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 2015, Amazon Web Services, Inc. or its Affiliates. All rights reserved.
알파유저를 위한
아마존 웹 서비스 활용법
클라우드 서비스로의 발걸음 – 둘째날
여러분께 매우 유용한 정보가 될 것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개발자나 엔지니어는 아니지만,
작은 웹 사이트나 블로그를 운영하는 알파유저라면
본 세션을 통해 아실 수 있는 것:
1.  클라우드 서비스의 개념과 AWS 서비스 소개
2.  AWS 가입 및 요금 알람 설정
3.  AWS 사용자 설정 및 온라인으로 쉽게 저장하고 공유하는 방법
4.  간단한 정적 웹 사이트를 운영하는 방법
5.  서버에 대한 지식 없이도 WordPress 웹 사이트 운영 방법
6.  글로벌 웹 서비스를 손쉽게 하는 방법
7.  쉽게 동영상 인코딩이나 대량 이메일 전송을 하는 방법
복습해 볼까요?
•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  AWS에서 리전/가용영역/엣지란?
•  AWS 관리 콘솔이란?
•  AWS 빌링 알림은 무엇인가?
•  Amazon CloudWatch란?
우리가 배울 첫 AWS 서비스는?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모든 AWS는 S3로 통한다!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
(S3)
•  2006년에 출시된 최초 AWS 서비스
•  객체 기반의 무제한 파일 저장 스토리지
•  URL을 통해 손쉽게 파일 공유 가능
•  99.999999999% 내구성
•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서비스 가능
Amazon S3 성장세
2012 2013 2014
매년 102% 데이터 전송량 증가
(Q4 2014 vs Q4 2013, not including Amazon use)
2,000,000,000,000 – S3 전체 파일 갯수 (2013년 4월 시점)
400,000,000,000 – 우리 은하 내 별의 갯수
13,500,000,000 – 중국 인구수
[2주차] 알파유저를 위한 AWS 스터디
Amazon S3 시작하기
Amazon S3에 첫화면에서
버튼을 누릅니다.
도움말: 버킷(Bucket)이란?
아이스버킷 챌런지에서 얼음이 든 양동이
를 뒤집어 쓰던 IT업계 CEO들을 기억하
십니까? 네… 바로 그 “양동이”입니다.
파일을 담는 폴더 개념으로
옆 아이콘이 버킷입니다.
단계 1. 버킷 생성하기
원하는 버킷이름을 선택합니다.
버킷 이름은 도메인 네임처럼 누가 미리 가지
고 있을 수 있으니, 독특한 것으로 합니다.
파일이 저장될 리전(Region)을
선택합니다.
우리는 가까운 동경을 선택합니다.
도움말
Amazon S3에서 저장되는 파일은 어느
리전을 선택하더라도 모든 버킷과 파일이
한 곳에 모여서 나옵니다. 따라서, S3는
오른쪽 상단의 리전 위치를 선택할 필요
는 없습니다.
단계 1. 버킷 생성하기
Action을 누르면, 버킷을 생성/삭
제/비우기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버킷은 파일의 종류를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
되며, 폴더처럼 한꺼번에 지우거나 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버킷을 없애려면 버킷내
파일을 모두 삭제해야만 가능합니다.
도움말
Amazon S3는 객체(Object) 저장소입
니다. 즉, 특정 객체만 담는 저장소입니다.
버킷은 폴더처럼 보이지만 단순히 파일 종
류를 구분해 주는 용도로 사용자 편의상
폴더 인터페이스로 보입니다.
단계 2. 파일 업로드 하기
버킷 내에서 폴더를 만들 수도 있고,
파일을 업로드할 수도 있습니다.
Upload를 눌러 새로운 파일을 올려 볼까요?
도움말
오른쪽 상단의 None을 누르면, 목록만
보이며, Properties를 누르면 속성 정보
그리고 Transfers를 누르면 파일 전송
상태를 볼 수 있습니다.
단계 3. 파일 정보 보기
파일을 선택하고 “Actions”를 누
르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
습니다. “Make Public”을 누르
면, 누구나 Link 주소로 접속가능
합니다.
열쇠 아이콘은 비공개, RSS아이콘이면 공개입니다.
도움말
Amazon S3의 모든 객체는 정해진
URL을 가지며,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비공개 상태로 파
일이 저장되며, 공개를 하거나 또는 특정
인 혹은 앱에게만 선별적으로 공개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https://s3-ap-northeast-1.amazonaws.com/channys3/AWS_EURORA.jpg
https://channys3.s3-ap-northeast-1.amazonaws.com/AWS_EURORA.jpg
두가지 링크 주소:
단계 4. 파일 업로드 프로그램
https://cyberduck.io/ https://s3browser.com
내 PC에서 손쉽게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앗! ID와 암호는 어떻게?
Access Key와 Secret Access Key를 필요로 합니다!
여러분 PC는 안전하십니까?
•  여러분의 PC에는 “관리
자”와 “일반 사용자”가 있
습니다.
•  “일반 사용자”는 특정 권
한만 가지고 있습니다.
•  만약, 모든 사람이 “관리
자” 권한을 가지고 있으면
PC 보안에 취약합니다.
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IAM)
•  AWS 사용자 및 그룹을 만들고 관리 가능
•  각 AWS 서비스 및 자원별 사용 권한 지정
•  역할 및 정책을 통해 손쉽게 자세한 권한 관리
•  기업내 사용자 관리 시스템과도 연동 지원
•  오프라인 기기(MFA)를 통한 인증 가능
[2주차] 알파유저를 위한 AWS 스터디
AWS IAM 시작하기
Amazon S3에 접근 가능한 사용
자를 생성하고, S3 클라이언트 프
로그램으로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의 Access Key와 Secret을 얻
