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mocon 2017 S/S 발표: 개인 프로젝트였던 자바스크립트 기반의 CSS Parser를 왜 만들었는가에 대한 우문우답.
Project GitHub: https://goo.gl/mK6DTU
NPM Reg.: https://goo.gl/aEFYSI
모바일 게임과 앱을 위한 오픈소스 게임서버 엔진 프로젝트 CloudBread 프로젝트Dae Kim
CloudBread
클라우드 기반 무료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모바일 게임과 모바일 앱에 최적화된 게임 서버 엔진입니다. 모든 서비스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Azure에 최적화되어 동작하며, 안정성과 확장성을 목표로 개발 중입니다.
기능
•PaaS / DaaS 서버 엔진•PaaS, DaaS 로 손쉬운 개발 및 서비스 즉시 배포
•Real Auto Scale - PaaS
•개발/테스트/배포 = 통합 환경
•서비스 규모에 따른 앱 변경 없음
글로벌 론칭 아키텍처
•글로벌 론칭+데이터 동기화
•설계 부터 클라우드에 최적화된 아키텍처 및 프레임워크로 개발
•오픈소스 프레임워크 활용 개발
보안, 관리, 기술교육
•저장/통신에 표준 암호화 기술 적용
•기본 관리자 서비스 및 커스터마이징
•분석/관리 배치 작업 추가 제작 가능
개발자 그룹
•페이스북 사용자 그룹 : https://www.facebook.com/groups/cloudBreadProject/
지원되는 모바일 & 클라이언트환경
•iOS, Android, Windows Phone, Windows 스토어앱, Xamarin, PhoneGap, Sencha 등
•Microsoft Azure Mobile Service가 지원하는 모바일 및 다양한 클라이언트 플랫폼 지원 : http://azure.microsoft.com/ko-kr/documentation/services/mobile-services/
설치
•Wiki의 튜토리얼 설치 참조
프로젝트 설명
•모바일게임과 모바일 앱에서 사용되는 사용자의 패턴과 액션을 기록해 기능들을 제공
•클라이언트 모바일 디바이스는 게임서버로 JSON 방식의 데이터를 요청하고 서버가 해당 데이터를 처리 후 응답
•약 100여개의 비즈니스 로직이 기본제공(Wiki 참조)
•클라이언트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픈소스로 직접 만들어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를 통해 서버로 API를 호출
실행 예제와 API 리스트는 Wiki 참조
Contribute/질문/토론
•페이스북 사용자 그룹 : https://www.facebook.com/groups/cloudBreadProject/
Exploring what're new in Web for the Natively appChang W. Doh
The document discusses new features for web applications and their integration with native applications. It explores what's new for PWAs and how they can have more native-like features. It also covers tips for PWAs and how web applications can better integrate with native applications, providing an example JSON configuration to define related native applications. The author is Chang W. Doh, a Web GDE, and their email is provided for contact.
The document discusses Kotlin coroutines and asynchronous programming. It demonstrates how to write asynchronous code using coroutines and covers topics like launching coroutines with different dispatchers, cancelling coroutines, and handling timeouts. Key functions and concepts discussed include launch, delay, runBlocking, withTimeout, and coroutine contexts/dispatchers.
모바일 게임과 앱을 위한 오픈소스 게임서버 엔진 프로젝트 CloudBread 프로젝트Dae Kim
CloudBread
클라우드 기반 무료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모바일 게임과 모바일 앱에 최적화된 게임 서버 엔진입니다. 모든 서비스는 마이크로소프트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Azure에 최적화되어 동작하며, 안정성과 확장성을 목표로 개발 중입니다.
