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lideShare a Scribd company logo
Zeropage - wikinote 발표자료
유재범, 최원민, 강민승, 신형철, 이승현, 장우진
(5조)
The memo is lie !!!
과제나 동아리 업무를 메모장에 저장을 했다.
노트북에 저장 했더니 노트북을 열지 않으면 일이 있는지 알 수 없었다.
핸드폰에 저장 했더니 한참 일 할 때에는 핸드폰을 열기 귀찮다.
동기화를 원했는데 비싸다.
메모가 이렇게 해로운 겁니다…
• Linux 기반 설치 기반의 프로그램
• 동시 수정 및 복수 계정 가입 지원
• 내 서버에 개인위키를 설치하는 것과 같다.
Open Source
• https://github.com/bluemir/wikinote
Wikinote!
You are just monster like a me!!!
• 기존의 wikinote 는 리눅스를 어느 정도 알아야 설치가
가능하다.
• 근데 일반인들은 이걸 잘 모른다.
• 게다가 node.js 부터 시작해서 개발 환경 등 또한 조성을
해야 한다.
• 이 또한 일반인들은 잘 모른다.
So We are developing...
Wikinote.app can…
메모 추가,수정,삭제등등의기능지원
계정 사용자는 서버나 개발 환경을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기능 메모에는다른메모로의링크나하이퍼링크까지도지원이된다.
What we did
• 도커와 NginX를 이용한 서버 구축
• Volley와 Oauth를 이용해 구글 계정 인증 및 서버와의 통신완료
• Backend의 RESTful API구현 완료
• GUI 디자인 적용
• 기본적인 메모의 저장, 수정 등이 완료
What it changed
• 메모 동기화
– 위키노트는 특성상 다수의 이용자가 발생 할 수 있다.
– 다수의 이용자가 다수의 플랫폼에서 이용하는 서비스를 offline과 online까지 동
기화가 가능한 알고리즘을 구축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였다.
– 고로 onlin상에서만 접속과 메모 수정이 가능하도록 변경하였다.
• 위키노트 기능 축소
– 위키노트는 웹에 특화되었으며 기본적으로 위키의 특성이 있다.
– 그렇기에 앱에서 사용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위키노트가 지원하는 복수계정관리
기능은 개발 상에서 제외되었다.
Want more?
Wait a minute
Thank you :)
Q & A

More Related Content

What's hot (20)

PDF
200820 NAVER TECH CONCERT 13_네이버에서 오픈 소스 개발을 통해 성장하는 방법
NAVER Engineering
 
PDF
신입 개발자 생활백서 [개정판]
Yurim Jin
 
PDF
Github 으로 학교 팀 프로젝트 하기
nexusz99
 
PDF
[네이버오픈소스세미나] egjs-view360 개발기 - 김희재
NAVER D2
 
PDF
주니어 개발자의 개인프로젝트 개발기
sung yong jung
 
PDF
[D2 fest 2014]yobi hands on lab
NAVER D2
 
PDF
쫄지마,글로벌! 평범한 개발자의 좌충우돌 글로벌 오픈소스 도전하기
Sangmin Shim
 
PDF
200820 NAVER TECH CONCERT 12_상반기 네이버 인턴을 돌아보며
NAVER Engineering
 
PDF
개발자 1.5배 즐기기
용근 권
 
PDF
[D2 CAMPUS] Dodge the Dodge - GoN
NAVER D2
 
PDF
Droid knights 2019 - (Large-scale App을 위한) Android Architecture 총정리
Sa-ryong Kang
 