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움말
AWS IAM을 잘 활용하면, 여러분은 안
전하게 AW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
다. 특히 IAM 첫화면 중앙의 다섯 가지
“Security Status”를 눈여겨 보시고
모든 항목이 체크가 되게 하세요.
AWS의 다섯 가지 보안 팁
1.  루트 Access Key를 만들지도 쓰지도 맙시다!
§  블로그나 책에 루트 AccessKey를 생성하는 예제 조심
2.  오프라인 기기 혹은 앱 인증을 꼭 사용합시다!
§  중요 서비스일 경우, 꼭 모바일 앱 혹은 일회용 암호 생성기 이용
3.  IAM 사용자를 생성하고 필요한 권한만 주세요!
§  최소한의 권한을 주면 보안 위험도 낮아짐
4.  IAM 그룹 생성을 통해 권한을 관리하세요!
§  그룹을 통해 개발자, 관리자, 운영자 권한을 세분화
5.  암호 생성 조건을 꼭 설정하세요!
§  탈취당하기 쉬운 암호 보다 좀 더 복잡한 암호를…
단계 1. IAM 사용자 생성
“Users”를 선택하고 “Create
New Users”를 선택하면, 5개까
지 일괄적으로 아이디를 만들 수
있습니다. S3 사용만 가능할 ID인
“s3channy”를 만듭니다.
도움말
아이디 생성 시 “Generate an access
key for each user”를 체크하면, 각 사
용자별로 랜덤 영문/숫자로 된 Access
Key와 Secret을 만들 수 있습니다. S3
접속 프로그램 및 API 플러그인 사용등
에 사용 가능합니다.
단계 2. 사용자 Credential 정보 받기
도움말
Access Key와 Secret는 마치 임시 아이디와 암호와
같습니다. 따라서, 외부에 절대로 노출하거나 알려주시면
안됩니다. 혹시라도 노출이 되었다면, 사용자 관리 화면에
서 지우고 새로 만드실 수 있습니다.
단계 3. 사용자 권한 지정
생성된 사용자를 선택하면, 그룹
추가, 권한 정책 설정, 키 관리, 암
호 관리 등을 하실 수 있습니다.
S3 접근 권한 관리를 위해
Attach Policy를 선택합니다.
도움말
아이디 생성 시 “Generate an access
key for each user”를 체크하면, 각 사
용자별로 랜덤 영문/숫자로 된 Access
Key와 Secret을 만들 수 있습니다. S3
접속 프로그램 및 API 플러그인 사용등
에 사용 가능합니다.
단계 4. 사용자 정책 검색 및 추가하기
도움말
AWS 서비스에 대해 미리 만들어진 다양한 사용자 권한
정책들이 나타납니다. S3 업로드를 해야 하므로, 우리는
AmazonS3FullAccess 권한을 선택합니다. 자! 이제 S3
클라이언트로 업로드를 해보실 수 있습니다.
이제 S3에 파일을 업로드 해봅시다!
이제 여러분은 일년간 사용할 수 있는 5GB짜리 무료 저장소가 생겼습니다.
Amazon S3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여러분의 버킷은 단순히 파일 저장
뿐만 아니라 간단한 웹 사이트 호
스팅도 가능합니다. 이벤트 페이지
나 간단한 개인 홈페이지를 서버
설정 없이도 제공 가능합니다.
도움말
버킷 Properties에서 “Static Web
Site Hosting”을 선택하고 Enable을
시킵니다. 첫화면을 보여줄 index.html
을 지정하면 됩니다. URL 접속시 바로 홈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모든 파일은 공개
상태여야 합니다.
Tip1. 버킷 공개 정책 추가
{!
!"Version": "2012-10-17",!
!"Statement": [!
! !{!
! ! !"Sid": "PublicReadGetObject",!
! ! !"Effect": "Allow",!
! ! !"Principal": "*",!
! ! !"Action": "s3:GetObject",!
! ! !"Resource": "arn:aws:s3:::channyblog/*"!
! !}!
!]!
}!
파일이 비공개 상태인 경우, 전체 공개 정책을
추가하여 일괄 처리할 수 있습니다.
Tip2. qwikLABS에서 무료 S3 실습
https://qwiklab.com/focuses/preview/1170
Tip3. S3 관련 유용한 문서
•  S3 사용자 문서
•  http://docs.aws.amazon.com/ko_kr/AmazonS3/latest/gsg/
GetStartedWithS3.html
•  S3 콘솔 사용 설명서
•  http://docs.aws.amazon.com/ko_kr/AmazonS3/latest/UG/Welcome.html
•  S3 개발자 문서
•  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onS3/latest/dev/Welcome.html
•  S3 Browser 정적 웹 호스팅 설명 문서
•  http://s3browser.com/how-to-host-static-website-on-amazon-s3.php
이제 여러분은
무제한 웹 페이지 호스팅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간단한 랜딩 페이지, 이벤트 웹 페
이지를 제공하기 위해 서버 호스팅
을 쓰시나요? Amazon S3로 서
버 없이도 예상치 못한 대량 트래픽
을 감당할 수 있습니다.
도움말
혹시 여러분이 Jekyll 같은 정적 블로그 도
구를 사용하신다면, 손쉽게 S3에 업로드함
으로서 쉽게 블로그 사이트 운영도 가능합
니다.
여러분의 홈페이지는 여전히 동경에…
AP-NORTHEAST
(Tokyo)
CHINA (Beijing)
11 리전 Regions
30 가용영역 Availability Zones
53 엣지 Edge
그러나,
Amazon CloudFront
를 활용하면, 여러분의 홈
페이지를 더 빠르게 한국
혹은 전세계 고객에게 전
달할 수 있습니다.
Amazon CloudFront
•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더
빠른 접속 속도 제공
•  정적/동적 콘텐츠 캐싱 및 가속
•  서버의 부하 분산
•  콘텐츠 보안
§  HTTP/HTTPS 서비스
§  Signed URL, Signed Cookie
•  다양한 통계 및 API 호출 감사
ResponseTime
ServerLoad
ResponseTime
Server
Load
ResponseTime
Server
Load
No	
  CDN	
   CDN	
  for	
  
