전압별로 다르
게 규정하고 있으므로 귀하가 질의하신 수평지선과 가공지선 등의 절연 및 접
지상태 등을 감안하여 ‘전선로’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적정 이격거리에 대하여
설비관리 주체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1, 3).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35

제 목 맨홀에 물이 고이지 않도록 구멍을 막아도 되는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37조 (회신 : 2020. 09. 09.)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37조(지중함의 시설) 제2항에 “지중함은 그


안의 고인 물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을 것”라고 되어 있는데, 한전
패드에서 건물 전기실(저압수전 380/220)로 인입전에 맨홀이 하나 있습니다.
그 맨홀에 이번 장마기간 동안 많은 비가 내리면서 물이 가득 차게 되는데 전
기실 쪽으로 물이 흘러 들어오는게 불안해서 내화폼으로 구멍을 막을까 고민
중인데 그래도 되는지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 막음으로써 발생되는 단점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37조제2항에서 지중함은 고인 물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하라고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지중함에 물이 고일 경우 케이
블의 열화를 촉진하거나 보수점검에도 불편하기 때문에 지중함에는 절대로 물
이 들어가지 않아야 마땅함에도 상황에 따라 침수를 방지하는 구조로 하는 것
이 곤란하여 고인 물을 배수할 수 있는 구조로 할 것을 정하고 있습니다. 따
라서 통상 지중함 밑바닥에 물 고이는 곳을 만들어 놓고 그 속에 고인 물을
빨아올리든가 혹은 이 물 고이는 곳과 하수관을 연결하여 고인 물을 배수한다
든가 하여야 할 것입니다.

□ 아울러 귀하의 지중함 규격을 알 수 없으나 통상 지중함과 관로가 접속되는


곳에는 침수방지를 위한 ‘관로구 어댑터, 고무 패킹, 관로구 덮개’등이 시설되
는 등 다양한 침수방지 조치가 되어있을 것으로 판단되므로 귀하가 관로 구멍
을 내화폼으로 영구적으로 막을 경우 기존 방수장치 기능의 무력화는 물론 향
후 유지보수 및 신규관로 삽입 불가 등의 문제가 예상되므로 귀하께서는 지중
함 제작사와 협의하여 판단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236 3. 제3장 전선로

제 목 맨홀에 고인 물은 무조건 제거해야 하나요?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37조 (회신 : 2020. 07. 15.)

질 의

○ 우리 사업장에서는 수백개의 지중함(맨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집중호우 등 우


천시 지중함(맨홀) 내 물이 유입되어 물 고임 현상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이에 따라, 지중함(맨홀) 내 고인을 물을 제거하기 이동식 배수펌프를 사용하
여 주기적으로 배수를 하고 있으며, 시설의 중요도 및 침수 취약지역 등 필요
한 경우에는 자동 배수펌프 장치를 설치하여 관리하고 있습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모든 지중함(맨홀)에 자동 배수펌프 장치를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동 시설이 설치가 되어 있지 않은 대부분의 지중함(맨홀)에는 물이 고
일 수 밖에 없고, 고인물을 모두 제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사항입
니다.

1.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37조(지중함의 시설) 제2항에 "지중함은 그 안


의 고인 물을 제거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을 것"이라 되어 있는데, 이것은
지중함(맨홀)에 물고임이 발생하지 않거나, 고인 물을 즉시 제거하여야 되는
것인지 여부

2. 만약, 고인 물을 즉시 제거하여야 한다면, 현실적으로 고인물을 제거할 방법이


없는 경우 법 제촉 여부 및 이에 따른 벌칙조항 여부

3.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은 산자부 공고 사항인데, 이는 권고사항 인지 아


니면 강제이행 사항인지 여부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37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37조는 “지중함은 그 안의 고인 물을 제거


할 수 있는 구조”로 명시하고 있으며 「2016 전기설비기술기준 해설서」는 “지
중함에 물이 고이는 곳을 만들어 놓고 그 속에 고인 물을 빨아올리든가 또는
이 물 고이는 곳과 하수관을 연결하여 고인 물을 배수한다든가 하는 것”이라
는 설명과 함께 그림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 이는 고인 물이 케이블의 열화를 촉진시켜 전기고장의 원인이 되어 「전기설비


기술기준」 제2조의 “전기설비는 사용목적에 적절하고 안전하게 작동하여야 하
며, 그 손상으로 인하여 전기 공급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시설하여야 한다.”는
안전원칙에 위배되지 않도록 하라는 의미로서 귀하께서는 본 기준의 취지에
맞도록 시설하고 유지보수 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1).

□ 또한 「전기설비기술기준」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은 의무기준으로서


전기설비를 소유 또는 점유하는 자는 전기사업법 제68조에 따라 기술기준에
적합하도록 유지하여야 하며, 이를 어길 경우의 벌칙사항은 전기사업법 제12
장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 3). 끝.
238 3. 제3장 전선로

제 목 맨홀 내 철제사다리, 뚜껑, 피복금속체의 접지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39조 (회신 : 2019. 09. 03.)

질 의

○ 판단기준 139조(지중전선의 피복금속체 접지)


관․암거․기타 지중전선을 넣은 방호장치의 금속제 부분(케이블을 지지하는
금구류는 제외한다)․ 금속제의 전선 접속함 및 지중전선의 피복으로 사용하
는 금속체에는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 다만, 이에 방식조치(防蝕措置)
를 한 부분에 대하여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 지중선로(Electrical Duct Bank)에 설치되는 특고압케이블(11kV Cable)이 접속


부 없이 맨홀을 통해 포설되어 있습니다.

1. 제139조에 명시된 "관․암거․기타 지중전선을 넣은 방호장치"에 맨홀이 방호


장치에 포함되는지요?

2. 방호장치에 맨홀이 포함된다고 하면 "금속제부분은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다.(케이블을 지지하는 금구류는 제외한다.)"라고 언급되어 있습니다.
- 금속제부분에 철재사다리, 맨홀뚜껑이 포함되는 것인지요.
- 포함되면 맨홀뚜껑에 제3종 접지를 해야 하는지요.

3. 질의 2의 답변으로 맨홀뚜껑이 제3종접지를 하여야 한다면 "케이블을 지지하는


금구류는 제외한다."와 상충되지 않는지 의견을 부탁드립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39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및 내선규정 등에서는 방호


장치의 정의를 다루지 않으나 판단기준 제2조(내선규정 1300-09 참조)에 의하
면 ‘맨홀, 핸드홀, 감시공 등과 같은 지중함은 케이블의 교체와 케이블 접속을
하기 위하여 관로의 도중에 설치한 일종의 지하실’로 정의되고 있으며, 동 기
준 제136조는 ‘지중 전선로를 직접 매설식으로 시설하는 경우에는 견고한 방
호물에 넣어야 한다.’고 규정하는 바, 귀하가 질의한 맨홀은 동 기준 제139조
에서 명시한 접지대상 ‘방호장치’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됩니다. (질의
1)

□ 다만, 동 기준 제139조는 케이블 고장 시에 금속체의 유기전압을 경감시키고


동시에 고장전류를 대지로 용이하게 방류하기 위하여 접지공사를 시행하라는
의미이므로 귀하 현장의 맨홀이 케이블 고장발생 시 유기전압으로 인한 안전
사고 발생이 우려된다면 동 기준 제139조에 따라 접지공사를 시행함이 타당할
것입니다. (질의 2)

□ 아울러 케이블의 금구류, 조가금구류는 케이블이 금속차폐층을 가지고 있고,


그것이 접지되어 있어서 정전유도에 의한 유기전압을 발생시킬 우려가 없을
뿐 아니라, 전자유도에 의한 유기전압은 안전상의 관점으로부터 무시 가능한
정도인 것이기 때문에 케이블을 지지하는 금구류는 접지대상에서 제외하고 있
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3). 끝.
240 3. 제3장 전선로

제 목 특고압케이블과 수도관과의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41조 (회신 : 2013. 04. 04.)

질 의

○ 공동구내 청소용수 공급용도로 설치된 수도관과 특고압 지중케이블과의 이격


거리 기준 및 시설방법

○ 수도관 시설내용 : 전력케이블 설치 위치에 청소용수 수도관 시설


○ 전력케이블 설치 시 : 이격거리 15 ㎝

○ 질의 내용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141조제3항에 의거 특고압 지중전선이 관과
접근하거나 교차하는 경우의 상호간 이격거리 확보 기준 및 시설방법

청소 수도관 설치 위치 도면 및 이격거리 표시도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41

회 신

□ 판단기준 제141조는 지중전선의 고장 시에 아크방전에 의한 지중약전류전선


등에 손상을 줄 우려를 고려하여 상호 이격거리의 최저치를 규정한 것이며,
최저치 이하일 때는 상호간에 콘크리트, 철판 등 견고한 내화성이 있는 격벽
을 시설하든가, 또는 케이블을 견고한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관에 넣어, 관이 지중약전류전선 등과 직접접촉하지 않도록 규정한 시설기준
입니다. 이 조는 공동구 내에서 다른 시설물과 접근 또는 교차하는 경우에도
적용됩니다.
여기서 「내화성」이란 콘크리트 등의 불연재료로 만들어진 것이므로 가열된
상태에서도 현저한 변형 또는 파괴하지 않는 재료를 말하며, 「불연재료」란
불에 타지 아니하는 성질을 가진 재료를 말하며,「난연성」이란 불꽃을 대면
타지만 조금도 연소 확대가 없는 것, 「자소성」이란 불꽃을 대면 타지만 불
꽃을 떼면 자연히 꺼지는 성질을 가진 것을 말합니다.

□ 판단기준 제141조제3항은 특고압 지중전선과 가연성 또는 유독성의 유체를 내


포하는 관 이외의 수도관, 증기관 등에 대한 이격거리를 규정한 것으로, 특고
압 지중전선과 수도관의 이격거리는 상호간 이격거리가 30 ㎝ 이하인 경우 상
호간이 접촉하지 않도록 격벽을 시설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특고압 지중전선
을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관에 넣는다든가, 또는 제2항에 규정
한 관이외의 관(수도관 등)이 불연성의 것인 경우와 불연성의 재료로 피복하고
있는 경우는 아크에 의한 손상의 정도가 작기 때문에 상호간이 접촉하지 않도
록 시설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도록 특례로 인정하고 있으므로 특고압 지중전
선과 수도관의 이격거리가 15 ㎝ 이하일 경우도 이를 적용하여 시설하시기 바
랍니다. 끝.
242 3. 제3장 전선로

제 목 특고압 케이블 관로에 광케이블 동시포설이 가능한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41조 (회신 : 2020. 08. 05.)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41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특고압 지중전선이 지중약전류전선과의 이격거리가 60cm 이하인 때에는, 지중전선과 지중약전선 사


이의 격벽을 설치하는 경우 이외에는 지중전선을 견고한 불연성(不燃性) 또는 난연성(難燃性)의
관에 넣어 그 관이 지중약전류전선 등과 직접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하여야 한다. 다만, 다음 각 호
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1. 지중 약전류전선 등이 전력보안 통신선인 경우에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재료로 피
복한 광섬유케이블인 경우 또는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관에 넣은 광섬유 케이블인
경우
2. 지중전선이 저압의 것이고 지중 약전류전선 등이 전력보안 통신선인 경우
3. 고압 또는 특고압의 지중전선을 전력보안 통신선에 직접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시설하는 경우
4. 지중 약전류전선 등이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재료로 피복한 광섬유케이블인 경우
또는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관에 넣은 광섬유케이블로서 그 관리자와 협의한 경우
5. 사용전압 170 kV 미만의 지중전선으로서 지중 약전류전선 등의 관리자와 협의하여 이격거리를
10 cm 이상으로 하는 경우

○ 그림과 같이 한 관로에 특고압케이블(TR-CNCE-W)과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재료로 피복한 광섬유케이블이 함께 포설이 가능한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43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41조제1항은 지중전선과 지중약전류전선


등이 접근 또는 교차하는 경우의 이격거리를 규정하고 있는데, 이는 지중전선
로에 고장이 발생할 경우 아크방전에 의한 지중약전류전선 등에 손상을 줄 우
려를 고려하여 상호 이격거리의 최저치를 나타냄과 함께 그 이하일 때는 상호
간에 콘크리트, 철판 등 견고한 내화성이 있는 격벽을 시설하거나 지중전선을
견고한 불연성(不燃性) 또는 난연성(難燃性)의 관에 넣어 지중전선이 지중약전
류전선 등과 직접 접촉하지 않아야 함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 또한 아래와 같은 경우는 지중전선과 지중약전류전선을 같은 관로에 함께 시


설하여 접촉이 가능한 예외조건을 두고 있으므로 본 조항을 정독하시어 적용
하시기 바랍니다.

○ 지중약전류전선이 전력보안 통신선 용도일 때


- 지중약전류전선이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재료로 피복한 광섬유
케이블인 경우
- 지중약전류전선이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관에 넣은 광섬유 케
이블인 경우
- 지중전선이 저압인 경우

○ 지중약전류전선이 일반 용도일 때
- 지중약전류전선이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재료로 피복한 광섬유
케이블로서 그 관리자와 협의한 경우
- 지중약전류전선이 불연성 또는 자소성이 있는 난연성의 관에 넣은 광섬유케이
블로서 그 관리자와 협의한 경우. 끝.
244 3. 제3장 전선로

제 목 맨홀내 예비관로와의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41조 (회신 : 2018. 04. 17.)

질 의

○ 현재 지중맨홀은 6600V의 고압 맨홀인데, 여기에 예비관로가 있어 22.9kV 특


고압 지중케이블을 혼재하여 사용합니다.

○ 그렇게 시공하면 두 관 사이에 이격거리가 30Cm 이내라 어떤 보완조치를 해


야 하는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41조와 관련하여 문의합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41조(지중전선과 지중 약전류전선 등 또는


관과의 정근 또는 교차)는 지중전선과 지중 약전류전선 등, 가스관, 수도관 등
의 관이 교차하는 경우의 규정입니다.

□ 귀하께서 질의 하신 내용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42조제①항 의


내용으로 지중전선이 다른 지중전선과 접근하거나 교차하는 경우에 지중함 내
이외의 곳에서 상호 간의 이격거리가 저압 지중전선과 고압 지중전선에 있어
서는 15 cm 이상, 저압이나 고압의 지중전선과 특고압 지중전선에 있어서는
30 cm 이상이 되도록 시설하여야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 다만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예외로 할 수 있는 1~4호


를 참고 하시고 포설시 전문가(업체)등과 협의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45

제 목 저압 및 고압 지중관로간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42조 (회신 : 2020. 07. 22.)

질 의

○ 지중관로로 같은 저압끼리의 상호 이격거리와 같은 고압끼리의 상호이격거리


를 알고 싶어서 질의를 올립니다. 다중접지로 한전전선로에 접속하는게 아니
고 개별접지이며, 배관 배선은 아래 그림과 같습니다.

회 신

□ 귀하의 설비가 25kV 이하인 다중접지방식의 선로가 아니라면 「전기설비기술기


준의 판단기준」 제142조 및 내선규정 2150-8에 따라 저압 및 고압 지중전선
상호간 이격거리는 15 cm 이상이 되도록 시설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되나
동 조 제1항 단서조항에 따를 경우에는 예외로 할 수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
니다. 끝.
246 3. 제3장 전선로

제 목 다중접지 특고압 지중선로의 전선관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42조 (회신 : 2020. 10. 19.)

질 의

○ 다중접지방식의 22.9kV 지중전선로를 그림과 같이 붙여서 시공한다면 판단기


준 제142조(지중전선 상호 간의 접근 또는 교차)에 위배가 되는 것인지요?

○ 또한 이격거리가 케이블의 이격거리인지 ELP관 자체의 이격거리인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42조제2항은 한국전력공사의 다중접지방식


인 22.9kV 배전선로와 같은 지중전선로를 관로식 또는 직접매설식으로 시공할
경우에는 10cm 이상 이격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며 이 조항은 의무기준입니다
(질의 1).

□ 아울러 관로식으로 시설할 경우 관로 내부의 케이블 설치상태를 예측할 수 없


기 때문에 관로식 지중전선로는 관로간 이격거리로 보아야 타당할 것으로 사
료되며(질의 2), 동 기준 제1항에 따라 불연성 관에 넣어 시설하거나 지중전선
상호간에 견고한 내화성 격벽을 설치하는 경우 등에는 예외로 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본 기준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47


4. 제4장 전력보안 통신설비 4
(제153조 ~ 제165조) 장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49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166조 ~ 제250조)


5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51

제 목 태양전지모듈 옥내전로의 대지전압 제한치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66조 (회신 : 2018. 04. 03.)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66조 제4항에 따르면, 옥내에 설치되는 태양


전지모듈의 대지전압은 직류 600V 이하일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 이 의미는 태양전지모듈 1스트링을 직류전압 600V 이하로 구성하라는 의미인


지요? (같은 조항 제2항의 경우 대지전압은 300V 이하로 명시)

○ 전호의 질의 내용이 맞을 경우, 600V 이하로 구성을 하려면 제166조 제4항 제


1호, 제2호를 만족해야 하는 사항인지요? (DC측에 지락차단장치 설치 및 해당
공사에 적합한 배관공사 실시 등)

○ 제166조 제4항을 미적용 할 경우 옥내에서 사용하는 DC전압의 제한은 300V


또는 450V 중 어느 것인지요?

회 신

□ 귀하께서는 주택 옥내전로의 대지전압 제한에 대해 문의한 것으로 판단되는


바, 귀하께서 문의하신 내용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답변드립니다.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66조제4항은 태양전지모듈에 접속하는 부하


측 옥내배선에 동 조 제4항제1호 및 제2호에 준하여 시설하는 경우에 한하여
주택의 옥내전로 대지전압을 직류 600V 이하로 제한한 규정입니다. 태양전지
모듈에서 전력변환장치에 이르는 전로가 직류 600V 이하로 제한되기 때문에
태양전지모듈 및 그 집합체의 출력전압은 직류 600V 이하이어야 합니다.

□ 아울러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는 본조 제4항 이외에는 주택의 옥내


직류전원의 대지전압 제한치를 규정하지 않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252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사무용/연구센터 용도 건축물 전로의 대지전압 및 사용전압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66조 (회신 : 2019. 08. 02.)

질 의

○ 사무용/연구센터 용도의 한 동으로 계획된 건축물입니다. 400V(델타결선)의 전


압방식으로 옥내의 사무실/연구실로 전원이 공급이 되며, 용도는 전기기계기
구를 이용하고 시험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전기설비) 제166조 제3항에는 전기기계기구로 공


급되는 전원은 대지전압 300V 이하여야 한다라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제2항 1호에 준하여 시설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제2항 1호의 내용은 사용전압은 400V 미만이라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또는 취급자 이외의 자가 쉽게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한다라고 규
정되어 있습니다.

○ 이러한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볼 때, 연구시설 장비 사용을 위한 목적 또


는 장비를 시험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사용한다면, 위 내용에 위배되는 사항인
지 답변 부탁드립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53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이하, 판단기준) 제166조(옥내전선의 대지 전압의


제한)는 각 항에서 규정하는 사항의 옥내 전로 대지전압 제한한 것으로 제1항
의 경우 옥내 ‘백열전등 또는 방전등’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의 대지전압 제
한, 제2항의 경우 ‘주택의 옥내전로’의 대지전압의 제한, 제3항의 경우 ‘주택
이외의 곳 옥내에 시설’하는 ‘가정용 전기기계기구’에 전기를 공급하는 옥내전
로의 대지전압 제한, 제4항의 경우 ‘주택 태양전지모듈에 접속하는’ 부하측 옥
내배선의 대지전압 제한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 문의하신 것과 같이 ‘연구시설 장비 사용’ 또는 ‘장비를 시험’하고자 하는 목적


으로 이 장비에 전기를 공급하는 옥내 전로에 대한 사용전압 제한은 판단기준
에서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제41조(지락차단장치 등의 시설)제
2항에 따라 특고압전로, 고압전로 또는 저압전로에 변압기에 의하여 결합되는
사용전압이 400V 이상의 저압전로에는 전로에 지락이 생겼을 때에 자동적으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하며, 해당 장비는 업무용 전기기계기구
(가정용 전기기계기구 이외)로 판단기준 제172조(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 기계
기구 등의 시설)를 적용해야하는 것으로 사료 됩니다.

□ 위 규정 등을 고려하여 현장 적용에 관하여 설계자 및 관련 검사기관 등과 협


의를 통해 시설하시길 바랍니다. 끝.
254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에어컨 전용 분기회로 구간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66조 (회신 : 2019. 12. 26.)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66조, 내선규정 3315-3에 따라 소비전력 3kw


이상의 에어컨의 경우 전용 분기회로를 사용하게끔 되어 있는데, 전용 분기회
로 구간은 전용의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에서 실외기 까지를 말하는 것인가
요?

○ 아니면 전용의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에서 실외기를 거쳐 실내기 까지를 말


하는 것인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66조제2항제6호는 “정격 소비 전력 3 kW


이상의 전기기계기구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로에는 전용의 개폐기 및 과
전류 차단기를 시설하고 그 전로의 옥내배선과 직접 접속하거나 적정 용량의
전용콘센트를 시설할 것”으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 이는 일반주택에 사용하는 콘센트 정격이 250V / 15A 이기 때문에 정격소비


전력이 3 kW 이상인 전기기계기구는 원칙적으로 콘센트에 의한 접속을 금지
하면서 옥내배선과 직접 접속하거나 적정 용량의 전용 콘센트로 시설하도록
하고, 전기기계기구를 사용하지 않는 기간에는 전원을 차단해 놓는 등의 조치
를 위해 전용회로를 구성하여 전용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하도록 하
는 내용인데, 에어컨은 제조사 및 제품에 따라 실내기와 실외기의 조합, 결선
방법이 다르므로 제조사와 현장 전기설비의 검사업무를 수행하는 전기안전공
사 등과 협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55

제 목 주방기구 하이라이트 배선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66조 (회신 : 2020. 04. 05.)

질 의

○ 분기개폐기 사용시 하이라이트는(취사용기기 or 가열장치) (최대부하 3,400W)


전용콘센트를 사용해야 하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66조제2항의 제6호는 정격 소비 전력이 3


kW 이상인 전기기계기구의 전로는 전용의 개폐기와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하
고 옥내배선과 직접 접속하거나 적정 용량의 전용콘센트를 시설하도록 규정하
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끝.
256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옥내배선에 케이블 또는 VCT 사용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68조

질 의

1.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68조(저압 옥내배선의 사용전선)에 따르면 저압


옥내배선은 단면적이 2.5㎟이상의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 및 굵
기인 것으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 제4조(절연전선)에 해당하는 모든 전선은 옥내배선에 사용할 수 있나요?
○ 케이블도 사용이 가능한가요? (‘20.07.27)

2. VCT케이블은 사용할 수 없나요? (‘20.10.21)


(제원: KS C IEC 60502-1 0.6/1KV VCT 3C X 4SQMM)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조에 명시된 절연전선의 종류는 전기배선


에 사용이 가능한 절연전선의 종류를 정의한 것이며, 옥내배선에는 동 기준에
서 규정된 전선만 사용이 가능하므로 모든 절연전선이 옥내배선에 사용이 가
능한 것은 아닙니다. 아울러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68조에 따르면
저압 옥내배선에는 2.5 ㎟ 이상의 연동선(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 및 굵기
의 것) 혹은 1 ㎟ 이상의 MI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므로
해당 조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 0.6/1kV VCT 케이블의 정식 명칭은 ‘0.6/1 kV 비닐절연 비닐캡타이어 케이


블’로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7조에 적합한 것이어야 하며, 옥내
배선에는 상기 내용과 같이 “2.5 ㎟ 이상의 연동선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
도 및 굵기의 것”이므로 VCT전선의 사용을 제한하지는 않습니다(질의 2).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57

제 목 변전소의 제어케이블 굵기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68조 (회신 : 2019. 11. 05.)

질 의

○ 변전소의 제어 케이블(CONTORL CABLE) 사이즈에 대한 규정이 있는지요?


한전표준규격(ES)에서는 변전소에서 사용되는 배전반의 이면배선 경우
2.5sqmm를 사용하도록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면배선은 "배전반 표면에 부착된
계기, 계전기, 단로기 등을 그 뒷면에서 접속한 전선" 을 뜻하는 것으로 판넬
내부 결선에 적용되는 규격으로 보입니다.

○ 변전소 판넬간의 외부 케이블(예를 들어 GIS LCP~ GIS BAY PROTECTION


PANEL) 및 변전소와 발전소간 케이블(예를 들어 GIS LCP~ Transformer
Protection Panel)에는 상기와 같은 표준 규격이 있는지요? 또한 1.5sqmm를
사용 가능한지 문의 드립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은 변전소 제어케이블의 기술기준을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


지 않으나 판단기준 제168조는 저압 옥내배선의 전선은 2.5㎟ 이상의 연동선을
사용하여야 함을 명시하면서 옥내배선의 사용 전압이 400 V 미만인 경우로서
제어회로에 사용하는 ‘배선’이 합성수지관 공사・금속관 공사・금속 몰드 공
사・금속 덕트 공사・플로어 덕트 공사 또는 셀룰러 덕트 공사에 의하여 시설
하는 경우에는 1.5㎟ 이상의 연동선을 사용할 수 있도록 명시하고 있는데, 귀
하의 현장이 이에 해당하는지 발주처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케이블 및 제어반 관련 표준규격은 e나라 표준인증 홈페이지에서 열람


하실 수 있으며, 기술기준 제3조는 ‘배선’이란 ‘전기사용 장소에 시설하는 전선
(전기기계기구 내의 전선 및 전선로의 전선을 제외한다)’이라고 정의하고 있음
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258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역, 백화점 등 일반화장실의 누전차단기 설치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0조 (회신 : 2019. 01. 28.)

질 의

○ 욕조나 샤워시설이 없는 흔희 볼수 있는 역,백화점 등등의 일반 화장실입니다.


비데는 설치되어 있고, 손을 씻을 수 있는 세면대가 있습니다.

○ 화장실 내 온수기에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 또는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


단기가 부착된 콘센트를 부착해야 되나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1조에서는 사용전압이 50V를 초과하는 저압


의 기계 기구로서 사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기구에 전
기를 공급하는 전로에는 원칙적으로 지락차단장치를 설치하거나 적합한 누전
차단기 등을 설치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 또한 판단기준 제170조제6항은 욕조나 샤워시설이 있는 화장실 등 인체가 물


에 젖은 상태로 전기기기를 사용하는 경우 상기 장소에 비하여 감전의 위험이
매우 높으므로 정격감도전류 15mA 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인 인체감전보
호용 누전차단기 또는 동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가 부착된 콘센트를 사용
하도록 안전을 강화한 것입니다.

□ 따라서 질의사항 만으로는 시설환경을 명확히 파악할 수 없으나 일반적으로


욕조나 샤워시설이 없는 화장실은 동 기준 제170조제6항의 인체가 물에 젖은
상태로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에는 해당되지 않으므로 위에서 설명한 인체감전
보호용 누전차단기 설치 등 강화된 안전기준의 적용 장소는 아닐 것으로 판단
됩니다. 다만, 질의하신 온수기의 전기사용환경과 동 기준의 제정 취지를 감안
한 안전대책으로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이를 제한
하지 않습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59

제 목 비데용 콘센트에 누전차단기를 설치해야 하는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0조 (회신 : 2019. 05. 29.)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0조(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의 배선기구의


시설)제6항에 따르면 욕조나 샤워시설이 있는 욕실 또는 화장실 등 인체가 물
에 젖어있는 상태에서의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에서 콘센트를 시설하는 경우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정격감도전류 15mA이하)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습
니다.

○ 화장실 내부에 설치된 비데용 콘센트는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를 설치해


야하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0조(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의 배선기구의


시설)제6항에서는 욕조나 샤워시설이 있는 욕실 또는 화장실 등‘인체가 물에
젖어있는 상태에서 물을 사용하는 장소’에 콘센트를 시설하는 경우 해당 각
호를 따르도록 하고 있습니다.

□ 이는 인체가 욕조나 샤워시설로 인해 물에 젖어있는 상태에서 전기기기를 사


용할 경우 감전의 위험이 매우 높으므로 이러한 장소에 시설하는 콘센트는 접
지극이 있는 것을 시설하고, 인체가 전기에 접촉 또는 감전되었을 때 즉시 전
기를 차단하여 인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추가로 고감도인 인체감전보호용 누
전차단기의 정격감도전류가 15㎃ 이하로 동작시간은 0.03초 이하의 전류동작형
을 시설하도록 한 것입니다.

□ 따라서 상가 공용 화장실 등에서 욕조나 샤워시설이 없는 장소에 비데를 설치


하는 경우 제170조제6항은 적용하지는 않으나, 적절한 보호장치는 시설하여야
합니다. 끝.
260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세차장에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 시설해야 하는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0조 (회신 : 2020. 04. 13.)

