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국가로 가는 길에 시대에 맞지 않는 낡은 규제가 발목을 잡고 있다. 그러나, 발목 잡는 규제양산의 책임은 오로지 정부에 있는가? 우리 시민들의 마음 속에 확고히 자리잡은 규제중독이 그 원인이라고 본다. 인공지능 플랫폼의 시대, 코드가 규제집행을 대신한다. 관치중독, 규제중독에서 벗어나 자유시민의 시대를 열자.
35. 서론
한국 경제의 핵심 구성원으로 성장한 벤처
유니콘 숫자로 본 한국 벤처의 글로벌 위상
Note: 홍콩 유니콘 기업 4개는 중국에 포함
Source: CB Insights
2019년 6월 기준 국가별 유니콘 기업 숫자
36. 혁신적 벤처 사업 모델의 시장 진입이 어려운 환경
글로벌 상위 100대 선도 업체* 한국 규제 저촉성 분석
본론 1.
진입 규제
포함 기업 예시누적 투자액 기준 한국 규제 저촉 사업 비중
13개
44개
43개
13개
18개
69개
제한적
가능
가능
불가능
~53%
1
* TechCrunch 기준 ‘17년 7월 ~ ‘19년 6월 중 글로벌 벤처 중 상위 투자 업체 100개 (IPO 및 M&A를 통해 회수한 업체 제외)
Source: TechCrunch; 법무법인 린 테크앤로 부문
주 변 까 지 침 투 해
들 어 오 는
글 로 벌 기 업 들
57. 4차산업혁명시대 규제의 변화
● 거대 플랫폼의 공습
● 정부역할의 축소
● 법률분쟁의 감소
● 스마트컨트랙트
● 인공지능 법정
● 스마트시티는 자율도시
● 국내규제로 보호받기 어려움
● 민간자치, 사이버윤리의 시대
● 인공지능으로 분쟁의 사전예방
● Code 가 지배하는 사회
● Samantha가 시키는대로!
● 서비스를 지배하는 자가 국부 지배
58. 플랫폼기업이 데이터를 장악해 국부를 지키게 하자
● 거대 플랫폼의 공습시대
● 승자독식, 대마불패
● 데이터주권은 국가주권
● 제조, 물류, 유통 수직계열화
● 데이터경제로 신속한 전환
● 맞서싸울 국부의 댐이 필요
● 대기업, 중소기업, 스타트업의
연합전선
● 소비자, 기업데이터 지킴이
● 플랫폼을 장악으로 수호
● 데이터의 사회적 가치 구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