Sta+c	
  
Content	
  
CDN	
  for	
  
Sta+c	
  &	
  
Dynamic	
  
Content	
  
Amazon CloudFront 시작하기
Amazon CloudFront는 정적 콘
텐츠를 사용자 가까운 곳으로 전송
하여 더 빠르게 이용하도록 도와 주
는 서비스입니다. “Create
Distribution”을 눌러 시작합니다.
도움말
Amazon CloudFront는 의외로 간단하
고 사용하기가 쉽습니다. S3 버킷만 설정
되어 있다면, 쉽게 콘텐츠 배포가 가능합
니다.
단계 1. 배포 방식 결정
콘텐츠 배포 방식은 “Web”을 선택
합니다. 미디어 파일이나 html,
css, js와 같은 정적인 콘텐츠 뿐
만 아니라 동적인 콘텐츠의 가속
기능도 제공합니다.
도움말
RMTP는 동영상 파일을 스트리밍으로
전달할 때 유용합니다. 여러분이 영상 파
일을 Adobe 플래시의 스트리밍 방식으
로 제공할 경우, S3에 미디어 파일을 담
고 선택 하시면 됩니다.
단계 2. 소스 위치 및 배포 위치 결정
배포할 소스가 위치한 S3 버킷을
선택하고, 배포할 위치를 선택합니
다. 엣지 위치는 세 가지 중에 선택
가능하며 금액에 차등이 있습니다.
소스 위치는 S3 버킷 뿐만 아니라 웹 사이트
로드 밸런싱도 선택 가능합니다.
도움말
Origin Domain Name에는 AWS 서비
스 뿐만 아니라 여러분의 외부 웹 사이트
에 대한 콘텐츠 배포도 가능합니다. 즉,
국외에 더 빠르게 전송을 하기 위한 도메
인을 별도로 세팅하실 수도 있습니다.
단계 3. 배포 확인 및 정보 수정
배포가 완료되면 “Deployed” 및
“Enabled” 표시가 됩니다. 이 때,
xxxx.cloudfront.net 형식의
URL을 입력하면 확인 가능합니다.
ID값을 누르시면, 각 설정 정보에 대한
변경을 손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도움말
*.cloudfront.net 으로 설정된 도메인
을 원하는 방식으로 바꾸고 싶으시면, 도
메인 네임 서비스 설정에서 CNAME 변
경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dn.creation.net 을 CloudFront 배
포 지점으로 지정 가능합니다.
이제 여러분은 전세계를 대상으로
무제한 웹 페이지 호스팅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간단한 랜딩 페이지, 이벤트 웹 페
이지를 제공하기 위해 서버 호스팅
을 쓰시나요? Amazon S3로 서
버 없이도 예상치 못한 대량 트래픽
을 감당할 수 있습니다.
도움말
혹시 여러분이 Jekell 같은 정적 블로그 도
구를 사용하신다면, 손쉽게 S3에 업로드함
으로서 쉽게 블로그 사이트 운영도 가능합
니다.
Tip. CloudFront 관련 유용한 문서
•  CloudFront 요금 설명서
•  https://aws.amazon.com/ko/cloudfront/pricing/
•  CloudFront 자주 묻는 질문(FAQ)
•  https://aws.amazon.com/ko/cloudfront/faqs/
•  CloudFront 개발자 문서
•  http://docs.aws.amazon.com/ko_kr/AmazonCloudFront/latest/
DeveloperGuide/Introduction.html
Amazon Route 53
•  손쉽게 이용 가능한 도
메인 네임 관리 서비스
•  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
난 클라우드 DNS
•  동적으로 사용자에게 노
출될 DNS 레코드 타입
과 값 조정
•  다양한 로드밸런싱 기능
지원
Amazon
Route 53
OK FAIL10ms 100ms99% 1%한국 미국Tokyo Singapore
Amazon Route 53 시작하기
도메인 등록 부터 관리 및 서비스 품질 체크도 가능합니다!
단계 1. 기존 도메인 이전
“Create Hosted Zone”을 선택
한 후, 관리를 위한 도메인 명을 입
력하고 “Create”를 선택합니다.
Public Hosted Zone을 선택하면 공개된
도메인명을 Private을 선택하면 사설망 내에
서 사용 가능합니다.
도움말
기존 도메인명을 옮겨오시기 위해서는
Hosted Zone을 생성하고, 모든 도메인명
레코드를 입력한 후, 등록 업체에서 네임 서
버를 변경하시면 바로 적용됩니다. 외부 서
버에 있는 경우도 가능합니다.
단계 2. 네임 서버 설정
“NS”라고 적힌 4개의 서버명은
본 도메인 네임에 대한 네임서
버입니다. 도메인 등록업체에
네임서버로 등록하면 됩니다.
Route53에서 직접 도메인을 구매하시
면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도움말
Route 53에서는 다양한 라우팅 정책으
로 서버의 부하 분산이 가능합니다. 글로
벌 서비스를 준비하신다면, 사용자의 위치
와 트래픽에 따라서 손쉽게 분산이 가능
합니다.
단계 3. CNAME 설정하기
이전에 만든 CloudFront 연결
페이지를 실제 도메인에 연결하
려면, Name에 원하는 호스트명
을 적고 “CNAME”을 선택한 후,
클라우드프론트 생성 서버명을
입력하고 Create를 누릅니다.
도움말
xxx.cloudfront.net 뿐만 아니라
앞에서 다루었던 S3 정적 웹 사이트의
xxx.region.amazonaws.com 또한
CNAME을 통해 자체 도메인명으로 서
비스 가능합니다. 이 기능은 기존 DNS 서
비스업체에서도 제공하기도 합니다.
Tip. 도메인 구매 및 이전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도메인 등록 부터 이전도 가능합니다.
[2주차] 알파유저를 위한 AWS 스터디
오늘의 과제
•  Amazon S3를 이용해 개인 홈페이지를 만드세요!
§  CodeAcademy에서 홈페이지 만들기 배우기
•  https://www.codecademy.com/en/tracks/korean-web
•  https://www.codecademy.com/en/tracks/javascript-ko
•  여러분의 홈페이지를 CloudFront로 연결해 보세요!
•  CloudFront 주소를 나의 도메인으로 연결해 보세요!
•  Qwiklabs에서 무료 실습을 해보세요!
§  Amazon S3 https://qwiklab.com/focuses/preview/1170
§  AWS IAM https://qwiklab.com/focuses/preview/1579
§  Amazon CloudFront https://qwiklab.com/focuses/preview/1389
Q: 어디서 공부해야할까요? 
생활 코딩: AWS편-
https://opentutorials.org/
course/608/3002
아마존 웹서비스를
다루는 기술 (이재홍)
http://pyrasis.com/book/
TheArtOfAmazonWebServices
AWS 한국 사용자 모임
(페이스북 그룹)
http://awskr.org
Q: 어디서 공부해야할까요? 
AWS 스터디 모임-
https://studysearch.co.kr/product/theme/25/
AWSKRUG 이벤트
http://awskr.org
다음 시간에는…
여러분의 피드백을 기다립니다!
•  공식 블로그: http://aws.amazon.com/ko/blogs/korea
•  한국어 공식 소셜 미디어
@AWSKorea
AmazonWebServices
AWSKorea
AWSKorea ‘좋아요’ 눌러주세요!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20)

PDF
AWS 클라우드를 통해 최소기능제품(MVP) 빠르게 개발하기 - 윤석찬 테크 에반젤리스트, AWS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AWS Builders] AWS와 함께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및 개발] 현대적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AWS 컨테이너 활용사례 및 주요 도구 알아보기 - 정영준, AWS 솔루션...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AWS Builders Online Series | AWS와 함께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 강철, AWS 어카운트 매니저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강의 2: AWS 핵심 서비스:: AWSome Day Online Conference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AWS와 함께하는 스타트업의 성장곡선 (윤석찬)- 클라우드 태권 2015
Amazon Web Services Korea
 