질 의

○ 스팀세차장의 작업장에 시설되어 있는 단상콘센트와 3상콘센트도 (둘다 노출


형) 판단기준 170조 6항에 적용 되는지요?
○ 인체보호용 누전차단기 시설된 콘센트라고 되어있는 것은 똑같이 감도 전류
15mA 인지 아니면 그냥 30mA로 설치된 것을 시공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회 신

□ 금속제 외함을 가지는 사용전압이 50 V를 초과하는 저압의 기계 기구로서 사


람이 쉽게 접촉할 우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것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1조에 따라 지락차단장치(누전차단기 등)를
설치해야 하는데, 세차장은 물기가 있는 장소로서 설치 예외 조건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또한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 배선기구로서 욕조나 샤워시설이 있
는 욕실 또는 화장실과 같이 인체가 물에 젖어있는 상태에서 전기기기를 사용
할 경우 감전의 위험이 매우 높은 장소에 시설하는 콘센트는 동 기준 제170조
제6항에 따라 접지극이 있는 콘센트를 시설하고, 인체가 전기에 접촉 또는 감
전되었을 때 즉시 전기를 차단하여 인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고감도 인체감전
보호용 누전차단기(정격감도전류 15 ㎃ 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의 전류동작
형)를 시설하여야 합니다.

□ 다만, 귀하의 세차장이 상기 조건에 해당하는지는 현장 전기설비 설계자 또는


현장을 방문하여 전기안전 및 적합성을 판단하는 검사기관 등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되며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를 시설하는 경우에는 동
기준 제170조제6항에서 명시하는 바와 같이 「전기용품안전 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정격감도전류 15 ㎃ 이하, 동작시간 0.03초 이하의 전류동작형을 사용하
여야 함은 물론, 접지 극이 있는 방적형 콘센트를 사용하여 접지를 해야 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61

제 목 전기온수기 설치기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0조 (회신 : 2018. 05. 18.)

질 의

○ 전기순간온수기 공사 및 설치와 관련하여 아래사항에 대해 문의합니다.


1. 습기가 많은 욕실에 전기순간온수기 설치시 관련 설치·공사 기준이 있는지요?
2. 동일 굵기의 2가닥 전선(접지선 없음)을 사용해도 되는지요?
3. 2가닥 전선을 사용해도 규정(공사 또는 전기안전)에는 문제가 없는지요?
이와 관련하여 규정 위배시 관련 절차·규정이 있는지요?
4. 관련 규정·절차(예: 2가닥 전선 사용 또는 관련 시설기준) 미 준수시, 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책임 소재는 어떻게 되는지요?(예: 전기순간온수기 설치·임대
업자 또는 아파트관리사무소)

회 신

□ 욕조나 사워시설이 있는 욕실 또는 화장실 등의 장소에 콘센트를 시설하여 온


수기에 전원을 공급할 경우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170조제6항 및
제166조제2항에 따라야 하며, 제170조제6항에 따라 누전차단기 또는 절연변압
기로 보호된 전로에 접속 또는 인체감전보호용 누전차단기가 부착된 콘센트를
시설해야 하며, 콘센트는 접지극이 있는 방적형 콘센트를 사용하고 제3종 접
지공사를 시공해야 합니다.

□ 또한 앞의 답변에서와 같이 판단기준 제170조제6항에 따라 제3종 접지공사를


시공해야 함으로 3가닥 전선(접지선 포함)을 사용하는 것을 권고 드리며, 2가
닥 전선을 사용하신다면 제3종 접지공사 대상이므로 별도의 접지선으로 접지
공사를 해야 합니다.

□ 아울러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을 위반할 경우에는 전기사업법 제108조


(과태료), 제106조(벌칙) 등에 의거 사고발생시 책임소재는 과실여부를 판단하
여 결정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262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배・분전함의 재질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1조 (회신 : 2018. 07. 20.)

질 의

○ 아래와 같이 시공되는 배・분전함에서 반드시 판넬과 커버 접지를 해야 하는


것인지요?

1. 배・분전함(간이 분전함 포함) 커버없이 설치된 경우

2. 배・분전함 내 개폐기 및 누전차단기를 목재(비난연 & 비 불연 재질)에 고정


한 경우

3. 배・분전함 내 공간이 없어 개폐기 및 누전 차단기를 함 내부가 아닌 측면에


설치한 경우

4. 인테리어 문제로 배・분전함 커버를 떼어내고 목재로 커버를 대체한 경우

5. 지하 저압 MCCB 큐비클 함내 부스바 뒷면에 외부(3층) 조명 전원의 개폐기


및 누전차단기를 별도의 분전함 없이 설치한 경우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63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1조제1항제1호는 일반 가정이나 공장 등에


시설되는 배・분전반에 일반인의 접촉이 가능하므로 충전부분이 노출되고 있을
때는 여기에 인체가 접촉하여 감전될 우려가 있으므로 충전부분이 노출되지
않도록 적당한 구조로 시설토록한 규정입니다. 질의하신 “커버가 없는 간이분
전함” 또는 “분전함 측면에 설치된 개폐기” 등이 취급자 이외의 사람이 쉽게
출입할 수 있는 장소에 설치된 경우에는 노출된 충전부를 보호하도록 커버 등
의 보완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주택용 분전반인 경우에는 본
조 제1항제3호에 따라 KS C 8326에서 정하는 구조에 의해야만 합니다(질의 1,
3).

□ 아울러 본조 제1항제4호에 따라 옥내의 배전반 및 분전반은 불연성 또는 난연


성을 요구하므로 원칙적으로 “목재”의 사용은 적합하지 않으며(질의 2, 4),

□ 상기 기준에서 본조 제1항제2호 이외에는 질의하신 사항에 대하여 별도로 규


정하지 않습니다(질의 5).

□ 그 외 철제 외함 등 금속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기준 제33조에 따라 적


합한 접지설비를 시설해야 합니다. 그러나 질의하신 내용으로는 현장의 시설
환경을 세밀하게 파악하기 어려우므로 적정설치 여부에 대한 명확한 판단은
관련 검사기관 또는 기타 설계・감리사 등과 논의하시기 바랍니다. 끝.
264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분전함에 결선도 도면을 반드시 비치해야하는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1조 (회신 : 2020. 01. 30.)

질 의

○ 당사는 2012년 6월경 공동주택 및 상가(근린생활시설)에 전기공사 후 2016년에


입주자로 부터 하자소송 통보를 받고 현재 피고보조참가인으로 소송 중에 있
는데, 당시 전기공사시방서에는 분전함과 배전함에 결선도 비치(보관)여부는
명기되지 않았습니다(결선도 도면 비치 또는 보관은 없습니다.)

○ 전기관련 법규에 배전함이나 분전함에 결선도를 작성하여 문짝 뒷면에 보관대


에 결선도 도면을 비취(보관)하여야 하는지 질의 드립니다.

○ 만약 결선도 도면 보관(비치)여부가 전기관련 법규에 있으나, 당시 공사현장


시방서(전기공사 시방서 및 특기시방서에 해당 내용 없음)에 명기 되지 않았다
면 무엇이 우선하여 적용 할 수 있는지요? 즉 전기관련 법규보다 현장 전기공
사시방서나, 특기시방서가 우선할 수 있는지 질의 합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65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1조제1항은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 배・


분전반의 기구 및 전선은 쉽게 점검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
으며, 우리 협회에서 발간한 내선규정 1450-7의 4항은 “인입구의 배전반 또는
분전반 내는 현재 설비의 배선계통도를 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설명하
고 있습니다.

□ 아울러 「전기설비기술기준」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은 의무기준이며


「내선규정」의 법적 지위에 대하여는 우리협회 홈페이지 전기상담실 FAQ 게시
판 5번 게시물을 참고하시되, 귀하와 발주자간의 계약에 의한 시방서 등의 법
적 효력 및 무엇이 우선하는지 등에 대하여는 법률 전문기관 등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266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신발장, 옷장 등에 설치된 주택용 분전반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1조 (회신 : 2018. 03. 22.)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1조(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 배분전반 등의


시설)의 제1항 제3호, 제4호 개정에 따라 아래와 같은 내용에 대해 질의합니
다.

1. 171조 제1항 제3호의 내용 - 은폐된 장소(신발장, 옷장 등)는 제외하고 노출된


장소에 시설해야 한다는 문구가 있습니다. 창고나 발코니, 다용도실, 드레스룸
등에 주택용 분전반 설치 후 전면에 다른 물건이 가려지지 않는다고 하면 시
설이 가능한지요? 또한 앞 질문과 동일하게 전면에 다른 물건이 가려지지 않
는다고 하면 세대 내의 침실 등에는 설치가 가능한지요?.

2. KS C 8326의 주택용 분전반의 적용범위는 "이 표준은 교류 60 Hz의 단상 2선


식 110 V, 220 V 또는 단상 3선식 110/220 V의 전기회로에서 주로 주택 등의
인입구 장치에 사용하는 주택용 분전반(이하 주택반이란 한다.)으로서 주 개폐
기의 정격 전류가 100 A 이하인 것에 대하여 규정한다. 다만 방수형, 방폭형
등 특수 구조인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라고 국가표준에 나와 있습니다. 주택
용 분전반을 주택 등의 인입구 장치에 사용한다고 명시하였으니 주택의 현관
안쪽(세대내부)에 설치하지 않고, 엘리베이터홀/계단실/EPS실 등의 공용부위
에 시설하면 문제가 없는 것인지요? 또한 공용부위 설치시 해당 세대에 거주
하는 인원 외에 조작을 금지하도록 시건장치를 설치해도 무방한지요?

3. 만약 주택용 분전반 뚜껑 위에 인테리어로 도어를 설치하고자 할 때 불연성 또


는 난연성으로 설치하면 문제가 없는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67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1조의 개정사항(2018. 3. 9)은 전기화재 확산


방지를 통한 인명피해 감소 및 분전반의 원활한 유지・관리를 통한 전기안전
확보 등을 주된 목적으로 하여 주택용 분전반의 노출장소 시설 및 옥내 배・분
전반의 불연성 도료처리재 사용금지 등과 관련한 부분입니다. 즉, 주택용 분전
반의 시설은 신발장 또는 옷장 내부와 같이 은폐된 장소가 아닌 노출된 장소
로 시설하도록 규정하였고, 옥내 배・분전반을 불연성 또는 난연성(KS C 8326
의 “8.10 캐비닛의 내연성 시험”에 합격한 것)이 있는 것만을 사용하도록 하였
습니다.

□ (질의 1) 본 조항은 주택용 분전반의 원활한 유지・관리 및 화재확산 방지를 위


해 노출장소에 시설하도록 규정하고 있고, 예를 들어 제시하신 장소(창고, 드
레스룸, 침실 등) 별로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존 분전반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조건과 함께 상기 조항의 개정 취지에 적합한 장소라면 분전반
설치가 가능하다고 사료됩니다. 현재 한국전기안전공사에서 본 조항 관련 주
택용분전반 설치 가능 장소 등에 대해 예를 들어 제시를 하고 있어 문의하여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 (질의 2) 주택용분전반의 공용부위 설치에 대하여 현장의 시설환경 등을 알 수


없으므로 관련 검사기관과 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다만, 전기설비
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1조 제1항에서는 저압용 배・분전반의 기구 및 전선
은 쉽게 점검할 수 있는 곳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 (질의 3) 본 조항은 원칙적으로 주택용분전반은 노출된 장소에 시설하도록 정


하고 있습니다. 부득이하게 인테리어용 도어 등을 사용해야 할 경우 현장의
시설환경 등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판단해야 하므로 관련 사항에 대해서는
검사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끝.
268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공장형 아파트에서의 분전반 설치장소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1조 (회신 : 2019. 08. 02.)

질 의

○ 2018.03.09 이후 기준으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전기설비) 제171조(옥


내에 시설하는 저압용 배분전반 등의 시설) 제1항에 의거 옥내에 설치하는 주
택용 분전반은 "노출된 장소"에 설치해야 합니다.

○ 건축물의 유형은 공장형 아파트이지만 실제적으로 사용자는 사무실과 다르지


않는 단위지식산업센터(전용면적 및 분양시설)에 설치되는 분전함의 경우 "주
택용 분전반"을 적용해야 하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1조(옥내에 시설하는 저압용 배분전반 등의


시설) 제1항제3호에서 주택용 분전반은 노출된 장소(신발장, 옷장 등의 은폐된
장소는 제외한다)에 시설하며 구조는 KS C 8326 “7. 구조, 치수 및 재료”에
의한 것으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이 규정의 제정 취지는 실제 주택용 분전반
이 미관 등의 이유로 점검과 개폐가 어려운 신발장 등 내부에 설치한 사례가
매우 많으며, 이로 인한 분전반 화재발생 시 쉽게 인지하기가 어렵고 신발장
등 내부의 가연성물질(신발, 각종 물품 보관)로 인해 화재 확대 우려가 높아
노출된 장소로 시설하도록 규정하였고, 주택에 관련된 건축물은 의무 적용이
되고, 이 이외의 건축물에서는 안전 및 유지관리 차원에서 판단하시어 적용하
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주택용 분전반 적용 범위 관련하여 한국전기안전공사에서는 주택용 분


전반 검사업무처리방법 개정내용 알림 공문(검사부-739, 붙임)을 배포하였으며
주택용 분전반의 적용대상은 ‘주택법 제2조에 따른 주택과 준주택’으로 하였습
니다. 위 사항을 참조하시여 적용여부를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69

[첨부]
270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세대분전함 기술기준 개정내용의 적용 기준일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1조 (회신 : 2018. 04. 06.)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1조 개정에 따른 아래 내용에 대해 문의합


니다.

○ 부칙의 사업계획의 승인 기점은 “최초 사업승인접수” 시점인지, 아니면 “사업


승인변경접수” 시점 기준인지요?

○ 동 기준 제171조제1항제4호에서, 배전반 및 분전반은 불연성 또는 난연성이 있


도록 시설할 것이라고 명기되어 있는데

1. 철제 외함 세대분전함을 설치 후 그 전면에 알루미늄 시트지 또는 거울을 부


착하는 행위를 할 경우 해당 조항을 만족 할 수 있는지요?

2. 철제 외함인 분전함을 벽체 매입할 경우, 그 분전함의 측면 및 후면과 접촉되


는 건축벽체 또한 불연성 또는 난연성의 재질로 사용하여야 하는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71

회 신

□ 질의하신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1조의 개정사항(2018. 3. 9)은 전기


화재 확산방지를 통한 인명피해 감소 및 분전반의 원활한 유지・관리를 통한
전기안전 확보 등을 주된 목적으로 하여 주택용 분전반의 노출장소 시설 및
옥내 배・분전반의 불연성도료처리재 사용금지 등과 관련한 사항을 규정합니
다.

□ 주택용분전반의 노출 설치와 관련하여 공고 전에 이미 시설 중 이었거나 관련


법에 따라 승인, 허가 및 신고를 받은 것에 한하여 종전 기준을 따를 수 있도
록 적용시점을 명시하였습니다. 건축물 전기설계의 특성과 해당 사업의 승인
및 허가 등의 절차를 고려하여 최초사업승인접수일이 개정조항의 시행일 이전
임을 증명할 수 있는 경우 종전의 기준을 준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아울러 동기준 제171조는 주택용 분전반의 노출 설치와 분전반의 재질 등을


규정할 뿐 분전반 뚜껑 전면에 붙이는 자재나 분전반 외함을 둘러싼 벽면의
재질과 관련해서는 별도로 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 따라서 질문만으로는 명확한 시설환경을 알 수 없으나 상기 제171조에 적합한


분전반을 선정하여 적정한 장소에 노출 설치하는 것을 전제로 답변 드린다면,

□ 본 조항을 준용하여 설치된 경우에는 “질문 1”의 유리나 시트지를 주택용 분


전반 뚜껑 전면에 부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질문 2”의 경우 별도의
인테리어 자재 내부가 아닌 건축물 구조체에 노출 설치된 경우에는 분전반을
둘러싼 건축벽체의 재질은 본 조의 적용대상이 아닐 것으로 판단됩니다.

□ 기타 설치방법에 대한 상세사항은 검사기관에서 제공한 「업무처리방법」을 참


조하시거나 관련 부분에 대해서는 검사기관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끝.
272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전동기 분기회로 케이블 굵기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6조 (회신 : 2019. 06. 08.)

질 의

○ 상기 회로에서
① MCC FEEDER에서 전동기기동반으로 케이블이 연결,
② 전동기 기동반은 기동장치를 거쳐 전동기로 케이블이 연결.

1. 위 ①의 경우를 내선규정 '3115-4' 전동기용 분기회로의 전선굵기 를 반영하여


도 되는지요?

2. ①의 경우 전선의 허용전류가 공급차단기 250A보다 정격전류가 커야 한다고


본다면, (판단기준 175,176 '차단기의 정격전류는 그 전선의 허용전류 이하의
것을 선택) 전선의 허용전류는 제품카탈로그에 표현된 값을 기준하면 되는지
요? 아니면, 감소계수를 포함한 값이어야 하는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73

회 신

□ 내선규정 1300-1 및 1300-6 용어의 정의에서 ‘간선(幹線)’이란 인입구에서 분기


과전류차단기에 이르는 배선으로서 분기회로의 분기점에서 전원측의 부분(고
압수전의 경우는 저압의 주 배전반, 즉 수전실 등에 시설되고 공급변압기에서
볼 때 최초의 배전반)을 말하고, ‘분기회로(分岐回路)’란 간선에서 분기하여 분
기과전류차단기를 거쳐서 부하에 이르는 사이의 배선이라고 정의하고 있으므
로 귀하의 현장상황이 간선인지, 분기회로인지를 판단하시어 판단기준 제175조
(간선의 시설) 또는 제176조(분기회로의 시설)를 적용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되
며(질의 1),

□ 아울러 저압 옥내배선에 사용하는 전선은 판단기준 제178조에 따라 허용전류


를 산정하여야 하는데, 이는 전선의 허용온도 이외에 감소계수, 부하 전선 수,
병렬 전선의 사용, 열저항률, 전선 굵기가 다른 복수회로의 사용, 주위 온도,
공사 방법 등을 고려하고 있음을 참고하시어 적용에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
따라서 전선 제조업체가 제시하는 허용전류 값은 어떤 조건에서 산정된 수치
인지를 확인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2). 끝.
274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전열기의 정의와 콘센트용 분기회로 기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6조 (회신 : 2019. 09. 13.)

질 의

1. 내선규정 제3125절 전열기의 정의가 없습니다. 즉, 예를 들면 무엇인지 궁금합


니다.

2. 콘센트용 분기회로를 설계시 적용할 내선규정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33장 조


명설비의 (분기회로)를 적용하여야 하는지, 31장 저압 전기기기의 제3125절 전
열기를 적용하여야 하는지요?

3. 50A 이하의 전열기 분기회로의 차단기 선정시 부하의 몇 배의 전류용량을 가


진 차단기를 선정하여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50A 초과의 단독가열장치의 경우는 (가열장치) 3115-11 가열장치회로의 간선과
분기회로의 1항 2호에 가열장치 정격전류의 1.3배를 초과하지 않는 정격전류를
가진 차단기를 선정해야 한다고 되어있는 데, 50A 이하에는 명확한 값이 정의
되지 않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75

회 신

□ (질의 1)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과 이와 관련한 내


선규정 등은 전기설비의 안전에 필요한 성능과 기술적 요건을 규정하고 있으
며 전기제품의 정의와 종류 등은 관련 기술서적이나 인터넷 등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만, 국가 표준에서 정의하는 전열기에 대하여는 KS C IEC 60335
시리즈와 관련 규격 등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 (질의 2) 내선규정 제31장은 전동기 등과 같이 부하특성이 다른 전기기기의 시


설규정을 명시한 항목으로서 일반장소의 저압전등 및 조명설비 등의 시설기준
을 다루는 제33장과는 그 적용대상이 다릅니다. 따라서 귀하의 현장의 부하설
비가 어느 것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시어 적용함이 타당할 것이며, 판단기준 제
176조는 분기회로의 시설과 콘센트 회로의 시설 등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질의 3) 전열기의 분기회로와 관련한 내용은 내선규정 제3125절을, 가열장치


회로에 대하여는 동 규정 3115-11 제1~2항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276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분기개폐기 및 분기 과전류차단기 시설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6조 (회신 : 2018. 08. 24.)

질 의

○ 내선규정 3115-3 항 4번에 “전동기에만 전기를 공급하는 분기회로의 과전류


차단기에 1470-4(과부하보호장치와 단락보호전용차단기 또는 단락보호전용퓨즈
를 조합한 장치의 규격 및 사용의 제한)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는 경우는 전항
의 규정에 관계없이 그 정격전류를 분기회로에 사용하는 전선의 허용전류 이
하로 하여야 한다.(판단기준 제176조)”이라 되어있는데 이것은 모타 분기회로
에 사용하는 차단기보다 전선의 허용전류가 더 크다 라고 해석이 되는데 맞는
지요?

회 신

□ 내선규정 3115-3은 분기개폐기 및 과전류차단기의 시설에 대한 규정으로서 제


4항은 전동기에만 전기를 공급하는 분기회로에 과부하보호장치 등을 조합한
과전류차단기(1470-4)를 사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제1항~제3항의 규정에 관계없
이 차단기의 정격전류를 분기회로에 사용하는 전선의 허용전류 이하로 하라는
내용이며, 이외의 경우에는 시설환경을 고려하여 제3항에 명시된 바와 같이
분기회로에 사용된 전선의 허용전류의 2.5배 이하 등으로 할 수 있습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77

제 목 내선규정에서 냉난방기 실외기 분기회로 설계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6조 (회신 : 2020. 02. 18.)

질 의

○ 냉난방기용 실외기용 분기회로를 설계중인데, 내선규정의 “제31장 저압 전기기


기”와 “제33장 조명 설비” 중 어느 곳을 참고해야 할 지 궁금합니다.

○ 싱글형 시스템 냉난방기로 용량은 10kW입니다.

회 신

□ 저압 옥내간선에서의 분기회로 시설기준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


176조에서 규정하고 있으나 내선규정은 부하특성에 따라 제31조(전동기 등 저
압 전기기기)와 제33조(저압전등 및 조명설비)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는데, 에
어컨디셔너 등의 특수한 용도의 전동기 부하에 대한 배선설계는 내선규정 제
3115절에서 다루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278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배선용차단기와 과전류차단기 차이점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6조 (회신 : 2020. 07. 09.)

질 의

○ 전기설비 기술기준의 판단기준 176조의 표 176-1에 의해 콘센트를 시설 할 때


과전류차단기능이 있는 누전차단기의 경우 배선용 차단기로 보나요? 아니면
배선용 차단기에서 제외되나요?

○ 표 176-2에서 저압 옥내배선의 굵기에 케이블도 해당 되나요?(MI케이블 제외)

회 신

□ 과전류차단기(過電流遮斷器)란 배선용차단기, 퓨즈, 기중차단기(A.C.B)와 같이


과부하전류 및 단락전류를 자동차단하는 기능을 가지는 기구를 말하고, 배선
용차단기(配線用遮斷器)란 전자작용 또는 바이메탈의 작용에 의하여 과전류를
검출하고 자동으로 차단하는 과전류차단기로서 그 최소동작전류가 정격전류의
100 %와 125 % 사이에 있고 또 외부에서 수동, 전자적 또는 전동적으로 조작
할 수 있는 것을 말합니다(내선규정 1300 정의).

□ 따라서 귀하의 누전차단기가 상기 배선용차단기 기능에 해당하는지 판단하시


기 바라며, 본 표에 대한 자세한 설명에 대하여는 내선규정 3315-2를 참고하시
기 바랍니다.

□ 또한 표 176-2에 표기된 “저압 옥내배선”은 동 기준 제168조제1항에 명시된


전선을 의미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79

제 목 누전차단기의 옥내배선 굵기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6조 (회신 : 2020. 08. 04.)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 176조의 표 176-2에서 저압 옥내전로의 종류


에 따른 저압 옥내배선의 굵기가 나와 있는데, ELB(정격전류 20A)의 경우 누
전 뿐만이 아닌 과전류도 차단하므로 과전류 차단기로 보아야 할 것인데 이는
배선용 차단기로 보고 옥내배선의 굵기를 선정해야하나요, 아니면 배선용 차
단기가 아닌 과전류 차단기로 보고 굵기를 선정해야 하나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6조의 [표 176-2]는 저압 옥내전로의 종류


에 따른 저압 옥내배선의 굵기 기준을 명시하고 있는데, “정격전류가 15 A를
초과하고 20 A 이하인 과전류 차단기(배선용 차단기를 제외한다)로 보호되는
저압 옥내전로”는 퓨즈와 같은 과전류 차단기로 보호되는 옥내전로를 의미합
니다(내선규정 제3315절 참조).

□ 따라서 귀하의 과전류 차단기능이 있는 누전차단기는 표의 배선용 차단기에


준하되 전압강하 및 허용전류를 고려하여 전선의 굵기를 선정함이 타당할 것
으로 사료됩니다. 끝.
280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지하승강장 입구 센서등에도 점멸장치를 설치해야 하는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7조 (회신 : 2020. 09. 04.)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 177조(점멸장치와 타임스위치 등의 시설) 관련으로 공동


주택 지하층 승강기 홀에 센서로 작동되는 조명기구(센서로 작동, 별도의 스위
치 없음)도 기술기준 제 177조항 적용 대상인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7조는 조명설비에는 점멸장치를 시설하도


록 명시하고 있는데, 본 조항의 점멸장치(點滅裝置)란 전등과 같은 기구의 점
멸에 상용(常用)하는 개폐장치(텀블러스위치 등)를 말합니다(내선규정 1300-9).

□ 아울러 본 조항은 전기에너지 절약을 위해 불필요한 개소의 전등이 점등되지


않도록 등기구마다 점멸장치를 시설하라는 내용으로서 귀하의 센서는 이와 역
할이 다른 것으로 판단되는 바, 점멸장치를 설치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
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81

제 목 허용전류 산정시 부스바의 공사방법 적용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8조 (회신 : 2020. 06. 17.)

질 의

○ 부스바 선정에 있어서 내선규정 부록 500-2 a.52-1부터 23까지 참고하려고 하


나, 공사방법을 어떤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지 모르겠어 질문드립니다.

회 신

□ 내선규정 5300-4 및 부록 500-2에 수록된 배선설비의 허용전류와 공사방법은


KS C IEC 60364-5-52에 의한 허용전류를 구하는 방법론으로서 공칭전압이 교
류 1 ㎸, 직류 1.5 ㎸ 이하의 비외장형 케이블과 절연전선에 적용하며, 귀하가
공사방법을 결정하신 후 내선규정 5300-4에 따라 허용전류 및 전선의 굵기를
구하여야 합니다.

□ 참고로 부스바를 이용한 버스 덕트 공사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


188조를 참고하시기 바라며, 내선규정 부록 500-2에서 정한 공사방법과 감소계
수・보정계수의 적용방법 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KS C IEC 60364-5-52 또
는 우리 협회에서 발간한 KECG 1701-2019(배선설비의 설계 및 공사방법에 관
한 기술지침) 등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282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600V급 절연전선의 허용전류 계산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8조 (회신 : 2017. 11. 02.)

질 의

○ 현재 간선에 CV(XLPE), 0.6/1 KV Cable를 선정하여 전선의 허용전류는 KS C


IEC 60364-5-52에 의거 계산하고 있습니다. (CV Cable은 KS C IEC 60502-1
등에 의거 생산하는 제품입니다.)

○ 그런데 판단기준 제178조에 의하면 600V급은 한국전기기술기준위원회 표준


KECS 1501-2009에 의거 허용전류를 계산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 경우 판단기
준 제178조의 어느 기준에 의하여 허용전류를 계산하여야 하는지요?

○ 아울러 같은 전선 사이즈로 KS C IEC 60364-5-52 규정과 한국전기기술기준위


원회 표준 KECS 1501-2009 규정으로 계산 비교해 보면 허용전류 값이 상당한
차이가 있어 KECS 1501-2009의 실용성에 상당한 의문이 듭니다.

○ 판단기준 제178조에 의한 600V급 절연전선의 해석은 무엇인지요? KS C IEC


60502-1에 의거 제작한 0.6/1 KV CV cable도 여기에 해당하는지, 아니면 예전
KS C 규정에 의거 제작된 600 V CV Cable를 지칭하는지 궁금합니다.

○ 모든 전선의 허용 전류 계산은 KS C IEC 60364-5-52 에 의하여 계산하면 계


산 방법의 기준이 될 것 같은데 올바른 판단을 부탁드립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83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8조(저압 옥내배선의 허용전류)의 예외조항


대상인 600V급 절연전선은 전선의 국제표준(IEC) 부합화 이전에 한국전기기술
기준위원회 표준 KECS 1501-2009에 근거하여 국내인증을 받아 유통되던 것으
로서 질의하신 예외 조항은 전선의 국제표준 부합화 과도기에 잔류해 있는 국
내인증 전선의 허용전류 적용을 위해 한시적으로 명시되었고 향후 폐지될 예
정입니다.