PDF
[D2 fest 2014]개발자와 오픈소스(git기반 협업모델 소개)
NAVER D2
 
PDF
How To Become Better Engineer
DaeMyung Kang
 
PDF
React vac pattern
NAVER Engineering
 
PDF
[취업특강] IT분야에서 행복하게 일하기 - SW 개발자를 중심으로
Sungwoo Park
 
PDF
Droid Knight 2019
선옥 장
 
PPTX
커뮤니티 활동과 스터디
Javajigi Jaesung
 
PPTX
소프트웨어 학습 및 자바 웹 개발자 학습 로드맵
Javajigi Jaesung
 
PDF
초보 개발자를 위한 웹 프론트엔드 개발 101
Chang W. Doh
 
PDF
Fedevtalk 15 jds
NAVER Engineering
 
200820 NAVER TECH CONCERT 13_네이버에서 오픈 소스 개발을 통해 성장하는 방법
NAVER Engineering
 
신입 개발자 생활백서 [개정판]
Yurim Jin
 
Github 으로 학교 팀 프로젝트 하기
nexusz99
 
[네이버오픈소스세미나] egjs-view360 개발기 - 김희재
NAVER D2
 
주니어 개발자의 개인프로젝트 개발기
sung yong jung
 
[D2 fest 2014]yobi hands on lab
NAVER D2
 
쫄지마,글로벌! 평범한 개발자의 좌충우돌 글로벌 오픈소스 도전하기
Sangmin Shim
 
200820 NAVER TECH CONCERT 12_상반기 네이버 인턴을 돌아보며
NAVER Engineering
 
개발자 1.5배 즐기기
용근 권
 
[D2 CAMPUS] Dodge the Dodge - GoN
NAVER D2
 
Droid knights 2019 - (Large-scale App을 위한) Android Architecture 총정리
Sa-ryong Kang
 
[D2 fest 2014]개발자와 오픈소스(git기반 협업모델 소개)
NAVER D2
 
How To Become Better Engineer
DaeMyung Kang
 
React vac pattern
NAVER Engineering
 
[취업특강] IT분야에서 행복하게 일하기 - SW 개발자를 중심으로
Sungwoo Park
 
Droid Knight 2019
선옥 장
 
커뮤니티 활동과 스터디
Javajigi Jaesung
 
소프트웨어 학습 및 자바 웹 개발자 학습 로드맵
Javajigi Jaesung
 
초보 개발자를 위한 웹 프론트엔드 개발 101
Chang W. Doh
 
Fedevtalk 15 jds
NAVER Engineering
 

Similar to Zeropage - wikinote 발표자료 (20)

PDF
[HYSS 2016] 쉽고 빠르게 시작하는 Volatility Plugin 개발
동현 김
 
PDF
[Kerference] 쉽고 빠르게 시작하는 Volatility plugin 개발 - 김동현(BoB)
NAVER D2
 
PDF
16 학술제 마무리 자료
Junyoung Jung
 
PDF
In c
park sungmin
 
PPTX
하루에 10번 배포하기 - flickr
SeongSik Kim
 
PDF
Work at home
JiUng Choi
 
PDF
웹2.0과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11강
Jinmyeong Jeong
 