PPTX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개발 워크플로우 자동화 (CI/CD) - 김필중:: AWS 현대적 애플리케이션 개발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천만사용자를 위한 AWS 클라우드 아키텍처 진화하기 – 문종민, AWS솔루션즈 아키텍트:: AWS Summit Online Korea 2020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20분안에 스타트업이 알아야하는 AWS의 모든것 - 윤석찬 :: 스타트업얼라이언스 런치클럽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컨테이너, AWS에서 날개를 달다 - 유재석, AWS 솔루션즈 아키텍트 :: AWS Game Master 온라인 세미나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데이터베이스 운영, 서버리스로 걱정 끝! - 윤석찬, AWS 테크에반젤리스트 - AWS Builders Online Series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클라우드에서 구축하기 - 정도현, AWS 테크니컬 트레이너 :: AWSome Day 온라인 컨퍼런스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보안 - 장기웅, AWS 테크니컬 트레이너 :: AWSome Day 온라인 컨퍼런스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프리티어 서비스부터 계정 보안까지 - 조아름 AWS 매니저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AWS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를 위한 TIP - 임성은 AWS 매니저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클라이드 네이티브 기반 Twelve Factor 앱 개발 - 윤석찬, AWS 테크에반젤리스트 :: AWS Summit Online Kore...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AWS Media Symposium 2019] 고객사례 | SBS Web Service Cloud Migration Process - 김...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AWS로 사용자 천만 명 서비스 만들기 (윤석찬)- 클라우드 태권 2015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2017 AWSome Day Online Conference - 강의 1. AWS 소개 및 AWS의 역사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Games on AWS 2019] AWS 사용자를 위한 만랩 달성 트랙 | AWS 최적화 사용을 위해 운영자가 아닌 개발자들이 해야 할 ...
Amazon Web Services Korea
 
AWS 클라우드를 통해 최소기능제품(MVP) 빠르게 개발하기 - 윤석찬 테크 에반젤리스트, AWS
Amazon Web Services Korea
 
[AWS Builders] AWS와 함께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Amazon Web Services Korea
 
[애플리케이션 현대화 및 개발] 현대적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AWS 컨테이너 활용사례 및 주요 도구 알아보기 - 정영준, AWS 솔루션...
Amazon Web Services Korea
 
AWS Builders Online Series | AWS와 함께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 강철, AWS 어카운트 매니저
Amazon Web Services Korea
 
강의 2: AWS 핵심 서비스:: AWSome Day Online Conference
Amazon Web Services Korea
 
AWS와 함께하는 스타트업의 성장곡선 (윤석찬)- 클라우드 태권 2015
Amazon Web Services Korea
 
서버리스 애플리케이션 개발 워크플로우 자동화 (CI/CD) - 김필중:: AWS 현대적 애플리케이션 개발
Amazon Web Services Korea
 
천만사용자를 위한 AWS 클라우드 아키텍처 진화하기 – 문종민, AWS솔루션즈 아키텍트:: AWS Summit Online Korea 2020
Amazon Web Services Korea
 
20분안에 스타트업이 알아야하는 AWS의 모든것 - 윤석찬 :: 스타트업얼라이언스 런치클럽
Amazon Web Services Korea
 
컨테이너, AWS에서 날개를 달다 - 유재석, AWS 솔루션즈 아키텍트 :: AWS Game Master 온라인 세미나
Amazon Web Services Korea
 
데이터베이스 운영, 서버리스로 걱정 끝! - 윤석찬, AWS 테크에반젤리스트 - AWS Builders Online Series
Amazon Web Services Korea
 
클라우드에서 구축하기 - 정도현, AWS 테크니컬 트레이너 :: AWSome Day 온라인 컨퍼런스
Amazon Web Services Korea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보안 - 장기웅, AWS 테크니컬 트레이너 :: AWSome Day 온라인 컨퍼런스
Amazon Web Services Korea
 
프리티어 서비스부터 계정 보안까지 - 조아름 AWS 매니저
Amazon Web Services Korea
 
AWS 클라우드 비용 최적화를 위한 TIP - 임성은 AWS 매니저
Amazon Web Services Korea
 
클라이드 네이티브 기반 Twelve Factor 앱 개발 - 윤석찬, AWS 테크에반젤리스트 :: AWS Summit Online Kore...
Amazon Web Services Korea
 
[AWS Media Symposium 2019] 고객사례 | SBS Web Service Cloud Migration Process - 김...
Amazon Web Services Korea
 
AWS로 사용자 천만 명 서비스 만들기 (윤석찬)- 클라우드 태권 2015
Amazon Web Services Korea
 
2017 AWSome Day Online Conference - 강의 1. AWS 소개 및 AWS의 역사
Amazon Web Services Korea
 
[Games on AWS 2019] AWS 사용자를 위한 만랩 달성 트랙 | AWS 최적화 사용을 위해 운영자가 아닌 개발자들이 해야 할 ...
Amazon Web Services Korea
 

Similar to [2주차] 알파유저를 위한 AWS 스터디 (20)

PDF
AWS 시작하기 및 Amazon S3 살펴보기 (윤석찬) - AWS 웨비나 시리즈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AWS 엣지 서비스를 통한 글로벌 서비스 관리 전략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AWS DevDay 실습 가이드 - 서버리스
Amazon Web Services Korea
 
PPTX
AWS S3
Wonjun Hwang
 
PPTX
Aws summit 2017_이상오_fn
LEE Kevin
 
PDF
Route53 및 CloudFront를 이용한 CDN 활용기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Static Website Hosting with AWS :: Front-end Meetup
ChanMin Park
 
PDF
미디어 저장의 새로운 패러다임 - 김기완 :: 미디어 커스토머 데이
Amazon Web Services Korea
 
PPTX
aws 설명 및 기본 환경 설정
학섭 오
 
PDF
XECon2015 :: [3-4] 조정현 - Laravel with cloud
XpressEngine
 
PDF
Amazon S3 고급 활용 기법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진화하는 CloudFront 의 이해와 글로벌 서비스 활용 - 안수일 시니어 솔루션즈 아키텍트, GS NEOTEK :: AWS Summit...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AWS Summit 2019 - GS네오텍
GS Neotek
 
PDF
천만 사용자를 위한 AWS 클라우드 아키텍처 진화하기 - 김준형 솔루션즈 아키텍트, AWS :: AWS Summit Seoul 2019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ASomeCloud] AWS 서비스소개
ASome Cloud
 
PDF
AWS와 함께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 AWS 웨비나 시리즈 2015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AWS Summit Seoul 2015 -CloudFront와 Route53 기반 콘텐츠 배포 전략 (GS네오텍-박정수)
Amazon Web Services Korea
 
PPTX
CloudFront(클라우드 프론트)와 Route53(라우트53) AWS Summit Seoul 2015
WineSOFT
 
PDF
AWS Finance Symposium_천만 고객을 위한 AWS 클라우드 아키텍쳐 확장하기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AWS Builders Online Series | 프리티어 서비스부터 계정 보안까지 - 이주형, AWS 테리토리 매니저
Amazon Web Services Korea
 