□ 따라서, 잔류된 600V급 절연전선은 폐지된 KS 전선표준에 기초한 것으로 국제


표준과 요구사항이 다르므로 KS C IEC 60364-5-52 부속서 B(허용전류)의 허용
전류를 적용할 수 없으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조(절연전선)제1항
제2호와 제178조(저압 옥내배선의 허용전류)의 예외조항에 따라 한국전기기술
기준위원회 표준 KECS 1501-2009의 허용전류를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끝.
284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기준에 없는 허용전류 보정계수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8조

질 의

1. 케이블트레이에 케이블을 여러개 포설할시 보정계수를 적용해야 되는데, 단심


케이블과 다심 케이블이 동일한 케이블 트레이에 포설된 경우 표 A.52-17~표
A.52-21중 어떤 것을 사용하여야 하나요? (‘20.07.10)

2. 케이블 트레이에 설치하는 케이블에 대하여 표 A.52.20과 표 A.52.21에 케이블


저감 계수가 나와있습니다.
○ 표 A.52.17에도 케이블트레이 관련 계수가 있는데 어떤 표의 값을 우선적으로
적용하여야 하나요?
○ 케이블 트레이로 전설을 포설하다가 약 10m구간(전체구간의 1% 미만)만 지중
매입관을 이용하여 지중에 설치하였습니다. 그러면 이 때도 케이블 트레이 허
용전류 값을 적용해도 되나요?
○ 표 A.52-19에서 하나의 관에 단심케이블 여러 개를 삽입하였을 경우는 어떻게
적용하여야 하나요? (‘20.07.16)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85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8조는 저압 옥내배선에 사용하는 절연전


선, 케이블의 허용전류 및 보정계수는 KS C IEC 60364-5-52의 부속서 B(허용
전류)에 따르도록 명시함에 따라 내선규정 부록 500-2에 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있으나, 모든 공사방법에 대하여 산정할 수 없기 때문에 권장하는 공사방법에
대하여만 자료를 제공함에 따라 본 표준에서 제공하지 않는 공사방법에 대한
보정계수는 KS C IEC 60287에 따라 직접 계산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질의 1).

□ 케이블 트레이 보정계수는 내선규정 2289-6 제4항에 명시하는 공사방법에 따


라 보정계수 표 A.52-17 또는 표 A.52-20, A.52-21을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KS C IEC 60364-5-52의 523.8항은 “경로 중 일부에서 다른 부분과 냉


각 조건이 다를 경우에는 경로 중 가장 나쁜 조건의 부분에 적합하도록 허용
전류를 결정해야 한다. (비고. 배선이 벽을 통해 가는 길이가 0.35 m 미만일
때에만 냉각 조건이 다르다면 이 요건은 통상적으로 무시할 수 있다.)”고 명시
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라며,

□ 귀하가 1개의 관로에 여러 개의 단심케이블을 시설할 경우에는 회로 수에 따


라 표 A.52-19의 B에 해당하는 보정계수를 적용하되, 전력용 케이블의 지중 매
설 시공 방법에 대한 표준인 KS C 3140의 4.2항은 1관로 1회선 원칙으로 명시
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 끝.
286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전선의 허용전류 산정시 주위온도 적용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78조 (회신 : 2020. 01. 28.)

질 의

○ 전선 및 케이블 허용전류 선정 시 주위온도(기저, 기중) 적용 기준온도는 설계


사무소와 감리 의견이 다른데 어느 기준을 적용해야 하나요?

회 신

□ 저압 옥내배선에 사용하는 450/750V 이하 염화비닐 절연전선, 450/750V 이하


고무 절연전선, 1 kV부터 3 kV까지의 압출 성형 절연 전력케이블의 허용전류
및 보정계수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8조에 따라 KS C IEC
60364-5-52의 부속서 B(허용전류)에 의하며,

□ 주위온도 적용기준은 동 표준의 해설 5.1에서 “우리나라 기상청자료를 근거로


기중(여름 40 ℃), 지중(여름 30 ℃-매설 깊이 1.2 m)를 적용하는 것으로 하되,
설치 현장의 기후조건에 따라 배선경로의 최악조건을 고려하여 이를 달리 적
용할 수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기후조건에 따라 배선경로의 최악조건을 고려하여 이를 달리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귀하 현장의 최악조건에 대한 주위온도 보정계수를 확인코자 할
때에는 현장을 방문하여 전기안전 점검업무를 수행하는 기관 등에 문의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되며,

□ KS C IEC 60364-5-52의 부속서 B.52.2는 기중 30℃, 지중 20℃로 명시되어 있


으므로 주위온도를 기준과 다르게 적용할 경우에는 KS C IEC 부속서 표
B.52.2의 적정 온도보정계수를 적용하여야 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87

제 목 나사접속 전선관의 등전위본딩 시설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84조 (회신 : 2018. 04. 16.)

질 의

○ 로크너트, 부싱으로 고정하는 아웃렛 박스, 풀박스는 등전위 접지를 위한 접지


본딩을 시행중이나 나사접속이 되는 노출환형박스, 방폭 정션박스 등에도 등
전위 접지본딩이 설치되어야 하나요?

○ 나사접속이고 5산이상 접속이 되는 박스에도 접지 본딩을 해야 하는지 문의


드립니다.

회 신

□ 등전위본딩(Equipotential bonding)이란 등전위성을 얻기 위해 전선 간을 전기


적으로 접속하는 조치를 말하며(내선규정 5110-3의 5항) 나사접속 금속성박스
에 대하여는 전기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4조 제3항에 “금속관공사는 관 상
호 간 및 관과 박스 기타의 부속품과는 나사접속 기타 이와 동등 이상의 효력
이 있는 방법에 의하여 견고하고 또한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할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관 상호간 접속에 한해서 적당한 커플링, 노말 밴드, 유니온 커플링, 아


답터 등을 사용해서 설치하면 기계적으로나 전기적으로나 접속의 효과는 충분
히 만족되므로 일반적으로 접지효과를 보기 위해 별도의 본딩을 실시할 필요
는 없을 것이나, 시공상 완전하게 기계적 접속을 하기 어려운 경우 또는 진동
을 받는 장소에 노출된 배관을 하는 경우에는 본딩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됩니다.

□ 또한 내선규정 2225-7은 금속관 상호 및 금속관과 박스 등 부속품 연결 시


“접지선에서 금속관의 최종 끝에 이르는 사이의 전기저항은 2 Ω 이하를 유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권고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288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금속관공사 관련 전선의 단면적, 보정계수, 배관굵기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84조

질 의

1. 내선규정은 전선의 단면적을 평균완성 바깥지름의 상한 값을 환산한 값으로 사


용하고 있으나 기술 발전으로 케이블의 외경은 실제로 작아지는 경우 케이블
의 외경을 제조사 카다로그 기준으로 적용하여 배관을 선정해도 되나요?
(‘20.05.11)

2. 내선규정의 표 2225-7, 졀연전선을 금속관내에 넣을 경우의 보정계수에 따라


FR-3 4㎟ *3C를 금속관에 넣어 시공하고자 할 때, 내선규정의 표 2225-7에 의
한 보정계수 2를 적용해야 하는지요? (‘20.04.16)

3. 내선규정 제2220절 ~ 제2235절의 배관 굵기 선정은 절연전선의 외경을 기준으


로 선정된 것으로 이해됩니다. 케이블의 경우 제조사 카다로그의 케이블 외경
을 기준으로 배관 사이즈를 선정하면 적절한지 문의 드립니다. (‘20.05.12)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89

회 신

□ 내선규정 표 2225-6은 금속관 배선을 시행함에 있어 원활한 공사와 유지보수


의 편의성을 위해 관의 굵기를 선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전선의 단면적을
제시한 것으로서 동 규정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4조제1항에
따라 금속관 공사에서 절연전선을 사용할 경우 절연전선의 단면적을 구하는
방법론이며 케이블을 사용하는 경우는 고려하고 있지 않으므로 질의하신 경우
는 열저항에 따른 허용전류, 작업의 용이성, 향후 유지보수 상황 등을 고려하
여 별도로 정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1).

□ 내선규정 2225-5는 절연전선을 금속관에 용이하게 삽입하는 등 현장작업과 유


지보수의 편리성을 위하여 절연전선의 피복절연물을 포함한 단면적의 총합계
가 관내 단면적의 일정 비율 이하가 되도록 관의 굵기를 선정하도록 명시하고
있는데 케이블을 금속관 안에 넣는 경우를 제시하지 않고 있으므로 질의하신
경우는 열저항에 따른 허용전류, 작업의 용이성 등을 고려하여 별도로 정하여
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2).

□ 내선규정 제2220절~제2235절의 배관 굵기 선정 관련 설명은 합성수지관 또는


금속관 공사에서 전선 신설 또는 전선 교체작업의 편의성을 위해 전선의 외경
을 구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
183조, 제184조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절연전선에 대해서만 적용하는 규정이므
로 케이블 공사는 내선규정 제2275절을 참고하시되, 중량물의 압력을 받을 우
려가 있는 장소는 관의 안지름이 케이블 바깥지름의 1.5배 이상인 관에 넣는
등 적당한 방호를 하여야 하고, 벽이나 바닥에 매입하는 경우에는 충분한 굵
기의 금속관이나 합성수지관에 넣어 시설하도록 설명하고 있음을 알려드립니
다(질의 3). 끝.
290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콘센트기구 아우트렛 박스 제외 규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84조 (회신 : 2018. 08. 22.)

질 의

○ (질의 1) 가로등 격등제어를 하나의 케이블을 사용하여 두 가닥은 A라인, 다른


두 가닥은 B라인 사용이 가능한지 여부와 내선규정의 판단여부를 알고 싶습니
다. 사용이 불가능하다면 그 이유는?

○ (질의 2) 매립 콘센트에 아우트렛 박스도 사용하지 않고 CD관에서 바로 콘센


트 접속이 이루어져 있는데, 콘센트 아우트렛 박스 사용 제외규정이 있는지요?

○ (질의 3) 입상 케이블트레이가 내부로 본딩이 되어있는데, 이에 대한 규정의


적합여부는?

회 신

□ (질의 1) 내선규정에서는 가로등 격등제어에 대한 규정이 명시되어 있지 않으


나 케이블의 굵기가 동일하더라도 단심/다심 종류와 조수, 공사방법, 회로 수
등 환경에 따라 케이블의 허용전류 값이 달라지므로 동 규정 제1435절 및 부
록 500-2에 따라 적정성 여부를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 (질의 2) 합성수지관 배선에서의 콘센트는 내선규정 2220-7에 따라 아웃렛박스


또는 이에 상당하는 것을 사용하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 (질의 3) 케이블트레이의 외부, 내부 본딩에 대한 규정은 별도로 명시되어 있


지 않습니다. 다만 내선규정 2289-7의 ④항과 동 규정 2289-8에서 금속제 케이
블트레이의 계통과 유니트, 부속재 등은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91

제 목 아웃렛박스 노출시공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84조 (회신 : 2018. 04. 06.)

질 의

○ 아파트 시공에 강제전선관 노출 배관 시공을 할 때 아웃렛 박스를 사용하는데


아웃렛 박스를 노출 박스로 사용 가능한지요?

○ 또한, 아웃렛 박스를 콘크리트 매입 박스로 시공해도 법규상 문제가 없는지 궁


금합니다.

회 신

□ 금속관공사 시 아웃렛박스 설치와 관련한 규정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


준 제184조(금속관 공사)제3항에 명시되어 있습니다. 질의하신 아웃렛박스의
노출설치 및 콘크리트 내 매입설치에 대한 사항은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전기
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 별도로 금하고 있지 않으므로 일반적인 경우 문
제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아울러 아웃렛박스의 설치와 관련한 내용은 전기설비 상세 시공방법 등을 기


술한 내선규정(대한전기협회 발행) 2225-9(아웃렛 박스류) 등을 참조하실 수 있
습니다. 끝.
292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금속관 배선공사의 관 굵기 기준이 의무사항인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86조 (회신 : 2017. 08. 22.)

질 의

○ 내선규정 2225-5 관의 굵기 선정 3항.


“굵기가 다른 절연전선을 동일 관내에 넣는 경우의 금속관의 굵기는 표
2225-6부터 표2225-9까지에 따라 전선의 피복절연물을 포함한 단면적의 총합계
가 관내단면적의 32% 이하가 되도록 선정하여야 한다.”

○ 표 2225-7 절연전선을 금속관내에 넣을 경우의 보정계수는 관의 굵기를 선정


할 때 전선의 단면적에 의무적으로 적용해야 되는 사항인가요?

회 신

□ 내선규정 2225-5는 금속관 배선에서 관의 굵기를 선정함에 있어 전선의 피복


절연물을 포함한 단면적의 총합계가 관내 단면적의 일정 비율 이하가 되도록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이나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
서 규정하고 있지는 않지만 전선을 관에 용이하게 삽입하는 등 현장작업과 유
지보수의 편리성을 위한 내용입니다.

□ 아울러 내선규정은 전기설비기술기준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내용 중


난해한 표현으로 되어 있는 것이나 또는 추상적인 표현으로 되어 있는 조항에
대하여 기술형식에 구애받지 않고, 기술기준과 판단기준의 목적과 취지를 살
려서 구체적으로 알기 쉽도록 표현한 민간단체표준으로서 의무사항, 권고사항,
장려사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내선규정의 법적 지위와 구성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본 사례집 FAQ 1번 게시물 ‘내선규정에 대하여’ 내용을 참조하시기 바
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93

제 목 레이스웨이내 AC, DC라인을 동시 시설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87조 (회신 : 2020. 07. 29.)

질 의

○ 전기실 안에 AC등 회로 라인이 있고 DC등 회로 라인이 있는데 하나의 레이


스웨이 안에 각각의 라인이 포설되어 있는데, 하나의 레이스웨이 안에 격벽없
이 각각의 라인(110V,220V)을 포설하고 등기구를 설치해도 문제가 없나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및 「내선규정」은 레이스웨이 내 구체적인 시


설기준을 다루고 있지 않으나, 판단기준 제187조(금속 덕트 공사)에서 “등기구
는 레이스웨이(raceway)로 사용할 수 없으나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
법」에 의한 안전인증을 받은 등기구는 동 조제1항 및 제3항에 적합하게 시설
할 경우에는 예외로 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따라서 귀하의 레이스웨이가 「전기용품 및 생활용품 안전관리법」에 의한 안전


인증을 받은 등기구에 해당된다면 본 조항에 따라 시설하시되, 본 조항에서는
저압 교류 회로와 직류 회로를 격벽으로 구분하여 시설하도록 강제하고 있지
않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294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케이블 공사에 전선관 사용 가능여부 및 지지간격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3조

질 의

1. 비닐외장케이블을 금속관 안에 넣어 시공하는 것이 관련법규에 문제가 없는지


요? (‘20.09.18)

2. 판단기준 제193조(케이블공사)제1항제3호의 괄호규정에 따른 수직케이블의 지


지점간 거리는 6m의 기준, 제3항 및 그 각호에서는 건조물의 EPS안에 수직으
로 매어단 수직케이블의 기준, 그리고, 제4항에서는 수직케이블의 시설을 제한
하고 있는바, 그 외의 다른 조문은 수평케이블에 대한 것이라고 사료되며,

○ 또, 동 기준 제194조(케이블트레이공사)제1항제4호의 단서규정에 따른 수직케


이블트레이공사는 트레이 가로대에 견고하게 고정하여 시설하는 것 이외의 조
문은 수평케이블트레이공사에 대한 것이라고 사료됩니다.

○ 여기서, 문제가 되는 것은 수직케이블의 최저점 중심에 무게하중이 걸리기 때


문에 그 반대쪽 최고점에는 수직장력을 영(Zero)으로 하는 고정장치가 필요하
며, 지진이나 진동이 EPS에 전달될 때, 이를 고려하여 6m 부근에 이를 완화시
키는 장치도 필요합니다.

○ 따라서 EPS 내에 수직케이블의 부설을 감리(藍理)한다고 할 때, 피복이 손상되


지 않게 지지점간 거리를 6m마다 느슨하게 고정시켜야 하는지? 아니면, 트레
이 가로대 15∼20cm 마다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하는지에 대해서 질의하오니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18.03.06)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95

회 신

□ (질의 1) 케이블은 절연체와 피복 구조의 전선으로서 절연전선보다 절연효과가


뛰어나나 취급이 불편하고 향후 전선교체 등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
으므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84조(금속관 공사)는 절연전선을 사
용토록 규정하고 있으며, 중량물의 압력 또는 현저한 기계적 충격을 받을 우
려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금속관 등으로 방호 장치를 할 의
무가 없으나 기타 장소에서 금속관에 넣어 시공했을 때에는 향후 유지보수 및
허용전류에 대한 보완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질의 2)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3조 및 제194조는 각각 케이블 공


사와 케이블트레이 공사방법의 상세사항을 규정하고 있는데, 제193조의 경우
케이블의 수직 시설 시 자중으로 인한 케이블 손상 등의 우려가 있어 케이블
의 자중을 받지 않도록 조영재에 클리프, 새들 등으로 지지하도록 하며 지지
간격은 조건에 따라 1m 이하, 2m 이하 또는 6m 이하로 정하고 있습니다.

□ 또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4조의 경우에는 케이블 트레이는 케이


블 및 그 밖의 배선설비를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케이블 트레이의 수직 설
치 시 케이블의 이동 및 이탈로 인하여 사람에 접촉되거나 케이블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트레이의 가로대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고정하도록 규정하
나 케이블과 가로대의 고정점 간격에 대해서는 별도로 정하지 않고 있습니다.

□ 따라서, 수직 설치하는 케이블 트레이 공사의 경우 케이블의 고정점 간격에 대


한 별도의 규정이 없으므로 케이블 공사 방법을 준용하여 상기 고정 목적에
부합하도록 케이블의 고정점 간격을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끝.
296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옥외 태양광 발전설비 현장의 케이블 트렌치 시설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3조의 2 (회신 : 2019. 05. 09.)

질 의

○ 전기설비 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3조의 2(케이블 트렌치 공사)


① 케이블 트렌치(옥내배선공사를 위하여 바닥을 파서 만든 도랑 및 부속설비
를 말하며 수용가의 옥내 수전설비 및 발전설비 설치장소에만 적용한다)에 의
한 옥내배선은 다음 각 호에 따라 시설하여야 한다.

○ 여기에서 옥내수전설비 및 발전설비 설치장소라고 했는데 옥내수전설비 또는


발전설비 설치장소인지, 옥내수전설비이고 발전설비인 곳에만 사용가능한 것
인지 잘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즉 옥외 태양광 발전설비는 트렌치 공사
가 가능한 것인지요? 또는 옥내 트렌치공사는 발전설비에만 설치가 가능한 것
인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3조의2는 케이블 트렌치 공사에 대하여 규


정하고 있는데, 제1항의 “수용가의 옥내 수전설비 및 발전설비 설치장소”란
“수용가의 옥내 수전설비 설치장소와 옥내 발전설비 설치장소”를 의미하며,
옥외에 시설하는 태양광 발전설비의 배선공사는 판단기준 제218조(옥측배선
또는 옥외배선의 시설)를 참조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97

제 목 케이블트레이에 금속제 가요전선관 사용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4조 (회신 : 2019. 03. 18.)

질 의

○ 케이블 트레이공사에 시공되는 전선은 금속관 혹은 합성수지관 등에 넣은 절


연전선은 가능하다고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4조에 나와 있습니다.

○ 그런데 금속제 가요전선관을 사용하여도 케이블 트레이 포설이 가능한지요?


아울러 1종, 2종 중 어느 것이 가능한지요?

회 신

□ 케이블 트레이공사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4조에 따라 시설되어


야 하며 전선은 동 조 제1항에 명시한 케이블을 사용함이 원칙이나 절연전선
을 사용할 경우에는 전선의 인장강도 등을 고려하여 금속관 또는 합성수지관
등에 넣어 시설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또한, 저압 옥내 배선의 케이블 트레이 공사의 경우에는 KS C IEC 60364-5-52


에 의한 시설방법을 적용할 수 있으나(판단기준 제194조 제3항 참조), 가요전
선관은 케이블 트레이공사에 사용할 수 없으며 가요전선관 공사에 대하여는
판단기준 제186조 또는 내선규정 제2235절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298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트레이와 인체 간 이격거리 및 배관 아래 설치시 문제점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4조 (회신 : 2019. 07. 19.)

질 의

1. 특고압 케이블트레이를 전기실 바닥에 설치시 트레이와 사람과의 이격거리 관


련기준을 알고 싶습니다.
2. 케이블트레이를 설비 배관 밑으로 설치해도 되나요?

회 신

□ (질의 1)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과 이와 관련한 내


선규정 등에서는 귀하의 질의와 같이 전기실 바닥에 설치하는 케이블트레이와
인체간 이격거리를 명확하게 다루지는 않으나, 판단기준 제212조에 의하여 특
고압 옥내배선시 케이블트레이 공사는 35kV 이하로 시설하되 세부기준은 판
단기준 제209조제1항제4호 및 제194조에 따라야 하며, 아울러 옥내에 시설하는
예비케이블은 사람이 접촉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고 접지공사를 하여야 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질의 2) 질의하신 케이블트레이 주변 상황이나 시설 전압 등을 알 수 없으나


타 설비와의 이격거리 등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6조(저압 옥내
배선과 약전류 전선 등 또는 관과의 접근 또는 교차), 제209조(고압 옥내배선
등의 시설), 제212조(특고압 옥내 전기설비의 시설)를 참조하시기 바라며

□ 동 기준 제194조(케이블 트레이 공사)와 내선규정 제2289절은 케이블트레이를


사람의 통로로 사용하거나 다른 설비의 지지물로 사용 되는 것을 금하고 있음
은 물론, 전선 접속부분은 사람이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아울러 기술기준 제2조에 따라 모든 전기설비는 감전, 화재 그 밖에 사람에게


위해(危害)를 주거나 물건에 손상을 줄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여야 하므로 귀하
의 케이블트레이 설비가 물이 침투하거나 배관 등으로 인해 전기설비에 손상
이 발생할 우려가 없도록 시설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299

제 목 케이블 덕트, 트레이 설치 시 바닥과의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4조 (회신 : 2020. 09. 17.)

질 의

○ 옥내 저압(220~380V) 케이블 덕트, 트레이 설치 시 바닥(지면)과의 이격 거리


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및 「한국전기설비규정」(KEC) 등은 바닥과의


이격거리를 다루고 있지 않으므로 각 공사방법에서 명시한 기준을 따르는 것
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일 예로, 케이블 트레이 공사의 경우에는 판단기준 제194조제2항에서 케이블


트레이는 모든 전선을 지지할 수 있는 적합한 강도의 것이어야 하며 케이블
트레이의 안전율은 1.5 이상으로 명시한 바, 그 구조와 시험방법 등은 KS C
8464(케이블 트레이)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300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케이블트레이에 50㎟ 미만 단심케이블 설치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4조 (회신 : 2020. 08. 11.)

질 의

○ 판단기준 194조 제1항 7조의 가. (4)은 단면적 50mm2 이상 120mm2 이하의


단심 케이블을 트레이에 배선 시 케이블 트레이 내측 폭 이하로 배선하라는
내용이 있는데, 단면적 50mm2 미만 단심 케이블의 트레이 배선시 기준은 어
떻게 되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4조는 케이블 트레이 공사기준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는데, 본 조항의 인용 기준인 NEC 규정에서는 단심케이블은 공칭
단면적 50㎟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습니다.

□ 이에 따라 판단기준 제194조제1항제7호의 ‘가’는 사다리형 또는 펀칭형 케이블


트레이 내에 단심케이블을 시설하는 경우로서 공칭 단면적이 50㎟ 미만인 케
이블의 설치기준은 명시하고 있지 않습니다.

□ 다만, 동 조 제1항제7호의 ‘나’는 75mm, 100mm 또는 150mm 폭의 통풍채널


형 케이블 트레이 안에 단심케이블을 시설하는 경우로서 케이블의 단면적에
제한을 두지 않고 있음에 따라 공칭 단면적이 50㎟ 미만인 케이블도 단심케이
블들의 지름 합계가 그 채널의 내측 폭 이하로 하는 경우에 시설이 가능할 것
으로 사료됩니다.

□ 아울러 귀하가 상기 기준에 따르지 않을 경우에는 동 기준 제180조제2항에 따


라 KS C IEC 60364-5-52의 케이블 트레이 공사방법과 허용전류 기준에 따라
시설하여야 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01

제 목 케이블트레이 옥외설치 가능여부 및 다단 설치 간격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4조

질 의

1. 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규정 및 내용이 옥내에 한정되어 기술되어있는데, 옥외


에는 설치 할 수 없나요? (‘20.08.25)

2. 케이블트레이를 다단 설치시 간격 기준 관련 문의드립니다.

회 신

□ 내선규정 제22장의 표 2210-1 및 표 2210-2는 시설장소별 저압설비의 배선방


법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는데, 케이블 트레이 배선은 옥측, 옥외에도 시설이
가능하나, 습기가 많거나 물기가 있는 장소에서는 내선규정 제4240절에 따라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1).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4조는 케이블 트레이 공사기준에서 케이


블 트레이 간격 기준을 다루고 있지 않으나, KEC 232.41에서 케이블 트레이
시스템을 KS C IEC 60364-5-52에 의한 방법으로 시설할 경우에는 벽면과는
20㎜ 이상 이격하되, 트레이 간 수직간격은 300㎜ 이상 설치하도록 명시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 끝.
302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케이블트레이의 접지 및 전기적 접속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4조 (회신 : 2020. 09. 12.)

질 의

○ 케이블트레이의 조인트커넥터에 본딩점퍼(퓨즈형)를 통해 접지를 시공하였을때


두 가지 궁금 사항이 있습니다. 트레이 접지는 기계적, 전기적 접속을 하여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엔드플레이트에 점퍼로 접지를 시공하였을때 트레
이 바디/ 조인트 커넥터 / 본딩점퍼 이 세가지가 전기적 접속이 되었다고 볼
수 있나요?

○ 전기적 접속의 정확한 의미는 무엇인가요? 바디와 바디간 본딩점퍼로 연결하


여 접지시공을 해야 하나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03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4조제2항은 금속제 케이블 트레이는 기계


적 및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하여야 하며 사용전압이 400 V 미만인 경우에
는 제3종 접지공사, 400 V 이상인 경우에는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하여야 한
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또한 기준에서는 전기적 연속성에 대한 정의를 다루고 있지 않으나(질의 1),


KS C IEC 61537(케이블 트레이 시스템 및 케이블 래더 시스템) 11.1항은 케이
블 트레이 시스템의 전기적 연속성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표현하고 있음을 참
고하시기 바라며,

○ 귀하의 케이블 트레이가 전기적으로 완전하게 접속되었는지에 대한 판단은


귀하 현장을 방문하고 시공의 적합성 판단과 전기안전 점검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에게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2). 끝.
304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케이블트레이에 전기와 통신케이블 동시 포설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6조 (회신 : 2018. 03. 28.)

질 의

○ 전기 강전 케이블 트레이내 약전 차폐 케이블을 같이 포설할 수 있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6조제3항에서는 저압 옥내배선과 약전류 전


선은 동일한 케이블 트레이나 이들의 박스 기타의 부속품 또는 풀 박스 안에
시설해서는 안 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다만, 동조 제3항제1호부터 제5호에
서 예외조항을 두고 있으며, 이에 준하는 경우에는 약전류 전선을 옥내배선과
같이 시설할 수 있도록 합니다.

□ 저압 옥내배선을 케이블 트레이 공사에 의해 시설하는 경우에는 동기준 제196


조제3항제5호에 따라 약전류 전선이 제어회로 등의 약전류 전선이고 이를 금
속관 또는 합성수지관에 넣어 포설할 때에만 옥내배선과 함께 동일한 케이블
트레이에 시설할 수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05

제 목 가연성 가스 장소에서의 옥외 전등시설 방법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00조 (회신 : 2019. 08. 20.)

질 의

○ 가연성 가스 등이 있는 곳의 옥외 저압 전기시설 (전등)에 사용할 수 있는 전


선에 대해서 문의 드립니다.

○ 기존에는 후강 전선관 내에 옥내용 절연전선(HIV)이 설치되어 있었는데, 기존


과 동일하게 절연전선을 사용하여 후강 전선관 내 포설이 가능한지 전선관 내
비닐 외장 케이블 시공만 가능한 것인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회 신

□ 가연성 가스 등이 있는 곳에서의 저압 전기시설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


준 제200조 또는 내선규정 제4210절에 따라 시설하여야 하며, 배선은 금속관
공사 또는 케이블 공사로 시행하되 금속관 공사로 시행할 경우에는 동 기준
제184조(금속관 공사)에 따라 옥외용 비닐절연전선을 제외한 절연전선(연선)으
로 시설하여야 하는 바, 자세한 내용은 본 조항 전체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절연전선은 동 기준 제4조에 적합한 것을 사용하여야 하는데, 귀하가


제시한 HIV전선은 '09.10.27에 KS C 3328 표준이 폐지됨에 따라 생산이 중지
된 제품으로서 일부 현장에서는 KS C IEC 60227-3으로 제조된 제품을 ‘HIV’
라는 호칭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고, 본 표준에는 기기배선용과 일반용이 있
으므로 선택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또한 귀하의 현장이 화재안전기준에 따라야 하는 경우에는 NFSC 102(옥내소


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 등을 참고하시고 이와 관련한 질의는 소방청
(http://www.nfa.go.kr) 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끝.
306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방폭지역에 나사 없는 전선관 사용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199조 (회신 : 2018. 12. 12.)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의 제199조, 제200조에 “금속관은 박강 전선관 또


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것일 것.”이라는 규정이 있습니다. 규정상
으로 보면 방폭 지역은 박강 전선관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전
선관을 적용하라는 내용으로 판단됩니다.

○ KS C 8401 강제전선관 규격에 보면 강제전선관은 “나사 없는 전선관, 박강전


선관, 후강전선관” 3가지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 방폭 지역 및 옥외 노출 전선관 배관에 대해 아래와 같이 문의 드립니다.