기능
•PaaS / DaaS 서버 엔진•PaaS, DaaS 로 손쉬운 개발 및 서비스 즉시 배포
•Real Auto Scale - PaaS
•개발/테스트/배포 = 통합 환경
•서비스 규모에 따른 앱 변경 없음
글로벌 론칭 아키텍처
•글로벌 론칭+데이터 동기화
•설계 부터 클라우드에 최적화된 아키텍처 및 프레임워크로 개발
•오픈소스 프레임워크 활용 개발
보안, 관리, 기술교육
•저장/통신에 표준 암호화 기술 적용
•기본 관리자 서비스 및 커스터마이징
•분석/관리 배치 작업 추가 제작 가능
개발자 그룹
•페이스북 사용자 그룹 : https://www.facebook.com/groups/cloudBreadProject/
지원되는 모바일 & 클라이언트환경
•iOS, Android, Windows Phone, Windows 스토어앱, Xamarin, PhoneGap, Sencha 등
•Microsoft Azure Mobile Service가 지원하는 모바일 및 다양한 클라이언트 플랫폼 지원 : http://azure.microsoft.com/ko-kr/documentation/services/mobile-services/
설치
•Wiki의 튜토리얼 설치 참조
프로젝트 설명
•모바일게임과 모바일 앱에서 사용되는 사용자의 패턴과 액션을 기록해 기능들을 제공
•클라이언트 모바일 디바이스는 게임서버로 JSON 방식의 데이터를 요청하고 서버가 해당 데이터를 처리 후 응답
•약 100여개의 비즈니스 로직이 기본제공(Wiki 참조)
•클라이언트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오픈소스로 직접 만들어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를 통해 서버로 API를 호출
실행 예제와 API 리스트는 Wiki 참조
Contribute/질문/토론
•페이스북 사용자 그룹 : https://www.facebook.com/groups/cloudBreadProject/
Exploring what're new in Web for the Natively appChang W. Doh
The document discusses new features for web applications and their integration with native applications. It explores what's new for PWAs and how they can have more native-like features. It also covers tips for PWAs and how web applications can better integrate with native applications, providing an example JSON configuration to define related native applications. The author is Chang W. Doh, a Web GDE, and their email is provided for contact.
The document discusses Kotlin coroutines and asynchronous programming. It demonstrates how to write asynchronous code using coroutines and covers topics like launching coroutines with different dispatchers, cancelling coroutines, and handling timeouts. Key functions and concepts discussed include launch, delay, runBlocking, withTimeout, and coroutine contexts/dispatchers.
The document contains code examples showing how Kotlin code is compiled to Java bytecode. It demonstrates how Kotlin classes, functions, properties, and other language features are represented in the compiled Java code. Key aspects that are summarized include data classes, property delegates like lazy, extension functions, and overriding behavior.
GDG DevFest 2017 - Inspections of Kotlin implementations by Bytecode.
세션 이후 "Kotlin은 Java의 wrapper인가요?" 라는 질문을 몇번 받았습니다.
—
답변: 그렇지 않습니다.
특정한 언어로 구현된 코드는 파싱을 거쳐 추상화된 형태(AST)와 추가 정보들을 가지는 1차적인 결과물로 처리됩니다. 보통 이런 역할을 하는 것은 컴파일러에서 전단부(frontend)라고 호칭하며 이러한 AST 등의 결과물은 대상 머신이나 플랫폼에 맞추어 처리됩니다.
이를 바로 실행하면 인터프리터라고 하지만, 실행 가능한 형태(Executable)로 생성하는 경우라면 컴파일러 후단부(Backend)가 이를 수행합니다.
백엔드의 타겟 코드는 충분히 다양한 대상을 다룰 수 있으므로, 우리가 다양한 백엔드 구현을 통해 동일 코드를 멀티 플랫폼을 대상으로 실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코틀린 역시 대상으로 하는 플랫폼(과 머신)은 현재 다음과 같은 실행 가능한 형태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물론 아직 모든 타겟이 완벽하지는 않겠죠.)