AWS 시작하기 및 Amazon S3 살펴보기 (윤석찬) - AWS 웨비나 시리즈
Amazon Web Services Korea
 
AWS 엣지 서비스를 통한 글로벌 서비스 관리 전략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Web Services Korea
 
AWS DevDay 실습 가이드 - 서버리스
Amazon Web Services Korea
 
AWS S3
Wonjun Hwang
 
Aws summit 2017_이상오_fn
LEE Kevin
 
Route53 및 CloudFront를 이용한 CDN 활용기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Web Services Korea
 
Static Website Hosting with AWS :: Front-end Meetup
ChanMin Park
 
미디어 저장의 새로운 패러다임 - 김기완 :: 미디어 커스토머 데이
Amazon Web Services Korea
 
aws 설명 및 기본 환경 설정
학섭 오
 
XECon2015 :: [3-4] 조정현 - Laravel with cloud
XpressEngine
 
Amazon S3 고급 활용 기법 - AWS Summit Seoul 2017
Amazon Web Services Korea
 
진화하는 CloudFront 의 이해와 글로벌 서비스 활용 - 안수일 시니어 솔루션즈 아키텍트, GS NEOTEK :: AWS Summit...
Amazon Web Services Korea
 
AWS Summit 2019 - GS네오텍
GS Neotek
 
천만 사용자를 위한 AWS 클라우드 아키텍처 진화하기 - 김준형 솔루션즈 아키텍트, AWS :: AWS Summit Seoul 2019
Amazon Web Services Korea
 
[ASomeCloud] AWS 서비스소개
ASome Cloud
 
AWS와 함께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 AWS 웨비나 시리즈 2015
Amazon Web Services Korea
 
AWS Summit Seoul 2015 -CloudFront와 Route53 기반 콘텐츠 배포 전략 (GS네오텍-박정수)
Amazon Web Services Korea
 
CloudFront(클라우드 프론트)와 Route53(라우트53) AWS Summit Seoul 2015
WineSOFT
 
AWS Finance Symposium_천만 고객을 위한 AWS 클라우드 아키텍쳐 확장하기
Amazon Web Services Korea
 
AWS Builders Online Series | 프리티어 서비스부터 계정 보안까지 - 이주형, AWS 테리토리 매니저
Amazon Web Services Korea
 
Ad

More from Amazon Web Services Korea (20)

PDF
[D3T1S01] Gen AI를 위한 Amazon Aurora 활용 사례 방법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D3T1S06] Neptune Analytics with Vector Similarity Search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D3T1S03] Amazon DynamoDB design puzzlers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D3T1S04] Aurora PostgreSQL performance monitoring and troubleshooting by use...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D3T1S07] AWS S3 -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 보호하기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D3T1S05] Aurora 혼합 구성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예상치 못한 트래픽 급증 대응하기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D3T1S02] Aurora Limitless Database Introduction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D3T2S01] Amazon Aurora MySQL 메이저 버전 업그레이드 및 Amazon B/G Deployments 실습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D3T2S03] Data&AI Roadshow 2024 - Amazon DocumentDB 실습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AWS Modern Infra with Storage Roadshow 2023 - Day 2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AWS Modern Infra with Storage Roadshow 2023 - Day 1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사례로 알아보는 Database Migration Service :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 이관, 통합, 분리, 분석의 도구 - 발표자: ...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Amazon DocumentDB - Architecture 및 Best Practice (Level 200) - 발표자: 장동훈, Sr. ...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Amazon Elasticache - Fully managed, Redis & Memcached Compatible Service (Lev...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Internal Architecture of Amazon Aurora (Level 400) - 발표자: 정달영, APAC RDS Speci...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Keynote] 슬기로운 AWS 데이터베이스 선택하기 - 발표자: 강민석, Korea Database SA Manager, WWSO, A...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Demystify Streaming on AWS - 발표자: 이종혁, Sr Analytics Specialist, WWSO, AWS :::...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Amazon EMR - Enhancements on Cost/Performance, Serverless - 발표자: 김기영, Sr Anal...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Amazon OpenSearch - Use Cases, Security/Observability, Serverless and Enhance...
Amazon Web Services Korea
 
PDF
Enabling Agility with Data Governance - 발표자: 김성연, Analytics Specialist, WWSO,...
Amazon Web Services Korea
 
[D3T1S01] Gen AI를 위한 Amazon Aurora 활용 사례 방법
Amazon Web Services Korea
 
[D3T1S06] Neptune Analytics with Vector Similarity Search
Amazon Web Services Korea
 
[D3T1S03] Amazon DynamoDB design puzzlers
Amazon Web Services Korea
 
[D3T1S04] Aurora PostgreSQL performance monitoring and troubleshooting by use...
Amazon Web Services Korea
 
[D3T1S07] AWS S3 - 클라우드 환경에서 데이터베이스 보호하기
Amazon Web Services Korea
 
[D3T1S05] Aurora 혼합 구성 아키텍처를 사용하여 예상치 못한 트래픽 급증 대응하기
Amazon Web Services Korea
 
[D3T1S02] Aurora Limitless Database Introduction
Amazon Web Services Korea
 
[D3T2S01] Amazon Aurora MySQL 메이저 버전 업그레이드 및 Amazon B/G Deployments 실습
Amazon Web Services Korea
 
[D3T2S03] Data&AI Roadshow 2024 - Amazon DocumentDB 실습
Amazon Web Services Korea
 
AWS Modern Infra with Storage Roadshow 2023 - Day 2
Amazon Web Services Korea
 
AWS Modern Infra with Storage Roadshow 2023 - Day 1
Amazon Web Services Korea
 
사례로 알아보는 Database Migration Service : 데이터베이스 및 데이터 이관, 통합, 분리, 분석의 도구 - 발표자: ...
Amazon Web Services Korea
 
Amazon DocumentDB - Architecture 및 Best Practice (Level 200) - 발표자: 장동훈, Sr. ...
Amazon Web Services Korea
 
Amazon Elasticache - Fully managed, Redis & Memcached Compatible Service (Lev...
Amazon Web Services Korea
 
Internal Architecture of Amazon Aurora (Level 400) - 발표자: 정달영, APAC RDS Speci...
Amazon Web Services Korea
 
[Keynote] 슬기로운 AWS 데이터베이스 선택하기 - 발표자: 강민석, Korea Database SA Manager, WWSO, A...
Amazon Web Services Korea
 
Demystify Streaming on AWS - 발표자: 이종혁, Sr Analytics Specialist, WWSO, AWS :::...
Amazon Web Services Korea
 
Amazon EMR - Enhancements on Cost/Performance, Serverless - 발표자: 김기영, Sr Anal...
Amazon Web Services Korea
 