1. 방폭 지역에서의 나사 없는 전선관 적용 가능 여부

2. 옥외 노출 배관 시 나사 없는 전선관 적용 가능 여부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07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9조 및 제200조는 먼지가 많은 장소와 가연


성 가스 등의 장소에서의 저압시설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동 장소에서의
금속관 공사는 박강 전선관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지는 전선관을
사용하여야 한다고 규정되어 있으나, 내선규정 제42장 특수장소에서의 배선기
준(4210-2)에 따르면 폭발성위험지역에서는 부속품 등과의 관계와 시공을 고려
하여 후강전선관을 사용토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아울러 관 상호 간 및 관과 박스 기타의 부속품・풀박스 또는 전기기계기구와


는 5턱 이상 나사 조임으로 접속하는 방법 또는 기타 이와 동등 이상의 효력
이 있는 방법에 의하여 견고하게 접속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분진 및 폭발
성위험지역 상황에 적합한 금속관과 부속품을 선정하고 관련 표준에 의거한
인증을 받은 제품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견고하고 전기적으로 완전한 접속을
하는 등 본 규정을 충분히 준수한다면 나사 없는 전선관도 사용할 수 있을 것
으로 사료됩니다(질의 1).

□ 또한 판단기준 제184조와 내선규정 제2225절 등은 전선관의 나사 유무를 규정


하고 있지는 않으나 ‘나사 접속 또는 나사 없는 접속’을 설명하는 내선규정
(2016년) 그림 2225-2의 금속관 접속 예시도를 고려할 때 전항의 설명처럼 현
장 상황에 적합하게 인증을 받은 제품을 사용하여 기계적으로 견고하고 전기
적으로 완전한 접속을 하는 등 본 규정을 충분히 준수하는 경우에는 옥외 노
출 배관 시에도 나사 없는 전선관을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2). 끝.
308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화약류 저장소와 지상기기간 이격거리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02조 (회신 : 2018. 06. 12.)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에 따라 화약류 저장소와 지상기기 간 이격거리


에 대해 문의합니다. 현재 지상기기 위치를 관공서 탄약보관창고 인근에 설치
하는데, 약 25~40M 정도 이격되어 있습니다.

○ 이에 기술기준과 판단기준을 검토하였으나 모두 화약류 저장소의 '안에' 또는


'내에서' 라고 나와 있고, 외부에 대한 이격거리에 대한 내용은 확인할 수 없
는데, 이에 검토 부탁드립니다.

회 신

□ 화약류 저장소에 대해 전기설비기술기준 제61조(가연성 가스 등이 있는 장소),


제63조(화약류 저장소), 제169조(저압 옥내전로 인입구에서의 개폐기의 시설),
제199조(먼지가 많은 장소에서의 저압의 시설), 제201조(위험물 등이 있는 장소
의 저압의 시설), 제202조(화약류 저장소에서 전기설비의 시설)에서 화약류 저
장소의 내부설치에 대해 규정하고 있으며, 외부에 설치된 전기설비간의 이격
거리는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 화약류 저장소란? 「총포․도검․화약류 등의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의한


장소를 말합니다.

□ 다만,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126조(특고압 가공전선과 건조물의 접


근) 제3항, 제4항에서 사용전압 특고압 가공전선이 화약류 등을 다루는 건조물
과의 이격거리 및 시설방법을 규정하고 있사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09

제 목 견고한 내화성의 격벽에 대한 정의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12조 (회신 : 2017. 08. 21)

질 의

○ 판단기준 212조 2항의 “견고한 내화성의 격벽”이란 구체적으로 어떤 것을


의미합니까?

○ 특고압케이블을 비닐피복2종가요전선관에 넣어 저압 케이블 군을 교차하여 포


설하는 경우는 가요전선관이 “견고한 내화성의 격벽”으로 간주되어 가능 합
니까?

○ 상기 2가 아니라면 구체적으로 어떤 방법이 “견고한 내화성의 격벽”입니까?


209조 2항에 따르면 고압 케이블은 다른 고압케이블과 “견고한 내화성의 격
벽” 없이 교차하여 포설해도 허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12조 제2항은 특고압의 옥내배선과 저압


및 고압의 옥내배선의 전선, 옥내에 시설하는 저압 및 고압 전선로의 전선 또
는 관등회로 배선과의 이격거리를 원칙적으로 60 ㎝ 이상으로 정한 규정입니
다.

□ “견고한 내화성”이란 콘크리트 등의 불연재료로 만들어진 것으로 케이블의


허용온도 이상으로 가열시킨 상태에서도 변형 또는 파괴되지 않는 재료”를
말하며, “격벽”은 접촉방지를 목적으로 공간을 구분하기 위한 벽을 의미합
니다(「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41조, 동 기준 해설서의 해설 그림
196-1 참조).
310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 따라서 “질의 1 및 3”에 대하여는 상기 답변을 참고하시기 바라며, “질의


2”에서 질의하신 가요전선관은 ‘견고한 내화성의 격벽’으로는 볼 수 없다
고 판단됩니다. 끝.

전기설비기술기준 해설서 제196조 그림 196-1 해설 : 애자사용공사에 의한 경


우는 위험도가 높기 때문에 저압 옥내배선의 전선과 약전류 전선 등과의 이격
거리는 원칙적으로 10 ㎝ 이상이어야 한다. 그러나 상호간에 절연성의 격벽을
설치하거나 전선을 충분한 길이의 절연전선관(판단기준 제195조)에 넣는 경우
는 이 규제의 적용을 받지 않아도 된다. (해설 그림 196-1) 끝.

가스관
전선

절연성
10㎝ 10㎝ 격 벽
이하 이하

절연관

10㎝ 10㎝
전선 이상
이상

금속관

<그림 196-1>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11

제 목 삼파장 램프가 방전등에 해당하는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13조 (회신 : 2018. 06. 27.)

질 의

○ 삼파장 램프는 일반 형광등으로 알고 있는데,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는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방전등에 해당하는지, 다른 종류에 해당하는지, 방전등에 해당하면 1000V 이하


방전등에 해당하는지?

회 신

□ 일반적으로 삼파장램프는 형광등에 속하며, 형광등 및 수은등 등은 광원 분류


상 방전등의 일종으로 분류됩니다.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13조 내지 제216조 등에서는 옥내 방전등 공


사에 관하여 상세히 규정하고 있으며, 동 기준 제225조 등에서는 옥측 또는 옥
외 방전등 공사에 관하여 규정합니다. 상기 조항에서는 관등회로의 사용전압
에 따라 별도의 요구사항을 두고 있으므로 시설현장 및 해당 기기에 맞는 조
항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312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LED 조명기구의 설치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13조 (회신 : 2019. 01. 17.)

질 의

1. LED 등기구에는 반드시 환기구를 설치하여야 하며, 가능한 많은 통풍구 및 적


절한 방호망을 설치하여야 하는지요?

2. 조명기구의 모든 배선 및 충전부는 은폐되어야 한다고 하는데, 조명기구 자체


배선 및 조명기구 본체와 이중천정 사이의 조명기구 인입배선도 은폐되어야
하는지요?

3. 조명기구 내에 설치된 단자란 조명기구 내부에 설치된 단자인지? 아니면 조명


기구 외부에 노출로 설치된 절연전선이나 케이블이 부착된 단자까지도 포함되
는지요?

4. 조명기구 내부에 단자가 설치되지 않고, 안정기의 인출선이 절연전선으로 조명


기구의 외부에 노출로 설치된 경우 등기구의 인출선을 조명기구에 접속하는
배선으로 판단하여 케이블 또는 배관공사를 하도록 하여야 하는지? 아니면 조
명기구 KSC 7653-2016 매입형 및 고정형 KLED 6.7. 고정배선 및 내부배선에
언급이 없는 바, 절연전선으로 노출된 조명기구로 설치하여도 되는지요?

5. 인입단자가 외부로 인출된 절연전선으로 된 조명기구로 설치하여도 되는 경우,


등기구 안정기에서 외부에 절연전선으로 인출된 단자까지의 절연전선 길이는
얼마까지 가능한지요?

6. 안정기 2차측 절연전선이 등기구 몸체 외부로 노출배선하는 경우 절연전선으


로 제조가 가능한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13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13조 및 제214조 등에서는 옥내에 시설되는


방전등과 그 배선의 시설에 대하여 규정하고 있습니다. 방전등은 안정기, 방전
관 기타의 부속품을 단일 조명기구에 넣어서 그 전원을 일반 저압 옥내 배선
으로부터 취하도록 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지만, 건조물 내의 조명방법에
따라 반드시 그렇게 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합니다.

□ 이에 대하여 동 기준 제215조에서는 사용전압 1 kV 이하의 옥내 관등회로의


시설방법을 규정하고 있는데, 400 V 미만인 경우에는 일반 저압 옥내배선과
동일하게 시설하고 추가적으로 형광등전선 또한 사용할 수 있도록 정합니다.
다만, 안정기 2차 측에서 안전전압 이하의 전원을 사용하는 LED 등에 대해서
는 상세히 규정하지 않습니다.

□ (질의 1 내지 3) 질의하신 사항은 국토교통부고시 「건설기준코드(시방코드)」에


해당하는 사항으로 관련 부처의 명확한 검토의견을 득하심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질의 4 내지 6) 상기 답변과 같이 판단기준에서는 LED에 대한 별도의 규정을


다루지 않습니다만, 일반 방전등과 사용전원이 동일한 안정기 1차 측의 배선
에 대해서는 현행 판단기준에 준하여 시설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안정기
이하 부분에 관한 사항은 LED의 공인 제품인증 및 시험성적서에 적합하도록
시설되어야 합니다. 끝.
314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방전등에 적절한 방습장치 관련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13조 (회신 : 2017. 06. 13.)

질 의

○ 판단기준 제213조제6호
습기가 많은 곳 또는 물기가 있는 곳에 시설하는 방전등에는 적절한 방습장치
를 할 것. 관련 문의 사항입니다.
- 저전압이며 상시 사용이 아닌 일반 아파트의 욕실에 있는 조명기구에 꼭 방
습장치를 해야 하나요?
- 방습장치를 필히 해야 한다면 환풍 시설을 방습 장치로 볼 수 있지 않는지
요?
- 환풍시설을 방습 장치로 볼 수 없다면 조명기구에 부착되는 고무패킹을 방
습 장치로 볼 수 있는지요?
- 방습장치는 정확히 습기로 부터 무얼 보호하는 게 목적인지요? / 해당 목적
물 보호가 이루어졌다면 방습장치는 별도 지정되지 않아도 무방한지요? /
해당 목적물 보호 된 것을 어떠한 방법 / 기준으로 확인이 가능한지요?

회 신

□ 판단기준 및 내선규정에서 규정하는 절연전선 또는 케이블 등은 전기는 계속


하여 공급하는 조건에서 규정된 전선의 허용전류 및 허용온도 등의 값 이내에
서 사용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 질의하신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13조는 사용전압이 1000V이하의 방


전등 중 형광등, 수은등 등에 대한 시설기준으로 제6호는 방습장치에 관한 규
정이지만, 형광등은 습기에 대해서 민감하여 부점(不点: 점등되지 않음)이 이뤄
지지 않기가 쉽고 사고도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습기가 많은 장소 등에 시설
하는 것은 될 수 있는 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득이하게 시설하는 경우
는 안정기 및 방전관 등에 습기가 들어가지 아니하도록 방습형의 조명기구 또
는 적절한 방습장치를 한 조명기구 등을 사용하여 시설하도록 한 규정입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15

□ 본 조항에서 말하는 적절한 방습장치에 대한 예로 내선규정 4240-4 전기기계


기구 등의 2항에서 “습기가 많은 장소 또는 물기가 있는 장소의 전등은 선부
착방수 소켓을 사용하거나 비틀어 끼우는 글로브 등이 붙은 방습형 조명기구
등을 사용하여야 한다(형광등의 경우도 이에 따른다). 다만, 유리 등으로 방습
장치를 한 것은 적용하지 않는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KS C 8000 조명기구통칙에서는 방습성능에 대해 “기구의 내부에 정상적
인 동작을 저해할만한 습기의 침입이 없어야 한다.”라고 명시하고 있으며 적
용 장소로는 “욕실, 주방 등”을 명시하고 있어 본 조항의 적용에 이를 참고할
수 있습니다.

□ 따라서, 질의하신 1번의 욕실은 일반적으로 습기가 많은 장소로 판단되기 때문


에 방습장치가 필요합니다.

□ 질의하신 2번의 환풍시설은 일반적으로 욕실의 습기 제거에 도움을 줄 수 있


으나 해당 장소의 구조와 환풍시설의 성능 및 작동시간 등에 따라 해당 장소
의 제습 결과가 크게 달라질 수 있으므로 해당 장소와 환풍시설을 고려하여
방전등의 방습성능을 충족시키는지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 질의하신 3번의 고무패킹은 상기 환풍시설의 답변을 참고하여 판단하시기 바


랍니다.

□ 질의하신 4번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방전등의 안정기 및 방전관 등을 보호하여


방전등을 정상적으로 동작시키기 위함이며, 판단기준 제213조에서는 설계/시
공의 자율성 및 다양성을 제한하지 않기 위해 적절한 방습장치에 대해 특정하
고 있지 않으나 상기 인용자료 및 기타 관련 자료를 참고하시어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끝.
316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전기울타리의 시설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31조 (회신 : 2018. 02. 09.)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31조(전기울타리의시설) 제1항제5호에서 ‘시


설물’에 마을안길 등의 도로도 시설물로 보아 도로에서도 30cm의 간격을 두고
전기울타리를 설치하여야하는지에 대하여 질의합니다.

회 신

□ 질의하신 다른 시설물이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87조(저압 가공전선과


다른 시설물의 접근 또는 교차)에서 “건조물․도로․횡단보도교․철도․궤도․삭도․가공약
전류 전선로 등․안테나․교류 전차선등․저압 또는 고압의 전차선․다른 저압 가공전
선․고압 가공전선 및 특별고압 가공전선 이외의 시설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를 준용할 때 도로는 다른 시설물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할 수 있습니다.

□ 다만, 전기설비기술기준 제66조에서 “전기울타리는 논밭, 목장, 그와 유사한 장소


에서 야수의 침입 또는 가축의 탈출을 방지하기 위해 시설하는 경우로 한정하고
있는 점과 판단기준 제231조제1항1호에서 전기울타리는 사람이 쉽게 출입하지 아
니하는 곳에 시설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시어 사람과 가축의 통행
등 질의하신 도로의 특성과 전기울타리가 절연성이 없음을 고려하여 감전 또는
화재의 우려가 없도록 시설하시기 바랍니다. 끝.

※ 참고 : 사람이 쉽게 출입하는 장소
사람이 일반적으로 다니는 곳과 펜스와 벽 등에서 분리되지 않고 있으며 또한
사람이 쉽게 접할 수 있는 높이의 장소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17

제 목 교통신호기에 누전차단기 시설 생략조건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34조 (회신 : 2018. 10. 11.)

질 의

○ 그림과 같이 시설된 교통신호기에서 2중으로 설치된 누전차단기를 제어함 내


부 인입 1개소에만 설치할 때 기술기준에 위반되는지요?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69조에 의거 교통신호기 제어함 인입전에 반


드시 개폐기를 설치해야 되는지요?

○ 보안등용 제어함 및 무인단속 과속카메라 제어함은 내부에 1개의 누전차단기


가 설치되어 운영 중 인데 기술기준에 위배되지 않는지요?

▪한전인입 ~ 교통신호 제기어함 사이에 누전차단기를 설치함.


▪교통신호기 제어함 내부 인입에 전기설비기술기준 제13조(과전류에 대한보호),
제14조(지락에 대한 보호) 및 제56조 제3항의 자동전로 차단장치로 누전차단기
(ELB)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음.
318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회 신

□ 공공의 안전 확보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것에 전기를 공급하는 전로에는


그림의 분전함에서와 같이 과전류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하며(기술기준 제56조
제③항)

□ 교통신호등의 제어장치에는 회로에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다른 회로와 독립적


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그림과 같이 제어장치의 전원 측에 전용 개폐기 및 과
전류차단기를 시설하여야 하고, 사용전압이 150 V를 초과하는 경우는 지락차
단장치를 시설하여야 합니다. (판단기준 제234조 ④항)

□ 따라서 귀하께서 질의하신 교통신호등의 분전함과 제어함에 시설된 각각의 누


전차단기는 제품명만 같은 뿐 서로 용도와 규격이 상이한 것이며, 기준도 서
로 다르게 적용되는 의무기준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보안등용 제어함 및 무인단속 과속카메라 제어함의 경우는 시설환경과


사용전압, 발주처의 시방서, 시공기준 등 제반 여건을 참고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19

제 목 풀장에 사용 가능한 전선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41조 (회신 : 2020. 07. 21.)

질 의

○ 풀장에 매입형 DC 등기구를 설치 하려고 하는데, 등기구(DC 12W)와 연결된


전선 또한 DC로 연결되고, 해당 전선은 물과 직접적인 접촉은 없습니다.
VCTF KS C IEC 60227-5 06-0362 전선을 사용해도 될까요?

회 신

□ 귀하가 문의하신 VCTF KS C IEC 60227-5 06-0362이 표준의 분류와 달라 KS


C IEC 60227-5의 어느 규격인지 불명확하나, 귀하의 전선이 KS C IEC
60227-5 규격에 의한 VCTF 전선이라면 “300/500 V 이하 유연성 비닐 케이블
(코드)”로 추정되며, 코드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6조에 따라 판
단기준에서 허용된 경우에 한하여 사용이 가능하므로 귀하의 풀장에는 사용이
불가합니다.

□ 아울러 KS C IEC 60227-5 VCTF 전선에 대한 설명은 본 사례집 FAQ 3번 내


용을 참고하시기 바라며, 귀하의 풀장 수중조명등의 시설기준과 사용 가능한
전선은 동 기준 제241조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320 5. 제5장 전기사용장소의 시설

제 목 소세력회로와 DC제어선을 함께 배선해도 되는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44조 (회신 : 2020. 03. 05.)

질 의

○ 판단기준 제244조(소세력 회로의 시설)에서 “전선은 금속제의 수관·가스관 또


는 이와 유사한 것과 접촉하지 아니하도록 시설할 것”의 관련입니다.

○ 저희 공장의 DC24V SMPS를 이용한 입출력 부품(공압 솔레노이드 밸브 등)을


제어하는 전원(DC24V, 단락 전류 5A이하)과 공압호스를 함께 동일 케이블 덕
트 안에 넣어 배선을 해도 되는지요?

○ 일반 '옥내배선'(AC 전원 케이블 400V 이하)은 플라스틱 공압호스와 병행해서


배선을 하면 안되는지요?

회 신

□ 소세력 회로의 정의는 내선규정 1300-7(용어)을 참고하되,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44조제1항제3호는 소세력 회로의 전선을 지중, 지상 및 가공 이
외의 장소에 시설하는 경우의 공사방법으로서 ‘사’는 생각지도 못한 곳에서 쇼
크를 받는 것에 대한 방지 목적입니다.

□ 따라서 공압호스가 비금속성이고, 판단기준 제244조의 [표244-1]과 같이 귀하의


제어용 DC 전원을 전용으로 공급하는 절연변압기 2차 단락전류가 5 A 라면
동 조 제1항제3호에 따라 동일공간에 시설하는 것이 가능합니다(질의 1).

○ 또한, 400 V 미만의 저압 옥내배선은 판단기준 제180조 [표180-1]과 같이 시설


장소에 따라 다양한 공사방법 적용이 가능하며, 동 기준 제181조~제194조에
공사방법에 따른 시설기준이 명시되어 있으므로 귀하의 공사방법에 적합한 시
설기준을 참고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2).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21

6. 제6장 전기철도 등
(제251조 ~ 제278조)


6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23

제 목 트램의 가공전차선이 가공전선의 범위에 해당하는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79조 (회신 : 2018. 01. 23.)

질 의

○ 노면전차(트램)으로 가공전차선을 도로에 시설하는 경우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의 제72조의 가공전선의 범위에 가공전차선도 포함되는지요?

○ 노면전차(트램)으로 가공전차선을 도로에 시설하는 경우 교차로구간의 경우 제


72조 ①항의 1호 도로를 횡단하는 경우에 교차로구간이 해당 되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3조는 “전선이란 강전류 전기의 전송에 사용하는 전기


도체, 절연물로 피복한 전기 도체 또는 절연물로 피복한 전기 도체를 다시 보
호 피복한 전기 도체를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으나 “전선로”는 전차선을 제외
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질의 1).

□ 또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72조는 저고압 가공전선의 높이에 대


한 기준이며, 전기철도 전차선의 시설에 대한 기준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
단기준」 제6장을 참조하시되 가공 직류 전차선의 레일면상의 높이는 동 기준
제256조를, 교류식 전기철도와 강색 철도의 시설기준은 동 기준 제266조부터
제278조까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25

7. 제7장 국제표준도입
(제279조 ~ 제280조)


7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27

제 목 보호선 의미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79조 (회신 : 2018. 01. 23.)

질 의

○ 2013 내선규정 표 5240-2 보호선의 단면적에 대한 내용 중에서 ‘a PEN 선의


경우에 단면적의 축소는 중성선의 크기 결정에 허용된다.’는 의미를 잘 모르겠
습니다.

○ a가 상수인 건가요? 아니면 단지 그 부분에 대한 설명인가요?

회 신

□ 질의하신 a는 표5240-2에서 식 16a, Sa/2 의 a로 이 수식에 대한 설명을 뜻합


니다. PEN 도체의 경우 중성선의 기능을 가지므로 단면적은 중성선으로 필요
한 것 이상이어야 하며, KS C IEC 60364-5-52에 중성선의 단면적이 최소한 선
도체의 단면적 이상이어야 하는 경우 등이 명시되어 있으므로 이를 참조하시
어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29

8. 제8장 지능형전력망
(제281조 ~ 제298조)


8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31

제 목 분산형전원 역전력계전기 및 역・결상계전기 설치기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83조 (회신 : 2019. 10. 01.)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판단기준 제283조(계통연계용 보호장치의 시설)


③ 단순 병렬운전 분산형전원의 경우에는 역전력 계전기를 설치한다. 단, 신에
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촉진법 제2조 제1호 및 제2호의 규정에 의
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하여 동일 전기사용장소에서 전기를 생산하는 합계
용량이 50kW 이하의 소규모 분산형 전원(단, 해당 구내계통 내의 전기사용 부
하의 수전계약전력이 분산형전원 용량을 초과하는 경우에 한한다)으로서 제1
항 제3호에 의한 단독운전 방지기능을 가진 것을 단순 병렬로 연계하는 경우
에는 역전력계전기 설치를 생략할 수 있다.

1. 안전공사에서 수전설비와 연결이 되지 않은채 한전 배전선로에 태양광 발전


(50kW 초과) 라인이 바로 연결된다면 역전력계전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고
하는데 확실한 건지 알고 싶습니다.

2. 역전력계전기는 명시가 되어 있는데 예전에 태양광 도면을 그릴때 역,결상 계


전기를 포함시키라는 얘기를 들어서 태양광발전에서 역,결상계전기의 설치 기
준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332 8. 제8장 지능형전력망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83조는 계통연계용 보호장치의 시설에 대하


여 명시하고 있는데, 50kW를 초과하는 ‘단순 병렬운전 분산형전원’(분산형전원
을 한전 전력계통에 연계하여 운전하되, 생산한 전력의 전부를 구내계통 내에
서 자체적으로 소비하기 위한 것으로서 생산한 전력이 한전 전력계통으로 송
전되지 않는 병렬운전 형태를 의미함)에는 역전력 계전기를 설치하여야 합니
다.

□ 따라서 귀하 현장이 단순병렬운전 분산형전원인지 여부를 확인하시어 본 기준


을 적용하시기 바라며 구체적인 판단은 전기안전공사와 협의하심이 타당할 것
으로 사료됩니다(질의 1).

□ 아울러 한전 전력계통에 연계하는 분산형전원은 동 조 제1항에 따라 분산형전


원이나 연계한 전력계통에 문제가 발생하거나 분산형전원이 단독운전 상태가
될 때에는 분산형전원을 전력계통에서 자동적으로 분리하고 해당 계통과 보호
협조를 이루는 적합한 장치를 시설하여야 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33

제 목 전기차 충전기 접지종류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86조 (회신 : 2020. 09. 02.)

질 의

○ 전기차 급속충전기 설치시 전원은 380V이나 출력이 DC500V까지 나오게 되는


데, 특별3종 접지를 하여야하는지요?

회 신

□ IEC 등 국제기준에서는 AC, DC 구분없이 상용전압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며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조 안전원칙에 따라 전기설비는 우선적으로 안전을 고
려하여야 하므로 최고전압을 적용하여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33조
에 따라 출력 DC 500V인 귀하의 충전기 외함은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 시행
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아울러, 환경부에서 ‘18.01에 발표한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 설치・운영 지침에


서도 출력 측 전압을 고려하여 급속충전기는 특별 제3종 접지공사를(10Ω), 완
속충전기는 제3종 접지공사(100Ω)를 하도록 권장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
니다. 끝.
334 8. 제8장 지능형전력망

제 목 이동형차량에 시설하는 ESS 관련 기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95조 (회신 : 2020. 08. 11.)

질 의

○ 한전의 ESS 발전차량 관련으로 정격용량 500kW이고 리튬이온입니다.


해당 ESS를 활용하여 회사 내부전력의 수요관리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전기설
비기술기준 295조~297조에 의하면, 리튬계열 2차전지는 건물과 분리된 별도에
장치에 시설한다고 되어있습니다. 하지만 별도 전기저장장치 시설장소가 없는
이동형 차량에 ESS설치된 건에 대한 내용은 없는 것 같습니다.

○ 이동형 차량 자체를 별도의 옥의 시설공간(옥외 컨테이너 등)으로 판단해도 되


는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95조부터 제298조는 지능형전력망을 구성


하는 분산형전원으로서의 전기저장장치에 대한 사항으로 재생에너지원연계용,
첨두부하경감용, 주파수조정용 등의 목적으로 운영되는 것을 말합니다.

□ 아울러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는 이동형 전기저장장치에 대


하여 별도의 규정을 명시하지 않으나 최근 전기저장장치의 적용처와 형태가
다양화 되는 바, 상기와 유사한 목적과 운전조건(충방전 주기 등)을 갖는 경우
에는 현행 시설기준에 따라야 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 다만, 해당 설비와 현장 상황을 명확히 알 수 없으므로 질의하신 설비의 용도


와 운전조건 등을 검토하여 판단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35

제 목 저압태양광에 설치하는 ESS의 울타리 시설기준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95조 (회신 : 2020. 01. 10.)

질 의

○ 현재 저압 태양광 내에 ESS 연계하여 설치할 예정입니다.


태양광 외곽으로는 높이2m 및 울타리접지 실시하였으나, ESS 연계시에 ESS수
배전반(저압반)용 울타리를 별도로 설치하여야 하는지?

○ ESS 배터리가 컨테이너 형태로 들어가는데 컨테이너에도 꼭 울타리가 필요한


지요?

회 신

□ 이차전지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시설과 관련하여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


단기준」 제295조부터 제298조에 명시된 사항을 준용하시기 바라며, 제295조에
서는 일반인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시건장치 등을 설치하도록 규정하고 있
습니다.

□ 이와 함께 태양전지, 전기저장장치 등은 발전소에 포함되는 바, 현장 시설조건


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4조(발전소 등의 울타리・담 등의
시설)의 적용여부를 검토하시기 바랍니다. 끝.
336 8. 제8장 지능형전력망

제 목 PCS컨테이너와 배터리컨테이너 차이점 및 기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98조 (회신 : 2020. 09. 17.)

질 의

○ 배터리 컨테이너와 PCS 컨테이너를 구분하여 설치하려고 계획 중입니다.


판단기준 298조에서 "전기저장장치를 시설하는 장소"와 "이차전지를 시설하는
장소"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 PCS 컨테이너도 298조에 해당하나요?

○ PCS 컨테이너도 배터리컨테이너 기준과 동일하게 다른 건물과 1.5m 이격에


다른 출입구나 피난계단 등 이와 유사한 장소로부터 3m 이격을 해야 하는 것
인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98조에서 “전기저장장치를 시설하는 장소”


란 ESS와 PCS 등을 포함한 시스템일체를 시설하는 장소를 통칭한 것이며,
“이차전지를 시설하는 장소”란 배터리를 시설하는 장소를 의미하므로(질의 1)
귀하의 PCS용 컨테이너는 “전기저장장치”로 표현된 조항에 적용하시기 바랍
니다(질의 2). 아울러 귀하의 PCS 컨테이너는 “전기저장장치를 시설하는 장
소”이므로 동 조 제2항제6호에 따라 시설하시기 바랍니다(질의 3).

□ 다만 우리 협회는 귀하의 현장 상황을 잘 알 수 없는 바, 전기저장장치 시설장


소 내부의 이격 등 상세사항은 현장에 대한 검사 또는 점검을 수행하는 기관
에 문의 및 확인하여 최종 판단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37

제 목 리튬이온 축전지 UPS도 ESS 관련 기준을 적용하나요?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98조 (회신 : 2020. 02. 28.)

