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The memo is lie !!!
과제나 동아리 업무를 메모장에 저장을 했다.
노트북에 저장 했더니 노트북을 열지 않으면 일이 있는지 알 수 없었다.
핸드폰에 저장 했더니 한참 일 할 때에는 핸드폰을 열기 귀찮다.
동기화를 원했는데 비싸다.
메모가 이렇게 해로운 겁니다…
4. • Linux 기반 설치 기반의 프로그램
• 동시 수정 및 복수 계정 가입 지원
• 내 서버에 개인위키를 설치하는 것과 같다.
Open Source
• https://github.com/bluemir/wikinote
Wikinote!
5. You are just monster like a me!!!
• 기존의 wikinote 는 리눅스를 어느 정도 알아야 설치가
가능하다.
• 근데 일반인들은 이걸 잘 모른다.
• 게다가 node.js 부터 시작해서 개발 환경 등 또한 조성을
해야 한다.
• 이 또한 일반인들은 잘 모른다.
8. What we did
• 도커와 NginX를 이용한 서버 구축
• Volley와 Oauth를 이용해 구글 계정 인증 및 서버와의 통신완료
• Backend의 RESTful API구현 완료
• GUI 디자인 적용
• 기본적인 메모의 저장, 수정 등이 완료
9. What it changed
• 메모 동기화
– 위키노트는 특성상 다수의 이용자가 발생 할 수 있다.
– 다수의 이용자가 다수의 플랫폼에서 이용하는 서비스를 offline과 online까지 동
기화가 가능한 알고리즘을 구축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였다.
– 고로 onlin상에서만 접속과 메모 수정이 가능하도록 변경하였다.
• 위키노트 기능 축소
– 위키노트는 웹에 특화되었으며 기본적으로 위키의 특성이 있다.
– 그렇기에 앱에서 사용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위키노트가 지원하는 복수계정관리
기능은 개발 상에서 제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