Amazon OpenSearch - Use Cases, Security/Observability, Serverless and Enhance...
Amazon Web Services Korea
 
Enabling Agility with Data Governance - 발표자: 김성연, Analytics Specialist, WWSO,...
Amazon Web Services Korea
 
Ad

[2주차] 알파유저를 위한 AWS 스터디

  • 1. © 2015, Amazon Web Services, Inc. or its Affiliates. All rights reserved. 알파유저를 위한 아마존 웹 서비스 활용법 클라우드 서비스로의 발걸음 – 둘째날
  • 2. 여러분께 매우 유용한 정보가 될 것입니다! 만약 여러분이 개발자나 엔지니어는 아니지만, 작은 웹 사이트나 블로그를 운영하는 알파유저라면 본 세션을 통해 아실 수 있는 것: 1.  클라우드 서비스의 개념과 AWS 서비스 소개 2.  AWS 가입 및 요금 알람 설정 3.  AWS 사용자 설정 및 온라인으로 쉽게 저장하고 공유하는 방법 4.  간단한 정적 웹 사이트를 운영하는 방법 5.  서버에 대한 지식 없이도 WordPress 웹 사이트 운영 방법 6.  글로벌 웹 서비스를 손쉽게 하는 방법 7.  쉽게 동영상 인코딩이나 대량 이메일 전송을 하는 방법
  • 3. 복습해 볼까요? •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  AWS에서 리전/가용영역/엣지란? •  AWS 관리 콘솔이란? •  AWS 빌링 알림은 무엇인가? •  Amazon CloudWatch란?
  • 4. 우리가 배울 첫 AWS 서비스는?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모든 AWS는 S3로 통한다!
  • 5. Amazon Simple Storage Service (S3) •  2006년에 출시된 최초 AWS 서비스 •  객체 기반의 무제한 파일 저장 스토리지 •  URL을 통해 손쉽게 파일 공유 가능 •  99.999999999% 내구성 •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서비스 가능
  • 6. Amazon S3 성장세 2012 2013 2014 매년 102% 데이터 전송량 증가 (Q4 2014 vs Q4 2013, not including Amazon use) 2,000,000,000,000 – S3 전체 파일 갯수 (2013년 4월 시점) 400,000,000,000 – 우리 은하 내 별의 갯수 13,500,000,000 – 중국 인구수
  • 8. Amazon S3 시작하기 Amazon S3에 첫화면에서 버튼을 누릅니다. 도움말: 버킷(Bucket)이란? 아이스버킷 챌런지에서 얼음이 든 양동이 를 뒤집어 쓰던 IT업계 CEO들을 기억하 십니까? 네… 바로 그 “양동이”입니다. 파일을 담는 폴더 개념으로 옆 아이콘이 버킷입니다.
  • 9. 단계 1. 버킷 생성하기 원하는 버킷이름을 선택합니다. 버킷 이름은 도메인 네임처럼 누가 미리 가지 고 있을 수 있으니, 독특한 것으로 합니다. 파일이 저장될 리전(Region)을 선택합니다. 우리는 가까운 동경을 선택합니다. 도움말 Amazon S3에서 저장되는 파일은 어느 리전을 선택하더라도 모든 버킷과 파일이 한 곳에 모여서 나옵니다. 따라서, S3는 오른쪽 상단의 리전 위치를 선택할 필요 는 없습니다.
  • 10. 단계 1. 버킷 생성하기 Action을 누르면, 버킷을 생성/삭 제/비우기 등을 할 수 있습니다. 버킷은 파일의 종류를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 되며, 폴더처럼 한꺼번에 지우거나 할 수가 없습니다. 따라서, 버킷을 없애려면 버킷내 파일을 모두 삭제해야만 가능합니다. 도움말 Amazon S3는 객체(Object) 저장소입 니다. 즉, 특정 객체만 담는 저장소입니다. 버킷은 폴더처럼 보이지만 단순히 파일 종 류를 구분해 주는 용도로 사용자 편의상 폴더 인터페이스로 보입니다.
  • 11. 단계 2. 파일 업로드 하기 버킷 내에서 폴더를 만들 수도 있고, 파일을 업로드할 수도 있습니다. Upload를 눌러 새로운 파일을 올려 볼까요? 도움말 오른쪽 상단의 None을 누르면, 목록만 보이며, Properties를 누르면 속성 정보 그리고 Transfers를 누르면 파일 전송 상태를 볼 수 있습니다.
  • 12. 단계 3. 파일 정보 보기 파일을 선택하고 “Actions”를 누 르면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 습니다. “Make Public”을 누르 면, 누구나 Link 주소로 접속가능 합니다. 열쇠 아이콘은 비공개, RSS아이콘이면 공개입니다. 도움말 Amazon S3의 모든 객체는 정해진 URL을 가지며, 인터넷을 통해 접속할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비공개 상태로 파 일이 저장되며, 공개를 하거나 또는 특정 인 혹은 앱에게만 선별적으로 공개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https://s3-ap-northeast-1.amazonaws.com/channys3/AWS_EURORA.jpg https://channys3.s3-ap-northeast-1.amazonaws.com/AWS_EURORA.jpg 두가지 링크 주소:
  • 13. 단계 4. 파일 업로드 프로그램 https://cyberduck.io/ https://s3browser.com 내 PC에서 손쉽게 파일 업로드 및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 14. 앗! ID와 암호는 어떻게? Access Key와 Secret Access Key를 필요로 합니다!
  • 15. 여러분 PC는 안전하십니까? •  여러분의 PC에는 “관리 자”와 “일반 사용자”가 있 습니다. •  “일반 사용자”는 특정 권 한만 가지고 있습니다. •  만약, 모든 사람이 “관리 자” 권한을 가지고 있으면 PC 보안에 취약합니다.
  • 16. AWS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IAM) •  AWS 사용자 및 그룹을 만들고 관리 가능 •  각 AWS 서비스 및 자원별 사용 권한 지정 •  역할 및 정책을 통해 손쉽게 자세한 권한 관리 •  기업내 사용자 관리 시스템과도 연동 지원 •  오프라인 기기(MFA)를 통한 인증 가능
  • 18. AWS IAM 시작하기 Amazon S3에 접근 가능한 사용 자를 생성하고, S3 클라이언트 프 로그램으로 접속하기 위한 사용자 의 Access Key와 Secret을 얻 어 보도록 하겠습니다. 도움말 AWS IAM을 잘 활용하면, 여러분은 안 전하게 AWS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습니 다. 특히 IAM 첫화면 중앙의 다섯 가지 “Security Status”를 눈여겨 보시고 모든 항목이 체크가 되게 하세요.