PDF
[NDC17] Protocol:hyperspace Diver 개발 포스트모템
Young Soo Kim
 
PDF
300초만에 알아가는 Git 관련 꿀팁
Ubuntu Korea Community
 
PDF
Native A/V
Sungmin Park
 
PPTX
[123] electron 김성훈
NAVER D2
 
PDF
온라인 게임 처음부터 끝까지 동적언어로 만들기
Seungjae Lee
 
PPTX
(게임개발을위한) printf("Hello World!"); 그 이상의 콘솔 프로그래밍
NDOORS
 
PPTX
평범한 개발자 오픈소스로 먹고살기 2
cho hyun jong
 
PDF
Deview 2013 - 나는 왜 개발자인데 자신이 없을까?
Minsuk Lee
 
PDF
131 deview 2013 yobi-채수원
NAVER D2
 
PDF
빌드 버튼이 눌린다음에 무슨일이 일어나는 걸까?
hyunho Lee
 
PDF
[IGC2017] Protocol:hyperspace Diver 개발 포스트모템
Young Soo Kim
 
PDF
외계어 스터디 4/5 Event & Library
민태 김
 
PDF
버그 트래킹 시스템 Mantis의 사용 그리고 예제
Kiyoung Moon
 
[HYSS 2016] 쉽고 빠르게 시작하는 Volatility Plugin 개발
동현 김
 
[Kerference] 쉽고 빠르게 시작하는 Volatility plugin 개발 - 김동현(BoB)
NAVER D2
 
16 학술제 마무리 자료
Junyoung Jung
 
하루에 10번 배포하기 - flickr
SeongSik Kim
 
Work at home
JiUng Choi
 
웹2.0과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11강
Jinmyeong Jeong
 
[NDC17] Protocol:hyperspace Diver 개발 포스트모템
Young Soo Kim
 
300초만에 알아가는 Git 관련 꿀팁
Ubuntu Korea Community
 
Native A/V
Sungmin Park
 
[123] electron 김성훈
NAVER D2
 
온라인 게임 처음부터 끝까지 동적언어로 만들기
Seungjae Lee
 
(게임개발을위한) printf("Hello World!"); 그 이상의 콘솔 프로그래밍
NDOORS
 
평범한 개발자 오픈소스로 먹고살기 2
cho hyun jong
 
Deview 2013 - 나는 왜 개발자인데 자신이 없을까?
Minsuk Lee
 
131 deview 2013 yobi-채수원
NAVER D2
 
빌드 버튼이 눌린다음에 무슨일이 일어나는 걸까?
hyunho Lee
 
[IGC2017] Protocol:hyperspace Diver 개발 포스트모템
Young Soo Kim
 
외계어 스터디 4/5 Event & Library
민태 김
 
버그 트래킹 시스템 Mantis의 사용 그리고 예제
Kiyoung Moon
 
Ad

More from NAVER D2 (20)

PDF
[211] 인공지능이 인공지능 챗봇을 만든다
NAVER D2
 
PDF
[233] 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 Network Load Balancing: Maglev Hashing Scheduler i...
NAVER D2
 
PDF
[215] Druid로 쉽고 빠르게 데이터 분석하기
NAVER D2
 
PDF
[245]Papago Internals: 모델분석과 응용기술 개발
NAVER D2
 
PDF
[236] 스트림 저장소 최적화 이야기: 아파치 드루이드로부터 얻은 교훈
NAVER D2
 
PDF
[235]Wikipedia-scale Q&A
NAVER D2
 
PDF
[244]로봇이 현실 세계에 대해 학습하도록 만들기
NAVER D2
 
PDF
[243] Deep Learning to help student’s Deep Learning
NAVER D2
 
PDF
[234]Fast & Accurate Data Annotation Pipeline for AI applications
NAVER D2
 
PDF
Old version: [233]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 Network Load Balancing
NAVER D2
 
PDF
[226]NAVER 광고 deep click prediction: 모델링부터 서빙까지
NAVER D2
 
PDF
[225]NSML: 머신러닝 플랫폼 서비스하기 & 모델 튜닝 자동화하기
NAVER D2
 
PDF
[224]네이버 검색과 개인화
NAVER D2
 
PDF
[216]Search Reliability Engineering (부제: 지진에도 흔들리지 않는 네이버 검색시스템)
NAVER D2
 
PDF
[214] Ai Serving Platform: 하루 수 억 건의 인퍼런스를 처리하기 위한 고군분투기
NAVER D2
 
PDF
[213] Fashion Visual Search
NAVER D2
 
PDF
[232] TensorRT를 활용한 딥러닝 Inference 최적화
NAVER D2
 
PDF
[242]컴퓨터 비전을 이용한 실내 지도 자동 업데이트 방법: 딥러닝을 통한 POI 변화 탐지
NAVER D2
 
PDF
[212]C3, 데이터 처리에서 서빙까지 가능한 하둡 클러스터
NAVER D2
 
PDF
[223]기계독해 QA: 검색인가, NLP인가?
NAVER D2
 
[211] 인공지능이 인공지능 챗봇을 만든다
NAVER D2
 
[233] 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 Network Load Balancing: Maglev Hashing Scheduler i...
NAVER D2
 