질 의

○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9-667호(2019년 11월 21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


단기준”에서 일부 개정된 항목 중 “제298조(특정 기술을 이용한 전기저장장치
의 추가 설치 요건)”의 내용에 지하철 신호설비의 축전지(리튬 인산철)에도 적
용이 되어야 하는지요?
○ 해당설비는 지하철 신호설비의 전원공급을 위해 UPS를 설치하여 신호설비에
안정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설비입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8장(지능형전력망) 제4절(이차전지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시설) 이하에 규정된 제295조부터 제298조의 적용대상은 분산
형전원이나 발전소의 역할을 수행하는 전기저장장치에 한정된 것으로서 일반
적으로 재생에너지연계용, 주파수조정용, 첨두부하경감용 등의 용도로 사용되
는 전기저장장치 또는 비상용 예비전원용도를 겸하여 사용되는 전기저장장치
등을 의미합니다.

□ 한편, 정전 시 절체되어 특정 시간동안 특정 부하에만 전원을 공급하는 무정전


전원장치(UPS)는 전통적으로 저압 옥내 직류 부하설비의 일종으로 간주되어
왔고 상기 기준 제295조부터 제298조의 적용대상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 다만, 상기 기준 제295조부터 제298조 적용대상의 기능 또는 용도를 겸하거나


운영주기 등이 유사한 무정전전원장치(UPS)의 경우에는 상기 규정의 적용 대
상에 해당할 수 있으므로 이를 명확히 확인하여 판단하시기 바라며, 리튬이온
배터리의 화재사고가 연속된 점을 참고하시어 무정전전원장치(UPS)라 할지라
도 리튬이온배터리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귀하의 현장 여건 등을 반영한 안전
대책을 고려하시기 바랍니다. 끝.
338 8. 제8장 지능형전력망

제 목 직류 전기설비의 전선 선정기준 문의

관련조항 : 판단기준 제286조 (회신 : 2018. 09. 05.)

질 의

○ 전기차 충전의 운영의 방식이 기존의 교류 공급에서 직류 공급으로 바뀌는 추


세라 직류 전력선의 선정방법(인용규격)에 대해서 문의 드립니다.

○ DC 1000V, 500A 입력을 가진 전기차 충전기의 전력선을 바닥에 매립하려고


하는데, 관련 규정이나 법규에 적합한 전선의 선정에 참고할 수 있는 인용 규
격이 있을까요?

○ 내선규정 4320-2의 사용전압에는 직류 설비는 저압600V만 명시가 되어있는데


직류 1000V, 500A는 고압으로 관련 기술기준이 없는 것으로 파악됩니다.

회 신

□ 귀하가 제시하신 내선규정 제4320절은 “태양광발전 등에 의해 공급되는 직류


로 옥내직류 전기설비를 시설하는 장소 등에 적용하는 내용”이며, 전기자동차
의 충전설비에 대하여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86조 및 내선규정
제4310절을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 다만, 현재 전기 자동차 충전설비와 관련하여 일부 기술적인 내용을 보완검토


중이므로 판단기준의 변경되는 내용은 추후 고시되는 개정공고문을 확인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39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K
E
C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41

제 목 특고압 케이블 전압기준 문의

관련조항 : KEC 111 (회신 : 2020. 10. 07.)

질 의

○ 내선규정 및 신규 제정되는 한국전기설비기준에 정의된 전압 중 특고압이 교


류 7kV 초과입니다.

○ 6/10kV 전선의 경우 상전압은 고압, 선간전압은 특고압으로 나뉘는데, 실제


케이블에 사용되는 전압은 상전압인 6kV입니다. 이때 본 케이블은 특고압, 고
압 중 어느 것으로 분류해야하는지요?

회 신

□ 고압 및 특고압 케이블의 규격인 6/10kV는 고압 또는 특고압용으로 분류하기


위한 전압표시가 아니라 사용전압이 6kV(상전압) 또는 10kV(선간전압)까지 가
능하다는 의미이므로 귀하 전로의 사용전압에 따라 적합한 케이블을 사용하시
기 바랍니다.

□ 아울러 고압 및 특고압케이블은 「한국전기설비규정」(KEC) 122.5에 명시된 바


와 같이 전로의 사용전압에 따라 구분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342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전선의 식별 문의

관련조항 : KEC 121

질 의

1. 기존 사용되었던 삼상 표시 문자는 R, S, T / A, B, C / L1, L2, L3 등으로


사용되고 있었으나 KEC는 L1, L2, L3, N, 보호도체로 표기하였습니다.
2021년 이후 상별표시는 L1, L2, L3 로 표기 하여야 하는지요? (‘18.12.28)

2. 특고압 or 고압 설비의 경우에도 해당 기준 적용하나요? (‘20.07.22)

3. 기존 전기설비(케이블 및 BUS)를 신설 전기설비의 색상과 동일하게 해야 할


경우 기존 전기설비 말단에 상구분 테이프를 적용해도 되나요? (‘20.10.15)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43

회 신

□ 2021.01.01 시행예정인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의 121.2항은 전선식별에서 상별


표시를 L1, L2, L3 등으로 명시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제표준에 부합하는 표기
방법이므로 향후 모든 상별 표기는 본 원칙에 따라야 하는 것이 타당하나 기
존에 통용되던 표기방법(A, B, C 또는 R, S, T 등)에 대해서는 일정기간 병행
사용하는 등의 사회적 합의기간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1).

□ 아울러 저압 및 고압・특고압 전기설비 전체가 KEC 적용 대상이므로 귀하가


질의한 특고압 or 고압 설비도 KEC에 적합하게 적용되어야 함을 알려드립니
다(질의 2).

□ 또한, 2021년 1월 1일 이후에 신설 또는 증설되는 전기설비는 KEC 기준에 따


라 색상구분을 시행하여야 하나, 증설 시 기존 적용 색상과 상이한 경우, KS
규격에 의하여 피복이 검정색으로 생산되는 케이블류(기존 규격에 따라 적법
하게 생산된 재고품 포함)와 피복이 없는 부스바 등은 종단 접속부에서 색상
이 반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도색, 밴드, 색 테이프 등의 방법으로 식별
표시하여 착오로 인한 오결선 등을 예방해야 합니다(질의 3).

□ 다만 KEC 기준에 따라 시설된 설비가 기존설비와 혼재되어 전기안전 재해가


예상될 경우에는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조에 따라 기존
전기설비를 KEC 기준에 맞춰 변경하는 등의 조치가 필요하므로 이에 대하여
는 본 사례집 FAQ 9번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344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계기용 변성기 2차측 접지방법 문의

관련조항 : KEC 140 (회신 : 2020. 09. 13.)

질 의

○ 판단기준에 의하면 계기용변성기 2차측 전로의 경우 1차측이 특고압일경우 1


종접지로 10옴이하, 1차측이 고압일경우 3종접지로 100옴이하 이며, 접지선의
굵기는 각 종별로 적용하였으나 KEC 규정을 보면 계기용변성기 2차측 전로의
경우 단순히 140에 의한다. 라고 되어있으며, 140 사항을 본다면, 계기용변성기
2차측 전로를 전체로 보아 특고압 또는 고압의 설비로 보고 작업을 해야하는
지, 아니면, 7kv 이하의 전로에서 적용하는 6스퀘어 이상 굵기 산정후 나머지
를 적용하는지 TN접지계통 사항으로 구성해야 하는지 접지시스템 기술지침의
몇 페이지에 있는지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6조는 계기용변성기의 혼촉 등의 사고방지


를 위하여 계기용변성기 2차측 전로에 제3종 또는 제1종 접지공사를 하도록
명시하고 있으나, KEC는 고압, 특고압 구분 없이 KEC 140에 따라 접지공사를
시행하도록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KEC는 계통사고 시 인체가 안전하기 위한
접지공사의 시행 또는 보호장치 등의 시설을 요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따라서 계기용변성기 2차측 전로의 접지공사 방법은 본 조항에 명시한 바와


같이 KEC 140항에 따르되, 필요시 「접지시스템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의
전체 내용을 참고함이 타당하므로 귀하의 질의와 같이 특정 페이지에서 다루
고 있지 않음을 양해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접지시스템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은 접지설계 방법론을 설명하


고 보조하는 참고서로서 IEC 접지관련 정보는 인터넷이나 다른 기술교재를 활
용하거나 전문교육기관을 통해 관련 지식을 습득하는 것이 가능함을 알려드립
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45

제 목 KEC 보호도체와 접지의 구분 문의

관련조항 : KEC 140 (회신 : 2020. 05. 06.)

질 의

○ 보호도체와 접지의 정확한 차이가 궁금합니다.

회 신

□ KEC에서 서술하는 “보호도체”는 현행 접지선의 일종으로서 IEC 등에서 규정


하는 접지시스템 관련 용어인데, IEC에서 규정하는 접지시스템은 현행 「전기
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과 개념, 용어, 시설기준 등이 현저히 다르므로 관련
교육이나 정보검색 등을 통하여 확인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다만, KS C IEC 60364-5-54는 보호도체(PE, Protective Conductor)를 “감전에


대한 보호 등 안전을 목적으로 제공되는 도체”라고 정의하고, “접지설비 및
보호도체의 예”를 부속서 B에서 그림으로 소개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
다. 끝.
346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등전위본딩 관련 문의

관련조항 : KEC 143 (회신 : 2020. 08. 28.)

질 의

○ KEC 140~143에는 공통/통합 접지에 준하지 않더라도 등전위를 해야하는 것


처럼 문구상 해석이 되는데, 단독접지에도 등전위본딩을 해야 하는 것인지요?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9조 제6항은 동 기준 제18조제6항 및 제7


항에 따른 공통접지와 통합접지를 하는 경우에는 KS C IEC 60364-4-41에 적
합하도록 시설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동 기준 제22조의 2에서와 같이
IEC에 의한 TN-C-S 접지를 시행할 경우에 대하여 등전위본딩을 시행하라고
명시하고 있으므로 통합접지, 공통접지를 시행할 때는 KS C IEC 60364-4-41에
의한 감전보호에 대한 안전대책을 마련하라는 의미이지 그 방법이 반드시 등
전위본딩이어야 한다는 것은 아닙니다.

□ 아울러 KS C IEC 60364-4-41는 “안전을 위한 보호-감전에 대한 보호”에 관한


표준으로서 IEC에서는 인체의 감전에 대한 보호, 전기설비의 과전압에 대한
보호 및 기능의 향상을 위하는 방법 중 하나로서 등전위본딩을 명시하고 있는
데, IEC에 의한 접지기준을 다루는 KEC 143항도 감전보호용 등전위본딩에 대
한 시설기준을 명시한 것입니다.

□ 참고로 KEC의 접지기준은 감전시 저압계통방식에 따른 접촉전압이 안전전압


(교류 50V, 직류 120V) 이하가 되기 위한 접지의 시행, 보조등전위본딩의 시
행, 누전차단기 시설을 검토하는 등 현행 판단기준과는 전혀 다른 기술적인
검토가 필요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47

제 목 KEC 피뢰시스템 관련 문의

관련조항 : KEC 150

질 의

1. KEC 151.1의 2 는 “전기설비 및 전자설비 중 낙뢰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설비”


라고 기술되어 있는데, 보호가 필요한 경우는 어떤 경우인지요? ('20.07.30)

2. KEC 153.1.4 전기전자설비 보호를 위한 서지보호장치 시설에서 “KS C IEC


61643-11에 의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 라는 항목이 있는데, 국제표준
(IEC 61643-11) 및 미국(UL 1449)등의 국제 인증제품도 동등 효력의 제품으로
사용 가능한지요? ('20.05.13)

3. “2조 가항”의 “-에 의한 제품을 사용 하여야 한다.”, 와 “2조 나항”의 “-에 따


른다.”의 유권해석을 문의합니다. ('20.05.13)
348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회 신

□ 국제표준의 피뢰시스템은 IEC 62305 시리즈에 명시되어 있으며, 귀하가 질의


한 “낙뢰로부터 보호가 필요한 경우”란 KS C IEC 62305-2에 명시한 ‘리스크
관리’ 기법에 따라 검토한 결과 보호대책이 필요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 또한 KEC 151.3의 피뢰시스템 등급선정 시에도 대상물의 특성에 따라 KS C


IEC 62305-2에 명시한 리스크관리 방법에 의하여 피뢰레벨을 선정하도록 명시
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 KEC에 명시된 내용은 의무사항이며, IEC 61643-11 및 UL 1449 국제표준이


KS C IEC 61643-11에서 규정하는 수준과 일치 또는 동등 이상의 품질효력을
지닌다면 KEC에 적합한 제품으로 인정될 수 있으나(질의 2), 해당 제품의 국
제 인증을 국내 인증으로 대체 및 현장사용 가능 여부 등에 대하여는 제품의
인증업무를 담당하는 기관 및 현장의 전기안전업무를 담당하는 한국전기안전
공사에 문의함이 타당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아울러 귀하가 질의한 153.1.4의 제2항 ‘가’호의 “~에 의한 제품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해당 규격이 요구하는 내용에 적합하고 제시된 시험방법에 따라 시
험을 하여 합격된 제품을 사용하라는 내용이며, “~에 따른다.”는 해당 규격의
조문에서 명시한 내용을 준수하라는 의미로 사료됩니다(질의 3).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49

제 목 TT 접지계통의 저압 수용가 보호방식에 관한 문의

관련조항 : KEC 211 (회신 : 2020. 10. 22.)

질 의

○ TT 방식으로 접지설계된 저압 수용가(15kW)는 KEC 211.2.6 3항 나에 나온 접


지저항값과 누전차단기 정격동작 전류의 곱한 값이 50V보다 작게만 접지저항
을 선정하면 되는지 아니면 한전 고압계통 지락사고까지 검토하여 저압설비의
기기 허용 교류 스트레스 전압까지 고려하여야 하는지요? (질문1)
○ 또한 한전에서 수전시 MCCB로 수전을 받는데 TT방식은 누전차단기로 보호하
게 되어 있습니다. 그럴 경우 211.2.6. 4항에 만족하면 1차측 차단기를 MCCB
로 선정하면 되는건지요? (질문2)

회 신

□ TT계통의 감전에 대한 보호대책은 KEC 211.2.6에 명시하고 있는데, TT계통은


지락고장전류가 대지를 통하여 흐르기 때문에 고장회로 임피던스가 TN계통보
다 크게 되어 대부분의 경우 누전차단기로 감전보호가 가능합니다. 따라서 누
전차단기에 의하여 감전보호를 검토할 때에는 동 조 3호의 조건식에 따르고,
고장루프임피던스가 충분히 낮을 때에는 과전류보호장치를 사용하여 고장보호
가 가능하나 4호의 조건식에 따라야 합니다.

□ 또한, 한전 측 특고압계통의 고장보호는 한전이 검토하고 보호대책을 마련하므


로 저압 수전 고객이 한전측 특고압계통의 지락사고를 감안한 기기 허용 교류
스트레스 전압까지 고려할 필요는 없습니다(질의 1).

□ 아울러 1차측 차단기를 MCCB로 선정할 경우에는 KEC 211.2.6의 3호의 조건


식을 만족하는 누전차단기능이 있는 기기로 선정하시기 바라며 MCCB 정격은
KEC 212항을 참고하시어 과부하전류에 대한 보호를 검토하시기 바랍니다(질
의 2). 끝.
350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누설전류감시장치 관련 문의

관련조항 : KEC 211 (회신 : 2020. 06. 23.)

질 의

1. KEC 211.2.1.2의 누설전류감시장치가 어떠한 장치를 말하는 것인지요?

2. 해당 절 문구 '누설전류감시장치는 누설전류의 설정 값을 초과하는 경우~'에서


설정값에 대한 기준이 무엇인지요?

3. 해당 절 문구 '~초과하는 경우 음향 또는 음향과 시각적인 신호를 발생시켜야


한다.'에서 음향은 무조건적으로 적용해야한다는 의미인지 음향이 중복된 오타
인지요?

4. ELCB 사용시 누설전류감시장치는 따로 적용하지 않아도 되는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51

회 신

□ KEC 211은 안전을 위한 보호 중 감전에 대한 보호방법을 규정하고 있는데,


211.2.1항은 전원의 자동차단에 의한 보호대책에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사항을
명시한 것으로서 KEC 211.2.1항 2의 ‘누설전류감시장치’는 기준에 명시한 바와
같이 전기설비의 누설전류를 감시하는 장치(RCMs)를 의미합니다(질의 1).

□ 또한, 전원의 연속성을 위하여 IT 계통을 적용하는 경우 충전부로부터 노출도


전부 또는 대지로의 고장을 표시하기 위한 누설전류감시장치를 설치하여야 하
는데, 이 장치는 고장이 지속되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음향 또는 음향과 시
각신호를 발생하여야 함을 의미하며 IT 계통의 감전에 대한 보호는 KEC
211.2.7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

□ 아울러, 누설전류감시장치의 신호발생장치는 기준에서 명시한 바와 같이 음향


신호를 반드시 갖추어야 함을 의미하며 IEC 60364-4-41 원문은 아래와 같이
표기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3).

“Residual current monitors (RCMs) are not protective devices but they may
be used to monitor residual current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RCMs
produce an audible or audible and visual signal when a preselected value
of residual current is exceeded.”

□ 끝으로, KEC의 누전차단기 시설기준은 전기설비 환경에 따라 상이하므로 누


전차단기와 누설전류감시장치의 시설은 각 조항에서 규정하는 시설기준에 따
라 시설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4). 끝.
352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과부하전류보호 관련 문의

관련조항 : KEC 212 (회신 : 2020. 08. 03.)

질 의

○ 감전 및 과전류보호 설계방법에 관한 기술지침(KECG 1702-2019)의 예시는 「


212.4.1 도체와 과부하 보호장치 사이의 협조 」를 만족하기 위하여 전원측 보
호장치(MCCB)의 정격전류 (In)보다 큰 허용전류(IZ)를 갖는 케이블을 선정하
도록 하고 있습니다.

○ 또한, 「 212.6.4 저압전로 중의 전동기 보호용 과전류 보호장치의 시설 」에


의하면 과부하 보호장치로 전자접촉기를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과부하 계전기
(EOCR 등)을 설치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다만, 「212.4.3 과부하 보호장치의
생략」에 의하면 전원 측 보호장치에 의하여 단락보호가 되고 있으며, 분기회
로 도중에 다른 분기회로 및 콘센트의 접속이 없으며, 부하에 설치된 과부하
보호장치(EOCR 등)가 동작하여 과부하전류가 분기회로에 흐르지 않도록 조치
하는 경우 과부하 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 MCC에서 전동기까지 케이블의 허용전류 (Iz) 를 결정하는데 있어 전원측의


보호장치(MCCB)의 정격전류(In)는 전동기의 기동전류에 동작하지 않는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부하측의 과부하 보호장치(EOCR 등)의 과전류 보호 설정값을
기준으로 하여 선정할 수 있는지요?

○ 케이블의 허용전류 (Iz) 를 결정하는데 있어 기술지침의 예시와 같이 전원측


보호장치(MCCB)의 정격전류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부하측의 보호장치(EOCR
등)의 과부하 보호 설정값을 기준을 적용하면 보다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설계
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와 같이 설계에 적용할 수 있는지 검토 부탁드
립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53

회 신

□ KEC 212.4는 과부하 발생시 케이블(전선)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협조 관계식을


제공하고 있는데, 케이블의 허용전류는 보호장치의 정격전류보다 같거나 커야
함을 명시하고 있습니다(식 212.4-1).

□ 아울러 귀하가 제시한 KEC 212.4.3과 같이 “212.5의 요구사항에 따라 단락보호


가 되고 있으며, 분기점 이후의 분기회로에 다른 분기회로 및 콘센트가 접속
되지 않는 분기회로 중, 부하에 설치된 과부하 보호장치가 유효하게 동작하여
과부하전류가 분기회로에 전달되지 않도록 조치를 하는 경우”에 과부하 보호
장치의 생략은 가능하나,

□ 케이블(전선) 보호를 위하여 KEC 212.4의 보호협조 조건은 규정을 따름이 타


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354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보호장치 동작시간 및 과전류 보호기준 문의

관련조항 : KEC 212 (회신 : 2020. 10. 15.)

질 의

1. KEC 142.3.2 보호도체의 최소 단면적 계산식 중, I(고장전류), t(보호장치 동작


시간) 선정 관련하여 고장전류는 차단기의 정격차단전류로 선정하고, 보호장치
동작시간은 차단기의 순시트립 동작 특성으로 선정하여 계산해야 할지 정확한
선정기준이 궁금합니다. (현재는 부하에 흐리는 정격전류를 기준으로 상도체를
선정하였고, 선정된 동력선을 기준으로 접지선을 16SQ이하는 상도체와 동일,
16<S≤35 구간은 16SQ, S>35 구간은 S/2로 선정하여 사용 중입니다.)

2. KEC 212.4 과부하전류에 대한 보호 기준 중, I₂(보호장치가 규약시간 이내에


유효하게 동작하는 것을 보장하는 전류)는 차단기의 어떠한 사양을 확인해야
하는 지 궁금합니다. (현 적용 기준은 케이블의 허용전류보다 보호장치의 정격
전류를 작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3. KEC 211.2.3 고장보호의 요구상에서는 누전차단기를 추가적인 보호 장치(4항)


로 명시하였고, 20A이하 콘센트 또는 32A이하 이동용 전기기기에 추가적으로
설치해야 한다고 되어 있습니다. 내용을 종합하여 볼때 4항 추가적인 보호의
2개 항목이외에는 누전차단기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는 것인지 문의드립니다.
(KEC 211.2.4 누전차단기의 시설 1항 가의 내용과 혼선이 있습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55

회 신

□ KEC 142.3.2에 명시한 보호도체의 최소 단면적을 구하는 계산식에서 ‘I’는 예


상 고장전류를 암페어로 나타낸 실효값이므로(KS C IEC 60364-5-54의 543항
참조) 귀하 현장에서의 예상 고장전류 값을 직접 산출하시기 바라며, 차단시간
‘t'는 귀하의 차단기가 자동 차단하기 위한 보호장치의 초 단위 동작시간이므
로 차단기 규격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 아울러 KEC 212.4 과부하전류에 대한 보호의 ‘I2'는 보호장치가 규약시간 이내


에 유효하게 동작하는 것을 보장하는 전류로서 제조사가 기술사양에 제공하거
나 제품의 표준에서 제시하고 있으므로 귀하 제품 설명서의 동작특성곡선을
확인하시거나 제조사에 문의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

□ 또한 누전차단기의 시설기준을 명시한 KEC 211.2.3의 4항은 의무사항이며


KEC 211.2.4 1항의 ‘가’ 예외조건은 귀하의 선택 사항이므로 KEC 211.2.3의 4
항의 의무기준을 우선적으로 적용해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3). 끝.
356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도체와 과부하보호장치 협조 관련 문의

관련조항 : KEC 212 (회신 : 2020. 08. 05.)

질 의

1. KEC_212.4.1_도체와 과부하 보호장치 사이의 협조


○ 저압/고압 구분없이 해당 공식을 적용하여 케이블 허용전류값을 설정하면 되
는지요?
○ 고압은 다른 식을 적용해야한다면 어느 규정을 참조해야하는지요?

2. KEC_212.6.5_분기회로의 시설 -> 라. 정격전류가 50A를 초과하는~ (3) 212.4를


따를 것
○ 정격전류가 50A를 초과하지 않는 전기사용기계기구는 212.4.1를 따르지 않고
어떤 것을 적용해야하는지요?

3. KEC_232.18.6 저압옥내 간선의 선정


전선은 저압 옥내간선의 가가 부분마다 그 부분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기사용기
계기구의 정격전류의 합계 이상인 허용전류가 있는 것. 다만, 전동기등~~
○ 케이블 허용전류값을 선정할때 옥내간선도 분기회로 시설과 같이 212.4를 적용
하여야 하는지요? 전동기가 있는 경우에 대해서는 명시되어있으나 비전동기에
대해서는 명시되어 있지 않아 혼동이 됩니다.

4. KEC 212.6.3 저압전로 중의 과전류 차단기의 시설_2. 과전류 차단기로 저압전


로에 사용하는 산업용 배선용차단기-표 212.6.2 참고 요
○ 표 212.6-2에 따르면 정격전류의 1.05배에 대해서 차단기는 동작하지 않는 것
으로 이해됩니다. 212.4.1_도체와 과부하 보호장치 사이의 협조를 기준으로 케
이블 허용전류를 보호장치의 정격전류와 동일시 하였다고 가정하였을 경우
5% 과전류 흘러도 차단기가 동작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케이블에 흐를 수가
있는데(IB=IN=IZ 경우) 이런 경우는 IZ의 경우 1.05배의 안전율이 고려되어야하
지 않는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57

회 신

□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은 2021년 1월 1일 시행예정으로서 현재는 일부 문구


의 명확화 등으로 일부 수정된 내용도 있으며, 곧 최종본이 공고될 예정임을
참고하시기 바라며 이제까지 개정된 최신 내용은 우리 협회 홈페이지 알림광
장, 기술공고 및 고시 게시판에서 확인이 가능함을 알려드립니다.

□ KEC 제2장은 저압 전기설비에 대한 내용으로서 귀하가 질의하신 212.4 과부


하전류에 대한 보호대책은 저압설비 대상이며, 고압・특고압 전기설비의 보호
대책은 제3장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 KEC 212.4.1 도체와 과부하 보호장치 사이의 협조는 정격전류와 상관없이 과


부하전류에 대한 보호 설계 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이며, KEC 212.6.5 분기회
로의 시설과 관련하여 문구 명확화를 위한 검토 중에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
니다(질의 2).

□ 귀하가 제시한 KEC 232.18.6은 KEC 232.5.6으로 항목 번호가 바뀌었음을 알려


드리며, “2. 전선은 저압 옥내 간선의 각 부분마다 그 부분을 통하여 공급되는
전기사용기계기구의 정격전류의 합계 이상인 허용전류가 있는 것일 것. 다만,
그 저압 옥내 간선에 접속하는 부하 중에서 전동기 또는 이와 유사한 기동전
류가 큰 전기기계기구의 정격전류의 합계가 다른 전기사용기계기구의 정격전
류의 합계보다 큰 경우에는 다른 전기사용기계기구의 정격전류의 합계에 다음
값을 더한 값 이상의 허용전류가 있는 전선을 사용하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으므로 본문을 정독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아울러 분기회로의 시설과 저압
옥내 간선의 선정은 별개의 규정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3).

□ KEC 212.4.1 도체와 과부하 보호장치 사이의 협조항목 그림 212.4-1에 표기된


I2은 보호장치가 규약시간 이내에 유효한 동작을 보장하는 전류로서 제조사가
기술사양에서 제공하거나 제품의 표준에서 제시하는 규약동작전류입니다. 따
라서 귀하가 질의하신 IB=IN=IZ 인 경우에도 I2≤1.45IZ 식을 만족하여야 하므로
해당 차단기의 동작특성곡선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4). 끝.
358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과부하보호장치의 생략조건 문의

관련조항 : KEC 212 (회신 : 2020. 08. 05.)

질 의

○ KEC 212.4.3 과부하보호장치의 생략에 대한 질의입니다.


해당 절의 '다. 안전을 위해 과부하 보호장치를 생략할 수 있는 경우' 에 대하
여 4번 '소방설비의 전원회로'가 의미하는 바가 “소방설비 전원이 포함된 회
로”를 의미하는 것인지, “소방설비 부하 만으로 구성된 소방전원 전용회로”를
의미하는 것인지 해석을 요청드립니다.

회 신

□ KEC 212.4.3 ‘다’의 과부하보호장치의 생략조건은 전력계통에 이상이 발생했을


경우 전로의 차단보다는 대중의 안전 확보를 위한 목적이므로 소방설비 또는
안전설비의 전원회로에 일반용 전원회로를 포함할 경우에도 그 대상이 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59

제 목 버스바트렁킹시스템, 파워트랙시스템의 허용전류 산정방법은?

관련조항 : KEC 232 (회신 : 2020. 08. 20.)

질 의

○ KEC의 표 232.2-1, -2, -3 & 배선설비 지침서 표 2.3 에 없는 파워트랙시스템,


라이팅덕트공사 등은 케이블 허용전류 산정시 무엇을 참조해야 하나요?

회 신

□ KEC 232항은 배선설비의 선정 및 설치방법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으나 귀하의


질의와 같이 버스바트렁킹시스템, 파워트랙시스템(라이팅덕트공사 포함) 등은
제외되었습니다.

□ 이는 KS C IEC 60364-5-52의 521.4항에서 “버스바트렁킹시스템과 파워트랙시


스템은 외적 영향을 고려한 제조자 설명서에 따라 선정하고 설치한다.”고 명
시하고 있음에 따른 것으로서 KEC 230.60, 61, 70, 71의 버스바트렁킹시스템과
파워트랙시스템은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기준에 따라야 하며, 허용전류 산정을
위한 공사방법은 제조사와 협의하시기 바랍니다. 끝.
360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수용가 설비의 전압강하 기준 문의

관련조항 : KEC 232 (회신 : 2020. 08. 11.)

질 의

○ KEC 232.3.9 수용가 설비에서의 전압강 관련으로 표 232.16-1 수용가설비의 전


압강하는 조명의 경우 3%, 6%, 기타의 경우 5%, 8% 적용하도록 규정되어 있
는데, 내선규정 제1415절 표1415-1은 전선길이 60m를 초과하는 경우의 저압강
하 경우 공급변압기 2차측단자 또는 인입선 접속점에서 최원단의 부하 길이가
200m 이상 시 7% ~ 6% 이하 로 규정되어있습니다.

1. 저압으로 수전하는 가로등, 터널조명의 경우 최원단의 부하길이가 200m이상


(1km내외) 경우 전압강하는 어느 규정을 적용해야 하는지요?