  • 19. AWS의 다섯 가지 보안 팁 1.  루트 Access Key를 만들지도 쓰지도 맙시다! §  블로그나 책에 루트 AccessKey를 생성하는 예제 조심 2.  오프라인 기기 혹은 앱 인증을 꼭 사용합시다! §  중요 서비스일 경우, 꼭 모바일 앱 혹은 일회용 암호 생성기 이용 3.  IAM 사용자를 생성하고 필요한 권한만 주세요! §  최소한의 권한을 주면 보안 위험도 낮아짐 4.  IAM 그룹 생성을 통해 권한을 관리하세요! §  그룹을 통해 개발자, 관리자, 운영자 권한을 세분화 5.  암호 생성 조건을 꼭 설정하세요! §  탈취당하기 쉬운 암호 보다 좀 더 복잡한 암호를…
  • 20. 단계 1. IAM 사용자 생성 “Users”를 선택하고 “Create New Users”를 선택하면, 5개까 지 일괄적으로 아이디를 만들 수 있습니다. S3 사용만 가능할 ID인 “s3channy”를 만듭니다. 도움말 아이디 생성 시 “Generate an access key for each user”를 체크하면, 각 사 용자별로 랜덤 영문/숫자로 된 Access Key와 Secret을 만들 수 있습니다. S3 접속 프로그램 및 API 플러그인 사용등 에 사용 가능합니다.
  • 21. 단계 2. 사용자 Credential 정보 받기 도움말 Access Key와 Secret는 마치 임시 아이디와 암호와 같습니다. 따라서, 외부에 절대로 노출하거나 알려주시면 안됩니다. 혹시라도 노출이 되었다면, 사용자 관리 화면에 서 지우고 새로 만드실 수 있습니다.
  • 22. 단계 3. 사용자 권한 지정 생성된 사용자를 선택하면, 그룹 추가, 권한 정책 설정, 키 관리, 암 호 관리 등을 하실 수 있습니다. S3 접근 권한 관리를 위해 Attach Policy를 선택합니다. 도움말 아이디 생성 시 “Generate an access key for each user”를 체크하면, 각 사 용자별로 랜덤 영문/숫자로 된 Access Key와 Secret을 만들 수 있습니다. S3 접속 프로그램 및 API 플러그인 사용등 에 사용 가능합니다.
  • 23. 단계 4. 사용자 정책 검색 및 추가하기 도움말 AWS 서비스에 대해 미리 만들어진 다양한 사용자 권한 정책들이 나타납니다. S3 업로드를 해야 하므로, 우리는 AmazonS3FullAccess 권한을 선택합니다. 자! 이제 S3 클라이언트로 업로드를 해보실 수 있습니다.
  • 24. 이제 S3에 파일을 업로드 해봅시다! 이제 여러분은 일년간 사용할 수 있는 5GB짜리 무료 저장소가 생겼습니다.
  • 25. Amazon S3 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 여러분의 버킷은 단순히 파일 저장 뿐만 아니라 간단한 웹 사이트 호 스팅도 가능합니다. 이벤트 페이지 나 간단한 개인 홈페이지를 서버 설정 없이도 제공 가능합니다. 도움말 버킷 Properties에서 “Static Web Site Hosting”을 선택하고 Enable을 시킵니다. 첫화면을 보여줄 index.html 을 지정하면 됩니다. URL 접속시 바로 홈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모든 파일은 공개 상태여야 합니다.
  • 26. Tip1. 버킷 공개 정책 추가 {! !"Version": "2012-10-17",! !"Statement": [! ! !{! ! ! !"Sid": "PublicReadGetObject",! ! ! !"Effect": "Allow",! ! ! !"Principal": "*",! ! ! !"Action": "s3:GetObject",! ! ! !"Resource": "arn:aws:s3:::channyblog/*"! ! !}! !]! }! 파일이 비공개 상태인 경우, 전체 공개 정책을 추가하여 일괄 처리할 수 있습니다.
  • 27. Tip2. qwikLABS에서 무료 S3 실습 https://qwiklab.com/focuses/preview/1170
  • 28. Tip3. S3 관련 유용한 문서 •  S3 사용자 문서 •  http://docs.aws.amazon.com/ko_kr/AmazonS3/latest/gsg/ GetStartedWithS3.html •  S3 콘솔 사용 설명서 •  http://docs.aws.amazon.com/ko_kr/AmazonS3/latest/UG/Welcome.html •  S3 개발자 문서 •  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onS3/latest/dev/Welcome.html •  S3 Browser 정적 웹 호스팅 설명 문서 •  http://s3browser.com/how-to-host-static-website-on-amazon-s3.php
  • 29. 이제 여러분은 무제한 웹 페이지 호스팅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간단한 랜딩 페이지, 이벤트 웹 페 이지를 제공하기 위해 서버 호스팅 을 쓰시나요? Amazon S3로 서 버 없이도 예상치 못한 대량 트래픽 을 감당할 수 있습니다. 도움말 혹시 여러분이 Jekyll 같은 정적 블로그 도 구를 사용하신다면, 손쉽게 S3에 업로드함 으로서 쉽게 블로그 사이트 운영도 가능합 니다.
  • 30. 여러분의 홈페이지는 여전히 동경에… AP-NORTHEAST (Tokyo) CHINA (Beijing) 11 리전 Regions 30 가용영역 Availability Zones 53 엣지 Edge 그러나, Amazon CloudFront 를 활용하면, 여러분의 홈 페이지를 더 빠르게 한국 혹은 전세계 고객에게 전 달할 수 있습니다.
  • 31. Amazon CloudFront •  사용자의 지리적 위치에 따라 더 빠른 접속 속도 제공 •  정적/동적 콘텐츠 캐싱 및 가속 •  서버의 부하 분산 •  콘텐츠 보안 §  HTTP/HTTPS 서비스 §  Signed URL, Signed Cookie •  다양한 통계 및 API 호출 감사 ResponseTime ServerLoad ResponseTime Server Load ResponseTime Server Load No  CDN   CDN  for   Sta+c   Content   CDN  for   Sta+c  &   Dynamic   Content  
  • 32. Amazon CloudFront 시작하기 Amazon CloudFront는 정적 콘 텐츠를 사용자 가까운 곳으로 전송 하여 더 빠르게 이용하도록 도와 주 는 서비스입니다. “Create Distribution”을 눌러 시작합니다. 도움말 Amazon CloudFront는 의외로 간단하 고 사용하기가 쉽습니다. S3 버킷만 설정 되어 있다면, 쉽게 콘텐츠 배포가 가능합 니다.