1. Bytecode 포맷에 따른 JVM(안드로이드 포함)
2. JavaScript에 의한 브라우저나 Node.js
3. llvm을 이용하여 여러 타겟의 네이티브 코드
이 자료는 이 중 1번을 기반으로 디컴파일된 코드를 살펴보고 코틀린의 코드 생성 목적이나 언어 설계의 원인(어떤 painpoint)를 찾아보는 과정의 일부였을 뿐입니다.
언어는 항상 요구되는 표현을 위해 가장 적합한 형태로 변화해나갑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는 비교적 단기간에 만들어지는 언어이고, 그에 따라 특정 사람과 집단의 목적에 충실합니다. 다만, 이 관점에서 봤을 때도 Kotlin이 Java의 wrapper로써 설계되었을 것보다는 다양한 타겟 플랫폼이 고려되고 있는 하나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받아들여 주시기를 바랍니다. :)
The document discusses Web Assembly (WASM) and its ability to run JavaScript code. WASM code can access the same Web APIs as JavaScript, including the DOM, Web Audio, and Web GL. It also mentions that WASM acts as a compiler target and bytecode format for the web.
This document discusses progressive web apps and their advantages over traditional apps. Some key points:
- Progressive web apps have seen significant growth and now account for 13% of mobile page views, up from 3.53% previously.
- Features like push notifications, service workers and app-like behaviors allow progressive web apps to mimic native apps while avoiding app stores.
- Adoption has increased engagement and time spent on sites with progressive web apps, with an average of 76% more time spent on iOS and 30% more on Android.
- Major companies have seen success with progressive web apps, with some seeing over 1 million installs and 60% of users engaging with push notifications. Progressive web apps are poised
2016년 11월 5일 있었던 GDG DevFest 2016 Seoul 행사에서 진행된 `Boot Camp: 초보 개발자를 위한 웹 프론트엔드 개발 101` 워크숍의 소개 부분 슬라이드입니다.
- 행사 URL: https://festi.kr/festi/gdg-korea-2016-devfest-seoul/program/92/
1. Service Workers enable persistent background processing and provide hooks to take advantage of offline capabilities and push notifications in web applications.
2. They behave similarly to web workers but provide features like installation, versioning and upgrades that make them suitable for background processing even when a page is unloaded.
3. The Service Worker lifecycle is independent of web pages and browsing sessions, making it well-suited for features like push notifications, background sync and remote notifications.
Web workers allow running scripts in parallel to the main page thread using message passing. Service workers are a specific type of web worker that enable persistent background processing and features like push notifications and offline caching. They have a lifecycle that is independent of pages and provide event-driven processing and version management. While dedicated and shared workers are created and controlled at runtime, service workers are installed in the browser and provide persistent background processing capabilities even when pages aren't active.
Instant and offline apps with Service WorkerChang W. Doh
2 parts of talking at Google Developer Summit 2016 Seoul
- How to optimize loading performance your web app
- Introducing to Service Worker & Offline 101
This document contains slides from a presentation on Polymer and modern web APIs. The slides discuss how Polymer uses web components to build reusable custom elements, and how this allows for component-based development. They provide examples of popular elements like <paper-tabs> and <core-toolbar> that are used as building blocks. The slides also showcase several production uses of Polymer at Google scale, including the Google Santa Tracker application. They emphasize how Polymer leverages modern web platform APIs to build fast, modular, and powerful applications.
알아봅시다, Polymer: Web Components & Web AnimationsChang W. Doh
GDG Korea WebTech : 시작하세요, Polymer, Oct, 11, 2014.
Let's learn about specifications before diving into Polymer:
- Web Components
- Web Animations
This slide includes resources from HTML5Rocks, Polymer and PolyTechnic.
SOSCON 2014: 문서 기반의 오픈소스 기여하기Chang W. Doh
Samsung OpenSource Conference - Day 2. http://www.soscon.net/
코드가 아닌 문서로 오픈소스에 기여하는 방법을 개인적인 경험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참여하실 분은 언제나 환영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