2. 저압으로 수전하는 옥외전기설비중 조명설비의 전압강하는 최대 3.5%가 맞는


지요?

3. 현장 여건에 따른 예외적용이나 종전 규격인 내선규정의 6% ~ 7%를 적용하여


도 되는지요?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61

회 신

□ 귀하께서는 KEC에 명시된 저압 가로등 조명설비의 전압강하 기준을 내선규정


과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는지 문의하였으나 KEC는 의무규정으로서 시행일은
2021년 1월 1일입니다.

□ 또한, 귀하가 질의한 「내선규정」 제1415절 저압배선의 전압강하는 “간선 및 분


기회로에서 각각 표준전압의 2 % 이하로 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고 명시하
고 있고, 공급변압기의 2차측 단자로부터 최원단 부하에 이르는 거리가 200m
초과시 6~7% 이하로 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습니다.

□ 아울러 KEC 232.3.9의 수용가 설비에서의 전압강하 기준은 KS C IEC


60364-5-52 부속서 G에 명시된 내용으로서 KEC는 기술기준에서 정하는 모든
전기설비에 대하여 적용한다(KEC 102 참조)고 명시함에 따라 귀하의 공공 도
로에 시설된 가로등 설비도 KEC의 전압강하 규정에 따라야 하나, KEC 표
232.3-1의 조명설비 전압강하는 옥내설비를 의미하므로 귀하의 가로등이 저압
으로 수전하는 옥외설비라면 ‘기타설비’로 적용함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
다.

□ 따라서 귀하의 설비가 현행 판단기준을 적용하는 설계 또는 시공의 경우에는


내선규정에 명시된 전압강하 기준을 따를 수 있지만, KEC에 따라 설계 또는
시공될 경우에는 KEC 232.3.9항의 전압강하 기준에 따르시기 바라며, KEC 시
행일과 현행 판단기준에 대하여는 본 사례집 FAQ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
다. 끝.
362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케이블트레이 점유율 기준으로 케이블 설치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KEC 232

질 의

1. KEC 규정에 보면 저압케이블 시공시 케이블 트레이에 단층으로 시설하는 걸


로 되어있는데 전에 내선규정에 보면 단면적으로 하여 계산하였는데 앞으로는
무조건 1단 포설만 가능한지요?

2. KEC 규정은 모든 케이블의 외경이 트레이 내측폭 이하로 시설하고 단층으로


시설하도록 규정되어 있는데, 변전설비 제어케이블, 시그널케이블도 단층으로
시설해야 하나요? (제어케이블은 별도의 트레이에 설치합니다)

3. KEC 및 KEEG-1701에서 케이블 포설시 단심과 다심케이블 별도로 허용전류


및 단수별 보정계수가 나와 있는데, 단심과 다심케이블을 동시에 포설이 가능
한지요? 가능하다면 동일한 굵기의 허용전류를 어느 것으로 적용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63

회 신

□ KEC는 케이블트레이에 케이블 포설 시 트레이의 단면적 비율에 따라 시설하


는 기준을 다루고 있지 않으며, IEC에 명시된 허용전류 보정계수는 단층시설
을 원칙으로 제시된 것으로서 KEC의 케이블트레에서는 전력케이블의 단층 시
설만 허용하고 있습니다. 다만, 케이블 허용전류의 보정계수를 제공하는 KS C
IEC 60364-5-52의 [표 B.52.20] 및 [표 B.52.21]의 비고2는 “상호 접촉하여 2층
이상으로 설치한 케이블의 보정계수는 적절한 방법을 통해 결정해야 한다.”고
명시함에 따라 향후 IEC 위원회의 자문과 연구, 시험 등을 통해 국내에 적합
한 시설기준을 정립할 예정임을 알려드립니다(질의 1).

□ KEC 의 케이블 트레이 공사방법은 제어용 케이블을 포설하는 것을 제한하는


규정은 없으나 시설기준을 다루고 있지는 않습니다.

□ 따라서 제어케이블 및 신호케이블 등은 케이블 트레이에서의 케이블 허용전류


산정방법을 명시한 KS C IEC 60364-5-52의 부속서 B의 보정계수 표 B.52.20
및 표 B.52.21의 비고2에 따라 동일한 케이블 트레이에 케이블을 2층 이상으로
설치할 때에는 KS C IEC 60287에 따라 보정계수를 직접 산출하는 등 귀하 현
장의 설계자와 협의하여 결정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2).

□ 케이블 트레이에서의 케이블 공사방법에서 동일한 케이블 트레이에 단심과 다


심 케이블을 동시 포설하는 것을 제한하는 규정은 없습니다. 다만, 이때의 허
용전류 산정방법은 KS C IEC 60364-5-52의 부속서 B에 따라야 하는데, 본 표
준에서는 일반적인 공사방법에 대하여만 보정계수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단심
과 다심 케이블을 동시에 포설하는 경우에 대한 보정계수표는 없습니다.

□ 따라서 KS C IEC 60364-5-52에서 제공하지 않는 보정계수는 동 표준 부속서


B.52.1에 따라 KS C IEC 60287에 의하여 직접 산출하여 적용하거나, 동 표준
부속서 B.52.5.2에 따라 케이블 전체를 단심 또는 다심케이블로 간주하여 계산
한 후 전기안전에 유리한 쪽의 보정계수를 적용함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됩
니다(질의 3). 끝.
364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화재의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통신케이블의 범위 문의

관련조항 : KEC 232 (회신 : 2020. 06. 19.)

질 의

○ KEC 232.3.6 화재의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배선 설비의 선정과 공사와 관련


하여 문의합니다.
1. 통신케이블(광케이블, LAN 케이블)도 난연 특성을 만족해야 하는지요?
2. 통신케이블의 경우, 전력케이블과 같이 포설되지 않고, 별도 통신케이블용 트레
이에 포설 시에도 난연 특성을 만족해야 하는지요?
3. 구내실에 파워서플라이 등 전력설비와 같이 있는 곳에 통신 케이블 포설시, 난
연 특성을 만족해야 하는지요?

회 신

□ KEC 232.3.6은 “화재의 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배선설비의 선정과 공사”방법


에 대하여 명시하고 있는데, 귀하의 통신케이블이 배선설비의 역할과 기능을
수행한다면 KS C IEC 60332-1-2에 적합한 케이블 및 자소성(自燒性)으로 인정
받은 제품을 사용하여야 할 것입니다.

□ 즉, 전력보안통신설비로서의 통신케이블은 KEC 360에 따르되, 배선설비 또는


전력보안 용도가 아닌 단순 정보통신용 통신케이블 시설기준은 정보통신 관련
기관에, 화재안전 관련은 소방관련 기관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
니다.

□ 참고로 ‘배선(配線)’이란 전기사용 장소에 고정하여 시설하는 전선(기계기구내


에 그 일부분으로 시설된 전선 등은 제외)을 의미함을 알려드립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65

제 목 KEC의 비상용 예비전원설비 문의

관련조항 : KEC 238 (회신 : 2020. 08. 26.)

질 의

○ KEC 238.1.2 비상용예비전원설비의 조건 및 분류 4항에서 자동전원공급절환시


간에 따라 절환시간을 분류한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회 신

□ KEC 238.1.2의 비상용 예비전원설비의 절환 시간에 따른 분류는 KS C IEC


60364-7-710의 부속서 A(의료 장소를 위한 비상 전원의 분류)와 같이 비상전원
의 절환시간에 따른 분류로서 이는 IEC 60364-5-56(Edition 3.0)의 560.4.1항에
명시한 ‘자동 전원공급 장치의 절환시간에 따른 등급’입니다. 세부내용은 아래
의 IEC 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5601. Scope
This part of IEC 60364 covers general requirements for safety services, selection and erection of
electrical supply systems for safety services and the electrical source for safety services. (중략)

560.4 Classifiction
560.4.1 An electrical supply system for safety services is either:
– a non-automatic supply system, the starting of which is initiated by an operator, or
– an automatic supply system, the starting of which is independent of an operator.

An automatic supply system is classified as follows, according to the maximum changeover time:
– class A – no-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which can ensure a continuous supply within
specified conditions during the period of transition, for example as regards variations in voltage and
frequency;
– class B – very short 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available within 0,15s;
– class C – short 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available within 0,5 s;
– class D – average 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available within 5 s;
– class E – medium 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available within 15 s;
– class F – long break: an automatic supply system available in more than 15 s.
366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태양광 전압에 따른 울타리 시설기준 문의

관련조항 : KEC 521 (회신 : 2020. 10. 26.)

질 의

1. 태양광 패널을 사람이 다니는 인도에 일정 높이를 갖추어 설치를 하고자 하는


데 개방전압은 DC 745V ~ 904V의 범위를 갖습니다. 2020년에 설치가 예정된
본 태양광 패널 및 전선로의 경우, 저압 범주에 들어가는 것이 맞는지요?

2. 기존 고압기기는 주변에 펜스를 설치해야 하는데, 2021년 이후에 설치한다면


상기 발전전압은 변경된 전기설비규정에 따라 1500V 이하의 전압레벨을 갖기
때문에 당사가 설치하는 태양광패널 및 전선로는 펜스 설치의 의무가 없는 것
인지 확인하고자 합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67

회 신

□ 2018년 3월에 공고된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은 저압의 범위를 AC 1,000 V


이하, DC 1,500 V 이하로 규정하는데, 그 시행일은 2021년 1월 1일입니다. 따
라서 2020년 내에 시설하는 귀하의 태양광 발전설비의 개방최대전압이 DC
750 V를 초과하고 7 kV이하일 경우에는 고압설비가 됨을 알려드립니다(질의
1).

□ 아울러 귀하의 태양광 발전설비가 2021년 1월 1일 이후에 공사계획 인가(신고)


를 받거나 사업승인을 받은 것에 대하여는 KEC에 명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
압의 설비는 저압설비로 간주되나, KEC 520 태양광발전설비 시설기준에 따라
최대개방전압이 DC 750 V를 초과하는 설비는 상황에 따라 울타리를 설치하여
야 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관련조항을 숙지하시어 착오 없으시기 바랍니다(질
의 2).

※ KEC 시행 기준일은 본 사례집 FAQ 5번 내용 참조

※ 2020년 KEC 개정(안)은 홈페이지/알림광장/기술공고 및 고시/공지사항 참조


368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제 목 KEC 태양광 계측장치에 관한 문의

관련조항 : KEC 522 (회신 : 2019. 12. 13.)

질 의

○ KEC 522.2.3 태양광설비의 계측장치에 관한 규정에 “태양광설비에는 전압, 전


류 및 전력을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하여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 전압, 전류, 전력의 양을 계측해서 보여주는 방식은 모바일 및 태블릿pc등 다


양하지만, 기존의 전기실 내부에 꼭 설치하는 옥내형 센트럴 인버터의 경우로
기준삼고 판단하면 안되다는 의견입니다.

회 신

□ KEC 522.2.3은 “태양광설비에는 전압, 전류 및 전력을 계측하는 장치를 시설하


여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태양광설비의 운영, 유지관리 및 검사 등
관련 업무의 안전한 수행을 위해 전류, 전압 및 전력 등 현재 운전상태를 계
측하여 관련 업무 담당자에게 제공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 아울러 해당 규정에서 이를 표시하는 방법까지는 구체적으로 다루고 있지 않


으므로 상기 계측장치의 설치 목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계측값의 표
시방법을 선택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 다만, 이동식 IT기기 등을 통해 계측값을 제공하는 방식은 모든 현장 업무 수


행자에게 즉각적이고 정확한 정보 제공이 가능하여야만 상기 목적에 부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69

제 목 KEC 법적구속력, 접지, 과전류 보호장치 관련 문의

관련조항 : KEC (회신 : 2020. 03. 17.)

질 의

1. KEC로 바뀌는 조항들의 법적 구속력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전선 구분에서 시공시 KEC식별 색상에 준하지 않고 시설하는 경우
○ KEC 배선 선정방식을 따르지 않고 기존의 방식대로 선정하는 경우

2. 접지 설계 방식
○ 기존에는 1종,2종,3종, 특3종 방식을 고수하였으나 KEC에서 TN, TT, IT 방식
을 하라고 합니다. 현재 저희 공장에 적용된 방식을 아는 방법이 있나요?
○ 접지 보호도체 최소단면적에서 차단시간 5초 이하의 경우 S=루트i^2*t/k 공식
이 있는데 대부분 고장, 단락시 5초 이내에 차단하기 때문에 이 공식을 적용
해야 하는지요? 선정 방식의 예를 들어서 설명 부탁드리고 k값에 대한 상세
Factor도 나와있지 않네요

3. 과전류 보호장치 선정방식


○ 보호협조에 대한 내용은 용어가 생소하여 현실적으로 다가서기 어렵습니다.
- 전기회로 설계전류 (KS C IEC60364-5-52에 나와 있는 선정인가요?)
- 보호장치의 정격전류 (저압기준 배선용 차단기의 정격전류인가요?)
- 도체의 허용전류 (케이블의 허용전류 인가요?)
- 보호장치의 규약동작전류 (생소한 용어입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 도체의 과부하보호점 (생소한 용어입니다. 설명 부탁드립니다.)
370 9. 한국전기설비규정 (KEC)

회 신

□ KEC는 국제표준과 다르게 운영되던 불필요한 규제와 불명확성을 해소하고 국


제표준과의 부합화는 물론,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을 대체하는
시설안전기준으로서 전기사업법과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 정한 의무기준이며
미준수시에 대한 처벌규정은 전기사업법 제12장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 귀하 공장의 접지방식을 확인하는 방법은 TN, TT, IT 계통을 이해하신 다음,


귀하 공장의 접지시공과 관련된 전기설비 배선도면 등과 비교하여 판단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2-1).

□ 보호도체의 최소단면적을 구하는 방법은 KEC 142.3.2와 [표142.3-1]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계수 ‘k’는 KS C IEC 60364-5-54의 부속서 A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2-2).

□ 귀하가 질의한 ‘과전류 보호장치 선정방식’은 KEC 어느 조항에 대한 질의인지


명확하지 않으나 KEC의 접지시스템, 감전보호, 안전보호 등과 관련된 용어는
국제규격인 IEC 규정을 번역한 것입니다.

□ 아울러 IEC 기준에 관한 접지, 등전위 본딩, 감전보호, 과전류보호 등의 학술


적 이론과 용어의 정의 및 계산 사례 등은 시중의 전문서적이나 인터넷, 관련
교육 또는 우리 협회에서 발간한 기술지침서 등을 통해 습득하시기 바랍니다
(질의 3).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71

10. 기타사례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73

제 목 용어 질의・회신 사례

부 하

○ 「전기설비기술기준」이나 「내선규정」 등에서는 ‘부하’에 대한 정의를 다루고 있


지 않으나 전기회로의 ‘부하(負荷)’는 통상적으로 전력을 소비하는 전기기계・
기구를 의미하며 변압기에서 ‘전원측’과 ‘부하측’이라는 용어는 서로 상대적인
개념으로 사용되는 바, 귀하의 변압기 1차측에 전원이 연결되었고 변성된 전
압이 2차측으로 출력되는 경우라면 2차측에 연결되어 전력을 소비하는 모든
전기설비가 ‘부하’가 될 것이므로 ‘부하’는 현장의 결선・계통도에 따라 판단하
여야 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 아울러 내선규정 1300-6의 18항은 “분기회로(分岐回路)란 간선에서 분기하여


분기과전류차단기를 거쳐서 부하에 이르는 사이의 배선을 말한다.”라고 정의
하듯이 ‘부하’의 개념을 사용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가섭선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2조제13호는 “가섭선(架涉線)이란 지지물에


가설되는 모든 선류를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으나,

○ 기술서적이나 자료 등에서 표현하는 의미는 저자 또는 용어 사용자에게 문의


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점검 가능한 은폐장소

○ 내선규정 1300-9(용어)에서는 “점검 가능한 은폐(隱蔽)장소란 점검구가 있는 천


장 안이나 벽장 또는 다락같은 장소”를 말하며 “점검할 수 없는 은폐장소란
점검구가 없는 천정 안, 마루 밑, 벽 내, 콘크리트바닥 내, 지중 등과 같은 장
소”를 의미한다고 명시하고 있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374 10. 기타사례

표준전압

○ 「전기설비기술기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및 「내선규정」 등에서 명


시하는 ‘표준전압’이란 「전기사업법 시행규칙」 제18조 및 별표3에서 규정하는
110 V, 220 V, 380 V를 의미하며 각종 전압에 대한 정의는 KS C 0501(표준전
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옥 내

○ ‘옥내’란 건축물의 관점에서 검토되어야 할 것이며, 「전기설비기술기준」에서는


‘옥내배선’, ‘옥내전로’, ‘옥내전선로’, ‘옥내 등’처럼 전기설비의 시설 상황을 명
시하고 있으므로 각 상황에 맞는 용어의 정의는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
준」 제2조(정의) 및 내선규정 제1300절(용어)과 「2016 판단기준 해설서」 그림
151-2(p.441) 등을 참고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75

제 목 ‘준하는 설비’에 대한 정의 문의

관련조항 : 기술기준 제3조, 제21조 (회신 : 2018. 10. 02.)

질 의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 21조 (발전소 등의 시설) 제 ⑤ 항


⑤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기기계기구·모선 등을 시설하는 발전소·변전소·개폐
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전기설비는 자중, 적재하중, 적설 또는 풍
압 및 지진 그 밖의 진동과 충격 에 대하여 안전한 구조이어야 한다.

⑤항 내용 중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전기설비”는 전기사업용전기설비만


의미하는 것인지, 자가용 전기설비도 포함 의미하는 것인지?

○ 자가용전기설비 중 옥외 태양광전기발전설비, 전기수용설비 포함 의미인지?


또는 다른 의미이면 아주 상세한 해석은?

참조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3조 제1항 제1호, 제2호 “발전소. 변전소”

회 신

□ 전기설비기술기준 제21조 제⑤항의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서 “변전소에 준하는 장소”라 함은 자가용 전기시설물 시설자의 구내 등
에서 고압 또는 특고압의 전기를 수전하여 변성하는 변전실이나 수전실을 가
리킵니다.

□ 따라서 귀하께서 질의하신 “이에 준하는 곳에 시설하는 전기설비”는 자가용


전기설비를 포함하는 의미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376 10. 기타사례

제 목 피뢰설비의 자연적구성 부재(철근) 접속 및 인하도선 인정 여부

관련조항 : KS C IEC 62305 (회신 : 2019. 09. 18.)

질 의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20조(피뢰설비) 및 KSC IEC 62305 관련


질의입니다.
KS C IEC 62305의 자연적구성부재 관련하여 철근콘크리트구조에서 철근을 인
하도선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수직, 수평철근은 용접, 죔쇠, 나사조임 및 20D
를 겹쳐 보조접속선으로 접속하고 또 “5.3.5 자연적구성부재 b)의 비고2”는
“조립철근은 철근 상호간의 접속이 중요하다”라고 명시하고 있음.
그러나 현장에서는 “별첨 사진”과 같이 아래층 철근과 위층으로 연장해가는
이음철근이 서로 맞닫지 않거나 콘크리트 피막이 형성되어 절연체로 작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시공사에서는 대한전기협회의 “공동주택에 적용되는 철근구조체는 전기적 연
속성이 0.2옴 이하로 확인됐다는 질의문을 근거로 이음부분의 불완전한 접속
여부와 관계없이 즉, 추가조치 없이 시공하겠다 합니다.

○ 질의 #1
1) 철근의 이음부를 용접, 죔쇠이음 등의 조치없이 보통 건축에서 사용하는
0.2mm 정도의 철근 결속선을 사용하여 접속하고 철근을 전기적 연속성이 0.2
옴 이하 규정만 만족하면 인하도선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요?
2) 또, 대부분의 철근 배근이 아래층 철근과 위층으로 연장해가는 이음철근이
서로 맞닫지 않거나 타설 시 콘크리트가 철근에 묻어 콘크리트 피막이 있는
상태로 연장 철근이 접속되어도 전기적 연속성이 0.2옴 이하면 적합한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지요?

○ 질의 #2
1) 현장에서는 자연적구성부재 사용 가부를 판단할 때 전기적연속성 만을 절대
적 판단기준으로 하여 적합 여부를 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모두가 아는
바와 같이 도체인 철근이 전층에 걸쳐 미소한 철근간 접속만으로도 저항측정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77

기가 흘려 보내는 수십mA~수A의 전류를 통전시켜 0.2옴 이하의 저항값을 얻


는데 어려움이 없습니다. 전기적연속성 측정시 단 몇 mm2 접촉만 있어도 된
다는 의미입니다.
2) 따라서, 외부피뢰설비의 전기적연속성 적부 판단은 피뢰도체로서 50mm2 이
상의 단면적 확보와 전기적 기계적으로 견고한 접속이 되었닫는 사실이 전제
된 이후에 검증해야할 요소 등 하나이며 판단절차라 생각됩니다.
3) 질문드립니다. 전기적연속성 판단만으로 철근을 피뢰설비의 일부로 인정할
수 있는지와 전기적연속성이 자연적구성부재를 인정하는데 판단기준으로 제시
된 본질적 의미는 무엇인지요?

회 신

□ KS C IEC 62305-3의 5.3.5(자연적 구성부재)에 따라 “b) 건축물의 전기적 연속


성을 가지는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금속”은 자연적 구성부재 인하도선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구조체의 금속을 자연적 구성부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
연적 구성부재의 올바른 접속 및 전기적 연속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 철근콘크리트의 구조체의 금속을 자연적 구성부재 사용을 위한 접속은 KS C


IEC 62305-3의 4.3(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 강제 철골조의 전기적 연속성)과
E.4.3에 따른 “용접, 죔쇠이음, 또는 최소 지름 20배를 겹쳐 보조접속선을 이용
한 이음 또는 이외의 확실한 방법”으로 접속하여야 합니다. 참고적으로 동여
매는 방식은 뇌전류가 흐르는 도체의 접속방법으로 적합하지 않으며, EMC 등
을 목적으로 하는 추가도체의 접속방법으로만 사용되어야 합니다[KS C IEC
62305-3의 E.4.3.6(접속) 참조].

□ 또한, 철근콘크리트 구조체의 금속을 자연적 구성부재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


기적 연속성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전기적 연속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KS C
IEC 62305-3의 E.4.3(철근콘크리트 구조물), E.4.3.1(일반사항), 그림 E.3(전체
전기저항의 측정)에 따라 수뢰부시스템과 대지접지판 사이에 측정전류(약10A)
를 주입한 측정값이 0.2옴 이하를 만족해야 합니다.

□ 피뢰시스템의 설계 및 세부 시공에 대한 사항은 KS C IEC 62305-3의 E.4.2.2


(협의)에 따라 주요 당사자간 협의하시어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끝.
378 10. 기타사례

제 목 피뢰시스템 관련 수평도체 문의

관련조항 : KS C IEC 62305 (회신 : 2018. 07. 09.)

질 의

○ 4층 옥상을 광장으로 사용하려고 휴게공간을 만드는데(사람들이 모이는 공간)


수평도체 높이가 옥상바닥에서 1700mm이고, 화단에서의 높이는 1200mm일
경우에 건축물 옥상에 설치하는 수평도체에 관하여 문의합니다.

○ (질의 1) 수평도체를 사람이 만질 수 있는 상황인데 만져도 되는가요?

○ (질의 2) 낙뢰 칠 때 수만V(볼트)가 흐를 텐데 인체와는 관계가 없는가요?

○ (질의 3) 전기기술기준 어디에 설치방법이나 기준이 있는지 찾아봐도 알 수 없


는데 어디에서 찾으면 이러한 시공높이의 안전에 관한 내용이 있는지요?

○ (질의 4) 이 경우 수평도체를 설치하는 안전선 높이를 옥상바닥에서 재야 하나


요 아니면 화단 높이에서 재야하나요?

회 신

□ 낙뢰 발생시에는 수평도체 뿐만 아니라 모든 도전성 부분에 의해 위험 접촉전


압 및 보폭전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수평도체를 포함한 피뢰설비의 시설에 관하여 현행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에서는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 피뢰설비는 건축물의 일부로 `건축법'과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20조(피뢰설비)'에서 규정하고 있으며, 동 규칙에서 한국산업표준(KS C IEC
62305)을 인용하고 있으나, 표준에서도 수평도체의 설치 높이에 대해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음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79

제 목 건물옥상 안전난간을 피뢰설비 수뢰부로 사용 가능여부 문의

관련조항 : KS C IEC 62305 (회신 : 2019. 05. 02.)

질 의

○ 건축물 기준의 적용되는 IEC 61024 또는 62305-3 피뢰설비 자료에서 자연적


구성부재 내용 중 “건물옥상 수평도체를 대신하여 금속으로 된 안전난간을 수
뢰부로 사용할 수 있다”에서 문의 드립니다.
건물옥상에 설치되는 수평도체는 애자를 사용하여 건물과 이격하여 설치하도
록 되어 있습니다. (뇌격으로 인한 건물 보호?)
하지만 수평도체 대신 옥상에 설치되는 스테인레스 안전난간을 수뢰부로 사용
할 경우 안전난간은 건물과 이격되지 않은 채 앙카로 고정되어 있습니다.
이처럼 안전난간을 수뢰부로 사용시 건물과 이격이 없을시 안전상 문제가 없
는지요? 수평도체 설치시 건물과 이격용으로 사용하는 애자의 용도는?

회 신

□ KS C IEC 62305-3에서는 자연적 구성부재를 수뢰도체로 사용시 건물과 이격


에 대해서는 제시하고 있지 않습니다. 다만, KS C IEC 62305-3의 5.2.5(자연적
구성부재)에서 자연적 구성부재(난간 등)의 단면적이 표준수뢰도체 단면적 이
상일 경우에만 자연적 구성부재(난간 등)를 수뢰도체로 적용 가능합니다. 또한,
KS C IEC 62305-3의 부속서 E(피뢰시스템의 설계, 시설, 유지관리와 검사에
대한 지침)에서 피뢰시스템의 세부 보호방법 및 시설 등에 대한 예시를 제시
하고 있으니 해당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아울러 KS C IEC 62305-3는 피뢰시스템의 구조물 및 인명 보호와 관련된 사


항을 제시하는 표준인 바, 피뢰시스템을 구성하는 부품(도체 고정기, 부품 등)
에 대한 요구사항은 KS C IEC 62561 시리즈(시스템의 구성요소)에서 제시하
고 있으니 해당내용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끝.
380 10. 기타사례

제 목 1종 접촉상태에서의 감전보호 방법 문의

관련조항 : KECG 9101-2011 (회신 : 2017. 09. 26.)

질 의

○ ‘저압전로의 지락보호에 관한 기술지침’ 해설서 62페이지 표 A1.10 - 저압전로


지락보호 판단 기준 문의 드립니다.

○ 공동주택의 지하 저수조, 정수장의 정수지 내부와 같은 곳은 정기적으로 고압


의 물을 분사하여 수조내를 청소하며 발생되는 하수는 여러 대의 이동식 수중
펌프를 이용하여 외부로 배출합니다. 수중펌프는 단상220, 삼삼380V 이므로 당
연히 SELV는 아닙니다. 발목이나 종아리 정도의 깊이까지 저수조에 물이 차
있는 상태에서 수중펌프는 가동 중이고 인부들이 일반 장화를 신고 청소를 합
니다. 이런 환경은 2종 접촉상태보다는 훨씬 가혹한 1종 접촉상태에 가깝다고
생각됩니다. 전격이 발생해도 용이하게 이탈할 수도 없습니다.

○ 이런 환경에서 감전보호를 위해 반드시 적용해야 할 사항(기술기준,판단기준,


산업안전보건법 등)과 권고사항을 구분하여 알려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예를 들어

a. 감도전류 30mA 이하 누전차단기로 보호하면 무방하다

b. 전신방수복을 입어서 작업자가 수중에 노출될 염려가 없을 때만 가능하다

c. 어떠한 경우에도 수중펌프가 가동되는 상황에서 수중 작업은 법에 위반된다.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81

회 신

□ 저압 옥내 전로에서 누전차단기 설치 및 시설방법은 내선규정 제1475절(누전


차단기)에서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에 적합하도록 설계사가 도면
을 검토하여 시설하시기 바랍니다.

□ 「저압전로의 지락보호에 관한 기술지침」은 기술기준에서 규정하고 있는 내용


이외에 누전차단기 등의 지락보호 장치를 시설하는 경우 기술 지침으로 활용
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 질의하신 해설서 62페이지 표 A1.10 - 저압전로 지락보호 판단 기준은 저압전


로에 지락이 생겼을 경우 접촉상태별 허용전압 표 1.2의 보충설명으로, 표에서
1종 접촉상태에 해당된다고 판단되는 경우, 인체가 수중에 있는 상태에서는
허용접촉전압을 2.5V이하로 하고, 인체가 수중에 없을때에만 사용하는 기기에
한하여 정격감도전류 30mA이하의 전류동작형 누전차단기를 사용하도록 추천
하고 있습니다.

□ 전기설비 안전관리의 최소 법적기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170조


6항에서 인체가 물에 젖어있는 상태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의 콘센트 시설
에 대한 사항을 규정하고 있으며, 「내선규정」 1475-1에서 이동형 전동기 또는
물 등 도전성 액체로 젖어있는 장소의 누전차단기 설치에 대한 권고사항을 정
하고 있습니다. 위 규정을 참고하시어, 질의하신 장소에 적용 여부를 판단하시
기 바랍니다.