  • 33. 단계 1. 배포 방식 결정 콘텐츠 배포 방식은 “Web”을 선택 합니다. 미디어 파일이나 html, css, js와 같은 정적인 콘텐츠 뿐 만 아니라 동적인 콘텐츠의 가속 기능도 제공합니다. 도움말 RMTP는 동영상 파일을 스트리밍으로 전달할 때 유용합니다. 여러분이 영상 파 일을 Adobe 플래시의 스트리밍 방식으 로 제공할 경우, S3에 미디어 파일을 담 고 선택 하시면 됩니다.
  • 34. 단계 2. 소스 위치 및 배포 위치 결정 배포할 소스가 위치한 S3 버킷을 선택하고, 배포할 위치를 선택합니 다. 엣지 위치는 세 가지 중에 선택 가능하며 금액에 차등이 있습니다. 소스 위치는 S3 버킷 뿐만 아니라 웹 사이트 로드 밸런싱도 선택 가능합니다. 도움말 Origin Domain Name에는 AWS 서비 스 뿐만 아니라 여러분의 외부 웹 사이트 에 대한 콘텐츠 배포도 가능합니다. 즉, 국외에 더 빠르게 전송을 하기 위한 도메 인을 별도로 세팅하실 수도 있습니다.
  • 35. 단계 3. 배포 확인 및 정보 수정 배포가 완료되면 “Deployed” 및 “Enabled” 표시가 됩니다. 이 때, xxxx.cloudfront.net 형식의 URL을 입력하면 확인 가능합니다. ID값을 누르시면, 각 설정 정보에 대한 변경을 손쉽게 하실 수 있습니다. 도움말 *.cloudfront.net 으로 설정된 도메인 을 원하는 방식으로 바꾸고 싶으시면, 도 메인 네임 서비스 설정에서 CNAME 변 경을 통해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dn.creation.net 을 CloudFront 배 포 지점으로 지정 가능합니다.
  • 36. 이제 여러분은 전세계를 대상으로 무제한 웹 페이지 호스팅을 받을 수 있습니다. 간단한 랜딩 페이지, 이벤트 웹 페 이지를 제공하기 위해 서버 호스팅 을 쓰시나요? Amazon S3로 서 버 없이도 예상치 못한 대량 트래픽 을 감당할 수 있습니다. 도움말 혹시 여러분이 Jekell 같은 정적 블로그 도 구를 사용하신다면, 손쉽게 S3에 업로드함 으로서 쉽게 블로그 사이트 운영도 가능합 니다.
  • 37. Tip. CloudFront 관련 유용한 문서 •  CloudFront 요금 설명서 •  https://aws.amazon.com/ko/cloudfront/pricing/ •  CloudFront 자주 묻는 질문(FAQ) •  https://aws.amazon.com/ko/cloudfront/faqs/ •  CloudFront 개발자 문서 •  http://docs.aws.amazon.com/ko_kr/AmazonCloudFront/latest/ DeveloperGuide/Introduction.html
  • 38. Amazon Route 53 •  손쉽게 이용 가능한 도 메인 네임 관리 서비스 •  가용성과 확장성이 뛰어 난 클라우드 DNS •  동적으로 사용자에게 노 출될 DNS 레코드 타입 과 값 조정 •  다양한 로드밸런싱 기능 지원 Amazon Route 53 OK FAIL10ms 100ms99% 1%한국 미국Tokyo Singapore
  • 39. Amazon Route 53 시작하기 도메인 등록 부터 관리 및 서비스 품질 체크도 가능합니다!
  • 40. 단계 1. 기존 도메인 이전 “Create Hosted Zone”을 선택 한 후, 관리를 위한 도메인 명을 입 력하고 “Create”를 선택합니다. Public Hosted Zone을 선택하면 공개된 도메인명을 Private을 선택하면 사설망 내에 서 사용 가능합니다. 도움말 기존 도메인명을 옮겨오시기 위해서는 Hosted Zone을 생성하고, 모든 도메인명 레코드를 입력한 후, 등록 업체에서 네임 서 버를 변경하시면 바로 적용됩니다. 외부 서 버에 있는 경우도 가능합니다.
  • 41. 단계 2. 네임 서버 설정 “NS”라고 적힌 4개의 서버명은 본 도메인 네임에 대한 네임서 버입니다. 도메인 등록업체에 네임서버로 등록하면 됩니다. Route53에서 직접 도메인을 구매하시 면 자동으로 설정됩니다. 도움말 Route 53에서는 다양한 라우팅 정책으 로 서버의 부하 분산이 가능합니다. 글로 벌 서비스를 준비하신다면, 사용자의 위치 와 트래픽에 따라서 손쉽게 분산이 가능 합니다.
  • 42. 단계 3. CNAME 설정하기 이전에 만든 CloudFront 연결 페이지를 실제 도메인에 연결하 려면, Name에 원하는 호스트명 을 적고 “CNAME”을 선택한 후, 클라우드프론트 생성 서버명을 입력하고 Create를 누릅니다. 도움말 xxx.cloudfront.net 뿐만 아니라 앞에서 다루었던 S3 정적 웹 사이트의 xxx.region.amazonaws.com 또한 CNAME을 통해 자체 도메인명으로 서 비스 가능합니다. 이 기능은 기존 DNS 서 비스업체에서도 제공하기도 합니다.
  • 43. Tip. 도메인 구매 및 이전 저렴한 가격에 다양한 도메인 등록 부터 이전도 가능합니다.
  • 45. 오늘의 과제 •  Amazon S3를 이용해 개인 홈페이지를 만드세요! §  CodeAcademy에서 홈페이지 만들기 배우기 •  https://www.codecademy.com/en/tracks/korean-web •  https://www.codecademy.com/en/tracks/javascript-ko •  여러분의 홈페이지를 CloudFront로 연결해 보세요! •  CloudFront 주소를 나의 도메인으로 연결해 보세요! •  Qwiklabs에서 무료 실습을 해보세요! §  Amazon S3 https://qwiklab.com/focuses/preview/1170 §  AWS IAM https://qwiklab.com/focuses/preview/1579 §  Amazon CloudFront https://qwiklab.com/focuses/preview/1389
  • 46. Q: 어디서 공부해야할까요? 생활 코딩: AWS편- https://opentutorials.org/ course/608/3002 아마존 웹서비스를 다루는 기술 (이재홍) http://pyrasis.com/book/ TheArtOfAmazonWebServices AWS 한국 사용자 모임 (페이스북 그룹) http://awskr.org
  • 47. Q: 어디서 공부해야할까요? AWS 스터디 모임- https://studysearch.co.kr/product/theme/25/ AWSKRUG 이벤트 http://awskr.org
  • 49. 여러분의 피드백을 기다립니다! •  공식 블로그: http://aws.amazon.com/ko/blogs/korea •  한국어 공식 소셜 미디어 @AWSKorea AmazonWebServices AWSKorea AWSKorea ‘좋아요’ 눌러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