[215] Druid로 쉽고 빠르게 데이터 분석하기
NAVER D2
 
[245]Papago Internals: 모델분석과 응용기술 개발
NAVER D2
 
[236] 스트림 저장소 최적화 이야기: 아파치 드루이드로부터 얻은 교훈
NAVER D2
 
[235]Wikipedia-scale Q&A
NAVER D2
 
[244]로봇이 현실 세계에 대해 학습하도록 만들기
NAVER D2
 
[243] Deep Learning to help student’s Deep Learning
NAVER D2
 
[234]Fast & Accurate Data Annotation Pipeline for AI applications
NAVER D2
 
Old version: [233]대형 컨테이너 클러스터에서의 고가용성 Network Load Balancing
NAVER D2
 
[226]NAVER 광고 deep click prediction: 모델링부터 서빙까지
NAVER D2
 
[225]NSML: 머신러닝 플랫폼 서비스하기 & 모델 튜닝 자동화하기
NAVER D2
 
[224]네이버 검색과 개인화
NAVER D2
 
[216]Search Reliability Engineering (부제: 지진에도 흔들리지 않는 네이버 검색시스템)
NAVER D2
 
[214] Ai Serving Platform: 하루 수 억 건의 인퍼런스를 처리하기 위한 고군분투기
NAVER D2
 
[213] Fashion Visual Search
NAVER D2
 
[232] TensorRT를 활용한 딥러닝 Inference 최적화
NAVER D2
 
[242]컴퓨터 비전을 이용한 실내 지도 자동 업데이트 방법: 딥러닝을 통한 POI 변화 탐지
NAVER D2
 
[212]C3, 데이터 처리에서 서빙까지 가능한 하둡 클러스터
NAVER D2
 
[223]기계독해 QA: 검색인가, NLP인가?
NAVER D2
 
Ad

Zeropage - wikinote 발표자료

  • 2. 유재범, 최원민, 강민승, 신형철, 이승현, 장우진 (5조)
  • 3. The memo is lie !!! 과제나 동아리 업무를 메모장에 저장을 했다. 노트북에 저장 했더니 노트북을 열지 않으면 일이 있는지 알 수 없었다. 핸드폰에 저장 했더니 한참 일 할 때에는 핸드폰을 열기 귀찮다. 동기화를 원했는데 비싸다. 메모가 이렇게 해로운 겁니다…
  • 4. • Linux 기반 설치 기반의 프로그램 • 동시 수정 및 복수 계정 가입 지원 • 내 서버에 개인위키를 설치하는 것과 같다. Open Source • https://github.com/bluemir/wikinote Wikinote!
  • 5. You are just monster like a me!!! • 기존의 wikinote 는 리눅스를 어느 정도 알아야 설치가 가능하다. • 근데 일반인들은 이걸 잘 모른다. • 게다가 node.js 부터 시작해서 개발 환경 등 또한 조성을 해야 한다. • 이 또한 일반인들은 잘 모른다.
  • 6. So We are developing...
  • 7. Wikinote.app can… 메모 추가,수정,삭제등등의기능지원 계정 사용자는 서버나 개발 환경을 준비하지 않아도 된다. 기능 메모에는다른메모로의링크나하이퍼링크까지도지원이된다.
  • 8. What we did • 도커와 NginX를 이용한 서버 구축 • Volley와 Oauth를 이용해 구글 계정 인증 및 서버와의 통신완료 • Backend의 RESTful API구현 완료 • GUI 디자인 적용 • 기본적인 메모의 저장, 수정 등이 완료
  • 9. What it changed • 메모 동기화 – 위키노트는 특성상 다수의 이용자가 발생 할 수 있다. – 다수의 이용자가 다수의 플랫폼에서 이용하는 서비스를 offline과 online까지 동 기화가 가능한 알고리즘을 구축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하였다. – 고로 onlin상에서만 접속과 메모 수정이 가능하도록 변경하였다. • 위키노트 기능 축소 – 위키노트는 웹에 특화되었으며 기본적으로 위키의 특성이 있다. – 그렇기에 앱에서 사용하기 위해 불가피하게 위키노트가 지원하는 복수계정관리 기능은 개발 상에서 제외되었다.