□ 또한, 법령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고용노동부령 제182호 2017.3.3.) 제1


절 전기 기계·기구 등으로 인한 위험방지에서 대지전압이 150V를 초과하는
이동형 또는 휴대형 전기기계·기구 등의 시설에 대한 조항을 참고하시기 바
랍니다. 끝.
382 10. 기타사례

제 목 조도 계산 설계 관련 문의

관련조항 : 기타 (회신 : 2020. 04. 22.)

질 의

○ 공동주택 전기설비 설계사항 중에 조도 계산서를 법적으로 설계하여야하는지


요?

○ 아울러, 한국 산업표준 KS A 3011는 법적 강제성이 있는지, 아니면 권고 사항


인지요?

회 신

□ 건축전기 설계업무는 건축전기 설계업체 또는 관련 기관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되나, 기술기준 제21조제3항은 “발전소・변전소・개폐소 또는 이에
준하는 곳에는 감시 및 조작을 안전하고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명
설비를 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으며, 우리 협회가 발행한 내선규정
4310-5는 판단기준 제286조의 전기자동차 충전장치는 충전 중 안전과 편리를
위하여 적절한 밝기의 조명 설비를 시설하도록 명시하고 있습니다(질의 1).

□ 아울러 의무기준에 포함된 KS 표준은 법적 효력이 있으나, 기타의 경우에 대


한 KS 표준의 법적 지위에 대하여는 국가기술표준원(TEL 043-870-5600)에 문
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질의 2).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83

제 목 피뢰기 정격전압 선정 관련 문의

관련조항 : 내선규정 3250 (회신 : 2020. 03. 16.)

질 의

○ 현재 변압기(154kV/22.9kV) 후단 피뢰기 선정과 관련하여 변압기 2차측 ~ 변


압기 후단 VCB 사이의 피뢰기 용량을 선정할 때 정격전압 기준에 대해 문의
드립니다.

○ 내선규정 '표 3250-1 피뢰기의 정격전압' 에서는 변전소는 21kV, 배전 선로는


18kV로 규정하고 있는데, 배전선로 기준 18kV가 시작되는 부분이 변압기 2차
측(Y 결선) 부터 바로 시작인지, 아니면 변압기 2차측 후단 VCB 이후 기준인
지 문의합니다.

회 신

□ ‘배전선로’란 전기사업자인 한전이 전선로의 시설 목적에 따라 ‘송전선로’, ‘배


전선로’, ‘급전선로’ 등으로 분류한 것으로서 「전기설비기술기준」과 「전기설비
기술기준의 판단기준」 등에서는 그에 대한 정의를 다루고 있지 않습니다.

□ 아울러 피뢰기는 뇌 전류 등과 같은 이상전류로 부터 전력설비를 보호하기 위


하여 시설하는 바, 내선규정 제3250절과 같이 피뢰기의 정격전압과 공칭 방전
전류를 변전소용과 배전선로용으로 구분하고 있으므로 귀하의 현장이 변전소
구내라면 변전소용을, 변전소를 벗어난 배전선로라면 배전선로용으로 설치함
이 타당할 것이며, 변전소와 배전선로의 경계점에 대하여는 변전소를 설치 운
영하는 한전 등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끝.
384 10. 기타사례

제 목 용도가 다른 콘센트 시공기준 문의

관련조항 : 내선규정 3310 (회신 : 2020. 08. 10.)

질 의

○ 아파트 세대내의 박스와 배선기구와의 공사방법에서 가스오븐과 전기쿡탑 관


련 사항으로, 한 개의 4각 박스내에 가스오븐(회로번호 5번)과 전기쿡탑(회로
번호6번)의 전용회로로 전기회로 2회로로 시공을 하였고, 하나의 통합배선기구
로 시공을 할 예정입니다.

○ 회로는 서로 다르지만 분기회로는 같으며(RCOB 2P 30AT/20AT), 오용을 방지


할 수 있도록 각각 "오븐"과 "쿡탑"이라고 통합배선기구에 명시해 놓을 예정인
데, 이렇게 시공을 하면 가능한건지, 불가능한지 질문을 드립니다.

회 신

□ 내선규정 3310-11은 동일 구내에서 AC/DC, 전압, 주파수, 상(相) 등의 전기방


식이 다르거나 분기회로의 종류가 다를 경우에는 잘못 사용할 우려가 없도록
구조가 다른 콘센트를 시설하도록 정한 규정입니다.

□ 다만, 부득이한 경우에는 색별표시 등으로 잘못 사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조치를 하라는 의미임을 참고하시어 설계자 등 현장 관계자와 협의하시기 바
랍니다. 끝.
Ⅳ. 판단기준 및 KEC 질의⋅회신사례 385

제 목 아파트 단위세대 부하용량 선정방법 등 문의

관련조항 : 내선규정 3315 (회신 : 2020. 03. 19.)

질 의

○ 아파트 실시설계도서의 단위세대 부하용량 산정에 있어 34평형(84㎡타입) 경우


단위면적으로 계산하여 6KVA 선정함 (세대분전반 주 간선 - 단상 2선식으로
전원공급)

○ 여기서 모델하우스의 분양옵션에서 가전제품(인덕션, 전기오븐, 에어컨 기타


등등)만 실부하로 계산시 총 소비전력이 23KW 됨 (분기차단기 중 2P 30/30A
4개가 설치됨)

○ 아파트 단위세대 부하용량 선정에 있어 아래 중 어느 것을 적용해야 하나요?


① 당초 설계사무소에서 단위면적으로 계산된 6KVA 적용
② 가전제품 총 소비전력에 전등,전열부하를 가산하여 적용
③ 가전제품 및 전등, 전열부하가 최고로 많이 사용하는 시간대를 임의로 적용

2. 아파트 단위세대 부하용량 산정시 세대내 시스템이 어느 정도가 되어야 전 전


화 집합주택의 부하산정을 적용하나요? 전기설계사무소에서 임의로 정하나요?

3. 아래 간선을 배관공사(매입 또는 노출)로 전원공급시 HFIX전선 사용가능한지


문의드림
① 엘리베이터 동력반 간선 (예) 아파트에서 PM함 → PEL함 간선)
② 아파트 세대내 에어컨 실외기 전원선
③ 동력 전원선 (예) 펌프 등 전동기 전원선
④ 전등,전열용 분전반 주 간선
⑤ 펌프 등 동력반 주 간선
386 10. 기타사례

회 신

□ 내선규정 제3315절은 부하의 산정방법에 대해 “배선을 설계하기 위한 전등 및


소형 전기기계기구의 부하용량상정은 다음 각 호에 의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
다.

□ 다만, 시설자의 희망, 건축물의 종류 등에 따라 부득이한 경우는 적용하지 않


는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판단기준 제166조에 따라 인덕션 등과 같은 전기기
계기구의 정격 소비 전력이 3 kW 이상일 경우에는 해당 전기기계기구를 공급
하는 전로는 전용의 개폐기 및 과전류 차단기를 시설하고 그 전로의 옥내배선
과 직접 접속하거나 적정 용량의 전용콘센트를 시설하여야 함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질의 1, 2).

□ 아울러 전선은 제조사마다 호칭이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에 해당 KS 규격(KS


규격은 전선의 피복에 기재되어 있거나, 제조사 카탈로그 등으로 확인이 가능
함)으로 구분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귀하가 질의하신 HFIX 전선이 KS C 3341
규격에 따라 제조된 전선이라면 “저독성 난연 가교 폴리올레핀 절연 전선”으
로서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제4조에 적합한 절연전선입니다.

□ 다만, 전선은 시설 장소와 공사방법에 따라 개별 시설기준이 존재함에 따라 현


장 상황과 공사방법을 알아야 답변이 가능하오니 귀하 현장의 적합성 여부는
전기설비의 검사업무를 담당하는 기관 등에 문의하심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됩
니다(질의 3). 끝.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387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389

지식경제부 고시 제2011 - 1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지식경제부

고시 제2010-143호, 2010. 8. 3)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고시합니다.

2011. 1. 5.
지식경제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 고시

1. 개정이유

ㅇ 국제표준(IEC/ISO) 등의 개정에 따라 상호 기준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관련조문을


정비하는 한편, 신기술·신공법의 개발 활용 등에 적합하도록 규제를 완화하고 기
술기준 운영상 드러난 문제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뇌방전으로 인한 과전압으로부터 풍력발전설비 및 태양광발전설비 등을 보호하기


위한 전기설비의 피뢰기준을 신설함.(안 제6조의 2)
ㅇ 특고압 가공전선로에서 발생하는 전자계와 일반 전자파와 혼선 방지를 위해 “극
저주파 전자계” 용어정의 신설 및 관련 조항 정비함.(안 제3조, 제17조)
ㅇ “해양에너지발전설비”에 대한 용어정의와 해양에너지 발전관련 조항을 신설함.
(안 제3조, 제133조, 제151조, 제157조)
ㅇ 국제표준을 반영하여 발전설비의 안전성과 신뢰성확보를 위해 조력발전용 댐의
하중 규정을 추가함.(안 제130조 등 6개 조항)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390 Ⅳ. 기술기준 고시⋅공고

지식경제부 공고 제2011 - 1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지식경제부

고시) 제4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지식경제부 공고 제2010-320

호, 2010. 8. 3)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다.

2011. 1. 5.
지식경제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공고 일부개정 공고

1. 개정이유

ㅇ「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적용시 해석이 모호한 조항, 신기술 반영 등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전기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해 분산형전원 계통연계 기준 신설


ㅇ 가로등, 보안등에 시설하는 LED는 KS 표준에 적합한 것을 시설토록 함.
ㅇ 최근 반도체, 철강공장 등 대용량 수용가의 정전이 곤란해짐에 따라 운전 중인 상
태에서의 절연내력 확인방법 신설
ㅇ 주택 등 저압수용가 접지에서 추가접지의 규정 보완 및 용어 통일
ㅇ 국제표준 및 한국산업표준의 개정에 따른 관련 판단기준 보완
ㅇ ASME 변동사항 및 신기술의 성능규정화 요구조건에 해당되는 기술사항 등을 반영

이 공고는 공고한 날부터 시행한다.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391

지식경제부 고시 제2012 - 11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에 따른 전기설비기술기준(지

식경제부 고시 제2011-1호, 2011. 1. 5)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

다.

2012. 1. 31.
지식경제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ㅇ 국제표준(IEC/ISO) 등의 개정에 따라 상호 기준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관련조문을


정비하는 한편, 신기술·신공법의 개발 활용 등에 적합하도록 규제를 완화하고 기
술기준 운영상 드러난 문제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발전효율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서 발전용량이 대형화되면서, 국내 화력발전소에


서도 특고압(11 kV)이 적용되게 되었으며, 전동기 등의 기기에 대하여 밀폐형으로
서 가연성 분진에 착화할 우려가 없도록 제작된 경우, 분진지역에 적용할 수 있도
록 관련 조항 정비함.(제64조)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392 Ⅳ. 기술기준 고시⋅공고

지식경제부 공고 제2012 - 32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지식경제부

고시) 제4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지식경제부 공고 제2011-1호,

2011. 1. 5)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다.

2012. 1. 31.
지식경제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공고 일부개정공고

1. 개정이유

ㅇ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적용시 해석이 모호한 조항, 신기술 반영 등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고압 및 특고압의 전로에 전선으로 사용하는 케이블의 절연체가 XLPE 등 고분자


재료인 경우 절연내력 확인방법 신설
ㅇ 지중전선로의 시설의 규정 보완
ㅇ 특고압 가공전선로의 중성선의 다중 접지의 규정 보완
ㅇ 신발전설비 가스화로설비(IGCC)관리 판단기준 신설
ㅇ 발전설비 자동초음파 탐상시험검사 규정 신설
ㅇ 수력설비 신소재 유리섬유복합관(GRP) 사용 규정 신설
ㅇ ASME 변동사항 및 신기술의 성능규정화 요구조건에 해당되는 기술사항 등을 반영

이 공고는 공고한 날부터 시행한다.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393

지식경제부 고시 제2013 - 1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에 따른 전기설비기술기준(지

식경제부 고시 제2012-67호, 2012. 3. 26)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고시합

니다.

2013. 1. 4.
지식경제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ㅇ 국제표준(IEC/ISO) 등의 개정에 따라 관련조문을 정비하는 한편, 신기술·신공법의


개발 활용 등에 적합하도록 규제를 완화하고 기술기준 운영상 드러난 문제점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산업계의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자계 단위에 적합한 용어로 변경함(안 제17조)
ㅇ 400 kV 이상의 특고압 가공전선 선하에 예외적으로 건조물 건설시 갖추어야 할
안전 조건을 신설함(안 제36조)
ㅇ 풍력설비 피뢰시스템 국제표준(IEC 61400-24)을 토대로 풍력설비 낙뢰보호를 위해
피뢰설비 시설 규정을 신설함(안 제175조)
ㅇ 풍력발전설비의 안전성과 신뢰성 확보를 위해 풍력터빈의 “전자기 적합성” 규
정을 신설함(안 제176조)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394 Ⅳ. 기술기준 고시⋅공고

지식경제부 공고 제2013 - 101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지식경제부

고시) 제4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지식경제부 공고 제2012-32호,

2012. 1. 31)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다.

2013. 3. 20.
지식경제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공고 일부개정공고

1. 개정이유

ㅇ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적용시 해석이 모호한 조항, 국제표준(IEC/ISO)


반영 등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서지보호장치의 적합한 설치 규정 신설
ㅇ 주택용 배선차단기의 규정 보완
ㅇ 전파장해방지 관련 규정 보완
ㅇ 400 kV 이상의 특고압 가공전선과 건조물의 시설 방법 신설

이 공고는 공고한 날부터 시행한다.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395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4 - 8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에 따른 전기설비기술기준(산

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3-162호, 2013. 11. 18)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

고시합니다.

2014. 1. 16.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ㅇ 국제표준(IEC/ISO) 등의 개정에 따라 상호 기준의 일관성 유지를 위해 관련조문을


정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풍력터빈 주위에 “위험표시” 대신 “안전표시”설치로 표현을 순화함(안 제168조)


ㅇ 해상풍력터빈지지 구조물 설치시, 국제표준에 근거하여 염해에 대한 안전성 추가
(안 제172조)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396 Ⅳ. 기술기준 고시⋅공고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4 - 99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통상자

원부 고시) 제4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지식경제부 공고 제

2013-101호, 2013. 3. 20)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다.

2014. 3. 13.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공고 일부개정공고

1. 개정이유

ㅇ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적용시 해석이 모호한 조항, 국제표준(IEC/ISO)


반영 등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자동복구 기능을 갖는 누전차단기의 시설 규정 보완


ㅇ 지중전선 상호 간의 접근 및 교차에 대한 규정 명확화(관로식, 직접매설식)
ㅇ 국제표준에 따른 케이블 트레이 공사의 시설방법 신설
ㅇ 전로의 지락 발생시 전로를 차단하는 장치의 구체화
ㅇ 전차선로 시설제한에 대한 고려사항 보완

이 공고는 공고한 날부터 시행한다.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397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5 - 26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에 따른 전기설비기술기준(산

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4-245호, 2014. 12. 15)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

고시합니다.

2015. 1. 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ㅇ 기술기준이 유사한 설비의 통합을 통한 규정 간소화, 설비의 사고예방 장치 보완


등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발전용 화력설비 기술기준 “제2절 증기터빈 및 부속설비”,“제3절 가스터빈 및


부속설비”를 “제2절 증기⋅가스터빈 및 부속설비”로 통합
ㅇ 가스터빈의 진동 및 이상상태 확인을 위한 정보장치 기준을 보완
ㅇ 가스터빈 냉각을 위한 윤활유장치 기준을 보완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정보/정책고시)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398 Ⅳ. 기술기준 고시⋅공고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5 - 44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통상자

원부 고시) 제4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지식경제부 공고 제

2014-99호, 2014. 3. 13)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다.

2015. 1. 30.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공고 일부개정공고

1. 개정이유

ㅇ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적용시 해석이 모호한 조항, 시설의 안전 보완


및 국제표준(IEC/ISO) 반영 등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저압전로에 사용하는 배선차단기 및 누전차단기의 시설 장소 구분


ㅇ 자동복구 기능을 갖는 누전차단기의 설치 장소 구분
ㅇ 불연성 또는 난연성의 배전반 및 분전반 시설범위 확대
ㅇ 가스관의 이음부와 점멸기 및 접속기의 이격거리 개정
ㅇ 특고압 시설의 예비케이블 공사 시 접지공사 신설
ㅇ 단순 병렬운전 분산형전원의 역전력 계전기 설치 규정 신설
제1조(시행일)① 이 공고는 날로부터 시행한다.
② 제38조제4항(주택용, 산업용 배선차단기의 시설장소 구분), 제41조제6항(주택용,
산업용 누전차단기의 시설장소 구분) 및 제171조제1항제4호(불연성 또는 난연성의
저압용 배전반 및 분전반 시설범위 확대)의 규정은 2017년 1월 1일부터 적용한다.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정보/정책고시⋅공고)에서 열


람하실 수 있습니다.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399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6 - 15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에 따른 전기설비기술기준(산

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5-26호, 2015. 1. 30)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고

시합니다.

2016. 1. 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ㅇ 신산업 설비에 대한 최소한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요구되는 시설 기준과 설비


용도를 명확히 하기 위함

2. 주요내용

ㅇ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한 충전설비 및 전기자동차에 전기를 공급하거나 저장된 전


기를 방전하기 위한 충․방전설비에 대한 용도설명 및 최소한의 안전기준 제․개정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정보/정책고시)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400 Ⅳ. 기술기준 고시⋅공고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6 - 34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통상자

원부 고시) 제4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지식경제부 공고 제

2015-44호, 2015. 1. 30)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다.

2016. 1. 2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공고 일부개정공고

1. 개정이유

ㅇ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적용시 해석이 모호한 조항, 시설의 안전 보완


및 국제표준(IEC/ISO) 반영 등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분산형전원 용어 정의에 전기저장장치 추가


ㅇ 태양전지 모듈 등의 시설시 출력 배선 극성 표시 및 모듈 프레임과 지지대의 시설 방법
ㅇ 지중 전선로를 관로식에 의해 시설하는 경우 매설 깊이 규정
ㅇ 전기자동차 충전설비의 시설에 대한 용어 변경 및 충전장치 구조 규정
ㅇ 이차전지를 이용한 전기저장장치의 제어 및 보호장치 등 세부 시설기준 제정
ㅇ 비파괴검사 및 내압시험 등의 합격기준에 대한 중복규정 개정
ㅇ 발전용 화력설비의 비파괴검사 적용범위 개정
ㅇ 발전용 풍력설비 화재방호설비 시설에 대해 규정

이 공고는 공고한 날부터 시행한다.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정보/정책고시⋅공고)에서 열


람하실 수 있습니다.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401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7 - 26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에 따른 전기설비기술기준(산

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6-123호, 2016. 6. 30)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고

시합니다.

2017. 3. 2.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일부개정고시

1. 개정이유

ㅇ 비상용 예비전원 시설에서 요구되는 시설 안전 기준을 명확히 하기 위함

2. 주요내용

ㅇ 비상전원을 겸하는 전기저장장치 등의 적용을 위해서 평상시 상용전원과 병렬운


전이 가능하고 상용전원의 정전 시 상용전원측으로 전력이 공급되지 않도록 문구
등 규정을 명확히 하기 위해 개정.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고시·공고)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402 Ⅳ. 기술기준 고시⋅공고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7 - 104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통상자

원부 고시) 제4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지식경제부 공고 제

2016-34호, 2016. 1. 29)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다.

2017. 3. 2.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공고 일부개정공고

1. 개정이유

ㅇ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적용시 해석이 모호한 조항, 시설의 안전 보완


및 국제표준(IEC/ISO) 반영 등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철주 ․철근 콘크리트주 또는 철탑의 강도계산에 사용하는 상시 상정하중에 경사 방


향 적용
ㅇ 지중 전선로를 관로식에 의해 시설하는 경우 압력을 받을 우려가 없는 경우 매설
깊이 규정 제정
ㅇ 지중전선로에 사용하는 지중함 시설의 경우 뚜껑은 KS D 4040에 따라 적용하며 저
압 지중함의 경우 절연성능이 있는 재질 사용 규정
ㅇ 특고압 옥내배선의 금속덕트 공사 시 방화구획 벽 등 관통부에 불연성의 물질 등
으로 차폐 규정 신설
ㅇ 단순 병렬운전 분산형전원의 경우 역전력 계전기 설치 용량 산정 기준 명확화
ㅇ 전기저장장치가 비상용 예비전원 용도를 겸하는 경우 필요한 세부 기준 제정

이 공고는 공고한 날부터 시행한다.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고시·공고)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403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8 - 26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에 따른 전기설비기술기준(산

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7-147호, 2017. 11. 17)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

고시합니다.

2018. 3. 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일부 개정

1. 개정이유

ㅇ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에 규정하는 기준의 안전에 필요한 성능과 기술적 요건을


판단하기 위해 국제표준에 부합화하여 제정한 한국전기설비규정을 적용할 수 있
도록 개정하고, 문구의 명확성을 위한 용어 개정

2. 주요내용

ㅇ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에 규정하는 기준의 안전에 필요한 성능과 기술적 요건을


판단하기 위해 국제표준에 부합화하여 제정한 한국전기설비규정을 적용할 수 있
도록 근거 마련
ㅇ 기술기준에서 정의하고 있는 규정의 문구를 명확히 하기위해 용어 개정

이 고시는 고시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4조제1호의 한국전기설비규정은 2021.


1.1부터 시행한다.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고시·공고)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404 Ⅳ. 기술기준 고시⋅공고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8 - 102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통상자

원부 고시) 제4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

2017-500호, 2017. 11. 17)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다.

2018. 3. 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일부 개정

1. 개정이유

ㅇ「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적용시 해석이 모호한 조항, 시설의 안전 보완 및


국제표준(IEC/ISO), ASME code 반영 등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
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주택용 분전반 유지관리 및 화재 확산 방지를 위해 주택용 분전반을 노출된 장소


에 시설하도록 개정
ㅇ KS 표준에서 정한 1종 금속제 가요전선관 재료의 최소 두께와 판단기준에서 규정
하고 있는 전선관 두께와의 해석상의 차이로 인한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개정
ㅇ 현장에서 시공은 하고 있지만 적합한 규정이 없는 공사 방법(케이블 트렌치 공사)
에 대하여 시설방법 및 유지관리 등 전기안전을 확보를 위하여 규정 제정
ㅇ 사용 빈도가 저조한 보일러 판재 재료를 삭제하고, ASME에서 신규 채택한 판재
재료 추가 개정
ㅇ 발전설비 기기 제작 시 용접방법을 추가하여 다양한 용접 법에 대한 인정방법을
각기 제시하기 위해 개정
ㅇ 수력시설의 부유물 유입방지를 위한 취수구 스크린 설치 기준 추가 개정 등

이 공고는 공고한 날부터 시행한다.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고시·공고)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405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8 - 103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통상자

원부 고시) 제4조에 따라 한국전기설비규정을 다음과 같이 제정ㆍ공고합니다.

2018. 3. 9.
산업통상자원부장관

한국전기설비규정 제정

1. 제정이유

ㅇ 전기산업계에서 국제표준과 다르게 운영되던 불명확·불필요한 규제사항을 해소


하고, 전기설비의 환경 변화에 대한 안전성, 신뢰성 및 편의성을 확보하여 해외
전력시장 진출의 장애요인을 제거하는 등 전기설비기술의 선진화를 통하여 국내
전력산업 기술발전과 국제표준에 부합한 사용자 중심의 전기안전규정(KEC, Korea
Electro-technical Code)을 제정

2. 주요내용

ㅇ 교류 1000V 이하, 직류 1500V 이하로 저압전기설비 범위 규정


ㅇ 시설안전 및 유지관리를 위한 전선 색상 식별 규정
ㅇ 기존 종별 접지시설 규정을 폐지하고 국제표준에 부합한 접지시설로 규정
ㅇ 과전류에 대한 보호 방법 및 케이블트렁킹시스템 등 배선공사 방법을 국제기준으
로 규정
ㅇ 기존 발전설비의 용접 분야를 보일러 및 부속설비 등 각 시설별로 통합하여 규정

이 공고는 2021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 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고시·공고)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406 Ⅳ. 기술기준 고시⋅공고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9 - 45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통상자

원부 고시 제2018-26호, 2018. 3. 9)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고시합니다.

2019. 3. 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 일부 제·개정

1. 개정이유

ㅇ 국제표준에 따라 저압 범위가 상향됨으로 저압전로의 절연성능 평가를 국제표준에


적합하게 개정

2. 주요내용

ㅇ 저압전로의 절연성능 평가를 국제표준에 부합하여 개정

이 고시의 제52조는 2021.1.1부터 시행한다.


(경과조치) 이 고시 제52조 시행 당시 이미 시설되어 있거나 전기공사계획 인가(신고)
를 받은 것 또는 전력기술관리법 시행령 제18조제4항의 규정에 의한 자가 이 고시 시
행 전에 사업승인, 인허가를 얻은 것에 대하여는 종전의 기준에 따를 수 있다.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Ⅴ. 기술기준 고시⋅공고 407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9 - 195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통상자

원부 고시) 제4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

2018-102호, 2018. 3. 9)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다.

2019. 3. 25.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일부 개정

1. 개정이유

ㅇ「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적용시 해석이 모호한 조항, 시설의 안전 보완 및


국제표준(IEC/ISO), ASME code 반영 등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
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저압전로의 절연성능을 누설전류로 확인해야 하는 경우 저항성분으로 절연성능을


확인할 수 있도록 기준을 개정함
ㅇ 1.5 kV 직류배전의 안전성과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최소한의 시설기준을 제
정하여 직류배전 설치 및 운영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함
ㅇ 태양광발전설비의 직류전로에 지락 발생 시 직류누전차단기 또는 절연감시장치
등을 이용한 차단장치를 설치 할 수 있도록 제정함
ㅇ 저압 옥내직류 전기설비의 접지에서 접지 예외 조건으로 절연감시장치 등을 설치하고
관리자가 확인 할 수 있도록 한 경우 비접지시스템이 가능하도록 제정함
ㅇ 발전설비 용접 재료의 추가, 각종 시험(기압시험, 질량분석 및 할로겐 시험)의 요건을
현장 상황에 맞게 반영하여 개정함.

이 공고는 공고한 날부터 시행한다.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408 Ⅳ. 기술기준 고시⋅공고

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2019 - 667호

전기사업법 제67조 및 같은 법 시행령 제43조, 전기설비기술기준(산업통상자

원부 고시) 제4조에 따라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산업통상자원부 공고 제

2019-195호, 2019. 3. 9) 중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ㆍ공고합니다.

2019. 11. 21.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일부 개정

1. 개정이유

ㅇ「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적용 시 전기저장장치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제·개정이 요구되는 사항을 개선·보완하려는 것임.

2. 주요내용

ㅇ 리튬이온 배터리 기반 전기저장장치의 안전성 확보 및 화재방지 대책의 일


환으로 보호 장치 설치 및 유지관리 등 신속한 산업계 적용을 위하여 관련
시설기준 일부 제·개정함

ㅇ 이 공고는 공고한 날부터 시행한다.


ㅇ 제298조 제4항 제2호 및 제3호는 시행 2년이 경과한 후 그 타당성을 검토
하여 개선 등의 조치를 한다.

※ 개정 전문은 산업통상자원부 홈페이지(www.motie.go.kr)에서 열람하실 수 있습니다.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09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11

전기설비기술기준 고시 용어해설

1. “발전소”라 함은 발전기·원동기·연료전지·태양전지 그 밖의 기계기구[비상용(非常用) 예비


전원을 얻을 목적으로 시설하는 것 및 휴대용 발전기를 제외한다]를 시설하여 전기를 발
생시키는 곳을 말한다.

[해설]
“발전소”란 발전기 및 원동기, 연료전지, 태양전지 등의 발전설비가 시설되어 있는
장소, 즉 발전소 건물이 있는 구내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단, 비상용 예비전원을 얻
을 목적으로 시설하는 빌딩, 영화관, 방송전파중계소 등의 예비전원실이나 전기용품
안전 관리법의 적용을 받는 휴대용 발전기가 설치되는 곳은 발전소로 취급하지 않
는다.
“전기기계기구”는 전로의 일부가 되는 기계기구의 총칭이지만 필요한 요건을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해 대개 다음과 같이 구별하여 사용하고 있다.
(1) 전기기계기구마다 필요한 요건에 대하여는 개별 명칭(발전기, 변압기, 피뢰기 등)
(2) 공통된 사항에 대하여는「기계기구」
(3) 조합에 의한 것에 대하여는「장치」(대상이 복수인 경우를 포함한다.)
(4) 유사 전기기계기구에 대하여는「기타의 기구」또는「기타 이와 유사한 기구」
(5) 사용 장소에 시설하는 배선기구, 소형 전동기 등에 관해서는「전기기계기구」(가정용
전기기계기구 등을 대상)

2. “변전소”라 함은 변전소의 밖으로부터 전송받은 전기를 변전소 안에 시설한 변압기·전동


발전기·회전변류기·정류기 그 밖의 기계기구에 의하여 변성하는 곳으로서 변성한 전기를
다시 변전소 밖으로 전송하는 곳을 말한다.

[해설]
“변전소”란 구외로부터 전송받은 전기를 변성하여 변성한 전기를 다시 구외로 송전
하는 장소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따라서 주상변압기의 시설장소, 공장 등의 수전설
비 등은 이 고시에서 정의하는 변전소에 포함되지 않는다. 또한, 구내란 울타리, 담
등에 의해 구분되어지고 어느 정도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지역으로 시설 관계자 이
외의 자가 자유롭게 출입할 수 없는 곳, 또는 이에 준하는 곳(예를 들면 뜰이 없는
건조물의 내부)을 말한다.
412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3. “개폐소”라 함은 개폐소 안에 시설한 개폐기 및 기타 장치에 의하여 전로를 개폐하는 곳


으로서 발전소·변전소 및 수용장소 이외의 곳을 말한다.

[해설]
“개폐소”란 전선로의 분기개소 또는 전선로의 도중에 시설되고, 개폐소 안에 개폐기 또
는 차단기를 설치하여 전로를 개폐하는 곳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수용장소”란 전기사용장소(전기를 사용하기 위한 전기설비를 시설한 건물 또는 기타 좁
은 의미의 전기를 사용하는 장소를 말한다)를 포함하는 구내 전체를 말한다.
전기적인 단위를 이루는 장소 중 “전기사용장소”란 발전소 또는 변전소, 개폐소 혹은 이
들에 준하는 장소(수전소, 배전반실 등을 말한다.)이외의 장소를 말하지만 화력발전소에
서의 서비스 룸과 같이 발전 그 자체(自体)와의 사이에 기술상의 관계가 없는 것에 관해
서는 전기 사용 장소로서 규제를 받는 것이라고 생각해야 할 것이다.
전기 사용 장소가 옥내의 경우는 그 건물을 하나의 사용 장소라고 생각하면 되지만 옥
외의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 장소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으나, 하나의 작업장으로서 마련
되어 있는 것은 그 넓이에 관계없이 하나의 사용 장소로서 생각해도 좋고 또 일반 가정
의 정원과 같은 것은 대체적으로 하나의 사용 장소라고 생각해도 된다. 수용 장소와 전
기 사용 장소의 관계는 그림과 같이 된다.

배전선로

배전선로

전 전
기 기
사 사
용 용
장 장
소 소
수용장소

4. “급전소”라 함은 전력계통의 운용에 관한 지시 및 급전조작을 하는 곳을 말한다.

[해설]
“급전소”란 전력 계통을 구성하는 발변전소, 송배전 선로 등의 전력 시설을 경제적 합리
적으로 종합 운용하기 위한 지령 즉, 발변전소의 운전, 주파수 및 전압의 조정, 전력 수
급의 조정, 송전 계통의 변경, 계통 사고 때의 복구 조작 등의 지시를 행하는 곳이다.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13

5. “전선”이라 함은 강전류 전기의 전송에 사용하는 전기 도체, 절연물로 피복한 전기 도체


또는 절연물로 피복한 전기 도체를 다시 보호 피복한 전기 도체를 말한다.

[해설]
“전선”이란 강전류 전기의 전송에 사용하는 것만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강전류 전기
란 약전류 전기에 대응하는 용어이고 약전류 전기(전신, 전화 등의 사용에 공급되는
저전압 미소전류를 말한다) 이외의 것을 말한다.
<강전, 약전의 구분>
강전류 전기란 약전류 전기에 대응하는 용어로서 강전류, 약전류의 구별을 학술적으로
명확히 정하기는 곤란하나 개념적으로 말하면 통신·전화 등에 사용되는 저전압 미소전
류의 것이 약전류 전기이며 그 이외의 것이 강전류 전기이다. 통신·전화 등의 전기회로
이외의 것으로서 다음과 같은 것을 약전류 전기회로라고 생각할 수 있다.
(1) 인터폰, 확성기 등의 음성 전송회로
(2) 고주파 또는 펄스에 의한 신호의 전송 회로
(3) 최대사용전압이 10 V 이하이고 사용 전류가 5 A를 넘지 않는 전기회로
(4) 전압의 최대치가 60 V 이하인 직류 전기회로로 제264조제1항에 규정하는 소세력 회
로에 준하는 것
(5) 전력보안통신선으로서 최대사용전압이 110 V 이하로서 단락전류가 100 mA 이하인
전기회로

6. “전로”라 함은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 전기가 통하고 있는 곳을 말한다.

[해설]
“전로”란 전기가 통하고 있는 회로의 전부 또는 일부를 가리키는 용어로서 전기가
통하고 있는 도체, 즉 전기가 통하는 길이라는 의미로서 전자기학적 관점에서 표현
한 용어이다. 전선로의 전선뿐만 아니라 옥내배선이라든가 전기기기중의 권선 기타
의 도체도 모두 전로를 구성하는 것이다. “전기가 통하고 있다”고 하는 것은 본래
그 사용목적인 전류가 흐르며, 또한 전압이 걸려 있다고 하는 의미이며, 고장시에만
전류가 흐르는 접지선이라든가 부차적으로 전위가 생기는 금구와 같은 것은 이 기
준에서 말하는 전로는 아니다. 용어정의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신설함.
414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7. “전선로”라 함은 발전소·변전소·개폐소, 이에 준하는 곳, 전기사용 장소 상호간의 전선(전


차선을 제외한다) 및 이를 지지하거나 수용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해설]
“전선로”란 발전소, 변전소, 개폐소, 전기사용장소 등 전기적인 단위를 이루는 장소
사이를 연결하는 전선과, 이것을 지지하거나 보장하는 시설물(애자, 지선 등을 포함)
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인입선은 전선로에 포함되지만 배선은 포함하지 않는다.
전기 적인 단위를 이루는 장소 중 「변전소, 개폐소와 유사한 장소」란 제32조의 규정
에 의한 특별고압 배전용 변압기의 시설 장소, 공장 구내 등에서의 변전실, 주상변압기
의 시설장소, 지중전선로의 변압탑과 같은 곳을 말한다. 또 전선로는 전선과 그것을 지
지 또는 수용하는 시설물로 이루어진다.
「수용하는 시설물」이란 지중전선로에 대해서 케이블을 넣는 암거, 관, 접속함 등을 가
리키고 있다.
전선로는 이를 그 시설 목적으로 분류하면 송전선로, 배전 선로, 급전선로 등으로 분류
할 수 있지만 송전선로와 배전선로에 대하여 규제 구별이 없으며, 따라서 그 정의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15

8. “전기기계기구”라 함은 전로를 구성하는 기계기구를 말한다.

[해설]
“전기기계기구”란 전로를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전로의 일부가 되는 기계기구를 총
칭하는 용어로서 전기기계기구를 명확히 하기 위하여 정의를 신설함.

9. “연접 인입선”이라 함은 한 수용장소의 인입선에서 분기하여 지지물을 거치지 아니하고 다


른 수용 장소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을 말한다. 여기에서 “인입선”이라 함은 가공
인입선[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부터 다른 지지물을 거치지 아니하고 수용장소의 붙임점에
이르는 가공전선(가공전선로의 전선을 말한다. 이하 같다)을 말한다] 및 수용장소의 조영물
(토지에 정착한 시설물 중 지붕 및 기둥 또는 벽이 있는 시설물을 말한다. 이하 같다)의
옆면 등에 시설하는 전선으로서 그 수용장소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을 말한다.

[해설]
“연접 인입선”이란 인입선 중 하나의 수용장소의 인입선으로부터 분기하여 지지물을
거치지 않고 다른 수용장소의 인입구에 이르는 부분의 전선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인입선”이란 가공전선로의 지지물로부터 다른 지지물을 거치지 않고 수용장소의 붙
임점에 이르는 전선 및 수용장소의 조영물 측면 등에 시설하는 전선으로서 해당 수
용가의 인입구에 이르는 전선을 총칭한 것이다. 지중을 경유해서 조영물의 측면 등
에 시설하는 것(지중 인입선)도 인입선에 포함된다. 또한 인출선이라고 하는 말은
사용되고 있지 않으나, 그와 같은 개념의 것은 인입선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해도
좋다. 여기에서 조영물이라는 것은 건축 기준법상의 건축물보다도 넓은 의미로 정
의하고 있다. 또한, 인입선과 연접 인입선의 관계는 그림과 같이 된다.

인입구
가공인입선

인입선중
옥측부분

인 입 선 연접 인입선
416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10. “전차선”이라 함은 전차에 그 동력용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접촉전선 및 강


색철도(鋼索鐵道) 차량안의 신호장치·조명장치 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접촉전선을 말한다.
11. “전차선로”라 함은 전차선 및 이를 지지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해설]
전차선 및 전차선로는 트롤리, 퓨겔 또는 팬터그라프(pantograph)가 접촉하는 전선은 물
론 지하철도에 사용되는 제3궤조(third rail), 단궤도 전기 철도(모노레일)용의 접촉 전선
등이 포함되고 기타 편의상 강색철도의 차량에 전기(동력용이 아님)를 공급하는 접촉 전
선(강색 차선)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유희용 전차에 대한 것은 포함되지 않는다.

12. “배선”이라 함은 전기사용 장소에 시설하는 전선(전기기계기구 내의 전선 및 전선로의


전선을 제외한다)을 말한다.

[해설]
“배선”이란 전기사용장소에 시설하는 전선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배선에는 전기기계
기구내의 전선 및 전선로의 전선은 포함하지 않는다.

13. “약전류전선”이라 함은 약전류 전기의 전송에 사용하는 전기 도체, 절연물로 피복한 전기


도체 또는 절연물로 피복한 전기 도체를 다시 보호 피복한 전기 도체를 말한다.
14. “약전류전선로”라 함은 약전류전선 및 이를 지지하거나 수용하는 시설물(조영물의 옥내
또는 옥측에 시설하는 것을 제외한다)을 말한다.

[해설]
약전류 전기의 전송에 사용하는 전선을 말하며, 전신, 전화나 인터폰, 확성기 등의 음성전
송회로 등과 소세력 회로의 전선 및 출퇴표시등 회로의 전선도 포함되고 있다.
소세력 회로 및 출퇴표시등 회로 : 이들은 약전류 회로는 아니나 그 전선이 기타 강전류
전기시설물과의 접근·교차 등의 경우의 취급에서 약전류 전선과 동일하게 취급함으로서 편
의상 이들을 약전류전선에 포함시켜 규정의 간소화를 도모한 것이다.

15. “광섬유케이블”이라 함은 광신호의 전송에 사용하는 보호 피복으로 보호한 전송매체를


말한다.
16. “광섬유케이블선로”라 함은 광섬유케이블 및 이를 지지하거나 수용하는 시설물(조영물의
옥내 또는 옥측에 시설하는 것을 제외한다)을 말한다.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17

[해설]
“광섬유 케이블”이란 광신호의 전송에 사용하는 전송매체로서 보호피복으로 보호한
것이다. 광섬유 케이블은 절연물이며 전자유도 및 정전유도 장애가 없고 전력선으
로부터의 통신장애도 없는 것이기 때문에 약전류 전선과는 별도로 정의하고 있다.
“광섬유 케이블선로”란 광섬유 케이블과 이를 지지하거나 수용하는 시설물을 통칭
한다.

17. “지지물”이라 함은 목주․철주․철근 콘크리트주 및 철탑과 이와 유사한 시설물로서 전


선․약전류전선 또는 광섬유케이블을 지지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해설]
“지지물”이란 목주, 철주, 철근 콘크리트주, 철탑 및 이들과 유사한 시설물로서 전선
또는 약전류 전선 등을 지지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이
다. 지선, 지주 및 전선으로부터 이격하기 위하여 건조물에 부착하는 인입선 취부금
구 등은 지지물에 포함하지 않는다. 지선 및 지주는 지지물에는 포함시키지 않고 별개
로 다룬다.

18. “조상설비”라 함은 무효전력을 조정하는 전기기계기구를 말한다.

[해설]
“조상설비“란 무효전력을 조정하는 전기기계기구를 가리키는 용어이고, 전력용 콘덴
서, 분로 리액터, 조상기가 여기에 해당한다.

19. “전력보안 통신설비”라 함은 전력의 수급에 필요한 급전·운전·보수 등의 업무에 사용되


는 전화 및 원격지에 있는 설비의 감시․제어․계측․계통보호를 위해 전기적․광학적
으로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 장치․전송로 설비 및 전원 설비 등을 말한다.

[해설]
전력계통을 구성하고 있는 발전소, 변전소, 전선로 등의 전력설비를 가장 안전하고
합리적이며 또한 경제적으로 운영하기 위하여 이들의 설비 및 기기의 운전조작을 위
한 급전지령 또는 사고복구조작 등의 지령·전달 등에 사용되는 것으로 전기사업을
영위하기 위하여 시설하는 전용의 통신설비를 전력보안통신설비라 하고 전력보안통
신설비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통신을 통틀어서 전력보안통신이라 한다.
418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2. 전기설비기술기준의 판단기준 용어해설

1. “가공인입선”이라 함은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로부터 다른 지지물을 거치지 아니하


고 수용장소의 붙임점에 이르는 가공 전선을 말한다.

[해설]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인입주)에서부터 다른 지지물을 거치지 않고 수용장소의 취부
점에 이르는 가공 부분의 전선으로서 아래 그림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은 부분을 말한
다. 또한, 인입하는 경우에 다른 가옥의 지붕 위에 인입선 취부금구(간이 지지물)를
설치해서 전선의 도중을 지지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간이 지지물 등은 지지물에 해당
하지 않기 때문에 이 경우에도 인입주로부터 취부점(붙임점)까지의 전선이 가공 인입
선이 된다.

2. “전기철도용 급전선”이라 함은 발전소 또는 변전소로부터 다른 발전소 또는 변전


소를 거치지 아니하고 전차선에 이르는 전선을 말한다.
3. “전기철도용 급전선로”라 함은 전기철도용 급전선 및 이를 지지하거나 수용하는
시설물을 말한다.

[해설]
전기 철도에 부수(附隨)되는 것으로 전기 철도의 전용 부지 내에 시설하는 경우에 일반 전
선로와 다른 규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별도로 정의하고 있다.

4. “옥내 배선”이라 함은 옥내의 전기 사용 장소에 고정시켜 시설하는 전선[전기 기


계기구 안의 배선, 관등회로(管燈回路)의 배선, 엑스선관 회로의 배선, 제151조에
규정하는 전선로의 전선, 제206조제1항, 제211조제1항 또는 제232조제1항제2호에
규정하는 접촉 전선, 제244조제1항에 규정하는 소세력회로(小勢力回路) 및 제245조
에 규정하는 출퇴표시등회로(出退表示燈回路)의 전선을 제외한다]을 말한다.

[해설]
옥내 배선은 옥내(전기 사용 장소의 옥내를 의미 하고 발전소, 변전소 등의 옥내는 포함하
지 않는다)에 고정하여 시설하는 전선이지만 기술기준의 구성의 편의를 위하여 다음의 것
은 제외하고 있다.
a 전기기계기구내의 배선(전기기계기구의 외피(外被)내의 전선 및 부분적으로 外被의 밖
으로 나오는 짧은(短小) 전선을 말한다.)
b 관등회로(제9호)의 배선
c X선 관 회로의 배선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19

d 옥내에 시설하는 전선로의 전선


e 이동하며 사용하는 전기기계기구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접촉전선
f 유희용 소형 전차용의 접촉 전선
g 소세력 회로의 전선
h 출퇴표시등 회로(60V이하, 5A이하)의 전선
“배선”이란 전기사용장소에 시설하는 전선을 가리키는 용어이다. 배선에는 전기기계
기구내의 전선 및 전선로의 전선은 포함하지 않는다.

5. “옥측 배선”이라 함은 옥외의 전기 사용 장소에서 그 전기 사용 장소에서의 전기 사용을


목적으로 조영물에 고정시켜 시설하는 전선(전기기계기구 안의 배선, 관등회로의 배선,
제206조제1항 또는 제211조제1항에 규정하는 접촉전선, 제244조제1항에 규정하는 소세
력 회로 및 제245조에 규정하는 출퇴표시등 회로의 전선을 제외한다)을 말한다.

[해설]
조영물의 외측면 또는 조영물에 인접하는 옥외에 부하 설비가 있어서 이것에 전기를 공급
하기 위한 전선을 조영물의 외측면에 고정하여 시설하는 경우는 옥측배선으로 취급된다.
전기기계기구내의 배선이 제외되어 있는 것은 전호와 같은 취지이다. 또한 옥측 전선로는
해당 전기사용장소에서의 전기의 사용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당연히
옥측배선에서 제외된다.

6. “옥외 배선”이라 함은 옥외의 전기 사용 장소에서 그 전기 사용 장소에서의 전기 사용


을 목적으로 고정시켜 시설하는 전선(옥측 배선, 전기 기계기구 안의 배선, 관등회로의
배선, 제206조제1항, 제211조제1항 또는 제232조제1항제2호에 규정하는 접촉 전선, 제
244조제1항에 규정하는 소세력 회로의 전선 및 제245조에 규정하는 출퇴표시등 회로의
전선을 제외한다)을 말한다.

[해설]
옥외에 시설하는 배선 중 옥측 배선 이외의 것으로서 전기 기계 기구내의 배선 기타 특수
배선이 제외되는 것은 옥내배선의 경우와 같다.

7. “관등회로”라 함은 방전등용 안정기(방전등 용변압기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부터 방전


관까지의 전로를 말한다.

[해설]
관등회로란 방전등용안정기 또는 방전등용변압기부터 방전관까지의 전로를 말하며, 따라
420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서 글로우 램프 등도 포함된다. 그리고 방전등용안정기라고 할 때는 방전등용변압기도 그


속에 포함되어 있다.

8. “지중관로”라 함은 지중전선로·지중 약전류 전선로·지중광섬유케이블선로·지중에 시설


하는 수관 및 가스관과 이와 유사한 것 및 이들에 부속하는 지중함 등을 말한다.

[해설]
“지중함”이라는 것은 맨홀(manhole), 핸드 홀, 監視孔과 같은 것을 가리킨다. “이와 유사
한 관” 중에는 공기관, 증기관 등이 포함된다.

9. “제1차 접근상태”라 함은 가공 전선이 다른 시설물과 접근(병행 하는 경우를 포함하며


교차하는 경우 및 동일 지지물에 시설하는 경우를 제외한다. 이하 같다)하는 경우에 당
해 가공 전선이 다른 시설물의 위쪽 또는 옆쪽에서 수평거리로 가공 전선로의 지지물
의 지표상의 높이에 상당하는 거리 안에 시설(수평거리로 3m미만인 곳에 시설되는 것
을 제외한다)됨으로서 가공 전선로의 전선의 절단, 지지물의 도괴 등의 경우에 그 전선
이 다른 시설물에 접촉할 우려가 있는 상태를 말한다.
10. “제2차 접근상태”라 함은 가공 전선이 다른 시설물과 접근하는 경우에 그 가공 전
선이 다른 시설물의 위쪽 또는 옆쪽에서 수평 거리로 3m미만인 곳에 시설되는 상태
를 말한다.
11. “접근상태”라 함은 제1차 접근 상태 및 제2차 접근 상태를 말한다.

[해설]
접근상태라는 것은 가공 전선이 다른 시설물의 상방 또는 측방에서 접근하는 경우의 상태
를 정의한 것으로서 다른 시설물의 하방에서 접근하는 경우는 포함하고 있지 않다. 접근
상태를 제1차 접근상태, 제2차 접근상태, 접근상태로 정의하고 있는 것은 가공 전선과 다
른 시설물이 접근 또는 교차하는 경우의 규제를 다른 시설물과의 관계위치별, 대상물 별
로 규제함에 따라 규정 조문이 복잡하게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21

12. “이격거리”라 함은 떨어져야할 물체의 표면간의 최단거리를 말한다.

[해설]
이격거리는 떨어져야할 거리로 예상되는 기상조건에 의한 전선위치의 변화도 고려하여야
하며 경간이 길고 이도가 큰 전선로의 경우 다른 물체와의 이격은 바람 등에 의한 진동은
물론이고 또한 다른 시설물(접근 대상물)이 요동하는 것이라면 그 요동 등도 고려하여야
한다.

A : 이도가 최소로서 무풍상태의 전선위치


B : 이도가 최대로서 무풍상태의 전선위치
C : 이도가 최대로서 최대로 흔들린 전선위치

A‾D : 거리

C‾D : 이격거리

근 ‾
F‾D : 수평거리
대 ‾
E‾D : 수평이격거리
상 ‾
A‾F : 수직거리


B‾F : 수직이격거리

B‾G : 높이

※ 단지 “거리”라고 하는 경우는 접근한계를 표시하는 경우에 사용(제2조제25호, 26


호)되며 소위「떼어놓지 않으면 아니 된다」라고 하는 의미가 아님.

<판단기준 제79조 제4항 <가공전선과 건조물의 조영재 사이의 이격거리 산정방법>


전기설비기술기준 제91조제1항제2호의 규정에 의한 가공전선과 건조물의 조영재 사이의 이
격거리 산정방법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수직이격거리는 건조물의 조영재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떨어져야할 거리, 수평이격거리
는 수평방향으로 떨어져야할 거리를 말하며 이격거리의 관계는 다음 [그림1]과 같다.

수직이격거리(V)
측상방 또는
측하방 에서의
이격거리

접근 대상물 수평이격거리(H)

[그림 1] 건조물 수직단면에서의 이격거리 관계


422 Ⅴ. 기술기준 용어 해설

2. 측상방 또는 측하방에서의 이격거리 적용범위는 건조물의 조영재 모서리에서 수직


이격거리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호와 수평이격거리의 수직연장선과 교차하는 점을
연결하는 사선이 이루는 영역으로 하고, 이 사선과 수평이격거리의 수직연장선이 이
루는 영역은 그림 2와 같이 수평이격거리 적용범위로 한다. 다만, 수평이격거리가
수직이격거리보다 클 경우에는 수직이격거리와 수평이격거리를 바꾸어 적용한다.

T T

V V
H V

T H T

건조물
H H

T V V T

[그림 2] 측상방 및 측하방에서의 이격거리 적용범위

물체에 대한 용어

물체 시설물 조영물 건조물 주택

천연물체 기타 시설물 기타 조영물 기타장소

■ 시설물과 건조물 등과의 관계


ㅇ 시설물 : 인공(人工)의 것 모두를 가리키며, 식물이라든가 암석 등 천연적으로 존재하
는 것 이외의 모든 물체를 말한다.
ㅇ 조영물 : 토지에 정착한 시설물 중 지붕 및 기둥 또는 벽이 있는 시설물을 말한다(제
2조제8호)
ㅇ 건조물 : 사람이 거주 또는 근무하거나 빈번히 출입하거나 모이는 조영물을 말한다
(제151조제1항)
Ⅵ. 기술기준 용어 해설 423

⇒ 조영물 중 특히 사람이 살고 있는 곳, 사람이 원칙적으로 매일 근무하며, 일정시간


일을 하는 곳, 사람이 빈번히 출입하는 곳, 혹은 집합하는 곳.

(건조물로 간주되는 예)
1. 거주자의 유무 및 이용률 여하에 관계없이 집회목적으로 세워진 건물, 공회당, 집
회소 등
2. 주거, 공장 등과 연결한 창고, 축사, 차고, 옥외 화장실 등
3. 주거, 공장 등과 밀접하지 않은 창고라도 사람이 빈번히 출입하는 것

(건조물로 간주하지 않는 것의 예)
1. 상시근무자가 없고 필요시 순시하거나, 또는 월 수회정도의 임시작업을 하는 물레
방아간, 양어장의 감시소, 기계운전소 등
2. 사람의 근무 또는 출입에 관계없는 공중전화박스, 군인초소, 소규모의 공중화장실

3. 사람이 근무하지 않고 이용자가 적은 버스의 간이 대합실
4. 사람이 주재하지 않으며 제례시만 사용하는 사당 등
5. 지하실
6. 주거와 접속되지 않은 창고, 축사, 화장실(공중화장실 제외), 간단한 차고나 주차장 등

ㅇ 상부조영재 : 지붕․챙(차양 : 遮陽)․옷 말리는 곳 기타 사람이 올라갈 우려가 있는


조영재
ㅇ 기타조영재 : 상부조영재 이외의 조영재
Ⅶ. 기술기준 교육 및 도서 안내 425

Ⅶ. 기술기준 교육 및 도서
Ⅶ. 기술기준 교육 및 도서 안내 427

2021년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KEC 해설교육 안내

산업통상자원부 고시로 운영 중인 전기설비기술기준(판단기준)과 기술기준의 상세


시공방법을 규정한 내선규정에 대한 해설(전기사업법 제67조⋅제98조 제4항, 동법
시행령 제43조⋅제62조 제5항) 및 발전시설 내진설계/성능평가 실무 교육
□ 교육일정
인원 교육비
구분 과정명 교 육 일 정1) (명) (원)
04.28(수) ~ 04.30(금) 30
전기설비기술기준 및 06.16(수) ~ 06.18(금) 30
일반
KEC 해설(전기분야) 09.08(수) ~ 09.10(금) 30
11.10(수) ~ 11.12(금) 30
저압과 고압·특고압 건축물 05.26(수) ~ 05.28(금) 20
심화A
접지 및 피뢰시스템 기준과 설계 08.25(수) ~ 08.27(금) 20 집체교육 및
과전류·감전 보호 및 전선 06.02(수) ~ 06.04(금) 20 온라인 교육
심화B 병행 예정
허용전류 기준과 설계 10.13(수) ~ 10.15(금) 20
전기저장장치 및 태양광 05.12(수) ~ 05.14(금) 20 (교육비 미정2))
심화C
발전설비의 기준과 사고관리 10.27(수) ~ 10.29(금) 20
5.7(금) 20
내진A 건축전기설비 내진설계
10.01(금) 20
발전시설 내진설계 및 06.30(수) ~ 07.02(금) 20
내진B
성능평가 11.24(수) ~ 11.26(금) 20

1) 교육일정은 협회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사전확인 요망


2) 집체교육 및 온라인교육 병행에 따라, 교육비 연내(’20) 산정 후 홈페이지 등 재안내 예정

□ 신청방법
◦ 대한전기협회 홈페이지(http://kec.kea.kr)에서 온라인신청

□ 교육장소
◦ 서울특별시 송파구 중대로 113 전기회관, 대한전기협회 14층
□ 수료증 발급
◦ 지자체 공무원 상시학습 교육인정 : 교육수료시간
◦ 한국기술사회 교육학점 인정 : 1.0학점/1시간당(80% 출석시 수료)
□ 접수 및 문의
◦ 기술기준처 사업전략팀(02-2223-3673, [email protected])
428 Ⅶ. 기술기준 교육 및 도서 안내

대한전기협회 기술기준처 발행도서

접지시스템 설계방법에 건축전기설비 정착부 피뢰시스템


내선규정(2019)
관한 기술지침(2019) 내진설계 및 시공지침(2019) 가이드(2018)
전기기계기구 및 전기설비의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의 지진발생 시 내진특성을 독일 VDE의 가이드를 번
전기적 안전 확보를 위해 설 접지시스템 적용, 시설방법 고려하여 건축전기설비의 역 발간한 도서로 DIN EN
계, 시공, 검사 시 지켜야 할 등의 기술적 사항을 규정한 성능 확보를 위한 내진설계 62305 시리즈를 기초로 한
기술적 사항 기술 지침 및 시공방법 국제표준 해설서
정가 : 80,000원 정가 : 25,000 정가 : 35,000 정가 : 50,000원

감전 및 과전류보호 감전 및 과전류보호 배선설비의 설계 및 비상전원 겸용


설계방법에 관한 설계방법에 관한 공사방법에 관한 전기저장장치 시설에
기술지침(2019) 기술지침 부록(2020) 기술지침(2019) 관한 기술지침(2018)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의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의 한국전기설비규정(KEC)의 전기저장장치가 비상부하
감전, 과전류보호 등에 대 감전, 과전류보호 등에 대 저압배선설비 공사방법과 설 및 상용부하 등에 전원을
한 보호에 대하여 기술적 사 한 보호에 대하여 기술적 계에 대하여 기술적 사항을 공급하기 위하여 기술적
항을 규정한 지침 사항을 규정한 지침 부록 규정한 지침 사항을 규정한 지침
정가 : 30,000원 정가 : 30,000원 정가 : 20,000원 정가 : 15,000원

□ 구매방법
◦ 대한전기협회 홈페이지(www.kea.kr) 열린광장 내 발행도서에서 구매
□ 구매문의
◦ 기술기준처 사업전략팀 도서담당자 TEL(02-2223-3675), E-Mail([email protected])
2020년

전기설비기술기준 질의․회신 사례집

2002년 10월 초판발행


2003년 10월 2판 발행
2004년 10월 3판 발행
2005년 9월 4판 발행
2007년 10월 5판 발행
2008년 11월 6판 발행
2009년 11월 7판 발행
2010년 11월 8판 발행
2011년 11월 9판 발행
2012년 11월 10판 발행
2013년 12월 11판 발행
2014년 11월 12판 발행
2015년 11월 13판 발행
2016년 11월 14판 발행
2017년 11월 15판 발행
2018년 11월 16판 발행
2019년 11월 17판 발행
2020년 11월 18판 발행

편 저 : 사단법인 대한전기협회
발 행 일 : 2020. 11.
발 행 처 : 대한전기협회
서울 송파구 중대로 113(가락본동 79-2)
전화 : 02-2223-3711
FAX : 02-2223-3719
URL : www.kea.kr

You might also 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